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471A -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471A
KR20090004471A KR1020080047516A KR20080047516A KR20090004471A KR 20090004471 A KR20090004471 A KR 20090004471A KR 1020080047516 A KR1020080047516 A KR 1020080047516A KR 20080047516 A KR20080047516 A KR 20080047516A KR 20090004471 A KR20090004471 A KR 20090004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operation member
push
motion
key 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3768B1 (ko
Inventor
타쿠히코 사오모토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4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5Means for returning or tending to return controlling members to an inoperative or neutral position, e.g. by providing return springs or resilient end-stop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01H25/065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using separate operating parts, e.g. a push button surrounded by a rotating knob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characterised by means converting mechanical movement into electric signals
    • G05G2009/04755Magnetic sensor, e.g. hall generator, pick-up coi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7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with additional push or pull action on the handl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81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with additional rotation of the controll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01H2025/043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the operating member being rotatable around wobbling axis for additional switching f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01H2025/046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having a spherical b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housing or bez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025/048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separate central push, slide or tumbler button which is not integral with the operating part that surrounds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2After trav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8Actuators other then push button
    • H01H2221/012Joy stick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64Limitation of actuating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72Stroke amplific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7/00Mechanism between key and laykey
    • H01H2237/006Guided plunger or bal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과제) 무리한 조작에 의한 접점 불량을 저감한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구성)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는 조작부재(100)를 경도(傾倒) 동작, 회전 동작 및 누름 동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작부재 지지부(300)와, 경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400a∼400d) 및 누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400e)와, 환상 회전체(800)와, 회전 동작 검출용 센서(900) 등을 갖고 있다. 경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400a∼400d) 및 누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400e)에 대해서는, 고정 접점(410a∼410e)에 대응하는 가동 접점이 일체로 된 스냅 플레이트(420a∼420e)와, 선단이 스냅 플레이트(420a∼420e)의 최상부에 접촉한 축방향에 탄성 신축 가능한 키 톱(430a∼430e)을 갖고, 키 톱(430a∼430e)의 탄성력이 스냅 플레이트(420a∼420e)에 비해서 크게 설정되어 있다.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Description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COMPOUND OPERATION INPUT DEVICE}
본 발명은, 각종 게임기, 자동차용 카 네비게이션, 자동차용 오디오, 자동차용 에어콘 및 자동차용 미러 조정 등의 입력 기기로서 이용가능하며, 조작 레버의 경도 동작, 회전 동작 및 푸시 동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는 다기능 스위치로 불리고 있고, 종래예로서 푸시 스위치를 이용하여 경도 동작 및 푸시 동작을 검출하도록 한 것(특허문헌 1 등)이나, 푸시 스위치 및 로터리 스위치를 이용하여 경도 동작 및 회전 동작을 검출하도록 한 것(특허문헌 2 등)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1-35147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평 11-67016호 공보
이와 같이 다기능 스위치에 있어서 푸시 스위치를 많이 사용하는 것은 조작시에 클릭감이 간단하게 얻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종례예에 의한 경우, 무리한 조작에 의해 푸시 스위치의 스냅 플레이트(snap plate)에 고하중이 가해지면 접점 부분이 불량으로 된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회전 손잡이의 두부에 문자 등을 넣는다고 하는 요청이 있지만, 회전 동작을 시키면 회전 손잡이의 두부도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문자 등을 넣을 수 없다고 하는 결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 하에서 창작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으로 하는 바는 무리한 조작에 의한 접점 불량을 저감한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는, 케이스와, 누름 동작, 경도 동작 및 회전 동작시키는 부재로서 누름 동작용의 푸시 버튼 및 회전 동작용의 회전 손잡이를 갖는 조작부재와, 조작부재를 상기 동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작 지지부와, 조작 지지부 및 조작부재의 적어도 한쪽의 후단측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 경도 동작 검출용 및 누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의 적어도 한쪽을 구비하고, 상기 푸시 스위치는 고정 접점에 대응하는 가동 접점과 일체 또는 별체로 된 스냅 플레이트와, 선단이 스냅 플레이트의 최상부에 접촉한 축방향으로 탄성 신축 가능한 키 톱(key top)을 갖고, 키 톱의 탄성력이 스냅 플레이트에 비해서 크게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는 상기 푸시 스위치에 탄성 신축 가능한 키 톱을 구비하고, 키 톱의 탄성력이 스냅 플레이트에 비해서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부재를 통해서 키 톱에 하중이 작용하는 만큼, 스냅 플레이 트에는 일정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는다. 또한 키 톱의 탄성력을 스냅 플레이트에 비해서 크고 스냅 플레이트가 고장나는 하중보다 작게 설정했을 때에는, 무리한 조작을 해도 접점 불량이 억지된다. 또한 푸시 버튼과 회전 손잡이가 별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손잡이를 조작하는 한은 푸시 버튼을 ON하거나 하는 오조작이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한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 톱은 선단측 본체부와 기단측 본체부 사이에 스프링이 개재된 구성의 것을 사용하면 좋다.
상기 푸시 스위치가 경동 조작 검출용일 경우, 조작부재를 경도시킬 때의 스트로크를 길게 할 수 있고, 유저에게 조작하게 하면 클릭감 뿐만 아니라 움직였다고 하는 실감이 얻어지고, 이 면에서 조작감이 양호해진다고 하는 별도의 메리트가 있다.
상기한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에 있어서, 케이스의 조작면측의 조작부재 삽입구멍의 주위에 동일한 피치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고 또한 조작부재의 축상부의 외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해서 바이어싱 포오스를 주는 조작부재 복귀용 탄성체를 더 구비하면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도된 조작부재를 복귀시키기 위한 경도 동작 복귀용 탄성체의 바이어싱 포오스가 키 톱의 탄성력에 대하여 대략 직각이기 때문에, 누름 동작의 하중과는 별도로 경도 동작의 하중을 설정할 수 있고, 밸런스가 잡힌 하중 설정을 할 수 있다고 하는 별도의 메리트가 있다.
