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1748A - 사출물 자동적재 장치 - Google Patents

사출물 자동적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1748A
KR20090021748A KR1020070086527A KR20070086527A KR20090021748A KR 20090021748 A KR20090021748 A KR 20090021748A KR 1020070086527 A KR1020070086527 A KR 1020070086527A KR 20070086527 A KR20070086527 A KR 20070086527A KR 20090021748 A KR20090021748 A KR 20090021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injection molding
loading
hol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태
백주식
양인호
김용찬
김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베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베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베이스
Priority to KR1020070086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1748A/ko
Publication of KR20090021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7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2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means movable from outside the mould between mould parts, e.g. robots
    • B29C45/4225Take-off members or carriers for the moulded articles, e.g.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2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means movable from outside the mould between mould parts, e.g. robots
    • B29C2045/4266Robot grippers movable along three orthogonal a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물이 사출된 후 별도로 사출물을 정리하지 않아도 사출물의 변형 없이 자동으로 적재되도록 하는 사출물 자동 적재 시스템을 위하여, 본 발명은 사출물을 홀딩하거나 릴리즈할 수 있는 홀딩부와, 상기 홀딩부를 수평 또는 상하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사출물이 적재될 적재함을 공급하는 적재함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홀딩부가 사출물을 홀딩하면, 상기 이송부는 상기 홀딩부를 수평 또는 상하로 이송시켜 상기 적재함 공급부가 공급한 적재함 상부에 상기 홀딩부가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 자동 적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출물 자동적재 시스템{Auto-loading system for injection-molded piece}
본 발명은 사출물 자동 적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사출물이 사출된 후 별도로 사출물을 정리하지 않아도 사출물의 변형 없이 자동으로 적재되도록 하는 사출물 자동 적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가전기기 등의 다양한 제품의 부품들 중 상당수의 부품들이 플라스틱재로 형성되며, 이는 사출성형법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사출성형법은 금형 내에 용융수지를 주입하고, 주입된 용융수지가 고형화되면 금형을 개방하여 고형화된 사출물을 배출시킴으로써 물건(사출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물론 사출기에서 배출되는 사출물은 이송장치 등에 의해 이송되며 또한 적재함에 적재된다.
도 1은 종래의 사출물 이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출기(1)에서 제조된 사출물은 사출물 이송장치(2)를 따라 이동하여 사출물 이송장치(2) 하부에 위치한 컨베이어벨트(3)로 사출물 이송장치(2)로부터 자유낙하한다. 그 후 컨베이어벨트(3)에 의해 이동되어 작업자에 의해 적재함에 적재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사출물 이송 시스템의 경우 컨베이어벨트(3)에 의해 이동된 사출물을 작업자가 일일이 적재함에 적재하여 정리해야 하는 불편함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사출물 이송 시스템의 경우 사출기(1)에서 사출물이 제조된 직후에 사출물 이송장치(2)로부터 컨베이어벨트(3) 상으로 사출물이 자유낙하하게 되는 바, 사출물 이송장치(2)와 컨베이어벨트(3) 사이의 높이(h)를 자유낙하하여 사출물이 컨베이어벨트(3)에 부딪히게 되므로, 사출물의 형태가 변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사출물이 사출기(1)에서 형성된 직후 사출물의 경도가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와 같이 사출물에 충격이 가해지기 때문에, 사출물의 형태 변형이 공차범위를 넘어 일어나, 불량률을 야기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사출물 이송 시스템의 경우 사출물 이송장치(2)로부터 컨베이어벨트(3) 상으로 사출물이 자유낙하할 시, 사출물이 컨베이어벨트(3)에 부딪힌 후 컨베이어벨트(3) 상에 위치하지 않고 컨베이어벨트(3) 외측으로 이탈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출물이 사출된 후 별도로 사출물을 정리하지 않아도 사출물의 변형 없이 자동으로 적재되도록 하는 사출물 자동 