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5153A - 레이스 편물의 제조 방법 및 레이스 편물 - Google Patents

레이스 편물의 제조 방법 및 레이스 편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5153A
KR20080105153A KR1020087024716A KR20087024716A KR20080105153A KR 20080105153 A KR20080105153 A KR 20080105153A KR 1020087024716 A KR1020087024716 A KR 1020087024716A KR 20087024716 A KR20087024716 A KR 20087024716A KR 20080105153 A KR20080105153 A KR 20080105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heat
loop
knitting
shap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4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7973B1 (ko
Inventor
시게오 요시타
Original Assignee
구로다 텍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로다 텍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로다 텍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5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1/00Croche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6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0Open-work fabrics
    • D04B21/12Open-work fabric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 D06H7/16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lace or embroidery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41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thermoplastic; thermose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관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과 함께, 실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레이스 편물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편성(編成) 후의 레이스 편물지(120)를, 쇄편사(21)의 용융 온도 미만으로, 또한 열접착실(23)의 용융 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으로, 열 접착실(23)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용해한다. 용해 부분의 일부는 쇄편사(21) 및 삽입실(22)에 부착한다. 이것에 의해 각 실(21 내지 23)의 연결 상태가 유지되고, 실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더 한층 열접착실(23)을 파단(破斷)하는 것으로, 융착 부분(100)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슬 뜨기 조직을 구성하는 쇄편사(21)의 일부가 분단(分斷)되었다고 하여도, 사슬 뜨기 조직의 풀림이 열접착실(23)의 부착 부분에서 저지되고, 부착 부분을 넘어 사슬 뜨기 조직이 풀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레이스 편물, 사슬 뜨기, 열접착실, 실의 풀림, 용융 온도

Description

레이스 편물의 제조 방법 및 레이스 편물 {KNITTED LACE MANUFACTURING METHOD AND KNITTED LACE}
본 발명은 레이스 편물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레이스 편물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공 소63-52142호 공보에 개시되는 레이스 편물지는 열용융성의 열접착실이 스캘럽 부분에 짜 넣어진다. 편성 후에 레이스 편물지를 가열하는 것으로, 열접착실이 용융한다. 열접착실에 의해, 피콧실의 기초부와 다른 실과의 겹쳐지는 부분을 접착하고, 겹쳐지는 부분 이외의 열접착실의 노출된 부분을 용융 제거한다. 이것에 의해 레이스 편물 중에서, 스캘럽 부분에 있어서의 풀림을 방지하고 있다.
일본국 특개 평11-81073호 공보에 개시되는 레이스 편물지는 커버링실이 스캘럽 부분에 짜 넣어진다. 커버링실은, 열용융성을 가지는 심사(芯絲)와 열가소성 합성 섬유실인 피복실로 이루어진다. 편성 후에 레이스 편물지를 가열하는 것으로, 커버링실 중의, 심사(芯絲)의 일부가 용융하고, 용융물이 피복실의 사이로부터 삐져 나온다. 그리고, 이 용융물이 인접하는 다른 실을 접착하도록 하여 고체화 한다. 이것에 의해 레이스 편물 중의, 스캘럽 부분에 있어서의 풀림을 방지하고 있다.
상술한 레이스 편물지는 스캘럽 부분에만, 열접착실이 짜 넣어진다. 이 경우, 레이스 편물지가 가열되어 형성되는 레이스 편물에 대해서는, 스캘럽 부분 이외에서는 여전히 풀림이 생기기 쉽다. 또한 레이스 편물 제조 후에, 열접착실이 잔여의 실로부터 해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열접착실에 의한 복수의 실의 결합이 해제되어 버려, 해리 부분으로부터 풀림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레이스 편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쇄편사에 의해, 복수의 루프 형상 부분이 형성되는 사슬 뜨기 조직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사슬 뜨기 조직에 쇄편사보다 낮은 용융온도를 가지는 열접착실을 짜 넣어, 신축성을 가지는 편물지를 편성(編成)하는 편물지 편성 공정과, 열접착실을 함유하는 편물지를 쇄편사의 용융 온도 이하로 또한 열접착실의 용융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는 가열 공정과, 열접착실을 함유하는 편물지에 대해서, 장력을 주어 용융 후의 열접착실을 복수로 파단하는 파단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 편물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이스 편물지를 쇄편사의 용융 온도 미만으로 또한 열접착실의 용융 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으로, 열접착실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용해한다. 용해 부분의 일부는 쇄편사에 부착한다. 이 상태로 고화하는 것으로, 레이스 편물지를 이용하여 제조한 레이스 편물에 대하여, 열접착실에 접하는 쇄편사가 열접착실로부터 유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열접착실에 접하는 각 실을 열접착실에 의해 서로 접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실의 연결 상태가 유지되고, 실의 풀림을 막을 수 있다.
더욱이, 파단 공정에 의하여, 열접착실을 함유하는 편물지에 장력을 준다. 이때 편물지의 신장량이, 열접착실의 신장 한도를 넘는 것으로, 열접착실이 복수의 부분에 분단(分斷)된다. 쇄편사에 부착한 용융 후의 열접착실이 복수로 분단되는 것에 의해, 쇄편사에는 열접착실이 간격을 두어 배치되는 융착 부분이 형성된다. 쇄편사에 부착한 융착 부분은 쇄편사의 풀림에 저항하는 저항체가 된다. 예를 들어 쇄편사의 루프 형상 부분에 융착 부분이 파고드는 것으로, 한층 더 쇄편사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이스 편물지가 가열되어 제조되는 레이스 편물에 대하여, 각 실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스 편물의 봉제 또는 재단 등의 제조 과정에 기인하는 실의 풀림, 착용 또는 세탁 등의 사용 상태에 기인하는 실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슬 뜨기 조직이 열접착실 이외의 실로 달성되므로, 내열성을 가지는 실을 쇄편사로서 이용하는 것에 의해, 레이스 편물 전체의 형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가열공정 후의 열접착실을 제외한 편물지 전체의 신장 한도량 ε1이, 가열 공정 후의 열접착실의 신장 한도량 ε2보다 커지도록, 편물지 편성 공정에 있어서의 편성 조건과 가열 공정에 있어서 가열 조건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열 공정 후의 편물지 전체의 신축 한도량이, 가열 공정 후의 열접착실의 신장 한도량보다도 커지도록, 편물지 편성 공정에 있어서의 편성 조건과 가열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 조건이 설정된다. 예를 들어 신축실을 짜 넣거나 쇄편사 자체에 신축성을 가지게 하거나 하는 것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편물지를 제조한다. 신축성을 가지는 편물지를, 가열 공정 후의 열접착실의 신장 한도량보다 크게 신장시키는 것으로, 쇄편사 등의 열접착실 이외의 실이 파단(破斷)하지 않고, 열접착실의 파단을 발생시킬 수 있고, 레이스 편물지의 강도 저하를 방지하고, 편물지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열 공정과 상기 파단 공정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열 공정과 파단 공정을 동시에 행한다. 이것에 의해 가열 공정과 파단 공정을 한 번에 행할 수 있고, 제조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물지를 미리 정한 형상으로 정돈하는 열세트 공정에 있어서, 가열 공정과 파단 공정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열세트 공정을 행하는 것만으로, 열접착실을 용융하는 것과, 접착실을 복수로 파단하는 것을 1개의 공정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열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 조건은, 열접착실이 용융함과 함께, 편물지에 포함되는 열접착실 이외의 실의 취성(脆性)화가 방지되는 가열 조건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접착실 이외의 실의 취성화가 방지되는 가열 조건으로, 열접착실을 용융시킨다. 이것에 의해 풀림을 방지함과 함께, 편물지의 강도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열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 조건은 용융에 의해 열접착실이 분단화하는 가열 조건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단 공정으로 열접착실을 분단함과 함께, 가열 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으로 가열 공정에서도 열접착실을 분단화한다. 이것에 의해 열접착실의 분단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쇄편사의 풀림에 저항하는 저항체로 이루어지는 융착 부분을 더욱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고, 쇄편사의 풀림을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편물지 편성 공정에서는 10~300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실을 열접착실로서 이용하고, 170~195℃의 가열 온도로, 30~90초의 시간동안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10~300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실을 열접착실로서 이용하고, 170~195℃로, 30~90초의 시간동안 가열하는 것에 의해, 편물지에 포함되는 열접착실 이외의 실의 취성화가 방지되는 것과 함께, 열접착실을 충분히 용융시켜, 열접착실을 분단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편물지 편성 공정에서는, 열접착실 외에 다른 삽입실이 짜 넣어지고, 상기 사슬 뜨기부는 제 1 루프 형상 부분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이 교대로 이어져 코스 방향으로 복수단 늘어서고, 제 2 루프 형상 부분이, 그 제 2 루프 형상 부분의 코스 방향 전단의 제 1 루프 형상 부분을 삽입 통과하여 코스 방향 후단을 향하여 늘어나고, 또한, 상기 제 2 루프 형상 부분의 코스 방향 같은 단의 제 1 루프 형상 부분을 삽입 통과하여, 코스 방향 후단의 제 1 루프 형상 부분에 이어지는 것에 의해 연쇄 형상으로 형성되어 코스 방향으로 늘어나고, 열접착실 및 다른 삽입실이 함께 짜 넣어지는 부분에서는, 열접착실과 다른 삽입실로, 제 1 루프 형상 부분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과의 사이를 삽입 통과하는 방향을 각각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접착실 및 다른 삽입실이 함께 짜 넣어지는 부분에서는 열접착실과 다른 삽입실로, 제 1 루프 형상 부분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과의 사이를 삽입 통과하는 방향이 각각 다르다. 이것에 의해 다른 삽입실과 열접착실이 접촉하는 접촉량을 줄일 수 있고, 용융한 열접착실을 쇄편사에 부착하기 쉽게 할 수 있고, 쇄편사에 융착 부분을 형성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접착실 이외의 다른 삽입실은 레이스 편물에 모양을 형성하기 위한 병사(柄絲) 또는 자카드사나, 레이스 편물에 신축성을 가지게 하기 위한 신축실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편물지 편성 공정에서는, 열접착실 외에 신축성을 가지는 신축실이 신장(伸長) 상태로 짜 넣어지고, 상기 사슬 뜨기부는 제 1 루프 형상 부분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이 교대로 이어져 코스 방향으로 복수단 늘어서고, 주목하는 제 2 루프 형상 부분이, 그 제 2 루프 형상 부분의 코스 방향 전단의 제 1 루프 형상 부분을 삽입 통과하여 코스 방향 후단을 향하여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 2 루프 형상 부분의 코스 방향 같은 단의 제 1 루프 형상 부분을 삽입 통과하고, 코스 방향 후단의 제 1 루프 형상 부분에 이어지는 것에 의해 연쇄 형상으로 형성되어 코스 방향으로 연장되고, 열접착실 및 신축실이 함께 짜 넣어지는 부분에서는, 열접착실과 신축실로, 제 1 루프 형상 부분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과의 사이를 삽입 통과하는 방향을 각각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접착실 및 신축실이 함께 짜 넣어지는 부분에서는, 열접착실과 신축실로, 제 1 루프 형상 부분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과의 사이를 삽입 통과하는 방향이 각각 다르다. 이것에 의해 신축실과 열접착실이 접촉하는 접촉량을 줄일 수 있고, 용융한 열접착실을 쇄편사에 부착하기 쉽게 할 수 있고, 쇄편사에 융착 부분을 형성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열접착실이, 신축실보다 쇄편사에 대한 해리(解離)성이 높은 경우, 신축실과 쇄편사와의 양쪽 모두에 열접착실이 부착된 경우에는, 쇄편사로부터 해리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서는, 신축실과 쇄편사와의 양쪽 모두에 열접착실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쇄편사로부터 열접착실이 해리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고, 풀림의 저항체인 융착 부분이, 쇄편사에 잔류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레이스 편물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레이스 편물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레이스 편물지를 가열하는 것에 의해, 레이스 편물지에 포함되는 열접착실의 일부가 용융하여, 각 실의 결속이 강화된다. 따라서, 레이스 편물지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레이스 편물에 대한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접착실을 파단시켜 융착 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층 더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인 레이스 편물지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편성 조직도이다.
도 2는 레이스 편물지의 전구체가 되는 제 1 전구체 편물지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편성 조직도이다.
도 3은 쇄편사 및 열접착실 이외의 실을 생략하여 제 1 전구체 편물지(20)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편성 조직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레이스 편물지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5a 및 도 5b는 융착 부분이 풀림에 저항하는 저항체가 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융착 부분이 풀림에 저항하는 저항체가 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제 2 전구체 편물지의 풀림 방지를 설명하기 위한 편성도이다.
도 9는 비교예의 레이스 편물지를 도시하는 편성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제 2 전구체 편물지의 풀림을 설명하기 위한 편성도이다.
도 11은 비교예의 레이스 편물지를 도시하는 편성도이다.
도 12는 제 1 실시 형태의 제 1 전구체 편물지를 편성하기 위한 러셀 편물기 의 편성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e는 사슬 뜨기 부분의 뜨개질 바늘과 지성과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자카드 바 및 열접착실 용 바디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도 3에 있어서 S 영역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조직도이다.
도 16은 레이스 편물 제품의 제조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인 제 1 전구체 편물지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편성 조직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인 제 1 전구체 편물지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편성 조직도이다.
도 19는 쇄편사, 열접착실 및 신축실 이외의 실을 생략하여 제 1 전구체 편물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편성 조직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인 제 1 전구체 편물지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편성 조직도이다.
도 21은 제 3 및 제 4 실시 형태의 제 1 전구체 편물지를 편성하기 위한 백 자카드 러셀 편물기의 편성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인 제 1 전구체 편물지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편성 조직도이다.
도 23은 제 5 실시 형태의 제 1 전구체 편물지를 편성하기 위한 백 자카드 러셀 편물기의 편성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인 레이스 편물지(120)의 일부를 도시하는 편성 조직도이다. 도 2는 레이스 편물지(120)의 전구체가 되는 제 1 전구체 편물지(20)의 일부를 도시하는 편성 조직도이다. 도 3은 쇄편사(21) 및 열접착실(23) 이외의 실을 생략한 제 1 전구체 편물지(20)의 편성 조직도이다. 이러한 도 1 내지 도 3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편성 조직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레이스 편물지(120) 및 제 1 전구체 편물지(20)의 실물 편조직은, 제 1 루프 형상 부분(24) 및 제 2 루프 형상 부분(25)의 곡률 반경이 작고, 각 실(21, 22, 23)이 극히 근접 또는 접촉한 상태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실(21, 22, 23)에 의해 편성된 편물지를 제 1 전구체 편물지(20)라 칭한다. 또한, 제 1 전구체 편물지(20)가 가열된 것을 제 2 전구체라고 칭한다. 또한, 제 2 전구체에 함유되는 열접착실(23)이 복수로 파단된 것을 레이스 편물지(120)라 칭하고, 레이스 편물지(120)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제품을 레이스 편물이라고 칭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전구체 편물지(20)는 편사(編絲)에 의해 편성되는 경편지(經編地)가 된다.
