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235A - 탐스로신 함유 경피흡수형 제재 - Google Patents

탐스로신 함유 경피흡수형 제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235A
KR20090009235A KR1020087027506A KR20087027506A KR20090009235A KR 20090009235 A KR20090009235 A KR 20090009235A KR 1020087027506 A KR1020087027506 A KR 1020087027506A KR 20087027506 A KR20087027506 A KR 20087027506A KR 20090009235 A KR20090009235 A KR 20090009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msulosin
transdermal ab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7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우지 카와하라
켄이치 나카오
하루나 야마키
Original Assignee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9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2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8Sulfon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61K9/7061Poly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69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siloxane, polyesters, polyurethane, polyethylene ox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urine or of the urinary tract, e.g. urine acidif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pro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10Antioedematous agents; Diur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탐스로신 함유 경피흡수형 제제에 관한 것으로, 지지체와 그 위에 점착제층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경피흡수형 제재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며, 더욱이 유효 성분으로서 탐스로신을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1 내지 20질량%, 및 필요에 따라 용해성 향상의 역할을 담당하는 첨가제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경피흡수 촉진의 역할을 담당하는 첨가제인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형 제재를 제공한다. 또한, 지지체와 그 위에 점착제층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경피흡수형 제재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합성고무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며, 더욱이 유효 성분으로서 탐스로신을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1 내지 20질량%, 및 경피흡수 촉진 역할을 담당하는 첨가제인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형 제재를 제공한다.
탐스로신, 경피흡수, 점착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

Description

탐스로신 함유 경피흡수형 제재 {Tamsulosin-containing percutaneous absorption type preparation}
본 발명은 전립선 비대증의 배뇨 장해 개선제인 탐스로신((-)-(R)-5-[2-[[2-(o-에톡시페녹시)에틸]아미노]프로필]-2-메톡시벤젠술폰아마이드하이드로클로라이드, (-)-(R)-5-[2-[[2-(o-ethoxyphenoxy)ethyl]amino]propyl]-2-methoxybenzene sulfonamidehydrochloride)를 경피흡수시키기 위한 경피흡수형 제재에 관한 것이다.
전립선 비대증은 방광 아래 장기인 전립선의 비대에 의해 발생하는 요도의 물리적 압박과 교감 신경 활성의 항진에 의해 발생하는 전립선 및 요도의 기능적 수축에 의해, 배뇨 장해가 생기는 질환이다. 현재, 잠재환자를 포함하면 55세 이상 남성의 5명당 1명이 환자라고 말해지고 있다.
탐스로신(Tamsulosin)은 하부 요로 평활근 이완 작용이 강력한 α1 차단약이며, 체내에 투여되면 요도를 느슨하게 하고, 뇨의 배출을 촉진하여 잔뇨감이나 빈뇨의 증상을 개선시키는 약제이기 때문에, 전립선 비대증에 수반하는 배뇨 장해의 치료에 유효하다.
종래, 탐스로신은 경구에 의한 투여가 채용되고 있지만, 최근 경피흡수형 제 재를 이용하여 탐스로신을 투여하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경피흡수형 제재를 사용하는 투여법은 경구투여법에 있어서의 문제점, 즉, 소화관이나 간장에 있어서의 약제의 대사(첫회 통과 효과)에 의한 대량 투여를 해소할 수 있고, 약효가 장시간 지속됨으로써 투여 회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투여가 「붙이는」 것만으로 간편하기 때문에, 컴플라이언스(compliance)의 향상, 투여 개시·중단의 용이함도 잇점으로 들 수 있다. 또한 경구투여에서는 식사의 영향에 의한 약물의 혈중 농도 변화를 고려해야 하지만, 경피투여는 이러한 식사 영향을 받는 일이 없이 안심하여 투여할 수 있는 잇점도 있다.
이러한 사정으로부터, 특히 고령이 됨에 따라 발증율이 증가하는 전립선 비대증 환자에게 있어서, 경피흡수형 제재는 편리성과 유효성을 겸비한 유용한 약물 투여 방법으로서 기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점착 테이프 제재 등의 경피흡수형 제재는 지지체상에 약물을 함유하는 점착제층을 설치한 것이다. 경피흡수형 제재를 이용하여 탐스로신을 경피흡수시키는데 있어서, 우선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은 탐스로신의 자유체(free body)의 형태는 결정성이며 그대로 점착제층 안에서 결정 상태인 채로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해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탐스로신은 대부분의 용매에 대해서 난용성이며, 어떻게 하여 용해도를 올릴지가 중요해진다.
