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3784A - 캡슐 바디로의 정제 충전 방법 및 이 충전 방법을 사용한 캡슐로의 정제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캡슐 바디로의 정제 충전 방법 및 이 충전 방법을 사용한 캡슐로의 정제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3784A
KR20090013784A KR1020087027578A KR20087027578A KR20090013784A KR 20090013784 A KR20090013784 A KR 20090013784A KR 1020087027578 A KR1020087027578 A KR 1020087027578A KR 20087027578 A KR20087027578 A KR 20087027578A KR 20090013784 A KR20090013784 A KR 20090013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flat
hole
filling
c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7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7642B1 (ko
Inventor
모토히로 야규
리요타 구리모토
히데오 오카모토
데츠히사 이시다
Original Assignee
쿠오리카프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오리카프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쿠오리카프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3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 A61J3/071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into the form of telescopically engaged two-piece capsules
    • A61J3/074Filling capsules; Relat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06Separating single articles from loose masses of articles
    • B65B35/08Separating single articles from loose masses of articles using pocketed convey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Abstract

수용 구멍(211)의 하단부에서 최하위치의 편평 정제(t)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협지함으로써 복수개의 편평 정제를 수용 구멍에 유지하고, 상기 최하위치 정제(t)의 협지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아래쪽에 배치된 캡슐 바디(m) 내에 상기 복수의 편평 정제(t)를 누운 상태에서 떨어뜨리도록 구성했다. 서있는 상태의 편평 정제가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소정 개수의 편평 정제를 누운 상태에서 확실히 캡슐 바디에 충전할 수 있다.
Figure 112008077856207-PCT00001
정제, 캡슐, 충전, 과립, 약제, 복합약.

Description

캡슐 바디로의 정제 충전 방법 및 이 충전 방법을 사용한 캡슐로의 정제 충전 장치{METHOD FOR FILLING CAPSULE BODY WITH TABLET AND DEVICE FOR FILLING CAPSULE WITH TABLET BY USING THAT FILLING METHOD}
본 발명은 소정 개수의 편평 형상의 정제(이하, '편평 정제'라고 함)를 누운 상태에서 캡슐 바디에 충전하는 방법, 및, 이 충전 방법에 의해 캡슐 바디에 편평 정제를 충전하는 캡슐로의 정제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캡과 바디로 이루어지는 하드 캡슐에 약제를 충전한 캡슐제로서는, 분말상, 과립상 또는 액상의 약제를 충전한 캡슐제가 일반적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캡과 바디로 이루어지는 캡슐 내에 소정 수량의 정제를 충전하여, 정제 충전 캡슐제로 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
즉, 약제에 따라서는, 통상, 환자의 증상이나 연령, 그 밖의 조건 등에 따라 1회의 투여량을 변경해야 하는 것도 있어, 이 경우 약제를 소정 단위량의 정제로 하고, 복용 개수를 환자에 따라 바꾸는 것이 용이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복용하는 정제의 개수로 투여량을 조정할 경우, 환자가 복용시에 일일이 정제를 세어서 자신의 연령이나 증상에 따른 개수의 정제를 복용해야 하여 매우 번거로우며, 또 환자에 따라서는 매우 많은 개수의 정제를 복용해야 하는 케이스도 생긴다. 그래 서 소정 단위량의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정제를 미리 환자의 연령이나 증상에 맞추어 캡슐 내에 충전한 캡슐제로 하고, 이것을 복용함으로써 복용시의 환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 복수종의 약제를 조합시켜 복용할 경우에는, 질환이나 증상 등에 따라 복수 종류의 정제를 1개의 캡슐 내에 충전하여, 각종 질환이나 증상 등에 따른 복합약을 캡슐제로서 조제할 수 있다.
여기서, 분말상이나 과립상의 약제를 충전한 캡슐제는 캡슐 충전기에 의해 분말상 또는 과립상의 약제를 캡슐에 자동 충전함으로써 제조되고 있지만, 마찬가지로 정제를 캡슐에 자동 충전하는 캡슐로의 정제 자동 충전기도 제안되어 있다. 이 경우, 캡슐제의 크기를 가능한 한 작게 해서 복용시의 환자의 부담을 경감하는 관점에서, 일반적인 편평 정제를 충전할 경우에는, 복수개의 편평 정제를 누운 상태로 적중(積重)한 상태에서 캡슐에 충전하는 것이 행해진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누운 상태의 편평 정제는 직경 방향을 수평(가로 방향)으로 하고, 두께 방향을 연직 방향(세로 방향)을 향하게 한 상태를 말하고, 후술하는 서있는(立位) 상태의 편평 정제는 직경 방향을 연직 방향(세로 방향) 또는 비스듬하게 한 상태를 말한다.
편평 정제를 캡슐에 충전하는 충전기로서 구체적으로는, 일본 특허 공개 평 5-170201호 공보(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정제 충전 장치를 예시할 수 있다. 이 정제 충전 장치는,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는 정제 공급 호퍼로부터 제1 정제 안내 슈트(a)의 제1 가이드 구멍(b)에 정제(t)를 공급하여 이 제1 가이드 구멍(b) 내에 정제(t)를 일렬로 수용함과 아울러, 각 제1 가이드 구멍(b)에 수용된 정제(t)의 가장 아래의 정제를 계수판(c)의 계수 구멍(d)에 수용하고,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수판(c)을 슬라이드시켜 상기 제1 정제 안내 슈트(a)의 제1 가이드 구멍(b)과 변위하여 배치된 정제 유지 블록(e)의 정제 유지 구멍(f)에 투입하고, 이 계수판(c)의 왕복 슬라이드 운동을 소정 횟수 행하여 정제 유지 구멍(f)에 소정 개수의 정제(t)를 수용 유지하고, 그 다음에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제 유지 블록(e)의 아래에 배치된 셔터판(g)을 이동시켜 이 셔터판(g)의 삽통 구멍(h)과 상기 정제 유지 구멍(f)을 일치시켜 정제 유지 구멍(f)의 하단면을 개방하고, 각 정제 유지 구멍(f) 내에 수용된 정제(t)를 제2 정제 안내 슈트(i)의 제2 가이드 구멍(j)을 통과시켜, 제2 안내 슈트(i)의 하측에 배치된 캡슐 유지 블록(k)에 유지된 캡슐 바디(m)에 그 정제(t)를 투입함으로써 캡슐 바디(m)에 소정 수량의 정제(t)를 충전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종래의 충전기를 사용하여 캡슐 바디에 편평 정제를 충전할 경우, 캡슐 바디에 투입된 편평 정제가 서있는 상태가 되어, 소정 개수의 정제를 캡슐 바디에 투입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생기기 쉽다.
즉, 상기 정제 유지 블록(e)의 정제 유지 구멍(f)으로부터 캡슐 유지 블록(k)에 유지된 캡슐 바디(m)에 편평 정제(t)를 떨어뜨릴 때에, 상기 셔터판(g)이 슬라이드하여 정제 유지 구멍(f)의 하단면이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제 유지 구멍(f)의 하단면이 일측방으로부터 서서히 열려 가는 상태가 되고, 이 때문에 정제 유지 구멍(f)의 최하부에 누운 상태에서 수용된 편평 정제가 일측방으로부터 비스듬하게 되면서 굴러 떨어지듯이 낙하하는 경우가 있어, 이것에 의해 직경 방향을 세로 또는 비스듬하게 한 서있는 상태에서 편평 정제(t)가 캡슐 바디(m) 내에 낙하하여, 캡슐 바디(m) 내에 서있는 상태의 편평 정제(t)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 상기 셔터판(g)이 슬라이드할 때의 마찰에 의해 정제 유지 구멍(f) 최하부의 정제가 서있는 상태가 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정제 유지 구멍(f)으로부터 캡슐 유지 블록(k)에 유지된 캡슐 바디(m)에 각 정제(t)가 낙하할 때에, 구멍의 내주면이나 이 내주면과 단차가 생긴 캡슐 바디의 개구 가장자리에 정제(t)의 일부가 접촉하여 이 정제(t)가 회전하여 서있는 상태가 되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하여 캡슐 바디(m) 내에 서있는 상태의 정제가 생기면, 서있는 정제가 캡슐 바디(m) 내에서 세로 방향으로 큰 스페이스를 차지하게 되어 소정 개수의 정제(t)를 캡슐 바디(m) 내에 수용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또, 전부 수용되지 못하고 캡슐 유지 블록(k)으로부터 밀려나온 정제가 정제의 통과 경로를 폐색하여, 후속의 편평 정제를 연쇄적으로 막게 되고, 상기 셔터판(g)의 동작 등에 의해 정제가 파손되어, 자잘한 파손편이 각 부를 막히게 하는 등의 큰 트러블이 되는 일도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 5-170201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소정 개수의 편평 정제를 누운 상태에서 캡슐 바디에 충전할 때에, 이 편평 정제가 서있는 상태가 되는 문제를 가급적 방지하여, 확실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편평 정제의 충전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캡슐 바디로의 정제 충전 방법 및 이 충전 방법을 사용한 캡슐로의 정제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누운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따라 적중한 상태로 정렬한 소정 개수의 편평 정제를, 아래쪽에 배치한 캡슐 바디 내에 떨어뜨려, 이 캡슐 바디 내에 소정 개수의 편평 정제를 충전하는 캡슐 바디로의 정제 충전 방법에 있어서,
