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858A - 인쇄회로기판 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적회로 패키지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 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적회로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858A
KR20090012858A KR1020070077047A KR20070077047A KR20090012858A KR 20090012858 A KR20090012858 A KR 20090012858A KR 1020070077047 A KR1020070077047 A KR 1020070077047A KR 20070077047 A KR20070077047 A KR 20070077047A KR 20090012858 A KR20090012858 A KR 20090012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layer
soft layer
reinforcemen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4372B1 (ko
Inventor
박세호
이영민
김기현
강석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7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4372B1/ko
Priority to US12/183,463 priority patent/US8059384B2/en
Publication of KR20090012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1Arrangements for reducing stress or warp in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e.g. caused by loads, vibrations or differences in thermal expan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58Laminating printed circuit boards onto other substrates, e.g. metallic substrates
    • H05K3/0061Laminating printed circuit boards onto other substrates, e.g. metallic substrates onto a metallic substrate, e.g. a heat sin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58Laminating printed circuit boards onto other substrates, e.g. metallic substrates
    • H05K3/0064Laminating printed circuit boards onto other substrates, e.g. metallic substrates onto a polymeric substr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04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in general
    • H05K2201/0133Elastomeric or compliant polym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6Lamination
    • H05K2203/063Lamination of preperforated insulating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표면실장장치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의 강성을 보완하기 위한 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적회로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표면실장장치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의 강성을 보완하기 위한 보강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면실장장치 중 소정 크기 이상의 두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실장장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해당 표면실장장치와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구비하는 경질층과; 상기 복수의 표면실장장치의 융기를 완충할 수 있도록 상기 경질층의 일면에 접속된 연질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용적 한계를 벗어나는 얇은 두께의 인쇄회로기판에 보강구조물을 적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의 강성(기계적 강도)을 보완함으로써 패키지의 사이즈를 크게 줄이면서도 인쇄회로기판의 변형, 파손 등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집적회로 패키지, 인쇄회로기판, 보강, 강성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 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적회로 패키지{REINFORCE FOR PRINTED CIRCUIT BOARD AND INTEGRATED CIRCUIT PACKAG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집적회로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께가 얇은(예를 들면 0.4mm이하)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의 변형과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 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적회로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의 소형화, 박형화 및 경량화에 따라 고집적화된 집적회로 패키지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인쇄회로기판 역시 초박형으로 설계되어야만 한다.
한편, 인쇄회로기판은 그 위에 탑재되는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기능 이외에 부품들을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역할도 하므로, 기판의 제조과정 또는 패키지과정 중에 변형 내지 손상되지 않을 정도 이상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인쇄회로기판의 강성 (기계적 강도) 또한 낮아져서 휨, 뒤틀림 등의 변형이 발생하고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현재까지 인쇄회로기판 두께의 실용적 하한선은 약 1.0mm로 제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인쇄회로기판 두께의 제한을 극복하기 위한 종래방법으로, 인쇄회로기판 재질에 유리섬유 등 충진제를 보강하여 강성을 높이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방법은 성형 작업성의 저하와 같은 품질의 문제 및 인체와 환경에 유해한 소재의 사용으로 인해 재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종래 다른 방법으로는, 표면실장장치(surface mounting device; SMD) 가공이 완료된 인쇄회로기판과 금형 사이에 수지를 주입한 후, 경화시켜 인쇄회로기판의 강도를 높이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금형의 밀착 및 수지(resin) 주입과정이 복잡하고 들뜬 틈으로 수지 잔사(residue)가 남아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후공정이 필요하므로 대량 생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수지가 경화과정에서 수축하여 얇은 인쇄회로기판이 휘어지는 단점이 있다.