이러한 탐스로신의 각종 용매에 대한 난용성, 특히 점착제에 대한 용해성을 개선한 경피흡수형 제재로서 여러 가지 그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저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 고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 및 유지를 주기제로서 포함하는 점착제 중에 탐스로신을 함유시킨 경피투여 제재(특허 문헌 1), 자유체의 탐스로신을 함유하고, 아크릴, 고무 및 실리콘계 점착제 중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한 경피흡수 제재(특허 문헌 2 및 특허 문헌 3)로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히 특허 문헌 2 및 특허 문헌 3에 있어서는, 지방산 함유 폴리아미노 아크릴레이트 수용액 타입의 아크릴계 점착제와 탐스로신의 경피흡수 촉진제로서 고급 지방산에스테르류를 조합한 경피흡수형 제재, 수용액 중에서 유화 중합한 에멀젼·타입의 아크릴 점착제와 탐스로신의 용해제로서 에탄올 또는 글리콜류를 조합한 경피흡수 제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국제공개 제95/31190호 팜플렛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공개 평8-92080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공개 평8-245377호 공보
그러나, 지금까지 제안된 고무계 점착제나 실리콘계 점착제를 이용한 제재에 있어서는 탐스로신의 피부 투과성은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이들 점착제보다 피부 투과성을 개선한 에멀젼·타입의 아크릴계 점착제에서도 물론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또한, 용해제로서 에탄올이나 글리콜류를 이용한 것에 있어서도 탐스로신의 용해 성능에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한층 더 특히 높은 용해성을 갖는 용해제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었다.
더욱이 경피흡수 촉진제로서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를 사용한 것에 있어서도, 탐스로신의 경피흡수 성능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없었다.
따라서, 높은 피부 투과성을 갖는 탐스로신의 경피흡수형 제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점착제층 그 자체를 탐스로신에 대한 용해성이 높은 구성의 것으로 하든지, 또는 피부 투과 촉진 효과를 발휘하는 촉진제와의 조합에 의해 피부 투과성이 높은 구성으로 하는 것이 과제였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피부에 직접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탐스로신의 경피흡수성이 뛰어나 배뇨 장해의 개선에 유효한 경피흡수형 제재인 탐스로신 함유 경피흡수형 제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탐스로신 함유 경피흡수형 제재의 점착제층의 구성에 있어서, 탐스로신과 그 용해성 향상의 역할을 담당하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를 조합함으로써, 또는 점착제의 기제 수지 그 자체를 탐스로신 용해성이 높은 특정의 종류의 것을 채용함으로써, 점착제층으로의 탐스로신의 용해성이 비약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의 구성에 있어서, 탐스로신과 그 경피흡수를 촉진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를 조합시킴으로써, 탐스로신의 피부로의 투과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더욱이, 탐스로신 그 자체의 적어도 일부를 자유체의 형태로 함으로써, 전술한 탐스로신의 용해성 및 피부 투과성의 향상, 나아가서는 경피흡수성의 효과적인 개량을 한층 더 높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지지체와 그 위에 점착제층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경피흡수형 제재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며, 더욱이 유효 성분으로서 탐스로신을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1 내지 20질량%, 및 첨가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형 제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 경피흡수형 제재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는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체와 그 위에 점착제층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경피흡수형 제재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피롤리돈 고리를 갖는 단량체와 알킬기의 탄소 원자수 4 내지 12의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공중합체를 베이스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며, 더욱이 유효 성분으로서 탐스로신을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1 내지 20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형 제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체와 그 위에 점착제층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경피흡수형 제재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점착제 또는 합성고무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며, 더욱이 유효 성분으로서 탐스로신을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1 내지 20질량%, 첨가제로서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형 제재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상기 경피흡수형 제재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의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의 함유량이,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2 내지 40질량%인 것, 상기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가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인 것, 상기 합성고무계 점착제가 스틸렌계 엘라스토머와 수첨(물 첨가) 로진을 함유하는 점착제인 것, 또는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가 피롤리돈 고리를 갖는 단량체와 알킬기의 탄소 원자수 4 내지 12의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공중합체를 베이스로 하는 점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경피흡수형 제재에 있어서, 또한 첨가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알킬 에테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가 폴리옥시 에틸렌라우릴에테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 이들 경피흡수형 제재에 있어서, 상기 탐스로신이 자유체의 형태로 상기 점착제층 내에 존재하거나, 또는 염의 형태로서 염기를 갖는 첨가제와 함께 상기 점착제층내에 존재하고 상기 염의 적어도 일부가 자유체로 변환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일반적으로 경피흡수형 제재는 피부에의 적용이 용이하고, 또한 약물을 지속적으로 투여하는데 적합한 제형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아크릴계 점착제와 용해성 향상 역할을 담당하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를 조합함으로써, 점착제층에 탐스로신을 고농도로 용해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로 하여, 점착제층에 탐스로신을 한층 더 고농도로 용해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피롤리돈 고리를 갖는 단량체와 알킬기의 탄소 원자수 4 내지 12의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이용하여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를 베이스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용해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점착제층에 탐스로신을 고농도로 용해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아크릴계 점착제 또는 고무계 점착제와 경피흡수를 촉진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를 조합함으로써, 점착제층에서 탐스로신의 피부 투과성을 높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를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로 하는 것, 합성고무계 점착제를 스틸렌계 엘라스토머와 수첨 로진을 함유하는 점착제로 하는 것, 또는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를 피롤리돈 고리를 갖는 단량체와 알킬기의 탄소 원자수 4 내지 12의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의 공중합체를 베이스로 하는 점착제로 함으로써 점착제층에 탐스로신을 고농도로 용해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용해성 향상 역할을 담당하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를 조합함으로써, 특히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를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로 함으로써, 점착제층에 탐스로신을 한층 더 고농도로 용해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점착제층안의 탐스로신을 그 적어도 일부를 자유체의 형태로 존재시킴으로써, 점착제층에 탐스로신을 한층 더 고농도로 용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탐스로신 함유의 경피흡수형 제재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또한 그 점착제층에 용해된 탐스로신이 장기간에 걸쳐서 점착제층으로부터 방출되어 효율적으로 피부에 투과됨으로써, 지속적인 투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점착제층안에 탐스로신을 고농도로 함유시킴으로써, 피부 표면의 각질층이 탐스로신 흡수에 대한 배리어 기능을 가져 탐스로신 투과율의 저하라는 탐스로신 함유의 경피흡수형 제재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탐스로신의 높은 피부 투과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안에 탐스로신을 고농도로 함유시키는 것은 점착제층으로부터의 탐스로신의 방출을 장기에 걸쳐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경피 흡수 촉진의 역할을 담당하는 첨가제를 함유함으로써, 탐스로신의 피부 투과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경피흡수형 제재는 지지체의 표면에 점착제층을 두고, 상기 점착제층 위에 통상 그 전면을 덮도록 박리 라이너를 붙여서 이루어지는 경피흡수형 제재이며, 이하에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 및 그 기능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제층 전체 질량 기준」이라는 것은, 아크릴계 점착제 또는 합성고무계 점착제, 탐스로신(유효 성분), 필요에 의해 배합되는 첨가제(용해성 향상: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경피 흡수 촉진: 예를 들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및 그 외의 성분(가교제, 산화방지제, 충전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단, 기준이 되는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에 희석을 위해 사용한 유기용매는 포함되지 않는다.
