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996U - 진공 흡착구 - Google Patents
진공 흡착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04996U KR20090004996U KR2020070018719U KR20070018719U KR20090004996U KR 20090004996 U KR20090004996 U KR 20090004996U KR 2020070018719 U KR2020070018719 U KR 2020070018719U KR 20070018719 U KR20070018719 U KR 20070018719U KR 20090004996 U KR20090004996 U KR 2009000499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hole
- vacuum
- vacuum suction
- suction por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OWZREIFADZCYQD-NSHGMRRFSA-N deltamethrin Chemical compound CC1(C)[C@@H](C=C(Br)Br)[C@H]1C(=O)O[C@H](C#N)C1=CC=CC(OC=2C=CC=CC=2)=C1 OWZREIFADZCYQD-NSHGMRRF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8—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navigation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68—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suction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 흡착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구비된 제1,2체크밸브의 공기 배출 단속에 의해 진공된 상태가 보다 완벽함은 물론이고 내부에 개재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진공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흡착력이 우수하며, 압력변화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이 더욱 편리한 진공 흡착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진공 흡착구는 흡착판을 유리면 혹은 타일 벽면에 밀착한 후 밀착덮개를 밀게 되면 제1,2체브밸브의 공기 흐름 단속으로 인해 보다 완벽하게 진공 흡착되므로 흡착력이 우수함은 물론이고 사용이 편리하며, 이 흡착되는 과정에서 덮개 내부에는 충분한 스트로크가 확보되어 있으므로 압축력이 우수하며, 덮개와 밀착덮개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탄성부재에 의해서 긴장감이 더해 장시간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밀착덮개의 외주연에 구비된 측정부재에 의해서 진공 흡착구가 무단으로 떨어지는 현상을 미리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게 된다.
진공 흡착구, 흡착판, 패킹
Description
본 고안은 진공 흡착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구비된 제1,2체크밸브의 공기 배출 단속에 의해 진공된 상태가 보다 완벽함은 물론이고 내부에 개재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진공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흡착력이 우수하며, 압력변화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이 더욱 편리한 진공 흡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타일벽이나 유리면 등에 진공흡착되어 물체(네비게이션 거치대, 휴대폰 거치대 및 각종 생활용품 수납구)를 고정시켜 걸거나 지지하도록 하기 위해서 통상 진공 흡착구가 사용되고 있다.
즉, 도 1은 종래의 진공 흡착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진공 흡착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종래의 진공 흡착구(10)는 유연재질로 형성되어 중앙에 하부로 돌기부(22)가 돌설되고 내면이 만곡진 흡착판(20)과, 상기 흡착판(20)보다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되 내면이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흡착판(20)의 하면 전체를 일정 간격을 두고 덮도록 하고 외면 일부에는 절개부(32)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일 단부에 지지축(34)을 형성하며, 중앙이 관통된 커버(30)와, 상기 커버(30)의 관통공으로 삽입되어져 상기 흡착판(20)의 돌기부(22)와 결합되는 로드(40) 및 상기 커버(30)의 지지축(34)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일단이 상기 절개부(32)를 통해 로드(40)에 부착되어져 회동 작동에 의해서 상기 로드(40)를 전 후진시키는 작동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진공 흡착구(10)의 작동을 살펴보면, 타일벽 혹은 유리면(200)에 흡착판(20)을 밀착시킨 후 작동부재(50)를 회동시켜 로드(40)를 후진하게 되면 흡착판(20)의 만곡진 내면의 체적이 증가하여 진공상태가 됨과 동시에 유리면(200)에 흡착되는 것이다.
이때, 종래의 진공 흡착구(10)는 초기에는 단단히 압착되어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흡착판(20)의 외주면을 통해 미세한 공기의 유입으로 진공 흡입력이 약해지고, 특히 강한 직사광선에 노출된 경우에는 온도의 상승으로 흡착판(20) 내부의 공기가 팽창하여 진공 흡입력이 급격하게 약해져 흡착판(20)이 떨어지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즉, 종래의 이러한 문제는 진공시 이 진공된 상태를 유지시켜주기 위한 진공 공간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될 때 계속적인 진공상태의 유지가 어렵다.
