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8525A - 정타기의 콘택트 탑 착탈 방법 - Google Patents

정타기의 콘택트 탑 착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8525A
KR20080098525A KR1020087022341A KR20087022341A KR20080098525A KR 20080098525 A KR20080098525 A KR 20080098525A KR 1020087022341 A KR1020087022341 A KR 1020087022341A KR 20087022341 A KR20087022341 A KR 20087022341A KR 20080098525 A KR20080098525 A KR 20080098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arm
contact top
contact arm
driv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2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오지 구보
Original Assignee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8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85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08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8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operated by combustion pressure
    • B25C1/1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operated by combustion pressure generated by detonation of a cartridge
    • B25C1/18Details and accessories, e.g. splinter guards, spall minim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7/00Accessories for nailing or stapling tools, e.g.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공구 본체(1)의 하방에 설치된 웨어 플레이트(6)의 하단부에 콘택트 탑(8)을 배치한다. 사출구의 근방에 설치된 콘택트 아암(12)의 선단부에 콘택트 탑(8)이 착탈된다. 콘택트 탑(8)의 측부에 결합 홈(26)이 형성된다. 콘택트 탑(8)은 결합 홈(26)이 드라이버 가이드(5)의 측부의 하단부로부터 출몰되도록 이동 가능하다. 콘택트 아암(12)의 선단부(17)는 콘택트 탑(8)에 대해 접촉, 이격 가능하다. 상기 선단부(17)를 최대한 하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콘택트 아암(12)은 웨어 플레이트(6)와 드라이버 가이드(5) 사이의 하단부로부터 노출된 콘택트 탑(8)의 결합 홈(26)에 결합하는 것 또는 결합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타기, 웨어 플레이트, 콘택트 아암, 드라이버 가이드, 스패너

Description

정타기의 콘택트 탑 착탈 방법 {NAILING DEVICE CONTACT TOP ATTACHING/DETACHING METHOD}
본 발명은 못 등의 정타기의 콘택트 아암의 선단부에 콘택트 탑을 설치하거나 또는 제거하는 착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타기는 못이나 나사 등의 못을 피타입재에 타입하는 것으로, 안전 장치로서 콘택트 아암이 구비되어 있다. 이 콘택트 아암으로서, 그 일단부가 타입 공구의 사출구의 선단부로부터 돌출되고, 타단부는 기동용 트리거와 연계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트리거를 당겼을 때에 콘택트 아암의 상기 일단부가 피타입재에 접촉하고 있을 때에만 정타기가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보통은 노즈부의 선단부보다도 타입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스프링 압박되어 있고, 못을 타입할 때에 노즈부의 선단부가 피타입부에 접촉할 때까지 콘택트 아암의 선단부를 피타입재에 압박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압박 방향과 반대측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에 의해 노즈부의 선단부가 피타입재에 접촉된 것이 검출되어 트리거의 조작이 유효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콘택트 아암을 피타입재에 압박함으로써 상기 콘택트 아암이 압입되고, 이에 의해 타입 공구를 기동하는 트리거 밸브의 기동 조작이 유효로 되는 것이다.
그런데, 콘택트 아암의 선단부는 노즈부의 선단부보다도 타입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스프링 압박되어 있어, 콘택트 아암을 피타입재로 압박했을 때에, 콘택트 아암은 압입되도록 되어 있으나, 피타입재가 비교적 연한 재질의 화장재일 때에는 그 표면에 흠집이나 압흔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콘택트 아암의 선단부에 합성 수지제의 콘택트 탑(선단부 부재)을 설치한 후 압박 조작하도록 하고 있다.
콘택트 탑은 사용하는 경우도,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그 착탈이 용이하여, 스패너 등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착탈할 수 있는 것이어야만 한다. 그리고, 종래부터 이와 같은 착탈이 용이한 콘택트 탑(노즈 캡)이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콘택트 아암(푸쉬 레버)의 선단부에 단순히 끼워 넣는 것만으로 콘택트 아암의 오목부에 콘택트 탑의 볼록부가 결합하여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콘택트 탑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007544호 참조).
