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687A - 엘리베이터용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687A
KR20090009687A KR1020080020148A KR20080020148A KR20090009687A KR 20090009687 A KR20090009687 A KR 20090009687A KR 1020080020148 A KR1020080020148 A KR 1020080020148A KR 20080020148 A KR20080020148 A KR 20080020148A KR 20090009687 A KR20090009687 A KR 20090009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template
template
positioning device
weight
piano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5053B1 (ko
Inventor
케니치로 히라카와
마사히코 츠카모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9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1Guideways; Guides with a particular position in the shaf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2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a single pendulum plumb lines G01C15/1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설치 시의 연직(鉛直) 방향 기준 위치 결정 작업의 인원의 생략과 원가의 절감을 가능한 한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로(1)의 최상부에 설치된 형판 서포트 부재(8)와, 형판 서포트 부재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고, 양 단부에 피아노선 매달기부(10)가 설치된 기준 형판(9)과, 기준 형판에 설치되고, 상기 기준 형판의 승차장측과 직교 방향 및 승차장측과 평행 방향의 평면적인 움직임을 조정 제어하는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11, 12)와, 이 자동 위치 결정 장치를 최하층의 승차장으로부터 원격 조작으로 리모트 컨트롤하는 것이 가능한 리모콘 장치(13)와, 기준 형판으로부터 매달려지고, 하단부에 추(15)가 부착된 피아노선(14)과, 승강로 피트에 설치되고, 피아노선의 하단부의 추를 침지하여 추의 진자 운동을 억제하는 추 정지용 물 저장 용기(16)를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자동 위치 결정, 기준 형판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POSITIONING REFERENCE TEMPLAT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설치 시의 연직(鉛直) 방향 기준 위치 결정 작업의 에너지 절약화와 코스트 삭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설치 시의 연직 방향 기준 위치 결정 방법의 이미지를 도 4에 도시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엘리베이터 설치 시의 연직 방향 기준 위치 결정 방법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실행된다. 첫 번째로, 기준 형판위치 조정 요원(18)이 상부 형판 조립(19)을 승강로 꼭대기부(3) 부근에서 조립한다. 두 번째로, 상부 형판 조립(19)으로부터 피아노선(14)을 내리고, 피아노선(14)의 하단부에 추(15)를 매단다. 그리고, 세 번째로, 최하층 기준 확인 요원(20)이 최하층기준의 마킹을 실행한다. 네 번째로, 최상층(5)에서는 기준 형판(19)의 위치 조정을 실행하고, 최하층(4)에서는 기준 확인을 실행하고, 승강로 피트(2)에서는 추(15)를 정지시킨다. 다섯 번째로, 각각 중간층(6)의 데이터 픽업을 실행한다. 그 리고, 여섯 번째로, 최상층(5)에서 기준 형판(19)의 위치 조정을 실행하고, 최하층(4)에서 기준 확인을 실행하고, 승강로 피트(2)에서 추(15)를 정지시키는 순서로 작업이 실행된다. 이때, 첫 번째의 상부 형판 조립 작업에서는 1~2명, 두 번째의 피아노선 내리기와 추 매달기 작업에서는 1~2명, 세 번째의 최하층 기준 마킹 작업에서는 2명, 네 번째의 최상층의 위치 조정 작업, 최하층의 기준 확인 작업 및 승강로 피트에서의 추의 정지 작업에서는 3명, 다섯 번째의 중간층 데이터 픽업 작업에서는 1~2명, 여섯 번째의 최상층의 위치 조정 작업, 최하층의 기준 확인 작업 및 승강로 피트에서의 추의 정지 작업에서는 3명의 인원이 필요하게 되어, 인적으로 여유가 없는 경우는 큰 문제가 된다. 