연직 방향을 따른 축심을 가지는 수용 구멍에, 소정 개수의 편평 정제를 누운 상태에서 동축상에 적중한 상태로 수용함과 아울러, 이 수용 구멍의 하단부에 배설한 정제 유지 수단으로 최하위치의 편평 정제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지지함으로써, 이들 편평 정제를 상기 누워서 적중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 구멍 내에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이 수용 구멍의 바로 아래에 캡슐 바디를 배치하여 상기 정제 유지 수단에 의한 최하위치 정제의 지지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편평 정제가 누운 상태에서 적중한 편평 정제군을 상기 수용 구멍으로부터 캡슐 바디 내에 떨어뜨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바디로의 정제 충전 방법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정제 충전 방법에 의해 편평 정제를 캡슐에 충전하는 장치로서, 소정 개수의 편평 정제를 누운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따라 적중한 상태로 정렬시키고, 이 소정 개수의 편평 정제를 캡슐 바디에 투입 충전하는 정제 충전 장치에 있어서, 연직 방향을 따른 축심을 가지고, 소정 개수의 편평 정제를 누운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따라 적중한 편평 정제군을 수용하는 수용 구멍과, 상기 수용 구멍에 소정 개수의 편평 정제를 공급하여, 상기 편평 정제군을 상기 수용 구멍 내에 형성하는 정제 공급 기구부와, 상기 편평 정제군의 최하위치의 정제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지지하여, 이 편평 정제군을 상기 수용 구멍 내에 유지하는 정제 유지 수단과, 상기 수용 구멍의 바로 아래에 캡슐 바디를 배치하는 캡슐 바디 배치 기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정제 유지 수단에 의해 지지된 편평 정제군의 최하위치의 정제의 지지 상태를 해제하여, 이 편평 정제군을 상기 수용 구멍으로부터 상기 캡슐 바디 내에 떨어뜨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로의 정제 충전 장치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정제 충전 방법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 구멍 내에 소정 개수의 편평 정제를 누운 상태에서 수용하고, 소정 개수의 편평 정제가 누운 상태에서 적중한 편평 정제군을 상기 수용 구멍 내에 형성함과 아울러, 이 편평 정제군의 최하위치의 정제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정제 유지 수단으로 협지하거나 하여 이 정제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편평 정제군을 상기 수용 구멍 내에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이 수용 구멍의 바로 아래에 캡슐 바디를 배치하고, 상기 정제 유지 수단에 의한 편평 정제군 최하위치의 정제의 지지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이 편평 정제군을 수용 구멍의 하단면으로부터 낙하 배출하여 캡슐 바디에 떨어뜨리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정제 충전 장치는 상기 정제 공급 기구부에 의해 편평 정제를 상기 수용 구멍에 공급하여, 이 수용 구멍 내에 소정 개수의 편평 정제가 누운 상태에서 적중한 편평 정제군을 형성하고, 이 편평 정제군의 최하위치의 정제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상기 정제 유지 수단으로 지지하여, 이 편평 정제군을 일단 수용 구멍 내에 유지하고, 이 수용 구멍의 바로 아래에 상기 캡슐 바디 배치 기구부에 의해 캡슐 바디를 배치하고, 상기 정제 유지 수단에 의한 상기 최하위치의 정제의 지지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편평 정제군을 수용 구멍의 하단면으로부터 낙하 배출하여 캡슐 바디에 떨어뜨리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수용 구멍의 하단부에 마련한 정제 유지 수단에 의해 이 편평 정제군의 최하위치의 정제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협지하거나 하여 이 정제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지지하여 이 편평 정제군을 수용 구멍 내에 유지하고, 또 이 정제 유지 수단에 의한 상기 최하위치의 정제 둘레 가장자리부의 지지 상태를 해제하여, 편평 정제군을 캡슐 바디에 떨어뜨리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편평 정제를 수용한 구멍 형상의 수용부 하단면을 슬라이드 운동하는 셔터판에 의해 개폐하는 종래 장치의 경우와 같이, 하단면이 일측방으로부터 서서히 열려 가는 개방 동작과는 상이하게, 둘레 가장자리부가 협지되거나 하는 수단에 의해 둘레 가장자리부가 지지되어 유지되고 있던 편평 정제의 그 지지 상태가 일시에 해제되어 유지 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이 최하위치의 정제에 회전시키는 것 같은 힘이 작용하지 않고, 또 셔터판 개폐시와 같이 마찰에 의한 회전력이 작용하지 않아, 누운 상태 그대로 확실하게 편평 정제의 유지 상태를 해제하여 캡슐 바디로 떨어뜨릴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적합한 실시태양으로서, 상기 수용 구멍 내에 수용된 편평 정제군의 최상위치의 정제에 위로부터 충전시 정제 누름 핀을 당접시켜 상기 편평 정제군을 소정의 힘으로 아래쪽으로 누르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정제 유지 수단에 의한 최하위치의 정제의 지지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편평 정제군을 상기 충전시 정제 누름 핀과 함께 아래쪽으로 낙하시키고, 상기 충전시 정제 누름 핀으로 상기 편평 정제군을 위로부터 누르면서 캡슐 바디 내에 떨어뜨림으로써, 이 누름 핀에 의해 상기 편평 정제군을 구성하는 각 편평 정제의 누운 상태를 유지하면서 캡슐 바디 내에 편평 정제를 충전하도록 구성한 제1항에 기재된 캡슐 바디로의 정제 충전 방법, 및
상기 수용 구멍 내에 위쪽으로부터 진입하여, 이 수용 구멍 내에 수용된 상기 편평 정제군의 최상위치의 정제에 당접하고, 상기 편평 정제군을 소정의 압력으로 아래쪽으로 눌러, 이 편평 정제군이 캡슐 바디로 떨어뜨려질 때에, 이 편평 정제군과 함께 아래쪽으로 강하하는 충전시 정제 누름 핀을 구비하는 상기 본 발명의 캡슐로의 정제 충전 장치를 제공한다.
즉, 이 실시태양의 충전 방법 및 충전 장치에서는, 상기 수용 구멍 내에 유지된 편평 정제군을 캡슐 바디로 떨어뜨릴 때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설된 충전시 정제 누름 핀을 편평 정제군의 최상위치의 정제에 위로부터 당접시켜, 이 충전시 정제 누름 핀으로 상기 편평 정제군을 소정의 힘으로 아래쪽으로 누르면서, 이 충전시 정제 누름 핀과 함께 편평 정제군을 아래쪽으로 낙하시켜, 캡슐 바디로 떨어뜨리도록 한 것이다.
이 때문에, 수용 구멍으로부터 아래쪽의 캡슐 바디로 낙하하는 편평 정제군은, 상기 충전시 정제 누름 핀으로 위로부터 눌리면서 캡슐 바디로 낙하하게 되고, 편평 정제군을 구성하는 각 편평 정제의 누운 자세가 충전시 정제 누름 핀에 의해 양호하게 유지되면서 캡슐 바디로 떨어뜨려지는 것이다. 따라서, 낙하시에 수용 구멍의 내주면이나 캡슐 바디의 상단 가장자리에 편평 정제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접촉해도 각 편평 정제는 양호하게 누운 상태를 유지한 채 캡슐 바디에 충전되어, 서있는 상태의 편평 정제를 생기게 하지 않고, 소정 개수의 편평 정제를 누운 상태에서 확실하게 캡슐 바디에 충전할 수 있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캡슐 바디로의 정제 충전 방법, 및 캡슐로의 정제 충전 장치에 의하면, 소정 개수의 편평 정제를 누운 상태에서 확실하게 캡슐 바디에 충전할 수 있고, 서있는 상태의 편평 정제가 생기는 것에 의한 문제의 발생을 가급적 방지하여, 정제를 충전한 캡슐제를 양호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제 충전 장치를 도시한 개략 입면도이다.
도 2는 같은 정제 충전 장치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같은 정제 충전 장치를 구성하는 정제 정수(定數) 공급부의 하부를 도시한 일부를 단면으로 한 개략도이다.
도 4는 같은 정제 충전 장치를 구성하는 정제 정수 공급부의 중간부를 도시한 일부를 단면으로 한 개략도이다.
도 5는 같은 정제 충전 장치를 구성하는 정제 정수 공급부의 상부를 도시한 일부를 단면으로 한 개략도이다.
도 6은 같은 정제 충전 장치를 구성하는 정제 정수 공급부의 보울피더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7은 같은 보울피더에 마련된 자세 제어홈의 형상 및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같은 정제 충전 장치를 구성하는 충전부를 도시한 일부를 단면으로 한 개략도이다.