상기한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에 있어서, 조작부재는 상기 푸시 버튼 및 회전 손잡이 외에 내축을 구비하면 좋다. 내축에 대해서는 케이스의 조작부재 삽입구멍에 통과시켜진 축상부와, 축상부의 후단측에 축심 맞추기 해서 설치되고 또한 하단면이 누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의 키 톱의 선단면에 접촉하는 반구상 지지부를 갖고 있다.
상기한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에 있어서, 누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선단측이 조작부재의 반구상 지지부의 저면에 접촉해서 축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흔들림 방지용 스프링을 더 구비하면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축의 덜컹거림이 방지되어 이 면에서 조작감이 양호해지는 별도의 메리트가 있다.
상기한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에 있어서, 조작 지지부는 케이스 내의 조작부재 삽입구멍의 대향위치에 설치된 고정부와, 고정부에 얹어서 지지된 외축을 구비하면 좋다. 고정부에 대해서는 내경측에서 내축을 경도 동작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외경측에서 외축을 회전 가능 또한 내축과 축심을 맞춰서 경도 동작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반구 쉘상(shell-shaped)의 베어링부와, 그 최상부에는 내축의 축상부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갖고 있다. 외축에 대해서는, 고정부의 베어링부의 선단측이 들어간 상태에서 회전 가능 또한 경도 동작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반구 쉘상의 외측 베어링부와, 내축의 축상부를 삽입시키기 위한 중공축이며 외측 베어링부에 연통해서 설치된 원통부와, 외측 베어링부의 기단측의 개구 주위에 경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를 압박 가능하게 설치된 압박부를 갖고, 외축의 원통부에서 나온 내축의 축상부의 선단에 푸시 버튼이 접속되고, 외축의 원통부의 선단부에 회전 손 잡이가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축과 외축의 축심을 맞춤으로써 경도 동작해도 내축과 외축의 위치 관계를 손상하지 않고 서로 간섭 없이 경도할 수 있지만, 조작 지지부의 고정부의 베어링부의 내경측에서 내축의 축중심 내기, 베어링부의 외경측에서 외축의 축중심 내기를 하고 있기 때문에, 조립에 의한 축심 어긋남이 적어 정밀도 좋게 조립을 행할 수 있는 외에, 금형가공도 용이하게 된다.
상기한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에 있어서, 내축의 반구상 지지부의 외면에는 한쌍의 홈을 축심을 기준으로 한 대칭위치에 축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하고, 조작 지지부의 고정부의 베어링부의 내면에는 조작부재의 반구상 지지부의 한쌍의 홈이 들어가는 한쌍의 보스를 조작부재의 반구상 지지부의 경도 동작 중심에 일치한 높이 위치에 있고, 내축의 경도 동작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회전 동작하지 않도록 형성하면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손잡이를 회전시켜도 이것에 따라 푸시 버튼이 돌지 않기 때문에 푸시 버튼의 두부에 문자 등을 넣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 면에서 사용 편리성이 한층 양호해진다.
상기한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에 있어서, 외축의 외측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환상 회전체와, 환상 회전체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동작 검출용 센서를 더 구비하면 좋다. 그리고, 외축의 압박부의 외면에는 한쌍의 보스를 축심을 기준으로 한 대칭위치에 각각 형성하고, 환상 회전체의 내측에는 외축의 압박부의 외면의 한쌍의 보스가 들어가는 축방향을 따라 한쌍의 홈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동작 검출용 센서를 이용하여 회전 동작을 검출하기 때문에 접점 마모 등이 없고,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고 하는 별도의 메리트가 있다.
또한 외축의 압박부의 외면에 형성한 한쌍의 보스와, 환상 회전체의 내측에 형성한 한쌍의 홈부에 의하여 외축과 환상 회전체가 연결되기 때문에, 외축과 환상 회전체 사이에 특별한 연결 기구가 불필요하고, 이 면에서 저비용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의 종단면도, 도 2는 동 장치의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동 장치의 각종 종단면도, 도 4는 동 장치의 하부 케이스를 내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동 장치의 하부 케이스, 흔들림 방지 스프링, 조작부재의 내축 및 조작 지지부의 고정부 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동 장치의 조작 지지부의 고정부, 조작부재의 내축 및 프린트 기판 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동 장치의 조작 지지부의 고정부, 조작 지지부의 외축, 조작부재의 내축 및 환상 회전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동 장치의 경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의 키 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동 키 톱의 부품 사시도, 도 10은 동 장치의 누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의 키 톱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동 키 톱의 부품 사시도, 도 12는 동 장치의 조작부재의 내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동 장치의 조작 지지부의 고정부의 사시도, 도 14는 동 장치의 조작 지지부의 외축의 사시도, 도 15는 동 장치의 환상 회전체를 이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16은 동 장치의 상부 케이스를 표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17은 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에 게재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는, 도 1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재(100)의 경도 동작, 회전 동작 및 누름 동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이며, 케이스(200)와, 조작부재(100)를 상기 동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작 지지부(300)와, 조작 지지부(300) 및 조작부재(100)의 후단측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 경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400a, 400b, 400c, 400d) 및 누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400e)와, 조작 지지부(300)의 외측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환상 회전체(800)와, 환상 회전체(800)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동작 검출용 센서(900)와, 흔들림 방지용 스프링(500)과, 조작부재 복귀용 탄성체(600a, 600b, 600c, 600d) 등을 갖고 있다.
