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2392A -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2392A
KR20090022392A KR1020070087708A KR20070087708A KR20090022392A KR 20090022392 A KR20090022392 A KR 20090022392A KR 1020070087708 A KR1020070087708 A KR 1020070087708A KR 20070087708 A KR20070087708 A KR 20070087708A KR 20090022392 A KR20090022392 A KR 20090022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faces
area
unit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1535B1 (ko
Inventor
유현식
손상륜
박병찬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7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535B1/ko
Priority to GB0811842.4A priority patent/GB2452364B/en
Priority to GB1212186.9A priority patent/GB2491729B/en
Priority to CN200810144710.6A priority patent/CN101378458B/zh
Priority to US12/221,727 priority patent/US8786760B2/en
Publication of KR20090022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5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comprising setting of focusing regions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식된 복수개의 얼굴에 AF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AF 영역에 따라 브라켓 촬영을 실시하여 모든 얼굴에 초점이 맞는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장치는 디지털 영상 처리기로서, 라이브 화면 영상으로부터 얼굴정보를 검출하는 얼굴 인식부, 검출된 얼굴정보를 바탕으로 복수의 AF 영역을 설정하는 AF 영역 설정부 및 설정된 복수의 AF 영역들에 포커스를 조정하여 영상이 캡쳐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icturing image using function of face drecognition}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식된 복수개의 얼굴에 AF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AF 영역에 따라 브라켓 촬영을 실시하여 모든 얼굴에 초점이 맞는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얼굴인식 AF 기능은 인물사진 촬영 시 인물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얼굴 영역을 찾아서 AF 윈도우를 설정하는 기능으로 최근 출시되는 대부분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채택되고 있다.
또한 고급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는 AF 성능 향상을 위하여 AF 스텝을 변화하여 3-5장의 영상을 더 촬영하는 AF 브라켓(bracket) 기능이 구현되어 있으며, 일본 공개 특허 2006-116706에는 복수의 측거점(masure distance point)에 대하여 AF 브라켓 촬영을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얼굴인식 AF 기능은, 복수의 얼굴이 있을 경우 1개의 얼굴에 우선순위를 두어 포커스를 조정하기 때문에 인물간의 거리가 차이가 있는 경우 도 1a 및 도 1b와 같이 특정 인물에만 포커스가 조정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일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AF 브라켓 촬영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나, 이 기능은 AF 오차를 줄이는 기능이지 인물의 얼굴에 초점을 맞추는 기술이 아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측거 영역에 대하여 AF 브라켓 촬영을 하는 기술도 있다. 그러나, 해당 측거 영역에 피사체의 얼굴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며, 사전에 위치가 고정된 AF 측거 영역에 대해서만 브라캣 촬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모든 인물의 얼굴에 초점이 맞는 영상을 얻을 수 없다. 그리고 무조건 측거 영역의 수만큼 브래킷 촬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불필요한 영상이 많이 촬영되어 메모리 카드의 저장 공간을 낭비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인물 사진을 촬영한 후, 사진에 등장한 인물에게 사진을 나누어 주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얼굴에 초점이 맞지 않은 사진을 주게 되면, 당사자는 자신을 촬영한 사진으로 느끼지 않게 되므로, 복수의 얼굴에 초점을 맞출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얼굴인식을 통하여 인식된 복수개의 얼굴에 AF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AF 영역에 따라 브라켓 촬영을 실시하여 모든 얼굴에 초점이 맞는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장치는 디지털 영상 처리기로서, 라이브 화면 영상으로부터 얼굴정보를 검출하는 얼굴 인식부; 상기 검출된 얼굴정보를 바탕으로 복수의 AF 영역을 설정하는 AF 영역 설정부; 및 상기 설정된 복수의 AF 영역들에 포커스를 조정하여 영상이 캡쳐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장치는 디지털 영상 처리기로서, 라이브 화면 영상으로부터 얼굴의 개수를 검출하는 얼굴 인식부; 상기 검출된 얼굴의 개수만큼 AF 영역을 설정하는 AF 영역 설정부; 및 한 번의 셔터 신호 입력으로, 상기 설정된 AF 영역의 개수만큼 포커스가 조정되고 영상이 캡쳐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3 실시 예 에 따른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장치는 디지털 영상 처리기로서, 라이브 화면 영상으로부터 얼굴의 위치를 검출하는 얼굴 인식부; 상기 검출된 얼굴 위치로부터 유사한 양 미간 사이의 거리를 갖는 얼굴들을 동일한 그룹의 AF 영역으로 설정하는 AF 영역 설정부; 및 한 번의 셔터 신호 입력으로, 상기 설정된 그룹 수 만큼 포커스가 조정되고 영상이 캡쳐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4 실시 예에 따른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장치는 디지털 영상 처리기로서, 라이브 화면 영상으로부터 얼굴의 개수 및 위치를 검출하는 얼굴 인식부; 상기 검출된 얼굴의 개수만큼 AF 영역을 설정하는 AF 영역 설정부; 상기 검출된 얼굴 개수에 따라, 각 얼굴로부터 상기 기기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거동작 수행부; 및 유사한 측정거리를 갖는 얼굴들을 동일한 그룹의 AF 영역으로 설정되도록 제어하며, 한 번의 셔터 신호 입력으로, 상기 제어에 의해 상기 그룹의 개수만큼 포커스가 조정되고 영상이 캡쳐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방법은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동작 방법으로서, (a) 라이브 화면 영상으로부터 얼굴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된 얼굴정보를 바탕으로 복수의 AF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설정된 복수의 AF 영역들에 포커스를 조정하여 영상을 캡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방법은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동작 방법으로서, (a) 라이브 화면 영상으로부터 얼굴의 개수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된 얼굴의 개수만큼 AF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c) 한 번의 셔터 신호 입력으로, 상기 설정된 AF 영역의 개수만큼 포커스를 조정하여 영상을 캡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방법은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동작 방법으로서, (a) 라이브 화면 영상으로부터 얼굴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된 얼굴 위치로부터 유사한 양 미간 사이의 거리를 갖는 얼굴들을 동일한 그룹의 AF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c) 한 번의 셔터 신호 입력으로, 상기 설정된 그룹 수 만큼 포커스를 조정하여 영상을 캡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4 실시 예에 따른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방법은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동작 방법으로서, (a) 라이브 화면 영상으로부터 얼굴의 개수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된 얼굴의 개수만큼 AF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검출된 얼굴 개수에 따라, 각 얼굴로부터 상기 기기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d) 유사한 측정거리를 갖는 얼굴들을 동일한 그룹의 AF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e) 한 번의 셔터 신호 입력으로, 상기 그룹의 개수만큼 포커스를 조정하여 영상을 캡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얼굴인식을 통하여 인식된 복수개의 얼굴에 AF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AF 영역에 따라 브라켓 촬영을 실시하여 모든 얼굴에 초점이 맞는 영상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한다.