1) 점착제층
본 발명의 경피흡수형 제재의 구성요소인 점착제층은 유효 성분, 점착제, 첨가제(용해성 향상 및/또는 경피 흡수 촉진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를 필수 성분으로서 포함한다. 단, 사용하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피롤리돈 고리를 갖는 단량체와 알킬기의 탄소 원자수 4 내지 12의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공중합체를 베이스로 하는 점착제인 경우에는 첨가제를 비배합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소망에 따라, 경피흡수형 제재의 점착제층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이하에 서술하는 것 이외의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1) 유효 성분
본 발명의 경피흡수형 제재의 점착제층에 포함되는 유효 성분은 탐스로신이다.
여기서 사용하는 탐스로신의 양은, 제재로서 요구되는 효과, 또는 후술하는 용해성 향상이나 경피흡수 촉진의 역할을 담당하는 첨가제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점착제층 전체 질량 기준으로 0.1 내지 2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탐스로신은 자유체의 형태 또는 염의 형태로 점착제층 안에 존재하고, 염의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염기성 첨가물을 더하여 약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자유체의 형태로 변환시킨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탐스로신 염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예를 들어 염산, 황산, 브롬화 수소산 등의 무기산 또는, 아세트산, 옥살산, 마레인산, 푸말산, 구연산, 젖산 등의 유기산과의 산 부가염이 있으며, 이들을 사용할 수가 있고, 특히 염산염, 즉 염산 탐스로신은 임상적으로 유용하다.
또한 약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자유체의 형태로 변환할 때 사용하는 염기성 첨가물의 예로서는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아세트산염, 모노에탄올 아민, 디에탄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스히드록시 메틸아미노메탄 등을 들 수 있다.
(2) 점착제
본 발명의 경피흡수형 제재의 점착제층에 포함되는 점착제는 아크릴계 점착제 또는 합성고무계 점착제이다.
(2)-1 아크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는 바람직하게는 알킬기의 탄소원자수가 4 내지 12인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필수의 단량체 성분으로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베이스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점착제는 피롤리돈 고리를 갖는 단량체와 알킬기의 탄소 원자수 4 내지 12의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공중합체를 베이스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킬기의 탄소 원자수가 4 내지 12의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n-부틸, 아크릴산 n-헥실, 아크릴산 n-옥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 이소옥틸, 아크릴산 이소노닐, 아크릴산 n-데실, 아크릴산 이소데실,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로서 메타크릴산-n-데실, 메타크릴산 이소데실, 메타크릴산 라우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중,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 n-옥틸, 아크릴산 이소옥틸, 아크릴산 이소노닐 및 메타크릴산 라우릴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피롤리돈 고리를 갖는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N-비닐-2-피롤리돈, N-비닐-2-피페리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단량체는 일반적으로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되지만, 필요에 따라서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상기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공중합체 또는 상기 피롤리돈 고리를 갖는 단량체와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이며, 그것에 의해 저피부 자극성 등의 아크릴계 점착제로서의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필수 단량체 성분으로서 포함한 경우, 그 공중합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9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8질량%이다. 이 때, 상기 피롤리돈 고리를 갖는 단량체를 공중합체의 단량체 성분으로서 다시 포함할 수도 있고, 이 경우 피롤리돈 고리를 갖는 단량체의 공중합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질량%이다.
상기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그 외의 단량체 성분으로서는, 관능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아크릴산-3-히드록시프로필 및 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등의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마레인산, 무수말레인산, 이타콘산 및 마레인산 모노부틸 등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 아크릴아미드, 디메틸 아크릴아미드, 디에틸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및 N-메틸올 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노기를 갖는 모노머, 및 아크릴산글리시딜 및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등의 에폭시기를 갖는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관능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중의 그 외의 단량체 성분, 즉 관능기를 갖는 비닐모노머의 공중합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20질량%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질량%이하이다.
