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1089A - 스피커 시스템 및 끼워 넣기 장치 - Google Patents

스피커 시스템 및 끼워 넣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1089A
KR20090021089A KR1020080082207A KR20080082207A KR20090021089A KR 20090021089 A KR20090021089 A KR 20090021089A KR 1020080082207 A KR1020080082207 A KR 1020080082207A KR 20080082207 A KR20080082207 A KR 20080082207A KR 20090021089 A KR20090021089 A KR 20090021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fitting
resin material
baff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끼 세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21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0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5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ss reflex type
    • H04R1/2823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 H04R1/2826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10Details of socket shap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버스레프형의 스피커 시스템으로서 시스템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덕트의 유효 길이를 충분히 크게 할 수 있어 충분한 저역 증강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덕트를 확실히 밀폐할 수 있게 한다.
프론트 배플(20)에는 덕트 전방부(22)를 일체로 형성하고, 리어 배플(30)에는 스피커 유닛(1)의 배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부(32)를 형성하고, 덕트 전방부(22)와 대향하는 위치에 덕트 연결부(33)를 일체로 형성하는 동시에, 배면측에 끼워 넣기부(35)를 일체로 형성한다. 끼워 넣기부(35)는 단면 형상이 반통 형상인 것으로 하고 그 배면에는 주회하는 홈을 형성한다. 끼워 넣기 부품(40)은 단면 형상이 반통 형상인 부품으로서, 골격부를 ABS로 하고 주연부를 엘라스토머로 하여 더블 몰드에 의해 형성한다. 그 끼워 넣기 부품(40)의 주연부를 리어 배플(30)이 주회하는 홈 내에 삽입하여 끼워 넣기 부품(40)을 리어 배플(30)에 끼워 맞춘다.
Figure P1020080082207
프론트 배플, 리어 배플, 덕트 전방부, 끼워 넣기 부품, 엘라스토머

Description

스피커 시스템 및 끼워 넣기 장치{SPEAKER SYSTEM AND FITTING DEVICE}
본 발명은 저역 공진용의 덕트를 구비하는, 소위 버스레프형의 스피커 시스템 및 2개의 관을 연결할 경우 등에 이용하는 끼워 넣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버스레프형의 스피커 시스템은 스피커 유닛의 배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저음을 덕트 내를 통과시킴으로써 위상 반전시켜, 스피커 유닛의 전방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저음과 동일한 위상으로 하여, 스피커 유닛의 전방면측으로 방사시킴으로써 저역의 특성을 개선시켜 저역을 증강시키는 것이다.
종래, 이 버스레프형의 스피커 시스템은 특허 문헌1(일본 특허 공개2003-61177호 공보)이나 특허 문헌2(일본 특허 공개2003-324795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스피커 인클로저(enclosure) 내에 스피커 유닛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덕트를 설치한 것으로 되어 있다.
도9에 이 종래의 스피커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를 도시한다. 이 스피커 시스템은 하우징(10), 프론트 배플(20) 및 리어 배플(30)로 이루어지는 스피커 인클로저 내에 스피커 유닛(1)이 수납되고 덕트(9)가 설치된 것으로, 스피커 유닛(1)은 개구(21)의 위치에서 프론트 배플(20)에 설치되고, 덕트(9)는 프론트 배 플(20)과 일체로 형성된다.
스피커 유닛(1)의 배면으로부터 발생한 저음은 덕트(9)의 후방 단부로부터 덕트(9) 내를 통과하여 프론트 배플(20)의 전방측으로 방사된다.
또한, 특허 문헌3(일본 특허 공개2006-253948호 공보)에는 버스레프형의 스피커 장치를 텔레비전 수신기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탑재할 경우와 같이 스피커 박스를 초박형화할 경우에도 버스레프용의 덕트의 경로를 길게 할 수 있도록 덕트의 경로를 구부리는 동시에 스피커 유닛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덕트 부분을 설치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위에서 예로 든 선행 기술 문헌은 이하와 같다.
