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805A -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805A
KR20090009805A KR1020087025025A KR20087025025A KR20090009805A KR 20090009805 A KR20090009805 A KR 20090009805A KR 1020087025025 A KR1020087025025 A KR 1020087025025A KR 20087025025 A KR20087025025 A KR 20087025025A KR 20090009805 A KR20090009805 A KR 20090009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top
resin member
sheet
mold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5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시 야스하라
Original Assignee
선아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아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선아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9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8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8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f rectilinearly movable switches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21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9/00Producing buttons or semi-finished parts of 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5Solid
    • B29K2105/253Preform
    • B29K2105/256Sheets, plates, blanks or fil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2Actuators integral with membr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2Actuators integral with membrane
    • H01H2221/004U-shaped openings surrounding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08Die sta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44Injection mou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5Forming; Half-pun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수지부재를, 제 1 성형틀 및 제 2 성형틀을 이용하여, 제 1 성형틀 및/또는 제 2 성형틀에 형성되어 있는 입체형상을 수지부재에 형압하여, 입체형상의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에 일체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입체형상의 키 톱이 갖는 제 1 성형틀에 대향하는 제 1 면과 제 2 성형틀에 대향하는 제 2 면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갖는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을 제조하는 방법{METHOD PRODUCING KEY TOP FOR PUSH BUTTON SWITCH}
본 발명은,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PDA), 리모트 콘트롤 등의 누름버튼 스위치용의 키 톱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연속적으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누름버튼 스위치용의 박형 키 톱을 제조할 수 있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PDA), 리모트 콘트롤 등의 누름버튼 스위치에서는, 가압부가 되는 키 톱과,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체에 의해 형성된 키 베이스로 이루어지는 키 시트가 휴대 전화 등의 내부의 회로 기판에 조립되고, 키 톱을 가압함에 의해 회로가 개폐되고, 스위치 기능을 다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근래, 휴대 전화 등의 소형화 및 휴대화에 수반하여, 누름버튼 스위치, 특히,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시트의 키 톱의 소형화, 박형화 및 경량화의 요망이 강해지고 있다.
여기서, 누름버튼 스위치용의 키 톱을 포함하는 키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형상 정밀도, 치수 정밀도, 형(型) 표면의 전사(傳寫) 정밀도가 높은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누름버튼 스위치용의 박형 키 톱을 포함하는 키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소정의 디자인이 인쇄된 수지 필름과 용융한 합성 수지를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하고, 누름버튼 스위치용의 박형 키 톱을 포함하는 키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2-197932호 공보
그러나, 근래, 휴대 전화 등의 소형화 및 휴대화에 수반하는 키 시트, 특히, 키 톱의 박형화에 대해서는, 사출 성형시에 있어서의 용융 수지의 유동성의 악화에 의한 충전 불량, 웰드의 발생에 의한 균열 및 외관 불량 등에 의해, 소망하는 박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의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에서는, 박형화를 도모하는 것이지만 사출 성형을 행하기 때문에, 상술한 사출 성형 특유의 성형 불량을 제조 기술자의 경험이나 육감에 의해 해결하여야 하며, 간이한 누름버튼 스위치용 박형 키 톱의 제조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휴대 전화 등의 라이프 사이클의 단축화, 디자인의 다양화 등 때문에, 빈번하게 설계 변경이 행하여지므로, 간이하게, 또한, 저비용으로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누름버튼 스위치용 박형 키 톱의 제조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안정하게 저비용으로, 또한, 수율을 향상시키는 누름버튼 스위치용 박형 키 톱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성형 과정에서의 미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이하고, 또한, 연속적으로 제조 가능한 누름버튼 스위치용 박형 키 톱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설계 변경에 수반하는 비용을 최소한으로 억제한 설계 변경을 행할 수 있는 누름버튼 스위치용 박형 키 톱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을 제조하는 방법에서는,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수지부재를, 제 1 성형틀 및 제 2 성형틀을 이용하여, 제 1 성형틀 및/또는 제 2 성형틀에 형성되어 있는 입체형상을 수지부재에 형압(型押)하여, 입체형상의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에 일체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입체형상의 키 톱이 갖는 제 1 성형틀에 대향하는 제 1 면과 제 2 성형틀에 대향하는 제 2 면 사이를 소정의 간격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가열체에 의해, 수지부재를 제 1 온도로 가열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온도로 가열된 상기 수지부재를, 제 1 성형틀 및 제 2 성형틀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성형틀 및/또는 상기 제 2 성형틀에 형성되어 있는 입체형상을 상기 수지부재에 형압하여, 입체형상의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에 일체 성형하는 공정과,
일체 성형된 상기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를 소정의 제 2 온도로 냉각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온도로 냉각된 상기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입체형상의 키 톱의 주위에 따라 적어도 일부에 슬릿을 형성하는 공정과,
형성된 슬릿을 갖는 일체 성형된 상기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를 가식(加飾)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입체형상의 키 톱은 상기 제 1 성형틀에 대향하는 제 1 면과 상기 제 2 성형틀에 대향하는 제 2 면을 가지며,
상기 키 톱의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갖고 있다.
