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140B1 - 분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형캡슐이 충진된 경질캡슐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형캡슐이 충진된 경질캡슐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140B1
KR102462140B1 KR1020210135209A KR20210135209A KR102462140B1 KR 102462140 B1 KR102462140 B1 KR 102462140B1 KR 1020210135209 A KR1020210135209 A KR 1020210135209A KR 20210135209 A KR20210135209 A KR 20210135209A KR 102462140 B1 KR102462140 B1 KR 102462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lock
opening
input block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5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문형
노광태
김남기
Original Assignee
(주)알피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피바이오 filed Critical (주)알피바이오
Priority to KR1020210135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1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 A61J3/071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into the form of telescopically engaged two-piece capsules
    • A61J3/074Filling capsules; Related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 A61J3/071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into the form of telescopically engaged two-piece capsules
    • A61J3/072Sealing capsules, e.g. rendering them tamper-p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08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vibratory feeders
    • Y10S514/96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3/00Package making
    • Y10S53/90Capsu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분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배 장치는 복수의 단위체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단위체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투입 블록;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복수의 단위체를 분배하는 분배 블록; 및 상기 분배 블록에서 분배된 복수의 단위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분배 블록은, 상기 투입구와 연통된 제 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투입 블록의 하부에 배치되는 블록 형상의 제 2 부재; 및 상기 투입 블록과 상기 제 2 부재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투입구와 상기 제 1 관통홀을 연통시킬 수 있는 제 1 개구가 형성되는 제 1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부재가 상기 제 1 개구의 중심축과 나란한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투입구와 상기 제 1 관통홀이 연통되어 상기 복수의 단위체가 분배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분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형캡슐이 충진된 경질캡슐 제조 시스템{Dispensing device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hard capsules filled with small capsule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분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형캡슐이 충진된 경질캡슐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구 형상의 알갱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위체를 분배할 수 있는 분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경질캡슐에 충진되는 소형캡슐을 분배하는 소형캡슐이 충진된 경질캡슐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분배 장치는 복수의 단위체를 소분하여 최종적인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제약 산업의 경우 약제를 소분하여 포장한 캡슐 형태의 의약품을 제공함으로써, 약제의 휴대 및 보관의 편의성을 제공해 왔다. 이러한 캡슐의 제조를 위하여 분배 장치를 포함하는 캡슐 충진 장치가 이용되어 왔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캡슐 충진 장치는 캡슐을 저장 및 공급하는 캡슐 공급 장치, 캡슐 공급 장치에 의하여 공급되는 캡슐에 약제를 분배하는 분배 장치 및 약제 분배 장치에 의하여 분배된 약제를 캡슐에 투입하고 캡슐을 결합하는 포장 장치로 이루어져 왔다.
이때, 분배 장치는 일정한 양의 약제를 캡슐에 정확하게 분배하는 장치로서, 제조되는 캡슐의 신뢰성 및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왔다. 이에, 본 발명은 분배 장치를 개량한 것으로, 먼저 종래의 분배 장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분배 장치는 약제를 투입하는 투입 블록, 상기 투입 블록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 부재에서 투입된 약제가 일정한 양만큼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수용홀이 형성된 베이스 블록 및 상기 투입 블록과 상기 베이스 블록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홀과 상기 투입 블록을 연통시킬 수 있는 개폐홀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왔다.
이와 같은 종래의 분배 장치는, 상기 투입 블록에서 투입되는 약제가 상기 개폐홀을 통해 상기 수용홀에 일정한 양만큼 수용된 후,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수용홀의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용홀을 막음으로써, 약제를 상기 수용홀에 일정한 양으로 분배하여 왔다. 그 후, 일정한 양으로 분배된 약제는 캡슐에 투입 및 포장되어 최종 제품으로 제조되어 왔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분배 장치는, 약제가 상기 수용홀 및 개폐홀에 채워진 후 상기 플레이트가 이동하여 상기 수용홀을 폐쇄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용홀의 내주면과 상기 개폐홀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된 약제가 상기 수용홀의 내주면과 상기 개폐홀의 내주면에 의하여 반대 방향의 힘을 받아 파괴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약제의 손상은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제품의 신뢰성 및 품질을 악화시키고 최종 제품을 폐기하는 원인이 되어, 제조 비용의 증가 및 자원의 낭비를 초래해 왔다. 따라서, 약제와 같은 복수의 단위체를 분배하는 과정에서 분배되는 단위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분배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복수의 단위체를 일정한 양으로 분배할 수 있는 분배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복수의 단위체를 분배하는 과정에서 분배되는 단위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분배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단위체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단위체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투입 블록;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복수의 단위체를 분배하는 분배 블록; 및 상기 분배 블록에서 분배된 복수의 단위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분배 블록은, 상기 투입구와 연통된 제 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투입 블록의 하부에 배치되는 블록 형상의 제 2 부재; 및 상기 투입 블록과 상기 제 2 부재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투입구와 상기 제 1 관통홀을 연통시킬 수 있는 제 1 개구가 형성되는 제 1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부재가 상기 제 1 관통홀의 중심축과 나란한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투입구와 상기 제 1 관통홀이 연통되어 상기 복수의 단위체가 분배되도록 형성되는, 분배 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제 1 개구가 제 1 관통홀의 입구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 위치; 및 상기 제 1 개구와 상기 제 1 관통홀이 어긋나고, 상기 제 1 위치보다 상기 투입 블록에 더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 2 위치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 1 부재는 탄성을 가지며 휘어질 수 있는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제 2 방향의 일단부가 상기 투입 블록 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 1 절곡부; 및 상기 제 2 방향의 타단부가 상기 제 2 부재 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 2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재의 이동은, 상기 제 1 절곡부와 상기 투입 블록 또는 상기 제 2 절곡부와 상기 제 2 부재가 접함에 따라 가이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부재의 상기 제 1 절곡부에 인접한 부분을 상기 투입 블록 측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압 부재; 및 상기 제 1 부재의 상기 제 2 절곡부에 인접한 부분을 상기 제 2 부재 측으로 가압하는 제 2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가압 부재는 상기 제 2 부재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가압 부재는 상기 제 2 부재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입 블록의 높이 방향 일측에는 상기 제 2 방향에 수직한 평면이 형성되고, 상기 평면에는, 상기 제 1 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1 부재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배 블록은, 상기 제 1 관통홀의 출구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관통홀과 연통될 수 있는 제 2 개구가 형성되는 제 3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부재가 제 1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복수의 단위체를 분배할 수 있다.
