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7547A - 환원형 보효소 q10의 안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환원형 보효소 q10의 안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7547A
KR20090017547A KR1020087029021A KR20087029021A KR20090017547A KR 20090017547 A KR20090017547 A KR 20090017547A KR 1020087029021 A KR1020087029021 A KR 1020087029021A KR 20087029021 A KR20087029021 A KR 20087029021A KR 20090017547 A KR20090017547 A KR 20090017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uced coenzyme
coenzyme
reduced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9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6344B1 (ko
Inventor
다까히로 우에다
시로 기따무라
히로시 구보
가즈노리 호소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65560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01754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Publication of KR20090017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1/00Preparation of ethers; 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1/01Preparation of ethers
    • C07C41/34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41/46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47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sorbit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58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4Inotropic agents, i.e. stimulants of cardiac contraction; Drugs for heart fail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iabet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Toxicology (AREA)
  • Bir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Cosmetic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영양 기능 식품, 특정 보건용 식품, 영양 보조제, 영양제, 동물약, 음료, 사료, 화장품, 의약품, 치료약, 예방약 등으로서 유용한 환원형 보효소 Q10을 안정화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환원형 보효소 Q10에 환원형 보효소 Q9 및/또는 환원형 보효소 Q11을 공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형 보효소 Q10의 안정화 방법, 및 환원형 보효소 Q10과 환원형 보효소 Q9 및/또는 환원형 보효소 Q11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환원형 보효소 Q10, Q9, Q11, 안정화

Description

환원형 보효소 Q10의 안정화 방법{METHOD FOR STABILIZATION OF REDUCED COENZYME Q10}
본 발명은, 환원형 보효소 Q10의 안정화 방법, 및 산화에 대하여 안정한 환원형 보효소 Q10 함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환원형 보효소 Q10은 산화형 보효소 Q10과 비교하여 높은 경구 흡수성을 나타내고, 우수한 식품, 영양 기능 식품, 특정 보건용 식품, 영양 보조제, 영양제, 동물약, 음료, 사료, 애완용 사료(pet food), 화장품, 의약품, 치료약, 예방약 등으로서 유용한 화합물이다.
환원형 보효소 Q10은, 예를 들면 합성, 발효, 천연물로부터의 추출 등의 종래 공지의 방법에 의해 보효소 Q10을 얻은 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유출액 중의 환원형 보효소 Q10 구분을 농축하는 방법 등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이 경우에는, 상기 환원형 보효소 Q10 중에 포함되는 산화형 보효소 Q10을 수소화붕소나트륨, 아디티온산나트륨(차아황산나트륨) 등의 일반적인 환원제를 이용하여 환원한 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농축을 행할 수 있는 것, 또한 환 원형 보효소 Q10은 기존의 고순도 보효소 Q10에 상기 환원제를 작용시키는 방법에 의해서도 얻어지는 것이 상기 특허 공보 중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간편하게 환원형 보효소 Q10을 얻기 위한 제법도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4).
그러나, 환원형 보효소 Q10은 분자 산소에 의해 산소형 보효소 Q10으로 산화되기 쉽고, 환원형 보효소 Q10을 식품, 영양 기능 식품, 특정 보건용 식품, 영양 보조제, 영양제, 동물약, 음료, 사료, 애완용 사료, 화장품, 의약품, 치료약, 예방약 등 또는 그것들의 소재나 조성물로 가공할 때나 가공 후 보존할 때 등에서, 환원형 보효소 Q10의 안정화가 중요한 과제로서 남아 있다. 상기한 가공이나 보존시에 완전한 산소의 제거 또는 차단은 매우 어렵고, 특히 가공시의 가온이나 장기간에 걸친 보존에 있어서 잔존하거나 또는 혼입되는 산소가 큰 악영향을 미친다. 상기 산화는 산화형 보효소 Q10의 부생이라는 품질면의 문제에 직결한다.
이와 같이 환원형 보효소 Q10을 안정화하는(산화로부터 방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인데, 현재까지 환원형 보효소 Q10이 시판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환원형 보효소 Q10을 안정되게 유지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에 관한 연구는 그다지 이루어져 있지 않다.
종래 알려져 있는 환원형 보효소 Q10을 안정되게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는 환원제를 첨가하는 방법이 존재하는데, 이들 사용하는 환원제에는 식품용이나 의약 용도에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한 것도 있었다. 예를 들면, 환원제를 공존시킨 조성물 및 그 제조법에 대하여 기술한 예(특허 문헌 5)에서는, (1) 환원형 보효소 Q10:환원형 보효소 Q10이 산화형 보효소 Q10으로 산화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유효한 양의 환원제; 상기 환원형 보효소 Q10과 상기 환원제를 용해하기 위해서 유효한 양의 계면 활성제, 식물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필요에 따라 용매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2) 상기 조성물을 젤라틴 캡슐 또는 정제로 제제화한 경구 투여를 위한 조성물, 또한 (3) 산화형 보효소 Q10 및 환원제를 이용하여 계 내에서 환원형 보효소 Q10을 함유하는 상기 조성물을 조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환원형 보효소 Q10의 품질이나 안정화 효과 등에 관한 상세한 기술은 없고, 어느 정도의 안정화를 기대할 수 있을지는 분명하지 않다.
또한, 상기한 조성물이나 그 조제 방법은 조성물에 복수의 역할(즉, 첫째 산화형 보효소 Q10을 환원형 보효소 Q10으로 환원하는 반응의 장으로서의 역할, 둘째 환원형 보효소 Q10을 안정되게 유지하는 역할)을 갖게 하기 위해서 매우 복잡·번잡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이나 그 조제 방법에서는, 반응 혼합물이 그대로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안정하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즉, 환원제로서 사용되는 아스코르브산류는 산화되어 상당량의 디히드로아스코르브산류를 발생시키고, 그것이 상기 조성물 중에 혼입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디히드로아스코 르브산류나 그 분해에 의해 생성된 옥살산은, 아스코르브산류와는 달리 유해성이 높다. 예를 들면, 간장이나 신장 중의 과산화 지질량의 증가와 항산화 물질의 감소나 신장 중의 옥살산량의 증가가 보고되어 있고,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의 저하나 요관 결석을 발증하기 쉽다는 것(비특허 문헌 1) 등의 부작용이 우려된다.
