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648B1 -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 - Google Patents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648B1
KR101048648B1 KR1020090022512A KR20090022512A KR101048648B1 KR 101048648 B1 KR101048648 B1 KR 101048648B1 KR 1020090022512 A KR1020090022512 A KR 1020090022512A KR 20090022512 A KR20090022512 A KR 20090022512A KR 101048648 B1 KR101048648 B1 KR 101048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motor
door lock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4231A (ko
Inventor
인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레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레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레버
Priority to KR1020090022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648B1/ko
Publication of KR20100104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03Wound springs
    • E05B2015/0406Wound springs wound in a cylindrical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대문 등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록의 개폐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모터를 매개로 구성하여 저전압으로 용이하게 설계가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별도의 라인공사 및 감전의 위험성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은, 대문 등의 개폐도어 측에 설치되어, 개폐도어의 개방 및 폐쇄를 위한 괘.해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개폐도어의 내.외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내부몸체 및 외부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내부몸체는,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넓적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앙의 격벽을 매개로 전원부와 제어기판이 설치되는 제어부 및, 괘.해정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동작부로 분리된 케이스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몸체에는 동작스위치가 형성된 덮개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케이싱 수단과; 상기 케이싱 수단의 동작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판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동수단과; 상기 케이싱 수단의 동작부 일측에 형성된 개방구를 통해 회동 가능한 상태로 개폐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 시 선택적으로 상기 개폐부재가 동작되면서 괘.해정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개폐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의 모터 구동에 따른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개폐부재 단속상태 를 해제시킴과 아울러 외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가 복귀될 시에 상기 개폐부재를 단속하도록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지털 도어록, 대문, 개폐도어, 괘.해정, 구동수단, 모터, 개폐수단, 개폐부재, 동작스위치, 저전압, 방수

Description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DIGITAL DOOR LOCK HAVING OPEN AND SHUT APPARATUS USING BY MOTOR}
본 발명은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문 등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록의 개폐부재를 모터를 매개로 구현하므로서, 저전압으로 용이하게 설계가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별도의 라인공사 없이도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록은 기계적인 괘.해정 메카니즘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므로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도어록의 단속 기능을 강화하게 되며, 특히 지문인식이나 비밀번호 등의 입력에 의해 도어를 개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만능키나 복제열쇠 등에 의해 임의로 도어가 개방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도 있는 등 높은 신뢰성을 갖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디지털 도어록은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의 현관문 및 사무실 출입문 등을 비롯하여 다수의 세대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대문에도 설치되어, 임의적인 외부인의 출입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대문 등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도어록은 대문의 개폐도어 내부 측에 설치되는 내부몸체 및 외부 측에 설치되는 외부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몸체에 구비되는 개폐부재가 대문의 일정 지점에 단속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대문 등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록에서, 종래에는 상기 내부몸체에 구비되는 개폐부재를 동작시켜 개폐도어의 괘.해정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수단이 솔레노이드를 매개로 구성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내부몸체 설계의 단순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를 매개로 한 디지털 도어록의 구동 시에는 고전압을 필요로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전원공급을 위한 별도의 라인공사가 필요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됨과 아울러, 수분의 침투 시에는 감전의 위험성도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대문 등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록의 개폐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모터를 매개로 구성하여 저전압으로 용이하게 설계가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별도의 라인공사 및 감전의 위험성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은, 대문 등의 개폐도어 측에 설치되어, 개폐도어의 개방 및 폐쇄를 위한 괘.