또한, 인원이 많아지면 시간이 오히려 남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로서 건조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에 수직선을 내기(센터링) 위한 피아노선을 승강로의 윗쪽으로부터 늘어뜨려 달고, 이 피아노선을 기준으로 하여 본선 레일 및 카운터 레일을 세워 설치한 후, 카와 균형 추를 로프로 매다는 엘리베이터의 설치 방법에 있어서, 승강로에 개구하는 최상층의 출입구로부터 그 개구 가장자리에 부착한 피아노선 매달기용 위치 결정 지그를 이용하여 출입구용 피아노선을 원하는 위치에 늘어뜨리도록 하고, 또한 승강로의 최하부에 있어서 본설(本設)의 카 프레임을 조립하여 출입구용 피아노선을 기준으로 하여 이것의 위치 결정을 한 후, 이 본설의 카 프레임을 입체 게이지로 하여 이것에 부착한 레일 설치용 위치 결정 지그를 이용하여 본선 레일 및 카운터 레일을 원하는 위치에 세워 설치하는 엘리베이터의 설치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 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4-26429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 설치 시의 연직 방향 기준 위치 결정 방법에서는, 네 번째와 여섯 번째의 최상층의 위치 조정 작업, 최하층의 기준 확인 작업 및 승강로 피트에서의 추의 정지 작업에서는, 각각 3명의 인원이 필요하게 되어, 인적으로 여유가 없는 경우는 큰 문제가 된다. 또한, 인원이 많아지면 시간이 오히려 남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엘리베이터의 설치 방법에서는, 인원의 생략에 대하여 고려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엘리베이터 설치 시의 연직 방향 기준 위치 결정 작업의 인원의 생략과 원가의 절감을 가능한 한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에 있어서는, 승강로의 최상부에 평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어 설치된 형판 서포트 부재와, 형판 서포트 부재 사이에 걸쳐 승차장측을 따라서 평행하게 설치되고, 양 단부에 피아노선 매달기부가 설치된 기준 형판과, 기준 형판에 설치되고, 내장된 모터에 의해 상기 기준 형판의 승차장측과 직교 방향 및 승차장측과 평행 방향의 평면적인 움직임을 각각 조정 제어하는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와,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를 최하층의 승차장으로부터 원격 조작으로 리모트 컨트롤하는 것이 가능한 리모콘 장치와, 기준 형판의 양 단부의 피아노선 매달기부로부터 매달려지고, 하단부에 추가 부착된 피아노선과, 승강로 피트에 설치되고, 피아노선의 하단부에 매달린 추를 침지하여 추의 진자 운동을 억제하는 추 정지용 물 저장 용기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는 기준 형판의 양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기준 형판의 양 단부의 승차장측과 직행 방향의 평면적인 움직임을 독립적으로 조정 제어하는 X축 방향 위치 결정 장치와, 기준 형판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기준 형판의 승차장측과 평행 방향의 평면적인 움직임을 조정 제어하는 Y축 방향 위치 결정 장치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방법에 있어서는, 승강로의 최상부에 평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어 설치된 형판 서포트 부재와, 형판 서포트 부재 사이에 걸쳐 승차장측을 따라서 평행하게 설치되고, 양 단부에 피아노선 매달기부가 설치된 기준 형판과, 기준 형판에 설치되고, 내장된 모터에 의해 상기 기준 형판의 승차장측과 직교 방향 및 승차장측과 평행 방향의 평면적인 움직임을 각각 조정 제어하는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와,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를 최하층의 승차장으로부터 원격 조작으로 리모트 컨트롤하는 것이 가능한 리모콘 장치와, 기준 형판의 양 단부의 피아노선 매달기부로부터 매달려지고, 하단부에 추가 부착된 피아노선과, 승강로 피트에 설치되고, 피아노선의 하단부에 매달린 추를 침지하여 추의 진자 운동을 억제하는 추 정지용 물 저장 용기를 구비한 것으로, 기준 형판에 자동 위치 결정 장치를 세팅하고, 세팅된 