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787A - 화상독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독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787A
KR20090010787A KR1020070074165A KR20070074165A KR20090010787A KR 20090010787 A KR20090010787 A KR 20090010787A KR 1020070074165 A KR1020070074165 A KR 1020070074165A KR 20070074165 A KR20070074165 A KR 20070074165A KR 20090010787 A KR20090010787 A KR 20090010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ocument
scan unit
scanning
sc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0933B1 (ko
Inventor
김신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4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0933B1/ko
Priority to US12/118,878 priority patent/US8345320B2/en
Priority to CN2008100999405A priority patent/CN101355621B/zh
Publication of KR20090010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787A/ko
Priority to US13/690,596 priority patent/US2013008876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04N1/121Feeding arrangements
    • H04N1/1215Feeding using one or more cylindrical platens or rollers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the main scanning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04N1/121Feeding arrangements
    • H04N1/1225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between the sheet and the image sensor, e.g. press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2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 H04N1/193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electrically scanned linear arrays, e.g. linear CCD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203Simultaneous scanning of two or more separate pictures, e.g. two sides of the same she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203Simultaneous scanning of two or more separate pictures, e.g. two sides of the same sheet
    • H04N1/2032Simultaneous scanning of two or more separate pictures, e.g. two sides of the same sheet of two pictures corresponding to two sides of a single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단면 스캔 동작을 수행할 때 불필요하게 부품이 마모되거나 원고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독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화상독취장치는 원고의 제1면을 스캐닝하는 제1스캔유닛과 제1스캔유닛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제1가압부재와 원고가 제1스캔유닛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스캔유닛이나 제1가압부재를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를 가지는 제1독취부와, 원고의 제2면을 스캐닝하는 제2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제2가압부재와 원고가 제2스캔유닛에 밀착되도록 제2스캔유닛이나 제2가압부재를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를 가지는 제2독취부를 구비한다. 제2스캔유닛이나 제2가압부재는 리프팅 장치에 의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 제1탄성부재가 제1스캔유닛이나 제1가압부재를 가압하는 탄성력과 제2탄성부재가 제2스캔유닛이나 제2가압부재를 가압하는 탄성력은 서로 다르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화상독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제2스캔유닛이 스캔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제2스캔유닛이 이격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 3의 화상독취장치에서 제2독취부와 리프팅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제2가압부재가 가압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서 제2가압부재가 이격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화상독취장치 110 : 원고 자동 급지유닛
113 : 원고 이송경로 120, 120a : 제1독취부
121, 121a : 제1스캔유닛 122, 122a : 제1가압부재
123, 123a : 제1탄성부재 130, 130a : 제2독취부
131, 131a : 제2스캔유닛 132, 132a : 제2가압부재
133, 133a : 제2탄성부재 140, 150 : 리프팅 장치
141, 151 : 캠부재 200 : 인쇄장치
본 발명은 화상독취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면 스캔이 가능한 화상독취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화상 신호를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말하며, 프린터, 복사기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로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복합기는 컴퓨터 등과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정보를 인쇄하는 기능, 원고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정보를 읽어 들여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기능, 스캐닝되어 입력된 화상 정보를 인쇄하는 복사 기능 및 스캐닝된 정보를 통신 선로를 통해 원격지로 전송하는 팩시밀리 기능 등을 수행한다.