종래 또 다른 방법으로는 SMD 가공이 완료된 인쇄회로기판 위에 수지를 뿌린 후 경화시켜 인쇄회로기판의 강도를 높이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수지는 뿌리는 공정시간이 길고 수지가 주입되지 말아야 할 부분은 별도로 차단을 해야하기 때문에 역시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의 재료와 설계를 크게 변경하지 않으면서, 구조강성(기계적강도)을 유지하면서도 두께의 증가가 없도록 하는 인쇄회로기판 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적회로 패키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1.0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인쇄회로기판을 채용하여 집적회로 패키지의 두께는 얇게 하면서도 인쇄회로기판의 강도는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집적회로 패키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표면실장장치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의 구조강성을 보완하기 위한 보강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면실장장치 중 소정 크기 이상의 두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실장장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해당 표면실장장치와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구비하는 경질층과; 상기 복수의 표면실장장치의 융기를 완충할 수 있도록 상기 경질층의 일면에 접속된 연질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질층은 EMC(Epoxy Mold Compound); PES(Poly Ethylene Sulpone), PPO(Poly Penylene Oxide), PC(Poly Carbonate)를 포함한 Engineering Plastic; FRP(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RP(Graphite Reinforced Plastic), Basault 또는 Ceramic을 포함한 복합재료; Steel, Stainless Steel, Aluminum, Magnesium, Alloy를 포함한 금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조합으로 구성되며, 구부림 강도는 -40도 내지 85도의 온도범위에서 100MPa 이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질층은 복수의 관통홀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질층은 점탄성 특성을 가진 고무; PAS(Pressure Sensitive Adhesive), EVA(Ethylene Vinyl Alcohol); 60도 내지 160도 온도범위에서 연화되는 특성을 갖는 핫멜트(Hotmelt) 수지; 점도가 1000eps 이상인 수지(resin) 또는 젤(ge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조합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질층의 두께는 적어도 상기 복수의 표면실장장치 중 높이가 가장 낮은 표면실자장치의 두께 이상이 되도록 하며, 양쪽 면이 상이한 접착력을 갖는다.
상기 연질층은 상면과 하면이 상이한 접착력을 가지며, 상기 연질층 상면의 접착력은 하면의 접착력 이상이며, 상기 연질층 하면의 접착력은 -40도 내지 85도의 온도범위에서 1 내지 10N/cm 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질층과 연질층 사이에 형성된 접착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은 Epoxy(BPA); EVA(Ethylene Vinyl Alcohol)을 비롯한 열가소성 수지; PAS(Pressure Sensitive Adhesiv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조합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질층의 측면 외곽을 따라 형성된 소수성(hydrophobic)의 실링층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집적회로 패키지는 복수의 표면실장장치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복수의 표면실장장치 중 소정 크기 이상의 두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실장장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해당 표면실장장치와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구비하는 경질층과; 상기 복수의 표면실장장치의 융기를 완충할 수 있도록 상기 경질층의 일면에 접속된 연질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용적 한계(예를 들면, 0.4mm 정도)를 벗어나는 얇은 두께의 인쇄회로기판에 보강구조물을 적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의 강성(기계적 강도)을 보완함으로써 패키지의 사이즈를 크게 줄이면서도 인쇄회로기판의 변형, 파손 등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회로기판에 주형이나 격막을 밀착시키는 복잡한 과정이 없이 본 조립공정이 매우 간단하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보강구조물(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설명의 편의상 복수의 표면실장장치(11~18)를 탑재하고 있는 인쇄회로기판(10)을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보강구조물(100)은 각각의 일면(110A, 120B)이 상호 접속된 경질층(hard layer,110)과 연질층(soft layer, 120)을 포함한다.
상기 경질층(110)은 높은 강도로 구조강성을 유지하여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경질층(110)의 구부림 강도(bending modulus)는 -40 내지 85℃의 온도범위에서 100MPa가 바람직하며, 열팽창 계수는 -40 내지 85℃의 온도범위에서 100E-6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경질층(110)의 소재는 내열(160℃ 이상), 내습(흡수율 1% 이하), 내후성을 충족시켜야 한다.