특허 문헌 1:일본 특개 평10-109933호 공보
특허 문헌 2:WO03/06408호 팸플릿
특허 문헌 3:WO03/06409호 팸플릿
특허 문헌 4:WO03/32967호 팸플릿
특허 문헌 5:WO01/52822호 팸플릿
비특허 문헌 1:뉴트리션 리서치(Nutrition Research) 13권, 667-676면, 1993년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환원형 보효소 Q10을 함유하는 식품, 영양 기능 식품, 특정 보건용 식품, 영양제, 영양 보조제, 동물약, 음료, 사료, 애완용 사료, 화장품, 의약품, 치료약, 예방약 등 또는 그것들의 소재나 조성물로 가공할 때, 및/또는 가공 후 보존할 때에 높은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환원형 보효소 Q10을 산화로부터 방호하여 안정되게 유지하기 위한 간편하면서 적합한 방법 및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한 결과, 환원형 보효소 Q10과, 환원형 보효소 Q10의 유연체인 환원형 보효소 Q9 및/또는 환원형 보효소 Q11을 공존시킴으로써, 환원형 보효소 Q10이 안정화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환원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환원형 보효소 Q10에 대하여, 환원형 보효소 Q9를 0.6중량% 이상 및/또는 환원형 보효소 Q11을 공존시킴으로써 환원형 보효소 Q10을 산화로부터 방호하여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a) 환원형 보효소 Q10에 대하여, 0.6중량% 이상의 환원형 보효소 Q9 및/또는
(b) 환원형 보효소 Q11
을 공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형 보효소 Q10의 안정화 방법.
[2] 상기 (a) 환원형 보효소 Q9가 1중량% 이상인 [1] 기재의 방법.
[3] 상기 (a) 환원형 보효소 Q9 및 (b) 환원형 보효소 Q11이 별도 조제되어 첨가된 것인 [1] 또는 [2] 기재의 방법.
[4] 산화형 보효소 Q9 및/또는 산화형 보효소 Q11을 함유하는 산화형 보효소 Q10을 환원함으로써 상기 공존 상태로 하는 것인 [1] 또는 [2] 기재의 방법.
[5] 탈산소 분위기 하에서 공존시키는 것인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6] (a) 환원형 보효소 Q10에 대하여, 0.6중량% 이상의 환원형 보효소 Q9 및/또는
(b) 환원형 보효소 Q11
을 공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형 보효소 Q10 함유 조성물.
[7] 상기 (a) 환원형 보효소 Q9가 1중량% 이상인 [6] 기재의 조성물.
[8] 환원형 보효소 Q10이 결정 형태인 [6] 또는 [7] 기재의 조성물.
[9] 환원형 보효소 Q10이 용매에 용해 또는 현탁된 형태인 [6] 또는 [7] 기재의 조성물.
[10] 환원형 보효소 Q10이 용융액의 형태인 [6] 또는 [7] 기재의 조성물.
[11] 환원형 보효소 Q10을 유효 성분으로 하여 포유류에 투여하는 형태인 [6] 또는 [7] 기재의 조성물.
[12] 부형제, 붕괴제, 활택제, 결합제, 산화 방지제, 착색제, 응집 방지제, 흡수 촉진제, 유효 성분의 용해 보조제, 안정화제, 또는 환원형 보효소 Q10 이외의 다른 활성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포함되는 [6] 또는 [7] 기재의 조성물.
[13] 캡슐제인 [12] 기재의 조성물.
[14] 캡슐제가 마이크로 캡슐, 연질 캡슐 또는 경질 캡슐인 [13] 기재의 조성물.
[15] (a) 환원형 보효소 Q10에 대하여, 0.6중량% 이상의 환원형 보효소 Q9 및/또는
(b) 환원형 보효소 Q11
이 공존하는 환원형 보효소 Q10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며, (a) 및/또는 (b)가 별도 조제 및 첨가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16] (a) 환원형 보효소 Q10에 대하여, 0.6중량% 이상의 환원형 보효소 Q9 및/또는
(b) 환원형 보효소 Q11
이 공존하는 환원형 보효소 Q10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며, 산화형 보효소 Q9를 산화형 보효소 Q10에 대하여 0.6중량% 이상 및/또는 산화형 보효소 Q11을 포함하는 산화형 보효소 Q10을 환원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환원형 보효소 Q10의 유연체를 공존시키는 것만으로, 산화로부터 방호하기 위해서 복수의 성분, 특히 환원제를 필수 성분으로서 첨가하지 않아도 환원형 보효소 Q10의 안정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아스코르브산류 등을 환원제로서 사용한 경우에 생기는 디히드로아스코르브산류나 옥살산 등의 유해성이 높은 물질을 포함할 가능성이 낮은 안전성이 높은 환원형 보효소 Q1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환원형 보효소 Q9나 환원형 보효소 Q11은, 생체 내에서는 환원형 보효소 Q10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환원형 보효소 Q10에 포함되는 환원형 보효소 Q9나 환원형 보효소 Q11을 섭취한 경우에는, 환원형 보효소 Q10의 효과를 방해하는 일은 없고, 환원형 보효소 Q10만 함유하는 조성물 등에 비하여 더 많은 보효소 Q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환원형 보효소 Q9의 생체 내로의 흡수성은 환원형 보효소 Q10보다 크기 때문에, 환원형 보효소 Q9와 환원형 보효소 Q10이 공존한 조성물에서는 보효소 Q의 총량으로서의 흡수성이 높아진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환원형 보효소 Q9 투여 래트와 환원형 보효소 Q10 투여 래트에 대하여, 각각의 혈장 중의 총 보효소 Q 농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환원형 보효소 Q10 투여 래트, 환원형 보효소 Q10과 환원형 보효소 Q11의 혼합물 투여 래트에 대하여, 각각의 혈장 중의 보효소 Q10 농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보효소 Q10이라고만 기재한 경우에는, 산화형, 환원형에 관계없이 양자가 혼재하는 경우에는 혼합물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환원형 보효소 Q10은 산화형 보효소 Q10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산화형 보효소 Q10이 혼재하고 있는 경우, 보효소 Q10의 총량(환원형 보효소 Q10 및 산화형 보효소 Q10의 총량)에서 차지하는 환원형 보효소 Q10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20중량% 이상, 보통 4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 특히 90중량% 이상, 그 중에서도 96중량% 이상이다. 상한은 100중량%이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보통 99.9중량% 이하이다.
환원형 보효소 Q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데, 예를 들면 WO03/06408호 팸플릿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보효소 Q10의 총량에서 차지하는 환원형 보효소 Q10의 비율이 높은 환원형 보효소 Q10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환원형 보효소 Q10의 안정화 방법(이하 본 발명의 안정화 방법이라고도 함)은, (a) 환원형 보효소 Q10에 대하여, 0.6중량% 이상의 환원형 보효소 Q9, 및/또는 (b) 환원형 보효소 Q11을 공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며, 분자 산소에 의한 환원형 보효소 Q10의 산화형 보효소 Q10으로의 산화를 억제하고, 환원형 보효소 Q10을 안정되게 유지하는 방법이다.
환원형 보효소 Q10에 포함되는 환원형 보효소 Q9 및/또는 환원형 보효소 Q11의 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환원형 보효소 Q9의 양은 환원형 보효소 Q10에 대하여 통상 약 0.6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중량%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3중량% 이상이다.
환원형 보효소 Q11의 양은 환원형 보효소 Q10에 대하여 통상 약 0.1중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0.5중량%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1중량% 이상이다.