이때, 제 1 부재는,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의 제 1 방향 거리(L2)가 상기 단위체의 직경(d3)과 같은 길이일 때에는, 상기 제 1 개구의 내주면과 상기 제 1 관통홀의 내주면 사이의 제 2 방향 거리(L1)가 상기 단위체의 직경(d3)보다 크거나 같은 제 3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부재는, 상기 제 2 개구와 상기 제 1 관통홀이 어긋나게 배치되는 제 4 위치; 및 상기 제 2 개구와 상기 제 1 관통홀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5 위치를 왕복 이동하고, 상기 제 1 부재가 상기 제 1 위치일 때에는, 상기 제 3 부재가 상기 제 4 위치이고, 상기 제 1 부재가 상기 제 2 위치일 때에는, 상기 제 3 부재가 상기 제 5 위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부재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 3 부재는 상기 제 4 위치에서 상기 제 5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 1 부재가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 3 부재는 상기 제 5 위치에서 상기 제 4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3 부재가 일체로서 제 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3 부재를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부재는, 상기 제 2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부재와 나란한 평판 형상인 제 3 부재 몸체; 및 상기 평판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재는, 상기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어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를 포함하여,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몸체와 제 2 몸체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 1 관통홀은 상기 제 1 몸체에 형성되는 제 1 관통홈과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 의하여 둘러싸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봉형의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몸체부를 포함하여, 상기 결합부의 타단은 상기 제 2 부재에 형성되는 제 1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 2 결합홀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 1 결합부보다 더 큰 직경을 갖고, 상기 제 1 부재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부재 몸체와 상기 투입구는 소정의 거리(h)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거리(h)는 상기 단위체의 직경(d3)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개구는 복수개이고, 상기 제 1 관통홀은 상기 복수의 제 1 개구에 대응하여 복수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투입 블록, 상기 제 1 부재, 상기 제 2 부재 및 상기 배출 블록은 중력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순서대로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가압 부재 및 상기 제 2 가압 부재는 볼 플런저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배 장치를 통과하는 상기 복수의 단위체에 진동을 가할 수 있는 바이브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상기 투입 블록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부재를 상기 투입 블록 측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압 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는, 상기 제 2 개구에 대응되고, 내측으로 라운드진 곡면을 포함하는 제 2 관통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분배 장치; 내부 공간을 구비한 경질캡슐을 저장 및 공급하는 경질캡슐 공급 장치; 및 상기 경질캡슐을 결합하는 포장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체는 소형캡슐이고,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상기 복수의 소형캡슐은 상기 분배 블록에 의하여 분배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된 후, 상기 배출구 측에 배치된 상기 경질캡슐의 내부 공간에 충진되도록 형성되는, 소형캡슐이 충진된 경질캡슐 제조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투입 블록의 투입구와 제 2 부재의 제 1 관통홀을 제 1 부재의 제 1 개구를 통하여 연통시켜 제 1 관통홀의 내부에 일정한 양의 단위체를 수용하고, 제 1 부재가 이동하여 제 1 관통홀을 막은 후, 제 1 관통홀과 배출 블록의 배출구를 제 3 부재의 제 2 개구를 통하여 연통시켜 일정한 양의 단위체를 분배 장치의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복수의 단위체를 일정한 양으로 분배할 수 있다.
또한, 투입 블록으로부터 투입된 복수의 단위체가 제 1 개구를 통하여 제 1 관통홀에 수용된 후 제 1 개구가 형성된 제 1 부재가 이동하여 제 1 관통홀을 막는 과정에서, 제 1 부재가 제 1 관통홀의 중심축과 나란한 제 1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 개구의 내주면과 제 1 관통홀의 내주면 사이에 단위체가 끼워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분배되는 단위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를 각각 서로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바이브레이터는 도시되지 않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의 제 2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의 제 1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의 제 3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의 제 1 부재와 제 3 부재가 결합 부재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Ⅰ-Ⅰ’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Ⅱ-Ⅱ’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제 1 부재는 제 1 위치에 위치하고, 제 3 부재는 제 4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의 분배 장치를 도 1의 Ⅰ-Ⅰ’ 절단선에 따른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 1 부재가 제 3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의 분배 장치를 도 1의 Ⅰ-Ⅰ’ 절단선에 따른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 1 부재는 제 2 위치에 위치하고, 제 3 부재는 제 5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의 분배 장치를 도 1의 Ⅰ-Ⅰ’ 절단선에 따른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B’ 부분의 확대도로서, 제 1 부재가 제 1 관통홀의 상측을 닫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도면 상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정하여진 상대적인 용어들로서 배향에 따라 위치 관계는 반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를 통하여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는 복수의 단위체, 예를 들어 수 mm ~ 수 cm의 직경을 가지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단위체를 일정한 양만큼 분배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때, 분배 장치가 분배하는 단위체의 직경에 따라 분배 장치의 구성 요소의 크기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로서, 분배 장치는 약제를 캡슐에 충진하기 위한 캡슐 충진 장치의 일부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는 캡슐의 내부에 충진되는 약제를 분배하기 위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는 일정한 양의 단위체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제 1 관통홀의 내부로 제 1 개구를 통하여 유입된 복수의 단위체가 일정한 양만큼 수용된 후, 제 1 부재가 제 1 개구를 이동시켜 제 1 관통홀을 닫는 과정에서, 제 1 부재가 제 1 관통홀의 중심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 