특히, 경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400a, 400b, 400c, 400d) 및 누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400e)에 대해서는, 고정 접점(410a, 410b, 410c, 410d, 410e)에 대응하는 가동 접점이 일체로 된 스냅 플레이트(420a, 420b, 420c, 420d, 420e)와, 선단이 스냅 플레이트(420a, 420b, 420c, 420d, 420e)의 최상부에 접촉한 축방향으로 탄성 신축 가능한 키 톱(430a, 430b, 430c, 430d, 430e)을 갖고, 키 톱(430a, 430b, 430c, 430d, 430e)의 탄성력이 스냅 플레이트(420a, 420b, 420c, 420d, 420e)에 비해서 크고 동 플레이트가 고장나는 하중보다는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하, 동 장치의 각 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조작부재(100)는 축상체인 내축(110)과, 내축(110)의 선단측에 설치된 원반상의 조작 손잡이(120)를 갖는 수지 성형품이다.
내축(110)은, 도 2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조작부재 삽입구멍(221)에 통과시켜지는 축상부(111)와, 축상부(111)의 후단측에 축심 맞추기해서 설치되고 또한 하단면이 누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400e)의 키 톱(430e)의 선단면에 접촉하는 반구상 지지부(112)를 갖고 있다.
반구상 지지부(112)의 외면에는 한쌍의 홈(1122)이 축심을 기준으로 한 대칭위치에 축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다.
조작 손잡이(12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의 중앙부분에 배치된 푸시 버튼(122)과, 푸시 버튼(122)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 손잡이(121)를 갖고 있다. 회전 손잡이(121)의 표면 중앙부에는 푸시 버튼(122)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1211)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 손잡이(121)의 이면측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외축(320)의 원통부(322) 및 내축(110)의 축상부(111)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구멍(1212)이 형성되어 있다.
푸시 버튼(122)에 대해서는 내축(110)의 축상부(111) 선단에 접속되어 있는 한편, 회전 손잡이(121)에 대해서는 외축(320)의 원통부(322) 선단에 접속되어 있다.
푸시 버튼(122)은 밀어 내리기 가능하며 단독으로 누름 동작용의 조작부재로서 사용된다. 회전 손잡이(121)는 회전 가능하며 단독으로 회전 동작용의 조작부재로서 사용된다. 푸시 버튼(122) 및 회전 손잡이(121)를 갖는 조작 손잡이(120)의 전체에 대해서는 경도 가능하며, 푸시 버튼(122)과 회전 손잡이(121)의 쌍방에서 경도 동작용의 조작부재로서 사용된다.
케이스(2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210)와 상부 케이스(220)를 갖고 있고, 어느 것이나 단면 대략 오목형을 한 수지 성형품이다. 상부 케이스(220)의 중앙부에는 조작부재 삽입구멍(221)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의 내면에는 홈(224)이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224)의 저면 상에는 스프링/스틸 볼 삽입구멍(222)이 합계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210)의 내저면 상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상체(211a∼211e)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형상체(211e)에 대해서는 상부 케이스(220)의 조작부재 삽입구멍(221)의 중심과 대응한 위치에 형성되고, 그 내저면에는 고정 접점(410e)이 인서트 성형되어 있고, 스냅 플레이트(420e), 키 톱(430e)이 이 순서로 삽입되어 있다.
원통형상체(211a∼211d)에 대해서는 원통형상체(211e)를 중심으로 해서 그 주위에 90°피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원통형상체(211e)와 완전히 마찬가지로, 이들 내저면에는 고정 접점(410a∼410d)이 인서트 성형되어 있고, 스냅 플레이트(420a∼420d), 키 톱(430a∼430d)이 이 순서로 삽입되어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210)의 측면부에는 고정 접점(410a∼410e), 스냅 플레이트(420a∼420e)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점 출력용의 단자(212) 등이 인서트 성형되어 있다.
경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400a)는 상기 고정 접점(410a)과, 고정 접점(410a)에 대응하는 가동 접점과 일체로 된 원형의 만곡 박판 금속판인 스냅 플레이트(420a)와, 후단이 스냅 플레이트(420a)에 접촉된 축방향으로 탄성 신축 가능한 키 톱(430a)을 갖고 있다.
키 톱(430a)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측 본체부(431a)와 기단측 본체부(432a) 사이에 스프링(433a)이 개재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선단측 본체부(431a) 및 기단측 본체부(432a)는 어느 것이나 한쪽이 개방된 원통상의 수지 성형품이며, 선단측 본체부(431a)의 내부에 기단측 본체부(432a)가 들어가 있다. 이 상태에서 스프링(433a)이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프링(433a)은 선단측 본체부(431a) 및 기단측 본체부(432a)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스프링(433a)의 탄성력은 상기한 바와 같이 스냅 플레이트(420a)에 비해서 크고 동 플레이트가 고장나는 하중보다는 작게 설정되어 있다.
경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400b∼400d)에 대해서는 경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400a)와 동일 구조이다. 누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400e)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지만,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측 본체부(431e)의 외주면에 단차(4331e)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4331e)는 누름 조작시에 하부 케이스(210)의 원통형상체(211e)에 접촉하여 밀어넣기 방지 스토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흔들림 방지용 스프링(500)은,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400e)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흔들림 방지용 스프링(500)은 선단측 이 조작부재(100)의 내축(110)의 반구상 지지부(112)의 저면(1121)(도 12(b) 참조)에 접촉해서 축방향으로 바이어싱하도록 되어 있다.
조작 지지부(3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조작부재 삽입구멍(221)의 대향위치에 설치된 고정부(310)와, 고정부(310)에 얹어서 지지된 외축(320)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31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210)의 내측면에 부착된 대략 원반상의 수지 성형품이며, 환상의 축받이대(311)와, 축받이대(311)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고, 내경측(내면)에서 내축(110)을 경도 동작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외경측(외면)에서 외축(320)을 회전 가능 또한 경도 동작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반구 쉘상의 베어링부(312)와, 베어링부(312)의 최상부에는 내축(110)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313)를 갖고 있다. 또 반구 쉘상의 베어링부(312)는 내축(110)의 경도 동작 중심과 외축(320)의 경도 동작 중심이 모두 P점(도 1 및 도 3(b) 참조)에서 일치하도록 축지지하고 있다.