환원형 보효소 Q10에 포함되는 환원형 보효소 Q9 및/또는 환원형 보효소 Q11의 양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약 99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90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약 80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7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0중량% 이하, 그 중에서도 약 50중량% 이하, 특히 약 40중량% 이하이다. 말할 것도 없이, 환원형 보효소 Q9와 환원형 보효소 Q11의 둘다가 환원형 보효소 Q10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안정화 방법에서, 상기 (a) 및/또는 (b)는 별도 조제된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상기, 조제된 것이란, 예를 들면 천연물로부터 추출·정제하여 얻어진 것, 산화형 보효소 Q9 및 산화형 보효소 Q11을 상기 WO03/06408호 팸플릿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환원하여 얻어진 것, 또는 2-메틸-5,6-디메톡시-1,4-벤조히드로퀴논과 이소프레닐 측쇄의 커플링 반응 등에 의해 얻어진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얻어진 환원형 보효소 Q9 및/또는 환원형 보효소 Q11을 환원형 보효소 Q10에 첨가함으로써, 환원형 보효소 Q10을 안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정화 방법은, 산화형 보효소 Q9 및/또는 산화형 보효소 Q11을 함유하는 산화형 보효소 Q10을 환원함으로써, 환원형 보효소 Q10과 (a) 및/또는 (b)가 공존하는 상태로 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산화형 보효소 Q9 및/또는 산화형 보효소 Q11을 함유하는 산화형 보효소 Q10을 환원하는 방법은, WO03/06408호 팸플릿에 기재된 방법 등에 준하여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환원형 보효소 Q10 함유 조성물(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이라고도 함)은, (a) 환원형 보효소 Q10에 대하여, 0.6중량% 이상의 환원형 보효소 Q9, 및/ 또는 (b) 환원형 보효소 Q11을 공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이다.
환원형 보효소 Q10에 포함되는 환원형 보효소 Q9 및/또는 환원형 보효소 Q11의 바람직한 양은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다.
환원형 보효소 Q10에 별도 조제된 환원형 보효소 Q9 및/또는 환원형 보효소 Q11을 첨가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로 할 수 있고, 산화형 보효소 Q9 및/또는 산화형 보효소 Q11을 함유하는 산화형 보효소 Q10을 환원함으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환원형 보효소 Q10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하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이라고도 함)은, 상기 (a) 및/또는 (b)가 공존하는 환원형 보효소 Q10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며, (a) 및/또는 (b)가 별도 조제 및 첨가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이다.
환원형 보효소 Q9 및/또는 환원형 보효소 Q11을 함유하는 환원형 보효소 Q10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a) 및/또는 (b)가 별도 조제 및 첨가되는 공정이란,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별도 조제된 (a) 및/또는 (b)를 첨가하는 공정이고, 조제 및 첨가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산화형 보효소 Q9를 산화형 보효소 Q10에 대하여 0.6중량% 이상, 및/또는 산화형 보효소 Q11을 포함하는 산화형 보효소 Q10을 환 원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이다. 그 공정에 의해 최종적으로 (a) 및/또는 (b)가 공존하는 환원형 보효소 Q10 함유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말할 것도 없이, 산화형 보효소 Q9 및/또는 산화형 보효소 Q11을 포함하는 산화형 보효소 Q10을 환원하는 방법(공정)과, 별도 조제한 환원형 보효소 Q9 및/또는 환원형 보효소 Q11을 첨가하는 방법(공정)을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환원형 보효소 Q9 및/또는 환원형 보효소 Q11이 공존하는 환원형 보효소 Q10 함유 조성물의 형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결정 형태; 용매에 용해 또는 현탁된 형태; 융점 이상으로 유지된 용융액 형태; 또는 경구 투여제나 외용제 등의 포유류로의 투여를 의도한 형태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환원형 보효소 Q10과, 환원형 보효소 Q9 및/또는 환원형 보효소 Q11을 접촉시키는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환원형 보효소 Q10과, 환원형 보효소 Q9 및/또는 환원형 보효소 Q11이 모두 결정으로서 존재할 수 있고, 임의의 용매에 용해 및/또는 현탁한 상태일 수 있다. 말할 것도 없이, 환원형 보효소 Q10의 융액에 환원형 보효소 Q9 및/또는 환원형 보효소 Q11이 용해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용매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탄화수소류, 지방산 에스테르류, 에테르류, 알코올류, 지방산류, 케톤류, 질소 화합물류(니트릴 류, 아미드류를 포함함), 황 화합물류, 유지류, 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는 임의의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탄화수소류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지방족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 할로겐화 탄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지방족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가 바람직하고, 특히 지방족 탄화수소가 바람직하다.
지방족 탄화수소로서는 환상, 비환상에 관계 없이 또한 포화, 불포화에 관계 없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포화된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보통, 탄소수 3∼20, 특히 탄소수 5∼12, 특히 탄소수 5∼8의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판, 부탄, 이소부탄, 펜탄, 2-메틸부탄, 헥산, 2-메틸펜탄, 2,2-디메틸부탄, 2,3-디메틸부탄, 헵탄, 헵탄 이성체(예를 들면, 2-메틸헥산, 3-메틸헥산, 2,3-디메틸펜탄, 2,4-디메틸펜탄), 옥탄, 2,2,3-트리메틸펜탄, 이소옥탄, 노난, 2,2,5-트리메틸헥산, 데칸, 도데칸, 2-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시클로펜탄, 메틸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에틸시클로헥산, p-멘탄, 시클로헥센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펜탄, 2-메틸부탄, 헥산, 2-메틸펜탄, 2,2-디메틸부탄, 2,3-디메틸부탄, 헵탄, 헵탄 이성체(예를 들면, 2-메틸헥산, 3-메틸헥산, 2,3-디메틸펜탄, 2,4-디메틸펜탄), 옥탄, 2,2,3-트리메틸펜탄, 이소옥탄, 노난, 2,2,5-트리메틸헥산, 데칸, 도데칸, 시클로펜탄, 메틸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에틸시클로헥산, p-멘탄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펜탄, 2-메틸부탄, 헥산, 2-메틸펜탄, 2,2-디메틸부탄, 2,3-디메틸부탄, 헵탄, 헵탄 이성체(예를 들면, 2-메틸헥산, 3-메틸헥산, 2,3-디메틸펜탄, 2,4-디메틸펜탄), 옥탄, 2,2,3-트리메틸펜탄, 이소옥탄, 시클로펜탄, 메틸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에틸시클로헥산 등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헵탄류, 헵탄은 물론, 탄소수 7을 가지는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이종 헵탄이나 그들의 복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통상, 탄소수 5의 펜탄류(예를 들면, 펜탄 등), 탄소수 6의 헥산류(예를 들면, 헥산, 시클로헥산 등), 탄소수 7의 헵탄류(예를 들면, 헵탄, 메틸시클로헥산 등)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되는데, 가장 바람직하게는, 헵탄류(예를 들면, 헵탄, 메틸시클로헥산 등)이고, 특히 헵탄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탄화수소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보통 탄소수 6∼20, 특히 탄소수 6∼12, 특히 탄소수 7∼10의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크실렌, o-크실렌, m-크실렌, p-크실렌, 에틸벤젠, 쿠멘, 메시틸렌, 테트라린, 부틸벤젠, p-시멘, 시클로헥실벤젠, 디에틸벤젠, 펜틸벤젠, 디펜틸벤젠, 도데실벤젠,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톨루엔, 크실렌, o-크실렌, m-크실렌, p-크실렌, 에틸벤젠, 쿠멘, 메시틸렌, 테트라린, 부틸벤젠, p-시멘, 시클로헥실벤젠, 디에틸벤젠, 펜틸벤젠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톨루엔, 크실렌, o-크실렌, m-크실렌, p-크실렌, 쿠멘, 테트라린 등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쿠멘이다.