상기 조건을 충족시키는 물질로는 예를 들면, EMC(Epoxy Mold Compound), PES(Poly Ethylene Sulpone), PPO(Poly Penylene Oxide), PC(Poly Carbonate)를 포함한 Engineering Plastic 또는 Steel, Stainless Steel, Aluminum, Magnesium, Alloy를 포함한 금속 등이 있다.
상기 경질층(110)은 복수의 표면실장장치(11~18) 중 두께가 두꺼운(바람직하게는, 연질층의 두께를 초과하는 두께) 표면실장장치(11,12,13)가 관통할 수 있도록(수용할 수 있도록) 해당 표면실장장치(11,12,13)와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111,112,113)를 구비한다. 이때, 각 개구(111,112,113)는 해당 표면실장장치(11,12,13)와 동일한 단면 형상이며, 적어도 해당 표면실장장치의 크기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질층(110)에 복수의 홀(예를 들면, 핀홀)(119)을 이격 배치하여 경질층(110)과 표면실장장치의 상부면이 지나치게 근접하는 경우 연질층에 가해지는 압력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연질층(120)은 일면(120B)이 경질층(110)의 일면(110A)에 접속되며, 인쇄회로기판(10) 위에 탑재된 서로 다른 높이의 복수의 표면실장장치(11~18)의 융기 를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연질층(120)은 예를 들면, 점탄성(Visco-elastic) 특성을 가진 고무(rubber)나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또는 점도가 높은 수지(resin), 겔(gell) 등이 가능하다. 100℃ 내지 160℃의 온도범위에서 연화되는 특성을 가진 핫멜트(Hotmelt) 수지도 가능하다.
연질층(120)의 소재는, 경질층(110)의 소재와 마찬가지로 내열(160℃ 이상), 내습(흡수율 1% 이하), 내후성을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질층(120)의 구부림 강도(bending modulus)는 -40 내지 85℃의 온도범위에서 100MPa가 바람직하며, 열팽창 계수는 -40 내지 85℃의 온도범위에서 100E-6 이하가 바람직하다.
연질층의 일면(하부면,120A)에는 표면실장장치(11~18)가 탑재된 인쇄회로기판(10)과 결합하기 위해 접착제가 도포 또는 필름 라미네이팅(laminating) 되며, -40 내지 85℃의 온도범위에서 1~10N/cm 범위의 접착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연질층의 타면(상부면, 120B)은 경질층의 일면(하부면, 110A)과 접속된다. 이때 연질층과 경질층 사이의 결합력이 연질층과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결합력보다 크거나 동등한 수준이 되도록 하며, 이는 보강구조물(100)을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 연질층의 잔사(residue)가 인쇄회로기판 위에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접착제는 예를 들면, Epoxy(BPA), EVA(Ethylene Vinyl Alcohol)을 비롯한 열가소성 수지(resin),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등이 가능하다.