1 개구의 내주면과 제 1 관통홀의 내주면 사이(이하, ‘파손 위험 위치’라 한다)에 배치된 단위체가 제 1 개구의 내주면과 제 1 관통홀의 내주면에 의하여 대향하는 힘을 받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분배 장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를 각각 서로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바이브레이터는 도시되지 않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의 제 2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의 제 1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의 제 3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의 제 1 부재와 제 3 부재가 결합 부재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위체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 장치(1)는 투입 블록(10), 분배 블록(20), 배출 블록(60), 액츄에이터(70) 및 바이브레이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분배 블록(20)은 제 1 부재(30), 제 2 부재(40) 및 제 3 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 블록(10), 분배 블록(20) 및 배출 블록(60)은 중력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순서대로 적층될 수 있다. 이때, 분배 블록(20)의 제 1 부재(30), 제 2 부재(40) 및 제 3 부재(50)는 중력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순서대로 적층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상하 방향은 중력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입 블록(10)의 투입구(11)로 투입되거나 투입구(11)에 수용된 복수의 단위체는 중력에 의하여 투입 블록(10)의 하측에 위치하는 분배 블록(20)으로 유입되어 일정한 양으로 분배될 수 있다. 그 후, 분배 블록(20)에서 분배된 복수의 단위체는 분배 블록(20)의 하측에 위치하는 배출 블록(60)을 통하여 분배 장치(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투입 블록(10), 제 2 부재(40) 및 배출 블록(60)은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운동할 수 없도록 고정되기 위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투입 블록(10)과 제 2 부재(4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부재(30)는 투입 블록(10), 제 2 부재(40) 및 배출 블록(6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제 2 부재(40)와 배출 블록(60)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부재(50)는 투입 블록(10), 제 2 부재(40) 및 배출 블록(6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단위체가 투입 블록(10), 분배 블록(20) 및 배출 블록(60)을 통과하도록 하는 구동력은 중력일 수 있다. 그러나, 구동력은 중력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동력은 자기력 또는 분배 장치(1)의 외부에서 인가되는 압력일 수 있다. 이때, 투입 블록(10), 분배 블록(20) 및 배출 블록(60)은 구동력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순서대로 적층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투입 블록(10)은 육면체의 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투입 블록(10)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투입구(11)가 형성될 수 있다. 투입구(11)는 분배되기 위한 복수의 단위체가 투입되거나 저장될 수 있는 충분히 큰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투입 블록(10)의 하측에는 제 2 부재(4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부재(40)는 분배 블록(20)에 결합되어 분배 블록(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운동할 수 없도록 고정될 수 있다.
제 2 부재(40)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육면체 형상을 갖는 제 1 몸체(42) 및 제 2 몸체(4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몸체(42)와 제 2 몸체(44)는 제 1 몸체(42)의 일면과 제 2 몸체(44)의 일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소정의 간격(d1)을 두어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후술하는 제 3 부재(50)의 돌출부(54)는 제 1 몸체(42)와 제 2 몸체(44)의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상호 대향하는 제 1 몸체(42)의 일면과 제 2 몸체(44)의 일면에는 제 1 관통홈(43)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관통홈(43)은 제 3 부재(50)의 돌출부(54)의 일면과 제 1 관통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 1 관통홀은 제 1 관통홈(43)의 내면과 돌출부(54)의 측면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단위체가 중력에 의하여 제 1 관통홀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제 1 관통홀의 중심축(C2)은 중력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 1 관통홀의 중심축(C2)과 나란한 방향을 제 1 방향이라 규정한다.
제 1 관통홈(43)은 제 1 몸체(42)와 제 2 몸체(44)의 상면 및 하면을 통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관통홈(43)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 2 부재(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부재(40)의 하면에는 후술하는 제 3 부재 플레이트(52)가 삽입될 수 있는 제 3 부재 홈(47)이 형성될 수 있다. 제 3 부재 홈(47)은 제 3 부재(50)가 제 2 부재(4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 2 부재(40)의 길이 방향으로 양 측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2 부재(40)는 반드시 제 1 몸체(42) 및 제 2 몸체(44)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2 부재(40)는 하나의 단일한 몸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관통홀은 반드시 제 2 부재(40)의 제 1 관통홈(43)과 제 3 부재(50)의 돌출부(54)의 일면에 의하여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1 관통홀은 제 2 부재(40)를 관통하도록 제 2 부재(40)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부재(30)는 투입 블록(10)과 제 2 부재(4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부재(3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방향에 수직하는 제 1 부재(30)의 길이 방향을 제 2 방향으로 규정한다.
제 1 부재(30)의 폭 방향 중심선 상에는 제 1 결합홀(35)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개구(31)는 제 1 부재(30)를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개구(31)의 중심축(C1)의 방향은 제 1 관통홀의 중심축(C2)의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개구(31)는 제 2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되어 하나의 열을 이루며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개구(31)는 제 1 관통홀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개구(31)는 폭 방향 중심선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복수의 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부재(30)의 제 2 방향의 일단부는 투입 블록(10) 측으로 소정의 각도(θa)를 갖도록 절곡되는 제 1 절곡부(33a)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 부재(30)의 제 2 방향의 타단부는 제 2 부재(40) 측으로 소정의 각도(θb)를 갖도록 절곡되어 제 2 절곡부(33b)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부재(30)의 양 단부 중 제 2 부재(40)의 연결부(56)와 더 인접한 제 1 부재(30)의 단부가 절곡되어 제 1 절곡부(33a)를 형성한다.