상기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그 외의 단량체 성분 이외의, 그 외 함유 가능한 단량체 성분으로서는,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프로필, 아크릴산 이소부틸, 아크릴산 t-부틸, 아크릴산 라우릴, 아크릴산 스테아릴,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n-부틸, 메타크릴산 이소부틸, 메타크릴산 t-부틸, 메타크릴산 n-헥실, 메타크릴산 이소옥틸, 메타크릴산 이소노닐 및 메타크릴산 스테아릴 등의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아세트산비닐 등의 비닐 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불포화 니트릴, 및 스틸렌 등의 비닐 방향족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함유 가능한 단량체 성분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중의 그 외 함유가능한 단량체 성분의 공중합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30질량%이하이다.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일반적으로 라디컬 중합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중합법으로서는 용액 중합법, 유화 중합법 또는 괴상 중합법 등을 들 수 있지만, 양호한 점착 특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용액 중합법이 바람직하다.
중합 반응은 전체 모노머 질량에 대하여 0.1 내지 1질량% 정도의 비율로 라디컬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여 질소 기류하 및 40 내지 90℃ 정도의 온도하에서, 수시간 내지 수십 시간 교반하여 실시한다. 또한 여기서 사용하는 중합 개시제로서는 벤조일퍼옥사이드 및 라우로일퍼옥사이드 등의 유기 과산화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의 아조계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2)-2 합성고무계 점착제
합성고무계 점착제는 바람직하게는 스틸렌-이소프렌-스틸렌 블록 공중합체(SIS), 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 블록 공중합체(SBS) 등의 스틸렌계 엘라스토머와 점착 부여 성분으로서 수첨 로진을 함유하는 고무계 점착제를 베이스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첨가제: 용해성 향상 역할을 담당하는 첨가제
본 발명의 경피흡수형 제재의 아크릴계 점착제 층에 포함되는, 탐스로신의 용해성 향상 역할을 담당하는 첨가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를 사용한다. 단, 상기 (메타)아크릴계 점착제가 피롤리돈 고리를 갖는 단량체를 이용하여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베이스로 하는 점착제인 경우에는, 상기 첨가제는 임의의 배합 성분으로 할 수 있으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또는 그 외의 용해성 향상의 역할을 담당하는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로서는 알킬기의 탄소 원자수가 12 내지 18의 것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세틸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에테르 등이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이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이외의 그 외의 매우 적합한 용해성 향상의 역할을 담당하는 첨가제로서는 탄산 프로필렌, 크로타미톤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의 함유량은 점착제층 전체 질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질량%이다.
(4) 첨가제: 경피흡수 촉진의 역할을 담당하는 첨가제
또한 본 발명의 경피흡수형 제재에 있어서, 경피흡수 촉진의 역할을 담당하는 첨가제로서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를 사용함으로써,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한 제재에 있어서 피부 투과능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지금까지 피부 투과성의 열악이 과제가 되어 왔던 합성고무계 점착제를 사용한 경피흡수형 제재도 실현 가능해진다.
바람직한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지방산 에스테르 부분의 탄소 원자수가 12 내지 18의 것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팔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올레이트 등이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이다.
이들 경피흡수 촉진의 역할을 담당하는 첨가제인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의 함유량은 점착제층 전체 질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질량%이다. 이 함유량이 40질량%를 넘으면 점착제의 응집성이 극단적으로 나빠져서 경피흡수형 제재로서 적합한 특성으로 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2질량% 보다 적으면 피부 흡수 촉진의 효과가 저하된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이외의 그 외의 매우 적합한 경피흡수 촉진의 역할을 담당하는 첨가제로서는 각종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고급 지방산 및 고급 알코올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그외 경피흡수 촉진의 역할을 담당하는 첨가제의 함유량은 점착제층 전체 질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질량%이다.
(5) 그 외 첨가제
본 발명의 경피흡수형 제재의 점착제층에는 상기 성분 외에, 그 외의 용해제, 그 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통상의 첩부제 등에 사용되는 경피흡수 촉진제, 충전제, 산화방지제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피흡수형 제재의 점착제층에 있어서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아크릴계 점착제의 응집력을 증대시킬 목적으로 각종 가교제를 점착제층에 더욱 첨가할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및 다가 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가교제의 배합량이 너무 적으면 충분한 응집력 향상 효과를 얻지 못하고, 또한, 배합량이 과다하면 응집력이 너무 높아져서 유효 성분(약제)이 첩부시에 점착제 안을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여 효율적인 약제 효과 발현이 되지 않기 때문에 주의를 필요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경피흡수형 제재의 점착제층에 있어서 합성고무계 점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스틸렌계 엘라스토머 뿐만 아니라, 다른 천연 또는 합성고무계 점착제를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점착력을 부여시키기 위해서 수첨 로진 이외의 점착 부여제를 비롯하여 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2) 지지체
본 발명의 경피흡수형 제재는 유효 성분(탐스로신), 점착제(아크릴계 점착제 또는 고무계 점착제) 및 필요에 따라서 첨가제(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배합하여 얻어진 혼합물(점착제)을 적당한 박리 라이너상에 도포하고, 그 위에 적당한 지지체를 붙이고, 필요에 의해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최종적인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환부로의 추종성 및 첩부할 때의 자기지지성 등을 가미하고, 유연성, 신축성 및 두께 등을 고려하여 목적에 따라 적당히 선택한다.