할로겐화 탄화수소로서는 환상, 비환상에 관계 없이 또한 포화, 불포화에 관계 없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비환상의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통상, 염소화 탄화수소, 불소화 탄화수소가 바람직하고, 특히 염소화 탄화수소가 바람직하다. 탄소수 1∼6, 특히 탄소수 1∼4, 그 중에서도 탄소수 1∼2의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1,1-디클로로에탄, 1,2-디클로로에탄, 1,1,1-트리클로로에탄, 1,1,2-트리클로로에탄, 1,1,1,2-테트라클로로에탄, 1,1,2,2-테트라클로로에탄, 펜타클로로에탄, 헥사클로로에탄, 1,1-디클로로에틸렌, 1,2-디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1,2-디클로로프로판, 1,2,3-트리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젠,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1,1-디클로로에탄, 1,2-디클로로에탄, 1,1,1-트리클로로에탄, 1,1,2-트리클로로에탄, 1,1-디클로로에틸렌, 1,2-디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클로로벤젠,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1,2-디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클로로벤젠,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등이 바람직하다.
지방산 에스테르류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프로피온산에스테르, 아세트산에스테르, 포름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아세트산에스테르, 포름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아세트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에스테르기로서는, 탄소수 1∼8의 알킬에스테르 또는 아르알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6의 알킬에스테르, 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4의 알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프로피온산에스테르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피온산메틸, 프로피온산 에틸, 프로피온산부틸, 프로피온산이소펜틸을 들 수 있다. 아세트산에스테르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이소프로필,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이소부틸, 아세트산sec-부틸, 아세트산펜틸, 아세트산이소펜틸, 아세트산sec-헥실, 아세트산시클로헥실, 아세트산벤질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이소프로필,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이소부틸, 아세트산sec-부틸, 아세트산펜틸, 아세트산이소펜틸, 아세트산sec-헥실, 아세트산시클로헥실 등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이소프로필,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이소부틸 등이고, 특히 아세트산에틸이 바람직하다. 포름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포름산메틸, 포름산에틸, 포름산프로필, 포름산이소프로필, 포름산부틸, 포름산이소부틸, 포름산sec-부틸, 포름산펜틸 등을 들 수 있다. 포름산메틸, 포름산에틸, 포름산프로필, 포름산부틸, 포름산이소부틸, 포름산펜틸 등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포름산에틸이다.
에테르류로서는 환상, 비환상에 관계 없이 또한 포화, 불포화에 관계 없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포화된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통상, 탄소수 3∼20, 특히 탄소수 4∼12, 특히 탄소수 4∼8의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디에틸에테르, 메틸tert-부틸에테르, 디프로필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디부틸에테르, 디헥실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부틸비닐에테르, 아니솔, 페네톨, 부틸페닐에테르, 메톡시톨루엔, 디옥산, 푸란, 2-메틸푸란, 테트 라히드로푸란, 테트라히드로피란,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디에틸에테르, 메틸tert-부틸에테르, 디프로필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디부틸에테르, 디헥실에테르, 아니솔, 페네톨, 부틸페닐에테르, 메톡시톨루엔, 디옥산, 2-메틸푸란, 테트라히드로푸란, 테트라히드로피란,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디에틸에테르, 메틸tert-부틸에테르, 아니솔,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등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디에틸에테르, 메틸tert-부틸에테르, 아니솔,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이고, 특히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이 바람직하다.
니트릴류로서는 환상, 비환상에 관계 없이 또한 포화, 불포화에 관계 없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포화된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보통, 탄소수 2∼20, 특히 탄소수 2∼12, 특히 탄소수 2∼8의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마로노니트릴, 부티로니트릴, 이소부티로니트릴, 숙시노니트릴, 발레로니트릴, 글루타로니트릴, 헥산니트릴, 헵틸시아니드, 옥틸시아니드, 운데칸니트릴, 도데칸니트릴, 트리데칸니트릴, 펜타데칸니트릴, 스테아로니트릴, 클로로아세토니트릴, 브로모아세토니트릴, 클로로프로피오니트릴, 브로모프로피오니트릴, 메톡시아세토니트릴, 시아노아세트 산메틸, 시아노아세트산에틸, 톨루니트릴, 벤조니트릴, 클로로벤조니트릴, 브로모벤조니트릴, 시아노벤조산, 니트로벤조니트릴, 아니소니트릴, 프탈로니트릴, 브로모톨루니트릴, 메틸시아노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니트릴, 아세틸벤조니트릴, 나프토니트릴, 비페닐카르보니트릴, 페닐프로피오니트릴, 페닐부티로니트릴, 메틸페닐아세토니트릴, 디페닐아세토니트릴, 나프틸아세토니트릴, 니트로페닐아세토니트릴, 클로로벤질시아니드, 시클로프로판카르보니트릴, 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 시클로헵탄카르보니트릴, 페닐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 톨릴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류로서는, 환상, 비환상에 관계 없이 또한 포화, 불포화에 관계 없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포화된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보통, 탄소수 1∼20, 특히 탄소수 1∼12, 특히 탄소수 1∼6, 그 중에서도 탄소수 1∼5의 1가 알코올이 바람직하고, 또한 탄소수 2∼5의 2가 알코올이 바람직하고, 또한 탄소수 3의 3가 알코올이 바람직하다.