또한, 좁은 장소 등에 있어서의 연결 못(핀 네일)의 타입에 적응 가능하게 한 정타 공구의 콘택트 탑이 본 출원인에 의해 먼저 제안되어 있고, 이 콘택트 탑은 그 선단부가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피복부에 의해 피복되고, 웨어 플레이트와 드라이버 가이드가 서로 중합되어 형성되는 못의 사출로를 갖는 노즈부에 상하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헐겁게 끼워 맞추는 동시에 콘택트 아암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68524호 참조).
그런데, 상술한 콘택트 아암의 선단부에 단순히 끼워 넣는 것만으로 착탈할 수 있는 콘택트 탑(노즈 캡)은 착탈이 용이한 반면, 벗겨지기 쉬운 것이므로 분실되기 쉽고, 또한 못의 타입 작업 중에 있어서 콘택트 탑이 탈락하면, 못의 타입 작업의 계속성이 끊어지므로, 그 작업성을 저하시키고, 동시에 피타입재가 비교적 연한 재질의 화장재인 경우에는 화장재의 표면에 흠집이나 압흔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콘택트 아암의 선단부에 콘택트 탑을 착탈하는 기술에 있어서는, 콘택트 탑은 드라이버 가이드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교환 시 등에 콘택트 탑을 착탈할 때에는, 우선 볼트를 풀어 드라이버 가이드를 제거하고, 또한 콘택트 아암과 콘택트 탑의 결합을 제거하여 상기 아암을 회전시키고, 콘택트 탑을 하방으로 인발하듯이 슬라이드시켜 노즈부의 웨어 플레이트의 가이드로부터 콘택트 탑을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콘택트 탑을 교환하기 위해서는 드라이버 가이드를 제거할 필요가 있으므로, 스패너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행해야만 해, 그 교환 작업은 번거롭고, 콘택트 탑의 교환에는 시간을 필요로 하여 그 작업성은 양호하다고는 할 수 없어, 이 점에서 과제를 남기고 있다.
본 발명의 1 이상의 실시예는 콘택트 탑의 착탈이 스패너 등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못의 타입 작업 중에 있어서는 벗겨지는 경우가 없도록,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타입 공구에 있어서의 콘택트 탑의 착탈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1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관점에 있어서, 공구 본체의 하방에 설치된 웨어 플레이트와 웨어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드라이버 가이드와의 사이에 못의 사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웨어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콘택트 탑을 못의 타입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사출구의 근방에 못의 타입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콘택트 아암을 설치하고, 이 콘택트 아암의 선단부에 상기 콘택트 탑을 착탈하는 정타기의 콘택트 탑의 착탈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탑의 측부에 결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콘택트 탑은 상기 결합 홈이 상기 드라이버 가이드의 내측으로부터 출몰되도록 이동 가능하고, 상기 콘택트 아암의 선단부는 상기 콘택트 탑에 대해 접촉,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콘택트 아암의 선단부를 최대한 하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콘택트 아암은 상기 드라이버 가이드의 내측으로부터 노출된 상기 콘택트 탑의 결합 홈에 결합 가능하거나 또는 결합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관점에 있어서는, 상기 콘택트 아암의 이동량이, 통상의 사용에 있어서의 이동량에 상기 드라이버 가이드로부터 상기 콘택트 탑을 완전히 노출시킬 때까지의 이동량이 더 부가된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제1 관점에 있어서는, 콘택트 탑을, 그 측부의 결합 홈이 상기 드라이버 가이드의 내측으로부터 출몰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하는 한편, 콘택트 아암의 선단부를 상기 콘택트 탑에 대해 접촉, 이격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콘택트 아암의 선단부를 최대한 하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콘택트 탑이 상기 드라이버 가이드의 내측으로부터 노출되었을 때에, 콘택트 아암의 선단부를 콘택트 탑의 결합 홈에 결합시키거나 또는 결합을 제거한다. 따라서, 상기 착탈 방법에 따르면, 콘택트 탑의 착탈 시에 드라이버 가이드를 제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공구도 불필요하므로, 콘택트 탑의 착탈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콘택트 탑은 콘택트 아암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업 중에 탈락되는 경우가 없다.