이러한 지지체로서, 함침지, 코팅지, 상질지, 크래프트지, 일본 종이 및 글라신지(glassine) 등의 종이,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및 셀로판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 발포체,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및 폴리프로필렌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직포 및 편포 등의 천 기재, 이들의 적층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신축성의 점에서는 부직포, 직포 및 편포가 바람직하며, 사용성 면에서는 투명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이 바람직하다.
이용하는 지지체의 두께는 부직포, 직포 및 편포에서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0㎛이다. 또한, 플라스틱 필름이면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이다.
또한 지지체는 상기 부직포, 직포, 편포 및 플라스틱 필름 중 1종을 이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을 맞추어 붙인 것이 바람직하다.
3) 박리 라이너
본 발명의 경피흡수형 제재에 이용되는 박리 라이너는 점착제층으로부터의 용이한 박리성, 통기성, 통수성 및 유연성 등을 고려하여, 목적에 따라 적당히 선택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 등의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지는 필름이 사용되고, 박리성을 높이기 위하여 필름 표면을 실리콘 처리, 또는 탄화불소처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4) 경피흡수형 제재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경피흡수형 제재의 점착제층에 사용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즉 상기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전술한 용액 중합법으로 합성했을 경우, 중합 후에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용액으로서 얻어지게 된다. 이 용액을 그대로, 또는 적당한 유기용매로 희석하고, 「아크릴계 점착제 용액」으로서 본 발명의 경피흡수형 제재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용액 도공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액 도공법에서는, 우선 처음에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점착제), 탐스로신(유효 성분) 및 필요에 따라 첨가제(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더욱 필요에 따라 가교제, 그 외의 용해제, 그 외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통상의 경피흡수 촉진제, 충전제, 산화방지제 등을 첨가한 용액을 조제한다. 이 용액에 희석제로서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적당히 농도를 조정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유기용매로서는 n-헥산, 톨루엔, 아세트산에틸,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이 있으며, 이들 유기용매로 희석한 희석액 중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질량%이다.
계속하여 각 성분을 함유하는 용액(희석액)을 교반하여 균일하게 용해, 분산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용액을 나이프 코터, 콤마 코터 또는 리버스 코터 등의 도공기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박리 라이너(실리콘 처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균일하게 도포한다.
도포 후, 약 40℃ 내지 130℃의 온도로 보관 유지한 건열 분위기하에서 약 30초 내지 10분간 보관 유지하여 유기용매를 휘발시킨다. 사용하는 유기용매의 종류 및 도포하는 점착제의 두께에 따라 건조 조건을 적당히 선택한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에 있어서 합성고무계 점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스틸렌계 엘라스토머(점착제), 수첨 로진(점착 부여제) 및 첨가제(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더욱 필요에 따라, 그 외의 점착 부여제, 그 외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통상의 경피흡수 촉진제, 연화제, 충전제, 산화방지제 등을 상술하는 n-헥산 등의 유기용매에 용해하고, 얻어지는 합성고무계 점착제 용액에 탐스로신(유효 성분)을 첨가 혼합한 후, 상술한 아크릴계 점착제 용액과 같이 용액 도공법을 이용하여 박리 라이너 등 위에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다.
또는, 핫멜트나 캘린더법과 같이 상기 성분(탐스로신 포함, 단 유기용매는 제외)을 모두 혼합한 후 질소 흐름하에서 가열하면서 혼합교반을 실시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박리 라이너 등 위에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얻어진 점착제층의 표면에 지지체를 라미네이트로 함으로써, 경피흡수형 제재(첩부제)를 얻을 수 있다. 지지체의 종류에 따라서는, 지지체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 점착제층의 표면에 박리 라이너를 라미네이트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중, 「%」 「부」란 각각 「질량%」,「질량부」를 의미하는 것이다.
실시예 1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96%, 아크릴산 4%를 중합 개시제 라우릴퍼옥사이드 0.5부를 이용하여 통상의 용액 중합법에 의해 중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1) 용액(고형분 35%)을 얻었다. 이 아크릴계 점착제(1) 80부(고형분량)에 탐스로신 자유체 5부를 첨가하고, 다시 용해성 향상 역할을 담당하는 첨가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에마르겐 104P, 카오(주))를 15부 첨가하였다.
점착제층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75㎛ 편면 실리콘 처리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필름바이나 75 E-0010 No. 23, 후지모리 고교(주))상에 도공하고, 110℃에서 3분간 건조시켰다.
이어서, 점착제층의 편면에 25㎛의 PET 필름(르미라 S10, (주) 토오레)를 붙여서 경피흡수형 제재를 얻었다.
실시예 2
아크릴계 점착제(1)의 배합량을 82부(고형분량)로 하고, 탐스로신 자유체를 3부로 한 것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경피흡수형 제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15부에 탐스로신 자유체 5부를 용해하고, 이를 실시예 1에서 이용한 아크릴계 점착제(1) 80부(고형분량)에 첨가하여 균일하게 되도록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경피흡수형 제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78%, N-비닐-2-피롤리돈 22%를 중합개시제 라우릴퍼옥사이드 0.5부를 이용하여 통상의 용액 중합법에 의해 중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2) 용액(고형분 35.7%)으로 하였다. 이 아크릴계 점착제(2) 95부(고형분량)에 탐스로신 자유체 5부를 첨가하였다(용해성 향상의 역할을 완수하는 첨가제는 사용하지 않음).