위와 같은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복합 화상형성장치에는 원고에 기록된 화상 정보를 읽어 들이는 화상독취장치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화상독취장치의 예는 한국 공개특허 제2004-0013444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화상독취장치는 양면 스캔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화상독취장치로서, 원고의 이송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후면독취부와 전면독취부를 구비한다. 후면독취부는 원고의 이송경로 상에 설치된 화이트롤러와, 이 화이트롤러에 일정한 탄성력으로 가압된 접촉이미지센서(Contact Image Sensor, CIS)를 구비하여, 화이트롤러와 CIS 사이를 지나는 원고 의 후면에 기록된 화상 정보를 독취한다. 또 전면독취부는 후면독취부의 후단에 설치된 전면독취 이미지센서를 통해 원고의 전면에 기록된 화상 정보를 독취한다. 사용자가 양면 스캔 모드를 선택하면 후면독취부와 전면독취부가 모두 동작하여 원고의 양면(전면과 후면)에 기록된 화상 정보가 스캔되며, 사용자가 단면 스캔 모드를 선택하면 후면독취부와 전면독취부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동작하여 원고의 일면(전면 또는 후면)만이 스캔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화상독취장치에서는 원고의 일면(예를 들어 원고의 전면)만이 스캔되는 단면 스캔 모드에서 원고가 후면독취부를 통과할 때 화이트롤러 및 CIS와 불필요하게 마찰하여 화이트롤러가 마모되거나 원고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고가 화이트롤러나 이미지센서와 마찰할 때 지분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지분은 이미지센서를 오염시켜 스캔 품질을 저하시키고, 또 주위의 다른 부품들을 오염시켜 동작 불량을 야기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면 스캔 동작을 수행할 때 불필요하게 부품이 마모되거나 원고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독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는 원고의 제1면을 스캐닝하는 제1스캔유닛과, 상기 제1스캔유닛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제1가압부재와, 원고가 제1스캔유닛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스캔유닛이나 상기 제1가압부재를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를 가지는 제1독취부;와 원고의 제2면을 스캐닝하는 제2스캔유닛과, 상기 제2스캔유닛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제2가압부재와, 원고가 상기 제2스캔유닛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2스캔유닛이나 상기 제2가압부재를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를 가지는 제2독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탄성부재가 상기 제1스캔유닛이나 제1가압부재를 가압하는 탄성력과 상기 제2탄성부재가 상기 제2스캔유닛이나 제2가압부재를 가압하는 탄성력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화상독취장치는 상기 제2스캔유닛과 상기 제2가압부재가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2스캔유닛이나 상기 제2가압부재를 이동시키는 리프팅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은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보다 작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화상독취장치는 상기 제1스캔유닛과 상기 제1가압부재가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스캔유닛이나 상기 제1가압부재를 이동시키는 리프팅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는 원고의 제1면을 스캐닝하는 제1스캔유닛을 가지는 제1독취부;와 원고의 제2면을 스캐닝하는 제2스캔유닛과, 상기 제2스캔유닛에 대면하도록 설치되어 원고를 상기 제2스캔유닛에 밀착시키는 가압부재와, 상기 제2스캔유닛을 상기 가압부재 쪽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가지는 제2독취부;와 상기 제2스캔유닛을 상기 가압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리프팅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독취부는 상기 제1스캔유닛에 대면하도록 설치되어 원고를 상기 제1스캔유닛에 밀착시키는 가압부재와, 상기 제1스캔유닛을 상기 제1독취부의 가압부재 쪽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독취부의 탄성부재가 상기 제1스캔유닛을 가압하는 탄성력과 상기 제2독취부의 탄성부재가 상기 제2스캔유닛을 가압하는 탄성력은 서로 다르도록 설계된다.