이들 알코올류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1-부탄올, 2-부탄올, 이소부틸알코올, tert-부틸알코올, 1-펜탄올, 2-펜탄올, 3-펜탄올, 2-메틸-1-부탄올, 이소펜틸알코올, tert-펜틸알코올, 3-메틸-2-부탄올, 네오펜틸알코올, 1-헥산올, 2-메틸-1-펜탄올, 4-메틸-2-펜탄올, 2-에틸-1-부탄올, 1-헵탄올, 2-헵탄올, 3-헵탄올, 1-옥탄올, 2-옥탄올, 2-에틸-1-헥산올, 1-노난올, 1-데칸올, 1-운데칸올, 1-도데칸올, 알릴알코올, 프로파르길알코올, 벤질알코올, 시클로헥산올, 1-메틸시클로헥산올, 2-메틸시클로헥산올, 3-메틸시클로헥산 올, 4-메틸시클로헥산올, 2-메톡시에탄올, 2-에톡시에탄올, 2-(메톡시메톡시)에탄올, 2-이소프록시에탄올, 2-부톡시에탄올, 2-(이소펜틸옥시)에탄올, 2-(헥실옥시)에탄올, 푸르푸릴알코올,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메톡시-2-프로판올, 1-에톡시-2-프로판올,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2-에탄디올,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2-헵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2,3-부탄디올, 1,5-펜탄디올, 2-부텐-1,4-디올, 2-메틸-2,4-펜탄디올, 2-에틸-1,3-헥산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1가 알코올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1-부탄올, 2-부탄올, 이소부틸알코올, tert-부틸알코올, 1-펜탄올, 2-펜탄올, 3-펜탄올, 2-메틸-1-부탄올, 이소펜틸알코올, tert-펜틸알코올, 3-메틸-2-부탄올, 네오펜틸알코올, 1-헥산올, 2-메틸-1-펜탄올, 4-메틸-2-펜탄올, 2-에틸-1-부탄올, 1-헵탄올, 2-헵탄올, 3-헵탄올, 1-옥탄올, 2-옥탄올, 2-에틸-1-헥산올, 1-노난올, 1-데칸올, 1-운데칸올, 1-도데칸올, 벤질알코올, 시클로헥산올, 1-메틸시클로헥산올, 2-메틸시클로헥산올, 3-메틸시클로헥산올, 4-메틸시클로헥산올, 2-메톡시에탄올, 2-에톡시에탄올, 2-(메톡시메톡시)에탄올 들이 바람직하고, 특히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1-부탄올, 2-부탄올, 이소부틸알코올, tert-부틸알코올, 1-펜탄올, 2-펜탄올, 3-펜탄올, 2-메틸-1-부탄올, 이소펜틸알코올, tert-펜틸알코올, 3-메틸-2- 부탄올, 네오펜틸알코올, 1-헥산올, 2-메틸-1-펜탄올, 4-메틸-2-펜탄올, 2-에틸-1-부탄올, 시클로헥산올 등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1-부탄올, 2-부탄올, 이소부틸알코올, tert-부틸알코올, 1-펜탄올, 2-펜탄올, 3-펜탄올, 2-메틸-1-부탄올, 이소펜틸알코올, tert-펜틸알코올, 3-메틸-2-부탄올, 네오펜틸알코올 등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1-부탄올, 2-부탄올, 이소부틸알코올, 2-메틸-1-부탄올, 이소펜틸알코올 등이고, 그 중에서도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이 바람직하고, 특히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2가 알코올로서는, 1,2-에탄디올,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2-부텐-1,4-디올, 2-메틸-2,4-펜탄디올, 2-에틸-1,3-헥산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이 바람직하고, 1,2-프로판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이 가장 바람직하다. 3가 알코올로서는, 글리세린이 바람직하다.
케톤류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통상 탄소수 3∼6의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아세톤, 메틸에틸케톤이 바람직하고, 아세톤이 특히 바람직하다.
질소 화합물류로서는, 예를 들면 니트로메탄, 아세토니트릴,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포름아미드, N-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아세토니트릴이 바람직하다.
황 화합물류로서는, 예를 들면 디메틸술폭시드, 술포란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메틸술폭시드이다.
지방산류로서는, 예를 들면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등을 들 수 있는데, 포름산, 아세트산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이다.
유지류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동식물로부터의 천연 유지이어도 되고, 합성 유지나 가공 유지이어도 된다. 식물 유지로서는, 예를 들면 올리브유, 야자유, 팜유, 팜핵유, 아마인유, 동백유, 현미배아유, 채종유(canola oil), 미강유(rice oil), 낙화생유, 옥수수유, 소맥배아유, 대두유, 들깨유, 면실유, 해바라기 종자유, 케이폭유, 달맞이꽃유, 시아지, 사루지, 카카오지, 참깨유, 새플라워유 등을 들 수 있고, 동물 유지로서는, 예를 들면 돈지, 유지, 어유, 우지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이들을 분별, 수소 첨가, 에스테르 교환 등에 의해 가공한 유지(예를 들면, 경화유)도 들 수 있다. 말할 것도 없이,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MCT), 지방산의 부분 글리세리드, 인지질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산의 탄소수가 각각 6∼12, 바람직하게는 8∼12의 트리글리세리드를 들 수 있고, 또한 지방산의 부분 글리세리드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산의 탄소수가 각각 6∼18, 바람직하게는 6∼12의 모노글리세리드나 디글리세리드를 들 수 있다.
상기 유지 중, 취급의 용이함, 악취 등의 면으로부터 식물 유지, 합성 유지 나 가공 유지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유지의 가격, 환원형 보효소 Q10의 안정성이나 보효소 Q10의 용해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올리브유, 야자유, 팜유, 팜핵유, 채종유, 미강유, 대두유, 면실유, MCT 등이 바람직하고, 올리브유, 미강유, 대두유, 채종유, MCT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보효소 Q10의 용해성의 관점으로부터 MCT를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식용 또는 의약용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용매 중에서도 에탄올, 물, 식용 또는 의약용에 이용할 수 있는 유지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용매 외에 다른 소재가 적절히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즉, 부형제, 붕괴제, 활택제, 결합제, 산화 방지제, 착색제, 응집 방지제, 흡수 촉진제, 유효 성분의 용해 보조제, 안정화제, 또는 환원형 보효소 Q10 이외의 다른 활성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백당, 유당, 포도당, 콘스타치, 만니톨, 결정 셀룰로오스, 인산칼슘, 황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붕괴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전분, 한천, 시트르산칼슘, 탄산칼슘, 탄산수소나트륨, 덱스트린, 결정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트라간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활택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탈크,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카, 경화 식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결합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트래거캔스, 쉘락, 젤라틴, 아라비아검,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소르비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비타민 A, β-카로틴, 아황산수소나트륨, 티오황산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시트르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착색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의약품, 식품에 첨가하는 것이 허가되어 있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응집 방지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스테아르산, 탈크, 경질 무수규산, 수분함유 이산화규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흡수 촉진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고급 알코올류, 고급 지방산류, 자당지방산에스테르나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등의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의 용해 보조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푸마르산, 숙신산, 말산 등의 유기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안정화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벤조산, 벤조산나트륨, 파라옥시벤조산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보효소 Q10 이외의 활성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미노산, 비타민, 미네랄, 폴리페놀, 유기산, 당류, 펩티드, 단백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환원형 보효소 Q10의 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전체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환원형 보효소 Q10의 중량으로서, 통상 약 0.0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0.1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약 1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2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중량% 이상이다.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조성물의 점성 등도 고려하여 통상 약 7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60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약 50중량% 이하이다.
