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194B1 - 격납식 쓰러스터용 추진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격납식 쓰러스터용 추진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194B1
KR101550194B1 KR1020147022249A KR20147022249A KR101550194B1 KR 101550194 B1 KR101550194 B1 KR 101550194B1 KR 1020147022249 A KR1020147022249 A KR 1020147022249A KR 20147022249 A KR20147022249 A KR 20147022249A KR 101550194 B1 KR101550194 B1 KR 101550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ropelling
propelling container
propulsion
thru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2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4869A (ko
Inventor
투이야 회르쾨
티모 린탈라
유하니 수우타리
Original Assignee
비컨 핀란드 리미티드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컨 핀란드 리미티드 오와이 filed Critical 비컨 핀란드 리미티드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140114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6/00Restoring or reconditioning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2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ulsive elements;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ellers used therefor only;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rudders carrying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63H2005/1254Podded azimuthing thrusters, i.e. podded thruster units arranged inboard for rotation about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2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ulsive elements;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ellers used therefor only;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rudders carrying propellers
    • B63H2025/425Propulsive elements, other than jets, substantially used for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only, with means for retracting, or otherwise moving to a rest position outside the water flow around the hu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16Impeller making
    • Y10T29/49318Repairing or dis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 Sealing Devi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펠러 구동기를 위한 공간을 포함하는 추진 컨테이너(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추진 컨테이너는 제 1 단부(3)와 제 2 단부(4)를 갖고, 상기 제 2 단부(4)는 표면을 가지며, 상기 추진 컨테이너(1)가 그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트렁크(5)가 구비되어, 상기 추진 컨테이너(1)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추진 컨테이너의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1 밀봉 장치의 제 2 면 상에서 제 1 방수 공간을 한정하기 위해 상기 추진 컨테이너(1)와 상기 트렁크(5) 사이의 제 1 간격을 밀봉하도록 배치된 제 1 밀봉 장치(6, 7)와, 본질적으로 상기 추진 컨테이너(1)의 상기 제 2 단부(4)에 배치되고, 상기 추진 컨테이너의 상기 제 2 위치에서, 제 2 밀봉 장치의 제 2 면 상의 제 2 방수 공간을 한정하기 위해 상기 추진 컨테이너(1)와 상기 트렁크(5) 사이의 제 2 간격을 밀봉하도록 배치된 제 2 밀봉 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밀봉 장치(8)는 상기 추진 컨테이너(1)의 상기 제 2 단부(4)의 표면과 기능적 연결 상태로 배치된 1차 추진 컨테이너 밀봉부(9)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격납식 쓰러스터용 추진 컨테이너{RETRACTABLE PROPULSION CONTAINER WITH THRUSTER}
본 발명은, 격납식 쓰러스터 장치(retractable thruster arrangement)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쓰러스터 장치를 포함하는 배(vessel)와, 프로펠러 구동기를 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플로트-온/플로트-오프(float-on/float-off) 선박들로서 알려져 있는 반잠수식 거중선들(semi-submersible heavy lift ships)은 굴착 장비들 또는 다른 배들 등과 같은 매우 크고 및/또는 무거운 화물을 운송하기 위해 알려져 있다. 이들 선박들은, 수위가 선박의 갑판 레벨 위에 있도록 물에 잠겨지고, 화물이 적재되고, 정상 전이 위치로 들어 올려진다. 이에 따라 이들 선박들의 프로펠러들은 선박의 기준선 안에 격납될 필요가 있을 수 있어서, 배가 천해(항구들)에 들어가도록 할 뿐 아니라, 운송 동안 사용 중이 아닐 때 저항을 감소시키게 된다.
격납식 쓰러스터 장치가 종래 기술에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문헌 US 6,439,936과 US 6,375,524에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문헌 US 6,439,936에서, 쓰러스터는 선박의 갑판 레벨 위로 상승한다. 이것은 갑판의 유용한 표면적을 감소시키고, 선박의 무게 중심을 변화시킴으로써, 또한 더 안정하지 않도록 한다. 문헌 US 6,375,524는 추진 디바이스를 수리하기 위해 선박의 갑판 레벨 위로 상승하는 다른 격납식 쓰러스터를 기재한다. 문헌은, 쓰러스터에서 갑판 레벨을 따라 돌출하는 어떠한 상당한 구조물 없이도 레벨을 유지하도록 격납되는 중간 위치를 기재한다. 하지만, 이러한 중간 위치에서, 프로펠러가 수리될 수 있도록 디바이스를 밀봉할 가능성은 없다.
