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213A - 해부실습실용 유해가스 폭로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해부실습실용 유해가스 폭로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213A
KR20090012213A KR1020087024233A KR20087024233A KR20090012213A KR 20090012213 A KR20090012213 A KR 20090012213A KR 1020087024233 A KR1020087024233 A KR 1020087024233A KR 20087024233 A KR20087024233 A KR 20087024233A KR 20090012213 A KR20090012213 A KR 20090012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anatomical
pull
gas exposure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4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1753B1 (ko
Inventor
유지 쿠보타
유키 후지시로
Original Assignee
코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2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40Apparatus fixed or close to patients specially adapted for providing an aseptic surgic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6/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ivisection or autop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40Apparatus fixed or close to patients specially adapted for providing an aseptic surgical environment
    • A61B2090/401Apparatus fixed or close to patients specially adapted for providing an aseptic surgical environment using air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8/00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218/001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having means for irrigation and/or aspiration of substances to and/or from the surgical site
    • A61B2218/002Irrigation
    • A61B2218/006Irrigation for smoke evacu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ntilation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작업성을 해치는 일 없이 유해가스의 충분한 폭로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배기 덕트의 설치 등의 공사를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이미 설치된 해부대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해부실습실용 유해가스 폭로방지장치를 제공한다.
해부실습실의 복수의 해부대의 각각에, 한결같은 공기류 송풍기구를 가지는 푸쉬 후드(1)와 흡인 배기기구를 가지는 풀 후드(2)를, 한결같은 공기류의 적어도 일부가 해부대 위의 헌체에 접해서 흐르게 한 후 풀 후드(2)에 빨려 들여가도록, 해부대와는 독립 해 배치함과 동시에, 풀 후드(2)에 유해가스 흡착능을 가지는 필터를 내장시킨다.
해부실습실용 유해가스 폭로방지장치

Description

해부실습실용 유해가스 폭로방지장치{TOXIC GAS EXPOSURE PREVENTING APPARATUS FOR DISSECTION PRACTICE ROOM}
본 발명은 해부실습실용 유해가스 폭로방지장치에 관하고, 특히 포르말린 등으로 방부처리를 한 헌체(獻體)의 해부실습을 행할 때에 포르말린 등의 방부약제에서 주로 발생하는 유해가스(포름알데히드가스 등)의 폭로를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다.
의학생 등이 하는 해부실습은, 의학부계통 해부학실습이라고 칭해져, 포르말린 등으로 방부처리된 복수의 헌체를 복수의 해부대 위에서 동시에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실습은 많은 사람으로 장시간 행해지는 것에서, 헌체에서 발생하는 포름알데히드가스 등의 유해가스의 효율적이고 또 경제적 제거가 필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는, 환기팬이나 창문의 개방, 공기청정기의 사용 등으로 대응해 왔지만, 이것들로는 충분한 폭로방지효과는 얻을 수 없다. 신설의 실습실에는 급기구(給氣口)와 배기구를 배치한 중앙관리방식의 공조(空調) 설비를 갖춘 것도 볼 수 있지만, 유해가스를 제거할 수 있는 설비를 병설하는 등을 하면, 설비비 및 유지비가 고가이고, 일반적인 보급는 곤란하다. 그래서 해부대 마다의 국소배기수단도 여러 가지 제안되어 오고 있다(일본국 특개2004-000451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3- 320220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3-116859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1-061909호 공보). 그러나 이것들은 실습작업의 방해가 되는 구조이거나, 이미 설치된 해부대에는 적용이 곤란하거나, 실습자에게의 유해가스의 폭로방지효과가 충분하지 않다고 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발명의개시)
(발명의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실습자의 작업성을 해치는 일 없이 유해가스의 충분한 폭로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배기 덕트의 설치 등의 공사를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이미 설치된 해부대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해부실습실용 유해가스 폭로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첫번째로, 해부실습실의 복수의 해부대의 각각에, 한결같은 공기류 송풍기구를 가지는 푸쉬 후드와 공기류 흡인기구를 가지는 풀 후드를, 한결같은 공기류의 적어도 일부가 해부대 위의 헌체에 접해서 흐르게 한 후 풀 후드에 빨려 들어가도록, 해부대와는 독립해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부실습실용 유해가스 폭로방지장치이다.