상기 제2 관점에 따르면, 콘택트 아암의 이동량이, 통상의 사용에 있어서의 이동량에 상기 드라이버 가이드로부터 상기 콘택트 탑을 완전히 노출시킬 때까지의 이동량이 더 부가된 것이므로, 통상의 작업 시에 콘택트 탑이 노출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작업 중에 콘택트 탑이 콘택트 아암의 선단부로부터 제거되는 경우가 없다. 그 밖의 특징 및 효과는 실시예의 기재 및 첨부한 클레임으로부터 명백하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정타기의 측면도.
도2는 상기 정타기의 드라이버 가이드를 생략한 노즈부와 콘택트 탑의 분해 사시도.
도3은 상기 정타기의 노즈부와 콘택트 아암과 그 주변부의 주요부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4는 트리거를 당겨서 콘택트 아암을 이동시킨 상태의 주요부의 측면도.
도5는 어저스트 다이얼에 의한 어저스트 조정으로 콘택트 아암을 더욱 하방으로 이동 조정한 상태의 측면도.
도6은 콘택트 아암의 하단부를 더욱 하방으로 내린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7은 회전 아암이 회전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부호의 설명]
3 : 노즈부
4 : 매거진
5 : 드라이버 가이드
6 : 웨어 플레이트
8 : 콘택트 탑
10 : 트리거
11 : 기동용 트리거 밸브
12 : 콘택트 아암
17 : 회전 아암
26 : 결합 홈
이하,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는 정타기를 나타낸다. 이 정타기는 타격 기구를 구비한 공구 본체(1)와, 공구 본체(1)로부터 후방으로 배치된 그립(2)과 공구 본체(1)의 하부에 설치된 노즈부(3)와, 노즈부(3)에 연결 못(핀 네일)을 공급하는 직사각 형상의 직선 형상 매거진(4)을 구비하고, 매거진(4) 내의 못 공급로(9)로부터 노즈부(3)로 공급된 선두의 못을 상기 타격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구성하는 타격 피스톤과 일체로 결합한 드라이버에 의해 타출하는 것이다.
ㆍ 노즈부
상기 노즈부(3)는 전방벽을 구성하는 드라이버 가이드(5)와 후방벽을 구성하는 웨어 플레이트(6)(도2 참조)에 의해 구성되고, 드라이버 가이드(5)는 볼트(7)에 의해 웨어 플레이트(6)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일체로 결합했을 때, 양자 사이에는 못의 사출로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웨어 플레이트(6)의 하단부에는 콘택트 탑(8)이 배치되어 있다.
ㆍ 콘택트 아암
그런데, 못을 타출할 때에는, 트리거(10)를 당겨서 도3에 도시하는 기동용 트리거 밸브(11)를 작동시킴으로써, 공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된 압축 공기를 타격 기구로 보내어 그 공기압에 의해 상기 선두 못을 타출하는 것이지만, 상기 트리거(10)의 당김 조작은 콘택트 아암(12)의 동작과 연계되어 있어, 피타입재에 실제로 압박되었을 때에 유효하게 트리거 밸브(11)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콘택트 아암(12)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아암(13)과 중간의 조정 부재(14)와 하부의 회전 아암(17)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아암(13)의 상단부(13a)는 트리거(10)의 콘택트 레버(18)의 선단부에 결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콘택트 레버(18)는 지지축(1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정 부재(14)는 하단부에 나사부(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어저스트 볼트(15)의 중간에 수평 아암(16a)을 갖는 중공부(16)를 끼워 맞춘 것으로, 중공부(16)는 어저스트 볼트(15)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지만, 상하 방향으로는 일체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평 아암(16a)의 단부는 상기 상부 아암(13)의 하단부(13b)에 결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어저스트 볼트(15)의 하단부의 나사부는 회전 아암(17)의 일단부의 통부(17a) 내에 형성된 너트부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또한, 어저스트 볼트(15)의 상부에는 어저스트 다이얼(20)이 설치되어 있다. 어저스트 다이얼(20)은 공구 본체(1)의 일정 위치에 유지되고, 그 중심에는 단면이 D자형 등의 비원형의 베어링 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이 베어링 구멍에 어저스트 볼트(15)의 상부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로 인해, 어저스트 다이얼(20)을 돌림으로써 어저스트 볼트(15)도 일체가 되어 회전하지만, 양자는 상하 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어저스트 다이얼(20)을 회전시킴으로써 어저스트 볼트(15)도 회전하므로, 그 회전 방향과 회전량에 따라서 회전 아암(17)이 나선형으로 전진하므로, 그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아암(13)은 스프링(22)에 의해, 다시 어저스트 볼트(15)와 회전 아암(17)은 스프링(23)에 의해 각각 상방으로 압박되어 있다.
