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840B1 - 도구에 의한 해정 조작이 방지되는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도구에 의한 해정 조작이 방지되는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840B1
KR101417840B1 KR1020130007337A KR20130007337A KR101417840B1 KR 101417840 B1 KR101417840 B1 KR 101417840B1 KR 1020130007337 A KR1020130007337 A KR 1020130007337A KR 20130007337 A KR20130007337 A KR 20130007337A KR 101417840 B1 KR101417840 B1 KR 101417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push
touch
presse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필
백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1020130007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840B1/ko
Priority to PCT/KR2014/000577 priority patent/WO201411600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43Manually actuated switch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2Means for operating or controlling lock or fastening device accessories, i.e. other than the fastening members, e.g. switches,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도구에 의한 해정 조작이 방지되는 도어록 장치는: 전기 전도성을 띠는 터치 버튼과 누름 버튼; 상기 누름 버튼에 의해 눌려져서 누름 신호를 출력하는 누름 스위치와 사용자 손가락에 의한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터치 신호를 출력하는 정전용량 센서; 전기 전도성을 띠며 정전용량 센서 터치 버튼과 접촉하는 전도성 부재; 사용자 손가락의 누름에 의해, (1) 터치 버튼과 누름 버튼이 동시에 눌려졌을 때 정전용량 센서가 출력하는 터치 신호를 입력받고, 또한, (2) 터치 버튼과 누름 버튼이 동시에 더 깊게 눌려졌을 때 누름 스위치가 출력하는 누름 신호를 입력받으면, 소정의 해정 신호를 출력하는 해정 제어부; 및 데드볼트를 해정 상태 또는 잠금 상태로 구동시키는 잠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도구에 의한 해정 조작이 방지되는 도어록 장치{SECURED DOOR LOCK}
본 발명은 도구에 의한 해정 조작이 방지되는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측 도어록 장치에 구비된 해정 조작 버튼을 실외측에서 도구를 이용하여 강제로 조작하는 상황을 방지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한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장치(100)에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를 잠근 상태 또는 해제 상태로 설정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는 데드볼트(10)와, 데드볼트를 수동으로 전진 또는 후퇴시키기 위한 수동 손잡이(20)와, 자동으로 데드볼트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기 위한 조작 버튼(30)과, 실내 또는 실외에서 데드볼트를 조작할 수 없도록 차단하기 위한 강제 잠금 스위치(4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어록의 실내측 장치(100) 또는 실외측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전지가 삽입되는 전원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이 전원부를 덮는 덮개(50)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어록의 실내측 장치(100)는, 사용자가 실내에서 조작 버튼(30)을 누를 때마다 데드볼트(10)를 전진시키거나 후퇴시키도록 동작한다.
한편, 도 1(b)을 참조하여, 종래의 도어록 장치에서의, 조작 버튼의 단면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한다. 조작 버튼(30)은 스프링(32)에 의해 릴리즈 위치로 유지되는 탄성이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조작 버튼(30)을 누름에 따라, 조작 버튼의 안쪽에 배치된 돌출부(31)가 PCB(39)에 배치된 누름 스위치(38)를 누르게 된다. 이로써, 누름 스위치(38)가 소정의 감지 회로를 온/오프하게 되어 제어 회로에서는 누름 스위치(38)의 동작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되며, 데드볼트(10)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게 된다.
한편, 이러한 조작 버튼 구조에서는, 단지 버튼의 눌려짐에 따라 조작이 결정되기 때문에, 조작 버튼(30)이 사람의 손가락에 의해 눌려진 것인지, 또는 도구에 의해 눌려진 것인지 판단할 수 없다. 그래서, 불법적인 사용자가 임의의 도구를 문틈으로 밀어넣고 실외에서 그 도구를 이용하여 조작 버튼을 누르더라도, 도어록은 버튼의 조작에 대응하여 데드볼트를 해정시키게 될 것이다.
