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3006A - 드럼식 세탁기 - Google Patents

드럼식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3006A
KR20090013006A KR1020080025302A KR20080025302A KR20090013006A KR 20090013006 A KR20090013006 A KR 20090013006A KR 1020080025302 A KR1020080025302 A KR 1020080025302A KR 20080025302 A KR20080025302 A KR 20080025302A KR 20090013006 A KR20090013006 A KR 20090013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ion
water tank
tank
vibration
drum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5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4392B1 (ko
Inventor
다카시 니시무라
고지 히사노
히로키 무라세
히로시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90013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6Imbal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Imbalance; Noise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는 1방향으로의 가속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수조(2)에 발생하는 진동을 검지하는 가속도 센서(27a, 27b)를 구비하고 있고, 전방측의 가속도 센서(27a)는 중심축선(C)에 대한 방사 방향으로의 가속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고, 후방측의 가속도 센서(27b)는 상기 방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가속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도록 수조(2)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럼식 세탁기{DRUM TYP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수조 및 상기 수조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조로 이루어진 횡축 형상의 조(槽) 구조체를 구비하고, 회전조 내에 수용된 세탁물에 대한 세탁, 헹굼 및 탈수의 세탁 운전을 실시하는 드럼식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 종류의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전술한 회전조를 고속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조 내에 수용된 세탁물에 대한 탈수가 실시된다. 상기 탈수시, 회전조 내의 세탁물의 편중에 의한 편하중(偏荷重)(즉 불균형 상태)이 발생하면, 회전조의 회전에 따라 수조가 흔들리며 돌아가 진동,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수조의 진동을 검지하는 가속도 센서로 이루어진 진동 검지 장치와, 상기 진동 검지 장치의 출력에 따라서 탈수 회전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것이 개시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보 제3865791호이다.
상기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진동 검지 장치가 수조의 전방부와 후방부의 2부분에 동일한 방향의 진동을 검출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탈수시에 제어 장치에 의한 탈수 회전 제어가 실시되어 진동을 억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전술한 일본 특허공보 제3865791호의 진동 검지 장치에서는 수조의 진동(방향) 여하에 따라서는 이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가 고려된다. 즉, 수조의 전술한 편하중에 의한 진동은 기본적으로는 정지 상태의 수조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수조 전체의 변동 회전 진동이지만, 실제로는 세탁물은 회전조의 전후 방향으로 편중되므로, 예를 들어 회전조의 전방이, 후방보다 크게 변동 회전하는 소위 맷돌(bean pastegrinding) 운동(기울어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타원 운동)이 발생하여 상하 방향이나 좌우 방향(즉, 방사 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수조의 진동 방향은 편하중 등에 의해 변화되므로, 한 방향의 진동을 검출하는 상기의 진동 검지 장치에서는 진동을 검지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수조의 진동을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저렴한 구성의 드럼식 세탁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조 및 상기 수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조를 구비한 횡축 형상의 조 구조체를 구비하고, 전술한 회전조 내에 수용된 세탁물에 대한 세탁, 헹굼 및 탈수의 세탁 운전을 실시하는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 1방향으로의 가속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전술한 수조에 발 생하는 진동을 검지하는 가속도 검출 수단과, 상기 가속도 검출수단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전술한 가속도 검출 수단은 수조의 전방부와 후방부의 2군데에, 서로 다른 방향의 가속도를 검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수조의 전방부와 후방부에서 서로 다른 방향의 가속도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수조 전체가 흔들리는 경우의 진동이나 전술한 맷돌 운동 등 다른 진동 방향에 대응하는 가속도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보다 정확한 검출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가속도 검출 수단은 1방향으로의 가속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이고, 그 출력에 대한 처리도 극히 간단하게 끝낼 수 있어 저렴한 드럼식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드럼식 세탁 건조기에 적용한 제 1 실시예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종단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외곽을 형성하는 하우징(1)의 내부에는 수조(2)가 설치되고 또한 수조(2) 내에 회전조(드럼)(3)가 수납되어 있다. 