본 발명을 실시할 때에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환원형 보효소 Q10의 안정화 효과를 최대한으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보통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기 경구 투여 형태로 가공하는 경우, 상온 또는 그 이상의 온도에서 액상(용액뿐만 아니라, 현탁상, 슬러리 또는 리포솜의 형태도 포함함)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그것을 캡슐제(마이크로 캡슐, 경질 캡슐, 연질 캡슐), 정제, 시럽, 음료 등의 경구 투여 형태로 가공하여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크림, 좌약, 크림 치약 등을 위한 비경구 투여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캡슐제이고, 특히 연질 캡슐이다. 캡슐 기재로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우골, 우피, 돈피, 어피 등에서 유래되는 젤라틴을 비롯하여, 다른 기재(예를 들면, 증점 안정제(식품 첨가물로서 사 용할 수 있는 카라기난, 알긴산 등의 해조 유래품이나 로커스트콩검이나 구아검 등의 식물 종자 유래품 등)이나 제조용제(셀룰로오스류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정화 방법 및 제조 방법은, 탈산소 분위기 하에서 공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효과를 최대한으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 등의 탈산소 분위기에서,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조제 및/또는 보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가공이나 가공 후의 보존도 상기한 불활성 가스 분위기 등의 탈산소 분위기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환원형 보효소 Q10에 환원형 보효소 Q9 및/또는 환원형 보효소 Q11을 공존시킴으로써, 환원형 보효소 Q10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환원형 보효소 Q9나 환원형 보효소 Q11은, 생체 내에서는 환원형 보효소 Q10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환원형 보효소 Q10에 포함되는 환원형 보효소 Q9나 환원형 보효소 Q11을 섭취하여도 환원형 보효소 Q10의 효과를 방해하는 일은 없고, 환원형 보효소 Q10과 마찬가지의 작용을 한다.
또한, 본 발명자들이 예의 검토한 결과, 환원형 보효소 Q9의 생체 내로의 흡수성은 환원형 보효소 Q10보다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환원형 보효소 Q9와 환원형 보효소 Q10은 생체 내에서는 동일한 작용을 하기 때문에, 환원 형 보효소 Q9와 환원형 보효소 Q10이 공존한 조성물에서는 보효소 Q의 총량으로서의 흡수성이 높아지는 것도 기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원형 보효소 Q10을 산화로부터 바람직하게 방호할 수 있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디히드로아스코르브산류 등의 환원제의 산화물이 공존하지 않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환원형 보효소 Q10의 높은 생체 흡수성을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중의 환원형 보효소 Q10의 순도, 환원형 보효소 Q10과 산화형 보효소 Q10의 중량비는 하기 HPLC 분석에 의해 구하였으나, 얻어진 환원형 보효소 Q10의 순도는 본 발명에서의 순도의 한계값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또한 마찬가지로 환원형 보효소 Q10과 산화형 보효소 Q10의 중량비에서의 환원형 보효소 Q10의 비율도 그 상한값을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HPLC 분석 조건)
칼럼:SYMMETRY C18(Waters제) 250㎜(길이) 4.6㎜(내경), 이동상;C2H5OH:CH3OH=4:3(v:v), 검출 파장;210㎚, 유속;1ml/분, 환원형 보효소 Q10의 유지 시간;9.1분, 산화형 보효소 Q10의 유지 시간;13.3분.
(제조예 1)
1000g의 에탄올 중에, 100g의 산화형 보효소 Q10, 60g의 L-아스코르브산을 첨가하고, 78℃에서 교반하고, 환원 반응을 행하였다. 30시간 후, 50℃까지 냉각하고, 동온을 유지하면서 에탄올 400g을 첨가하였다. 이 에탄올 용액(환원형 보효소 Q10을 100g 포함함)을 교반하면서, 10℃/시간의 냉각 속도로 2℃까지 냉각하고, 백색의 슬러리를 얻었다. 얻어진 슬러리를 감압 여과하고, 습윤결정을 냉에탄올, 냉수, 냉에탄올의 순으로 세정(세정에 이용한 냉용매의 온도는 2℃)하여, 또한 습윤결정을 감압 건조(20∼40℃, 1∼30mmHg)함으로써, 백색의 건조 결정 95g을 얻었다. 또한, 감압 건조를 제외한 모든 조작은 질소 분위기 하에서 실시하였다. 얻어진 결정의 환원형 보효소 Q10/산화형 보효소 Q10의 중량비는 99.4/0.6이었다.
(제조예 2)
100g의 에탄올 중에, 10g의 산화형 보효소 Q9, 7g의 L-아스코르브산을 첨가하고, 78℃에서 교반하고, 환원 반응을 행하였다. 30시간 후, 50℃까지 냉각하고, 동온을 유지하면서 에탄올 40g, 헥산 140g, 물 140g을 이 순으로 첨가하였다. 수층을 제거한 후, 유기층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고, 환원형 보효소 Q9의 결정을 얻었다.
(제조예 3)
제조예 1에서 얻어진 환원형 보효소 Q10 9.85g과 제조예 2에서 얻어진 환원형 보효소 Q9 0.15g을 혼합하고, 환원형 보효소 Q9를 1.5중량% 함유하는 환원형 보효소 Q10(환원형 보효소 Q10/산화형 보효소 Q10=99.4/0.6)을 얻었다.
(제조예 4)
100g의 에탄올 중에, 산화형 보효소 Q11 0.1중량%를 포함하는 산화형 보효소 Q10 10g 및 6g의 L-아스코르브산을 첨가하고, 78℃에서 교반하고, 환원 반응을 행하였다. 30시간 후, 50℃까지 냉각하고, 동온을 유지하면서 에탄올 40g 및 물 10g을 첨가하였다. 이 에탄올 용액(환원형 보효소 Q10을 10g 포함함)을 교반하면서, 10℃/시간의 냉각 속도로 2℃까지 냉각하고, 백색의 슬러리를 얻었다. 얻어진 슬러리를 감압 여과하고, 습윤결정을 냉에탄올, 냉수, 냉에탄올의 순으로 세정(세정에 이용한 냉용매의 온도는 2℃)하여, 또한 습윤결정을 감압 건조(20∼40℃, 1∼30mmHg)함으로써, 백색의 건조 결정 9.5g을 얻었다. 또한, 감압 건조를 제외한 모든 조작은 질소 분위기 하에서 실시하였다. 얻어진 결정에는 환원형 보효소 Q11이 0.1중량% 포함되어 있고, 환원형 보효소 Q10/산화형 보효소 Q10의 중량비는 99.4/0.6이었다.