도 9는 같은 정제 충전 장치를 구성하는 충전부의 충전 디스크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10은 같은 충전 디스크를 구성하는 부품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디스크 본체의 일부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B)는 수용 구멍 형성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C)는 정제 유지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D)는 같은 정제 유지 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같은 충전 디스크의 수용 구멍 형성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A)는 횡단면도, (B)는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같은 정제 충전 장치를 구성하는 정제 정수 공급부(12a)의 배설 개소에서의 정제 공급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같은 정제 충전 장치를 구성하는 정제 정수 공급부(12b)의 배설 개소에서의 정제 공급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같은 정제 충전 장치를 구성하는 정제 정수 공급부(12c)의 배설 개소에서의 정제 공급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같은 정제 충전 장치를 구성하는 정제 정수 공급부(12d)의 배설 개소에서의 정제 공급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같은 정제 충전 장치에서, 계수 디스크로부터 충전 디스크로 편평 정제를 이송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같은 정제 충전 장치에서, 계수 디스크로부터 충전 디스크로 편평 정제를 이송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은 같은 정제 충전 장치에서, 충전 디스크의 수용 구멍으로부터 편평 정제를 캡슐 바디에 충전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같은 정제 충전 장치에서, 충전 디스크의 수용 구멍으로부터 편평 정제를 캡슐 바디에 충전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20은 종래의 정제 충전 장치에서의 충전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및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2는 본 발명의 충전 방법에 의해 편평 정제를 캡슐 바디에 충전하도록 구성한 캡슐로의 정제 충전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정제 공급 기구부(1)와, 정제 충전부(2)와, 캡슐 분리/결합부(3)(캡슐 바디 배치 기구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정제 공급 기구부(1)에서, 복수종(본 예에서는 4종류)의 편평 정제를 소정 개수씩 (본 예에서는 1개씩) 합친 편평 정제군을 형성하여 정제 충전부(2)에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캡슐 분리/결합부(3)에서 캡과 바디를 가결합한 공캡슐을 캡과 바디로 분리하고, 그 캡슐 바디에 상기 정제 충전부(2)에서 본 발명의 충전 방법에 의해 소정 개수의 편평 정제로 이루어지는 상기 편평 정제군을 충전하고, 캡슐 분리/결합부(3)에서 이 캡슐 바디와 캡을 다시 결합시켜, 소정 개수의 편평 정제가 충전된 캡슐제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정제 공급부(1)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헐 회전하는 계수 디스크(11)와, 4개의 정제 정수 공급부(12a∼12d)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수 디스크(11)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30도씩 변위하여 12개소에 1열 5개의 계수 구멍(111)이 3열 평행하게 나란히 설치된 계수 구멍군이 형성되어 있고, 도 2 중 반시계 방향으로 30도씩 소정의 속도로 간헐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 계수 디스크(11)의 하측에는, 상기 4개의 정제 정수 공급부(12a∼12d)의 배설 위치에 대응하여, 각각 도 3, 4에 도시한 정제 유지 핀(112)이 상기 계수 구멍(111)에 대응하여 5개 일렬로 3열의 합계 15개 배설되어 있고, 이 정제 유지 핀(112)은 도시하지 않는 구동원에 의해 승강 운동하는 기대(113)(도 3 참조) 상에 세워져 설치되어 있어, 상승함으로써 상기 계수 구멍(111)의 바닥벽에 형성된 관통 구멍(114)을 통과하여 상기 계수 구멍(111) 내에 진입하고, 또 최하점까지 강하함으로써(도 3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상태), 상기 계수 구멍(111) 및 관통 구멍(114)으로부터 완전히 퇴거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3, 4는 하나의 정제 정 수 공급부(12b)를 도시하는 것이지만, 후술하는 정제 유지 핀(112)의 상승 높이 이외에는 다른 정제 정수 공급부(12a, 12c, 12d)도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계수 구멍(111)은,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상단면이 개방되고, 하단면에는 관통 구멍(114)을 가지는 바닥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충전 대상인 편평 정제(t)의 직경보다 다소 큰 내직경을 가지고, 이 편평 정제(t)를 누운 상태에서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정제 유지 핀(112)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4개의 정제 정수 공급부(12a∼12d)에 각각 대응하여 4개소에 배설되어 있는데, 그 배설 개소에 따라 각각 상승시의 최상점이 상이하다. 즉, 계수 디스크(11)의 회전 방향을 따라 가장 상류측의 정제 정수 공급부(12a) 배설 위치(도 2 참조)에서는, 도 12(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정제 유지 핀(112)의 선단이 계수 디스크(11)의 상면과 거의 일치하는 위치까지 상승하여, 정제 정수 공급부(12)로부터 공급되는 편평 정제(t)를 계수 구멍(111)의 상단 부분에서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고, 또 계수 디스크(11)의 회전 방향을 따른 2번째의 정제 정수 공급부(12b) 배설 위치(도 2 참조)에서는, 도 13(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수 구멍(111) 내에 수용된 1개의 정제(t)를 계수 디스크(11)의 상면과 거의 일치하는 높이로 밀어올리는 위치까지 상승하여, 이 정제(t)에 의해 정제 정수 공급부(12)로부터 공급되는 편평 정제(t)를 계수 구멍(111)의 상단 부분에서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고, 계수 디스크(11)의 회전 방향을 따른 3번째의 정제 정수 공급부(12c) 배설 위치(도 2 참조)에서는, 도 14(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수 구멍(111) 내에 수용된 2개의 정제(t)를 상측의 정제가 계수 디스크(11)의 상면과 거의 일치하는 높이로 밀어올리는 위치까지 상승하여, 이 상측의 정제(t)에 의해 정제 정수 공급부(12)로부터 공급되는 편평 정제(t)를 계수 구멍(111)의 상단 부분에서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고, 또한 계수 디스크(11)의 회전 방향을 따라 4번째의 정제 정수 공급부(12d) 배설 위치(도 2 참조)에서는, 도 15(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수 구멍(111) 내에 수용된 3개의 정제(t)를 최상위치의 정제가 계수 디스크(11)의 상면과 거의 일치하는 높이로 밀어올리는 위치까지 상승하여, 이 최상위치의 정제(t)에 의해 정제 정수 공급부(12)로부터 공급되는 편평 정제(t)를 계수 구멍(111)의 상단 부분에서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계수 디스크(11)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둘레 가장자리부의 일부(상기 정제 정수 공급부(12a)와 (12d) 사이 부분)가, 상기 정제 충전부(2)를 구성하는 충전 디스크(21)의 하측에 겹쳐진 상태로 되어 있고, 이 부분에서 상기 계수 구멍(111) 내의 편평 정제(t)를 정제 충전부(2)의 충전 디스크(21)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 계수 디스크(11)와 충전 디스크(21)의 겹침 부분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수 디스크(11)의 하측에 존재하고, 정제 배출 핀(115)이 상기 계수 구멍(111)에 대응하여 5개 일렬로 3열의 합계 15개 배설되어 있고, 이 정제 배출 핀(115)은 도시하지 않는 구동원에 의해 승강 운동하는 기대(116) 상에 세워져 설치되어 있어, 상승함으로써 상기 계수 구멍(111)의 바닥벽에 형성된 관통 구멍(114)을 통과하여 상기 계수 구멍(111) 내에 진입하고, 또 최하점까지 강하함으로써 상기 계수 구멍(111) 및 관통 구멍으로부터 완전히 퇴거하도록 되어 있다.
그 다음에, 이 정제 공급 기구부(1)를 구성하는 상기 정제 정수 공급부(12a∼12d)는 모두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세 변환 블록(13), 정수 공급기(14), 보울피더(15) 및 호퍼(1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자세 변환 블록(13)에는,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수 디스크(11)에 형성된 계수 구멍(111)의 배열에 대응하여, 1열 5개의 자세 변환 통로(131)가 3열 나란히 설치되어, 합계 15개의 자세 변환 통로(1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자세 변환 통로(131)는 충전 대상인 편평 정제(t)의 직경보다 다소 큰 두 변과 편평 정제(t)의 두께보다 다소 큰 두 변을 가지는 대략 긴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관통 구멍 통로이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부터 중간부가 거의 수직이고, 하부가 거의 90도까지 만곡하는 곡선부로 되어 있으며, 하단 개구면은, 상기 편평 정제(t)보다 다소 큰 개구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자세 변환 블록(13)은,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면을 상기 계수 디스크(11)의 상면에 근접시킨 상태로 배설되어 있고, 위쪽에 배설된 정수공급기(14)로부터 직경 방향을 상하로 한 직립 상태의 편평 정제(t)가 상기 각 자세 변환 통로(131)에 투입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편평 정제(t)를 하부의 곡선부에서 누운 상태로 자세 변환하여, 상기 계수 디스크(11)의 각 계수 구멍(111) 상에 누운 상태의 편평 정제(t)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12∼15 중의 참조 부호 132는 상기 각 자세 변환 통로(131)의 상기 곡선부의 상부에 마련된 압축 공기 분사 노즐이며, 이 압축 공기 분사 노즐(132)로부터 상기 자세 변환 통로(131)의 상기 곡선부에 아래쪽을 향하여 압축 공기를 분사하고, 편 평 정제(t)의 송출이 정체되기 쉬운 곡선부에 아래쪽으로 흐르는 기류를 형성하여, 편평 정제(t)를 원활하게 자세 변환함과 아울러, 이 곡선부를 원활하게 통과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 다음에, 상기 정수 공급기(14)는 5개의 정제 정렬로(142)를 가지는 슈트 블록(141)을 가지고 있다. 이 슈트 블록(141)에 형성된 상기 정제 정렬로(142)는 상기 자세 변환 통로와 마찬가지로 편평 정제(t)의 직경보다 다소 큰 두 변과 편평 정제(t)의 두께보다 다소 큰 두 변을 가지는 대략 긴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관통구멍 통로이며,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개구로부터 연속적으로 투입되는 편평 정제(t)를 직경 방향을 상하로 한 직립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따라 일렬로 정렬시킨 상태에서 수용하고, 하단 개구로부터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 슈트 블록(141)의 하측에는 이 슈트 블록(141)의 하단면에 근접하여 이송 플레이트(143)가 슬라이드 운동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이 이송 플레이트(143)에는 상기 자세 변환 블록(13)의 자세 변환 통로(131)에 대응하여 15개의 정제 유지 구멍(144)이 정렬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각 정제 유지 구멍(144)에 상기 정제 정렬로(142)의 하단으로부터 직립 상태의 편평 정제(t)를 수용하여 유지하고, 이 이송 플레이트(143)의 슬라이드 운동에 의해 15개의 편평 정제(t)를 직립 상태에서 상기 자세 변환 블록(13)의 각 자세 변환 통로(131) 상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이송 플레이트(143)의 하측에는 상기 각 정제 유지 구멍(144)의 하단면을 개폐하는 셔터판(145)이 배설되어 있고, 도 3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는 구동원에 의해 이 이송 플레이트(143)와 셔터판(145)이 일체적으로 슬라이드 운동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편평 정제(t)를 상기 자세 변환 통로(131) 상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셔터판(145)은 도시하지 않는 에어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어 슬라이드함으로써, 상기 정제 유지 구멍(144)의 하단면을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3 중의 참조 부호 146은, 색차에 의해 이종 정제의 혼입을 검출하는 센서이며, 또 참조 부호 147은 일시적으로 편평 정제(t)의 낙하를 정지시키는 스토퍼이다.