레이스 편물지(120) 및 제 1 전구체 편물지(20)는 복수의 투공(透孔)이 형성되고, 그들 투공의 형상 및 배치에 의해 레이스 모양이 형성된다. 또한 레이스 편 물지(120) 및 제 1 전구체 편물지(20)는 단위 면적당에 배치되는 실의 양이 조밀한 병부(柄部)와 단위 면적당에 배치되는 실의 양이 조밀하지 않은 하지(下地)부를 가지고, 이러한 병부 및 하지부의 형상 및 배치에 의해 병(柄) 모양이 형성된다. 이러한 병(柄) 모양이 들어간 레이스 편물지는, 예를 들어 여성용 내의 등에 이용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전구체 편물지(20)는 쇄편사(21)와, 열접착실(23)과 삽입실(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쇄편사(21)는 날실 또는 지편(地編) 편성사라고 칭하여지는 경우도 있다. 또한 삽입실(22)은, 씨실이라고 칭하여지는 경우도 있다. 열접착실(23)은 제 1 전구체 편물지(20)로서 이용되는 다른 실보다 낮은 용융 온도를 가지는 실이며, 열가소성을 가진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레이스 편물지(120)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플로 챠트이다. 우선 스텝 a0에서, 레이스 편물에 이용하는 각 편사의 선택, 레이스 편물에 형성해야 할 병(柄) 모양의 결정 및 원하는 편성 조직을 형성하기 위한 편물지의 설계가 완료하는 등으로 편물지 편성의 준비가 완료하면, 스텝 a1으로 진행하고, 레이스 편물지(120)의 제조를 개시한다.
스텝 a1에서는, 편물기를 이용하여, 레이스 편물지(120)의 전구체가 되는 제 1 전구체 편물지(20)을 편성하는 편물지 편성 공정을 행한다. 편물기는, 스텝 a0에서 설계되는 뜨개질하는 순서에 따라, 쇄편사(21)에 열접착실(23) 등의 각 실(21, 22)을 짜 넣고, 도 2에 도시하는 제 1 전구체 편물지(20)를 편성한다. 따라서, 제 1 전구체 편물지(20)는 쇄편사(21)에 의해 복수의 루프 형상 부분이 형성 되는 사슬 뜨기 조직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사슬 뜨기 조직에 열접착실(23)이 짜 넣어진다.
제 1 전구체 편물지(20)가 구비하는 실 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신축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쇄편사(21), 열접착실(23) 및 다른 실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신축성을 가진다. 편물기는 신축성을 가지는 실을 신장시킨 상태에서, 편성 동작을 실행한다. 제 1 전구체 편물지(20)는 신장 상태에서 짜여진 실의 복원력에 의해, 편성 후에 줄어들게 되고, 신축성을 가진다. 이와 같이 제 1 전구체 편물지(20)의 편성이 완료하면, 스텝 a2로 진행한다.
스텝 a2에서는 스텝 a1에서 편성된 제 1 전구체 편물지(20)를 쇄편사(21)의 용융 온도 이하이며 또한 열접착실(23)의 용융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는 가열 공정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열접착실(23)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용해한 제 2 전구체 편물지를 형성한다. 제 2 전구체 편물지의 용융 부분의 일부는, 쇄편사(21) 및 삽입실(22)에 부착한다. 이 상태에서, 열접착실(23)이 고체화 하는 것으로, 열접착실(23)에 접하는 쇄편사(21) 및 삽입실(22)이 열접착실(23)에 대해서 유리(遊離)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열접착실(23)에 접하는 각 실(21, 22)을 열접착실(23)에 의해 서로 접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용융한 열접착실(23)을 다른 실(21, 22)에 부착시키면 스텝 a3으로 진행한다.
스텝 a3에서는, 스텝 a2에서 형성한 제 2 전구체 편물지에 대해서, 장력을 주어 신장시키고, 용융 후의 열접착실(23)을 복수로 파단하는 파단 공정을 행한다. 제 2 전구체 편물지에 장력을 부여함에 있어서, 제 2 전구체 편물지의 신장량 ε3 이, 열접착실(23)의 신장 한도량 ε1을 넘는 것으로, 열접착실(23)이 복수의 부분에 분단된다. 이와 같이 용융 후의 열접착실(23)을 파단하면, 도 1에 도시하는 것 같은 레이스 편물지(120)를 형성할 수 있고, 스텝 a4로 진행한다.
스텝 a4에서는, 스텝 a3의 이후에 형성한 레이스 편물지(120)를 정련(精鍊)한 후, 최종 히트 세트라고도 불리는 열처리를 행하여 형태를 고정하고, 이러한 레이스 편물지를 이용하여 레이스 제품이 제조되고, 레이스 편물지(120)의 제조를 종료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레이스 편물지(120)는 편물지의 편성이 완료한 직후의 제 1 전구체 편물지(20)에 비해, 각 실에 용융 접착한 열접착실(23)이 분단하여 형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레이스 편물지(120)의 열접착실(23)은 코스 방향(C)으로 단속적으로 위치한다.
분단된 열접착실(23)은 각각 코스 방향(C)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융착 부분(100)을 구성한다. 각 융착 부분(100)은 열접착실(23) 이외의 실(21, 22)에 간격을 두고 각각 부착한다. 각 융착 부분(100)은 다른 융착 부분(100)과 무관하게, 부착하는 실과 함께 변위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융착 부분(100)은 열접착실(23) 이외의 하나의 실에 부착하는 경우도 있지만, 열접착실(23) 이외의 복수의 실에 함께 부착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1개의 융착 부분(100)이, 쇄편사(21)와 삽입실(22)을 연결하여 부착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1개의 융착 부분(100)이 쇄편사(21) 중, 2개의 부분을 연결하여 부착하는 경우도 있다.
열접착실(23) 이외의 실(21, 22)에는 융착 부분(100)이 부착된 부분이, 융착 부분(100)이 존재하지 않는 노출 부분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한 융기 부분을 형성한다. 바꾸어 말하면 열접착실(23)이 부착된 실(21, 22)은 융착 부분(100)의 부착에 기인하는 볼록부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각 실(21, 22)에 부착한 융착 부분(100)은 각 실(21, 22)의 풀림에 저항하는 저항체가 된다.
도 5a 및 도 5b는 융착 부분(100)이 풀림에 저항하는 저항체가 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쇄편사(21)의 파단 부분(21A)으로 파단이 생긴 상태를 도시한다. 도 5b는 파단 부분(21A)으로부터 쇄편사(21)가 당겨진 상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단 부분(21A)을 기점으로 하여 쇄편사(21)가 코스 방향(C) 후단 측으로 당겨지면, 쇄편사(21)중 파단 부분(21A)에 인접하는 부분이 차례차례 인출되고, 코스 방향(C) 전단측의 제 1 루프 형상 부분(24)을 통과하는 일도 있다. 그렇지만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쇄편사(21) 중, 융착 부분(100)이 부착되는 부분이 제 1 루프 형상 부분(24)에 도달하면, 융착 부분(100)이 제 1 루프 형상 부분(24)에 걸린다. 이와 같이 융착 부분(100)이 제 1 루프 형상 부분(24)에 걸리는 것으로, 쇄편사(21)의 인출에 대해서 저항하고, 더욱 더 쇄편사(21)의 인출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쇄편사(21)의 풀림의 진행을 방지할 수 있고, 쇄편사(21)의 풀림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도 5b에서는, 제 1 루프 형상 부분(24)의 공간(102)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융착 부분(100)이 통과 가능한 크기로 도시되지만, 실제의 제 1 루 프 형상 부분(24)의 공간(102)은 융착 부분(100)보다 충분히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융착 부분(100)에 의한 걸림에 기인하여,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융기한 용융 부착물인 융착 부분(100)이 풀림에 저항하는 저항체가 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쇄편사(21)의 다른 파단 부분(21B)에서 파단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b는 다른 파단 부분(21B)으로부터 쇄편사(21)가 당겨진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파단 부분(21B)을 기점으로서 쇄편사(21)가 코스 방향(C)후단 측으로 당겨지면, 쇄편사(21) 중 다른 파단 부분(21B)에 인접하는 부분이, 루프 형상 부분으로부터 차례차례 인출되고, 코스 방향(C) 전단측의 제 1 루프 형상 부분(24)을 통과할 수 있다. 그렇지만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쇄편사(21) 중, 융착 부분(100)을 개입시켜 삽입실(22)과 부착하는 부분이, 제 1 루프 형상 부분(24)에 도달하면, 쇄편사(21)에 접착된 삽입실(22)이, 제 1 루프 형상 부분(24)에 걸린다. 이와 같이 삽입실(22)이 제 1 루프 형상 부분(24)에 걸리는 것으로, 쇄편사(21)의 인출에 대해서 저항하고, 더욱 더 쇄편사(21)의 인출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쇄편사(21)의 풀림의 진행을 방지할 수 있고, 쇄편사(21)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b에서는 제 1 루프 형상 부분(24)의 공간(102)을 삽입실(22)의 일부가 통과하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지만, 삽입실(22)을 구성하는 단섬유(모노필라멘트)의 일부가 인입되고, 잔여의 단섬유가 인입되지 않고, 삽입실(22)이 걸리는 경 우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도, 삽입실(22)의 걸림에 기인하여,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융착 부분(100)과 삽입실(22)이 해리하였다고 해도, 융착 부분(100)이 쇄편사(21)에 부착되어 있으면,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융착 부분(100)이 풀림에 대한 저항이 되고, 쇄편사(21)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파단 공정에 의해, 쇄편사(21)에 부착된 열접착실(23)을 적극적으로 분단하여, 열접착실(23)의 원형을 흐트러뜨린다. 이것에 의해 쇄편사(21)에는 열접착실(23)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융착 부분(100)이 부착된다. 이와 같이 열접착실(23)으로서의 형상을 변화시키고, 쇄편사(21)에 요철을 형성시킨다. 바꾸어 말하면, 쇄편사(21)에 데니어 불균일(굵기 불균일)을 발생하게 한다. 이 융착 부분(100)은 쇄편사(21)의 풀림에 저항하는 저항체가 되고, 쇄편사(21)의 풀림의 진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이스 편물지(120)에 실 형상의 열접착실(23)이 남지 않기 때문에, 열접착실(23)이 병(柄) 모양에 부여하는 영향이 적고, 미감(美感)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열접착실(23)을 제외한 제 2 전구체 편물지 전체의 신장 한도량 ε1이, 가열 공정 후의 열접착실(23)의 신장 한도량 ε2보다 커지도록(ε1>ε2), 편물지 편성 공정에 있어서의 편성 조건과, 가열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 조건이 설정된다. 예를 들어 쇄편사(21)에 신축실을 신장 상태로 짜 넣거나, 쇄편사 자체에 신축성을 갖게 하거나 신축하기 쉬운 편조직 편성으로 하거나 하여, 열접착실(23)을 제외한 제 2 전구체 편물지 전체의 신장 한도량 ε1을 크게 한다.
이것에 대해서, 섬도(纖度)가 작은 열접착실(23)을 이용하거나 용융 후의 신장 한도량이 작은 열접착실(23)을 이용하거나 용해 후에 취성화를 일으키는 재료로 열접착실(23)을 실현하거나 하여, 가열 공정 후의 열접착실(23)의 신장 한도량 ε 2를 작게 한다.
이와 같이 설정한 후에, 파단 공정에 있어서 신장시키는 제 2 전구체 편물지의 신장량 ε3을, 열접착실(23)의 신장 한도량 ε2를 넘고, 또한 열접착실(23)을 제외한 제 2 전구체 편물지 전체의 신장 한도량 ε1 미만으로 한다(ε2<ε3<ε1). 이것에 의해 쇄편사(21) 등의 열접착실(23) 이외의 실(21, 22)이 파단하지 않고, 열접착실(23)의 파단을 일으키게 할 수 있고, 레이스 편물지(120)의 강도 저하를 방지하고, 레이스 편물지(12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열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 조건은, 열접착실(23)이 용융함과 함께, 편물지에 포함되는 열접착실(23) 이외의 실의 취성화가 방지되는 가열 조건으로 설정된다. 또한 가열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 조건은, 용융에 의해 열접착실(23)이 분단화하는 가열 조건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파단 공정전이라도, 가열 공정후에 복수로 분단된 열접착실(23)을 각 실에 부착시킬 수 있다. 즉, 열접착실(23)은 일부를 용융시켜도 좋고, 전체를 용융시켜도 좋다. 또한, 열접착실(23)의 전체를 용융시켜, 실 형상인 원형을 유지할 수 없게 하는 것으로, 큰 융착 부분(100)을 형성할 수 있고, 풀림 방지를 한층 더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가열 조건은, 예를 들어 가열 온도와, 가열 시간이 설정된다. 열접착실(23) 이 용융하는 최저 용융 온도를 B1, 최저 용융 온도로 가열하였을 때 연화(軟化)하기까지의 시간을 D1으로 한다. 또한, 열접착실(23) 이외의 실이 취성화하는 최저 용융 온도를 B2, 최저 용융 온도로 가열했을 때에 연화할 때까지의 시간을 D2로 한다. 이 경우,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열 공정에서의 가열 온도를 B3로 하고, 가열 시간을 D3으로 하면, B1<B3<B2, D1<D3<D2로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열접착실(23)로서 10~300데니어, 바람직하게는 10~50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실을 이용한다. 또한 170~195℃의 가열 온도로, 30~90초의 가열 시간동안 열처리 한다. 이것에 의해 열접착실(23)을 용융시키는 것과 함께, 잔여의 실이 취성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융에 의해 열접착실(23)을 분단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열접착실(23)은 용융 후 고체화 하는 것에 의해, 용융전에 비하여 취성화, 즉 강도가 저하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가열 시간을 일정하게 했을 경우, 가열 온도를 170℃ 미만으로 하면, 용융한 열접착실(23)과 잔여 실과의 접착력이 작아진다. 또한 접착실로서 분단되지 않고, 접착실 자신이 남고, 제 2 전구체 편물지가 딱딱해져 버린다. 또한, 가열 온도가 195℃를 넘으면, 나일론 등의 잔여의 소재가 열취성화를 일으켜 버린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 온도를 170~195℃로 하는 것으로, 상술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섬도(纖度)가 너무 커지면, 열접착실(23)이 파단하기 어렵다. 또한 섬도가 너무 작아지면, 접착력이 작아지는 것과 함께, 융착 부분(100)을 크게 할 수 없다. 이것에 대해서 열접착실(23)의 섬도를 10~300데니어로 하는 것으로, 파단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과 함께, 접착력을 유지하고, 융착 부분(100)을 크게 할 수 있다. 열접착실(23)의 섬도는, 더욱이 10~50데니어로 하는 것으로, 열접착실(23)이 병(柄) 모양에 대해서 눈에 띄는 것을 방지한 후에, 쇄편사(21)와 열접착실(23)과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표 1은 본 실시 형태의 레이스 편물이며 열접착실(23)을 파단시킨 것과, 비교예의 레이스 편물이며 열접착실(23)을 파단시키지 않았던 것과의, 풀림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레이스 편물 비교예의 레이스 편물
실의 파단 상태 실의 파단 있음 실의 파단 없음
내세탁성시험 세탁회수30회 스캘럽 부분의 풀림 ◎(이상은 보이지않음) ○(풀림이 조금 보임)
레이스 재단면의 풀림 ○(풀림이 조금 보임) △(풀림이 보임)
세탁회수50회 스캘럽 부분의 풀림 ◎(이상은 보이지않음) ○(풀림이 조금 보임)
레이스 재단면의 풀림 ○(풀림이 조금 보임) △(풀림이 보임)
풀림 시험은, JIS-L-0217 103법으로 규정되는 세탁 방법으로, 반복하여 세탁을 행하고, 레이스에 풀림이 생기는지의 여부를 조사하는 시험을 행하였다.
