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451U - 보틀 전용 선반 - Google Patents

보틀 전용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451U
KR20090003451U KR2020080012790U KR20080012790U KR20090003451U KR 20090003451 U KR20090003451 U KR 20090003451U KR 2020080012790 U KR2020080012790 U KR 2020080012790U KR 20080012790 U KR20080012790 U KR 20080012790U KR 20090003451 U KR20090003451 U KR 200900034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bottle
shelf
win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7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7228Y1 (ko
Inventor
다카키 다테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와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34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4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2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2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2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ntainers, e.g. flasks, bottles, tins, milk p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12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he side of an approximately horizontal st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43Show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81Show stands or display racks with movable part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랜지 교환을 불요로 하고, 전방의 전락 방지판의 설치 각도가 바뀌는 일이 없으며, 수평 진열면과 후방 내리막 경사의 2가지의 진열면을 취할 수 있는 보틀 전용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측면에서 보아 내각이 직각형상인 굴곡부(22a, 22b)와, 굴곡부(22a, 22b)의 전후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수평부(4)(전방 부재) 및 제2 수평부(후방 부재 : 6)를 갖는 지지 프레임(1)과, 지지 프레임(1)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는, 수평판부(21)와 수평판부(21)의 후단으로부터 기립하는 연직판부(22)와, 연직판부(22)의 상단으로부터 비스듬히 후방으로 신장되는 경사판부(23)로 이루어지는 보틀 설치 본체부(2)로 이루어지는 보틀 전용 선반(10).

Description

보틀 전용 선반 {SHOWCASE FOR BOTTLE}
본 고안은, 보틀, 특히 와인 보틀의 진열에 매우 적합한 보틀 전용 선반에 관한 것이다.
슈퍼나 술집 등에 있어서, 와인 보틀을 판매하기 위해서, 곤도라형상의 진열 선반에 다량의 와인 보틀을 진열하는 일이 있다. 비교적 다량의 와인 보틀을 진열하는 와인 전용 선반으로서는, 수평 진열면을 상하 다단으로 갖는 와인 전용 선반 혹은 수평 진열면과 전방 내리막 경사의 진열면의 2가지의 진열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와인 전용 선반을 들 수 있다. 이 중, 수평 진열면과 전방 내리막 경사의 진열면의 2가지의 진열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와인 전용 선반이 진열의 연출을 높일 수 있는 점에서 주목을 모으고 있다.
2가지의 진열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와인 전용 선반으로서는, 곤도라형상의 진열 선반에 좌우의 플랜지를 사이에 두고 설치하고, 진열 형태를 변경하는 경우에 다른 플랜지로 변경하는 와인 전용 선반, 혹은 진열 선반을 후방 단부를 기축으로 하여 진열 선반의 선단 부분에 일단이 부착된 와이어 조작에 의해 진열 선반을 회동 자유롭게 한 와인 전용 선반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플랜지를 변경하는 와인 전용 선반은, 플랜지 변경 작업이 귀찮고, 또 플랜지의 관리도 필요한 등의 문제가 있다. 진열 선반을 회동 자유롭게 한 와인 전용 선반은, 플랜지 교환 등의 귀찮은 작업은 없는 점에서 매우 적합하다. 그러나, 이 와인 전용 선반의 수평 진열면을 후방 내리막 경사형상으로 하면, 진열단의 전방단에 기립 자세 혹은 후방 경사로 고정 설치되는 전락 방지판의 설치 각도가 바뀌어 문제가 된다. 즉, 진열단의 전방단에 기립 자세 혹은 후방 경사로 고정 설치되는 전락 방지판은, 통상 가격 표시 기능을 겸하는 것으로, 이 표시가 보기 어려워진다. 또, 가격 표시 기능이 없는 것이어도, 진열면의 전방의 일부를 막게 되어, 유효 진열면이 감소하고, 고객측에서 보아 위화감이 있는 등 여러 가지의 문제를 일으킨다. 또, 종래의 수평 진열면과 전방 내리막 경사의 진열면의 2가지의 진열 형태를 취하는 와인 전용 선반에서는, 와인의 진열 형태로서는, 겨우 3패턴이고, 또 다른 진열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와인 전용 선반의 등장이 요구되고 있었다.
