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2161A - Hcv ns5b 억제제 - Google Patents

Hcv ns5b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2161A
KR20080102161A KR1020087021812A KR20087021812A KR20080102161A KR 20080102161 A KR20080102161 A KR 20080102161A KR 1020087021812 A KR1020087021812 A KR 1020087021812A KR 20087021812 A KR20087021812 A KR 20087021812A KR 20080102161 A KR20080102161 A KR 20080102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ohexyl
indolo
benzazin
carboxylic acid
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1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칼 피. 베르그스트롬
스콧 더블유. 마틴
토마스 더블유. 후다이마
Original Assignee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 컴퍼니 filed Critical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080102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16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Vi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Hydrogenated Pyrid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조성물, 및 그러한 화합물의 사용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C형 간염 바이러스 (HCV)에 대해 활성을 가지며, HCV로 감염된 대상체를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C형 간염 바이러스 억제제, 인터페론, 리바비린, 시클로스포린, 인터류킨

Description

HCV NS5B 억제제 {HCV NS5B INHIBITORS}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원은 2006년 2월 8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0/771391호의 이익을 청구한다.
C형 간염 바이러스 (HCV)는 전세계적으로 1억 7천만 (제1형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된 수의 대략 5 배)으로 추정되는 인구를 감염시킨 주요한 인간 병원체이다. 이들 HCV 감염 개체의 상당부에서는 간경화증 및 간세포암종을 비롯한 심각한 진행성 간 질환이 발병한다 (문헌 [Lauer, G. M.; Walker, B. D., N. Engl. J. Med. 2001, 345, 41-52]).
HCV는 양성-가닥 RNA 바이러스이다. 추론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비교 및 5'-미해독 영역에서의 큰 유사성을 기준으로, HCV는 플라비비리다에(Flaviviridae) 과 내의 별도의 속으로 분류되어 왔다. 플라비비리다에 과의 모든 구성원은 중단되지 않은 단일한 오픈 리딩 프레임 (ORF)의 해독을 통해 알려진 모든 바이러스-특이적 단백질을 코딩하는 양성-가닥 RNA 게놈을 함유하는 외피보유 비리온(enveloped virion)을 가진다.
HCV 게놈에 대한 뉴클레오티드, 및 코딩된 아미노산 서열 내에서 상당한 이 질성이 발견된다. 6개 이상의 주요 유전자형이 특성화되어 있고, 50개 초과의 아형이 기재되어 있다. HCV의 주요 유전자형은 전세계적으로 그의 분포가 상이하며, HCV의 유전적 이질성의 임상적 의미는 발병기전 및 치료법에 대한 가능한 유전자형의 효과의 다수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파악하기 어렵다.
단일 가닥 HCV RNA 게놈은 길이가 대략 9500개의 뉴클레오티드이고, 약 3000개 아미노산의 거대한 단일 다중단백질을 코딩하는 단일한 오픈 리딩 프레임을 가진다. 감염된 세포에서, 그러한 다중단백질은 세포성 및 바이러스성 프로테아제에 의해 복수개의 부위에서 절단되어 구조적 및 비-구조적(NS) 단백질을 생성한다. HCV의 경우, 성숙한 비-구조적 단백질 (NS2, NS3, NS4A, NS4B, NS5A 및 NS5B)의 발생은 2개의 바이러스성 프로테아제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첫 번째 것은 메탈로프로테아제인 것으로 간주되고, NS2-NS3 접합부에서 절단하며; 두 번째 것은 NS3의 N-말단 영역 내에 함유된 세린 프로테아제 (NS3 프로테아제라고도 지칭됨)이고, NS3-NS4A 절단 부위에서는 시스 및 나머지 NS4A-NS4B, NS4B-NS5A, NS5A-NS5B 부위의 경우 트랜스로 NS3의 모든 후속적인 절단 하류를 매개한다. NS4A 단백질은, NS3 프로테아제에 대한 공동인자로서 작용하고 NS3 및 다른 바이러스성 레플리카제(replicase) 성분의 막 국지화를 보조할 수 있는 복수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NS3 단백질과 NS4A와의 복합체 형성은 모든 부위에서 단백질분해 효능을 증진시키므로, 프로세싱 현상에 필수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NS3 단백질은 또한 뉴클레오시드 트리포스파타제 및 RNA 헬리카제 활성을 나타낸다. NS5B (HCV 폴리머라제라고도 지칭됨)는 HCV의 복제에 관여하는 RNA-의존성 RNA 폴리머라제이다. HCV NS5B 단백질은 문헌 ["Structural Analysis of the Hepatitis C Virus RNA Polymerase in Complex with Ribonucleotides", Bressanelli; S. et al., Journal of Virology 2002, 3482-3492]; 및 [Defrancesco and Rice, Clinics in Liver Disease 2003, 7, 211-242]에 기재되어 있다.
현재, 가장 효과적인 HCV 치료법은 환자의 40%에서 지속적인 효능을 야기하는, 알파-인터페론 및 리바비린의 조합을 사용한다 (문헌 [Poynard, T. et al. Lancet 1998, 352, 1426-1432]). 최근의 임상 결과는 PEG화된 알파-인터페론이 단일요법으로서의 비-변형된 알파-인터페론보다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문헌 [Zeuzem, S. et al. N. Engl. J. Med. 2000, 343, 1666-1672]). 그러나, 환자의 상당부는 PEG화된 알파-인터페론 및 리바비린의 조합을 수반한 실험적 치료 섭생법으로도 바이러스 양이 지속적으로 감소되지 않는다. 따라서, HCV 감염의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치료법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명확하며 중요하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조성물, 및 그러한 화합물을 사용한 치료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CO2R5 또는 CONR6R7이고;
R2는 푸라닐, 피롤릴, 티에닐, 피라졸릴, 옥사졸릴, 티아졸릴, 이속사졸릴, 이소티아졸릴, 옥사디아졸릴, 트리아졸릴 또는 테트라졸릴이며, 옥소, 아미노,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알킬, (시클로알킬)알킬, 히드록시알킬, (테트라히드로푸라닐)알킬, (테트라히드로피라닐)알킬, (CO2R5)알킬, (CON(R5)2)알킬, (COR9)알킬, (알킬술포닐)알킬 및 ((R9)알킬)CON(R5)로부터 선택된 0 내지 2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R3은 C5 - 7시클로알킬이고;
R4는 수소, 할로, 히드록시, 알킬 또는 알콕시이고;
R5는 수소,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이고;
R6은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알콕시 또는 SO2R8이고;
R7은 수소,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이거나; 또는
함께 취해진 NR6R7은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N-알킬피페라지닐, 호모모르폴리닐, 호모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또는 티오모르폴리닐이고;
R8은 알킬, 할로알킬, 시클로알킬, 아미노,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또는 페닐이거나; 또는
R8은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N-알킬피페라지닐, 호모모르폴리닐, 호모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또는 티오모르폴리닐이고;
R9는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N-알킬피페라지닐, 호모모르폴리닐, 호모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또는 티오모르폴리닐이고;
(a)는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이고 (b)는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이되, 단,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단일 결합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Figure 112008063329072-PCT00002
,
Figure 112008063329072-PCT00003
Figure 112008063329072-PCT00004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R1이 CONR6R7이고; R6이 SO2R8이고; R7이 수소인 화 학식 I의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R3이 시클로헥실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R4가 수소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R4가 메톡시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에 대해, R1, R2, R3, R4, R5, R6, R7, R8, R9, (a) 및 (b)의 임의의 범위는 임의의 다른 변수의 범위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달리 제시되지 않는다면, 이들 용어는 하기 의미를 갖는다.
"알킬"은 1 내지 6개의 탄소로 구성된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기를 의미한다. "알케닐"은 2 내지 6개의 탄소 및 1개 이상의 이중 결합으로 구성된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기를 의미한다. "시클로알킬"은 3 내지 7개의 탄소로 구성된 모노시클릭 고리계를 의미한다. "히드록시알킬", "알콕시" 및 치환된 알킬 잔기를 갖는 다른 용어는 알킬 잔기에 대해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로 구성된 직쇄 및 분지형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할로알킬" 및 "할로알콕시"는 모노할로 치환된 알킬 내지 퍼할로 치환된 알킬의 할로겐화된 이성질체 전부를 포함한다. "아릴"은 카르보시클릭 및 헤테로시클릭 방향족 치환기를 포함한다. 삽입 용어 및 다중삽입 용어는 당업자에게 결합 관계를 명료하게 하기 위해 의도된다. 예를 들어, ((R)알킬)과 같은 용어는 치환기 R로 추가로 치환된 알킬 치환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모든 제약상 허용되는 염 형태를 포함한다.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반대이온이 화합물의 생리적 활성 또는 독성에, 및 약리적 등가물과 같은 기능으로서 유의적으로 기여하지 않는 염이다. 이러한 염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시약을 사용하여 통상의 유기 기술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몇몇 음이온성 염 형태는 아세테이트, 아시스트레이트, 베실레이트, 브로마이드, 클로라이드, 시트레이트, 푸마레이트, 글루코로네이트, 히드로브로마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히드로요오다이드, 요오다이드, 락테이트, 말레에이트, 메실레이트, 니트레이트, 파모에이트, 포스페이트, 숙시네이트, 술페이트, 타르트레이트, 토실레이트 및 크시노포에이트를 포함한다. 몇몇 양이온성 염 형태는 암모늄, 알루미늄, 벤자틴, 비스무스, 칼슘, 콜린, 디에틸아민, 디에탄올아민, 리튬, 마그네슘, 메글루민, 4-페닐시클로헥실아민, 피페라진, 칼륨, 나트륨, 트로메타민 및 아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화합물은 비대칭 탄소 원자를 갖는다 (예를 들어, 하기 구조). 본 발명은 거울상이성질체 및 부분입체이성질체를 비롯한 모든 입체이성질체 형태, 및 라세미체와 같은 입체이성질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몇몇 입체이성질체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의 입체이성질체성 혼합물 및 관련된 중간체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개별적 이성질체로 분리할 수 있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005
합성 방법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기재된 방법을 비롯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일부 시약 및 중간체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다른 시약 및 중간체는 손쉽게 입수가능한 물질을 사용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합성을 기재하는데 사용된 변수 (예를 들어, 번호가 적힌 "R" 치환기)는 단지 어떻게 제조하는지를 예시하는 것이며, 청구범위 또는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서 사용된 변수와 혼동해서는 안된다.
반응식 내에서 사용되는 약어는 통상적으로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관례에 따른다. 몇몇 예는 다음과 같다: THF는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의미하고; DMF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의미하고; RCM은 폐환 복분해를 의미하고; Boc는 tert-부톡시카르보닐을 의미하고; TFA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의미하고; DMA는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를 의미하고; PPh3은 트리페닐포스핀을 의미하고; OAc는 아세테이트를 의미하고; Me는 메틸을 의미하고; COD (또는 cod)는 1,5-시클로옥타디엔을 의미하고; dtbpy는 4,4'-디-tert-부틸-2,2'-비피리딘을 의미하고; dba는 디벤질리덴아세톤을 의미하고; 크산트포스는 4,5-비스(디페닐포스피노)-9,9-디메틸크산틴을 의미하고; aq는 수성을 의미하고; EtOH는 에탄올을 의미하고; MeOH는 메탄올을 의미하고; TBTU는 2-(1H-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를 의미하고; DMSO는 디메틸술폭시드를 의미하고; HATU는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를 의미하고; EEDQ는 2-에톡시-1-에톡시카르보닐-1,2-디히드로퀴놀린을 의미하고; WSC는 1-[3-(디메틸아 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의미하고; DMAP는 4-디메틸아미노피리딘을 의미하고; n-Bu는 n-부틸을 의미하고; BEMP는 2-tert-부틸이미노-2-디에틸아미노-1,3-디메틸퍼히드로-1,3,2-디아자포스포린, 중합체-결합을 의미하고; DIPEA는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의미하고; TEA는 트리에틸아민을 의미한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006
Figure 112008063329072-PCT00007
Figure 112008063329072-PCT00008
Figure 112008063329072-PCT00009
Figure 112008063329072-PCT00010
Figure 112008063329072-PCT00011
Figure 112008063329072-PCT00012
Figure 112008063329072-PCT00013
Figure 112008063329072-PCT00014
Figure 112008063329072-PCT00015
Figure 112008063329072-PCT00016
Figure 112008063329072-PCT00017
Figure 112008063329072-PCT00018
Figure 112008063329072-PCT00019
Figure 112008063329072-PCT00020
생물학적 방법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HCV RdRp 분석에서 측정된 바와 같이 HCV NS5B에 대한 활성이 입증되었다.
HCV NS5B RdRp 클로닝 , 발현 및 정제
HCV (유전자형 1b)의 NS5B 단백질을 코딩하는 cDNA를 pET21a 발현 벡터로 클로닝하였다. 단백질은 18 아미노산 C-말단 절단으로 발현되어 가용성이 강화되었다. 대장균 적격(competent) 세포주 BL21(DE3)을 단백질의 발현을 위해 사용하였다. 배양물이 600 nm에서 2.0의 광학 밀도에 도달할 때까지 37℃에서 대략 4시간 동안 성장시켰다. 배양물을 20℃로 냉각시키고, 1 mM IPTG로 유도되었다. 새로운 앰피실린을 50 μg/ml의 최종 농도까지 첨가하고, 세포를 밤새 20℃에서 성장시켰다.
세포 펠렛 (3 L)을 정제를 위해 용해시켜 15 내지 24 mg의 정제된 NS5B를 수득하였다. 용해 완충액은 20 mM 트리스(Tris)-HCl (pH 7.4), 500 mM NaCl, 0.5% 트리톤 X-100, 1 mM DTT, 1 mM EDTA, 20% 글리세롤, 0.5 mg/ml 리소자임, 10 mM MgCl2, 15 ug/ml의 데옥시리보뉴클레아제 I 및 완전 TM 프로테아제 억제제 정제 (로슈(Roche))로 이루어졌다. 용해 완충액을 첨가한 후, 동결된 세포 펠렛을 조직 균질화기를 사용하여 재현탁시켰다. 샘플의 점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브랜슨(Branson) 초음파분해기에 부착된 마이크로팁을 사용하여 아이스 위에서 용해물 분취량을 초음파분해하였다. 초음파분해된 용해물을 100,000 x g로 1시간 동안 4℃에서 원심분리하고, 0.2 μm 필터 유닛 (코닝(Corning))을 통해 여과하였다.
단백질을 헤파린(Heparin) 세파로스 CL-6B, 폴리U 세파로스 4B 및 히트랩(Hitrap) SP 세파로스 (파마시아(Pharmacia))의 3개의 연속 크로마토그래피 단계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 완충액은 리소자임, 데옥시리보뉴클레아 제 I, MgCl2 또는 프로테아제 억제제를 함유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용해 완충액과 동일하였고, 단백질을 컬럼 상에 충전시키기 위한 요구사항에 따라 완충액의 NaCl 농도를 조정하였다. 컬럼 유형에 따라 길이가 5 내지 50 컬럼 부피로 다양한 각 컬럼은 NaCl 구배로 용리시켰다. 최종 크로마토그래피 단계 후, 생성된 효소의 순도는 SDS-PAGE 분석에 기초하여 90% 초과였다. 효소를 분취하여 -80℃에 저장하였다.
표준 HCV NS5B RdRp 효소 분석
HCV RdRp 유전자형 1b 분석은 96 웰 플레이트 (코스타(Costar) 3912)에서 60 μl의 최종 부피로 실행하였다. 분석 완충액은 20 mM 헤페스(Hepes) (pH 7.5), 2.5 mM KCl, 2.5 mM MgCl2, 1 mM DTT, 1.6 U RNAse 억제제 (프로메가(Promega) N2515), 0.1 mg/ml의 BSA (프로메가 R3961) 및 2% 글리세롤로 구성되었다. 모든 화합물을 DMSO로 계열 희석하고 (3배), 추가로 물로 희석하여 분석시에 DMSO의 최종 농도가 2%가 되도록 하였다. HCV RdRp 유전자형 1b 효소를 28 nM의 최종 농도로 사용하였다. 폴리A 템플레이트는 6 nM으로 사용하였고, 바이오티닐화된 올리고-dT12 프라이머는 180 nM의 최종 농도로 사용하였다. 템플레이트는 상업적으로 입수하였다 (아머샴(Amersham) 27-4110). 바이오티닐화된 프라이머는 시그마 제노시스(Sigma Genosys)에 의해 제조되었다. 3H-UTP는 0.6 μCi (0.29 μM의 총 UTP)로 사용하였다.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을 개시하고, 30℃에서 60분 동안 인큐베이션시키고, SPA 비드 (4 μg/μl, 아머샴 RPNQ 0007)를 함유한 50 mM EDTA 25 μl를 첨 가하여 중지시켰다. 실온에서 1시간 넘게 인큐베이션시킨 후, 플레이트를 팩커드 탑 카운트(Packard Top Count) NXT 상에서 판독하였다.
