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3049A - 차체에 장착되는 브라켓에 이소픽스 바를 연결하는 장치 및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차체에 장착되는 브라켓에 이소픽스 바를 연결하는 장치 및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3049A
KR20080103049A KR1020087014883A KR20087014883A KR20080103049A KR 20080103049 A KR20080103049 A KR 20080103049A KR 1020087014883 A KR1020087014883 A KR 1020087014883A KR 20087014883 A KR20087014883 A KR 20087014883A KR 20080103049 A KR20080103049 A KR 20080103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racket
latch
flange
shou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4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날드 엠 오스틴
앤드류 알. 맥킨타이어
Original Assignee
엠 앤드 씨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 앤드 씨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엠 앤드 씨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80103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30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10Children's chairs capable of being suspended from, or attached to, tables or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7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 B60N2/289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coupled to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구속 걸이부 조립 장치 및 방법은 유아용 시트 구속 걸이부에 사용되고, 다수의 래치 와이어를 지지하는 관형 레일을 연결하기 위하여 브라켓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상기 브라켓의 일부분은 상기 튜브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연장 부분은 기계적 연결에 의하여 상기 튜브에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체결 부재에 의하여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래치 와이어의 레그 부분에 형성되는 숄더를 코울드 헤딩함으로써 상기 래치 와이어의 일부분에 의하여 형성된다.
유아용 시트, 브라켓, 플랜지

Description

차체에 장착되는 브라켓에 이소픽스 바를 연결하는 장치 및 연결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ISOFIX BAR TO BRACKETS THAT MOUNT TO VEHICLE BODY}
유아용 시트 고정 구조에 대한 규정(a regulated child seat restraint anchorage)에 따라 브라켓에 이소픽스 바(Isofix bar)를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은, 적어도 상기 이소픽스 바를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에 함몰부를 형성하며, 상기 바를 따라 연장되는 브라켓부는 상기 바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최근의 차량들은 연방 자동차 안전 기준 225에 따라 유아용 시트을 위한 낮은 걸림 구조(lower anchorages)가 요구된다. 이러한 걸림 구조들은 일반적으로, 유아용 시트의 커플러(coupler)에 걸기 위하여 종종 쌍으로 제공되는 다수의 래치 와이어(latch wires)를 포함한다. 상기 래치 와이어가, 장착 브라켓(mounting brackets)을 경유하여 차량에 고정되는 단일의 연장 튜브(elongated tube)를 포함하는 앵커에 걸릴 때, 상기 조립체(assembly)는 일반적으로 이소픽스 바라고 일컫는다.
튜브에 상기 브라켓을 고정 장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용접 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소픽스 바를 가열하게 되는 상기 용접 작업은 조립체를 파손(distort)하고, 상기 조립체의 외형 및 마감 표면(finish surfaces)에 악영향을 주며, 상기 튜브의 바람직하지 못한 말림 현상을 야기하여, 규격에 맞지 않는 제품(inconsistent product)이 생산될 수 있다. 상기 용접 작업의 또 다른 결점으로, 상기 브라켓과 튜브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상태로 상기 브라켓이 위치되는 경우, 빈약한 용접 두께(weld penetration)로 인하여 상기 브라켓과 튜브의 결합 상태가 상당히 약해질 수 있다. 일부 현존하는 브라켓들은 튜브를 감싸도록 설계되어, 튜브와의 틈새로 인한 불일치를 감소하고, 연속적인 용접 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결 상태가 강화되는 반면 용접 적업의 다른 문제점들이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브라켓 함몰부 또는 채널 내에서 튜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거나, 상기 함몰부에 인접한 상기 튜브를 따라 브라켓의 일부분을 연장함으로써, 장착 브라켓에 이소픽스 바를 부착하는 것에 의하여, 유아용 시트 구속을 위한 걸이부 구조에서 용접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한다면, 용접의 필요성을 제거함으로써 상기에서 제시된 문제점을 극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부는 상기 튜브에, 바람직하게 체결 부재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잠금된다.
