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689A - 영상촬영기기 - Google Patents

영상촬영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689A
KR20090002689A KR1020070066249A KR20070066249A KR20090002689A KR 20090002689 A KR20090002689 A KR 20090002689A KR 1020070066249 A KR1020070066249 A KR 1020070066249A KR 20070066249 A KR20070066249 A KR 20070066249A KR 20090002689 A KR20090002689 A KR 20090002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utton
recording medium
main body
photograph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경진
이병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6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689A/ko
Priority to US12/018,351 priority patent/US20090009627A1/en
Publication of KR20090002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6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04N9/804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using transform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영상촬영기기는 렌즈부 및 렌즈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기록하는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구동하기 위한 기록매체 구동부를 구비한 영상촬영기기 본체; 기록매체를 상기 기록매체 구동부에 착탈시키기 위하여 영상촬영기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기록매체 커버; 상기 기록매체 커버를 록킹 및 록킹해제 하는 록킹유닛; 및 상기 록킹유닛만을 외부로 노출시켜 수동 조작할 수 있도록 영상촬영기기 본체에 분해 가능하게 설치된 오픈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스위치를 갖춘 보조 회로기판이 영상촬영기기 본체에 위치하고, 오픈유닛은 상기 스위치들을 동작시키기 위한 2중 버튼유닛을 구비한다.
영상, 촬영, DVD, 디스크, 기록, 커버, 개방, 비상, 이젝트, 이중, 버튼

Description

영상촬영기기{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기기의 기록매체 커버 개방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기기의 오픈유닛을 개방하고 기록매체 커버를 수동으로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기기의 오픈유닛을 개방한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기기의 기록매체 커버 록킹유닛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기기의 오픈유닛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오픈유닛의 배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기기의 오픈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오픈유닛의 홀더에 여러 관련부품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기기의 오픈유닛에 구성된 2중 버튼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기기의 내부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영상촬영기기 본체 20;본체 케이스
23;개구 24;스크류
30;렌즈부 40;기록매체 커버
50;록킹유닛 51;록킹레버
52;구동부 53;이젝트 버튼
54;기록매체 커버 고리 60;메인 회로기판
70;보조 회로기판 71;파워 스위치
72;모드선택 스위치 73;재생 스위치
74,75;발광소자 80;오픈유닛
90;커버부재 91,92;노출공
100;버튼유닛 101;파워버튼
102;제 1 모드선택 버튼 103;제 1 재생 버튼
104;제 2 모드선택 버튼 105;제 2 재생 버튼
110;홀더 111;파워버튼 지지부
113,114;인디케이터 115,116;인디케이터 지지부
120;디스플레이유닛
본 발명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생성한 영상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영상촬영기기에 관한 것이다.
동영상 및 정지화상을 촬영하여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영상촬영장치는 기록매체로서 다양한 매체들을 이용하고 있다. 다양한 기록매체들로는 예를 들면, 기록 테이프, 내장 메모리, 외장 메모리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DVD 등과 같은 기록 디스크를 기록매체로 이용하는 제품도 출시되고 있다.
DVD 등과 같은 디스크를 기록매체로 사용하는 영상촬영기기는 기록매체를 구동하기 위한 기록매체 구동부와, 기록매체를 기록매체 구동부에 착탈시키기 위하여 영상촬영기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기록매체 커버와, 기록매체 커버를 록킹 및 록킹 해제하는 록킹유닛을 구비한다.
영상촬영기기 사용시 디스크형 기록매체는 고속으로 회전하다. 따라서, 촬영 중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해 기록매체 커버가 열리면 기록매체의 회전력에 의해 기록매체가 커버로부터 튀어나가 바닥에 떨어져 손상되거나 사용자에게 해(害)를 입힐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 때문에, 디스크를 기록매체로 사용하는 영상촬영기기의 록킹유닛은 전기적인 신호로 작동되는 구조를 채용한다.
예를 들면, 록킹유닛은 사용자가 기록매체 커버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이젝트 버튼을 조작하면, 바로 기록매체 커버가 개방되는 것이 아니라,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던 디스크의 회전이 멈춘 다음에 기록매체 커버가 개방되게 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즉, 전기적인 신호로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나 모터를 기록매체 커버 록킹 유닛에 연결하여 두고, 이젝트 버튼 조작 신호가 입력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다음 상기 솔레노이드나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록킹유닛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록킹유닛을 채용한 영상촬영기기의 단점은, 배터리가 방전된 상태나 외부 전원을 연결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기록매체를 취출하기가 어렵고 불편하다는 것이다.