변형된 HCV NS5B RdRp 효소 분석
변형된 효소 분석은 하기를 제외하고는 본질적으로 표준 효소 분석에 대해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분석 완충액 중에서 프라이머와 비드를 혼합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켜, 바이오티닐화된 올리고 dT12 프라이머를 스트렙타비딘-코팅된 SPA 비드 상에 미리 포착시켰다. 원심분리한 후에 결합되지 않은 프라이머를 제거하였다. 프라이머-결합된 비드를 20 mM 헤페스 완충액 (pH 7.5)에 재현탁시키고, 20 nM 프라이머 및 0.67 μg/μl 비드의 최종 농도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에서의 첨가 순서는 다음과 같다: 효소 (14 nM)를 희석된 화합물에 첨가한 후에 템플레이트 (0.2 nM), 3H-UTP (0.6 μCi, 0.29 μM) 및 프라이머-결합된 비드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개시하였다 (제시된 농도는 최종 농도임). 반응을 4시간 동안 30℃에서 진행시켰다.
화합물에 대한 IC50 값은 7 개의 상이한 [I]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IC50 값은 식 y = A+((B-A)/(1+((C/x)^D)))을 사용하여 억제율로부터 계산하였다.
FRET 분석 준비
HCV FRET 스크리닝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96-웰 세포 배양 플레이트를 사용하였다. FRET 펩티드 (아나스펙, 인크.(Anaspec, Inc.)) (문헌 [Taliani et al., Anal. Biochem. 1996, 240, 60-67])는 펩티드의 한쪽 말단 근처에 형광 공여자인 EDANS를 함유하고 다른 쪽 말단 근처에는 수용자인 DABCYL을 함유한다. 펩티드의 형광은 공여자와 수용자 사이의 분자간 공명 에너지 전이 (RET)에 의해 소멸되지만, NS3 프로테아제가 펩티드를 절단할 때 생성물이 RET 소멸로부터 방출되어 공여자의 형광이 분명해진다. 분석 시약은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프로메가로부터의 5X 세포 루시페라제 세포 배양 용해 시약 (#E153A)을 dH2O로 1X 희석하고, NaCl을 150 mM의 최종 농도로 첨가하고, FRET 펩티드를 2 mM 공급원료로부터 20 μM의 최종 농도로 희석함.
플레이트를 제조하기 위해, 레닐라(Renilla) 루시페라제 리포터 유전자가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HCV 레플리콘(replicon) 세포를 트립신화하여 96-웰 플레이트의 각각의 웰에 넣고, 적정된 시험 화합물을 컬럼 3에서 12까지 첨가하고; 컬럼 1 및 2에는 대조군 화합물 (HCV 프로테아제 억제제)이 함유되었고, 바닥 열에는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세포가 함유되었다. 이어서 플레이트를 37℃의 CO2 인큐베이터에 넣었다.
분석
상기 (FRET 분석 준비) 기재된 시험 화합물의 첨가에 이어, 다양한 시점에서 플레이트를 제거하고, 알라마 블루(Alamar blue) 용액 (트렉 디아그노스틱스(Trek Diagnostics), #00-100)을 세포 독성 측정용으로 웰마다 첨가하였다. 사이토플라워(Cytoflour) 4000 기기 (피이 바이오시스템즈(PE Biosystems))에서 판독한 후, 플레이트를 PBS로 헹군 다음 상기 (FRET 분석 준비) 기재된 FRET 펩티드 분석 시약 을 웰마다 30 ul씩 첨가하여 FRET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어서, 플레이트를 340 여기/490 방출, 20 주기 자동 모드, 및 동적 모드에서의 플레이트 판독으로 설정된 사이토플라워 4000 기기에 넣었다. 통상적으로, 판독 후 종말점 분석을 사용한 노이즈에 대한 신호는 3배 이상이었다. 별법으로, 알라마 블루 판독 후, 플레이트를 PBS로 헹구고, 페놀 레드 없이 50 ul의 DMEM (고 글루코스)을 첨가한 다음, 프로메가 듀얼-글로 루시페라제 분석 시스템(Promega Dual-Glo Luciferase Assay System)을 사용하는 루시페라제 분석에 플레이트를 사용하였다.
화합물 분석은 상대적인 HCV 레플리콘 억제 및 상대적인 세포독성 값의 정량화에 의해 측정하였다. 세포독성 값을 계산하기 위해, 대조군 웰로부터의 평균 알라마 블루 형광 신호를 100% 무독성으로 설정하였다. 이어서, 화합물 시험 웰 각각의 개별적인 신호를 평균 대조군 신호로 나누고 100%를 곱하여 세포독성률을 측정하였다. HCV 레플리콘 억제 값을 계산하기 위해서, 분석 기간 말기에 최대량의 HCV 프로테아제 억제제를 함유한 2 개의 웰로부터 평균 배경 값을 수득하였다. 이들 수치는 실험하지 않은 Huh-7 세포로부터 수득한 것과 유사하였다.
이어서, 배경 수치를 대조군 웰로부터 수득한 평균 신호에서 빼고, 이 수치를 100% 활성으로 사용하였다. 이어서, 화합물 시험 웰 각각의 개별적인 신호를 배경을 뺀 후의 평균 대조군 값으로 나누고 100%를 곱하여 활성률을 측정하였다. 프로테아제 억제제 적정에 대한 EC5O 값은 FRET 또는 루시페라제 활성에서 50% 감소를 유발하는 농도로서 계산하였다. 화합물 플레이트로부터 생성된 2개의 수치, 세포독성률 및 활성률을 사용하여 추가 분석에서 관심 화합물을 측정하였다.
화학식 I의 화합물에 대한 대표적 데이터를 하기 표 1에 기록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021
Figure 112008063329072-PCT00022
추가로, 2005년 7월 14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1/181639호에 개시된 화합물은 이러한 분석에서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하기 표 2 참조).
Figure 112008063329072-PCT00023
Figure 112008063329072-PCT00024
Figure 112008063329072-PCT00025
Figure 112008063329072-PCT00026
제약 조성물 및 치료 방법
본 발명의 화합물은 HCV NS5B에 대한 활성을 입증하였고, HCV 및 HCV 감염을 치료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항-HCV 활성을 갖는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항-HCV 활성을 갖는 화합물이 인터페론인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인터페론이 인터페론 알파 2B, PEG화된 인터페론 알파, 컨센서스(consensus) 인터페론, 인터페론 알파 2A 및 림프아형(lymphoblastoid) 인터페론 타우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항-HCV 활성을 갖는 화합물이 시클로스포린인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시클로스포린이 시클로스포린 A인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항-HCV 활성을 갖는 화합물이 인터류킨 2, 인터류킨 6, 인터류킨 12, 제1형 조력 T 세포 반응의 발생을 강화시키는 화합물, 간섭 RNA, 안티센스 RNA, 이미퀴모드(Imiqimod), 리바비린, 이노신 5'-모노포스페이트 데히드로게나제 억제제, 아만타딘 및 리만타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항-HCV 활성을 갖는 화합물이 HCV 메탈로프로테아제, HCV 세린 프로테아제, HCV 폴리머라제, HCV 헬리카제, HCV NS4B 단백질, HCV 유입, HCV 어셈블리, HCV 방출, HCV NS5A 단백질, IMPDH, 및 HCV 감염의 치료를 위한 뉴클레오시드 유사체로부터 선택되는 표적의 기능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인터페론 및 리바비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HCV 레플리콘을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HCV 레플리콘의 기능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HCV NS5B 단백질을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HCV NS5B 단백질의 기능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치료적 유효량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환자에서 HCV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HCV 레플리콘의 기능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HCV NS5B 단백질의 기능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치료적 유효량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항-HCV 활성을 갖는 또다른 화합물과 함께 (이들보다 전에, 후에 또는 동시에)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환자에서 HCV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항-HCV 활성을 갖는 다른 화합물이 인터페론인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인터페론이 인터페론 알파 2B, PEG화된 인터페론 알파, 컨센서스 인터페론, 인터페론 알파 2A 및 림프아형 인터페론 타우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항-HCV 활성을 갖는 다른 화합물이 시클로스포린인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시클로스포린이 시클로스포린 A인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항-HCV 활성을 갖는 다른 화합물이 인터류킨 2, 인터류킨 6, 인터류킨 12, 제1형 조력 T 세포 반응의 발생을 강화시키는 화합물, 간섭 RNA, 안티센스 RNA, 이미퀴모드, 리바비린, 이노신 5'-모노포스페이트 데히드로게나제 억제제, 아만타딘 및 리만타딘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항-HCV 활성을 갖는 다른 화합물이 HCV 메탈로프로테아제, HCV 세린 프로테아제, HCV 폴리머라제, HCV 헬리카제, HCV NS4B 단백질, HCV 유입, HCV 어셈블리, HCV 방출, HCV NS5A 단백질, IMPDH, 및 HCV 감염의 치료를 위한 뉴클레오시드 유사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표적의 기능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항-HCV 활성을 갖는 다른 화합물이 HCV NS5B 단백질 이외의 다른 HCV 생활 주기에서의 표적의 기능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다.
"치료적 유효량"은 간염 및 HCV 감염 분야의 진료의에 의해 이해된 바와 같이 의미있는 환자의 이득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작용제의 양을 의미한다.
"환자"는 간염 및 HCV 감염 분야의 진료의에 의해 이해된 바와 같이 HCV 바이러스로 감염되고 치료하기에 적합한 사람을 의미한다.
"치료", "치료법", "섭생법", "HCV 감염" 및 관련된 용어는 간염 및 HCV 감염 분야의 진료의에 의해 이해된 바와 같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통상적으로, 치료적 유효량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로 구성되고 통상의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는 제약 조성물로서 제공된다. 치료적 유효량은 의미있는 환자의 이득을 제공하는데 요구되는 양이다.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는 허용가능한 안전성 프로파일을 갖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담체이다. 조성물은 캡슐제, 정제, 로젠지제 및 분말제뿐만 아니라 액체 현탁액제, 시럽제, 엘릭시르제 및 용액제를 비롯한 모든 통상의 고상 및 액상 형태를 포함한다. 조성물은 통상의 제제화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되고, 통상의 부형제 (예컨대, 결합제 및 습윤제) 및 비히클 (예컨대, 물 및 알콜)이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고상 조성물은 보통 단위 투여형으로 제형화되고, 투여 당 약 1 내지 1000 mg의 활성 성분을 제공하는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투여량의 몇몇 예는 1 mg, 10 mg, 100 mg, 250 mg, 500 mg 및 1000 mg이다. 일반적으로, 다른 작용제는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부류의 작용제와 유사한 단위 범위로 제공될 것이다. 통상적으로는 0.25-1000 mg/단위이다.
액상 조성물은 보통 단위 투여량 범위로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액상 조성물은 1-100 mg/mL의 단위 투여량 범위일 것이다. 투여량의 몇몇 예는 1 mg/mL, 10 mg/mL, 25 mg/mL, 50 mg/mL 및 100 mg/mL이다. 일반적으로, 다른 작용제는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부류의 작용제와 유사한 단위 범위로 제공될 것이다. 통상적으로는 1-100 mg/mL이다.
본 발명은 모든 통상적인 투여 방식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및 비경구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투여 계획은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작용제와 유사할 것이다. 통상적으로, 일일 투여량은 일일 체중 kg 당 1 내지 100 mg일 것이다. 통상적으로, 경구로 투여되는 경우에 보다 많은 화합물이 필요하며 비경구로 투여되는 경우에는 덜 필요하다. 그러나, 특정한 투여 계획은 안전 의료 평가를 사용하여 내과의가 결정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합물이 조합요법으로 제공되는 방법을 포함한다. 즉, 화합물은 간염 및 HCV 감염의 치료에 유용한 다른 작용제와 개별적이지만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조합요법의 경우, 화합물은 통상적으로 다른 작용제와 함께 체중 kg 당 1 내지 100 mg의 일일 투여량으로 제공될 것이다. 다른 작용제는 통상적으로 치료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제공될 것이다. 그러나, 특정한 투여 계획은 안전 의료 평가를 사용하여 내과의가 결정할 것이다.
조성물 및 방법에 적합한 화합물의 몇몇 예는 하기 표 3에 열거된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027
Figure 112008063329072-PCT00028
Figure 112008063329072-PCT00029
특정 실시양태의 상세한 설명
HPLC 및 LC/MS 분석은 220 nm에서의 UV 검출기 및 워터스 마이크로매스(Waters Micromass)가 장착된 시마즈(Shimadzu)-VP 기기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NMR 스펙트럼은 부커(Bucker) DPX-300 MHz 또는 DRX-500 MHz 기기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중간체 1
Figure 112008063329072-PCT00030
6-( 아미노카르보닐 )-13- 시클로헥실 -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DMF (7.0 mL) 및 DIPEA (1.85 mL, 10.6 mmol) 중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6,10-디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 10-메틸 에스테르 (1.10 g, 2.65 mmol)의 용액에 TBTU (1.28 g, 3.97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5분 동안 22℃에서 교반하였다. 암모니아 (디옥산 중의 0.5 M, 21.2 mL, 10.6 mmol)를 첨가하고, 상기 용액을 18시간 동안 22℃에서 교반하였다. 1 M HCl (50 mL)을 첨가하고, 수성 층을 CHCl3 (2 x 5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농축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4:1의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 (900 mg, 82%)을 제공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031
중간체 2
Figure 112008063329072-PCT00032
6- 시아노 -13- 시클로헥실 -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산 , 메틸 에스테르.
디클로로메탄 (5.1 mL) 중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6-(아미노카르보닐)-13-시클로헥실-, 메틸 에스테르 (220 mg, 0.531 mmol)의 용액에 버제스(Burgess) 시약 (506 mg, 2.12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6시간 동안 22℃에서 교반하였다. 1 M HCl (50 mL)을 첨가하고, 수성 층을 CHCl3 (2 x 3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황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 (200 mg, 95%)을 제공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033
중간체 3
Figure 112008063329072-PCT00034
13- 시클로헥실 -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6,10-디카르복실산, 10- 메틸 에스테르.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6,10-디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 디메틸 에스테르 (98 mg, 0.23 mMol)를 THF 1.5 ml 중에 용해시키고, 메탄올 중의 1.0 M 테트라부틸암모늄 히드록시드 0.24 mL를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에 에틸 아세테이트와 1 N 염산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층을 1 N 염산,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켜 모노-산 생성물 93 mg (98%)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035
중간체 4
Figure 112008063329072-PCT00036
6-( 클로로카르보닐 )-13- 시클로헥실 -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 실산, 메틸 에스테르.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6,10-디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 10-메틸 에스테르 (1.50 g, 3.61 mMol)를 무수 디클로로메탄 30 ml 중에 현탁시켰다. 디클로로메탄 중 옥살릴 클로라이드의 용액 (4.0 ml, 2.0 M, 8.0 mMol)을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였다. 촉매량의 DMF (3 방울)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일시적으로 질소 하에서 환류하고나서 냉각시키고, 2.5시간 동안 질소 하에서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였다. 잔류 옥살릴 클로라이드를 벤젠/디클로로메탄의 혼합물과 함께 공비혼합적으로 제거하여 황색 고체 1.59 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037
중간체 5
Figure 112008063329072-PCT00038
에틸 2-( 테트라히드로 -2H-피란-4-일) 아세트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무수 염화수소 렉쳐(lecture) 병에 연결된 피펫 기체 유입 튜브 및 에탄올을 함유한 버블러에 연결된 기체 배출 아답터가 장착된 3-목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시아노메틸테트라히드로피란 (970 mg, 775 mMol) 및 대략 15 ml의 무수 에탄올을 채웠다. 아이스 배스를 사용하여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염화수소를 반응물 내로 1시간 동안 버블링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고무 셉텀으로 캡핑하고 3일 동안 냉동기에 두었다. 반응물을 냉동기로부터 제거하고, 실온으로 가온하고, 반응 혼합물로부터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여 호박색 오일 1.657 g을 수득하였다. 상기 오일을 질소 하에서 냉동기 안에 밤새 두어 회백색 고체로 결정화시켰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039
중간체 6
Figure 112008063329072-PCT00040
13- 시클로헥실 -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6,10-디카르복실산, 10- 메틸 에스테르, 6- 히드라지드.