이 때 상기 제2독취부의 탄성부재가 상기 제2스캔유닛을 가압하는 탄성력은 상기 제1독취부의 탄성부재가 상기 제1스캔유닛을 가압하는 탄성력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프팅 장치는 상기 제2스캔유닛으로부터 이격된 제1위치와, 상기 제2스캔유닛을 가압하여 밀어 올리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는 캠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캠부재는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하고, 상기 제2스캔유닛은 상기 캠부재가 상기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는 원고가 이송되는 원고 이송경로를 가지는 화상독취장치에 있어서, 원고의 제1면을 스캐닝하는 제1스캔유닛;과 상기 원고 이송경로를 지나는 원고에 밀착되어 원고의 제2면을 스캐닝하는 제1위치와 상기 원고 이송경로를 지나는 원고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2스캔유닛;과 상기 제2스캔유닛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제2스캔유닛을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캠부재;와 상기 제2스캔유닛의 타측을 가압하여 상기 제2 스캔유닛을 상기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는 원고가 이송되는 원고 이송경로를 가지는 화상독취장치에 있어서, 원고의 제1면을 스캐닝하는 제1스캔유닛;과 원고의 제2면을 스캐닝하는 제2스캔유닛;과 상기 원고 이송경로를 지나는 원고를 상기 제2스캔유닛에 밀착시키는 제1위치와 상기 원고 이송경로를 지나는 원고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캠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의 타측을 가압하여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화상독취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독취하는 화상독취장치(100)와, 화상을 용지에 인쇄하는 인쇄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쇄장치(200)는 화상독취장치(100)에서 입력되는 신호나 PC 등과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화상을 인쇄하는 것으로, 인쇄매체인 용지(S)를 공급하는 급지유닛(210), 용지에 화상을 현상하는 현상유닛(220), 용지에 열과 압 력을 가하여 현상된 화상을 용지에 고착시키는 정착유닛(230) 및 인쇄가 끝난 용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유닛(240)을 포함한다.
급지유닛(210)은 용지(S)가 적재되는 급지트레이(211)와, 급지트레이(211)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212)을 가진다. 급지트레이(211)에 적재된 용지는 픽업롤러(213)에 의해 한 장씩 픽업되어 현상유닛(220) 쪽으로 이동된다.
현상유닛(220)은 노광유닛(250)에 의해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221), 감광드럼(221)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롤러(222), 감광드럼(221)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롤러(223), 현상롤러(223)에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롤러(224) 및 감광드럼(221)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용지에 전사하기 위해 용지를 감광드럼(221) 쪽으로 가압하는 전사롤러(2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착유닛(230)은 용지에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을 가하기 위한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231)와, 가열롤러(231)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가열롤러(231)와의 사이에 일정한 정착 압력을 유지시키는 가압롤러(232)를 구비한다.
한편 배지유닛(240)은 정착유닛(230)을 통과한 용지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일련의 배지롤러들(24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2스캔유닛이 스캔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제2스캔유닛이 이격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100)는 연속적인 스캐닝이 가능하도록 원고를 자동 급지하는 원고 자동 급지유닛(110)이 설치된 독취장치 본체(101)와, 원고 자동 급지유닛(110)을 통해 급지되는 원고로부터 화상 정보를 읽어 들이기 위한 제1독취부(120) 및 제2독취부(130)를 구비한다.
원고 자동 급지유닛(110)은 스캔될 원고가 유입되는 원고유입구(111)와, 스캔 과정을 마친 원고가 배출되는 원고배출구(112)와, 원고의 이송을 위해 독취장치 본체(101)의 내부에 형성되는 원고 이송경로(113)와, 원고 이송경로(113) 상에 배치되어 원고를 이송하는 롤러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원고유입구(111)는 독취장치 본체(101)의 일측에 형성되고, 원고배출구(112)는 원고유입구(111)의 하부에 형성된다. 원고유입구(111)의 근처에는 원고 자동 급지유닛(110)에 의해 이송될 원고(D)가 적재되는 원고급지대(114)가 마련되고, 원고배출구(112) 근처에는 스캔 과정을 마치고 배출된 원고가 적재되는 원고배지대(115)가 마련된다.
원고 이송경로(113)는 대략 C자 형태로 형성되는데, 일단이 원고유입구(111)를 통해 원고급지대(114)와 연결되고 타단이 원고배출구(112)를 통해 원고배지대(115)와 연결된다.
원고를 이송하는 롤러들은 원고급지대(114)에 적재된 원고(D)를 픽업하는 원고 픽업롤러(116), 원고 픽업롤러(116)에 의해 픽업된 원고를 원고 이송경로(113) 상에서 이송하는 제1 및 제2이송롤러(117)(118) 및 스캔을 마친 원고를 원고배지대(115)로 배출하는 배지롤러(1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롤러 중 원고 픽업롤러(116)와 가장 가까운 제1이송롤러(117)는 원고 픽업롤러(116)에서 픽업된 원고를 낱장으로 분리한다. 이를 위해 제1이송롤러(117)에 대면하여 마찰패드(117a)가 설 치된다.