즉, 본 고안의 목적은, 플랜지 교환을 불요로 하고, 전방의 전락 방지판의 설치 각도가 바뀌는 일이 없으며, 수평 진열면과 후방 내리막 경사의 2가지의 진열면을 취할 수 있는 보틀 전용 선반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본 고안은, 측면에서 보아 내각이 직각형상인 굴곡부와 이 굴곡부의 전후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수평부 및 제2 수평부를 갖는 지지 프레임과, 이 지지 프레임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는, 수평판부와 이 수평판부의 후단으로부터 기립하는 연직판부와, 이 연직판부의 상단으로부터 비스듬히 후방으로 신장되는 경사판부로 이루어지는 보틀 설치 본체부로 이루어지는 보틀 전용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플랜지의 교환이 불필요하고, 전방의 전락 방지판의 설치 각도를 바꾸는 일 없이, 수평 진열면과 후방 내리막 경사의 2가지의 진열면을 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와인의 설치는 4패턴을 취할 수 있고, 반복 고객을 질리게 하는 일이 없는 진열면을 연출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플랜지 등의 고정부에 지지 프레임을 고정할 때, 베이스부에 형성된 전후 방향으로 이간한 2개의 나사구멍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진열면이 전방으로 돌출한 형태를 취할 수 있고, 또 다른 진열면을 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와인 전용 선반을 도 1~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예의 와인 전용 선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와인 전용 선반에서 사용하는 보틀 설치 본체부의 이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와인 전용 선반의 일부를 생략한 제1 진열 형태에서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와인 전용 선반의 A-A선을 따라서 본 도면, 도 5는 도 3의 와인 전용 선반의 좌측면도, 도 6은 도 4의 와인 전용 선반에 와인을 세워 진열한 도면, 도 7은 도 4의 와인 전용 선반에 와인을 바닥이 앞이 되도록 눕혀 진열한 도면, 도 8은 제2 진열 형태에 있어서 와인을 경사 자세로 진열한 도면, 도 9는 제2 진열 형태에 있어서 와인을 바닥이 후방측이 되도록 눕혀 진열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 중, 「전」, 「후」, 「좌」및 「우」는 고객측에서 본 방향 및 위치를 말한다. 또, 「수평부」혹은 「연직부」등은 부재명으로서, 설치 형태가 변화하여 「수평」혹은 「연직」을 취하지 않게 되어도, 「수평부」혹은 「연직부」이다.
와인 전용 선반(10)은, 지지 프레임(1)과 3개의 보틀 설치 본체부(2)를 조립한 것이다. 3개의 보틀 설치 본체부(2)는 모두 동일한 구성 요소 및 동일한 형상으로서, 지지 프레임(1)에 설치되었을 때, 틈새없이 진열면을 형성할 수 있는 치수이다. 본 고안의 와인 전용 선반(10)에 있어서, 보틀 설치 본체부(2)는 상기 3개로 한정되지 않고, 1개, 2개 또는 4개 이상이어도 된다. 이 중, 본 예와 같이 3개 사용으로 하는 것이, 설치의 용이함, 재고 관리의 용이함, 취급의 용이함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지지 프레임(1)은, 예를 들어 곤도라형상 진열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으로, 해당 진열 프레임의 길이 방향(좌우 방향)으로 신장되는 각(角)형상의 후방 부재(제2 수평부 : 6)와, 후방 부재(6)의 양측에 형성되는 판형상의 양 아암부(2a, 2b)와, 양 아암부(2a, 2b)의 선단에서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길이 방향(좌우 방향)으로 설치되는 전방측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지지 프레임(1)은, 예를 들어 플랜지(3) 등의 고정부에 나사 고정되는 베이스부(21a, 21b)와 베이스부(21a, 21b)로부터 전방으로 신장되는 측면에서 보아 내각이 직각형상인 굴곡부(22a, 22b)와 굴곡부(22a, 22b)에 연속하는 제1 수평부(23a, 23b)를 갖는 양 아암부(2a, 2b)와, 양 아암부(2a, 2b)의 베이스부(21a, 21b) 사이에 가로질러 설치되어 제2 수평부를 형성하는 각형상의 후방 부재(6)와, 양 아암부(2a, 2b)의 제1 수평부(23a, 23b)보다 단차(231)를 두고 높은 위치에 있고, 양 아암부(2a, 2b) 사이에 가로질러 설치되는 전방 부재(4)와, 전방 부재(4)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방 선단이 전방 부재(4)의 전단보다 평면에서 보아 내측에 위치하는 전방 경사부(5)로 이루어진다. 굴곡부(22a, 22b)는, 굴곡부(22a, 22b)의 전방 부재(221)가, 수평에 대해서 25도±3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제2 진열 형태에서의 와인의 진열 자세가 좋은 점에서 바람직하다.