적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출물을 홀딩하거나 릴리즈할 수 있는 홀딩부와, 상기 홀딩부를 수평 또는 상하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사출물이 적재될 적재함을 공급하는 적재함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홀딩부가 사출물을 홀딩하면, 상기 이송부는 상기 홀딩부를 수평 또는 상하로 이송시켜 상기 적재함 공급부가 공급한 적재함 상부에 상기 홀딩부가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 자동 적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홀딩부가 사출물을 홀딩하면, 상기 이송부는 상기 홀딩부를 수평 또는 상하로 이송시켜 상기 적재함 공급부가 공급한 적재함 상에 상기 홀딩부가 위치하도록 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홀딩부가 사출물을 홀딩하면, 상기 이송부는 상기 홀딩부를 수평 또는 상하로 이송시켜 상기 적재함 공급부가 공급한 적재함 상에 상기 홀딩부가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홀딩부가 사출물을 릴리즈할 시, 사출물이 상하 움직임 없이 상기 적재함 공급부가 공급한 적재함 내에 배치 되도록 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출물 자동적재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사출물이 사출된 후 별도로 사출물을 정리하지 않아도 사출물이 자동으로 적재함 내에 적재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사출물을 적재할 시 사출물에 인가되는 충격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출 직후의 경도가 약한 사출물의 형태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 자동적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사출물 자동적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 자동적재 시스템은 홀딩부(20), 이송부(30) 및 적재함 공급부(40)를 구비한다.
홀딩부(20)는 사출기(10)에서 형성된 사출물(100)을 홀딩하거나 릴리즈할 수 있다. 이러한 홀딩부(20)는 진공을 이용하여 사출물(100)을 홀딩하거나 릴리즈하는 진공 척(vacuum chuck)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물론 홀딩부(20)가 집게 형상 등과 같이 진공 척 외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송부(30)는 홀딩부(20)를 수평 및/또는 상하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이송 부(30) 역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예컨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이송부(31), 제1수평이송부(32) 및 제2수평이송부(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하이송부(31)는 그 단부에 홀딩부(20)가 위치하도록 하여, 홀딩부(20)를 상하로, 즉 ±z 방향으로 이송한다. 제1수평이송부(32)는 상하이송부(31)를 ±y 방향으로 이송하고 제2수평이송부(33)는 제1수평이송부(32)를 ±x 방향으로 이송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홀딩부(20)를 수평으로, 즉 xy평면 내에서 이송한다.
적재함 공급부(40)는 사출물(100)이 적재될 적재함(410)을 공급한다. 적재함 공급부(40) 역시 다양한 형태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예컨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41), 적재함 상하이송부(42) 및 적재함 수평이송부(43)를 구비할 수 있다. 적재함 상하이송부(42)는 수직으로 쌓인 복수개의 적재함(410)들을 상하로, 즉 ±z 방향으로 이송시켜, 수직으로 쌓인 복수개의 적재함(410)들 중 최상부에 위치한 적재함(410)이 프레임(41)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적재함 수평이송부(43)는 수직으로 쌓인 복수개의 적재함(410)들 중 프레임(41) 외측으로 노출되며 최상부에 위치한 적재함(410)을 수평으로, 즉 ±x 방향으로 이송시켜, 사출기(10)에서 배출되는 사출물(100)이 적재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란 사출물 자동적재 시스템은 사출기(10)에서 배출되는 사출물(100)을 자동으로 적재 위치 상의 적재함(420)에 적재한다. 즉, 사출기(10)에서 형성된 사출물(100)이 배출되며 홀딩부(20)가 사출기(10)로 이동하여 사출물(100)을 홀딩한다. 그 후 이송부(30)는 홀딩부(20)를 수평 또는 상하로 이송시켜 적재함 공급부(40)가 공급한 적재 위치 상의 적재함(420) 상부에 홀딩부(20) 가 위치하도록 한다. 그 후 홀딩부(20)가 사출물(100)을 릴리즈함으로써, 적재 위치 상의 적재함(420)에 사출물(100)을 적재한다. 적재함(410, 420)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개의 오목부가 구비되고, 이 각 오목부에 사출물(100)이 각각 적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 자동적재 시스템을 이용하게 되면 사출물(100)이 자동으로 적재 위치 상의 적재함(420)에 적재되므로,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동된 사출물을 작업자가 일일이 적재함에 적재하여 정리해야 하는 불편함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는 종래의 사출물 이송 시스템과 달리, 작업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 자동 적재 시스템의 경우, 홀딩부(20)가 사출물(100)을 홀딩하면, 이송부(30)가 홀딩부(20)를 수평 또는 상하로 이송시키되, 적재 위치 상의 적재함(420) 상에 홀딩부(20)가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사출물 