본 발명은, 두번째로, 풀 후드에 유해가스 흡착능을 가지는 필터가 내장되어 있는 상기의 장치이다.
본 발명은, 세번째로, 풀 후드에 내장되어 있는 필터가 공기류 흡인기구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있어 해부대보다 낮은 위치에서 청정화한 공기류가 실내로 배기 되는 상기의 장치이다.
본 발명은, 네번째로, 푸쉬 후드에도 유해가스 흡착능을 가지는 필터가 내장되어 있는 상기의 장치이다.
본 발명은, 다섯번째로, 푸쉬 후드의 공기류 송풍 개구면 및/또는 풀 후드의 공기류 흡인 개구면의 높이가 조절가능하게 되어 있는 상기의 장치이다.
본 발명은, 여섯번째로, 높이조절이 개구면의 이중구조 또는 개구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한 차폐판(遮蔽板)으로 행해지는 상기의 장치이다.
본 발명은, 일곱번째로, 높이조절이 풀 후드 및/또는 푸쉬 후드의 하부에 배
치한 높이조절용의 베이스부에 의해서 행해지는 상기의 장치이다.
본 발명은, 여덟번째로, 푸쉬 후드와 풀 후드가 각 해부대의 직사각형의 긴쪽 방향의 양단에 대향해 배치되어 있는 상기의 장치이다.
본 발명은, 아홉번째로, 1개의 푸쉬 후드가 각 해부대보다 상부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 해부대가 적어도 직사각형의 긴쪽 방향의 양단 외측에 대향하여 한쌍의 풀 후드가 배치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 한결같은 공기류를 하강류(下降流)로서 흐르도록한 상기의 장치이다.
본 발명은, 열번째로, 각 해부대의 단변(短邊) 방향의 양단에도 대향해 풀 후드가 배치되어 있는 상기 아홉번째의 장치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설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높이조절기능을 갖춘 푸쉬 후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이중구조의 개구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개구면 위에 차폐판을 배치한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장치의 설치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설치예에서 이용하는 풀 후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해부실습실의 각 해부대 마다 소정의 푸쉬풀형 환기장치를 설치하는 것이지만, 푸쉬풀형 환기장치의 설치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크게 나누어 2종류의 설치의 어느것이든지 이용할 수 있다. 그 제1의 태양(態樣)의 전체도를 나타낸 것이 도 1이며, 제2의 태양의 전체도를 나타낸 것이 도 5이다.
우선 제1의 태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의 태양은 수평류(水平流) 내지 사강류(斜降流) 타입의 것이고, 도 1에 나타내듯이, 각 해부대의 발부분쪽에 공기 송풍 후드인 푸쉬 후드(1)를, 그리고 머리부분쪽에 공기 흡인 후드인 풀 후드(2)를 마련한다. 이것은 역이라도 좋다. 후드의 높이는 실습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가능한한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헌체의 높이도 있으므로 헌체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푸쉬 후드를 약간 윗쪽으로 올려, 기류를 비스듬히 아랫쪽으로 불어 내도록 해도 좋다.
화살표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나타낸다. 푸쉬 후드(1)에서 한결같은 공기류 를 수평류로서 풀 후드(2)의 방향으로 흐르게 한다. 여기서 한결같은 공기류란, 흐름에 대해 수직 단면에서 보았을 때, 흐름의 속도의 크기가 그 단면의 도처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상태를 말한다. 여기에서는, 장애물이 없는 상태에서의 속도 분포의 불균형이 평균치에 대해서 ±30%이내의 경우를 한결같은 공기류라고 한다. 특히 ±20%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푸쉬 후드(1)는 해부대보다 높은 위치에 공기류 송풍용 개구부를 가지는 것이면 종래 알려진 적당의 푸쉬 후드를 이용할 수 있지만, 도시하듯이, 전체를 종형(縱型)의 박판상 구조로 해, 공기 송풍용 개구부의 반대측 아랫쪽에서 실내 공기를 빨아들이는 방식의 것이 바람직하다.