일실시예에 따라서, 브라켓은 튜브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 감싸는 함물부를 가지며,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는 탭(tab)은 상기 브라켓이 상기 튜브에 리벳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플랜지, 특히 감싸는 플랜지(encompassing flange)는 리벳팅을 가능하게 하는 연장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브라켓으로부터 압출(extruded)될 수 있다. 연장부의 다른 실시예들은 리벳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브라켓의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이용하지만, 상기 브라켓은 상기 튜브를 완전히 감싸지는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브라켓을 튜브에 결합하기 위한 단일 방법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구조는 용접 공정을 제거하고, 위치 설정(positioning), 정렬(alignment), 불균일한 틈새(uneven gap), 용접 과정에서 강한 열의 작용으로부터 발생하는 튜브 뒤틀림(tube warping) 또는 마감(finishing)과 같은 관련 문제점을 제거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실시예들은 튜브에 대한 브라켓의 상대 위치 설정과, 브라켓에 이소픽스 바의 고정과, 의도대로 차량 프레임에 (이소픽스 바를) 걸기 위한 정확한 방법을 제공한다. 용접 공정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 튜브에 결합되는 브라켓에 부가적인 강도를 제공하고, 제한된 가열은 비틀림(distortion)을 감소시킨다. 함몰부와 연장부의 결합은, 심지어 상기 함몰부 또는 연장부가 용접 공정과 연관된 튜브의 형상 또는 크기에 정확하게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도, 위치 설정 문제, 빈약한 틈새 구조(weak gap structures)를 제거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과 발명의 상세 설명을 참조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며,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걸이부에 장착되는 래치 와이에 커플러가 구비된 차 량 시트에 유아용 시트가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 구속 걸이부를 형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과 튜브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와 유사하나 변경된 특징을 가지는 구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경된 브라켓 구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구조의 더 다른 변경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와이어 장착부와 걸이부 어셈블리의 결합을 보여주는 본 발명에 따른 변경된 형태의 브라켓 구조.
도 1을 참조하면, 유아 구속 시트 시스템(the child restraint seat system)(10)은, 승객칸(a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14) 내부에 제공되는 구속 걸이부(a restraint anchorage)(12)를 포함한다. 상기 승객석(14)은, 상부 후면부(an upper back portion)(18:이하에서는 등받이부로 칭한다)와, 저부(a lower portion)(20:이하에서는 착좌부라 칭한다)를 가지는 차량 시트(vehicle seat)(16)포함한다. 유아 구속 시트(22)는 상기 시트(16) 위에 고정되고, 래치 와이어(26)에 연결되는 커플러(24)에 의하여 정위치에 결합된다. 래치 와이어(26)는 상기 걸이부(12)에 의하여 위치가 설정되고 지지된다. 상기 래치 와이어의 위치 설정과 기능은 연방 차량 안전 기준(FMVSS) 규칙에 의하여 규제된다.
상기 구속 걸이부(12)는 종종, 지지 브라켓(32)에 의하여 플로어(45)와 같 은 차량 프레임(44)에 고정되는 연장 레일(30)을 사용한다. 상기 규칙에 의하여 설정되는 강도 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상기 레일(30)들은 종종 브라켓(32)에 용접 결합되며, 다수의 래치 와이어(26)는 용접 등에 의하여 상기 레일(30)에 고정된다. ejdr이, 상기 브라켓(32)들은, 용접, 체결부(46) 등과 같은 수단에 의하여, 차량 바닥부, 구조 빔(structural beams), 또는 시트 프레임(seat frame)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용접에 의존하는 이전 구조들은 외형, 마감 코팅(finish coating), 위치 설정(positioning), 정렬(alignment) 및 용접 작업에서 전형적으로 발생되는 고온에 영향을 받아서 일어나는 제어 불가능한 비틀림(uncontrolled distortion)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레일(30)이 브라켓(32)에 고정되는 방법을 개선함으로써, 구속 걸이부(12)의 구조 특성(constructions)을 향상시키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상기 조립체에 용접 작업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부품들의 정렬은 상기 튜브와 브라켓으로의 열전달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며, 상기 브라켓은 또한 상기 차량 프레임에 볼트 체결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부품들은 조립 이전 또는 이후에, 또는 조립 공정에 의한 망가짐 없이 의도대로 코팅 또는 마감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상기 규칙에서 정의되는 엄격한 강도 요건 또는 구속 걸이부를 만족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튜브(hollow tube)(50)는, 플랜지(52)에 형성된 개공(aperture)(54)에 수용되고, 플랜지(64)는 상기 튜브를 따라 개구부(54) 의 테두리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튜브와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브라켓의 연장부(60)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이러한 기계적 결합(mechanical joinder)은, 다른 체결 부재 또는 접착에 의하여 상기 부품을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지만, 리벳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튜브(50) 및 플랜지(64)는, 소정의 위치에서 정렬될 수 있는 개공(62) 및 개공(58)을 각각 포함하여, 요구되는 장착 위치에서 상기 리벳(65)을 수용하고, 상기 튜브(50)를 따라 상기 브라켓을 정렬하기 위하여 맞춰질 수 있다. 