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8035A - 전개형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용 이면 시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개형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용 이면 시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8035A
KR20090018035A KR1020087026109A KR20087026109A KR20090018035A KR 20090018035 A KR20090018035 A KR 20090018035A KR 1020087026109 A KR1020087026109 A KR 1020087026109A KR 20087026109 A KR20087026109 A KR 20087026109A KR 20090018035 A KR20090018035 A KR 20090018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nonwoven fabric
hydrophobic
absorbent article
embo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6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케시 우츠노미야
아키노리 후카에
케이지 토리고시
Original Assignee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18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0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2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 테이프의 착탈시의 이면 시트의 파손을 개선한다.
소수성 시트로 이루어지는 소수성 시트(12A)와 부직포 시트(2B, 12C)를 적층 압착시킴에 있어서, 소수성 시트(12A)와 부직포 시트(12B, 12C)를 핫멜트 접착제를 개재시켜서 적층시킨 후, 열압착시켜 형성된 것으로서, 소수성 시트(12A)와 부직포 시트(2B, 12C)의 접착 강도가 부직포 시트(12B, 12C)에 상기 수재(雄材; Y)를 고정시켰을 때의 박리 강도보다도 높고, 또한 KES의 굽힘시험에 있어서의 측정값이 0.05~0.50g·㎠/cm인 이면 시트(12)를 사용한다.
흡수성 물품, 고정 테이프, 시트, 수재, 암재, 걸림부, 핫멜트 접착제, 열압착

Description

전개형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용 이면 시트의 제조방법 {UNFOLDING TYPE ABSORBENT ARTICLE AND PROCESS FOR PRODUCING BACK SHEET FOR 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전개형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용 이면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양 시트 사이에 개재된 흡수체를 구비하며, 등측부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에 배치된 고정 테이프를 배측부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고정부에 고정해서 착용하는 전개형의 일회용 기저귀는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저귀의 이면 시트는 오랜 동안 소수성 시트가 단독으로 사용되어 왔지만, 촉감이나 사용감 향상을 위해 소수성 시트의 외측면(착용시에 외측이 되는 면)에 부직포 시트를 적층 접착한 것이 사용되게 되었다. 그리고, 이 적층구조의 이면 시트는, 초기는 소수성 시트에 부직포 시트를 단순히 겹친 상태로 열 롤이나 엠보싱 롤 등의 롤에 공급해서 열압착하여 제조하고 있었지만, 양 시트를 롤에 공급할 때까지 양 시트의 텐션 차에 따른 겹침 어긋남이나 기기 진동에 의한 겹침 어긋남이 생겨, 엠보싱이 불충분해지거나 압착이 불충분해지거나 하는 일이 있어, 미 리 양 시트를 핫 멜트 접착제로 접착하는 등 한 후에 롤에 공급하도록 개선되게 되었다.
한편, 이런 종류의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고정 테이프의 전부 또는 일부를 면 패스너의 수재(雄材)로 형성함과 함께, 배측 몸통부의 소정 위치에 폭방향에 걸쳐 암재(雌材)를 접착해서 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재를 걸림부인 암재에 압접시켜 걸리게 하여 고정을 행하도록 한, 고정기구로서 면 패스너 기구를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면 시트를 외면측의 부직포 시트로 구성하도록 되었으므로, 이 경우에 특히 그 이면 시트의 배측 몸통부에 폭방향에 걸쳐 엠보싱 가공하는 등 해서 이면 시트 그 자체에 걸림부를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이와 같이 이면 시트 자체에 걸림부를 형성한 소위 타겟 테이프리스(target tapeless)라고 불리는 면 패스너 기구를 채용하는 것이 시판에 제공되게 되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평10-10937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 평7-285187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공개특허 평9-253130호 공보
그러나, 종래 타겟 테이프리스의 기저귀에서는 고정 테이프를 붙이고 떼어냄에 수반하여 이면 시트를 구성하는 소수성 시트와 부직포 시트가 층간 박리되거나 부직포 시트가 파손되거나 하는 일이 많이 있었다. 그래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양자를 접착하기 위한 핫멜트 접착제의 증량, 혹은 접착 강도 향상을 위한 엠보싱 양 증가와 같은 수단이 시도되고 있지만, 이들 단독으로 층간 박리를 완전히 방지하고자 하면, 어느 방법을 채용해도 이면 시트가 단단해져, 촉감이 악화되어 사용감이 매우 나쁜 것이 된다.
한편, 핫멜트 접착제량의 증가와 엠보싱 가공의 증가를 단순히 절충하고자 하면, 제조시에 있어서 핫멜트 접착제로 접착한 후에 엠보싱 롤에 공급할 때에, 엠보싱 롤의 열에 의해 핫멜트 접착제가 용융하여 부직포면으로부터 스며나와 양 시트가 엠보싱 롤에 달라 붙어 조업 트러블을 발생시킨다는 제조상의 문제가 생기는 것이 지견되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주 과제는, 촉감, 부드러움을 손상시키지 않고, 소위 타겟 테이프리스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의 고정 테이프를 붙이거나 떼어낼 때의 이면 시트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에 있다. 다른 과제는, 이면 시트 제조시에 있어서의 핫멜트 접착제에 기인하는 엠보싱 롤에의 부착을 방지하여, 조업 트러블 및 이면 시트의 촉감 저하를 방지하는 것에 있다. 또 다른 과제는, 고정자가 재시도를 하지 않고 확실한 위치에서 고정하기 쉽도록 함과 함께, 장착자에 있어서의 샘 방지도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 및 그 작용 효과는 다음 기재하는 대로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양 시트 사이에 개재된 흡수체를 구비하며, 등측 또는 배측부의 어느 한쪽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에 고정 테이프가 배치되고, 이 고정 테이프의 일부 또는 전부가 면 패스너의 수재로 형성되며, 이 수재를 배측부 혹은 등측부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 사이에 배치된 걸림부에 걸어 착용하는 전개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이면 시트가, 소수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소수성 시트와 상기 물품의 외면을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를 핫멜트 접착제를 개재시켜서 적층시킨 후, 열압착시켜 형성된 것이며, 상기 소수성 시트와 부직포 시트의 접착 강도가 부직포 시트에 상기 수재를 고정시켰을 때의 박리 강도보다도 높고, 또한 KES의 굽힘시험에 있어서의 측정값이 0.05~0.50g·㎠/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형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고정 테이프가 걸리는 걸림부에서는 붙이고 떼어냄(착탈)에 수반하여 적층된 이면 시트에 대해서도 박리시키는 힘이 가해지므로, 소수성 시트와 부직포 시트의 접착 강도가 부직포 시트에 수재를 고정시킨 후 박리시킬 때의 박리 강도보다도 낮으면, 층간 박리나 부직포 시트의 파손이 생기지만, 본 발명은, 소수성 시트와 부직포 시트의 접착 강도가 부직포 시트에 상기 수재를 고정시킨 뒤 박리시킬 때의 박리 강도보다도 높으므로, 이러한 파손이 생기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전개형 흡수성 물품은 이면 시트의 KES의 굽힘시험에 있어서의 측정값이 0.05~0.50g·㎠/cm 이므로, 제품에 있어서의 촉감, 부드러움이 우수하고, 게다가 제품에 힘(stiffness)이 있어 장착시에 꺾여 뒤집히는 등의 문제가 생기는 일은 없다
또한, 부직포 시트에 수재를 고정시켰을 때의 박리 강도 200gf를 하회하는 경우 등은 제품 장착시에 있어서 테이프가 어긋나는 일 등이 발생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지나치게 높을 경우, 부직포 시트에 수재를 고정시켰을 때의 박리 강도가 1000gf를 넘을 경우는, 착탈에 필요한 힘이 커져 사용하기 매우 어려운 제품이 되어버린다.
따라서, 소수성 시트와 부직포 시트의 접착 강도는 200~1000gf/25mm가 적합하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
상기 소수성 시트와 상기 부직포 시트의 사이에 사용되는 핫멜트 접착제의 사용량이 0.5~30.0g/㎡인 청구항 1에 기재된 전개형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각 시트간의 핫멜트 접착제의 사용량은 0.5~30.0g/㎡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사용량이면, 핫멜트에 의한 경화가 방지되어, 촉감이 우수한 흡수성 물품용 이면 시트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을 얻을 수 있다. 또, 이면 시트 제조시에 있어서의 엠보싱 부여시에, 핫멜트 접착제가 스며나오거나 엠보싱 롤에 휘감기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어, 제조 용이한 일회용 기저귀가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
상기 소수성 시트와 상기 부직포 시트를 상기 핫멜트 접착제를 개재시켜서 적층한 후, 상기 부직포 시트측이 엠보싱 롤의 볼록 롤측이 되도록 해서 엠보싱 가공을 하면서 열압착한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전개형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소수성 시트가 가열 엠보싱 롤에 대해 부착되기 어려워지고, 이로써 엠보싱 롤에의 감김에 의한 조업 트러블의 우려가 현격히 작아진다. 그 결과, 핫멜트의 경화가 방지되어, 촉감이 우수한 흡수성 물품용 이면 시트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을 얻을 수 있다.
또, 부직포로부터의 스며나옴이 적고, 엠보싱 롤에의 부착도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종래보다도 다량의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이로써 양 시트간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양 시트 사이에 다른 부직포 시트를 적합하게 개재시킬 수도 있게 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
상기 열압착전에 상기 소수성 시트와 부직포 시트의 사이에 이들과는 다른 별도 부재 시트를 부분적으로 혹은 전체에 걸쳐 개재시킨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개형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별도 부재 시트를 개재시킴으로써, 다양성이 풍부한 다층 구조의 이면 시트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부분적으로 별도 부재 시트가 개재된 부피가 큰 부분을 형성할 수 있게 됨과 함께, 층간 박리되기 어려운 튼튼한 층구조의 이면 시트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
상기 별도 부재 시트가 소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부직포인 청구항 4에 기재된 전개형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별도 부재 시트로서 소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부직포를 사용하면, 부드러움을 확보하면서 부피가 커지는 등, 다양성이 풍부한 이면 시트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
상기 걸림부에만 상기 열압착이 실시된 청구항 4 또는 5에 기재된 전개형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열압착하면 그 부분의 촉감은 저하하지만, 열압착하는 것을 걸림부만으로 함으로써, 전체적으로는 촉감이 우수한 흡수성 물품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
상기 걸림부가 좌우 한쌍의 걸림부로 구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제품의 적어도 폭방향 중심에서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그 이간부에는 수재의 걸림이 사용상 충분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6에 기재된 전개형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의 걸림부는 배측 몸통부의 폭방향의 중심부에서 양 옆을 향해서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지만, 폭방향의 중심부가 걸림에 이용되는 일은 거의 없다. 그래서, 걸림부의 폭방향 중앙에 이간부를 형성함으로써 열압착에 의해 경화하는 범위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전체적으로는 촉감이 우수한 흡수성 물품으로 할 수 있다.
또,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의 걸림부는 배측 몸통부의 폭방향의 중심부에서 양 옆을 향해서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을 하는 자(이하, 고정자라고도 한다)가 한쪽의 고정 테이프를 중심부에 혹은 중심부를 걸치거나 넘거나 해서 다른쪽의 고정 테이프측에 용이하게 고정해버릴 수 있고, 게다가 이러한 중심부 등에 고정 테이프를 고정해버리는 일이 많이 있다.