뿐만 아니라 커버(30)의 외면으로 작동부재(50)가 노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진공 해제가 되는 경우도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다 완벽한 진공상태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진공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흡착력이 우수며, 압력변화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이 더욱 편리한 진공 흡착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진공 흡착구는, 유연한 재질로 내면이 만곡되게 형성되며, 중앙에는 결합공이 형성된 지지판이 구비되는 흡착판;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상부에 형성되며, 중앙에는 상하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 외주연에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장착홈이 형성되는 덮개; 상기 덮개의 장착홈으로 삽입되는 탄성부재; 상기 덮개의 장착홈으로 결합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상측이 개방되어 있되, 개방구 끝단에는 외향된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개방구의 중앙에는 상기 관통공으로 삽입되는 돌기봉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봉에는 외부와 연통된 장착공이 형성되는 밀착덮개; 상기 밀착덮개의 돌기봉에 결합되어 관통공의 내경에 밀착되는 것으로 중앙에는 상기 돌기봉에 형성된 장착공과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는 패킹; 상기 밀착덮개의 외주연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되어 상기 덮개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덮개에 결합된 밀착덮개의 외향된 플랜지부를 구속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체결링; 상기 덮개의 관통공 상측에 장착되어져 관통공에 잔류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단속 하는 제1체크밸브; 및 상기 밀착덮개의 돌기봉에 형성된 장착공에 장착되어져 외부 공기가 덮개의 관통공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단속하는 제2체크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착판의 중앙에 구비되는 지지판은 흡착판에서 분리 결합식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밀착덮개의 외측면에는 덮개 내부의 압력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밀착덮개의 길이변화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측정부재가 추가로 구비된다.
본 고안의 진공 흡착구는, 흡착판을 유리면 혹은 타일 벽면에 밀착한 후 밀착덮개를 밀게 되면 제1,2체브밸브의 공기 흐름 단속으로 인해 보다 완벽하게 진공 흡착되므로 흡착력이 우수함은 물론이고 사용이 편리하며, 이 흡착되는 과정에서 덮개 내부에는 충분한 스트로크가 확보되어 있으므로 압축력이 우수하며, 덮개와 밀착덮개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탄성부재에 의해서 긴장감이 더해 장시간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밀착덮개의 외주연에 구비된 측정부재에 의해서 진공 흡착구가 무단으로 떨어지는 현상을 미리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진공 흡착구를 보다 상세히 설 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의 사시도이고, 도 4의 "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의 분리 사시도이며, "나"는 분리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의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진공 흡착구(100)는 크게 흡착판(110), 덮개(120), 탄성부재(130), 밀착덮개(140), 패킹(150), 체결링(160), 제1체크밸브 및 제2체크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상기 흡착판(110)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되 그 내면이 만곡되게 형성되며, 중앙에는 결합공(113)이 형성된 지지판(11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112)의 결합공(113)에는 후술할 덮개(120)의 결합부(122)와 나사 결합되도록 암나사부(11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덮개(120)는 상기 지지판(112)의 결합공(113)에 결합되는 결합부(122)가 상부에 형성되며, 중앙에는 상하 관통된 관통공(124)이 형성되는데, 그 내부 형상은 덮개(120)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설된 결합부(122)로 인해 상협하광한 형상을 가지게 되고, 상기 관통공(124) 외주연에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장착홈(12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122)의 외주연에는 상기 결합공(113)이 가지는 암나사부(114)와 나사 결합되기 위해 수나사부(12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장착홈(126)의 외주연 하측에는 후술할 체결 링(160)을 나사 결합 할 수 있도록 제2수나사부(12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덮개(120)와 흡착판(110)의 지지판(112)은 나사 결합되는 이유로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분리되지 않는 고정식으로 부착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덮개(120)와 지지판(112)의 결합관계에 있어서 반드시 나사부가 필요한 것은 아님을 인지하여야 된다.