풀 후드는 통상의 풀 후드와 같은 배기팬을 가져 실내 환기를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풀 후드에는 헌체에서 나오는 포름알데히드가스 등의 유해가스를 흡착시키기 위한 필터가 내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는 포름알데히드가스에 의해 대표되는 유해가스를 제거 가능한 것이면 종래 알려진 적당의 필터를 이용할 수 있다. 또 풀 후드에 비교해 그 필요성은 작지만, 푸쉬 후드에도 포름알데히드가스 등의 유해가스를 흡착시키기 위한 필터를 내장해 두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또 푸쉬 후드의 공기 취입구에는 면먼지 등이 들어가, 먼지가 장치안의 팬에 얽히거나, 정류(整流)를 만들기 위한 펀칭메탈과 같은 유공판의 눈이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조진(粗塵) 필터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풀 후드에도 조진 필터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풀 후드(2)의 필터 내장 위치는, 풀 후드 상부의 개구면(3′)의 내측이라도 좋지만, 도시하듯이, 풀 후드(2)의 내부를 상하 2단 구조로 해, 상단에 팬을, 하단에 필터 수납부(4)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로서는 포름알데히드가스에 의해 대표되는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공지의 필터를 이용할 수 있지만, 특히 활성탄 필터를 복수매, 예를들면 5~10매, 늘어놓은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시하듯이, 필터 수납부를 가지는 풀 후드 하부는 공기류 흡인 기구를 가지는 상부보다 필요 치수가 커지기 때문에, 그 일부를 해부대의 아래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공간절약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배기는 풀 후드 하부의 전면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에서는 좌우 방향에만 공기의 흐름 방향 즉 실내로의 배기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가 기재되어 있고, 전방 및 후방으로의 화살표는 생략되어 있다).
종래의 해부실습실용 유해가스 폭로방지장치에서는, 배기는 옥외 배기가 일반적이지만,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필터로 유해가스를 여과한 충분히 깨끗한 공기를 상대적으로 적은 양으로 배기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 배기가 가능하게 되어, 에어컨 등의 공조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고, 또 배관 등도 불필요해져 장치의 소형화·공간절약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 풀 후드의 하부에서 네방향으로 실내 배기를 행할 수 있어, 풀 후드가 벽면에 접해 배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나머지의 세방향에서의 배기가 가능하다. 그 때문에, 한방향만으로의 배기 밖에 불가능한 장치에 비교해 발밑을 흐르는 배기 풍량(風量)을 실습자가 전혀 신경이 쓰이지 않는 만큼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푸쉬 후드와 풀 후드는 모두 도시하듯이 캐스터(5)를 갖추어, 이동 용이한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푸쉬 후드의 공기류 송풍 개구면과 풀 후드의 공기류 흡인 개구면의 면적은 같거나 또는 후자의 쪽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 푸쉬 후드와 풀 후드의 높이는, 모든 해부대의 높이가 반드시 일정하지 않거나, 헌체가 크거나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적성 위치(높이)로 조절하는 상하기구를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기구로서는 여러 가지의 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높이조절기구의 일례를 도 2~도 4에 나타낸다. 도 3은, 개구면을 이중구조로 한 예이다. 이중구조 안쪽의 개구면을 앞쪽의 개구면보다 크게하면, 크기의 차이분만큼 가동 범위로 할 수 있다. 도에서는 앞쪽의 개구면을 상하이동 가능하게 하고, 왼쪽에서부터 순서로, 하단, 중단, 상단으로 개구면의 높이를 조절한 상태를 나타낸다. 개구면에는 펀칭메탈과 같은 유공체를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식은 푸쉬 후드, 풀 후드와도 본체 그것을 상하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매우 용이하게 높이조절할 수 있고, 또, 본체의 높이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시야의 방해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사강류와 같이 푸쉬 후드를 비스듬히 위로 설치하고 싶은 경우도 있다. 그 경우는 본체의 다리에 상하기구를 갖게 하거나, 별도 상하기구를 갖춘 가대(架臺)를 본체에 추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하기구는 풀 후드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렇게 하는 것에 의해, 보다 적절한 기류를 만들어 낼 수 있어 효과적으로 환기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체 자체에 높이조절기능을 갖게 한 예이다. 즉 푸쉬 후드를 분리 용이한 푸쉬 후드 본체(1′)와 베이스부(6)으로 구성해, 푸쉬 후드 본체(1′)의 하부의 양단에 높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높이조절구멍(6)을, 또 푸쉬 후드 본체(1′)의 하부를 끼워넣기 가능한 상자 모양으로한 베이스부(7)의 양단에도 높이조절구멍(7′)을 마련하고, 볼트 등의 고정부재로 소정 높이로 고정한다.
