KR20090024621A -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4621A
KR20090024621A KR1020080081318A KR20080081318A KR20090024621A KR 20090024621 A KR20090024621 A KR 20090024621A KR 1020080081318 A KR1020080081318 A KR 1020080081318A KR 20080081318 A KR20080081318 A KR 20080081318A KR 20090024621 A KR20090024621 A KR 20090024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ver
vessel
submarin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1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4875B1 (ko
Inventor
게오르그 그뤼거
Original Assignee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024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40Rescue equipment for personnel
    • B63G8/41Capsules, chambers, water-tight boats or the like, detachable from the submar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0Manholes; Inspection openings; Cov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수함 외부 측면을 따라 이송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용기는 폐쇄 동작하고 외부로부터 개방되는 커버, 그리고 용기 내부에 고정된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며, 특히 물속에서 적재 또는 하적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지지 프레임 상에 있는 용기 외부에서 적재 화물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은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용기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용기 {CONTAINER}
본 발명은 잠수함 외부 측면을 따라 이송될 수 있는 용기와 관련이 있다.
현대의 잠수함에서는, 추가 용기를 외부 측면에 설치하고, 상기 용기 내부에 장비 대상물 또는 잠수함 외부에 있는 임의의 다른 대상물을 저장할 수 있는 기술이 선행 기술에 속한다(DE 102005051374 A1). 이와 같은 유형의 용기는 통상적으로 잠수함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은 필요한 경우에는 용기가 잠수함 내부로부터 외부로 투척 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용기가 통상적으로는 잠수함의 외판 외부에, 예를 들어 상갑판 옆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용기는 외부로부터의 접근이 가능하고, 특히 잠수부의 접근도 가능하며, 잠수부는 잠수 상태에서 용기를 개방하여 대상물을 꺼내거나 또는 안으로 넣은 다음에 용기를 재차 폐쇄할 수 있다.
용기가 잠수함의 외판 외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용기는 유동 경로 안에 놓여 있으며, 그런 이유로 해서 잠수 동작 중에 이 용기가 잠수함 주위에서 발생하는 환류를 거의 방해하지 않음으로써 잡음도 가급적 적게 방출되도록 형성되어야만 한다. 이와 같은 형상을 얻기 위하여 용기는 통상적으로 길게 늘어진 가느 다란 형태를 가지며, 이와 같은 모양은 유동에는 유리하지만 특히 적재시에 그리고 하역시에 문제를 초래한다. 따라서, 가능하다면 잠수부가 물속에서 용기 내부로 잠수해 들어가야만 하는 경우가 회피되어야만 하는데, 그 이유는 이와 같은 경우에는 단지 공간적인 조건으로 인해 위험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EP 1 798 145 A2호에는 무인 선박(drone)을 수용하고 저장하기 위한 용기가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용기는 원칙적으로 장비 대상물을 저장하기 위해서 제공되지도 않았고 그 목적을 위해서 적합하지도 않으며, 상기 용기는 오로지 잠수함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동작을 위해서만 제공되었고, 외부로부터 내부로의 동작을 위해서는 제공되지 않았다.
상기와 같은 내용을 배경으로 하는 본 발명의 과제는 잠수함 외부 측면을 따라 이송될 수 있는 용기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용기는 한편으로는 특히 잠수 동작, 신호, 방향 조종 등과 관련한 잠수함의 특성에 가급적 적은 영향을 미치기 위하여,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잠수부로 하여금 물속에서도 접근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가급적 큰 적하 용적을 갖도록 형성되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특징들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 아래의 상세한 설명 그리고 도면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잠수함 외부 측면을 따라 이송될 수 있는 용기는 외부로부터의 폐쇄 및 개방을 위한 커버 그리고 용기 내부에 저장된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기로부터 외부로 빼내질 수 있다.
잠수함 외부 측면에 고정할 목적으로 그리고 물속에서 대상물을 운반할 목적으로 제공된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기본 아이디어는, 용기 커버의 개방 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출될 수 있는 지지 프레임을 용기 내부에 제공하는 것이다. 용기 내부에 적재될 대상물들은 바람직하게 지지 프레임이 대상물들을 고정하는 상응하는 측벽을 갖거나 또는 대상물들이 예를 들어 타이-다운 스트랩(tie-down strap) 또는 다른 커플링 수단을 통해 지지 프레임에 연결됨으로써 지지 프레임 상에 고정되며, 그 결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적재 및 하적을 위해 용기 내부에 접근해야할 필요가 없어지고, 오히려 지지 프레임은 커버의 개방 후에 용기로부터 인출될 수 있으며, 결국 대상물들은 지지 프레임의 측면으로부터 편안하게 하적 또는 적재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 의해서는 실제로 임의로 가늘고 길게 늘어진 용기가 간단하고 확실한 방법으로 적재 또는 하적 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용기 안으로 손을 집어넣거나 또는 심지어 잠수해서 들어갈 필연성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며, 오히려 지지 프레임의 인출 후에는 상기 용기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고, 더욱 안전한 위치에서 상기 용기가 적재 또는 하적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근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관류되는 용기, 다시 말해서 내부가 주변 압력과 연통하는 용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잠수함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잠수 압력을 견뎌야만 하는, 압력에 잘 견디도록 형성된 용기와 관련하여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압력에 잘 견디고 밀봉 방식으로 폐쇄되는 용기는 상기 용기 내부에 저장된 대상물이 영구적인 압력 교체에 노출되지 않는다는 큰 장점을 가지며, 특히 자유롭게 관류할 수 있는 용기에 비해서는 상기 용기 내부에 있는 대상물이 공격적인 염수에 노출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용기 전체가 충격에 안전하게 지지 될 수 있음으로써, 용기 내부에서의 상응하는 지지 작용이 광범위하게 생략될 수 있다.