다음으로, 상기 탄성부재(130)는 상기 덮개(120)의 장착홈(126)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공지된 코일스프링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밀착덮개(140)는 상기 덮개(120)의 장착홈(126)으로 결합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상측이 개방되어 있되, 개방구의 외주연 끝단에는 외향된 플랜지부(142)가 형성되고, 개방구의 중앙에는 상기 덮개(120)의 관통공(124)으로 삽입되는 돌기봉(144)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봉(144)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장착공(14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밀착덮개(140)의 외주연에는 측정부재(146)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측정부재(146)는 덮개(120) 내부로 결합되어져 슬라이딩 작동되는 밀착덮개(140)의 슬라이딩 거리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듯이 세 가지의 색상을 가진다. 즉, 안전함을 뜻하는 녹색(a)이 밀착덮개(140) 최하단부에 위치되도록 표시하고, 그 상측에 경고를 뜻하는 노란색(b)이 표시되며, 그 상측에는 위험 상태를 뜻하는 적색(c)이 표시된다.
한편, 상기 측정부재(146)를 다른 말로 표현하면 흔히 사용되고 있는 인디게이터라 할 수 있다. 이 인디게이터는 이미 공지되어 있듯이 기관, 압축기 따위에서 실린더 내의 압력 변화와 피스톤의 움직임과의 관계를 측정하는 계기이다.
다음으로, 상기 패킹(150)은 상기 밀착덮개(140)의 돌기봉(144)에 결합되어 덮개(120)의 관통공(124) 내경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그 중앙에는 상기 돌기봉(144)의 장착공(148)과 수직 방향으로 연통되는 연통공(152)이 형성되어져 있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링(160)은 상기 밀착덮개(140)의 외주연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되어 상기 덮개(120)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덮개(120)에 결합된 밀착덮개(140)의 외향된 플랜지부(142)를 구속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부에 내향된 플랜지부(16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링(160)의 내주연에는 상기 덮개(120)의 외주연 하측에 형성된 제2수나사부(127)에 나사 결합될 제2암나사부(16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역시, 전술한 덮개(120)의 결합부(122)와 지지판(112)의 결합관계와 마찬가지로 고정식으로 부착 결합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나사부가 필요한 것은 아님을 인지하여야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체크밸브(180)는 상기 덮개(120)의 관통공(124) 상측에 장착되어져 관통공(124)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가 외부 즉, 흡착판(110) 쪽으로 배 출되지 못하도록 단속하게 된다. 즉, 관통공(124)에 잔류하는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는 압력이 전달됨에도 불구하고 제1체크밸브(180)를 통해서는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며, 이와 반대로 흡착판(110) 내면에 잔류하고 있는 공기는 그 흐름 방향에 따라 관통공(124)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2체크밸브(190)는 상기 밀착덮개(140)의 돌기봉(144)에 형성된 장착공(148)에 장착되어져 외부 공기가 덮개(120)의 관통공(124)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단속하게 된다. 즉, 외부에 있는 공기는 제2체크밸브(190)를 통해 관통공(124)으로 유입되지 못하며, 이와 반대로 관통공(124) 내부에 있는 공기는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2체크밸브(180,190)는 어떤 유체의 흐름을 한쪽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밸브로서 여러 종류가 이미 공지되어 있는바 개략적으로 도시 하였으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술토록 하겠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공 흡착구(100)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도 5를 참조로 하여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흡착판(110)은 중앙에 구비된 지지판(112)을 매개로 덮개(120)의 결합부(122)에 나사 결합되어져 있다. 즉, 상기 지지판(112)이 가지는 결합공(113)의 암나사부(114)가 결합부(122)가 가지는 수나사부(123)에 나사 결합되므로써 상기 흡착판(110)은 덮개에 단단히 체결되면서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다.