상기 브라켓(56)은 또한, 장착 플랜지(66)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44)을 연결하는 스탬핑(stamping)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66)에는 개공, 예컨대 도면 부호 67에서 보여지듯이, 체결공이 제공되어, 상기 플랜지가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44)에 고정되도록 한다. 리벳, 볼트, 용접과 같이 다른 고정 수단이 본 발명에 따른 구속 걸이부 브라켓(32)을 상기 차량 프레임에 장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32)은 도 2의 플랜지(52)와 같이 두 개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스탬핑(76)으로 형성된다. 상기 두 개의 플랜지(52)는 상기 장착 플랜지(66)의 일 측면에서 연장된다. 나아가, 각각의 사이드 플랜지(52)는 에워싸인 개공(54) 형태의 함몰부(recess)(53)를 포함한다. 이와 유사하게, 각각의 플랜지(52)는, 상기 튜브(50)를 상기 브라켓(76)에 걸 수 있도록 하는 플랜지(62) 형태의 연장부(60)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리벳(78)에 의하여 상기 튜브(50)가 상기 브라켓(76)에 장착되도록, 상기 제 1 개공(62)으로부터 상기 튜브(50)의 직경 방향으로 반대측에 부가적인 개공(62)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리벳(78)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개공(54)으로부터 상기 튜브의 직경 방향으로 반대되는 단부는 또한 플랜지(64)에 의하여 상기 브라켓(56)에 끼워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56)들은, 추가적인 보강 플랜지(82)에 의하여 강도가 보강될 수 있고, 추가적인 보강판(gussets)(84)는 상기 장착 플랜지(66)를 상기 서포트 플랜지(52)에 연결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브라켓(86)은, 개공(54) 형태의 함몰부(53)를 가지는 서포트 플랜지(support flange)(56)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연장부(60)는, 개공(54)에 대한 주변 플랜지 가장자리(peripheral flange edge)와 같이, 내부에 상기 레일(30)을 완전히 둘러싸는 원통형 플랜지(88)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스(88) 및 상기 레일(30) 내의 일치용 개공들(registering apertures)은, 리벳(90) 또는 다른 기계적 연결이 상기 레일(30)과 브라켓(86) 사이에서 이루어지도록, 도 2 및 도 3에서 보여지는 실시예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전 실시예들과 달리 관형 레일(50)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지 않는 함몰부(53)를 포함하는 브라켓(96)이 제시된다. 상기 함몰부(53)는 개구단(opening end)을 가지며, 상기 관형 레일(50)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벽(wall)(89)이 상기 튜브(50)의 외주면에 일치하는 숄더(shoulder)를 형성한다. 상기 벽(98)은, 보강 능선(reinforcement ridge)(102)과, 상기 벽(98)을 상기 브라켓(56)에 연결하는 보강판(reinforcement gusset)(104)을 포함한다. 벽(98)과 플랜지(56)는, 플랜지(66)를 장착하기에 적절한 보강판(gussets)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의해 연결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브라켓(106)은 두 개의 서포트 플랜지(56)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56)의 단부와, 상기 사이드 플랜지(56)를 연결하는 연결 플랜지(108)의 단부에 함몰부(53)가 일부 형성된다. 상기 연결 플랜지(108)는, 상기 함몰부(53) 내에서 상기 플랜지(56)와 함께 상기 튜브(50)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립(lip)(110)을 포함한다. 상기 립(110)은, 상기 튜브(50)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60)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립(110)은 상기 튜브(50) 내에서 일치용 개공들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체결 부재(fasteners)를 수용하기 위한 개공들(112)을 포함하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 부재는 상기 튜브(50)와 립(110)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래치 와이어(26)의 레그(114)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리벳들은 숄더(120)로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래치 와이어의 레그 소재로부터 냉간 가공되어(cold formed), 상기 튜브(50), 래치 와이어(26) 및 서포트 브라켓(56)을 단일 결합 공정에 의하여 연결한다.