상기 보울피더(15)는,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접시 형상의 정제 수용부(151)와, 이 정제 수용부(151)에 매우 작게 왕복 회동 운동하는 미진동을 주는 진동기(154)를 구비하고 있고, 호퍼(16)로부터 정제 수용부(151) 상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편평 정제를 진동기(154)에 의한 미진동에 의해 도 6 중 시계 방향(도면 중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정제 수용부(151) 상에 형성된 5개의 자세 제어홈(152)에서 편평 정제를 직립 자세로 자세 제어하여, 코일 호스(153)(도 5 및 도 3, 4 참조)를 통과시켜 상기 슈트 블록(141)의 각 정제 정렬로(142)에 연속적으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자세 제어홈(15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 정제(t)의 이동 방향(도면 중 화살표 방향)을 따라, 바닥벽의 일측방이 서서히 위쪽으로 경사져 감과 아울러, 홈의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자세 제어홈(152) 내를 이동하는 편평 정제(t)는, 도 7a∼d에 차례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서서히 누운 자 세로부터 직립 자세로 자세 제어되어, 자세 제어홈(152)의 종단부 바닥벽에 형성된 배출 구멍(152a)으로부터 직립 자세로 아래쪽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자세 제어홈(152)의 배출 구멍(152a)과 상기 슈트 블록(141)의 정제 정렬로(142) 상단면이 코일 호스(153)로 연락되어 있어, 상기 슈트 블록(141)의 정제 정렬로(142)에 편평 정제(t)가 직립 자세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5, 6 중의 참조 부호 161은, 상기 보울피더(15)의 정제 수용부(151) 상을 흐르는 편평 정제의 상면을 검출하여 과잉 공급을 검지하는 센서이며, 이 센서(161)에서 과잉 공급이 검지되었을 때는, 호퍼(16)로부터의 정제 공급이 일시적으로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 다음에, 상기 정제 충전부(2)는, 도 1, 2,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속도로 간헐 회전하는 충전 디스크(21)를 구비하고 있고, 이 충전 디스크(21)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수 구멍(111)과 마찬가지로 5개 일렬로 3열 정렬한 합계 15개의 수용 구멍(211)으로 구성된 수용 구멍군으로 이루어지는 수용 구멍부가 90도씩 변위하여 4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이 충전 디스크(21)는, 도 8∼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헐 회전하는 디스크 본체(22)와, 이 디스크 본체(22)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감착 고정된 수용 구멍 형성 부재(23)와, 이 수용 구멍 형성 부재(23)와 상기 디스크 본체(22) 사이에 배설된 정제 유지 부재(2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디스크 본체(22), 수용 구멍 형성 부재(23) 및 정제 유지 부재(24)에 의해 상기 각 수용 구멍(2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 본체(22)는, 도시하지 않는 구동원에 의해 간헐 회전하는 원판 형상의 부재이며, 그 둘레 가장자리부 상면에는, 도 10(A) 및 도 11에 도시된 수용 구멍부 형성용 오목부(221)가 90도씩 변위하여 4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 구멍부 형성용 오목부(221)는, 도 10(A)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의 오목부 본체(221a)가 디스크 둘레 가장자리에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오목부 본체(221a)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단차를 두고 바닥이 얕은 형성 부재 부착부(221b)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후단 가장자리부에는 역시 단차를 두고 바닥이 얕은 에어 실린더 부착부(221c)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오목부 본체(221a)의 바닥벽에는 1열 5개의 관통 구멍(222)이 3열로 정렬하여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형성 부재 부착부(221b) 및 에어 실린더 부착부(221c)에는 각각 수용 구멍 형성 부재(23) 및 에어 실린더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또, 상기 수용 구멍 형성 부재(23)는, 도 10(B)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열 5개의 관통 구멍(231)이 3열로 정렬하여 형성된 두꺼운 판자 형상의 부재이며, 상기 수용 구멍부 형성용 오목부(221)에 감입되고, 양측 가장자리부를 상기형성 부재 부착부(221b)에 나사 고정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이 수용 구멍 형성 부재(23)의 하면에는 단면 C자형의 소돌기가 상기 각 관통 구멍(231)과 연통한 상태로 돌설되어 있고, 이 소돌기가 상기 오목부 본체(221a)의 관통 구멍(222)과 연통한 상태에서, 이 오목부 본체(221a)의 바닥면에 당접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수용 구멍 형성 부재의 관통 구멍(231)과 오목부 본체(221a) 바닥벽의 관 통 구멍(222)이 상기 단면 C자형의 소돌기를 통하여 연통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양 관통 구멍(231, 222)으로 상기 수용 구멍(2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 구멍 형성 부재(23) 하면과 오목부 본체(221a) 바닥면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수용 구멍 형성 부재(23) 하면에 돌설된 상기 C자형 소돌기의 절결 부분은, 이 공간부와 상기 수용 구멍(211)을 관통하는 관통창(212)으로 되어 있다.
그 다음에, 상기 정제 유지 부재(24)는, 도 10(C),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변형 사각형의 협지 구멍(241)이 1열에 5개씩 3열로 정렬하여 형성된 판자 형상의 부재이며, 에어 실린더(25)에 부착된 암판(242)에 지지기둥(243, 243)을 통하여 지지된 것이다. 이 정제 유지 부재(24)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 구멍 형성 부재(23) 하면과 오목부 본체(221a)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상기 공간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에어 실린더(25)가 스페이서(252)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에어 실린더 부착부(221c)에 고정됨으로써, 수용 구멍부 형성용 오목부(221)에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이 정제 유지 부재(24)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협지 구멍(241)이 상기 각 수용 구멍(211)을 둘러싸도록 상기 공간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정제 유지 부재(24)는 2장의 판 형상 부재를 맞붙여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양 판 형상 부재간에는 실리콘 고무가 끼워져 있고, 그 실리콘 고무가 부분적으로 상기 각 협지 구멍(241) 내에 돌출되고, 이 실리콘 고무 돌출부가 편평 정제를 협지하는 협지부(244)로 되어 있다(도 10(C) 및 도 11(A) 참조). 그 리고 이 협지부(244)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 구멍(211)에 형성된 상기 관통창(212)에 삽입되고, 이 관통창(212)을 통과하여 수용 구멍(211) 내를 향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정제 유지 부재(24)는 상기 에어 실린더(25)에 구동되어 슬라이드 운동하도록 되어 있고, 일방향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상기 각 협지 구멍(241)의 협지부(244)가 상기 관통창(212)으로부터 각 수용 구멍(211) 내에 진입하여, 각 수용 구멍(211) 내에 수용된 편평 정제(t)를 협지하도록 되어 있고, 또 역방향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상기 각 협지부(244)가 상기 각 수용 구멍(211)으로부터 퇴거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8, 9 및 도 10(C), (D) 중의 참조 부호 251은 상기 에어 실린더(25)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파이프이며, 각 에어 파이프(251)의 타단은 특별히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충전 디스크(21)를 지지하고 있는 지주(29)에 마련된 시판되는 '배관 회전부용 다회로 블록'(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 충전 장치의 상기 충전부(2)를 구성하는 상기 충전 디스크(21)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 구멍(211)이 1열 5개로 3열 정렬하여 형성된 수용 구멍군으로 이루어지는 수용 구멍부가 90도씩 변위하여 4개소에 형성되어 있고(도 9 참조), 이 충전 디스크(21)가 소정 속도로 90도씩 간헐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충전 디스크(21)는 그 둘레 가장자리부의 일부가 상기 계수 디스크(11)의 둘레 가장자리부 상에 겹쳐지도록 배설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부분과 180도 변위한 위치에서도 상기 캡슐 분리/결합부(3)의 바디 디스크(32) 상에 겹쳐지도록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동작이 간헐적으로 정지했을 때, 상기 계수 디스크(11)와의 겹침 부분에서는 충전 디스크(21)의 상기 수용 구멍(211)과 계수 디스크(11)의 상기 계수 구멍(111)이 일치한 연통 상태가 되고, 또 상기 바디 디스크(32)와의 겹침 부분에서는 충전 디스크(21)의 상기 수용 구멍(211)과 바디 디스크(32)의 바디 유지 구멍(321)이 일치한 연통 상태가 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계수 디스크(11)와 충전 디스크(21)의 겹침 부분에서는, 충전 디스크(21)의 위쪽에 상기 수용 구멍(211)과 마찬가지로 배열된 15개의 공급시 정제 누름 핀(26)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바디 디스크(32)와 충전 디스크(21)의 겹침 부분에도, 충전 디스크(21)의 위쪽에 상기 수용 구멍(211)과 마찬가지로 배열된 15개의 충전시 정제 누름 핀(27)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이들 공급시 정제 누름 핀(26)과 충전시 정제 누름 핀(27)은 모두 도시하지 않는 구동원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암체(28)에 지지되어 상하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강하함으로써 충전 디스크(21)의 수용 구멍(211) 내에 진입하고, 또 상승함으로써 이 수용 구멍(211)으로부터 위쪽으로 퇴거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들 공급시 정제 누름 핀(26) 및 충전시 정제 누름 핀(27)은 모두 상하 이동이 자유롭게 상기 암체(28)에 지지되어 있고, 이 암체(28)에 대해서도 소정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충전부(2)에는, 특별히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수용 구멍(211) 내에 수용된 편평 정제(t)의 상면을 위로부터 검출하는 레이저식 고정밀도 변위 센서가 배설되어 있고, 이 변위 센서에 의해 각 수용 구멍(211) 내에 수용된 편평 정제(t)의 높이를 측정하고, 각 수용 구멍(211) 내에 소정 개수(본 예에서는 4개)의 편평 정제(t)가 수용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도록 되어 있다.
그 다음에, 상기 캡슐 분리/결합부(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소정 간격 이간하여 평행하게 배설된 캡 디스크(31), 바디 디스크(32)의 2장의 디스크와, 3기의 드럼(331, 332, 333)으로 이루어지는 캡슐 공급부와, 호퍼(3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캡슐 분리/결합부(3)는 캡과 바디를 가결합한 공캡슐을 일단 캡과 바디로 분리하여 그 캡슐 바디를 상기 충전부(2)에 반송하고, 이 충전부(2)에서 정제가 충전된 캡슐 바디를 다시 캡과 결합시켜 정제가 충전된 캡슐제로 하는 것이다.
즉, 상기 공캡슐을 상기 호퍼(34)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이 공캡슐을 상기 3개의 드럼(331, 332, 333)의 외주면에 형성된 포켓에 수용하여, 각 드럼(331, 332, 333) 사이에서 건네주면서 아래쪽으로 반송하고, 이 각 드럼(331, 332, 333)에서의 반송 중에 모든 공캡슐을 캡을 위로 한 정립 상태로 자세 제어하여, 이 공캡슐을 아래쪽의 캡 디스크(31)로 보낸다. 그리고 캡슐 분리 기구부(35)(도 2 참조)에서 소정의 수단에 의해 공캡슐을 캡과 바디로 분리하여 캡을 상기 캡 디스크(31)의 캡 유지 구멍(311)(도 2 참조)에 유지하여 반송함과 아울러, 캡슐 바디를 상기 바디 디스크(32)의 바디 유지 구멍(321)에 유지하여 상기 충전 디스크(21)의 하측으로 반송하고(도 8 참조), 여기서 소정 개수의 정제(t)가 충전된 캡슐 바디를 또 다시 반송하여 캡슐 결합부(36)(도 2 참조)에서 소정의 수단에 의해 캡슐 바디와 캡을 결합하여 정제가 충전된 캡슐제로 하고, 캡 디스크(31)의 상측에 배출하여 배출 슈트(37)(도 1, 2 참조)를 통과시켜 회수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바디 디스크(3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둘레 가장자리부의 일부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충전 디스크(21)의 하측에 겹쳐진 상태로 되어 있고, 이 부분에서 바디 디스크(32)의 각 바디 유지 구멍(321)과 충전 디스크(21)의 상기 각 수용 구멍(211)이 일치하여 서로 연통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겹침 부분에는 상기 바디 디스크(32)의 하측에 바디 유지 핀(322)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고, 이 바디 유지 핀(322)은 도시하지 않는 구동원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바디 유지 구멍(321) 내에 진입하고, 이 바디 유지 구멍(321) 내에 수용된 캡슐 바디(m)를 바디 유지 구멍(321)의 상단 가장자리부까지 들어 올리고, 또 강하함으로써 상기 바디 유지 구멍(321)으로부터 퇴거하도록 되어 있다.