또한 브라켓 촬영 수행 시에 유사한 거리를 갖는 인물에 대하여 동일한 포커스 조정을 수행하여 브라켓 촬영 횟수를 줄임으로써 메모리 카드의 저장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셔터-릴리즈 버튼(31)은 정해진 시간 동안 CCD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며,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CCD에 영상을 기록한다.
셔터-릴리즈 버튼(31)은 촬영자 입력에 의해 제1 및 제2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한다. 반셔터 신호로써의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이 입력되면, 디지털 영상 처리기는 초점을 잡고 빛의 양을 조절하며, 이때 초점이 맞은 경우 디스플레이부(43)에 녹색 불이 켜지게 된다.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의 입력으로 초점이 잡히고 빛의 양이 조절되면, 비로소 완전셔터 신호로써의 제2 셔터-릴리즈 버 튼(31)을 입력하여 영상을 캡쳐한다.
전원 버튼(33)은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기 위해 입력된다.
플래시(35)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밝게 해주는 것으로 플래시 모드에는 자동플래시, 강제발광, 발광금지, 적목감소, 슬로우 싱크로 등이 있다.
보조광(37)은 광량이 부족하거나 야간 촬영 시에 디지털 영상 처리기가 자동으로 초점을 빠르고 정확하게 잡을 수 있도록 피사체에 광을 공급한다.
렌즈부(39)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로서, 광각-줌 버튼(41w), 망원-줌 버튼(41t), 디스플레이부(43) 및 터치센서 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된 입력 버튼들(B1~B14)(이하 버튼들(B1~B14)이라 표기함)을 구비한다.
광각-줌 버튼(41w) 또는 망원-줌 버튼(41t)은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지는데, 특히,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입력한다. 광각-줌 버튼(41w)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작아지고, 망원-줌 버튼(41t)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커진다.
버튼들(B1~B14)은 디스플레이부(43)의 가로 열 및 세로 열에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부(43)의 가로 열 및 세로 열에 구비된 버튼들(B1~B14)은 터치 센서(도시되지 않음) 또는 접점식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즉, 버튼들(B1~B14)에는 터치 센서가 구비되어 가로 열의 버튼들(B1~B7) 또는 세로 열의 버튼들(B8~B14)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주 메뉴 항목 중 임의의 값(예를 들어, 컬러 또는 밝기)을 선택하거나, 주 메뉴 아이콘에 포함된 하위메뉴 아이콘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버튼틀(B1~B14)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어, 주 메뉴 아이콘 및 하위메뉴 아이콘을 직접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접점식 스위치 입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터치만을 요구하지만, 접점식 스위치 입력은 터치 센서 입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터치를 요구한다.
도 5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로서, 디스플레이부(43), 사용자 입력부(51), 촬상부(53), 영상 처리부(55), 저장부(57)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59)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51)는 정해진 시간 동안 CCD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는 셔터 릴리즈 버튼(31),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33),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41w) 및 망원-줌 버튼(41t)과, 문자 또는 메뉴 설정을 위해 디스플레이부(43) 주변의 가로 및 세로열에 구비된 터치센서 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된 버튼들 버튼틀(B1~B14)이 있다.
촬상부(53)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셔터, 렌즈부, 조리개 및 CCD(Charge Coupled Device) 및 ADC를 포함한다. 셔터는 조리개와 함께 노광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기구이다. 렌즈부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이 때, 조리개는 개폐 정도에 따라 입사되는 빛의 양(광량)을 조절한다. 조리개의 개폐 정도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59)에 의해 제어된다.
CCD는 렌즈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광량을 축적하고 그 축적된 광량에 따라 렌즈부에서 촬상된 영상을 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출력한다. 디지털 영상 처리 기의 영상 획득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CCD에 의해 이루어진다. CCD를 이용하여 컬러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컬러 필터를 필요로 하며, 대부분 CFA(Color filter array) 라는 필터(미도시)를 채용하고 있다. CFA는 한 픽셀마다 한 가지 컬러를 나타내는 빛만을 통과시키며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배열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다. ADC는 CCD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영상 처리부(55)는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 한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55)는 암 전류에 의해 발생된 블랙레벨을 제거하고, 인간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입력 영상 신호를 부호화 하는 감마 보정을 수행한다. 또한 영상 처리부(55)는 감마 보정된 소정 데이터의 RGRG라인 및 GBGB 라인으로 구현된 베이어 패턴을 RGB 라인으로 보간하는 CFA 보간을 수행하고, 보간된 RGB 신호를 YUV 신호로 변환하고, 고 대역 필터에 의해 Y 신호를 필터링 하여 영상을 뚜렷하게 처리하는 에지 보상과, 표준 컬러 좌표계를 이용하여 U, V 신호의 컬러 값을 정정하는 컬러 정정을 수행하며, 이들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이후 영상 처리부(55)는 노이즈가 제거된 Y, U, V 신호를 압축 및 신호 처리하여 JPEG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JPEG 파일은 디스플레이부(43)에 디스플레이 되고, 저장부(57)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영상 처리부(55)의 모든 동작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59)의 제어 하에 동작한다.