즉, 위와 같은 상황(배터리가 방전되고 외부 전원을 연결할 수 없는 상황)에서 기록매체를 취출 해야 하는 경우, 영상촬영기기의 외관 케이스 전체를 분해하여 기록매체 커버를 록킹하고 있는 록킹유닛을 외부로 노출(록킹유닛을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노출시키는 것을 말함)시켜야 하는데, 숙련된 수리공이 아닌 일반 사용자에게는 상당히 어렵고 불편한 일이다.
또한, 영상촬영기기의 외관 케이스 분해시 내부 부품을 건들여 손상될 우려가 있고, 외관 케이스가 완전히 분해됨으로써 영상촬영기기의 내부 전체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므로 영상촬영기기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위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비상 이젝팅(배터리가 방전되거나 외부 전원을 연결할 수 없는 상황에서의 디스크 취출)이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한 영상촬영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상촬영기기의 내부 전체가 아닌 기록매체 커버 록킹유닛만을 외부로 노출시켜 기록매체를 수동 개방함으로써 내부 부품의 손상 우려 가 없는 영상촬영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영상촬영장치는,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기록하는 기록매체를 구동하기 위한 기록매체 구동부를 구비한 영상촬영기기 본체; 기록매체를 상기 기록매체 구동부에 착탈시키기 위하여 상기 영상촬영기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기록매체 커버; 상기 기록매체 커버를 록킹 및 록킹 해제하는 록킹유닛; 및 상기 록킹유닛만을 외부로 노출시켜 수동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영상촬영기기 본체에 분해 가능하게 설치된 오픈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기록매체 커버는 상기 렌즈부가 위치된 상기 영상촬영기기 본체의 전면부를 회동점으로 개폐 가능하며,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영상촬영기기 본체의 후면부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영상촬영기기 본체는 상기 렌즈부, 상기 기록매체 구동부, 상기 록킹유닛, 상기 유닛들의 제어를 위한 메인 회로기판 및 보조 회로기판을 수용하고, 상기 록킹유닛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이 개구된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오픈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개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 기판은 파워 스위치, 모드선택 스위치, 재생 스위치 및 다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오픈유닛은 상기 스위치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버튼유닛은 상기 커버부재에 지지된다.
상기 버튼유닛은, 상기 파워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파워 버튼; 제 1 모드선택버튼과 제 1 재생버튼; 및 상기 제 1 모드선택버튼과 상기 제 1 재생버튼의 조작력을 상기 보조 회로기판의 모드선택 스위치와 재생 스위치에 각각 전달하는 제 2 모드선택버튼과 제 2 재생버튼을 구비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2중 버튼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홀더는 상기 파워버튼을 지지하는 파워버튼 지지부; 및 상기 발광소자들에서 발생된 광을 상기 커버부재로 유도하는 다수의 인디케이터를 지지하는 인디케이터 지지부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 1 모드선택버튼, 상기 제 1 재생버튼 및 상기 파워버튼을 노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버튼 노출공; 및 상기 인디케이터들을 노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인디케이터 노출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버튼, 상기 홀더 및 상기 커버부재는 플라스틱 몰드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부재의 표면으로 노출되는 제 1 모드선택버튼 및 제 1 재생버튼은 디자인의 고급화를 위하여 도금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사용자가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다수의 스크류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개구에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상기 커버부재는 일측이 상기 케이스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케이스에 후킹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영상촬영기기는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기록하는 기록매체를 구동하기 위한 기록매체 구동부를 구비한 영상촬영기기 본체; 상기 촬영된 영상을 신호 처리하기 위한 메인 회로기판; 상기 본체로부터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기록매체 커버; 상기 기록매체 커버를 록킹 및 록킹 해제하는 록킹유닛; 및 상기 록킹유닛을 수동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분해 가능하게 설치되는 오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오픈유닛은 조작버튼들을 포함한다.