필요한 압력 강도로 인해 용기 형상과 관련된 구조적인 변형은 비교적 적다. 용기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및 잠수함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경우가 특 히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는 바람직하게 뱃머리 측(잠수함의 진행 방향으로 볼 때 전방)에 배치된 단 하나의 커버가 정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그 경우에는 용기의 후면이 유동에 유리하게 라이닝 처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용기는 매끈한 외판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적어도 압력에 강한 용기 부분은 잠수함의 선체와 유사하게 구성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내부에 배치된 다수의 늑재(肋材)에 의해서 지지가 된다. 후방 정면은 바람직하게 폐쇄된 상태로 형성되는 반면에 전방 정면은 개방된 상태로 그리고 커버에 의해서 폐쇄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는 외부 치수가 비교적 작은 상태에서 유용한 적하 공간이 비교적 크면서도 유동에 유리한 용기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적하 대상물을 수용하고 적재 및 하적을 목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용기 내부로부터 거의 완전하게 인출될 수 있는 지지 프레임이 제공되었기 때문에, 상기 적하 공간은 매우 유용하다. 이 목적을 위하여 지지 프레임은 바람직하게 차입 가능한 형태로 지지가 되어 있다.
위에 올려진 대상물에 의해 적지 않은 하중을 받을 수 있는 지지 프레임을 인출 및 삽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라 구동 장치가 제공되었다. 상기 구동 장치는 보조 수단, 예를 들어 압축 공기에 의해서 지지가 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오로지 수동으로만 작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었다.
지지 프레임의 가급적 완전한 인출 가능성에 도달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은 바람직하게 돌리(dolly) 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가 되어 있으며, 상기 돌리는 재차 용기 측에 고정된 저장 랙(storage rack)을 통과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열에서는 지지 프레임이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도 상기 지지 프레임은 용기 내부에 확실하게 지지가 되는데, 그 이유는 이동 경로의 대략 절반이 돌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 경로의 다른 절반이 고유한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전술한 부품들을 용기 측에 고정시킬 수 있는 충분한 섹션들이 항상 남게 된다.
지지 프레임을 인출 및 삽입하기 위한 구동 장치는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스핀들 드라이브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스핀들 드라이브는 바람직하게 용기 외부에 있는 핸드 크랭크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핀들 구동의 장점은, 상기 구동 장치가 한편으로는 견고하면서 높은 파워를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자동으로 제동이 이루어짐으로써 각각의 스핀들 위치에서 지지 프레임 또는 돌리가 용기에 대하여 고정되어 예를 들어 경사 위치만으로는 인출 또는 삽입이 불가능해진다는 것이다. 스핀들 구동 장치는 바람직하게 잠수부에 의한 핸드 크랭크에 의해 작동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삽입 및 인출을 위해 필요한 손의 힘을 제공할 수 있기 위하여 감속 기어(gear reduction)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스핀들 구동 장치가 제공되며, 특히 제 1 스핀들 구동 장치는 저장 랙 또는 용기와 돌리 사이에 그리고 제 2 스핀들 구동 장치는 돌리와 지지 프레임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두 개의 스핀들 구동 장치는 핸드 크랭크에 의해 작동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1 스핀들 구동 장치의 작동을 위해서는 바람직하게 용기 개구 쪽을 향하는 돌리의 전방 단부 가까이에 배치된 핸드 크랭크가 제공되었고, 제 2 스핀들 구동 장치의 작동을 위해서는 바람직하게 용기 개구 쪽을 향하는 지지 프레임의 전방 단부 가까이에 배치된 핸드 크랭크가 제공되었다. 이 경우 핸드 크랭크로서는 주위에 꽂을 수 있고 분실 불가능하게 배치된 핸드 크랭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열에서는 지지 프레임을 인출하기 위하여 제일 먼저 돌리가 최대로 인출될 때까지 저장 랙과 돌리 사이에 배치된 스핀들 구동 장치가 작동되고, 그 다음에 돌리와 지지 프레임 사이에 제공된 스핀들 구동 장치가 인출된다. 삽입의 경우에는 반대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저장 랙, 돌리 및 지지 프레임이 바람직하게는 용기 하부면에 배치되어, 스핀들 구동 장치가 돌리 내부에서 지지 프레임과 저장 랙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음으로써, 지지 프레임 위에서 나타나는 가급적 큰 공간은 전하를 수용할 목적으로 형성되었다.