한편, 풀 후드는, 공기류 흡인 개구면 위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차폐판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태양을 도 4에 나타낸다. 도 4에서는, 2매의 세장(細長) 차폐판(8)을 배치하고, 표준 위치에서는 각각을 상단과 하단에 배치하고, 개구면 위치를 그것보다 아랫쪽에 위치하고 싶은 경우에는 2매의 차폐판을 상단으로, 또 개구면 위치를 그것보다 윗쪽에 위치하고 싶은 경우에는 2매의 차폐판을 하단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이런 종류의 차폐판의 매수는 1매라도 또 3매 이상이라도 좋다. 차폐판을 이용하는 태양에서는, 풀 후드의 개구면의 전면적을 푸쉬 후드의 개구면의 면적보다 10~30%정도 크게 하여, 그 일부 혹은 전부를 차폐판으로 차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폐판의 재질도 금속판, 플라스틱판 등 적당의 재질의 판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제1의 태양에서는, 해부대의 머리부분쪽과 발부분쪽의 헌체외에 푸쉬 후드와 풀 후드를 배치 해부대의 직사각형의 긴쪽 방향에는 어느 쪽도 배치 하지 않았기 때문에, 실습자의 작업의 방해가 될 일은 없다.
본 발명의 제2의 태양은 하강류 타입의 것이며, 해부대의 윗쪽에 한결같은 공기류 송풍기구를 가지는 푸쉬 후드를 배치하고, 해부대의 대향하는 직사각형의 긴쪽(2) 방향 또는 직사각형의 긴쪽 단변(4) 방향 각각에 합계 2개 또는 4개의 풀 후드를 배치한다. 도 5에 그 전형 예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내듯이, 해부대의 윗쪽에 한결같은 공기류 송풍기구를 가지는 푸쉬 후드를 설치하고, 해부대의 단변 방향에는 해부대와 접하고 또는 약간 거리를 두고, 거의 같은 높이에 개구부가 오도록 한쌍의 풀 후드를 마련한다. 풀 후드를 약간 거리를 두고 설치하는 경우는, 흡인 풍량을 다소 많이 할 필요가 있다. 또 개구부는 도 6과 같은 L자가 바람직하지만, 세로방향 혹은 수평방향만이라도 좋고, 각각의 위치 및 공기류의 흐름 방향에 따라 적정 배치된다.
한편, 해부대의 직사각형의 긴쪽 방향은 실습생이 서서 작업을 행하는 경우가 많은 일과 헌체를 싸고 있는 시트가 개구면을 막아 버릴 우려가 있으므로 해부대에 접하듯이 푸쉬 후드를 마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와 같은 경우는, 도 5의 오른쪽 위에 나타내듯이, 실습생이 통과할 수 있을 만한 스페이스를 비워 한쌍의 풀 후드를 마련해야 하는 것이다. 개구부는 높이조절기구를 갖추어, 해부대의 높이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직사각형의 긴쪽 방향의 풀 후드는 해부대의 길이에 맞추어 몇개인가로 분할된 구조의 것을 이용해도 좋다.
푸쉬 후드에서 나온 한결같은 공기류는 해부대 부근에서 사방으로 갈라지지만, 바람직하게는 4개의 풀 후드로 그것들을 빨아들이고 포름알데히드가스 등의 유해가스를 배기한다.