ㆍ 콘택트 아암의 이동량
그런데, 상기 회전 아암(17)의 선단부는 상기 드라이버 가이드(5)의 측부의 내측에 유지되고, 이에 의해 회전 아암(17)의 외측으로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콘택트 아암(12)의 회전 아암(17)의 하방으로의 이동량은 상부 아암(13)이 최하단부까지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이동량(도4의 위치)에, 어저스트 다이얼(20)에 의해 더욱 하방으로 이동하는 이동량(도5의 위치)이 통상의 사용에 있어서의 이동량이지만, 또한 상기 회전 아암(17)을 하방으로 인장함으로써 부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통상의 사용 영역에 대한 부가적 이동은 상기 드라이버 가이드(5)로부터 상기 콘택트 아암(12)의 선단부가 완전히 노출될 때까지의 이동량(도6의 위치)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통상의 사용 영역은 도3의 위치로부터 도4, 도5의 위치까지이고, 또한 도6의 위치까지 이동 가능하고, 이 부가적 위치까지의 이동량이 콘택트 아암(12)의 최대의 이동량이다.
ㆍ 콘택트 탑
다음에, 콘택트 탑(8)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 플레이트(6)의 하부의 형상에 대응한 거의 동일한 외형을 갖는 동시에 한층 큰 부재로, 철,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으로 얇게 형성되고, 선단부 외측면에 고무, 합성 수지 등의 탄성체(8a)를 고정한 것이다. 콘택트 탑(8)의 양측부에는 상기 웨어 플레이트(6)의 양 측모서리에 결합하는 가이드 홈(2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홈(25)의 내측에는 상기 웨어 플레이트(6)의 하부 양측부가 결합하고, 이 결합 상태를 유지하면서 콘택트 탑(8)이 웨어 플레이트(6)를 따라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콘택트 탑(8)의 상부의 일측에는 결합 홈(26)이 측방(외측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콘택트 아암(12)의 선단부의 회전 아암(17)은 상기 어저스트 볼트(15)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콘택트 탑(8)에 대해 접촉,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회전 아암(17)에는 콘택트 탑(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드라이버 가이드(5)의 측부에는, 웨어 플레이트(6)에 결합했을 때에 콘택트 탑(8)의 결합 홈(26)을 막는 동시에, 상기 콘택트 아암(12)의 회전 아암(17)의 선단부를 유지하는 덮개부(2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콘택트 탑(8)은 상기 결합 홈(26)이 상기 웨어 플레이트(6)와 드라이버 가이드(5) 사이, 즉 덮개부(27)의 하단부(27a)(도3 참조)로부터 출몰될 정도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ㆍ 정타기의 작동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정타기를 작동시킬 때에, 트리거(10)를 당기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10)에 설치된 콘택트 레버(18)의 상면은 트리거 밸브(11)의 밸브 스템(28)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선단부가 상기 스프링(22, 23)에 저항하여 콘택트 아암(12)의 상부 아암(13)을 하방으로 밀어 내리므로, 이에 수반하여 상부 아암(13)이 수평 아암(16a)과 함께 어저스트 볼트(15)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동시에, 회전 아암(17)과 함께 콘택트 탑(8)도 하방으로 돌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콘택트 탑(8)의 선단부에 피타입재 등이 없어, 콘택트 아암(12)을 하방으로 풀 스트로크 이동할 때에는 트리거(10)도 헛돌아서, 트리거(10)를 최상단부까지 끌어올려도 트리거 밸브(11)의 밸브 스템(28)을 압입할 수는 없다.