본원발명에서 디지털 신호처리부(59)는 얼굴인식을 통하여 인식된 복수개의 얼굴에 AF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AF 영역에 따라 브라켓 촬영을 실시하여 모든 얼굴에 초점이 맞는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신호처리부(59)는 제1 내지 제3 실시 예를 포함한다.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부(59)는 라이브 뷰 화면으로부터 얼굴의 개수 및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얼굴 개수만큼 AF 영역을 설정한 후, 한번의 셔터 신호 입력으로, 설정된 AF 영역의 개수만큼 포커스를 조정하여 영상을 캡쳐하도록 제어한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부(59)는 라이브 뷰 화면으로부터 얼굴의 개수 및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얼굴 위치로부터 유사한 양 미간 사이의 거리를 갖는 얼굴들을 동일한 그룹의 AF 영역으로 설정한 후, 한 번의 셔터 신호 입력으로, 설정된 그룹 개수만큼 포커스를 조정하여 영상을 캡쳐하도록 제어한다.
제3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부(59)는 라이브 뷰 화면으로부터 얼굴의 개수 및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얼굴의 개수만큼 AF 영역을 설정하며, 검출된 얼굴 개수에 따라, 각 얼굴로부터 디지털 영상 처리기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유사한 측정거리를 갖는 얼굴들을 동일한 그룹의 AF 영역으로 설정한 후, 한 번의 셔터 신호 입력으로, 설정된 그룹 개수만큼 포커스를 조정하여 영상을 캡쳐하도록 제 어한다.
도 6은 제1 내지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처리부(59)의 상세 구성도로서, 얼굴 인식부(59-1), AF 영역 설정부(59-2), 측거동작 수행부(59-3) 및 제어부(59-4)를 포함한다.
먼저 제1 실시 예를 설명하면, 얼굴 인식부(59-1)는 촬영될 라이브 뷰 영상으로부터 얼굴 정보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43) 내에서의 얼굴 개수, 얼굴 위치 등을 검출한다. 디지털 영상 처리기는 라이브 뷰 화면상에서, 제1-셔터 릴리즈 버튼(31)이 입력되면 얼굴 인식을 수행할 수도 있고, 디지털 영상 처리기가 얼굴 촬영모드로 설정된 경우, 제1 셔텨-릴리즈 버튼(31)이 입력되지 않더라도 라이브 뷰 화면상에서 얼굴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얼굴 정보 검출을 위해, 얼굴 인식부(59-1)는 특징 기반 얼굴 검출 방법으로 얼굴의 불변하는 특징(눈, 코, 입과 같은 얼굴 요소, 질감, 살색)들을 찾는다. 얼굴의 여러 가지 특징들 중에서 특히 살색은 얼굴의 이동, 회전, 크기 변화 등에 덜 민감한 특성을 가지므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그 이외에 얼굴 인식부(59-1)는 얼굴 형판(template) 기반 검출 방법은 얼굴에 대한 몇 가지의 표준 패턴을 만든 뒤에 패턴을 얼굴 검출을 위해 저장한다. 그런 뒤에 패턴들은 영상의 탐색 윈도우 안에서 영상과 하나씩 비교되어 얼굴이 검출된다. 얼굴 검출의 방법으로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SVM(support vector machine)에 기반을 둔 얼굴 검출방법이 있다. SVM 기반 방법들은 영상으로부터 각기 다른 영역들을 서브 샘플링(sub-sampling)하여 학습기를 통해 얼굴과 비 얼굴(얼굴이 아닌 부분)에 대해 학습시킨 뒤 입력 영상에서 얼굴을 찾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얼굴 인식부(59-1)의 얼굴 정보 검출에 관한 내용은 이미 공지된 내용이 많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얼굴 인식부(59-1)가 얼굴의 개수 및 위치 등의 얼굴 정보를 검출하여 제어부(59-3)로 출력한다.
AF 영역 설정부(59-2)는 제어부(53-3)의 제어하에, 얼굴 인식부(59-1)가 검출한 얼굴의 개수만큼 AF 영역을 설정한다. 도 7에는 얼굴 인식부(59-1)가 검출한 5개의 얼굴에 대하여, AF 영역 설정부(59-2)가 5개의 AF 영역을 설정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측거동작 수행부(59-3)는 제어부(59-4)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영상 처리기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측거동작 수행부(59-3)는 거리 측정을 위해, 발광부(미도시) 및 수광부(미도시)를 포함한다. AF 영역이 설정되면, 발광부는 적외 발광 다이오드(미도시)를 통해 정외광을 피사체측으로 조사하며, 수광부는 발광부에서 조사한 적외광이 피사체에 의해 반사된 것을 수광하여 수광에 해당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거리를 측정한다.
이후, 제2 셔터-릴리즈 버튼(31)이 입력되면, 제어부(59-4)는 측거동작 수행부(59-3)의 거리 측정 값을 수신하여, 설정된 모든 AF 영역의 초점이 조절되도록 제어하고, 초점이 조절된 AF 영역의 개수만큼 영상을 캡쳐한다. 여기서, 얼굴 촬영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59-4)는 셔터-릴리즈 버튼(31) 한 번의 입력으로 설정된 AF 영역들의 초점이 조절되고 영상이 캡쳐되도록 제어한다.
도 7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2 셔터-릴리즈 버튼(31)이 입력되면, 제어부(59-4)는 5개의 AF 영역 각각에 대하여 초점을 조절하고, 초점이 조절된 AF 영역을 중심으로 5개의 영상을 캡쳐하여 저장한다.