도 2,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 3 부재(50)는 제 2 부재(4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 3 부재(50)는 제 3 부재 플레이트(52), 돌출부(54) 및 연결부(5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부재 플레이트(52)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 3 부재 플레이트(52)는 제 2 부재(40)의 제 3 부재 홈(47)에 삽입되어, 제 2 부재(4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3 부재 플레이트(52)의 상면에는 제 3 부재 플레이트(52)의 폭방향 중심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5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54)는 소정의 두께(t2)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54)는 제 2 부재(40)의 제 1 몸체(42)와 제 2 몸체(44)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부(54)의 두께(t2)는 제 1 몸체(42)와 제 2 몸체(44) 사이의 간격(d1)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돌출부(54)의 일 단부에는 제 3 부재(50)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7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부(5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액츄에이터(70)는 결합부(104)를 통하여 제 3 부재(50)에 제 2 방향과 나란한 힘을 인가함으로써, 제 3 부재(50)를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 3 부재 플레이트(52)에는 제 2 개구(51)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개구(51)는 제 1 개구(31)(또는, 제 1 관통홀)에 대응되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개구(51)는 제 2 방향을 따라 하나의 열을 이루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개구(51)는 제 3 부재 플레이트(52)의 폭 방향 중심선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돌출부(54)의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며, 제 2 개구(51)의 일 테두리부와 대응되는 곡면을 갖는 제 2 관통홈(54a)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54)의 상측 단부에는 제 1 부재(30)의 제 1 결합홀(35)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54)의 상측 단부에는 연결부(56)와 연결부(56)에 가장 인접한 제 2 개구(51) 사이에 제 1 가압 부재(8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가압 부재(80)는 제 1 부재(30)의 제 1 절곡부(33a)에 인접한 부분을 투입 블록(1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제 1 절곡부(33a)보다 제 1 부재(30)의 중심에 더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부재(30)의 제 2 절곡부(33b)에 인접한 부분을 상기 제 2 부재(40) 측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제 2 가압 부재(90)가 투입 블록(1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가압 부재(90)는 투입 블록(10)의 폭방향 중심선 상에 제 2 절곡부(33b)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가압 부재(80) 및 제 2 가압 부재(90)는 볼 플런저일 수 있다.
이때, 제 1 가압 부재(80) 및 제 2 가압 부재(90)는 제 1 부재(30)를 가압할 수 있으면, 형성되는 위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제 1 가압 부재(80)는 제 2 부재(4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압 부재(80) 및 제 2 가압 부재(90)는 제 1 부재(30)를 일측으로 미는 힘을 더 강하게 부여하기 위하여,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1)는 제 1 부재(30)와 제 3 부재(50)가 일체로서 제 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 1 부재(30)와 제 3 부재(50)를 결합하는 결합 부재(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3 부재(50) 또는 제 1 부재(3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하나의 액츄에이터만으로 제 1 부재(30)와 제 2 부재(40)를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1)에서, 액츄에이터(70)는 제 3 부재(50)의 연결부(56)와 결합되어, 제 1 부재(30) 및 제 2 부재(40)를 일체로서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결합 부재(100)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봉형의 결합부(104) 및 결합부(104)의 일 단부에 형성되고 결합부(104)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몸체부(102)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부(104)의 타단부는 제 1 부재(30)의 제 1 결합홀(35)을 관통하여 돌출부(54)의 제 2 결합홈(55)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 부재(100)로부터 제 1 부재(30)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 1 부재(30)와 제 3 부재(50)의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 부재(100)의 몸체부(102)는 제 1 결합홀(35)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부재(30)가 제 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몸체부(102)의 하면과 돌출부(54)의 상측 단부 사이에 소정의 간격(d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부재(30)는 d2의 길이만큼 제 1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Ⅰ-Ⅰ’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Ⅱ-Ⅱ’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1)에서, 배출 블록(60)은 육면체의 형상을 갖는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 블록(60)은 제 3 부재(5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투입 블록(10)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출구(6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출구(61)로부터 유입되는 복수의 단위체들이 배출구(61)를 통하여 분배 장치(1)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61)의 중심축(C4)은 제 1 관통홀의 중심축(C2)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투입 블록(10)의 상측에서 투입구(11)의 내부로 공급되는 복수의 단위체들은 분배 블록(20)의 상측으로 공급되어, 제 1 부재(30), 제 2 부재(40) 및 제 3 부재(50)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하여 일정한 양으로 분배될 수 있다. 