상기 조작버튼들은 적어도 1개 이상이 2중 버튼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2중 조작버튼은 재생 버튼 및 모드선택버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촬영기기는 상기 조작버튼들의 조작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보조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회로기판은 상기 메인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 회로기판은 상기 조작버튼과 연결되는 조작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촬영기기 본체(10)는 서로 맞대어져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케이스부재(21)(22)를 포함하는 케이스(20)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20)에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렌즈부(30)와 상기 렌즈부(30)를 통해 촬 영된 영상을 기록하는 기록매체를 구동하기 위한 기록매체 구동부(도시안됨) 등이 내장된다. 상기 기록매체는 대용량의 DVD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되나, 그 이외에도 디스크 형상의 기록매체, 예컨대, CD나 BD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기록매체 커버(40)는 기록매체를 상기 기록매체 구동부에 착탈시키기 위하여 상기 영상촬영기기 본체(1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기록매체 커버(40)는 상기 렌즈부(30)가 위치한 영상촬영기기 본체(10)의 전면부를 회동점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때 기록매체는 영상촬영기기 본체(10)의 후면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착탈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기록매체 커버(40)가 영상촬영기기 본체(10)의 하면부를 회동점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기록매체가 영상촬영기기 본체(10)의 상면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착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록킹유닛(5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록매체 커버[도 4에서는 기록매체 커버를 지지하는 프레임(40')이 도시되어 있으나, 넓은 의미에서 상기 프레임(40')은 커버(40)와 같다]를 상기 영상촬영기기 본체(10)에 대하여 록킹 및 록킹 해제하도록 상기 영상촬영기기 본체(10)의 후면부에 마련된다. 상기 록킹유닛(50)은 상기 기록매체 커버 프레임(40')에 마련된 고리(54)를 록킹하는 레버(51)와, 상기 레버(51)를 록킹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나 전기 모터 등과 같은 구동부(52)와, 상기 구동부(52)를 구동시키는 이젝트 버튼(53) 등을 구비한다.
상기 기록매체 커버(40)는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어 있고, 상기 록킹레버(51)는 기록매체 커버(40)를 록킹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스 되어 있 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이젝트 버튼(53)을 조작하면 상기 록킹레버(51)가 록킹 해제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기록매체 커버(40)가 개방되게 된다. 이 때, 상기 구동부(52)가 구동하여 상기 록킹레버(51)를 록킹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데, 이젝트 버튼(53)의 조작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다음, 즉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던 기록매체의 회전이 멈추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다음 상기 구동부(52)에 의해 록킹레버(51)가 록킹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기록매체를 안전하게 취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20)에는 상기 렌즈부(20), 상기 기록매체 구동부, 상기 록킹유닛(50) 등의 구동 제어를 위한 메인 회로기판(60) 및 보조 회로기판(70)이 내장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20)는 상기 록킹유닛(50)이 위치된 후면부 일정부분이 개구(23) 되어 있다. 사용자는 상기 개구(23)를 통하여 케이스(20) 내부에 위치된 록킹유닛(50)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보조 회로기판(70)은 상기 메인 회로기판(60)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메인 회로기판(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메인 회로기판(60)에는 메인칩(61)을 포함하는 다수의 소자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 회로기판(7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 스위치(71), 모드선택 스위치(72), 재생 스위치(73) 및 다수의 발광소자들(74,75)이 배치되어 있다.
오픈유닛(80)은 상기 케이스(20)의 개구(23)에 다수의 스크류(24) 등과 같은 체결요소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배터리가 방전되었거나 외부 전원을 연결할 수 없는 상황에서 기록매체를 취출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오픈유닛(80)을 스크류(24) 몇 개를 푸는 간단한 방법으로 분리하여 록킹유닛(50)만을 외부로 노출시켜 록킹유닛(50)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기록매체 커버(4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오픈유닛(8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0)의 개구(23)에 대응하는 크기의 커버부재(90) 및 상기 커버부재(90)에 지지되며 상기 보조 회로기판(70)에 배치된 다수의 스위치들(71,72,73)을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유닛(100)을 구비한다.
상기 버튼유닛(100)은 상기 파워 스위치(71)를 작동시키기 위한 파워버튼(101),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72) 및 상기 재생 스위치(73)를 작동시키기 위한 2중 버튼을 구비한다. 상기 2중 버튼은 제 1 모드선택버튼(102) 및 제 1 재생버튼(103), 상기 제 1 모드선택버튼(102)의 조작력을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72)로 전달하는 제 2 모드선택버튼(104) 및 상기 제 1 재생버튼(103)의 조작력을 상기 재생 스위치(73)로 전달하는 제 2 재생버튼(105)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모드선택버튼(104)과 제 2 재생버튼(105)은 상기 커버부재(90)에 지지되는 홀더(110)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1 모드선택버튼(102)과 제 1 재생버튼(103)도 상기 홀더(110)에 상기 제 2 모드선택버튼(104)과 제 2 재생버튼(105)과 연관된 동작을 하도록 지지된다.