해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개폐도어의 내.외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내부몸체 및 외부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내부몸체는;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넓적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앙의 격벽을 매개로 전원부와 제어기판이 설치되는 제어부 및, 괘.해정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동작부로 분리된 케이스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몸체에는 동작스위치가 형성된 덮개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케이싱 수단과; 상기 케이싱 수단의 동작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판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동수단과; 상기 케이싱 수단의 동작부 일측에 형성된 개방구를 통해 회동 가능한 상태로 개폐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 시 선택적으로 상기 개폐부재가 동작되면서 괘.해정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개폐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의 모터 구동에 따른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개폐부재 단속상태를 해제시킴과 아울러 외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가 복귀될 시에 상기 개폐부재를 단속하도록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케이스 몸체에 기둥형태로 돌출 형성된 모터설치홀을 통해 모터 브라켓트가 설치됨에 따라 그 내부에 모터가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모터의 회전축은 상기 케이스 몸체의 후측 내면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모터 브라켓트와 인접한 케이스 몸체 내면에는 상기 모터의 제어를 위한 모터 제어기판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케이스 몸체의 개방구 인접한 지점에 기둥형태로 돌출 형성된 다수 개의 개폐부재 설치홀을 통해 고정 설치되는 개폐부재 브라켓트와, 타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외주면 일측에는 개폐 단속을 위한 개폐홈이 요입 형성됨과 아울러 외주면 타측에는 걸턱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설치 브라켓트 내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을 매개로 설치되는 개폐부재 및,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 측에 상기 개폐도어의 개방을 위한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케이스 몸체의 종동기어 설치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며, 그 전면에는 돌기가 돌출 형성된 종동기어와, 상기 케이스 몸체의 연동부재 설치홀을 통해 바(bar) 형상의 일단이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그 타 단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종동기어의 돌기와 맞닿아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 시에 연동되도록 이루어진 연동부재와, 판형의 부재로 이루어져 후단의 일측 모서리 부분이 상기 연동부재 상면에 편심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연동부재의 유동에 따라 그 전단부가 전.후진 하면서 상기 개폐부재의 걸턱을 단속하도록 이루어진 단속부재와, 판형의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 몸체의 한 쌍의 가이드부재 설치홀을 통해 상기 단속부재의 상면에 설치되고 그 몸체의 후단부 측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편심회전축이 가이드되는 홈이 요입 형성되어 상기 단속부재의 이탈방지 및 가이드 작용을 행하는 가이드부재 및, 양단이 각각 상기 단속부재의 편심 회전축 및 상기 가이드부재 설치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단속부재가 개폐부재 측을 향한 탄성력을 갖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단속부재에는 조작홀이 상기 가이드부재의 홈과 연통되게 천공되어, 상기 덮개에 구비되는 동작스위치의 조작 시에 조작부재가 상기 조작홀을 통해 단속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몸체의 내부몸체 덮개 측에 구비되는 자동방식의 동작스위치는, 상기 덮개의 외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스위치의 설치를 위한 홀이 천공된 스위치 커버와, 상기 스위치 커버의 홀에 설치되는 동작버튼과, 상기 동작버튼의 후면에 코일형태로 밀착 설치되는 도전성 스프링과, 상기 도전성 스프링 내에 구비되어 상기 동작버튼의 조작상태를 기판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가압스위치 및, 상기 가압스위치 및 도전성 스프링과 대응되는 덮개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동작버 튼의 조작과 동시에 도전성 스프링을 통해 인체의 정전기를 받아들인 후 인체감지회로부를 통해 설정된 정전용량이 입력된 경우에만 도어 개방신호를 제어기판 측으로 전송하는 스위치 제어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스 몸체의 제어부와 대응되는 덮개 후면에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밀착패드가 부착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케이스 몸체 및 덮개의 각 결합홀에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끼움부재가 결합된 후 나사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디지털 도어록이 설치되는 개폐도어 외부면과 대응되는 외부몸체의 후면에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밀착패드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대문 등의 개폐를 위해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록의 개폐부재 구동수단을 모터를 매개로 구성하므로서, 제품을 저전압으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건전지 만으로도 대문용 디지털 도어록을 용이하게 구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대문용 디지털 도어록을 저전압으로 구동시킴에 따라, 감전의 위험성이 제거됨은 물론, 별도의 라인공사 등이 필요없게 되는 효과도 있게 된다.