따라서, 손가락의 직접적인 조작이 아닌 불법적인 도구에 의해 조작 버튼이 눌려진 경우를 감지하고, 이 경우에는 도어록의 해정을 차단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가락의 조작이 아닌 도구에 의해 조작 버튼이 눌려져서 데드볼트가 해정되는 상황이 방지되는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구에 의한 해정 조작이 방지되는 도어록 장치는: 전기 전도성을 띠며, 릴리즈 위치로부터 눌려짐에 따라 제1 위치 내지 제2 위치를 지나 제3 위치까지 이동가능한 터치 버튼과; 상기 터치 버튼을 릴리즈 위치에 유지시키는 탄성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과; 제1 위치로부터 눌려짐에 따라 제2 위치를 지나 제3 위치까지 이동가능한 누름 버튼과; 상기 누름 버튼을 제1 위치에 유지시키는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과; 상기 누름 버튼이 제3 위치까지 눌려질 때, 상기 누름 버튼에 의해 눌려져서 누름 신호를 출력하는 누름 스위치와; 사용자 손가락에 의한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터치 신호를 출력하는 정전용량 센서와; 전기 전도성을 띠며 상기 정전용량 센서로부터 제2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어서, 상기 터치 버튼이 제2 위치까지 눌려졌을 때 상기 터치 버튼과 접촉하는 전도성 부재와; 사용자 손가락의 누름에 의해, (1) 상기 터치 버튼과 상기 누름 버튼이 동시에 제2 위치까지 눌려졌을 때 사용자 손가락이 상기 터치 버튼과 상기 전도성 부재를 통해 상기 정전용량 센서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정전용량 센서가 출력하는 상기 터치 신호를 입력받고, 또한, (2) 상기 터치 버튼과 상기 누름 버튼이 동시에 제3 위치까지 눌려졌을 때 상기 누름 스위치가 상기 누름 버튼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상기 누름 스위치가 출력하는 상기 누름 신호를 입력받으면, 소정의 해정 신호를 출력하는 해정 제어부와; 및 상기 해정 신호를 수신하여 데드볼트를 해정 상태 또는 잠금 상태로 구동시키는 잠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정전용량 센서는, 평상시에는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해정 제어부는, 상기 누름 스위치로부터 상기 누름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정전용량 센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활성화된 정전용량 센서로부터 상기 터치 신호가 출력된 경우에 상기 해정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 버튼의 몸체는, 사용자 손가락이 접촉하게 되는 상부면과 상기 누름 스위치를 누르게 되는 연장부를 갖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를 통해 개방된 제1 개방부와 상기 몸체의 측면을 통해 개방된 제2 개방부를 갖는 공동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터치 버튼은, 상기 공동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개방부를 통해 돌출되어 사용자 손가락이 누를 수 있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개방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터치 버튼이 제2 위치까지 눌렸을 때 상기 전도성 부재와 접촉될 수 있는 제2 돌출부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터치 버튼이 릴리즈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눌려지는 동안에는 상기 전도성 부재와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도성 부재는, 통전시 전기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전도성 재질의 탄성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버튼은 손가락의 접촉 및 누름에 따라 상기 릴리즈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까지 단독으로 눌려지고, 상기 제1 위치에서는 상기 터치 버튼의 최상부와 상기 누름 버튼의 상부면이 일치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실외에서 도구를 실내로 집어넣은 후, 도구를 조작하여 조작 버튼을 강제로 조작하는 상황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도어록 장치의 보안 유지 성능이 강화된다. 또한, 도구에 의한 해정 조작을 차단함에 있어서, 실내의 정당한 사용자에게 부가적인 불편함을 제공하지 않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장치의 예시 및 조작 버튼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구에 의한 해정 조작이 방지되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장치의 구성 및 조작 버튼의 구조를 보여주는 A-A'선을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조작 버튼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조작 버튼을 구성하는 요소들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조작 버튼의 구성들을 개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누름 스위치의 구성에 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조작 버튼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 2 내지 7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구에 의한 해정 조작이 방지되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조작 버튼(30)과, 정전용량 센서(37) 및 누름 스위치(38)와, 해정 제어부(12)와, 잠금부(14)와 데드볼트(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조작 버튼(30)은, 도어록 장치 중 실내측 장치(100)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조작 버튼(30)은 조작될때마다 데드볼트(10)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작 버튼(30)은 복수 개의 버튼이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작 버튼(30)은,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버튼(301)과, 누름에 의한 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누름 버튼(302)이 조합되어 하나의 조작 버튼(30)을 구성할 수 있다. 터치 버튼(301)과 누름 버튼(302)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조작 버튼(30)을 구성하는 터치 버튼(301)은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전하의 흐름을 중개할 수 있도록, 터치 버튼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전도성 재질로 구성되거나, 전도성 재질의 전극이 결합되거나, 전도성 재질이 도포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정전용량 센서(37)는, 터치 버튼(301)에 사용자 손가락이 접촉하거나 눌려질 때, 인체에 의한 정전용량을 감지한다. 즉, 정전용량 센서(37)는, 조작 버튼(특히, 터치 버튼)이 릴리즈 상태에 있을 때 감지되는 정전용량인 기준 정전용량보다 크거나 작은 정전용량이 감지된 경우(정전용량의 변화가 감지된 경우), 특정한 터치 신호를 출력한다.