그 후, 분배 블록(20)에 의하여 일정한 양으로 분배된 복수의 단위체들은 배출 블록(60)의 배출구(61)를 통하여 분배 장치(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 및 도 10을 참조하면, 투입 블록(10)의 하면에는 제 1 부재(30)가 삽입될 수 있는 제 1 부재(30)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부재(30) 삽입홈은 제 1 부재(30)가 제 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 2 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부재(30)가 제 1 부재(30) 삽입홈의 내부에서 제 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 1 부재(30) 삽입홈의 깊이(h)는 제 1 부재(30)의 두께(t1)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부재(30)가 제 1 방향으로 제 1 부재(30) 삽입홈의 깊이(h)의 거리만큼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몸체부(102)의 하면과 돌출부(54)의 상측 단부 사이의 간격(d2)은 제 1 부재 홈(13)의 깊이(h)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부재 홈(13)의 깊이에서 제 1 부재(30)의 두께(t1)를 뺀 값은 단위체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값은 단위체의 직경의 1/2과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부재 홈(13)을 통한 단위체들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에서, 복수의 단위체를 일정한 양으로 분배하는 제 1 부재 내지 제 3 부재의 상대적인 작동 및 복수의 단위체의 분배 과정에서 단위체의 손상이 방지되는 제 1 부재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제 1 부재는 제 1 위치에 위치하고, 제 3 부재는 제 4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의 분배 장치를 도 1의 Ⅰ-Ⅰ’ 절단선에 따른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 1 부재가 제 3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의 분배 장치를 도 1의 Ⅰ-Ⅰ’ 절단선에 따른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 1 부재는 제 2 위치에 위치하고, 제 3 부재는 제 5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의 분배 장치를 도 1의 Ⅰ-Ⅰ’ 절단선에 따른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B’ 부분의 확대도로서, 제 1 부재가 제 1 관통홀의 상측을 닫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1)에서, 제 1 부재(30)는 제 1 개구(31)가 제 1 관통홀(41)과 나란하게 위치(이하, ‘제 1 위치’라 한다)되도록 배치되고, 제 3 부재(50)는 제 2 개구(51)와 제 1 관통홀(41)이 어긋나게 위치(이하, ‘제 4 위치’라 한다)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단위체(2)는 분배 블록(20)의 투입구(11)로부터 배출되어 제 1 개구(31)를 통하여 제 1 관통홀(4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제 2 개구(51)는 제 1 관통홀(41)과 어긋나 있으므로, 복수의 단위체(2)는 제 1 관통홀(4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단위체(2)는 제 1 관통홀(41)의 내부 공간에 대응하는 일정한 양으로 제 1 관통홀(4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 1 부재(30)와 제 3 부재(50)는 일체로서 제 2 방향의 일측(도 12를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 1 부재(30)는 제 1 절곡부(33a)와 투입 블록(10)의 제 1 모서리부(15) 또는 제 2 절곡부(33b)와 제 2 부재(40)의 제 2 모서리부(45)가 접함에 따라 가이드 되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 1 절곡부(33a) 및 제 2 절곡부(33b)는 제 1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제 1 절곡부(33a) 또는 제 2 절곡부(33b)에 의해 제 1 부재(30)의 이동이 가이드되면, 제 1 부재(30)는 제 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개구(31)의 내주면과 제 1 관통홀(41)의 내주면 사이의 거리(L1)는 감소함에 따라, 제 1 부재(30)의 하면과 제 2 부재(40)의 상면 사이의 거리(L2)는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절곡부(33a)는 투입 블록(10)의 제 1 모서리부(15)에 의해 제 2 부재(40) 측으로 힘을 받을 수 있고, 제 2 절곡부(33b)는 제 2 부재(40)의 제 2 모서리부(45)에 의해 투입 블록(10) 측으로 힘을 받을 수 있다. 그와 동시에, 제 1 가압 부재(80) 및 제 2 가압 부재(90)는 각각 제 1 부재(30)의 제 1 절곡부(33a)에 인접한 부분을 투입 블록(10) 측으로 가압하고, 제 1 부재(30)의 제 2 절곡부(33b)에 인접한 부분을 제 2 부재(4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부재(30)의 이동 과정에서, 제 1 부재(30)는 힘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 1 부재(30)는 제 1 개구(31)와 제 1 관통홀(41)이 어긋나고, 제 1 위치보다 투입 블록(10)에 더 인접하게 위치(이하, ‘제 2 위치’라 한다)하도록 배치되고, 제 3 부재(50)는 제 2 개구(51)와 제 1 관통홀(41)이 나란하게 위치(이하, ‘제 5 위치’라 한다)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관통홀(41)의 상측은 제 1 부재(30)에 의하여 막힘으로써, 투입구(11)로부터 복수의 단위체(2)가 공급될 수 없다. 그러나, 제 1 관통홀(41)은 제 2 개구(51)를 통하여 배출구(61)와 연통될 수 있으므로, 일정한 양으로 제 1 관통홀(41)의 내부에 수용된 복수의 단위체(2)는 배출구(61)를 통하여 분배 장치(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1)에서, 분배 블록(20)은 제 1 부재(30)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함과 동시에 제 3 부재(50)는 제 4 위치에서 제 5 위치로 이동하고, 제 1 부재(30)가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이동함과 동시에 제 3 부재(50)는 제 5 위치에서 제 4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 및 상술한 과정을 역행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단위체(2)를 일정한 양으로 분배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1)는 분배 장치(1)의 내부를 통과하는 복수의 단위체에 진동을 가할 수 있는 바이브레이터(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단위체는 분배 장치(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단위체와 분배 장치(1) 사이 및 복수의 단위체 상호간에는 마찰력이 발생할 수 있다. 마찰력은 복수의 단위체들이 분배 장치(1)의 내부를 통과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단위체와 분배 장치(1) 사이 및 복수의 단위체 상호간에 정지 마찰력이 발생할 경우에는, 복수의 단위체가 분배 장치(1)를 통과하지 못하는 정체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바이브레이터(110)는 분배 장치(1)의 내부를 통과하는 복수의 단위체에 진동을 가하여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거나 감소시켜 정체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단위체는 분배 장치(1)의 내부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바이브레이터(110)는 복수의 단위체가 분배 장치(1)의 내부에서 연속적으로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분배 장치(1)의 내부에 수용되는 복수의 단위체의 총 중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정체 현상은 투입 블록(10) 내부에 수용되는 복수의 단위체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따라서, 바이브레이터(110)는 투입 블록(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복수의 단위체에 진동을 직접적으로 가하기 위하여, 투입 블록(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 1 부재가 파손 위험 위치에 위치하는 단위체의 손상을 방지하는 원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제 1 관통홀(41)에 수용된 복수의 단위체 중 최상측에 배치된 단위체(2a)(이하, ‘파손 위험 단위체’라 한다)는 일측이 제 1 관통홀(4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파손 위험 단위체(2a)는 일측이 제 1 관통홀(41)의 외측으로 단위체의 직경(d3)보다 작은 거리만큼 돌출되어 있는 단위체들을 의미할 수 있으며, 파손 위험 위치는 파손 위험 단위체(2a)가 배치된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제 1 부재(3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 1 관통홀(41)의 내주면과 제 1 개구(31)의 내주면 사이의 제 2 방향 거리(L1)는 감소하고, 제 1 부재(30)의 하면과 제 2 부재(40)의 상면 사이의 제 1 방향 거리(L2)는 증가하게 된다.