표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접착실(23)을 파단시킨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열접착실(23)을 파단시키지 않은 비교예에 비하여, 풀림의 정도가 작다. 이것으로부터도, 본 실시 형태의 레이스 편물은, 비교예에 비교하여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열접착실(23)은 용융 방사 기술로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탄성실 중,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탄성실을 제외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쇄편사(21)로부터 열접착실(23)이 해리하는 것을 방지하고, 열접착실(23)의 파단을 매우 적합하게 행할 수 있다.
도 7은 레이스 편물지(120)의 다른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우선 스텝 b0에서, 스텝 a1과 마찬가지로, 편물지 편성의 준비가 완료되면, 스텝 b1으로 진행하고, 레이스 편물지(120)의 제조를 개시한다.
스텝 b1에서는, 스텝 b1과 마찬가지로, 레이스 편물지(120)의 전구체가 되는 제 1 전구체 편물지(20)를 편성하는 편물지 편성 공정을 행한다. 편물지 편성이 완료하면 스텝 b2로 진행한다.
스텝 b2에서는, 편물지를 미리 정한 형상으로 정돈하는 열세트 공정을 행한다. 열세트 공정은 미리 정한 형상으로 유지시킨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한 형상은 평탄한 형상이거나 주름이 형성되는 형상이거나 한다. 열세트 공정은, 제 1 전구체 편물지를 신장시켜 유지하고 싶은 형상으로 유지한 상태로, 열접착실(23)의 용융 온도 이상으로 제 1 전구체 편물지를 가열한다. 이것에 의해 열접착실(23)이 용융하여 다른 실에 부착한다. 열접착실(23)이 고체화 하면, 편물지는 열세트시에 유지된 유지 형상으로 유지되고, 유지 형상으로부터 변형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열세트 공정은, 열접착실(23)을 용융하는 상기 가열, 공정과, 편물지를 신장하는 상기 파단 공정을 동시에 행하게 된다. 열세트 공정을 완료하면, 도 1에 도시하는 것 같은 레이스 편물지(120)를 형성할 수 있고, 스텝 b3으로 진행한다.
스텝 b3에서는, 스텝 b3 이후에 형성한 레이스 편물지(120)를 이용하여, 레이스 편물지(120)가 포함되는 레이스 제품이 제조되고, 레이스 편물지(120)의 제조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편물지를 미리 정한 형상으로 정돈하는 열세트 공정으로, 가열 공정과 파단 공정을 병렬하여 행한다. 이것에 의해 열세트 공정을 행하는 것만으로, 열접착실(23)을 용융하는 것과, 열접착실(23)을 복수로 파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열 열공정과 파단 공정을 동시에 행하는 것으로, 제조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편물지를 미리 정해지는 형상으로 정돈하는 열세트 공정으로, 가열 공정과 파단 공정을 동시에 행하였지만, 열세트를 목적으로 하지 않고, 가열 공정과 파단 공정을 동시에 행하여도 좋다. 또한 가열 공정과 파단 공정은 염색 공정 등의 다른 공정으로 행하여도 좋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전구체 편물지(20)에 있어서, 쇄편사(21)는 사슬 뜨기 되는 것에 의하여, 제 1 루프 형상 부분(24)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25)이 형성된다. 제 1 루프 형상 부분(24)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25)은 교대로 이어져 코스 방향(C)에 복수단 늘어서서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루프 형상 부분(24)은, 니들 루프라고 칭해지고, 제 2 루프 형상 부분(25)은, 싱크 루프라고 칭해지는 경우가 있다.
제 1 루프 형상 부분(24)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25)이 교대로 이어져 코스 방향(C)으로 늘어나는 것으로, 웨일(26)이 형성된다. 웨일(26)은 코스 방향(C)으로 늘어서 복수 형성되고, 그것들이 서로 연결되는 것으로, 사슬 뜨기 조직, 바꾸어 말하면 체인 스팃치 조직을 형성한다. 또한 쇄편사(21)이 적절하게 횡진(橫振)하여, 웨일 방향(W)으로 인접하는 웨일(26)을 연결하는 것으로, 풀림 방지 기능을 가지는 사슬 뜨기 조직을 형성한다. 쇄편사(21)가 횡진(橫振)하는 부분을 런 고정부분(42)으로 칭한다.
각 제 1 루프 형상 부분(24)은 대략적으로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미리 정한 코스 방향(C) 및 코스 방향(C)으로 직교하는 웨일 방향(W)으로 대략적으로 늘어서서 배치된다. 또한 각 제 1 루프 형상 부분(24)은 코스 방향(C) 전단으로 열린다. 제 1 루프 형상 부분(24)이 웨일 방향(W)으로 일렬로 늘어서서 코스를 형성하고, 제 1 루프 형상 부분(24)이 코스 방향(C)으로 일렬에 늘어서서 웨일(26)을 형성한다.
제 2 루프 형상 부분(25)은 코스 방향(C)으로 늘어선 제 1 루프 형상 부분(24)을 연결한다. 예를 들어 1개의 제 2 루프 형상 부분(25a)에 주목한다. 주목하는 제 2 루프 형상 부분(25a)은 그 일단부가 주목하는 제 2 루프 형상 부분(25a)과 동일단의 제 1 루프 형상 부분(24a)의 단부에 이어진다. 주목하는 제 2 루프 형상 부분(25a)은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는 것에 따라, 주목하는 제 2 루프 형상 부분(25a)의 코스 방향(C) 전단의 제 1 루프 형상 부분(24b)을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삽입 통과하여 코스 방향(C) 후단으로 늘어나고, 주목하는 제 2 루프 형상 부분(25a)과 동일단의 제 1 루프 형상 부분(24a)을 다른쪽에서 한쪽으로 삽입 통과하여 코스 방향(C) 후단으로 늘어나고, 주목하는 제 2 루프 형상 부분(25a)의 코스 방향(C)후단의 제 1 루프 형상 부분(24c)의 단부에 이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각 루프 형상 부분(24, 25)이 연쇄 형상으로 연결되고, 코스 방향(C)으로 늘어나는 웨일(26)이 형성된다. 삽입실(22) 및 열접착실(23) 등의 각 실(22, 23)은 제 1 루프 형상 부분(24)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25)과의 사이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웨일(26)에 짜 넣어진다.
제 1 전구체 편물지(20)의 표지는 삽입실(22) 및 열접착실(23)에 의해, 제 1 루프 형상 부분(24)이 은폐된다. 따라서, 제 1 전구체 편물지(20)의 표지는, 안감에 비하여 제 1 전구체 편물지(20)에 형성되는 병(柄) 모양 및 레이스 모양이 명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주목하는 제 2 루프 형상 부분(25a)은 그 제 2 루프 형상 부분(25a)의 코스 방향(C) 전단의 제 1 루프 형상 부분(24b)을 겉감 측에 삽입 통과하고, 그 제 2 루프 형상 부분(25a)의 코스 방향(C) 같은 단의 제 1 루프 형상 부분(24a)을 안감 측에 삽입 통과하여, 코스 방향(C) 후단의 제 1 루프 형상 부분(24c)에 이어진다.
삽입실(22)은 사슬 뜨기 조직에 레이스 모양을 형성하기 위한 실이다. 삽입실(22)은 웨일 방향(W)으로 인접하는 웨일(26)에 각각 짜 넣어지는 것으로, 웨일 방향(W)으로 인접하는 2개의 웨일(26)을 연결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실(22)은 웨일 방향(W)으로 인접하는 한쪽의 웨일(26)로부터 다른 쪽의 웨일(26)에 걸쳐서 늘어나는 횡진(橫振) 부분과 웨일(26)에 짜 넣어지는 삽입실 편입 부분을 가진다.
코스 방향(C)으로 늘어선 2개의 횡진(橫振) 부분과, 횡진(橫振) 부분이 연결되는 웨일에 의해서 둘러쌓인 공간에는, 편물지의 두께 방향으로 삽입 통과하는 투공이 형성된다. 삽입실(22)의 횡진(橫振) 부분이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투공의 형상 및 배치가 조정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전구체 편물지(20)에는, 투공의 배치 및 형상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레이스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횡진(橫振) 부분과 웨일(26)에 의해 둘러쌓이는 투공은, 후술하는 병사(柄絲)에 의해 묻어져, 병(柄) 모양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삽입실(22)은 제 1 루프 형상 부분(24)보다 겉감 측으로 늘어난다. 삽입실(22)은 미리 설정되는 제 1 루프 형상 부분(24)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25)과의 사이를 삽입 통과하고, 웨일 방향(W)으로 늘어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슬 뜨기 조직에는 복수의 삽입실(22)이 짜 넣어지고, 각 삽입실(22)은 웨일 방향(W)으로 늘어서서 짜 넣어진다. 각 삽입실(22)이 짜 넣어지는 위치는, 제 1 전구체 편물지(20)에 형성되는 레이스 모양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다.
열접착실(23)은 쇄편사(21) 및 삽입실(22)보다 낮은 융점 온도를 가지는 실에 의해 실현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전구체 편물지(20)의 편성후에 행해지는 가열 공정에서의 가열 상태로, 부분적으로 용융하는 실이 이용된다. 열접착실(23)은 제 1 전구체 편물지(20)를 구성하는 쇄편사(21) 및 삽입실(22)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열접착실(23)은 비피복실, 즉 피복 실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지 않은 라사(裸絲), 이른바 베어 얀(Bare yarn)에 의해 실현되고, 그 용융 온도가 약 140~195℃의 폴리우레탄 탄성실에 의해 실현된다. 열 접착실(23)은 자연 상태에 대해서 신장한 상태에서 사슬 뜨기 조직에 짜 넣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열접착실(23)로서 폴리우레탄 탄성실중 저내열성의 것을 이용할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표 2의 어느 하나의 열접착실(23)을 이용하였다.
타입명 섬도(dtex) 파단신도(伸度)(%) 파단강도(cN/dtex) 100% 신장응력(cN) 300% 신장응력(cN)
탄성실 20 370 1.5 2.6 16.2
44 470 1.1 3.1 13.5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열접착실(23)은 처리 시간이 60분으로 신장율 100%로 유지한 후에, 온열 처리 온도를 105℃로 하면 세트율은 약 85%가 된다. 또한 습열 처리 온도를 120℃로 하면 세트율은 약 93%가 된다. 또한, 온열 처리 온도를 130℃로 하면 세트율은 약 93%가 된다.
또한, 처리 시간 1분으로 신장율 100%로 유지한 후에, 습열 처리 온도를 120℃로 하면 세트율은 약 78%가 된다. 또한, 습열 처리 온도를 140℃로 하면 세트율은 약 85%가 된다.
열접착실(23)은 웨일에 따라 늘어나고, 웨일을 구성하는 모든 루프 형상 부분에 짜 넣어진다. 따라서, 사슬 뜨기 조직 중에서, 단위 면적당의 실의 양이 조밀하지 않은 하지 부분과, 단위 면적당의 실의 양이, 하지 부분보다 조밀한 병(柄) 부분과의 양쪽 모두에, 열접착실(23)이 짜 넣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전구체 편물지(20)는, 복수의 열접착실(23)을 가지고, 각 열접착실(23)은 웨일마다 각각 짜 넣어진다. 이와 같이 사슬 뜨기 조직의 모든 영역에 걸쳐서, 열접착실(23)이 짜 넣어진다.
열접착실(23)은 제 1 루프 형상 부분(24)보다 겉감 측(도 1 내지 도 3에서는 지면에 수직 바로 앞쪽)에 배치되고, 제 2 루프 형상 부분(25)보다 안감 측에 배치된다. 열접착실(23)은 대응하는 웨일에 따라 코스 방향(C)으로 나아가는 것에 따라 지그재그로 진행된다. 예를 들어 열접착실(23)은 주목하는 제 1 루프 형상 부분(24a)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25a)과의 사이를 코스 방향(C)으로 한쪽의 웨일로부터 다른 쪽의 웨일에 통과하면, 주목하는 제 1 루프 형상 부분(24c)의 코스 방향(C)후단(도 1 내지 도 3에서는 위쪽) 코스의 제 1 루프 형상 부분(24c)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25c)과의 사이를 한쪽의 웨일로부터 다른 쪽의 웨일에 통과한다.