이어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경피흡수형 제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아크릴계 점착제(2)의 배합량을 67부(고형분량)로 하고, 탐스로신 자유체 3부, 경피흡수 촉진의 역할을 담당하는 첨가제로서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30부(리케마르 PL-100, 리켄 비타민(주))를 첨가하여,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경피흡수형 제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아크릴계 점착제 대신에, 고무계 점착제 77부(스틸렌-이소프렌-스틸렌(SIS) 블록 공중합체(쿠인타크3520, 니혼 제온(주)) 31.8부, 수첨 로진 에스테르 수지(파인크리스탈 KE311, 아라카와 카가쿠고교(주)) 44.5부, 디부틸히드록시 톨루엔(BHT-F, 타케다 기린 쇼쿠힌(주)) 0.7부)를 톨루엔과 n-헥산의 혼합 용액에 용해하고, 탐스로신 자유체 3부,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20부를 첨가하였다.
점착제층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75㎛ 편면 실리콘 처리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필름바이나 75E-0010 No. 23, 후지모리 고교(주)) 상에 도 공하고, 110℃에서 3분간 건조시켰다.
이어서, 점착제층의 편면에 25㎛의 PET 필름(르미라 S10, (주) 토오레)을 붙여서 경피흡수형 제재를 얻었다.
실시예 7
고무계 점착제를 67부(SIS 블록 공중합체 27.6부, 수첨 로진 에스테르 수지 38.7부, 디부틸히드록시 톨루엔 0.7부)로 하고,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의 배합량을 30부로 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하게 경피흡수형 제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고무계 점착제를 57부(SIS 블록 공중합체 23.5부, 수첨 로진 에스테르 수지 32.9부, 디부틸히드록시 톨루엔 0.6부)로 하고,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의 배합량을 40부로 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하게 경피흡수형 제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점착제로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아크릴계 점착제(1)를 이용하고,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를 점착제층 안에 첨가하지 않고, 점착제층의 용액 중에 탐스로신이 용해되지 않고 분산 상태로 존재하도록 혼합한(아크릴계 점착제(1) 95부(고형분량), 탐스로신 자유체 5부)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경피흡수형 제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고무계 점착제 82부(SIS 블록 공중합체(SIS5002, JSR(주)) 35.5부, 수첨 로진 에스테르 수지(파인크리스탈 KE311, 아라카와 카가구교교(주)) 35.5부, 유동 파라핀(하이코르 M352, 가네다(주)) 10.6부, 디부틸히드록시 톨루엔(BHT-F, 타케다 기린 쇼쿠힌(주)) 0.4부)를 톨루엔과 n-헥산의 혼합 용액에 용해하고, 탐스로신 자유체 3부,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에마르겐 104P, 카오(주)) 15부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경피흡수형 제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아크릴계 점착제(1) 대신에 실리콘계 점착제(Q7-4501, 다우코닌구사)를 이용하여 상기 점착제 99부, 탐스로신 자유체를 1부로 한 것 이외에는,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하게 경피흡수형 제재를 제조하였다.
[평가 시험법]
상기 실시예 1~8 및 비교예 1~3의 경피흡수형 제재를 하기와 같은 평가 시험법에 따라 시험하고, 탐스로신의 각종 점착제에 대한 용해성 및 탐스로신의 피부 투과성을 평가하였다.
(1) 탐스로신 자유체의 각종 점착제에 대한 용해성 시험법(실시예 1~4 및 비교예 1~3)
탐스로신 자유체의 각종 점착제에 대한 23℃에 있어서의 용해성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경피흡수형 제재가 투명한 경우를 용해 상태로 하고, 백탁한 상태를 미용해 상태로 하였다.
(2) 탐스로신의 피부 투과성 시험법(실시예 1~8 및 비교예 1 및 2)
얻어진 경피흡수형 제재를 1.77㎠로 오려내고, Franz(프란츠)형 확산 셀 및 헤어리스 마우스(7주째, 수컷) 복부 적출 피부를 이용하여, 이하의 순서로 피부 투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리시버액으로서 20%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수용액(32℃)을 사용하고, 시험 개시 후부터 48시간 경과까지 4시간마다 리시버액의 1㎖ 채취하고, 동량의 새로운 리시버액을 충전하였다. 채취한 리시버액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LC-MS/MS법에 의해 약제 농도를 측정하고, 누적 피부 투과량을 산출하였다. 각 검체에 대하여 3회 시험하여 평균치를 얻었다.
[평가 시험 결과]
(1) 탐스로신의 각종 점착제에 대한 용해성(실시예 1~4 및 비교예 1~3)
탐스로신 자유체의 각종 점착제에 대한 용해성의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하기 표 1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탐스로신 자유체는 실시예 1~3에서 이용한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에 대해 5%의 고농도로 탐스로신 자유체를 용해할 수 있어 양호한 용해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피롤리돈 고리 함유 화합물을 이용한 아크릴계 점착제(실시예 4)에 있어서는, 용해성 향상의 역할을 완수하는 첨가제(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를 사용하지 않고도, 5%의 고농도로 탐스로신 자유체를 용해할 수 있어 양호한 용해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비교예 1에서 사용한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를 포함하지 않는 아크릴계 점착제에 대해서는, 탐스로신 자유체는 3%까지의 농도로 용해할 수 있었지만, 5%의 고농도로는 용해할 수 없었다.