제1독취부(120)와 제2독취부(130)는 제1스캔유닛(121)과 제2스캔유닛(131)을 각각 구비하여 원고 이송경로(113)를 통해 이송되는 원고로부터 화상 정보를 읽어 들인다. 단면 스캔 시에는 제1스캔유닛(121)과 제2스캔유닛(131) 중 어느 하나만이 동작하여 원고의 일면만을 스캐닝하고, 양면 스캔 시에는 제1스캔유닛(121)과 제2스캔유닛(131)이 모두 동작하여 원고의 양면을 연달아 스캐닝한다.
제1스캔유닛(121)과 제2스캔유닛(131)은 원고 이송경로(113)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스캔유닛(121)은 원고 이송경로(113)를 지나는 원고(D)의 하측에 배치되어 원고의 제1면으로부터 화상 정보를 읽어 들이고, 제2스캔유닛(131)은 원고 이송경로(113)를 지나는 원고(D)의 상측에 배치되어 원고의 제2면으로부터 화상 정보를 읽어 들인다. 이 때 제1스캔유닛(121)과 제2스캔유닛(131)은 원고에 광을 조사하여 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검출하고, 이 광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원고로부터 정보를 읽어 들이게 된다.
제1독취부(120)는 제1스캔유닛(121)에 대면하도록 설치되는 제1가압부재(122)와, 제1스캔유닛(121)을 기준으로 제1가압부재(122)의 반대쪽에 설치되어 제1스캔유닛(121)을 제1가압부재(122) 쪽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제1탄성부재(123)를 가진다. 제1가압부재(122)와 제1탄성부재(123)는 제1스캔유닛(121)을 지나는 원고(D)가 일정한 압력으로 제1스캔유닛(121)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스캔 성능을 향상시킨다.
도 4는 도 2, 3의 화상독취장치에서 제2독취부와 리프팅 장치의 구성을 도시 한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독취부(130)는 제2스캔유닛(131)에 대면하도록 설치되어 원고 이송경로(113) 상의 원고(D)를 제2스캔유닛(131)에 밀착시키는 제2가압부재(132)와, 제2스캔유닛(131)을 기준으로 제2가압부재(132)의 반대쪽에 설치되어 제2스캔유닛(131)을 제2가압부재(132) 쪽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제2탄성부재(133)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가압부재(122)와 제2가압부재(132)로서 화이트롤러가 사용된 예를 보였으나, 이 외에도 패드나 막대 형태의 가압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스캔유닛(131)은 원고 이송경로(113)를 지나는 원고(D)에 밀착되어 원고의 제2면을 스캐닝하는 스캔위치(도 2의 제2스캔유닛 참조)와 원고가 외력을 받지 않고 제2스캔유닛(131)과 제2가압부재(132)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원고(D)로부터 이격되는 이격위치(도 3의 제2스캔유닛 참조)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2스캔유닛(131)이 이격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제1스캔유닛(121)만을 이용하여 단면 스캔을 할 때 제2스캔유닛(131)과 제2가압부재(132) 사이에서 원고가 불필요하게 마찰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2스캔유닛(131)은 리프팅 장치(140)를 통해 제2가압부재(13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리프팅 장치(140)는 스캔위치에 있는 제2스캔유닛(131)을 이격위치로 이동시킨다. 리프팅 장치(140)는 제2스캔유닛(131)을 이동시키기 위한 캠부재(141)와, 이 캠부재(141)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리프팅 모터(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에서는 캠부재(141)가 리프팅 모터(142)의 회전축(142a)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리프팅 모터(142)와 캠부재(141) 사이에는 설계상의 필요에 따라 동력 전달을 위한 일련의 기어나 동력 단속을 위한 클러치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캠부재(141)는 캠축(143)과, 이 캠축(143)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회전캠(14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2스캔유닛(131)을 사이에 두고 제2탄성부재(133)의 반대편에 설치된다. 회전캠(144)은 그 회전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44a)를 가진다. 회전캠(144)은 도 2와 같이 제2스캔유닛(131)으로부터 이격된 제1위치와 도 3과 같이 돌출부(144a)가 제2스캔유닛(131)을 밀어 올리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한다.