도 1A는 수지부재(100)를 가열체(110, 112)에 의해 가열하는 공정의 개념도.
도 1B는 가열 공정에서 가열되는 수지부재(100)의 평면도.
도 2의 A는 성형틀(130, 140)을 이용하여 입체형상의 키 톱(120)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102)에 형압하는 공정의 개념도.
도 2의 B는 성형 공정에서 형압된 입체형상의 키 톱(120)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102)의 평면도.
도 3A는 슬릿 형성 공정에서 키 톱(120)의 주위에 따라 슬릿(150)이 형성된 키 톱(120)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102)를 도시하는 도면.
도 3B는 슬릿 형성 공정에서 슬릿(150)이 형성된 입체형상의 키 톱(120)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102)의 평면도.
도 4A는 분리 공정에서 키 톱(120)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102)로 부터 분리된 키 톱(120)을 도시하는 도면.
도 4B는 분리 공정에서 분리된 키 톱(120)의 평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양태에 의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120)의 평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양태에 의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120)의 정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양태에 의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른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220)을 포함하는 수지부재(202)의 평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양태에 의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른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220)을 포함하는 수지부재(202)의 정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양태에 의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320)을 포함하는 수지부재(302)의 평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양태에 의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320)을 포함하는 수지부재(302)의 정면도.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 수지부재
120, 220, 320 : 키 톱
110, 112 : 가열체
130, 140 : 성형틀
150, 250 : 슬릿
160, 260 : 연결부
본 발명에 관한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을 제조하는 방법은, 가열체에 의해, 수지부재를 제 1 온도로 가열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온도로 가열된 상기 수지부재를, 제 1 성형틀 및 제 2 성형틀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성형틀 및/또는 상기 제 2 성형틀에 형성되어 있는 입체형상을 상기 수지부재에 형압하여, 입체형상의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에 일체 성형하는 공정과, 일체 성형된 상기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를 소정의 제 2 온도로 냉각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온도로 냉각된 상기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입체형상의 키 톱의 주위에 따라 적어도 일부에 슬릿을 형성하는 공정과, 형성된 슬릿을 갖는 일체 성형된 상기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를 가식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입체형상의 키 톱은 상기 제 1 성형틀에 대향하는 제 1 면과 상기 제 2 성형틀에 대향하는 제 2 면을 가지며, 상기 키 톱의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는 소정의 간격이다.
상술한 발명에 의하면, 제 1 온도로 가열된 수지부재를, 제 1 성형틀 및 제 2 성형틀을 이용하여, 제 1 성형틀 및/또는 제 2 성형틀에 형성되어 있는 입체형상을 수지부재에 형압하여, 입체형상의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에 일체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하기 때문에, 사출 성형 특유의 성형 불량을 해소하기 위한 성형 과정에 있어서의 미조정을 행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소망하는 형상 정밀도 및 치수 정밀도를 갖는 누름버튼 스위치용 박형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 형상의 수지부재에, 간이하게, 또한 안정하게 일체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일체 성형된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를 소정의 제 2 온도로 냉각하는 공정과, 제 2 온도로 냉각된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에 있어서, 입체형상의 키 톱의 주위에 따라 적어도 일부에 슬릿을 형성하는 공정과, 형성된 슬릿을 갖는 일체 성형된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를 가식하는 공정을 포함하기 때문에, 냉각된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를 정밀도 좋게, 키 톱의 주위에 따라 슬릿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키 톱이 시트형상의 수지부재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입체형상의 키 톱의 주위에 따라 슬릿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결과,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를 일체적으로 가식할 수 있고, 또한, 가식 후에 있어서 키 톱을 시트형상의 수지부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切離)할 수 있다.