또 단변 방향의 풀 후드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는 직사각형의 긴쪽 방향의 풀 후드 전체의 길이를 충분한 길이로 하거나 풍량을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풀 후드에는 팬과 바람직하게는 제1의 태양과 같이 포름알데히드 등의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필터가 내장되어 있어, 이 경우는 옥외에 배기하기 위한 덕트가 완전히 불필요하다. 또, 이 경우는 옥내 배기이므로 공조 부하도 없다. 푸쉬 후드도 제1의 태양과 같은 필터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의 태양에서 해부대의 직사각형의 긴쪽 방향에 풀 후드를 배치하는 경우도, 실습자의 작업위치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의 방해는 거의 되지 않는다. 또 작업위치 방향으로도 유해가스함유공기가 이동하지만, 푸쉬 후드의 위치와 다른 풀 후드에 의해, 실습자에게의 유해가스의 폭로는 극히 적게 된다.
해부대의 직사각형의 긴쪽 방향의 풀 후드의 위치를 상기의 위치로 하는 것에 의해, 또 해부대의 단변 방향의 풀 후드의 높이를 해부대와 같은 높이로 하는 것에 의해, 풀 후드에 의한 실습자의 작업의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풀 후드를 이동가능한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해부대로부터 거리를 두는 것에 의해서, 작업성을 보다 높일 수도 있다.
일반적인 풀 후드만으로는 후드로부터 떨어진 곳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충분히 흡인하지 못하고, 실습생이 폭로될 가능성이 높지만, 윗쪽에서 한결같은 공기류를 주는 것에 의해, 포름알데히드가스 등의 유해가스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어, 실습생에게의 폭로의 가능성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장치(푸쉬 후드와 풀 후드의 개구면의 면적=750mm×3O0mm, 양자의 거리 2OO㎝)를 이용해 푸쉬 후드의 송풍 풍속 O.4m/초의 조건에서, 유해가스의 대용으로서 연기를 상승 시켰는데 사실상 모든 연기가 풀 후드에 흡인되는 것을 확인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실습자의 작업성을 해치는 일 없이, 극히 조금의 풍량으로 포름알데히드가스 등의 유해가스의 폭로를 현저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배기 덕트의 설치 등의 공사를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이미 설치된 실습실 및 해부대를 그대로 사용하여 간단하게 설치하고 또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높은 공조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해부실습실의 복수의 해부대의 각각에, 한결같은 공기류 송풍기구를 가지는 푸쉬 후드와 공기류 흡인기구를 가지는 풀 후드를, 한결같은 공기류의 적어도 일부가 해부대 위의 헌체에 접해서 흐르게 한 후 풀 후드에 빨려 들어가도록, 해부대와는 독립해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부실습실용 유해가스 폭로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풀 후드에 유해가스 흡착능을 가지는 필터가 내장되어 있는 해부실습실용 유해가스 폭로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풀 후드에 내장되어 있는 필터가 공기류 흡인기구보다 아랫쪽에 배치되어 있어 해부대보다 낮은 위치에서 청정화한 공기류가 실내에 배기되는 해부실습실용 유해가스 폭로방지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푸쉬 후드에도 유해가스 흡착능을 가지는 필터가 내장되어 있는 해부실습실용 유해가스 폭로방지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푸쉬 후드의 공기류 송풍 개구면 및/또는 풀 후드의 공기류 흡인 개구면의 높이가 조절가능하게 되어 있는 해부실습실용 유해가스 폭로방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높이조절이 개구면의 이중구조 또는 개구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한 차폐판으로 행해지는 해부실습실용 유해가스 폭로방지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높이조절이 풀 후드 및/또는 푸쉬 후드의 하부에 배치한 높이조절용의 베이스부에 의해서 행해지는 해부실습실용 유해가스 폭로방지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푸쉬 후드와 풀 후드가 각 해부대의 직사각형의 긴쪽 방향의 양단에 대향해 배치되어 있는 해부실습실용 유해가스 폭로방지장치.
  9. 제1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개의 푸쉬 후드가 각 해부대보다 상부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 해부대가 적어도 직사각형의 긴쪽 방향의 양단 외측에 대향하여 한쌍의 풀 후드가 배치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 한결같은 공기류를 하강류로서 흐르도록한 해부실습실용 유해가스 폭로방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각 해부대의 단변 방향의 양단에도 대향하여 한쌍의 풀 후드가 배치되어 있는 해부실습실용 유해가스 폭로방지장치.
