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0848A - 만성 통증 치료용 테르구라이드 / 프로테르구라이드 - Google Patents

만성 통증 치료용 테르구라이드 / 프로테르구라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0848A
KR20080110848A KR1020087025731A KR20087025731A KR20080110848A KR 20080110848 A KR20080110848 A KR 20080110848A KR 1020087025731 A KR1020087025731 A KR 1020087025731A KR 20087025731 A KR20087025731 A KR 20087025731A KR 20080110848 A KR20080110848 A KR 20080110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
terguride
treatment
proterguride
persis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5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오르그 루드위그
레인하드 호로우스키
하랄드 브리에사트
루돌프 레이테르
Original Assignee
에르고넥스 파르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르고넥스 파르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르고넥스 파르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110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084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8Ergoline derivatives, e.g. lysergic acid, ergot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6Anti-spasmodics, e.g. drugs for colics, esophagic dyskin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6Antimigraine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르구라이드 및 프로테르구라이드를 만성 통증 상태의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데 사용하는 용도 및 테르구라이드 및/또는 프로테르구라이드을 조건적으로 아편성 진통제와 함께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테르구라이드, 프로테르구라이드, 만성 통증

Description

만성 통증 치료용 테르구라이드 / 프로테르구라이드{TERGURIDE/PROTERGURIDE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PAIN (e.g. MIGRAINE)}
본 발명은 테르구라이드 및 프로테르구라이드의 만성 통증 상태의 예방 및/또는 치료로의 용도 및 테르구라이드 및/또는 프로테르구라이드 그리고 선택적으로 아편성 진통제를 함께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급성 통증은 유기체에 대한 경고 신호로서 작용하며, 빠른 방지 및 보호 작용을 일으킨다. 강한 급성 통증 자극은 짧은 시간 내에 자극 전달 및 치료를 지속적인 방식으로 변화시키는 지속적인 기능적 및 구조적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명백한 값이 없으면 만성 통증이 그 결과로 나타난다.
만일 통증이 삼 개월 내지 육 개월 동안 지속된다면, 만성통증이라고 한다. 이의 원인은 악성 종양 또는 류마티스성 질환과 같은 난치성 질환일 수 있다. 그러나, 통증 및 그 통증을 원래 야기한 통증 또는 각각의 질환들과의 연결은 종종 더 이상 확인될 수 없거나 또는 그 원래 질환은 더 이상 치유될 수 없다. 더욱이, 스트레스 또는 기후 변화와 같은 다양한 환경적 영향은 상기 통증을 촉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 만성 통증은 다양한 통증의 형태로 나타난다.
배부통(헤르니아된 디스크의 결과로서 된 것 중에서 신경근 압축 증후근 (nerve root compression syndrome)), 두통(편두통 중에서, 긴장형 두통, 군발성 두통), 류마티스 통증(관절염 중에서, 섬유 조직염), 신경통(삼차 신경통 중에서, 대상포진), 종양 관련 통증(뇌 종양 중에서, 골전이), 퇴행성 통증(골다공증 중에서, 관절증) 및 상상통증(절단후 통증에서, 신경총 병소) 이 만성 통증의 가장 빈번한 형태로 거론되고 있다.
만성 통증은 종종 수 년 또는 수 십 년 동안 계속된다. 종종 만성 통증 환자들은 감정적인 문제를 겪게된다. 많은 통증 환자들은 무기력 증을 겪는다; 그들은 희망이 없고 절망적이며, 근심과 우울증에 대해 호소하고, 그들 자신을 자존감이 결여된 것으로서 인식하고 있다. 그러한 심리적 증상은 장 관련 문제들(설사 또는 변비), 과민성 방광, 현기증, 호흡곤란, 심계항진 또는 흉부에서의 압박감과 같이 일반적이고, 비특정적인 고충과 같이, 만성화의 경고 신호이다.
말초 및 중추 신경계에서의 상이한 기작은 만성 통증의 원인과 연계되어 있다. 통증 섬유의 감작과 그들의 국소적 이상흥분 상태는 만성 통증 상태의 원인화 과정에서 말초 통증 인식이 관련되는 한 관계되는 실질적 병리적 기작이다. 다른 병리적 기작은 통증 신호의 더 오래 지속되는 발전현상과 척수 부위에서 보통 침묵하고 있는 신경 섬유의 사용으로 통증 인식이 더 큰 영역으로 확대되는 것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뇌에서, 증가된 회수로 말초로 도달하는 통증 강도는 통증 인식의 발전이란 면에서 신호 전달의 변화 및 통증 진행에서의 장기간 변화를 이끌어 낸다.