여기서, 키 톱이 시트형상의 수지부재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최대한으로 슬릿을 키 톱의 주위에 따라 형성한 경우, 가식된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는, 키 톱을 시트형상의 수지부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키 톱의 측면까지 효율 좋게 가식할 수 있다. 또한, 최대한으로 슬릿을 키 톱의 주위에 따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도, 예를 들면, 키 톱의 주위에 따라, 사방중 한쪽에 키 톱과 수지부재 사이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마련하고, 연결부 이외의 키 톱의 주위 3방향에 따라 슬릿을 형성한 때는, 키 톱을 포함하는 수지부재를 가식한 후, 키 톱과 시트형상의 수지부재를 분리하지 않고 키 톱을 포함하는 수지부재로 할 수 있다. 이 결과, 키 톱을 포함하는 수지부재 를, 연결부가 힌지 기구의 역할을 다하고, 키 톱이 시트형상의 수지부재에 대해 요동 가능한 키 톱을 포함하는 키 시트로서, 간이하게, 또한, 일련의 공정을 연속적으로, 안정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수지부재를 가열하고, 제 1 성형틀 및 제 2 성형틀을 이용하여 형압하여, 입체형상의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에 일체 성형하고, 냉각하고, 키 톱의 주위에 따라 적어도 일부에 슬릿을 형성하고, 가식함에 의해, 소망하는 형상 정밀도 및 치수 정밀도를 갖는 누름버튼 스위치용 박형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를, 미조정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간이하게, 또한, 일련의 공정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 결과, 누름버튼 스위치용 박형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를, 안정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수율도 향상하고, 양산화도 가능하게 되고,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사출 성형과 달리, 누름버튼 스위치용 박형 키 톱의 설계 변경에 즈음하여서도, 형압에 이용하는 제 1 성형틀과 제 2 성형틀에 형성되어 있는 키 톱의 입체형상을 변경함에 의해 대응할 수 있고, 사출 성형틀의 2면을 맞추는 것 같은 면 정밀도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사출 성형틀과 비교하여 성형틀의 비용도 염가로 되기 때문에, 설계 변경에 수반하는 비용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설계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지부재의 수지」로서는, 특히 한정된 것이 아니고, 공지의 합성 수지가 알맞게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스티렌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및 그 변성 수지 등의 공지의 합성 수지를 들 수 있 다. 또한, 키 톱으로서 투광성을 갖는 수지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알맞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관한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가식된 시트형상의 수지부재로부터, 입체형상의 키 톱을 분리하는 공정을 또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발명에 의하면, 최대한으로 슬릿이 키 톱의 주위에 따라 형성됨에 의해, 가식된 키 톱을 시트형상의 수지부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가열체에 의해 수지부재를 제 1 온도로 가열하는 공정과, 제 1 온도로 가열된 수지부재를, 제 1 성형틀 및 제 2 성형틀을 이용하여, 제 1 성형틀 및/또는 제 2 성형틀에 형성되어 있는 입체형상을 수지부재에 형압하여, 입체형상의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에 일체 성형하는 공정과, 일체 성형된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를 가식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입체형상의 키 톱은 제 1 성형틀에 대향하는 제 1 면과 제 2 성형틀에 대향하는 제 2 면을 가지며, 키 톱의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를 소정의 간격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발명에 의하면, 사출 성형 특유의 웰드 등이 생기는 일 없이 성형된 누름버튼 스위치용 박형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를, 키 톱을 포함하 는 키 시트로서, 간이하게, 또한, 일련의 공정을 연속적으로, 안정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 1 성형틀과 제 2 성형틀은, 가열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발명에 의하면, 제 1 성형틀과 제 2 성형틀은 가열체이기 때문에, 수지부재를 가열함과 함께, 형압하여, 입체형상의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에 일체 성형하고, 그 후, 가식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가열부터 가식까지의 일련의 공정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 결과, 각 공정 사이에 있어서의 작업이 간소화되고, 장치의 소형화, 나아가서는, 박형화된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를, 안정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수율도 향상하고, 양산화도 가능하게 되고,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상술한 