도 9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2중 버튼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촬영기기는 보조 회로기판(70)과 커버부재(90) 사이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버튼의 작동거리(L)가 길다. 이 와 같은 구조에서 하나의 버튼이 보조 회로기판의 스위치를 직접 누르도록 구성하는 경우, 조작 각도에 의한 스위치 접촉부의 편심으로 스위치 작동감 저하 및 스위칭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예컨대, 모드선택 스위치(72)를 작동시키는 버튼을 제 1 및 제 2 모드선택버튼(102)(104)으로 분리함으로써, 버튼 동작이 2단계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버튼 동작이 2단계로 이루어지면, 각 단계에서의 작동거리(L1,L2)는 하나의 버튼을 사용하는 작동거리(L)에 대하여 대략 1/2로 짧아지기 때문에, 스위치 접촉부에서 편심이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스위치 작동감 저하나 스위칭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2중 버튼 구조로 하면, 디자인의 고급화 등을 위하여 버튼에 도금을 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되는 제 1 모드선택버튼(102)에만 도금을 하고 제 2 모드선택버튼(104)에는 도금을 안해도 되므로 도금에 의한 정전기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위와 같이 2중 버튼 구조를 채용하지 않은 경우 정전기 대책으로 버튼을 이중사출로 하는 방법과 버튼을 부분적으로 도금하는 방법이 있으나, 전자의 경우는 버튼 사출을 위한 금형비가 대략 2배로 증가하고, 후자의 경우는 부분적으로 도금되지 않도록 하는 처리를 별도로 해야 하므로 자재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과 같은 2중 버튼 구조를 채용하면 제 1 버튼만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금방법에 따라 도금하면 되므로 효과적이다.
재생 스위치(73)를 작동시키는 재생버튼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2중 버튼 구 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110)에는 상기 파워버튼(101)을 지지하기 위한 파워버튼 지지부(111)가 마련된다. 이 파워버튼 지지부(111)에 파워버튼(101)이 스프링(112)의 개재하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보조 회로기판(70)에 배치된 파워 스위치(71)를 작동시킨다. 또한, 상기 홀더(110)에는 상기 보조 회로기판(70)에 배치된 발광소자(74,75)에서 발생된 광을 상기 커버부재(90)로 유도하는 인디케이터(113,114)를 지지하는 인디케이터 지지부(115)(116)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90)는 상기 파워버튼(71), 제 1 모드선택버튼(102), 제 1 재생버튼(103)을 노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버튼 노출공(91)과, 상기 인디케이터들(113)(114)을 노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인디케이터 노출공(92)을 구비한다. 또한, 커버부재(90)는 그 조립을 위한 스크류(24)가 체결되는 다수의 나사체결공(94)을 구비한다. 이러한 커버부재(90)는 상기한 케이스(20)와 동일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튼들 및 홀더도 플라스틱 몰드물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서 참조부호 120은 디스플레이유닛이다. 사용자는 렌즈부(30)로 촬영되는 피사체를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20)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촬영되어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20)을 통하여 재생하면서 볼 수 있다. 도 5에서 참조부호 76은 전원잭이다. 이 전원잭(76)을 노출시키기 위한 공간이 상기한 커버부재(90)에 마련되며, 상기 커버부재(90)의 상기 공간은 도어(95)에 의해 막혀있다. 상기 도어(95)는 외부 전원 연결시 사용자에 의해 열려질 수 있다.
한편, 도시예에서는 상기 커버부재(90)가 다수의 스크류(24)에 의해 케이스(20)의 개구(23)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커버부재(90)는 그 일측이 상기 케이스(20)에 힌지 결합되고, 그 타측이 케이스(20)에 후킹 결합되는 구조로 조립될 수도 있는 등 커버부재의 조립 구조를 도시예의 경우로 꼭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기기의 내부 블럭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기기는 촬영부(210), 제 1 메모리(220), 영상 입력부(225), DSP(Digital Signal Processor)(230), 제어부(235), 조작부(240), 제 2 메모리(245), 백엔드부(250), USB 인터페이스(255), 영상 출력부(260), 오디오 처리부(265), 디스플레이유닛(270),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280) 및 기록부(290) 등을 구비한다.