또한, 연질층의 측면 외곽을 소수성(hydrophobic)을 갖는 소재로 실링(sealing) 함으로써 연질층과 인쇄회로기판의 계면으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보강구조물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다양한 높이의 장치(부품)가 그 상면에 표면실장 되어 있는 초박형의 인쇄회로기판(20)에 보강구조물(200)을 결합하기 전(도 2의 (a))과 후(도 2의 (b))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초박형 인쇄회로기판(20)의 두께가 0.4mm이고, 인쇄회로기판(20)의 상면에 표면실장 되어 있는 장치(부품)의 두께(높이)가 각각 1.4mm(21), 1.2mm(22), 0.4mm(23), 0.6mm(24)인 경우의 적용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를 통해 인쇄회로기판 보강구조물의 제조 및 적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를 참조하면, 먼저, 경질층(210)을 압출(extrusion), 인발(roll press) 또는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 기법으로 0.4mm 정도 두께로 제작한다. 이때, 인쇄회로기판(20)에 실장된 부품의 높이가 예정된 연질층(220)의 두께(0.8mm)보다 클 경우 해당 영역에 개구(221,222)를 형성한다. 만일, 경질층(210)을 압출 또는 인발 기법으로 제작한 경우 개구(221,222)는 판금(press, punch trim)의 기법으로 재단하며, 경질층(210)을 사출성형 기법으로 제작한 경우 금형설계를 통해 개구 영역을 제외하고 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경질층(210)의 일면(하부면, 210A)에 도포 또는 필름 라미네이팅 기법으로 접착제를 부착한 다음, 접착제가 부착된 경질층의 하부면(210A)에 0.8mm 두께의 연질층(220)을 형성한다. 연질층(220)은 소프트(soft)하면서도 일정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물질로써, 도포 또는 필름 라미네이팅 공정에 의해 형성한다. 연질층(220)의 두께는 이론적으로는 인쇄회로부품에 탑재된 부품 중 높이가 가장 낮은 부품의 두께 이상이 되도록 해야하며, 실용적으로는 대체로 0.3mm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연질층(220)과 경질층(210)의 물질 특성상 상호간의 접착력이 우수한 경우에는 접착제 부착과정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20)과의 접속시에 계면으로 습기가 침수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연질층(220)의 측벽 외곽을 소수성(hydrophobic)을 갖는 소재로 실링 할 수 있다.
계속해서, 연질층의 하부면(220A)에 접착제를 도포 또는 필름 라미네이팅 기법으로 부착하여 인쇄회로기판 보강구조물(200)을 완성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완성된 인쇄회로기판 보강구조물(200)을 표면실장장치(21~24)가 탑재된 인쇄회로기판(20) 위에 정렬한 후 적절한 압력(예를 들면, 150MPa 이하)을 가해 인쇄회로기판 보강구조물(200)과 인쇄회로기판(20)이 밀착 결합하도록 한다. 이때, 장치와 장치 사이의 들뜬 공간을 연질층(220)이 파고들어 빈공간을 채우게 된다. 연질층의 점도는 감소시키고 점착성은 증가시키기 위해 온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온도는 16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경질층 및 연질층의 소재, 두께, 개구의 크기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설계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 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보강구조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보강구조물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17)

  1. 복수의 표면실장장치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의 강성을 보완하기 위한 보강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면실장장치 중 소정 크기 이상의 두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실장장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해당 표면실장장치와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구비하는 경질층과;
    상기 복수의 표면실장장치의 융기를 완충할 수 있도록 상기 경질층의 일면에 접속된 연질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보강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층은
    가. EMC(Epoxy Mold Compound)
    나. PES(Poly Ethylene Sulpone), PPO(Poly Penylene Oxide), PC(Poly Carbonate)를 포함한 Engineering Plastic
    다. FRP(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RP(Graphite Reinforced Plastic), Basault 또는 Ceramic을 포함한 복합재료
    라. Steel, Stainless Steel, Aluminum, Magnesium, Alloy를 포함한 금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조합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보강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층의 구부림 강도는 -40도(℃) 내지 85도의 온도범위에서 100MPa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보강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층은
    상기 경질층을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홀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보강구조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층은
    가. 점탄성 특성을 가진 고무
    나. PAS(Pressure Sensitive Adhesive), EVA(Ethylene Vinyl Alcohol)
    다. 60도 내지 160도 온도범위에서 연화되는 특성을 갖는 핫멜트(Hotmelt) 수지
    라. 점도가 1000eps 이상인 수지(resin) 또는 젤(ge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조합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보강구조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층의 두께는
    적어도 상기 복수의 표면실장장치 중 높이가 가장 낮은 표면실장장치의 두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보강구조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층은 상면과 하면이 상이한 접착력을 가지며, 상기 연질층 상면의 접착력은 하면의 접착력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보강구조물.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층 하면의 접착력은
    -40도 내지 85도의 온도범위에서 1 내지 10N/cm 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보강구조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층과 연질층 사이에 형성된 접착층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보강구조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가. Epoxy(BPA)
    나. EVA(Ethylene Vinyl Alcohol)을 비롯한 열가소성 수지
    다. PAS(Pressure Sensitive Adhesiv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조합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보강구조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층의 측면 외곽을 따라 형성된
    소수성(hydrophobic)의 실링층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보강구조물.