<특허 문헌1> 일본 특허 공개2003-61177호 공보
<특허 문헌2> 일본 특허 공개2003-324795호 공보
<특허 문헌3> 일본 특허 공개2006-253948호 공보
그러나, 도9에 도시한 종래의 스피커 시스템에서는 덕트(9)의 전체 길이를 하우징(10)의 깊이(L)보다 짧게 해야 하기 때문에, 덕트(9)의 유효 길이를 충분히 크게 할 수 없어 충분한 저역 증강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물론, 하우징(10)의 깊이(L)를 길게 하면 덕트(9)의 유효 길이를 크게 할 수 있으나, 그렇게 하면 스피커 시스템이 커져 버릴뿐만 아니라 디자인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또한, 도9에 도시한 종래의 스피커 시스템에서는 덕트(9)의 후방 단부를 크게 개구한 곡면으로 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덕트(9) 내의 유속이 급격하게 변화되어 소음이 발생하기 쉽다.
프론트 배플(20)과는 다른 부품으로서, 크게 개구된 곡면을 갖는 관체를 작성하여 덕트(9)의 후방 단부면에 연결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그렇게 하면 제조 비용이 높아지고, 조립 공수가 많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버스레프형의 스피커 시스템으로서, 스피커 시스템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덕트의 유효 길이를 충분히 크게 할 수 있어 충분한 저역 증강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덕트를 확실히 밀폐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은,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전방면에 설치된 프론트 배플과,
이 프론트 배플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된 스피커 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설치된 리어 배플과,
이 리어 배플의 배면측에 끼워 맞추어진 끼워 넣기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프론트 배플에는 그 배면측에 덕트 전방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리어 배플에는 상기 스피커 유닛의 배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덕트 전방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덕트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동 시에,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덕트 연결부에 걸쳐 후방측으로 돌출된 단면 형상이 반통 형상인 끼워 넣기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상기 끼워 넣기부 및 상기 덕트 연결부의 배면에는 이들 삼자를 주회하는 홈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끼워 넣기부의 상기 홈의 외측의 벽에는 끼워 맞춤용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끼워 넣기 부품은 단면 형상이 반통 형상인 부품으로 하여, 골격부를 상대적으로 경질의 제1 수지 재료로 하고, 주연부를 상대적으로 유연한 제2 수지 재료로 하여 더블 몰드에 의해 형성되는 동시에, 그 상기 골격부의 외측면에는 끼워 맞춤용의 갈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덕트 전방부의 후방 단부면과 상기 덕트 연결부의 전방 단부면이 양자 사이가 밀폐되는 상태로 맞대어지고,
상기 주연부가 상기 홈 내에 그 저면에 맞닿는 위치까지 삽입되어, 상기 갈고리가 상기 구멍에 끼워 맞추어져 상기 끼워 넣기부 및 상기 끼워 넣기 부품에 의해 덕트 후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에서는 리어 배플의 스피커 유닛의 배면과 대향하는 개구부를 덕트 개시부로 하여, 여기로부터 리어 배플의 끼워 넣기부 및 끼워 넣기 부품에 의해 형성된 덕트 후방부를 통과하고, 또한 리어 배플에 형성된 덕트 연결부 및 프론트 배플에 형성된 덕트 전방부를 통과하여, 프론트 배플의 전방면측으로 빠지는 덕트가 형성되고, 덕트의 전체 길이를 하우징의 깊이에 비교해서 충분히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피커 시스템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덕트의 유효 길이를 충분히 크게 할 수 있어, 충분한 저역 증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끼워 넣기 부품은 골격부를 상대적으로 경질의 수지 재료로 하고, 주연부를 상대적으로 유연한 수지 재료로 하여 더블 몰드에 의해 형성되고, 주연부가 패킹 부재로서 작용하므로 덕트 후방부에 있어서도 덕트가 확실히 밀폐된다.
또한, 덕트 개시부가 되는 리어 배플의 개구부는 용이하게 크게 개구된 곡면으로 할 수 있어, 덕트 내의 유속의 급격한 변화를 억제하여 소음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1. 스피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 도1]
도1에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에서는 저역 공진용의 덕트(5)로서 리어 배플(30)의 스피커 유닛(1)의 배면과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하우징(10)의 후방측으로 전개되다가 방향을 바꾸어 하우징(10)의 내부를 관통하여 프론트 배플(20)의 전방면측으로 빠지도록 형성한다.