예를 들면 장착자가 유아일 경우 등은 고정자의 의도에 반하여 이리저리 돌아다니는 경우가 있어, 순간적으로 고정작업을 행할 때에 이러한 고정 태양(態樣)이 생겨버리는 일이 있다. 또, 고정자 스스로 장착자가 되는 경우에는, 통상, 한쪽의 손으로 고정 테이프를 잡고 다른쪽의 손으로 사이드 플랩을 잡아 고정을 행하지만, 이럴 때 피트감을 높이고자 대부분의 경우 양자를 가까이 끌어 당겨 걸고자 하므로, 이 때 손으로 잡고 있지 않은 측의 사이드 플랩 사이가 열려, 이로 인해 중심부 근방에 걸어 버리는 일도 많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중심부에 혹은 중심부를 넘어 고정 테이프를 걸리게 한 경우, 대개의 경우는 고정작업의 재시도를 필요로 하게 되고, 그 넘어감이 적어 장착자가 그대로 장착을 계속하면 장착자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어긋남이 커져 샘의 우려가 높아지게 된다.
본 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걸림부가 좌우 한쌍의 걸림부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제품의 적어도 폭방향 중심에서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그 이간부에 있어서는 수재의 걸림이 사용상 충분하지 않으면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고정자가 재시도를 하지 않고 확실한 위치에서 고정하기 쉬워짐과 함께, 장착자에게 있어서의 샘방지도 이루어지게 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
상기 걸림부와 그 주변에만 상기 별도 부재 시트를 배치한 청구항 4~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개형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별도 부재 시트에 의해 부피가 커진 부분에 열압착함으로써, 열압착부의 요철차가 커져, 걸어맞춤력이 우수한 걸림부로 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
상기 핫멜트 접착제의 도포 패턴이 물품 전후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연속하는 도포 선이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열 형성된 패턴이며, 상기 도포 선의 폭이 0.1~3mm이며, 또한 상기 소수성 시트의 90% 이상의 면적에 도포되어 있거나, 혹은,
상기 핫멜트 접착제의 도포 패턴이 점 형상의 도포 점이 산점(散點) 형상으로 형성된 패턴이며, 상기 도포 점의 면적이 0.05~5㎟이며, 또한 상기 소수성 시트의 90% 이상의 면적에 도포되어 있는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개형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핫멜트 접착제의 도포 패턴으로서는 본 항 기재와 같이 선 형상 또는 점 형상의 것이 제조 용이하므로 바람직하다. 또, 균일한 도포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제품의 촉감이 향상한다. 특히, 후술하는 내수압을 확보할 경우, 총 도포 면적이 지나치게 적으면 부직포 자체의 액차단성이 높아도 액차단 지속성이 부족되기 쉬워지고, 선 폭 또는 점 면적이 지나치게 좁으면, 총 도포 면적이나 도포량에 관계없이 액차단 지속성이 부족되기 쉬워지며, 선 폭 또는 점 면적이 지나치게 넓으면 통기성이 악화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본 항에 기재된 범위내가 바람직하다. 또한, '산점 형상'이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과 불규칙하게 흩어져 있는 것 양자를 포함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
상기 소수성 시트가 소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부직포이며, 상기 핫멜트 접착제가 수불용성 핫멜트 수지로 이루어지고, 또한 적어도 상기 핫멜트 접착제를 개재시킨 범위에 있어서의 상기 이면 시트의 내수압이 400mmAq 이상인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개형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본 발명과 같은 타겟 테이프리스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면 시트에 있어서의 수재의 걸림 부위에 힘이 집중하여, 이면 시트가 층내 박리 혹은 층간 박리에 의해 소수성 시트로부터 박리하는 일이 있었다. 이러한 박리가 발생하면, 고정 테이프에 의해 단단히 죄어진 것이 느슨해지거나 또는 고정 테이프가 어긋난 상태가 되어, 배 둘레나 다리 둘레에 발생하는 틈으로부터 샘을 발생해버린다. 본 항에 기재된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소수성 시트를 소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부직포로 함으로써, 이면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의 층간 강도를 높이고, 내수압을 400mmAq로 함으로써, 체액의 뒷샘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유연성 및 통기성을 유지하면서, 훅 요소가 외장 시트에 적합하게 걸리게 된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
상기 걸림부에 있어서의 상기 핫멜트 접착제의 도포량이 다른 부분과 비교해서 국부적으로 증가되어 있는 청구항 1~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개형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걸림부의 걸림 개소에 있어서 도포량을 국부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걸림부의 걸림 개소만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
상기 소수성 시트에 사용되는 부직포는 단층 부직포이거나 또는 복수의 층을 가지는 적층 부직포로서, 적어도 일층이 1.2dtex 미만의 섬유로 이루어지고, 또한 섬유 평량(base weight)이 15~25g/㎡ 이상인 청구항 10 또는 11에 기재된 전개형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본 항 기재와 같은 극세 또는 초극세 섬유의 층은 그 자체의 액차단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서, 상술한 내수압을 확보하기 위해서 매우 적합하다. 특히, 적층 부직포는 저강도인 극세 섬유층을 다른 층으로 보호할 수 있는 이점도 있기 때문에 매우 적합하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의 사이에 흡수체가 개재된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상기 이면 시트의 제조방법으로서,
소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소수성 시트와 부직포 시트의 사이에 JIS Z 0237로 규정되는 루프택(loop tack) 시험에 있어서의 40℃에서의 박리 강도가 0.0~5.0N/25mm의 범위에 있는 핫멜트 접착제를 개재시켜서 적층한 뒤 각 시트를 열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용 이면 시트의 제조방법.
(작용 효과)
소정의 박리 강도의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해서 소수성 시트와 부직포 시트를 접착하는 것으로 했으므로, 부직포면에서의 접착제의 스며나옴이 적어짐과 함께, 각 시트의 접착성이 우수한 이면 시트가 제조된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
상기 열압착시에 엠보싱 압력 3~20kgf/㎠로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면서 상기 열압착을 행하는 청구항 13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용 이면 시트의 제조방법.
(작용 효과)
엠보싱 압력이 3~20kgf/㎠이면 양 시트의 압착이 확실하며, 게다가 특히 촉감이 뛰어난 이면 시트가 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촉감, 부드러움을 손상하지 않고, 타겟 테이프리스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의 고정 테이프를 붙이고 떼어낼 때에 있어서의 이면 시트의 파손이 방지된다. 또, 이면 시트 제조시에 있어서의 핫멜트 접착제에 기인하는 엠보싱 롤에의 부착이 방지되어 조업 트러블 및 이면 시트의 촉감 저하도 방지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기저귀의 전개 상태를 외면측으로부터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제2 실시형태의 기저귀의 전개 상태를 외면측으로부터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바람직한 엠보싱 패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다른 바람직한 엠보싱 패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제3 실시형태의 기저귀의 전개 상태를 내면측으로부터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2-2선 단면도이다.
도 7은 이면 시트의 개념도이다.
도 8은 각종 도포 패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각종 도포 패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각종 도포 패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각종 수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이면 시트의 제조장치의 모식도이다.
<부호의 설명>
X, X1, X2 암재 시트
Y, Y1, Y2 수재(패스닝 테이프)
Z, Z1, Z2 일회용 기저귀
3 엠보싱 가공장치
3A 볼록 엠보싱 롤
3B 고무 롤
5 도공기
H 핫멜트 접착부
11 표면 시트
12 이면 시트
12A 소수성 시트
12B, 12C 부직포 시트
S1, S2 원단 롤
13 흡수체
<전개형 흡수성 물품(이하, 간단히 흡수성 물품이라고도 한다)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의 일회용 기저귀(Z)의 전개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일회용 기저귀(Z)는, 사용자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투액성의 표면 시트(11)와, 제품의 외측에 위치해서 실질적으로 액을 투과시키지 않는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12)와, 이들 사이에 형성된 예를 들면 장방형 또는 바람직하게는 모래시계형의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가지는 흡수체(13)를 구비하며, 등측부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에 고정용의 고정 테이프(Y1, Y2)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형태에서는 고 정 테이프(Y1, Y2)는 면 패스너의 수재로 형성되어 있고, 이 수재의 노출부가 걸리는 걸림부(X)가 이면 시트(12)의 외면 배측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면 시트(12)는 흡수체(13)보다 폭이 넓은 대략 사각형을 이루며, 소수성 수지(비극성(非極性) 수지)로 이루어진 소수성 시트(12A)의 외면에 촉감성 향상을 위해 외장용 부직포 시트(12B)가 적층되어, 열압착 등에 의해 접착되어 형성되어 있다. 소수성 시트(12A)에 사용하는 소수성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우레탄계 등의 수지가 적합하다. 소수성 시트(12A)로서는 필름 형상의 것 이외에 부직포와 같은 섬유집합체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즉 이면 시트(12)는 소수성 시트(12A)로서의 부직포와, 외장용 부직포 시트(12B)를 적층 접착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소수성 시트(12A)의 두께나 강성은 적층하는 부직포 시트의 두께나 강성 등을 고려하여 기지(旣知)의 기준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하면 된다. 소수성 시트(12A)로서 부직포를 사용할 경우, 그 부직포로서는 기본적으로 후술하는 외장용 부직포 시트(12B)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동일한 소재로 할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소재 등을 개별로 선택할 수 있다.
외장용 부직포 시트(12B)는 흡수성 물품(Z)의 이면 시트(12)에 사용되는 기지의 부직포 시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우레탄계 등의 합성 섬유나 (PE)/(PET) 등의 이들의 혼합 섬유,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웹을, 에어 스 루법, 포인트 본드법, 에어 스루 포인트법, 스펀 레이스법, 스펀 본드법, 서멀 본드법, 멜트블로운법, 니들 펀치법, 열수축법 등의 적당한 가공법을 실시해서 얻어지는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공법 중 스펀 레이스법은 유연성, 드레이프성이 풍부해지는 점에서 우수하고, 서멀 본드법은 부피가 크고 소프트하게 풍부해지는 점에서 우수하여,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 부직포 시트는 적층 부직포 시트여도 되며, 예를 들면 스펀 본드법에 의해 웹을 형성한 스펀 본드 부직포(S)층과 멜트블로운법에 의해 웹을 형성한 멜트블로운 부직포층(M)을 2층 이상 적절히 적층시킨 부직포 적층체를 소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 시트(12B)에 사용하는 섬유의 섬도(纖度)는 1.8~3.0데시텍스 정도가 바람직하다. 부직포 시트(12B)의 평량은 10~100g/㎡, 더 바람직하게는 15~50g/㎡ 정도가 적합하다. 부직포 시트의 평량이 너무 낮으면, 수재가 얽히는 공간이 충분히 유지되지 않고, 또 고정 테이프(Y1, Y21, Y1, Y22)를 박리시킬 때에 부직포 시트(12B)의 파괴가 생기며, 지나치게 높으면 부직포 시트(12B)의 생산성이 나빠지는 동시에, 걸림부(X) 이외의 부위로의 고정 테이프(Y1, Y21, Y1, Y22)의 고정이 현저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면 시트(12)는 0.5~4.0g/100㎠hr의 투습도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장 부직포 시트(12B)는 걸림부 이외의 부위에 있어서는 표면의 섬유 루프, 섬유 아치가 촘촘해서 수재와 걸리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면 시트(12)의 걸림부(X)를 포함하는 배측의 범위에는, 시트(12A, 12B) 사 이에 부직포 시트로 형성된 별도 부재 시트로서의 중간층 부직포 시트(12C)가 또한 개재되어 있다. 중간 부직포 시트(12C)를 개재시킴으로써, 당해 부위가 부피가 커져 고정 테이프(Y1, Y21, Y1, Y22)를 걸림부(X1, X2)에 압접시켰을 때의 압입감(押入感)이 우수해지고, 또, 층간 박리 강도가 향상되어 고정 테이프(Y1, Y21, Y1, Y22)의 붙이고 떼어냄에 수반하는 외장 부직포 시트(12B)의 층간 박리가 방지된다. 중간층 부직포 시트(12C)로서는 기본적으로 외장용 부직포 시트(12B)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동일한 소재로 할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소재 등을 개별로 선택할 수 있다. 중간 부직포 시트(12C)에는, 고정시의 위치 기준이 되는 디자인이나 무늬가 인쇄 등에 의해 실시되어, 외부에서 외장 부직포 시트(12B)를 통해서 시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 중간 부직포 시트(12C)는 외장 부직포 시트(12B)와 동일한 치수로 형성해도 된다.