편성 직후에는 열접착실(23)은 제 1 루프 형상 부분(24)보다 겉감 측을 지나, 삽입실(22)보다 제 1 전구체 편물지(20)의 안감 측의 영역으로 늘어난다. 따라서, 열접착실(23)과 삽입실(22)이 같은 제 1 루프 형상 부분(24)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25)과의 사이를 삽입 통과하는 영역에서는, 열접착실(23)은 제 1 루프 형상 부분(24)과 삽입실(22)과의 사이를 삽입 통과한다. 또한 삽입실(22)은 열접착실(23)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25)과의 사이를 삽입 통과한다. 이 경우, 쇄편사(21)가 코스 방향(C)으로 펼쳐지는 것에 의해, 제 1 루프 형상 부분(24)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25)과의 곡률 반경이 작아지고, 열접착실(23)은 삽입실(22)과 제 1 루프 형상 부분(24)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삽입실(22) 및 제 1 루프 형상 부분(24)에 접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열접착실(23)과 삽입실(22)이 같은 제 1 루프 형상 부분(24)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25)과의 사이를 삽입 통과하는 영역에서는, 열접착실(23)과 삽입실(22)은 서로 교차하고, 제 1 루프 형상 부분(24)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25)을 통과한다. 구체적으로는, 열접착실(23)은 주목하는 제 1 루프 형상 부분(24a)이 코스 방향(C)의 전단(도 1 내지 도 3에서는 하부)의 제 2 루프 형상 부분(25b)과 이어지는 측으로부터, 주목하는 제 1 루프 형상 부분(24a)과 코스 방향(C)의 같은 단 코스의 제 2 루프 형상 부분(25a)을 통과한다.
이것에 대해서, 삽입실(22)은 주목하는 제 1 루프 형상 부분(24a)이 코스 방향(C)의 전단의 제 2 루프 형상 부분(25b)과 이어지는 측과 반대측으로부터, 주목하는 제 1 루프 형상 부분(24a)과 코스 방향(C)의 같은 단 코스의 제 2 루프 형상 부분(25a)을 통과한다. 이 경우, 제 1 전구체 편물지(20)가 코스 방향(C)으로 긴장되는 것에 의해, 제 2 루프 형상 부분(25)을 함께 통과하는 부분(31)에서, 열접착실(23)과 삽입실(22)이 근접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전구체 편물지(20)에 있어서, 열접착실(23)과 삽입실(22)이 함께, 쇄편사(21)에 짜 넣어지는 부분에서는, 열접착실(23)과 삽입실(22)로, 제 1 루프 형상 부분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과의 사이를 삽입 통과하는 방향이 각각 다르다.
이것에 의해 삽입실(22)과 열접착실(23)이 접촉하는 접촉량을 줄일 수 있고, 가열 공정으로 용융한 열접착실(23)을 쇄편사(21)에 부착하기 쉽게 할 수 있고, 레이스 편물지(120)에 있어서, 쇄편사(21)에 융착 부분(100)을 형성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열접착실(23) 이외에 삽입실이 설정되었지만, 다른 실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열접착실(23)에 따르지 않고 교차시키는 실로서는, 레이스 편물에 모양을 형성하기 위한 병사(柄絲) 또는 자카드실이나, 레이스 편물에 신축성을 갖게하기 위한 신축실이어도 좋다.
또한 편성 직후로는, 사슬 뜨기 조직에 짜 넣어지는 삽입실(22)및 열접착실(23)은 사슬 뜨기 조직에 완전하게 구속되지는 않기 때문에, 삽입실(22)과 열접착실(23)이 접촉하는 복수 부분중 얼마 정도는, 열접착실(23)이 삽입실(22)보다 겉감 측에 배치되는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라도, 삽입실(22)과 열접착실(23)이 접촉하는 복수 부분중 대부분은, 열접착실(23)이 삽입실(22)보다도 안감 측에 배치되게 된다.
또한 쇄편사(21) 및 삽입실(22)의 섬도는, 50데니어 이하, 특히 40데니어 이하의 멀티 필라멘트가 이용된다. 쇄편사(21)의 섬도는, 레이스 편물 제품으로서 이용될 때 절단하지 않는 굵기로, 가급적으로 가는 것이 이용된다. 예를 들어 나일론(폴리아미드계 합성 섬유),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울, 면, 마, 레이온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각종 섬유에 의해 실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본 실시 형태로 이용한 각종 실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다른 종류의 실을 이용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쇄편사(21)는 나일론 섬유로 이루어지고, 그 섬도는 30데니어의 것이 선택된다. 또한 삽입실(22)은 멀티 필라멘트 섬유로 이루어지고, 30데니어의 것이 선택된다.
또한 열접착실(23)의 섬도는, 10~300데니어의 폴리우레탄 탄성실이 이용된다. 또한 폴리우레탄 탄성실외, 용융 온도가 비교적 낮아서, 열가소성을 가지는 재료이면 좋고, 폴리아미드계 합성 섬유 등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또한 비신축성의 실을 이용하여, 열접착실(23)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의 제 1 전구체 편물지(20)는, 편성 후에 열접착실(23)의 용융 온도 이상이며, 잔여의 실(21, 22)의 융점 온도 미만으로 가열된다. 이것에 의해 열접착실(23)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용해된다. 용해 부분의 일부는, 인접하는 쇄편사(21) 및 삽입실(22)에 부착한다. 이 상태로 고체화 하는 것으로, 열접착실(23)에 접하는 쇄편사(21) 및 삽입실(22)이 열접착실(23)로부터 유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접착실(23)에 접하는 각 실(21, 22)을 열접착실(23)에 의해 서로 접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실의 연결 상태가 유지되고, 실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접착실(23)이 다른 실과 부착한 부착 부분에서 사슬 뜨기 조직의 결속이 강화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루프 형상 부분(24)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25)이 열접착실(23)을 개입시켜 접착된다. 이것에 의해 쇄편사(21)의 일부가 분단되었다고 하여도, 제 1 루프 형상 부분(24)으로부터 제 2 루프 형상 부분(25)이 유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쇄편사(21)의 풀림이 제 1 루프 형상 부분(24)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25)과의 접착 부분으로 저지되고, 접착 부분을 넘어 쇄편사(21)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열접착실(23)의 파단전의 제 2 전구체 편물지(20A)에 있어서도, 풀림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제 2 전구체 편물지(20A)에 대한 풀림 방지 효과에 대하여 서술한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제 2 전구체 편물지(20A)의 풀림 방지를 설명하기 위한 편성도이며, 도 9는 비교예의 레이스 편물지(10A)를 도시하는 편성도이다. 도 8에는, 열접착실(23)이 짜 넣어진 제 1 전구체 편물지(20)를 가열한 제 2 전구체 편물지(20A)를 나타낸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비교예의 레이스 편물지(10A)는 열접착실(23)이 짜 넣어지지 않는 레이스 편물지(10A)를 나타낸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교예의 레이스 편물지(10A)에서는, 코스 방향(C)으로 늘어선 2개의 제 2 루프 형상 부분(25)이 분단 부분(40, 41)에서 절단된 경우, 코스 방향(C) 후단의 분단 부분(40)이 겉감 측으로 당겨지는 것으로, 쇄편사(21)가 계지되는 부분이 끊어지고, 분단 부분(40)보다도 코스 방향(C) 전단을 따라 사슬 뜨기 조직이 풀려 버린다. 비교예의 레이스 편물지(10A)에서는, 사슬 뜨기 조직의 풀림은 코스 방향 전단을 따라 진행하고, 런 고정부분(42)에 도달하여, 런 고정부분(42)에서 풀림이 억제된다. 따라서, 풀림의 진행을 짧게 하기 위해서는, 런 고정부분(42)을 늘릴 필요가 있다. 런 고정부분(42)이 증가하면, 웨일 방향(W)으로 늘어나는 실이 증가하여 버리고, 레이스 편물지(10A)의 투명감이 손상된다.
이것에 대해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제 2 전구체 편물지(20A)에서는, 열접착실(23)이 코스 방향(C)으로 늘어나므로, 코스마다에 같은 단의 제 1 루프 형상 부분(24)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25)이 접착된다.
본 실시 형태의 제 2 전구체 편물지(20A)에서는, 코스 방향(C)으로 늘어선 2개의 제 2 루프 형상 부분(25)이 분단 부분(40, 41)에서 절단된 경우, 코스 방향(C) 후단의 분단 부분(40)이 겉감 측으로 당겨졌다고 하여도, 코스 방향(C) 후단의 분단 부분(40)보다도 코스 방향(C) 후단에서 제 1 루프 형상 부분(24)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25)이 접착된 접착 부분(44)이 존재하므로, 이 접착 부분(44)에서 사슬 뜨기 조직의 풀림이 저지되고, 더 한층 풀림의 진행이 방지된다. 따라서, 비교예의 레이스 편물지(10A)에 비해 사슬 뜨기 조직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착 부분(43, 44)에서 풀림이 억제되므로, 런 고정부분(42)을 줄이거나 또는 없게 할 수 있고, 비교예에 비해 레이스 편물의 투명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 에서는, 각 코스 방향(C)마다, 코스 방향(C) 같은 단의 제 1 루프 형상 부분(24)과 제 2 루프형상 부분(25)이 접착되므로, 제 2 루프 형상 부분(25)의 일부가 분단되었다고 하여도, 웨일이 코스 방향(C)으로 분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웨일에 따라 늘어나 열접착실(23)이 편성되므로, 사슬 뜨기 조직에 대해, 코스 방향(C)의 결속을 높게 할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제 2 전구체 편물지(20A)의 풀림을 설명하기 위한 편성도이며, 도 11은, 비교예의 레이스 편물지(10A)를 도시하는 편성도이다. 도 10에는 열접착실(23)이 짜 넣어진 제 1 전구체 편물지(20)를 가열한 제 2 전구체 편물지(20A)를 나타낸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비교예의 레이스 편물지(10A)는, 열접착실(23)이 짜 넣어지지 않은 레이스 편물지(10A)를 나타낸다. 도 10 및 도 11에는, 복수의 웨일에 걸쳐서 삽입실(22)이 짜 넣어진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교예의 레이스 편물지(10A)에서는, 삽입실(22)이 분단 부분(45)에서 절단된 경우, 삽입실(22) 중에서 분단 부분(45)보다도, 1 또는 복수의 웨일을 넘은 웨일 방향(W) 일측의 부분(46)이, 웨일 방향(W) 일측으로 당겨지는 것으로, 분단 부분(45)이 웨일에서 빠져 삽입실(22)이 레이스 편물지(10A)로부터 빠져 버린다. 예를 들어 삽입실(22)은 쇄편사(21)와의 마찰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것이 저지되는 정도이므로, 큰 힘이 부여되는 것으로, 삽입실(22)이 편입부분으로부터 어긋나거나 빠져 떨어지거나 하여 버리는 일이 있다.
이것에 대해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제 2 전구체 편물지(20A)에서는, 열접착실(23)이 각 웨일(26)에 짜 넣어지므로, 웨일마다 삽입실(22)이, 제 1 루프 형상 부분(24) 및 제 2 루프 형상 부분(25)에 접착된다.
본 실시 형태의 제 2 전구체 편물지(20A)에서는, 삽입실(22)이 분단 부분(45)에서 절단된 경우, 삽입실(22) 중에서 분단 부분(45)보다도, 1 또는 복수의 웨일을 초과한 웨일 방향(W) 일측의 부분(46)이, 웨일 방향(W) 일측으로 당겨진다고 하여도, 삽입실(22)과 웨일(26)과의 접착 부분(47, 48)이 접착되는 것으로, 분단 부분(45)이 웨일(26)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되고, 삽입실(22)의 어긋남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삽입실(22)은 열접착실(23)에 의한 접착력에 의해 사슬 뜨기 조직에 고정되므로, 삽입실(22)의 어긋남 및 누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웨일 방향(W)에 인접하는 웨일(26)은 삽입실(22)을 개입시켜, 서로 접착되는 것으로, 인접하는 웨일의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지거나 하는 것이 방지되고, 레이스 편물지(120)의 레이스 모양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 2 전구체 편물지(20A)를 구성하는 각 실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전구체 편물지(20A)의 열접착실(23)을 복수로 파단하여 레이스 편물지(120)를 형성하였다고 하여도, 레이스 편물지(120)는 제 2 전구체 편물지(20A)에서 달성한 풀림 방지 효과를 한층 더 향상한다. 이것에 의해 레이스 편물지(120)의 봉제 또는 재단 등의 제조 상태에 기인하는 실의 풀림, 착용 또는 세탁 등의 사용 상태에 기인하는 실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고,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열접착실(23)은 표면 부분이 열용융성을 가지는 라사(裸絲)이다. 따라서, 제 1 전구체 편물지(20)가 가열되면, 열접착실(23) 중에서 쇄편사(21)에 접촉하는 부분이 녹아, 쇄편사(21)에 부착한다. 또한 열접착실(23) 중에서 삽입실(22)에 접촉하는 부분이 녹아, 삽입실(22)에 부착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열접착실(23) 중에서, 다른 실과 직접 접촉하는 노출 부분이 다른 실과 부착하는 부분이 되므로, 열접착실(23)이 다른 실에 부착하는 부착량을 증가시킬수 있어 접착력을 향상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의 풀림을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피복실, 즉 피복실에 의해 피복되어 있지 않은 라사(裸絲)로 열접착실(23)을 실현하는 것으로, 하지부의 실의 양을 한층 더 줄일 수 있고, 하지부와 병부와의 실의 소밀차를 크게 하여, 레이스 편물지(120)의 투명감을 향상할 수 있고, 병(柄) 모양을 분명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슬 뜨기 조직의 전영역에 걸쳐서 열접착실(23)이 짜 넣어지므로, 레이스 편물지(120)의 전체에 있어서의 실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스 편물지(120)가 임의의 위치에서 봉제되거나 재단되거나 했다고 하여도, 봉제 부분 및 재단 부분으로부터 실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이스 편물지(120) 전체에 걸친 실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아이래쉬 레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레이스 편물지로서 본 실시 형태의 레이스 편물지(120)를 이용하여도, 속눈썹 형상 부분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이스 편물지(120)를 임의의 위치에서 커트하는 모티프커트에 대해서도, 그 커트 부분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고, 광폭 레이스 등에도 응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레이스 편물지(120) 전체에 걸친 풀림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요구되는 윗도리의 일부에도 레이스 편물지(120)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레이스 편물지(120) 전체에 걸쳐서 실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 용도를 넓힐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열접착실(23) 및 삽입실(22)은 제 1 루프 형상 부분(24)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25)과의 사이를 삽입 통과하는 것으로, 사슬 뜨기 조직에 짜 넣어진다. 레이스 편물지(120)는 사슬 뜨기 조직에 짜 넣어지는 삽입실(22)에 대해서, 제 1 루프 형상 부분(24)이 배치되는 측의 면이 이면이 되고, 그 반대측의 면이 겉면이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열접착실(23)과 삽입실(22)이 공통적으로 짜 넣어지는 부분에는, 삽입실(22)은 열접착실(23)보다 앞방향(Z1)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레이스 편물지(120)을 앞면에서 보면, 삽입실(22)에 의해, 열접착실(23) 및 제 1 루프 형상 부분(24)이 은폐된다.