발명에 의하면, 수지부재를 가열하고, 제 1 성형틀 및 제 2 성형틀을 이용하여 형압하여, 입체형상의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에 일체 성형하고, 가식함에 의해, 소망하는 형상 정밀도 및 치수 정밀도를 갖는 누름버튼 스위치용 박형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를, 미조정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간이하게, 또한, 일련의 공정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 결과, 박형화된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를, 안정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수율도 향상하고, 양산화도 가능하게 되고,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사출 성형과 달리, 누름버튼 스위치용 박형 키 톱의 설계 변경에 즈음하여서도, 형압에 이용하는 제 1 성형틀과 제 2 성형틀에 형성되어 있는 키 톱의 입체형상을 변경함에 의해 대응할 수 있고, 사출 성형틀의 2면을 맞추는 것 같은 면 정밀도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사출 성형틀과 비교하여 성형틀의 비용도 염가로 되기 때문에, 설계 변경에 수반하는 비용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설계 변경을 행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형태의 설명
<<제 1 실시 형태>>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은, 사출 성형법을 이용하는 일 없이, 시트형상의 수지부재(100)를 가열한 후, 형압을 행하여, 입체형상의 키 톱(120)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102)에 일체 성형함에 의해, 누름버튼 스위치용 박형 키 톱을 제조하는 것이다.
도 1은 수지부재(100)를 가열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1A는 수지부재(100)를 가열체(110, 112)에 의해 가열하는 공정의 개념도이고, 도 1B는 본 공정에서 가열된 수지부재(100)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수지부재를 형압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의 A는 성형틀(130, 140)을 이용하여 입체형상의 키 톱(120)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102)에 형압하는 공정의 개념도이고, 도 2의 B는 본 공정에서 형압된 입체형상의 키 톱(120)을 포함하는 시트형 상의 수지부재(102)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형압된 입체형상의 키 톱(120)의 주위에 따라 슬릿(150)을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3A는 도시하지 않은 슬릿 형성 수단에 의해 입체형상의 키 톱(120)의 주위에 따라 슬릿(150)이 형성된 키 톱(120)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102)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B는 본 공정에서 슬릿(150)이 형성된 입체형상의 키 톱(120)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10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키 톱(120)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102)로부터 키 톱(120)을 분리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4A는 본 공정에서 키 톱(120)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102)로부터 분리된 키 톱(120)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B는 본 공정에서 분리된 키 톱(120)의 평면도이다.
<가열 공정>
도 1A 및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부재(l00)를 준비하고, 가열체(110과 112) 사이에 끼우고, 수지부재(100)가 연화 상태가 될 때까지 가열한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의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을 제조하는 경우, 수지부재(100)로서는 폭 100㎜ 내지 150㎜, 두께 1㎜의 직사각형 부재를, 재료로서는 충격 강도가 매우 크고, 내열성, 내한성, 치수 안정성에 우수하고,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알맞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지부재(100)를 연화시키기 위해, 가열체(110과 112) 사이에 수지부재(100)를 끼워서 가열하였지만, 수지부재(100)를 가열체에 접촉시키지 않고 가열하는 방법, 예를 들면, 원적외선 파장의 할로겐 램프에 의해 가열하는 방법이나, 가압하지 않고 가열체에 재치함에 의해 가 열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열체(110, 112)의 가열 온도는, 수지부재(100)의 두께 등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 들면, 두께 1㎜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부재인 경우, 열변형 온도(가중 휨 온도)가 132℃(1.81MPa)이고, 가열체(110, 112)를 이용하여, 수지부재(100)를 연화 상태로 할 수 있는 온도로 가열하다. 따라서, 수지부재(100)를 연화 상태로 하기 위해, 가열체(110, 112)의 가열 온도 및 압력, 수지부재(100)의 두께, 수지부재의 재료, 가열 시간 등에 의해, 수지부재(10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성형 공정과 연속한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이 가능해진다.