중간 부직포 시트(12C)의 개재부에 있어서의 소수성 시트(12A)와 부직포 시트(12B)는 100~1500gf/25mm, 바람직하게는 200~1000gf/25mm의 박리 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박리 강도의 측정은 인장시험기(SHIMADZU사 제품 AOUTGRAPHAGS-G100N)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측정방법은, 25mm×130mm로 재단한 시료를 작성하여 미리 길이방향 5cm를 벗겨 박리 자리를 형성해 두고, 20℃ 조건하에 있어서 척 간 50mm, 인장속도 300mm/min의 조건으로 상술한 박리 자리로부터 30mm의 길이를 인장시험기로 박리해서 측정한다. 시료는 길이방향이 제품 세로방향으로 되는 것과 길이방향이 제품 가로방향으로 되는 것의 2종류를 작성하여, 각각에 대해서 측정한 값을 평균하여 측정값으로 한다.
이면 시트(12)는 후술하는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어 있으며, 즉, 소수성 시트(12A) 및 각 부직포 시트(12B, 12C)는 JIS Z 0237에 규정되는 루프택 시험에 있어서의 40℃에서의 박리 강도가 0.0~5.0N/25mm의 범위에 있는 핫멜트 접착제가 개재된 적층상태로, 외장 부직포 시트(12B)측이 엠보싱 롤의 볼록 롤측이 되도록 해서 엠보싱 가공을 하여 각 시트가 적층 접착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이 이면 시트(12)는 KES의 굽힘 측정값이 0.05~0.50g·㎠/cm인 것이 바람직하고, 0.10~0.45g·㎠/c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0~0.40g·㎠/cm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KES의 굽힘시험에 있어서의 측정값이 0.05g·㎠/cm 이하일 경우, 지나치게 부드러우므로 제품의 힘이 없어져, 장착시에 꺾여 뒤집히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반대로 0.50g·㎠/cm를 넘으면 제품에 있어서의 촉감, 부드러움이 손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KES의 굽힘 측정값은 순굽힘시험기(pure bending tester; 카토테크사 제품: KES-FB-2AOUT-A)를 사용하여, 길이 200mm, 폭 200mm로 재단한 시료를 상기 시험기에 세트하여, DFE 감도 20, 곡률범위 0.0~0.5cm-1로 구부렸을 때의 값이다.
본 형태의 걸림부(X)는 이면 시트(12)의 배측의 폭방향(배 둘레방향)의 중앙부에서 양 옆을 향해서 적당한 범위에 걸쳐 적당한 걸림부형성용 엠보싱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바꾸어 말하면 이면 시트(12)의 외면의 일부분이다. 걸림부형성용 엠보싱 가공은, 예를 들면 제조한 이면 시트(12)를 걸림부용 엠보싱 볼록 패턴을 형성한 볼록 엠보싱 롤과 이것에 대향하는 볼록 엠보싱 롤의 볼록부가 압입되는 정도의 유연성을 구비하는 고무 롤을 구비하는 엠보싱 장치에, 부직포 시트측이 볼록 엠보싱 롤측이 되도록 공급해서 실시할 수 있다. 볼록 엠보싱 롤의 볼록부에 대응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오목 엠보싱 롤을 구비하는 엠보싱 장치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걸림부(X)는, 이면 시트(12)를 제조할 때의, 엠보싱 롤에 있어서의 엠보싱 패턴을 걸림부에 대응하는 부위만 다르게 하도록 하여, 이면 시트 제조시에 걸림부(X)를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엠보싱 부여에 의해 걸림부(X)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그 때의 엠보싱 깊이, 엠보싱 밀도를 어느 정도로 할지는 부직포 시트의 평량 및 수재의 구성에 따라 적절히 설계한다. 여기서, 걸림부로서 부여하는 엠보싱의 패턴은, 이 종류의 타겟 테이프리스 타입으로 행해지는 기지의 패턴을 채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이면 시트 형성시에 있어서의 MD방향 또는 CD방향을 따라서 엠보싱이 배열되어 있는 패턴이다. 이와 같이 하면, 통상, 제품시에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을 따른 엠보싱이 배치되는 패턴이 된다. 그리고, 특히, 이면 시트의 CD방향이 제품 폭방향일 경우에는 엠보싱 패턴은, 엠보싱이 이면 시트 형성시에 있어서의 CD방향을 따르는 또는 연속으로 연결되어 있는 패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특히, 고정 테이프의 착탈에 의한 층간 박리, 부직포 시트의 보풀 발생이 적은 것이 된다.
또, 특히 걸림부(X)는 부직포 시트에 수재를 고정시켰을 때의 박리 강도가 200gf를 하회하는 경우 등은 제품장착시에 있어서 테이프 어긋남 등이 발생해버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걸림부(X)는 부직포 시트에 수재를 고정시켰을 때의 박리 강도가 200gf를 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직포 시트에 수재를 고정시켰을 때의 박리 강도가 1000gf를 넘을 경우는, 착탈에 필요한 힘이 커져 사용하기 매우 어려운 제품이 된다. 따라서, 걸림부(X)에 있어서의 부직포 시트와 수재의 박리 강도는 100~1500gf/25mm, 바람직하게는 200~1000gf/25mm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로부터, 이면 시트(12)에 있어서의 소수성 시트(12A)와 부직포 시트(12B)의 접착 강도는 상기 걸림부(X)에 있어서 층간 박리가 생기지 않도록 적어도 걸림부(X)의 범위에 있어서 100~1500gf/25mm, 바람직하게는 200~1000gf/25mm의 범위내로서 걸림부(X)에 있어서의 부직포 시트(12B)와 수재의 박리 강도보다도 큰 값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강도의 측정은 인장시험기(SHIMADZU사 제품 AOUTGRAPH AGS-G100N)를 이용해서 측정할 수 있다. 측정방법은 25mm×130mm로 재단한 시료(이면 시트)를 작성하여 미리 길이방향 5cm를 벗겨서 박리 자리를 형성해 두고, 20℃ 조건하에 있어서 척 간 50mm, 인장속도 300mm/min의 조건으로 상술한 박리 자리로부터 30mm의 길이를 인장시험기로 박리해서 측정한다. 시료는 길이방향이 제품 세로방향으로 되는 것과 길이방향이 제품 가로방향으로 되는 것의 2종류를 작성하고, 각각에 대해서 측정한 값을 평균하여 측정값으로 한다.
또한, 걸림부(X)는 엠보싱 가공에 의하지 않고 예를 들면 니들펀칭 가공 등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걸림부(X)의 형성 방법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기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대로, 이 걸림부(X)가 형성되어 있는 부위는 이면 시 트(12)가 중간층 부직포 시트가 개재된 3층 구조로 되어 있어, 강도가 높고 또 접착제 양이 타부분과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많아 각 시트의 접착 강도가 높아, 패스닝 테이프의 반복해서 행해지는 착탈에 의한 이면 시트의 파손이 생기기 어렵게 있다.
한편, 표면 시트(11)는 흡수체(13)보다 폭이 넓고, 흡수체(13)의 측가장자리(13s)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흡수체(13)의 주위부분에 있어서 이면 시트(12)와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표면 시트(11)는 스펀 본드 부직포, 에어 스루 부직포, SMS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등의 각종 부직포 외, 투액성을 확보할 수 있는 범위에서 폴리에틸렌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이나, 플라스틱 필름과 부직포를 라미네이트한 라미네이트 부직포도 사용할 수 있다. 또, 나일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실을 평직 등을 행한 네트 형상의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흡수체(13)는 적섬(積纖) 펄프나 토우로 이루어지는 섬유집합체에 흡수성 폴리머를 내재시킨 것을 펄프 시트 등으로 피복해서 형성되어 있다. 섬유집합체를 구성하는 섬유(이하, 간단히 토우 구성 섬유라고 한다)로서는, 예를 들면 다당류 또는 그 유도체(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키틴, 키토산 등), 합성 고분자(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락타아미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등) 등이며, 특히 셀룰로오스에스테르 및 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폴리머로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 및 그 염류, 아크릴산염 중합체 가교물, 전분-아크릴산 그라프트 공중합체, 전분-아크릴로니트 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가수분해물, 폴리옥시에틸렌 가교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가교물,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수팽윤성 폴리머를 부분 가교한 것, 혹은 이소부틸렌과 말레산과의 공중합체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제품의 흡습에 의한 블록킹성을 억제하기 위해서 블록킹 방지제가 첨가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또 고흡수성 폴리머로서는 분체 형상, 입자 형상, 과립 형상, 펠릿 형상, 졸 형상, 서스펜션 형상, 겔 형상, 필름 형상, 부직포 형상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진 것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가능하며, 특히 입자 형상의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이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일회용 기저귀 등에 있어서 사용되는 실 고무 등의 탄성신축부재를 각처에 배치한 형태로 할 수 있다. 표면 시트와 흡수체의 사이에 체액 확산 등의 목적으로 세컨드 시트를 형성한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또, 중간 부직포 시트(12C) 및/또는 열압착부는 배측의 플랩부에 있어서 제품 폭방향측 가장자리부까지 연장되면, 옆부의 플랩에 적당한 힘이 생겨 장착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제2 실시형태)
도 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식 일회용 기저귀(Z1)이다. 이 일회용 기저귀(Z)는 기본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해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도 암재를 이면 시트에 붙이는 것이 아니고, 이면 시트(12) 그 자체의 외면의 일부에 적당히 엠보싱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걸림부(X1, X2)를 형성 한 소위 타겟 테이프리스라고도 불리는 형태이다. 또, 이면 시트(12)에는 걸림부(X1, X2)가 형성되는 범위를 포함하는 범위에 있어서, 외장용 부직포 시트(12B)와 소수성 시트(12A)의 사이에 중간 부직포 시트(12C)가 배치되어 있다.