촬영부(210)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광전변환하고, 전기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촬영부(210)는 렌즈부(211), CCD(Charge Coupled Device)(213), CDS/AGC/ADC (Correlated Double Sampler / Auto Gain Controller / Analog-to-Digital converter)(215), CCD 구동부(217) 및 렌즈 구동부(219)를 구비한다.
렌즈부(211)는 촬영대상에 대한 광학상을 CCD(213)의 광학면 상에 결상시킨다. 이 렌즈부(21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렌즈부(30)에 해당한다.
렌즈 구동부(219)는 렌즈부(211)를 구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렌즈부(211)를 줌-모터(미도시)로 구동시켜 줌인/줌아웃(zoom-in/zoom-out)시키고, 렌즈부(211)를 포커스-모터로 구동시켜 초점을 조절하며, 아이리스-모터를 구동시켜 렌즈부(211)에 마련된 조리개(미도시)의 개폐량을 조절한다.
CCD(213)는 CCD 구동부(217)에 의해 구동되며, 렌즈부(211)에 의해 광학면 상에 결상된 광학상에 상응하는 전기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촬상소자의 일종이다.
CDS/AGC/ADC(217)는 CCD(215)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에 대해 상관이중 샘플링(Correlated Double Sampling), 자동이득제어(Auto Gain Controlling), A/D 변환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제 1 메모리(220)는 DSP(230)가 영상 신호처리를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기록공간을 제공하는 버퍼이다. 제 1 메모리(220)는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영상 입력부(225)는 외부기기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아 DSP(230) 및/또는 백엔드부(250)로 전달한다.
DSP(230)는 촬영부(210) 또는 영상 입력부(225)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백엔드부(250)로 출력하는 소자이다. DSP(230)가 신호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는 제 1 메모리(220)를 버퍼로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DSP(230)는 촬영부(21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에 대한 포맷 변환과 영상 스케일을 조정하기 위한 디지털 줌, AWB(Auto White Balance) 등을 수행하여, 백엔드부(250)로 출력한다. 또한, DSP(230)는 렌즈 구동부(217)를 제어하여 AF(Auto Focus), AE(Auto Exposure) 등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DSP(230)는 촬영부(21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정지영상에 적합한 압축 포맷인 JPEG 포맷의 파일로 압축하여 백엔드부(250)로 출력한다. 그리고, DSP(230)는 백엔드부(250)로 입력받은 JPEG 포맷의 파일을 신장하여 생성한 영상 신호를 백엔드부(250)로 출력한다.
제어부(235)는 조작부(24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DSP(230)의 신호처리/신호전달 동작과 백엔드부(250)의 신호처리/신호전달 동작을 제어한다.
조작부(240)에는 제 1 및 제 2 촬영버튼, 제 1 및 제 2 줌버튼, 디스플레이 버튼, 이지 큐 버튼, 모드선택버튼 및 파워버튼, Q 체크 버튼 및 카피 버튼 등이 마련된다.
제 2 메모리(245)는 백엔드부(250)가 신호처리를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기록공간을 제공하는 버퍼이다. 뿐만 아니라, 제 2 메모리(245)에는 백엔드부(250)가 OSD(On Screen Display) 처리를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그래픽, 메뉴, 텍스트 등이 기록되어 있다. 제 2 메모리(245)는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SDRAM으로 구현할 수 있다.
백엔드부(250)는 영상 및/또는 오디오에 대한 압축, 신장, 재생처리 등의 신호처리를 담당하는 소자이다. 구체적으로, 백엔드부(250)는 DSP(2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에 적합하게 인코딩하여 디스플레이유닛(270) 또는 영상 출력부(260)로 출력한다.
한편, 백엔드부(250)는 DSP(2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에 그래픽, 메뉴, 텍스 트 등을 OSD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백엔드부(250)는 제 2 메모리(245)에 OSD 정보로 기록되어 있는 그래픽, 메뉴, 텍스트 등을 읽어들여 OSD 처리에 이용한다.