다음에 제2 실시 예를 설명하면, 얼굴 인식부(59-1)는 촬영될 라이브 뷰 영상으로부터 얼굴 정보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43) 내에서의 얼굴 개수, 얼굴 위치 등을 검출한다. 얼굴 인식부(59-1)의 상세한 설명은 상기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생략한다. 제2 실시 예에서는, 특히, 얼굴 인식부(59-1)가 검출한 얼굴 정보로부터 얼굴의 개수와, 얼굴 양미간 사이의 거리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얼굴 인식부(59-1)가 얼굴의 개수 및 얼굴 양미간 사이의 거리를 포함하는 위치 등의 얼굴 정보를 검출하여 제어부(59-3)로 출력한다.
제어부(59-3)는 얼굴 인식부(59-1)가 얼굴의 개수 및 얼굴 양미간 사이의 거리를 수신하여, 유사한 양 미간 사이의 거리를 갖는 얼굴들을 하나의 AF 영역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양 미간 사이의의 거리가 유사하다는 의미는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피사체까지 거리가 유사하다는 의미로써, 동일한 초점 조정 영역을 갖는다는 의미이다.
이와 같이 제어부(59-4)가 유사한 양 미간 사이의의 거리를 갖는 얼굴들을 하나의 AF 영역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하여 AF 영역 설정부(59-2)로 출력한다.
AF 영역 설정부(59-2)는 제어부(53-3)의 제어하에, 유사한 양 미간 사이의 거리를 갖는 얼굴에 대해 동일한 그룹의 AF 영역을 설정한다. 도 8에는 얼굴 인식부(59-1)가 검출한 12개의 얼굴과 함께, 제어부(59-4)의 제어로, 양미간 사이의 거 리가 유사한 AF 영역 (a) 그룹, (b) 그룹 및 (c) 그룹을 설정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측거동작 수행부(59-3)는 제어부(59-4)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영상 처리기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때 측거동작 수행부(59-3)는 거리 측정 시에 설정된 동일한 그룹의 AF 영역들 중 대표 얼굴의 거리를 측정한다. 즉, 예를 들어 도 8에서, 측거동작 수행부(59-3)는 (a) 그룹 중 임의의 한 얼굴에 대해 측거동작을 수행하고, (b) 그룹 중 임의의 한 얼굴에 대해 측거동작을 수행하고, (c) 그룹 중 임의 한 얼굴에 대해 측거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각 그룹의 대표 얼굴에 대해서만 측거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측거동작 수행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제2 셔터-릴리즈 버튼(31)이 입력되면, 제어부(59-4)는 측거동작 수행부(59-3)의 거리 측정 값을 수신하여, AF 영역의 초점이 조절되도록 제어하고, 초점이 조절된 AF 영역의 개수만큼 영상을 캡쳐한다. 여기서, 얼굴 촬영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59-4)는 셔터-릴리즈 버튼(31) 한 번의 입력으로 설정된 AF 영역들의 초점이 조절되고 영상이 캡쳐되도록 제어한다.
도 8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2 셔터-릴리즈 버튼(31)이 입력되면, 제어부(59-4)는 (a) 그룹의 AF 영역, (b) 그룹의 AF 영역, (c) 그룹의 AF 영역에 대하여, 초점을 조절하고, 초점이 조절된 AF 영역을 중심으로 3개의 영상을 캡쳐하여 저장한다. 즉, 원래 12 개의 얼굴에 대하여 3개의 영상을 캡쳐하여 저장한다.
다음에 제3 실시 예를 설명하면, 얼굴 인식부(59-1)는 촬영될 라이브 뷰 영 상으로부터 얼굴 정보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43) 내에서의 얼굴 개수, 얼굴 위치 등을 검출한다. 얼굴 인식부(59-1)의 상세한 설명은 상기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생략한다.
이와 같이 얼굴 인식부(59-1)가 얼굴의 개수 및 위치 등의 얼굴 정보를 검출하여 제어부(59-3)로 출력한다.
AF 영역 설정부(59-2)는 제어부(53-3)의 제어하에, 얼굴 인식부(59-1)가 검출한 얼굴의 개수만큼 AF 영역을 설정한다. 도 8에는 얼굴 인식부(59-1)가 검출한 12개의 얼굴에 대하여, AF 영역 설정부(59-2)가 12개의 AF 영역을 설정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측거동작 수행부(59-3)는 제어부(59-4)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영상 처리기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측거동작 수행부(59-3)의 상세한 설명은 상기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생략한다.
제어부(59-4)는 측거동작 수행부(59-3)로부터 수신한 거리 측정값을 수신하여, 유사한 거리 측정값을 갖는 얼굴들을 동일한 그룹의 AF 영역으로 설정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거리 측정값이 유사하다는 의미는 동일한 허용심도를 갖는다는 의미로 동일한 초점 조정 영역을 갖는다는 의미이다.
도 8에는 얼굴 인식부(59-1)가 검출한 12개의 얼굴과 함께, 제어부(59-4)의 제어로, 유사한 거리 측정값을 갖는 AF 영역 (a) 그룹, (b) 그룹 및 (c) 그룹을 설정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후, 제2 셔터-릴리즈 버튼(31)이 입력되면, 제어부(59-4)는 측거동작 수행 부(59-3)의 거리 측정 값을 수신하여, 동일한 그룹의 AF 영역에 대하여 동일하게 초점이 조절되도록 제어하고, 그룹 수대로 영상을 캡쳐한다. 여기서, 얼굴 촬영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59-4)는 셔터-릴리즈 버튼(31) 한 번의 입력으로 동일한 그룹의 AF 영역에 대하여 동일하게 초점이 조절되도록 제어하고, 그룹 수대로 영상을 캡쳐되도록 제어한다.