수조(2) 및 회전조(3)는 동심의 원통 형상을 이루고, 본 발명의 조 구조체를 구성한다. 상기 조 구조체는 그 중심축선(C)을, 하우징(1)의 전후 방향을 향하게 한 횡축 형상으로 또한 수평에 대해 소정 각도 기울어진 전방으로 올라가는 경사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개략적인 종단 정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2)는 한쌍의 방진 댐퍼(4)에 의해 하우징(1)의 저부를 구성하는 대판(1a) 상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방진 댐퍼(4)는 실린더 내에 피스톤을 자유롭게 슬라이딩 설치한 마찰 댐퍼 기구(4a)와, 상기 댐퍼 기구(4a)의 동축선상에 설치한 스프링부재(4b)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한쌍의 방진 댐퍼(4)는 정면에서 보아 하측이 확대 개방되는 「ハ」자 형상이 되도록 연직에 대해 소정 각도(예를 들어 5도) 기울어져 있고, 수조(2) 하부의 좌우 양측에서 수조(2)의 진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2)는 그 상부에서 인장 스프링(5a, 5b)을 통하여 하우징(1)의 천판(1b) 및 후판(1c)에 보조적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수조(2)의 전단부에는 중앙에 개구(6a)를 갖는 환형상의 수조 커버(6)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하우징(1)의 전(前)면부에는 세탁물 출입용 개구(7)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개구(7)를 개폐하는 문(9)이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1)의 개구(7)와 수조 커버(6)의 개구(6a) 사이는 벨로즈(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수조(2)의 후단부의 중심 부분에는 회전조(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장치(10) 및 브러시리스 DC 모터로 이루어진 세탁기 모터(1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조(3)에는 다수의 소구멍(12)이 형성되어 있고, 후술한 바와 같이 수조(2) 내에 공급되는 물이나 온풍이, 상기 소구멍(12)을 통하여 회전조(3) 내에 유입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회전조(3)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배 플(baffle)(도시하지 않음)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 내의 상부에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제어에 필요한 제어 유닛(13)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 유닛(13)에, 후술하는 제어 장치(14)(제어 수단에 상당, 도 5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 내의 상부에는 급수 밸브(15) 및 급수 케이스(16)를 구비한 급수 장치(17)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급수 장치(17)는 수도꼭지에 접속되고 또한 수조(2) 내에 급수 호스를 통하여 급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조(2)의 후단측의 저부에는 배수구(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수구(18)에는 전동식의 배수 밸브(19)를 갖는 배수관(20)이 접속되어 있고, 배수 밸브(19)를 개방하면 수조(2) 내의 물이 기외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조 커버(6)에는 수조(2)의 내부 공간에 연통하는 온풍 배기부(6b)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수조(2)의 배면부에는 온풍 입구(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 내에는 온풍 순환로(21)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의 일단부는 온풍 배기구(6b) 하부에 연통되고, 도중부인 저부 부분(21a)은 하우징(1) 저부를 통과하고, 타단부는 온풍 입구(2a)에 연통되고 있다. 상기 온풍 순환로(21)는 도중 2부분에 벨로즈(21b, 21c)를 구비하고, 온풍 순환 경로(21)의 저부 부분(21a)과 수조92) 사이의 진동 전파를 적게 하고 있다. 상기 온풍 순환 경로(21)에는 내부 공기를 화살표 A방향으로 유통시키기 위한 송풍기(22)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의 대판(1a)에는 압축기(23)가 설치되고 또한 온풍 순환 경로(21)에 증발기(24)와 응축기(25)가 편성되어 있다. 이들 압축기(23), 증발기(24) 및 응축기(25)는 도시하지 않은 냉매 순환 파이프에 의해 각각 사이클 접속되어 있고, 히트 펌프(26)를 구성한다. 히트 펌프(26)는 압축기(23)가 작동함으로써, 사이클에 봉입된 냉매가 순환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조(2)에는 이에 발생하는 진동을 검지하기 위한 2개의 가속도 센서(가속도 검출수단)(27a, 27b)가 배치되어 있다. 가속도 센서(27a, 27b)는 각각 1방향으로의 가속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 가속도의 검출 방향(검출축(X), 도 3 참조)을 간단 명료하게 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3에서는 형상을 과장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가속도 센서(27a, 27b)는 추를 배치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휨 변형의 일그러짐을 저항값 변화에 의해 검출하는 피에조 저항을 구비하고 있고, 검출축(X) 방향의 가속도가 가해짐에 의한 저항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그 방향의 가속도의 크기를 검출한다. 이들 가속도 센서(27a, 27b)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 기판상에, 처리 회로(예를 들어 증폭 회로나 A/D 변환 처리 회로, 도시하지 않음)와 함께 각각 별도로 탑재되어 있다.