계속해서, 상기 덮개(120)의 장착홈(126)으로는 탄성부재(130)가 삽입됨과 동시에 밀착덮개(140)가 삽입되어져 탄성부재(130)에 의해 탄성지지 된다. 이때, 상기 밀착덮개(140)의 중앙에서 돌설된 돌기봉(144)은 상기 덮개(120)의 관통공(124)으로 삽입되어지며 그 끝단부에는 관통공(124)의 내경에 밀접되는 패킹(150)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덮개(120)의 관통공(124) 상측에는 제1체크밸브(180)가 장착되어져 있고, 상기 돌기봉(144)의 장착공(148)에는 제2체크밸브(190)가 장착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밀착덮개(1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링(160)이 밀착덮개(140) 하부에서 상부로 끼움돼 덮개(120)의 외주연 하측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체결링(160)의 내향된 플랜지부(164)가 밀착덮개(140)의 개방구 끝단에 형성된 외향된 플랜지부(142)를 지지하므로써 밀착덮개(14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판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흡착판(110)의 중앙에 구비된 지지판(112)은 흡착판(110)의 중앙에 분리되지 않도록 부착될 수 있으나 필요시 흡착판(110)을 교체할 수 있도록 서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상기 흡착판(110)의 중앙에는 상기 지지판(112)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상하 관통된 체결공(116)을 형성하고, 그 내주연 벽면에 환홈(118)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지지판(112)의 외주연에는 상기 환홈(118)에 대응되는 환턱(119)을 형성하여 서로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 흡착판(110)은 유연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므로 이 유연성을 이용하여 지지판(112)에 쉽게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와 체결링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앞서, 본 고안의 덮개(120)와 체결링(160)은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동일한 기술 분야 내에서는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덮개(120)의 하측 외주연에는 수직홈(172a)과 수평홈(172b)이 연결된 ㄱ자 형상의 체결홈(170)을 복수개 형성하고, 상기 체결링(160)의 내주연에는 체결돌기(174)를 복수개 형성하여 체결링(160)의 체결돌기(174)를 체결홈(170)의 수직홈(172a)을 따라 상승시킨 후 수평홈(172b) 쪽으로 한번 돌리게 되면 체결링(160)이 덮개(120)에 결합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1체크밸브를 도시한 개략적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제1체크밸브(180)는 유로(183)와 밸브시트(184)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바디(182)와, 상기 밸브시트(184)에 안치되는 볼(185)과, 상기 유로(183)의 출구 쪽에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관통공(187)이 형성 된 스프링 시트(186) 및 상기 스프링 시트(186)와 볼(185)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18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공기 혹은 유체가 스프링 시트(186)가 체결되어 있는 유로(183)의 출구 쪽으로 유입되면 스프링(187)에 탄지된 볼(185)이 유로(183)의 입구를 더 강하게 막음하므로써 이들의 흐름을 단속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공기 혹은 유체가 유로(183)의 입구 쪽으로 유입되면 스프링(187)에 탄지된 볼(185)이 밸브시트(184)에서 유입되는 공기 혹은 유체에 의해서 상승하게 되어져 이들의 흐름을 허용하게 된다.
이때, 미도시된 제2체크밸브(190)는 제1체크밸브(18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별도의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제1체크밸브(180)는 제1체크밸브(180)를 통해 덮개(120)의 관통공(124)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장착되는 것이고, 제2체크밸브(190)는 제2체크밸브(190)를 통해 외부 공기가 관통공(124)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장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상술한 제1체크밸브(180)는, 그 작동원리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여러 종류의 체크밸브 중 일예를 들어 설명 하였을 뿐 이미 공지되어 있는 체크밸브는 그 어떤 것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할 것임은 너무나 명백하다.
도 9의 "가" 내지 "다"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진공 흡착구(100)를 유리면(200) 혹은 타일 벽면에 부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흡착판(110)이 유리면(200)에 밀접되도록 하여 밀착덮개(140)를 유리면(200)으로 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덮개(120)의 관통공(124) 상측에 장착되어 있는 제1체크밸브(180)는 관통공(124)에 잔류하는 공기가 외부 즉, 흡착판(110) 쪽으로는 배출되지 못하도록 단속하고, 돌기봉(144)의 장착공(148)에 장착된 제2체크밸브(190)는 덮개(120)의 관통공(124)에 잔류하는 공기는 외부로 배출토록 하나 이와 반대로 외부에 있는 공기는 관통공(124)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단속하게 됨을 인지하여야 된다.