오직 몇 분 간 지속될 때라도, 집중적인 통증 자극은 통증 자극의 전달 및 진행을 강화시키는 지속적인 구조적 및 기능적 변화로 이어진다. 이러한 과정들은 더 복잡한, 신격 학습 과정에서 관찰될 수 있는 것들과 같은 세포 활동과 유사하다; 결론적으로, 이것은 통증 기억이라고 유사하게 지칭된다. 상기 맥락에서, 용어 통증 기억은 일어나는 통증 자극에 대한 기억 추적이 전체 통증 진행 시스템을 통하여 발생시키는 능력을 포함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뇌에서 특정 핵은 통증 진행의 주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측위신경핵(nucleus accumbens)은 몸으로부터 오는 상향 통증 임펄스가 관계되는 한, 통증 자극의 전달과 해석에 대한 중앙 스위칭 장소로서 역할을 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핵 봉합선(raphe)는 하방 통증 신호의 전달과 변조에 주요 역할을 담당한다.
수 많은 약물이 만성 통증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비스테로이드계 항 염증약물(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및 비-아편증 의학에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약물이다. NSAIDs는 진통성, 항-염증성 및 해열 특성을 가지며, 약하거나 중간 정도의 통증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중간 내지 강한 통증 치료에는, 다른 비-아편성 진통제, 예를 들어, 아스피린, 파라세타몰 또는 COX-I/II 저해체가 옥시코돈 및 하이드로코돈과 함께 종종 시용된다. 모르핀, 펜타닐, 메타돈, 하이드로몰핀, 옥시코돈, 하이드로코돈 및 메페리딘과 같은 아편류는 강한 통증 치료에 사용된다.
그러나, 언급된 대표 약물들은 종종 부분적인 통증 완화만을 보장할 뿐이고, 짧은 신간 후에는 그 약효를 잃으며, 종종 삼각한 부작용과 연관되어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특히 아편류는 물론 NSAIDs가 거론되어야만 한다. 활성제제의 양쪽 다 심각한 부작용을 가진다. 위장병과 궤양, 신장 손상, 및 과민성 반응이 NSAIDs를 사용한 용법의 부작용으로 나타나고 있다. 변비와 같은 위장 부작용에 더하여, 졸림, 메스꺼움, 혼동, 호흡 곤란, 약효 손실 및 물리적 또는 심리적 중독과 같이 중추 신경계에 의해 중재되는 일련의 효과가 중추신경계에 대한 효과를 가진 예를 들어, 몰핀 및 옥시코돈과 같은, 아편류의 단점으로 거론된다.
따라서, 통증 조건의 넓은 스펙트럼에 대한 약효를 가지며, 부작용이 최소 또는 없고, 내성 또는 물리적 또는 심리적 중독으로 이끌지 않는 더욱 효과적인 진통제 활성 성분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당해 분야에 알려진 약물로서 섬유조직염 및 만성통증과 효과적으로 싸우며 상당히 더욱 적은 부작용을 가지는, 섬유조직염과 만성통증 치료용 약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기술적 교시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적 구체예, 관점 및 상세 사항은 독립 청구항, 상세 설명 및 실시예에서 나타난다.
본 발명은 테르구라이드 또는 프로테르구라이드 또는 둘 다를 만성통증 및 만성통증 조건의 예방과 치료용 약물 제조로의 용도를 개시한다.
놀랍게도, 테르구라이드 또는 프로테르구라이드는, 파킨슨 병, 하지불안증후군 및 고프로락틴혈증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활성성분의 알려진 효과 외에 만성 통증 조건의 치료에 특히 효과적이라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효과는 부작용 없이 또는 메스꺼움, 구토 및 기립성 질환과 같은 약한, 일시적 부작용만이 야기되면서 허용된 복용량 범위 내에서 실현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물질이 졸음의 양태 및 질에 대한 부정적 효과가 없는 것이 특징으로, 이는 만성 통증 조건을 부작용 없이 치료하게 하여 준다.