또, 디지털 도어록의 내부몸체 및 외부몸체는 밀착패드 및 끼움부재가 구비되어,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이 완전히 차단되므로, 빗물이나 수분의 유입에 따른 제품의 고장 및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이 개폐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의 내부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의 내부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의 내부몸체에 결합되는 덮개 내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의 내부몸체에 구비되는 동작버튼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의 외부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은, 대문 등을 비롯한 각종 도어에 설치되어, 개폐도어(30)의 개방 및 폐쇄를 위한 괘.해정을 수행하도록 내부몸체(10) 및 외부몸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도어록의 구동수단을 모터(310)를 채용하여 특정 구조를 갖도록 구성함에 따라 구현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내부몸체(10) 및 외부몸체(20)로 이루어진 디지털 도어록에서, 상기 내부몸체(10)는 케이싱 수단과 구동수단과 개폐수단 및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 수단은 내부에 소정 공간부를 구비한 넓적한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 몸체(100) 및 상기 케이스 몸체(100)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기 위한 덮개(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케이스 몸체(100)의 내부 공간부는 중앙에 구비되는 격벽(102)을 통해 나뉘어져 제어부(110) 및 동작부(120)로 분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장치에 저전압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건전지가 수납되는 전원부(114) 및 디지털 도어록의 개폐를 비롯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기판(112)이 설치되게 되며, 상기 동작부(120)는 디지털 도어록의 괘.해정을 수행하기 위한 모터(310) 및 개폐부재(400)를 비롯한 각종 부품이 설치되게 된다.
또, 상기 덮개(200)에는 수동 및 자동으로 상기 디지털 도어록을 괘.해정 시킬 수 있도록 동작스위치(220) 및 동작버튼(230)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케이싱 수단의 동작부(120)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기판(112)의 제어에 따라 전원부(114)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모터(310)는 소정 형상을 갖는 모터 브라켓트(300)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몸체(100)에 기둥형태로 돌출 형성된 모터 설치홀(124)에 상기 모터 브라켓트(300)가 고정 설치됨에 따라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그 회전축은 상기 케이스 몸체(100)의 후측 내면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또, 상기 모터 브라켓트(300)와 인접한 케이스 몸체(100)의 내면에는 상기 제어기판(11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310)를 제어하기 위한 모터 제 어기판(320)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케이스 몸체(100)의 동작부(120) 일측에 천공된 개방구(122)를 통해 회동 가능한 상태로 개폐부재(400)가 설치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모터(310) 구동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400)가 선택적으로 동작되면서 개폐도어(30)의 괘.해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400)는 타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외주면 일측 길이방향으로는 개폐 단속을 위한 개폐홈(402)이 요입 형성되고 타원통형상의 외주면 타측 길이방향으로는 걸턱(404)이 형성된 상태에서 개폐부재 브라켓트(410) 내에 회전축(420)을 매개로 회동 가능한 상태로 고정 설치된다.
이에, 상기 개폐부재 브라켓트(410)가 상기 케이스 몸체(100)의 개방구(122) 인접한 지점에 기둥형태로 돌출 형성된 다수 개의 개폐부재 설치홀(126)을 통해 고정 설치됨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400)는 상기 케이스 몸체(100)의 개방구(122) 측에 설치되게 되며, 또한 상기 회전축(420)에는 토션스프링(422)이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400)의 걸턱(404) 단속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개폐부재(400) 측에 상기 개폐도어(30)의 개방을 위한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동력전달 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의 모터(310) 구동에 따른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개폐부재(400) 걸턱(404)의 단속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시킴과 아울러 외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400)가 복귀될 시에 상기 개폐부재(400)를 다시 단속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동력전달 