이들 프린트 기판상의 가속도 센서(27a, 27b)는 수조(2)의 외주부에서 하우징(1)의 구석 부분(도 2 중, 하우징(1) 상부의 우측)을 향하는 부위에, 상호 검출 방향이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가속도 센서(27a, 27b)는 수조(2)의 외주부에서 전술한 중심축선(C)과 직교하는 수평선(H)에 대하여 소정 각도 θ(예를 들어 45도) 상방의 위치에, 중심축선(C) 방향으로 나열하여 설치되어 있고, 전방의 가속도 센서(27a)의 검출축(X)이 중심축선(C)에 대한 방사 방향과 일치하고, 후방의 가속도 센서(27b)의 검출축(X)이 수조(2) 외주의 접선 방향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부착 고정되어 있다.
도 5는 세탁 건조기(1)의 전기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어 장치(14)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고, 드럼식 세탁 건조기(1)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제어 장치(14)에는 도시하지 않은 조작 패널의 키 스위치로부터의 각종 조작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입력부(28)나, 세탁기 모터(11)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회전 속도 검출부(29)가 접속되고 또한 상기 처리 회로를 통하여 가속도 센서(27a, 27b)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14)는 가속도 센서(27a, 27b)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 및 회전 속도 검출부(29)에 의해 검출된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수조(2)의 진폭량을 산출한다. 또한, 제어 장치(14)는 입력된 각종의 신호나 미리 기억한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세탁기 모터(11), 급수 밸브(15), 배수 밸브(19), 송풍기(22) 및 압축기(23)를 구동 회로(30)를 통하여 제어한다. 이 경우, 세탁기 모터(11)는 인버터에 의한 펄스폭 변조(PWM) 방식에 의해 회전 속도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조작 패널의 키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표준적인 운전 코스가 개시되면, 회전조(3) 내에 투입된 세탁물에 대한 세탁, 헹굼 및 탈수를 실시하는 세탁 운전과, 건조 운전이 실행된다. 세탁 운전의 세탁 및 헹굼에서는 수조(2) 내에 물을 저장한 상태에서 세탁 모터(11)에 의해 회전조(3)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수조(2) 내의 물이 배출된 후, 세탁 운전의 탈수가 실시된다. 상기 탈수에서는 세탁 모터(11)에 의해 회전조(3)를 고속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조(3) 내의 세탁물의 편중에 의한 편하중(즉 불균형 상태)이 발생하면, 수조(2)의 진동이 커진다. 상기 진동은 기본적으로는 정지 상태의 조 구조체의 중심축선(C)을 중심으로 하는 수조(2) 전체의 변동 회전 진동이다. 이 경우, 수조(2)의 상기 접선 방향의 가속도가 커지므로, 이들에 따라서 후방측의 가속도 센서(27b)의 출력이 변화된다.