KR1020087024233A 2006-03-22 2006-10-30 해부실습실용 유해가스 폭로방지장치 KR101231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78035A JP2007252453A (ja) 2006-03-22 2006-03-22 解剖実習室用有害ガス曝露防止装置
JPJP-P-2006-078035 2006-03-22
PCT/JP2006/322062 WO2007108160A1 (ja) 2006-03-22 2006-10-30 解剖実習室用有害ガス曝露防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213A true KR20090012213A (ko) 2009-02-02
KR101231753B1 KR101231753B1 (ko) 2013-02-08

Family

ID=38522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4233A KR101231753B1 (ko) 2006-03-22 2006-10-30 해부실습실용 유해가스 폭로방지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90156112A1 (ko)
EP (1) EP2002790A4 (ko)
JP (1) JP2007252453A (ko)
KR (1) KR101231753B1 (ko)
CN (1) CN101400307B (ko)
AU (1) AU2006340491B2 (ko)
CA (1) CA2646501C (ko)
WO (1) WO20071081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01872B2 (ja) * 2009-05-02 2016-04-13 株式会社山岸工業 病理検査室用脱臭システム
JP5787336B2 (ja) * 2010-02-17 2015-09-30 株式会社テクノ菱和 解剖台換気システム
MY162849A (en) * 2010-06-30 2017-07-31 Koken Kk Air blowing device
US10126000B2 (en) * 2012-05-03 2018-11-13 Broan-Nutone Llc Downdraft ventilation systems and methods
CN102793569B (zh) * 2012-06-15 2014-09-10 中国人民解放军第四军医大学 一种防止解剖过程中甲醛对教学人员危害的装置
FR3065177B1 (fr) * 2017-04-18 2021-12-03 Osmose Dispositif d'extraction de vapeurs ou poudres toxiques et procede de mise en oeuvre
US11291967B2 (en) 2019-03-18 2022-04-05 Cisco Logistics, LLC Silica dust mitigation and recircul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CN114576758A (zh) * 2022-03-18 2022-06-03 江西迅特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解剖、化妆整容室智慧云新风净化控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4146A (en) * 1909-06-05 1910-07-12 James G Clark Ventilator.
GB481991A (en) * 1935-11-25 1938-03-22 Luigi Polo A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ventilation and division of the air space in an enclosure
US2209054A (en) * 1938-03-31 1940-07-23 Olive M Doud Machine for circulating clean, deodorized, and sterilized air
US3101488A (en) * 1961-07-10 1963-08-27 Peebles David Meade Air purifying and ventilating means for beds
DE1604114B1 (de) * 1965-02-23 1971-12-23 Svenska Flaektfabriken Ab Einrichtung zur aufrechterhaltung einer staub und bakterien freien zone innerhalb eines raumes
GB1190380A (en) * 1966-12-16 1970-05-06 Bell S Medical Product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Gaseously Formed Curtains
US3511162A (en) * 1969-02-20 1970-05-12 Johnson & Johnson Apparatus and method for isolating a patient zone
US3601031A (en) * 1969-09-22 1971-08-24 Litton Systems Inc Patient isolator room
US3724172A (en) * 1971-06-16 1973-04-03 W Wood Filtered air breathing zone
US3776121A (en) * 1972-06-23 1973-12-04 A Truhan Controlled environmental apparatus for industry
US3838556A (en) * 1973-04-06 1974-10-01 Med Assists Inc Air filtration device with oriented output
DE2360234C2 (de) * 1973-12-04 1982-04-15 Zinon Dr. med. 3000 Hannover Duvlis Operationsfeldreinraumerzeuger
US4140105A (en) * 1973-12-04 1979-02-20 Zinon Duvlis Gas curtain for shielding person on an operating table
DE2433768A1 (de) * 1974-07-13 1976-01-29 Zinon Dr Med Duvlis Operationsfeldreinraumerzeuger
US4063495A (en) * 1975-01-25 1977-12-20 Zinon Duvlis Contamination prevention for operating areas