수단은, 상기 모터(310)의 구동축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기어(500)와, 상기 케이스 몸체(100)의 종동기어 설치홀(128)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기어(500)와 맞물려 회전됨과 아울러 그 전면에는 돌기(512)가 돌출 형성된 종동기어(510)와, 상기 케이스 몸체(100)의 연동부재 설치홀(130)을 통해 바(bar) 형상의 일단이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그 타단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종동기어(510)의 돌기(512)와 맞닿아 상기 종동기어(510)의 회전 시에 연동되도록 이루어진 연동부재(520)와, 판형의 부재로 이루어져 후단의 일측 모서리 부분이 상기 연동부재(520) 상면에 편심 회전축(532)을 통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연동부재(520)의 유동에 따라 그 전단부가 전.후진 하면서 상기 개폐부재(400)의 걸턱(404)을 단속하도록 이루어진 단속부재(530)와, 판형의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 몸체(100)의 한 쌍의 가이드부재 설치홀(132)을 통해 상기 단속부재(530)의 상면에 설치되고 그 몸체의 후단부 측에는 상기 단속부재(530)의 편심회전축(532)이 가이드되는 홈(542)이 요입 형성되어 상기 단속부재(530)의 이탈방지 및 가이드 작용을 행하는 가이드부재(540) 및, 양단이 각각 상기 단속부재(530)의 편심 회전축(532) 및 상기 가이드부재 설치홀(132)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단속부재(530)가 개폐부재(400) 측을 향한 탄성력을 갖도록 하는 탄성부재(550)가 상호 결합된 상태로 구성되어, 상기 모터(310)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단속부재(530)가 개폐부재(400)를 선택적으로 단속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에는, 대문 등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록을 사용자가 개폐도어(30) 내부에서 해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작스위치(220) 및 동작버튼(230)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동작스위치(220) 및 동작버튼(230)은 한 쌍의 조작버튼이 설치되는 스위치 커버(210)를 통해 수동방식 및 자동방식으로 각각 구성되게 되는데, 먼저 자동방식은 사용자가 상기 덮개(200)에 구비된 자동방식의 동작버튼(230)을 가압함에 따라 그 신호가 스위치 제어기판(260)을 통해 제어기판(112) 측으로 전송되어 상기 제어기판(112)이 상기 모터(310)를 구동시키게 되고, 이에 모터(310)의 구동력이 상술한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개폐부재(400) 측으로 전달되면서 상기 개폐부재(400)의 단속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동작스위치(220)가 수동방식으로 구성되는데 있어서는, 상기 덮개(200)에 구비된 수동방식의 동작스위치(220)와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봉형상의 조작부재(222)가 상기 덮개(200)의 동작스위치(220) 후면 일측에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단속부재(530)에는 상기 가이드부재(540)의 홈(542)과 연통되도록 조작홀(534)이 천공되어 상기 조작부재(222)가 삽입 설치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동방식의 동작스위치(220)를 회전시킴에 따라 그 후면의 조작부재(222)가 원형상을 그리면서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조작홀(534) 내에 단부가 설치되는 조작부재(222)의 회전에 따라 상기 단속부재(530)가 이동되면서 상기 개폐부재(400)의 단속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의 내부몸체에 구비되는 동작버튼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에서, 상기 내부몸체(10)에 구비된 자동방식의 동작버튼(230)을 외부에서 소정 물체를 삽입하여 임의로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체감지회로를 추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스위치 커버(210) 일측 홀을 통해 자동방식의 동작버튼(230)이 설치되며, 그 후측으로 코일형태의 도전성 스프링(250)이 밀착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도전성 스프링(250) 내에는 상기 동작버튼(230)의 조작상태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가압스위치(240)가 설치된다.
또, 상기 도전성 스프링(250)과 밀착된 상태로 상기 덮개(200) 후면의 상기 스위치 커버(210)와 대응되는 지점에는 인체감지회로부가 구비된 스위치 제어기판(260)이 고정 설치된 후 케이스 몸체(100)의 제어기판(112)과 케이블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다.
상기 인체감지 기능을 갖는 스위치는 사용자가 외부의 동작버튼(230)을 가압함에 따라 도전성 스프링(250)을 통해 인체의 정전기를 받아들인 후, 상기 스위치 제어기판(260)에 정해진 정전용량이 입력될 경우에만 가압스위치(240)를 통한 개방요구 신호를 제어기판(112) 측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정전용량이 적거나 많은 경우에는 임의적인 조작으로 판단하여 열림을 승인하게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은 대문 등과 같이 외부의 노출된 장소에 설치되므로, 빗물 등의 수분이 디지털 도어록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특정 구조가 적용된다.