누름 스위치(38)는, 누름 버튼(302)이 손가락에 의해 눌려질 때, 물리적인 누름을 감지한다. 즉, 누름 버튼(302)에서, 손가락이 접촉하게 되는 상부면의 반대쪽에는 PCB(39)에 배치된 누름 스위치(38)를 향하여 돌출된 기둥부(3024)가 구비될 수 있으며, 누름 버튼(302)이 눌려짐에 따라 기둥부(3024)가 누름 스위치(38)를 누르도록 구성된다. 누름 스위치(38)는 눌려짐에 따라 특정한 누름 신호를 출력한다.
해정 제어부(12)는, 정전용량 센서(37)에서 출력하는 터치 신호와 누름 스위치(38)에서 출력하는 누름 신호가 동시에 입력될 때, 데드볼트(10)를 이동시키기 위한 해정 신호를 출력한다. 해정 신호는 데드볼트(10)를 출입문을 향하여 돌출시킴으로써 잠금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데드볼트(10)를 도어록 장치 내부로 삽입시켜 해정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잠금부(14)는, 해정 제어부(12)에서 출력하는 해정 신호에 의하여 데드볼트(10)를 전진 또는 후퇴시킨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한 예시를 도 3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장치의 구성 및 조작 버튼의 구조를 보여주는 A-A'선을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조작 버튼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 3(a)은 도어록 장치 중 실내측 장치(100)를 도시하고 있는데, 실내측 장치(100)에서 조작 버튼(30)을 볼 수 있다. 데드볼트(10)는 조작 버튼(30)의 눌려짐에 대응하여 전진하거나 후퇴하여 도어록을 잠금 상태 또는 해정 상태로 전환한다.
도 3(b)은 도 3(a)에 도시된 실내측 장치(100)를 A-A'선을 따라 절단한 후, 조작 버튼(30)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조작 버튼(30)은, 손가락으로 누르게 되는 상부면(3021)이 도넛 형태와 같이 중앙에 개방된 형태(제1 개방부)(3022)를 갖는 누름 버튼(302)과, 누름 버튼의 내부에 형성된 공동에 배치되고 누름 버튼의 제1 개방부(3022)를 통해 누름 버튼의 외부로 돌출된 제1 돌출부(3011)를 갖는 터치 버튼(301)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에서 사용자는 조작 버튼으로부터 돌출된 봉 형태의 터치 버튼(301)을 손가락으로 접촉한 후 계속 누름으로써 터치 버튼(301)과 누름 버튼(302)을 동시에 누를 수 있다.
한편, 터치 버튼(301)은, 전기전도성을 띠도록 전체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터치 버튼(301)의 전체 또는 일부에 전도성 재질이 도포될 수도 있다. 터치 버튼(301)은, 스프링(제1 스프링)(310)에 의해 최초 위치(릴리즈 위치(PR))에 탄성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손가락이 접촉하고 누름에 따라 릴리즈 위치(PR)로부터 일정 깊이(터치 버튼의 최상부가 누름 버튼의 상부면(3021)과 일치하는 위치(제1 위치(P1)))까지는 독립적으로 눌려지다가, 제1 위치보다 더 깊이 눌려질 때에는, 터치 버튼(301)의 최상부가 누름 버튼(302)의 상부면(3021)과 일치하게됨에 따라 터치 버튼(301)과 누름 버튼(302)이 동시에 눌려지게 될 것이다.
