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0819A - 일방향 클러치 구조가 마련된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일방향 클러치 구조가 마련된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0819A
KR20090020819A KR1020070085408A KR20070085408A KR20090020819A KR 20090020819 A KR20090020819 A KR 20090020819A KR 1020070085408 A KR1020070085408 A KR 1020070085408A KR 20070085408 A KR20070085408 A KR 20070085408A KR 20090020819 A KR20090020819 A KR 20090020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lutch wheel
latch gear
base plate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1504B1 (ko
Inventor
이명현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5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1504B1/ko
Publication of KR20090020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26Output elements
    • E05B81/30Rotary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34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of 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46Clutch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방향 클러치 구조가 마련된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모터의 구동에 의해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기어의 해정상태가 제어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특히 일방향 클로치 구조를 적용하여 구조의 간소화를 이룩한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어 잠금장치, 전동식 해정구조, 일방향 클러치 구조, 클러치 휠, 래치기어, 파울

Description

일방향 클러치 구조가 마련된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Electrically-powered door lock device}
본 발명은 일방향 클러치 구조가 마련된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모터의 구동에 의해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기어의 해정상태가 제어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특히 일방향 클로치 구조를 적용하여 구조의 간소화를 이룩한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차량의 후미를 개방하는 테일 게이트 등, 차량의 도어에는 도어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도어의 시건 및 해정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잠금장치의 해정은, 일반적으로 핸들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최근 테일 게이트 등지에는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가 마련되어, 래치기어를 통해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의 구속 및 해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스위치나 리모컨의 조작에 의해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도어 잠금장치가 속속 개발되어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에는 일반적으로 래치기어를 일방향으로 절환시키는 잠김모터와; 래치기어를 구속하고 있는 파울을 일방향으로 절환시키는 개방모터가 각각 마련된 소위, 투모터 타입의 엑츄에이터가 마련되어, 전동식 해정작용이 이루어져 왔다.
상기 투모터 타입의 엑츄에이터는, 한쌍의 모터를 사용하고 또 그에 따른 연동구조를 개별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져 생산에 따른 부대비용이 증대되는 단점을 가지게 되고, 또 부피가 비대해져 설치에 따른 제약이 뒤따르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당 분야에서는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며, 구조의 간소화와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새로운 형태의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요구에 의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모터의 구동에 의해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기어의 해정상태가 제어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특히 일방향 클로치 구조를 적용하여 구조의 간소화를 이룩한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방향 클러치 구조가 마련된 도어 잠금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탄력적으로 축 설치되는 것으로, 걸림턱이 형성된 래치기어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탄력적으로 축 설치되어 래치기어의 절환을 구속하는 파울을 포함하여 구성된 해정부와;