한편, 세탁물이 회전조(3)의 전후 방향으로 편중되고, 예를 들어 회전조(3)의 전방이 후방보다 변동 회전도가 커져(소위 맷돌 운동이 발생하여) 상기 방사 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가 있고, 이에 따라서 전방측의 가속도 센서(27b)의 출력이 변화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와는 달리,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40)가 검출축(X)을 연직 방향(Dv)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수조(2)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수평 방향(Dh)의 진동을 가속도 센서(40)의 가속도로서 검출할 수 없다. 또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40)를 수조(2)의 전술한 45도의 위치에 설치해도, 검출축(X)이 연직 방향(Dv)과 일치하고 있는 경우, 역시 수평 방향(Dh)의 진동을 검출할 수 없다. 이에 대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의 가속도 센서(27b)는 전술한 45도의 위치에, 검출측(X)이 방사 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조(2)의 연직 방향(Dv)이나 수평 방향(Dh)의 진동을, 상기 방사 방향(검출축(X))으로의 가속도에 따른 신호로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후방측의 가속도 센서(27b)에 의해 상기 방사 방향과 직교하는 접선 방향의 가속도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양 가속도 센서(27a, 27b)는 수조(2) 전체의 가속도의 검출에 대해 상호 보완하는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가속도 센서(27a, 27b)의 출력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14)는 도 6의 플로우차트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어를 실행한다.
세탁 운전의 탈수가 되면 제어 장치(14)는 세탁 모터(11)를 기동시켜 회전조(3)의 회전을 개시하게 하고(단계(S1)), 밸런스 운전을 실시한다(단계(S2)). 상기 밸런스 운전은 세탁물이 회전조(3)의 내주에 균일하게 배치되도록 세탁 모터(11)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운전으로, 예를 들어 세탁물이 회전조(3)의 내주에 배치되기 전의 저속 회전 영역(예를 들어 50rpm~70rpm)에서, 세탁 모터(11)의 회전 속도를, 다른 영역보다도 완만해지도록 상승시킨다. 그 후, 제어 장치(14)는 세탁 모터(11)를 정상 회전 속도(예를 들어 1400rpm)까지 상승시킨다(단계(S3)).
상기 세탁 모터(11)의 회전 속도 상승 행정에서, 제어 장치(14)는 가속도 센서(27a, 27b)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 및 회전 속도 검출부(29)에 의해 검출된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단계(S4)), 수조(2)의 진폭량을 산출한다(단계(S5)). 상기 진폭량은 수조(2)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서의 상기 방사 방향 및 접선 방향으로의 각각의 변위량(㎜)이다. 그리고, 제어 장치(14)는 이들 진폭량이 미리 정해진 설정값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하고(단계(S6)), 어떤 진동량이 설정값 보다 크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S2)로 되돌아간다. 즉, 세탁물의 편중에 의한 불균형 상태가 발생하여 수조(2)의 진폭량이 통상의 진폭량(상기 설정값) 보다 큰 경우에는 세탁 모터(11)를 감속(또는 정지)시키고 나서 다시 밸런스 운전을 실시하고, 세탁물을 다시 풀어 불균형 상태의 시정을 도모하는 것이다.
제어 장치(14)는 상술한 불균형 상태의 시정을 소정 횟수(예를 들어 5회) 실 시해도, 그 불균형이 수정되지 않았던 경우(단계(S7)에서 「이상」)에는 , 에러 처리로서 예를 들어 상기 조작 패널의 표시부에 에러 표시시키고(단계(S8)), 또한 세탁 모터(11)를 정지시킴(단계(S9))으로써 탈수를 종료시킨다. 이 경우, 사용자가 세탁물을 다시 넣고 상기 조작 패널을 조작함으로써 탈수가 재개된다.
