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190B1 -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190B1
KR101701190B1 KR1020140163142A KR20140163142A KR101701190B1 KR 101701190 B1 KR101701190 B1 KR 101701190B1 KR 1020140163142 A KR1020140163142 A KR 1020140163142A KR 20140163142 A KR20140163142 A KR 20140163142A KR 101701190 B1 KR101701190 B1 KR 101701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llow portion
shower head
shower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1458A (ko
Inventor
박명수
Original Assignee
(주) 대화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화이에스 filed Critical (주) 대화이에스
Priority to KR1020140163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190B1/ko
Publication of KR20160061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8Water installations especially for sh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1Accessories for showers or bathing douches, e.g. cleaning devices for walls or floors of sh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4/00Combinations of baths, douches, sinks, wash-basins, closets, or urinal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03F5/0408Floor drains for indoor use specially adapted for sho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는, 샤워기 관로의 끝단과 샤워기 헤드의 상부판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샤워기 헤드 내의 잔류수를 배출하는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물이 유통되도록 제1중공부를 갖는 단관으로 일단부가 상기 관로와 나사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와 나사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샤워기 헤드의 상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1중공부와 연통되도록 제2중공부를 갖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안착되며, 상기 관로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상,하 이동됨과 함께 상측 개폐가 원활하도록 상부면에 절개부가 형성된 기밀패킹과; 상기 기밀패킹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절개부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기 샤워기 헤드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된 승강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2중공부와 연통되어 상기 제2중공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공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는 상기 제2중공부와 연통됨과 아울러, 상기 승강부재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공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전핸들을 열어 샤워기 관로를 통해 상기 제1중공부에 물이 공급되면, 상기 기밀패킹과 승강부재가 하향 이동되고, 기밀패킹의 절개부가 개방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통해 샤워기 헤드에 물이 공급됨과 함께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 구비된 오링이 상기 가이드공의 내측면과 밀착되며, 수전핸들을 닫아 물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기밀패킹의 자체탄성력에 의해 기밀패킹이 원상 복귀되고, 절개부가 닫혀 상기 관로의 잔류수가 상기 샤워기 헤드를 통해 배출는 것을 원척적으로 차단함은 물론, 상기 승강부재가 상향이동되면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2중공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가이드공을 통해 상기 샤워기 헤드로 유입되어 상기 샤워기 헤드 잔류수를 단시간에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에 사용하던 샤워기에 나사 결합으로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 원가를 낮출 수 있음은 물론, 탈,부착이 용이하여 누구나 손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 또한 있다.

Description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 {Residual Water Removal Device of Shower}
본 발명은 샤워기 관로의 끝단과 샤워기 헤드의 상부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샤워기 헤드 내의 잔류수를 배출하는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샤워기 관로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유통되도록 제1중공부를 갖는 몸체가 상기 샤워기 관로의 끝단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제1중공부와 연통되도록 제2중공부를 갖는 연결부가 샤워기 헤드의 상부와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몸체 내부에는 상기 샤워기 관로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상,하 이동됨과 함께 상단부에 절개부가 형성된 기밀패킹과, 상기 기밀패킹과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 형성된 가이드공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승강부재로 구성됨으로써, 수전핸들을 열어 샤워기 관로를 통해 상기 몸체 내부에 물이 공급되면, 상기 기밀패킹과 승강부재가 하향 이동되고, 기밀패킹의 절개부가 개방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통해 샤워기 헤드에 물이 공급됨과 함께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 구비된 오링이 상기 가이드공의 내측면과 밀착되며, 수전핸들을 닫아 물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기밀패킹의 자체탄성력에 의해 기밀패킹이 원상 복귀되어 절개부가 닫히게 되고, 상기 승강부재가 상향이동되어 상기 연결부의 측면에 형성된 공기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2중공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가이드공을 통해 상기 샤워기 헤드로 유입되어 상기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를 단시간에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주거하는 공간에는 몸을 깨끗이 씻을 수 있는 욕실이 마련되어 있고, 욕실에는 몸을 보다 편하게 씻을 수 있도록 하는 샤워헤드가 수전에 연결 설치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어지는 샤워기 헤드는 플렉시블 호스를 매개로 설치되어지는 방식이 있고, 수전에 대하여 연결 배관되는 관로에 직결되어지는 설치방식이 있다.