또한, 백엔드부(250)는 DSP(2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오디오 처리부(265)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압축하고, 압축을 통해 생성한 압축 파일을 기록부(290)로 전달한다. 그리고, 백엔드부(250)는 기록부(290)로부터 입력되는 압축 파일을 신장하여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며, 복원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유닛(270)으로 출력하고, 복원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처리부(265)로 출력한다.
복원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유닛(270)으로 출력함에 있어, 백엔드부(250)는 복원된 영상에 OSD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백엔드부(250)는 DSP(230)로부터 입력받은 JPEG 포맷의 파일을 기록부(290)로 전달하며, 기록부(290)로부터 입력받은 JPEG 포맷의 파일을 DSP(230)로 전달한다.
USB 인터페이스(255)는 PC, 프린터 등과 같은 USB 기기와 디지털 캠코더 간의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영상 출력부(260)는 백엔드부(25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연결된 외부기기(예를 들면, TV)로 출력한다.
오디오 처리부(265)는 마이크 등의 오디오 입력소자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Analog to Digital Converting)하여 백엔드부(250)로 전달한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265)는 백엔드부(25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Digital to Analog Converting)하여 스피커나 연결된 외부기기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유닛(270)은 백엔드부(250)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소자의 일종인 LCD(Liquid Crystal Display)에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유닛(270)은 디스플레이 구동부(271)에 의해 구동되어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273)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27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유닛(120)에 해당한다.
EEPROM(280)은 백엔드부(250)가 신호처리/신호전달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기록된 메모리이다.
기록부(290)는 백엔드부(250)에서 출력되는 압축 파일을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기록부(290)는 디스크 구동부(291),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293), 멀티슬롯(295), 메모리 컨트롤러(297) 및 플래시 메모리(299)를 구비한다.
디스크 구동부(291)는 백엔드부(250)로부터 입력되는 압축 파일을 디스크에 기록한다. 또한, 디스크 구동부(291)는 디스크에 기록된 압축 파일을 읽어들여 백엔드부(250)로 출력한다. 디스크로서 CD(Compact Disk), DVD(Digital Versatile Disk), BD(Blue-ray Disk), HD-DVD(High Definition-DVD)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293)는 백엔드부(250)로부터 입력되는 압축 파일을 멀티슬롯(295)에 장착되는 다양한 메모리카드에 기록한다. 또한,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293)는 다양한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압축 파일을 읽어들여 백엔드부(250)로 출력한다. 메모리 카드로서 MMC(MultiMedia Card), SD(Secure Digital)카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297)는 백엔드부(250)로부터 입력되는 압축 파일을 내장된 메모리인 플래시 메모리(299)에 기록한다. 또한, 메모리 컨트롤러(297)는 플래시 메모리(299)에 기록된 압축 파일을 읽어들여 백엔드부(250)로 출력한다.
한편, 제어부(235)는 백엔드부(250)에서 출력되는 압축 파일이 디스크, 메모리카드 및 플래시 메모리(299) 중 어느 하나에 기록되도록 백엔드부(250)와 기록부(290)를 제어한다. 이때, 기록될 기록매체는 백엔드부(250)가 OSD 처리를 통해 제공하는 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가능하다.
또한, 제어부(235)는 기록부(290)에 내장/장착되는 기록매체들간의 파일복사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5)는 1) 플래시 메모리(299)에 기록된 파일을 디스크나 메모리카드로 복사, 2) 메모리카드에 기록된 파일을 디스크나 플래시 메모리(299)로 복사, 3) 디스크에 기록된 파일을 메모리카드나 플래시 메모리(299)로 복사 등을 제어한다. 이때, 수행될 복사의 종류는 백엔드부(250)가 OSD 처리를 통해 제공하는 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가능하다.
"1)"에서 제시한 복사는, 메모리 컨트롤러(297)에 의해 읽혀진 플래시 메모리(299)에 기록된 파일이, a) 백엔드부(250) 및 디스크 구동부(291)를 통해 디스크에 복사되거나, b) 백엔드부(250) 및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293)를 통해 메모리카드에 복사되는 과정에 의하게 된다.
그리고, "2)"에서 제시한 복사는, 멀티슬롯(295)을 통해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293)에 의해 읽혀진 메모리카드에 기록된 파일이, a) 백엔드부(250) 및 디스크 구동부(291)를 통해 디스크에 복사되거나, b) 백엔드부(250) 및 메모리 컨트롤 러(297)를 통해 플래시 메모리(299)에 복사되는 과정에 의하게 된다.