지지 프레임(1)에 있어서, 베이스부(21a, 21b), 굴곡부(22a, 22b) 및 제1 수평부(23a, 23b)는 판형상의 세로 부재이며, 전방 부재(4)와 전방 경사부(5)는 판형상의 세로 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전방측의 부재이다. 굴곡부(22a, 22b) 및 제1 수평부(23a, 23b)로 구성되는 판형상의 세로 부재에는, 제2 진열 형태에 있어서, 보틀 설치 본체부(2)의 수평판부(21)의 일부인 이면측의 좌우의 가장자리부가 적재된다.
베이스부(21a, 21b)는, 본 예에서는 플랜지(3)에 나사 고정되어 있는 플랜지(3)를 따른 형상이며, 전후 2개소에 나사구멍(7, 7)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21a, 21b)는 플랜지(3)에 대해서 나사구멍(7, 7)의 어느 한 쪽에 통과한 나사를 사용하여 나사 고정된다. 나사구멍(7, 7)의 후방구멍을 사용하면, 전방구멍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진열면을 고객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부호 8은 너트이다. 각형상의 후방 부재(6)는, 각형상의 상면이 수평면(61)이 되도록 설치된다. 수평면(61)은, 보틀 설치 본체부(2)의 설치면이 되는 것으로, 수평판부(21)의 일부인 이면 후방부가 적재된다.
전방 부재(4)는, 전방 부재(4)의 상면이 수평면(41)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평면(41)은, 보틀 설치 본체부(2)의 수평 부재(21)가 수평면이 되도록 설치된 경우(제1 진열 형태), 보틀 X의 설치면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방 부재(4)의 깊이 치수는 임의이다. 또, 전방 부재(4)의 하방측에서 수㎜ 후방에는, 전방 부재(4)에 연속하여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는 판형상의 걸림편(41)이 형성되어 있다. 판형상의 걸림편(41)은 제1 진열 형태에 있어서, 수평판부(21)의 선단 이면측의 선단 걸림 홈(29)에 걸어 안정된 설치를 부여하는 것이다.
제1 수평부(23a, 23b)와 전방 부재(4)로 형성되는 단차(231)는, 보틀 설치 본체부(2)의 수평판부(21)의 두께와 동일하다. 이것에 의해, 제1 진열 형태를 취했을 때, 보틀 설치 본체부(2)의 수평판부(21)의 표면과 전방 부재(4)의 표면이 면일이 되고, 수평판부(21)의 표면과 전방 부재(4)의 표면으로 진열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전방 경사부(5)의 높이 및 경사 각도는, 제1 진열 형태의 보틀을 눕힌 상태에서의 전방의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나타내고, 또 제2 진열 형태에 있어서 보틀의 진열의 장해가 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즉, 제1 진열 형태의 보틀을 눕힌 상태에 있어서, 전방 경사부(5)의 선단이 와인 보틀의 저면에 닿는 상태에 있어서, 와인 보틀의 선단부가 보틀 설치 본체부(2)의 경사판부(23)에 닿는 것이 좋다. 또, 제2 진열 형태에 있어서, 보틀 설치 본체부(2)의 수평판부(21)의 상면을 넘지 않는 높이인 것이 좋다. 전방 경사부(5)는, 제1 진열 형태 및 제2 진열 형태의 어느 하나를 취해도 부동이며, 그 경사 각도는 변함없다. 이 때문에, 진열면의 유효 면적이 감소되는 일도 없고, 또 고객측에서 보아 위화감은 없다. 전방 경사부(5)에는, 상품 정보를 표시한 표시 카드 등을 표면에 부설해도 되고, 또 각종 POS(point of sale) 레일을 설치할 수 있다.
보틀 설치 본체부(2)는, 지지 프레임(1)과는 별체로서, 지지 프레임(1)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는 것이다. 보틀 설치 본체부(2)는, 수평판부(21)와 수평판부(21)의 후단으로부터 기립하는 연직판부(22)와, 연직판부(22)의 상단으로부터 비스듬히 후방으로 신장되는 경사판부(23)로 이루어진다.