반면, 플라워형(일명 "해바라기"형) 샤워기 헤드는 수전에 연결 설치되고, 샤워기 헤드가 연결되는 끝단이 벽체로부터 이격되어 천정에 위치하여지는 수평의 관로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어서, 상기 플라워형 샤워기 헤드를 통해 물을 뿜어 샤워를 할 때 샤워기 헤드 아래에 서서 샤워를 하게 되며, 사용자가 샤워기의 아래에 서서 샤워를 하기 때문에 플라워형 샤워기 헤드는 수평(평행)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에서 기술한 샤워기 헤드를 이용하여 샤워를 마친 다음 하단의 수전핸들을 닫게 되면, 즉시 샤워기 헤드에서 물의 뿜어져 내리는 것은 중지되지만 일정시간 흐른 후에는 샤워기 헤드 및 관로 상에 남아 있던 잔류수가 흘러내리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샤워기 헤드 및 관로 상에 남아있던 물이 대기압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내부에 채워져 있다가 외부로부터 샤워기 헤드 및 관로 상으로 서서히 공기가 유입되면서 방울방울 샤워기 헤드를 통하여 흘러내리게 된다.
상기의 현상은 샤워기 헤드의 구조 및 설치 사용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플렉시블 호스와 연결된 샤워기 헤드는 벽체에 고정설치된 거치홀더에 경사를 이루며 비스듬하게 거치되는 것이어서 샤워를 마친 초기에 잔류수가 서서히 빠짐과 동시에 잔류수가 한꺼번에 쏟아져 내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반면, 플라워형 샤워기 헤드는 수평을 이루고 있고, 플라워형 샤워기 헤드가 연결되는 관로가 평행을 이루고 있어 상기 플라워형 샤워기 헤드와 평행한 관로 상에 가득 채워져 있던 물이 관로 내에 서서히 공기가 유입되다가 어떤 순간 기도가 형성되어 내부의 진공상태가 파괴되면서 관로 상에 남아있던 물이 일시적으로 한꺼번에 쏟아져 내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쏟아지는 물은 예상할 수 없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것이어서 샤워기 헤드 아래에서 옷을 입은 채로 세탁작업 등을 하다가 갑자기 쏟아진 물줄기에 옷을 적시거나 놀라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예상치 못한 샤워기 헤드로부터 물 쏟아짐 현상은 실내가 조용하거나 적막함이 있는 야간에 발생할 경우, 그에 따른 소음이 상당하여 임산부에게는 유산과 같은 치명적인 사고를 유발시켜 사고에 대한 책임소재와 같은 분쟁이 발생하기도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샤워기용 잔류수 제거장치(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5-0088971호)"가 제안되었는데, 이러한 종래 샤워기용 잔류수 제거장치에 의하면, 샤워기 헤드가 연결되는 수관로상에 부가 설치되는 것으로써, 수관로상에 잔류하는 물을 일시에 배출하도록 에어공급부재로 구성된 것으로 내부에 통수로가 형성되고 양단부에는 관연결나사부가 형성된 몸통과; 상기 몸통의 중앙 상측부에 설치된 체크밸브와;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체크밸브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체에 나사 결합되는 체크밸브고정나사로 구성되며, 상기 체크밸브고정나사의 공기통로에는 초기공급수의 비산을 방지하도록 하는 물비산방지캡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샤워기용 잔류수 제거장치의 경우, 수관로의 잔류수를 제거하기 위해 수관로 상에 부가 설치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샤워기에는 적용될 수 없고, 별도의 수관로를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많아 생산원가가 높아지고, 물과 접촉될 경우 녹이 스는 문제가 있어, 제조비용 및 부품 교체비용이 많이 발생됨은 물론, 부품을 조립하는 과정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 또한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샤워기 관로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유통되도록 제1중공부를 갖는 몸체가 상기 샤워기 관로의 끝단과 결합되고,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제1중공부와 연통되도록 제2중공부를 갖는 연결부가 샤워기 헤드의 상부와 연결되어 구성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중공부와 연통되도록 일측에 공기유입구가 관통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 내부에는 관로를 통해 유입된 물의 수압에 의해 상,하 이동됨과 함께 상부가 개폐될 수 있는 절개부가 상단부에 형성된 기밀패킹과, 상기 기밀패킹과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 형성된 가이드공으로 상,하 이동되며, 상기 제1중공부의 물이 샤워기 헤드로 배출되도록 내부가 관통된 승강부재로 구성됨으로써, 샤워 꼭지를 ON시켜 관로를 통해 상기 제1중공부에 물이 공급되면, 상기 기밀패킹과 승강부재가 하향 이동되고, 기밀패킹의 절개부가 개방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통해 샤워기 헤드에 물이 공급됨과 