제어 장치(14)는 단계(S6)에서 어떤 진폭량도 설정값 보다 작다고 판정된 경우에도 세탁 모터(11)가 정상(定常) 회전 속도에 도달하지 않고(단계(S10)에서 「미도달」) 또한 세탁 모터(11)를 기동시키고 나서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을 때에는(단계(S11)에서 「미경과」), 단계(S4)로 되돌아간다.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해도(단계(S11)에서 「경과」) 세탁 모터(11)가 정상 회전 속도에 도달하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와 동일한 에러 처리(단계(S12))와 세탁 모터(11)의 정지(단계(S9)를 실시하고 탈수를 종료시킨다.
한편, 제어 장치(14)는 단계(S10)에서 회전 속도 검출부(29)의 출력에 기초하여 세탁 모터(11)가 정상 회전 속도에 도달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정상 회전 속도를 소정 시간 유지하고(단계(S13)), 이 후 정지시킨다(단계(S9)). 이에 의해 탈수가 종료된다.
세탁 운전의 탈수후에는 압축기(23)와 송풍기(22)를 작동시키고 수조(2) 내(및 회전조(3) 내)에 온풍을 공급하고, 또한 세탁 모터(11)에 의해 회전조(3)를 회전시킴으로써 건조 운전이 실시된다. 상기 건조 운전에 대해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지만, 히트 펌프 유닛(26)의 증발기(24)에 의해 수조(2) 내의 공기를 냉각 제습하고, 또한 응축기(25)에 의해 온풍화하므로, 에너지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세탁 물의 건조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건조 운전, 또는 세탁 운전의 세탁 및 헹굼에서도, 가속도 센서(27a, 27b)의 출력에 기초하여 적정한 건조 효과, 또는 세탁 효과가 얻어지도록 세탁 모터(11)의 회전 속도를 증감시키는 제어를 실시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에서는 2개의 가속도 센서(27a, 27b)를, 수조(2)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서로 다른 방향의 가속도를 검출하도록 설치한 것으로, 가속도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가속도 센서(27a, 27b)는 상기 방사 방향 및 접선 방향으로의 가속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수조(2)의 전방부의 방사 방향의 진동 및 수조(2) 전체가 흔들리는 진동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수조(2)의 진동은 전술한 맷돌 운동이나, 수조(2)의 전방부와 후방부에서 가속도의 방향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등 다양하지만, 제어 장치(14)에 의해 수조(2)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그 전방부와 후방부의 진폭량을 산출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수조(2)의 진동을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7a, 27b)를 수조(2)의 외주부에서 하우징(1)의 구석 부분을 향하는 위치(수평선(H)에 대해서 45도를 이루는 위치)에 중심 축선(C) 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했다. 이에 의해 전방측의 가속도 센서(27a)는 수조(2)의 연직 방향(Dv)이나 수평 방향(Dh)의 진동을, 수평선(H)에 대해서 45도를 이루는 방사 방향으로의 가속도에 따른 신호로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후방측의 가속도 센서(27b)에 의해 상기 방사 방향과 직교하는 접선 방향의 가속도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두 가속 도 센서(27a, 27b)는 수조(2) 전체의 가속도의 검출에 대해서 보완하는 관계에 있고, 대체로 수조(2)의 다양한 진동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수조(2)의 외주부에서 하우징(1)의 네 구석 부분을 향하는 부위는 수조(2)와 하우징(1) 사이의 공간이 비교적 넓으므로, 상기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가속도 센서(27a, 27b)를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수조(2)의 외주부에서의 상부 또는 좌우의 측부는 수조(2)와 하우징(1) 사이의 공간이 비교적 좁으므로, 수조(2)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진동하면 하우징(1)에 접촉될 우려가 있다. 이 점,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측의 가속도 센서(27a)에 의해 수조(2)의 연직 방향(Dv)이나 수평 방향(Dh)의 진동을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으므로, 수조(2)의 진동에 의한 하우징(1)과의 접촉이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방진 댐퍼(4)는 수조(2) 하부에서 좌우 양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으므로, 수조(2)의 방진 댐퍼(4) 근방은 진폭량이 작아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속도 센서(27a, 27b)는 방진 댐퍼(4)에 대해서 전후 방향으로 이간하고 또한 정면에서 보아(도 2 참조) 수조(2) 외주부에 거의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수조(2)의 진동을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각각의 가속도 센서(27a, 27b)는 단순히 1 방향으로의 가속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고, 그 출력에 대한 증폭이나 A/D 변환 등의 처리도 극히 간단하게 끝낼 수 있으므로, 저렴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제 1 실시예와 다른 부분을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가속도 센서(가속도 검출 수단)(31a, 31b)은 서로 직교하는 3축의 검출축(X, Y, Z)을 갖고, 검출축(X)이 수평선(H)에 대해서 45도를 이루는 전술한 방사 방향으로, 검출축(Y)이 전술한 접선 방향으로, 검출축(Z)이 수조(2)의 전후 방향으로, 각각 일치하도록 수조(2)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장치(14)에는 전방측의 가속도 센서(31a)의 검출축(X)의 출력, 및 후방측의 가속도 센서(31b)의 검출축(Y)으로부터의 출력만 입력된다. 