도 8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2 셔터-릴리즈 버튼(31)이 입력되면, 제어부(59-4)는 (a) 그룹의 AF 영역, (b) 그룹의 AF 영역, (c) 그룹의 AF 영역에 대하여, 초점을 조절하고, 초점이 조절된 AF 영역을 중심으로 3개의 영상을 캡쳐하여 저장한다. 즉, 원래 12 개의 얼굴에 대하여 3개의 영상을 캡쳐하여 저장한다.
도 9는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따른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상 처리기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실시 예에 따라 동작 방법의 주 알고리즘은 기기 내의 주변 구성 요소들의 도움을 받아 디지털 신호처리부(59)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도 9를 참조하여 제1 실시 예에 따른,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43)에 라이브 뷰 영상이 표시되면,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을 입력한다(901단계). 이는 얼굴 인식 및 AF 영역 설정을 통해 초점을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얼굴 촬영 모드로 설정된 경우,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을 입력할 필요가 없다.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이 입력되면, 얼굴 인식부(59-1)는 라이브 뷰 영상으로부터 얼굴 정보 예를 들어, 얼굴 개수, 얼굴 위치 등을 검출한다(903단계). 얼굴 인식부(59-1)의 상세한 설명은 상기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생략한다.
얼굴 인식부(59-1)의 얼굴 정보 검출이 완료되면, AF 영역 설정부(59-2)는 제어부(53-3)의 제어하에, 얼굴 인식부(59-1)가 검출한 얼굴의 개수만큼 AF 영역을 설정한다(905단계). 도 7에는 얼굴 인식부(59-1)가 검출한 5개의 얼굴에 대하여, AF 영역 설정부(59-2)가 5개의 AF 영역을 설정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AF 영역 설정이 완료되면, 측거동작 수행부(59-3)는 제어부(59-4)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영상 처리기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907단계). 측거동작 수행부(59-3)의 상세한 설명은 상기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생략한다.
이후, 제2 셔터-릴리즈 버튼(31)이 입력되면(909단계), 제어부(59-4)는 측거동작 수행부(59-3)의 거리 측정 값을 수신하여, 설정된 모든 AF 영역의 초점이 조절되도록 제어하고(911단계), 초점이 조절된 AF 영역의 개수만큼 영상을 캡쳐한다(913단계). 여기서, 얼굴 촬영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59-4)는 셔터-릴리즈 버튼(31) 한 번의 입력으로 설정된 AF 영역들의 초점이 조절되고 영상이 캡쳐되도록 제어한다. 도 7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2 셔터-릴리즈 버튼(31)이 입력되면, 제어부(59-4)는 5개의 AF 영역 각각에 대하여 초점을 조절하고, 초점이 조절된 AF 영역을 중심으로 5개의 영상을 캡쳐하여 저장한다.
다음에 도 10을 참조하여 제2 실시 예에 따른,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43)에 라이브 뷰 영상이 표시되면,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을 입력한다(1001단계). 이는 얼굴 인식 및 AF 영역 설정을 통해 초점을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얼굴 촬영 모드로 설정된 경우,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을 입력할 필요가 없다.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이 입력되면, 얼굴 인식부(59-1)는 라이브 뷰 영상으로부터 얼굴 정보 예를 들어, 얼굴 개수, 얼굴 위치 등을 검출한다(1003단계). 얼굴 인식부(59-1)의 상세한 설명은 상기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생략한다.
제어부(59-4)는 얼굴 인식부(59-1)가 검출한 얼굴 정보로부터 얼굴의 개수와, 얼굴 양미간 사이의 거리를 검출한다(1005단계). 양미간 사이의 거리는 얼굴 인식부(59-1)가 검출한 얼굴의 위치 정보로부터 검출할 수 있다.
얼굴 정보를 수신한 제어부(59-4)는 AF 영역 설정부(59-2)가 유사한 양 미간 사이의 거리를 갖는 얼굴들을 동일한 그룹의 AF 영역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한다(1007단계). 여기서, 양 미간 사이의의 거리가 유사하다는 의미는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피사체까지 거리가 유사하다는 의미로써, 동일한 초점 조정 영역을 갖는다는 의미이다. 도 8에는 얼굴 인식부(59-1)가 검출한 12개의 얼굴과 함께, 제어부(59-4)의 제어로, 양미간 사이의 거리가 유사한 AF 영역 (a) 그룹, (b) 그룹 및 (c) 그룹을 설정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측거동작 수행부(59-3)는 제어부(59-4)의 제어에 따라, 기기로부터 동일한 그룹의 AF 영역 내의 대표 얼굴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1009단계). 예를 들어 도 8에서, 측거동작 수행부(59-3)는 (a) 그룹 중 임의의 한 얼굴에 대해 측거동작을 수행하고, (b) 그룹 중 임의의 한 얼굴에 대해 측거동작을 수행하고, (c) 그룹 중 임의 한 얼굴에 대해 측거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각 그룹의 대표 얼굴에 대해서만 측거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측거동작 수행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제2 셔터-릴리즈 버튼(31)이 입력되면(1011단계), 제어부(59-4)는 측거동작 수행부(59-3)의 거리 측정 값을 수신하여, 동일한 그룹의 AF 영역에 대하여 동일하게 초점이 조절되도록 제어하고(1013단계), 그룹 수대로 영상을 캡쳐한다(1015단계). 여기서, 얼굴 촬영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59-4)는 셔터-릴리즈 버튼(31) 한 번의 입력으로 동일한 그룹의 AF 영역에 대하여 동일하게 초점이 조절되도록 제어하고, 그룹 수대로 영상을 캡쳐되도록 제어한다.
도 8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2 셔터-릴리즈 버튼(31)이 입력되면, 제어부(59-4)는 (a) 그룹의 AF 영역, (b) 그룹의 AF 영역, (c) 그룹의 AF 영역에 대하여, 초점을 조절하고, 초점이 조절된 AF 영역을 중심으로 3개의 영상을 캡쳐하여 저장한다. 즉, 원래 12 개의 얼굴에 대하여 3개의 영상을 캡쳐하여 저장한다.