이송 시스템의 경우 사출기에서 사출물이 제조된 직후에 사출물 이송장치로부터 컨베이어벨트 상으로 사출물이 자유낙하하게 되는 바, 사출물 이송장치와 컨베이어벨트 사이의 거리를 자유낙하하여 사출물이 컨베이어벨트에 부딪히게 되므로, 사출물의 형태가 변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사출물이 사출기에서 형성된 직후 사출물의 경도가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와 같이 사출물에 충격이 가해지기 때문에, 사출물의 형태 변형이 공차범위를 넘어 일어나 불량률을 야기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사출물 이송 시스템의 경우 사출물 이송장치로부터 컨베이어벨트 상으로 사출물이 자유낙하할 시, 사출물이 컨베이어벨트에 부딪힌 후 컨베이어벨트 상에 위치하지 않고 컨베 이어벨트 외측으로 이탈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 자동 적재 시스템의 경우, 홀딩부(20)가 사출물(100)을 홀딩한 후 이송부(30)가 홀딩부(20)를 수평 또는 상하로 이송시키되, 적재 위치 상의 적재함(420) 상에 홀딩부(20)가 위치하도록 한다. 그 후 홀딩부(20)가 사출물(100)을 릴리즈하면, 사출물(100)이 자유낙하하여 적재 위치 상의 적재함(420)으로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충격 없이 사출물(100)이 적재 위치 상의 적재함(420) 상에 적재된다. 이는 홀딩부(20)가 적재 위치 상의 적재함(420)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이송부(30)가 홀딩부(20)를 수평 또는 상하로 이송시켰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사출물(100)이 충격을 받지 않기 때문에 사출물(1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사출물이 적재함의 정확한 위치에 적재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홀딩부(20)가 적재 위치 상의 적재함(420)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이송부(30)가 홀딩부(20)를 수평 또는 상하로 이송시켜, 홀딩부(20)가 사출물(100)을 릴리즈할 시, 사출물(100)이 상하 움직임 없이 적재 위치 상의 적재함(420) 내에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 자동적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는 복수개의 빈 적재함(410)들만이 적재함 상하이송부(42) 상에 배치된 것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옆(-x 방향으로의 옆)에 적재가 완료된 복수개의 적재함들이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적재 위치 상의 적재함(420)에 (한 개 또는 복수개의) 사출물(100)의 적재가 완료될 시, 사출물(100)의 적재가 완료된 적재함(430) 을 (별도의 적재함 상하이송부(43)를 이용하여) -z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적재함 수평이송부(43)가 빈 적재함(410)을 수평으로 이동시켜, 사출물(100)의 적재가 완료된 적재함(430) 상에 빈 적재함(420)이 위치하게 할 수도 있다. 그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적재 위치 상의 적재함(420)에 사출물(100)을 자동으로 적재한다. 이와 같은 작업이 반복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적재함 상하이송부(42) 상에 복수개의 빈 적재함(410)들이 수직으로 배치된 것과 같이, 적재가 완료된 복수개의 적재함(430)들이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적재가 완료된 복수개의 적재함(430)들의 정리 역시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사출물 이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 자동적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사출물 자동적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 자동적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사출기 20: 홀딩부
30: 이송부 31: 상하이송부
32: 제1수평이송부 33: 제2수평이송부
40: 적재함 공급부 41: 적재함 상하이송부
43: 적재함 수평이송부 100: 사출물
410: 빈 적재함 420: 적재 위치 상의 적재함

Claims (3)

  1. 사출물을 홀딩하거나 릴리즈할 수 있는 홀딩부;
    상기 홀딩부를 수평 또는 상하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및
    사출물이 적재될 적재함을 공급하는 적재함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홀딩부가 사출물을 홀딩하면, 상기 이송부는 상기 홀딩부를 수평 또는 상하로 이송시켜 상기 적재함 공급부가 공급한 적재함 상부에 상기 홀딩부가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 자동 적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가 사출물을 홀딩하면, 상기 이송부는 상기 홀딩부를 수평 또는 상하로 이송시켜 상기 적재함 공급부가 공급한 적재함 상에 상기 홀딩부가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 자동 적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가 사출물을 홀딩하면, 상기 이송부는 상기 홀딩부를 수평 또는 상하로 이송시켜 상기 적재함 공급부가 공급한 적재함 상에 상기 홀딩부가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홀딩부가 사출물을 릴리즈할 시, 사출물이 상하 움직임 없이 상기 적재함 공급부가 공급한 적재함 내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 자동 적재 시스템.