문헌 WO 2010/100313은 또한, 추진 디바이스가 배의 수위 아래에 있을 때라도 추진 유닛의 수리를 허용하는 차단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격납식 쓰러스터를 기재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류의 기기는 매우 고가이므로, 모든 종류들의 배들에 경제성이 없다. 더욱이, 문헌 US 2,466,635는 나사 프로펠러 조향 및 깊이 조절 장치를 기재하며, 여기서 프로펠러는, 배가 천해에 있거나 다른 수단에 의해 추진될 때 선체의 외형 내에서 후퇴될 수 있다. 장치는 3-부분의 끼워지는 오목부 구조(three-part telescopic well structure)에 끼워진 추진 유닛을 운반하는 오목부-형 구조를 갖는다. 오목부 구조는 오목부 섹션들의 외부에서의 고리형 그루브들에 2개의 밀봉 링들을 갖는다. 문헌 WO 2011/031158은 격납식 쓰러스터 조립체를 갖는 배를 개시하며, 그 주조 구조는 또한 쓰러스터 오목부의 면들 상에 배치된 2개의 밀봉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 만나는 문제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감소시키거나 심지어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쓰러스터가 격납되어 있을 때에도 프로펠러 구동기가 또한 수리될 수 있고, 동시에 갑판 레벨 위가 아니라 선박의 자체 구조 내로 쓰러스터를 격납할 수 있는 격납식 쓰러스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들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배는 첨부된 독립항들의 특징부들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인 격납식 쓰러스터 장치는
- 프로펠러 구동기를 위한 공간을 포함하는 추진 컨테이너로서, 추진 콘테이너는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갖고, 상기 제 2 단부는 표면을 갖는, 추진 컨테이너와,
- 추진 컨테이너가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트렁크로서, 추진 컨테이너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로 이동되도록 하는, 트렁크와,
- 추진 컨테이너의 제 1 위치에서, 제1 밀봉 장치의 제 2 면 상에서 제 1 방수 공간을 한정하기 위해 추진 컨테이너와 트렁크 사이의 제 1 간격을 밀봉하도록 배치된 제 1 밀봉 장치와,
- 본질적으로 추진 컨테이너의 제 2 단부에 배치되고, 추진 컨테이너의 제 2 위치에서, 제 2 밀봉 장치의 제 2 면 상의 제 2 방수 공간을 한정하기 위해 추진 컨테이너와 트렁크 사이의 제 2 간격을 밀봉하도록 배치된 제 2 밀봉 장치로서, 상기 제 2 밀봉 장치는 추진 컨테이너의 제 2 단부의 표면과 기능적 연결 상태로 배치된 1차 추진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제 2 밀봉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인 배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격납식 쓰러스터 장치와, 쓰러스터 장치에 액세스하기 위한 개구부(opening)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본질적으로 추진 컨테이너의 단면보다 더 작다.
배에서 격납식 쓰러스터 장치의 추진 컨테이너에 배치된 프로펠러 구동기를 수리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서, 상기 추진 컨테이너는, 프로펠러가 배의 기준선 아래에 있는 제 1 위치와, 프로펠러가 배의 기준선 위에 있는 제 2 위치를 갖고, 상기 방법은
- 추진 컨테이너의 제 1 위치에서, 제 1 밀봉 장치를 통해, 추진 컨테이너의 상부 표면 위 그리고 수위 아래에 제 1 방수 공간을 형성하여, 추진 컨테이너에 액세스가능하게 하는, 제 1 방수 공간의 형성 단계와,
- 추진 컨테이너의 제 2 위치에서, 제 2 밀봉 장치를 통해, 추진 컨테이너의 상부 표면 위 그리고 수위 아래에 제 2 방수 공간을 형성하여, 추진 컨테이너에 액세스가능하게 하는, 제 2 방수 공간의 형성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측면도로서 제 1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쓰러스터 추진 컨테이너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다른 측면도로서 도 1과 동일한 실시예 및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측면도로서 제 2 위치에서 도 1의 쓰러스터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다른 측면도로서 도 3과 동일한 실시예 및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쓰러스터 장치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밀봉 장치에 대한 세부사항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쓰러스터 장치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밀봉 장치에 대한 세부사항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인 격납식 쓰러스터 장치는
- 프로펠러 구동기를 위한 공간을 포함하는 추진 컨테이너로서, 추진 콘테이너는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갖고, 상기 제 2 단부는 표면을 갖는, 추진 컨테이너와,