또한, 비교예 2에서 사용한 고무계 점착제는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를 포함하고 있어도, 탐스로신 자유체를 3%의 농도까지밖에 용해할 수 없었다.
또한, 비교예 3에서 사용한 실리콘계 점착제는 탐스로신 자유체가 1%의 농도에서도 용해할 수 없었다.
Figure 112008077612139-PCT00001
(2) 탐스로신의 피부투과성(실시예 1~8 및 비교예 1 및 2)
탐스로신 자유체의 피부 투과성의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아크릴계 점착제(1)를 사용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3에 있어서의 탐스로신의 투입법의 차이는, 피부 투과성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용해성 향상 역할을 담당하는 첨가제인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를 첨가한 제재는 지속적으로 높은 피부 투과 속도를 유지하고, 또한 피부 투과량은 약효를 발휘하는데 충분하다라고 인정되는 값을 나타냈다.
또한, 실시예 2는 약제 함량이 3%로 낮아 누적 피부 투과량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을 밑도는 결과가 되었지만, 이 경우에 있어서도, 경피흡수형 제재로서의 효과를 충분히 기대할 수 있는 결과가 되었다. 또한,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를 첨가하지 않았던 비교예 1은 탐스로신 농도가 동량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3에 비해 상당히 낮은 피부 투과성 밖에 나타내지 않았다.
실시예 4의 피롤리돈 고리를 포함하는 단량체를 중합한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베이스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2)를 사용한 제재는,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등의 용해성 향상의 역할을 담당하는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비교적 양호한 피부 투과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5의 피롤리돈 고리를 포함하는 단량체를 중합한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베이스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2)를 이용하여 경피흡수 촉진의 역할을 담당하는 첨가제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를 첨가한 제재는, 약제 함량이 3%로 낮긴 하지만, 매우 양호한 피부 투과성을 나타내어 아크릴계 점착제에 있어서의 어떠한 실시예보다 높은 피부 투과성을 나타냈다.
또한, 고무계 점착제를 사용한 비교예 2는 등량의 약제를 함유하는 실시예 2와 비교하여 누적 피부 투과량이 낮은 결과가 되었지만, 또한 실시예 6~8은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를 첨가하는 것으로써 피부 투과성은 향상되고,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했을 경우와 손색없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의 첨가량의 증가에 수반하여, 탐스로신의 피부 투과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었다.
Figure 112008077612139-PCT00002
도 1은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및 2의 경피흡수형 제재의 누적 피부 투과량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11)

  1. 지지체와 그 위에 점착제층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경피흡수형 제재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며, 더욱이 유효 성분으로서 탐스로신을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에 대해 0.1 내지 20질량%, 및 첨가제로서 폴리옥시 에틸렌알킬에테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형 제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가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형 제재.
  3. 지지체와 그 위에 점착제층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경피흡수형 제재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피롤리돈 고리를 갖는 단량체와 알킬기의 탄소 원자수 4 내지 12의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공중합체를 베이스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로이루어지며, 더욱이 유효 성분으로서 탐스로신을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1 내지 20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형 제재.
  4. 지지체와 그 위에 점착제층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경피흡수형 제재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점착제 또는 합성고무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며, 더욱이 유효 성분으로서 탐스로신을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1 내지 20질량%, 및 첨가제로서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 피흡수형 제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의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의 함유량이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2 내지 4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형 제재.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의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가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형 제재.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고무계 점착제가 스틸렌계 엘라스토머와 수첨(물 첨가) 로진을 함유하는 점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형 제재.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가 피롤리돈 고리를 갖는 단량체와 알킬기의 탄소 원자수 4 내지 12의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공중합체를 베이스로 하는 점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형 제재.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피흡수형 제제가 첨가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를 더욱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형 제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가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형 제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탐스로신이 자유체의 형태로 상기 점착제층 안에 존재하거나, 또는 염의 형태로서 염기를 갖는 첨가제와 함께 상기 점착제층 안에 존재하고, 상기 염의 적어도 일부가 자유체로 변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경피흡수형 제재.