누름 버튼(302)은, 손가락이 접촉하게 되는 상부면(3021)의 반대쪽은, 실내측 장치(100) 내부의 PCB(39)에 배치된 누름 스위치(38)를 누르도록 돌출된 기둥부(3024)가 구성될 수 있다. 누름 버튼(302)은 탄성 부재(320)에 의해 제1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터치 버튼(301)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눌려지면, 터치 버튼(301)은 제2 위치에서 전도성 부재(도면에서는 스프링(330)의 형태로 도시함)에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도성 부재(330)는 전기전도성을 띠도록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손가락을 실내측 장치(100) 내부의 PCB(39)에 구성된 정전용량 센서(37)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전도성 부재(330)는 누름 버튼의 기둥부(3024)의 둘레를 따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도성 부재(330)의 한쪽 끝부분은 PCB(39)의 정전용량 센서(37)(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장부(3301)를 구성하고 있다(도 5(d) 참조). 전도성 부재(330)의 다른 한쪽 끝부분은, 누름 버튼(302)과 함께 릴리즈 위치에 유지된 터치 버튼(301)의 제2 돌출부(3012)를 향하고 있으며, 터치 버튼이 릴리즈 위치로부터 제1 위치까지 이동할 때까지는 제2 돌출부(3012)와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터치 버튼(301)이 제2 위치까지 도달했을 때에 비로소 전도성 부재(330)와 터치 버튼(특히, 제2 돌출부(3012))가 서로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누름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버튼(301)의 제1 돌출부(3011)가 최초 위치(릴리즈 위치)로부터 눌려지기 시작하여 일정 깊이(제1 위치)까지 눌려지면 제1 돌출부(3011)의 최상부가 누름 버튼(302)의 상부면(3021)과 같은 높이가 되고, 이어서 계속 누르면, 손가락의 폭에 의해 터치 버튼의 제1 돌출부(3011)뿐만아니라 둘레의 누름 버튼의 상부면(3021)이 동시에 눌려지기 시작한다. 터치 버튼의 제1 돌출부(3011)와 누름 버튼의 상부면(3021)이 동시에 눌려져서 제2 위치까지 눌려지면, 전도성 부재(330)와 터치 버튼(301)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손가락의 정전용량이, 터치 버튼(301)의 제1 돌출부(3011)로부터 제2 돌출부(3012)를 통해, 그리고 전도성 부재(330)를 통해 정전용량 센서(37)에서 감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계속적으로 터치 버튼(301)의 제1 돌출부(3011)와 누름 버튼(302)의 상부면(3021)을 동시에 누르게 되면, 누름 버튼(302)의 기둥부(3024)가 PCB(39) 상의 누름 스위치(38)를 누르게 되는 제3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누름 스위치(38)에서는 눌려짐에 따라 누름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도 5는, 상술한 조작 버튼의 구성물들을 개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는 누름 버튼(302)의 형태를 보여준다. 상부에는 손가락이 접촉하게 되는 상부면(3021)과, 상부면의 대체적인 중앙 위치에 형성된 제1 개방부(3022)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면(3021)의 반대쪽으로는 누름 스위치를 누르기 위한 기둥부(30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누름 버튼(302)의 내부에는 공동(부호로 표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둥부(3024)의 측면에는 버튼이 눌려지는 방향(특히, 공동에 삽입될 터치 버튼이 눌려지는 방향)으로 제2 개방부(3023)가 형성되어 있다.
누름 버튼(302)의 일측에는 누름 버튼을 임의의 위치(즉, 제1 위치)에 탄성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탄성부재(320)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320)은 바 형태로써 도시되어 있으나, 코일 형태의 스프링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b)는 누름 버튼(302)의 내부에 형성된 공동에 삽입되는 터치 버튼(301)으로서, 누름 버튼(302)의 상부로 개방된 제1 개방부(3021)를 통해 돌출될 수 있는 제1 돌출부(3011)와, 누름 버튼의 측면에 형성된 제2 개방부(3023)를 통해 돌출될 수 있는 제2 돌출부(3012)를 갖는다. 터치 버튼(301)은 누름 버튼의 공동 내에서 눌려지는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다. 한편, 제1 돌출부(3011)의 최상부면과 제2 돌출부(3012)는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구성된다.