- 추진 컨테이너가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트렁크로서, 추진 컨테이너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로 이동되도록 하는, 트렁크와,
- 추진 컨테이너의 제 1 위치에서, 제1 밀봉 장치의 제 2 면 상에서 제 1 방수 공간을 한정하기 위해 추진 컨테이너와 트렁크 사이의 제 1 간격을 밀봉하도록 배치된 제 1 밀봉 장치와,
- 본질적으로 추진 컨테이너의 제 2 단부에 배치되고, 추진 컨테이너의 제 2 위치에서, 제 2 밀봉 장치의 제 2 면 상의 제 2 방수 공간을 한정하기 위해 추진 컨테이너와 트렁크 사이의 제 2 간격을 밀봉하도록 배치된 제 2 밀봉 장치로서, 상기 제 2 밀봉 장치는 추진 컨테이너의 제 2 단부의 표면과 기능적 연결 상태로 배치된 1차 추진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제 2 밀봉 장치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쓰러스터 장치를 제공하며, 여기서 추진 컨테이너 위의 공간은 이중 밀봉 시스템을 통해 물로부터 밀봉되는데, 즉 물은 하부 위치(제 1 위치) 및 상부 위치(제 2 위치) 모두에서, 이 공간으로부터 멀어지게 유지될 수 있다. 추진 유닛 자체는 일반적으로 프로펠러 구동기 및 그 보조물들(auxiliaries)을 포함하기 때문에 물-밀폐 차단된 컨테이너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추진 컨테이너, 추진 컨테이너 내부에 설치된 프로펠러 구동기 및 그 보조물들은 추진 컨테이너의 위치에 상관없이 수리될 수 있다. 따라서, 물이 이 공간에 들어갈 수 있는 유일한 순간은, 추진 컨테이너가 이동될 때이다. 추진 컨테이너가 제 1 또는 제 2 위치로 로킹(locked)된 후에, 물은 펌핑 제거(pumped away)된다. 더욱이, 상부 위치에서, 물은 공간 내부로부터 밖으로 펌핑되고, 하부 위치에서, 트렁크에는 물이 없어진다. 일반적으로, 추진 컨테이너는 모든 위치들에서 적어도 주로 배의 수위 아래에 있다.
"쓰러스터" 및 "쓰러스터 장치"의 단어들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 1 위치는, 쓰러스터가 배에 설치될 때의 하부 위치, 즉 프로펠러가 동작 위치에 있는 위치이다. 제 2 위치는, 쓰러스터가 배에 설치되는 상부 위치, 즉 프로펠러가 수위 위에서, 배의 기준선 내부에 격납되는 위치이다. 유사하게, 쓰러스터가 배에 설치될 때, 제 1 단부들 또는 면들은 하부 단부들 또는 면들을 나타내고, 제 2 단부들 또는 면들은 상부 단부들 또는 면들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추진 컨테이너는 그 수직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방수 공간에 대해서는, 물의 어떠한 본질적인 양도 들어가지 않는, 바람직하게 전혀 물이 없는 공간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밀봉부들은 트렁크와 추진 컨테이너 사이의 작은 간격을 차단함으로써 트렁크와 추진 컨테이너 사이의 방수 연결을 형성한다. 간격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대략 센티미터들, 예를 들어 약 20cm이다.
쓰러스터 장치의 트렁크는 제 1 단부에서, 즉 장치가 배에 설치될 때 하부 단부에서 개방된다. 따라서, 프로펠러는 배의 외부로부터 배의 내부, 즉 선체 구조물 내에서 제거될 수 있다.
제 2 밀봉 장치는 본질적으로 추진 컨테이너의 제 2 단부에 배치되고, 추진 컨테이너의 제 2 단부의 표면과 기능적 연결 관계로 배치된 1차 추진 컨테이너 밀봉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1차 추진 컨테이너 밀봉부는 추진 컨테이너의 제 2 단부의 표면 상에 배치된다. 1차 추진 컨테이너 밀봉부는 접착제, 리벳들(rivets), 나사들 또는 볼트들에 의해서와 같이 임의의 알려진 방식으로 이 표면에 부착될 수 있거나, 표면에 용접될 수 있다. 추진 컨테이너와 트렁크 사이의 제 2 간격은 이 후 1차 추진 컨테이너 밀봉부에 의해 밀봉되고, 트렁크의 부분은 이를 향해 돌출하고, 일단 추진 컨테이너가 제 2 위치에 있다면 그와 접촉하게 된다. 트렁크는 또한 1차 추진 컨테이너 밀봉부와 접촉하게 되는 돌출 칼라(protruding collar)를 포함할 수 있다. 칼라는 바람직하게 본질적으로 추진 컨테이너의 단면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이고, 그 직경은 추진 컨테이너의 단면의 직경보다 약간 더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쓰러스터 장치가 배에 설치될 때, 칼라는 갑판에 그리고 배의 갑판 아래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물은, 추진 컨테이너가 상부 위치에 있을 때 칼라의 내부로부터 밖으로 펌핑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 2 밀봉 장치는 추진 컨테이너의 제 2 단부의 표면 상에 배치된 2차 밀봉 표면과, 상기 2차 밀봉 표면과 기능적 연결 상태로 배치된 2차 추진 컨테이너 밀봉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2차 밀봉 표면은 추진 컨테이너의 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즉 표면으로부터 제 2 방향쪽으로 돌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2차 추진 컨테이너 밀봉부는 트렁크에 부착가능한 밀봉 홀더 상에 배치된다. 밀봉 홀더는 또한 전술한 돌출 칼라에 부착될 수 있다. 