등측부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에 배치된 고정용의 고정 테이프(Y1, Y2)는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 접착되어 있는 부위를 제외하고 면 패스너의 수재(도시하지 않음)로 형성되어 있고, 이 수재가 걸리는 이면 시트(12)의 외면 배측부에 좌측 고정 테이프(Y1)가 고정되는 좌측 걸림부(X1)와, 우측 고정 테이프(Y2)가 고정되는 좌측 걸림부(X2)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특징적으로는, 이들 좌측 걸림부(X1) 및 우측 걸림부(X2)는 제품의 폭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간하고 있다. 또한 도시 예에서는, 걸림부(X1, X2)는 특히 바람직한 형태로서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지만, 특별히 직사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걸림부(X1, X2) 사이의 이간 거리(가장 근접하고 있는 부분의 거리)(L2)는, 고정 테이프(Y1, Y2)의 길이와도 관계하지만, 걸림부(X1, X2)가 형성되는 배측 길이방향 끝가장자리(ST)에 있어서의 제품 폭(이하, 제품 폭이란 이 폭을 말한다) 5.0~500mm, 혹은 수재의 제품 폭방향 치수의 1/2 이상이다. 이 범위 미만이면, 시각적으로 걸림부(X1, X2) 사이의 이간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혹은 순간적으로 고정작업을 행했을 때에, 고정 테이프(Y1, Y2)를 제품 폭방향 중심선을 넘어서 실수로 대응하는 걸림부와는 반대의 걸림부에 고정해버릴 우려가 저하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좌측 고정 테이프(Y1)를 우측 걸림부(X2)에 걸어버릴 우려가 거의 방지 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 부직포 시트(12C) 및/또는 열압착부는 제품 폭방향 측가장자리부까지 연장하면, 옆부의 플랩에 적당한 힘이 생겨서 장착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는 하지 않지만, 본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Z1)는 고정 테이프간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탄성신축성의 실 고무가 배치되어 등측의 고정 테이프(Y1, Y2) 사이가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고정시에 있어서의 고정 테이프(Y1, Y2)의 고정 허용 범위가 넓어지고, 이로써 장착자의 체형의 차이에 의한 고정가능 허용 범위가 넓어진다. 또, 신축에 의해 장착시의 피트감도 향상한다. 실 고무에 의해 등측의 고정 테이프(Y1, Y2) 사이가 신축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고정 테이프(Y1, Y2)의 선단부와 기단(基端) 사이에 엘라스토머 시트 등의 적당한 신축부재를 개재시키는 동시에, 그 개재된 신축부재보다도 선단측에 면 패스너의 수재를 배치해서 고정 테이프(Y1, Y2) 그 자체가 신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나아가서는, 고정 테이프(Y1, Y2)가 접착하는 소위 사이드 플랩 부분과 다른 부분의 사이에 엘라스토머 시트 등의 신축부재를 개재시킴으로써, 등측의 고정 테이프(Y1, Y2) 사이가 신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들과 같이 구성해도, 피트감의 향상이나 체형의 차이에 대한 허용 범위의 향상 효과는 얻어진다. 또한, 실 고무나 신축부재의 신장력에 대해서는 기지의 일회용 기저귀에 채용되는 범위에서 문제없이 설계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테이프(Y1, Y2)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는 면 패스너의 수재는, 걸림부인 부직포 섬유에 얽혀 걸리는 갈고리형 혹은 버섯 형상의 부푼머리형 등의 입모(立毛; piled) 형상 수형(雄形) 소자(걸림돌기)를 가지는 수재 시트로 구성된다. 이 수재 시트로 고정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은 기지의 방법에 따른다.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갈고리형 혹은 버섯 형상의 부푼머리형 등의 입모 형상 수형 소자의 크기, 밀도 등도 외장용 부직포와의 관계에서 적당한 박리 강도가 되는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고정 테이프(Y1, Y2)와 걸림부(X1, X2)의 적합한 박리 강도는 100gf~1500gf/25mm, 바람직하게는 200gf~1000gf/25mm가 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gf 미만이면 충분히 걸리지 않고, 1500gf를 넘으면, 걸림력이 지나치게 강해서 착탈시 등에 걸림부의 보풀이 생기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걸림부(X1, X2)의 사이의 부위에는 수재가 걸리지 않도록, 박리 강도를 100gf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박리 강도의 측정은 인장시험기(SHIMADZU사 제품의 AOUTGRAPHAGS-G100N)를 이용해서 측정할 수 있다. 박리 강도의 측정방법은 다음 기재와 같이 하여 측정한다. 우선, 폭 50mm×길이 100mm의 천 테이프를 폭방향으로 둘로 접어 폭 25mm×100mm의 둘로 접힌 천 테이프로 하고, 이 천 테이프의 한쪽 끝에 고정 테이프(Y1, Y2)를 단단히 붙인다. 이 때, 고정 테이프(Y1, Y2)의 수재가 천 테이프의 선단보다도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한편, 스테인리스제 평판에 이면 시트(12)의 걸림부(X1, X2)를 윗면으로 해서 양면 점착테이프로 붙인다. 또한, 양단을 크라프트(kraft) 테이프로 고정한다.
뒤이어, 고정 테이프(Y1, Y2)의 수재와 걸림부(X1, X2)를 접촉시킨 뒤, 이들 위를 질량 2kg의 롤러로 천 테이프측으로부터 한번 왕복시켜 고정 테이프(Y1, Y2)의 수재와 걸림부(X1, X2)를 압착한다. 또한, 천 테이프의 고정 테이프가 붙은 측의 반대측인 다른쪽 끝에 1kg의 분동을 10초간 매어 달아서 압착 부분에 전단력을 가해 걸림을 확실한 것으로 한다.
그 후에, 스테인리스 평판과 천 테이프의 고정 테이프가 붙은 측의 반대측인 다른쪽 끝을 인장시험기의 지그로 척킹한다. 이 때 스테인리스 평판에 대하여 천 테이프의 고정 테이프가 붙은 측의 반대측인 다른쪽 끝을 척킹하는 지그의 인장방향이 90°가 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최종 박리 각도 90°가 되도록 지그를 인장시험기에 세트한 후, 300mm/min으로 압착 부분을 박리하고, 그 때에 측정되는 요철 가중 평균값을 박리 강도로 한다. 또한, 측정값은 유효측정값의 3~10회의 평균으로 한다. 또, 측정에 있어서 시료의 설치는 측정이 제품 폭방향 대 제품 폭방향의 측정이 되도록 한다. 또한, 시험편의 크기는, 고정 테이프(Y1, Y2)의 수재는 23.5±1.5mm(제품 전후방향)×25mm(제품 폭방향)로 하고, 걸림부(X1, X2)는 50mm(제품 전후방향)×130mm(폭방향)로 한다.
한편, 고정 테이프(Y1, Y2)와 걸림부(X1, X2)의 적합한 전단력은 1kg~10kg, 바람직하게는 3~8kg이 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kg 미만이면 걸림이 해제되기 쉽고, 반대로 10kg을 넘으면 걸림이 지나치게 강하다. 또한, 이 전단력의 측정방법은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한다. 우선, 스테인리스제 평판에 이면 시트(12)의 걸림부(X1, X2)를 윗면으로 해서 양면 점착테이프로 붙인다. 또한, 양단을 크라 프트 테이프로 고정한다. 이 때 이면 시트(12)의 걸림부(X1, X2)의 주위에는 스테인리스제 평판의 여백이 남도록 한다.
뒤이어, 고정 테이프(Y1, Y2)의 수재를 이면 시트(12)의 걸림부(X1, X2)에 접촉시킨 뒤, 이들 위를 질량 2kg의 롤러로 천 테이프측으로부터 한번 왕복시켜 고정 테이프(Y1, Y2)의 수재와 이면 시트(12)의 걸림부(X1, X2)를 압착한다.
그 후에, 스테인리스제 평판의 여백부분과 고정 테이프(Y1, Y2)의 일단을 인장시험기의 지그로 척킹한다. 이 때 척 간 거리를 50mm로 한다. 이렇게 하여 척킹이 완료하였으면, 지그를 수재와 이면 시트(12)의 걸림부(X1, X2)의 전단 방향으로 인장속도 30mm/min으로 인장하여 최대 전단력을 측정한다. 또한, 측정값은 유효측정값의 3~10회의 평균으로 한다. 또, 측정에 있어서 시료의 설치는 측정이 제품 폭방향 대 제품 폭방향의 측정이 되도록 한다. 또한 시험편의 크기는, 고정 테이프(Y1, Y2)의 수재는 23.5±1.5mm(제품 전후방향)×24mm(제품 폭방향)로 하고, 걸림부(X1, X2)는 50mm(제품 전후방향)×130mm(폭방향)로 한다.
한편, 걸림부형성용 엠보싱의 패턴은 제1 실시형태에서도 서술한 바와 같이 적당히 정할 수 있지만, 특히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엠보싱(E)이 제품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으면, 배 둘레의 신축성 및 통기성의 점에서 우수하다. 제조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이면 시트(12)의 MD방향이 제품 폭방향이 되는 제법이 바람직한 제조법으로서 일반적인 것을 고려하면, 엠보싱 패턴은 엠보싱(E)이 이면 시트(12) 형성시에 있어서의 CD방향을 따르는 패턴이 좋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품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란, 반드시 도시 예와 같이 직선 형상 의 엠보싱(E)에 의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품 길이방향측으로 긴 지그재그 형상의 엠보싱(E)이라도 제품 길이방향을 따르는 것이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지만, 제품 길이방향이 긴 변이 되는 타원형의 엠보싱 패턴도 제품 길이방향을 따르는 것이다. 엠보싱의 길이방향이 제품 길이방향을 따르고 있으면 된다.
(제3 실시형태)
도 5 및 도 6은 제3 실시형태의 일회용 기저귀(Z2)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2-2선 단면도이다. 이 전개형 일회용 기저귀(10)는, 기저귀의 외면을 구성하는 이면 시트(12)와, 피부면측에 배치된 투액성 표면 시트(30)와, 외장 시트(12)와 표면 시트(30)의 사이에 개재된 흡수체(50)와, 이면 시트(12)의 등측 양측 단부에 부착된 고정 테이프(Y1, Y2)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고정 테이프(Y1, Y2)의 고정면에는 수재(130A)를 가지고 있으며, 기저귀의 장착시에는 등측의 고정 테이프(Y1, Y2)의 수재(130A)를 이면 시트(12)의 배측 표면에 있어서의 임의 개소에 걸리게 하도록 되어 있다.
(표면 시트)
표면 시트(30)는 흡수 코어(56)보다 폭이 넓은 장방형을 이루며, 흡수 코어(56)의 측가장자리보다 약간 바깥쪽으로 연장하며, 이면 시트(12)와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표면 시트(30)는 액투과성을 가지는 것이면 충분하며, 예를 들면 구멍이 있거나 또는 구멍이 없는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이 중 부직포는 그 원료 섬유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우레탄계 등의 합성 섬유,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 등이나, 이들로부터 2종 이상이 사용된 혼합 섬유, 복합 섬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는 어떠한 가공에 의해 제조된 것이어도 된다. 가공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스펀 레이스법, 스펀 본드법, 서멀 본드법, 멜트블로운법, 니들 펀치법, 에어 스루법, 포인트 본드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연성, 드레이프성을 요구하는 것이라면 스펀 레이스법이, 부피성, 소프트성을 요구하는 것이라면 서멀 본드법이, 바람직한 가공 방법이 된다.
또, 표면 시트(30)는 1매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2매 이상의 시트를 접합하여 얻은 적층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표면 시트(30)는 평면방향에 대해 1매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2매 이상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중간 시트)
표면 시트(30)를 투과한 액을 신속하게 흡수 코어로 이행시키기 위해서, 표면 시트(30)와 흡수체(50)의 사이에 표면 시트(30)보다 액의 투과 속도가 빠른, 통상 '세컨드 시트'라 불리는 중간 시트(4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중간 시트(40)는 액을 신속하게 흡수 코어로 이행시켜서 흡수 코어에 의한 흡수 성능을 높일 뿐만 아니라, 흡수한 액의 흡수 코어로부터의 '역류' 현상을 방지하여 표면 시트(30) 위를 항상 건조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중간 시트(40)는 생략할 수도 있다.
중간 시트(40)로서는, 표면 시트(30)와 같은 소재나, 스펀 레이스, 펄프 부직포, 펄프와 레이온의 혼합 시트, 포인트 본드 또는 크레이프지를 예시할 수 있다. 특히 에어 스루 부직포 및 스펀 본드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도시하는 형태의 중간 시트(40)는 흡수 코어(56)의 폭보다 짧게 중앙에 배치되어 있지만, 전폭에 걸쳐 형성해도 된다. 중간 시트(40)의 길이방향 길이는 흡수 코어(56)의 길이와 동일해도 되며, 액을 받아들이는 영역을 중심으로 한 짧은 길이 범위내이어도 된다. 중간 시트(40)의 대표적인 소재는 액의 투과성이 뛰어난 부직포이다.