도 5(c)는 누름 버튼의 공동 내에서 터치 버튼을 밀어올리는 탄성을 작용하는 제1 스프링(310)이다. 이 제1 스프링(301)에 의해 누름 버튼(302)이 제1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터치 버튼(301)을, 제1 돌출부(3011)가 누름 버튼의 상부면(3021)보다 돌출된 릴리즈 위치까지 솟아오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5(d)는 전도성 부재의 형태를 보여준다. 전도성 부재(330)는 누름 버튼의 기둥부(3024)보다 큰 지름을 갖는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써 누름 버튼의 눌려짐에 대해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전도성 부재(330)는 스프링의 형태로 도시되었지만, 터치 버튼(301)이 누름 버튼(302)과 함께 눌려질 때 제2 돌출부(3012)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부재이면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도 6은 PCB(39) 상에 배치된 누름 스위치(38)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누름 스위치는 누름 버튼(30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누름 스위치(38)의 둘레에는 전도성 부재(330)를 안착시키기 위한 홈부가 형성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7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버튼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에서는, 터치 버튼(301)과 누름 버튼(302)이 모두 릴리즈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터치 버튼(301)의 제1 돌출부(3011)는 제1 스프링(310)의 탄성에 의해 누름 버튼(302)의 상부면(3021)보다 솟아오른 상태로 릴리즈 위치(PR)에 유지된다. 누름 버튼(302)은 탄성부재(320)에 의해 제1 위치(P1)에 유지되어 있다. 이때, 전도성 부재(330)는 어느 구성물과도 접촉하고 있지 않다. 또한, 누름 버튼의 기둥부(3024) 역시 누름 스위치(38)로부터 떨어진 상태이다.
도 7(b)은, 사용자가 터치 버튼(301)의 제1 돌출부(3011)를 제1 위치(P1)까지 누른 상태로서, 터치 버튼의 제1 돌출부(3011)의 최상부면이 누름 버튼(302)의 상부면(3021)과 동일한 위치가 되었다. 이 상태에서도 전도성 부재(330)는 어느 구성물과도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7(c)에서는, 터치 버튼(301)의 제1 돌출부(3011)와 누름 버튼(302)의 상부면(3021)을 동시에 조금 더 눌러서 제2 위치(P2)까지 이동시키면, 터치 버튼의 제2 돌출부(3012)가 측면의 전도성 부재(330)와 접촉하게 된다. 하지만, 제2 위치(P2)에서는(제3 위치(P3)까지 도달하기 전까지는) 아직도 누름 버튼의 기둥부(3024)가 누름 스위치(38)를 누르고 있지 않다.
이후, 사용자가 터치 버튼의 제1 돌출부(3011)와 누름 버튼(302)의 상부면(3021)을 동시에 제3 위치(P3)까지 누름으로써,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로소 누름 버튼의 기둥부(3024)가 누름 스위치(38)를 누르게 된다. 이렇게, 누름 버튼(302)이 누름 스위치(38)를 누르게 되는 상태는, 터치 버튼(301)이 정전용량 센서(37)와도 여전히 연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누름 버튼이 누름 스위치(38)를 누르게 되는 시점에서는, 누름 신호와 터치 신호가 동시에 출력되는 상태이다.
한편, 정전용량 센서(37)는, 사용자가 어떤 버튼도 누르지 않은 평상 상태에서는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된다. 더욱, 손가락이 터치 버튼(301)을 제2 위치까지 눌러서 터치 버튼(301)이 전도성 부재(330)를 통해 정전용량 센서(37)에 연결되더라도 여전히 정전용량 센서(37)는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된다.
해정 제어부(12)는 터치 버튼(301)과 누름 버튼(302)이 동시에 눌려져서 누름 스위치(38)로부터 누름 신호를 수신하게될 때 비로소 정전용량 센서(37)를 활성화시키고 터치 신호의 출력 여부를 검사한다. 그리고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잠금부(14)로 해정 신호를 출력할 것이다.