그 다음에, 본 실시예의 정제 충전 장치를 사용하여 캡슐에 편평 정제를 충전할 때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정제 충전 장치는 4종류의 편평 정제를 각각 1개씩 합계 4개의 편평 정제를 하나의 캡슐에 충전하여, 상이한 4종류의 편평 정제가 충전된 캡슐제를 제조하는 것이며, 상기 4개의 정제 정수 공급부(12a∼12d)의 각 호퍼(16)에 각각 상이한 편평 정제(t)를 투입한다. 이 경우, 각 편평 정제는 각각 상이한 약종의 것이라도 모두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장치를 기동하면, 상기 정제 정수 공급부(12a∼12d)가 정제 공급 동작을 행함과 아울러, 상기 계수 디스크(11)가 소정의 속도로 간헐 회전하고, 상기 각 정제 정수 공급부(12a∼12d)의 배설 개소에서 상기 계수 디스크(11)의 계수 구멍(111)에 각 편평 정제(t)가 차례차례 투입되어, 각 계수 구멍(111) 내에 4개의 편평 정제가 누운 상태에서 적중한 상태로 수용된다. 이 때의 상기 정제 정수 공급부(12a∼12d)에 의한 정제 투입 동작은 다음과 같다.
우선, 호퍼(16)(도 1, 5 참조)에 랜덤으로 투입된 편평 정제(t)가 보울피더(15)의 정제 수용부(151) 상에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그 편평 정제(t)가 미진동에 의해 정제 수용부(151) 상을 도 6 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차례차례 정제 수용부(151) 상에 형성된 상기 자세 제어홈(152) 내에 진입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자세 제어홈(152) 내를 진행하면서, 직립 자세로 자세 제어되어, 직립 자세로 코일 호스(153) 내로 연속적으로 낙하해 간다.
이 코일 호스(153) 내를 낙하한 편평 정제(t)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 블록(141)의 정제 정렬로(142) 내에 직립 자세인 채로 투입되고, 이 정제 정렬로(142)의 하단에서 상기 이송 플레이트(143)의 각 정제 유지 구멍(144)에 수용되며, 이 이송 플레이트(143)가 슬라이드하여 편평 정제(t)가 직립 자세로 상기 자세 변환 블록(13)의 각 자세 변환 통로(131)의 바로 위에 배치된다.
그리고 최상류측의 정제 정수 공급부(12a)에서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계수 디스크(11)의 하측에 배설된 상기 정제 유지 핀(112)이 상승하여 각 계수 구멍(111) 내에 진입하고, 그 선단이 계수 디스크(11)의 상면과 거의 일치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는 구동원에 의해 이송 플레이트(143) 하면의 셔터판(145)이 슬라이드하여 각 정 제 유지 구멍(144)의 하단면이 개방되고, 각 편평 정제(t)가 직립 상태에서 상기 자세 변환 블록(13)의 각 자세 변환 통로(131) 내에 투입되고, 이 자세 변환 통로(131) 내를 낙하하여 상기 곡선부(도 4 참조)에서 누운 상태로 자세 변환하여 상기 각 계수 구멍(111)의 바로 위로 보내져, 상기 정제 유지 핀(122)에 받아들여진다. 그 다음에,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제 유지 핀(112)이 강하하여 정제(t)가 누운 상태에서 계수 구멍(111)의 바닥부에 유지됨과 아울러, 정제 유지 핀(112)이 계수 구멍(111)으로부터 퇴거하고, 이 상태에서, 계수 디스크(11)가 간헐 회전하여, 이 정제(t)가 수용된 각 계수 구멍(111)이 다음 정제 정수 공급부(12b)의 배설 개소로 반송된다.
여기서, 상기 슈트 블록(141)의 정제 정렬로(142)로부터 상기 이송 플레이트(143)를 통하여 상기 자세 변환 블록(13)의 자세 변환 통로(131)에 편평 정제(t)를 투입할 때의 상세한 동작은 다음과 같다.
우선, 편평 정제(t)를 상기 자세 변환 통로(131)에 투입하여 각 정제 유지 구멍(144)이 빈 상태로 되어 있는 상기 이송 플레이트(143)가, 셔터판(145)으로 각 정제 유지 구멍(144)을 닫은 상태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드하고, 도 3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 상기 스토퍼(147)로 상기 정제 정렬로(142) 내의 최하위치에 수용되어 있는 편평 정제를 압압하여 로크한 상태에서, 상기 이송 플레이트(143)를 후방으로 슬라이드함과 아울러, 이 이송 플레이트(143)는 후단부가 두꺼워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으로 슬라이드하는 상기 이송 플레이트(143) 상면과 상기 정제 정렬로(142) 최하위치의 정제와는 이간한 상 태가 되어, 편평 정제가 깎이는 것 같은 문제 없이 이송 플레이트(143)가 후퇴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송 플레이트(143)가 후퇴한 후, 상기 스토퍼(147)에 의한 최하위치 정제의 로크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이송 플레이트(143)가 전방으로 슬라이드하고, 각 정제 유지 구멍(144)에 상기 정제 정렬로(142)로부터 편평 정제(t)가 수용되고, 전방으로 운반되어 상기 자세 변환 통로(131)의 바로 위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셔터판(145)이 슬라이드하여 각 정제 유지 구멍(144)의 하단면이 개방되고, 각 편평 정제(t)가 상기 각 자세 변환 통로(131) 내에 투입된다.
그 다음에, 2번째의 정제 정수 공급부(12b)에서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정제 유지 핀(112)이 상승하여 각 계수 구멍(111) 내에 진입하고, 각 계수 구멍(111) 내에 수용된 선행 편평 정제(t)를 계수 디스크(11)의 상면과 거의 일치하는 위치까지 들어 올리고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제 정수 공급부(12a)와 마찬가지로 셔터판(145)을 슬라이드시켜 각 정제 유지 구멍(144)의 하단면을 개방하고, 각 편평 정제(t)를 각 자세 변환 통로(131)를 통과시켜 누운 상태로 자세 변환함과 아울러, 상기 각 계수 구멍(111)의 바로 위에 보내고, 이 각 편평 정제(t)가 상기 계수 구멍(111)의 상단면 상에서 상기 선행 편평 정제 상에 받아들여진다. 그 다음에,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제 정수 공급부(12a)와 마찬가지로, 상기 정제 유지 핀(112)이 강하하여 계수 구멍(111)으로부터 퇴거하고, 2개의 편평 정제(t)가 각 계수 구멍(111)의 바닥부에 유지된 상태에서 계수 디스크(11)가 간헐 회전하고, 2개의 편평 정제(t)가 수 용된 각 계수 구멍(111)이 다음의 정제 정수 공급부(12c)의 배설 개소로 반송된다.
3번째의 정제 정수 공급부(12c)에서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정제 유지 핀(112)이 상승하여 각 계수 구멍(111) 내에 진입하고, 각 계수 구멍(111) 내에 수용된 2개의 선행 편평 정제(t)를 위쪽으로 들어 올려, 최상위치의 선행 편평 정제(t)가 계수 디스크(11)의 상면과 거의 일치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제 정수 공급부(12a, 12b)와 마찬가지로 셔터판(145)을 슬라이드시켜 각 정제 유지 구멍(144)의 하단면을 개방하고, 각 편평 정제(t)를 각 자세 변환 통로(131)를 통과시켜 누운 상태로 자세 변환함과 아울러, 상기 각 계수 구멍(111)의 바로 위에 보내고, 이 각 편평 정제(t)가 상기 계수 구멍(111)의 상단면 상에서 상기 최상위치의 선행 편평 정제(t) 상에 받아들여진다. 그 다음에,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제 정수 공급부(12a, 12b)와 마찬가지로, 상기 정제 유지 핀(112)이 강하하여 계수 구멍(111)으로부터 퇴거하고, 3개의 편평 정제(t)가 각 계수 구멍(111)의 바닥부에 유지된 상태에서 계수 디스크(11)가 간헐 회전하고, 3개의 편평 정제(t)가 수용된 각 계수 구멍(111)이 다음의 정제 정수 공급부(12d)의 배설 개소로 반송된다.
그 다음에, 4번째의 정제 정수 공급부(12c)에서는,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제 유지 핀(112)이 상승하여 각 계수 구멍(111) 내에 진입하고, 각 계수 구멍(111) 내에 수용된 3개의 선행 편평 정제(t)를 위쪽으로 들어 올려, 최상위치의 선행 편평 정제(t)가 계수 디스크(11)의 상면과 거의 일치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제 정수 공급부(12a∼ 12c)와 마찬가지로 셔터판(145)을 슬라이드시켜 각 정제 유지 구멍(144)의 하단면을 개방하고, 각 편평 정제(t)를 각 자세 변환 통로(131)를 통과시켜 누운 상태로 자세 변환함과 아울러, 상기 각 계수 구멍(111)의 바로 위에 보내고, 이 각 편평 정제(t)가 상기 계수 구멍(111)의 상단면 상에서 상기 최상위치의 선행 편평 정제(t) 상에 받아들여진다. 그 다음에,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제 정수 공급부(12a∼12c)와 마찬가지로 상기 정제 유지 핀(112)이 강하하여 계수 구멍(111)으로부터 퇴거하고, 4개의 편평 정제(t)가 각 계수 구멍(111)의 바닥부에 유지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해서, 4종류의 편평 정제가 1개씩 누운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따라 적중한 편평 정제군이 각 계수 구멍(111) 내에 형성되어 유지된다. 그리고 계수 디스크(11)의 간헐 회전에 의해, 이 계수 디스크(11)와 상기 충전 디스크(21)가 겹쳐진 위치로 반송되고, 이 위치에서 상기 편평 정제군이 계수 디스크(11)의 각 계수 구멍(111)으로부터 상기 충전 디스크(21)의 각 수용 구멍(211)으로 위치 전환된다. 이 위치 전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상기 암체(28)가 강하하여 이 암체(28)에 지지된 상기 각 공급시 정제 누름 핀(26)이 충전 디스크(21)의 각 수용 구멍(211) 내에 위쪽으로부터 진입하여 각 공급시 정제 누름 핀(26)의 선단이 각 수용 구멍(211)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이와 거의 동시에, 계수 디스크(11)의 하측에 배설된 정제 배출 핀(115)이 상승하여 상기 각 계수 구멍(111) 내에 아래로부터 진입하고,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계수 구멍(111) 내에 유지된 상기 편평 정제군을 위쪽으로 밀어 올려, 계수 구멍(111)으로부터 위쪽으로 배출함과 아울러, 상기 충전 디스크(21)의 각 수용 구멍(211)에 하측으로부터 송입된다.