(배리어 커프스)
표면 시트(30) 위를 타고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는 오줌이나 묽은 변(loose stool)을 저지하고 옆샘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품의 양측에 사용면측으로 돌출(기립)하는 배리어 커프스(60, 6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배리어 커프스(60)는 실질적으로 폭방향으로 연속한 발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배리어 시트(64)와 이 배리어 시트(64)에 신장 상태로 고정된 탄성신축부재(6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탄성신축부재(62)로서는 실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복수개 형성하는 것 외, 각 1개 형성할 수 있다.
배리어 시트(64)의 내면은, 표면 시트(30)의 측가장자리와 이간한 위치(표면 시트(30)의 측부 상이라도 된다)에 있어서 고착 시단(始端)을 가지고, 이 고착 시단으로부터 측쪽의 부분은 이면 시트(12)의 측부에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 되어 있다. 이 고착 부분에 있어서는 배리어 시트(64)와 이면 시트(12)가 대향하는 부분의 시트 사이에 전후방향을 따라서 실 고무 등의 탄성신축부재(6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다리 둘레에 있어서는 배리어 커프스(60)의 기립단보다 내측은 제품 본체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자유부분으로서, 이 자유부분이 실 고무(62)의 수축력에 의해 기립하게 된다. 기저귀의 장착시에는 기저귀가 배형(船形)으로 몸에 장착되므로, 그리고 실 고무(62)의 수축력이 작용하므로, 다리 둘레에서는 실 고무(62)의 수축력에 의해 배리어 커프스(60)가 기립한다. 기립부로 둘러싸이는 공간은 오줌 또는 묽은 변을 가둬 넣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 공간 내에 배뇨되면, 그 오줌은 표면 시트(30)를 통과해서 흡수 코어(56) 내에 흡수됨과 함께, 묽은 변의 고형분에 대해서는 배리어 커프스(60)의 기립부가 배리어가 되어, 그것을 타고 넘는 것이 방지된다. 만일 기립부의 기립 먼 위치측 가장자리를 타고 넘어 옆으로 샌 오줌은 평면 접촉부에 의한 스톱 기능에 의해 옆샘이 방지된다.
(흡수체)
흡수체(50)는 오줌이나 묽은 변 등의 액을 흡수 유지하는 부분이다. 흡수체(50)는 흡수 코어(56)와, 이 흡수 코어(56)의 적어도 이면 및 측면을 감싸는 포피(包皮) 시트(58)를 가지고 있다. 포피 시트(58)는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흡수 코어(56)와 포피 시트(58)의 이면측 부위(하측의 부분)의 사이에 유지 시트(80)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 유지 시트(80)는 생략할 수도 있다. 흡수체(50)는 그 이면에 있어서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통해서 이면 시 트(12)의 내면에 접착할 수 있다.
(흡수 코어)
흡수 코어(56)는 면상(綿狀) 펄프 등의 단섬유를 적섬한 것 외, 필라멘트(52, 52 …)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 등도 사용할 수 있다.
필라멘트(52, 52 …)의 집합체는 토우(섬유다발)를 개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토우 구성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다당류 또는 그 유도체(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키틴, 키토산 등), 합성 고분자(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락타아미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셀룰로오스에스테르 및 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로서는 면, 린터, 목재 펄프 등 식물체 유래의 셀룰로오스나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여도 되며, 재생 셀룰로오스는 방사된 섬유여도 된다.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유기산 에스테르;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질산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등의 혼합산 에스테르; 및 폴리카프로락톤 그라프트화 셀룰로오스에스테르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유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셀룰로오스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점도 평균 중합도는 예를 들면 50~900, 바람직하게는 200~800 정도이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평균 치환도는 예를 들면 1.5~3.0(예를 들면 2~3) 정도이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평균 중합도는 예를 들면 10~1000, 바람직하게는 50~900, 더 바람직하게는 200~800 정도로 할 수 있고,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평균 치환도는 예를 들면 1~3 정도, 바람직하게는 1~2.15, 더 바람직하게는 1.1~2.0 정도로 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평균 치환도는 생분해성을 높이는 등의 관점에서 선택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로서는 유기산 에스테르(예를 들면 탄소수 2~4 정도의 유기산과의 에스테르), 특히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가 적합하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의 아세트화도는 43~62% 정도인 경우가 많지만, 특히 30~50% 정도이면 생분해성도 뛰어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셀룰로오스에스테르는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이다.
토우 구성 섬유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열안정화제, 착색제, 유제, 수율 향상제, 백색도 개선제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토우 구성 섬유의 섬도는 예를 들면 1~16데니어, 바람직하게는 1~10데니어, 더 바람직하게는 1~6데니어가 바람직하다. 토우 구성 섬유는 비권축섬유여도 되지만, 권축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권축섬유의 권축도는 예를 들면 1인치당 5~75개, 바람직하게는 10~50개, 더 바람직하게는 15~50개 정도로 할 수 있다. 또, 균일하게 권축한 권축섬유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권축섬유를 사용하면, 부피가 크고 경량인 흡수 코어를 제조할 수 있음과 함께, 섬유간의 서로 얽힘에 의해 일체성이 높은 토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토우 구성 섬유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이형(예를 들면 Y자 형상, X자 형상, I자 형상, R자 형상 등)이나 중공(中空) 형상 등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토우 구성 섬유는, 예를 들면 1,000~1,000,000개, 바람직하게는 2,000~1,000,000개 정도의 단일 섬유를 묶음으로써 형성된 토우(섬유다발)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섬유다발은 1,000~1,000,000개 정도의 연속 섬유를 집속해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의 토우의 베일(bale)은 셀라니즈사(Celanese AG)나 다이셀카가쿠고교 등에 의해 시판되고 있다.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의 토우의 베일은, 밀도는 약 0.5g/㎤이며, 총 중량은 400~600kg이다. 이 베일에서 토우를 떼어내어 원하는 사이즈, 부피가 되도록 넓은 띠 형상으로 개섬한다. 토우의 개섬폭은 임의이며, 예를 들면 폭 50~2000mm, 바람직하게는 제품의 흡수 코어의 폭의 50~300mm 정도로 할 수 있다. 또, 토우의 개섬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흡수 코어의 밀도를 조정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 코어(56) 안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 54 …)를 포함시킨다. 그리고, 적어도 액 수용영역에 있어서, 필라멘트(52, 52 …)의 집합체에 대하여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SAP 입자)가 실질적으로 두께방향 전체에 분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질적으로 두께 방향 전체에 분산되어 있는 상태를 도 6의 주요부 확대도로서 개념적으로 나타내었다.
흡수 코어(56)의 상부, 하부 및 중간부에 SAP 입자가 없는 혹은 있어도 극히 적은 경우에는 '두께 방향 전체에 분산되어 있다'라고는 말할 수 없다. 따라서, ' 두께 방향 전체에 분산되어 있다'란, 필라멘트의 집합체에 대하여 두께 방향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형태 외, 상부, 하부 및 또는 중간부에 '편재하고' 있지만, 여전히 상부, 하부 및 중간부의 각 부분에 분산되어 있는 형태도 포함된다. 또, 일부의 SAP 입자가 필라멘트(52, 52 …)의 집합체 중에 침입하지 않고 그 표면에 잔존하고 있는 형태나, 일부의 SAP 입자가 필라멘트(52, 52 …)의 집합체를 빠져 나가 포피 시트(58) 상에 있는 형태나, 유지 시트(80) 상에 있는 형태도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란, '입자' 이외에 '분체'도 포함한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의 입자지름은 이런 종류의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되는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1000㎛ 이하, 특히 150~400㎛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의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흡수량이 40g/g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로서는, 전분계, 셀룰로오스계나 합성 폴리머계 등의 것이 있으며, 전분-아크릴산(염) 그라프트 공중합체,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검화물, 나트륨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가교물이나 아크릴산(염) 중합체 등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의 형상으로서는, 통상 사용되는 분립체 형상의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형상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로서는 흡수 속도가 40초 이하인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흡수 속도가 40초를 넘으면, 흡수 코어(56) 내에 공급된 액이 흡수 코어(56) 밖으로 되돌아 나와버리는 소위 역류를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로서는 겔 강도가 1000Pa 이상인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것에 의해, 부피가 큰 흡수 코어(56)로 한 경우라도, 액흡수 후의 끈적거림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의 평량은 당해 흡수 코어(56)의 용도에서 요구되는 흡수량에 따라 적절히 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일률적으로 말할 수는 없지만, 50~350g/㎡로 할 수 있다. 폴리머의 평량을 50g/㎡ 이하로 함으로써, 폴리머의 중량에 의해, 합성 연속 섬유를 채용함으로써 경량화 효과가 발휘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50g/㎡를 넘으면, 효과가 포화할 뿐만 아니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의 과잉에 의해 까슬까슬한 위화감을 주게 된다.
필요하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는 흡수 코어(56)의 평면방향에서 살포 밀도 혹은 살포량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의 배설 부위를 다른 부위보다 살포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남녀차이를 고려할 경우, 남성용은 앞측의 살포 밀도(양)를 높이고, 여성용은 중앙부의 살포 밀도(양)를 높일 수 있다. 또, 흡수 코어(56)의 평면방향에 있어서 국소적(예를 들면 스폿 형상)으로 폴리머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로서 입자지름 분포가 다른 것을 복수 준비하고, 두께방향으로 순차 공급하여, 흡수 코어(56) 내의 하측에 입자지름 분포가 작은 것을, 상측에 입자지름 분포가 큰 것을 분포시킬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와 연속 섬유의 비율은 흡수 특성을 좌우한다. 흡수 코어(56)에 있어서의 액을 직접 받는 영역에서의 5cm×5cm의 평면 면적내에 있 어서의 중량비로서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연속 섬유 중량이 1~14, 특히 2~9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피 시트)
포피 시트(58)를 사용하는 경우, 그 소재로서는 티슈 페이퍼, 특히 크레이프지, 부직포, 폴리라미네이트 부직포, 작은 구멍이 있는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단,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빠져 나오지 않는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크레이프지 대신에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 친수성의 SMMS(스펀 본드/멜트블로운/멜트블로운/스펀 본드) 부직포가 특히 적합하며, 그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평량은 5~40g/㎡, 특히 10~30g/㎡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포피 시트(58)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속 섬유(52, 52…)의 집합체 및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 54 …)의 층 전체를 감싸는 형태 외, 그 층의 이면 및 측면만을 포피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흡수 코어(56)의 상면 및 측면만을 크레이프지나 부직포로 덮고, 하면을 폴리에틸렌 등의 액불투과성 시트로 덮는 형태, 흡수 코어(56)의 상면을 크레이프지나 부직포로 덮고, 측면 및 하면을 폴리에틸렌 등의 액불투과성 시트로 덮는 형태 등이라도 된다(이들 각 소재가 포피 시트의 구성 요소가 된다). 필요하면, 연속 섬유(52, 52…)의 집합체 및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 54…)의 층을 상하 2층의 시트로 끼우는 형태나 하면에만 배치하는 형태여도 되지만,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이동을 방지하기 어려우므로 바람직한 형태는 아니다.
(유지 시트)
유지 시트(80)를 형성하는 경우, 유지 시트(80)와 흡수 코어(56) 위의 사이에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를 그 살포 등에 의해 개재시킬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는 연속 섬유(52)의 집합체로의 공급시 또는 그 후의 공정, 혹은 소비자가 사용할 때까지의 유통 과정에서, 연속 섬유(52)의 집합체를 빠져 나가는 일이 있다. 연속 섬유의 집합체를 빠져 나간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군의 요철은 소비자가 사용할 때에 손으로 만졌을 때 까슬까슬한 위화감을 준다. 그래서, 흡수 코어(56)와 포피 시트(58)의 사이에 고흡수성 폴리머(54)의 유지 성능을 가지는 유지 시트(80)를 개재시키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이 유지 시트(80)는 티슈 페이퍼(크레이프지) 등의 포피 시트(58)만으로는 부족한 힘을 보강하여, 소비자가 사용할 때에 손으로 만졌을 때 위화감을 경감 또는 방지한다.