회전캠(144)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캠(144)의 돌출부(144a)가 제2스캔유닛(131)을 가압하면 제2스캔유닛(131)은 도 2의 스캔위치에서 도 3의 이격위치로 이동하고, 이 때 제2탄성부재(133)가 압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캠(144)이 회전하여 회전캠(144)의 돌출부(144a)가 제2스캔유닛(131)에서 이격되면 제2스캔유닛(131)은 제2탄성부재(133)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스캔위치로 복귀한다. 즉 제2탄성부재(133)는 원고가 제2스캔유닛(131)에 밀착될 수 있도록 가압하는 역할을 하는 한편, 이격위치에 있는 제2스캔유닛(131)을 스캔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함께 수행한다.
한편 제2스캔유닛(131)이 스캔위치에 있을 때 제2탄성부재(133)가 제2스캔유닛(131)을 가압하는 탄성력(F2)과 제1탄성부재(123)가 제1스캔유닛(121)을 가압하는 탄성력(F1)이 서로 다르도록 설계하는 것이 좋다. 특히 탄성력(F2)가 탄성력(F1) 보다 작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스캔유닛(121)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반면에 제2스캔유닛(131)은 스캔위치와 이격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한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즉 제2스캔유닛(131)을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133)의 탄성력이 강하면 리프팅 장치(140)가 제2스캔유닛(131)을 이격위치로 이동시킬 때 전력이 많이 소모되고, 제2탄성부재(133)의 탄성력에 의해 제2스캔유닛(131)이 스캔위치로 복귀할 때 제2스캔유닛(131)과 제2가압부재(132)가 강하게 충돌하여 손상될 수 있으므로 스캔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범위에서 이러한 문제점들이 최소화될 수 있게 탄성력(F2)가 탄성력(F1) 보다 작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양면 스캔 동작을 설명한다. 양면 스캔 명령이 입력되면, 리프팅 장치(140)의 캠부재(141)는 제2스캔유닛(131)으로부터 이격된 제2위치에 위치되고, 이에 따라 제2스캔유닛(131)은 스캔위치에 있게 된다. 스캔 동작이 시작되면 원고 픽업롤러(116)에 의해 원고가 픽업되고, 픽업된 원고는 제1이송롤러(117) 및 제2이송롤러(118)를 통해 제1독취부(120) 쪽으로 이송된다. 제1독취부(120)에 이른 원고는 제1스캔유닛(121)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1스캔유닛(121)과 제1가압부재(122) 사이를 통과하고, 이 때 제1스캔유닛(121)에 의해 원고의 제1면이 스캐닝된다. 제1독취부(120)를 통과한 원고는 제2독취부(130) 쪽으로 이송되고, 제2스캔유닛(131)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2스캔유닛(131)과 제2가압부재(132) 사이를 통과하는데, 이 때 제2스캔유닛(131)에 의해 원고의 제2면이 스캐닝된다. 이러한 양면 스캔 과정을 마친 원고는 배지롤러(119)에 의해 원고배지대(115)로 배출된다.