또한, "3)"에서 제시한 복사는, 디스크 구동부(291)에 의해 읽혀진 디스크에 기록된 파일이, a) 백엔드부(250) 및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293)를 통해 메모리카드에 복사되거나, b) 백엔드부(250) 및 메모리 컨트롤러(297)를 통해 플래시 메모리(299)에 복사되는 과정에 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기기는 기록매체 커버(40)를 열고 기록매체를 장착하여 피사체를 촬영한다. 이 때, 전원으로는 영상촬영기기에 내장된 배터리나 외부 전원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촬영자는 피사체를 디스플레이유닛(120)으로 확인하면서 피사체를 촬영한다.
상기와 같은 촬영 중에 기록매체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촬영기기 본체(10)의 후면부 일측에 마련된 이젝트 버튼(53)을 조작한다. 이젝트 버튼(53) 조작후 일정 시간(기록매체의 회전이 멈추는 시간)이 경과하면, 그 내부에 마련된 구동부(52)(도 4 참조)에 의해 록킹레버(51)가 록킹 해제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기록매체 커버(40)의 록킹이 해제되어 기록매체 커버(40)가 개방된다. 기록매체를 교체하고 기록매체 커버(40)를 닫으면 상기 록킹유닛(50)에 의해 기록매체 커버(40)가 록킹되어 고정된다.
한편, 배터리가 방전되었거나 외부 전원을 연결할 수 없는 상황에서 기록매체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이젝트 버튼(53)의 조작으로는 기록매체 커버(40)를 개방시킬 수 없다. 이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촬영기기 본체(10)의 후면부에 조립된 오픈유닛(80)을 분리하여 영상촬영기기 본체(10) 내부의 록킹유 닛(50)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상기 오픈유닛(80)의 분리는 오픈유닛(80)을 영상촬영기기 본체(10)에 고정하고 있는 몇 개의 스크류(24)를 푸는 간단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오픈유닛(80)을 영상촬영기기 본체(10)로부터 분리하면, 영상촬영기 본체(10)의 후면 개구(23)를 통하여 록킹유닛(50)의 록킹레버(51)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기록매체 커버(40)의 록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영상촬영기기는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외부 전원을 연결할 수 없는 상황에서 기록매체를 취출하고자 하는 경우, 본체 케이스 전체를 분해할 필요없이 영상촬영기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 오픈유닛(80)을 간단히 분리하여 록킹유닛(50)을 외부로 노출시켜 기록매체 커버(4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작은 숙련된 수리공이 아닌 일반 사용자에게도 어렵지 않으며, 또한, 본체 케이스 전체를 분해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다른 부품이 손상될 우려도 없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외부 전원을 연결할 수 없는 상황에서 기록매체를 취출하고자 하는 경우 숙련된 수리공이 아닌 일반 사용자도 오픈유닛을 영상촬영장치 본체로부터 간단히 분리하여 기록매체 커버를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영상촬영기기의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비상 이젝팅시(배터리가 방전되거나 외부 전원을 연결할 수 없는 상황에서 디스크를 취출할 때) 영상촬영기기 본체 케이스 전체를 분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체 케이스 전체를 분해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내부 부품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7)

  1.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기록하는 기록매체를 구동하기 위한 기록매체 구동부를 구비한 영상촬영기기 본체;
    기록매체를 상기 기록매체 구동부에 착탈시키기 위하여 상기 영상촬영기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기록매체 커버;
    상기 기록매체 커버를 록킹 및 록킹 해제하는 록킹유닛; 및
    상기 록킹유닛만을 외부로 노출시켜 수동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영상촬영기기 본체에 분해 가능하게 설치된 오픈유닛;을 포함하는 영상촬영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 커버는 상기 렌즈부가 위치된 상기 영상촬영기기 본체의 전면부를 회동점으로 개폐 가능하며,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영상촬영기기 본체의 후면부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촬영기기 본체는 상기 렌즈부, 상기 기록매체 구동부, 상기 록킹유닛, 상기 유닛들의 제어를 위한 메인 회로기판 및 보조 회로기판을 수용하고, 상기 록킹유닛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이 개구된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오픈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개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회로기판은 파워 스위치, 모드선택 스위치, 재생 스위치 및 다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오픈유닛은 상기 스위치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유닛은 상기 커버부재에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유닛은,
    상기 파워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파워버튼;
    제 1 모드선택버튼과 제 1 재생버튼; 및
    상기 제 1 모드선택버튼과 상기 제 1 재생버튼의 조작력을 상기 보조 회로기판의 모드선택 스위치와 재생 스위치에 각각 전달하는 제 2 모드선택버튼과 제 2 재생버튼을 갖춘 홀더;를 포함하는 2중 버튼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파워버튼을 지지하는 파워버튼 지지부; 및
    상기 발광소자들에서 발생된 광을 상기 커버부재로 유도하는 다수의 인디케이터를 지지하는 인디케이터 지지부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 1 모드선택버튼, 상기 제 1 재생버튼 및 상기 파워버튼을 노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버튼 노출공; 및
    상기 인디케이터들을 노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인디케이터 노출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버튼, 상기 홀더 및 상기 커버부재의 재질은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표면으로 노출되는 제 1 모드선택버튼 및 제 1 재생버튼은 도금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기.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다수의 스크류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개구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기.