산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6,10-디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 10-메틸 에스테르 (2.527 g, 6.08 mMol)를 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HOBt) (1.27 g, 9.4 mMol)을 함유한 DMF 45 ml 중에 용해시켰다. 커플링화제인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1.752 g, 9.14 mMol)를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교반한지 1시간 내에 연황색 침전물이 형성되었고, THF 50 mL를 첨가하여 침전물을 용해시켰다. THF 25 mL 중의 히드라진 2 ml (63.7 mMol)를 함유한 교반 플라스크에 반응물을 캐뉼라로 이동시키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1 L 삼각 플라스크에 이동시키고, 빠르게 교반하면서 물 500 ml를 첨가하였다. 황색 침전물을 여과제거하고, 물로 세정하고, 오산화인 상에서 진공 하에 건조시켜 연황색 고체 2.618 g (100%)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041
중간체 7
Figure 112008063329072-PCT00042
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산 , 13- 시클로헥실 -3- 메톡시 -6-(페 닐술포닐 )-, tert -부틸 에스테르.
디옥산 (28.0 mL) 및 BEMP (7.97 mL, 27.6 mmol) 중 메틸 3-시클로헥실-2-(2-포르밀-4-메톡시페닐)-1H-인돌-6-카르복실레이트 (6.00 g, 13.8 mmol)의 용액에 페닐 비닐 술폰 (27.6 g, 2.21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20℃에서 15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 하의 씰링된 튜브 안에서 교반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농축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CH2Cl2)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 (5.64 g, 70%)을 제공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043
중간체 8
Figure 112008063329072-PCT00044
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산 , 13- 시클로헥실 -3- 메톡시 -6-(트 리부틸스탄닐 )-, 1,1-디메틸에틸 에스테르. 1,1-디메틸에틸 13- 시클로헥실 -3-( 틸옥시)-6-( 트리부틸스탄나닐 )-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레이트.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3-메톡시-6-(페닐술포닐)-, 1,1-디메틸에틸 에스테르 (1.00 g, 1.71 mMol)를 비스(트리부틸주석) (2.8 mL, 5.54 mMol), 트리부틸주석 히드라이드 (136 uL, 0.513 mMol) 및 트리에틸아민 (1.05 mL, 7.5 mMol)과 함께 벤젠 26 mL 중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에 대략 10분 동안 질소를 분산시킨 후에 2,2'-비스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 (AIBN) (96 mg, 0.58 mMol)을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질소 하에서 2시간 동안 환류 온도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하기 HPLC 조건을 사용한 LC-MS에 따라 진행시켰다: 디스커버리(Discovery) VP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시마즈 분석용 HPLC: %A = 5% 아세토니트릴, 95% 물, 10 mmol 암모늄 아세테이트, %B = 95% 아세토니트릴, 5% 물, 10 mmol 암모늄 아세테이트; 개시 %B = 0; 최종 %B = 100; 구배 = 3분; 작동시간 = 10분; 유속 = 5 ml/분; 파장 = 220 nm; 컬럼 = 워터스 엑스테라(Waters Xterra), 3 mm x 50 mm, S7. 상기 반응물에 트리부틸주석 히드라이드 (0.45 mL, 1.7 mMol) 및 AIBN (95 mg, 0.58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2시간 동안 환류 온도로 가열한 다음 진행에 대해 분석하였다. AIBN (99 mg, 0.60 mMol)을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고, 타이머를 사용하여 반응물을 추가 6시간 동안 환류 온도로 가열하였다. 반응 진행에 대해 LC-MS로 분석한 다음 트리부틸주석 히드라이드 (1.0 ml, 3.8 mMol) 및 AIBN (97 mg, 0.59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2시간 20분 동안 환류 온도로 가열하였다. 반응을 LC-MS에 의해 분석한 다음, AIBN (97 mg, 0.59 mMol)을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질소 하에서 1시간 동안 환류 온도로 가열하고, 냉각시키고, LC-MS에 의해 분석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반응물로부터 진공 하에 제거하고, YMC GEL ODS-A (120A 구형 75 uM) 190 g으로 충전된 C18을 사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반응물을 정제하였다. 반응 잔류물 (6.67 g의 황색 오일)을 최소량의 디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키고, 상기 용액을 아세토니트릴 중의 10% 디클로로메탄으로 충전된 역상 컬럼 상에 적용하였다. 초기 용리는 아세토니트릴 중의 10%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수행한 다음 아세토니트릴 중의 15% 디클로로메탄으로 용리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는 아세토니트릴 중의 15%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용리하면서 와트만(Whatman) MKC18F 역상 1" x 3" 200 uM 두께의 TLC 플레이트를 사용한 TLC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화합물의 관찰은 254 nm에서의 UV 램프 및 TLC 플레이트의 요오드 착색에 의해 달성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수집하고,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여 연황색 포말체로서 647 mg (52%)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045
LC-MS: 디스커버리 VP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시마즈 분석용 HPLC: %A = 5% 아세토니트릴, 95% 물, 10 mmol 암모늄 아세테이트; %B = 95% 아세토니트릴, 5% 물, 10 mmol 암모늄 아세테이트; 개시 %B = 0; 최종 %B = 100; 구배 = 3분; 작동시간 = 10분; 유속 = 5 ml/분; 파장 = 220 nm; 컬럼 = 워터스 엑스테라, 3 mm x 50 mm, S7. 체류시간 = 4.2분, MS m/z 734 (MH+).
중간체 9
Figure 112008063329072-PCT00046
메틸 13- 시클로헥실 -3-( 메틸옥시 )-6-(((5-( 메틸옥시 )-2,5- 디옥소펜틸 )아미노)카르보닐)-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레이트.
13-시클로헥실-3-(메틸옥시)-10-((메틸옥시)카르보닐)-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6-카르복실산 (1.00 g, 2.24 mMol)을 1-히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483 mg, 3.5 mMol)과 함께 DMF 20 ml 중에 용해시켰다. 상기 반응물을 질소 하에 두고,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663 mg, 3.5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가 동안 교반하였다. 5-아미노레블린산 히드로클로라이드 (608 mg, 3.35 mMol)를 상기 반응물에 첨가한 후에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44 mL, 2.5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질소 하에서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0.1 N 염산 사이에 분배하였다.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 상을 합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켰다.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여 조 생성물 1.47 g을 수득하였고, 이를 선행 실험의 698 mg과 합하였다. 조 생성물을 10% 에틸 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 → 25% 에틸 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 구배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고체로서 생성물 1.64 g (84%)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047
중간체 10
Figure 112008063329072-PCT00048
13-시클로헥실-3-(메틸옥시)-10-((메틸옥시)카르보닐)-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6-카르복실산 (1.50 g, 3.37 mMol)을 1-히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697 mg, 5.1 mMol)과 함께 DMF 32 ml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물을 질소 하에 두고,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967 mg, 5.04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아미노아세트알데히드 디메틸아세탈 (0.44 mL, 4.1 mMol)을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고, 반응물을 질소 하에서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0.1 N 염산 사이에 분배하였다.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 상을 합하고, 0.1 N 염산으로 세척한 다음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켰다.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여 조 생성물 1.98 g을 수득하였고, 이를 정제하지 않고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조 아세탈 (1.4 g, 2.7 mMol)을 아세톤 30 mL 및 2 M 염산 (1.6 mL, 3.2 mMol) 중에 용해시키고, 일시적으로 환류 온도로 가열한 다음 2.5시간 동안 교반한 후, 다시 일시적으로 환류 온도로 가열한 다음 추가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 N 염산 (200 mL)을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고, 침전물을 여과제거하고, 물로 세정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조 생성물 1.14 g (87%)을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헥산 중의 15% 에틸 아세테이트 → 헥산 중의 25% 에틸 아세테이트 구배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고체로서 생성물 0.81 g (62%)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049
시마즈 LC-MS 디스커버리 소프트웨어; %A = 10% 메탄올, 90% 물, 0.1% TFA; %B = 90% 메탄올, 10% 물, 0.1% TFA; 개시 %B = 50; 최종 %B = 100; 구배 = 5분; 작동시간 = 6분; 유속 = 5 ml/분; UV = 220 nm; 컬럼 = 페노메넥스 루나(Phenomenex Luna) C18, 10u, 3.0 mm x 50 mm, 생성물의 체류시간 = 4.2분, MS m/z 487 (MH+).
중간체 11
Figure 112008063329072-PCT00050
13- 시클로헥실 -6-[[(5- 메톡시 -2,5- 디옥소펜틸 )아미노]카르보닐]-7H- 인돌로[2, 1-a][2]벤즈아제핀-10- 카르복실산 , 메틸 에스테르.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6-(클로로카르보닐)-13-시클로헥실-, 메틸 에스테르 (499 mg, 1.15 mMol)를 무수 디클로로메탄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메틸 5-아미노레블리네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244 mg, 1.34 mMol)를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한 다음 피리딘 0.5 ml (6.2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질소 하에서 40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0.1 N 염산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켜 조 생성물 603 mg을 수득하였다. 상기 생성물을 동일한 조건 하에서 수행된 선행 반응의 433 mg과 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중의 20% 에틸 아세테이트 → 디클로로메탄 중의 20% 에틸 아세테이트 구배로 용리하는 실리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 0.56 g (45%)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051
중간체 12
Figure 112008063329072-PCT00052
13- 시클로헥실 -, 6-[2-[2-( 테트라히드로 -2H-피란-4-일)아세틸] 히드라지드 ]-7H-인 돌로[2,1-a][2]벤즈아제 핀-6,10-디카르복실산.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5-[(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1,3,4-옥사디아졸-2-일]-, 메틸 에스테르의 가수분해로부터의 부산물로서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6,10-디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 6-[2-[2-(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아세틸]히드라지드]를 상기 HPLC 조건을 사용하여 단리하였다. 체류시간은 6.9분이었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053
실시예 1
Figure 112008063329072-PCT00054
13- 시클로헥실 -6-(1H- 테트라졸 -5-일)-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 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톨루엔 (2.0 mL) 중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6-시아노-13-시클로헥실-, 메틸 에스테르 (200 mg, 0.504 mmol)의 용액에 트리부틸주석 아지드 (502 mg, 1.51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50℃에서 30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 하의 씰링된 튜브 안에서 교반하였다. 1 M HCl (15 mL)을 첨가하고, 수성 층을 CHCl3 (2 x 3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농축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9:1의 EtOAc:메탄올)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 (191 mg, 86%)을 제공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055
실시예 2 및 3
Figure 112008063329072-PCT00056
13- 시클로헥실 -6-(2-에틸-2H- 테트라졸 -5-일)-5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카 르복실 산 및 13- 시클로헥실 -6-(2-에틸-2H- 테트라졸 -5-일)-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산.
DMF (1.0 mL) 및 탄산세슘 (60 mg, 0.18 mmol) 중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1H-테트라졸-5-일)-, 메틸 에스테르 (40 mg, 0.09 mmol)의 용액에 요오도에탄 (28 mg, 0.18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60℃에서 18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물 (1 mL)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60℃에서 추가 8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1 M HCl (15 mL)을 첨가하고, 수성 층을 CHCl3 (2 x 3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상기 오일을 역상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2-에틸-2H-테트라졸-5-일)-: 20 mg, 49% 수율.
Figure 112008063329072-PCT00057
5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2-에틸-2H-테트라졸-5-일)-: 11 mg, 27% 수율.
Figure 112008063329072-PCT00058
실시예 4
Figure 112008063329072-PCT00059
13- 시클로헥실 -N-[(디메틸아미노) 술포닐 ]-6-[2-에틸]-2H- 테트라졸 -5-일]-7H-인돌로[ 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스아미드.
CH2Cl2 (1.0 mL) 중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2-에틸-2H-테트라졸-5-일)- (87 mg, 0.19 mmol)의 용액에 2 M 옥살릴 클로라이드 (0.48 mL, 0.96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3시간 동안 22℃에서 교반한 후에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BEMP (0.22 mL, 0.76 mmol), CH2Cl2 (1.0 mL) 및 N,N-디메틸술파미드 (120 mg, 0.96 mmol)를 생성된 오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6시간 동안 22℃에서 교반하였다. 1 M HCl (15 mL)을 첨가하고, 수성 층을 CHCl3 (2 x 3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상기 오일을 역상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페이스트로서 표제 화합물 (56 mg, 52%)을 제공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060
실시예 5
Figure 112008063329072-PCT00061
13- 시클로헥실 -6-[2-(2- 히드록시에틸 )-2H- 테트라졸 -5-일]-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산.
DMF (1.0 mL) 및 탄산세슘 (60 mg, 0.18 mmol) 중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1H-테트라졸-5-일)-, 메틸 에스테르 (40 mg, 0.09 mmol)의 용액에 2-클로로에탄올 (15 mg, 0.18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60℃에서 가열하였다. 물 (1 mL)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추가 8시간 동안 60℃에서 가열하였다. 1 M HCl (15 mL)을 첨가하고, 수성 층을 CHCl3 (2 x 3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상기 오일을 역상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페이스트로서 표제 화합물 (21 mg, 49% 수율)을 제공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062
실시예 6 및 7
Figure 112008063329072-PCT00063
13- 시클로헥실 -6-[2-( 시클로프로필메틸 )-2H- 테트라졸 -5-일]-7H- 인돌로[2,1- a][2]벤 즈아 제핀-10- 카르복실산 및 13- 시클로헥실 -6-[2-( 시클로프로필메틸 )-2H- 테트라졸 -5-일]-5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산.
DMF (1.0 mL) 및 탄산세슘 (60 mg, 0.18 mmol) 중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1H-테트라졸-5-일)-, 메틸 에스테르 (40 mg, 0.09 mmol)의 용액에 (브로모메틸)시클로프로판 (24 mg, 0.18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60℃에서 가열하였다. 물 (1 mL)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추가 8시간 동안 60℃에서 가열하였다. 1 M HCl (15 mL)을 첨가하고, 수성 층을 CHCl3 (2 x 3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상기 오일을 역상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2-(시클로프로필메틸)-2H-테트라졸-5-일]-: 22 mg, 50% 수율.
Figure 112008063329072-PCT00064
5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2-(시클로프로필메틸)-2H-테트라졸-5-일]-: 11 mg, 25% 수율.
Figure 112008063329072-PCT00065
실시예 8, 9 및 10
Figure 112008063329072-PCT00066
13- 시클로헥실 -6-[2-[( 테트라히드로 -2- 푸라닐 ) 메틸 ]-2H- 테트라졸 -5-일]-5H- 돌로[ 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산 및 13- 시클로헥실 -6-[2-[( 테트라히드로 -2-푸라닐) 메틸 ]-2H- 테트라졸 -5-일]-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산 및 13-시 클로헥 실-6-[1-[( 테트라히드로 -2- 푸라닐 ) 메틸 ]-1H- 테트라졸 -5-일]-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산.
DMF (1.0 mL) 및 탄산세슘 (60 mg, 0.18 mmol) 중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1H-테트라졸-5-일)-, 메틸 에스테르 (40 mg, 0.09 mmol)의 용액에 2-(브로모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30 mg, 0.18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60℃에서 가열하였다. 물 (1 mL)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추가 8시간 동안 60℃에서 가열하였다. 1 M HCl (15 mL)을 첨가하고, 수성 층을 CHCl3 (2 x 3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상기 오일을 역상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2-[(테트라히드로-2-푸라닐)메틸]-2H-테트라졸-5-일]-: 22 mg, 48% 수율.
Figure 112008063329072-PCT00067
5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2-[(테트라히드로-2-푸라닐)메틸]-2H-테트라졸-5-일]-: 10 mg, 22% 수율.