수평판부(21)는 보틀 X의 주된 적재면을 구성한다. 수평판부(21)에는 전후방향으로 신장되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다수의 슬릿(세로구멍 : 21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슬릿(세로구멍 : 211)에 대응하는 이면에는 보강 리브(27)가 형성됨과 더불어, 보강 리브(27)의 중앙에는 슬릿(세로구멍 : 211)에 연통하는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보틀 설치 본체부(2)의 수평판부(21)의 표면에 모이는 쓰레기류가 슬릿(세로구멍 : 211) 및 구멍(28)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탈락하기 때문에, 청소하기가 쉽고, 쓰레기류가 모이기 어렵다.
수평판부(21)의 이면 선단에는, 선단 걸림 홈(29)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고, 수평판부(21)의 이면 전방에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2개 이상, 본 예에서는 4개 설치되는, 측면에서 보아 내각이 직각형상인 제1 걸림편(25)이 형성되고, 수평판부(21)의 이면에는, 하방에 돌출하여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의 제3 걸림편(26a, 26b, 26c)이, 후방부, 전방부 및 중앙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판형상의 제3 걸림편(26a, 26b, 26c)은 수평판부(21)의 길이 방향 의 치수보다 약간 짧다. 이것에 의해, 제2 진열 형태에 있어서 수평판부(21)의 한 쪽의 측 가장자리부가 양 아암부(2a)에 적재되었을 때, 판형상의 제3 걸림편(26a, 26b, 26c)의 측단이 양 아암부(2a)의 내측에 오기 때문에, 보틀 설치 본체부(2)가 양 아암부(2a)를 넘어 전락하는 일이 없다.
연직판부(22)는 주로 보틀 X의 등받이의 기능을 나타낸다. 연직판부(22)와 경사판부(23)는 연속체이며, 측면에서 보아서는 두께로 파악되는 소정의 높이 치수의 측판이 형성되는 프레임형상이다. 연직판부(22)의 본체부의 배면(이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2개 이상, 본 예에서는 4개의 제2 걸림편(24)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걸림편(24)은 연직판부(22)의 본체부의 배면(이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판형상체로서, 그 하방단은 내각이 110~120도가 되는 모서리부(241)를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진열 형태에 있어서 모서리부(241)가, 후방 부재(6)의 모서리에 걸리기 때문에, 보틀 설치 본체부(2)의 지지 프레임(1)으로의 설치가 안정된다.
경사판부(23)는 제1 진열 형태에 있어서, 보틀 X를 눕힌 상태에 있어서, 보틀 X의 선단부의 베개가 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본 예에서는 경사판부(23)의 표면에는 쿠션 고무(2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쿠션 고무(231)는 본 고안의 와인 전용 선반에 있어서는 임의의 구성 요소이다. 경사판부(23)의 경사 각도는 수평판부에 대해서 20도±3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제1 진열 형태에서의 눕힘 진열의 와인 X의 진열 자세가 좋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와인 전용 선반(10)을 사용한 제1 진열 형태 및 제2 진열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진열 형태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틀 설치 본체부(2)의 수평판부(21)가, 제1 수평부(23a)와 후방 부재(제2 수평부 : 6) 상에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설치되고, 또한 수평판부(21)의 이면측 선단의 선단 걸림 홈(29)과 전방 부재(4)의 판형상의 걸림편(41)의 걸림, 및 판형상의 제3 걸림편(26c)의 후방 부재(6)로의 맞닿음에 의해 전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함과 더불어, 수평 부재(21)의 표면이 수평 자세가 되도록 한 것이다. 또, 양측의 보틀 설치 본체부(2)는, 판형상의 제3 걸림편(26a, 26c)의 측단이 양 아암부(2a, 2b)의 내측에 오기 때문에, 보틀 설치 본체부(2)가 양 아암부(2a, 2b)를 넘어 전락하는 일은 없다. 또, 중앙의 보틀 설치 본체부(2)는 좌우의 보틀 설치 본체부(2)가 있기 때문에 좌우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와인 전용 선반(10)은 제1 진열 형태에 있어서 설치 안정성이 좋다.
제1 진열 형태에 있어서는, 와인 X를 눕힌 채로 진열하는 수평 진열(도 6 참조), 바닥(91)이 앞에 위치하는 눕힘 진열(도 7 참조)의 2가지의 진열이 가능해진다.