특히, 지속적인 근골격 통증 및 지속적인 내장 통증의 경우, 테르구라이드 및 프로테르구라이드가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두 가지 화합물은 지속적인 배부통, 예를 들어, 추간판 탈출(헤르니아 디스크)의 결과로서 또는 신경근 압축 증후군의 결과로서 나타나는 배부통, 지속적인 경부 통증, 지속적인 견부 통증, 지속적인 관절 통증, 류마티스성 통증, 관절염, 섬유조직염 및 만성 피로 증후군의 치료에 적합하며, 특히 섬유조직염이 바람직하다.
만성 피로 또는 후 바이러스 피로 증후군(Post Viral Fatigue Syndrome)으로 알려진 만성 피로 증후군(CFS)은 마비되는 정신적 및 물리적 소진 또는 극도의 피로와 소진의 다른 증후군을 나타내며, 이것은 개인마다 상이하다. 이러한 소진이 6 개월이상 지속되면 만성 피로 증후군으로 불리우고, 습관적인 이전 수행능력에 비하여 상당한 수행 능력 감소로 결과되며, 환자가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하지 못하게 한다.
더욱이, 테르구라이드 및 프로테르구라이드는 물론 둘 다의 조합은 두통 및 편두통의 예방과 치료에 매우 적합하다. 예방적 방식으로 또는 두통과 편두통의 초기 증상의 경우에 소량으로 사용된 테르구라이드 또는 프로테르구라이드는 이러한 불편함을 상당히 완화시키며 및 특정의 경우 수 시간 내에 완화시킨다.
더욱이, 테르구라이드 및 프로테르구라이는 월경전 증후군, 유방통, 과민성 대장과 연계된 위통은 물론 카르시노이드(carcinoid) 증후군과 연계된 통증의 예방과 치료에 적합하다. 또한 퇴행성 통증, 골다공증, 관절증은 물론 예를 들어, 절단후 또는 신경총 병소(plexus lesion)와 같은 상상 통증은 테르구라이드 및/또는 프로테르구라이드로 치료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통증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두 가지 활성 제제는 신경통, 삼차신경통, 대상포진, 포진후 동통(postherpetic neuralgias)은 물론 신경병리적 통증 및 염증관련 통증과 연관된 통증과 각 통증 조건을 치료하는 데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종양 관련 통증은 특히 뇌 종양 또는 골전이에 의해 야기된다.
본 발명의 관점은 아편성 진통제 및 테르구라이드 또는 프로테르구라이드 또는 테르구라이드와 프로테르구라이드의 조합은 물론 이들 조합물을 언급된 증상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테르구라이드 및 적어도 하나의 아편성 진통제의 조합, 또는 프로테르구라이드 및 적어도 하나의 아편성 진통제의 조합, 또는 테르구라이드와 프로테르구라이드 및 적어도 하나의 아편성 진통제의 조합이 각각 단일 성분보다 더 효과적이고, 적어도 하나의 아편성 진통제의 바람직하지 못한 부작용이 감소되고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아편성 진통제의 활성이 증가되는 것이 나타난다.
하기 화합물은 특히 아편성 진통제로서 언급될 수 있다: 디하이드로코데인, 트라마돌, 모르핀, 모르핀 설페이트, 옥시코돈, 메타돈, 하이드로몰핀, 부프레노르핀, 및 펜타닐.