유지 시트(80)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고흡수성 폴리머(54)의 유지 성능을 가지는 것이면 충분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부직포, 권축 펄프, 저흡수성의 코튼 섬유(예를 들면 미탈지(未脫脂)의 코튼 섬유, 탈지된 코튼 섬유, 레이온 섬유를 발수제나 소수화제로 처리한 것 등.),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아크릴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견, 면, 마, 나일론, 폴리우레탄, 아세테이트 섬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유지 시트(80)를 부직포로 하는 경우, 그 유지 시트(80)는 KES시험에 기초하는 압축 에너지가 0.01~10.00gfcm/㎠, 바람직하게는 0.01~1.00gfcm/㎠, 또한 압축 회복(resilience)이 10~100%, 바람직하게는 70~100%인 부직포이면 된다.
유지 시트(80)를 형성하는 이유는 앞에서도 서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흡수 코어(56)로부터 아래쪽으로 빠져 떨어진(빠져 나온) 고흡수성 폴리머(54)를 유지하는데 있다. 따라서, 빠져 나온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에 대하여, 포피 시트(58) 및 유지 시트(8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접촉하므로, 사용자에게 까슬까슬한 위화감으로서 전달될 우려가 없다. 특히 상기 압축 에너지 및 압축 회복인 부직포이면 그 기능이 충분히 발휘된다.
또, 빠져 나온 고흡수성 폴리머(54)는 유지 시트(60)에 의해 유지되어 포피 시트(58) 위를 이동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흡수 능력의 편재가 생길 우려도 없다. 특히, 유지 시트(80) 위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미리 점착성을 가지는 핫멜트 접착제 등을 유지 시트(80) 상에 도포할 수 있다. 또, 유지 시트(80)의 상면(사용면측을 향하는 면)을 거친 면으로 함으로써 유지 시트(80) 위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를 위한 조면화(粗面化) 또는 보풀발생 수단으로서는, 부직포의 제조시에 있어서의 네트면이 아닌 비(非)네트면으로 하는, 마블 가공을 행하는, 니들 펀치에 의해 가공하는, 브러싱 가공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시트(8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 코어(56)의 아래쪽에만 형성해도, 또 도시하지 않지만, 흡수 코어(56)의 측면을 지나 흡수 코어(56)의 상면에까지 말아 올려 연장시켜도 된다. 또, 유지 시트(80)를 복수매 겹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예는, 흡수 코어(56)와 포피 시트(58)의 이면측 부위와의 사이에 유지 시트(58)를 형성하는 예이지만, 유지 시트는 포피 시트(58)보다 이면측이어도 되며(그 형태는 도시하지 않고 있다), 요컨대, 흡수 코어(56)에 대하여 이면측에 유지 시트를 형성하면, 제품의 이면에서 접촉할 경우에 있어서의 까슬까슬한 위화감을 경감시키는 혹은 생기게 하지 않는 것이 된다.
(고정 테이프)
고정 테이프(Y1, Y2)는 기부(基部)가 기저귀에 접합되고, 선단측이 고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된 패스닝 기재(基材; 130C)와, 그 선단측의 내면에 접합된 수재(130A)를 가지고 있다. 패스닝 기재(130C)는 플라스틱, 폴리라미네이트 부직포, 종이 등을 사용해서 형성할 수 있다. 수재(130A)는 패스닝 기재(130C)에 접착제에 의해 박리 불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다. 수재(130A)는 그 외면측에 다수의 걸림돌기(130D)를 가진다. 걸림돌기(130D)의 형상으로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
Figure 112008073977229-PCT00001
' 형상, (B)J자 형상, (C)버섯 형상, (D)T자 형상, (E)더블 J자 형상(J자 형상을 등을 붙여 결합한 형상의 것) 등이 존재하지만, 어느 형상이어도 된다. 바람직한 것은 이면 시트(12)의 섬유에 얽히기 쉬운 형상, 예를 들면 '
Figure 112008073977229-PCT00002
' 형상, J자 형상, T자 형상, 더블 J자 형상의 것이다. 고정 테이프(Y1, Y2)는 제품상태에서는 표면 시트(30)측에 접혀져, 수재(130A)가 사이드 부직포에 대하여 박리가능하게 접합된 상태로 되어 있다.
고정 테이프(Y1, Y2)가 고정되는 이면 시트(12)의 외장 부직포(12B)의 구성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 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 외,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로 할 수 있고, 스펀 레이스법, 스펀 본드법, 서멀 본드법, 에어 스루법, 니들 펀치법 등의 적당한 가공법으로 의해 얻어진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배측의 개구부측에는, 백 시트(12)의 내면측에, 고정 테이프(Y1, Y2)의 수재(130A)를 고정하는 위치의 기준이 되는 디자인이 인쇄 등에 의해 실시된 고정위치 표시 시트(74)가 형성되어, 외부에서 백 시트(12)를 통해서 시인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통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고정위치 표시 시트(74)는 생략할 수 있지만, 고정위치 표시 시트(74)의 소재로서 통기성이 있는 부직포나 종이 등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 고무 등의 탄성신축부재)
전개형 일회용 기저귀(Z2)는 고정 테이프(Y1, Y2)의 고정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신체에 대하여 피트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이면 시트(12)에 대하여, 허리 단부나 다리 둘레를 따라서 실 고무 등의 탄성신축부재가 형성되는 일은 있지만, 흡수체(50)와 겹치는 부위에는 탄성신축부재가 형성되지 않는 일이 많아, 도시하는 형태도 이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이면 시트)
이면 시트(12)는 흡수체(50)를 지지하여 착용자에게 장착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면 시트(12)는 양측부의 전후방향 중앙부가 잘록해진 모래시계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여기가 착용자의 다리를 넣는 부위가 된다. 이면 시트(12)에 있어서의 내면측의 소정 위치에는 흡수체(50)나 표면 시트(30)가 설치되어,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다. 또, 이면 시트(12)의 외면에 있어서의 소정 부위는 고정 테이프(Y1, Y2)의 수재(130A)가 걸리는 걸림부(X)가 된다. 걸림부(X)는 등측 및 배측 중 고정 테이프(Y1, Y2)를 가지는 측과 반대측에 있으며, 또한 수재(130A)가 걸리는 한, 그 위치 및 치수는 임의로 정할 수 있다. 통상의 경우, 걸림부(X)는 전후방향 길이 20~80mm, 폭 150~300mm의 직사각형 범위로 하여, 그 상단가장자리와 허리 개구부와의 전후방향 이간거리를 0~60mm, 특히 20~50mm로 하고, 또한 제품의 폭방향 중앙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형태 등에서도 설명한 대로, 이면 시트(12)는 내면측의 소수성 시트(12A)와 외면측의 부직포 시트(12B)을 주체로 하며, 필요에 따라서 이들 사이에 중간층 부직포를 개재시켜서 적층하여, 핫멜트 접착제(H)에 의해 접착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제3 실시형태는, 소수성 시트(12A)로서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이면 시트(12)를 부직포에 의해서만 구성하고, 이면 시트(12)의 내면과 흡수체(50)의 외면의 사이에 폴리에틸렌 필름 등의 수지 필름제의 액불투과성 시트를 형성하지 않는 형태로서, 특징적으로는, 소수성 시트(12A)와 부직포 시트(12B)를 접착하는 핫멜트 접착제(H)로서 수불용성의 것을 사용함과 함께, 이 수불용성의 핫멜트 접착제(H)를 이면 시트(12)에 있어서의 흡수체(50)와 겹치는 부분 및 그 주위부분에 도포함으로써, 도포 부분의 내수압을 400mmAq 이상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도 7의 (a), (b)는 각각 이면 시트(12)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내수압이 400mmAq 미만에서는 액차단 지속성이 부족하여 서서히 액분이 스며나옴으로써 통상 상정되는 장착 시간내에서도 샘이 발생한다. 내수압은 700~1000mmAq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내수압 을 지나치게 높게 하면 통기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 내수압을 가지는 한, 소수성 시트(12A)를 이루는 부직포 및 외장용 부직포(12B)의 종류나 수용성 핫멜트 수지(H)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지만, 부직포(12A, 12B)로서는 1.2dtex 미만, 특히 0.5~0.9dtex의 섬유로 이루어지고, 또한 섬유 평량이 15g/㎡ 이상, 특히 20~25g/㎡의 단층 부직포, 또는 섬유 평량 10g/㎡ 이상, 특히 15~25g/㎡의 멜트블로운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보다 바람직한 부직포(12A, 12B)는 복수의 섬유층을 적층해서 이루어지며, 적어도 일층이 1.2dtex 미만, 특히 0.5~0.9dtex의 섬유로 이루어지고, 또한 그 섬유 평량이 15g/㎡ 이상, 특히 18~22g/㎡인 적층 부직포, 또는 멜트블로운층을 중간층에 포함하는 섬유 평량 10g/㎡ 이상, 특히 15~25g/㎡의 SMS 부직포, 특히 SMMS 부직포 등과 같은 멜트블로운층을 복수층 구비한 부직포이다. 부직포(12A, 12B)의 섬유가 너무 굵어도, 또 섬유 평량이 너무 적어도, 핫멜트 수지(H)의 도포량을 증가해도 액차단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부직포(12A, 12B)의 섬유가 너무 가늘면 강도가 부족하여 시트(70)가 찢어질 우려로 있다. 부직포(12A, 12B)의 섬유 평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강성, 중량이 불필요하게 증가해서 장착감이 악화할 우려가 있다. 이면 시트(12) 전체적으로는 평량이 15~50g/㎡이고, 또한 두께가 0.01~0.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소수성 시트(12A)를 이루는 부직포와 외장용 부직포(12B)는 기본적으로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동일한 소재로 할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서 적절한 소재 등을 개별로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이면 시트(12)에 있어서, 소수성 시트(12A)와 부직포 시트(12B)를 겹 치고 시트 상호를 수불용성 핫멜트 수지(H)를 통해서 접착함과 함께, 양 시트(12A,12B) 사이에 탄성신축부재를 신장 상태로 고정하여, 그 수축력에 의해 이면 시트(12)를 착용자에게 피트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수불용성 핫멜트 수지(H)는 이면 시트(12)의 액차단성을 높이는 기능뿐만 아니라, 소수성 시트(12A)와 부직포 시트(12B)를 접합하는 기능, 및 소수성 시트(12A)와 부직포 시트(12B)의 사이에 탄성신축부재를 고정하는 기능도 맡게 된다. 탄성신축부재로서는, 실 고무나 탄성발포체의 띠 형상물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실 고무를 한데 모아 또는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불용성 핫멜트 수지(H)로서는, 이런 종류의 기술분야에 있어서 핫멜트 접착제로서 범용되고 있는 것 중 물에 불용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AFX-088A(닛타핀들레이사(Nitta Findley Co., Ltd.) 제품)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수불용성 핫멜트 수지(H)로서는 친수성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수불용성 핫멜트 수지(H)는 소수성 시트(12A) 및 부직포 시트(12B) 중 어느 한쪽의 면에 도포하면 충분하지만, 표리 양면에 도포할 수도 있다. 단, 외부에 노출하지 않는 면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불용성 핫멜트 수지(H)의 도포량은 적당히 정할 수 있는데, 상술한 섬도 및 평량의 부직포의 경우, 적어도 내수성의 확보가 필요해지는 범위내에 있어서 5~30g/㎡ 이상, 특히 8~10g/㎡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량이 부족하면, 액이 서서히 침투하기 때문에 액차단 지속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도포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통기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는 동시에, 비용 대 효과도 저하하기 때문에 바 람직하지 않다
수불용성 핫멜트 수지(H)의 도포 패턴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커튼, 스파이럴, 서밋(스파이럴의 간격을 좁게 한 것), 슬롯 등 공지의 도포 방식을 채용할 수 있고, 규칙적·불규칙 상관없지만, 규칙적인 패턴으로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패턴은, 도 7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 전후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연속하는 도포 선(H)이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열 형성된 패턴, 혹은 도 7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 형상의 도포 점(H)이 산점 형상으로 형성된 패턴이 제조 용이성의 관점에서 적합하며, 이 경우, 총 접착 면적이 90% 이상 100% 미만이며, 또한 도포 선(H)의 선 폭(w; 한개)이 0.1~3mm, 또는 도포 점(H)의 면적(한점)이 0.05~5㎟인 것이 바람직하다. 총 도포 면적이 지나치게 적으면, 부직포(12A, 12B) 자체의 액차단성이 높아도 액차단 지속성이 부족되기 쉬워지고, 선 폭 또는 점 면적이 지나치게 좁으면, 총 도포 면적이나 도포량에 관계없이 액차단 지속성이 부족되기 쉬워지며, 선 폭 또는 점 면적이 지나치게 넓으면, 통기성이 악화되기 쉬워진다. 특히 바람직한 범위는 총 도포 면적은 95~97%이며, 도포 선(H)의 폭은 1~2mm이며, 도포 점(H)의 면적은 2~4㎟이다.