이것에 따르면, 덕트(5)의 전체 길이를 하우징(10)의 깊이(L)에 비하여 충분히 길게 할 수 있어 스피커 시스템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덕트(5)의 유효 길이를 충분히 크게 할 수 있어 충분한 저역 증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이 덕트(5) 내의 프론트 배플(20)로부터 후방으로 직선적으로 연장 되는 부분은 프론트 배플(20)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나, 하우징(10)의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는 리어 배플(30)측의 부분은 그 모두를 리어 배플(30)과 일체로 형성할 수 없어, 리어 배플(30)과 일체로 형성한 부분에 별도로 형성한 부품을 부착할 필요가 있으며, 그로 인해 부착부의 밀폐성의 확보가 문제된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부품에 다른 부품을 부착할 때에 밀폐성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우레탄이나 코르크 등의 개스킷을 사용하는 방법, 고무제의 O-링이나 히메론 등의 부직포를 이용하는 방법, 본드를 도포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개스킷을 사용하는 방법은 부착은 용이하게 할 수 있으나, 조합면이 3차원 형상이나 곡면이 되면 형상적으로 추종할 수 없어 평면에서의 맞대기에밖에 이용할 수 없다. O-링은 성형으로 작성하면, 어느 정도의 형상 추종이 가능하나 복잡한 형상의 부분이나 큰 부분에서는 하우징에의 세트가 곤란하게 된다. 부직포도 복잡한 형상이 되면 추종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드를 도포하는 방법이나, 액체 패킹을 사용하는 방법은 작업성이 나빠 공수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도포량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간극이 벌어져 비어져 나오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은,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구성한다.
[2. 스피커 시스템의 실시 형태 : 도2 내지 도6]
도2에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의 일례를 각 구성 부품을 분해한 상태로 도시한다.
이 예의 스피커 시스템은 스피커 유닛(1), 하우징(10), 프론트 배플(20), 리 어 배플(30), 끼워 넣기 부품(40), 방진 메쉬(51), 고무 패킹(52, 53, 54), 리어 커버(55) 및 받침대(56)에 의해 구성한다.
하우징(10)은 알루미늄 등에 의해 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일측에 다리부(11)를 형성한다.
받침대(56)는 상하의 틀체(57, 58) 사이에 스피커 유닛(1)을 구동하는 회로 등이 설치된 기판(59)을 수납하고, 하우징(10)은 상기 다리부(11)를 틀체(57)에 형성된 슬릿(57a)에 끼워 넣어 받침대(56)에 지지한다.
프론트 배플(20)은, 예를 들어 ABS의 몰드에 의해 형성한다. 프론트 배플(20)에는 스피커 유닛(1)의 전방면이 면하는 개구(21)를 형성하고, 설치용의 구멍(29)을 형성하는 동시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덕트 전방부(22)를 일체로 형성한다.
덕트 전방부(22)의 전방측의 개구부(23)는 크게 개구된 곡면으로 하고, 덕트 전방부(22)의 후방 단부면(24)은 전후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면으로 한다.
그리고, 개구(21)의 주변 위치이며 프론트 배플(20)의 배면에 스피커 유닛(1)을 설치하고, 하우징(10)의 전방면 오목부(12)에 고무 패킹(52)을 끼워 넣은 상태로 프론트 배플(20)의 주변부를 하우징(10)의 전방면에 맞대어 구멍(29)의 위치에 나사로 프론트 배플(20)을 하우징(10)에 설치하고, 그 후 방진 메쉬(51)를 프론트 배플(20)에 씌운다.
리어 배플(30)도, 예를 들어 ABS의 몰드에 의해 형성한다. 리어 배플(30)에는 스피커 유닛(1)의 배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부(32)를 형성하고, 설치용의 구 멍(39)을 형성하는 동시에, 프론트 배플(20)의 덕트 전방부(22)와 대향하는 위치에 덕트 연결부(33) 및 보강용 리브(34)를 일체로 형성하고, 배면측에 후술한 바와 같은 끼워 넣기부(35)를 일체로 형성한다.
리어 배플(30)의 끼워 넣기부(35)에는 이 끼워 넣기부(35)와 함께 덕트 후방부(38)를 형성하는 후술한 바와 같은 끼워 넣기 부품(40)을 끼워 넣는다.