본 발명에 따른 적용은 물리적 또는 심리적 중독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및 또한, 수 개월에 걸쳐 투여할 경우에, 약효의 손실이 관찰되지 않기 때문에 연속적인 적용에 적합하다. 더구나, 테르구라이드 및 프로테르구라이드 둘 다는, 일단 통증 현상이 진정되었다면, 불연속적인 경우라도, 그 현상이 재발될 때 상당한 약효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은 도파민 작용성, 세로토닌 작용성 및 노르아드렌 작용성 신경전달 계가 관계하는 한 넓은 범위의 활성을 특징으로 한다. 활성 제제에 있어서, 한 가지 단일 분자는 상이한 중추 신경 통증 전달 시스템에 관련된 상이한 활성 원리들에 조합적으로 관계한다. 본 발명의 물질에서의 특성의 이러한 조합은 적확하게는 높은 치료 약효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 추정된다. 유사하게, 이러한 조합은 환자의 심정, 인지수행(cognitive performance), 및 일상 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환자의 전체적 상태에 대한 놀라운 긍정적 효과, 수면의 질의 향상은 물론 활성 성분의 양호한 내성은 환자의 양호한 치료 순응도에 유리하며 본 발명에 따른 활성제제를 사용한 요법의 성공에 상당히 기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테르구라이드 또는 프로테르구라이드, 또는 테르구라이드와 프로테르구라이드의 조합물, 또는 이의 각 약학적 허용염에 더하여, 적어도 하나의 약학적 허용 담체, 보조제 및/또는 용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아편성 진통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르구라이드 및/또는 프로테르구라이드와 함께,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아편성 진통제는 하나의 단일 본초 조성에 포함될 수 있거나 테르구라이드 및/또는 프로테르구라이드를 함유하는 약제와는 상관없이 적용될 수 있는 제 2 본초 조성으로서 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들에 두 가지 제형이 들어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따라서 조성 아편성 진통제에 관하여 테르구라이드 및/또는 프로테르구라이드의 특정 농도가 양호하게 조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아편성 진통제가 전적으로 중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약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테르구라이드를 약학 제형당 0.1 - 3.0 mg의 투여량 범위로 또는 프로테르구라이드를 약학 제형당 0.002 - 0.5 mg의 투여량 범위로 포함한다. 약학 제형이 테르구라이드 및 프로테르구라이드 둘 다 포함하는 경우, 투여량은, 테르구라이드가 0.1 - 3.0 mg이고 프로테르구라이드는 0.002 - 0.5 mg인 것이 바람직하다.
약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알약, 정제, 장-용성 정제, 필름 정제, 층정제, 구강 투여용 지속방출 제제, 당의정, 좌약, 젤, 크림, 시럽, 흡입 분말, 과립, 에멀젼, 분산물, 마이크로캡슐, 마이크로제제, 나노제제, 리포좀 제제, 캡슐, 장용성 캡슐, 분말, 분말 혼합물, 미세결정 제제, 흡입 스프레이, 점적제, 비강 점적제, 비강 스프레이, 에어로졸, 앰퓰, 용액, 주스, 현탁액, 주입 용액 또는 주사액의 제형으로 제공괸다. 캡슐, 당의정, 장용성 제제, 주스, 현탁액, 좌약, 용액, 주사액 및 과립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흡입하기에, 또는 정맥내, 복강내, 근육내, 질내, 협내, 경피, 피하내, 점막내, 구강, 경구, 허리, 직장, 경피적, 국소적, 피부내, 위장내 또는 피하내 투여에 적합하다.
예를 들어, 락토즈, 녹말, 소르비톨, 수크로즈, 셀룰로즈,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디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설페이트, 탈크, 만니톨, 에틸 알코올 등을 약학적 허용 담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정제는 물론 분말은 그러한 담체를 5 와 95% 내에서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녹말, 젤라틴, 천연 당, 천연 및 합성 검, 예를 들어, 아카시아 검 또는 구아검, 소듐 알지네이트,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즈,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왁스를 결합제로 사용할 수 있다. 붕산,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염화 나트륨 등을 윤활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붕해제, 착색제, 향료 및/또는 결합제를 상기 약학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유체 제제는 용액, 현탁액, 스프레이 및 에멀젼, 예를 들어, 물 또는 물-프로필렌 기반의, 비경구 주사용 주사액을 포함한다.
좌약을 제조하기 위해, 저용해 왁스, 지방산 에스테르 및 글리세라이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캡술은 예를 들어,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 알코올 또는 변성 젤라틴이나 녹말로 제조된다.
녹말, 소듐 카르복시메틸 녹말, 천연 및 합성 검류, 예를 들어, 캐럽(carob) 밀가루, 카라야(karaya), 구아, 트라라칸스 및 아가는 물론, 메틸셀룰로즈,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미세결정성 셀룰로즈는 물론 알지네이트와 같은 셀룰로즈 유도체, 클레이 미네랄 및 벤토나이트류를 붕해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2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설탕과 옥수수, 쌀, 감자로부터 생성된 녹말, 아카시아 검과 같은 천연검, 젤라틴, 트라가칸스, 알진산, 소듐 알지네이트, 암모늄 소듐 알지네이트, 메틸셀룰로즈,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은 물론 마그네슘-알루니늄-실리케이트와 같은 무기 화합물을 결합제로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제는 1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포타슘 스테아레이트, 스테릭 산과 같은 스테아레이트류, 고 융해 왁스는 물론, 수용성 윤활제, 예를 들어 염화 나트륨,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올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루이신과 같은 아미노산을 윤활제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윤활제를 0.0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 섬유조직염으로의 테르구라이드 적용
섬유조직염을 앓고 있는 36세 환자를 테르구라이드로 치료하였다.