먼저 도 11을 참조하여 제3 실시 예에 따른,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43)에 라이브 뷰 영상이 표시되면,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을 입력한다(1101단계). 이는 얼굴 인식 및 AF 영역 설정을 통해 초점을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얼굴 촬영 모드로 설정된 경우,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을 입력할 필요가 없다.
제1 셔터-릴리즈 버튼(31)이 입력되면, 얼굴 인식부(59-1)는 라이브 뷰 영상으로부터 얼굴 정보 예를 들어, 얼굴 개수, 얼굴 위치 등을 검출한다(1103단계). 얼굴 인식부(59-1)의 상세한 설명은 상기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생략한다.
얼굴 인식부(59-1)의 얼굴 정보 검출이 완료되면, AF 영역 설정부(59-2)는 제어부(53-3)의 제어하에, 얼굴 인식부(59-1)가 검출한 얼굴의 개수만큼 AF 영역을 설정한다(1105단계). 도 8에는 얼굴 인식부(59-1)가 검출한 12개의 얼굴에 대하여, AF 영역 설정부(59-2)가 12개의 AF 영역을 설정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AF 영역 설정이 완료되면, 측거동작 수행부(59-3)는 제어부(59-4)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영상 처리기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1107단계). 측거동작 수행부(59-3)의 상세한 설명은 상기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생략한다.
이후, 제어부(59-4)는 측거동작 수행부(59-3)로부터 수신한 거리 측정값을 수신하여, 유사한 거리 측정값을 갖는 얼굴들을 동일한 그룹의 AF 영역으로 설정되도록 제어한다(1109단계). 여기서, 거리 측정값이 유사하다는 의미는 동일한 허용심도를 갖는다는 의미로 동일한 초점 조정 영역을 갖는다는 의미이다. 도 8에는 얼굴 인식부(59-1)가 검출한 12개의 얼굴과 함께, 제어부(59-4)의 제어로, 유사한 거리 측정값을 갖는 AF 영역 (a) 그룹, (b) 그룹 및 (c) 그룹을 설정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후, 제2 셔터-릴리즈 버튼(31)이 입력되면(1111단계), 제어부(59-4)는 측거동작 수행부(59-3)의 거리 측정 값을 수신하여, 동일한 그룹의 AF 영역에 대하여 동일하게 초점이 조절되도록 제어하고(1113단계), 그룹 수대로 영상을 캡쳐한 다(1115단계). 여기서, 얼굴 촬영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59-4)는 셔터-릴리즈 버튼(31) 한 번의 입력으로 동일한 그룹의 AF 영역에 대하여 동일하게 초점이 조절되도록 제어하고, 그룹 수대로 영상을 캡쳐되도록 제어한다. 도 8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2 셔터-릴리즈 버튼(31)이 입력되면, 제어부(59-4)는 (a) 그룹의 AF 영역, (b) 그룹의 AF 영역, (c) 그룹의 AF 영역에 대하여, 초점을 조절하고, 초점이 조절된 AF 영역을 중심으로 3개의 영상을 캡쳐하여 저장한다. 즉, 원래 12 개의 얼굴에 대하여 3개의 영상을 캡쳐하여 저장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복수의 얼굴에 대한 AF 촬영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AF 브라켓 촬영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 이다.
도 5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장치 중 디지털 신호처리부(59)의 제1 내제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구성도 이다.
도 7는 도 5의 장치에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AF 브라켓 촬영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장치에서 제2 및 제3 실시 예에 따른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AF 브라켓 촬영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영 방 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Claims (20)

  1. 디지털 영상 처리기로서,
    라이브 화면 영상으로부터 얼굴정보를 검출하는 얼굴 인식부;
    상기 검출된 얼굴정보를 바탕으로 복수의 AF 영역을 설정하는 AF 영역 설정부; 및
    상기 설정된 복수의 AF 영역들에 포커스를 조정하여 영상이 캡쳐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F 영역 설정부는
    상기 검출된 얼굴정보로부터 얼굴의 개수만큼 AF 영역을 설정하거나,
    상기 검출된 얼굴정보로부터 유사한 양 미간 사이의 거리를 갖는 얼굴들을 동일한 그룹의 AF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얼굴정보 중 얼굴의 개수에 따라, 각 얼굴로부터 상기 기기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거동작 수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AF 영역 설정부는
    유사한 상기 측정거리를 갖는 얼굴들을 동일한 그룹의 AF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장치.
  4. 디지털 영상 처리기로서,
    라이브 화면 영상으로부터 얼굴의 개수를 검출하는 얼굴 인식부;
    상기 검출된 얼굴의 개수만큼 AF 영역을 설정하는 AF 영역 설정부; 및
    한 번의 셔터 신호 입력으로, 상기 설정된 AF 영역의 개수만큼 포커스가 조정되고 영상이 캡쳐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인식부가 검출한 얼굴 정보에 따라, 상기 검출된 각 얼굴로부터 상기 기기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그 결과 값을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측거동작 수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거동작 수행부의 거리 측정값으로부터 상기 설정된 각 AF 영역에서의 포커스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장치.
  7. 디지털 영상 처리기로서,
    라이브 화면 영상으로부터 얼굴의 위치를 검출하는 얼굴 인식부;
    상기 검출된 얼굴 위치로부터 유사한 양 미간 사이의 거리를 갖는 얼굴들을 동일한 그룹의 AF 영역으로 설정하는 AF 영역 설정부; 및
    한 번의 셔터 신호 입력으로, 상기 설정된 그룹 수 만큼 포커스가 조정되고 영상이 캡쳐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동일한 그룹의 AF 영역에 포함되는 임의의 어느 한 얼굴로부터 상기 기기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그 결과 값을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측거동작 수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거동작 수행부의 거리 측정값으로부터 상기 설정된 각 AF 영역에서의 포커스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장치.