US3998142A (en) * 1975-07-03 1976-12-21 Sterilaire Medical, Inc. Air circulating system for ultra clean areas
US4129122A (en) * 1977-04-27 1978-12-12 Sterilaire Medical, Inc. Patient isolation room with laminar flow feature
LU81292A1 (fr) * 1979-05-18 1980-12-16 Eni Elect Nijverheidsinstall Procede et dispositif de sterilisation d'un gaz et de protection d'une zone d'un espace contre la penetration d'agents contaminants
US4346058A (en) * 1981-04-16 1982-08-24 Ashland Coal, Inc. Dual lid type coal washability table with built-in air ventilation system
JPS59108543A (ja) * 1982-03-25 1984-06-23 ハワ−ス・エァ−・エンジニヤリング・リミテッド 解剖台
GB2117233B (en) * 1982-03-25 1985-03-13 Howorth Air Eng Ltd Autopsy table
DE3430089C2 (de) * 1984-08-16 1997-05-22 Zinon Dr Med Douvlis Verfahren zur Abgrenzung eines keimfrei zu haltenden Raumbereiches, insbesondere eines Operationsfeldes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GB8522067D0 (en) * 1985-09-05 1985-10-09 Holway J W Controlling air pollution
JPS63251741A (ja) * 1987-04-08 1988-10-19 Nagano Pref Gov Roudou Kijiyun Kyokai Rengokai 流速勾配エアカ−テン装置
JPH033307Y2 (ko) * 1987-06-30 1991-01-29
US4939804A (en) * 1989-07-24 1990-07-10 Grant William N Bed ventilating apparatus and method
US5216789A (en) * 1991-05-16 1993-06-08 Technology Application Services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ilization and/or embalmment of corpses and specimens
US5244433A (en) * 1991-06-28 1993-09-14 Utterback David F Detachable ventilation system for embalming or autopsy table
US5435781A (en) * 1993-10-25 1995-07-25 Kitchens; Richard A. Register with multiple controls
CN2173035Y (zh) * 1993-11-26 1994-08-03 中国建筑科研研究院空气调节研究所 法医专用送排风解剖台
US5759149A (en) * 1993-12-17 1998-06-02 Hill-Rom, Inc. Patient thermal support device
WO1995025250A1 (en) * 1994-03-15 1995-09-21 Medical Air Technology Corporation Source capture air filtering device
JPH08229079A (ja) * 1995-02-27 1996-09-10 Aprica Kassai Inc 介護ベッド用脱臭装置
US5649997A (en) * 1995-05-19 1997-07-22 Cavallero; Thomas Air vacuum apparatus
US5620407A (en) * 1995-06-12 1997-04-15 Chang; Elise S. Active control containment system for limiting occupational exposure to biohazardous materials
JP2828432B2 (ja) * 1995-10-31 1998-11-25 三星電子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吐出口開閉装置
US5810658A (en) * 1995-11-30 1998-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locking device for closing or opening the suction and exhaust ports in air conditioners
KR100187231B1 (ko) * 1995-12-30 1999-05-01 김광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GB2315208A (en) * 1996-07-16 1998-01-28 Donald Edward Tuffery Footstool with dust extraction
KR100187280B1 (ko) * 1996-08-28 1999-05-01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FR2757933B1 (fr) * 1996-12-27 1999-01-22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e separation dynamique de deux zones par au moins une zone tampon et deux rideaux d'air propre
JP2001061909A (ja) 1999-08-31 2001-03-13 Tokyo Giken:Kk 解剖台およびその解剖台を用いた解剖装置
SE516775C2 (sv) * 2000-06-05 2002-02-26 Jan Kristensson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tt åstadkoma ren luft i en lokal