이와 같이 삽입실(22)에 의해 열접착실(23)을 은폐할 수 있고, 열접착실(23)을 겉면에서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레이스 편물지(120)에 형성 되는 모양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열접착실(23)이 녹았다고 해도, 앞면에서 본 병(柄) 모양에 부여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열접착실(23)이 제 1 루프 형상 부분(24)과 삽입실(22)과의 사이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제 1 루프 형상 부분(24)과 삽입실(22)을 접착시킬 수 있고, 삽입실(22)이 사슬 뜨기 조직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열접착실(23)과 삽입실(22)이 같은 제 1 루프 형상 부분(24)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25)과의 사이를 삽입 통과하는 영역에서는, 열접착실(23)과 삽입실(22)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루프 형상 부분(25)을 통과한다. 이 경우, 레이스 편물지(120)를 웨일 방향(W)으로 끌어 당기는 것으로, 열접착실(23)과 삽입실(22)로 둘러쌓인 영역이 서로 웨일 방향(W)으로 근접하고, 열접착실(23), 삽입실(22), 제 1 루프 형상 부분(24) 및 제 2 루프 형상 부분(25)이 서로 접근하는 접근 부분(34)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웨일 방향(W)으로 끌어 당긴 상태에서 제 1 전구체 편물지(20)를 가열하는 것으로, 접근 부분(34)에서 열접착실(23)의 일부를 녹일 수 있거나, 열접착실(23), 삽입실(22), 제 1 루프 형상 부분(24) 및 제 2 루프 형상 부분(25)을 접착하는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열접착실(23)의 섬도는, 10~300데니어로 설정되고, 쇄편사는 20~70데니어로 설정된다. 열접착실(23)이 10데니어 미만이면, 레이스 편물의 열접착실의 모든 것이 녹을 우려가 있고, 또한 열접착실(23)의 일부가 녹도록 하여도, 다른 실과 열접착실(23)과의 접착량이 부족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실의 풀림이 생겨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열접착실(23)이 300데니어를 초과하면, 열접착실(23)에 하지부와 병부와의 실의 소밀차가 적게 되는 것에 기인하여, 레이스 편물의 투명감이 저하하고, 미감이 저하하여 버린다. 또한 레이스 편물이 딱딱해져 버린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접착실(23)의 섬도를 10~300데니어로 하는 것으로, 실의 풀림을 해소함과 함께, 미감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열접착실(23)은 70데니어 이하인 것에 의해, 미감의 저하를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도 12는 제 1 실시 형태의 제 1 전구체 편물지(20)를 편성하기 위한 러셀 편물기(60)의 편성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제 1 전구체 편물지(20)는 예를 들어 백 자카드 러셀 편물기에 의해 편성할 수 있다. 백 자카드 편물기(60)(이하, 단지 편물기(60)라 칭한다)는 쇄편사(21), 삽입실(22), 열접착실(23)을 뜨개질 바늘(72)근방에 설치되는 편성 위치(73)를 향해 실을 인도하는 사(導絲) 수단을 가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열접착실(23)을 편성 위치(73)를 향해 실을 인도하는 도사(導絲) 수단이, 삽입실(22)을 편성 위치(73)를 향해 실을 인도하는 도사(導絲) 수단보다도, 편물기 후방에 배치된다. 여기서 편물기 후방이란, 뜨개질 바늘(72)의 배면으로부터 훅부로 향하는 방향이다.
구체적으로는, 편물기가 가지는 도사(導絲) 수단은, 열접착실용 바디(reed, 61), 자카드 바(62, 63), 복수의 병성(柄筬(pattern guide bar), 64), 및 지성(地筬(ground guide bar), 65)에 의해 실현된다. 쇄편사(21)는 지성(65)에 실이 통하고, 삽입실(22)은 자카드 바(62, 63)에 실이 통하고, 열접착실(23)은 열접착실용 바디(61)에 실이 통한다. 또한 병(柄) 모양을 형성하기 위한 실인 병사(柄絲)가 웨일(26)에 짜 넣어지는 경우에는, 그러한 병사는 복수의 병성(64)에 실이 통한다. 이하, 열접착실(23) 및 삽입실(22)외에, 병사가 짜 넣어지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각 도사(導絲) 수단(61 내지 65)은 뜨개질 바늘(72)이 쇄편사(21)을 포착하는 편성 위치(73)를 향하고, 방사상으로 늘어서서, 뜨개질 바늘(72)이 쇄편사(21)을 포착하는 방향이 되는 편물기 후방을 향함에 따라, 지성(65), 복수의 병성(64), 자카드 바(62, 63), 열접착실용 바디(61)의 순서로 배치된다. 따라서 각 실은, 쇄편사(21), 복수의 병사, 삽입실(22) 및 열접착실(23)의 순서로, 미리 정한 편성 위치로부터 편물기 후방에 늘어선다.
뜨개질 바늘(72)은 편물기 전후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 늘어서서 형성되고, 각 뜨개질 바늘(72)을 유지 지지하는 유지 지지 수단이 되는 니들 바(69)에 고정된다. 니들 바(69)는 각 뜨개질 바늘(72)을 승강 운동한다. 또한 니들 바(69)가 동작하여, 각 도사(導絲) 수단(61 내지 65)에 인도되는 각 실이 미리 정한 편성 위치로 인도된다.
각각의 도사(導絲) 수단(61 내지 65)은 대응하는 각 실을 뜨개질 바늘(72)의 승강 운동에 동기하여, 뜨개질 바늘(72)에 대해서 편물기 후방의 공간에서 대응하는 각 실을, 뜨개질 바늘(72)이 줄서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오버 랩(코편성 운동)과, 뜨개질 바늘(72)에 대해서 편물기 전방의 공간에서 대응하는 각 실을 뜨개질 바늘(72)이 늘어서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언더 랩(삽입 운동)을 행한다. 또한 이러한 랩 운동에 가세하여 뜨개질 바늘(72)이 늘어서는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른바 스윙(요동 운동)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스윙 동작이 있다.
제 1의 스윙 동작인 스윙 인(백 스잉)동작에서는, 뜨개질 바늘(72)의 측방을 통과하여, 뜨개질 바늘(72)에 대해서 편물기 후방의 공간으로부터 편물기 전방의 공간에 대응하는 각 실을 이동시킨다. 또한, 제 2 스윙 동작인 스윙 아웃(프론트 스잉)동작에서는, 뜨개질 바늘(72)의 측방을 통과하여, 뜨개질 바늘(72)에 대해서 편물기 전방의 공간으로부터 편물기 후방의 공간에 대응하는 각 실을 이동시킨다. 각 도사(導絲) 수단(61 내지 65)에 설치된 가이드가 동작하는 것에 의해, 대응하는 각 실이 뜨개질 바늘(72)의 주위를 미리 정해진 경로에 따라 통과하고, 대응하는 각 실을 포함한 편물지가 형성된다.
또한 편성부는, 스팃치 캠 바(71), 트릭 플레이트 바(68) 및 통즈(tongs) 바(70)를 구비한다. 통즈 바(70)는 선단부에 각 뜨개질 바늘에 대응한 복수의 통즈가 형성된다. 편물기(60)는, 도사(導絲) 수단(61 내지 65) 및 니들 바((69)의 동작에 의해, 상술한 제 1 전구체 편물지(20)를 편성한다. 그리고, 스팃치 컴 바(71)의 편성 보조 작용에 의해 편성된 제 1 전구체 편물지(20)를 보조 편성하고, 트릭 플레이트 바(68)를 통과시켜, 편성부의 근방에 설치되는 권취부에 의해, 제 1 전구체 편물지(20)를 권취한다.
도 13a 내지 도 13e는 사슬 뜨기 부분의 뜨개질 바늘(72)과 지성(65)과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해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13a 내지 도 13e의 순서로 쇄편사(21)의 사슬 뜨기 부분의 편성 작업이 진행된다. 뜨개질 바늘(72)은 선단부에 쇄편사(21)가 걸리는 훅부(50)가 형성되고, 기단부에 뜨개질 바늘 본체(51)가 형성된다. 또한 통즈 바(70)의 선단부에는, 훅부(50)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통즈(52)가 형성된다. 뜨개질 바늘(72) 및 통즈(52)는, 지성(65)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13a 내지 도 13e를 이용하여, 우선 웨일(26)의 편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웨일(26)에 짜 넣어지는 삽입실(22) 및 열접착실(23)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성(65)이 뜨개질 바늘(72)의 전방에 배치된 상태로, 훅부(50)가 쇄편사(21)에 의해 형성되는 새로운 제 1 루프 형상 부분(24j)을 걸어 통즈(52)가 훅부(50)의 개구를 막는다. 다음에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뜨개질 바늘(72)이 통즈(52)에 대해서 지성(65)을 향해서 상승한다. 이것에 의해 훅부(50)의 통로가 개방되고, 훅부(50)가 걸은 쇄편사(21)의 제 1 루프 형상 부분(24j)이 훅부(50)로부터 빠져 나와, 뜨개질 바늘 본체(51)로 이동한다.
다음에 도 1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성(65)이 뜨개질 바늘(72)에 대해서 백 스잉한다. 다음에, 지성(65)이 오버 랩하고, 한층 더 프런트 스윙한다. 이것에 의해 지성(65)에 인도되는 실이 쇄편사(21)가 뜨개질 바늘(72)을 권취하도록 이동하고, 새로운 제 1 루프 형상 부분(24k)을 형성한다. 이 새로운 제 1 루프 형상 부분(24k)은 훅부(50)에 의해 걸린다. 다음에 도 13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즈(52)가 훅부(50)를 향하여 상승하고, 훅부(50)의 개구를 막는다. 이때 뜨개질 바늘(72)에는, 뜨개질 바늘 본체(51)에 형성되는 기존의 제 1 루프 형상 부분(24j)과 훅부(50)가 걸리는 새로운 제 1 루프 형상 부분(24k)이 형성된다.
다음에 도 13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뜨개질 바늘(72)과 통즈(52)가 함께 강하하는 것에 의해, 기존의 제 1 루프 형상 부분(24j)이 뜨개질 바늘(72)을 벗어나, 트릭 플레이트(53)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지성(65)이 뜨개질 바늘(72)의 전방으로 배치된 상태로, 훅부(50)가 쇄편사(21)에 의해 형성되는 새로운 제 1 루프 형상 부분(24k)을 걸어, 도 13a와 거의 같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13a 내지 도 13e를 이용하여 도시한 동작 사이클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제 1 루프 형상 부분(24)이 차례차례 형성됨과 함께, 각 제 1 루프 형상 부분(24j,24k)을 연결하는 제 2 루프 형상 부분(25j)이 차례차례 형성되는 웨일(26)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성(65)이 적절하게 언더 랩 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웨일(26)이 코스 방향(C)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웨일(26)의 편성 작업을 행하면서, 삽입실(22) 및 열접착실(23) 등의 삽입실을 웨일(26)에 짜 넣는 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제 1 전구체 편물지(20)를 편성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자카드 바(62) 및 열접착실용 바디(61)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해서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14a 내지 도 14c의 순서로 동작이 진행된다. 도 14a는 도 13c에, 도 14b는 도 13d에, 도 14c는 도 13e에 각각 대응하고, 각각 자카드 바(62) 및 열접착실용 바디(61)을 더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편물기(60)는 쇄편사의 실을 인도하는 지성(65)보다, 자카드 바(62, 63)쪽이 편물기 후방에 배치된다. 또한, 자카드 바(62, 63)보다도, 열접착실용 바디가 되는 열접착실용 바디(61)쪽이 편물기 후방에 배치된다.
도 14a 및 도 1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성(65)이 뜨개질 바늘(72)에 대해서 편물기 후방에 배치되는 상태에서는, 자카드 바(62) 및 열접착실용 바디(61)도 또한 뜨개질 바늘(72)에 대해서 편물기 후방에 배치된다. 또한 도 1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성(65)이 뜨개질 바늘(72)에 대해서 편물기 전방으로 배치된 상태에서는, 자카드 바(62) 및 열접착실용 바디(61)도 또한 뜨개질 바늘(72)의 전방에 배치된다.
또한 자카드 바(62) 및 열접착실용 바디(61)은 도 1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성(65)이 백 스잉한 상태에서, 언더 랩핑 하는 것으로, 인도되는 실이 열접착실(23) 및 삽입실(22)이 쇄편사(21)를 넘는다. 이 상태에서, 쇄편사(21)에 의해 새롭게 루프를 형성하면, 그 루프에 열접착실(23) 및 삽입실(22)이 짜 넣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열접착실용 바디(61) 및 자카드 바(62)는 지성(65)의 스윙 동작에 동기하여 동작한다.
자카드 바(62)가 열접착실용 바디(61)보다 편물기 전방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지성(65)에 의해 형성되는 사슬 뜨기부분에 열접착실(23) 및 삽입실(22)이 짜 넣어지는 경우, 편성 위치에 실이 인도되는 열접착실(23)쪽이, 편성 위치에 실이 인도되는 삽입실(22)보다 편물기 후방에 배치되고, 삽입실(22)쪽이 열접착실(23)보다 제 1 전구체 편물지(20)의 표면측에 위치하게 된다.
도 15a 및 도 15b는, 도 3에 있어서의 S영역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조직도이며, 도 15a에 쇄편사(21)의 조직도를 나타내고, 도 15b에 열접착실(23)의 조직도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임의의 위치에 있는 뜨개질 바늘(72)을 제 1 뜨개질 바늘(72a)로 하고, 제 1 뜨개질 바늘(72a)에 대해서 웨일 방향(W) 한쪽에 인접하는 뜨개질 바늘(72)을 제 2 뜨개질 바늘(72b)로 하고, 제 2 뜨개질 바늘(72b)에 대해서 웨일 방향(W) 한쪽에 인접하는 뜨개질 바늘(72)을 제 3 뜨개질 바늘(72c)로 한다. 제 1 뜨개질 바늘(72a)과 제 1 뜨개질 바늘(72a)에 대해서 웨일 방향(W) 다른 쪽에 배치되는 뜨개질 바늘(72)과의 사이의 간격을 제 1 뜨개질 바늘 사이(L1)로 하고, 제 1 뜨개질 바늘(72a)과 제 2 뜨개질 바늘(72b)과의 사이의 간격을 제 2 뜨개질 바늘 사이(L2)로 하고, 제 2 뜨개질 바늘(72b)과 제 3 뜨개질 바늘(72c)과의 사이의 간격을 제 3 뜨개질 바늘 사이(L3)로 하고, 제 3 뜨개질 바늘(72c)과 제 3 뜨개질 바늘(72c)에 대해서 웨일 방향(W) 한쪽에 배치되는 뜨개질 바늘(72)과의 사이의 간격을 제 4 뜨개질 바늘 사이(L4)로 한다.