이 때, 각 수용 구멍(211) 내에 진입한 상기 각 공급시 정제 누름 핀(26)의 선단이 각 편평 정제군의 최상위치의 편평 정제(t)에 당접하여, 각 공급시 정제 누름 핀(26)이 자중에 의해 각 편평 정제군을 위로부터 누르고, 이 상태 그대로 각 편평 정제군은 각 공급시 정제 누름 핀(26)을 밀어 올리면서, 상기 각 수용 구멍(211) 내에 송입되고, 최하위치의 편평 정제가 상기 정제 유지 부재(24) 배설 위치에 이른 곳에서, 이 최하위치의 정제가 이 정제 유지 부재(24)에 의해 협지되고, 각 편평 정제군이 수용 구멍(211) 내에 유지된다.
즉,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제 배출 핀(115)에 의해 수용 구멍(211) 내에 송입된 편평 정제군의 최하위치의 정제(t)가 정제 유지 부재(24)의 배설 위치에 이르면, 상기 에어 실린더(25)(도 9 등을 참조)가 작동하여 이 정제 유지 부재(24)를 일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정제 유지 부재(24)의 상기 각 협지부(244)가 각 관통창(212)으로부터 각 수용 구멍(211) 내에 진입하고, 이 협지부(244)가 상기 최하위치의 편평 정제(t)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수평 방향으로 압압하여, 이 협지부(244)와 수용 구멍(211)의 내주면으로 상기 최하위치의 편평 정제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협지되어, 상기 편평 정제군이 각 수용 구멍(211) 내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도 16(C) 및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제 배출 핀(115)이 하강하여 상기 계수 구멍(111)으로부터 퇴거함과 아울러, 상기 암체(28) 가 상승하여 공급시 정제 누름 핀(26)의 선단이 편평 정제군의 최상위치 정제로부터 이간한다. 그리고 충전 디스크(21) 및 계수 디스크(11)가 간헐 회전하고, 각 수용 구멍(211)에 유지된 각 편평 정제군이 상기 바디 디스크(32)와의 겹침 위치로 반송됨과 아울러, 계수 구멍(111)에는 다시 정제 정수 공급부(12a∼12d)에 의해 편평 정제가 투입된다.
상기 수용 구멍(211) 내에 유지되어 상기 바디 디스크(32) 상으로 반송된 각 편평 정제군은 바디 디스크(32)의 바디 유지 구멍(321) 내에 유지된 각 캡슐 바디(m) 내에 투입되어 충전된다. 그 동작은 다음과 같다.
상기 충전 디스크(21)와 바디 디스크(32)의 겹침 부분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용 구멍(211)과 각 바디 유지 구멍(321)이 일치하여 연통한 상태에서, 양 디스크(21, 32)가 간헐적으로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바디 디스크(32)의 아래쪽에 배설된 상기 바디 유지 핀(322)이 상승하여 상기 바디 유지 구멍(321) 내에 아래로부터 진입하고, 이 바디 유지 구멍(321) 내의 캡슐 바디(m)를 위쪽으로 밀어 올려, 캡슐 바디(m)의 상단 개구부가 바디 디스크(32) 상면과 거의 일치한 상태가 된다.
이와 거의 동시에,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체(28)가 강하하여 이 암체(28)에 지지된 상기 충전시 정제 누름 핀(27)이 하강하고, 그 선단이 상기 수용 구멍(211) 내에 유지된 편평 정제군의 최상위치의 정제(t)에 당접하여, 이 충전시 정제 누름 핀(27)의 자중에 의해 편평 정제군이 위로부터 눌린 상태가 된다. 즉,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디스크(21)의 각 수용 구멍(211)에 수용 유지된 각 편평 정제군은 최상위치의 정제(t)에 상기 충전시 정제 누름 핀(27)이 당접하여, 이 충전시 정제 누름 핀(27)의 자중에 의해 편평 정제군이 위로부터 눌린 상태로 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최하위치의 정제(t)가 상기 정제 유지 부재(24)의 협지부(244)로 협지되어, 수용 구멍(211) 내에 유지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에어 실린더(25)가 작동하여 상기 정제 유지 부재(24)를 역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이 정제 유지 부재(24)의 상기 협지부(244)를 상기 수용 구멍(211)으로부터 퇴거시키고, 상기 최하위치의 편평 정제(t)의 협지 상태를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도 18(C) 및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용 구멍(211) 내의 편평 정제군이 아래쪽으로 낙하하여 바로 아래에 배치된 각 캡슐 바디(m) 내에 떨어뜨려진다. 이 때, 각 편평 정제군과 함께 상기 각 충전시 정제 누름 핀(27)도 자중에 의해 낙하하고, 편평 정제군은 이 충전시 정제 누름 핀(27)에 의해 위로부터 눌리면서, 아래쪽으로 낙하하여 상기 캡슐 바디(m) 내에 떨어뜨려 진다.
그리고 도 1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 유지 핀(322)이 강하하여 상기 바디 유지 구멍(321)으로부터 퇴거함과 아울러, 상기 암체(28)가 상승하여 상기 충전시 정제 누름 핀(27)이 들어 올려져, 상기 각 수용 구멍(211)으로부터 퇴거한다.
그 다음에, 상기 바디 유지 구멍(321) 내에 유지된 정제가 충전된 캡슐 바디는 바디 디스크(32)의 간헐 회전에 의해 반송되고, 캡슐 분리/결합부(3)의 캡슐 결합부(36)(도 2 참조)에서 캡과 연결되어 캡슐제로 제조되고, 배출 슈트(37)(도 1, 2 참조)로부터 장치 외로 배출되어 회수된다. 또, 빈 상기 수용 구멍(211)에는 상기 계수 디스크(11)로부터 다시 편평 정제군이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일련의 동작이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4종류의 편평 정제가 누운 상태에서 적중한 상태로 충전된 캡슐제를 자동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캡슐로의 정제 충전 장치에서는, 수용 구멍(211)의 하단부에 배설한 정제 유지 부재(24)(정제 유지 수단)의 협지부(244)로, 4개의 편평 정제(t)가 누운 상태에서 적중한 편평 정제군의 최하위치의 정제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협지하여 이 편평 정제군을 수용 구멍(111) 내에 유지하고, 또 이 정제 유지 부재(24)에 의한 상기 최하위치의 정제 둘레 가장자리부의 협지 상태를 해제하여, 편평 정제군을 캡슐 바디(m)에 떨어뜨리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20에 도시한 종래의 장치와 같이, 즉 편평 정제(t)를 수용한 구멍 형상의 수용부(f) 하단면을 슬라이드 운동하는 셔터판(g)에 의해 개폐하는 경우와 같이, 하단면이 일측방으로부터 서서히 열려 가는 개방 동작과는 상이하게, 본 실시예의 장치에서는, 둘레 가장자리부가 협지되어 유지되고 있던 편평 정제(t)가 그 협지 상태가 일시에 해제되어 유지 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이 최하위치의 정제(t)에 회전시키는 것 같은 힘이 작용하지 않고, 또 셔터판 개폐시와 같이 마찰에 의한 회전력이 작용하지 않아, 누운 상태 그대로 확실하게 편평 정제(t)의 유지 상태를 해제하여 캡슐 바디(m)에 떨어뜨릴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용 구멍(211) 내에 유지된 편평 정제군을 캡슐 바디(m)에 떨어뜨릴 때에, 상하 이동이 자유롭게 배설된 충전시 정제 누름 핀(27) 을 편평 정제군의 최상위치의 정제(t)에 위로부터 당접시켜, 이 충전시 정제 누름 핀(27)으로 상기 편평 정제군을 소정의 힘으로 아래쪽으로 누르면서, 이 충전시 정제 누름 핀(27)과 함께 편평 정제군을 아래쪽으로 낙하시켜, 캡슐 바디(m)에 떨어뜨리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용 구멍(211)으로부터 아래쪽의 캡슐 바디(m)로 낙하하는 편평 정제군은 상기 충전시 정제 누름 핀(27)으로 위로부터 눌리면서 캡슐 바디(m)로 낙하하게 되어, 편평 정제군을 구성하는 각 편평 정제(t)의 누운 자세가 충전시 정제 누름 핀(27)에 의해 양호하게 유지되면서, 캡슐 바디(m)로 떨어뜨려지는 것이다. 따라서, 낙하시에 수용 구멍(211)의 내주면이나 캡슐 바디(m)의 상단 가장자리에 편평 정제(t)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접촉해도 각 편평 정제(t)는 양호하게 누운 상태를 유지한 채 캡슐 바디(m)에 충전되어, 서있는 상태의 편평 정제(t)를 생기게 하지 않아, 소정 개수의 편평 정제(t)를 누운 상태에서 확실히 캡슐 바디(m)에 충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계수 디스크(11)로부터 충전 디스크(21)로 편평 정제군을 이송할 때에는 하측에 배치된 계수 디스크(11)의 계수 구멍(111)으로부터 상측에 배치된 충전 디스크(21)의 수용 구멍(211)으로 편평 정제군을 아래로부터 들어 올려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 그 때에 상기 공급시 정제 누름 핀(26)으로 편평 정제군을 위로부터 누르면서 위쪽으로 들어 올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계수 디스크(11)로부터 충전 디스크(22)로 편평 정제군이 이송될 때에도, 편평 정제(t)가 서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 가급적 방지된다.