(실시예 1)
제조예 3에서 얻어진 환원형 보효소 Q9를 1.5중량% 함유하는 환원형 보효소 Q10(환원형 보효소 Q10/산화형 보효소 Q10=99.4/0.6), 및 제조예 1에서 얻어진 환원형 보효소 Q9를 포함하지 않는 환원형 보효소 Q10(환원형 보효소 Q10/산화형 보효소 Q10=99.4/0.6)의 결정을 각각 25℃, 공기 중에서 보존하였다. 24시간 경과 후의 환원형 보효소 Q10/산화형 보효소 Q10 비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환원형 보효소 Q10/산화형 보효소 Q10 중량비
환원형 보효소 Q9를 1.5중량% 포함하는 환원형 보효소 Q10 96.7/3.3
환원형 보효소 Q9를 포함하지 않는 환원형 보효소 Q10 95.5/4.5
(실시예 2)
5g의 에탄올에, 제조예 3에서 얻어진 환원형 보효소 Q9를 1.5중량% 함유하는 50㎎의 환원형 보효소 Q10(환원형 보효소 Q10/산화형 보효소 Q10=99.4/0.6), 및 제조예 1에서 얻어진 환원형 보효소 Q9를 포함하지 않는 50㎎의 환원형 보효소 Q10(환원형 보효소 Q10/산화형 보효소 Q10=99.4/0.6)을 첨가하고, 각각 25℃, 공기 중에서 교반하였다. 6시간 교반 후의 환원형 보효소 Q10/산화형 보효소 Q10 비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환원형 보효소 Q10/산화형 보효소 Q10 중량비
환원형 보효소 Q9를 1.5중량% 포함하는 환원형 보효소 Q10 90.2/9.8
환원형 보효소 Q9를 포함하지 않는 환원형 보효소 Q10 87.2/12.8
(실시예 3)
Crj:CD(SD) 래트(5주령, 수컷 15마리, 암컷 15마리, 체중 260g∼300g)를 수컷, 암컷 각각에 대하여, 5마리씩 3군으로 나누었다. 제1군은, 대조군으로서 옥수수유를 3ml/kg의 투여량으로 14일간, 1일 1회 경구 투여하였다. 제2군에는, 제조예 2에서 얻어진 환원형 보효소 Q9를 이용하여, 환원형 보효소 Q9의 투여량이 600㎎/㎏으로 되도록 조제한 환원형 보효소 Q9의 옥수수유 용액을 3ml/kg의 투여량으로 14일간, 1일 1회 경구 투여하였다. 제3군에는, 제조예 1에서 얻어진 환원형 보효소 Q10을 이용하여, 환원형 보효소 Q10의 투여량이 600㎎/㎏으로 되도록 조제한 환원형 보효소 Q10의 옥수수유 용액을 3ml/kg의 투여량으로 14일간, 1일 1회 경구 투여하였다. 최종 투여 종료로부터 24시간 후에 채혈을 행하고, 혈장 시료를 얻었다. HPLC를 이용하여 얻어진 혈장 중의 보효소 Q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냈다. 또한, 도 1에서, 종축은 혈장 중의 총 보효소 Q 농도이고, 각 막대는 평균±표준 편차이다. 도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수컷, 암컷 모두에서, 환원형 보효소 Q9 투여군에서는, 환원형 보효소 Q10 투여군에 비하여, 혈장 중 총 보효소 Q 농도의 상승이 인정되었다.
(제제예)
채종유, 디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리켄비타민제 포엠DO-100V), 경화유, 밀랍, 레시틴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에, 환원형 보효소 Q11을 0.1중량%, 산화형 보효소 Q10을 0.6중량% 포함하는 환원형 보효소 Q10의 결정을 첨가하고, 정법에 의해, 하기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환원형 보효소 Q10을 30㎎ 함유하는 젤라틴의 연질 캡슐을 얻었다.
환원형 보효소 Q10 10.0중량%
디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 32.0중량%
채종유 33.0중량%
경화유 17.0중량%
밀랍 6.0중량%
레시틴 2.0중량%
(실시예 4)(경구 흡수성 시험)
Crj:CD(SD) 래트(약 77주령) 수컷 10마리를 준비하고, 5마리에는 환원형 보효소 Q10, 나머지 5마리에는 환원형 보효소 Q10과 환원형 보효소 Q11의 혼합물(환원형 보효소 Q11을 0.1중량% 포함함)을 각각 25mg/ml의 대두유 용액으로 하여, 4.0ml/kg의 투여량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로부터 2시간 후에 채혈을 행하고, 원심 분리에 의해 혈장 시료를 얻었다. HPLC를 이용하여, 얻어진 혈장 중의 보효소 Q10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2에 나타냈다. 도 2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환원형 보효소 Q10, 환원형 보효소 Q10과 환원형 보효소 Q11의 혼합물 중 어느 투여에서도, 혈장 중 보효소 Q10 농도는 3.4㎍/ml 정도였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양태의 몇 가지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나타난 특정의 양태에는 본 발명의 교시와 이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하는 것은 가능하다. 따라서, 그와 같은 수정 및 변경도 모두 후기하는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에서 출원된 특원 2006-126897을 기초로 하고 있고,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모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16)

  1. (a) 환원형 보효소 Q10에 대하여, 0.6중량% 이상의 환원형 보효소 Q9 및/또는
    (b) 환원형 보효소 Q11
    을 공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형 보효소 Q10의 안정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환원형 보효소 Q9가 1중량% 이상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환원형 보효소 Q9 및 (b) 환원형 보효소 Q11이 별도 조제되어 첨가된 것인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산화형 보효소 Q9 및/또는 산화형 보효소 Q11을 함유하는 산화형 보효소 Q10을 환원함으로써 상기 공존 상태로 하는 것인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탈산소 분위기 하에서 공존시키는 것인 방법.
  6. (a) 환원형 보효소 Q10에 대하여, 0.6중량% 이상의 환원형 보효소 Q9 및/또는
    (b) 환원형 보효소 Q11
    을 공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형 보효소 Q10 함유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환원형 보효소 Q9가 1중량% 이상인 조성물.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환원형 보효소 Q10이 결정 형태인 조성물.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환원형 보효소 Q10이 용매에 용해 또는 현탁된 형태인 조성물.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환원형 보효소 Q10이 용융액의 형태인 조성물.
  11.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환원형 보효소 Q10을 유효 성분으로 하여 포유류에 투여하는 형태인 조성물.
  12.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부형제, 붕괴제, 활택제, 결합제, 산화 방지제, 착색제, 응집 방지제, 흡수 촉진제, 유효 성분의 용해 보조제, 안정화제, 또는 환원형 보효소 Q10 이외의 다른 활성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포함되는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캡슐제인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캡슐제가 마이크로 캡슐, 연질 캡슐 또는 경질 캡슐인 조성물.