밀봉 홀더의 부착은 접착제, 리벳들, 나사들 또는 볼트들에 의해서와 같은 임의의 알려진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2차 추진 컨테이너 밀봉부는 접착제, 리벳들, 나사들, 볼트들 등에 의해 이 홀더에 부착되거나, 표면에 용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 1 밀봉 장치는 본질적으로 추진 컨테이너의 제 1 단부에 배치된다. 제 1 밀봉 장치는 바람직하게, 1차 밀봉부 및 2차 밀봉부를 포함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 제 1 밀봉 장치의 1차 밀봉부는 본질적으로 추진 컨테이너의 제 1 단부에 배치되고, 제 1 밀봉 장치의 2차 밀봉부는 상기 1차 밀봉부로부터 거리(D1)에 배치된다. 1차 밀봉부는 이에 따라 본질적으로 선체의 레벨에 또는 그 근처에 있다. 2차 밀봉부는 1차 밀봉부로부터의 거리에 배치되고, 거리(D1)는 예를 들어, 추진 컨테이너의 제 1 단부와 제 2 단부 사이의 거리의 40%, 60% 또는 80%일 수 있다. 거리(D1)는 예를 들어, 2000mm와 같이 10-5000mm일 수 있다. 제 1 밀봉 장치는 바람직하게, 심지어 1차 및 2차 밀봉부들 사이의 공간이 방수가 되도록 이루어지는데, 즉 1차 밀봉부 단독으로도 물이 추진 컨테이너와 트렁크 사이의 공간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정도로 충분히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밀봉부들은 고무와 같은 적합한 물질로 만들어진다. 물질은 자연히 해수뿐 아니라 따뜻한 및 차가운 온도들(일반적으로 0 내지 32℃)을 지원하도록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밀봉부는 또한 이와 같이 알려진 팽창가능 밀봉부일 수 있다. 더욱이, 밀봉부들 중 하나 이상은 조정가능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 1 밀봉 장치의 2차 밀봉부는 조정가능한 밀봉부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쓰러스터 장치는 추진 컨테이너를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수단은 예를 들어, 트렁크와 추진 컨테이너 사이, 또는 선체와 추진 컨테이너 사이에 결합된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구동 메커니즘은 랙 및 피니온 구동부(rack and pinion drive)를 포함한다. 랙은 트렁크 또는 추진 컨테이너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랙을 선체 외부 그리고 갑판 레벨 위로 연장할 필요가 없다. 추진 컨테이너를 이동시키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수단이 자연히 사용될 수 있다. 랙은 바람직하게, 쓰러스터가 배에 배치될 때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추진 컨테이너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 또는 각각 중 여러 개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리프팅(lifting) 디바이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쓰러스터 장치는 또한 제 1 위치에서 추진 컨테이너를 로킹하기 위한 로킹 수단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쓰러스터 장치는 또한 제 2 위치에서 추진 컨테이너를 로킹하기 위한 로킹 수단을 포함한다. 로킹 수단은 예를 들어, 1차 로킹 핀들과 같은 알려진 임의의 로킹 수단일 수 있다.
추진 컨테이너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시, 추진 컨테이너의 지지 구조물과 배 선체 사이의 기계적 로킹부들(lockings)이 먼저 로킹 해제(unlocked)된다. 추진 컨테이너는 여전히 이 스테이지에서, 배 선체에서의 원격 제어된 로킹 디바이스들로 고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그 후에, 선원은 트렁크를 빠져 나가고, 구획의 방수 구조들을 차단하는데, 이러한 차단은 트렁크의 통풍 파이프들의 밸브들을 차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원격 제어된 로킹 디바이스들은 로킹 해제되고, 추진 컨테이너의 리프팅은 리프팅 디바이스들에서 시작될 수 있다. 추진 컨테이너가 밀봉 표면들로부터 들어 올려질 때, 물은 트렁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트렁크의 통풍 파이프들의 차단 밸브들로 인해, 물표면은 상승하지 않는다. 이는 공기 베드(airbed)가 트렁크에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물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공간은 또한 사전-가압될 수 있다. 또한 통풍 파이프들 또는 대응하는 공기 채널들을 차단되지 않은 상태로 남길 수 있고, 이에 의해 공간은 물로 채워진다. 추진 컨테이너가 상부 위치에 도달할 때, 기계적 로킹 디바이스 또는 원격 제어된 로킹 디바이스들에 의해 상부 위치에서 로킹된다. 통풍 파이프들의 차단 밸브들을 개방한 후에, 공간에는 물이 없다. 선원은 그 후 트렁크에 들어갈 수 있다. 추진 컨테이너를 구동 위치에 놓는 것은, 즉 동작 모드는 반대 순서로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인 배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격납식 쓰러스터 장치와, 쓰러스터 장치에 액세스하기 위한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추진 컨테이너의 단면보다 본질적으로 더 작다.