SE521052C3 (sv) * 2001-03-20 2003-10-22 Toul Meditech Ab Luftreningsanordning avsedd för rening av luft i känsliga miljöer, förfarande för att anordna luftrening i känsliga miljöer samt användning av nämnda luftreningsanordning
US20030033790A1 (en) * 2001-08-14 2003-02-20 Stephen Hague Bed air purification system
JP2003061909A (ja) 2001-08-22 2003-03-04 Pentax Corp 光源装置及び電子内視鏡装置
JP2003116859A (ja) 2001-10-12 2003-04-22 Sanki Eng Co Ltd 解剖実習用の作業台およびガス除去装置
JP2003130411A (ja) * 2001-10-17 2003-05-08 Tokai Plant Eng Kk プッシュプル式換気装置
JP3966007B2 (ja) * 2002-02-08 2007-08-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睡眠カプセル
JP2004000451A (ja) * 2002-03-28 2004-01-08 Masaaki Miki 解剖台及び椅子装置、解剖のためのシステム、有害ガスの拡散防止方法
JP2003320220A (ja) 2002-04-30 2003-11-11 Tokyo Giken:Kk 実習室の空気浄化方法及び装置
SE526035C2 (sv) * 2002-09-04 2005-06-21 Johnson Medical Dev Pte Ltd System, anordning och metod för ventilation
CN1192747C (zh) * 2002-09-29 2005-03-16 游秀珍 解剖作业排气装置
JP3706099B2 (ja) * 2002-12-04 2005-10-12 株式会社東京技研 空気浄化装置を備えた作業台
US6755036B1 (en) * 2002-12-06 2004-06-29 Spex International Confined space conditioning system
US20040192186A1 (en) * 2003-03-24 2004-09-30 Precision Air Products Co. Portable air filtration apparatus
US7037188B2 (en) * 2003-04-08 2006-05-02 Halo Innovations, Inc. Systems for delivering conditioned air to personal breathing zones
US6869458B2 (en) * 2003-05-05 2005-03-22 Sanki Engineering Co., Ltd. Bioclean room unit
US7819727B2 (en) * 2004-07-08 2010-10-26 Institute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Council of Labor Affairs Push-pull type ventilation hood
JP2006141848A (ja) * 2004-11-24 2006-06-08 Natsume Seisakusho:Kk 解剖台ユニット
JP4349583B2 (ja) * 2005-04-11 2009-10-21 興研株式会社 解剖実習室用有害ガス曝露防止装置
US7934981B2 (en) * 2006-08-15 2011-05-03 William David Muggah Patient isolation module and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08160A1 (ja) 2007-09-27
EP2002790A4 (en) 2015-04-22
CN101400307B (zh) 2012-03-21
AU2006340491A1 (en) 2007-09-27
JP2007252453A (ja) 2007-10-04
AU2006340491B2 (en) 2012-09-06
EP2002790A2 (en) 2008-12-17
US20090156112A1 (en) 2009-06-18
KR101231753B1 (ko) 2013-02-08
EP2002790A9 (en) 2009-04-15
CA2646501A1 (en) 2007-09-27
CA2646501C (en) 2016-09-13
CN101400307A (zh)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1753B1 (ko) 해부실습실용 유해가스 폭로방지장치
US6328776B1 (en) Air-purifying system
CA2440748A1 (en) Air-cleaning device for sensitive environments
KR102026933B1 (ko) 교실 환기시스템
JP2011226770A (ja) 空調システム
JP4349583B2 (ja) 解剖実習室用有害ガス曝露防止装置
JP2551923Y2 (ja) クリーンルーム
KR20210063916A (ko) 공기청정형 디퓨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실내공기청정시스템
WO2022114148A1 (ja) 汚染物制御システム、還気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40025548A (ko) 공기 조화기
CN2382989Y (zh) 一种自净化风口装置
CN107560051A (zh) 一种防止疾病交叉感染的分布式恒氧新风系统
KR20210125383A (ko) 공기청정 가능한 책상
JP4087170B2 (ja) 空気清浄装置
JPH0466034A (ja) 動物飼育装置
JP3229933U (ja) 排気装置付きトレーラーハウス
JP2005201488A (ja) ゾーン浄化システム
CN216592072U (zh) 一种电梯的新风换气装置
KR20200068438A (ko) 실내 하류공기를 배기하는 창문형 열교환 공기정화 시스템
CN215490219U (zh) 一种污水站房空气快速净化装置
CN105737282A (zh) 引入新风的吸顶照明空气净化系统
WO2022114151A1 (ja) 気流制御システム
CN218496387U (zh) 一种可调节型吹吸式通风实验系统
CN114562785A (zh) 回风装置以及带有回风装置的空气净化系统
JP3420722B2 (ja) 局所空気清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