  12. 복수의 표면실장장치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복수의 표면실장장치 중 소정 크기 이상의 두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실장장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해당 표면실장장치와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구비하는 경질층과;
    상기 복수의 표면실장장치의 융기를 완충할 수 있도록 상기 경질층의 일면에 접속된 연질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패키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층을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홀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패키지.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층의 두께는
    적어도 상기 복수의 표면실장장치 중 높이가 가장 낮은 표면실자장치의 두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패키지.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층과 상기 경질층 사이의 접착력이 상기 연질층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접착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패키지.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층과 연질층 사이에 형성된 접착층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패키지.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접속하고 있는 면의 상기 연질층 측면 외곽에 형성된 소수성 소재의 실링층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패키지.
KR1020070077047A 2007-07-31 2007-07-31 인쇄회로기판 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적회로 패키지 KR101354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047A KR101354372B1 (ko) 2007-07-31 2007-07-31 인쇄회로기판 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적회로 패키지
US12/183,463 US8059384B2 (en) 2007-07-31 2008-07-31 Printed circuit board reinforcement structure and integrated circuit packag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047A KR101354372B1 (ko) 2007-07-31 2007-07-31 인쇄회로기판 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적회로 패키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858A true KR20090012858A (ko) 2009-02-04
KR101354372B1 KR101354372B1 (ko) 2014-01-23

Family

ID=40337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047A KR101354372B1 (ko) 2007-07-31 2007-07-31 인쇄회로기판 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적회로 패키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59384B2 (ko)
KR (1) KR1013543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9427B2 (en) 2011-03-21 2013-12-31 Eldon Technology Limited Media content device chassis with internal extension members
US9317079B2 (en) * 2011-03-29 2016-04-19 Echostar Uk Holdings Limited Media content device with customized panel
FR2976761B1 (fr) * 2011-06-17 2014-05-02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Circuit imprime pour l'interconnexion et la mesure d'accumulateurs d'une batterie
USRE48963E1 (en) 2012-03-02 2022-03-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nection device for computing devices
US9064654B2 (en) 2012-03-02 2015-06-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put device
US9134807B2 (en) 2012-03-02 2015-09-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sure sensitive key normalization
US9075566B2 (en) 2012-03-02 2015-07-07 Microsoft Technoogy Licensing, LLC Flexible hinge spine
US9426905B2 (en) 2012-03-02 2016-08-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nection device for computing devices
US9870066B2 (en) 2012-03-02 2018-01-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put device
US9360893B2 (en) 2012-03-02 2016-06-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ut device writing surface
US8935774B2 (en) 2012-03-02 2015-01-13 Microsoft Corporation Accessory device authentication
US20130300590A1 (en) 2012-05-14 2013-11-14 Paul Henry Dietz Audio Feedback
US10031556B2 (en) 2012-06-08 2018-07-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experience adaptation
US9019615B2 (en) 2012-06-12 2015-04-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ide field-of-view virtual image projector
US9073123B2 (en) 2012-06-13 2015-07-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ousing vents
US8964379B2 (en) 2012-08-20 2015-02-24 Microsoft Corporation Switchable magnetic lock
US8654030B1 (en) 2012-10-16 2014-02-18 Microsoft Corporation Antenna placement
WO2014059624A1 (en) 2012-10-17 2014-04-24 Microsoft Corporation Metal alloy injection molding protrusions
WO2014059618A1 (en) 2012-10-17 2014-04-24 Microsoft Corporation Graphic formation via material ablation
EP2908971B1 (en) 2012-10-17 2018-0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al alloy injection molding overflows
US9304549B2 (en) 2013-03-28 2016-04-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 mechanism for rotatable component attachment
US10094516B2 (en) 2014-07-25 2018-10-09 NeoGraf Solutions, LLC. LED light arrangement with flexible circuit board having graphite substrate
US9424048B2 (en) 2014-09-15 2016-08-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ductive peripheral retention device
TWI566652B (zh) * 2015-09-16 2017-01-11 臻鼎科技股份有限公司 電路板及其製作方法
US20170245367A1 (en) * 2016-02-22 2017-08-24 Raytheon Company Circuit card assembly (cca) with reduced susceptibility to deform under loading
US10101773B2 (en) 2016-04-08 2018-10-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Non-woven material device covering
KR102659093B1 (ko) * 2018-03-08 2024-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구조물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8538737B (zh) * 2018-03-22 2019-12-24 江西芯创光电有限公司 载板的压合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4235B1 (fr) * 1991-11-25 1999-12-10 Gemplus Card Int Carte a circuit integre comprenant des moyens de protection du circuit integre.