잠수부가 물속에서 용기에 안전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용기는 바람직하게 자신의 외부 측면에, 특히 바람직하게는 잠수함으로부터 떨어져서 마주한 측에 핸드 레일을 구비한다. 상기 핸드 레일은 바람직하게 링크에 의해서 용기에 고정된 커버의 한 부분 위까지 연장되는 동시에 바람직하게는 개방 및 폐쇄를 목적으로 커버에 제공된 레버를 위한 보호부를 형성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압력에 강한 실시예에서 용기 내부에 있는 대상물은 공기 분위기 또는 보호 가스 분위기에서 밀봉 방식으로 폐쇄된 상태로 저장되도록 설계되었다. 물속에서 용기를 개방할 수 있기 위해서는 우선 압력 보상을 보증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용기는 바람직하게 지지 프레임의 개방 및 인 출 전에 거의 완전히 물속에 잠기게 되는데, 그 이유는 그 경우에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 안에 있는 대상물이 물속에서 안전하게 그리고 그와 동시에 간단하게 취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두 개의 밸브가 제공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용기 하부면에 유입구를 갖는 잠수용 밸브 그리고 용기 상부면에 배출구를 갖는 배기용 밸브가 제공되었다.
용기 내부가 주변을 둘러싸는 늑재에 의해서 지지가 되면, 두 개의 밸브가 개방되는 경우에 그리고 용기가 물속에 잠기는 경우에도 용기의 상부 영역에서, 다시 말하자면 늑재들 사이에서 기포가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기포 형성은 바람직하고 목적에 부합한다. 다시 말해, 용기가 후속으로 폐쇄되고 물로 채워지면, 상기 기포는 용기 내부에 공기 쿠션이 형성되도록, 온도- 및 압력 변동으로 인한 용적 변동이 보상되도록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용기 내부에 있는 물의 충격이 댐핑되도록 보증해준다.
용기를 물에 잠기게 하는 밸브 및 배기를 위한 밸브는 바람직하게 볼 코크(ball cock)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밸브들이 구조적으로 단순하게, 장애 발생도가 낮게 그리고 잠수 압력과 무관하게 비교적 적은 힘으로 작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볼 코크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른 용기 내부에는 압축 공기 실린더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 공기 실린더가 스프링 압축 응력을 받음으로써, 압축 하중을 받지 않는 경우에는 볼 코크가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폐쇄되어 상기 폐쇄 위치에 고정된다. 압축 공기 실린더는 하나의 공통된 압축 공기 라인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 공기 라인은 용기 내부에서 뻗고, 적합한 장소에서, 바람직하게는 잠수함 가까이에서 용기 벽을 관통하며, 잠수함 외부 측면에 제공된 압축 공기 라인과의 연결을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그 경우 압축 공기는 잠수함 내부로부터 원격 제어 방식으로 제공된다.
한편으로는 잠수함 내부로부터 제어될 기능들의 마찰 없는 흐름을 보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잠수부(들)에 의해 용기의 외부 측면에서 개시될 작업을 보증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라 통신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통신 장치는 바람직하게 용기의 외부 측면에, 통상적으로는 커버 가까이에 설치되고, 전기 라인을 통해 잠수함 내부와 경우에 따라서는 해체 가능하게 그리고 신호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통신 장치는 상호 통화 설비에 의해 경우에 따라서는 비디오 지원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마찬가지로 외부 측면에 배치된 램프를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한 푸시 버튼을 배치하는 것은 특히 간단하고 신뢰할만하며, 이 경우 상기 푸시 버튼을 통해서는 전기 신호, 예를 들어 전기 모스 신호가 보트 내부로 송출될 수 있고, 그 반대로 램프를 통해서는 전기 모스 신호가 보트 내부로부터 외부로 송출될 수 있다. 통신 장치를 위한 전기 접속 라인은 바람직하게 용기의 외부 측면에서, 예를 들어 보호 기능을 하는 파이프 내부에서 길게 뻗는데, 그 이유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이중 벽을 관통해야 할 필요가 생기기 때문이다.
용기의 정면을 폐쇄하는 커버는 바람직하게 용기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가 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는 개방 선회 동작을 목적으로 핸드 크랭크에 의해서 작동되는 기어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기어에 의해 커버는 물속에서 개방 또는 폐쇄 선회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기어도 바람직하게는 자동 제동 방식으로 구성됨 으로써, 열리거나 닫힐 위험 없이 커버는 모든 위치에 정지하게 된다.
커버에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로크(lock)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로크는 폐쇄 위치에서 커버를 용기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고정한다. 커버 둘레에 걸쳐서 다수의 로크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다수의 로크들은 커버의 내부 측면에 배치된 작동 장치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작동 장치는 압력 밀봉 방식으로 커버를 관통하는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 상에 외부로부터 작동되는 핸들이 회전 고정 방식으로(rotationally fixed) 배치됨으로써, 상기 외부 핸들에 의해서는 로킹 작용이 내부에서 풀어지거나 또는 로킹 될 수 있다. 핸들로서는 핸드 휠이 제공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30° 내지 60° 만큼의 선회 동작 후에 로크를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그 반대로 이동시키는 핸드 레버가 바람직하다.
용기에 물을 가득 채우고 용기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기 위해서는, 용기 내부에 충전 레벨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충전 레벨 센서의 전기 접속 라인은 외부에 놓인 연결부까지 용기 벽을 압력 밀봉 방식으로 관통한다. 상기 외부에 놓인 연결부 및 접속 케이블을 통해서는 잠수함 내부로의 연결이 이루어지며, 잠수함 내부로부터 밸브가 제어됨으로써 용기에 물을 채우는 과정 및 배기 과정이 제어될 수 있다.