정역 회전력을 생성하는 전동모터와; 축 설치되어 상기 전동모터와 연동하여 회전되며, 일면에 미늘형 구동돌기가 형성된 작동기어; 및 작동기어의 일편에 축 설치되는 것으로, 작동기어의 일면과 대향하는 대향면에는 미늘형의 종동돌기가 형성되며, 몸체에 래치기어를 간섭하여 일방향으로 절환시키는 연동돌기가 형성된 클러치 휠을 포함하여 구성된 전동식 엑츄에이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동모터가 정방향으로 구동에 의해 작동기어가 연동하여 회전되면, 상기 작동기어에 마련된 미늘형 구동돌기와 미늘형 종동돌기를 통해 일방향 클러치 구조를 이룬 클러치 휠도 연동하여 회전되고, 이때 클러치 휠에 마련된 연동돌기는 래치기 어의 걸림턱이 견착하여 절환시켜서, 래치기어의 절환이 구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래치기어를 구속하는 파울과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는 파울을 역방향으로 절환시키는 것으로 제 1 링크부재와 제 2 링크부재로 이루어진 해제링크가 마련되며, 상기 해제링크는, 제 1링크부재의 일단이 파울에 편심지게 축 설치되고, 제 2 링크부재의 일단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축 설치되는 한편, 상호 대향하는 제 1 링크부재와 제 2 링크부재의 타단은 힌지 결속상태를 이루고, 상기 클러치 휠의 일편에 위치되는 제 2 링크부재 또는 제 1 링크부재에는 절곡단이 형성되어서,
상기 전동모터가 역방향으로 구동되면, 클러치 휠은 축 방향으로 왕복 이송되면서 해제링크에 형성된 절곡단을 일편으로 절환시켜, 해제링크의 연동작용에 따른 파울의 역방향 절환이 이루어져, 파울에 의한 래치기어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기어와 클러치 휠은 동일축에 설치되며, 클러치 휠은 탄지부재에 의해 일방향으로 탄지되어 작동기어의 미늘형 구동돌기와 클러치 휠의 미늘형 종동돌기가 탄성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작동기어와 클러치 휠 사이에 미늘형 구동돌기와 미늘형 종동돌기로 이루어진 일방향 클러치 구조를 마련하여, 작동기어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클러치 휠은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래치기어를 일방향으로 절환시 키고, 작동기어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클러치 휠은 축 방향으로 왕복 이송되면서 래치기어를 구속하는 파울을 절환시키도록 구성된 일방향 클러치 구조가 적용된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는, 하나의 전동모터로 잠금 및 해제를 포함하는 해정작용이 가능하고, 또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서 제작 및 적용이 용이한 이점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는 정위치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일방향 클러치 구조가 채택되어, 종래 잠금수단이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기어를 일방향으로 절환시킨 후 역회전되어 원복되는 과정이 요구되지 아니하므로, 이에 따른 구조의 간소화가 요구되고, 또 작동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을 가진다. 즉, 클러치 기어는 래치기어를 절환시킨 후 역회전하지 아니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일방향 클러치 구조가 마련된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일방향 클러치구조가 마련된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 해정부의 전체 구성을 상세히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해정부의 해정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a)는 잠김과정을 (b)는 잠김해제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 엑츄에이터부의 전체 구성을 상세히 보여주는 것이며,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도어 잠금장치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 5는 잠김과정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의 잠김해제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1)는, 스트라이커를 구속하여 도어의 해정을 도모하는 해정부(100)와; 상기 해정부(100)의 해정작용을 제어하는 엑츄에이터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해정부(100)는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개구부(111)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탄력적으로 축(121) 설치된 래치기어(12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탄력적으로 축(131) 설치되어 래치기어(120)의 절환을 구속하는 파울(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면 상기 래치기어(120)에는 걸림턱(122)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도 3(a)와 같이 래치기어(120)의 걸림턱(122)을 견착하여 래치기어(120)를 일방향으로 절환시키게 되면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S)는 래치기어(120)에 구속되어서 도어의 잠김이 구현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기어(120)를 구속하는 파울(130)과 베이스 플레이트(110) 사이에는 한쌍의 링크부재(141, 142)로 이루어진 해제링크(140)가 마련된다.