함께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 구비된 오링이 상기 가이드공의 내측면과 밀착되며, 수전핸들을 닫아 물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기밀패킹의 자체탄성력에 의해 기밀패킹이 원상 복귀되고, 절개부가 닫혀 상기 관로의 잔류수가 상기 샤워기 헤드를 통해 배출는 것을 원척적으로 차단함은 물론, 상기 승강부재가 상향이동되면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2중공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가이드공을 통해 상기 샤워기 헤드로 유입되어 상기 샤워기 헤드 잔류수를 단시간에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기존에 사용하던 샤워기에 나사 결합으로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 원가를 낮출 수 있음은 물론, 탈,부착이 용이하여 누구나 손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샤워기 관로의 끝단과 샤워기 헤드의 상부판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샤워기 헤드 내의 잔류수를 배출하는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물이 유통되도록 제1중공부를 갖는 단관으로 일단부가 상기 관로와 나사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와 나사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샤워기 헤드의 상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1중공부와 연통되도록 제2중공부를 갖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안착되며, 상기 관로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상,하 이동됨과 함께 상측 개폐가 원활하도록 상부면에 절개부가 형성된 기밀패킹과; 상기 기밀패킹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절개부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기 샤워기 헤드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된 승강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2중공부와 연통되어 상기 제2중공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공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는 상기 제2중공부와 연통됨과 아울러, 상기 승강부재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공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샤워기 관로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유통되도록 제1중공부를 갖는 몸체가 상기 샤워기 관로의 끝단과 결합되고,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제1중공부와 연통되도록 제2중공부를 갖는 연결부가 샤워기 헤드의 상부와 연결되어 구성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중공부와 연통되도록 일측에 공기유입구가 관통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 내부에는 관로를 통해 유입된 물의 수압에 의해 상,하 이동됨과 함께 상부가 개폐될 수 있는 절개부가 상단부에 형성된 기밀패킹과, 상기 기밀패킹과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 형성된 가이드공으로 상,하 이동되며, 상기 제1중공부의 물이 샤워기 헤드로 배출되도록 내부가 관통된 승강부재로 구성됨으로써, 수전핸들을 열어 샤워기 관로를 통해 상기 제1중공부에 물이 공급되면, 상기 기밀패킹과 승강부재가 하향 이동되고, 기밀패킹의 절개부가 개방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통해 샤워기 헤드에 물이 공급됨과 함께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 구비된 오링이 상기 가이드공의 내측면과 밀착되며, 수전핸들을 닫아 물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기밀패킹의 자체탄성력에 의해 기밀패킹이 원상 복귀되고, 절개부가 닫혀 상기 관로의 잔류수가 상기 샤워기 헤드를 통해 배출는 것을 원척적으로 차단함은 물론, 상기 승강부재가 상향이동되면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2중공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가이드공을 통해 상기 샤워기 헤드로 유입되어 상기 샤워기 헤드 잔류수를 단시간에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에 사용하던 샤워기에 나사 결합으로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 원가를 낮출 수 있음은 물론, 탈,부착이 용이하여 누구나 손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 또한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의 분해 사이도.