용기를 유동에 유리하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용기를 후방 피크 쪽으로 인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동에 유리한 형상으로서는 반구형, 원추형 또는 뒤로 가면서 축소되는 다른 적합한 형태도 제공될 수 있다. 바람 직하게는 용기의 내압 부분을 상기 형태에 적응시킬 필요가 없도록 하기 위하여 관류 가능한 라이닝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공간적인 지시 사항들(위에, 아래에, 후방에, 전방에)은, 용기가 외판 외부에서 상갑판 옆에 배치되도록 용기의 하부 측면이 잠수함의 외부 측면에 연결된 경우에, 보상된 수평 플로우팅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기가 잠수함의 규정에 따른 위치에 배치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용기(1)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형태를 가지며, 이 경우 실린더 축은 결합된 상태에서 잠수함의 선체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용기(1)는 선체와 유사하게 구성되었는데, 선체는 외피 영역에 용기를 외부로 폐쇄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시트(2)를 가지며, 상기 시트는 주변을 둘러싸는 늑재(3)에 의해서 용기의 내부 측면에 지지가 되어 있다. 용기의 후방 정면은 캡 형태의 섹션(4)에 의해서 형성되었으며, 잠수 압력을 견딜 수 있기 위하여 상기 캡 형태의 섹션은 외부 측면에서는 같은 높이로 실린더 외피(2)로 변형되고, 내부 측면에서는 상응하게 보강된 상태로 형성되었다. 캡(4)은 후방으로 선미 피크(5)까지 계속해서 끝이 가늘어지도록 라이닝 처리되었다. 상기 라이닝(6)은 유동에 유리한 형상을 용기(1)에 제공하기 위해서 이용되며, 상기 라이닝은 내압 방식으로 형성되지 않았고 오히려 개구(7)를 구비하여 상기 개구를 통해 라이닝이 관류할 수 있도록 그리고 계속해서 압력 보상되도록 형성되었다. 용기(1)는 전방 측 정면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커 버(8)를 가지며, 상기 커버도 마찬가지로 캡 모양으로 형성되었고, 잠수함으로부터 떨어져서 마주한 측에 배치된 수직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다.
용기(1)의 전방 단부에는 주변을 둘러싸는 플랜지(9)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는 커버(8)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8)와 마주 놓이도록 제공된, 마찬가지로 주변을 둘러싸는 플랜지(10)가 인접한다. 플랜지(9)에는 외부 압력에 대항해서 작용하는 주변을 둘러싸는 리브 밀봉부(50)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리브 밀봉부는 플랜지(10)와 플랜지(9) 사이를 밀봉시킨다. 상호 인접하는 플랜지들(9, 10)은 폐쇄 상태(도 4)에서 커버 측에 연결된 섀클 모양의 로크(11)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형상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커버의 외부 둘레 가까이에서 자신의 내부 측면에 접선 방향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로크(11)는 레버(12)와 관절 형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는 실질적으로 방사형으로 진행하고, 다른 단부에 의해서 바디(13)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바디는 커버(8)의 중심을 압력 밀봉 방식으로 관통하는 샤프트(14)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샤프트(14)는 커버의 외부 측면에서 레버(15)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레버는 커버(8)가 로킹 된 상태에서 섀클(16)에 의해 외부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섀클은 동시에 그랩(grab) 또는 핸드 레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레버(15)가 도 4에 도시된 로킹 위치로부터 약 45°만큼 선회함으로써, 샤프트(14)는 자신에 고정된 바디(13)와 함께 상응하게 회전되며, 그 결과 레버(15)에는 인장력이 행사되고, 상기 인장력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커버 내부 측면에서의 위치로 알 수 있는 바와 마찬가지로 로크(11)를 로킹 해제 위치로 선회시킨다. 커버(8)가 폐쇄되어 로킹 된 상태에서 용기(1)는 압력 밀봉 상태이고 잠수에 안정적이다. 레버(15)가 커버(8)의 외부 측면으로부터 선회 된 후에는, 상기 커버가 우선 로킹 해제된다. 그 다음에 상기 커버는 크랭크(17)의 작동에 의해서 도 4에 도시된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위치에 대하여 180 °만큼 선회 된 개방 위치로 보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크랭크에서는 감속 기어(18)가 맞물리고, 샤프트가 외부로 빠져 나와 있다. 상기 감속 기어(18)가 자동 제동 방식으로 설계됨으로써, 커버(8)는 각각의 선회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필요한 손의 힘을 외부로부터 레버(15)로 그리고 크랭크(17)로 전달할 수 있기 위하여 섀클(16)이 제공되었으며, 상기 섀클은 레버(15)의 의도치 않은 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부재로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지지 스트랩으로서도 이용된다. 