이에 대해, 콘택트 아암(12)의 선단부가 피타입재에 접촉했을 때에는, 콘택트 아암(12)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없다. 그로 인해, 트리거(10)를 당겼을 때, 콘택트 레버(18)의 선단부는 내려가지 않으므로, 콘택트 레버(18)의 상면이 트리거 밸브 스템(28)을 압입하고, 트리거 밸브(11)가 작동하여 정타기가 기동한다.
또한, 도4의 상태로부터 어저스트 다이얼(20)을 회전시킴으로써, 도5에 도시 한 바와 같이 콘택트 아암(12)을 더욱 하방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콘택트 아암(12)의 공구 본체(1) 하단부로부터의 돌출량만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ㆍ 콘택트 탑의 착탈
다음에, 콘택트 탑(8)의 착탈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저스트 다이얼(20)을 회전시켜 어저스트 볼트(15)를 최대 어저스트량만큼 내리면, 동일한 양만큼 회전 아암(17)과 콘택트 탑(8)도 더욱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 후, 다시 회전 아암(17)을 손으로 잡고 더욱 하방으로 인장함으로써, 도6과 같이 어저스트 볼트(15)는 수평 아암(16a)의 하부가 매거진(4)의 못 공급 통로의 측벽의 결합부(29)에 결합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와 같이, 어저스트 볼트(15)를 손으로 끌어내림으로써, 콘택트 아암(12)을 최대한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 탑(8)의 결합 홈(26)과 회전 아암(17)의 선단부(17b)가 드라이버 가이드(5)의 덮개부(27)의 하단부(27a)로부터 완전히 노출된다. 그래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아암(17)을 회전시켜 결합 홈(26)으로부터 제거하면, 콘택트 탑(8)은 자유로워진다. 따라서, 자유로워진 콘택트 탑(8)을 끌어내려서 웨어 플레이트(6)로부터 제거하면 된다.
이에 대해, 콘택트 탑(8)을 콘택트 아암(12)에 설치할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콘택트 아암(12)을 최대한 내린 상태에서, 도2와 같이 콘택트 탑(8)의 가이드 홈(25)의 내측에 웨어 플레이트(6)의 양측부를 결합시키고, 상방으로 슬라이드시켜 끌어올리고, 또한 상기 콘택트 아암(12)의 회전 아암(17)을 회전시켜 그 선단부(17b)를 콘택트 탑(8)의 결합 홈(26)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콘택트 아암(12)과 콘택트 탑(8)을 손으로 지지하여 어저스트 볼트(15)의 인출량 상당분만큼 상방 이동시켜 어저스트 볼트(15)를 도5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 상방 이동에 의해 회전 아암(17)의 선단부(17b) 콘택트 탑(8)의 결합 홈(26)은 드라이버 가이드(5)의 덮개부(27)의 내측에 덮여서 유지된다. 이로 인해, 회전 아암(17)은 회전할 수 없으므로, 콘택트 탑(8)은 회전 아암(17)에 설치된 상태로 일체가 되어 이동한다.
또한, 어저스트 볼트(15)의 다이얼을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술한 어저스트 하강량만큼 콘택트 아암(12)과 콘택트 탑(8)을 상방 이동시키고, 어저스트 볼트(15)에 대한 콘택트 아암(12)의 어저스트 조정량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켜 도4의 위치로 한 후, 트리거(10)의 당김 조작을 해제한다. 콘택트 탑(8)의 설치 작업은 이것에 의해 완료된다. 또한, 트리거(10)의 당김 조작이 없어도, 콘택트 아암(12)을 최대한 내리면 콘택트 탑(8)은 설치 가능하다.