도 3은 본 발명의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를 통해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가 제거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를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의 분해 사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의 결합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100)는 샤워기 관로(11)의 끝단과 샤워기 헤드(12)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샤워기 헤드(12) 내의 잔류수를 배출하는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100)로서, 도 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물이 유통되도록 제1중공부(111)를 갖는 단관으로 일단부가 상기 샤워기 관로(11)와 나사결합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하부와 나사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샤워기 헤드(12)의 상부와 결합도며, 상기 제1중공부(111)와 연통되도록 제2중공부(121)를 갖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120)의 상단에 안착되며, 상기 샤워기 관로(1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상,하 이동됨과 함께 상측 개폐가 원활하도록 상부면에 절개부(131)가 형성된 기밀패킹(130)과, 상기 기밀패킹(130)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절개부(131)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기 샤워기 헤드(12)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된 승강부재(140)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110)의 단면은 원형, 사각형,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10)의 내주면 상부에는 상기 샤워기 관로(11)의 끝단에 형성된 수나사산(11a)과 결합되는 암나사산(110a)이 형성되고, 내주면 하부에는 상기 연결부(120)의 외주면 상부에 형성된 수나사산(120a)과 결합되는 암나사산(110b)이 형성되어 각각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는 단턱(112)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112)의 하부면이 상기 기밀패킹(130)의 둘레 상부면을 가압하여 상기 기밀패킹(130)을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20)의 일측에는 상기 제2중공부(121)와 연통되어 상기 제2중공부(121)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공(123)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120)의 하부에는 상기 제2중공부(121)와 연통됨과 아울러, 상기 승강부재(14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공(12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120)의 외주면 하부에는 상기 샤워기 헤드(12) 상단에 형성된 수나사산(12a)과 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산(120b)가 형성되어 상호 나사결합 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기밀패킹(130)은 물의 수압에 의해 하향 이동되고, 수전핸들을 닫아 물의 공급이 중단될 시 자체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실리콘 재질의 원판이 다단으로 상향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기밀패킹(130)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절개부(131)는 수압에 의해 원활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일자 또는 십자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밀패킹(130)은 상기 연결부(120)의 상단에 안착되고, 끝단이 상기 연결부(120)의 상단에 둘레에 돌출된 결착턱(124)의 내측벽과 밀착되어 상기 몸체(110)의 제1중공부(111)에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수전핸들을 닫아 물의 공급을 중단하면 상기 기밀패킹(130)의 절개부(131)가 폐쇄되어 상기 기밀패킹(130)의 상부 즉, 샤워기 관로(11)의 잔류수가 하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100) 중 상기 승강부재(140)는 상기 기밀패킹(130)과 결합되어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요홈(142)에 상기 기밀패킹(130)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돌기(132)가 삽입 결착되어, 상기 승강부재(140)의 상측 일부는 상기 제2중공부(121)에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제2중공부(121) 및 가이드공(122)에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140)는 하부의 직경이 상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원통체이며, 하측 일부가 상기 가이드공(122)의 상부에 삽입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140) 하부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오링결착홈(143)에는 오링(144)이 결착되어 상기 승강부재(140)가 하향 이동될 시 상기 가이드공(122) 내벽과 밀착되어 상기 공기유입공(123)을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가이드공(122)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물이 상기 가이드공(122)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100)를 통해 상기 샤워기 헤드(12)의 잔류수가 제거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그 실시예를 바람직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를 통해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가 제거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전핸들을 열어 상기 샤워기 관로(11)에 물이 공급되면, 상기 샤워기 관로(11)의 끝단과 나사결합된 상기 몸체(110)에 형성된 제1중공부(111)에 물이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20)의 상단에 안착되고, 상기 몸체(110) 내부에 형성된 단턱(112)의 하부면(112a)에 의해 둘레부(133)가 가압되어 고정된 상기 기밀패킹(130)이 수압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기밀패킹(130)과 결합된 상기 승강부재(140)이 하향 이동되는데, 상기 승강부재(140)의 하부는 상기 몸체(110)의 가이드공(122)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승강부재(140) 외주면 둘레의 오링결착홈(143)에 결착된 오링(144)이 상기 가이드공(122) 내측벽과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샤워기 관로(11)를 통해 배출된 물이 상기 제1중공부(111), 제3중공부(141),가이드공(122)을 통해 상기 샤워기 헤드(12)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수전핸들을 닫아 물의 공급을 중단시키게 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밀패킹(130)이 자체탄성력에 의해 상향 이동면서 상기 기밀패킹(130)과 결합된 상기 승강부재(140)가 상향 이동된다.