계속해서, 밀착덮개(140)를 유리면(200)으로 밀게 되면, 덮개(120)의 관통공(124)에 잔류하고 있는 공기는 제1체크밸브(180)의 닫힘 작동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대신 돌기봉(144)의 장착공(148)에 장착된 제2체크밸브(190)가 개방되므로 관통공(124)에 잔류하는 공기는 제2체크밸브(19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밀착덮개(140)의 밀착 과정에서 흡착판(110)의 내면에 잔류하고 있는 공기는 밀착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것이고, 이로 인해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판(110)의 내면과 관통공(124) 내부는 진공 상태로 전환하게 되며, 흡착판(110)은 유리면(200)에 진공 흡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흡착판(110)이 유리면(200)에 진공 흡착되었다고는 하나 100% 완벽한 진공상태는 구현하기 불가능하므로 관통공(124) 내부에는 소량의 공기는 잔류하게 될 것이고, 이 잔류하고 있는 공기로 인해 관통공(124) 내부 체적이 변화될 것이고 이로 인해 밀착덮개(140)는 탄성부재(130)의 탄성력에 의 해서 "다"와 같이 약간 후퇴하여 멈추게 될 것이다. 그리고, 밀착덮개(140)의 후퇴 작동시 발생되는 압력 방향에 의해 관통공(124) 상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1체크밸브(180)는 개방될 것이고 흡착판(110) 내면에 소량의 공기가 잔류하고 있다면 개방된 제1체크밸브(180)를 통해 덮개(120)의 관통공(124) 내부로 유입될 것이다. 그러면, 다시 한번 밀착덮개(140)를 유리면(200) 쪽으로 밀어 관통공(124)에 잔류하는 공기를 제2체크밸브(19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면 흡착판(110)은 물론이고 관통공(124)은 보다 완벽한 진공 상태로 전환될 것이다.
그러면, 유리면(200) 쪽으로 슬라이딩 되었던 밀착덮개(140)는 공기가 빠져나가 진공 상태로 접어든 관통공(124)에 의해서 탄성부재(130)의 복원력에도 불구하고 후퇴하지 않으며 오히려 탄성부재(130)의 복원력에 의해서 덮개(120)와 밀착덮개(140)는 서로 벌어지려는 힘을 받게 되므로 진공 상태가 더욱 우수하여 흡착된 상태를 더욱 긴밀하게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덮개(120)에 형성된 관통공(124)은 돌기봉(144)에 부착된 패킹(150)이 충분히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는 스트로크(stroke)를 확보하고 있으므로 가능한 것이다.
또한, 외부 요인에 의해 소량의 공기가 흡착판(110) 내면으로 유입되더라도 탄성부재(130)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덮개(140)는 일정 거리 후퇴하게 되고, 이로 인해 관통공(124) 내부의 체적이 변화하여 부착된 상태를 지속할 수 있게 된다. 즉, 소량의 공기 유입으로는 내부 체적 변화에 의해 이를 수용하므로 흡착판(110)은 쉽게 떨어지지 않는 것이다.
도 10의 "가" 및 "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진공 흡착구(100)가 전술한 도 8의 작동에 의해 유리면(200)에 부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밀착덮개(140)의 외주연에 구비되어 있는 측정부재(146)는 밀착덮개(140)와 같이 덮개(120)의 장착홈(126) 내부로 대부분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육안으로는 녹색(a) 일부만이 확인된다. 이 녹색(a)이 육안으로 확인되면 진공 흡착구(100)는 유리면(200)에 단단히 흡착되어 있는 안전한 상태이다.
그러나, 장시간 사용하다보면 외부 요인으로 인해 흡착판(110) 내면 혹은 덮개(120)의 관통공(124) 내부에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20)에 결합되어 있는 밀착덮개(140)는 탄성부재(130)의 탄성력에 의해 일부 후퇴 작동하게 됨과 동시에 덮개(120)의 관통공(124) 내부의 체적변화에 의해 밀착덮개(140)는 일부 후퇴한 후 더 이상 후퇴하지 않고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의 진공 흡착구(100)에는 소량의 공기 유입으로 인해 흡착력을 상실해 떨어지지는 않지만 더 장시간 사용하다가 이와 같이 공기 유입이 반복되면 밀착덮개(140)는 결국 흡착하기 전의 상태 인 도 8의 "가" 상태로 후퇴하게 될 것이고, 이제야 비로소 흡착력을 상실해 흡착판(110)은 유리면(200)으로부터 떨어지게 될 것이다.