또한, 상기 각 정제 정수 공급부(12a∼12d)로부터 계수 디스크(11)의 계수 구멍(111)에 편평 정제(t)를 공급할 때에도, 상기 계수 구멍(111) 내에 아래로부터 진입한 정제 유지 핀(112)의 선단 또는 이 정제 유지 핀(112)에 지지된 선행 정제에 의해, 계수 구멍(111)의 입구에서 누운 상태의 편평 정제(t)를 받아들이고, 상기 정제 유지 핀(112)의 강하에 의해 계수 구멍(111) 내에 편평 정제(t)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계수 구멍(111) 내에 편평 정제(t)를 공급할 때에도, 서있는 상태의 편평 정제가 생기는 것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충전 장치에 의하면, 소정 개수의 편평 정제(t)를 누운 상태에서 확실하게 캡슐 바디에 충전할 수 있고, 서있는 상태의 편평 정제가 생기는 것에 의한 문제의 발생을 가급적 방지하여, 정제를 충전한 캡슐제를 양호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각 부의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12∼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정제 유지 핀(112)의 상승 높이를, 상승 폭을 바꿈으로써 변경하도록 하고 있지만, 각 정제 정수 공급부(12a∼12d)의 배설 위치에 따라 정제 유지 핀(112)의 길이를 변경하고, 상승 폭을 일정하게 해도 된다. 또, 상기 캡슐 분리/결합부(3)는 분리한 캡슐 바디(m)를 충전 디스크(21)의 각 수용 구멍(211)의 바로 아래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기구여도 되고, 3개의 반송 드럼(331∼333), 캡 디스크(31) 및 바디 디스크(32)를 사용한 기구 이외의 것이어도 되며, 공지된 캡슐 분리/결합 기구를 적당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4개소의 정제 정수 공 급부(12a∼12d)를 마련하고, 각 정제 정수 공급부(12a∼12d)로부터 이종의 편평 정제를 1개씩 공급하여 4종류의 편평 정제를 1개씩 합계 4개의 편평 정제를 캡슐 바디에 충전하도록 했지만, 정제 정수 공급부의 수나 각 정제 정수 공급부에서의 공급 개수는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1개소의 정제 정수 공급부에서, 상기 이송 플레이트(143)의 왕복 동작을 소정 횟수 반복하여 소정 개수의 편평 정제를 공급하고, 동종의 편평 정제를 소정 개수 계수하여 상기 계수 디스크(111)에 수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해도 상관없다.

Claims (12)

  1. 누운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따라 적중(積重)한 상태로 정렬한 소정 개수의 편평 정제를, 아래쪽에 배치한 캡슐 바디 내에 떨어뜨려, 이 캡슐 바디 내에 소정 개수의 편평 정제를 충전하는 캡슐 바디로의 정제 충전 방법에 있어서,
    연직 방향을 따른 축심을 가지는 수용 구멍에, 소정 개수의 편평 정제를 누운 상태에서 동축상에 적중한 상태로 수용함과 아울러, 이 수용 구멍의 하단부에 배설한 정제 유지 수단으로 최하위치의 편평 정제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지지함으로써, 이들 편평 정제를 상기 누워서 적중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 구멍 내에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이 수용 구멍의 바로 아래에 캡슐 바디를 배치하여 상기 정제 유지 수단에 의한 최하위치 정제의 지지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편평 정제가 누운 상태에서 적중한 편평 정제군을 상기 수용 구멍으로부터 캡슐 바디 내에 떨어뜨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바디로의 정제 충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구멍 내에 수용된 편평 정제군의 최상위치의 정제에 위로부터 충전시 정제 누름 핀을 당접시켜 상기 편평 정제군을 소정의 힘으로 아래쪽으로 누르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정제 유지 수단에 의한 최하위치의 정제의 지지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편평 정제군을 상기 충전시 정제 누름 핀과 함께 아래쪽으로 낙하시키고, 상기 충전시 정제 누름 핀으로 상기 편평 정제군을 위로부터 누르면서 캡슐 바디 내에 떨어뜨림으로써, 이 누름 핀에 의해 상기 편평 정제군 을 구성하는 각 편평 정제의 누운 상태를 유지하면서 캡슐 바디 내에 편평 정제를 충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바디로의 정제 충전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시 정제 누름 핀을, 연직 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상기 수용 구멍의 바로 위의 위치에 배치하고, 이 충전시 정제 누름 핀의 자중에 의해 상기 편평 정제군을 위로부터 누름으로써, 상기 편평 정제군이 이 충전시 정제 누름 핀과 함께 자유 낙하하여, 이 편평 정제군이 캡슐 바디 내에 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바디로의 정제 충전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유지 수단이, 상기 수용 구멍의 하단부 둘레면의 일부에 마련된 관통창과, 이 관통창에 상기 수용 구멍 내를 향해서 삽입된 협지부를 가지는 정제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이 정제 유지 부재의 협지부로 상기 편평 정제군의 최하위치의 정제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수평 방향으로 압압하여, 이 협지부와 상기 수용 구멍의 내주면으로 정제 둘레 가장자리부를 협지함으로써, 상기 편평 정제군을 상기 수용 구멍 내에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바디로의 정제 충전 방법.
  5. 소정 개수의 편평 정제를 누운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따라 적중한 상태로 정렬시키고, 이 소정 개수의 편평 정제를 캡슐 바디에 투입 충전하는 정제 충전 장치에 있어서,
    연직 방향을 따른 축심을 가지고, 소정 개수의 편평 정제를 누운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따라 적중한 편평 정제군을 수용하는 수용 구멍과,
    상기 수용 구멍에 소정 개수의 편평 정제를 공급하여, 상기 편평 정제군을 상기 수용 구멍 내에 형성하는 정제 공급 기구부와,
    상기 편평 정제군의 최하위치의 정제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지지하여, 이 편평 정제군을 상기 수용 구멍 내에 유지하는 정제 유지 수단과,
    상기 수용 구멍의 바로 아래에 캡슐 바디를 배치하는 캡슐 바디 배치 기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정제 유지 수단에 의해 지지된 편평 정제군의 최하위치의 정제의 지지 상태를 해제하여, 이 편평 정제군을 상기 수용 구멍으로부터 상기 캡슐 바디 내에 떨어뜨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로의 정제 충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유지 수단이, 상기 수용 구멍의 하단부 둘레면의 일부에 마련된 관통창과, 이 관통창에 상기 수용 구멍 내를 향해서 삽입된 협지부를 가지는 정제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이 정제 유지 부재의 상기 협지부로 상기 편평 정제군의 최하위치의 정제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수평 방향으로 압압하여, 이 협지부와 상기 수용 구멍의 내주면으로 정제 둘레 가장자리부를 협지함으로써, 상기 편평 정제군을 상기 수용 구멍 내에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로의 정제 충전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수용 구멍이 정렬 형성된 수용 구멍군으로 이루어지는 수용 구멍부가, 복수 개소에 형성된 간헐 회전하는 충전 디스크를 구비하고, 소정의 회전 각도 위치에서, 이 충전 디스크의 상기 수용 구멍부의 각 수용 구멍에 상기 정제 공급 기구부로부터 편평 정제를 공급하여 수용하고, 이것을 충전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소정 위치에 반송하고, 이 충전 디스크의 소정의 회전 각도 위치에서, 상기 캡슐 바디 배치 기구부에 의해 상기 수용 구멍부의 각 수용 구멍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 캡슐 바디에 각 수용 구멍 내의 편평 정제군을 떨어뜨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로의 정제 충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디스크가,
    간헐 회전하는 원판 형상의 디스크 본체와,
    복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판 형상 또는 블록 형상의 부재이며, 상기 디스크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부 상면에 마련된 수용 구멍부 형성용 오목부에 감합 고정되고, 상기 각 관통 구멍과 이 수용 구멍부 형성용 오목부에 마련된 복수의 관통 구멍이 연 통한 상태가 되어 상기 수용 구멍을 형성하는 수용 구멍 형성 부재와,
    상기 수용 구멍보다 다소 큰 직경의 협지 구멍이 복수 형성된 얇은 판 형상의 부재이며, 상기 수용 구멍 형성 부재와 상기 수용 구멍부 형성용 오목부의 바닥면 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각 협지 구멍이 상기 각 수용 구멍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각 협지 구멍 내 둘레 가장자리부의 일부가 각 수용 구멍의 하단부에 형성된 관통창에 삽입되어 수용 구멍 내를 향하는 협지부 로 되어 있는 정제 유지 부재와,
    이 정제 유지 부재를 슬라이드 운동시켜, 상기 각 협지 구멍의 상기 협지부를 상기 관통창으로부터 상기 수용 구멍 내에 진퇴시키는 슬라이드 구동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드 구동원에 의해 상기 정제 유지 부재를 슬라이드시켜 상기 협지부를 상기 관통창으로부터 상기 수용 구멍 내에 진입시키고, 이 협지부로 상기 각 수용 구멍 내에 수용된 상기 편평 정제군의 최하위치의 정제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수평방향으로 압압하여, 이 협지부와 상기 수용 구멍의 내주면으로 정제 둘레 가장자리부를 협지함으로써, 상기 각 편평 정제군을 상기 각 수용 구멍 내에 유지하고, 또 상기 슬라이드 구동원에 의해 상기 정제 유지 부재를 역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각 편평 정제군의 최하위치의 정제의 협지 상태를 해제하여, 각 편평 정제군을 각 수용 구멍의 하단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낙하시켜 각 수용 구멍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 각 캡슐 바디 내에 떨어뜨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로의 정제 충전 장치.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구멍 내에 위쪽으로부터 진입하여, 이 수용 구멍 내에 수용된 상기 편평 정제군의 최상위치의 정제에 당접하고, 상기 편평 정제군을 소정의 압력으로 아래쪽으로 눌러, 이 편평 정제군이 캡슐 바디로 떨어뜨려질 때에, 이 편평 정제군과 함께 아래쪽으로 강하하는 충전시 정제 누름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로의 정제 충전 장치.
  10.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공급 기구부가,
    소정 개수의 편평 정제가 수용되는 계수 구멍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면의 일부가 상기 수용 구멍의 하단면에 근접하도록 배치된 간헐 회전하는 계수 디스크와,
    이 계수 디스크의 상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여 배설된 하나 또는 복수의 정제 정수 공급부와,
    상기 계수 구멍의 바닥벽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이 계수 구멍 내에 하측으로부터 진입하고, 이 계수 구멍 내에 수용된 편평 정제를 위쪽으로 밀어내는 정제 배출 핀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 정제 정수 공급부로부터 상기 계수 디스크의 계수 구멍에 소정 개수의 편평 정제를 누운 상태에서 투입하여, 이 계수 구멍 내에 소정 개수의 편평 정제가 누운 상태에서 적중된 편평 정제군을 형성하고, 이것을 계수 디스크의 간헐 회전에 의해 상기 수용 구멍의 바로 아래로 반송하고, 상기 정제 배출 핀을 계수 구멍 내에 진입시켜 상기 편평 정제군을 계수 구멍으로부터 위쪽으로 밀어냄과 아울러 상기 수용 구멍으로 아래로부터 송입하여, 소정 개수의 편평 정제를 누운 상태에서 적중한 편평 정제군의 상태에서 상기 수용 구멍에 공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로의 정제 충전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 구멍으로부터 수용 구멍으로 편평 정제군이 송입되는 정제 공급 위치에서, 상기 수용 구멍의 바로 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수용 구멍에 상측으로부터 진입하고, 상기 계수 구멍으로부터 이 수용 구멍에 송입되는 상기 편평 정제군의 최상위치의 정제에 당접하여, 이 편평 정제군을 위로부터 소정의 압력으로 누르고, 이 상태에서 상기 계수 구멍으로부터 상기 수용 구멍으로 송입되는 편평 정제군과 함께 상승하는 공급시 정제 누름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로의 정제 충전 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정제 정수 공급부로부터 상기 각 계수 구멍으로의 정제 공급 위치에 대응하여 배설되고, 상기 계수 구멍 바닥벽의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하측으로부터 이 계수 구멍 내에 진입하여, 상기 정제 정수 공급부로부터 각 계수 구멍에 투입되는 편평 정제를 지지하는 상하 이동 가능한 정제 유지 핀을 구비하고, 각 정제 정수부터 계수 구멍에 투입되는 편평 정제를, 이 정제 유지 핀 또는 이 정제 유지 핀으로 지지된 선행 정제에 의해 계수 구멍의 상단 부분에서 받아들이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로의 정제 충전 장치.