특히, 이면 시트(12)의 걸림부(X)에 있어서 수불용성 핫멜트 수지(H)의 도포량을 다른 부분과 비교해서 국부적으로 증가시키고, 수재(130A)의 박리에 대한 내구성을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보강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수불용성 핫멜트 수지(H)를 두겹 칠하는 방법 외, 겹칠하지 않고 도포량을 국 부적으로 증가시키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12)의 걸림부(X)에 있어서 수불용성 핫멜트 수지(H)를 두겹 칠할 경우 그 도포 패턴은 적당히 정할 수 있지만, 강도를 보다 높이기 위해서 먼저 도포하는 패턴을, 기저귀 전후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연속하는 도포 선이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열 형성된 패턴, 혹은 점 형상의 도포 점이 산점 형상으로 형성된 패턴으로 하고, 뒤에 도포하는 패턴을 먼저 도포한 패턴과 교차하는 패턴으로 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러한 패턴 도포들은 예를 들면 스파이럴 도포, 서밋 도포 등의 나선 형상 패턴, 커튼 도포, 비드 도포 등을 이용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도 8~도 10은 각종 패턴의 조합하여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예는, 먼저 도포하는 패턴으로서, 기저귀 전후방향으로 연속하는 도포 선(H)을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열 형성하는 선 형상 패턴을 채용한 것이며, 도 9에 나타내는 예는, 먼저 도포하는 패턴으로서, 기저귀 폭방향으로 연속하는 도포 선(H)을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열 형성하는 선 형상 패턴을 채용한 것이며, 도 10에 나타내는 예는, 먼저 도포하는 패턴으로서, 점 형상의 도포 점(H)을 산점 형상으로 형성하는 패턴을 채용한 것이다.
그리고, 이들 도 8~도 10에 나타내는 예 중, (a)도의 것은, 뒤에 도포하는 패턴으로서, 기저귀 전후방향 및 폭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경사 방향을 따르는 도포 선(Hs)을 평행하게 복수개 형성하는 동시에, 이것과 기저귀 전후방향에 관해서 선대칭을 이루는 도포 선(Hs)을 평행하게 복수개 형성한 비스듬한 격자 형상 패턴을 채용한 것이다. 또, (b)도의 것은, 뒤에 도포하는 패턴으로서, 스파이럴 도포, 서밋 도포 등의 나선 형상 패턴(Hp)을 채용한 것이다. 또 (d)도의 것은, 뒤에 도포하는 패턴으로서, 위상이 180도 벗어난 2개의 파상(波狀) 도포 선(Hw)을 형성하는 패턴을 채용한 것이다. 또 (e)도의 것은, 뒤에 도포하는 패턴으로서, 파상 도포 선(Hw)을 복수개 평행하게 형성하는 패턴을 채용한 것이다. 또, (f)도의 것은, 뒤에 도포하는 패턴으로서, 동심원 형상의 복수개의 도포 선(Hc)을 형성하는 패턴을 채용한 것이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예 중 (c)도의 것은, 뒤에 도포하는 패턴으로서, 점 형상의 도포 점(Hd)을 산점 형상으로 형성하는 패턴을 채용한 것이다. 또, 도 10에 나타내는 예 중 (c)도의 것은, 뒤에 도포하는 패턴으로서, 기저귀 전후방향으로 연속하는 도포 선(Hf)을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열 형성하는 선 형상 패턴을 채용한 것이며, (g)도의 것은, 뒤에 도포하는 패턴으로서, 기저귀 폭방향으로 연속하는 도포 선(Hk)을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열 형성하는 선 형상 패턴을 채용한 것이다.
(기타)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기저귀의 각 구성 부재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솔리드(solid), 비드, 스파이럴 또는 서밋 도포 등에 의해 상호 고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어서, 본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실시형태의 일부의 구성을 채용하거나, 본 제3 실시형태의 일부의 구성을 다른 실시형태에 적용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면 시트의 제조방법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이어서, 이면 시트의 제조방법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용 이면 시트의 제조방법의 모식도이다. 제조시에는, 우선, 원단 롤(S1) 등의 전단으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연속 시트 형상의 소수성 시트(12A) 상에 도공기(5) 혹은 살포기를 이용하여 연속해서 혹은 간헐적으로 핫멜트 접착제(H)를 배치한다. 뒤이어, 원단 롤(S2) 등의 전단으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연속 시트 형상의 부직포 시트(12B)를 핫멜트 접착제(H)가 배치된 소수성 시트(12A) 상에 겹치도록 해서 배치하여 양 시트 사이에 핫멜트 접착재가 개재된 상태로 양 시트를 적층한다.
도시는 하지 않지만, 소수성 시트와 부직포 시트의 사이에 부직포 혹은 필름으로 형성된 별도 부재 시트를 부분적으로 혹은 전체에 걸쳐 개재시키는 경우에는, 미리 별도 부재 시트를 중첩시킨 부직포 시트를 원단 롤로부터 공급하도록 해도 되며, 소수성 시트와 부직포 시트의 사이에 별도의 연속 별도 부재 시트를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부분적으로 배치하는 경우에는 그 공급하는 연속 별도 부재 시트를 간헐적으로 절단하도록 하면 된다. 시트를 단순히 다층화함에 있어서는 기지의 기술에 기초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핫멜트 접착제는 별도 부재 시트와 부직포 시트의 사이에 개재시켜도 개재시키지 않아도 되지만, 개재시키는 쪽이 바람직하다.
소수성 시트(12A), 부직포 시트(12B), 별도 부재 시트(12C)로서는 제1~제3 실시형태에서 서술한 것과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소수성 시트(12A)와 부직포 시트(12B)의 사이에 사용하는 핫멜트 접착제(H) 의 도포량은 0.5~30.0g/㎡, 바람직하게는 1.0~25.0g/㎡, 특히 바람직하게는 3.0~15.0g/㎡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별도 부재 시트를 사용해서 다층 구조로 할 경우에는, 최표리층 사이에 있어서의 핫멜트 접착제량이 이 범위에 들어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g/㎡ 미만에서는 접착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30.0g/㎡보다 다량으로 도포되면 이면 시트(12)의 유연성이 손상된다.
또, 핫멜트 접착제(H)를 도포하는 도공기(5)는 슬롯 코터, 커튼 코터 등 기지의 도공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 핫멜트 파우더를 살포하는 방법이나,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해서 살포함으로써 도포하도록 해도 된다. 도포 태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적층된 적층시트(12')는, 전면에 엠보싱용 볼록부가 형성된 볼록 엠보싱 롤(3A)을 가지는 엠보싱 가공장치(3)에 공급되어 엠보싱 가공이 실시되어, 적층된 각 시트가 열압착된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엠보싱 롤로 하지만, 본 발명은 엠보싱 롤이 아닌 단순한 열 롤에 의한 열압착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압착 수단으로서 엠보싱 롤을 사용하는 형태를 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열압착 수단은 엠보싱 롤을 사용하는 태양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초음파 접착을 채용할 수도 있다.
엠보싱 가공은 부직포 시트(12B)측이 볼록 엠보싱 롤(3A)로 압압되도록 한다. 볼록 엠보싱 롤(3A)에 대향하는 롤(3B)은 볼록 엠보싱 롤의 볼록부에 대응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오목 엠보싱 롤이어도 되고, 볼록 엠보싱 롤의 볼록부가 압입되는 정도의 유연성을 구비하는 고무 롤이어도 된다.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볼록 엠보싱 롤의 볼록부의 접착점 면적인 엠보싱 면적은 5~50%, 바람직하게는 5~4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30%이다. 엠보싱 면적이 5% 미만에서는 접착력이 불충분해지고, 50%보다 크면 엠보싱 처리를 실시해서 얻어지는 시트가 단단해져 촉감이 손상되어버릴 우려가 있다.
또, 엠보싱 가공시의 엠보싱 압력은 3~20kgf/㎠인 것이 바람직하다. 3kgf/㎠ 미만에서는, 접착제의 도포량이 상기 범위내일 경우에 있어서 소수성 시트(12A)와 부직포 시트(12B)의 접착이 불충분해지고, 20kgf/㎠보다 크면 부직포 시트(12B)가 경화하여 그 촉감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엠보싱 압력은 가공 속도에도 영향을 받으므로,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당히 변경가능하다.
여기서, 예를 들면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일회용 기저귀의 이면 시트에 사용하는 것이라면, 소수성 시트(12A)와 부직포 시트(12B)의 박리 강도는 실질적으로 박리 불가능한 정도이다. 즉 무리하게 박리하고자 한다면 이면 시트가 파손될 정도로 강고하게 접착한다. 별도 부재 시트(12C)를 개재시키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실시예)과 그 밖의 제조방법(비교예)에 있어서, 엠보싱 롤에의 휘감김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시험하였다. 시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은, 평량 20g/㎡로 제조한 에어 스루 부직포 시트(PE/PET)와, 두께 25㎛의 폴리에틸렌 필름 시트를 하기 표 1 중에 나타내는 물성의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해서 접착한 후에 엠보싱 롤로 엠보싱 부여함으로써 행하였다.
엠보싱 조건은 엠보싱 압력 7kgf/㎠, 0.3mm 클리어런스, 시트 흐름 속도 165m/min, 압착 시간 0.9초/매, 연속 조업 시간 20h로 하였다. 평가로서 엠보싱 롤 배출측에 휘감긴 횟수를 측정하였다.
Figure 112008073977229-PCT00003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실시예)에서는, 엠보싱 롤에의 휘감김이 없고, 그 밖의 제조방법(비교예)에서는 휘감김이 보였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해 엠보싱 롤에의 휘감김이 방지되는 것이 나타났다.