도 14의 (b)를 참조하면, L1이 단위체(2a)의 직경(d3)과 같은 크기를 가질 때에 L1이 단위체(2)의 직경(d3)보다 크거나 같다면, 파손 위험 단위체(2a)는 제 1 개구(31)의 내주면과 제 1 관통홀(41)의 내주면에 동시에 접할 수 없다(이하, 이와 같은 제 1 부재(30)의 위치를 ‘제 3 위치’라 한다). 따라서, 파손 위험 단위체(2a)는 제 1 개구(31)의 내주면과 제 1 관통홀(41)의 내주면에 의해 대향하는 방향의 힘을 동시에 받을 수 없다.
도 14의 (c)를 참조하면, L1이 단위체(2)의 직경(d3)보다 작은 크기를 갖게 되더라도, L2는 단위체(2a)의 직경(d3)보다 큰 크기를 갖게 되므로, 파손 위험 단위체(2a)는 여전히 제 1 개구(31)의 내주면과 제 1 관통홀(41)의 내주면에 동시에 접할 수 없어, 대향하는 힘을 동시에 받을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1)는 제 1 관통홀(41)의 내주면과 제 1 개구(31)의 내주면 사이(파손 위험 위치)에 배치된 파손 위험 단위체(2a)가 제 1 관통홀(41)의 내주면과 제 1 개구(31)의 내주면에 의하여 대향하는 힘을 받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 1 부재(30)는 탄성을 가지며 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부재(30)는 제 1 가압 부재(80) 및 제 2 가압 부재(90)에 의하여 제 1 방향과 나란한 대향하는 힘(fa,fb)을 받아 제 1 방향으로 다소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개구(31)의 내주면과 배출구(61)의 내주면 사이(즉, 파손 위험 위치)에 배치된 파손 위험 단위체(2a)가 제 1 개구(31)의 내주면과 배출구(61)의 내주면에 의하여 제 2 방향과 나란한 대향하는 힘을 받을 때, 파손 위험 단위체(2a)에는 제 1 부재(30)가 원형으로 복원되려 하는 복원 탄성력에 의한 힘이 제 1 방향으로 가해져 파손 위험 단위체를 제 1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손 위험 단위체(2a)는 제 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 손상되지 않은 채로 파손 위험 위치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이하에서, 제 1 부재(30) 및 제 3 부재(50)의 작동과 관련하여 제 1 개구(31), 제 1 관통홀(41) 및 제 2 개구(51)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 1 관통홀(41)은 제 1 개구(31)보다 작은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부재(30)가 제 1 위치에 위치할 경우, 복수의 단위체들은 제 1 개구(31)를 통하여 제 1 관통홀(41)에 보다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 1 관통홀(41)은 제 2 개구(51)보다 더 작은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3 부재(50)가 제 5 위치에 위치할 경우, 제 1 관통홀(41)에 수용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체들은 더 넓은 제 2 개구(51) 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특히, 다시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1)에서, 제 1 관통홀(41)은 제 2 부재(40)의 제 1 관통홈(43)과 제 3 부재(50)의 돌출부(54)의 측면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54)의 측면에는 제 2 개구(51)와 대응되어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제 2 관통홈(54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관통홈(54a)에는 내측으로 라운드진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관통홈(54a)의 곡면은 제 2 개구(51)의 일 테두리부와 대응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3 부재(50)가 제 4 위치에 위치할 경우에는 제 1 관통홈(43)과 돌출부(54)의 평평한 측면이 제 1 관통홀(41)을 형성하고, 제 3 부재(50)가 제 5 위치에 위치할 경우에는 제 1 관통홈(43)과 제 2 관통홈(54a)이 제 1 관통홀(41)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제 3 부재(50)가 제 4 위치에서 제 5 위치로 이동하면, 제 1 관통홀(41)은 제 2 관통홈(54a)에 의하여 측부에 더 넓은 공간을 갖도록 확장될 수 있다. 제 1 관통홀(41)에 수용된 복수의 단위체들은 제 2 관통홈(54a)에 의하여 확장된 공간으로 유동하며 제 2 개구(51)를 통해 더욱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는 소형캡슐이 충진된 경질캡슐 제조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형캡슐이 충진된 경질캡슐 제조 시스템은 분배 장치, 내부 공간을 구비한 경질캡슐을 저장 및 공급하는 경질캡슐 공급 장치 및 경질캡슐을 결합하는 포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분배 장치에 의하여 분배되는 복수의 단위체는 복수의 소형캡슐일 수 있으며, 분배된 복수의 소형캡슐은 경질캡슐의 내부에 충진될 수 있다. 이때, 소형캡슐은 심리스 캡슐을 의미할 수 있다.
경질캡슐의 내부에는 복수의 소형캡슐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경질캡슐은 경질캡슐의 내부 공간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경질캡슐 상부와 경질캡슐 하부로 분리될 수 있다.
다시 도 13을 참조하면, 경질캡슐 하부(120)는 경질캡슐 저장 및 공급장치에 의하여 배출 블록(6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분배 장치(1)에 의하여 분배된 복수의 단위체(2)는 배출 블록(60)의 배출구(61)를 통과하여 경질캡슐 하부(120)의 내부 공간(121)으로 투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위체(2)는 소형캡슐일 수 있다.
내부에 복수의 소형캡슐이 수용된 경질캡슐 하부는 포장 장치로 이동될 수 있다. 그 후, 포장 장치는 경질캡슐 상부와 경질캡슐 하부를 결합하여 경질캡슐의 내부 공간과 경질캡슐의 외부를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형캡슐이 충진된 경질캡슐이 제조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형캡슐이 충진된 경질캡슐 제조 시스템에 의하면, 투입 블록의 투입구와 제 2 부재의 제 1 관통홀을 제 1 부재의 제 1 개구를 통하여 연통시켜 제 1 관통홀의 내부에 일정한 양의 단위체를 수용하고, 제 1 부재가 이동하여 제 1 관통홀을 막은 후에, 제 1 관통홀과 배출 블록의 배출구를 제 3 부재의 제 2 개구를 통하여 연통시켜 일정한 양의 단위체를 분배 장치의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복수의 단위체를 일정한 양으로 분배할 수 있다.