도면을 보면 상기 해제링크(140)를 구성하는 제 1 링크부재(141)의 일단은 파울(141a)에 편심지게 축 설치되고, 제 2 링크부재(142)의 단부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축(142a) 설치된다. 그리고, 상호 대향하는 제 1 링크부재(141)와 제 2 링크부재(142)의 타단은 힌지(144) 결속상태를 이루며, 상기 제 2 링크부재(142)에는 절곡단(14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3(b)와 같이 상기 해제링크(140)의 절곡단(143)을 외측으로 절환시키면, 링크 연동작용에 의해 파울(130)의 절환이 이루어져, 파울(130)에 의한 래치기어(120)의 구속이 해제된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해정부(100)에 설치되어 전동식 해정작용을 도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엑츄에이터부(200)는, 기본적으로 일방향 클러치 구조가 적용되어 하나의 전동모터(10)를 통해 해정부의 전동식 해정작용을 도모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부연하자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엑츄에이터부(1)는, 정역 회전력을 생성하는 전동모터(210)와; 축(222) 설치되어 상기 전동모터(210)의 회전 축(211)과 연동하여 회전되며, 일면에 미늘형 구동돌기(231)가 형성된 작동기어(220); 및 작동기어(220)의 일편에 축(222) 설치되어, 일면과 대향하는 대향면에는 미늘형의 종동돌기(231)가 형성되며, 몸체에 래치기어(210)를 간섭하여 일방향으로 절환시키는 연동돌기(232)가 형성된 클러치 휠(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B는, 전동식 엑츄에이터의 각 구성요소들을 고정 플레이트임***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면 상기 전동모터(210)의 회전축(211)에는 웜기어(212)가 마련되어 있고, 작동기어(220)와 웜기어(212) 사이에는 한쌍의 치차부(241, 242)를 가진 변속기어(240)가 마련되어, 전동모터(210)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기어(220)는 원활한 회전이 구현된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 휠(230)은 작동기어(220)와 동일축(222)에 설치되어, 작동기어(220)의 일면에 형성된 미늘형 구동돌기(221)와 클러치 휠(230)의 대향면에 형성된 미늘형 종동돌기(231)는 마주보며, 또 상기 클러치 휠(230)은 코일 스프링(233)으로 이루어진 탄지부재에 의해 탄지되어, 코일 스프링(233)의 탄발력에 의해 대향면이 작동기어(220)의 일면과 탄성 밀착상태를 이룬다.
또한, 상기 클러치 휠(230)의 외경면에는, 래치기어(120)의 걸림턱(122)을 견착하여 래치기어(120)를 절환시키는 복수의 연동돌기(232)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클러치 휠(230)의 일편에는 상기 파울(130)과 베이스 플레이트(110) 사이에 형성된 해제링크(140)의 절곡단(143)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동모터(21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작동기어(220)가 정방향 으로 회전되면, 클러치 휠(230)은 미늘형 구동돌기(221)와 미늘형 종동돌기(231)로 이루어진 일방향 클러치 구조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된다.
이때,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 휠(230)의 외주면에 복수 형성된 연동돌기(232)는 선회궤적 상에 위치된 래치기어(120)의 걸림턱(122)을 견착하여 래치기어(120)를 일방향으로 절환시키게 되며, 래치기어(120)의 일방향 절환이 완료되면 파울(130)은 상기 래치기어(120)의 외주면을 구속하게 된다. 따라서, 전동모터(210)의 정방향 구동에 의해서 해정부(100)의 잠금상태가 구현된다.
그리고, 이 상태 즉, 파울(130)이 래치기어(120)를 구속한 상태(잠김상태)에서, 전동모터(210)가 역방향을 회전되어 작동기어(22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클러치 휠(230)은 미늘형 구동돌기(221)와 미늘형 종동돌기(231)로 이루어진 일방향 클러치 구조에 의해 회전하지 아니하고 축(222)방향으로 왕복 이송된다.