KR1020070086527A 2007-08-28 2007-08-28 사출물 자동적재 장치 KR200900217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527A KR20090021748A (ko) 2007-08-28 2007-08-28 사출물 자동적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527A KR20090021748A (ko) 2007-08-28 2007-08-28 사출물 자동적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748A true KR20090021748A (ko) 2009-03-04

Family

ID=40691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527A KR20090021748A (ko) 2007-08-28 2007-08-28 사출물 자동적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174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776A (ko) * 2018-05-21 2019-11-29 정성수 사출물 게이트 커팅 시스템
KR102203418B1 (ko) * 2019-08-22 2021-01-15 (주)네오하나텍 바렐 정렬장치
KR20210058200A (ko) * 2019-11-13 2021-05-24 고영순 사출품 형상보정용 지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776A (ko) * 2018-05-21 2019-11-29 정성수 사출물 게이트 커팅 시스템
KR102203418B1 (ko) * 2019-08-22 2021-01-15 (주)네오하나텍 바렐 정렬장치
KR20210058200A (ko) * 2019-11-13 2021-05-24 고영순 사출품 형상보정용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83677B (zh) 一种槽式料箱自动上料设备
KR20090021748A (ko) 사출물 자동적재 장치
KR101403890B1 (ko) 트레이 공급 장치
US6851920B2 (en) Method for stacking parts comprising thermoplastic plastic, and apparatus for executing the method
TW202045334A (zh) 樹脂鑄模裝置
JPH05261760A (ja) 射出成形機から射出成形部材を搬出する装置および移送ユニット
KR20160093973A (ko) 금속원판 부품 적재장치
JP2005138438A (ja) 成形機その他加工機における成形品取出し装置
KR101855046B1 (ko) 선형 소재의 자동 적재 장치
US20100025188A1 (en) Process and device for picking up, transferring and handling plastic container preforms
KR101037640B1 (ko) 사출기의 로딩/언로딩장치
CN210436494U (zh) 一种分料、送料与抓取自动化设备
CN210854219U (zh) 一种晶片基座自动摆盘机
JP5533125B2 (ja) 物品投入方法
CN217226426U (zh) 一种自动上料及称重装置
KR101478653B1 (ko) 카지노 칩 제조장치
CN220075352U (zh) 一种物料取放工装
JP2011201584A (ja) 投入ガイド装着装置及び装着方法
CN210296322U (zh) 塑封排片机预热台
CN214191643U (zh) 一种彩喷币装出盘系统
CN217866246U (zh) 具有上下料功能的货架及分拣系统
JP2821977B2 (ja) 樹脂モールド成形装置における樹脂タブレット搬送・投入機構および方法
CN214690437U (zh) 一种自动排芯机
JP7112404B2 (ja) 成形品の取出装置
TW201437129A (zh) 搬送方法及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