  12.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기록하는 기록매체를 구동하기 위한 기록매체 구동부를 구비한 영상촬영기기 본체;
    상기 촬영된 영상을 신호 처리하기 위한 메인 회로기판;
    상기 본체로부터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기록매체 커버;
    상기 기록매체 커버를 록킹 및 록킹 해제하는 록킹유닛; 및
    상기 록킹유닛을 수동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분해 가능하게 설치되는 오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오픈유닛은 조작버튼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버튼들은 적어도 1개 이상이 2중 버튼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2중 조작버튼은 재생버튼 및 모드선택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버튼들의 조작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보조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회로기판은 상기 메인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회로기판은 상기 조작버튼과 연결되는 조작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기.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기록 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기.
KR1020070066249A 2007-07-02 2007-07-02 영상촬영기기 KR2009000268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249A KR20090002689A (ko) 2007-07-02 2007-07-02 영상촬영기기
US12/018,351 US20090009627A1 (en) 2007-07-02 2008-01-23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249A KR20090002689A (ko) 2007-07-02 2007-07-02 영상촬영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689A true KR20090002689A (ko) 2009-01-09

Family

ID=40221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249A KR20090002689A (ko) 2007-07-02 2007-07-02 영상촬영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009627A1 (ko)
KR (1) KR2009000268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12922B (zh) * 2010-09-10 2013-10-21 Hon Hai Prec Ind Co Ltd 電源轉換電路及應用該電源轉換電路之網路攝影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5526A (ja) * 1997-04-03 1998-10-23 Konica Corp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4394183B2 (ja) * 1998-09-14 2010-01-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ィジタル電子スチル・カメラおよびディジタル電子スチル・カメラに着脱自在なメモリ・カード
US6930727B2 (en) * 2001-03-30 2005-08-16 Sony Corporation Protection-cover opening/closing mechanism for recording/playback apparatus
CN100367773C (zh) * 2003-03-31 2008-02-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卡安装装置
JP2004328215A (ja) * 2003-04-23 2004-11-18 Canon Inc 撮像装置
KR100555662B1 (ko) * 2004-01-06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록매체간 영상파일을 복사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및 기록매체간 영상파일 복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09627A1 (en) 200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31811B2 (ja) 撮像装置
KR101357776B1 (ko) 설정정보 변경이 용이한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041502B2 (ja) 映像撮影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4249876B2 (ja) 撮像装置
KR101467928B1 (ko) 기기정보를 출력하는 a/v기기 및 그 기기정보출력방법
EP1995959A2 (en) Video apparatus having integrated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002689A (ko) 영상촬영기기
US7692721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exterior casing and a flat hard disk drive
JP4148284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制御方法
JP2004260701A (ja) 映像記録再生装置
TWI357593B (ko)
JP4228478B2 (ja) 撮像装置
JP4410405B2 (ja) 撮像装置
US7982780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multiple control button sets and displays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JP2005063603A (ja) ポータブルディスク装置
JP2003274262A (ja) 電子機器、撮像装置および電源制御方法
JP2009253863A (ja) 記憶媒体用カバー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JP4011923B2 (ja) 電子機器
JP2007060304A (ja) 撮影装置
JP2008205524A (ja) 撮像装置
JP2007293994A (ja) 記録装置
JP2004194102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9253566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7028481A (ja) 電子機器
JP2008047261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