상기 환자는 극도의 만성 통증은 물론 위통에 시달렸고 계속적인 탈진 및 피로를 호소하였다. 이러한 불편 증상들은 수 개월 지속된 것이었다. 테르구라이드 치료 이전에 다른 예비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상기 환자를 3 mg의 테르구라이드의 일일 복용량으로, 아침과 저녁에 한번에 1.5 mg 씩 투여하였다. 치료는 점진적으로 수행되었다. 2 주간에 걸쳐, 초기 0.25 mg의 일일 복용량이 점차적으로 3 mg로 증가되었다.
치료는 25 주간에 걸쳐 수행되었고 환자의 상태는 매주 조사되었다. 정확히 10 주 만에, 상태가 눈에 띄게 향상되었고, 특히 극도의 통증이 완화되었고, 위통은 시각 아날로그 척도로 기록되었다.
17 주 후, 만성 피로 및 무기력증은 전혀 발견되지 않았고 환자에 따라서, 질병 발생 전과 같이, 그녀의 정상적인 활동을 다시 재개하였다.
실시예 2: 섬유조직염로의 프로테르구라이드의 적용
섬유조직염을 앓고 있는 29세 여성환자를 프로테르구라이드로 치료하였다.
상기 환자는 위장 문제, 위통, 흉통은 물론 팽창된 유방, 및 지속적인 탈진과 피로감을 호소하였다. 이러한 불편 사항들은 약 일 년간 지속되어 왔다. 프로테르구라이드 치료 전에 아무런 예비치료를 하지 않았다.
상기 환자는 일일 투여량 0.5 mg으로, 프로테르구라이드를 아침과 저녁에 투여하였다. 치료는 점진적으로 이루어졌다. 2 주간에 걸쳐, 초기 일일 복용량 0.05 mg에서 0.5 mg으로 늘렸다.
치료를 33 주간에 걸쳐 수행하였고 환자의 상태를 매주 검사하였다. 정확히 12 주 후에, 상태가 호전되었고, 특히 흉통에서 그러하였다. 더욱이, 팽창된 것이 감소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20 주 후에, 피로와 탈진의 만성 상태는 물론 위통이 크게 없어졌고 30 주 후에는, 질병 발발 이전과 같은 상태가 되었다.
실시예 3: 유방통/월경전 증후군으로의 테르구라이드 적용
월경전 증후군으로 인한 유방통 및 위통을 앓고 있는 34 세 환자를 테르구라이드로 치료하였다. 실험실 분석자료에 의하면, 상기 여성의 혈중 프롤락틴 농도는 정상 범위였다. 상기 요법은 상기 주기의 중간에 시작되었다. 하루에 두 번, 0.5 mg 테르구라이드를 포함하는 정제를 3 개월에 걸쳐 환자에 투여하였다. 시각 아날로그 척도로 통증 정도를 관찰하였다. 상기 섭생 중에, 흉부 및 위 부위의 통증이 감소되었고 상기 환자는 추가의 통증 약물 투여를 중지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환자는 상당히 향상된 일반적 상태 보고하고 인생을 즐겼다. 아무런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았다. 요법하의 다음 달 중에, 환자는 증후군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사예 4: 편두통 예방으로의 테르구라이드 적용
한 달에 평균 4 번씩 편두통을 앓는 65 세 환자를 테르구라이드로 치료하였다. 상기 환자를 일일 복용량 2 mg으로 아침과 저녁에 각각 1 mg으로 테르구라이드 를 단 회 투여하였다. 치료는 점진적으로 수행되었다. 2 주간에 걸쳐, 초기 0.25 mg의 일일 복용량을 2 mg으로 늘렸다. 24 주간에 걸쳐 환자를 치료하였다. 편두통 발발의 빈도, 기간 및 정도를 일기로 기록하였다. 치료 시작 4 주 내에, 편두통 발발의 빈도에서 40% 감소가 나타날 수 있었고, 또한, 발발 기간이 치료 전 누적 12일에서, 테르구라이드 하에서는 8일로 감소되었다. 테르구라이드로 치료하의 통증 약물 소비가 46%나 감소되었다. 상기 테르구라이드 요법에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환자는 그의 일반적 상태가 향상되었음을 보고하였다.