Figure 112008063329072-PCT00068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1-[(테트라히드로-2-푸라닐)메틸]-1H-테트라졸-5-일]-: 8 mg, 17% 수율.
Figure 112008063329072-PCT00069
실시예 11, 12, 13 및 14
Figure 112008063329072-PCT00070
Figure 112008063329072-PCT00071
13- 시클로헥실 -6-[2-[( 테트라히드로 -2H-피란-4-일) 메틸 ]-2H- 테트라졸 -5-일]-7H-인 돌로[2,1-a][2]벤즈아제 핀-10- 카르복실산 및 13- 시클로헥실 -6-[2-[( 테트라히드로 -2H-피란-4-일) 메틸 ]-2H- 테트라졸 -5-일]-5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 실산 및 13- 시클로헥실 -6-[1-[( 테트라히드로 -2H-피란-4-일) 메틸 ]-1H- 테트라졸 -5-일]-7H-인 돌로[2,1-a][2]벤즈아제 핀-10- 카르복실산 및 13- 시클로헥실 -6-[1-[( 테트라히드 로-2H-피란-4-일) 메틸 ]-1H- 테트라졸 -5-일]-5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산.
DMF (1.0 mL) 및 탄산세슘 (60 mg, 0.18 mmol) 중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1H-테트라졸-5-일)-, 메틸 에스테르 (40 mg, 0.09 mmol)의 용액에 4-(브로모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 (31 mg, 0.18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60℃에서 가열하였다. 물 (1 mL)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추가 8시간 동안 60℃에서 가열하였다. 1 M HCl (15 mL)을 첨가하고, 수성 층을 CHCl3 (2 x 3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상기 오일을 역상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2-[(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2H-테트라졸-5-일]-: 21 mg, 44% 수율.
Figure 112008063329072-PCT00072
5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2-[(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2H-테트라졸-5-일]-: 9 mg, 19% 수율.
Figure 112008063329072-PCT00073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1-[(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1H-테트라졸-5-일]-: 6 mg, 13% 수율.
Figure 112008063329072-PCT00074
5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1-[(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1H-테트라졸-5-일]-: 3 mg, 6% 수율.
Figure 112008063329072-PCT00075
실시예 15
Figure 112008063329072-PCT00076
13- 시클로헥실 -N-[(디메틸아미노) 술포닐 ]-6-[2-[( 테트라히드로 -2H-피란-4-일)메틸]-2H- 테트라졸 -5-일]-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스아미드.
CH2Cl2 (1.0 mL) 중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2-[(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2H-테트라졸-5-일]- (100 mg, 0.19 mmol)의 용액에 2 M 옥살릴 클로라이드 (0.48 mL, 0.96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3시간 동안 22℃에서 교반한 후에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BEMP (0.22 mL, 0.76 mmol), CH2Cl2 (1.0 mL) 및 N,N-디메틸술파미드 (120 mg, 0.96 mmol)를 생성된 오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6시간 동안 22℃에서 교반하였다. 1 M HCl (15 mL)을 첨가하고, 수성 층을 CHCl3 (2 x 3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상기 오일을 역상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페이스트로서 표제 화합물 (41 mg, 34%)을 제공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077
실시예 16
Figure 112008063329072-PCT00078
13- 시클로헥실 -3- 메톡시 -6-[2-[( 테트라히드로 -2H-피란-4-일) 메틸 ]-2H- 테트라졸 -5-일]-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산.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2-[(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2H-테트라졸-5-일]- (상기 참조)과 유사한 방식으로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3-메톡시-6-[2-[(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2H-테트라졸-5-일]-을 제조하여 황색 고체 110 mg (최종 단계에서 90%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079
실시예 17
Figure 112008063329072-PCT00080
13- 시클로헥실 -N-[(디메틸아미노) 술포닐 ]-3- 메톡시 -6-[2-[( 테트라히드로 -2H-피란-4-일) 메틸 ]-2H- 테트라졸 -5-일]-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스아미드.
CH2Cl2 (1.0 mL) 중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3-메톡시-6-[2-[(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2H-테트라졸-5-일]- (110 mg, 0.20 mmol)의 용액에 2 M 옥살릴 클로라이드 (0.50 mL, 1.00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3시간 동안 22℃에서 교반한 후에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BEMP (0.23 mL, 0.80 mmol), CH2Cl2 (1.0 mL) 및 N,N-디메틸술파미드 (124 mg, 1.00 mmol)를 생성된 오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6시간 동안 22℃에서 교반하였다. 1 M HCl (15 mL)을 첨가하고, 수성 층을 CHCl3 (2 x 3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상기 오일을 역상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페이스트로서 표제 화합물 (84 mg, 64%)을 제공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081
실시예 18
Figure 112008063329072-PCT00082
13- 시클로헥실 -6-(4,5- 디히드로 -5-옥소-1,3,4- 옥사디아졸 -2-일)-7H- 인돌로[2, 1-a][2]벤즈아제핀-10- 카르복실산 , 메틸 에스테르.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6,10-디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 10-메틸 에스테르, 6-히드라지드 (771 mg, 1.80 mMol)를 THF 18 ml 중에 부분적으로 용해시키고,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IEA) (0.34 mL, 1.95 mMol)을 첨가하고 5분 동안 교반한 후에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CDI) (316 mg, 1.95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질소 하에서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CDI 100 mg 및 DIEA 0.1 ml를 더 첨가하여 반응을 완료시켰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0.1 N 염산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상을 0.1 N 염산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켜 생성물 0.82 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083
실시예 19
Figure 112008063329072-PCT00084
13- 시클로헥실 -6-(4,5- 디히드로 -5-옥소-1,3,4- 옥사디아졸 -2-일)-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산.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4,5-디히드로-5-옥소-1,3,4-옥사디아졸-2-일)-, 메틸 에스테르 (91 mg, 0.20 mMol)를 아세트산 5 ml 중에 현탁시키고, 48% 수성 브롬화수소산 2.5 m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4시간 동안 111℃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황색 침전물을 여과제거하고, 소량의 아세트산으로 세정한 다음 물로 세정하였다. 생성물을 실온에서 진공 하에 건조시켜 생성물 75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085
실시예 20
Figure 112008063329072-PCT00086
13- 시클로헥실 -6-[4,5- 디히드로 -5-옥소-4-[( 테트라히드로 -2H-피란-4-일) 메틸 ]-1,3,4-옥사디아졸-2-일]-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산 , 메틸 에스테르.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4,5-디히드로-5-옥소-1,3,4-옥사디아졸-2-일)-, 메틸 에스테르 (203 mg, 0.45 mMol)를 DMF 2 ml 및 THF 1 ml의 혼합물 중에 용해시키고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물에 4-(브로모메틸)테트라히드로피란 (115 mg, 0.64 mMol), 탄산세슘 (201 mg, 0.62 mMol) 및 나트륨 요오다이드 (90 mg, 0.6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캡핑하고 밤새 60℃로 가열하였다. 반응 내용물을 25 ml 삼각 플라스크로 이동시키고, 빠르게 교반하면서 물을 첨가하였다. 연황색 침전물을 여과제거하고, 물로 세정하고, 공기 건조시켜 물질 236 mg (95%)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087
실시예 21
Figure 112008063329072-PCT00088
13- 시클로헥실 -6-[4,5- 디히드로 -5-옥소-4-[( 테트라히드로 -2H-피란-4-일) 메틸 ]-1,3,4-옥사디아졸-2-일]-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산.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4,5-디히드로-5-옥소-4-[(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1,3,4-옥사디아졸-2-일]-, 메틸 에스테르 (225 mg, 0.41 mMol)를 아세트산 5 ml 중에 현탁시키고, 48% 수성 브롬화수소산 2.5 m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2시간 동안 100℃로 가열한 다음 1.5시간 동안 120℃로 가열하고 최종적으로 추가 3시간 동안 130℃로 가열한 후에 밤새 냉각시켰다. HPLC 분석에 의해 주요 성분이 출발 물질인, 반응 혼합물로부터의 황색 고체 (55 mg)를 여과제거하였다. 여과물을 물 5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물로 세척한 다음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켰다.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여 조 생성물인 잔류물을 단리하였다. 상기 조 생성물을 아세토니트릴/DMF 혼합물 중에 용해시키고, 하기 조건 하의 역상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디스커버리 VP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시마즈 분취용 HPLC: %A = 10% 메탄올, 90% 물, 0.1% TFA; %B = 90% 메탄올, 10% 물, 0.1% TFA; 개시 %B = 35; 최종 %B = 100; 구배 = 30분; 작동시간 = 40분; 유속 = 20 ml/분; 파장 = 220 nm; 컬럼 = YMC Pro Pack 20 mm x 150 mm S5.
Figure 112008063329072-PCT00089
실시예 22
Figure 112008063329072-PCT00090
13- 시클로헥실 -6-[3-[( 테트라히드로 -2H-피란-4-일) 메틸 ]-1H-1,2,4- 트리아졸 -5-일]-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산.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3-[(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1H-1,2,4-트리아졸-5-일]-의 합성은 문헌 [Kap-Sun Yeung, Michelle E. Farkas, John F. Kadow and Nicholas A. Meanwell; Tetrahedron Letters, 46 (2005) 3429-3432]의 절차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2 ml 마이크로웨이브 반응 튜브 안의 n-부탄올 0.47 ml 중에서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6,10-디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 10-메틸 에스테르, 6-히드라지드 (100 mg, 0.23 mMol), 4-시아노메틸테트라히드로피란 (88.3 mg, 0.71 mMol), 탄산칼륨 (16.6 mg, 0.12 mMol)을 합하였다. 반응물을 7시간 동안 150℃에서 마이크로웨이브로 가열하였다. 중간체인 n-부틸 에스테르를 LC/MS에 의해 확인하였다 (m/z 579 (MH+)). 반응물로부터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고, 조 반응 혼합물에 가수분해 조건 (4시간 동안 80 내지 100℃에서 아세트산 10 ml, 48% 수성 브롬화수소산 5 ml)을 가하여 최종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반응 혼합물로부터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DMF/메탄올 중에 용해시켜 하기 조건을 사용한 분취용 HPLC에 의해 단리하였다: 디스커버리 VP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시마즈 분취용 HPLC: %A = 10% 메탄올, 90% 물, 0.1% TFA; %B = 90% 메탄올, 10% 물, 0.1% TFA; 개시 %B = 35; 최종 %B = 100; 구배 = 30분; 작동시간 = 40분; 유속 = 20 ml/분; 컬럼 = YMC Pro Pack 20 mm x 150 mm S5에 대해 2 ml씩 2회 주입. 생성물의 피크는 LC-MS에 의해 확인하였고 (MS m/z 442 (MH+)), 이를 합하여 25.2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091
실시예 23
Figure 112008063329072-PCT00092
13- 시클로헥실 -6-(3- 메틸 -1,2,4- 옥사디아졸 -5-일)-7H- 인돌로[2,1-a][2]벤즈아 제핀-10- 카르복실산 , 메틸 에스테르.
1,2,4-옥사디아졸 고리 구조는 문헌 [Ying Wang and Regan L. Miller et. al. Organic Letters 7 (5) 2005 p. 925-928]의 절차에 따라 합성할 수 있었다.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6-(클로로카르보닐)-13-시클로헥실-, 메틸 에스테르 (250 mg, 0.58 mMol)를 무수 THF 4.4 ml 중에 용해시켰다. 5 ml 마이크로웨이브 반응 튜브 안의 상기 반응물에 아세트아미드 옥심 (48 mg, 0.65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2 mL, 1.15 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질소 하에 캡핑하고, 15분 동안 150℃에서 마이크로웨이브로 가열하였다. 추가의 아세트아미드 옥심 (12.8 mg, 0.17 mMol)을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고 10분 동안 150℃에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1 N 염산 사이에 분배하였다. 이어서 유기 상을 1 N 염산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켜 조 생성물 244 mg을 수득하였다. 디클로로메탄으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부터 순수한 생성물 (105 mg, 40%)을 단리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093
실시예 24
Figure 112008063329072-PCT00094
13- 시클로헥실 -6-(3- 메틸 -1,2,4- 옥사디아졸 -5-일)-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산.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3-메틸-1,2,4-옥사디아졸-5-일)-, 메틸 에스테르 (97 mg, 0.21 mMol)를 리튬 요오다이드 (91 mg, 0.68 mMol)와 함께 피리딘 2.5 ml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물을 마이크로웨이브로 2시간 동안 180℃로 가열하였다. 이어서 반응물 중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1 N 염산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상을 1 N 염산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켰다. 디클로로메탄 중의 5% 메탄올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순수한 생성물 (42 mg, 45%)을 단리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095
실시예 25
Figure 112008063329072-PCT00096
13- 시클로헥실 -N-[(디메틸아미노) 술포닐 ]-6-(3- 메틸 -1,2,4- 옥사디아졸 -5-일)-7H-인 돌로[2,1-a][2]벤즈아제 핀-10- 카르복스아미드.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3-메틸-1,2,4-옥사디아졸-5-일)- (38 mg, 0.086 mMol)을 25 ml 둥근바닥 플라스크 안에 넣고, 디클로로메탄 중의 2.0 M 옥살릴 클로라이드 2 ml를 첨가한 다음 DMF 1 방울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일시적으로 환류 온도로 가열한 후에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고, 잔류 산 클로라이드를 무수 THF 1 ml 중에 용해시키고, 하기와 같이 제조된 예비형성된 N,N-디메틸술파미드의 음이온에 7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N,N-디메틸술파미드 (35.9 mg, 0.289 mMol)를 무수 THF 0.4 ml 중에 용해시키고, 2-tert-부틸이미노-2-디에틸아미노-1,3-디메틸퍼히드로-1,3,2-디아자포스포린 (62 uL, 0.214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질소 하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1시간 동안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실온에서 진행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0.1 N 염산과 에틸 아세테이트 3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상을 0.1 N 염산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켰다.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아세토니트릴 중에 용해시키고, 하기 조건을 사용한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고체로서 순수한 생성물 26.8 mg (57%)을 수득하였다: 디스커버리 VP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시마즈 분취용 HPLC: %A = 10% 아세토니트릴, 90% 물, 0.1% TFA; %B = 90% 아세토니트릴, 10% 물, 0.1% TFA; 개시 %B = 30; 최종 %B = 100; 구배 = 15분; 작동시간 = 25분; 유속 = 25 ml/분; 파장 = 220 nm; 컬럼 = 페노메넥스 루나 21.2 mm x 100 mm s10.
Figure 112008063329072-PCT00097
실시예 26
Figure 112008063329072-PCT00098
13- 시클로헥실 -6-[3-[( 메틸술포닐 ) 메틸 ]-1,2,4- 옥사디아졸 -5-일]-7H- 인돌로[ 2,1-a][2]벤즈아제핀-10- 카르복실산 , 메틸 에스테르.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6-(클로로카르보닐)-13-시클로헥실-, 메틸 에스테르 (776 mg, 1.79 mMol)를 20 ml 마이크로웨이브 용기 안의 무수 THF 13 ml 중에 용해시켰다. N-히드록시-2-(메틸술포닐)에탄이미드아미드 (308 mg, 2.02 mMol)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64 ml, 3.67 mMol)과 함께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5분 동안 교반한 후에 150℃에서 15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0.1 N 염산과 에틸 아세테이트 사이에 분배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프하고,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 중의 2%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하여 287 mg (30%)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099
실시예 27
Figure 112008063329072-PCT00100
13- 시클로헥실 -6-[3-[( 메틸술포닐 ) 메틸 ]-1,2,4- 옥사디아졸 -5-일]-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산.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3-[(메틸술포닐)메틸]-1,2,4-옥사디아졸-5-일]-, 메틸 에스테르 (193 mg, 0.36 mMol)를 마이크로웨이브 튜브 안의 피리딘 3.6 ml 중에 용해시켰다. 리튬 요오다이드 (166 mg, 1.24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질소 하에 두고 마이크로웨이브로 1시간 동안 180℃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0.1 N 염산 사이에 분배하고, 상의 분리를 돕기 위해 염수를 첨가하였다. 유기 층을 0.1 N 염산/염수 혼합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여 갈색 고체 180 mg을 수득하였다. 조 반응 생성물을 선행 실험으로부터의 조 반응 생성물 73 mg과 합하고, 디클로로메탄 중의 5% 메탄올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 75 mg (29%)을 수득하였다. 별도의 덜 순수한 분획 (13.6 mg)을 하기 조건 하의 분취용 HPLC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여 5.9 mg의 생성물 (생성물의 체류시간 = 13.0분)을 회수하였다: 디스커버리 VP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시마즈 분취용 HPLC: %A = 10% 아세토니트릴, 90% 물, 0.1% TFA; %B = 90% 아세토니트릴, 10% 물, 0.1% TFA; 개시 %B = 30; 최종 %B = 100; 구배 = 15분; 작동시간 = 20분; 유속 = 25 ml/분; 파장 = 220 nm; 컬럼 = 페노메넥스 루나 21.2 mm x 100 mm s10.