상기 구성의 콘택트 탑(8)의 착탈 방법에 따르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트리거(10)의 당김 조작으로 콘택트 아암(12)이 공구 본체(1)의 하방으로 압출되어 정타기의 기동계가 완전히 차단되므로, 콘택트 탑(8)의 교환 작업은 안전의 확보가 확실한 상태에 있어서 행해진다. 또한, 콘택트 아암(12)은 트리거(10)의 당김 조작으로 공구 본체(1)로부터 하방으로 압출되어 콘택트 탑(8)의 교환 작업이 행해지므로, 교환 작업이 행해지기 쉬워, 그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콘택트 탑(8)의 착탈 작업은 공구 본체(1)의 하방으로 압출되고 또한 인출되어 드라이버 가이드(5)로부터 벗겨진 콘택트 아암(12)의 회전 아암(17)으로부터 콘택트 탑(8)을 제거하거나, 또는 설치함으로써 행해진다. 이와 같이, 드라이버 가이드(5)를 제거하지 않고 콘택트 탑(8)의 착탈 작업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콘택트 탑(8)의 교환 작업에 있어서의 스패너 등의 공구의 필요성이 배제되기므로 그 작업성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콘택트 아암(12)의 이동량이, 통상의 사용에 있어서의 이동량에, 상기 드라이버 가이드(5)로부터 상기 콘택트 탑(8)의 결합 홈(26)을 노출시킬 때까지의 이동량이 더 부가된 것이므로, 통상의 작업 시에 콘택트 탑(8)의 결합 홈(26)이 노출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작업 중에 콘택트 탑(8)이 콘택트 아암(12)의 선단부의 회전 아암(17)으로부터 어긋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콘택트 탑(8)에 설치하기 위한 콘택트 아암(12)의 선단부의 형태로서는, 어저스트 볼트(15)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아암(17)이 아니라, 선단부의 아암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본 발명을 상세하고 또한 특정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추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확하다.
본 출원은 2006년 3월 14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일본 특허 출원 제2006-069679)을 기초로 하는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본 발명은 못 등의 정타기의 콘택트 아암의 선단부에 콘택트 탑을 설치하거거나, 또는 제거하는 착탈 방법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2)

  1. 공구 본체의 하방에 설치된 웨어 플레이트와,
    상기 웨어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드라이버 가이드와,
    상기 웨어 플레이트와 드라이버 가이드 사이에 형성된 사출구와,
    상기 웨어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못의 타입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콘택트 탑과,
    상기 사출구의 근방에, 못의 타입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콘택트 아암과,
    상기 콘택트 탑의 측부에 형성된 결합 홈을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 탑을, 상기 결합 홈이 상기 드라이버 가이드의 내측으로부터 출몰되도록 이동 가능하고,
    상기 콘택트 아암의 선단부는 상기 콘택트 탑에 대해 접촉, 이격 가능하고,
    상기 콘택트 아암의 선단부를 최대한 하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상기 드라이버 가이드의 내측으로부터 노출된 상기 콘택트 탑의 결합 홈에 상기 콘택트 아암을 결합시키거나 또는 결합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정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아암의 이동량이, 통상의 사용에 있어서의 이동량에 상기 드라이버 가이드로부터 상기 콘택트 탑을 완전히 노출시킬 때까지의 이동량이 더 부가된 것인 정타기.