즉, 상기 케이스 몸체(100)의 제어부(110)와 대응되는 덮개(200) 후면에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밀착패드(270)가 부착 형성되어 내부를 밀폐시키게 되며, 상기 케이스 몸체(100) 및 덮개(200)의 다수 개의 결합홀에는 실리콘이나 고 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끼움부재(280)가 각각 끼워져 결합된 후 나사가 체결되어 내부를 완벽하게 밀폐시키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외부몸체(20) 후면의 후면 덮개(22) 전면 및 후면에도 각각 밀착패드(24)가 구비되어, 상기 외부몸체(20)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도록 구성되게 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의 내부 몸체(10) 및 외부몸체(20)를 대문 등의 개폐도어(30) 내면 및 외면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하게 되면, 개폐부재(400)가 모터(310)를 매개로 동작됨에 따라 대문 개폐장치를 저전압으로 구성할 수가 있게 되어, 별도의 배선작업 및 감전 위험을 제거할 수도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디지털 도어록을 통해 대문 등의 개폐도어(30)를 폐쇄시키는데 있어서는 주지된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 도어록이 설치된 개폐도어(30) 측에 폐쇄방향으로 폐쇄를 위한 가압력을 인가함에 따라, 상기 내부몸체(10)의 개방구(122) 측에 구비된 개폐부재(400)의 개폐홈(402)이 개폐도어(30)의 대응되는 지점에 구비된 폐쇄부재(도시안됨)에 걸린 상태로 회전축(420)을 매개로 회전되고, 상기 개폐부재(400)가 일정 각도이상 회전되면서 상기 개폐부재(400)의 걸턱(404)이 단속부재(530)에 단속되어, 견고한 폐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개폐도어(30)의 개방을 위해 사용자가 개폐도어(30)의 내부에서 내부몸체(10)에 구비된 동작버튼(자동)을 누르거나, 외부에서 외부몸체(20)에 구비된 다수의 키입력 버튼을 통해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내부몸체(10)에 구비된 제어기판(112)은 상기 개폐부재(400)의 단속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전원부(114)로부터의 전원이 모터(310)에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모터(310)가 설정된 회전수만큼 회전되도록 구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310)의 구동축에 설치된 구동기어(500)가 회전되면서 그와 맞물린 종동기어(510)가 일정 각도만큼 연동하여 회전되며, 상기 종동기어(510)의 회전에 따라 돌기(512)에 맞닿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진 연동부재(520)의 일단부가 연동하면서 일정 각도만큼 회전되게 된다.
또, 상기 연동부재(5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동부재(520)에 일측 모서리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단속부재(530)가 편심회전축(532)을 매개로 회전되어 일정 거리만큼 후퇴하면서 그 단부측에 걸린 개폐부재(400) 걸턱(404)의 단속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이에 따라 토션스프링(422)의 작용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400)가 탄성력을 인가받아 동작되면서 개폐도어(30)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540)는 단속부재(530)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연동부재(5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단속부재(530)가 전.후진 되도록 가이드 작용을 행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개폐도어(30)의 내부에서 내부몸체(10)에 구비된 수동방식으로 이루어진 동작스위치(220)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동작스위치(220) 의 후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조작부재(222)가 상기 단속부재(530)의 조작홀(534)에 삽입되어 직접 상기 단속부재(530)를 후퇴시켜 상기 개폐부재(400)의 단속상태를 해제시킬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이 개폐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의 내부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의 내부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의 내부몸체에 결합되는 덮개 내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의 내부몸체에 구비되는 동작버튼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의 외부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내부몸체, 20: 외부몸체, 22: 후면덮개,
24, 270: 밀착패드, 280: 끼움부재, 30: 개폐도어,
100: 케이스 몸체, 102: 격벽, 110: 제어부,
112: 제어기판, 114: 전원부, 120: 동작부,
122: 개방구, 124: 모터 설치홀, 126: 개폐부재 설치홀,
128: 종동기어 설치홀, 130: 연동부재 설치홀, 132: 가이드부재 설치홀,
200: 덮개, 210: 스위치 커버, 220: 동작스위치,
222: 조작부재, 230: 동작버튼, 240: 가압스위치,
250: 도전성 스프링, 260: 스위치 제어기판, 300: 모터 브라켓트,
310: 모터, 320: 모터 제어기판, 400: 개폐부재,
402: 개폐홈, 404: 걸턱, 410: 개폐부재 브라켓트,
420: 회전축, 422: 토션스프링, 500: 구동기어,
510: 종동기어, 512: 돌기, 520: 연동부재,
530: 단속부재, 532: 편심회전축, 534: 조작홀,
540: 가이드부재, 542: 홈, 550: 탄성부재.