또한, 상기 기밀패킹(130)의 상단부에 형성된 절개부(131)가 닫히고, 상기 샤워기 관로(11)와 제1중공부(111)의 잔류수는 상기 샤워기 헤드(12)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와 더불어, 외부 공기가 상기 몸체(110)의 공기유입공(123) 통해 유입되고, 상기 공기유입공(123)과 연통된 상기 제2중공부(121) 및 가이드공(122)을 거쳐 상기 샤워기 헤드(12)로 유입되어 상기 샤워기 헤드(12)의 잔류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샤워기 관로(11)의 잔류수는 원척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샤워기 헤드(12)의 잔류수를 단시간에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1: 샤워기 관로 12: 샤워기 헤드
100: 잔류수 제거장치 110: 몸체
111: 제1중공부 120: 연결부
121: 제2중공부 122: 가이드공
123: 공기유입공 124: 결착턱
130: 기밀패킹 131: 절개부
132: 결합돌기 133: 둘레부
140: 승강부재 141: 제3중공부
142: 요홈 143: 오링결착홈
144: 오링

Claims (7)

  1. 샤워기 관로(11)의 끝단과 샤워기 헤드(12)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샤워기 헤드(12) 내의 잔류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내부에 물이 유통되는 제1중공부(111)를 갖는 단관으로 일단부가 상기 샤워기 관로(11)와 나사결합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하부와 나사 결합되고, 상기 샤워기 헤드(12)의 상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1중공부(111)와 연통되는 제2중공부(121)를 갖는 연결부(120)와, 상기 연결부(120)의 상단에 안착되며, 상기 샤워기 관로(1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상,하 이동됨과 함께 상측 개폐가 원활하도록 상부면에 절개부(131)가 형성된 기밀패킹(130)과, 상기 기밀패킹(130)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절개부(131)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기 샤워기 헤드(12)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3중공부(141)를 갖는 승강부재(140)를 포함하여 형성된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0)의 제2중공부(121)의 하측에는 상기 제2중공부(121)보다 작은 지름의 가이드공(122)이 제2중공부(121)와 연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20)의 일측에는 상기 제2중공부(121)와 연통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공(123)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재(140)는 하부의 직경이 상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가이드공(122)에 삽입되고, 하부 외주면 둘레에 오링(144)이 결착되는 오링결착홈(143)이 형성되며, 상기 기밀패킹(130)은 둘레부(133)가 몸체(110)의 하부면과 연결부(120)의 상부면 사이에 밀착 고정된 상태로 수압에 의해 하측으로 절곡되고, 수압이 해제되어 자체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상측으로 다단 절곡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기밀패킹(130)의 내측에는 상기 기밀패킹(130)과 상기 승강부재(14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132)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140)의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돌기(132)가 삽입 결착되는 요홈(1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기밀패킹(130)의 둘레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단턱(1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패킹(130)의 절개부(131)는 일자형 또는 십자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40163142A 2014-11-21 2014-11-21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 KR101701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142A KR101701190B1 (ko) 2014-11-21 2014-11-21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142A KR101701190B1 (ko) 2014-11-21 2014-11-21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458A KR20160061458A (ko) 2016-06-01