더 나아가서는 측면에서 용기(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핸드 레일(19)이 제공되었으며, 상기 핸드 레일은 특히 도 7이 보여주는 바와 같이 용기(1)에 대하여 작은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있고, 전방으로부터 볼 때 상부 측면에 대하여 약 30°-위치에서 잠수함으로부터 떨어져서 마주한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용기(1) 내부에는 지지 프레임(20)이 이동 가능하게 지지가 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바닥(21), 후방 단부에 배치된 섀클(22) 그리고 바닥(21)의 양쪽 세로 측면으로부터 위로 돌출하는 핸드 레일(23)을 갖는다. 바닥(1)의 하부 측면에는 레그를 구비한 두 개의 U자 모양 프로파일(24)이 서로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U자 모양 프로파일은 지지 프레임(20)이 그 위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가 되어 있는 돌리(26)의 외부 가이드 롤러(25)를 위한 가이드- 및 주행 트 랙을 형성한다. 돌리(26)는 실질적으로 U자 모양의 횡단면을 가지며, 이 경우 상기 U자 프로파일의 레그 내에는 외측 가이드 롤러(25) 그리고 내측에 배치된 가이드 롤러(27)가 지지가 되어 있고, 상기 내측 가이드 롤러가 용기(1)의 세로 방향으로 바닥 측에 설치된 두 개의 U자 모양 프로파일(28) 내에서 가이드 됨으로써, 결국 돌리(26)는 상기 U자 모양 프로파일(28)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가 되어 있다. U자 모양 프로파일(24), 가이드 롤러(25 및 27)를 구비한 돌리(26) 그리고 U자 모양 프로파일(28)은 하나의 망원경 형상 인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인출부에 의해 지지 프레임(20)은 완전하게 용기(1) 내부에 있는 위치(도 4)로부터 거의 완전하게 인출된 위치(도 1-3)로 이동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0)뿐만 아니라 돌리(26) 그리고 U자 모양 프로파일(28)에 의해 형성된 용기 측 고정부도 실질적으로는 용기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기 때문에, 인출된 위치에서도 지지 프레임(20)의 확실한 지지 작용이 보증된다(도 2). 상호 이동 가능하고 망원경 형태로 신축 가능한 부품들(24, 27 및 28)이 상호 각각 단지 대략 절반 길이까지만 인출될 수 있음으로써, 전체적으로 볼 때는 지지 프레임(20)이 거의 완전하게 인출된다. 특히 적재된 상태에서는 무거워질 수도 있는 지지 프레임을 확실하게 인출하고 재차 삽입할 수 있기 위하여 스핀들 드라이브가 제공되었으며, 상기 스핀들 드라이브는 커버(8)가 개방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작동될 수 있다. 제 1 스핀들 드라이브(29)는 돌리(26)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경우 전방 단부에는 기어(30)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기어에는 핸드 크랭크(31)가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설치될 수 있다. 스핀들이 유동 활차 측에 지지가 되어 있고, 스핀들 너트가 용기(1)의 하부 측면에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기어(30)에 의한 크랭크의 회전에 의해 스핀들이 회전되고, 그에 따라 돌리(26)는 용기(1)를 기준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 2 스핀들 드라이브(32)는 상응하는 방식으로 지지 프레임(20), 특히 바닥(21)의 하부 측면에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핸드 크랭크(13) 및 기어(33)에 의해서 지지 프레임 측에 지지가 된 스핀들을 구동시키고, 상기 스핀들의 스핀들 너트는 돌리(26)에 고정되어 있다. 다시 말하자면, 스핀들 드라이브에 의해 돌리(26)는 용기(1)로 이동할 수 있고, 지지 프레임(20)은 돌리(26)로 이동할 수 있는데, 특히 상기 스핀들 드라이브의 세로 연장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인출을 목적으로, 커버(8)의 개방 후에는 우선 제 1 스핀들 드라이브(29)가 작동되는데, 돌리(26)가 자신의 인출 위치로 보내질 때까지 작동된다. 그 다음에는 상황에 따라 핸드 크랭크(31)가 기어(33) 내부 둘레에 삽입된 후에 제 2 스핀들 드라이브(32)가 작동되는데, 지지 프레임(20)이 돌리(26)를 기준으로 완전하게 인출될 때까지 작동된다. 그 경우에는 지지 프레임(20)이 거의 완전하게 용기(1) 밖에 있게 됨으로써, 지지 프레임은 하적 또는 적재될 수 있다. 그곳에 채워질 대상물들은 타이-다운 스트랩 또는 다른 적합한 고정 수단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그 경우 삽입은 반대 순서로 이루어지는데, 다시 말하자면 우선 제 2 스핀들 드라이브(32)가 삽입된 후에 이어서 제 1 스핀들 드라이브(29)가 삽입된다.
좌측 및 우측에서 세로 방향으로 측면에서 바닥(21)으로부터 융기되는 핸드 레일(23) 그리고 전방 단부에서 적재면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되는 섀클(22)은 지지 스트랩으로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적재 화물이 바닥(21)으로부터 아래로 빠 질 위험에 대하여 상기 적재 화물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보호 장치도 형성한다.