Claims (8)

  1. 대문을 비롯한 각종 개폐도어 측에 설치되어, 개폐도어의 개방 및 폐쇄를 위한 괘.해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개폐도어의 내.외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내부몸체 및 외부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기 내부몸체는,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넓적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앙의 격벽을 매개로 전원부와 제어기판이 설치되는 제어부 및, 괘.해정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동작부로 분리된 케이스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몸체에는 동작스위치가 형성된 덮개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케이싱 수단과; 상기 케이싱 수단의 동작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판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동수단과; 상기 케이싱 수단의 동작부 일측에 형성된 개방구를 통해 회동 가능한 상태로 개폐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 시 선택적으로 상기 개폐부재가 동작되면서 괘.해정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개폐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의 모터 구동에 따른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개폐부재 단속상태를 해제시킴과 아울러 외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가 복귀될 시에 상기 개폐부재를 단속하도록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케이스 몸체에 기둥형태로 돌출 형성된 모터설치홀을 통해 모터 브라켓트가 설치됨에 따라 그 내부에 모터가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모터의 회전축은 상기 케이스 몸체의 후측 내면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모터 브라켓트와 인접한 케이스 몸체 내면에는 상기 모터의 제어를 위한 모터 제어기판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케이스 몸체의 개방구 인접한 지점에 기둥형태로 돌출 형성된 다수 개의 개폐부재 설치홀을 통해 고정 설치되는 개폐부재 브라켓트와,
    타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외주면 일측에는 개폐 단속을 위한 개폐홈이 요입 형성됨과 아울러 외주면 타측에는 걸턱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설치 브라켓트 내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을 매개로 설치되는 개폐부재 및,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 측에 상기 개폐도어의 개방을 위한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케이스 몸체의 종동기어 설치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며, 그 전면에는 돌기가 돌출 형성된 종동기어와,
    상기 케이스 몸체의 연동부재 설치홀을 통해 바(bar) 형상의 일단이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그 타단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종동기어의 돌기와 맞닿아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 시에 연동되도록 이루어진 연동부재와,
    판형의 부재로 이루어져 후단의 일측 모서리 부분이 상기 연동부재 상면에 편심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연동부재의 유동에 따라 그 전단부가 전.후진 하면서 상기 개폐부재의 걸턱을 단속하도록 이루어진 단속부재와,
    판형의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 몸체의 한 쌍의 가이드부재 설치홀을 통해 상기 단속부재의 상면에 설치되고 그 몸체의 후단부 측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편심회전축이 가이드되는 홈이 요입 형성되어 상기 단속부재의 이탈방지 및 가이드 작용을 행하는 가이드부재 및,
    양단이 각각 상기 단속부재의 편심 회전축 및 상기 가이드부재 설치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단속부재가 개폐부재 측을 향한 탄성력을 갖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재에는 조작홀이 상기 가이드부재의 홈과 연통되게 천공되어, 상기 덮개에 구비되는 동작스위치의 조작 시에 조작부재가 상기 조작홀을 통해 단속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몸체의 내부몸체 덮개 측에 구비되는 자동방식의 동작스위치는,
    상기 덮개의 외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스위치의 설치를 위한 홀이 천공된 스위치 커버와,
    상기 스위치 커버의 홀에 설치되는 동작버튼과,
    상기 동작버튼의 후면에 코일형태로 밀착 설치되는 도전성 스프링과,
    상기 도전성 스프링 내에 구비되어 상기 동작버튼의 조작상태를 기판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가압스위치 및,