더욱이, 개구부는 일반적으로 사람의 입장을 허용하는 크기일 뿐 아니라, 전체 쓰러스터 장치가 이 개구부를 통해 빼어 내게 되도록 하는 크기이다. 이 개구부는 또한, 완전히 바꿀 필요가 있거나 배 상에서 수리될 수 없는 경우 프로펠러 구동기를 빼어내도록 하는 크기일 수 있다. 개구부는 배의 갑판 상에 있을 수 있거나, 상부 단부에서, 쓰러스터 장치의 면 상에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개구부는 트렁크의 상부 부분 상에 배치된다. 개구부에는 또한 방수되는 해치 또는 도어가 설치되는데, 즉 또한 밀봉부들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개구부에는 이중 도어 또는 해치가 설치된다.
배에서 격납식 쓰러스터 장치의 추진 컨테이너에 배치된 프로펠러 구동기를 수리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으로서, 상기 추진 컨테이너는, 프로펠러가 배의 기준선 아래에 있는 제 1 위치와, 프로펠러가 배의 기준선 위에 있는 제 2 위치를 갖고, 상기 방법은
- 추진 컨테이너의 제 1 위치에서, 제 1 밀봉 장치를 통해, 추진 컨테이너의 상부 표면 위 그리고 수위 아래에 제 1 방수 공간을 형성하여, 추진 컨테이너에 액세스가능하게 하는, 제 1 방수 공간의 형성 단계와,
- 추진 컨테이너의 제 2 위치에서, 제 2 밀봉 장치를 통해, 추진 컨테이너의 상부 표면 위 그리고 수위 아래에 제 2 방수 공간을 형성하여, 추진 컨테이너에 액세스가능하게 하는, 제 2 방수 공간의 형성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이에 따라, 추진 컨테이너가 제 1 및 제 2 위치들 사이로 이동할 때를 제외하고, 추진 컨테이너가 수리되도록 하는데, 즉 프로펠러 구동기가 항상 유지 보수에 액세스가능하도록 한다.
본문에 제공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응용성에 한계들을 부과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또한 언급되지 않은 특징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된 한계로서 본문에 사용된다. 종속항들에 언급된 특징들은 다른 경우 명백히 언급되지 않았으면 상호 자유롭게 조합가능하다. 도면 부호들은 또한 청구항들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문에 제공된 예시적인 실시예들 및 그 장점들은 적용가능한 부분들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배와 방법에 관한것이지만, 이것이 항상 별도로 언급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고려되는 새로운 특징들은 특히 첨부된 청구항들에 설명된다. 하지만, 추가 목적들 및 장점들과 함께, 그 구성 및 동작 방법 모두에 관해 본 발명 자체는 첨부 도면들과 연계하여 읽을 때 특정 실시예들의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가장 잘 이해될 것이다.
동일한 도면 부호들은 상이한 실시예들 및/또는 도면들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에 이용된다.
도 1은 측면도로서 제 1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쓰러스터 추진 컨테이너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1 위치는, 프로펠러(2)가 배의 기준선(16) 아래에 있는 하부 위치이다. 도면은 추진 컨테이너(1)를 도시하고, 추진 구동부는 추진 컨테이너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도시되지 않음). 추진 컨테이너(1)의 제 1 단부(3)는 하부 단부에 있고, 제 2 단부(4)는 상부 단부에 있다. 도면은 배의 구조에서 아래로 개방된 트렁크인 트렁크(5)를 추가로 도시하고, 여기서 추진 컨테이너(1)는 제 1 및 제 2 위치들로 그리고 이들 위치들 사이로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다. 제 2 밀봉 장치(8)는 제 2 단부(4)에, 즉 추진 컨테이너의 상부에 있고, 도 6에 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은 추진 컨테이너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 즉 여기서 랙(13) 및 피니온 구동부(14)를 추가로 도시하며, 랙(13)은 추진 컨테이너가 아닌 트렁크(5)에 부착되어 있다.
도 2는 상이한 측면도로서 도 1과 동일한 실시예 및 위치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추진 컨테이너(1)와 트렁크(5) 사이의 제 1 간격(17)은 명백함을 위해 약간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다. 제 1 간격(17)은 1차 밀봉부(6) 및 2차 밀봉부(7)와 방수 방식으로 차단된다. 2차 밀봉부(7)는 1차 밀봉부(6)로부터의 거리(D1)에 배치된다. 도면은 또한 개구부(15)를 도시하는데, 이 개구부(15)는 도어 또는 해치일 수 있고, 방수이다. 이 개구부(15)는, 추진 컨테이너가 제 2의 상부 위치에 있을 때, 프로펠러 구동부를 수리하기 위해 추진 컨테이너로의 액세스를 허용한다.