  10. 디지털 영상 처리기로서,
    라이브 화면 영상으로부터 얼굴의 개수를 검출하는 얼굴 인식부;
    상기 검출된 얼굴의 개수만큼 AF 영역을 설정하는 AF 영역 설정부;
    상기 검출된 얼굴 개수에 따라, 각 얼굴로부터 상기 기기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거동작 수행부; 및
    유사한 측정거리를 갖는 얼굴들을 동일한 그룹의 AF 영역으로 설정되도록 제어하며, 한 번의 셔터 신호 입력으로, 상기 제어에 의해 상기 그룹의 개수만큼 포커스가 조정되고 영상이 캡쳐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거동작 수행부의 거리 측정값들에 대하여, 허용심도 범위안의 얼굴들을 하나의 AF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촬영 장치.
  12.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동작 방법으로서,
    (a) 라이브 화면 영상으로부터 얼굴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된 얼굴정보를 바탕으로 복수의 AF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설정된 복수의 AF 영역들에 포커스를 조정하여 영상을 캡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검출된 얼굴정보로부터 얼굴의 개수만큼 AF 영역을 설정하거나,
    상기 검출된 얼굴정보로부터 유사한 양 미간 사이의 거리를 갖는 얼굴들을 동일한 그룹의 AF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얼굴정보 중 얼굴의 개수에 따라, 각 얼굴로부터 상기 기기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유사한 상기 측정거리를 갖는 얼굴들을 동일한 그룹의 AF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방법.
  15.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동작 방법으로서,
    (a) 라이브 화면 영상으로부터 얼굴의 개수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된 얼굴의 개수만큼 AF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c) 한 번의 셔터 신호 입력으로, 상기 설정된 AF 영역의 개수만큼 포커스를 조정하여 영상을 캡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 이전에,
    상기 검출된 얼굴 개수에 따라, 각 얼굴로부터 상기 기기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포커스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방법.
  17.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동작 방법으로서,
    (a) 라이브 화면 영상으로부터 얼굴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된 얼굴 위치로부터 유사한 양 미간 사이의 거리를 갖는 얼굴들을 동일한 그룹의 AF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c) 한 번의 셔터 신호 입력으로, 상기 설정된 그룹 수 만큼 포커스를 조정하여 영상을 캡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 이전에,
    동일한 그룹의 AF 영역에 포함되는 임의의 어느 한 얼굴로부터 상기 기기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포커스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방법.
  19.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동작 방법으로서,
    (a) 라이브 화면 영상으로부터 얼굴의 개수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된 얼굴의 개수만큼 AF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검출된 얼굴 개수에 따라, 각 얼굴로부터 상기 기기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d) 유사한 측정거리를 갖는 얼굴들을 동일한 그룹의 AF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e) 한 번의 셔터 신호 입력으로, 상기 그룹의 개수만큼 포커스를 조정하여 영상을 캡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c)단계의 거리 측정값으로부터, 허용심도 범위안의 얼굴들을 하나의 AF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촬영 방법.
KR1020070087708A 2007-08-30 2007-08-30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431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708A KR101431535B1 (ko) 2007-08-30 2007-08-30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GB0811842.4A GB2452364B (en) 2007-08-30 2008-06-27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ace recognition function
GB1212186.9A GB2491729B (en) 2007-08-30 2008-06-27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ace recognition function
CN200810144710.6A CN101378458B (zh) 2007-08-30 2008-07-30 使用脸部识别功能的数字拍摄设备和方法
US12/221,727 US8786760B2 (en) 2007-08-30 2008-08-06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ace recogni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708A KR101431535B1 (ko) 2007-08-30 2007-08-30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392A true KR20090022392A (ko) 2009-03-04
KR101431535B1 KR101431535B1 (ko) 2014-08-19

Family

ID=39683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7708A KR101431535B1 (ko) 2007-08-30 2007-08-30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86760B2 (ko)
KR (1) KR101431535B1 (ko)
CN (1) CN101378458B (ko)
GB (2) GB245236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0684A (ko) * 2014-04-03 2016-12-0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다-초점 이미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237491B2 (en) 2013-07-31 2019-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or capturing, storing, and reproducing multifocal imag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4422B2 (ja) * 2007-09-28 2013-02-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JP5381060B2 (ja) * 2008-02-05 2014-01-08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およびその画像処理方法
JP4944055B2 (ja) * 2008-03-19 2012-05-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制御方法
TWI384427B (zh) * 2009-04-29 2013-02-01 Utechzone Co Ltd Background establishment method and device
KR101620537B1 (ko) * 2009-05-13 2016-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표시 장치를 이용한 멀티 디스플레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이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110020519A (ko) * 2009-08-24 2011-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8558923B2 (en) 2010-05-03 2013-10-1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 real time focus/parameter adjustment
CN102338972A (zh) * 2010-07-21 2012-02-01 华晶科技股份有限公司 多人脸区块辅助对焦的方法
JP5564384B2 (ja) * 2010-09-28 2014-07-30 任天堂株式会社 画像生成プログラム、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及び画像生成方法
US8970770B2 (en) * 2010-09-28 2015-03-03 Fotonation Limited Continuous autofocus based on face detection and tracking
US8648959B2 (en) * 2010-11-11 2014-02-11 DigitalOptics Corporation Europe Limited Rapid auto-focus using classifier chains, MEMS and/or multiple object focusing
US8659697B2 (en) * 2010-11-11 2014-02-25 DigitalOptics Corporation Europe Limited Rapid auto-focus using classifier chains, MEMS and/or multiple object focusing
US8508652B2 (en) 2011-02-03 2013-08-13 DigitalOptics Corporation Europe Limited Autofocus method
US9536132B2 (en) * 2011-06-24 2017-01-03 Apple Inc. Facilitating image capture and image review by visually impaired users
JP5821457B2 (ja) * 2011-09-20 2015-11-2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ならびに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KR101838033B1 (ko) * 2011-11-25 2018-03-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디바이스의 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
US8989455B2 (en) * 2012-02-05 2015-03-24 Apple Inc. Enhanced face detection using depth information
CN104170368B (zh) * 2012-02-22 2018-10-09 索尼爱立信移动通讯有限公司 关于图像内容的方法和设备