여기서, 표 1에 있어서 주목해야 할 것은, 각 예에 따른 연화점 및 160℃ 용융 점도와 휘감김에 상관 관계가 없는 것이다. 용융 점도가 높고, 연화점이 낮고, 특히 엠보싱 부여시의 온도에서의 점도가 높을 경우에, 휘감김이 발생하는 것처럼 생각되지만, 앞선 시험 결과에도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제로는 그다지 상관이 없다. 그리고, 루프택 시험은 지금까지 요철을 가지는 엠보싱 롤의 엠보싱 부여시에 있어서의 핫멜트 접착제의 휘감김의 지표로 여겨지는 일은 없었다. 게다가, 본 시험 결과는, 특히 엠보싱 부여 온도와는 상이한 40℃에서의 루프택 시험에 있어서의 박리 강도의 결과로부터, 부직포면에서의 스며나옴과 엠보싱 부여시의 휘감김의 발생의 억제가 이루어지는 범위가 지견된 것에 특히 의의가 있다.
<실시예 2>
뒤이어, 엠보싱의 유무·엠보싱 비율·핫멜트 접착제에 의한 유무를 다르게 해서 본원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작성하고, 그 KES의 굽힘 값, 접착 강도를 측정함과 함께, 부드러움 등의 평가를 하였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는 평량 20g/㎡로 제조한 에어 스루 부직포 시트(PE/PET)와 두께 25㎛의 폴리에틸렌 필름 시트를, 핫멜트 접착제만으로 접착하는 형태, 엠보싱만으로 접착하는 형태, 핫멜트 접착제로 접착한 후도 엠보싱 롤로 엠보싱 부여함으로써 접착하는 형태의 3종의 형태로 하였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가 어느 형태에 해당하고 있는지 및 핫멜트의 사용량이나 엠보싱 양 등의 기타 상세한 내용은, 하기 표 2 중에 나타내는 대로이다. 또한, 엠보싱을 부여하는데 있어서의 조건은, 엠보싱 압력 7kgf/㎠, 클리어런스 0.3mm, 시트 흐름 속도 165m/min, 압착 시간 0.9초/매이다.
여기서, KES의 굽힘 측정값은 순굽힘시험기(카토테크사 제품 : KES-FB-2AOUT-A)를 사용하여, 길이 200mm, 폭 200mm로 재단한 시료를 상기 시험기에 세트하여, DFE 감도 20, 곡률범위 0.0~0.5cm-1로 구부렸을 때의 값이다.
또, 관능 평가는 시험자가 실제로 손에 접촉했을 때에 부드럽다고 느낀 것을 ○, 부드러움이 결여되었다고 느낀 것을 ×로 평가하였다.
또한, 필름 시트와 부직포 시트의 접착 강도(A)는 인장시험기(SHIMADZU사 제품 AOUTGRAPH AGS-G100N)을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25mm×130mm로 재단한 시료(이면 시트)를 작성하여 콜드 스프레이에 의해 미리 길이방향 5cm를 벗겨 두고, 20℃ 조건하에 있어서 척 간 50mm, 인장속도 300mm/min의 조건으로 상술한 박리 자리로부터 30mm의 길이를 인장시험기로 박리했을 때의 접착 강도(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값은, 시료는 길이방향이 제품 세로방향으로 되는 것과 길이방향이 제품 가로방향으로 되는 것의 2종류를 작성하고, 각각에 대해서 측정한 값의 평균값이다.
또 부직포 시트와 수재의 박리 강도(B)는, 50mm×130mm로 재단한 시료(이면 시트)에 대하여 동 사이즈로 재단한 수재를 중첩한 후, 그 위에서 2kg의 롤러를 굴려 수재를 부직포 시트에 압압시키고, 또한 전단방향으로 1kg 가중을 10초간 가해, 부직포 시트와 수재를 걸어맞춰 시험편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이 시료를 접착 강도(A)의 측정과 마찬가지로 하여 측정해서 측정값을 산출하였다.
Figure 112008073977229-PCT00004
표 2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시험에 의해 본 발명의 전개형 흡수성 물품은 비교예와 비교해서 고정시의 떼어냄에 의한 층간 박리의 우려가 없고, 게다가 부드러움이 우수한 것이 나타났다.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전개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이용 가능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전개형 일회용 기저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생리용 냅킨이나 소변 패드 등의 다른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이면 시트의 제조시에, 나아가서는, 수술복, 포장재 등의 일회용 제품, 특히 액불투과성과 양호한 촉감을 필요로 하는 제품에 사용하는 외장 시트의 제조시에도 이용 가능하다.

Claims (14)

  1.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양 시트 사이에 개재된 흡수체를 구비하며, 등측 또는 배측부의 어느 한쪽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에 고정 테이프가 배치되며, 상기 고정 테이프의 일부 또는 전부가 면 패스너의 수재(雄材)로 형성되고, 상기 수재를 배측부 혹은 등측부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 사이에 배치된 걸림부에 걸어 착용하는 전개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이면 시트가 소수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소수성 시트와 상기 물품의 외면을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를 핫멜트 접착제를 개재시켜서 적층시킨 후 열압착시켜 형성된 것이며, 상기 소수성 시트와 부직포 시트의 접착 강도가 부직포 시트에 상기 수재를 고정시켰을 때의 박리 강도보다도 높고, 또한 KES의 굽힘시험에 있어서의 측정값이 0.05~0.50g·㎠/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형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시트와 상기 부직포 시트의 사이에 사용되는 핫멜트 접착제의 사용량이 0.5~3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형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시트와 상기 부직포 시트를 상기 핫멜트 접착제를 개재시켜서 적층한 후, 상기 부직포 시트측이 엠보싱 롤의 볼록 롤측이 되도록 해서 엠보싱 가 공을 하면서 열압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형 흡수성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압착전에 상기 소수성 시트와 부직포 시트의 사이에 이들과는 다른 별도 부재 시트를 부분적으로 혹은 전체에 걸쳐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형 흡수성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 부재 시트가 소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형 흡수성 물품.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에만 상기 열압착이 실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형 흡수성 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가 좌우 한쌍의 걸림부로 구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제품의 적어도 폭방향 중심에서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그 이간부에는 수재의 걸림이 사용상 충분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형 흡수성 물품.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와 그 주변에만 상기 별도 부재 시트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형 흡수성 물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 접착제의 도포 패턴이 물품 전후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연속하는 도포 선이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열 형성된 패턴이며, 상기 도포 선의 폭이 0.1~3mm이며, 또한 상기 소수성 시트의 90% 이상의 면적에 도포되어 있거나, 혹은
    상기 핫멜트 접착제의 도포 패턴이 점 형상의 도포 점이 산점(散點) 형상으로 형성된 패턴이며, 상기 도포 점의 면적이 0.05~5㎟이며, 또한 상기 소수성 시트의 90% 이상의 면적에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형 흡수성 물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시트가 소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부직포이며, 상기 핫멜트 접착제가 수불용성 핫멜트 수지로 이루어지며, 또한 적어도 상기 핫멜트 접착제를 개재시킨 범위에 있어서의 상기 이면 시트의 내수압이 400mmAq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형 흡수성 물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에 있어서의 상기 핫멜트 접착제의 도포량이 다른 부분과 비교해 서 국부적으로 증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형 흡수성 물품.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시트에 사용되는 부직포는 단층 부직포이거나 또는 복수의 층을 가지는 적층 부직포로서, 적어도 일층이 1.2dtex 미만의 섬유로 이루어지며, 또한 섬유 평량이 15~25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형 흡수성 물품.
  13.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의 사이에 흡수체가 개재된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상기 이면 시트의 제조방법으로서,
    소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소수성 시트와 부직포 시트의 사이에 JIS Z 0237에 규정되는 루프택 시험에 있어서의 40℃에서의 박리 강도가 0.0~5.0N/25mm의 범위에 있는 핫멜트 접착제를 개재시켜서 적층한 뒤 각 시트를 열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용 이면 시트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열압착시에 엠보싱 압력 3~20kgf/㎠로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면서 상기 열압착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용 이면 시트의 제조방법.
KR1020087026109A 2006-03-31 2007-03-30 전개형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용 이면 시트의 제조방법 KR200900180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01164 2006-03-31
JP2006101164 2006-03-31
JPJP-P-2006-152844 2006-05-31
JP2006152844 2006-05-31
JPJP-P-2006-152845 2006-05-31
JP2006152845 2006-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035A true KR20090018035A (ko) 2009-02-19

Family

ID=38563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6109A KR20090018035A (ko) 2006-03-31 2007-03-30 전개형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용 이면 시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WO2007114362A1 (ko)
KR (1) KR20090018035A (ko)
WO (1) WO20071143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R200908430A2 (tr) * 2009-11-06 2010-08-23 Korozo Ambalaj Sanayi̇ Ve Ti̇caret Anoni̇m Şi̇rketi̇ Bebek ve yetişkin hijyenik petlerinde bulunan bantlarda kullanılmak üzere oluşturulan mukavemeti yüksek ilmikli parça.
JP5743414B2 (ja) * 2010-03-18 2015-07-01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US20120179125A1 (en) 2010-08-20 2012-07-12 Kevin Ronald Kanya Absorbent Article and Components Thereof Having Improved Softness Signal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US10639212B2 (en) 2010-08-20 2020-05-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and components thereof having improved softness signal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JP5683982B2 (ja) * 2011-02-01 2015-03-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028989B2 (ja) * 2011-09-27 2016-11-24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5882648B2 (ja) * 2011-09-27 2016-03-09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5579334B1 (ja) 2014-01-14 2014-08-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JP6219449B2 (ja) * 2016-05-20 2017-10-25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BR112019002337A2 (pt) * 2016-08-05 2019-10-01 Bostik Inc método para reduzir o acúmulo de adesivo em superfícies de rolo
JP6564356B2 (ja) * 2016-11-25 2019-08-21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1051A (ja) * 1990-02-16 1991-10-28 Asahi Chem Ind Co Ltd 衛生材料用不透液性シート
JPH08112312A (ja) * 1994-10-14 1996-05-07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3537610B2 (ja) * 1995-10-27 2004-06-1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422622B2 (ja) * 1996-03-19 2003-06-30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5846365A (en) * 1996-09-20 1998-12-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integral landing zone
JP2001046426A (ja) * 1999-08-06 2001-02-20 Kao Corp 吸収性物品
JP4309594B2 (ja) * 2001-01-15 2009-08-05 大王製紙株式会社 紙おむつ
JP4243063B2 (ja) * 2002-01-07 2009-03-2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3678728B2 (ja) * 2003-01-08 2005-08-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模様シートを有する使い捨ておむつ
JP4295004B2 (ja) * 2003-05-09 2009-07-15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積層シートおよび積層シートを用いた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2005095261A (ja) * 2003-09-22 2005-04-14 Kao Corp 吸収性物品
JP3806128B2 (ja) * 2004-09-09 2006-08-09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7114362A1 (ja) 2009-08-20
JP2009183797A (ja) 2009-08-20
WO2007114362A1 (ja) 200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8035A (ko) 전개형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용 이면 시트의 제조방법
TWI694816B (zh) 吸收性物品的伸縮結構及其製造方法
KR101390123B1 (ko) 팬티형 종이 기저귀
TWI232249B (en) Elasticized web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its manufacture
JP4417920B2 (ja) 面ファスナーの雌材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US20130226120A1 (en) Absorbent structure
KR101355420B1 (ko) 일회용 기저귀
JP4937572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08155015A (ja) 紙おむつ
JP2010005453A5 (ko)
JP4904116B2 (ja) 止着式紙おむつ
JP4417921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14104261A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55002A5 (ko)
JP5941278B2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2007268220A5 (ko)
WO2014204016A1 (ja) 吸収性物品
JP5091001B2 (ja) 仮止め止着テープの製造方法、仮止め止着テープ及びこれを用いた使い捨ておむつ
JP6301422B2 (ja) 吸収性物品
JP5524792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510756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6174977B2 (ja) 吸収性物品
JP5060735B2 (ja) 吸収性物品
JP5791332B2 (ja) 吸収性物品およ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2007111503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