도 3 및 도 4는 2개의 상이한 측면도들로서, 제 2 위치, 즉 상부 위치에서 도 1의 쓰러스터 장치를 도시한다. 이 위치에서, 프로펠러는 트렁크 내부, 배의 기준선 위에 있어서, 배는 물에 침수될 수 있거나, 항구와 같은 천해에 들어갈 수 있다. 도면은 또한, 추진 컨테이너(1)의 높이가 한정되고 랙(13)이 트렁크에 부착될 때, 전체 쓰러스터 장치가 선박의 갑판(19) 아래에 남아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그러므로, 심지어 상부 위치에서도 쓰러스터는 화물의 적재를 방해하거나, 중요한 방식으로 배의 무게 중심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도 5는, 쓰러스터 장치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밀봉 장치의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2차 밀봉부(7)는 조정가능 밀봉부이다. 이 실시예에서, 1차 밀봉부(6)는 추진 컨테이너(1) 상에 그리고 배의 선체 구조(18)의 돌출 부분에 대해 배치된다. 2차 밀봉부(7)는 추진 컨테이너(1) 상에 그리고 선체 구조(18)에 대해 배치된다. 트렁크(5) 및 선체 구조(18)는 밀봉부들(6 및 7)을 더 명백히 보여주기 위해 명백함을 위해 불연속적인 방식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쓰러스터 장치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밀봉 장치의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이러한 제 2 밀봉 장치는 2개의 밀봉 부재들, 추진 컨테이너의 상부 표면(4) 상에 배치되는 1차 추진 컨테이너 밀봉부(9), 및 2차 추진 컨테이너 밀봉부(11)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2차 추진 컨테이너 밀봉부(11)는 트렁크(5)에 부착되는 밀봉 홀더(12)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추진 컨테이너의 상부(4)는 돌출하는 2차 밀봉 표면(10)을 포함하고, 이에 대해 2차 추진 컨테이너 밀봉부(11)가 또한 접촉하게 된다. 2차 추진 컨테이너 밀봉부(11)는 밀봉 홀더(12) 또는 2차 밀봉 표면(1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예시적인 실시예들만이 도면들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이 전술한 예들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이후에 제공되는 청구항들의 한계들 내에서 변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본 발명의 몇몇 가능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 기재되고, 이들은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도록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10)

  1. 격납식 쓰러스터 장치(retractable thruster arrangement)에 있어서,
    프로펠러 구동기를 위한 공간을 포함하는 추진 컨테이너(1)로서, 상기 추진 컨테이너는 제 1 단부(3)와 제 2 단부(4)를 갖고, 상기 제 2 단부(4)는 표면을 갖는, 상기 추진 컨테이너(1)와,
    트렁크(5)로서, 그 내부에 상기 추진 컨테이너(1)가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추진 컨테이너(1)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상기 트렁크(5)와,
    상기 추진 컨테이너의 상기 제 1 위치에서, 제 1 밀봉 장치의 제 2 면 상에서 제 1 방수 공간을 한정하기 위해 상기 추진 컨테이너(1)와 상기 트렁크(5) 사이의 제 1 간격(17)을 밀봉하도록 배치된 제 1 밀봉 장치(6, 7)와,
    상기 추진 컨테이너(1)의 상기 제 2 단부(4)에 배치되고, 상기 추진 컨테이너의 상기 제 2 위치에서, 제 2 밀봉 장치의 제 2 면 상에서 제 2 방수 공간을 한정하기 위해 상기 추진 컨테이너(1)와 상기 트렁크(5) 사이의 제 2 간격을 밀봉하도록 배치된 제 2 밀봉 장치(8)로서, 상기 제 2 밀봉 장치(8)는 상기 추진 컨테이너(1)의 상기 제 2 단부(4)의 표면 위에 배치된 1차 추진 컨테이너 밀봉부(9)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밀봉 장치(8)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밀봉 장치(8)는, 상기 추진 컨테이너(1)의 상기 제 2 단부(4)의 표면 위에 배치된 2차 밀봉 표면(10)과, 상기 2차 밀봉 표면(10) 위에 배치된 2차 추진 컨테이너 밀봉부(11)를 더 포함하는, 격납식 쓰러스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추진 컨테이너 밀봉부(9)는 상기 추진 컨테이너(1)의 상기 제 2 단부(4)의 표면 위에 배치되는, 격납식 쓰러스터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추진 컨테이너 밀봉부(11)는 상기 트렁크(5)에 부착가능한 밀봉 홀더(12) 위에 배치되는, 격납식 쓰러스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밀봉 장치(6, 7)는 상기 추진 컨테이너(1)의 상기 제 1 단부(3)에 배치되는, 격납식 쓰러스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밀봉 장치(6, 7)는 1차 밀봉부(6)와 2차 밀봉부(7)를 포함하는, 격납식 쓰러스터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밀봉 장치의 상기 1차 밀봉부(6)는 상기 추진 컨테이너(1)의 상기 제 1 단부(3)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밀봉 장치의 상기 2차 밀봉부(7)는 상기 1차 밀봉부(6)로부터 거리(D1)에 배치되는, 격납식 쓰러스터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추진 컨테이너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단은 상기 트렁크(5)와 상기 추진 컨테이너(1) 사이에 결합된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격납식 쓰러스터 장치.