또한, 후술하는 성형 공정에서 이용되는 성형틀(130, 140)을, 가열체(110, 112)로 함에 의해, 가열 공정과 성형 공정을 단일 공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가열 공정과 성형 공정 사이에 있어서의 작업이 간소화되고, 장치의 소형화, 나아가서는, 누름버튼 스위치용 박형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를, 안정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수율도 향상하고, 양산화도 가능하게 되고,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수지부재의 두께는 매우 얇기 때문에, 가열체에 부착하고 떼어낼 때 휨이나 늘어남이 생기지만, 가열 공정과 성형 공정을 단일 공정으로 함에 의해, 누름버튼 스위치용 박형 키 톱의 제조에 대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성형 공정>
가열 공정에 뒤이어서, 성형 공정이 행하여진다. 구체적으로는, 연화 상태의 수지부재(100)를, 성형틀에 의해 성형품을 꿰뚫는 것이 아니라, 성형틀(130, 140)을 이용하여 형압하여, 입체형상의 키 톱(120)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102)에 일체 성형한다.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성형틀(130)에는 입체형상의 키 톱(120)을 성형하기 위해, 입체형상의 오목부(13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또한쪽의 성형틀(140)은 입체형상을 갖지 않고 평탄한 성형틀이다. 따라서, 성형 공정에 의해, 연화 상태의 수지부재는, 형압되고,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체형상의 키 톱(120)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102)에 일체 성형된다.,
여기서, 연화 상태의 수지부재를, 성형틀(130, 140)을 이용하여, 성형틀(130)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32)를 수지부재에 형압하여, 입체형상의 키 톱(120)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102)에 일체 성형하기 때문에, 사출 성형시에 있어서의 연화 수지의 유동성의 악화에 의한 충전 불량, 웰드 등의 사출 성형 특유의 성형 불량을 해소하기 위한 성형 과정에 있어서의 미조정을 행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소망하는 형상 정밀도 및 치수 정밀도를 갖는 누름버튼 스위치용 박형 키 톱(120)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102)에, 간이하게, 또한 안정하게 일체 성형할 수 있다.
성형 공정에서는, 연화 상태의 수지부재를 성형틀에 의해 형압할 뿐이므로, 성형품을 가능한 한 박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성형품인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에 요구되는 성능, 예를 들면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관리 한계치까지 박형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화 상태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부재인 경우, 냉각 후, 두께 0.6㎜ 미만에서는 강도 부족에 의해 균열이 생기기 때문에, 관리값인 0.6㎜의 박형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에 일체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냉각 공정>
성형 공정에 뒤이어서, 일체 성형된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120)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102)에 슬릿(150)을 형성하기 위해, 수지부재(102)가 고화될 때까지 냉각한다.
<슬릿 형성 공정>
냉각 공정에 뒤이어서,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120)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102)에 대해, 입체형상의 키 톱(120)의 주위에 따라 적어도 일부에 슬릿(150)을 형성하는 슬릿 형성 공정이 행하여진다. 수지부재(102)에 슬릿(150)을 형성할 수 있을 때까지 냉각되어 있기 때문에, 정밀도 좋게, 키 톱(120)의 주위에 따라 슬릿(150)을 형성할 수 있다. 슬릿(150)은, 예를 들면, 타발형(打拔型)을 이용한 타발 성형법에 의해 형성된다.