실시예 5: 당뇨병성 신경병증
약 10 년간 유형 2 당뇨병을 앓아온 56세 여성 환자는 약 15 개월 전, 당뇨병성 신경병증으로 임상적으로 진단되었다. 이 환자를 3x50 mg 아미트립틸린/일로 치료하였다. 조사 시, 상기 환자는 작열감(burning sensation), 전격통(shooting pain) 또는 자상형 동통(stabbing pain)과 관련된 통증 상태, 및 주로 발에, 불쾌한 의주감(formication)과 밤에 더 증가하는 강도의 통증을 호소하였다. 0 = 무 통증 내지 10 = 최고 통증 강도의 수치 등급 척도 상에서, 상기 환자는 평균 8 ~ 9 의 통증 값을 나타내었다.
테르구라이드 (0.5 mg b.i.d.)로 치료 중에, 환자의 통증 상태와 일반적 상태는 빠르게 향상되었다 (등급 척도 상에서 평균 2 ~ 3 수치). 상기 테르구라이드 요법은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았다. 테르구라이드로 계속 치료하에서 약효 손실의 징후는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6: 포진후 신경통
정상 체중의 65 세 환자는 심한 작열감과 흉부의 피부에서의 통증을 호소하였다. 환자의 병력은 대상포진 이었고, 이는 그러나 포진 및 긁음의 발생 후에 치료되었을 뿐이었다. 상기 통증을 아미트립틸린(3 x 50 mg/d)으로 치료한 후 가바펜틴(일일 용량: 1500 mg)으로 처리하여 단기간 향상을 나타내었으나, 10일 이내에 심각한 통증 악화가 있었다.
테르구라이드(0.5 mg t.i.d.)의 투여 하에서, 상기 통증 현상은 빠르고 지속적인 방식으로 향상되었다. 아무런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았다. 3 개월 후, 테르구 라이드의 일일 복용량을, 통증이 빠르게 증가하는 치료가 없는 기간의 틀 내에서 점진적으로 감소시켰다.
실시예 7: 종양 관련 통증
신장암을 앓고 있는 62 세 종양 환자는 골 전이로 인한 골 통증을 호소하였다. 상기 환자를 이반드로네이트(ibandronate)로 치료하였다. 추가로, 치료를 이부프로펜, 아세토아미노펜 및 데시프라민으로 수행하였다. 이러한 치료는 단기에 통증을 완화시켰으나, 수 주 내에 통증이 상당히 증가하였다. 테르구라이드(0.5 mg bid)로 치료 시작 후, 환자의 통증 상태가 감소되었고 지속적으로 건강상태(well-being)가 호전되었다. 아무런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8: 추간판 탈출(Herniated disc)
이 년 전부터, 환자 (43세)는 하부 허리 부위에서(L5-S1) L4-L5에서 연장된, 추간판 탈출증을 앓고 있었다. 상기 만성 통증을 처음 용량 2 x 10 mg을 사용하여 옥시코돈으로 처리하고 그 용량을 일일 2 x 40 mg으로 증가시켰다. 상기 통증 강도는 요법 중에서는 상당히 감소되었다. 치료 기간이 길게 연장될수록 변비로 인한 더 많은 불편이 나타났고, 결국 옥시코돈을 2 x 20 mg/day의 용량으로 줄였다. 이것은 환자의 주관적 통증 강도의 증가와 연관되었다 테르구라이드(2 x 0.5 mg/day)와의 공동 요법 하에서, 상기 환자는 거의 완벽하게 통증이 없었다; 또한, 상기 변비 증상도 완전히 사라렸다. 만성 요법 하에서, 테르구라이드로 치료하는 것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9: 편두통 예방
47 세 환자는 한 달에 평균 4-5 차례 편두통을 앓았고, 평균 3 내지 8 시간 지속되었다. 발발하는 동안 급성 통증 치료를 위해, 섬마트립탄 50 mg 용량을 구강 투여하였다. 편두통 예방을 위해, 환자를 토피라메이트로 일일 200 mg 용량으로 처치하였다. 이 요법 하에서는 편두통 활동 감소가 관찰되지 않았다. 구토 및 체중 감소로 인해, 3 개월 후, 이 약물치료를 중단하였다.