이런 과정에서, 밀착덮개(140) 외주연에 구비되어 있는 측정부재(146)에서 처음에는 안전한 상태인 녹색(a)만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나 밀착덮개(140)의 후퇴 작동에 의해 경고 수준인 노란색(b)이 육안으로 확인될 것이고, 더 후퇴하게 되면 위험 수준인 적색(c)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사용자는 경고 수준인 노란색(b) 혹은 위험 수준인 적색(c)이 육안으로 확인되면 더 이상 지체하지 말고 밀착덮개(140)를 다시 밀어 덮개의 관통공(124)으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재부착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공 흡착구(100)는 육안으로 쉽게 확인되는 측정부재(146)에 의해 무단으로 떨어지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부재(146)를 이용하게 되면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뿐만 아니라 경고음을 발생토록 하여 청각적으로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공 흡착구(100)는 흡착판(110)을 유리면(200) 혹은 타일 벽면에 밀착한 후 밀착덮개(140)를 밀게 되면 제1,2체브밸브(180,190)의 공기 흐름 단속으로 인해 보다 완벽하게 진공 흡착되므로 흡착력이 우수함은 물론이고 사용이 편리하며, 이 흡착되는 과정에서 덮개(120) 내부에는 충분한 스트로크가 확보되어 있으므로 압축력이 우수하며, 덮개(120)와 밀착덮개(140)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탄성부재(130)에 의해서 긴장감이 더해 장시간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밀착덮개(140)의 외주연에 구비된 측정부재(146)에 의해서 진공 흡착 구(100)가 무단으로 떨어지는 현상을 미리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게 된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진공 흡착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진공 흡착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의 사시도.
도 4의 "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의 분리 사시도이며, "나"는 분리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의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판의 분리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와 체결링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1체크밸브를 도시한 개략적 확대 단면도.
도 9의 "가" 내지 "다"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 10의 "가" 및 "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종래의 진공 흡착구 20 : 흡착판
22 : 돌기부 30 : 커버
32 : 절개부 34 : 지지축
40 : 로드 50 : 작동부재
100 : 본 고안의 진공 흡착구 110 : 흡착판
112 : 지지판 113 : 결합공
114 : 암나사부 116 : 체결공
118 : 환홈 120 : 덮개
122 : 결합부 123 : 수나사부
124 : 관통공 126 : 장착홈
127 : 제2수나사부 130 : 탄성부재
140 : 밀착덮개 142 : 플랜지부
144 : 돌기봉 146 : 측정부재
148 : 장착공 150 : 패킹
152 : 연통공 160 : 체결링
162 : 제2암나사부 164 : 플랜지부
180 : 제1체크밸브 190 : 제2체크밸브
200 : 유리면
Claims (3)
- 타일벽이나 유리면에 진공 흡착력으로 각종 물체를 걸거나 고정시키기 위한 통상의 진공 흡착구에 있어서,유연한 재질로 내면이 만곡되게 형성되며, 중앙에는 결합공이 형성된 지지판이 구비되는 흡착판;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상부에 형성되며, 중앙에는 상하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 외주연에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장착홈이 형성되는 덮개;상기 덮개의 장착홈으로 삽입되는 탄성부재;상기 덮개의 장착홈으로 결합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상측이 개방되어 있되, 개방구 끝단에는 외향된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개방구의 중앙에는 상기 관통공으로 삽입되는 돌기봉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봉에는 외부와 연통된 장착공이 형성되는 밀착덮개;상기 밀착덮개의 돌기봉에 결합되어 관통공의 내경에 밀착되는 것으로 중앙에는 상기 돌기봉에 형성된 장착공과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는 패킹;상기 밀착덮개의 외주연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되어 상기 덮개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덮개에 결합된 밀착덮개의 외향된 플랜지부를 구속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체결링;상기 덮개의 관통공 상측에 장착되어져 관통공에 잔류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 출되지 못하도록 단속하는 제1체크밸브; 및상기 밀착덮개의 돌기봉에 형성된 장착공에 장착되어져 외부 공기가 덮개의 관통공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단속하는 제2체크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구.