그리고, 프론트 배플(20)의 덕트 전방부(22)의 후방 단부면(24)에 고무 패킹(53)을 끼워 넣고, 하우징(10)의 배면 오목부에 고무 패킹(54)을 끼워 넣고, 리어 배플(30)의 끼워 넣기부(35)에 끼워 넣기 부품(40)을 끼워 넣고, 리어 배플(30) 및 끼워 넣기 부품(40)의 배면측에 리어 커버(55)를 씌운 상태로 덕트 연결부(33)의 전방 단부면을 덕트 전방부(22)에 끼워 넣은 고무 패킹(53)에 맞대고, 리어 배플(30)의 주변부를 하우징(10)의 배면에 맞대고, 리어 커버(55)의 구멍(55a) 및 리어 배플(30)의 구멍(39)의 위치에 나사로 리어 배플(30) 및 리어 커버(55)를 하우징(10)에 설치한다.
도3 내지 도6에 리어 배플(30) 및 끼워 넣기 부품(40)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3은 끼워 넣기 부품(40)이 리어 배플(30)에 끼워 넣어지기 전의 상태를 배면측에서 본 도면이며, 도4는 끼워 넣기 부품(40)이 리어 배플(30)에 끼워 넣어지기 전의 상태를 전방면측에서 본 도면이며, 도5는 끼워 넣기 부품(40)이 리어 배플(30)에 끼워 넣어진 상태를 리어 배플(30)의 중앙 위치에서 단부면으로서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6은 도5의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도면이다.
리어 배플(30)의 배면측에는 개구(31)를 형성하는 개구부(32)의 통 형상 부 분(32a)으로부터 덕트 연결부(33)의 연장 부분(33a)에 걸쳐 후방측으로 돌출된 단면 형상이 반통 형상인 끼워 넣기부(35)를 일체로 형성한다.
또한, 개구부(32)의 통 형상 부분(32a), 끼워 넣기부(35) 및 덕트 연결부(33)의 연장 부분(33a)의 배면에는, 이들 삼자를 주회하는 홈(36)을 형성하는 동시에 끼워 넣기부(35)의 홈(36)의 외측의 벽에는 끼워 맞춤용의 구멍(37)을 복수 형성한다.
프론트 배플(20)의 덕트 전방부(22)의 개구부(23)와 마찬가지로, 리어 배플(30)의 개구부(32)도 크게 개구된 곡면으로 한다.
한편, 끼워 넣기 부품(40)은 단면 형상이 반통 형상인 부품으로서, 더블 몰드에 의해 골격부(41)를 상대적으로 경질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하고, 주연부(43)를 상대적으로 유연한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한다. 일례로서, 골격부(41)의 수지 재료로서는 ABS를 이용하고, 주연부(43)의 수지 재료로서는 엘라스토머를 이용한다.
또한, 골격부(41)의 주연부(43)에 가까운 외측면에는 끼워 맞춤용의 갈고리(볼록부)(42)를 복수 형성한다.
끼워 넣기 부품(40)은 그 주연부(43) 및 골격부(41)의 주연부(43)에 가까운 부분을 리어 배플(30)의 홈(36) 내에 주연부(43)가 홈(36)의 저면에 맞닿는 위치까지 삽입하여 끼워 넣기 부품(40)의 갈고리(42)를 리어 배플(30)의 끼워 넣기부(35)의 구멍(37)에 끼워 맞춘다.
이때,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워 넣기 부품(40)의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 는 주연부(43)가 ABS로 이루어지는 홈(36)의 저면 부분에 의해 0.2㎜ 정도 밀려서 변형되어 홈(36)의 저면 부분에 밀착되어 끼워 넣기부(35) 및 끼워 넣기 부품(40)에 의해 형성되는 덕트 후방부(38)가 확실히 밀폐되는 동시에 갈고리(42)가 구멍(37)에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그 밀폐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이 예의 스피커 시스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피커 시스템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덕트의 유효 길이를 충분히 크게 할 수 있어 충분한 저역 증강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덕트 개시부가 되는 리어 배플(30)의 개구부(32)로부터 덕트 종료부가 되는 프론트 배플(20)의 개구부(23)에 걸쳐 덕트를 확실히 밀폐할 수 있다.
게다가, 이를 위해 특별한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 동시에 조립 공수도 증가하지 않고, 단순히 더블 몰드에 의해 형성된 끼워 넣기 부품(40)을 리어 배플(30)에 끼워 넣기만 하면 된다.