제2 진열 형태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틀 설치 본체부(2)의 수평판부(21)가 후방 내리막 경사가 되도록 설치한 것이다. 즉, 보틀 설치 본체부(2)의 제1 걸림편(25)을 제1 수평부(23a)와 전방 부재(4)로 형성되는 단차(231)에 걸고, 제2 걸림편(24)의 걸어 멈춤각(241)을 후방 부재(6)의 전방측의 모서리(66)에 걸며, 수평 부재(21)의 표면이 후방 내리막 경사 자세가 되도록 한 것이다. 또, 양측의 보틀 설치 본체부(2)는, 판형상의 제3 걸림편(26a, 26b, 26c) 의 측단이 양 아암부(2a, 2b)의 내측에 오기 때문에, 보틀 설치 본체부(2)가 양 아암부(2a, 2b)를 넘어 전락하는 일은 없다. 또, 중앙의 보틀 설치 본체부(2)는 좌우의 보틀 설치 본체부(2)가 있기 때문에 좌우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와인 전용 선반(10)은 제2 진열 형태에 있어서 설치 안정성이 좋다.
제2 진열 형태에 있어서는, 와인 X를 눕힌 채로 진열하는 경사 진열(도 8 참조), 바닥(91)이 후방측에 위치하는 끼워넣기 진열(도 9 참조)의 2가지의 진열이 가능해진다. 또한, 끼워넣기 진열이란 하측의 2개의 와인 사이의 오목부에 상측의 와인 하나가 적재되는 진열 형태를 말한다.
본 고안의 보틀 전용 선반에 있어서, 보틀로서는, 와인 보틀, 일본 술병, 소주 병, 위스키 보틀, 비냉(非冷)의 알코올 음료 보틀 등을 들 수 있다.
본 고안의 보틀 전용 선반은, 상기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형예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 아암부는 세로형상의 판부재에 한정되지 않고, 양 아암부의 구성을 취하지 않으며,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는 순수한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보틀 설치 본체부(2)의 수평판부(21)의 이면에 형성되는 제3 걸림편이나 전방 부재(4)의 판형상의 걸림편(41) 등은 생략할 수 있다. 또, 보틀 설치 본체부(2)의 수평판부(21)에 형성되는 슬릿(211)이나 보강 리브(27)에 형성되는 구멍(28)은 설치를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의 형태예의 와인 전용 선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와인 전용 선반으로 사용하는 보틀 설치 본체부의 이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와인 전용 선반의 일부를 생략한 제1 진열 형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와인 전용 선반의 A-A선을 따라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와인 전용 선반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와인 전용 선반에 와인을 세워 진열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와인 전용 선반에 와인을 바닥이 앞이 되도록 눕혀 진열한 도면이다.
도 8은 제2 진열 형태에 있어서 와인을 경사 자세로 진열한 도면이다.
도 9는 제2 진열 형태에 있어서 와인을 바닥이 후방측이 되도록 눕혀 진열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 프레임
2 : 보틀 설치 본체부
2a, 2b : 양 아암부
3 : 플랜지
4 : 전방 부재
5 : 전방 경사부
6 : 후방 부재(제2 수평부)
10 : 와인 전용 선반
21a, 21b : 베이스부
22a, 22b : 굴곡부
23a, 23b : 제1 수평부
231 : 단차

Claims (12)

  1. 측면에서 보아 내각이 직각형상인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의 전후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수평부 및 제2 수평부를 갖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는, 수평판부와 상기 수평판부의 후단으로부터 기립하는 연직판부와, 상기 연직판부의 상단으로부터 비스듬히 후방으로 신장되는 경사판부로 이루어지는 보틀 설치 본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전용 선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이, 고정부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전방으로 신장되는 측면에서 보아 내각이 직각형상인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에 연속하는 제1 수평부를 갖는 양 아암부와, 상기 양 아암부의 베이스부 사이에 가로질러 설치되어 제2 수평부를 형성하는 각(角)형상의 후방 부재와, 상기 양 아암부의 제1 수평부보다 단차를 두고 높은 위치에 있고, 상기 양 아암부 사이에 가로질러 설치되는 전방 부재와, 상기 전방 부재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방 선단이 상기 전방 부재의 전단보다 평면에서 보아 내측에 위치하는 전방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전용 선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틀 설치 본체부의 수평판부가, 상기 제1 수평부와 제2 수평부 위에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수평 부재의 표면이 수평 자세가 되는 보틀 전용 선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부의 이면 전방부에 상기 단차의 모서리에 거는 제1 걸림편을 설치하고, 상기 연직판부의 배면의 상방부에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는 상기 후방 부재의 전방의 모서리에 거는 제2 걸림편을 설치하고, 상기 제1 걸림편을 상기 수평판부의 상기 단차에 걸고, 제2 걸림편을 상기 후방 부재의 모서리에 걸어, 상기 수평 부재의 표면이 전방 오르막 경사 자세로 하는 보틀 전용 선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편은 상기 수평판부의 이면에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2개 이상 설치되고, 상기 제2 걸림편은 상기 연직판부의 배면에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2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전용 선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부의 이면에는, 하방에 돌출하여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의 제3 걸림편을, 적어도 후방부와 전방부에 각각 1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전용 선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틀 설치 본체부의 2개~4개를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전용 선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를 구성하는 전방 부재가, 수평에 대해서 25도±3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전용 선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틀 설치 본체부의 경사판부가, 수평판부에 대해서 20도±3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전용 선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틀 설치 본체부의 경사판부에는, 쿠션 고무가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전용 선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는, 전후 2개소에 나사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전용 선반.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틀이 와인 보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전용 선반.