Figure 112008063329072-PCT00101
실시예 28
Figure 112008063329072-PCT00102
13- 시클로헥실 -N-[(디메틸아미노) 술포닐 ]-6-[3-[( 메틸술포닐 ) 메틸 ]-1,2,4- 옥사디아졸 -5-일]-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스아미드.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3-[(메틸술포닐)메틸]-1,2,4-옥사디아졸-5-일]- (75 mg, 0.13 mMol)을 THF 1.5 ml 중에 용해시키고, 카르보닐디이미다졸 (27.7 mg, 0.17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40분 동안 질소 분위기 하에서 교반한 후에 40분 동안 환류 온도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질소 하에서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N,N-디메틸술파미드 (84 mg, 0.68 mMol) 및 DBU 22 uL (0.1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밤새 (대략 16시간) 실온에서 교반한 후에 에틸 아세테이트와 0.1 N 염산 사이에 분배하고, 0.1 N 염산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켰다.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하기 조건 하의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45.3 mg (51%)의 생성물 (생성물의 체류시간 = 13.3분)을 회수하였다: 디스커버리 VP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시마즈 분취용 HPLC: %A = 10% 아세토니트릴, 90% 물, 0.1% TFA; %B = 90% 아세토니트릴, 10% 물, 0.1% TFA; 개시 %B = 30; 최종 %B = 100; 구배 = 15분; 작동시간 = 20분; 유속 = 40 ml/분; 파장 = 220 nm; 컬럼 = 워터스 선파이어(Waters Sunfire) 30 mm x 100 mm S5.
Figure 112008063329072-PCT00103
실시예 29
Figure 112008063329072-PCT00104
6-(5-아미노-1,3,4- 옥사디아졸 -2-일)-13- 시클로헥실 -7H- 인돌로[2,1-a][2]벤즈 아제핀-10- 카르복실산 , 메틸 에스테르.
1,4-디옥산 20 ml 중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6,10-디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 10-메틸 에스테르, 6-히드라지드 (1.01 g, 2.35 mMol)의 현탁액에 물 5.3 ml 중의 중탄산나트륨 (203 mg, 2.4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후에 시아노겐 브로마이드 (256 mg, 2.42 mMol)를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캡핑하고,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시아노겐 브로마이드 (35 mg, 0.33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추가 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정하고, 침전물을 진공 하에 건조시켜 생성물 880 mg (82%)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105
실시예 30
Figure 112008063329072-PCT00106
6-(5-아미노-1,3,4- 옥사디아졸 -2-일)-13- 시클로헥실 -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산.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6-(5-아미노-1,3,4-옥사디아졸-2-일)-13-시클로헥실-, 메틸 에스테르 (27.7 mg, 0.061 mMol)를 THF 0.6 ml 중에 현탁시키고, 메탄올 중의 1.0 M 테트라부틸암모늄 히드록시드 0.2 ml를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였다. 테트라부틸암모늄 히드록시드 용액을 첨가한 후 반응물은 균질하게 되었다. 반응물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더니 생성물로의 전환이 부분적으로만 일어났다. 반응물을 2시간 동안 60℃로 가열한 후에 냉각시키고, 1 N 염산 및 DMF를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하기 조건을 사용한 분취용 HPLC 상에 주입하여 생성물 7.4 mg을 단리하였다: 디스커버리 VP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시마즈 분취용 HPLC: %A = 10% 메탄올, 90% 물, 0.1% TFA; %B = 90% 메탄올, 10% 물, 0.1% TFA; 개시 %B = 35; 최종 %B = 100; 구배 = 30분; 작동시간 = 50분; 유속 = 20 ml/분; 컬럼 = YMC Pro Pack 20 mm x 150 mm S5.
Figure 112008063329072-PCT00107
실시예 31
Figure 112008063329072-PCT00108
6-[5-[( 브로모아세틸 )아미노]-1,3,4- 옥사디아졸 -2-일]-13- 시클로헥실 -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산 , 메틸 에스테르.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6-(5-아미노-1,3,4-옥사디아졸-2-일)-13-시클로헥실-, 메틸 에스테르 (50.7 mg, 0.125 mMol)를 THF 1.0 ml 중에 현탁시키고, 피리딘 (12 uL, 0.148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질소 하에서 0℃로 냉각시킨 후에 브로모아세틸 브로마이드 (13 uL, 0.1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시간 동안 0℃에서 교반한 다음 30분에 걸쳐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THF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이루어진 유기물과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상을 0.1 N 염산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켜 생성물 65 mg (90%)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109
실시예 32
Figure 112008063329072-PCT00110
13- 시클로헥실 -6-[5-[(4- 모르폴리닐아세틸 )아미노]-1,3,4- 옥사디아졸 -2-일]-7H-인 돌로[2,1-a][2]벤즈아제 핀-10- 카르복실산 , 메틸 에스테르.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6-[5-[(브로모아세틸)아미노]-1,3,4-옥사디아졸-2-일]-13-시클로헥실-, 메틸 에스테르 (62 mg, 0.11 mMol)를 DMF 1 ml 중에서 교반하고, 모르폴린 (28 uL, 0.32 mMol)을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였다. 소량의 나트륨 요오다이드를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고, 반응물을 캡핑하고,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디클로로메탄과 포화 수성 중탄산나트륨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층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여 생성물 67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111
실시예 33
Figure 112008063329072-PCT00112
13- 시클로헥실 -6-[5-[(4- 모르폴리닐아세틸 )아미노]-1,3,4- 옥사디아졸 -2-일]-7H-인 돌로[2,1-a][2]벤즈아제 핀-10- 카르복실산.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5-[(4-모르폴리닐아세틸)아미노]-1,3,4-옥사디아졸-2-일]-, 메틸 에스테르 (60 mg, 0.10 mMol)를 무수 THF 1 ml 중에 용해시키고, 칼륨 트리메틸실란올레이트 (78 mg, 0.61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캡핑하고, 2.5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염산 (6 ml, 0.1 M)을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고,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고온의 디에틸 에테르로 연화처리하여 황색 고체로서 생성물 18.7 mg (32%)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113
실시예 34
Figure 112008063329072-PCT00114
13- 시클로헥실 -6-[5-(3- 메톡시 -3- 옥소프로필 )-2- 옥사졸릴 ]-7H- 인돌로[2,1- a][2]벤 즈아 제핀-10- 카르복실산 , 메틸 에스테르.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5-메톡시-2,5-디옥소펜틸)아미노]카르보닐]-, 메틸 에스테르 (0.25 g, 0.46 mMol)를 톨루엔 4.6 ml 중에 용해시키고, 옥시염화인 93 u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대략 1.5시간 동안 환류 온도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포화 중탄산나트륨 빙냉 용액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생성물 221 mg (92%)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115
실시예 35
Figure 112008063329072-PCT00116
13- 시클로헥실 -6-[5-[3-(4- 모르폴리닐 )-3- 옥소프로필 ]-2- 옥사졸릴 ]-7H- 인돌 로[ 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산 , 메틸 에스테르.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5-(3-메톡시-3-옥소프로필)-2-옥사졸릴]-, 메틸 에스테르 (281 mg, 0.53 mMol)를 THF 3.5 ml 중에 용해시키고, 메탄올 중의 1.0 M 테트라부틸암모늄 히드록시드 0.8 ml를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3.5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고, 0.1 N 염산과 에틸 아세테이트 사이에 분배하여 켄칭시켰다. 유기 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켰다.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고, 샘플을 진공 하에 건조시켜 황색 고체 232 mg (86%)을 수득하였고,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수행하였다. 상기 황색 고체를 디클로로메탄 3 ml 중에 현탁시키고, 디클로로메탄 중의 2.0 M 옥살릴 클로라이드 2 ml를 상기 반응물에 첨가한 다음 DMF 1 방울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질소 하에서 3시간 2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로부터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고, 샘플을 실온에서 2시간 45분 동안 진공 하에 건조시킨 후에 디클로로메탄 5 ml 중에 용해시키고, 모르폴린 0.15 ml (1.72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2일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0.1 N 염산 사이에 분배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켜 잔류물 282 mg을 수득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5% 에틸 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 → 30% 에틸 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의 구배 용리를 사용한 실리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무정형 고체 157 mg (60%)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117
실시예 36
Figure 112008063329072-PCT00118
13- 시클로헥실 -6-[5-[3-(4- 모르폴리닐 )-3- 옥소프로필 ]-2- 옥사졸릴 ]-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산.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5-[3-(4-모르폴리닐)-3-옥소프로필]-2-옥사졸릴]-, 메틸 에스테르 (22.4 mg, 0.039 mMol) 및 칼륨 트리메틸실란올레이트 (75 mg, 0.19 mMol)를 자석 교반 막대가 함유된 1 드램 용량의 바이알에 넣고, 무수 THF 0.4 m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질소 하에 캡핑하고, 실온에서 2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아세트산을 첨가하여 반응물을 산성화시키고, 아세토니트릴로 희석하고, 하기 조건을 사용한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 12.7 mg (57%)을 수득하였다: %A = 10% 아세토니트릴, 90% 물, 0.1% TFA; %B = 90% 아세토니트릴, 10% 물, 0.1% TFA; 개시 %B = 30; 최종 %B = 100; 구배 = 15분; 작동시간 = 20분; 유속 = 25 ml/분; 컬럼 = 페노메넥스 루나 21.2 mm x 100 mm s10;
Figure 112008063329072-PCT00119
실시예 37
Figure 112008063329072-PCT00120
13- 시클로헥실 -N-[(디메틸아미노) 술포닐 ]-6-[5-[3-(4- 모르폴리닐 )-3- 옥소프로필 ]-2- 옥사졸릴 ]-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스아미드.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5-[3-(4-모르폴리닐)-3-옥소프로필]-2-옥사졸릴]- (75 mg, 0.13 mMol)을 THF 1.5 ml 중에 용해시켰다. 카르보닐디이미다졸 (28 mg, 0.17 mMol)을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고, 질소 하에서 4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에 40분 동안 환류 온도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질소 하에서 냉각시키고, N,N-디메틸술파미드 (84 mg, 0.68 mMol)를 상기 반응물에 첨가한 다음 DBU (22 uL, 0.1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0.1 N 염산과 에틸 아세테이트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상을 0.1 N 염산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켰다.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하기 조건을 사용한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체류시간이 10.6분인 생성물 49.6 mg (55%)을 주황색 고체로서 수집하였다: 디스커버리 VP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시마즈 분취용 HPLC: %A = 10% 아세토니트릴, 90% 물, 0.1% TFA; %B = 90% 아세토니트릴, 10% 물, 0.1% TFA; 개시 %B = 30; 최종 %B = 100; 구배 = 12분; 작동시간 = 22분; 유속 = 25 ml/분; 컬럼 = 워터스 선파이어 19 x 100 mm S5;
Figure 112008063329072-PCT00121
실시예 38
Figure 112008063329072-PCT00122
13- 시클로헥실 -N-[(디메틸아미노) 술포닐 ]-6,7- 디히드로 -6-[5-[3-(4- 모르폴 리닐)-3- 옥소프로필 ]-2- 옥사졸릴 ]-5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스아미드.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스아미드, 13-시클로헥실-N-[(디메틸아미노)술포닐]-6-[5-[3-(4-모르폴리닐)-3-옥소프로필]-2-옥사졸릴]- (18 mg, 0.027 mMol)을 THF 1.0 ml 및 메탄올 0.5 ml의 혼합물 중에 용해시키고, 탄소 상의 10% 팔라듐 (7 mg)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수소 (풍선 분위기) 하에 두고 2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셀라이트 플러그를 통해 여과하고, 셀라이트를 메탄올 및 THF로 세정하였다. 여과물로부터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메탄올 중에 용해시키고, 하기 조건 하의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디스커버리 VP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시마즈 분취용 HPLC: %A = 10% 메탄올, 90% 물, 0.1% TFA; %B = 90% 메탄올, 10% 물, 0.1% TFA; 개시 %B = 35; 최종 %B = 100; 구배 = 30분; 작동시간 = 50분; 유속 = 20 ml/분; 컬럼 = YMC Pro Pack 20 mm x 150 mm S5; 생성물의 체류시간 = 29.4분;
Figure 112008063329072-PCT00123
실시예 39
Figure 112008063329072-PCT00124
13- 시클로헥실 -6-[5-[( 테트라히드로 -2H-피란-4-일) 메틸 ]-1,3,4- 옥사디아졸 -2-일]-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산 , 메틸 에스테르.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6,10-디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 10-메틸 에스테르, 6-히드라지드 (720 mg, 1.68 mMol) 및 에틸 2-(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아세트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422 mg, 2.05 mMol)를 이소프로판올 5.2 mL 중에 현탁시키고,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IEA) (4.4 ml, 25.3 mMol)을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0분 동안 교반하고, 질소 하에서 2시간 동안 대략 70℃로 가열한 후에 반응 온도를 80℃로 증가시켰다. 가열한지 21시간 후, 반응의 HPLC 분석은 대략 27%의 고리화된 트리아졸로의 전환 및 대략 72%의 비-고리화된 중간체를 나타냈다. 반응물을 20 mL 마이크로웨이브 용기로 이동시키고, 이소프로판올 5 mL를 상기 반응물에 더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50℃로 1시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로 가열하였다. 반응물 중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분별 깔때기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및 1 N 염산과 함께 진탕시켰다. 반응 잔류물이 유기 상에 충분히 용해되지 않았기 때문에, 수성 상의 대부분을 배출시켜 없애고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였다. 포화 중탄산나트륨으로 세척하여 유기 상의 pH를 상승시켰다. 이 단계는 고체의 용해를 돕는 것처럼 보였다. 유기 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켜 황색-주황색 고체 905 mg을 수득하였다. 디클로로메탄 중의 10% 에틸 아세테이트 → 디클로로메탄 중의 30% 에틸 아세테이트 구배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옥사디아졸 생성물 (Rf = 디클로로메탄 중의 25% 에틸 아세테이트의 경우 0.55)을 단리하였다. 황색 고체로서의 생성물의 중량은 182 mg이었다. 고온의 메탄올 (2 ml)로 연화처리하고, 실온에서 메탄올 2 ml로 세정하여 분석적으로 순수한 샘플 (164.6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125
실시예 40
Figure 112008063329072-PCT00126
13- 시클로헥실 -6-[5-[( 테트라히드로 -2H-피란-4-일) 메틸 ]-1H-1,2,4- 트리아 졸-3-일]-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산 , 메틸 에스테르.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5-[(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1,3,4-옥사디아졸-2-일]-,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를 기재한 반응 혼합물로부터, 상기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부터 표제 화합물 (Rf = 디클로로메탄 중의 25% 에틸 아세테이트의 경우 0.17)을 단리하여 황색 고체로서 476 mg (53%)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127
실시예 41
Figure 112008063329072-PCT00128
13- 시클로헥실 -6-[1- 메틸 -5-[( 테트라히드로 -2H-피란-4-일) 메틸 ]-1H-1,2,4-트리아졸-3-일]-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산 , 메틸 에스테르.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5-[(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1H-1,2,4-트리아졸-3-일]-, 메틸 에스테르 (167 mg, 0.31 mMol)를 DMF 3 ml 중에 용해시켰다. 요오도메탄 (39 uL, 0.62 mMol)을 상기 반응물에 첨가한 다음 나트륨 히드라이드 (광유 중의 60%, 0.47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질소 하에 캡핑하고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고,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 사이에 분배하였다.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부를 합하고, 포화 염화암모늄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켜 황색-갈색 고체 174 mg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중의 10%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프하여 생성물 100 mg (58%)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129
실시예 42
Figure 112008063329072-PCT00130
13- 시클로헥실 -6-[1- 메틸 -5-[( 테트라히드로 -2H-피란-4-일) 메틸 ]-1H-1,2,4-트리아졸-3-일]-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산.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1-메틸-5-[(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1H-1,2,4-트리아졸-3-일]-, 메틸 에스테르 (94 mg, 0.17 mMol)를 무수 THF 1.7 ml 중에 용해시키고, 칼륨 트리메틸실란올레이트 (104 mg, 0.81 mMol)를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질소 하에 캡핑하고, 실온에서 2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 N 염산을 사용하여 반응물을 켄칭시키고,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켰다.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여 조 생성물 89 mg을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디에틸 에테르로의 연화처리에 의해 정제하여 59 mg (64%)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131
실시예 43
Figure 112008063329072-PCT00132
13- 시클로헥실 -N-[(디메틸아미노) 술포닐 ]-6-[1- 메틸 -5-[( 테트라히드로 -2H-피란-4-일) 메틸 ]-1H-1,2,4- 트리아졸 -3-일]-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스아미드.