또한, 덕트 개시부가 되는 리어 배플(30)의 개구부(32)도 용이하게 크게 개구된 곡면으로 할 수 있어, 덕트 내의 유속의 급격한 변화를 억제하여 소음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론트 배플(20)과 하우징(10) 사이 및 리어 배플(30)과 하우징(10) 사이를 각각 고무 패킹(52 및 54)에 의해 밀폐하는 대신에, 예를 들어 프론트 배플(20) 및 리어 배플(30)을 각각의 주연부를 엘라스토머 등의 상대적으로 유연한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하도록 더블 몰드에 의해 형성하고, 그 프론트 배플(20) 및 리어 배플(30)의 주연부를 하우징(10)에 끼워 맞추어, 프론트 배플(20)과 하우 징(10) 사이 및 리어 배플(30)과 하우징(10) 사이를 각각 밀폐하도록 해도 좋다.
프론트 배플(20)의 덕트 전방부(22)와 리어 배플(30)의 덕트 연결부(33) 사이에 관해서도 고무 패킹(53)에 의해 밀폐하는 대신에, 예를 들어 프론트 배플(20)을 그 덕트 전방부(22)의 후방 단부 가장자리를 엘라스토머 등의 상대적으로 유연한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하도록 더블 몰드에 의해 형성하고, 그 덕트 전방부(22)의 후방 단부 가장자리를 덕트 연결부(33)의 전방 단부면에 끼워 맞추어 덕트 전방부(22)와 덕트 연결부(33) 사이를 밀폐하도록 해도 좋다.
[3. 끼워 넣기 장치의 실시 형태 : 도7 및 도8]
본 발명에 따른 끼워 넣기 구조는 버스레프형의 스피커 시스템의 덕트 이외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7 및 도8에 그 일례를 도시한다. 도8은 도7의 라인 A-A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도시하고, 도6에 대응하는 것이다.
이 예는 기기 하우징(91)의 도7에 있어서 좌측의 기기 내부에 평행하게 배치된, 배기용 또는 배수용의 덕트 등을 구성하는 2개의 관(92 및 93)을 기기의 외측으로 연결하는 경우이다.
이 예의 끼워 넣기 장치(60)는 베이스 부품(70) 및 끼워 넣기 부품(80)에 의해 구성한다.
베이스 부품(70)은 기기 하우징(91)의 창부에 설치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ABS의 몰드에 의해 형성한다.
베이스 부품(70)은 상기한 예의 스피커 시스템의 리어 배플(30)에 대응하나, 이 예의 끼워 넣기 장치(60)에서는 베이스 부품(70)의 기기 내측이 되는 면측에는 2개의 통부(72 및 73)를 일체로 형성하고, 베이스 부품(70)의 기기 외측이 되는 면측에는 통부(72)의 연장 부분(72a)으로부터 통부(73)의 연장 부분(73a)에 걸쳐 상기한 예의 스피커 시스템의 리어 배플(30)의 끼워 넣기부(35)와 마찬가지의, 외측으로 돌출된 단면 형상이 반통 형상인 끼워 넣기부(75)를 일체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한 예의 스피커 시스템의 리어 배플(30)과 마찬가지로 통부(72)의 연장 부분(72a), 끼워 넣기부(75) 및 통부(73)의 연장 부분(73a)의 외측 단부면에는 이들 삼자를 주회하는 홈(76)을 형성하는 동시에 끼워 넣기부(75)의 홈(76)의 외측의 벽에는 끼워 맞춤용의 구멍(77)을 복수 형성한다.
한편, 끼워 넣기 부품(80)은 상기한 예의 스피커 시스템의 끼워 넣기 부품(40)과 마찬가지로 단면 형상이 반통 형상인 부품으로서 더블 몰드에 의해 골격부(81)를 상대적으로 경질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하고, 주연부(83)를 상대적으로 유연한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한다. 일례로서, 골격부(81)의 수지 재료로서는 ABS를 이용하고, 주연부(83)의 수지 재료로서는 엘라스토머를 이용한다.
또한, 골격부(81)의 주연부(83)에 가까운 외측면에는 끼워 맞춤용의 갈고리(볼록부)(82)를 복수 형성한다.