KR1020087027578A 2006-05-16 2007-05-08 캡슐 바디로의 정제 충전 방법 및 이 충전 방법을 사용한 캡슐로의 정제 충전 장치 KR1010576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36819 2006-05-16
JP2006136819A JP4947271B2 (ja) 2006-05-16 2006-05-16 カプセルボディへの錠剤充填方法及び該充填方法を用いたカプセルへの錠剤充填装置
PCT/JP2007/059497 WO2007132697A1 (ja) 2006-05-16 2007-05-08 カプセルボディへの錠剤充填方法及び該充填方法を用いたカプセルへの錠剤充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784A true KR20090013784A (ko) 2009-02-05
KR101057642B1 KR101057642B1 (ko) 2011-08-18

Family

ID=38693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7578A KR101057642B1 (ko) 2006-05-16 2007-05-08 캡슐 바디로의 정제 충전 방법 및 이 충전 방법을 사용한 캡슐로의 정제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15777B2 (ko)
EP (1) EP2019040B1 (ko)
JP (1) JP4947271B2 (ko)
KR (1) KR101057642B1 (ko)
CN (1) CN101443239B (ko)
WO (1) WO200713269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055B1 (ko) * 2012-11-16 2014-01-06 주식회사 흥아기연 블리스터 포장용 시프트 피더
KR101358001B1 (ko) * 2013-11-01 2014-02-11 주식회사 보창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
KR102068298B1 (ko) * 2019-10-07 2020-01-20 김진기 정제용 계수 투입장치
KR102462140B1 (ko) * 2021-10-12 2022-11-03 (주)알피바이오 분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형캡슐이 충진된 경질캡슐 제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10326B1 (de) * 2008-04-16 2012-06-20 UHLMANN PAC-SYSTEME GmbH & Co. KG Zuführeinrichtung
EP2199209B1 (de) * 2008-12-22 2011-06-15 Uhlmann Pac-Systeme GmbH & Co. KG Vorrichtung zum Abfüllen pharmazeutischer Produkte in Verpackungsbehälter
US20110113727A1 (en) * 2009-11-18 2011-05-19 Bonner Kevin B Custom Prepackaging Method and Apparatus
IT1397609B1 (it) * 2009-12-22 2013-01-18 Mg 2 Srl Macchina rotativa intermittente per il riempimento di capsule con prodotti farmaceutici.
US8499534B2 (en) * 2010-06-23 2013-08-06 Patheon Inc. Method and system for loading tablets into containers
CA2803534A1 (en) * 2010-08-09 2012-02-16 Kremer's Urban Llc Minitab feeder
ITBO20110500A1 (it) * 2011-08-24 2013-02-25 I M A Ind Macchine Automatiche S P A Dispositivo e metodo per riempire capsule
US10427810B2 (en) * 2012-06-01 2019-10-01 Rxsafe Llc Pharmacy packaging system
US10427809B2 (en) 2012-06-01 2019-10-01 Rxsafe Llc Pharmacy packaging system
ITMI20121538A1 (it) * 2012-09-17 2014-03-18 Esi S P A Macchina opercolatrice
KR101421679B1 (ko) * 2012-10-30 2014-07-24 안명구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CN103662136B (zh) * 2013-12-06 2015-10-21 锦州理想包装机械有限公司 四面封软包装袋胶囊填充上料装置
CN103720591B (zh) * 2013-12-30 2015-05-20 翰林航宇(天津)实业有限公司 一种药片顶出装置
CN104309841B (zh) * 2014-09-24 2017-10-24 蒙城丽倩家具有限公司 一种全自动的上料装置及其方法
ITUB20152179A1 (it) * 2015-07-14 2017-01-14 Mg 2 Srl Gruppo di alimentazione per il dosaggio di compresse in capsule
JP6742223B2 (ja) * 2016-11-18 2020-08-19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搬送装置および印刷装置
KR102642847B1 (ko) * 2017-07-10 2024-03-04 젤 캡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이중 방출 투여형 캡슐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IT201700098820A1 (it) * 2017-09-04 2019-03-04 Gd Spa Macchina confezionatrice per la produzione di cartucce monouso per sigarette elettroniche
IT201700098827A1 (it) * 2017-09-04 2019-03-04 Gd Spa Macchina confezionatrice per la produzione di cartucce monouso per sigarette elettroniche
IT201700098791A1 (it) * 2017-09-04 2019-03-04 Gd Spa Macchina confezionatrice per la produzione di cartucce monouso per sigarette elettroniche
AU2018347638B2 (en) 2017-10-13 2024-02-01 Rxsafe Llc Universal feed mechanism for automatic packager
KR102026982B1 (ko) * 2018-02-02 2019-09-30 주식회사 씨티씨바이오 캡슐 충진 장치
CN109292115A (zh) * 2018-11-15 2019-02-01 昆山科瑞森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颗粒状物体连续罐装的设备
AU2020229782A1 (en) * 2019-02-26 2021-09-16 Mar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rking tablet-shaped articles
KR102132562B1 (ko) * 2019-07-26 2020-07-09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
CN110419768B (zh) * 2019-08-29 2024-02-13 安徽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改进的颗粒连续灌装设备
US20210137791A1 (en) * 2019-11-11 2021-05-13 Joey R. Gonzales Capsule filler
CN113044599A (zh) * 2019-12-26 2021-06-29 辽宁天亿机械有限公司 一种自动充填装置
CN112190480A (zh) * 2020-10-23 2021-01-08 星德科包装技术(杭州)有限公司 胶囊填充机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7016A (en) * 1964-09-24 1967-10-17 Transitoke Inc Apparatus for filling transit token packages or the like
US3641735A (en) * 1970-01-20 1972-02-15 Jones & Co Inc R A Bag packer with horizontal transfer
CA1259966A (en) * 1985-02-27 1989-09-26 Taizo Yamamoto Capsule filling apparatus
DE3541672A1 (de) * 1985-11-26 1987-05-27 Uhlmann Maschf Josef Vorrichtung an verpackungsmaschinen zum geordneten zufuehren und ablegen zu verpackender kleinteile, wie tabletten, kapseln, dragees oder dergl.
US5081822A (en) * 1990-02-01 1992-01-21 Warner-Lambert Company Automatic caplet filler
JP2544052B2 (ja) * 1991-12-18 1996-10-16 日本エランコ株式会社 硬質ゼラチンカプセルへの錠剤充填装置
US5279096A (en) * 1992-01-21 1994-01-18 Machine Builders And Design Inc. Automatic article placer and packer
JPH0834401A (ja) * 1994-07-21 1996-02-06 Kansai Kouso Kk 被包装物供給機構
US5682733A (en) * 1996-05-09 1997-11-04 Perrone; Aldo Apparatus for enrobing tablets
EP1008521A3 (de) * 1998-12-09 2003-09-03 SIG Pack Systems AG Vorrichtung zum Zuführen von Gruppen flachseitig aneinanderliegender, Scheibenförmiger Produkte, insbesondere Biskuits, in Verpackungsbehält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055B1 (ko) * 2012-11-16 2014-01-06 주식회사 흥아기연 블리스터 포장용 시프트 피더
KR101358001B1 (ko) * 2013-11-01 2014-02-11 주식회사 보창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
KR102068298B1 (ko) * 2019-10-07 2020-01-20 김진기 정제용 계수 투입장치
KR102462140B1 (ko) * 2021-10-12 2022-11-03 (주)알피바이오 분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형캡슐이 충진된 경질캡슐 제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7642B1 (ko) 2011-08-18
CN101443239A (zh) 2009-05-27
EP2019040B1 (en) 2013-07-17
EP2019040A1 (en) 2009-01-28
US8015777B2 (en) 2011-09-13
JP4947271B2 (ja) 2012-06-06
WO2007132697A1 (ja) 2007-11-22
US20090241482A1 (en) 2009-10-01
CN101443239B (zh) 2011-04-20
JP2007308145A (ja) 2007-11-29
EP2019040A4 (en)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7642B1 (ko) 캡슐 바디로의 정제 충전 방법 및 이 충전 방법을 사용한 캡슐로의 정제 충전 장치
TWI623312B (zh) 藥劑饋送器
JP5837296B2 (ja) カプセルに薬品を充填するための間欠式回転機械
US10173830B2 (en) Medication dispensing container
KR100910395B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WO2018001307A1 (zh) 瓶装药剂自动发药装置
KR20110073369A (ko) 캡슐을 약품으로 충진시키기 위한 단속식 회전 기계
KR101261265B1 (ko) 약제 배출장치 및 배출방법, 그리고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20100059644A (ko)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0828586B1 (ko) 약제공급장치
US2023016981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solid articles
KR200459198Y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JPH0318509A (ja) 小物部品の供給機
KR100415736B1 (ko) 약제분배기및약제분배방법
JP2007039118A (ja) カプセルへの錠剤充填装置
JPH01232962A (ja) カプセル充填機
KR20120082547A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이용한 약제 배출방법
KR101716620B1 (ko) 처방약 자동 포장 인출 장치
CN205873061U (zh) 针对瓶装药剂的隔板式传送带发药机构
KR0122097B1 (ko) 약제포장용 정량공급장치
KR200454178Y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KR100955946B1 (ko) 약제포장기의 이송장치
CN213251307U (zh) 胶囊套管装置
KR101980276B1 (ko) 작은 입자 약제 포장 장치
KR20240063076A (ko) 캡슐 충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