테르구라이드(일일 2 x 0.25 mg)의 투여하에서, 통증 발발의 수가 6 주에 한번 낮은 통증 강도로 상당히 감소하였다; 또한 환자의 건강상태는 상기 요법 개시후 2 주 이내에 호전되었다. 아무런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았다. 치료하지 않는 기간의 틀에서, 테르구라이드로의 치료를 중단하였고, 이때는 편두통 현상이 재개되었다.

Claims (11)

  1. 테르구라이드 또는 프로테르구라이드, 테르구라이드와 프로테르구라이드의 조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 염을 만성 통증 또는 만성 통증 상태의 예방 및/또는 치료 용 약물 제조에 사용하는 용도.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속적인 근골격 통증 및 지속하는 내장 통증의 치료를 특징으로 하는 용도.
  3. 제 2 항에 있어서, 지속적인 배부통, 지속적인 경부통, 지속적인 견부통,지속적인 관절통 및 섬유조직염의 치료를 특징으로 하는 용도.
  4. 제 2 항에 있어서, 월경전 증후군, 유방통, 민감성 대장 관련 위통, 및 카르시노이드 증후군 관련 통증의 예방 및 치료를 특징으로 하는 용도.
  5. 제 1 항에 있어서, 두통 및 편두통의 예방과 치료를 특징으로 하는 용도.
  6. 제 1 항에 있어서, 신경통, 삼차신경통, 포진후 동통, 신경병성 통증, 및 종양 관련 통증의 치료를 특징으로 하는 용도.
  7. 제 1 항 내지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편성 진통제, 디하이드로코데인, 트라마돌, 모르핀, 모르핀 설페이트, 옥시코돈, 메타돈, 하이드로몰로폰, 부프레노르핀 및 펜타닐과의 조합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8. 테르구라이드 또는 프로테르구라이드, 또는 테르구라이드와 프로테르구라이드의 조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을 적어도 하나의 약학적 허용 담체, 보조제 또는 용제와 같이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흡입에 적합한, 또는 근육내, 복강내, 근육내, 질내, 협내, 경피(percutaneous), 피하내, 점막내, 구강, 경구, 요부, 직장, 경피(transdermal), 국소, 피부내(intradermal), 위장내 또는 피층내(intracutaneous) 투여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0. 제 8항 또는 제9 항에 있어서, 아편성 진통제, 디하이드로코데인, 트라마돌, 모르핀, 모르핀 설페이트, 옥시코돈, 메타돈, 하이드로몰르폰, 부프레노르핀, 및 펜타닐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활성 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1. 제 8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테르구라이드를 약학 제제 당 0.1 - 3.0 mg의 투여 용량으로 및/또는 프로테르구라이드를 약학 제제당 0.002 - 0.5 mg의 투여 용량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087025731A 2006-03-21 2007-03-21 만성 통증 치료용 테르구라이드 / 프로테르구라이드 KR200801108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13307.2 2006-03-21
DE102006013307A DE102006013307B3 (de) 2006-03-21 2006-03-21 Tergurid/Protergurid zur Behandlung von chronischen Schmerz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848A true KR20080110848A (ko) 2008-12-19

Family

ID=38015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5731A KR20080110848A (ko) 2006-03-21 2007-03-21 만성 통증 치료용 테르구라이드 / 프로테르구라이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70225312A1 (ko)
EP (1) EP1844779A3 (ko)
JP (1) JP2007254470A (ko)
KR (1) KR20080110848A (ko)
CN (1) CN101448502A (ko)
AU (1) AU2007229791A1 (ko)
CA (1) CA2646700A1 (ko)
DE (2) DE102006013307B3 (ko)
RU (1) RU2008141454A (ko)
WO (1) WO200711004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67780A1 (en) * 2007-12-07 2009-06-10 Axxonis Pharma AG Ergoline derivatives as selective radical scavengers for neurons
CN102271667A (zh) 2008-12-23 2011-12-07 辉瑞大药厂 用于治疗椎管狭窄的5-ht2a和5-ht2b受体拮抗剂
US8710092B2 (en) * 2009-12-23 2014-04-29 Map Pharmaceuticals, Inc. Substituted indolo 4,3 FG quinolines useful for treating migraine
CA2834882C (en) * 2010-11-11 2018-03-27 Sinoxa Pharma Gmbh Lisuride, terguride and derivatives thereof for use in the prophylaxis and/or treatment of fibrotic changes
KR20140042868A (ko) 2011-06-23 2014-04-07 맵 파마슈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신규한 플루오로에르골린 유사체
WO2013095707A1 (en) 2011-12-19 2013-06-27 Map Pharmaceuticals, Inc. Novel iso-ergoline derivatives
SG11201403433PA (en) 2011-12-21 2014-07-30 Map Pharmaceuticals Inc Novel neuromodulatory compounds