기준 형판을 형판 서포트 부재에 부착하여 자동 위치 결정을 준비하는 단계와, 기준 형판의 양 단부의 피아노선 매달기부로부터 피아노선을 내리고, 피아노선의 하단부에 추를 매다는 단계와, 최하층 기준의 마킹을 실행하는 단계와, 최하층에서 리모콘 장치를 사용하여 원격 조작하면서, 자동 위치 결정 장치를 움직여 기준 기판의 위치 조정을 실행하면서 최하층에서 기준 확인을 실행하는 단계와, 승강로 피트에서 추 정지용 물 저장 용기에 추를 침지하여, 추의 진자 운동을 억제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승강로의 최상부에 평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어 설치된 형판 서포트 부재와, 형판 서포트 부재 사이에 걸쳐 승차장측을 따라서 평행하게 설치되고, 양 단부에 피아노선 매달기부가 설치된 기준 형판과, 기준 형판의 양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기준 형판의 양 단부의 승차장측과 직행 방향의 평면적인 움직임을 독립적으로 조정 제어하는 X축 방향 위치 결정 장치와, 기준 형판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기준 형판의 승차장측과 평행 방향의 평면적인 움직임을 조정 제어하는 Y축 방향 위치 결정 장치와, X축 방향 위치 결정 장치와 Y축 방향 위치 결정 장치로 구성된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를 최하층의 승차장으로부터 원격 조작으로 리모트 컨트롤하는 것이 가능한 리모콘 장치와, 기준 형판의 양 단부의 피아노선 매달기부로부터 매달려지고, 하단부에 추가 부착된 피아노선과, 승강로 피트에 설치되고, 피아노선의 하단부에 매달린 추를 침지하여 추의 진자 운동을 억제하는 추 정지용 물 저장 용기를 구비한 것으로, 기준 형판에 X축 방향 위치 결정 장치와 Y축 방향 위치 결정 장치로 구성된 자동 위치 결정 장치를 세팅하고, 세팅된 기준 형판 을 형판 서포트 부재에 부착하여 자동 위치 결정을 준비하는 단계와, 기준 형판의 양 단부의 피아노선 매달기부로부터 피아노선을 내리고, 피아노선의 하단부에 추를 매다는 단계와, 최하층 기준의 마킹을 실행하는 단계와, 최하층에서 리모콘 장치를 사용하여 원격 조작하면서, X축 방향 위치 결정 장치와 Y축 방향 위치 결정 장치를 움직여 기준 형판의 위치 조정을 실행하면서 최하층에서 기준 확인을 실행하는 단계와, 승강로 피트에서 추 정지용 물 저장 용기에 추를 침지하여, 추의 진자 운동을 억제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 및 그 방법에 있어서는, 추 정지용 물 저장 용기는 내부에 물 또는 세제를 넣어 추를 관수(冠水) 또는 침지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하층에 있어서, 기준 형판 조정 확인 요원이 리모콘 장치를 사용하여 원격 조작하면서,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를 움직여서 위치 조정을 실행하면서 최하층에서 기준 확인을 실행하는 작업을 1명으로 가능하게 되어, 종래보다 대폭적으로 에너지가 절약된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설치 시의 연직 방향 기준 위치 결정 작업의 인원의 생략과 원가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 및 그 방법을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 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방법에 이용하는 자동 위치 결정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방법을 실시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1은 승강로, 2는 승강로(1)의 피트, 3은 승강로(1)의 꼭대기부, 4는 승차장의 최하층, 5는 승차장의 최상층, 6은 최하층(4)과 최상층(5) 사이에 설치된 복수층의 승차장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 7은 승강로(1) 내의 최상부에 설치된 작업대, 8은 승강로(1)의 최상부의 승차장 벽과 이것과 대향하는 승강로 벽 사이에 평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어 설치된 한 쌍의 형판 서포트 부재, 9는 이 형판 서포트 부재(8) 사이에 걸쳐 승차장측을 따라서 평행하게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차장용 기준 형판으로, 양 단부에는 피아노선 매달기부(10)가 설치되어 있다. 11은 엘리베이터 승차장용 기준 형판(9)의 양 단부에 아울러 한 쌍의 형판 서포트 부재(8)의 상부에 각각 설치된 기준 형판(9)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의 