  9. 제 1항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격납식 쓰러스터 장치와, 상기 쓰러스터 장치에 액세스하기 위한 개구부(15)를 포함하는 배(vessel)로서,
    상기 개구부(15)는 상기 추진 컨테이너(1)의 단면보다 더 작은, 배.
  10. 배에서 제 1항에 기재된 격납식 쓰러스터 장치의 추진 컨테이너에 배치된 프로펠러 구동기를 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추진 컨테이너는, 상기 프로펠러가 상기 배의 기준선 아래에 있는 제 1 위치와, 상기 프로펠러가 상기 배의 기준선 위에 있는 제 2 위치를 갖고, 상기 방법은,
    상기 추진 컨테이너의 상기 제 1 위치에서, 제 1 밀봉 장치를 통해, 상기 추진 컨테이너의 상부 표면 위와 수위 아래에 제 1 방수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추진 컨테이너를 액세스 가능하게 하는, 제 1 방수 공간의 형성 단계와,
    상기 추진 컨테이너의 상기 제 2 위치에서, 제 2 밀봉 장치를 통해, 상기 추진 컨테이너의 상부 표면 위와 수위 아래에 제 2 방수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추진 컨테이너를 액세스 가능하게 하는, 제 2 방수 공간의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배에서 격납식 쓰러스터 장치의 추진 컨테이너에 배치된 프로펠러 구동기를 수리하는 방법.
KR1020147022249A 2012-03-16 2013-03-15 격납식 쓰러스터용 추진 컨테이너 KR1015501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59782 2012-03-16
EP12159782.7 2012-03-16
EP12166135.9A EP2657127B1 (en) 2012-03-16 2012-04-30 Retractable propulsion container with thruster
EP12166135.9 2012-04-30
PCT/EP2013/055338 WO2013135858A1 (en) 2012-03-16 2013-03-15 Retractable propulsion container with thrus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869A KR20140114869A (ko) 2014-09-29
KR101550194B1 true KR101550194B1 (ko) 2015-09-07

Family

ID=47882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2249A KR101550194B1 (ko) 2012-03-16 2013-03-15 격납식 쓰러스터용 추진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8939806B2 (ko)
EP (1) EP2657127B1 (ko)
JP (2) JP2014530785A (ko)
KR (1) KR101550194B1 (ko)
CN (1) CN104169166B (ko)
AR (1) AR090359A1 (ko)
AU (1) AU2013234263B2 (ko)
BR (1) BR112014008144B1 (ko)
CA (1) CA2866762C (ko)
CY (1) CY1115520T1 (ko)
MX (1) MX342795B (ko)
PL (1) PL2657127T3 (ko)
RU (1) RU2561183C1 (ko)
SG (1) SG11201400935WA (ko)
WO (1) WO20131358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422U (ko) * 2010-09-29 2012-04-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상하이동 가능한 선박용 플로어 장치
NO336824B1 (no) 2014-05-22 2015-11-09 Rolls Royce Marine As Sammenstilling for opptrekkbar thruster
CN104590520A (zh) * 2014-12-19 2015-05-06 福建东南造船有限公司 可伸缩侧推装置底封板
WO2017065614A1 (en) 2015-10-15 2017-04-20 Gustomsc Resources B.V. Retractable thruster system
NL2017249B1 (en) 2015-10-15 2017-08-09 Gustomsc Resources Bv Retractable thruster system
KR101726866B1 (ko) * 2016-01-26 2017-04-27 현담산업 주식회사 펌프 모듈
TR201712482A2 (tr) * 2017-08-22 2019-03-21 Mehmet Nevres Uelgen Gi̇zleni̇r düşey eksenli̇ pervane terti̇bati
CN110758702A (zh) * 2019-10-15 2020-02-07 大连船舶重工集团有限公司 一种可船内维护的伸缩式推进器系统
EP4299433A1 (en) * 2022-06-28 2024-01-03 Volvo Penta Corporation A propulsion drive assembly with gas supply to mitigate foul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1158A2 (en) * 2009-09-14 2011-03-17 Itrec B.V. A vessel with a retractable thrust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79119A (en) * 1943-07-30 1949-08-16 Harold I Johnson Propeller drive unit with automatic depth regulation
US2466635A (en) * 1945-02-27 1949-04-05 British Motor Boat Mfg Company Screw propeller steering and depth regulation apparatus
US2885990A (en) * 1955-10-24 1959-05-12 James M Hawthorne Maneuvering propeller means for ships
DE1136907B (de) * 1960-02-22 1962-09-20 Peter Jastram Steuerschraubenanordnung fuer Wasserfahrzeuge