끼워 넣기 부품(80)은 그 주연부(83) 및 골격부(81)의 주연부(83)에 가까운 부분을 베이스 부품(70)의 홈(76) 내에, 주연부(83)가 홈(76)의 저면에 맞닿는 위치까지 삽입하여 끼워 넣기 부품(80)의 갈고리(82)를 베이스 부품(70)의 끼워 넣기부(75)의 구멍(77)에 끼워 맞춘다.
이때, 끼워 넣기 부품(80)의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주연부(83)가 ABS로 이루어지는 홈(76)의 저면 부분에 의해 0.2㎜ 정도 밀려 변형되어 홈(76)의 저면 부분에 밀착되어 끼워 넣기부(75) 및 끼워 넣기 부품(80)에 의해 형성되는 파이프부가 확실히 밀폐되는 동시에 갈고리(82)가 구멍(77)에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그 밀폐 상태가 유지된다.
이 예의 끼워 넣기 장치(6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끼워 넣기 부품(80)이 끼워 넣어진 상태의, 또는 끼워 넣기 부품(80)이 끼워 넣어지기 전의 베이스 부품(70)을 그 통부(72 및 73)를 관(92 및 93)에 맞대어 기기 하우징(91)에 설치하고, 끼워 넣기 부품(80)을 끼워 넣기 전에 베이스 부품(70)을 기기 하우징(91)에 설치할 경우에는 그 설치 후 상기한 바와 같이 끼워 넣기 부품(80)을 베이스 부품(70)에 끼워 넣는다.
이때, 예를 들어 관(92 및 93)의 베이스 부품(70)측의 단부면에 각각 고무 패킹을 끼워 맞추어 통부(72 및 73)를 그 고무 패킹에 맞대어 관(92)과 통부(72) 사이 및 관(93)과 통부(73) 사이를 각각 밀폐한다.
이에 의해, 관(92)과 관(93) 사이에서 끼워 넣기 장치(60)에 의해 형성되는 파이프부를 통하여 기체 또는 액체를 흘릴 수 있다.
또한,이 예에서는 관(92, 93) 내에 가득찬 이물질을 제거할 때나, 관(92, 93) 내를 청소할 때에는 일단 기체 또는 액체의 유통을 멈추게 한 후에 베이스 부품(70)의 구멍(77)이 형성된 벽을 외측으로 벌려 끼워 넣기 부품(80)의 갈고리(82)를 구멍(77)으로부터 제거하고, 끼워 넣기 부품(80)을 베이스 부품(70)으로부터 제 거하여, 통부(72, 73)의 연장 부분(72a, 73a)으로부터 관(92, 93) 내에 막힌 이물질을 제거하여 관(92, 93) 내를 청소할 수 있다.
끼워 넣기 장치가 설치되는 기기나 기구에 따라서는, 도7의 예와 같이 베이스 부품(70)의 내측에 통부(72 및 73)를 형성하는 일 없이, 베이스 부품(70)의 끼워 넣기부(75)의 양 단부를, 예를 들어 상기한 예의 스피커 시스템의 리어 배플(30)의 개구부(32)와 같은 개구부로 해도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의 일례를 각 구성 부품을 분해한 상태로 도시하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의 일례의 끼워 넣기 부품이 리어 배플에 끼워 넣어지기 전의 상태를 배면측에서 본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의 일례의 끼워 넣기 부품이 리어 배플에 끼워 넣어지기 전의 상태를 전방면측에서 본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의 일례의 끼워 넣기 부품이 리어 배플에 끼워 넣어진 상태를 리어 배플의 중앙의 위치에서 단부면으로서 도시하는 도면.