WO2014072837A2 (en) * 2012-06-07 2014-05-15 DigitalOptics Corporation Europe Limited Mems fast focus camera module
KR101990073B1 (ko) * 2012-11-12 2019-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다초점 영상 촬영 및 저장 방법 및 장치
JP5786847B2 (ja) * 2012-12-19 2015-09-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197491B (zh) 2013-03-28 2016-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快速自动聚焦的方法和图像采集装置
CN104184935B (zh) * 2013-05-27 2017-09-1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影像拍摄设备及方法
CN105791685B (zh) * 2016-02-29 2019-03-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方法、控制装置及电子装置
KR102488563B1 (ko) * 2016-07-29 2023-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등적 뷰티효과 처리 장치 및 방법
WO2019023915A1 (zh) * 2017-07-31 2019-02-07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处理方法、设备、飞行器及系统
CN107590461B (zh) * 2017-09-12 2021-04-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人脸识别方法及相关产品
CN110933304B (zh) * 2019-11-27 2022-02-25 RealMe重庆移动通信有限公司 待虚化区域的确定方法、装置、存储介质与终端设备
CN112822405A (zh) * 2021-01-13 2021-05-1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对焦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WO2022190358A1 (ko) * 2021-03-12 2022-09-15
US20220400211A1 (en) * 2021-06-11 2022-12-15 Bennet Langlotz Digital camera with multi-subject focusing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8785A (ja) 1994-05-30 1995-12-08 Asahi Optical Co Ltd ブラケット装置を備えたカメラ
JP2001148800A (ja) 1999-11-18 2001-05-29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6940545B1 (en) * 2000-02-28 2005-09-06 Eastman Kodak Company Face detecting camera and method
US7027619B2 (en) 2001-09-13 2006-04-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Near-infrared method and system for use in face detection
US7298412B2 (en) * 2001-09-18 2007-11-20 Ricoh Company, Limited Image pickup device, automatic focusing method, automatic exposure method, electronic flash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7362368B2 (en) * 2003-06-26 2008-04-22 Fotonation Vision Limited Perfecting the optics within a digital image acquisition device using face detection
US7844076B2 (en) * 2003-06-26 2010-11-30 Fotonation Vision Limited Digital image processing using face detection and skin tone information
JP4461747B2 (ja) * 2003-09-10 2010-05-12 オムロン株式会社 対象決定装置
EP1653279B1 (en) * 2003-07-15 2019-02-06 Omron Corporation Object decision device and imaging device
JP4154400B2 (ja) * 2004-04-01 2008-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116706A (ja) 2004-10-19 2006-05-11 Seiko Epson Corp 透明基板、電気光学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4747003B2 (ja) * 2005-06-22 2011-08-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自動合焦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7010898A (ja) 2005-06-29 2007-01-18 Casio Comput Co Ltd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832518B2 (ja) * 2005-11-02 2011-12-0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7551754B2 (en) * 2006-02-24 2009-06-23 Fotonation Vis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rejection of digital images
JP4182117B2 (ja) * 2006-05-10 2008-11-1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207980B2 (ja) * 2006-06-09 2009-01-14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264660B2 (ja) 2006-06-09 2009-05-20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80136958A1 (en) * 2006-12-11 2008-06-12 Pentax Corporation Camera having a focus adjusting system and a face recognition function
JP2008299164A (ja) 2007-06-01 2008-12-11 Hoya Corp 顔検出機能を備えたカメ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37491B2 (en) 2013-07-31 2019-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or capturing, storing, and reproducing multifocal images
KR20160140684A (ko) * 2014-04-03 2016-12-0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다-초점 이미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86760B2 (en) 2014-07-22
CN101378458B (zh) 2016-06-29
CN101378458A (zh) 2009-03-04
GB2491729B (en) 2013-01-30
KR101431535B1 (ko) 2014-08-19
US20090059061A1 (en) 2009-03-05
GB0811842D0 (en) 2008-07-30
GB2452364B (en) 2013-01-09
GB2491729A (en) 2012-12-12
GB2452364A (en) 2009-03-04
GB201212186D0 (en)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1535B1 (ko)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US8102465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method for photographing an image by controlling light irradiation on a subject
KR101436839B1 (ko) 사람 수 체크를 이용한 셀프타이머 촬영 장치 및 방법
KR20090113076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브라케팅 촬영 장치 및 방법
KR20090067910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영상의 배경흐림 효과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47568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얼굴 영상 개선 장치 및 방법
KR20090052677A (ko) 포커스 조정 장치 및 방법
KR20100001272A (ko) 셀프 촬영 안내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그 동작 방법
KR20090067915A (ko) 구도 추천에 의한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20100003918A (ko)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613617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396335B1 (ko) 얼굴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1421939B1 (ko)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41780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얼굴인식에 따른 포커스조정장치 및 방법
KR20090125602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417811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얼굴인식을 통한 줌-인 장치 및방법
KR20100024264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뷰티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427661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20090105374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썸네일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427651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얼굴인식 처리속도 조정 장치및 방법
KR101427656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인물 촬영 장치 및 방법
KR20090104429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얼굴인식을 이용한 촬영구도 제공장치 및 방법
KR20100001271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영상 저장 장치 및 방법
KR10144853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얼굴인식을 기반으로 한 브라케팅촬영 장치 및 방법
KR20100109722A (ko) 블러링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