축받이대(311)에는 키 톱(430a∼430d)에 대응한 위치에 구멍(311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축받이대(311)는 원통형상체(211a∼211d) 상을 덮어 숨기는 형태로 하부 케이스(210)에 부착되지만,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3111)을 통해서 키 톱(430a∼430d)의 두부가 노출된다. 축받이대(311)의 표면 상의 합계 4개의 구멍(3111)의 주위에는, 대략 링형상을 한 프린트 기판(700)을 두기 위한 지지대(3112)가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지지대(3112)와 합계 4개의 구멍(3111) 사이에는 돌기(3113)가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부(312)의 내면에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축(110)의 반구상 지지부(112)에 형성한 한쌍의 홈(1122)이 들어가는 한쌍의 보스(3121)가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보스(3121)는 내축(110)의 경도 동작 중심 P(도 1 및 도 3(b) 참조)에 일치한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내축(110)의 경도 동작을 방해하지 않고, 또한 내축(110)이 회전 동작하지 않게 되어 있다.
외축(320)은,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정부(310)의 베어링부(312)의 외경측이 들어간 상태에서 회전 가능 또한 경도 동작 가능하게 베어링부(312)에 축지지되는 반구 쉘상의 외측 베어링부(321)와, 내축(110)의 축상부(111)를 삽입시키기 위한 중공축이며 외측 베어링부(321)에 연통해서 형성된 원통부(322)와, 외측 베어링부(321)의 기단측의 개구 주위에 경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420a∼420d)의 키 톱(430a∼430d)의 두부를 압박 가능하게 형성된 압박부(323)를 갖고 있다.
압박부(323)의 외면에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보스(3231)가 축심을 기준으로 한 대칭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환상 회전체(800)는 외축(320)의 대경 부분에 비교해서 큰 내경을 갖은 환상체이며, 도 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지 성형품인 본체(810)와, 본체(810)의 이면측에 부착되는 자석(820)을 갖고 있다. 자석(820)은 복수의 자극이 둘레 방향으로 일정 피치 간격으로 배열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본체(810)의 표면측에는,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멈춤쇠용 요철(813)이 둘레 방향으로 일정 피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환상 회전체(800)의 본체(810)의 하방의 내측에는 리브(812)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본체(810)의 상방의 내측에는 외축(320)의 한쌍의 보스(3231)가 들어가는 한쌍의 홈(811)이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보스(3231)는 외축(320)의 경도 동작 중심 P에 일치한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결국, 베어링부(312)에 형성된 한쌍의 보스(3121)와, 외축(320)에 형성된 한쌍의 보스(3231)는 외축(320)의 경도 동작 중심이며 또한 내축(110)의 경도 동작 중심이기도 하는 P와 일치하는 높이 위치에 있다. 또 외축(320)에 형성된 한쌍의 보스(3231)는 축심 P를 기준으로 한 대칭위치에 있기 때문에, 양측의 보스(3231)를 연결하는 보스 축선도 또한 축심 P를 통과한다. 즉 경도 동작한 경우에도 보스 축선은 축심 P를 벗어나는 일은 없다. 이 것이 어느 방향으로도 걸리지 않고 경도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환상 회전체(800)의 리브(812)가 도 5에 나타내어진 고정부(310)의 돌기(3113)의 내측에 삽입되고, 축받이대(311) 상에 놓여진 프린트 기판(700)의 면 상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본체(810)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220)의 홈(224)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환상 회전체(800)가 축받이대(311)와 상부 케이스(2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축지지되고, 조작부재(100)의 회전 손잡이(121)에 외축(320)을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2 및 도 3(a)에 나타내는 스프링/스틸 볼 삽입구멍(222)에는 회전 멈춤쇠용의 스프링(830) 및 스틸 볼(840)이 삽입되고, 스틸 볼(840)이 환상 회전체(800)의 회전 멈춤쇠용 요철(813)에 바이어싱해서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회전 멈춤쇠용의 스프링(830) 및 스틸 볼(840)의 개수나 위치 관계 등에 대해서는, 적용 대상에 따라서 적당하게 설계 변경하면 된다.
회전 동작 검출용 센서(90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700)의 상면에 실장된 합계 2개의 홀소자이며, 환상 회전체(800)의 자석(820)의 자계를 검출해서 환상 회전체(800)의 상대적인 회전 각도나 회전 방향을 2상의 디지털 신호로서 출력하게 되어 있다. 이렇게 환상 회전체(800)의 회전을 비접촉식 각도 센서에 의해 검출하고 있지만, 접촉식 각도 센서를 이용하여도 개의치 않는다.
프린트 기판(700)에는 회전 동작 검출용 센서(900) 이외에 중계 단자(710) 및 출력 단자(710) 등이 설치되어 있다. 중계 단자(710) 및 출력 단자(710)는 케이스(200) 밖에 위치하고 있고, 중계 단자(710)에는 하부 케이스(210)로부터 인출된 접점 출력용의 단자(212)의 선단부가 납땜되는 한편, 출력 단자(710)에는 리드선이나 커넥터 등이 전기 접속되게 되어 있다.
조작부재 복귀용 탄성체(600a, 600b, 600c, 600d)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220)의 조작면측의 조작부재 삽입구멍(221)의 주위에 90°피치 간격으로 형성된 복귀용 탄성체 부착구멍(223)에 각각 수용되어 있고, 스프링(610a, 610b, 610c, 610d)과, 스프링(610a, 610b, 610c, 610d)의 선단부에 부착된 슬라이더(620a, 620b, 620c, 620d)를 갖고 있다. 슬라이더(620a, 620b, 620c, 620d)의 선단부는 조작 지지부(300)의 원통부(322)의 외면에 접촉해서 바이어싱 포오스를 부여하고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210)에 형성한 원통형상체(211a∼211d)와 상부 케이스(220)에 형성한 복귀용 탄성체 부착구멍(223)은 어느 것이나 90도 피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220)의 조작면에는 금속제의 환상의 천판(230)이 부착되어 있고, 이에 따라 조작부재 복귀용 탄성체(600a∼600d)를 포함해서 복귀용 탄성체 부착구멍(223)이 덮여지게 되어 있다.