상기에서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가능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다만, 상세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한정이라기 보다는 설명을 위한 거시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밝혀 둔다.

Claims (14)

  1. 연장 튜브;
    착좌부(seat bench)와 등받이부(seat back)에 매개체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튜브에 연결되는 다수의 래치 와이어; 및
    적어도 상기 튜브의 일부분을 감싸는 채널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채널에 인접하여 상기 튜브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및 상기 부분을 상기 튜브에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유아용 시트 구속 걸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분은 상기 함몰부에 인접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브라켓 월에 형성되는 개공(aperture)을 포함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은 상기 브라켓 월 상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은 숄더를 포함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는 일반적으로 상기 튜브의 외주면과 합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다수의 래치 와이어 중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와이어는 형성된 숄더(formed shoulder)를 포함하는 장치.
  9. 브라켓의 일부분을 튜브의 외주면 일부분과 연결되도록 합치시키는 단계;
    상기 브라켓의 일부분을 상기 튜브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단계; 및
    기계적 연결에 의하여 상기 튜브에 상기 부분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수의 래치 와이어를 가지는 유아용 시트 구속 걸이부 튜브에 서포트 브라켓을 장착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합치단계는, 상기 브라켓에 상기 튜브의 외주면을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합치 단계는, 상기 튜브를 수용하는 크기의 개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합치 단계는, 상기 함몰부에 인접하는 플랜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계는, 상기 부분 및 상기 튜브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체결 부재를 코울드 헤딩(cold head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래치 와이어이고, 상기 코울드 헤딩은 상기 래치 와이어 레그에 숄더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87014883A 2005-11-22 2006-11-15 차체에 장착되는 브라켓에 이소픽스 바를 연결하는 장치 및연결 방법 KR200801030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85,539 US8573694B2 (en) 2005-11-22 2005-11-22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Isofix bar to brackets that mount to vehicle body
US11/285,539 2005-11-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3049A true KR20080103049A (ko) 2008-11-26

Family

ID=38052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4883A KR20080103049A (ko) 2005-11-22 2006-11-15 차체에 장착되는 브라켓에 이소픽스 바를 연결하는 장치 및연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573694B2 (ko)
EP (1) EP1951090A2 (ko)
JP (1) JP2009521353A (ko)
KR (1) KR20080103049A (ko)
CN (1) CN101505635A (ko)
BR (1) BRPI0620535A2 (ko)
MX (1) MX2008006525A (ko)
WO (1) WO200706171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3526B2 (en) * 2003-06-24 2006-01-10 M & C Corporation Cold formed latch wire
US7296854B2 (en) * 2005-11-17 2007-11-20 Illinois Tool Works Inc Safety seat restraint system
US20100156165A1 (en) * 2008-12-22 2010-06-24 Philip Vais Seat tightening mechanism for child safety seat
US7806454B2 (en) * 2008-12-22 2010-10-05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Integrated carrier assembly for a seat back of a motor vehicle
FR2964614B1 (fr) 2010-09-09 2014-05-30 Yves Nania Dispositif de fixation pour fixer de facon amovible un siege pour enfant dans un vehicule automobile
DE102011102600A1 (de) * 2011-05-27 2012-11-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Fahrzeugsitz mit einer über einen Verstellbeschlag mit einem Sitzteilrahmen verbundenen Rückenlehne
JP5892775B2 (ja) * 2011-12-02 2016-03-23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アンカー装置
CN104709126B (zh) * 2015-02-12 2017-05-31 王建新 一种儿童安全座椅及安装方法
US9688166B2 (en) * 2015-09-17 2017-06-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otatable anchors providing enhanced child restraint system interface accessibility
FR3061458B1 (fr) * 2017-01-05 2019-11-0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ancrage pour la fixation amovible d’un siege enfant sur un siege arriere d’un vehicule automobile rabattable en portefeuille.
FR3068651B1 (fr) * 2017-07-06 2019-07-19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ancrage pour la fixation amovible d’un siege enfant sur un siege arriere d’un vehicule automobile rabattable en portefeuille.