도6은 도5의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끼워 넣기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8은 도7의 라인A-A의 위치에서의 단부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9는 종래의 버스레프형의 스피커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스피커 유닛
5: 저역 공진용의 덕트
10: 하우징
20: 프론트 배플
30: 리어 배플
35: 끼워 넣기부
53: 고무 패킹
80: 끼워 넣기 부품
91: 기기 하우징

Claims (6)

  1.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전방면에 설치된 프론트 배플과,
    이 프론트 배플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된 스피커 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설치된 리어 배플과,
    이 리어 배플의 배면측에 끼워 맞춰진 끼워 넣기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프론트 배플에는 그 배면측에 덕트 전방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리어 배플에는 상기 스피커 유닛의 배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덕트 전방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덕트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덕트 연결부에 걸쳐 후방측으로 돌출된 단면 형상이 반통 형상인 끼워 넣기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상기 끼워 넣기부 및 상기 덕트 연결부의 배면에는 이들 삼자를 주회하는 홈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끼워 넣기부의 상기 홈의 외측의 벽에는 끼워 맞춤용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끼워 넣기 부품은 단면 형상이 반통 형상인 부품으로 하여 골격부를 상대적으로 경질의 제1 수지 재료로 하고, 주연부를 상대적으로 유연한 제2 수지 재료로 하여 더블 몰드에 의해 형성되는 동시에 그 상기 골격부의 외측면에는 끼워 맞춤용의 갈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덕트 전방부의 후방 단부면과 상기 덕트 연결부의 전방 단부면이 양자 사이가 밀폐되는 상태로 맞대어지고,
    상기 주연부가 상기 홈 내에 그 저면에 맞닿는 위치까지 삽입되어, 상기 갈고리가 상기 구멍에 끼워 맞추어져 상기 끼워 넣기부 및 상기 끼워 넣기 부품에 의해 덕트 후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배플은 상기 제1 수지 재료의 몰드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 재료가 ABS이며, 상기 제2 수지 재료가 엘라스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시스템.
  4. 베이스 부품과 끼워 넣기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부품에는 그 일면측인 외측으로 돌출된 단면 형상이 반통 형상인 끼워 넣기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끼워 넣기부의 상기 외측의 단부면에는 상기 끼워 넣기부를 주회하는 홈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끼워 넣기부의 상기 홈의 외측의 벽에는 끼워 맞춤용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끼워 넣기 부품은 단면 형상이 반통 형상인 부품으로 하여 골격부를 상대적으로 경질의 제1 수지 재료로 하고, 주연부를 상대적으로 유연한 제2 수지 재 료로 하여 더블 몰드에 의해 형성되는 동시에, 그 상기 골격부의 외측면에는 끼워 맞춤용의 갈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주연부가 상기 홈 내에 그 저면에 맞닿는 위치까지 삽입되어 상기 갈고리가 상기 구멍에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상기 끼워 넣기부 및 상기 끼워 넣기 부품에 의해 파이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워 넣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품은 상기 제1 수지 재료의 몰드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워 넣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 재료가 ABS이며, 상기 제2 수지 재료가 엘라스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워 넣기 장치.
KR1020080082207A 2007-08-24 2008-08-22 스피커 시스템 및 끼워 넣기 장치 KR200900210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17909 2007-08-24
JP2007217909A JP4366614B2 (ja) 2007-08-24 2007-08-24 スピーカシステムおよび嵌め込み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089A true KR20090021089A (ko) 2009-02-27

Family

ID=40382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207A KR20090021089A (ko) 2007-08-24 2008-08-22 스피커 시스템 및 끼워 넣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94853B2 (ko)
JP (1) JP4366614B2 (ko)
KR (1) KR20090021089A (ko)
CN (1) CN1013743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2787B2 (ja) * 2010-06-02 2012-08-15 ヤマハ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音源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エコーキャンセルシステム
US8459404B2 (en) * 2011-08-09 2013-06-11 Bose Corporation Loudspeaker