2.0 M 옥살릴 클로라이드를 함유한 디클로로메탄 2 ml 중에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1-메틸-5-[(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1H-1,2,4-트리아졸-3-일]- (58 mg, 0.11 mMol)을 용해시켰다. DMF 1 방울을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반응물을 질소 하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고, 산 클로라이드를 필요로 될 때까지 질소 하에 저장하였다. N,N-디메틸술파미드 (45.7 mg, 0.37 mMol)를 THF 0.5 ml 중에 용해시키고, 2-tert-부틸이미노-2-디에틸아미노-1,3-디메틸퍼히드로-1,3,2-디아자포스포린 (68.8 uL, 0.238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대략 15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THF 1 ml 중에 용해된 상기 산 클로라이드를 시린지를 통해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질소 하에 캡핑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의 진행을 HPLC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THF 0.3 mL 중의 추가의 N,N-디메틸술파미드 (20 mg, 0.16 mMol) 및 2-tert-부틸이미노-2-디에틸아미노-1,3-디메틸퍼히드로-1,3,2-디아자포스포린 (46 ul, Mmol)을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질소 하에서 추가 15.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0.1 M 시트르산 사이에 분배하고, 0.1 M 시트르산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여 갈색 오일 125 mg을 수득하였다. 하기 조건 하의 분취용 HPLC에 의해 생성물 (4.3 mg, 6%)을 단리하였다: 디스커버리 VP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시마즈 분취용 HPLC: %A = 10% 메탄올, 90% 물, 0.1% TFA; %B = 90% 메탄올, 10% 물, 0.1% TFA; 개시 %B = 35; 최종 %B = 100; 구배 = 30분; 작동시간 = 50분; 유속 = 20 ml/분; 파장 = 220 nm; 컬럼 = YMC Pro Pack 20 mm x 150 mm S5.
Figure 112008063329072-PCT00133
실시예 44
Figure 112008063329072-PCT00134
13- 시클로헥실 -6-[5-[( 테트라히드로 -2H-피란-4-일) 메틸 ]-1,3,4- 옥사디아졸 -2-일]-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산.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5-[(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1,3,4-옥사디아졸-2-일]-, 메틸 에스테르 (156 mg, 0.29 mMol)를 무수 THF 중에 용해시키고, 칼륨 트리메틸실란올레이트 (198 mg, 1.54 mMol)를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질소 하에 캡핑하고 19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0.1 N 염산 사이에 분배하였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 상을 합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여 조 물질 166 mg을 수득하였다. 대략 87 mg의 조 반응물을 메탄올/아세토니트릴/DMF의 혼합물 중에 용해시키고, 하기 조건을 사용한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A = 10% 아세토니트릴, 90% 물, 0.1% TFA; %B = 90% 아세토니트릴, 10% 물, 0.1% TFA; 개시 %B = 30; 최종 %B = 100; 구배 = 10분; 작동시간 = 15분; 유속 = 25 ml/분; 컬럼 = 페노메넥스 루나 21.2 mm x 100 mm s10. 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5-[(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1,3,4-옥사디아졸-2-일]-의 체류시간은 9.9분이었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135
실시예 45
Figure 112008063329072-PCT00136
13- 시클로헥실 -6-(푸란-3-일)-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산.
단계 1: THF (6 mL) 중 메틸 3-시클로헥실-2-(2-비닐페닐)-1H-인돌-6-카르복실레이트 (0.500 mg, 1.34 mmol)의 빙냉 용액에 나트륨 히드라이드 (95%, 44 mg, 1.74 mmol)를 첨가하였다. 수소의 발생이 진정되었을 때, 2,3-디브로모프로프-1-엔 (402 mg, 2.01 mmol)을 한번에 첨가하였다. 2시간 동안 0℃에서 교반을 계속한 다음 24시간 동안 22℃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을 농축시키고, 플래쉬 기법을 사용하여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0:1)로 SiO2 상에서 잔류물을 크로마토그래프하여 메틸 1-(2-브로모알릴)-3-시클로헥실-2-(2-비닐페닐)-1H-인돌-6-카르복실레이트 (285 mg, 44.5%)를 고무질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MS m/z 479 (MH+).
단계 2: 1 M 수성 탄산나트륨 (0.82 mL, 0.82 mmol)을 함유한 에탄올 (2 mL) 및 톨루엔 (2 mL) 중 메틸 1-(2-브로모알릴)-3-시클로헥실-2-(2-비닐페닐)-1H-인돌-6-카르복실레이트 (157 mg, 0.33 mmol), 3-푸릴보론산 (54.5 mg, 0.49 mmol), LiCl (55 mg, 0.66 mmol)의 탈기된 교반 혼합물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38 mg, 0.033 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시간 동안 환류 하에 가열하고, 냉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와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층을 세척 (물, 염수)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규산 후층(thick layer) 플레이트 상에서 정제하였다. 플레이트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10:1)로 용리하여 메틸 3-시클로헥실-1-(푸란-3-일)-2-(2-비닐페닐)-1H-인돌-6-카르복실레이트 (57 mg, 37%)를 고무로서 제공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137
단계 3: 메틸렌 클로라이드 (8 mL) 중 메틸 3-시클로헥실-1-(푸란-3-일)-2-(2-비닐페닐)-1H-인돌-6-카르복실레이트 (47 mg)의 용액에 그루브(Grubb) 제2 세대 촉매 (10 mg)를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18시간 동안 환류 하에 교반하고, 건조상태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규산 분취용 플레이트 상에서 정제하였다. 플레이트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10:1)로 용리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대역을 추출하고, 추출물을 농축시켰다. 제2 후층 플레이트 상에서 정제하여 금색 고체로서 13-시클로헥실-6-(푸란-3-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레이트 (17 mg, 39%)를 제공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138
단계 4: THF (250 μL) 및 메탄올 (250 μL) 중 상기 에스테르 (17 mg) 및 1.0 N NaOH (200 μL)의 혼합물을 마이크로웨이브 장치에서 15분 동안 100℃에서 가열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냉각시키고, 희석된 HCl을 사용하여 산성화시켰더니 표제 산이 금색 고체로서 침전되었다. MS m/z 424 (MH+).
실시예 46
Figure 112008063329072-PCT00139
메틸 13- 시클로헥실 -3- 메톡시 -6-(5-(3- 메톡시 -3- 옥소프로필 )-1,3- 옥사졸 -2-일)-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레이트.
메틸 13-시클로헥실-3-(메틸옥시)-6-(((5-(메틸옥시)-2,5-디옥소펜틸)아미노)카르보닐)-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레이트 (1.60 g, 2.79 mMol)를 옥시염화인 (0.58 mL, 6.34 mMol)과 함께 톨루엔 38 ml 중에 현탁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질소 하에서 3시간 동안 환류 온도로 가열하고, 냉각시키고, 아이스 및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을 함유한 분별 깔때기에 부었다. 수성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수성 포화 중탄산나트륨,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켰다.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건조시켜 제거하여 표제 생성물을 정량적 수율로 생성하였다 (1.55 g).
Figure 112008063329072-PCT00140
HPLC 분석: 디스커버리 VP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시마즈 분석용 HPLC: %A = 10% 메탄올, 90% 물,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B = 90% 메탄올, 10% 물,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개시 %B = 50; 최종 %B = 100; 구배 = 5분; 작동시간 = 6분; 유속 = 5 ml/분; 파장 = 220 nm; 컬럼 = 페노메넥스 루나 3.0 mm x 50 mm S10; 체류시간 = 4.48분, 순도 96%. 흐름 주입 질량 분석법: MS m/z 555 (MH+).
실시예 47
Figure 112008063329072-PCT00141
3-(2-(13- 시클로헥실 -3- 메톡시 -10-( 메톡시카르보닐 )-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6-일)-1,3- 옥사졸 -5-일)프로판산.
메틸 13-시클로헥실-3-메톡시-6-(5-(3-메톡시-3-옥소프로필)-1,3-옥사졸-2-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레이트 (1.53 g, 2.92 mMol)를 THF 20 mL 중에 용해시키고, 메탄올 중의 1.0 M 테트라부틸암모늄 히드록시드 용액 5.8 m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완료시켰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1 N 수성 염산 사이에 분배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1 N 염산으로 세척한 다음 수성 층을 합하고, 다시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1 N 염산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켰다.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여 무정형 황색 고체/포말체 (1.54 g)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142
HPLC 분석: 디스커버리 VP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시마즈 분석용 HPLC: %A = 10% 메탄올, 90% 물,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B = 90% 메탄올, 10% 물,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개시 %B = 50; 최종 %B = 100; 구배 = 5분; 작동시간 = 6분; 유속 = 5 ml/분; 파장 = 220 nm; 컬럼 = 페노메넥스 루나 3.0 mm x 50 mm S10; 체류시간 = 4.11분, 순도 97%. 흐름 주입 질량 분석법: MS m/z 541 (MH+), m/z 539 (MH-).
실시예 48
Figure 112008063329072-PCT00143
메틸 13- 시클로헥실 -3- 메톡시 -6-(5-(3-(4- 모르폴리닐 )-3- 옥소프로필 )-1,3-옥사졸-2-일)-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레이트.
3-(2-(13-시클로헥실-3-메톡시-10-(메톡시카르보닐)-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6-일)-1,3-옥사졸-5-일)프로판산 (1.522 g, 2.82 mMol)을 THF 28 mL 중에 용해시키고, 카르보닐디이미다졸 (548 mg, 3.38 mMol)을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질소 하에서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에 1시간 동안 질소 하에서 환류 온도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모르폴린 (0.3 mL, 3.44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질소 하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로부터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1 N 수성 염산 사이에 분배하였다.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 층을 합하고, 1 N 염산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켜 조 생성물 1.62 g을 수득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디클로로메탄 중의 50% 에틸 아세테이트 → 디클로로메탄 중의 65% 에틸 아세테이트 구배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무정형 황색 고체로서 생성물 1.28 g (74%)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144
LC-MS: 디스커버리 VP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시마즈 분석용 HPLC: %A = 10% 메탄올, 90% 물,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B = 90% 메탄올, 10% 물,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개시 %B = 0; 최종 %B = 100; 구배 = 2분; 작동시간 = 4분; 유속 = 5 ml/분; 파장 = 220 nm; 컬럼 = 페노메넥스 루나 3.0 mm x 50 mm S10; 체류시간 = 2.93분, MS m/z 610 (MH+).
실시예 49
Figure 112008063329072-PCT00145
메틸 13- 시클로헥실 -3- 메톡시 -6-(5-(3-(4- 모르폴리닐 )-3- 옥소프로필 )-1,3-옥사졸-2-일)-6,7- 디히드로 -5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레이트.
메틸 13-시클로헥실-3-메톡시-6-(5-(3-(4-모르폴리닐)-3-옥소프로필)-1,3-옥사졸-2-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레이트 (610 mg, 1.00 mMol)를 THF 15 ml 및 메탄올 5 ml 중에 용해시켰다. 상기 반응물에 탄소 상의 10% 팔라듐 83 mg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수소 분위기 (1 atm, 풍선 압력) 하에 두고 2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셀라이트 플러그를 통해 여과하고, THF로 세정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여과물로부터 진공 하에 제거하여 황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 569 mg (93%)을 수득하였다.
LC-MS: 디스커버리 VP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시마즈 분석용 HPLC: %A = 10% 메탄올, 90% 물,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B = 90% 메탄올, 10% 물,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개시 %B = 50; 최종 %B = 100; 구배 = 3분; 작동시간 = 4분; 유속 = 5 ml/분; 파장 = 220 nm; 컬럼 = 페노메넥스 루나 3.0 mm x 50 mm S10; 체류시간 = 2.55분, MS m/z 612 (MH+).
실시예 50
Figure 112008063329072-PCT00146
13- 시클로헥실 -3- 메톡시 -6-(5-(3-(4- 모르폴리닐 )-3- 옥소프로필 )-1,3- 옥사졸 -2-일)-6,7- 디히드로 -5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산.
메틸 13-시클로헥실-3-메톡시-6-(5-(3-(4-모르폴리닐)-3-옥소프로필)-1,3-옥사졸-2-일)-6,7-디히드로-5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레이트 (560 mg, 0.92 mMol)를 THF 중에 용해시키고, 칼륨 트리메틸실란올레이트 (585 mg, 4.56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20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1 N 수성 염산을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여 황색 무정형 포말체 585 mg을 수득하였다.
LC-MS: 디스커버리 VP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시마즈 분석용 HPLC: %A = 10% 메탄올, 90% 물,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B = 90% 메탄올, 10% 물,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개시 %B = 50; 최종 %B = 100; 구배 = 5분; 작동시간 = 6분; 유속 = 5 ml/분; 파장 = 220 nm; 컬럼 = 페노메넥스 루나 3.0 mm x 50 mm S10; 체류시간 = 4.05분, MS m/z 598 (MH+), 1195 (2M+H)+.
13-시클로헥실-3-메톡시-6-(5-(3-(4-모르폴리닐)-3-옥소프로필)-1,3-옥사졸-2-일)-6,7-디히드로-5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의 키랄 분할. 조건: 키랄팩(Chiralpak) AD-H 분석용 컬럼, 4.6 mm x 250 mm, 5 um; 이동상: 이산화탄소 중의 35% (0.1% TFA) 메탄올; 온도 = 35℃; 유속 = 16분 동안 2.0 ml/분; 213 nm에서 UV 모니터링; 주입: 에탄올 중의 대략 1 mg/mL 용액 5 uL. 이성질체 A의 체류시간: 5.96분; 이성질체 B의 체류시간: 11.65분. 분취용 키랄 분리: 키랄팩 AD-H, 30 mm x 250 mm, 5 um; 이동상: 65% 이산화탄소, 35% 메탄올 및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온도: 35℃; 압력: 150 bar; 유속: 70 ml/분; UV: 213 nm; 피크 1인 이성질체 A: 7.20분 내지 9.20분; 피크 2인 이성질체 B: 12.4분 내지 16.6분. 라세미체 498 mg으로부터 216 mg의 이성질체 A 및 231 mg의 이성질체 B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51
Figure 112008063329072-PCT00147
13- 시클로헥실 -3- 메톡시 -6-(5-(3-(4- 모르폴리닐 )-3- 옥소프로필 )-1,3- 옥사졸 -2-일)-6,7- 디히드로 -5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산 (피크 1 - 키랄 이성질체 A).
Figure 112008063329072-PCT00148
HPLC 분석: 디스커버리 VP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시마즈 분석용 HPLC: %A = 10% 메탄올, 90% 물,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B = 90% 메탄올, 10% 물,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개시 %B = 50; 최종 %B = 100; 구배 = 5분; 작동시간 = 6분; 유속 = 5 ml/분; 파장 = 220 nm; 컬럼 = 페노메넥스 루나 3.0 mm x 50 mm S10; 체류시간 = 3.16분, 순도 98%. 흐름 주입 질량 분석법: MS m/z 598 (MH+), m/z 596 (MH-).
실시예 52
Figure 112008063329072-PCT00149
13- 시클로헥실 -3- 메톡시 -6-(5-(3-(4- 모르폴리닐 )-3- 옥소프로필 )-1,3- 옥사졸 -2-일)-6,7- 디히드로 -5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산 (피크 2 - 키랄 이성질체 B).