US10252651B2 (en) * 2017-08-14 2019-04-0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eat assemblies having seat heater wire harnesses connected to child restraint brackets for vehicles
US10730415B2 (en) 2018-12-20 2020-08-04 Volvo Car Corporation Child safety seat bracket for use in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43834A (en) 1974-08-27 1978-12-05 Norman R. Courtis Attachment assembly for motor vehicles
US4961504A (en) * 1987-09-08 1990-10-09 Cannon Equipment Company Double strength pegbar
DE19650087C1 (de) 1996-12-03 1997-12-04 Faure Bertrand Sitztech Gmbh Vorrichtung zur lösbaren Befestigung von Gegenständen, insbesondere von Kindersitzen, an einem Fahrzeugsitz mit klappbarer Rückenlehne
JP4336004B2 (ja) 1999-08-19 2009-09-30 日野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6276754B1 (en) * 2000-04-21 2001-08-21 Lear Corporation Child seat attachment assembly
DE10128670C1 (de) * 2001-06-13 2002-06-20 Faurecia Autositze Gmbh & Co Vorrichtung zur lösbaren Befestigung eines Gegenstandes, insbesondere eines Kindersitzes, an einem Fahrzeugsitz
US6634710B1 (en) * 2001-09-28 2003-10-21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assembly having child seat attachments
US6767057B2 (en) * 2002-09-17 2004-07-27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anchorage system for child seat
US20040080195A1 (en) 2002-10-28 2004-04-29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Mechanical attachment of anchorage and bracket
US20040080194A1 (en) 2002-10-28 2004-04-29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Mechanical attachment of anchorage
US20040080193A1 (en) 2002-10-28 2004-04-29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Retainer and wire rod for child seat attachment
US20040159055A1 (en) * 2003-02-19 2004-08-19 Stone Ronald L. Stabilizer for in-ground members, assemblie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7131693B2 (en) * 2003-05-16 2006-11-07 M & C Corporation Restraint anchorage for a child restraint system
US6983526B2 (en) 2003-06-24 2006-01-10 M & C Corporation Cold formed latch wire
US7410215B2 (en) * 2004-03-13 2008-08-12 Human Touch, Llc. Articulating 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08006525A (es) 2009-01-09
JP2009521353A (ja) 2009-06-04
WO2007061716A3 (en) 2009-04-30
US8573694B2 (en) 2013-11-05
EP1951090A2 (en) 2008-08-06
WO2007061716A2 (en) 2007-05-31
BRPI0620535A2 (pt) 2011-11-16
CN101505635A (zh) 2009-08-12
US20070114826A1 (en) 200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3049A (ko) 차체에 장착되는 브라켓에 이소픽스 바를 연결하는 장치 및연결 방법
US6361115B1 (en) Vehicle seat with anchoring wire to secure an element onto this seat
US5050932A (en) Shaped junction portions of tubes of an articulated seat frame
US7721406B2 (en) Resistance welded wire to hollow tubing joints and method
JP6292103B2 (ja) 乗物用シート
JP2001138864A (ja) 自動車のシートベルト装置
JP6253625B2 (ja) 車体後部構造
JP2007516118A (ja) 冷間成形ラッチワイヤ
CA2498818C (en) Cross member for a motor vehicle
US20090184561A1 (en) Variable length reinforcement to control seat back performance
JP6056602B2 (ja) 乗物用シート
JP3994869B2 (ja) ステアリングメンバ
JP5534982B2 (ja)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CN205853951U (zh) 一种汽车座椅骨架
JP2001071799A (ja) チャイルドシート固定構造
WO2023139896A1 (ja) 車体構造
JP3820233B2 (ja) シートベルトのアンカー取付構造
JP3956573B2 (ja) 車体構造
CN220465307U (zh) 座椅底座框架,其接合部件以及车辆座椅组件
JPH08239057A (ja) 車両のフロア側端部とセンタピラー下部との結合構造
JP2007045278A (ja) フロントシートのロック部構造
KR19990025177U (ko) 자동차의 후방시트
JPH09263268A (ja) 車両のフロア構造
WO2009095927A2 (en) Riser to cross support joint for modular school bus seats
JPH09263267A (ja)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