이와 같이, 정전용량 센서(37)를 누름 스위치(38)의 동작에 동기하여 활성화시킴으로써, 정전용량 센서(37)가 항시 접촉에 대기하여야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는 도어록 장치의 전력 소모를 줄이는 데에 기여한다.
한편, 누름 스위치(38)는 능동 소자가 아니라 해정 제어부(12)의 임의의 회로를 온/오프하기 위한 수동 소자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해정 제어부가 누름 스위치에 의한 회로의 온/오프를 감지하여, 누름 동작의 수행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누름 스위치에서 누름 신호를 출력한다"라고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정전용량 센서(37)를 항시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고, 해정 제어부(12)는, 터치 버튼(301)이 제2 위치까지 눌려짐에 따라 터치 신호가 출력되고, 이어서 누름 버튼(302)이 제3 위치까지 눌려짐에 따라 누름 신호가 순차적으로 및 연속적으로 출력될 때 해정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데드볼트(10)를 해정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접촉과 물리적인 누름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됨에 따라, 도구를 이용하여 조작 버튼을 누르는 불법적인 해정 조작 행위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전기 전도성을 띠며, 릴리즈 위치로부터 눌려짐에 따라 제1 위치 내지 제2 위치를 지나 제3 위치까지 이동가능한 터치 버튼과;
    상기 터치 버튼을 상기 릴리즈 위치에 유지시키는 탄성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눌려짐에 따라 상기 제2 위치를 지나 상기 제3 위치까지 이동가능한 누름 버튼과;
    상기 누름 버튼이 상기 제3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누름 버튼에 의해 눌려져서 누름 신호를 출력하는 누름 스위치와;
    사용자 손가락에 의한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터치 신호를 출력하는 정전용량 센서와;
    전기 전도성을 띠며 상기 정전용량 센서로부터 제2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어서, 상기 터치 버튼이 제2 위치까지 눌려졌을 때 상기 터치 버튼과 접촉하는 전도성 부재와;
    사용자 손가락의 누름에 의해, (1) 상기 터치 버튼과 상기 누름 버튼이 동시에 제2 위치까지 눌려졌을 때 사용자 손가락이 상기 터치 버튼과 상기 전도성 부재를 통해 상기 정전용량 센서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정전용량 센서가 출력하는 상기 터치 신호를 입력받고, 또한, (2) 상기 터치 버튼과 상기 누름 버튼이 동시에 제3 위치까지 눌려졌을 때 상기 누름 스위치가 상기 누름 버튼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상기 누름 스위치가 출력하는 상기 누름 신호를 입력받으면, 소정의 해정 신호를 출력하는 해정 제어부와;
    상기 해정 신호를 수신하여 데드볼트를 해정 상태 또는 잠금 상태로 구동시키는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 버튼의 몸체는, 사용자 손가락이 접촉하게 되는 상부면과 상기 누름 스위치를 누르게 되는 연장부를 갖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를 통해 개방된 제1 개방부와 상기 몸체의 측면을 통해 개방된 제2 개방부를 갖는 공동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터치 버튼은, 상기 공동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개방부를 통해 돌출되어 사용자 손가락이 누를 수 있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개방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터치 버튼이 제2 위치까지 눌렸을 때 상기 전도성 부재와 접촉될 수 있는 제2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구에 의한 해정 조작이 방지되는 도어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 센서는, 평상시에는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해정 제어부는, 상기 누름 스위치로부터 상기 누름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정전용량 센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활성화된 정전용량 센서로부터 상기 터치 신호가 출력된 경우에 상기 해정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구에 의한 해정 조작이 방지되는 도어록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터치 버튼이 릴리즈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눌려지는 동안에는 상기 전도성 부재와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구에 의한 해정 조작이 방지되는 도어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부재는, 통전시 전기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전도성 재질의 탄성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구에 의한 해정 조작이 방지되는 도어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버튼은 손가락의 접촉 및 누름에 따라 상기 릴리즈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까지 단독으로 눌려지고, 상기 제1 위치에서는 상기 터치 버튼의 최상부와 상기 누름 버튼의 상부면이 일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구에 의한 해정 조작이 방지되는 도어록 장치.