이하, 이렇게 구성된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의 동작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작부재(100)의 조작 손잡이(120)(회전 손잡이(121) 및 푸시 버튼(122))를 센터로부터 전체 방향으로 쓰러뜨리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조작부재(100)를 센터로부터 경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400a)의 방향(방향각도 0°)으로 쓰러뜨린다고 하면, 조작 지지부(300)의 외축(320)이 그 방향으로 경사진다.
이것에 따라, 조작 지지부(300)의 압박부(323)가 키 톱(430a)의 두부를 압박하면 스냅 플레이트(420a)가 휘어 경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400a)가 온으로 되고, 그 접점 출력이 출력 단자(710)를 통해서 출력된다.
또한 조작부재(100)를 쓰러뜨리면 외축(320)의 외면이 상부 케이스(220)의 조작부재 삽입구멍(221)의 가장자리에 접촉한다. 이렇게 조작부재 삽입구멍(221)의 가장자리가 스토퍼의 역활을 하기 때문에 스냅 플레이트(420a)에 스프링 하중 이상의 힘이 작용하지 않게 되어 있다.
조작부재(100)를 센터로부터 경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400b, 400c, 400d)의 방향(방향각도 90°, 180°, 270°)으로 각각 쓰러뜨렸을 때도 상기와 완전히 같다. 즉 경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400b, 400c, 400d)가 각각 온으로 되고, 이들의 접점 출력이 출력 단자(710)를 통해서 출력된다. 또한 조작부재(100)를 쓰러뜨렸을 때는, 조작부재 삽입구멍(221)의 가장자리가 스토퍼의 역활을 하고, 스 냅 플레이트(420b, 420c, 420d)에 스프링 하중 이상의 힘이 각각 작용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a) 경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400a∼400d)의 키 톱(430a∼430d)이 신축 가능한 점, (b) 스냅 플레이트(420a∼420d)가 온되고나서도 경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400a∼400d)를 더욱 밀어넣을 수 있도록 한 점에서, 조작부재(100)를 경도시킬 때의 스트로크가 길게 되어 있다(최대 경도 각도 약 8°). 따라서, 유저에게 조작하게 하면, 경도 조작시에 단지 클릭감 뿐만 아니라 움직였다고 하는 실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스냅 플레이트(420a∼420d)의 탄성력을 약하게 설정하면 클릭감 없이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b)에 의해, 예를 들면 조작부재(100)를 센터로부터 경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400a)와 경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400b) 사이의 방향(방향각도 45°)으로 쓰러뜨리면, 경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400a, 400b)가 모두 온으로 된다. 이것은 조작부재(100)를 다른 방향(방향각도 135°, 225°, 315°)으로 쓰러뜨렸을 때도 완전히 같다. 즉 8방향 검출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310)에 돌기 또는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4방향 검출로 한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조작부재(100)를 센터(초기 복귀 위치)로부터 쓰러뜨리면, 그 후는 조작부재 복귀용 탄성체(600a∼600d) 등의 탄성력에 의해 센터에 자동적으로 복귀된다. 조작부재(100) 중 가장 지름이 작은 축상부(111)의 바로 가까운 위치(실제로는 원통부(322)의 외면)에 조작부재 복귀용 탄성체(600a∼600d)의 바이어싱 포오스 가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 손잡이(121)를 회전 조작할 때의 회전 토크에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한 영향은 작다. 따라서, 유저에게 조작하게 하면, 회전 손잡이(121)의 회전 조작시에 무겁다고 하는 감각이 없어진다.
조작 손잡이(120) 중 회전 손잡이(121)를 밀어 내리는 것은 불가하다. 누름 가능한 것은 푸시 버튼(122)뿐이다.
푸시 버튼(122)이 누름 조작되면 조작부재(100)의 내축(110)만이 하방으로 이동한다. 내축(110)의 반구상 지지부(112)의 저면(1121)이 키 톱(430e)의 두부를 압박하면, 스냅 플레이트(420e)가 휨과 아울러 누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400e)가 온으로 되고, 그 접점 출력이 출력 단자(710)를 통해서 출력된다.
또한 누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400e)가 온으로 되고, 푸시 버튼(122)이 더욱 눌려지면 키 톱(430e)이 수축하고, 푸시 버튼(122)이 더욱 눌려지면 키 톱(430e)의 단차(4331e)가 하부 케이스(210)의 원통형상체(211e)의 상면에 접촉한다. 즉, 단차(4331e)가 스토퍼의 역활을 하여 스냅 플레이트(420e)에 스프링 하중이상의 힘이 작용하지 않게 되어 있다. 따라서, 무리한 조작을 해도 접점 불량이 적어진다.
회전 손잡이(121)를 회전시키면, 이것에 따라 조작 지지부(300)의 외축(320)이 그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것에 따라 환상 회전체(800)가 회전하고, 회전 동작 검출용 센서(900)의 신호출력이 출력 단자(710)를 통해서 출력된다. 경도 조작 없이 회전 조작만 되었을 때는, 외축(320)의 압박부(323)는 키 톱(430a∼430d)에는 접촉하지 않고 회전하기 때문에 조작감이 떨어지는 일 없이 회전 조작을 할 수 있 다.