KR1020087022341A 2006-03-14 2007-03-13 정타기의 콘택트 탑 착탈 방법 KR200800985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69679A JP4984581B2 (ja) 2006-03-14 2006-03-14 釘打機のコンタクトトップ着脱方法
JPJP-P-2006-00069679 2006-03-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8525A true KR20080098525A (ko) 2008-11-10

Family

ID=38541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2341A KR20080098525A (ko) 2006-03-14 2007-03-13 정타기의 콘택트 탑 착탈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90039135A1 (ko)
EP (1) EP1995023A1 (ko)
JP (1) JP4984581B2 (ko)
KR (1) KR20080098525A (ko)
CN (1) CN101405110A (ko)
AU (1) AU2007230445A1 (ko)
TW (1) TW200734132A (ko)
WO (1) WO20071111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9634A1 (ja) * 2007-06-06 2008-12-11 Makita Corporation 打ち込み工具のノーズアダプタ
JP5182549B2 (ja) * 2007-09-28 2013-04-17 日立工機株式会社 打込機
WO2013188905A1 (en) * 2012-06-18 2013-12-27 Quick Grip Staples (Hk) Limited An accessory for a fastening gun
US11130221B2 (en) 2019-01-31 2021-09-28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owered fastener driver
JP7487569B2 (ja) 2019-06-25 2024-05-21 マックス株式会社 打込み工具
EP3756828B1 (en) * 2019-06-25 2023-06-14 Max Co., Ltd. Striking tool
CN219255473U (zh) 2020-03-25 2023-06-27 米沃奇电动工具公司 紧固件驱动器
US11872678B2 (en) 2020-03-27 2024-01-16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owered fastener driver
WO2021202723A1 (en) 2020-03-31 2021-10-0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owered fastener driv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1587A (en) * 1993-01-04 1993-11-16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driving tool with improved, adjustable, tool-actuating structures
JPH0899275A (ja) * 1994-10-04 1996-04-16 Makita Corp 釘打機のノーズアダプタ
JP3042359B2 (ja) * 1995-03-28 2000-05-15 マックス株式会社 コンタクトフットの取付け構造
JP4239070B2 (ja) * 2003-06-20 2009-03-18 日立工機株式会社 ノーズキャップ保持装置を有する打込機
US20050017049A1 (en) * 2003-07-25 2005-01-27 Betz Brian C. Nail gun tip adapter
JP4139319B2 (ja) 2003-12-05 2008-08-2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プセル型内視鏡撮像画像ファイリング装置
US7070079B2 (en) * 2004-03-05 2006-07-04 Illinois Tool Works Inc. No-mar tip for fastening tool
JP2006069679A (ja) 2004-08-31 2006-03-16 Shibuya Machinery Co Ltd 物品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95023A1 (en) 2008-11-26
WO2007111128A1 (ja) 2007-10-04
TW200734132A (en) 2007-09-16
JP4984581B2 (ja) 2012-07-25
JP2007245262A (ja) 2007-09-27
CN101405110A (zh) 2009-04-08
US20090039135A1 (en) 2009-02-12
AU2007230445A1 (en)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8525A (ko) 정타기의 콘택트 탑 착탈 방법
JP4135574B2 (ja) 釘打機
EP0747176B1 (en) Safety mechanism for nailing machine
EP0695605B1 (en) Fastener-driving tool and positioning mechanism for it
EP0727284B1 (en) Screw driving machine with contact arm locking mechanism
JP5034177B2 (ja) 打込み工具の安全装置
NO323453B1 (no) Festemiddeldrivanordning, og apningslokaliseringsmekanisme for bruk med festemiddeldrivanordning.
KR20080090490A (ko) 정타기
US6557447B2 (en) Band sawing machine having band saw replaceable rapidly
JP4923440B2 (ja) 打込み工具のコンタクトアーム機構
JP4577495B2 (ja) ネジ、釘等の打込機における打込ガイド機構
KR20080014148A (ko) 타입 공구
JP4952145B2 (ja) 釘打機におけるコンタクト部材の着脱構造
AU2004236066B2 (en) Nailing machine
JP3794276B2 (ja) 釘打機
JP4992199B2 (ja) 打込み工具のコンタクト機構
JPWO2008149634A1 (ja) 打ち込み工具のノーズアダプタ
EP1750908B1 (en) Hammer tacker
JP2000061865A (ja) 釘打機の安全装置
JP3825866B2 (ja) 固着具打込機のトリガ装置
JP3174182U (ja) トルク工具用マーカーおよびトルク工具
JP3570485B2 (ja) 空気圧式ネジ打込み機における打ち込み深さ制御機構
JP4770278B2 (ja) 打込み工具におけるコンタクトトップ収納構造
JP2009023069A (ja) 建築用の駆動工具
JPH08336772A (ja) 釘打機におけるコンタクトアーム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