EP0754567B1 (en) * 1994-03-31 2003-05-28 Ibiden Co., Ltd. Component including an electronic part
TW454320B (en) * 2000-05-12 2001-09-11 Siliconware Precision Industries Co Ltd Semiconductor devices with heat-dissipation stiffe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400876B1 (ko) 2000-10-27 2003-10-08 성일화학 (주) 전자부품용 핫멜트 조성물
US7038142B2 (en) * 2002-01-24 2006-05-02 Fujitsu Limited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US20030150641A1 (en) * 2002-02-14 2003-08-14 Noyan Kinayman Multilayer package for a semiconductor device
JP2004214258A (ja) * 2002-12-27 2004-07-29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モジュール
KR100607626B1 (ko) 2004-05-25 2006-08-01 대덕전자 주식회사 인쇄 회로 기판에 있어서 레진 도포된 동박을 이용한 평탄코팅 공법
JP2006186136A (ja) 2004-12-28 2006-07-13 Toshiba Corp 両面部品実装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59821A (ja) * 2005-08-26 2007-03-08 Shinko Electric Ind Co Ltd 配線基板の製造方法
US8737085B2 (en) * 2006-05-24 2014-05-27 Dai Nippon Printing Co., Ltd. Wiring board with a built-in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32292A1 (en) 2009-02-05
KR101354372B1 (ko) 2014-01-23
US8059384B2 (en) 201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372B1 (ko) 인쇄회로기판 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집적회로 패키지
US7845954B2 (en) Interconnecting board and three-dimensional wiring structure using it
KR100793468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과, 상기 반도체 장치를 구비한 액정 모듈 및 반도체 모듈
US8816212B2 (en) Flexible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CN101609820B (zh) 电子器件以及制造电子器件的方法
US9560744B2 (en)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mponent
JP5903094B2 (ja) 平坦構造の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13436530B (zh) 显示模组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1079884B (zh) 轮胎电子标签
US20100155111A1 (en) Mounting structure
JP3579740B2 (ja) 電子部品の製造方法
US2016008689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KR20140023820A (ko) 점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기판의 제조 방법
CN214587760U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10334733B2 (en) Circuit structure
JP2004007051A (ja) 封止用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表面弾性波装置の製造方法
TWI393494B (zh) 具有線路的基板條及其製造方法
KR20150047926A (ko)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JP5146358B2 (ja) 電子装置
JP3817103B2 (ja) 表示パネル装置の製造方法
JP5879866B2 (ja) 中空封止構造の製造方法
CN110246815A (zh) 一种柔性芯片封装结构与方法
CN112760052B (zh) 复合胶带、复合胶带的加工方法和柔性屏幕模组
CN212343815U (zh) 一种侧边指纹识别组件及电子设备
JP5288476B2 (ja) 基板の製造方法、回路基板、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