이때, 상기 클러치 휠(230)의 일편에 위치된 해제링크(140)의 절곡단(143)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축(222)방향으로 왕복 이송되는 클러치 휠(230)에 간섭을 받아 외측으로 절환되며, 따라서, 래치기어(130)를 구속하고 있는 파울(120)의 절환이 이루어져 래치기어(120)의 구속이 해제됨으로써, 해정부(100)의 개방상태가 구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일방향 클러치구조가 마련된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 해정부의 전체 구성을 상세히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해정부의 해정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a)는 잠김과정을 (b)는 잠김해제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 엑츄에이터부의 전체 구성을 상세히 보여주는 것이며,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도어 잠금장치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 5는 잠김과정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의 잠김해제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
100. 도어 잠금장치
110. 베이스 플레이트 111. 개구부
120. 래치기어 121. 축
122. 걸림턱
130. 파울 131. 축
140. 해제링크
141. 제 1 링크부재 141a. 축
142. 제 2 링크부재 142a. 축
143. 절곡단 144. 힌지
200. 엑츄에이터부
210. 전동모터 211. 회전축
212. 웜기어
220. 작동기어 221. 미늘형 구동돌기
222. 축
230. 클러치 휠 231. 미늘형 종동돌기
232. 연동돌기 233. 코일 스프링
240. 변속기어 241, 42. 치차부
243. 축
S. 스트라이커

Claims (5)

  1. 개구부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탄력적으로 축 설치되는 것으로, 걸림턱이 형성된 래치기어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탄력적으로 축 설치되어 래치기어의 절환을 구속하는 파울을 포함하여 구성된 해정부와;
    정역 회전력을 생성하는 전동모터와; 축 설치되어 상기 전동모터와 연동하여 회전되며, 일면에 미늘형 구동돌기가 형성된 작동기어; 및 작동기어의 일편에 축 설치되는 것으로, 작동기어의 일면과 대향하는 대향면에는 미늘형의 종동돌기가 형성되며, 몸체에 래치기어를 간섭하여 일방향으로 절환시키는 연동돌기가 형성된 클러치 휠을 포함하여 구성된 전동식 엑츄에이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동모터가 정방향으로 구동에 의해 작동기어가 연동하여 회전되면, 상기 작동기어에 마련된 미늘형 구동돌기와 미늘형 종동돌기를 통해 일방향 클러치 구조를 이룬 클러치 휠도 연동하여 회전되고, 이때 클러치 휠에 마련된 연동돌기는 래치기어의 걸림턱이 견착하여 절환시켜서, 래치기어의 절환이 구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클러치 구조가 마련된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기어를 구속하는 파울과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는 파울을 역방향으로 절환시키는 것으로 제 1 링크부재와 제 2 링크부재로 이루어진 해제링크가 마련되며, 상기 해제링크는, 제 1링크부재의 일단이 파울에 편심지게 축 설치되고, 제 2 링크부재의 일단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축 설치되는 한편, 상 호 대향하는 제 1 링크부재와 제 2 링크부재의 타단은 힌지 결속상태를 이루고, 상기 클러치 휠의 일편에 위치되는 제 2 링크부재 또는 제 1 링크부재에는 절곡단이 형성되어서,
    상기 전동모터가 역방향으로 구동되면, 클러치 휠은 축 방향으로 왕복 이송되면서 해제링크에 형성된 절곡단을 일편으로 절환시켜, 해제링크의 연동작용에 따른 파울의 역방향 절환이 이루어져, 파울에 의한 래치기어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클러치 구조가 마련된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돌기는 클러치 휠의 가장자리에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클러치 구조가 마련된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어와 클러치 휠은 동일축에 설치되며, 클러치 휠은 탄지부재에 의해 일방향으로 탄지되어 작동기어의 미늘형 구동돌기와 클러치 휠의 미늘형 종동돌기가 탄성 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클러치 구조가 마련된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지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클러치 구조가 마련된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
KR1020070085408A 2007-08-24 2007-08-24 일방향 클러치 구조가 마련된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 KR100891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408A KR100891504B1 (ko) 2007-08-24 2007-08-24 일방향 클러치 구조가 마련된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408A KR100891504B1 (ko) 2007-08-24 2007-08-24 일방향 클러치 구조가 마련된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819A true KR20090020819A (ko) 2009-02-27
KR100891504B1 KR100891504B1 (ko) 2009-04-06

Family