도 3B는,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120)의 주위에 따라 슬릿(150)을 형성한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키 톱(120)끼리 사이 및 키 톱(120)과 수지부재(102) 사이를 연결시키는 연결부(160)가 마련되고, 연결부(160) 이외의 키 톱(120)의 주위에 따라, 슬릿(15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형성된 연결부(160)를 최소한으로 남기고, 많은 슬릿(150)을 형성함에 의해, 키 톱(120)이 수지부재(102)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키 톱(120)을 포함하는 수지부재(102)를 후술하는 가식 공정에 의해 일체적으로 가식할 수 있고, 또한, 가식 후에 있어서 키 톱(120)을 수지부재(10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가식 공정>
슬릿(150)이 형성된 후, 공지의 스크린 인쇄나 스프레이 도장 등에 의해, 슬릿(150)이 형성된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120)을 포함하는 수지부재(102)를 가식한다. 따라서, 슬릿 형성 공정에서, 키 톱(120)이 수지부재(102)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 것을 목적으로 하여, 최대한으로 슬릿을 키 톱(120)의 주위에 따라 형성한 경우, 키 톱(120)을 수지부재(10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키 톱(120)의 측면까지 효율 좋게 가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가열 공정, 성형 공정 및 냉각 공정과, 가식 공정을 행함에 의해, 소망하는 형상 정밀도 및 치수 정밀도를 갖는 누름버튼 스위치용 박형 키 톱(120)을 포함하는 수지부재(102)를, 미조정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간이하게, 또한, 일련의 공정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 결과, 누름버튼 스위치용 박형 키 톱(120)을 포함하는 수지부재(102)를, 안정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수율도 향상하고, 양산화도 가능하게 되고,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사출 성형과 달리, 박형화된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120)의 설계 변경에 즈음하여서도, 형압에 이용하는 성형틀(130, 140)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32)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보다 대응할 수 있고, 사출 성형틀의 2면을 맞추는 것 같은 면 정밀도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사출 성형틀과 비교하여 성형틀의 비용도 염가로 되기 때문에, 설계 변경에 수반하는 비용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설 계 변경을 행할 수 있다.
<분리 공정>
그리고, 도 4A 및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식된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120)을 수지부재(102)로부터 분리한다. 슬릿 형성 공정에서, 최대한으로 슬릿(150)을 키 톱(120)의 주위에 따라 형성함에 의해, 가식된 키 톱을 수지부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슬릿(150)은, 예를 들면, 타발형을 이용한 타발 성형법에 의해 형성된다.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
도 5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누름버튼 스위치용 박형 키 톱(120)을 도시한다. 또한, 도 5에서, 파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상술한 분리 공정에 의해 분리된 수지부재(102)를 나타낸 것이다. 제조 후의 누름버튼 스위치용 박형 키 톱(120)을, 키 베이스가 되는 실리콘 러버 등의 탄성체에 부착함에 의해 누름버튼 스위치용의 키 시트를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지부재(102)로부터 분리된 키 톱(120)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키 톱(120)을 수지부재(10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또한, 키 톱(120)의 측면까지 효율 좋게 가식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슬릿 형성 공정에서, 최대한으로 슬릿(150)을 키 톱(120)의 주위에 따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을 제조하 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분리 공정을 행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분리 공정을 행하지 않은 경우의 성형품인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220)을 포함하는 수지부재(202)의 한 예이다. 도 6A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릿 형성 공정에 의해, 키 톱(220)의 주위에 따라, 사방중 한쪽에 키 톱(220)과 수지부재(202) 사이를 연결시키는 연결부(260)를 마련하고, 연결부(260) 이외의 키 톱(220)의 주위 3방향에 따라 슬릿(250)을 형성한 후, 키 톱(220)을 포함하는 수지부재를 가식 공정에 의해 일체적으로 가식한다. 그리고, 키 톱(220)과 시트형상의 수지부재(202)를 분리하지 않고, 키 톱(220)을 포함하는 수지부재로 한다. 이 결과, 연결부(260)가 힌지 기구의 역할을 다하고, 키 톱(220)이 시트형상의 수지부재(202)에 대해 요동 가능하게 되고, 키 톱(220)을 포함하는 수지부재(202)를 키 톱(220)을 포함하는 키 시트로서, 간이하게, 또한, 일련의 공정을 연속적으로, 안정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제조 방법과, 슬릿 형성 공정 및 분리 공정을 포함하지 않는 이외는 같은 공정을 포함하는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이다. 따라서, 사출 성형 특유의 웰드 등이 생기는 일 없이 성형된 누름버튼 스위치용 박형 키 톱(320)을 포함하는 수지부재(302)를, 키 톱(320)을 포함하는 키 시트로서, 간이하게, 또한, 일련의 공정을 연속적으로, 안정하게 제조할 수 있다.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