  15. (a) 환원형 보효소 Q10에 대하여, 0.6중량% 이상의 환원형 보효소 Q9 및/또는
    (b) 환원형 보효소 Q11
    이 공존하는 환원형 보효소 Q10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며, (a) 및/또는 (b)가 별도 조제 및 첨가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16. (a) 환원형 보효소 Q10에 대하여, 0.6중량% 이상의 환원형 보효소 Q9 및/또는
    (b) 환원형 보효소 Q11
    이 공존하는 환원형 보효소 Q10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며, 산화형 보효소 Q9를 산화형 보효소 Q10에 대하여 0.6중량% 이상 및/또는 산화형 보효소 Q11을 포함하는 산화형 보효소 Q10을 환원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KR1020087029021A 2006-04-28 2008-11-27 환원형 보효소 q10의 안정화 방법 KR1013763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26897 2006-04-28
JPJP-P-2006-126897 2006-04-28
PCT/JP2007/059252 WO2007126083A1 (ja) 2006-04-28 2007-04-27 還元型補酵素q10の安定化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547A true KR20090017547A (ko) 2009-02-18
KR101376344B1 KR101376344B1 (ko) 2014-03-20

Family

ID=38655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9021A KR101376344B1 (ko) 2006-04-28 2008-11-27 환원형 보효소 q10의 안정화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829080B2 (ko)
EP (2) EP3279180A1 (ko)
JP (1) JP5286081B2 (ko)
KR (1) KR101376344B1 (ko)
CN (1) CN101432256B (ko)
AU (1) AU2007244232B2 (ko)
CA (1) CA2650686C (ko)
DK (1) DK2017251T3 (ko)
ES (1) ES2639567T3 (ko)
PL (1) PL2017251T3 (ko)
TW (1) TW200808344A (ko)
WO (1) WO20071260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09760C2 (ru) * 2011-07-11 2014-03-2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ДОМ ФАРМАЦИИ" ВОДОРАСТВОРИМЫЙ МОЛЕКУЛЯРНЫЙ КОМПЛЕКС ВКЛЮЧЕНИЯ ВОССТАНОВЛЕННОЙ ФОРМЫ КОЭНЗИМА Q10 В β-ЦИКЛОДЕКСТРИНЕ И СПОСОБ ЕГО ПРЕПАРАТИВНОГО ПОЛУЧЕНИЯ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395B1 (ko) 2004-01-22 2015-07-08 유니버시티 오브 마이애미 국소용 코-엔자임 큐10 제형 및 그의 사용 방법
US20070053985A1 (en) * 2005-08-24 2007-03-08 Kaneka Corporation Coenzyme Q10-containing fine particle with excellent dispersibility
CA2823407C (en) 2007-03-22 2016-10-18 Berg Pharma Llc Topical formulations having enhanced bioavailability
CA2721071C (en) 2008-04-11 2017-10-17 Cytotech Labs, Llc Methods and use of inducing apoptosis in cancer cells
EA201101519A1 (ru) 2009-05-11 2012-10-30 БЕРГ БАЙОСИСТЕМЗ, ЭлЭлСи Способы диагностики метаболических нарушений, использующие эпиметаболические переключатели, многоаспектные внутриклеточные молекулы или факторы влияния
EP2489652B1 (en) * 2009-10-16 2018-07-25 Kaneka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reduced coenzyme q10, method for stabilizing same,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SG10202010355PA (en) 2010-03-12 2020-11-27 Berg Llc Intravenous formulations of coenzyme q10 (coq10)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11132718A1 (ja) * 2010-04-20 2011-10-27 株式会社カネカ 還元型補酵素q10含有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及び安定化方法
CN101966171B (zh) * 2010-09-30 2012-10-24 杭州华东医药集团康润制药有限公司 水溶性还原型辅酶q10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6092844B2 (ja) 2011-04-04 2017-03-08 バーグ エルエルシー 中枢神経系腫瘍の治療方法
EP2720680B1 (en) 2011-06-17 2020-02-12 Berg LLC Inhal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BR112015025424A2 (pt) 2013-04-08 2017-07-18 Berg Llc tratamento de câncer usando terapias de combinação de coenzima q10
CN103211217A (zh) * 2013-04-25 2013-07-24 福建永生活力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增强免疫力功能的保健软胶囊及其制备方法
JP6595478B2 (ja) 2013-09-04 2019-10-23 バーグ エルエルシー コエンザイムq10の連続注入によるがんの治療方法
US11471426B2 (en) 2019-10-16 2022-10-18 American River Nutrition, Llc Compositions comprising quinone and/or quinol and methods of preparations and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7895A (en) * 1978-12-07 1980-06-12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Preparation of coenzyme q11
JP3889481B2 (ja) 1996-08-16 2007-03-07 株式会社カネカ 医薬組成物
US6878514B1 (en) * 1999-03-30 2005-04-12 Purdue Research Foundation Methods for identifying agents that inhibit serum aging factors and uses and compositions thereof
US8753675B1 (en) 2000-01-20 2014-06-17 Raj K. Chopra Reduced form of Coenzyme Q in high bioavailability stable dosage forms and related applications
TWI310029B (ko) 2001-07-13 2009-05-21 Kaneka Corp
TWI237018B (en) 2001-07-13 2005-08-01 Kaneka Corp Method of producing reduced coenzyme Q10 crystals
TWI329510B (en) * 2001-10-10 2010-09-01 Kaneka Corp Method of stabilizing reduced coenzyme q10
JP2006126897A (ja) 2004-10-26 2006-05-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煙感知器用試験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09760C2 (ru) * 2011-07-11 2014-03-2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ДОМ ФАРМАЦИИ" ВОДОРАСТВОРИМЫЙ МОЛЕКУЛЯРНЫЙ КОМПЛЕКС ВКЛЮЧЕНИЯ ВОССТАНОВЛЕННОЙ ФОРМЫ КОЭНЗИМА Q10 В β-ЦИКЛОДЕКСТРИНЕ И СПОСОБ ЕГО ПРЕПАРАТИВНОГО ПОЛУЧЕНИ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79180A1 (en) 2018-02-07
AU2007244232B2 (en) 2012-07-19
PL2017251T3 (pl) 2017-12-29
US20070258966A1 (en) 2007-11-08
ES2639567T3 (es) 2017-10-27
JPWO2007126083A1 (ja) 2009-09-10
JP5286081B2 (ja) 2013-09-11
EP2017251A4 (en) 2013-01-09
CA2650686C (en) 2014-12-16
US7829080B2 (en) 2010-11-09
TW200808344A (en) 2008-02-16
CN101432256A (zh) 2009-05-13
EP2017251B1 (en) 2017-07-19
CN101432256B (zh) 2012-11-28
CA2650686A1 (en) 2007-11-08
AU2007244232A1 (en) 2007-11-08
WO2007126083A1 (ja) 2007-11-08
DK2017251T3 (en) 2017-09-18
KR101376344B1 (ko) 2014-03-20
EP2017251A1 (en) 200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6344B1 (ko) 환원형 보효소 q10의 안정화 방법
KR100934330B1 (ko) 환원형 보효소 q10의 안정화법
JP5364580B2 (ja) 還元型補酵素q10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安定化方法
US20070258967A1 (en) Purification method of reduced coenzyme q10
JP3867927B2 (ja) 還元型補酵素q10の安定化法
JP3892881B2 (ja) 還元型補酵素q10の安定化法
Ueda et al. Method of stabilizing reduced coenzyme Q10
Ueda et al. Stabilization method of reduced coenzyme Q 10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