경도 조작과 회전 조작을 동시에 하였을 때는 외축(320)이 이것에 따라 경사짐과 아울러 회전하고, 그 결과, 경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400a∼400d)의 접점 출력 및 회전 동작 검출용 센서(900)의 신호출력이 출력 단자(710)를 통해서 출력된다.
회전 손잡이(121)를 회전시켜도 이것에 따라 푸시 버튼(122)이 돌지 않기 때문에, 푸시 버튼(122)의 두부에 문자 등을 넣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 면에서 매우 사용 편리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푸시 버튼(122)은 회전 손잡이(121)와 별체이기 때문에 회전 손잡이(121)를 조작하는 한은 푸시 버튼(122)을 ON하거나 하는 오조작은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조작 손잡이(120)를 개장(retrofit)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유저에 있어서, 동 장치를 셋트품(각종 게임기 등)의 케이스나 메인 기판의 이면측으로부터 장착하고, 조작 손잡이를 그 표면측으로부터 부착하도록 한다. 이 경우, 도장, 색, 문자 등이 다른 여러가지 종류의 조작 손잡이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외축(320)의 한쌍의 보스(3231)와, 환상 회전체(800)의 한쌍의 홈부(811)에 의해 외축(320)과 환상 회전체(800)가 연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특별한 연결 기구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동 장치의 저비용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는, 전체 형상이나 신호출력 등의 형태/방법이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당연하다. 조작 지지부에 관 해서는, 조작부재를 경도 동작, 회전 동작 및 누름 동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인 한 특별히 문제되지 않고, 조작부재에 따라 적당하게 설계 변경하면 된다. 경도 동작 검출용/누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에 관해서는, 스냅 플레이트를 가동 접점과는 별체로 해도 좋고, 키 톱에 대해서도 스냅 플레이트의 최상부에 접촉해서 축방향으로 탄성 신축 가능한 한, 특별히 문제되지 않는다. 회전 동작 검출용 센서 에 대해서도 종류는 문제되지 않고 광학식 센서를 이용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동 장치의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장치의 조작 손잡이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a)는 조작부재가 센터 위치에 있는 상태, (b)는 조작부재를 쓰러뜨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동 장치의 하부 케이스를 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키 톱 등을 아울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동 장치의 하부 케이스, 흔들림 방지 스프링, 조작부재의 내축 및 조작 지지부의 고정부 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동 장치의 조작 지지부의 고정부, 조작부재의 내축 및 프린트 기판 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동 장치의 조작 지지부의 고정부, 조작 지지부의 외축, 조작부재의 내축 및 환상 회전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동 장치의 경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의 키 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동 장치의 동 키 톱의 부품 사시도로서, (a)는 선단측 본체부를 표면측에서 본 도면, (b)는 마찬가지로 이면측에서 본 도면, (c)는 기단측 본체부를 표면측에서 본 도면, (d)는 마찬가지로 이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은 동 장치의 누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의 키 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동 장치의 동 키 톱의 부품 사시도로서, (a)는 선단측 본체부를 표면측에서 본 도면, (b)는 마찬가지로 이면측에서 본 도면, (c)는 기단측 본체부를 표면측에서 본 도면, (d)는 마찬가지로 이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2는 동 장치의 조작부재의 내축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표면측에서 본 도면, (b)는 마찬가지로 이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3은 동 장치의 조작 지지부의 고정부의 사시도로서, (a)는 이면측에서 본 도면, (b)는 마찬가지로 이면측에서 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는 동 장치의 조작 지지부의 외축의 사시도로서, (a)는 표면측에서 본 도면, (b)는 마찬가지로 이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5는 동 장치의 환상 회전체를 이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동 장치의 상부 케이스를 표면측에서 본 사시도로서, 조작부재 복귀용 탄성체를 아울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조작부재 110 : 내축
111 : 축상부 112 : 반구상 지지부
1122 : 홈 121 : 회전 손잡이
122 : 푸시 버튼 200 : 케이스
300 : 조작 지지부 310 : 고정부
311 : 축받이대 312 : 베어링부
3121 : 보스 313 : 개구부
320 : 외축 321 : 외측 베어링부
322 : 원통부 323 : 압박부
3231 : 보스
400a∼400d : 경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
400e : 누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
500 : 흔들림 방지용 스프링 600a∼600d : 조작부재 복귀용 탄성체
700 : 프린트 기판 800 : 환상 회전체
811 : 홈 900 : 회전 동작 검출용 센서

Claims (8)

  1. 케이스와,
    누름 동작, 경도 동작 및 회전 동작시키는 부재로서 누름 동작용의 푸시 버튼 및 회전 동작용의 회전 손잡이를 갖는 조작부재와,
    상기 조작부재를 상기 동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작 지지부와,
    상기 조작 지지부 및 상기 조작부재 중 한쪽 이상의 후단측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 경도 동작 검출용 및 누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 중 한쪽 이상을 구비하고;
    상기 푸시 스위치는,
    고정 접점에 대응하는 가동 접점과 일체 또는 별체로 된 스냅 플레이트와,
    일단이 상기 스냅 플레이트의 최상부에 접촉한 축방향으로 탄성 신축 가능한 키 톱을 갖고;
    상기 키 톱의 탄성력이 상기 스냅 플레이트에 비해서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톱은 선단측 본체부와 기단측 본체부 사이에 스프링이 개재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조작면측의 조작부재 삽입구멍의 주위에 동일한 피치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고 또한 상기 조작부재의 축상부의 외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해서 바이어싱 포오스를 부여하는 조작부재 복귀용 탄성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푸시 버튼 및 회전 손잡이 외에 내축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내축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조작부재 삽입구멍에 통과시켜진 축상부와,
    상기 축상부의 후단측에 축심 맞추기 해서 설치되고 또한 끝면이 상기 누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의 상기 키 톱의 타단면에 접촉하는 반구상 지지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선단측이 상기 조작부재의 반구상 지지부의 상기 끝면에 접촉해서 축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흔들림 방지용 스프링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지지부는,
    상기 케이스 내의 상기 조작부재 삽입구멍의 대향 위치에 설치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얹어서 지지된 외축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고정부는,