다음 도 3를 참조하여 단면 스캔 동작을 설명한다. 단면 스캔 명령이 입력되면, 리프팅 장치(140)의 캠부재(141)는 180도 회전하여 제2스캔유닛(131)을 가압함으로써 제2스캔유닛(131)을 이격위치로 이동시킨다. 스캔 동작이 시작되면 원고(D)는 원고 픽업롤러(116), 제1 및 제2이송롤러(117)(118)를 거쳐 제1독취부(120)로 이송된다. 제1독취부(120)에 이른 원고는 제1스캔유닛(121)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1스캔유닛(121)과 제1가압부재(122) 사이를 통과하고, 이 때 제1스캔유닛(121)에 의해 원고의 제1면이 스캐닝된다. 제1독취부(120)를 통과한 원고는 제2독취부(130) 쪽으로 이송되는데, 제2독취부(130)에서 제2스캔유닛(131)과 제2가압부재(132)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원고(D)는 제2스캔유닛(131)이나 제2가압부재(132)와 마찰하는 일 없이 원활하게 제2독취부(130)를 통과하여 원고배지대(115)로 배출된다. 한편 단면 스캔 동작이 끝나면 캠부재(141)는 180도 회전하여 도 2와 같은 상태로 복귀하며, 제2스캔유닛(131)은 제2탄성부재(133)의 탄성력에 의해 스캔위치로 복귀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에서 일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2가압부재가 가압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제2가압부재가 이격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제1스캔유닛과 제2스캔유닛이 모두 고정 설치되고, 리프팅 장치가 제2가압부재를 이동시킨다는 점에서 도 2, 3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3과 비교하여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사항만을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1독취부(120a)는 원고의 제1면을 스캐닝하는 제1스캔유닛(121a), 원고를 제1스캔유닛(121a)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제1스캔유닛(121a)에 대면하여 설치되는 제1가압부재(122a) 및 제1가압부재(122a)를 제1스캔유닛(121a) 쪽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제1탄성부재(123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제2독취부(130a)는 원고의 제2면을 스캐닝하는 제2스캔유닛(131a), 원고를 제2스캔유닛(131a)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제2스캔유닛(131a)에 대면하여 설치되는 제2가압부재(132a) 및 제2가압부재(132a)를 제2스캔유닛(131a) 쪽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제2탄성부재(133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가압부재(132a)는 원고 이송경로(113)를 지나는 원고(D)가 제2스캔유닛(131a)에 밀착될 수 있도록 원고를 가압하는 가압위치(도 5 참조)와 제2스캔유닛(131a)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는 이격위치(도 6참조)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양면 스캔 시에 제2가압부재(132a)는 가압위치에 위치되어 제2탄성부재(133a)의 탄성력에 의해 원고를 가압함으로써 제2스캔유닛(131a)을 통한 스캐닝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 단면 스캔 시에 제2가압부재(132a)는 이격위치에 위치되어 원고 이송경로(113)를 넓게 개방함으로써 원고(D)가 제2스캔유닛(131a)과 제2가압부재(132a)와 불필요하게 마찰하지 않도록 한다.
제2가압부재(132a)는 캠부재(151)를 가지는 리프팅 장치(150)에 의해 가압위치에서 이격위치로 이동된다. 리프팅 장치(150)의 캠부재(151)는 제2가압부재(132a)를 사이에 두고 제2탄성부재(133a)의 반대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캠부재(151)가 회전함에 따라 캠부재(151)의 돌출부(151a)가 제2가압부재(132a)에 접촉하면 캠부재(151)는 제2탄성부재(133a)를 압축시키면서 제2가압부재(132a)를 밀어 올린다. 이러한 상태에서 캠부재(151)가 회전하여 돌출부(151a)가 제2가압부재(132a)로부터 이격되면 제2탄성부재(133a)의 탄성력에 의해 제2가압부재(132a)가 가압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도 2, 3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이유로 제2가압부재(132a)가 가압위치에 있을 때 제2탄성부재(133a)가 제2가압부재(132a)를 가압하는 탄성력은 제1탄성부재(123a)가 제1가압부재(122a)를 가압하는 탄성력보다 작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도 3, 도 5 및 도 6에서는 리프팅 장치가 제2독취부의 스캔유닛이나 가압부재를 이동시키는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제1독취부의 스캔유닛이나 가압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리프팅 장치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제1독취부와 제2독취부 중 어느 것을 이용하여 단면 스캔을 할 것인지를 선택하게 되고, 선택되지 않은 독취부에 대한 리프팅 장치가 동작하여 스캔유닛과 가압부재를 이격시키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원고가 단면 스캔 시에 스캔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부품과 불필요하게 마찰하는 일이 없게 된다. 따라서 원고 이송경로 상에 배치된 부품들이 불필요하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부품의 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스캔 과정에서 원고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원고가 스캔유닛이나 가압부재와 마찰할 때 발생하는 지분에 의해 부품 들이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12)

  1. 원고의 제1면을 스캐닝하는 제1스캔유닛과, 상기 제1스캔유닛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제1가압부재와, 원고가 제1스캔유닛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스캔유닛이나 상기 제1가압부재를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를 가지는 제1독취부;와