규정에 따르면 용기(1)는 육지에서 적재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용기 내부에 쌓아질 대상물들이 바닥(21)에 놓여져서 고정된 후에, 지지 프레임(20)이 용기(1) 내부로 삽입되고 커버(8)가 자신의 폐쇄 위치로 선회 및 로킹 됨으로써, 결국 용기(1)는 압력 밀봉 방식으로 폐쇄된다. 이와 같이 폐쇄된 용기(1)는 그 다음에 본 출원서에 상세하게 기재되지 않은 커플링 장치에 의해서 잠수함의 상응하는 커플링 포인트에 설치되며, 이 경우 용기(1)는 U자 모양의 압축 섀클(34)을 통해 잠수함의 상응하는 지지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가 되고, 그로 인해 충격에 잘 견디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때 용기(1)가 통상적으로 잠수 상태에서 잠수부에 의해 개방되고 하적 되어야만 하는 경우, 즉 그곳에 적재된 하나 또는 다수의 대상물들이 인출되어야만 하는 경우에는, 물속에서 확실한 취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우선 압력 보상을 실행하고 추가로 용기(1)를 물로 채워야 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용기 내부에는 볼 코크의 형태로 된 두 개의 밸브(35 및 36)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경우 볼 코크(35)는 용기(1) 내부에서 하부 측면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고, 용기의 하부 측면에 있는 유입 개구로 가이드 되는 반면에, 볼 코크(36)는 상부 측면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고, 용기(1)의 상부 측면에 있는 배출 개구(37)로 가이드 된다. 그밖에 볼 코크(35, 36)는 용기 내부에 연결되어 있다. 하부 볼 코크(35)는 용기를 물로 채우기 위해서 이용되는 반면에, 상부 볼 코크(36)는 배기의 목적으로, 다시 말해 용기 내부에 있는 공기를 배출할 목적으로 이용된다.
볼 코크(35 및 36)의 스위칭 레버(38)는 스프링에 의해 압축 응력을 받는 압축 공기 실린더(39)에 의해서 작동되는데, 압축 공기 실린더(39)에 압축 공기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는 볼 코크(35 및 36)가 스프링(40)의 파워에 의해 자신의 폐쇄 위치에 유지되거나 또는 자동으로 자신의 폐쇄 위치로 변환된다. 개방을 위해서는 압축 공기 실린더(39)에 압축 공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압축 공기 실린더(39)는 하나의 공통된 압축 공기 라인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 공기 라인은 용기 벽을 관통하고, 잠수함 쪽을 향하고 있는 용기 측에 압축 공기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압축 공기 연결부를 통해서는 상응하게 잠수함 측에서 인출되는, 압축 공기를 유도하는 제어 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용기(1) 내부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충전 레벨 센서들이 상이한 수평 높이로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충전 레벨 센서들의 전기 라인들은 용기(1) 내부에서 가이드 되고, 캡(4)의 후방 영역에 놓이는 분배기 스트립(4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분배기 스트립(41)에도 마찬가지로 용기(1) 내부에서 상부 측면 가까이에 제공된 조명(42)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분배기 스트립(41)에서는 용기(1) 안에 있는 전체 전기 라인들이 수렴되어 하나의 커플링 연결부(43) 내부로 통하고, 상기 커플링 연결부(43)는 커플링을 통해 커플링 연결부(44)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커플링 연결부(44)를 통해서는 전기 접속 라인들이 용기 벽을 통해 외부로 커플링 연결부(45)로 가이드 되고, 상기 커플링 연결부(45)를 통해서는 재차 잠수함에 대한 전기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1)의 상부 측면에서 뱃머리 가까이에는 푸시 버튼(46) 그리고 조명(47) 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푸시 버튼 및 조명은 자신들 위에서 간격을 두고 뻗는 보호용 섀클(48)에 의해 지지가 되어 있다. 푸시 버튼(46) 및 조명(47)을 위한 전기 접속 라인은 용기(1)의 상부 측면에서 세로 방향으로 진행하는 파이프(49)를 통과하여 캡(4)까지 가이드 되고, 그곳에서 라이닝(6)에 통과하여 잠수함 쪽을 향하고 있는 용기(1)의 측으로 가이드 되며, 그곳에는 상응하는 연결 커플링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연결 커플링을 통해 잠수함과의 전기 접속이 이루어진다. 푸시 버튼(46) 및 조명(47)은 하나의 통신 장치를 형성하며, 상기 통신 장치는 본 경우에 잠수부와 잠수함 내부에 있는 조작자 간에 모스 통신을 가능케 한다. 이 경우에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상호 통화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용기(1) 내부에는 충전 레벨 센서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하나 또는 다수의 전자 카메라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에 의해 용기 내부가 광학적으로 모니터링 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된 용기는 강철로 제조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재료에 한정되지 않으며, 용기 또는 용기부는 다른 제작 재료, 특히 복합 제작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용기 2: 외피, 시트
3: 늑재 4: 캡
5: 선미 피크 6: 라이닝
7: 개구 8: 커버
9, 10: 플랜지 11: 로크
12: 레버 13: 바디
14: 샤프트 15: 레버
16: 섀클 17: 크랭크
18: 기어 19: 핸드 레일
20: 지지 프레임 21: 바닥
22: 섀클 23: 핸드 레일들
24: U자 모양 프로파일 25: 가이드 롤러
26: 돌리 27: 가이드 롤러 내부
28: 용기 측 U자 모양 프로파일
29: 제 1 스핀들 드라이브 30: 기어
31: 핸드 크랭크 32: 제 2 스핀들 드라이브
33: 기어 34: 압축 섀클
35: 아래 볼 코크 36: 위 볼 코크
37: 배출 개구 38: 스위칭 레버
39: 압축 공기 실린더 40: 스프링
41: 분배기 스트립 42: 조명들
43, 44, 45: 커플링 연결부 46: 푸시 버튼
47: 조명 48: 보호용 섀클
49: 파이프 50: 리브 밀봉부
도 1은 개방된 커버 및 인출된 지지 프레임을 갖춘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용기의 단면도(수평 절단).