즉, 가속도 센서(31a, 31b)는 검출축(X, Y, Z) 방향의 가속도가 가해짐에 의한 저항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각각의 방향의 가속도의 크기를 검출하는 것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그 출력이 가속도 센서(27a, 27b)의 출력과 일치하도록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3축의 가속도 센서(31a, 31b)의 각각에 대해서, 단순히 1방향으로의 가속도에 따른 신호를 처리하면 충분하므로, 처리 회로의 구성을 극히 간단하게 끝낼 수 있다. 그 밖에, 수조(2)의 진동을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는 등,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하고 또한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과 같은 변형, 확장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드럼식 세탁 건조기에 한정되지 않고 히트 펌프 등의 건조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드럼식 세탁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3축의 가속도 센서(31a, 31b)를 대신하여, 2축의 가속도 센서를 수조(2)의 전방부와 후방부의 2부분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2축의 가속도 센서 를, 각각 1 방향으로의 가속도에 따른 신호만을 처리하도록 사용함으로써,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은 상기하고 또한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종단측면도,
도 2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개략적인 종단 정면도,
도 3은 가속도 센서와 함께 도시한 수조의 개략적 사시도,
도 4의 (a)~(c)는 가속도 센서와 함께 도시한 수조의 개략적 정면도로, 가속도를 검출하는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탈수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 3 상당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수조(조 구조체) 3: 회전조(조 구조체)
27a, 27b: 가속도 센서(가속도 검출 수단)
31a, 31b: 가속도 센서(가속도 검출 수단)
42: 제어 장치(제어 수단)

Claims (2)

  1. 수조 및 상기 수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조를 구비한 횡축 형상의 조 구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조 내에 수용된 세탁물에 대한 세탁, 헹굼 및 탈수의 세탁 운전을 실시하는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
    1방향으로의 가속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수조에 발생하는 진동을 검지하는 가속도 검출수단과,
    상기 가속도 검출 수단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속도 검출 수단은 수조의 전방부와 후방부의 2부분에, 서로 다른 방향의 가속도를 검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속도 검출 수단은 한쪽의 가속도 검출 수단이 조 구조체의 중심축선에 대한 방사 방향으로의 가속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고, 다른 쪽의 가속도 검출 수단이 상기 방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가속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도록, 수조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KR1020080025302A 2007-07-30 2008-03-19 드럼식 세탁기 KR1009843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97486A JP4421638B2 (ja) 2007-07-30 2007-07-30 ドラム式洗濯機
JPJP-P-2007-00197486 2007-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006A true KR20090013006A (ko) 2009-02-04
KR100984392B1 KR100984392B1 (ko) 2010-09-29

Family

ID=40331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5302A KR100984392B1 (ko) 2007-07-30 2008-03-19 드럼식 세탁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421638B2 (ko)
KR (1) KR100984392B1 (ko)
CN (1) CN101358418B (ko)