각 쇄편사(21)의 실을 인도하는 지성(65)은 각 쇄편사(21)에 대해 마찬가지의 편성 동작을 행한다. 제 1 코스(C1)에 있어서, 제 2 뜨개질 바늘(72b)에 쇄편사(21)를 거는 쇄편사 가이드에 주목하여 설명하고, 잔여의 쇄편사 가이드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코스(C1)에서는, 주목하는 쇄편사 가이드는, 제 3 뜨개질 바늘 사이(L3)를 백 스잉하고, 오버 랩하여 제 2 뜨개질 바늘 사이(L2)를 통하여 프런트 스윙한다. 제 2 코스(C2)에서는, 주목하는 쇄편사 가이드는, 제 2 뜨개질 바늘 사이(L2)를 백 스잉하고, 오버 랩하여 제 2 뜨개질 바늘 사이(L2)를 통하여 프런트 스윙한다.
제 3코스(C3)에서는, 주목하는 쇄편사 가이드는, 제 4 뜨개질 바늘 사이(L4)에 언더 랩하고, 제 4 뜨개질 바늘 사이(L4)를 백 스잉하고, 오버 랩하여 제 3 뜨개질 바늘 사이(L3)를 지나 프런트 스윙한다. 제 4코스(C4)에서는, 주목하는 쇄편사 가이드는, 제 3 뜨개질 바늘 사이(L3)를 백 스잉하고, 오버 랩하여 제 4 뜨개질 바늘 사이(L4)를 지나 프런트 스윙한다. 제 5 코스(C5)에서는, 주목하는 쇄편사 가이드는, 제 4 뜨개질 바늘 사이(L4)를 백 스잉하여, 오버 랩 하여 제 3 뜨개질 바늘 사이를 지나 프런트 스윙한다.
제 6 코스(C6)에서는, 제 4 코스(C4)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하고, 제 7 코스(C7)에서는, 제 5 코스(C5)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한다. 제 8 코스(C8)에서는, 주목하는 쇄편사 가이드는 제 4 뜨개질 바늘 사이(L4)에 언더 랩하고, 제 4 뜨개질 바늘 사이(L4)를 백 스잉하고, 오버 랩하여 제 3 뜨개질 바늘 사이(L3)를 지나 프런트 스윙한다. 제 9 코스(C9)에서는, 주목하는 쇄편사 가이드는 제 2 뜨개질 바늘 사이(L2)에 언더 랩하고, 제 2 뜨개질 바늘 사이(L2)를 백 스잉하고, 오버 랩하여 제 3 뜨개질 바늘 사이(L3)를 지나 프런트 스윙한다.
이와 같이 지성(65)은 쇄편사(21)마다 설치되는 가이드를 이용하여, 각 코스에서 각 뜨개질 바늘(72)에, 소정의 쇄편사(21)를 거는 동작을 반복하여 행한다. 이것에 의해, 연쇄 상태로 늘어나는 사슬 뜨기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편물기(60)는 각 코스에서 뜨개질 바늘(72)에 쇄편사(21)를 거는 과정에서, 적절하게 언더 랩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 2 루프 형상 부분(25)을 웨일 방향(W) 일측 및 웨일 방향(W) 다른측으로 횡진(橫振)하는 것을 시킬 수 있고, 웨일 방향(W)에 인접하는 웨일(26)을 연결하여, 풀림 방지 기능을 가지는 사슬 뜨기조직을 형성할 수 있다.
열접착실용 바디(61)에 의해 열접착실(23)은 지성(65)에 동기하여 스윙 동작을 행한다. 각 열접착실(23)의 실을 인도하는 열접착실용 바디(61)은 각 열접착실(23)에 대해 마찬가지의 편성 동작을 행한다. 제 1 코스(C1)에 있어서, 제 2 뜨개질 바늘 사이(L3)에 열접착실(23)을 위치시키는 열접착실 가이드에 대해 주목하여 설명하고, 잔여의 열접착실 가이드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코스(C1)에서는, 주목하는 열접착실 가이드는 제 2 뜨개질 바늘 사이(L2)를 언더 랩하여, 제 3 뜨개질 바늘 사이(L3)에 도달한다. 또한 제 2 코스(C2)에서는 제 3 뜨개질 바늘 사이(L3)를 언더 랩하여, 제 2 뜨개질 바늘 사이(L2)에 도달한다. 주목하는 열접착실 가이드는 제 2 코스(C2) 이후, 제 1 코스(C1) 및 제 2 코스의 동작을 순서대로 반복한다. 이와 같이 열접착실(23)은, 열접착실용 바디(61)에 의해, 지성(65)의 스윙 동작과 동기하고, 인접하는 2개의 뜨개질 바늘 사이의 사이를 언더 랩하여 왕복한다.
또한 열접착실 이외의 삽입실, 예를 들어 삽입실(22)에 대해서도, 자카드 바(62)가 지성(65)의 스윙 동작과 동기하고, 미리 정한 위치에서 미리 정한 거리와 방향에 대해서 언더 랩을 반복한다. 마찬가지로 병사에 대해서도, 병성(64)이 지성(65)의 스윙 동작과 동기하여, 미리 정한 위치에서 미리 정한 거리와 방향에 대해서 언더 랩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열접착실용 바디(61), 자카드 바(62, 63), 복수의 병성(64), 지성(65) 및 뜨개질 바늘(72)이 편성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S영역에 형성하는 레이스 편물지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편물기(60)는 편물기 후방을 향함에 따라, 지성(65), 자카드 바(62, 63) 및 열접착실용 바디(61)의 순서로 배치되는 것에 의해, 삽입실(22)을 열접착실(23)보다도, 제 1 전구체 편물지(20)의 겉쪽에 배치 할 수 있고, 도 2에 도시하는 본 실시 형태의 제 1 전구체 편물지(2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6은 레이스 편물 제품의 제조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우선, 스텝 s0에서, 편성해야 할 레이스 편물의 모양을 결정하면, 스텝 s1로 진행한다. 스텝 s1에서는, 쇄편사(21), 삽입실(22), 열접착실(23) 및 병사를 준비하고, 스텝 s0에서 결정한 모양이 되도록, 편물기(60)의 각 도사(導絲) 수단의 동작 프로그램을 입력한다. 다음에, 편물기(60)를 동작시킨다. 이것에 의해 원하는 모양을 가지는 제 1 전구체 편물지(20)를 편성할 수 있다. 제 1 전구체 편물지(20)의 편성 작업이 완료하면 스텝 s2로 진행한다.
스텝 s2에서는 스텝 s1에서 편성한 제 1 전구체 편물지(20)를 염색하고, 염색이 완료하면, 스텝 s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에서는, 제 1 전구체 편물지(20)를 정돈하기 위해서, 제 1 전구체 편물지(20)를 미리 정한 온도로 가열한다. 이 때, 제 1 전구체 편물지(20)는, 웨일 방향(W)으로 당겨진 상태로 가열된다. 이것에 의해 편물지가 정돈되는 것과 함께, 상술한 열접착실(23)의 일부가 용융하고, 인접하는 다른 실에 부착한다. 제 1 전구체 편물지(20)의 가열을 미리 정한 온도로 미리 정한 시간동안 가열하고, 스텝 s4로 진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180~195℃로 유지한 상태에서, 60초 유지하는 것에 의해, 레이스 편물지(120)를 제조한다. 레이스 편물지(120)는 제 1 전구체 편물지(20)가 가열되고 있으므로, 열접착실(23)의 일부가 다른 실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레이스 편물지(120)는 스텝 s2 공정 후에 비교하여 당겨져 있으므로, 열접착실(23)이 복수로 분단되어 있다.
스텝 s4에서는, 레이스 편물지(120)를 재단함과 함께, 재단한 레이스 편물지(120)를 봉제하는 것에 의해, 레이스 편물 제품을 제조하고, 레이스 편물 제품을 제조하면 스텝 s5로 진행하여, 작업을 종료한다.
스텝 s5에 있어서의 재단 봉제 공정시에는, 열접착실(23)의 일부가 다른 실에 고착하고 있으므로, 사슬 뜨기 조직의 결속이 강화되어 있다. 따라서, 재단 또는 봉제시에, 각 실이 풀리는 것이 방지되고, 제조되는 레이스 편물 제품의 수율을 향상하고,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조된 레이스 편물 제품에 대해서도 사슬 뜨기 조직의 결속이 강화되어 있으므로, 착용 또는 세탁 등의 사용에 기인하는 풀림을 억제할 수 있고, 레이스 편물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스텝 s3에 도시하는 가열 공정에 있어서, 제 1 전구체 편물지(20)를 웨일 방향(W)으로 끌어 당긴 상태로 가열하는 것에 의해, 루프 형상 부분(24, 25)에 삽입실(22)과 열접착실(23)이 근접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열접착실(23)에 의해서, 루프 형상 부분(24, 25)과 삽입실(22)을 강고하게 접착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인 제 1 전구체 편물지(20B)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편성 조직도이다. 제 2 실시 형태의 제 1 전구체 편물지(20B)는 제 1 실시 형태의 제 1 전구체 편물지(20)에 비해 열접착실(23)이 제 2 루프 형상 부분(25)을 통과하는 방향이 다르고,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제 1 실시 형태의 제 1 전구체 편물지(20)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열접착실(23)은 삽입실(22)과 같은 방향으로 제 2 루프 형상 부분(25)을 통과하고, 제 1 루프 형상 부분(24)과, 삽입실(22)과의 사이를 삽입 통과한다. 구체적으로는, 열접착실(23) 및 삽입실(22)은 주목하는 제 1 루프 형상 부분(24a)이 코스 방향 전단(C1)의 제 2 루프 형상 부분(25b)과 이어지는 측과 반대측으로부터, 주목하는 제 1 루프 형상 부분(24a)과 코스 방향 같은 단의 제 2 루프 형상 부분(25a)을 통과한다.
이와 같이 열접착실(23)이 삽입실(22)과 같은 방향으로 제 2 루프 형상 부분(25)을 삽입 통과 하는 것으로, 삽입실(22)과 열접착실(23)과의 접촉 부분을 늘릴 수 있고, 열접착실(23)이 삽입실(22)을 접착하는 접착력을 향상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삽입실(22)의 풀림을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 열접착실(23) 및 삽입실(22)은 주목하는 제 1 루프 형상 부분(24a)이 코스 방향(C) 전단의 제 2 루프 형상 부분(25b)과 이어지는 측으로부터, 주목하는 제 1 루프 형상 부분(24a)과 코스 방향(C) 같은 단의 제 2 루프 형상 부분(25a)을 통과하는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열접착실(23)은 주목하는 제 1 루프 형상 부분(24a)이 코스 방향(C) 전단의 제 2 루프 형상 부분(25b)과 이어지는 측으로부터, 주목하는 제 1 루프 형상 부분(24a)과 코스 방향(C) 같은 단의 제 2 루프 형상 부분(25a)을 통과하여, 삽입실(22)은 주목하는 제 1 루프 형상 부분(24a)이 코스 방향(C) 전단의 제 2 루프 형상 부분(25b)과 이어지는 측과 반대측으로부터, 주목하는 제 1 루프 형상 부분(24a)과 코스 방향(C) 같은 단의 제 2 루프 형상 부분(25a)을 통과하는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인 제 1 전구체 편물지(20D)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편성 조직도이다. 도 19는 쇄편사(21), 열접착실(23) 및 신축실(27) 이외의 실을 생략하여 제 1 전구체 편물지(20D)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편성 조직도이다.
제 3 실시 형태의 제 1 전구체 편물지(20D)는 제 2 실시 형태의 제 1 전구체 편물지(20B)에 비하여, 열접착실(23)과는 별개로, 신축성을 가지는 신축실(27)이 한층 더 짜 넣어지고,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제 1 실시 형태의 제 1 전구체 편물지(20)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 형태의 제 1 전구체 편물지(20D)는, 열접착실(23)과는 별도로 신축실(27)이 신장 상태로 짜 넣어지는 것으로, 편성 후의 제 1 전구체 편물지(20D)가 수축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전구체 편물지(20D)에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축실은 폴리우레탄 탄성실, 이른바 스판덱스가 이용된다.
신축실(27)은 삽입실(22)보다도 제 1 루프 형상 부분(24)측으로 늘어난다. 또한 신축실(27)과 열접착실(23)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 2 루프 형상 부분(25)을 통과하여, 사슬 뜨기 조직에 짜 넣어진다. 바꾸어 말하면, 열접착실(23)은 신축실(27)과는 다른 방향으로 늘어나서 짜 넣어진다. 신축실(27)은 각 웨일에 짜 넣어져, 각각 웨일에 따라 코스 방향(C)으로 진행됨에 따라 지그재그로 통과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신축실(27)은 주목하는 제 1 루프 형상 부분(24a)이 코스 방향(C) 전단의 제 2 루프 형상 부분(25b)과 이어지는 측으로부터, 주목하는 제 1 루프 형상 부분(24a)과 코스 방향 같은 단의 제 2 루프 형상 부분(25a)을 통과한다. 또한 삽입실(22) 및 열접착실(23)은 주목하는 제 1 루프 형상 부분(24a)이 코스 방향(C) 전단의 제 2 루프 형상 부분(25b)과 이어지는 측과 반대측으로부터, 주목하는 제 1 루프 형상 부분(24a)과 코스 방향(C) 같은 단의 제 2 루프 형상 부분(25a)을 통과한다. 따라서, 신축실(27)과 열접착실(23)과 삽입실(22)이 함께 같은 루프를 통과하는 부분에서는, 신축실(27)이 열접착실(23) 및 삽입실(22)에 교차한다.