도 3은 도 1에 따른 용기를 측면에서 바라보고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수직 절단).
도 4는 폐쇄된 용기의 절단된 측면도의 확대도(수직 절단).
도 5는 용기의 전방 부분을 도 4와 유사하게 절단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개방된 용기를 아래 및 전방으로부터 비스듬하게 투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용기를 위 및 전방으로부터 비스듬하게 투시하여 도시한 사시도.

Claims (15)

  1. 잠수함 외부 측면을 따라 이송될 수 있는 용기(1)로서,
    잠수함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길게 늘어진 형태를 가지며, 상기 용기(1)를 정면에서 폐쇄하고 외부로부터 개방하는 커버를 구비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1) 내부는 지지 프레임(20)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커버(8)가 개방된 상태에서 용기(1)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압력에 잘 견디도록 형성되었고,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용기의 커버(8)는 바람직하게 뱃머리 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내부에 늑재(3)를 갖춘 매끈한 외피(2)를 갖고, 상기 용기의 후방 정면은 폐쇄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의 전방 정면은 개방되어 있고 커버(8)에 의해 폐쇄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20)은 차입 가능하게 지지 되어 있고, 인출 및 삽입을 위한 구동 장치(29, 3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20)은 돌리(26) 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가 되어 있으며, 상기 돌리는 재차 용기 측에 고정된 저장 랙(28)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스핀들 드라이브(29, 30)에 의해서 형성되었으며, 상기 스핀들 드라이브는 바람직하게 핸드 크랭크(31)에 의해 용기(1) 외부로부터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장 랙/용기(28)와 돌리(26) 사이에는 제 1 스핀들 드라이브(29)가 제공되어 있고, 돌리(26)와 지지 프레임(20) 사이에는 제 2 스핀들 드라이브(32)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1 스핀들 드라이브(29)의 작동을 위해서는 바람직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용기 개구 쪽을 향하는 상기 돌리(26)의 단부 가까이에 배치된 핸드 크랭크(31)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제 2 스핀들 드라이브(32)의 작동을 위해서는 바람직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용기 개구 쪽을 향하는 상기 지지 프레임(20)의 단부 가까이에 배치된 핸드 크랭크(31)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측면에, 바람직하게는 잠수함으로부터 떨어져서 마주한 측에 핸드 레일(19)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1)의 하부면에 유입구를 갖는 잠수용 밸브(35) 및 용기(1)의 상부면에 배출구(37)를 갖는 배기용 밸브(36)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들은 볼 코크(35, 36)로서 형성되었고, 상기 볼 코크(35, 36)의 폐쇄 방향으로 스프링 압축 응력을 받은 압축 공기 실린더(39)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 공기 실린더는 바람직하게 하나의 공통된 압축 공기 라인을 통해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 공기 라인은 용기 벽을 관통하고, 잠수함의 외부 측면에 제공된 압축 공기 라인과의 연결을 목적으로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자신의 외부 측면에 통신 장치(46, 47)를 구비하며, 상기 통신 장치는 전기 라인을 통해 잠수함 내부와 해체 가능하게 그리고 신호에 의해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8)는 적어도 하나의 로크(11)에 의해서 자신의 폐쇄 위치에 로킹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로크(11)는 상기 커버(8)의 내부 측면에 배치된 작동 장치(12, 13)를 통해 작동될 수 있고, 상기 작동 장치는 커버를 압력 밀봉 방식으로 관통하는 샤프트(14)를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는 그 위에 회전 고정 방식으로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작동되는 레버(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 내부에는 충전 레벨 센서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충전 레벨 센서의 전기 접속 라인은 압력 밀봉 방식으로 외부에 놓인 연결부까지 용기 벽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방 정면에는 후방으로 가면서 점차 하나의 피크(5)로 축소되는 라이닝(6)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라이닝은 바람직하게 자유롭게 관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따른 용기를 구비한 잠수함.