또한, 투입 블록의 투입구로부터 제 1 개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복수의 단위체가 제 1 관통홀에 수용된 후, 투입구와 제 1 관통홀을 격리하기 위하여 제 1 부재가 제 1 관통홀을 막는 과정에서, 제 1 부재가 제 1 관통홀의 중심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 1 관통홀의 내주면과 제 1 개구의 내주면 사이(파손 위험 위치)에 배치된 단위체가 제 1 관통홀의 내주면과 제 1 개구의 내주면에 의하여 대향하는 힘을 받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위체의 손상을 막음으로써 분배 장치에 의하여 분배된 복수의 단위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최종 제품의 신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의 절감 및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분배 장치 2 단위체
10 투입 블록 11 투입구
13 제 1 부재홈 15 제 1 모서리부
20 분배 블록 30 제 1 부재
31 제 1 개구 33a 제 1 절곡부
33b 제 2 절곡부 35 제 1 결합홀
40 제 2 부재 41 제 1 관통홀
42 제 1 몸체 43 제 1 관통홈
44 제 2 몸체 45 제 2 모서리부
47 제 3 부재 홈 50 제 3 부재
51 제 2 개구 52 제 3 부재 플레이트
54 돌출부 54a 제 2 관통홈
55 제 2 결합홈 56 연결부
60 배출 블록 61 배출구
70 액츄에이터 80 제 1 가압 부재
90 제 2 가압 부재 100 결합 부재
102 몸체부 104 결합부
110 바이브레이터 120 경질캡슐 하부
121 내부 공간

Claims (23)

  1. 복수의 단위체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단위체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투입 블록;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복수의 단위체를 분배하는 분배 블록; 및
    상기 분배 블록에서 분배된 복수의 단위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분배 블록은,
    상기 투입구와 연통된 제 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투입 블록의 하부에 배치되는 블록 형상의 제 2 부재; 및
    상기 투입 블록과 상기 제 2 부재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투입구와 상기 제 1 관통홀을 연통시킬 수 있는 제 1 개구가 형성되는 제 1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부재가 상기 제 1 관통홀의 중심축과 나란한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투입구와 상기 제 1 관통홀이 연통되어 상기 복수의 단위체가 분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제 2 방향의 일단부가 상기 투입 블록 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 1 절곡부; 및 상기 제 2 방향의 타단부가 상기 제 2 부재 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 2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제 1 개구가 제 1 관통홀의 입구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 위치; 및 상기 제 1 개구와 상기 제 1 관통홀이 어긋나고, 상기 제 1 위치보다 상기 투입 블록에 더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 2 위치를 왕복 이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부재의 이동은 상기 제 1 절곡부와 상기 투입 블록 또는 상기 제 2 절곡부와 상기 제 2 부재가 접함에 따라 가이드되도록 형성되는, 분배 장치.
  2. 복수의 단위체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단위체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투입 블록;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복수의 단위체를 분배하는 분배 블록; 및
    상기 분배 블록에서 분배된 복수의 단위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분배 블록은,
    상기 투입구와 연통된 제 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투입 블록의 하부에 배치되는 블록 형상의 제 2 부재; 및
    상기 투입 블록과 상기 제 2 부재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투입구와 상기 제 1 관통홀을 연통시킬 수 있는 제 1 개구가 형성되는 제 1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부재가 상기 제 1 관통홀의 중심축과 나란한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투입구와 상기 제 1 관통홀이 연통되어 상기 복수의 단위체가 분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제 1 개구가 제 1 관통홀의 입구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 위치; 및 상기 제 1 개구와 상기 제 1 관통홀이 어긋나고, 상기 제 1 위치보다 상기 투입 블록에 더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 2 위치를 왕복 이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분배 블록은 상기 제 1 관통홀의 출구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관통홀과 연통될 수 있는 제 2 개구가 형성되는 제 3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부재가 제 1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복수의 단위체를 분배하도록 형성되는, 분배 장치.
  3. 제 1항 및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부재는 탄성을 가지며 휘어질 수 있는 판형 부재로 형성되는, 분배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의 상기 제 1 절곡부에 인접한 부분을 상기 투입 블록 측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압 부재; 및
    상기 제 1 부재의 상기 제 2 절곡부에 인접한 부분을 상기 제 2 부재 측으로 가압하는 제 2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하는, 분배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는 상기 제 2 부재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가압 부재는 상기 투입 블록의 하면에 형성되는, 분배 장치.
  7. 제 1항 및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블록의 높이 방향 하측에는 상기 제 1 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1 부재 홈이 형성되는, 분배 장치.
  8. 삭제
  9. 제 1항 및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부재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할 때,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의 제 1 방향 거리(L2)가 상기 단위체의 직경(d3)과 같은 크기일 때에는, 상기 제 1 개구의 내주면과 상기 제 1 관통홀의 내주면 사이의 제 2 방향 거리(L1)가 상기 단위체의 직경(d3)보다 크거나 같은 제 3 위치를 경유하는, 분배 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부재는,
    상기 제 2 개구와 상기 제 1 관통홀이 어긋나게 배치되는 제 4 위치; 및 상기 제 2 개구와 상기 제 1 관통홀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5 위치를 왕복 이동하고,
    상기 제 1 부재가 상기 제 1 위치일 때에는, 상기 제 3 부재가 상기 제 4 위치이고, 상기 제 1 부재가 상기 제 2 위치일 때에는, 상기 제 3 부재가 상기 제 5 위치인, 분배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 3 부재는 상기 제 4 위치에서 상기 제 5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 1 부재가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 3 부재는 상기 제 5 위치에서 상기 제 4 위치로 이동하는, 분배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3 부재가 일체로서 제 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3 부재를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분배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부재는,
    상기 제 2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부재와 나란한 평판 형상인 제 3 부재 몸체; 및 상기 평판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재는,
    상기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어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를 포함하여,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 1 관통홀은 상기 제 1 몸체에 형성되는 제 1 관통홈과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 의하여 둘러싸여 형성되는, 분배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봉형의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몸체부를 포함하여,
    상기 결합부의 타단은 상기 제 1 부재에 형성되는 제 1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 2 결합홈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 1 결합홀보다 더 큰 직경을 갖고,
    상기 제 1 부재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는, 분배 장치.