    상기 가압스위치 및 도전성 스프링과 대응되는 덮개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동작버튼의 조작과 동시에 도전성 스프링을 통해 인체의 정전기를 받아들인 후 인체감지회로부를 통해 설정된 정전용량이 입력된 경우에만 도어 개방신호를 제어기판 측으로 전송하는 스위치 제어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몸체의 제어부와 대응되는 덮개 후면에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밀착패드가 부착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케이스 몸체 및 덮개의 각 결합홀에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끼움부재가 결합된 후 나사가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록이 설치되는 개폐도어 외부면과 대응되는 외부몸체의 후면에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밀착패드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
KR1020090022512A 2009-03-17 2009-03-17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 KR101048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512A KR101048648B1 (ko) 2009-03-17 2009-03-17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512A KR101048648B1 (ko) 2009-03-17 2009-03-17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231A KR20100104231A (ko) 2010-09-29
KR101048648B1 true KR101048648B1 (ko) 2011-07-12

Family

ID=43008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512A KR101048648B1 (ko) 2009-03-17 2009-03-17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6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840B1 (ko) 2013-01-23 2014-07-09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구에 의한 해정 조작이 방지되는 도어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24867A1 (en) * 2018-07-18 2020-01-23 Nexkey, Inc. Wireless electric lock co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2064A (ko) * 2007-04-11 2008-10-15 (주)비브 전자식 내화 도어락
JP2008248581A (ja) 2007-03-30 2008-10-16 Aisin Seiki Co Ltd ドア開閉制御装置
KR20090020819A (ko) * 2007-08-24 2009-02-27 평화정공 주식회사 일방향 클러치 구조가 마련된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8581A (ja) 2007-03-30 2008-10-16 Aisin Seiki Co Ltd ドア開閉制御装置
KR20080092064A (ko) * 2007-04-11 2008-10-15 (주)비브 전자식 내화 도어락
KR20090020819A (ko) * 2007-08-24 2009-02-27 평화정공 주식회사 일방향 클러치 구조가 마련된 전동식 도어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840B1 (ko) 2013-01-23 2014-07-09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구에 의한 해정 조작이 방지되는 도어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231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379B1 (ko)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CN111226017B (zh) 具有电动锁致动器的插芯锁组件
KR101048648B1 (ko)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
LU100905B1 (en) Changing a State of a Lock
WO2011011897A1 (de) Elektronische schliesseinrichtung
KR20110008878A (ko) 디지털 도어록
WO2021189737A1 (zh) 门锁及门系统
KR100920199B1 (ko) 도어용 잠금장치
KR200428164Y1 (ko) 구동모타를 내장한 도어록 모티스
WO2007054728A2 (en) Improved locking system
KR101409397B1 (ko) 도어 자동 잠금 장치
KR101037203B1 (ko) 개폐 기능이 개선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
CN110939317B (zh) 配有进入监控系统的控制把手
KR200166893Y1 (ko) 디지털 도어록
KR101513928B1 (ko) 전기식 잠금 모듈 및 이를 가진 도어 잠금 시스템
KR200407876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KR101253312B1 (ko) 전자로터리래치
KR200329242Y1 (ko) 디지털 도어록용 도어개폐 감지장치
KR101786988B1 (ko) 도어락 케이싱 유닛
KR100562053B1 (ko) 보조 자물쇠 개폐장치
KR101200440B1 (ko) 전자식 개폐장치
KR100734030B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CN201891305U (zh) 一种可手动或电子控制的锁具
KR200322393Y1 (ko) 전자도어록
KR100702440B1 (ko) 전자식 출입문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