하나인 X축 방향 위치 결정 장치로, 내장된 모터에 의해, 기준 형판(9)의 X방향(승차장측과 직교 방향)의 평면적인 움직임을 조정 제어한다. 12는 엘리베이터 승차장용 기준 형판(9)의 중앙부에 아울러 한 쌍의 형판 서포트 부재(8) 사이에 설치된 기준 형판 (9)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의 하나인 Y축 방향 위치 결정 장치로, 내장된 모터에 의해, 기준 형판(9)의 Y방향(승차장측과 평행 방향)의 평면적인 움직임을 조정 제어한다. 13은 기준 형판(9)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인 X축 방향 위치 결정 장치(11) 및 Y축 방향 위치 결정 장치(12)를 최하층(4)의 승차장으로부터 원격 조작으로 리 모트 컨트롤할 수 있는 유선 또는 무선의 리모콘 장치이다. 예를 들면, 최하층(4)에 있어서 기준 기판 조정 확인 요원(14)이 유선 또는 무선의 리모콘 장치(13)에 설치된 X축 조작 버튼 및 Y축 조작 버튼(모두 도시하지 않음)을 조작함으로써, 기준 형판(9)의 위치 조정 작업(평면적인 X축 및 Y축조정)을 실행하여, 각각의 최적 위치에 왔을 때, 리모콘(13) 상에 최적 위치에 왔음을 알리는 표시 램프(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도록 해 둔다. 14는 엘리베이터 승차장용 기준 형판(9)의 양 단부의 피아노선 매달기부(10)로부터 매달려진 피아노선, 15는 이 피아노선(14)의 하단부에 부착되어 매달린 추, 16은 피트(2)에 설치된 추 정지용 물 저장 용기로, 피아노선(14)의 하단부에 매달린 추(15)가 들어갈 수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 및 그 방법에서는, 최하층에서의 피아노선 위치 결정 소요 시간이 문제가 된다. 위치 결정에 걸리는 시간은, 형판을 움직인 것에 따른 피아노선 추의 진자 운동을 정지시키는 것에 그 대부분의 시간이 소비되고 있으며. 종래의 방법에서는 평균 약 5분 30초 정도가 걸리고 있었다. 이 정지 시간의 단축 대책으로서 피아노선(14)의 추(15)를 물 저장 용기(16) 내에 넣도록 한다. 그리고, 추(15)는 물 저장 용기(16) 내의 물에 모두 관수(冠水)시킨 상태에서는 정지 시간이 약 78초가 되어, 추의 진자 운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가장 잘 나타난다. 또한, 물에 추(15)를 150mm 침지한 상태에서는 약 89초가 되어, 추의 진자 운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에 추(15)를 100mm 침지한 상태에서는 약 144초가 되어, 추의 진자 운동을 억제하는 효과는 작았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실행된다. 먼저 첫 번째로, 자동 위치 결정 장치인 X축 방향 위치 결정 장치(11) 및 Y축 방향 위치 결정 장치(12)를 기준 형판(9)에 세팅하고, 이 기준 형판(9)을 형판 서포트 부재(8)에 부착하여 자동 위치 결정의 준비를 실행한다. 두 번째로, 기준 형판(9)의 양 단부의 피아노선 매달기부(10)로부터 피아노선(14)을 내리고, 피아노선(14)의 하단부에 추(15)를 매단다. 세 번째로, 최하층 기준 확인 요원이 최하층 기준의 마킹을 실행한다. 그리고, 네 번째로, 최하층에 있어서, 기준 형판 조정 확인 요원(17)이 리모콘 장치(13)를 사용하여 원격 조작하면서, 기준 형판(9)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를 움직여 위치 조정을 실행하면서 최하층에서 기준 확인을 실행한다. 또한, 승강로 피트(2)에서는 추 정지용 물 저장 용기(16) 내에 추(15)를 넣어, 물 등의 저항으로 추(15)를 정지시키므로, 추 정지 작업의 인원을 생략할 수 있다. 다섯 번째로, 각각 중간층의 데이터 픽업을 실행한다. 그리고, 여섯 번째로, 다시 최하층에 있어서, 기준 형판 조정 확인 요원(17)이 리모콘 장치(13)를 사용하여 원격 조작하면서, 기준 형판(9)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를 움직여 위치 조정을 실행하면서 최하층에서 기준 확인을 실행하는 순서로 작업이 실행된다. 이 때, 첫 번째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를 기준 형판(9)에 세팅하고, 이 기준 형판(9)을 형판 서포트 부재(8)에 부착하여 자동 위치 결정을 준비하는 작업에서는 1~2명, 두 번째의 피아노선 내리기와 추 매달기 작업에서는 1~2명, 세 번째의 최하층 기준 마킹 작업에서는 2명, 네 번째의 최하층에 있어서, 기준 형판 조정 확인 요원(17)이 리모콘 장치(13)를 사용하여 원격 조작하면서, 기준 형판(9)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를 움직여 위치 조정을 실행하면서 최하층에서 기준 확인을 실행하는 작업은 1명으로 가능해지므로, 종래의 3명으로부터 대폭적으로 에너지가 절약화된다. 