KR2020080012790U 2007-10-09 2008-09-23 보틀 전용 선반 KR20046722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07723U JP3138099U (ja) 2007-10-09 2007-10-09 ボトル専用棚
JPJP-U-2007-00007723 2007-10-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451U true KR20090003451U (ko) 2009-04-14
KR200467228Y1 KR200467228Y1 (ko) 2013-06-07

Family

ID=43288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790U KR200467228Y1 (ko) 2007-10-09 2008-09-23 보틀 전용 선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38099U (ko)
KR (1) KR2004672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053B1 (ko) * 2020-05-07 2020-07-03 김건식 확장이 편리한 다용도 진열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107B1 (ko) * 2020-02-07 2020-11-20 나성호 틸팅가능한 선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9059B2 (ja) 1999-06-15 2003-10-20 河淳株式会社 マルチ利用陳列具及びこれを設置した陳列ワゴン
JP2003144280A (ja) 2001-11-09 2003-05-20 Fuso Sangyo Kk 商品陳列用ブロック
JP4548706B2 (ja) 2004-01-30 2010-09-22 河淳株式会社 保冷材入り商品陳列台及びその使用方法
JP4631344B2 (ja) 2004-08-02 2011-02-16 富士電機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ショーケースのデッキパン支持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053B1 (ko) * 2020-05-07 2020-07-03 김건식 확장이 편리한 다용도 진열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38099U (ja) 2007-12-20
KR200467228Y1 (ko) 201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5004B2 (ja) トラックレスプッシャ機構を有する製品管理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US8016131B2 (en) Display tray
KR200467228Y1 (ko) 보틀 전용 선반
US20040020884A1 (en) System for detachable suspension of shelves, drawers or the like
JP2006239136A (ja) 商品陳列棚
US11096507B2 (en) Cash wrap greeting card display
JP3135542U (ja) POSレール本考案は、商品陳列棚の前端のレール部に装着される、大カード類、小カード類および電子棚札の3種類の表示が可能な多機能POS(pointofsale)レールに関するものである。
JP6857508B2 (ja) 商品陳列棚
KR101501773B1 (ko) 주먹밥용 진열선반 및 주먹밥의 진열 방법
US6176377B1 (en) Rack for supporting abrasive discs or the like
JP2020022583A (ja) 立設体の支持構造
US11771242B2 (en) Cash wrap greeting card display
JP4849603B2 (ja) 商品陳列台
JP3182241U (ja) 表示板角度変更具及び表示板角度変更具付き陳列棚用表示具
JP3510234B2 (ja) 値札保持具
JP4673501B2 (ja) 棚板支持構造
JP2023032105A (ja) 傾斜棚の落下防止具
JP2006239135A (ja) 商品陳列棚
JP3120729U (ja) 商品陳列台
JP2541355Y2 (ja) 陳列商品表示用カードケースの取付構造
JPH071016Y2 (ja) スライド棚の転落防止装置
JP3140936U (ja) 商品陳列台
JP2008043539A (ja) 商品陳列棚
JP2022127716A (ja) 電子棚札装着用posレール
JP4265933B2 (ja) 表示板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8

Year of fee payment: 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