TW (1) TW20092804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0476B2 (ja) * 2008-09-19 2011-03-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機
JP5003737B2 (ja) * 2009-08-28 2012-08-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JP5380320B2 (ja) * 2010-02-05 2014-01-0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機
CN102191660B (zh) * 2010-03-05 2012-11-14 代傲电子控制(南京)有限公司 洗衣机脱水控制方法和装置
JP4951077B2 (ja) 2010-03-08 2012-06-13 株式会社東芝 洗濯機の制振装置
CN101831778A (zh) * 2010-05-26 2010-09-15 深圳和而泰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滚筒洗衣机
JP2012205778A (ja) * 2011-03-30 2012-10-25 Panasonic Corp 脱水装置
JP5643713B2 (ja) * 2011-04-21 2014-12-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脱水装置
JP2013153994A (ja) * 2012-01-31 2013-08-15 Hitachi Appliances Inc 洗濯機
JP5612066B2 (ja) * 2012-12-28 2014-10-22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CN104695170B (zh) * 2013-12-09 2017-08-29 海尔集团公司 减振洗衣机及洗衣机减振方法
CN104532514A (zh) * 2014-12-15 2015-04-22 南京创维电器研究院有限公司 一种波轮洗衣机的不平衡检测方法及系统
CN106149279A (zh) * 2015-03-27 2016-11-23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控制方法及洗衣机
JP2017074188A (ja) * 2015-10-14 2017-04-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CN106676818B (zh) * 2015-11-09 2021-03-19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波轮洗衣机脱水桶的检测方法和系统
US11021825B2 (en) * 2018-04-11 2021-06-0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Washing machine appliance with location detection of imbalanced loads
KR102562162B1 (ko) 2018-11-06 2023-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N111962256B (zh) * 2019-05-20 2023-02-17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洗衣机偏心位置检测装置、方法及脱水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5791B2 (ja) * 1993-02-08 2007-0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KR100557036B1 (ko) * 2003-08-11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동감지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진동감지방법
KR20070032169A (ko) * 2005-09-16 2007-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동 제어형 드럼세탁기 및 그를 이용한 선택 탈수 방법
KR101368292B1 (ko) * 2007-03-22 2014-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4392B1 (ko) 2010-09-29
CN101358418A (zh) 2009-02-04
TW200928041A (en) 2009-07-01
JP2009028421A (ja) 2009-02-12
TWI338066B (ko) 2011-03-01
CN101358418B (zh) 2010-12-01
JP4421638B2 (ja) 201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392B1 (ko) 드럼식 세탁기
US20130118210A1 (en) Washing machine having vibration reducing apparatus and vibration reduc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60092453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5010431B2 (ja) 洗濯機
JP2006311884A (ja) ドラム式洗濯機におけるアンバランス位置検知方法及びアンバランス位置検知可能なドラム式脱水機
JP2012223439A (ja) 洗濯機
JP2012170684A (ja) ドラム式洗濯機
JP5209558B2 (ja) 洗濯機
JP5784532B2 (ja) 洗濯機
JP2008264351A (ja) 乾燥機およびその乾燥機を備えた洗濯乾燥機
JP2008194089A (ja) ドラム式洗濯機
JP7482479B2 (ja) 洗濯機
JP5645499B2 (ja) 洗濯機
JP5612066B2 (ja) 洗濯機
JP2014083275A (ja) 洗濯乾燥機
JP5823070B2 (ja) 洗濯機
JP2004049644A (ja) 洗濯機
JP2009082558A (ja) ドラム式洗濯機
JP4935764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2205778A (ja) 脱水装置
JP7225227B2 (ja) 洗濯機
JP2011083458A (ja) 衣類乾燥機および洗濯乾燥機
JP5773802B2 (ja) 洗濯機
JP2006006970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6137091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