ID=40688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408A KR100891504B1 (ko) 2007-08-24 2007-08-24 일방향 클러치 구조가 마련된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150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648B1 (ko) * 2009-03-17 2011-07-12 주식회사 하이레버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
KR101326244B1 (ko) * 2012-02-16 2013-11-11 평화정공 주식회사 개방력 보조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래치
CN104675260A (zh) * 2013-11-27 2015-06-03 Lg电子株式会社 车辆用门开闭装置
CN106223735A (zh) * 2016-08-22 2016-12-14 合肥若涵信智能工程有限公司 指纹锁
CN106223734A (zh) * 2016-08-22 2016-12-14 合肥若涵信智能工程有限公司 指纹锁的开锁装置
CN106320834A (zh) * 2016-08-22 2017-01-11 合肥若涵信智能工程有限公司 指纹锁控制物联网系统
CN106337609A (zh) * 2016-08-22 2017-01-18 合肥若涵信智能工程有限公司 可视对讲的指纹锁
CN106869606A (zh) * 2015-12-10 2017-06-20 东隆五金工业股份有限公司 电控锁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25416C1 (de) * 1997-06-17 1999-01-21 Huf Huelsbeck & Fuerst Gmbh Drehfallenschloß,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KR200223460Y1 (ko) * 2000-11-28 2001-05-15 주식회사캄코 차량용 도어록 액츄에이터의 클러치
JP4546768B2 (ja) 2004-06-11 2010-09-15 株式会社アンセイ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及びその製法
JP4651523B2 (ja) 2005-12-02 2011-03-16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ドアラッチ装置用アクチュエータ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648B1 (ko) * 2009-03-17 2011-07-12 주식회사 하이레버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
KR101326244B1 (ko) * 2012-02-16 2013-11-11 평화정공 주식회사 개방력 보조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래치
CN104675260A (zh) * 2013-11-27 2015-06-03 Lg电子株式会社 车辆用门开闭装置
CN104675260B (zh) * 2013-11-27 2016-12-07 Lg电子株式会社 车辆用门开闭装置
CN106869606A (zh) * 2015-12-10 2017-06-20 东隆五金工业股份有限公司 电控锁闩
CN106223735A (zh) * 2016-08-22 2016-12-14 合肥若涵信智能工程有限公司 指纹锁
CN106223734A (zh) * 2016-08-22 2016-12-14 合肥若涵信智能工程有限公司 指纹锁的开锁装置
CN106320834A (zh) * 2016-08-22 2017-01-11 合肥若涵信智能工程有限公司 指纹锁控制物联网系统
CN106337609A (zh) * 2016-08-22 2017-01-18 合肥若涵信智能工程有限公司 可视对讲的指纹锁
CN106223735B (zh) * 2016-08-22 2018-06-15 合肥若涵信智能工程有限公司 指纹锁
CN106320834B (zh) * 2016-08-22 2018-06-15 合肥若涵信智能工程有限公司 指纹锁控制物联网系统
CN106223734B (zh) * 2016-08-22 2018-06-15 合肥若涵信智能工程有限公司 指纹锁的开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1504B1 (ko) 200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1504B1 (ko) 일방향 클러치 구조가 마련된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
JP6986951B2 (ja) 無段差開放操作部
US7926385B2 (en) Passive entry side door latch release system
CN101184900B (zh) 通用侧门锁
RU2339781C1 (ru) Замок
JP4775345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WO2010035638A1 (ja) ドアロック装置
US6099048A (en) Automotive door latching system
JP2016500134A (ja) 自動車ドアロック
JP2003090158A (ja) 車両用ゲートロック装置
CN110306887A (zh) 具有呈双掣爪构型的闩锁机构的闭合闩锁组件
US7140651B2 (en) Motor vehicle lock, especially for a trunk lid of a tailgate of a motor vehicle
US8448999B2 (en) Motor-driven lock with a rotary bolt
EP2952658B1 (en) Vehicle door lock device
KR101022207B1 (ko) 자동 잠금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래치
KR100891503B1 (ko) 일방향 클러치 구조가 적용된 도어 잠금장치용 전동식엑츄에이터
JP4233684B2 (ja) ドアロック操作装置
JP2022538316A (ja) 自動車ドア用ロック
US20220251886A1 (en) Door latch device and actuator
KR101024985B1 (ko) 자동차용 도어래치장치
EP1149967B1 (en) A lock mechanism
KR100899008B1 (ko)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
CN113389877A (zh) 齿轮装置和控制齿轮相对于壳体的壳体止挡件旋转的方法
KR100841555B1 (ko) 데드락 기능을 갖는 차량용 사이드 래치
JP2021055493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