  15. 제 1항 및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와 상기 투입구는 소정의 거리(h)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거리(h)는 상기 단위체의 직경(d3)보다 크거나 같은, 분배 장치.
  16. 제 1항 및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구는 복수개이고,
    상기 제 1 관통홀은 상기 복수의 제 1 개구에 대응하여 복수개인, 분배 장치.
  17. 제 1항 및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블록, 상기 제 1 부재, 상기 제 2 부재 및 상기 배출 블록은 중력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순서대로 적층되는, 분배 장치.
  1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 및 상기 제 2 가압 부재는 볼 플런저인, 분배 장치.
  19. 제 1항 및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장치를 통과하는 상기 복수의 단위체에 진동을 가할 수 있는 바이브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분배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상기 투입 블록의 일측에 설치되는, 분배 장치.
  21.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를 상기 투입 블록 측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압 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분배 장치.
  22.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는,
    상기 제 2 개구에 대응되고, 내측으로 라운드진 곡면을 포함하는 제 2 관통홈이 형성되는, 분배 장치.
  23. 제 1항 및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분배 장치;
    내부 공간을 구비한 경질캡슐을 저장 및 공급하는 경질캡슐 공급 장치; 및
    상기 경질캡슐을 결합하는 포장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체는 소형캡슐이고,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상기 복수의 소형캡슐은 상기 분배 블록에 의하여 분배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된 후, 상기 배출구 측에 배치된 상기 경질캡슐의 내부 공간에 충진되도록 형성되는, 소형캡슐이 충진된 경질캡슐 제조 시스템.
KR1020210135209A 2021-10-12 2021-10-12 분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형캡슐이 충진된 경질캡슐 제조 시스템 KR102462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209A KR102462140B1 (ko) 2021-10-12 2021-10-12 분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형캡슐이 충진된 경질캡슐 제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209A KR102462140B1 (ko) 2021-10-12 2021-10-12 분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형캡슐이 충진된 경질캡슐 제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2140B1 true KR102462140B1 (ko) 2022-11-03

Family

ID=84041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5209A KR102462140B1 (ko) 2021-10-12 2021-10-12 분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형캡슐이 충진된 경질캡슐 제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14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3276A (ja) * 1996-05-07 1998-02-17 Willem Wassenaar 手動操作式カプセル充填装置
KR20090013784A (ko) * 2006-05-16 2009-02-05 쿠오리카프스 가부시키가이샤 캡슐 바디로의 정제 충전 방법 및 이 충전 방법을 사용한 캡슐로의 정제 충전 장치
US20130032246A1 (en) * 2011-08-04 2013-02-07 Raj Vikram Tahil Device for filling soluble containers with an improved assembly for orienting and filling capsules
JP6020919B2 (ja) * 2013-04-09 2016-11-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充放電装置
JP6062123B1 (ja) * 2015-04-20 2017-01-18 三菱電機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及び情報表示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3276A (ja) * 1996-05-07 1998-02-17 Willem Wassenaar 手動操作式カプセル充填装置
KR20090013784A (ko) * 2006-05-16 2009-02-05 쿠오리카프스 가부시키가이샤 캡슐 바디로의 정제 충전 방법 및 이 충전 방법을 사용한 캡슐로의 정제 충전 장치
US20130032246A1 (en) * 2011-08-04 2013-02-07 Raj Vikram Tahil Device for filling soluble containers with an improved assembly for orienting and filling capsules
JP6020919B2 (ja) * 2013-04-09 2016-11-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充放電装置
JP6062123B1 (ja) * 2015-04-20 2017-01-18 三菱電機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及び情報表示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163B1 (ko) 약제 포장 장치
US10232379B2 (en) Medicine preparation method and medicine preparation apparatus
KR101632886B1 (ko) 밀봉된 온-보드 시약을 갖는 미세유체 칩
KR102462140B1 (ko) 분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형캡슐이 충진된 경질캡슐 제조 시스템
JP2015527953A (ja) 固形ドーズフィーダーおよびそれを動作させる方法
US7866514B1 (en) Container and device for production of such container
US9315315B2 (en) Remainder reducing member
JP6506907B2 (ja) 液体取扱装置
US20150344291A1 (en) Dispensing device and group of such dispensing devices
KR20200141460A (ko) 부품 정렬 이송 장치
US20090163868A1 (en) Fluid Dispensing System
US6502374B1 (en) Device for arranging gelatine capsules for loading in blister packs
US20100092592A1 (en) Transfer board
JP2000168702A (ja) 薬剤分包機の錠剤分配器
US4784291A (en) Dispenser for small uniformly shaped articles
US10589052B1 (en) Metering valve for a metered dose inhaler
KR100757491B1 (ko) 금형 장치
JP7430098B2 (ja) 液滴流量計及び定量供給装置
US7647745B2 (en) Adjustable transmission channel for a medication dispensing apparatus
US20190031425A1 (en) Plunger Dispenser
JP5877290B1 (ja) 錠剤ケース
KR101564457B1 (ko) 가루약 분배기
JP6591942B2 (ja) 箱詰め装置
MXPA05009387A (es) Conector de alimentacion uniforme para dispositivos para el suministro de principios activos.
KR101509189B1 (ko) 물 캡슐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