도 7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누름버튼 스위치용 박형 키 톱(320)을 포함하는 수지부재(302)를 도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서는, 슬릿 형성 공정 및 분리 공정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시트형상의 수지부재(302)상에 키 톱(320)이 성형된다. 따라서, 키 톱(320)과, 키 베이스의 역할을 다하는 수지부재(302)로 이루어지는 키 시트를, 간이하게, 또한, 일련의 공정을 연속적으로, 안정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시트형상의 수지부재를 가열하고, 성형틀을 이용하여 형압하여, 입체형상의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에 일체 성형하고, 가식함에 의해, 소망하는 형상 정밀도 및 치수 정밀도를 갖는 누름버튼 스위치용 박형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를, 미조정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간이하게, 또한, 일련의 공정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 결과, 박형화된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를, 안정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수율도 향상하고, 양산화도 가능하게 되고,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사출 성형과 달리, 누름버튼 스위치용 박형 키 톱의 설계 변경에 즈음하여서도, 형압에 이용하는 성형틀에 형성되어 있는 키 톱의 입체형상을 변경함에 의해 대응할 수 있고, 사출 성형틀의 2면을 맞추는 것 같은 면 정밀도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사출 성형틀과 비교하여 성형틀의 비용도 염가로 되기 때문에, 설계 변경에 수반하는 비용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설계 변경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는 한정되지 않고, 그 밖에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된다.

Claims (4)

  1.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가열체에 의해, 수지부재를 제 1 온도로 가열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온도로 가열된 상기 수지부재를, 제 1 성형틀 및 제 2 성형틀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성형틀 및/또는 상기 제 2 성형틀에 형성되어 있는 입체형상을 상기 수지부재에 형압하여, 입체형상의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에 일체 성형하는 공정과,
    일체 성형된 상기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를 소정의 제 2 온도로 냉각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온도로 냉각된 상기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입체형상의 키 톱의 주위에 따라 적어도 일부에 슬릿을 형성하는 공정과,
    형성된 슬릿을 갖는 일체 성형된 상기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를 가식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입체형상의 키 톱은 상기 제 1 성형틀에 대향하는 제 1 면과 상기 제 2 성형틀에 대향하는 제 2 면을 가지며,
    상기 키 톱의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가식된 상기 시트형상의 수지부재로부터, 상기 입체형상의 키 톱을 분리하는 공정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가열체에 의해, 수지부재를 제 1 온도로 가열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온도로 가열된 상기 수지부재를, 제 1 성형틀 및 제 2 성형틀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성형틀 및/또는 상기 제 2 성형틀에 형성되어 있는 입체형상을 상기 수지부재에 형압하여, 입체형상의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에 일체 성형하는 공정과,
    일체 성형된 상기 키 톱을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수지부재를 가식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입체형상의 키 톱은 상기 제 1 성형틀에 대향하는 제 1 면과 상기 제 2 성형틀에 대향하는 제 2 면을 가지며,
    상기 키 톱의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형틀과 상기 제 2 성형틀은, 상기 가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87025025A 2006-04-26 2007-04-25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을 제조하는 방법 KR200900098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22603 2006-04-26
JP2006122603A JP2007294320A (ja) 2006-04-26 2006-04-26 押釦スイッチ用キートップを製造する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805A true KR20090009805A (ko) 2009-01-23

Family

ID=38625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5025A KR20090009805A (ko) 2006-04-26 2007-04-25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174111A1 (ko)
EP (1) EP2012332A4 (ko)
JP (1) JP2007294320A (ko)
KR (1) KR20090009805A (ko)
CN (1) CN101479823A (ko)
WO (1) WO20071232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7056A1 (ko) * 2013-03-07 2014-09-12 주식회사 케이티 모바일 디바이스와 자동응답서비스 문자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시징 자동응답서비스 서버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7052A (en) * 1974-12-02 1976-12-14 Eddy Albert W Method for fabrication of communicative buttons and buttons made thereby