KR101701190B1 true KR101701190B1 (ko) 2017-02-14

Family

ID=56138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142A KR101701190B1 (ko) 2014-11-21 2014-11-21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1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350A (ko) 2019-04-01 2020-10-12 (주) 대화이에스 잔류수 제거 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887237U (zh) * 2016-07-26 2017-01-18 福建欣宇卫浴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无残留水的淋浴器结构
CN109497868A (zh) * 2018-11-29 2019-03-22 广州纯水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按摩清洗淋浴房及使用方法
CN112353277A (zh) * 2020-11-10 2021-02-12 福建西河卫浴科技有限公司 一种花洒组件
CN113510012A (zh) * 2021-05-26 2021-10-19 河北工业大学 一种淋浴喷头
KR102535572B1 (ko) * 2022-04-14 2023-05-26 (주)화수 샤워기 드레인 장치
KR102577007B1 (ko) * 2023-04-20 2023-09-12 주식회사 에스테크코리아 꼬임방지 및 잔수배출 기능을 병행하는 샤워호스 연결용 유닛
KR102621041B1 (ko) * 2023-04-22 2024-01-05 주식회사 에스테크코리아 잔수배출수단이 마련된 샤워호스용 꼬임방지 연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234Y1 (ko) * 1999-11-27 2000-04-15 주식회사대용 냉.온수 겸용 밸브의 역류 방지구
KR200241216Y1 (ko) * 2001-05-16 2001-10-15 강국준 수도전의 급수된 물 역류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3783A (ko) * 2010-07-05 2012-01-11 최재권 샤워기용 잔수배출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234Y1 (ko) * 1999-11-27 2000-04-15 주식회사대용 냉.온수 겸용 밸브의 역류 방지구
KR200241216Y1 (ko) * 2001-05-16 2001-10-15 강국준 수도전의 급수된 물 역류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350A (ko) 2019-04-01 2020-10-12 (주) 대화이에스 잔류수 제거 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458A (ko)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190B1 (ko)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
KR101645821B1 (ko) 샤워기 헤드
US20180104707A1 (en) Combined Shower
EP2767347A1 (en) A self-cleaning shower
KR100926423B1 (ko) 세면기의 팝업밸브 개폐장치
CN102686816B (zh) 具有可选的并联手动阀的电子冲洗阀
JP2009165761A (ja) ソープディスペンサー
KR200399686Y1 (ko) 샤워기용 잔류수 제거장치
ATE555341T1 (de) Schlauchquetschventil
KR101440581B1 (ko) 산소 유량계 결합 가습기구
WO2020102718A8 (en) A fixture pod for a lavatory fixture
KR101273399B1 (ko) 수전용 절수기
KR20120003783A (ko) 샤워기용 잔수배출차단장치
US20210197215A1 (en) Waterway switching valve
CN210423874U (zh) 即关即停出水装置、龙头和淋浴器
KR20050088971A (ko) 샤워기용 잔류수 제거장치
KR101551471B1 (ko) 저압용 낙수 방지기
KR20120098987A (ko) 레인샤워 타입 샤워 헤드
KR200482815Y1 (ko) 배관용 와셔플러그
KR102308808B1 (ko) 잔류수 제거용 밸브
KR20190013549A (ko) 앵글밸브
CN218945354U (zh) 一种高效灌溉喷头防滴器
KR100729018B1 (ko) 소방용 연결송수구
KR200476930Y1 (ko) 유체의 초과 흐름 차단장치
TWI647398B (zh) Water outlet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