HPLC 분석: 디스커버리 VP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시마즈 분석용 HPLC: %A = 10% 메탄올, 90% 물,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B = 90% 메탄올, 10% 물,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개시 %B = 50; 최종 %B = 100; 구배 = 5분; 작동시간 = 6분; 유속 = 5 ml/분; 파장 = 220 nm; 컬럼 = 페노메넥스 루나 3.0 mm x 50 mm S10; 체류시간 = 3.18분, 순도 99%. 흐름 주입 질량 분석법: MS m/z 598 (MH+), m/z 596 (MH-).
실시예 53
Figure 112008063329072-PCT00150
13- 시클로헥실 -N-((디메틸아미노) 술포닐 )-3- 메톡시 -6-(5-(3-(4- 모르폴리닐 )-3- 옥소프로필 )-1,3- 옥사졸 -2-일)-6,7- 디히드로 -5H- 인돌로[2,1-a][2]벤즈아제 핀-10- 카르복스아미드 (이성질체 B).
13-시클로헥실-3-메톡시-6-(5-(3-(4-모르폴리닐)-3-옥소프로필)-1,3-옥사졸-2-일)-6,7-디히드로-5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피크 2 - 키랄 이성질체 B) (100 mg, 0.17 mMol)을 무수 THF 1.9 ml 중에 용해시키고, 카르보닐디이미다졸 (37.1 mg, 0.2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에 1시간 동안 질소 하에서 환류 온도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질소 하에서 냉각시키고, 디메틸 술파미드 (145 mg, 1.17 mMol) 및 DBU (27.5 uL, 0.18 mMol)를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4시간 동안 50℃로 가열한 후에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진행에 대해 HPLC로 분석하였다. 반응물을 추가 2.5시간 동안 50℃에서 가열하고, 다시 HPLC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디메틸 술파미드 (100 mg) 및 DBU (27 uL)를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고, 반응물을 질소 하에서 3시간 동안 환류 온도로 가열하였다. 열을 제거하고,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1 N 수성 염산 사이에 분배하고,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합하고, 1 N 수성 염산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한 다음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켰다.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여 조 생성물 209 mg이 생성되었고, 이를 하기 조건 하의 역상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디스커버리 VP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시마즈 분석용 HPLC: %A = 10% 메탄올, 90% 물, 0.1% TFA; %B = 90% 메탄올, 10% 물, 0.1% TFA; 개시 %B = 50; 최종 %B = 100; 구배 = 15분; 작동시간 = 15분; 유속 = 45 ml/분; 컬럼 = 워터스 선파이어 30 mm x 100 mm; 8.2분 내지 9.1분의 피크 수집. 표제 화합물 71.2 mg (60%)을 무색 고체로서 단리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151
HPLC 분석: 디스커버리 VP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시마즈 분석용 HPLC: %A = 10% 메탄올, 90% 물,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B = 90% 메탄올, 10% 물,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개시 %B = 50; 최종 %B = 100; 구배 = 5분; 작동시간 = 6분; 유속 = 5 ml/분; 파장 = 220 nm; 컬럼 = 페노메넥스 루나 3.0 mm x 50 mm S10; 체류시간 = 3.03분, 순도 99%. 흐름 주입 질량 분석법: MS m/z 704 (MH+), m/z 726 (M+Na)+, m/z 702 (M-H)-. 키랄 순도: 컬럼: 키랄셀(Chiralcel) OJ-H 분석용 컬럼 4.6 mm x 250 mm; 이동상: 이산화탄소 중의 12% 메탄올; 온도: 35℃; 유속: 40분 동안 2.0 ml/분; UV 모니터링 = 213 nm; 주입: 에탄올 중의 대략 1 mg/mL 용액 5 uL; 체류시간: 32.5분, 순도 = 100%, EE = 99.9%.
실시예 54
Figure 112008063329072-PCT00152
13- 시클로헥실 -N-((디메틸아미노) 술포닐 )-3- 메톡시 -6-(5-(3-(4- 모르폴리닐 )-3- 옥소프로필 )-1,3- 옥사졸 -2-일)-6,7- 디히드로 -5H- 인돌로[2,1-a][2]벤즈아제 핀-10- 카르복스아미드 (이성질체 A).
13-시클로헥실-3-메톡시-6-(5-(3-(4-모르폴리닐)-3-옥소프로필)-1,3-옥사졸-2-일)-6,7-디히드로-5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피크 1 - 키랄 이성질체 A)을 출발 물질로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거울상이성질체의 제조와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였다. HPLC 분석: 디스커버리 VP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시마즈 분석용 HPLC: %A = 10% 메탄올, 90% 물,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B = 90% 메탄올, 10% 물,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개시 %B = 50; 최종 %B = 100; 구배 = 5분; 작동시간 = 6분; 유속 = 5 ml/분; 파장 = 220 nm; 컬럼 = 페노메넥스 루나 3.0 mm x 50 mm S10; 체류시간 = 3.03분, 순도 99%. 흐름 주입 질량 분석법: MS m/z 704 (MH+), m/z 726 (M+Na)+, m/z 702 (M-H)-. 키랄 순도: 컬럼: 키랄셀 OJ-H 분석용 컬럼 4.6 mm x 250 mm; 이동상: 이산화탄소 중의 12% 메탄올; 온도: 35℃; 유속: 40분 동안 2.0 ml/분; UV 모니터링 = 213 nm; 주입: 에탄올 중의 대략 1 mg/mL 용액 5 uL; 체류시간: 27.1분, 순도 = 100%, EE >99.9%.
실시예 55
Figure 112008063329072-PCT00153
메틸 13- 시클로헥실 -3- 메톡시 -6-(1,3- 옥사졸 -2-일)-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레이트.
메틸 13-시클로헥실-3-(메틸옥시)-6-(((2-옥소에틸)아미노)카르보닐)-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레이트 (410 mg, 0.84 mMol)를 교반 막대를 함유한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 튜브 안의 THF 10 mL 중에 용해시켰다. (메톡시카르보닐술파모일)트리에틸암모늄 히드록시드, 불활성 염인 버제스 시약 (602 mg, 2.53 mMol)을 반응 용기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두고 1분 동안 100 와트의 마이크로웨이브로 가열하였다. 반응을 HPLC에 의해 모니터링하고, 추가의 버제스 시약 (200 mg, 0.84 mMol)을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추가로 1분 동안 100 와트 전력으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1 N 수성 염산 사이에 분배하였다.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합하고, 1 N 수성 염산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여 조 생성물 0.71 g을 수득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디클로로메탄 중의 0% 에틸 아세테이트 → 디클로로메탄 중의 15% 에틸 아세테이트 구배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150 mg (38%)을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154
HPLC 분석: 디스커버리 VP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시마즈 분석용 HPLC: %A = 10% 메탄올, 90% 물,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B = 90% 메탄올, 10% 물,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개시 %B = 50; 최종 %B = 100; 구배 = 5분; 작동시간 = 6분; 유속 = 5 ml/분; 파장 = 220 nm; 컬럼 = 페노메넥스 루나 3.0 mm x 50 mm S10; 체류시간 = 4.43분, 순도 97%; 흐름 주입 질량 분석법: MS m/z 469 (MH+).
실시예 56
Figure 112008063329072-PCT00155
13- 시클로헥실 -3- 메톡시 -6-(1,3- 옥사졸 -2-일)-7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실산.
메틸 13-시클로헥실-3-메톡시-6-(1,3-옥사졸-2-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레이트 (75.4 mg, 0.16 mMol)를 THF 2 ml 중에 용해시키고, 칼륨 트리메틸실란올레이트 (103 mg, 0.80 mMol)를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9시간 동안 질소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1 N 수성 염산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상을 1 N 수성 염산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여 황색 고체로서 표제 생성물 68 mg (93%)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156
HPLC 분석: 디스커버리 VP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시마즈 분석용 HPLC: %A = 10% 메탄올, 90% 물,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B = 90% 메탄올, 10% 물,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개시 %B = 50; 최종 %B = 100; 구배 = 5분; 작동시간 = 6분; 유속 = 5 ml/분; 파장 = 220 nm; 컬럼 = 페노메넥스 루나 3.0 mm x 50 mm S10; 체류시간 = 3.83분, 순도 96%; 흐름 주입 질량 분석법: MS m/z 455 (MH+), m/z 453 (M-H)-.
실시예 57
Figure 112008063329072-PCT00157
13- 시클로헥실 -N-((디메틸아미노) 술포닐 )-3- 메톡시 -6-(1,3- 옥사졸 -2-일)-7H-인 돌로[2,1-a][2]벤즈아제 핀-10- 카르복스아미드.
13-시클로헥실-3-메톡시-6-(1,3-옥사졸-2-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63 mg, 0.14 mMol)을 THF 1.7 mL 중에 용해시키고, 카르보닐디이미다졸 (31 mg, 0.1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다음 1시간 동안 환류 온도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냉각시키고, 디메틸 술파미드 (91 mg, 0.73 mMol)를 첨가한 다음 DBU (23 uL, 0.1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4시간 동안 50℃로 가열하고, 질소 하에서 냉각시키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1 N 수성 염산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여 무정형 황색 막으로서의 조 생성물 103 mg을 수득하였다. 상기 조 생성물을 메탄올 중에 용해시키고, 하기 조건 하의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디스커버리 VP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시마즈 분취용 HPLC: %A = 10% 메탄올, 90% 물, 0.1% TFA; %B = 90% 메탄올, 10% 물, 0.1% TFA; 개시 %B = 50; 최종 %B = 100; 구배 = 15분; 작동시간 = 25분; 유속 = 25 ml/분; 컬럼 = 워터스 선파이어 19 mm x 100 mm; 12.16분 내지 12.96분의 피크 수집.
Figure 112008063329072-PCT00158
HPLC 분석: 디스커버리 VP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시마즈 분석용 HPLC: %A = 10% 메탄올, 90% 물,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B = 90% 메탄올, 10% 물,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개시 %B = 50; 최종 %B = 100; 구배 = 5분; 작동시간 = 6분; 유속 = 5 ml/분; 파장 = 220 nm; 컬럼 = 페노메넥스 루나 3.0 mm x 50 mm S10; 체류시간 = 3.65분, 순도 93%; 흐름 주입 질량 분석법: MS m/z 561 (MH+), m/z 559 (M-H)-.
실시예 58
Figure 112008063329072-PCT00159
13- 시클로헥실 -N-((디메틸아미노) 술포닐 )-3- 메톡시 -6-(1,3- 옥사졸 -2-일)-6,7-디 드로-5H- 인돌로[2,1-a][2]벤즈아제핀 -10- 카르복스아미드.
13-시클로헥실-N-((디메틸아미노)술포닐)-3-메톡시-6-(1,3-옥사졸-2-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스아미드 (45 mg, 0.08 mMol)를 THF 3.8 mL 중에 용해시키고, 메탄올 0.9 mL를 첨가하였다. 탄소 상의 10% 팔라듐 (13 mg)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1 atm (풍선)의 수소 분위기 하에 두고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셀라이트 플러그를 통해 여과하고,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셀라이트를 세정하였다. 여과물로부터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여 물질 47 mg을 수득하였고, 이를 하기 조건 하의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디스커버리 VP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시마즈 분취용 HPLC: %A = 10% 메탄올, 90% 물, 0.1% TFA; %B = 90% 메탄올, 10% 물, 0.1% TFA; 개시 %B = 50; 최종 %B = 100; 구배 = 15분; 작동시간 = 20분; 유속 = 25 ml/분; 컬럼 = 워터스 선파이어 19 mm x 100 mm; 10.09분 내지 10.88분의 피크 수집. 표제 화합물 33.7 mg (75%)을 무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8063329072-PCT00160
HPLC 분석: 디스커버리 VP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시마즈 분석용 HPLC: %A = 10% 메탄올, 90% 물,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B = 90% 메탄올, 10% 물,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개시 %B = 50; 최종 %B = 100; 구배 = 5분; 작동시간 = 6분; 유속 = 5 ml/분; 파장 = 220 nm; 컬럼 = 페노메넥스 루나 3.0 mm x 50 mm S10; 체류시간 = 3.02분, 순도 99%; 흐름 주입 질량 분석법: MS m/z 563 (MH+), m/z 561 (M-H)-.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화학식 I>
    Figure 112008063329072-PCT00161
    상기 식에서,
    R1은 CO2R5 또는 CONR6R7이고;
    R2는 푸라닐, 피롤릴, 티에닐, 피라졸릴, 옥사졸릴, 티아졸릴, 이속사졸릴, 이소티아졸릴, 옥사디아졸릴, 트리아졸릴 또는 테트라졸릴이며, 옥소, 아미노,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알킬, (시클로알킬)알킬, 히드록시알킬, (테트라히드로푸라닐)알킬, (테트라히드로피라닐)알킬, (CO2R5)알킬, (CON(R5)2)알킬, (COR9)알킬, (알킬술포닐)알킬 및 ((R9)알킬)CON(R5)로부터 선택된 0 내지 2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R3은 C5 - 7시클로알킬이고;
    R4는 수소, 할로, 히드록시, 알킬 또는 알콕시이고;
    R5는 수소,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이고;
    R6은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알콕시 또는 SO2R8이고;
    R7은 수소,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이거나; 또는
    함께 취해진 NR6R7은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N-알킬피페라지닐, 호모모르폴리닐, 호모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또는 티오모르폴리닐이고;
    R8은 알킬, 할로알킬, 시클로알킬, 아미노,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또는 페닐이거나; 또는
    R8은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N-알킬피페라지닐, 호모모르폴리닐, 호모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또는 티오모르폴리닐이고;
    R9는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N-알킬피페라지닐, 호모모르폴리닐, 호모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또는 티오모르폴리닐이고;
    (a)는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이고 (b)는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이되, 단,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단일 결합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이 CONR6R7이고; R6이 SO2R8이고; R7이 수소인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R3이 시클로헥실인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R4가 수소인 화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R4가 메톡시인 화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13-시클로헥실-6-(1H-테트라졸-5-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13-시클로헥실-6-(2-에틸-2H-테트라졸-5-일)-5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2-에틸-2H-테트라졸-5-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N-[(디메틸아미노)술포닐]-6-[2-에틸]-2H-테트라졸-5-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스아미드;
    13-시클로헥실-6-[2-(2-히드록시에틸)-2H-테트라졸-5-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2-(시클로프로필메틸)-2H-테트라졸-5-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2-(시클로프로필메틸)-2H-테트라졸-5-일]-5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2-[(테트라히드로-2-푸라닐)메틸]-2H-테트라졸-5-일]-5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2-[(테트라히드로-2-푸라닐)메틸]-2H-테트라졸-5-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1-[(테트라히드로-2-푸라닐)메틸]-1H-테트라졸-5-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2-[(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2H-테트라졸-5-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2-[(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2H-테트라졸-5-일]-5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1-[(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1H-테트라졸-5-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1-[(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1H-테트라졸-5-일]-5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N-[(디메틸아미노)술포닐]-6-[2-[(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2H-테트라졸-5-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스아미드;
    13-시클로헥실-3-메톡시-6-[2-[(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2H-테트라졸-5-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N-[(디메틸아미노)술포닐]-3-메톡시-6-[2-[(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2H-테트라졸-5-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스아미드;
    13-시클로헥실-6-(4,5-디히드로-5-옥소-1,3,4-옥사디아졸-2-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13-시클로헥실-6-(4,5-디히드로-5-옥소-1,3,4-옥사디아졸-2-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4,5-디히드로-5-옥소-4-[(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1,3,4-옥사디아졸-2-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13-시클로헥실-6-[4,5-디히드로-5-옥소-4-[(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1,3,4-옥사디아졸-2-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3-[(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1H-1,2,4-트리아졸-5-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3-메틸-1,2,4-옥사디아졸-5-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13-시클로헥실-6-(3-메틸-1,2,4-옥사디아졸-5-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N-[(디메틸아미노)술포닐]-6-(3-메틸-1,2,4-옥사디아졸-5-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스아미드;