CH393960A (de) 1960-07-23 1965-06-15 Reiners & Wiggermann Antriebsvorrichtung, mit schwenkbarem und höhenverstellbarem Propeller, an Wasserfahrzeugen
US3076428A (en) * 1961-09-25 1963-02-05 Gen Electric Retractable continuous drive
FR2348850A1 (fr) * 1976-04-22 1977-11-18 Alsthom Atlantique Propulseur retractable pour bateaux
JPS5839587A (ja) * 1981-08-31 1983-03-08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船尾整流フィン
JPH058235Y2 (ko) * 1985-04-12 1993-03-02
IT1222924B (it) * 1987-10-15 1990-09-12 Mauro Salvetti Gruppo produlsore retrattile migliorato per imbracazioni
DE4306323A1 (de) 1993-03-01 1994-09-08 Schottel Werft Schiffsantriebsanlage mit einem unter dem vorzugsweise im wesentlichen oder im Bereich der Antriebsanlage ebenen Schiffsboden angeordneten Antriebspropeller
RU2096256C1 (ru) * 1995-10-09 1997-11-20 Анатол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Кеслер Судовой движительно-рулевой комплекс
JP4526184B2 (ja) * 1997-10-23 2010-08-18 アイエイチシー・ガスト・エンジニアリング・ベー・ブイ 引き込み得る推進装置を具備した船舶
RU2148523C1 (ru) * 1998-12-15 2000-05-10 Кеслер Анатол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Судовой движительно-рулевой комплекс
US6439936B1 (en) 2000-02-29 2002-08-27 Global Marine, Inc. High retraction marine thruster
JP2002356198A (ja) * 2001-05-30 2002-12-10 Daisan Hakuyo Kogyo Kk サイドスラスタ装置
JP4531828B2 (ja) * 2008-06-20 2010-08-2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船舶用ダクト付きスラスタ
AU2009341273B2 (en) 2009-03-05 2015-02-19 Beacon Finland Ltd Oy Service Space
WO2011127987A1 (en) * 2010-04-16 2011-10-20 Wärtsilä Finland Oy Mounting method of thrus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1158A2 (en) * 2009-09-14 2011-03-17 Itrec B.V. A vessel with a retractable thrust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530785A (ja) 2014-11-20
CA2866762C (en) 2016-02-02
BR112014008144B1 (pt) 2022-02-08
CA2866762A1 (en) 2013-09-19
PL2657127T3 (pl) 2014-11-28
MX2014011001A (es) 2014-10-13
KR20140114869A (ko) 2014-09-29
MX342795B (es) 2016-10-12
AU2013234263A1 (en) 2014-09-04
RU2561183C1 (ru) 2015-08-27
AR090359A1 (es) 2014-11-05
JP6006369B2 (ja) 2016-10-12
US20140227097A1 (en) 2014-08-14
AU2013234263B2 (en) 2015-10-01
JP2015171892A (ja) 2015-10-01
EP2657127B1 (en) 2014-07-09
SG11201400935WA (en) 2014-04-28
BR112014008144A2 (pt) 2017-04-11
WO2013135858A1 (en) 2013-09-19
CN104169166B (zh) 2017-02-08
CY1115520T1 (el) 2017-01-04
CN104169166A (zh) 2014-11-26
EP2657127A1 (en) 2013-10-30
US8939806B2 (en) 201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194B1 (ko) 격납식 쓰러스터용 추진 컨테이너
KR101381271B1 (ko) 접혀 들어갈 수 있는 추진 장치 또는 대응물을 위한 정비 공간
CN107771147B (zh) 具有可移动的船尾舱门和可浸没的船尾平台的船
JP5739537B2 (ja) 上下移動可能な船舶用フロア装置
KR101497397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1444146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1487679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20160003411A (ko) 하강 철회식 밸러스트 탱크
KR101422177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1422178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1422176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1444147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1444148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TWI639535B (zh) 包含具有可潛的船尾平台的可動船尾艙門之船
KR20120067425A (ko) 부력 조절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