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흡착판의 중앙에 구비되는 지지판은 흡착판에서 분리 결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구.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밀착덮개의 외측면에는 덮개 내부의 압력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밀착덮개의 길이변화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측정부재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8719U KR200449921Y1 (ko) | 2007-11-21 | 2007-11-21 | 진공 흡착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8719U KR200449921Y1 (ko) | 2007-11-21 | 2007-11-21 | 진공 흡착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4996U true KR20090004996U (ko) | 2009-05-26 |
KR200449921Y1 KR200449921Y1 (ko) | 2010-08-19 |
Family
ID=41300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18719U KR200449921Y1 (ko) | 2007-11-21 | 2007-11-21 | 진공 흡착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9921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815541A (zh) * | 2021-08-12 | 2021-12-21 | 重庆公共运输职业学院 | 一种行车记录仪吸盘装置及其使用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6468B1 (ko) * | 2011-05-11 | 2011-07-04 | 김도연 | 진공 흡착구 |
KR101514737B1 (ko) * | 2014-04-21 | 2015-04-23 | 박수민 | 원터치형 흡착유닛 |
KR101898574B1 (ko) * | 2016-12-26 | 2018-09-14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복합소재 구조물 성형을 위한 밀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밀폐 방법 |
KR102705157B1 (ko) * | 2022-03-04 | 2024-09-11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진공 흡착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10043A (ja) * | 1996-01-31 | 1997-08-12 | Atom Medical Kk | 吸着脚 |
JP2006061653A (ja) * | 2004-08-30 | 2006-03-09 | Golden Peak Plastic Works Ltd | 吸盤構造 |
DE102005046869B4 (de) | 2005-09-30 | 2008-06-12 | Harald Richter | Gerätehalter-Saugfuß mit Kolben-Zylinder-Anordnung |
KR100801761B1 (ko) | 2006-06-16 | 2008-02-11 | (주)에어픽스 | 진공 흡착구 |
-
2007
- 2007-11-21 KR KR2020070018719U patent/KR20044992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815541A (zh) * | 2021-08-12 | 2021-12-21 | 重庆公共运输职业学院 | 一种行车记录仪吸盘装置及其使用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49921Y1 (ko) | 2010-08-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49921Y1 (ko) | 진공 흡착구 | |
JP2010180964A (ja) | 真空吸着具 | |
JP6279548B2 (ja) | 圧力リリーフ弁を備えた容器 | |
KR200449191Y1 (ko) | 진공 흡착구 | |
US20140182744A1 (en) | Bottom fill kitchen sink feature | |
BRPI0402877A (pt) | Conjunto da válvula de inflagem para uma separação para escoramento de carga ou saco de ar de carga | |
BRPI0610361B1 (pt) | dispositivo de filtragem, em particular para filtrar fluidos em motores de combustão interna | |
KR101701190B1 (ko) |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 | |
JP5645214B2 (ja) | ポンプ | |
JP6147206B2 (ja) | 二重容器 | |
CN104495052B (zh) | 一种设置内外锁盖的乳液泵 | |
KR101673607B1 (ko) | 필터카트리지 결합 장치 | |
KR101618122B1 (ko) | 공기 유입 차단이 가능한 튜브용기 | |
JP2015030461A (ja) | ポンプ | |
CN203979535U (zh) | 一体式放气阀气嘴 | |
JP6147174B2 (ja) | 液体容器装着用ポンプ | |
JP6034677B2 (ja) | 泡吐出器 | |
US5489196A (en) | Manual pump | |
ITMI962655A1 (it) | Struttura di valvola particolarmente per canotti pneumatici | |
CN201954070U (zh) | 一种阀壳 | |
JP6429265B2 (ja) | 液体容器用吐出ポンプ | |
JP6076176B2 (ja) | ポンプ | |
JP5827573B2 (ja) | バルブ | |
JP6507150B2 (ja) | スポイト容器 | |
JP2014199032A (ja) | ポン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