    원고의 제2면을 스캐닝하는 제2스캔유닛과, 상기 제2스캔유닛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제2가압부재와, 원고가 상기 제2스캔유닛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2스캔유닛이나 상기 제2가압부재를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를 가지는 제2독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탄성부재가 상기 제1스캔유닛이나 제1가압부재를 가압하는 탄성력과 상기 제2탄성부재가 상기 제2스캔유닛이나 제2가압부재를 가압하는 탄성력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캔유닛과 상기 제2가압부재가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2스캔유닛이나 상기 제2가압부재를 이동시키는 리프팅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은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캔유닛과 상기 제1가압부재가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스캔유닛이나 상기 제1가압부재를 이동시키는 리프팅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5. 원고의 제1면을 스캐닝하는 제1스캔유닛을 가지는 제1독취부;와
    원고의 제2면을 스캐닝하는 제2스캔유닛과, 상기 제2스캔유닛에 대면하도록 설치되어 원고를 상기 제2스캔유닛에 밀착시키는 가압부재와, 상기 제2스캔유닛을 상기 가압부재 쪽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가지는 제2독취부;와
    상기 제2스캔유닛을 상기 가압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리프팅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독취부는 상기 제1스캔유닛에 대면하도록 설치되어 원고를 상기 제1스캔유닛에 밀착시키는 가압부재와, 상기 제1스캔유닛을 상기 제1독취부의 가압부재 쪽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독취부의 탄성부재가 상기 제1스캔유닛을 가압하는 탄성력과 상기 제2독취부의 탄성부재가 상기 제2스캔유닛을 가압하는 탄성력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독취부의 탄성부재가 상기 제2스캔유닛을 가압하는 탄성력은 상기 제1독취부의 탄성부재가 상기 제1스캔유닛을 가압하는 탄성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장치는 상기 제2스캔유닛으로부터 이격된 제1위치와, 상기 제2스캔유닛을 가압하여 밀어 올리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는 캠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는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하고, 상기 제2스캔유닛은 상기 캠부재가 상기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10. 원고가 이송되는 원고 이송경로를 가지는 화상독취장치에 있어서,
    원고의 제1면을 스캐닝하는 제1스캔유닛;과
    상기 원고 이송경로를 지나는 원고에 밀착되어 원고의 제2면을 스캐닝하는 제1위치와 상기 원고 이송경로를 지나는 원고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2스캔유닛;과
    상기 제2스캔유닛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제2스캔유닛을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캠부재;와
    상기 제2스캔유닛의 타측을 가압하여 상기 제2스캔유닛을 상기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11. 원고가 이송되는 원고 이송경로를 가지는 화상독취장치에 있어서,
    원고의 제1면을 스캐닝하는 제1스캔유닛;과
    원고의 제2면을 스캐닝하는 제2스캔유닛;과
    상기 원고 이송경로를 지나는 원고를 상기 제2스캔유닛에 밀착시키는 제1위치와 상기 원고 이송경로를 지나는 원고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캠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의 타측을 가압하여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화상독취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70074165A 2007-07-24 2007-07-24 화상독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430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165A KR101430933B1 (ko) 2007-07-24 2007-07-24 화상독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12/118,878 US8345320B2 (en) 2007-07-24 2008-05-12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08100999405A CN101355621B (zh) 2007-07-24 2008-05-22 图像读取装置及具有该图像读取装置的成像设备
US13/690,596 US20130088761A1 (en) 2007-07-24 2012-11-30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165A KR101430933B1 (ko) 2007-07-24 2007-07-24 화상독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787A true KR20090010787A (ko) 2009-01-30
KR101430933B1 KR101430933B1 (ko) 2014-08-18

Family

ID=40295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165A KR101430933B1 (ko) 2007-07-24 2007-07-24 화상독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345320B2 (ko)
KR (1) KR101430933B1 (ko)
CN (1) CN10135562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3701A1 (en) * 2013-12-18 2015-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o convey a docu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499B1 (ko) * 2008-10-23 2013-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독취장치 및 방법
JP5353782B2 (ja) * 2009-03-31 2013-11-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4935846B2 (ja) * 2009-03-31 2012-05-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TWI384861B (zh) * 2009-06-05 2013-02-01 Teco Image Sys Co Ltd 影像讀取裝置之影像感測器及具雙影像感測器之影像讀取裝置