KR1020130007337A 2013-01-23 2013-01-23 도구에 의한 해정 조작이 방지되는 도어록 장치 KR101417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337A KR101417840B1 (ko) 2013-01-23 2013-01-23 도구에 의한 해정 조작이 방지되는 도어록 장치
PCT/KR2014/000577 WO2014116006A1 (ko) 2013-01-23 2014-01-21 도구에 의한 해정 조작이 방지되는 도어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337A KR101417840B1 (ko) 2013-01-23 2013-01-23 도구에 의한 해정 조작이 방지되는 도어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7840B1 true KR101417840B1 (ko) 2014-07-09

Family

ID=51227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337A KR101417840B1 (ko) 2013-01-23 2013-01-23 도구에 의한 해정 조작이 방지되는 도어록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17840B1 (ko)
WO (1) WO201411600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011B1 (ko) 2015-01-12 2016-04-20 주식회사 아마다스 도어락 장치
KR20170004348U (ko) * 2016-06-15 2017-12-26 차헌승 외부요인에 의한 잠금 해제가 방지되는 디지털 도어락
US10794090B2 (en) 2016-01-21 2020-10-06 Amadas Co., Ltd. Input device for door loc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1129A (ko) * 2005-09-27 2008-08-01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원격 제어 가능한 차량용 로킹 장치
KR20100107663A (ko) * 2009-03-26 2010-10-06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보안이 강화된 디지털 도어록 및 그 해정 방법
KR101048648B1 (ko) 2009-03-17 2011-07-12 주식회사 하이레버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9463A (ja) * 2001-10-01 2003-04-11 Heiwa Corp 遊技機の押しボタンスイッチ装置
KR20040043896A (ko) * 2002-11-20 2004-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푸시버튼
KR20130005178U (ko) * 2012-02-22 2013-08-30 주식회사 아이레보 개선된 전원 접속 단자 구조를 갖는 도어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1129A (ko) * 2005-09-27 2008-08-01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원격 제어 가능한 차량용 로킹 장치
KR101048648B1 (ko) 2009-03-17 2011-07-12 주식회사 하이레버 모터가 적용된 개폐기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
KR20100107663A (ko) * 2009-03-26 2010-10-06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보안이 강화된 디지털 도어록 및 그 해정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011B1 (ko) 2015-01-12 2016-04-20 주식회사 아마다스 도어락 장치
US10794090B2 (en) 2016-01-21 2020-10-06 Amadas Co., Ltd. Input device for door lock
KR20170004348U (ko) * 2016-06-15 2017-12-26 차헌승 외부요인에 의한 잠금 해제가 방지되는 디지털 도어락
KR200485613Y1 (ko) * 2016-06-15 2018-01-31 차헌승 외부요인에 의한 잠금 해제가 방지되는 디지털 도어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16006A1 (ko)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6459B2 (en) Key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key structure
EP2748927B1 (en) Intelligent capacitive swipe switch
CA2634875C (en) Injection device with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KR101417840B1 (ko) 도구에 의한 해정 조작이 방지되는 도어록 장치
CN108845724B (zh) 具有防止误触功能的电容式按键模块
JP5996113B2 (ja) スライド式信号入力装置
JP2006302251A (ja) 実体化したボタン機能付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TW201530368A (zh) 具切換功能之主動式觸控筆
US20200199911A1 (en) Electro-mechanical lock core
CN100401244C (zh) 具有实体按键功能的电容式触控板
US20150286311A1 (en) Passive touch pen
JP6576517B1 (ja) デュアルセンシングモードを有する押しボタンスイッチ
WO2016165489A1 (zh) 一种电子设备
CA3164916A1 (en) Visually impaired mode keypad
CN101776959B (zh) 静音鼠标
JP7214769B2 (ja) 収納装置
KR101602141B1 (ko)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및 그 제어방법
TWI335603B (en) Keypad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877089B2 (ja) ペ ン
CN114125091B (zh) 一种输入结构及电子设备
CN204126375U (zh) 锁芯盖机构
TW201727684A (zh) 具不同電感值之開關結構
JP4578380B2 (ja) タッチセンサー付きスイッチ装置
TWI711945B (zh) 觸發式觸控筆結構
JP5201032B2 (ja) タッチ指示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