제 3 실시 형태와 같이 신축실(27)이 제 1 전구체 편물지(20D)에 짜 넣어졌을 경우에 대해서도, 제 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열접착실(23)이 다른 실을 접착하는 것에 의해 각 실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접착실(23)이 신축실(27)과 쇄편사(21)를 접착하는 것에 의해, 신축실(27)이 사슬 뜨기 조직으로부터 빠진다. 이른바 스팬(span) 누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전구체편물지(20D)를 웨일 방향(W)으로 끌어 당기는 것으로, 신축실(27)과 삽입실(22)로 둘러쌓인 영역이 서로 웨일 방향(W)으로 근접하고, 열접착실(23), 삽입실(22), 신축실(27), 제 1 루프 형상 부분(24) 및 제 2 루프 형상 부분(25)이 서로 접근하는 접근 부분(34)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웨일 방향(W)으로 당겨진 상태로 제 1 전구체 편물지(20D)를 가열하는 것으로, 접근 부분(34)에서 열접착실(23)의 일부를 녹일 수 있고, 열접착실(23), 신축실(27), 삽입실(22), 제 1 루프 형상 부분(24) 및 제 2 루프 형상 부분(25)을 접착하는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삽입실(22)과 열접착실(23)이 같은 방향으로 늘어나는 것에 의해, 열접착실(23)이 삽입실(22)에 접촉하는 접촉 부분을 증가시킬 수 있고, 삽입실(22)이 빠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접착실(23)과 신축실(27)이 교차하는 것에 의해, 열접착실(23)이 신축실(27)에 접착하고, 신축실(27)을 구속하는 구속 부분을 줄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레이스 편물지의 신축성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스팬 누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전구체 편물지(20)에 있어서, 열접착실(23)과 신축실(27)이 함께, 쇄편사(21)에 짜 넣어지는 부분에서는, 열접착실(23)과 신축실(27)로, 제 1 루프 형상 부분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과의 사이를 삽입 통과하는 방향이 각각 다르다.
이것에 의해 신축실(27)과 열접착실(23)이 접촉하는 접촉량을 줄일 수 있고, 가열 공정에서 용융한 열접착실(23)을 쇄편사(21)에 부착하기 쉽게 할 수 있고, 레이스 편물지(120)에 있어서, 쇄편사(21)에 융착 부분(100)을 형성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열접착실(23)과 신축실(27)이 폴리우레탄계의 동류의 소재이며, 쇄편사(21)가 나일론(폴리아미드계 합성 섬유) 등의 열접착실(23)과는 다른 소재인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열접착실(23)은 동류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신축실(27)에 부착되면 해리하기 어려운 것에 대하여, 다른 소재로 이루어지는 쇄편사(21)에 부착하면 해리하기 쉽다.
이 경우, 신축실(27)과 쇄편사(21)와의 양쪽 모두에 열접착실(23)이 부착되었을 경우에는, 쇄편사(21)로부터 해리하기 쉬워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신축실(27)과 쇄편사(21)와의 양쪽 모두에 열접착실(23)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쇄편사(21)로부터 열접착실(23)이 해리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고, 융착 부분(100)이 쇄편사(21)에 잔류되기 쉽게 할 수가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인 제 1 전구체 편물지(20E)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편성 조직도이다. 제 4 실시 형태의 제 1 전구체 편물지(20E)는, 제 3 실시 형태의 제 1 전구체 편물지(20D)에 비교하여, 신축실(27)이 늘어나는 방향이 다르고,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신축실(27)은 주목하는 제 1 루프 형상 부분(24a)이 코스 방향(C) 전단의 제 2 루프 형상 부분(25b)과 이어지는 측과 반대측으로부터, 주목하는 제 1 루프 형상 부분(24a)과 코스 방향(C) 같은 단의 제 2 루프 형상 부분(25a)을 통과한다. 따라서, 신축실(27), 삽입실(22) 및 열접착실(23)이 함께 같은 제 2 루프 형상 부분(25)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같은 방향으로 통과한다. 신축실(27), 삽입실(22) 및 열접착실(23)이 함께 같은 제 2 루프 형상 부분을 통과하는 부분에서는, 그러한 각 실(22, 23, 27)이 근접한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열접착실(23)이 용융한 경우에는, 삽입실(22)과 신축실(27)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도 21은 제 3, 4 실시 형태의 제 1 전구체 편물지(20D, 20E)를 편성하기 위한 백 자카드 러셀편물기(60C)의 편성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편물기(60)는 자카드 바(62)와, 열접착실용 바디(61)의 사이에, 신축실(27)을 편성 위치(73)를 향해 실을 인도하는 도사(導絲) 수단이 되는 신축실용 바디(66)이 배치된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2에 도시하는 편물기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신축실용 바디(66) 및 열접착실용 바디(61)이 배치되는 것으로, 삽입실(22)보다 안쪽에 신축실용 바디(66) 및 열접착실용 바디(61)이 배치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레이스 편물지(120)를 겉에서 보았을 경우에, 삽입실(22)에 의하여 신축실(27) 및 열접착실(23)이 은폐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레이스 편물지의 모양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자카드 바(62, 63), 신축실용 바디(66) 및 열접착실용 바디(61)의 동작을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해, 제 3 및 제 4 실시 형태에 도시하는 제 1 전구체 편물지(20D, 20E)를 편성할 수 있다. 또한 신축실용 바디과 열접착실용 바디는, 전후가 반대로 배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제 3 및 제 4 실시 형태의 레이스 편물지 중에서, 신축실과 열접착실과의 상하가 역이 된다. 이러한 신축실과 열접착실과의 실의 상하가 바뀌는 경우이라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백 자카드 편물기 외, 자카드 바(62, 63)가 병사보다 편물기 전방으로 배치되는 프런트 자카드편물기로 편성된 레이스 편물지도, 열접착실(23)이 짜 넣어지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인 제 1 전구체 편물지(20F)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편성 조직도이다. 열접착실(23)은 삽입실(22)보다 안쪽에 배치되는 편이 바람직하지만,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실(22)보다 겉쪽에 짜 넣어지는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도 23은 제 5 실시 형태의 제 1 전구체 편물지(20F)를 편성하기 위한 백 자카드 러셀 편물기(60F)의 편성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편물기(60)는 자카드 바(62)보다 편물기 전방으로, 열접착실용 바디(61)이 배치된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20에 도시하는 편물기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제 2 내지 제 5 실시 형태의 제 1 전구체 편물지(20B, 20D 내지 20F)라도, 편성 공정 후에 가열 공정 및 파단 공정을 거치는 것으로, 제 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는, 발명의 예시에 지나지 않고, 발명의 범위내에서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풀림 방지 기능을 가지는 사슬 뜨기 조직에, 열접착실(23) 및 삽입실(22)이 짜 넣어졌지만, 기초가 되는 편물지는 사슬 뜨기로 형성되어 있어면 되고, 상술하는 사슬 뜨기 조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쇄편사(21)의 제 2 루프 형상 부분이 횡진(橫振)하지 않는 사슬 뜨기 조직, 즉 풀림 멈춤 효과를 가지지 않는 사슬 뜨기 조직이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초가 되는 편물지는, 기본적인 체인 스팃치 조직외, 튈(얇은 망사 직물)편물지라도 좋고, 파워 넷 조직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파워 넷 조직에 형성되는 것으로, 다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분명한 병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기초가 되는 편물지는, 광폭 레이스(올 오버 레이스) 및 폭이 좁은 레이스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편물기로 편성된 레이스 편물지는 스판덱스가 사슬 뜨기 조직에 짜 넣어지는 것으로 신축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편물기로서 스판덱스를 짜 넣지 않는 편물기로 편성된 레이스 편물지도 포함한다. 이 경우, 레이스 편물지는 신축성을 거의 가지지 않고, 이른바 리짓 레이스 편물지가 된다. 또한 열접착실(23)은 신축성이 낮은 것 또는 신축성을 가지지 않은 것이라도 좋다. 열접착실(23)은 용착 후에 파단 가능하면, 상술한 소재 이외의 재질로 이루어져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삽입실을 병사(柄絲)로 하여도 좋고, 부사(浮絲)로 하여도 좋다. 또한, 열접착실(23)은 모든 사슬 뜨기 부분에 짜 넣어질 필요는 없고, 웨일 방향(W) 및 코스 방향(C)으로 간격을 두어 사슬 뜨기 부분에 짜 넣어도 좋다. 이와 같이 상술하는 실시 형태에 도시하는 레이스 편물지 조직은 일예시에 지나지 않고, 기초가 되는 편물지의 조직, 각 삽입실의 짜 넣는 방법, 쇄편사 및 각 삽입실의 종류에 대해,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열접착실(23)은 비피복실이라고 하였지만, 심사(芯絲)와 피복실에 의해 구성되는 커버링실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어느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의 대응(1) 내지 (7)이 가능하다.
(1) 쇄편사에 의해, 복수의 루프 형상 부분이 형성되는 사슬 뜨기 조직을 가지는 레이스 편물지이고, 사슬 뜨기 조직에 쇄편사보다도 낮은 용융 온도를 가지는 열접착실이 짜 넣어지는 부분을 가지고, 실이 조밀하지 않은 하지부와, 사슬 뜨기 조직에 상기 열접착실과 모양을 형성하기 위한 삽입실이 짜 넣어지는 부분을 가지고, 실이 조밀한 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 편물지.
단위 면적당의 실의 양이 조밀한 병부와, 단위 면적당의 실의 양이 조밀하지 않은 하지부를 가진다. 병부와 하지부가 조합되는 것에 의해, 실의 소밀(疎密)차에 의해 편물지에 콘트라스트를 붙일 수가 있고, 병(柄) 모양을 가지는 레이스 편물지를 형성할 수 있다. 레이스 편물지를 쇄편사의 용융 온도 미만으로 또한 열접착실의 용융 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으로, 열접착실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용해한다. 용해 부분의 일부는 쇄편사 및 삽입실에 부착한다. 이 상태로 고체화 하는 것으로, 레이스 편물지를 이용하여 제조한 레이스 편물에 대해, 열접착실에 접하는 쇄편사 및 삽입실이 열접착실로부터 유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접착실에 접하는 각 실을 열접착실에 의해 서로 접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실의 연결 상태가 유지되고, 실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열접착실이 다른 실과 부착한 부착 부분에서 사슬 뜨기 조직의 결속이 강화된다. 이것에 따라 사슬 뜨기 조직을 구성하는 쇄편사의 일부가 분단되었다고 하여도, 사슬 뜨기 조직의 풀림이 부착 부분에서 저지되고, 부착 부분을 넘어 사슬 뜨기 조직이 풀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삽입실과 쇄편사가 교차되는 부분에 열접착실의 일부가 부착하는 것으로, 사슬 뜨기 조직으로부터 삽입실이 어긋나거나 이반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2개의 쇄편사에 걸쳐서 열접착실이 늘어나는 경우, 열접착실을 개입하여 삽입실이 각각의 쇄편사에 접착되는 것으로, 인접하는 2개의 쇄편사가 서로에 이반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레이스 편물지가 가열되어 제조되는 레이스 편물에 대해, 각 실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스 편물의 봉제 또는 재단 등의 제조 상태에 기인하는 실의 풀림, 착용 또는 세탁 등의 사용 상태에 기인하는 실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고,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사슬 뜨기 조직이 열접착실 이외의 실로 달성되므로, 내열성을 가지는 실을 쇄편사로서 이용하는 것으로, 레이스 편물 전체의 형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접착실을 이용하여 사슬 뜨기 조직을 형성하는 경우, 가열 후에도 사슬 뜨기 조직을 남기기 위하여, 열접착실을 굵게 하지 않으면 안되고, 하지부를 구성하는 실이 증가해 버리고, 하지부와 병부의 실의 소밀차가 작아져 버린다.
이것에 대해서, 열접착실과는 다른 쇄편사를 이용하여 사슬 뜨기 조직을 형성하는 것으로, 사슬 뜨기 조직을 남기기 위해서 열접착실을 굵게 할 필요가 없고, 쇄편사 및 열접착실을 가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하지부를 구성하는 실의 단위 체적당의 양을 감소시키고, 하지부와 병(柄) 모양과의 실의 소밀차를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따라 레이스 편물의 투명감을 향상할 수 있고, 병(柄) 모양을 분명하게 시키는 것을 할 수 있다. 또한, 열접착실의 용제량을 줄일 수가 있고, 용융 부분이 레이스 편물 전체에게 부여하는 영향을 작게 하고, 병(柄) 모양을 훼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쇄편사를 가늘게 할 수 있으므로, 레이스 편물을 부드럽게, 바꾸어 말하면 변형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예를 들면 레이스 편물을 내의 등의 천으로서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2) 상기 열접착실은 복수의 루프 형상 부분이 이어져 형성되는 코스 방향을 따라 늘어나고, 사슬 뜨기 조직에 짜 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 편물지.
코스를 따라 늘어나 열접착실이 사슬 뜨기 조직에 짜 넣어지므로, 사슬 뜨기 조직에 대하여, 뜨는 방향의 결속을 높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슬 뜨기 조직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형성하는 쇄편사의 횡진(橫振) 부분, 즉 런 고정부분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이스 편물지가 가열된 레이스 편물에 형성되는 런 고정부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인접하는 웨일의 사이에 걸쳐서 원하지 않는 실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미관을 한층 더 향상할 수 있다.
(3) 상기 열접착실은, 표면 부분에 열용융성을 가지는 라사(裸絲)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 편물지.
열접착실은 표면 부분이 열용융성을 가지는 라사(裸絲)이다. 따라서, 레이스 편물지가 가열되면, 열접착실 중에서 쇄편사에 접촉하는 부분이 녹아, 쇄편사에 부착된다. 또한 열접착실 중에서 삽입실에 접촉하는 부분이 녹아, 삽입실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열접착실 중에서, 다른 실과 접촉하는 노출 부분이, 다른 실과 부착하는 부분이 되므로, 열접착실이 다른 실에 부착하는 부착량을 늘릴 수 있고, 접착력을 향상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의 풀림을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피복실, 즉 피복실에 의해 피복되어 있지 않은 라사(裸絲)로 열접착실을 실현하는 것으로, 하지부의 실의 양을 한층 더 줄일 수가 있고, 하지부와 병부와의 실의 소밀차를 크게 하여, 레이스 편물의 투명감을 향상할 수 있고, 병(柄) 모양을 분명하게 시킬 수 있다.
(4) 사슬 뜨기 조직의 전영역에 걸쳐서, 열접착실이 짜 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 편물지.
사슬 뜨기 조직의 전영역에 걸쳐서 열접착실이 짜 넣어지므로, 레이스 편물 전체에 있어서 실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스 편물이 임의의 위치에서 봉제되거나 재단되거나 했다고 하여도, 봉제 부분 및 재단 부분으로부터 실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이스 편물 전체에 걸쳐서 실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 용도를 넓힐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스 편물 전체에 걸친 풀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요구되는 윗도리의 일부에도 레이스 편물을 이용할 수 있다.