JP5720161B2 (ja) 2010-09-30 2015-05-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CN102025883A (zh) * 2010-12-20 2011-04-20 东莞市金翔电器设备有限公司 可实现双面扫描图像自动快速区分裁剪的方法
US8649073B2 (en) * 2011-06-10 2014-02-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figurable scanner assembly
JP5472219B2 (ja) * 2011-06-30 2014-04-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5287943B2 (ja) * 2011-06-30 2013-09-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6176172B2 (ja) * 2014-03-31 2017-08-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6721863B2 (ja) * 2016-08-05 2020-07-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2761B2 (ja) * 1993-02-24 2002-07-15 株式会社リコー 本原稿読み取り装置
JPH09205516A (ja) * 1996-01-29 1997-08-05 Brother Ind Ltd 画像読取記録装置
US7110148B2 (en) * 2000-12-28 2006-09-19 Canon Kabushiki Kaisha Duplex image reading apparatus
US7202983B2 (en) * 2001-08-22 2007-04-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apparatus
KR20040013444A (ko) * 2002-08-06 200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독취가 가능한 화상 스캐닝 유니트 및 그 구동방법
JP2004294541A (ja) * 2003-03-25 2004-10-21 Brother Ind Ltd 熱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210630B2 (en) * 2003-11-10 2007-05-01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scanning apparatus and a hybrid process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image scanning apparatus
KR100653053B1 (ko) * 2005-06-30 2006-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센서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화상형성장치
KR200413444Y1 (ko) 2006-01-27 2006-04-07 조이근 전동식 리프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3701A1 (en) * 2013-12-18 2015-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o convey a document
US9522796B2 (en) 2013-12-18 2016-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o convey a doc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27738A1 (en) 2009-01-29
KR101430933B1 (ko) 2014-08-18
CN101355621A (zh) 2009-01-28
CN101355621B (zh) 2011-10-19
US8345320B2 (en) 2013-01-01
US20130088761A1 (en) 201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0787A (ko) 화상독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20080193181A1 (en)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6029970A (en) Automatic paper feeding device in a multifunctional machine
US8456719B2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image reading device having the s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200004180A1 (en) Rotatable cam gear to rotate an alignment member between an alignment position and transport-allowing position
US9522796B2 (en)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o convey a document
JP2017112520A (ja) 画像読取装置
US20080199241A1 (en) Printing medium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137014B2 (en) Duplex printing apparatus
WO2004089795A1 (ja) 記録媒体排出機構及びその記録媒体排出機構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8550454B2 (en) Sheet detection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5293124A (zh) 原稿输送装置和图像形成装置
KR101043393B1 (ko) 화상형성장치
KR100189762B1 (ko) 원고와 인쇄 용지의 복합 자동 급지 장치
KR19980065861A (ko) 잉크-젯 프린터와 셔틀 스캐너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복합장치
JP2000327168A (ja) 原稿搬送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KR100208800B1 (ko) 잉크 젯 팩스장치
JP4615437B2 (ja) 画像読取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9280343A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200420559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313145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3252461A (ja) 画像形成装置の用紙給紙機構
JP2008275773A (ja) 原稿読取り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H10265083A (ja) シート材搬送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H0654140A (ja) 情報入出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