KR1020087027506A 2006-04-11 2007-04-03 탐스로신 함유 경피흡수형 제재 KR200900092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08915 2006-04-11
JP2006108915 2006-04-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235A true KR20090009235A (ko) 2009-01-22

Family

ID=38609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7506A KR20090009235A (ko) 2006-04-11 2007-04-03 탐스로신 함유 경피흡수형 제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155343A1 (ko)
EP (1) EP2005952A1 (ko)
JP (1) JP4784875B2 (ko)
KR (1) KR20090009235A (ko)
CN (1) CN101420946B (ko)
RU (1) RU2008144405A (ko)
WO (1) WO20071196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44145E1 (en) 2000-07-07 2013-04-09 A.V. Topchiev Institute Of Petrochemical Synthesis Preparation of hydrophi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having optimized adhesive properties
US8840918B2 (en) 2001-05-01 2014-09-23 A. V. Topchiev Institute of Petrochemical Synthesis, Russian Academy of Sciences Hydrogel compositions for tooth whitening
DE60233217D1 (de) 2001-05-01 2009-09-17 Corium Internat Inc Hydrogel-zusammensetzungen
US20050215727A1 (en) 2001-05-01 2005-09-29 Corium Water-absorbent adhesive compositions and associate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US8541021B2 (en) 2001-05-01 2013-09-24 A.V. Topchiev Institute Of Petrochemical Synthesis Hydrogel compositions demonstrating phase separation on contact with aqueous media
US8206738B2 (en) 2001-05-01 2012-06-26 Corium International, Inc. Hydrogel compositions with an erodible backing member
CA2554649C (en) 2004-01-30 2015-10-27 Corium International, Inc. Rapidly dissolving film for delivery of an active agent
EP2387394B1 (en) * 2009-01-14 2018-05-02 Corium International, Inc. Transdermal administration of tamsulosin
JP5636715B2 (ja) * 2009-03-27 2014-12-10 トーアエイヨー株式会社 経皮吸収製剤
WO2010109913A1 (ja) * 2009-03-27 2010-09-30 トーアエイヨー株式会社 経皮吸収製剤
JP5664991B2 (ja) * 2009-03-27 2015-02-04 トーアエイヨー株式会社 経皮吸収製剤
CN101889996B (zh) * 2009-05-19 2013-05-15 张立英 含有坦索罗辛的直肠给药组合物
CN102145003B (zh) * 2010-02-08 2015-04-22 张立英 含难溶性药物的药用组合物
US9017723B2 (en) 2010-04-30 2015-04-28 Teikoku Pharma Usa, Inc. Propynylaminoindan transdermal compositions
WO2012129429A2 (en) * 2011-03-24 2012-09-27 Teikoku Pharma Usa, Inc. Transdermal compositions comprising an active agent layer and an active agent conversion layer
US9205061B2 (en) 2012-11-02 2015-12-08 Teikoku Pharma Usa, Inc. Propynylaminoindan transdermal compositions
EP3150205B1 (en) * 2014-05-28 2021-02-17 Teikoku Seiyaku Co., Ltd. Transdermal prepara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4673A (ja) * 1994-05-09 1995-11-21 Sekisui Chem Co Ltd 経皮吸収貼付剤
WO1995031190A1 (fr) 1994-05-18 1995-11-23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Preparation administrable par voie percutanee pour le traitement des troubles de la miction
JPH0827003A (ja) * 1994-07-22 1996-01-30 Sekisui Chem Co Ltd 経皮吸収製剤
JPH0892080A (ja) 1994-09-22 1996-04-09 Yamanouchi Pharmaceut Co Ltd 経皮吸収用製剤
ES2160727T3 (es) * 1994-12-24 2001-11-16 Pacific Corp Parches medicinales para administracion percutanea.
JPH08245377A (ja) 1995-03-15 1996-09-24 Yamanouchi Pharmaceut Co Ltd 経皮吸収用製剤
US5879701A (en) * 1997-02-28 1999-03-09 Cygnus, Inc. Transdermal delivery of basic drugs using nonpolar adhesive systems and acidic solubilizing agents
KR100433614B1 (ko) * 2000-06-16 2004-05-31 주식회사 태평양 친수성 또는 염의 형태로 된 약물을 함유하는 경피흡수제제
JP4354678B2 (ja) * 2002-08-28 2009-10-28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
JP5075334B2 (ja) * 2004-11-22 2012-11-21 久光製薬株式会社 薬物含有貼付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19656A1 (ja) 2007-10-25
EP2005952A1 (en) 2008-12-24
JP4784875B2 (ja) 2011-10-05
US20090155343A1 (en) 2009-06-18
JPWO2007119656A1 (ja) 2009-08-27
RU2008144405A (ru) 2010-05-20
CN101420946B (zh) 2011-05-25
CN101420946A (zh) 200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9235A (ko) 탐스로신 함유 경피흡수형 제재
JP5130203B2 (ja) 非水系粘着剤組成物、貼付剤および貼付剤の製造方法
WO2010073326A1 (ja) 経皮吸収型製剤
JP5016309B2 (ja) 医療用テープ剤
AU2006221389B2 (en) Adhesive and adhesive patch
US20060193900A1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nd patch
WO2008044336A1 (fr) Préparation adhésive contenant un cristal
JP5185509B2 (ja) 貼付剤
KR20050005551A (ko) 접착제
JP2003313122A (ja) ビソプロロール含有貼付剤
JP2007015963A (ja) 貼付剤
JP4311728B2 (ja) 経皮吸収型貼付剤
JP2003300873A (ja) 貼付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031322A (ja) 貼付剤
JP6372549B2 (ja) 皮膚貼付用粘着剤、皮膚用貼付剤、および剥離用シート状部材付き皮膚用貼付剤の製造方法
JP6528154B2 (ja) ビソプロロール含有貼付製剤
JPH0592919A (ja) テープ製剤
JPH0348621A (ja) ケトチフェン経皮吸収製剤
JP5020554B2 (ja) 非水系粘着剤組成物とこれを用いた貼付剤
CN109806243B (zh) 一种含有氟吡汀或其药用盐的皮肤外用贴剂
JP3277239B2 (ja) エペリゾンまたはトルペリゾン外用貼付剤
TW202202147A (zh) 貼附劑
JPH1045579A (ja) 貼付剤
JP5089376B2 (ja) 粘着剤及び貼付剤
JP2022093199A (ja) 貼付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