TWD162120S (zh) * 2013-02-22 2014-08-01 星電股份有限公司 音響導音管之部分
JP6177552B2 (ja) * 2013-03-15 2017-08-09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
JP5915572B2 (ja) * 2013-03-15 2016-05-11 ヤマハ株式会社 バスレフポートおよび管体
KR101334167B1 (ko) * 2013-03-29 2013-11-28 김선준 외부확장형 스피커
JP6215790B2 (ja) * 2014-08-01 2017-10-18 株式会社ニューギン 遊技機
CN107949878B (zh) * 2015-09-01 2021-12-21 株式会社电装电子 发声器
US9712911B2 (en) * 2015-12-22 2017-07-18 Bose Corporation Conformable adaptors for diffraction slots in speakers
JP6812706B2 (ja) * 2016-08-31 2021-01-13 ヤマハ株式会社 スピーカーシステム
CN106714048A (zh) * 2016-12-07 2017-05-24 韩旭 一种高性能扬声器振盆或无源辐射器
KR101965339B1 (ko) * 2017-10-31 2019-08-13 주식회사 디아이티랩 음향 기능을 갖는 공명 모듈러 가구
KR101956884B1 (ko) * 2018-03-15 2019-03-12 부전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 스피커 구조
US11457306B1 (en) 2021-08-02 2022-09-27 Robert Bosch Gmbh Loudspeaker port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938Y2 (ko) * 1987-12-17 1992-05-07
DE4205427A1 (de) * 1992-02-22 1993-08-26 Plastorbis Derissen & Mueller Schale fuer die ummantelung von rohren
JP2597037Y2 (ja) * 1993-10-12 1999-06-28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の嵌合構造
US6560343B1 (en) * 1996-04-22 2003-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peaker system
KR100188281B1 (ko) * 1996-04-22 1999-06-01 윤종용 텔레비젼용 스피커 시스템
US5929380A (en) * 1997-04-14 1999-07-27 The Siemon Company Outside corner fitting for use in a duct system
CN2303419Y (zh) * 1997-07-22 1999-01-06 陈添诚 高音质喇叭的疏音管
JP2000023280A (ja) * 1998-07-07 2000-01-21 Sony Corp スピーカ装置
CN2395489Y (zh) * 1999-06-14 2000-09-06 林智文 小型有源重低音箱
US6513624B2 (en) * 2000-02-03 2003-02-04 C. Ronald Coffin Loudspeaker enclosure
JP2003061177A (ja) 2001-08-15 2003-02-28 Sony Corp バスレフ型スピーカキャビネットのダクト
TW494999U (en) * 2001-09-28 2002-07-11 Hiwin Tech Corp Mortise jointed circulating device
JP2003324795A (ja) 2002-05-08 2003-11-14 Sony Corp スピーカおよびその駆動方法
CN2581788Y (zh) * 2002-11-12 2003-10-22 众钜工业股份有限公司 金属管配件保护装置
CN2607707Y (zh) * 2003-01-21 2004-03-24 录玛国际贸易有限公司 喇叭结构
JP3995632B2 (ja) * 2003-05-16 2007-10-24 シャープ株式会社 バスレフ型スピーカ装置及び該バスレフ型スピーカ装置を内蔵した映像表示装置
JP4306627B2 (ja) 2005-03-09 2009-08-05 ソニー株式会社 バスレフ型スピーカー装置,スピーカーボックス及び画像表示装置
CN2793506Y (zh) * 2005-05-27 2006-07-05 李世昌 挤塑聚苯乙烯泡沫塑料管壳
US20070215407A1 (en) * 2006-03-20 2007-09-20 Kun-Tien Chiang Loudspeak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74369B (zh) 2012-02-01
US20090052722A1 (en) 2009-02-26
JP2009055157A (ja) 2009-03-12
CN101374369A (zh) 2009-02-25
JP4366614B2 (ja) 2009-11-18
US8094853B2 (en) 201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1089A (ko) 스피커 시스템 및 끼워 넣기 장치
CN103282638B (zh) 空气清洁器组件和空气过滤元件
US8897481B2 (en) Grille attachment for loudspeaker
US20120250929A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Enclosure
JP2012193691A (ja) 吸気ダクト
CN111406223B (zh) 超声波传感器
US8649548B1 (en) Structure having acoustic transducer volume
JP2002021660A (ja) エアクリーナ
CN101325316B (zh) 具有密封结构的操作面板
JP5316861B2 (ja) 車両用スピーカ装置
KR20190035568A (ko) 외부 포트를 갖는 스피커 인클로저용 먼지 보호
JP2003161217A (ja) 吸気装置
KR101384525B1 (ko) 인테이크호스
US20090052723A1 (en) Speaker cabinet assembly for a speaker system
KR20070028899A (ko) 스피커 어셈블리 및 영상기기
KR100821104B1 (ko) 차량용 도어스피커의 설치구조
JPH10103173A (ja) 車両のフェンダ内遮音構造
JP4716914B2 (ja) 音声出力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
JPH05241574A (ja) 電子楽器
KR200208542Y1 (ko) 영상표시기기의 마이크장치
KR200374905Y1 (ko) 혼을 이용한 트위터 스피커
KR101337703B1 (ko) 자동차용 에어클리너와 스노클 결합구조
JP2012172397A (ja) 通気弁構造及び該通気弁構造を設置する方法
JP4901771B2 (ja) 音響装置
JP2020141895A (ja) ドラム式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