JPS56128523A (en) * 1980-03-11 1981-10-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thod of producing keyboard switch
US4916262A (en) * 1988-11-03 1990-04-10 Motorola, Inc. Low-profile, rubber keypad
EP0483898B1 (en) * 1990-10-30 1996-03-27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Push-button switch and keytop
JPH05192998A (ja) * 1991-11-08 1993-08-03 Nippon Denki Kagaku Kk エンボス用プレス金型、及びエンボススイッチ部の形成方法
JP3296621B2 (ja) * 1992-05-01 2002-07-02 株式会社イシダ 販売促進情報の印刷方法、その装置およびラベル
US5376314A (en) * 1993-04-29 1994-12-27 Illinois Tool Works Inc. Method of making a laser ablated formed cap
US5491313A (en) * 1994-07-22 1996-02-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Halo lighting for keypad switch assemblies
US5681515A (en) * 1996-04-12 1997-10-28 Motorola, Inc. Method of fabricating an elastomeric keypad
JP3151553B2 (ja) * 1996-11-29 2001-04-03 帝国通信工業株式会社 キートップ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3103318B2 (ja) * 1997-02-18 2000-10-30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メタリック調表示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SE513069C2 (sv) * 1997-03-03 2000-07-03 Ericsson Telefon Ab L M Skydd mot elektrostatisk urladdning i en portabel kommunikationsapparat
JPH117247A (ja) * 1997-04-25 1999-01-12 Hoshi Seisakusho:Kk 三次曲面成形表示板の成形加工方法
US5909021A (en) * 1997-08-19 1999-06-01 The Sas Group, Llc Keypads: Apparatus and methods of making
JPH11144551A (ja) * 1997-11-12 1999-05-28 Shin Etsu Polymer Co Ltd キートップ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の製造方法
EP0917409B1 (en) * 1997-11-17 2005-03-16 Molex Incorporated Electroluminescent lamp and method of fabrication
JP3493572B2 (ja) * 1998-12-14 2004-02-03 帝国通信工業株式会社 キートップ板の製造方法
JP2004127947A (ja) * 1999-09-08 2004-04-22 Shin Etsu Polymer Co Ltd 押釦スイッチ用部材
JP3810237B2 (ja) * 1999-11-19 2006-08-16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用キートップ部材の製造方法
JP4539943B2 (ja) 2000-12-27 2010-09-08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状キート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342495A (ja) * 2003-05-16 2004-12-02 Polymatech Co Ltd エラストマーキーパッドの製造方法および成型用金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7056A1 (ko) * 2013-03-07 2014-09-12 주식회사 케이티 모바일 디바이스와 자동응답서비스 문자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시징 자동응답서비스 서버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79823A (zh) 2009-07-08
EP2012332A1 (en) 2009-01-07
WO2007123251A1 (ja) 2007-11-01
EP2012332A4 (en) 2012-04-25
JP2007294320A (ja) 2007-11-08
US20090174111A1 (en) 200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6856B2 (en) Sheet shaped key top
US8142880B2 (en) Housing for electronic device, mold for making the hous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housing
US7119296B1 (en) Keypad
KR20010066872A (ko) 하우징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US8242396B2 (en) Keypad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H10289632A (ja) シート状キート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09805A (ko) 누름버튼 스위치용 키 톱을 제조하는 방법
US20110309550A1 (en) Pre-forming method for making film and heating device used for the method
US663521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hell element for an electronic device
JP3136388B2 (ja) キートップ板の製造方法
KR200375006Y1 (ko) 이엘램프가 내장된 메탈 일체형 키패드
JPH03127417A (ja) 押しボタンパネル付フレームとその製造方法
KR200393129Y1 (ko) 휴대폰의 키패드
KR100673300B1 (ko) 휴대폰의 키패드 제조방법
JP3345752B2 (ja) キートップ板の製造方法
KR100924507B1 (ko) 키패드의 제조 방법 및 키패드
JP2002008477A (ja) 押釦スイッチ用キートップ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22849A (ko) 합성수지 시트의 부형 가공품 및 그 가공 방법
JP2000268674A (ja) キートップ板
KR100647433B1 (ko)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JPH11250754A (ja) ボタン集合体
KR200381349Y1 (ko) 휴대폰용 키-패드의 구조
CN102426939A (zh) 一种薄型背光笔记本计算机按键结构及制备方法
JP2002367471A (ja) キートップ板及びキートップ取付板の製造方法
KR20170088506A (ko) 3차원 형상을 갖는 안테나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