또한, 다섯 번째의 중간층 데이터 픽업 작업에서는 1~2명, 그리고 여섯 번째의 최하층에 있어서, 기준 형판 조정 확인 요원(17)이 리모콘 장치(13)를 사용하여 원격 조작하면서, 기준 형판(9)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를 움직여 위치 조정을 실행하면서 최하층에서 기준 확인을 실행하는 작업은 1명으로 가능해지므로, 종래의 3명으로부터 대폭적으로 에너지가 절약된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설치 시의 연직 방향 기준 위치 결정 작업의 인원의 생략과 원가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용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 및 그 방법은, 최하층에서의 피아노선 위치 결정 소요 시간이 문제가 되고, 위치 결정에 걸리는 시간은, 형판을 움직인 것에 따른 피아노선 추의 진자 운동을 정지시키는 것에 그 대부분의 시간이 소비되므로, 그 정지 시간 단축 대책으로서 피아노선(14)의 추(15)를 물 저장 용기(16) 내에 넣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물 저장 용기(16) 내에 물 대신에 비눗물, 중성 세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세제를 넣고, 이 세제 중에 피아노선(14)의 추(15)를 관수시킨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2 실시형태의 경우, 추(15)는 물 저장 용기(16) 내의 세제(100%)에 모두 관수시킨 상태에서는 정지 시간이 약 50초가 되어, 추의 진자 운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가장 잘 나타남과 아울러, 사용 후의 세제의 뒤처리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세제에 물을 더하여 세제 0. 16%로 하고, 이것에 추(15)를 관수시킨 상태에서는 정지 시간이 약 98~106초가 되는데, 거품을 일게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문제가 있다.
또한, 물이나 세제 대신에 기름을 사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승강로 피트에서는 사용 후의 기름의 뒤처리가 곤란하므로, 사용하는 것은 어렵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 및 그 방법을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방법에 이용하는 자동 위치 결정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방법을 실시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설치 시의 연직 방향 기준 위치 결정 방법을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있어서의 부호의 설명)
1 승강로
2 피트
3 꼭대기부
4 최하층
5 최상층
6 중간층
7 작업대
8 형판 서포트 부재
9 기준 형판
10 피아노선 매달기부
11 X축 방향 위치 결정 장치
12 Y축 방향 위치 결정 장치
13 리모콘 장치
14 피아노선
15 추
16 추 정지용 물 저장 용기

Claims (6)

  1. 승강로의 최상부에 평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어 설치된 형판 서포트 부재와,
    상기 형판 서포트 부재 사이에 걸쳐 승차장측을 따라서 평행하게 설치되고, 양 단부에 피아노선 매달기부가 설치된 기준 형판과,
    상기 기준 형판에 설치되고, 내장된 모터에 의해 상기 기준 형판의 승차장측과 직교 방향 및 승차장측과 평행 방향의 평면적인 움직임을 각각 조정 제어하는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와,
    상기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를 최하층의 승차장으로부터 원격 조작으로 리모트 컨트롤하는 것이 가능한 리모콘 장치와,
    상기 기준 형판의 양 단부의 피아노선 매달기부로부터 매달려지고, 하단부에 추가 부착된 피아노선과,