    내경측에서 내축을 경도 동작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외경측에서 외축을 회전 가능하게 또한 내축과 축심을 맞춰서 경도 동작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반구 쉘상의 베어링부와,
    그 최상부에는 상기 내축의 축상부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한편;
    상기 외축은,
    상기 고정부의 상기 베어링부의 선단측이 들어간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고 또한 경도 동작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반구 쉘상의 외측 베어링부와,
    상기 내축의 축상부를 삽입시키기 위한 중공축이며 상기 외측 베어링부에 연통해서 설치된 원통부와,
    상기 외측 베어링부의 기단측의 개구 주위에 경도 동작 검출용 푸시 스위치를 압박 가능하게 설치된 압박부를 갖고 있고;
    상기 외축의 상기 원통부에서 나온 상기 내축의 축상부 선단에 푸시 버튼이 접속되고, 상기 외축의 원통부의 선단부에 상기 회전 손잡이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축의 반구상 지지부의 외면에는 한쌍의 홈이 축심을 기준으로 한 대칭위치에 축방향을 따라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조작 지지부의 상기 고정부의 베어링부 내면에는 상기 조작부재의 반구상 지지부의 한쌍의 홈이 들어가는 한쌍의 보스가 상기 조작부재의 반구상 지지부의 경도 동작 중심에 일치한 높이 위치에 있으며, 상기 내축의 경도 동작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회전 동작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축의 외측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환상 회전체; 및
    상기 환상 회전체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동작 검출용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외축의 압박부의 외면에는 한쌍의 보스가 축심을 기준으로 한 대칭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환상 회전체의 내측에는 상기 외축의 압박부 외면의 한쌍의 보스가 들어가는 축방향을 따라 한쌍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KR1020080047516A 2007-07-03 2008-05-22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KR1014437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75058A JP4551915B2 (ja) 2007-07-03 2007-07-03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JP-P-2007-00175058 2007-07-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471A true KR20090004471A (ko) 2009-01-12
KR101443768B1 KR101443768B1 (ko) 2014-09-23

Family

ID=39789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516A KR101443768B1 (ko) 2007-07-03 2008-05-22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39767B2 (ko)
EP (1) EP2012336B1 (ko)
JP (1) JP4551915B2 (ko)
KR (1) KR101443768B1 (ko)
CN (1) CN101339859B (ko)
CA (1) CA2630178C (ko)
TW (1) TW2009107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640B1 (ko) * 2010-06-22 2012-02-14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다기능 스위치 조립체의 피봇스위치 작동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7376A (ko) 2006-02-14 2008-12-10 인텔렉츄얼 벤처스 펀드 21 엘엘씨 화자 독립 음성 인식을 구비한 통신 장치
FR2902573B1 (fr) * 2006-06-20 2008-09-05 Dav Sa Dispositif de commande electrique
CN101752137A (zh) * 2008-11-27 2010-06-2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按键装置
JP5267504B2 (ja) * 2009-05-19 2013-08-2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操作入力装置及び操作入力検出装置
TWI394190B (zh) * 2009-09-07 2013-04-21 Taiwan Misaki Electronics Co Multi-directional push switch
JP5219988B2 (ja) * 2009-12-07 2013-06-26 ホシデン株式会社 複合操作型入力装置
DE102009047685A1 (de) * 2009-12-08 2011-06-0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edienvorrichtung für ein Hausgerät sowie Hausgerät mit einer derartigen Bedienvorrichtung
FR2954980B1 (fr) * 2010-01-04 2012-02-10 Guillemot Corp Joystick a ressorts de compensation, procede de fabrication et manette correspondants.
DE102010013673A1 (de) 2010-04-01 2011-10-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Haltevorrichtung für Photovoltaik-Module
WO2011146022A1 (en) * 2010-05-18 2011-11-24 Pipistrel Podjetje Za Alternativno Letalstvo D.O.O. A novel user interface for control of aircraft trim system
DE102010024245B4 (de) * 2010-06-18 2012-08-02 Abb Ag Taster für die Haus- und Gebäudesystemtechnik
US9535447B2 (en) * 2011-01-08 2017-01-03 Behr-Hella Thermocontrol Gmbh Rotary/push operating device for a man-machine interface
JP5626591B2 (ja) * 2011-04-14 2014-11-1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DE102011083524B4 (de) * 2011-09-27 2017-04-06 Behr-Hella Thermocontrol Gmbh Dreh-/Drück-Bedienvorrichtung für ein Mensch-Maschine-Interface
DE102012004116A1 (de) * 2012-03-01 2013-09-05 Audi Ag Bedienelement,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JP2013182424A (ja) * 2012-03-01 2013-09-12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
US10054964B2 (en) * 2012-05-07 2018-08-21 Google Llc Building control unit method and controls
US8901443B2 (en) * 2012-08-10 2014-12-02 Honda Motor Co., Ltd. Multi-position switch assembly for controlling a vehicle display screen
CN104885177B (zh) * 2012-12-12 2017-09-22 Ls汽车电子株式会社 用于车辆的多操作开关单元
KR101514154B1 (ko) * 2013-12-10 2015-04-2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101481259B1 (ko) 2013-04-22 2015-01-0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101541640B1 (ko) * 2014-01-27 2015-08-0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로터리 엔코더 스위치 유니트
FR3019661B1 (fr) * 2014-04-04 2017-07-14 Thales Sa Amelioration de l'ergonomie d'un dispositif d'entree de donnees
CN106030439B (zh) 2014-12-02 2017-12-05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拨杆结构及采用该拨杆结构的遥控器
JP2016167343A (ja) * 2015-03-09 2016-09-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操作入力装置