(5) 상기 사슬 뜨기부는 제 1 루프 형상 부분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이 교대로 이어져 코스 방향으로 복수단 늘어서서, 주목하는 제 2 루프 형상 부분이, 그 제 2 루프 형상 부분의 방향 전단의 제 1 루프 형상 부분을 삽입 통과하여 코스 방향 후단을 향하여 늘어나고, 또한 상기 제 2 루프 형상 부분의 코스 방향 같은단의 제 1 루프 형상 부분을 삽입 통과하여, 코스 방향 후단의 제 1 루프 형상 부분에 이어지는 것에 의해 연쇄 형상으로 형성되어 코스 방향으로 늘어나고, 열접착실 및 삽입실이 함께 짜 넣어지는 부분에서는, 제 1 루프 형상 부분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과의 사이를 삽입실이 삽입 통과하고, 삽입실과 제 1 루프 부분과의 사이를 열접착실이 삽입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 편물지.
열접착실 및 삽입실은 제 1 루프 형상 부분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과의 사이를 삽입 통과 하는 것으로, 사슬 뜨기 조직에 짜 넣어진다. 레이스 편물지는 사슬 뜨기 조직에 짜 넣어지는 삽입실에 대해, 제 1 루프 형상 부분이 배치되는 측의 면이 안쪽의 면이 되고, 그 반대측의 면이 겉쪽의 면이 된다. 열접착실과 삽입실이 공통적으로 짜 넣어지는 부분에는, 삽입실은, 열접착실보다 겉쪽에 배치된다. 따라서, 레이스 편물지를 겉면에서 보면, 삽입실에 의해, 열접착실 및 제 1 루프 형상 부분이 은폐된다.
삽입실에 의해 열접착실을 은폐할 수 있고, 열접착실을 겉면에서 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레이스 편물지를 가열하여 형성되는 레이스 편물에 대하여, 형성되는 모양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열접착실이 녹았다고 하여도, 겉면에서 본 병(柄) 모양에 부여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열접착실이, 제 1 루프 형상 부분과 삽입실과의 사이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제 1 루프 형상 부분과 삽입실을 접착시킬 수 있고, 삽입실이 사슬 뜨기 조직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6) 사슬 뜨기 조직에는, 사슬 뜨기 조직에 열접착실과 신축성을 가지는 신축실이 짜 넣어지는 부분을 각각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 편물지.
신축성을 가지는 신축실이 사슬 뜨기 조직에 신장 상태로 짜 넣어지는 것으로, 레이스 편물에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레이스 편물을 편성 후에 가열하는 것으로, 열접착실과 신축실이 접하는 부분에서는, 열접착실의 일부가 신축실에 부착된다. 이것에 의해 신축실이 사슬 뜨기 조직으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어, 봉제 부분으로부터 신축실이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접착실을 사슬 뜨기 조직에 짜 넣는 것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레이스 편물에 대해서도, 실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편성 후에 레이스 편물이 신축을 반복하여도, 열접착실에 의해 각 실이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신축시의 레이스 편물의 병(柄) 모양이, 신축전의 레이스 편물의 병(柄) 모양에 대해서 크게 다른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레이스 편물의 미감을 장기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7) 전술한 레이스 편물지에 의해 제조되는 레이스 편물.
상술한 레이스 편물지를 가열하는 것에 의해, 레이스 편물지에 포함되는 열접착실의 일부가 용융하고, 각 실의 결속이 강화된다. 따라서, 레이스 편물지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레이스 편물에 대한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접착실과는 다른 쇄편사를 이용하여 사슬 뜨기 조직을 형성하는 것으로, 사슬 뜨기 조직을 남기기 위해서 열접착실을 굵게할 필요가 없고, 열접착실 및 쇄편사를 가늘게 할 수 있으므로, 하지부를 구성하는 실의 단위 체적당의 양을 줄여, 하지부와 병부와의 실의 소밀차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레이스 편물지를 이용하여 레이스 편물을 제조하는 것으로, 실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과 함께, 하지부와 병부와의 실의 소밀차를 크게 할 수 있고, 레이스 편물의 투명감을 향상할 수 있고, 병(柄) 모양을 분명하게 시켜, 미관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나타내는 것이며, 명세서 본문에는 아무런 구속되지 않는다. 게다가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본 발명은 레이스 편물의 제조에 관련된 산업에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9)

  1. 쇄편사에 의해, 복수의 루프 형상 부분이 형성되는 사슬 뜨기 조직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사슬 뜨기 조직에 쇄편사보다 낮은 용융 온도를 가지는 열접착실을 짜 넣어, 신축성을 가지는 편물지를 편성하는 편물지 편성 공정과,
    열접착실을 함유하는 편물지를 쇄편사의 용융 온도 이하로 또한 열접착실의 용융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는 가열 공정과,
    열접착실을 함유하는 편물지에 대해서, 장력을 주어 용융 후의 열접착실을 복수로 파단하는 파단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 편물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열 공정 후의 열접착실을 제외한 편물지 전체의 신장 한도량 ε1이 가열 공정 후의 열접착실의 신장 한도량 ε2보다 커지도록, 편물지 편성 공정에 있어서 편성 조건과, 가열 공정에 있어서 가열 조건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 편물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공정과 상기 파단 공정을 동시에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 편물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공정에 있어서 가열 조건은, 열접착실이 용융함과 함께, 편물지에 포함되는 열접착실 이외의 실의 취성화가 방지되는 가열 조건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 편물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공정에 있어서 가열 조건은, 용융에 의해 열접착실이 분단화하는 가열 조건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 편물의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물지 편성 공정에서는, 10~300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실을 열접착실로서 이용하고, 170~195℃의 가열 온도로 30~90초의 시간동안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 편물의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물지 편성 공정에서는, 열접착실 외에 다른 삽입실이 짜 넣어지고, 상기 사슬 뜨기부는 제 1 루프 형상 부분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이 교대로 이어져 코스 방향으로 복수단 늘어서고, 제 2 루프 형상 부분이 그 제 2 루프 형상 부분의 코스 방향 전단의 제 1 루프 형상 부분을 삽입 통과하여 코스 방향 후단을 향하여 연장 되고, 또한 상기 제 2 루프 형상 부분의 코스 방향 같은 단의 제 1 루프 형상 부분을 삽입 통과하고, 코스 방향 후단의 제 1 루프 형상 부분에 이어지는 것에 의해 연쇄 형상으로 형성되어 코스 방향으로 연장되고, 열접착실 및 다른 삽입실이 함께 짜 넣어지는 부분에서는, 열접착실과 다른 삽입실로, 제 1 루프 형상 부분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과의 사이를 삽입 통과하는 방향을 각각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 편물의 제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물지 편성 공정에서는, 열접착실 외에 신축성을 가지는 신축실이 신장(伸長) 상태로 짜 넣어지고, 상기 사슬 뜨기부는 제 1 루프 형상 부분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이 교대로 이어져서 코스 방향으로 복수단 늘어서고, 주목하는 제 2 루프 형상 부분이, 그 제 2 루프 형상 부분의 코스 방향 전단의 제 1 루프 형상 부분을 삽입 통과하여 코스 방향 후단을 향하여 연장하고, 또한, 상기 제 2 루프 형상 부분의 코스 방향 같은 단의 제 1 루프 형상 부분을 삽입 통과하고, 코스 방향 후단의 제 1 루프 형상 부분에 이어지는 것에 의하여 연쇄 형상으로 형성되어 코스 방향으로 연장되고, 열접착실 및 신축실이 함께 짜 넣어지는 부분에서는, 열접착실 과 신축실로, 제 1 루프 형상 부분과 제 2 루프 형상 부분과의 사이를 삽입 통과 하는 방향을 각각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 편물의 제조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의 레이스 편물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레이스 편물.
KR1020087024716A 2007-03-28 2007-08-31 레이스 편물의 제조 방법 및 레이스 편물 KR1010579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86052 2007-03-28
JP2007086052A JP2008240211A (ja) 2007-03-28 2007-03-28 編レースの製造方法および編レース
PCT/JP2007/067060 WO2008120407A1 (ja) 2007-03-28 2007-08-31 編レースの製造方法および編レー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153A true KR20080105153A (ko) 2008-12-03
KR101057973B1 KR101057973B1 (ko) 2011-08-19

Family

ID=39807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4716A KR101057973B1 (ko) 2007-03-28 2007-08-31 레이스 편물의 제조 방법 및 레이스 편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039826B1 (ko)
JP (2) JP2008240211A (ko)
KR (1) KR101057973B1 (ko)
CN (1) CN101426971B (ko)
TW (1) TWI352757B (ko)
WO (1) WO200812040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373A (ko) * 2016-07-26 2019-03-27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폴리아미드 멀티필라멘트 및 그것을 사용한 레이스 편물, 스타킹
KR20230037893A (ko) * 2021-09-10 2023-03-17 (주)대광레이스 광섬유 기반 원단 및 이를 편성하는 라셀 경편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60866A (zh) * 2012-01-19 2012-07-11 广州市天海花边有限公司 柔软舒适及延伸性好的内衣花边面料及其制备方法
CN103668931B (zh) * 2012-09-18 2016-02-24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薄片材料的线穿孔装置及方法,以及裁断机中的记号线附加方法
JP5486723B1 (ja) * 2013-07-24 2014-05-07 クロス工業株式会社 経編地
CN103478948B (zh) * 2013-09-06 2015-07-29 山东如意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轻薄面料防脱缝缝合方法
JP5577445B1 (ja) * 2013-10-31 2014-08-20 株式会社Yoshita Tex 編レースの製造方法および編レース
JP5853057B2 (ja) * 2014-06-06 2016-02-09 株式会社Yoshita Tex 編レースの製造方法
CN104404701B (zh) * 2014-10-28 2016-08-24 江南大学 一种纬编蕾丝面料的生产方法
JP6625378B2 (ja) * 2015-09-07 2019-12-25 宮城レース株式会社 レース地及びレース地の編成方法
WO2017175396A1 (ja) * 2016-04-08 2017-10-12 株式会社Yoshita Tex レース編地
JP6295358B1 (ja) 2017-04-24 2018-03-14 宮城レース株式会社 ラッセルレース編地の製造方法
WO2020031383A1 (ja) * 2018-08-10 2020-02-13 株式会社Yoshita Tex レース編地
CN109505054A (zh) * 2018-12-27 2019-03-22 东莞超盈纺织有限公司 一种非热熔材质的任意裁蕾丝花边织物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850A (ja) * 1984-07-09 1986-01-28 クロス工業株式会社 細幅レ−ス地におけるピコツトの形成方法
JPS61266650A (ja) * 1985-05-17 1986-11-26 栄レ−ス株式会社 ピコツトを有する編組レ−スの製法
US4748078A (en) 1985-12-05 1988-05-31 Sakae Lace Co., Ltd. Warp knitted lace fabrics
FR2591620B3 (fr) 1985-12-12 1988-02-26 Cheynet Fils Ets Dentelle realisee sur metier crochet ou rachel ayant une rigidite transversal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H0238959Y2 (ko) * 1985-12-27 1990-10-19
US4786549A (en) 1987-08-05 1988-11-22 Liberty Fabrics, Inc. Warp knit fabric with ravel resistant laid-in elastic yar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S6352142A (ja) 1987-08-14 1988-03-05 Dainippon Printing Co Ltd フオトマスク
JPH0434052A (ja) * 1990-05-23 1992-02-05 Toyobo Co Ltd 伸縮性経編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20863B2 (ja) * 1996-02-23 2000-03-15 栄レース株式会社 レース編物の編成方法及びレース編物
JP3346237B2 (ja) 1997-09-01 2002-11-18 東洋紡績株式会社 レース用カバリング糸及びこの糸を用いたレース地
JP3614831B2 (ja) * 2002-05-17 2005-01-26 株式会社クロダレース 柄模様入り編レースおよび製造方法
US20060030229A1 (en) * 2002-12-12 2006-02-09 Kunihiro Fukuoka Blended woven or knitted fabrics containing polyerethane elastic fibers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ES2304554T3 (es) 2003-08-29 2008-10-16 Penn Elastic Gmbh Preforma textil,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textil y prenda que comprende la preforma textil.
JP4883280B2 (ja) * 2005-03-31 2012-02-22 日清紡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熱融着性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を用いた織編物
JP3966423B2 (ja) * 2005-11-24 2007-08-29 株式会社Kuroda Tex レース編地および編レー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373A (ko) * 2016-07-26 2019-03-27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폴리아미드 멀티필라멘트 및 그것을 사용한 레이스 편물, 스타킹
KR20230037893A (ko) * 2021-09-10 2023-03-17 (주)대광레이스 광섬유 기반 원단 및 이를 편성하는 라셀 경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39048A (en) 2008-10-01
JP2008240211A (ja) 2008-10-09
WO2008120407A1 (ja) 2008-10-09
EP2039826B1 (en) 2014-11-12
JP2009013554A (ja) 2009-01-22
KR101057973B1 (ko) 2011-08-19
CN101426971A (zh) 2009-05-06
CN101426971B (zh) 2011-01-12
JP5044463B2 (ja) 2012-10-10
EP2039826A4 (en) 2013-06-12
EP2039826A1 (en) 2009-03-25
TWI352757B (en) 2011-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7973B1 (ko) 레이스 편물의 제조 방법 및 레이스 편물
JP3966423B2 (ja) レース編地および編レース
JP5697887B2 (ja) レース編地および編レース
TWI669425B (zh) 花邊編織物
JP2009270214A (ja) 経編地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経編地の編構造
JP2022145035A (ja) 編レース、及び製造方法
JP2015086494A (ja) 編レースの製造方法および編レース
CN108729009B (zh) 拉舍尔蕾丝编织面料的制造方法
JP4463750B2 (ja) 編レースおよび編レースの製造方法
JP4800877B2 (ja) 房部を有する経編レース地
JP6293965B1 (ja) 編レース
JP6732267B1 (ja) レース地
JP3614831B2 (ja) 柄模様入り編レースおよび製造方法
JP6578314B2 (ja) レース編地
JP2021014653A (ja) ラッセルレース編地の製造方法
JP7335030B1 (ja) レース地及びその製造方法
JP6747738B1 (ja) 編レース
JP3911163B2 (ja) 伸縮性柄編地
TWM615406U (zh) 羅素斜紋花邊針織物
JP2023019139A (ja) 編レース
WO2020031383A1 (ja) レース編地
JP2023160190A (ja) 編レース、編レース製品、及び編レースの製造方法
JP5797005B2 (ja) リバーシブル経編地と、その編成方法
JP2021014654A (ja) ラッセルレース編地の製造方法
JPH022494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