    승강로 피트에 설치되고, 상기 피아노선의 하단부에 매달린 상기 추를 침지하여 추의 진자 운동을 억제하는 추 정지용 물 저장 용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는 기준 형판의 양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기준 형판의 양 단부의 승차장측과 직행 방향의 평면적인 움직임을 독립적으로 조 정 제어하는 X축 방향 위치 결정 장치와, 상기 기준 형판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기준 형판의 승차장측과 평행 방향의 평면적인 움직임을 조정 제어하는 Y축 방향 위치 결정 장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추 정지용 물 저장 용기는 내부에 물 또는 세제를 넣어 추를 관수 또는 침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
  4. 승강로의 최상부에 평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어 설치된 형판 서포트 부재와, 상기 형판 서포트 부재 사이에 걸쳐 승차장측을 따라서 평행하게 설치되고, 양 단부에 피아노선 매달기부가 설치된 기준 형판과, 상기 기준 형판에 설치되고, 내장된 모터에 의해 상기 기준 형판의 승차장측과 직교 방향 및 승차장측과 평행 방향의 평면적인 움직임을 각각 조정 제어하는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와, 상기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를 최하층의 승차장으로부터 원격 조작으로 리모트 컨트롤하는 것이 가능한 리모콘 장치와, 상기 기준 형판의 양 단부의 피아노선 매달기부로부터 매달려지고, 하단부에 추가 부착된 피아노선과, 승강로 피트에 설치되고, 상기 피아노선의 하단부에 매달린 상기 추를 침지하여 추의 진자 운동을 억제하는 추 정지용 물 저장 용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방법으로서,
    상기 기준 형판에 상기 자동 위치 결정 장치를 세팅하고, 세팅된 상기 기준 형판을 상기 형판 서포트 부재에 부착하여 자동 위치 결정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 형판의 양 단부의 피아노선 매달기부로부터 피아노선을 내리고, 피아노선의 하단부에 추를 매다는 단계와, 최하층 기준의 마킹을 실행하는 단계와, 최하층에서 리모콘 장치를 사용하여 원격 조작하면서, 상기 자동 위치 결정 장치를 움직여 상기 기준 기판의 위치 조정을 실행하면서 최하층에서 기준 확인을 실행하는 단계와, 승강로 피트에서 추 정지용 물 저장 용기에 상기 추를 침지하여, 상기추의 진자 운동을 억제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방법.
  5. 승강로의 최상부에 평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어 설치된 형판 서포트 부재와, 상기 형판 서포트 부재 사이에 걸쳐 승차장측을 따라서 평행하게 설치되고, 양 단부에 피아노선 매달기부가 설치된 기준 형판과, 상기 기준 형판의 양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기준 형판의 양 단부의 승차장측과 직행 방향의 평면적인 움직임을 독립적으로 조정 제어하는 X축 방향 위치 결정 장치와, 상기 기준 형판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기준 형판의 승차장측과 평행 방향의 평면적인 움직임을 조정 제어하는 Y축 방향 위치 결정 장치와, 상기 X축 방향 위치 결정 장치와 Y축 방향 위치 결정 장치로 구성된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를 최하층의 승차장으로부터 원격 조작으로 리모트 컨트롤하는 것이 가능한 리모콘 장치와, 상기 기준 형판의 양 단부의 피아노선 매달기부로부터 매달려지고, 하단부에 추가 부착된 피아노선과, 승 강로 피트에 설치되고, 상기 피아노선의 하단부에 매달린 상기 추를 침지하여 추의 진자 운동을 억제하는 추 정지용 물 저장 용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방법으로서,
    상기 기준 형판에 상기 X축 방향 위치 결정 장치와 Y축 방향 위치 결정 장치로 구성된 자동 위치 결정 장치를 세팅하고, 세팅된 상기 기준 형판을 상기 형판 서포트 부재에 부착하여 자동 위치 결정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 형판의 양 단부의 피아노선 매달기부로부터 피아노선을 내리고, 피아노선의 하단부에 추를 매다는 단계와, 최하층 기준의 마킹을 실행하는 단계와, 최하층에서 리모콘 장치를 사용하여 원격 조작하면서, 상기 X축 방향 위치 결정 장치와 Y축 방향 위치 결정 장치를 움직여 상기 기준 형판의 위치 조정을 실행하면서 최하층에서 기준 확인을 실행하는 단계와, 승강로 피트에서 추 정지용 물 저장 용기에 상기 추를 침지하여, 상기 추의 진자 운동을 억제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추 정지용 물 저장 용기는 내부에 물 또는 세제를 넣어 추를 관수(冠水) 또는 침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방법.