WO2017074120A1 (ko) * 2015-10-30 2017-05-04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JP6378735B2 (ja) * 2016-11-09 2018-08-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イッチユニット
CN108305811B (zh) * 2017-01-11 2021-04-30 艾默林汽车活动组件(无锡)有限公司 开关总成及使用该种开关总成的车灯调节装置
JP7112385B2 (ja) * 2017-02-28 2022-08-0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操作レバー
CN109866573B (zh) * 2017-12-01 2020-09-15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车用空调控制器
JPWO2019142421A1 (ja) * 2018-01-19 2021-01-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入力装置
WO2019142425A1 (ja) * 2018-01-19 2019-07-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入力システムおよびスイッチ
CN108762368A (zh) * 2018-03-27 2018-11-06 上海科世达-华阳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控制旋钮、人机交互开关及人机交互开关的控制方法
JP7077924B2 (ja) * 2018-11-29 2022-05-31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イッチ装置
EP3699737A1 (en) 2019-02-25 2020-08-26 Defond Electech Co., Ltd A control knob with motion sensing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machine
DE102019001781A1 (de) * 2019-03-13 2020-09-17 Kostal Automobil Elektrik Gmbh & Co. Kg Sitzverstellschalter
CN110187735B (zh) * 2019-06-27 2024-03-29 佛山市艾佛杜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遥感控制器
WO2021038933A1 (ja) * 2019-08-30 2021-03-04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操作装置
KR20210078782A (ko) * 2019-12-19 2021-06-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방향 스위치
EP4309200A1 (en) * 2021-03-15 2024-01-24 Essex Industries, Inc. Five-position switch
JP7217311B2 (ja) * 2021-05-19 2023-02-0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ハンドルスイッチおよび鞍乗型車両
JP2023074266A (ja) 2021-11-17 2023-05-29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複合型入力装置
CN115686222B (zh) * 2022-11-18 2023-07-18 青岛酒店管理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混合现实技术的虚拟人像绘画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6933A (ja) * 1983-05-11 1984-11-22 Canon Inc カ−ソル移動用キ−スイツチ
JPS61135421A (ja) 1984-12-06 1986-06-23 Kawasaki Steel Corp 金属ストリツプ処理ライン入側におけるストリツプコイル前処理装置
DE3502792A1 (de) 1985-01-29 1986-07-31 Ka We electronic GmbH & Co KG, 4796 Salzkotten Tastaturschaltvorrichtung
JPH0329853Y2 (ko) * 1985-02-13 1991-06-25
JPH0643975A (ja) 1991-10-01 1994-02-18 Hitachi Ltd 電子機器及びその操作装置
JP2562346Y2 (ja) * 1992-11-12 1998-02-10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ルスイッチ
JP3694392B2 (ja) * 1997-08-22 2005-09-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複合操作型電気部品
JP3819676B2 (ja) 2000-06-02 2006-09-1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スイッチ
JP4209300B2 (ja) * 2003-10-14 2009-01-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ジョイスティック型入力装置
EP1524680B1 (en) 2003-10-14 2007-12-19 Alps Electric Co., Ltd. Joystick input device
JP2006079407A (ja) * 2004-09-10 2006-03-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入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入力ユニット
JP4418399B2 (ja) * 2004-08-09 2010-02-17 ホシデン株式会社 多接点入力装置
JP4487821B2 (ja) * 2005-03-25 2010-06-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複合操作型電子部品
EP1715401B1 (de) 2005-04-22 2009-08-12 Marquardt GmbH Elektrischer Schalter
EP2755221B1 (en) 2006-02-21 2017-03-08 Hosiden Corporation Switc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640B1 (ko) * 2010-06-22 2012-02-14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다기능 스위치 조립체의 피봇스위치 작동구조
US8487200B2 (en) 2010-06-22 2013-07-16 Alps Electric Korea Co., Ltd Structure for operating pivot switches of multi-function switch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12336A3 (en) 2010-07-28
JP2009016114A (ja) 2009-01-22
EP2012336A2 (en) 2009-01-07
CA2630178C (en) 2015-11-03
KR101443768B1 (ko) 2014-09-23
US20090008233A1 (en) 2009-01-08
CA2630178A1 (en) 2009-01-03
US8039767B2 (en) 2011-10-18
EP2012336B1 (en) 2011-12-21
CN101339859A (zh) 2009-01-07
CN101339859B (zh) 2012-05-30
TWI350036B (ko) 2011-10-01
JP4551915B2 (ja) 2010-09-29
TW200910712A (en) 2009-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4471A (ko)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US5912661A (en) Z-encoder mechanism
US7781686B2 (en) Operating element with a central pushbutton
US6362810B1 (en) Tiltable joystick pointing device
US7361854B2 (en) Operating element for a multi-media system in a motor vehicle
US6353430B2 (en) Gimbal mounted joy stick with z-axis switch
US8901443B2 (en) Multi-position switch assembly for controlling a vehicle display screen
JP5802111B2 (ja) 多方向スイッチ装置
US10150223B2 (en) Control system with a handling knob
JP6660527B2 (ja) 入力装置
JP5242199B2 (ja) 多方向人間工学的制御ユニット
US7671284B2 (en) Multidirectional actuator with variable return force
US20050077156A1 (en) Joystick switching device
JP5818914B2 (ja) 操作子及び操作装置
JP4617217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4209300B2 (ja) ジョイスティック型入力装置
JP4063753B2 (ja) ジョイスティック型入力装置
KR20200132378A (ko) 스위칭 유니트
JP2006196309A (ja) 操作装置
KR20200134852A (ko) 스위칭 유니트
JP2004014158A (ja) 多方向入力装置
JP2578310Y2 (ja) 多方向スイッチにおけるジョイスティック支持構造
JP2021125336A (ja) スイッチ装置
KR20180046125A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JP2001184136A (ja) ジョイスティ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