    13-시클로헥실-6-[3-[(메틸술포닐)메틸]-1,2,4-옥사디아졸-5-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13-시클로헥실-6-[3-[(메틸술포닐)메틸]-1,2,4-옥사디아졸-5-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N-[(디메틸아미노)술포닐]-6-[3-[(메틸술포닐)메틸]-1,2,4-옥사디아졸-5-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스아미드;
    6-(5-아미노-1,3,4-옥사디아졸-2-일)-13-시클로헥실-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6-(5-아미노-1,3,4-옥사디아졸-2-일)-13-시클로헥실-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6-[5-[(브로모아세틸)아미노]-1,3,4-옥사디아졸-2-일]-13-시클로헥실-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13-시클로헥실-6-[5-[(4-모르폴리닐아세틸)아미노]-1,3,4-옥사디아졸-2-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13-시클로헥실-6-[5-[(4-모르폴리닐아세틸)아미노]-1,3,4-옥사디아졸-2-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5-(3-메톡시-3-옥소프로필)-2-옥사졸릴]-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13-시클로헥실-6-[5-[3-(4-모르폴리닐)-3-옥소프로필]-2-옥사졸릴]-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13-시클로헥실-6-[5-[3-(4-모르폴리닐)-3-옥소프로필]-2-옥사졸릴]-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N-[(디메틸아미노)술포닐]-6-[5-[3-(4-모르폴리닐)-3-옥소프로필]-2-옥사졸릴]-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스아미드;
    13-시클로헥실-N-[(디메틸아미노)술포닐]-6,7-디히드로-6-[5-[3-(4-모르폴리닐)-3-옥소프로필]-2-옥사졸릴]-5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스아미드;
    13-시클로헥실-6-[5-[(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1,3,4-옥사디아졸-2-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13-시클로헥실-6-[5-[(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1H-1,2,4-트리아졸-3-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13-시클로헥실-6-[1-메틸-5-[(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1H-1,2,4-트리아졸-3-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13-시클로헥실-6-[1-메틸-5-[(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1H-1,2,4-트리아졸-3-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N-[(디메틸아미노)술포닐]-6-[1-메틸-5-[(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1H-1,2,4-트리아졸-3-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스아미드;
    13-시클로헥실-6-[5-[(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틸]-1,3,4-옥사디아졸-2-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6-(푸란-3-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메틸 13-시클로헥실-3-메톡시-6-(5-(3-메톡시-3-옥소프로필)-1,3-옥사졸-2-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레이트;
    3-(2-(13-시클로헥실-3-메톡시-10-(메톡시카르보닐)-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6-일)-1,3-옥사졸-5-일)프로판산;
    메틸 13-시클로헥실-3-메톡시-6-(5-(3-(4-모르폴리닐)-3-옥소프로필)-1,3-옥사졸-2-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레이트;
    메틸 13-시클로헥실-3-메톡시-6-(5-(3-(4-모르폴리닐)-3-옥소프로필)-1,3-옥사졸-2-일)-6,7-디히드로-5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레이트;
    13-시클로헥실-3-메톡시-6-(5-(3-(4-모르폴리닐)-3-옥소프로필)-1,3-옥사졸-2-일)-6,7-디히드로-5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3-메톡시-6-(5-(3-(4-모르폴리닐)-3-옥소프로필)-1,3-옥사졸-2-일)-6,7-디히드로-5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피크 1 - 키랄 이성질체 A);
    13-시클로헥실-3-메톡시-6-(5-(3-(4-모르폴리닐)-3-옥소프로필)-1,3-옥사졸-2-일)-6,7-디히드로-5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피크 2 - 키랄 이성질체 B);
    13-시클로헥실-N-((디메틸아미노)술포닐)-3-메톡시-6-(5-(3-(4-모르폴리닐)-3-옥소프로필)-1,3-옥사졸-2-일)-6,7-디히드로-5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 카르복스아미드 (이성질체 B);
    13-시클로헥실-N-((디메틸아미노)술포닐)-3-메톡시-6-(5-(3-(4-모르폴리닐)-3-옥소프로필)-1,3-옥사졸-2-일)-6,7-디히드로-5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스아미드 (이성질체 A);
    메틸 13-시클로헥실-3-메톡시-6-(1,3-옥사졸-2-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레이트;
    13-시클로헥실-3-메톡시-6-(1,3-옥사졸-2-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실-N-((디메틸아미노)술포닐)-3-메톡시-6-(1,3-옥사졸-2-일)-7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스아미드; 및
    13-시클로헥실-N-((디메틸아미노)술포닐)-3-메톡시-6-(1,3-옥사졸-2-일)-6,7-디히드로-5H-인돌로[2,1-a][2]벤즈아제핀-10-카르복스아미드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7. 제1항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인터페론, 시클로스포린, 인터류킨, HCV 메탈로프로테아제 억제제, HCV 세린 프로테아제 억제제, HCV 폴리머라제 억제제, HCV 헬리카제 억제제, HCV NS4B 단백질 억제제, HCV 유입 억제제, HCV 어셈블리 억제제, HCV 방출 억 제제, HCV NS5A 단백질 억제제, HCV NS5B 단백질 억제제 및 HCV 레플리콘(replicon) 억제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HCV에 대한 치료적 이점을 갖는 1종 이상의 추가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9. 치료적 유효량의 제1항의 화합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C형 간염 감염의 치료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인터페론, 시클로스포린, 인터류킨, HCV 메탈로프로테아제 억제제, HCV 세린 프로테아제 억제제, HCV 폴리머라제 억제제, HCV 헬리카제 억제제, HCV NS4B 단백질 억제제, HCV 유입 억제제, HCV 어셈블리 억제제, HCV 방출 억제제, HCV NS5A 단백질 억제제, HCV NS5B 단백질 억제제 및 HCV 레플리콘 억제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HCV에 대한 치료적 이점을 갖는 1종 이상의 추가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20087021812A 2006-02-08 2007-02-07 Hcv ns5b 억제제 KR200801021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7139106P 2006-02-08 2006-02-08
US60/771,391 2006-0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161A true KR20080102161A (ko) 2008-11-24

Family

ID=38234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1812A KR20080102161A (ko) 2006-02-08 2007-02-07 Hcv ns5b 억제제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7456165B2 (ko)
EP (1) EP1987038B1 (ko)
JP (1) JP5147731B2 (ko)
KR (1) KR20080102161A (ko)
CN (1) CN101379066B (ko)
AT (1) ATE483712T1 (ko)
AU (1) AU2007211988B2 (ko)
CY (1) CY1111423T1 (ko)
DE (1) DE602007009646D1 (ko)
DK (1) DK1987038T3 (ko)
ES (1) ES2352574T3 (ko)
HR (1) HRP20100672T1 (ko)
NO (1) NO20083513L (ko)
PL (1) PL1987038T3 (ko)
PT (1) PT1987038E (ko)
SI (1) SI1987038T1 (ko)
WO (1) WO200709288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88420A4 (en) * 2003-11-19 2008-10-22 Japan Tobacco Inc 5-5 LOW-CONDENSED HETEROCYCLIC COMPOUND AND THEIR USE AS HCV POLYMERASE INHIBITOR
US20070049593A1 (en) * 2004-02-24 2007-03-01 Japan Tobacco Inc. Tetracyclic fused heterocyclic compound and use thereof as HCV polymerase inhibitor
US7659263B2 (en) 2004-11-12 2010-02-09 Japan Tobacco Inc. Thienopyrrole compound and use thereof as HCV polymerase inhibitor
US7399758B2 (en) * 2005-09-12 2008-07-15 Meanwell Nicholas A Cyclopropyl fused indolobenzazepine HCV NS5B inhibitors
US7456165B2 (en) 2006-02-08 2008-11-2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CV NS5B inhibitors
US7456166B2 (en) * 2006-05-17 2008-11-2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yclopropyl fused indolobenzazepine HCV NS5B inhibitors
US7521443B2 (en) * 2006-05-17 2009-04-2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yclopropyl fused indolobenzazepine HCV NS5B inhibitors
US7521441B2 (en) * 2006-05-22 2009-04-2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yclopropyl fused indolobenzazepine HCV NS5B inhibitors
WO2007140200A2 (en) * 2006-05-25 2007-12-06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yclopropyl fused indolobenzazepine hcv ns5b inhibitors
US7456167B2 (en) * 2006-05-25 2008-11-2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yclopropyl fused indolobenzazepine HCV NS5B inhibitors
US7452876B2 (en) * 2006-06-08 2008-11-1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yclopropyl fused indolobenzazepine HCV NS5B inhibitors
US7541351B2 (en) * 2007-01-11 2009-06-02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US7541352B2 (en) * 2007-02-02 2009-06-02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US7517872B2 (en) * 2007-02-22 2009-04-14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US7998951B2 (en) * 2007-03-05 2011-08-16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CV NS5B inhibitors
US7541353B2 (en) * 2007-03-14 2009-06-02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US7547690B2 (en) * 2007-03-14 2009-06-16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US7521444B2 (en) * 2007-03-14 2009-04-2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US7538102B2 (en) * 2007-03-14 2009-05-26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US7538103B2 (en) * 2007-03-15 2009-05-26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US8143243B2 (en) * 2007-08-09 2012-03-2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US7642251B2 (en) * 2007-08-09 2010-01-0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US7652004B2 (en) * 2007-08-09 2010-01-26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US8129367B2 (en) * 2007-11-21 2012-03-06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US8124601B2 (en) 2007-11-21 2012-02-2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CN101903351B (zh) 2007-12-19 2014-09-10 贝林格尔.英格海姆国际有限公司 病毒聚合酶抑制剂
JP2011515486A (ja) * 2008-03-27 2011-05-19 ブリストル−マイヤーズ スクイブ カンパニー C型肝炎の治療用化合物
CN101981038B (zh) * 2008-03-27 2013-07-10 百时美施贵宝公司 二氧戊环和二氧戊环酮稠合的吲哚并苯并二氮杂*hcv ns5b抑制剂
ES2416062T3 (es) * 2008-03-27 2013-07-30 Bristol-Myers Squibb Company Inhibidores de NS5B del VHC de indolobenzadiazepina condensados con pirrolidina
CN101980711B (zh) 2008-03-27 2012-10-31 百时美施贵宝公司 芳族杂环稠合的吲哚并苯并二氮杂*hcv ns5b抑制剂
US8133884B2 (en) 2008-05-06 2012-03-13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UY32099A (es) 2008-09-11 2010-04-30 Enanta Pharm Inc Inhibidores macrocíclicos de serina proteasas de hepatitis c
MX2011007195A (es) 2009-01-07 2013-07-12 Scynexis Inc Derivado de ciclosporina para el uso en el tratamiento de infección de virus de hepatitis c (vhc) y virus de inmunodeficiencia humana (vih).
CN102388045A (zh) * 2009-02-11 2012-03-21 百时美施贵宝公司 用于治疗丙型肝炎的化合物
US8143244B2 (en) * 2009-02-26 2012-03-2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yclopropyl fused indolobenzazepine HCV NS5B inhibitors
WO2011014882A1 (en) 2009-07-31 2011-02-03 Medtronic, Inc. CONTINUOUS SUBCUTANEOUS ADMINISTRATION OF INTERFERON-α TO HEPATITIS C INFECTED PATIENTS
US9173887B2 (en) 2010-12-22 2015-11-03 Abbvie Inc. Hepatitis C inhibitors and uses thereof
US8937041B2 (en) 2010-12-30 2015-01-20 Abbvie, Inc. Macrocyclic hepatitis C serine protease inhibitors
BR112013016480A2 (pt) 2010-12-30 2016-09-20 Abbvie Inc macrocíclo da fenantridina inibadores da protease da serina da hepatite c
US10201584B1 (en) 2011-05-17 2019-02-12 Abbvie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CV
CN102276531A (zh) * 2011-05-30 2011-12-14 扬子江药业集团广州海瑞药业有限公司 一种甲磺酸非诺多泮的制备方法
EP3089757A1 (en) 2014-01-03 2016-11-09 AbbVie Inc. Solid antiviral dosage forms
CN104447952A (zh) * 2014-12-11 2015-03-25 上海唐润医药科技有限公司 丙肝病毒蛋白酶抑制剂及其合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38109A1 (en) * 2002-09-30 2004-07-15 Boehringer Ingelheim Pharmaceuticals, Inc. Potent inhibitor of HCV serine protease
AU2004230946A1 (en) * 2003-04-11 2004-10-28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Inhibitors of serine proteases, particularly HCV NS3-NS4A protease
US20050119318A1 (en) * 2003-10-31 2005-06-02 Hudyma Thomas W. Inhibitors of HCV replication
RS50815B (sr) 2004-02-24 2010-08-31 Japan Tobacco Inc. Kondenzovana heterotetraciklična jedinjenja i njihova upotreba kao inhibitora hcv polimeraza
US7153848B2 (en) * 2004-08-09 2006-12-26 Bristol-Myers Squibb Company Inhibitors of HCV replication
US7348425B2 (en) 2004-08-09 2008-03-2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Inhibitors of HCV replication
ATE384723T1 (de) 2004-10-13 2008-02-15 Merck Patent Gmbh Als kinaseinhibitoren geeignete derivate des n,n'-diphenylharnstoffs
AU2005298412B2 (en) 2004-10-26 2011-06-09 Istituto Di Ricerche Di Biologia Molecolare P Angeletti Spa Tetracyclic indole derivatives as antiviral agents
GB0518390D0 (en) 2005-09-09 2005-10-19 Angeletti P Ist Richerche Bio Therapeutic compounds
US7399758B2 (en) 2005-09-12 2008-07-15 Meanwell Nicholas A Cyclopropyl fused indolobenzazepine HCV NS5B inhibitors
US7473688B2 (en) 2005-09-13 2009-01-06 Bristol-Myers Squibb Company Indolobenzazepine HCV NS5B inhibitors
US7456165B2 (en) 2006-02-08 2008-11-2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CV NS5B inhibi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I1987038T1 (sl) 2011-02-28
US20070185083A1 (en) 2007-08-09
CN101379066B (zh) 2011-08-03
ES2352574T3 (es) 2011-02-21
NO20083513L (no) 2008-10-14
PT1987038E (pt) 2010-12-09
CN101379066A (zh) 2009-03-04
US7456165B2 (en) 2008-11-25
PL1987038T3 (pl) 2011-03-31
EP1987038A2 (en) 2008-11-05
AU2007211988B2 (en) 2012-02-02
WO2007092888A2 (en) 2007-08-16
ATE483712T1 (de) 2010-10-15
CY1111423T1 (el) 2015-08-05
AU2007211988A1 (en) 2007-08-16
DK1987038T3 (da) 2011-01-31
HRP20100672T1 (hr) 2011-01-31
EP1987038B1 (en) 2010-10-06
JP2009526081A (ja) 2009-07-16
WO2007092888A3 (en) 2007-10-11
DE602007009646D1 (de) 2010-11-18
JP5147731B2 (ja)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2161A (ko) Hcv ns5b 억제제
KR101417145B1 (ko) 시클로프로필 융합된 인돌로벤즈아제핀 hcv ns5b 억제제
JP5306230B2 (ja) C型肝炎の治療用化合物
JP5406837B2 (ja) C型肝炎を治療するための四環系化合物
JP5343011B2 (ja) C型肝炎の治療のための化合物
JP2008509218A (ja) Hcv複製の阻害剤
JP5465670B2 (ja) C型肝炎を治療するための化合物
KR20110056537A (ko) C형 간염의 치료를 위한 화합물
WO2007033175A1 (en) Indolobenzazepine hcv ns5b inhibitors
WO2007092000A1 (en) Inhibitors of hcv replication
WO2008109584A1 (en) Hcv ns5b inhibitors
KR20130016263A (ko) C형 간염의 치료를 위한 화합물
JP2012519173A (ja) シクロプロピル縮合インドロベンズアゼピンhcvns5b阻害剤
EP2276764B1 (en)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JP2010518016A (ja) C型肝炎治療のためのインドロベンズアゼピン誘導体
KR20130008570A (ko) C형 간염의 치료를 위한 피라졸로피리다진 유도체
EP2280978A1 (en) Pyrrolidine fused indolobenzadiazepine hcv ns5b inhibitors
WO2009120650A1 (en) Aromatic heterocyclic fused indolobenzadiazepine hcv ns5b inhibitors
AU2009228325B2 (en) Pyrrolidine fused indolobenzadiazepine HCV NS5B inhibitors
KR20100134699A (ko) 디옥솔란 및 디옥솔라논 융합된 인돌로벤자디아제핀 hcv ns5b 억제제
MX2008010043A (en) Hcv ns5b inhibi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