US9012640B2 (en) 2012-06-22 2015-04-21 Map Pharmaceuticals, Inc. Cabergoline derivativ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34380A1 (de) * 1992-10-06 1994-04-07 Schering Ag Verwendung von Dopaminagonisten zur Aktivierung des gamma-Interferon-Produktion
WO1996004910A1 (en) * 1994-08-09 1996-02-22 Hahnemann University Treatment of opiate withdrawal syndrome
DE10066158B4 (de) * 2000-08-24 2007-08-09 Neurobiotec Gmbh Verwendung eines transdermalen therapeutischen Systems zur Behandlung des Restless-Legs-Syndroms
US20070243240A9 (en) * 2000-08-24 2007-10-18 Fred Windt-Hanke Transdermal therapeutic system
DE10341317B4 (de) * 2003-09-03 2008-10-23 Axxonis Pharma Ag Transdermales therapeutisches System (TTS) zur Verabreichung von Ergolinverbindungen ausgenommen Pergolid
US6562033B2 (en) * 2001-04-09 2003-05-13 Baylis Medical Co. Intradiscal lesioning apparatus
DE10212564B4 (de) * 2002-03-12 2007-04-19 Neurobiotec Gmbh 1-Allyl-ergotalkaloid-Derivate und ihre Verwendung zur Prophylaxe und Therapie von Migräne
CA2502142A1 (en) * 2004-05-30 2005-11-30 Neurobiotec Gmbh Transdermal therapeutic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8141454A (ru) 2010-04-27
WO2007110047A2 (de) 2007-10-04
CN101448502A (zh) 2009-06-03
US20070225312A1 (en) 2007-09-27
DE102006013307B3 (de) 2007-10-04
AU2007229791A1 (en) 2007-10-04
WO2007110047A3 (de) 2007-11-29
JP2007254470A (ja) 2007-10-04
DE112007001255A5 (de) 2009-02-19
EP1844779A3 (de) 2007-12-26
EP1844779A2 (de) 2007-10-17
WO2007110047B1 (de) 2008-01-10
CA2646700A1 (en)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10848A (ko) 만성 통증 치료용 테르구라이드 / 프로테르구라이드
US8673979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headache, migraine, nausea and emesis
ES2378255T3 (es) Titulación de tapentadol
RU2557533C2 (ru) Способы лечения синдрома фибромиалгии
EA009516B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меньшения токсических, алиментарных и/или метаболических нарушений, связанных с раком и/или химиотерапией рака, и способы её применения
AU2001286178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headache, migraine, nausea and emesis
CA1157379A (en) Method of preparation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peripheral orthostatic hypotention
JP5116071B2 (ja) D−アロースおよびd−プシコースの抗神経因性疼痛効果の利用
NZ506020A (en) Use of pharmaceutical combinations containing tramadol and an antiemetic
EP0154639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having appetite reducing activity and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KR101971412B1 (ko) 정맥 내 투여용 이부프로펜의 투여
Brema et al. Oral tramadol and buprenorphine in tumour pain. An Italian multicentre trial
CN115645411B (zh) 戒毒用复方药物组合物
AU2014244152A1 (en) Compositions to reduce pain comprising an opioid/toll-like receptor 4 antagonist, dextro enantiomers thereof, and methods of use therefor
KR20090125748A (ko) 대상포진 후 신경통 치료용 정제 및 대상포진 후 신경통의 치료 방법
CN115942934A (zh) 卟啉症的预防或治疗剂
KR960011235B1 (ko) 진통제
JP4614638B2 (ja) 鎮痛剤組成物
MX2011001631A (es) Tratamiento de transtornos de ansiedad.
US20040152733A1 (en) Duloxetine for treatment of hot flashes
CN112472725A (zh) 褐藻提取物及其应用
CN115671107B (zh) 用于解酒的复方药物组合物
JP2019535758A (ja) リドカイン無効状態および低カリウム血症状態の治療のための療法
TWI676477B (zh) 苯并咪唑衍生物用於夜間酸突破的用途
JPH11130671A (ja) アルドースレダクターゼ阻害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