KR1020080081318A 2007-09-04 2008-08-20 용기 KR1010948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41724.3A DE102007041724B4 (de) 2007-09-04 2007-09-04 Unterseeboot mit einem außen angeordneten Behälter
DE102007041724.3 2007-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621A true KR20090024621A (ko) 2009-03-09
KR101094875B1 KR101094875B1 (ko) 2011-12-20

Family

ID=39888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1318A KR101094875B1 (ko) 2007-09-04 2008-08-20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033890B1 (ko)
KR (1) KR101094875B1 (ko)
DE (1) DE102007041724B4 (ko)
ES (1) ES2612302T3 (ko)
PL (1) PL2033890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9877A (ko) * 2014-12-05 2017-08-04 티쎈크로프 마리네 지스템스 게엠베하 수중 급속 언로딩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41496B1 (no) 2014-01-03 2017-11-27 Subsea Logistics As Undersjøisk lagringsenhet og -system, og fremgangsmåte
DE102015221096B4 (de) 2015-10-28 2018-07-19 Thyssenkrupp Ag Unterwasserfahrzeug mit einer Unterwasserlagervorrichtung
DE102017212689B4 (de) 2017-07-24 2020-06-18 Thyssenkrupp Ag Unterwasserstauvorrichtung
CN108388280B (zh) * 2018-02-11 2021-11-12 烟台宏远氧业有限公司 脱险舱压力平衡系统
DE102018205487A1 (de) * 2018-04-11 2019-10-17 Thyssenkrupp Ag Unterwasserfahrzeug mit einer arretierbaren Klappe
CN111268070B (zh) * 2018-12-05 2021-07-27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一种大型uuv用载荷搭载与释放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0820797A (en) * 1908-10-02 1910-01-03 John Garnar Floo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Diving Bell Apparatus for Submarine Work.
GB240299A (en) * 1924-10-07 1925-10-01 Vicker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eans for discharging or laying submarine mines from submersible vessels
GB530141A (en) * 1939-06-17 1940-12-05 Harold Charles Kenworthy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ubmarine vessels
NL129704C (ko) * 1963-01-10
US3368510A (en) * 1964-10-01 1968-02-13 Navy Usa Minelaying submarine
GB1511035A (en) * 1975-07-31 1978-05-17 Schoonman M Multihull convertible cargo carrier submarine
DE2944734A1 (de) * 1979-11-06 1981-06-11 Reederei und Spedition Braunkohle GmbH, 5047 Wesseling Transportierbare vorrichtung fuer die aufnahme von gegenueber der umwelt abzuschirmenden substanzen
DE3711059C1 (de) 1987-04-02 1988-10-13 Krupp Mak Maschb Gmbh Ausbildung von Ablauf-,Ausstossrohren oder Behaeltnissen in U-Booten
US4842244A (en) * 1987-11-10 1989-06-27 Niagara Mohawk Power Corporation Valve control system for power generating plants
DE29515885U1 (de) * 1995-10-11 1996-11-07 Howaldtswerke Deutsche Werft Transporteinrichtung an Unterwasserfahrzeugen
JP2000103392A (ja) 1998-09-28 2000-04-1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水中発射装置
EP1213090B1 (en) * 2000-09-25 2005-08-17 Starcon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and installing heat exchanger bundles
JP4721568B2 (ja) 2001-07-10 2011-07-13 三井造船株式会社 自律型無人航走体を用いた海底探査方式及びその装置
DE102005051374A1 (de) * 2005-10-27 2007-05-03 Howaldtswerke-Deutsche Werft Gmbh Unterseeboot
DE102005059635B4 (de) * 2005-12-14 2010-07-15 Howaldtswerke-Deutsche Werft Gmbh Unterseeboo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9877A (ko) * 2014-12-05 2017-08-04 티쎈크로프 마리네 지스템스 게엠베하 수중 급속 언로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612302T3 (es) 2017-05-16
EP2033890A1 (de) 2009-03-11
EP2033890B1 (de) 2016-10-26
DE102007041724A1 (de) 2009-03-05
PL2033890T3 (pl) 2017-06-30
KR101094875B1 (ko) 2011-12-20
DE102007041724B4 (de) 2017-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875B1 (ko) 용기
KR0137226B1 (ko) 수상 구명기구
KR20060119878A (ko) 잠수정 비상 대피 시스템
KR101550194B1 (ko) 격납식 쓰러스터용 추진 컨테이너
KR101441374B1 (ko) 무기를 저장 및 배출하기 위한 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한 잠수함
WO2009153240A1 (en) A lifesaving system
EP0174025B1 (en) Free fall submersible life saving device suitable for offshore structures working in extremely heavy weather conditions
AU2015357722B2 (en) Underwater rapid unloading system
CN107771147B (zh) 具有可移动的船尾舱门和可浸没的船尾平台的船
EP0245343A1 (en) Diving apparatu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FI111528B (fi) Säilytysrakenne yhtä tai useampaa alusta varten merirakenteessa
JP2008201308A (ja) 船舶の復原力回復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自動車運搬船
NO176752B (no) Innretning for styring av en laste/losseböye i et opptaksrom i bunnen av et flytende fartöy
US3045622A (en) Submarine escape device
CA1187341A (en) Floating device comprising storage holds for bulk freight, such as a hopper dredge
RU2483969C1 (ru) Разборный судоподъемный понтон
KR20160003411A (ko) 하강 철회식 밸러스트 탱크
CN101743161B (zh) 船舶的复原力恢复装置以及具备该装置的汽车运输船
KR101032062B1 (ko) 잠수함
USRE30040E (en) Vessel for flotation loading and unloading and partial buoyancy support of barges and other floating cargoes
CN102910267B (zh) 船舶的复原力恢复装置
US3453834A (en) Device for supply replenishment of an underwater habitat
KR101642391B1 (ko) 화물 적재 선박
NO158933B (no) Lukke med plastisolforing.
RU2654268C1 (ru) Спуско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садки персонала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груза на морское сооружение и с него в ледовых условия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