KR1020080020148A 2007-07-20 2008-03-04 엘리베이터용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13750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89685A JP5040496B2 (ja) 2007-07-20 2007-07-20 エレベータ用基準型板の自動位置決め装置及びその方法
JPJP-P-2007-00189685 2007-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687A true KR20090009687A (ko) 2009-01-23
KR101375053B1 KR101375053B1 (ko) 2014-03-17

Family

ID=40267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148A KR101375053B1 (ko) 2007-07-20 2008-03-04 엘리베이터용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040496B2 (ko)
KR (1) KR101375053B1 (ko)
CN (1) CN10134820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7060A (zh) * 2018-12-28 2019-11-05 大连嘉宏至伟新技术开发有限公司 配重重量可调的无动力电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78885B (zh) * 2015-09-10 2018-06-29 招金矿业股份有限公司蚕庄金矿 一种可微调夹线板
KR102189363B1 (ko) 2020-08-12 2020-12-11 김영배 엘리베이터 설치용 형판 지그 장치
WO2022131299A1 (ja) * 2020-12-17 2022-06-2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基準型板の位置決め装置及びエレベータ用基準型板の位置決め方法
JP2022178337A (ja) * 2021-05-20 2022-12-02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テンプレートの位置決め装置
CN115246610B (zh) * 2021-09-10 2023-11-17 菱王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倾斜检测方法及系统、电梯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556A (ja) * 1992-07-14 1994-02-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据付用上部型板装置
JPH06321455A (ja) * 1993-05-11 1994-11-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据付用芯出し型板装置
FI109291B (fi) * 1997-03-07 2002-06-28 Kone Corp Menetelmä ja laitteisto hissin asentamiseksi
JP2004026429A (ja) * 2002-06-26 2004-01-29 Shirai Eremeka:Kk エレベータの設置方法
JP2006256783A (ja) * 2005-03-17 2006-09-2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無線式データ伝送装置
JP2006321579A (ja) * 2005-05-17 2006-11-3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無線通信装置
JP4815627B2 (ja) * 2005-08-05 2011-11-16 株式会社五合 三次元移動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7060A (zh) * 2018-12-28 2019-11-05 大连嘉宏至伟新技术开发有限公司 配重重量可调的无动力电梯
CN110407060B (zh) * 2018-12-28 2023-03-24 大连嘉宏至伟新技术开发有限公司 配重重量可调的无动力电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23801A (ja) 2009-02-05
CN101348206A (zh) 2009-01-21
JP5040496B2 (ja) 2012-10-03
KR101375053B1 (ko) 2014-03-17
CN101348206B (zh)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053B1 (ko) 엘리베이터용 기준 형판의 자동 위치 결정 장치 및 그 방법
EP2636629A1 (en) A method and an elevator arrangement
JPH0585681A (ja) エレベータホイストウエイ作業プラツトホーム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構成部品の据付方法
JP5264751B2 (ja) エレベータの揚重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揚重方法
CN113165849A (zh) 用于运行建筑工地设施的方法以及建筑工地设施
CN108455449A (zh) 一种室内轨道式移动幕墙吊装系统
KR20170102306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로핑 구성부
CN104929353A (zh) 可拆卸楼梯式电梯井自动爬升操作平台
CA2447396C (en) Elevator hoist machine installation apparatus
JP4828084B2 (ja) 巻上機の据付方法
JP6580528B2 (ja) 巻上機の据付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
CN204138087U (zh) 电梯导轨支架
JP5829179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点検装置
JP2012046296A (ja) エレベータ巻き上げ機取り付け方法
CN109208918A (zh) 一种楼宇建造装置及方法
CN209353740U (zh) 一种楼宇建造装置
JP2018012562A (ja) 揚重ブラケット、巻上機の設置方法及び巻上機
JP2008063873A (ja) 天井の搬送機構及び施工方法
JP7099423B2 (ja) 梯子装置
JP2005008335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084936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装置、及びこの据付装置の組立方法
CN220814890U (zh) 一种用于爬模装置爬升的自锁装置
CN110259094B (zh) 用于幕墙安装的集成式操作平台及其施工方法
CN212957531U (zh) 一种建筑施工用室内脚手架
CN2651217Y (zh) 电梯升降滑道工作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