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4148A - 타입 공구 - Google Patents
타입 공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14148A KR20080014148A KR1020087000340A KR20087000340A KR20080014148A KR 20080014148 A KR20080014148 A KR 20080014148A KR 1020087000340 A KR1020087000340 A KR 1020087000340A KR 20087000340 A KR20087000340 A KR 20087000340A KR 20080014148 A KR20080014148 A KR 200800141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member
- trigger
- contact
- spring
- typ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41000380131 Ammophila aren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08—Safety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7/00—Accessories for nailing or stapling tools, e.g. suppo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4—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operated by fluid pressure, e.g. by air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노즈부(4)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트리거의 조작을 유효하게 하는 콘택트 기구에 있어서, 하부 콘택트 부재(11)를, 상기 노즈부(4)의 근방에 상하로 설치된 2개의 스프링(23, 24) 사이에 유지하고, 상부 스프링(23)에 의해 하부 콘택트 부재(11)의 하단부를 상기 노즈부의 하단부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가압하는 동시에, 상부 스프링(23)에 대항하여 상기 하부 콘택트 부재(11)를 상방 위치에 유지하는 제1 위치와, 하부 스프링(24)에 대항하여 상기 콘택트 부재를 하방 위치에 유지하는 제2 위치와, 콘택트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지 않는 제3 위치로 절환 가능한 절환 장치(28)를 설치하였다.
타입 공구, 노즈부, 콘택트 부재, 트리거, 절환 장치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타기나 비틀림 타격기 등의 타입 공구에 있어서, 밀기의 스트로크가 불필요한 방식(이하, 스트로크 불필요 방식이라고 함)과 콘택트 방식으로 절환 가능한 타입 공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입 공구의 콘택트 기구에 관한 것이다.
타입 공구는 못이나 나사 등의 파스너를 목재나 콘크리트에 타입하는 것이다. 타입 공구에는 파스너의 사출로를 갖는 노즈부를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콘택트 부재(일반적으로 콘택트 아암이나 콘택트 노즈와 같이 칭함)를 피타입재로 밀어냄으로써 처음으로 타입 공구가 기동하는 콘택트 방식의 것과, 밀지 않아도 타입 공구를 기동시킬 수 있는 스트로크 불필요 방식의 것이 존재한다.
콘택트 방식의 타입 공구는 못의 사출로를 갖는 노즈부를 따라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콘택트 부재를 피타입재로 압박하였을 때에만 상기 타입 공구를 기동하는 트리거 밸브의 기동 조작을 유효하게 하는 것이다. 콘택트 부재는 항시 노즈부의 선단부보다도 타입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스프링 압박되어 있고, 파스너를 타입할 때에 노즈부의 선단부가 피타입재의 타입부에 닿을 때까지 콘택트 부재의 선단부를 피타입재로 밀어냄으로써 상대적으로 밀기 방향과 반대측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에 의해 노즈부의 선단부가 피타입재에 닿게 된 것을 검출하여 트리거의 조작을 유효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만 타입 공구는 기동한다.
이에 대해, 스트로크 불필요 방식은 콘택트 부재를 상사점측에 유지하여 노즈부의 선단부보다도 돌출되지 않도록 한 것으로, 노즈부의 선단부를 피타입재에 닿게 하여 트리거를 당기기 조작하면 타입 공구는 기동한다. 그리고, 피타입재에 닿게 하지 않고 트리거를 당겼을 때에는, 콘택트 부재가 돌출되는 것만으로 트리거의 조작은 무효해진다. 따라서, 작업 효율이 좋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283253호 공보는 콘택트 부재를 상사점 부근에 고정하는 압박 수단을 구비한 정타기를 개시한다.
콘택트 방식은, 콘택트 부재는 노즈부의 선단부보다도 타입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스프링 압박되어 있으므로, 피타입재로 밀 때에는 스프링 하중 이상의 힘에 의해 강하게 밀어지게 된다. 스프링 하중이 높은 것은 작업자에 대해 오작동이 아닌 것을 인지시키는 동시에 유효하고, 작업자에게 있어서도 이와 같이 밀어서 때리는 조작은 무의식적으로 몸에 익은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콘택트 부재는 노즈부의 선단부보다도 타입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스프링 압박되어 있으므로, 피타입재로 밀 때에는 스프링 하중 이상의 힘에 의해 강하게 밀어지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가로목의 홈에 핀 네일을 타입하는 경우, 노즈부의 선단부는 상기 홈에 결합하도록 가늘게 되어 있으므로, 밀었을 때의 충격에 의해 피타입재의 표면에 흠집이나 압흔 등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타입 전의 안전 작업으로서, 스프링력보다도 약간 큰 정도의 힘으로 콘택트 부재를 밀어야만 하고, 작업자는 그 밀기의 가감에 미세한 주의력이 요구되어, 작업이 번거로운 것으로 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 스트로크 불필요 방식의 경우, 콘택트 부재를 미는 동작은 불필요하므로 작업 효율은 좋다. 그러나, 콘택트 부재가 상사점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처음에 콘택트 부재의 선단부를 피타입재에 닿게 할 때에 스프링에 의한 쿠션성은 전혀 없으므로, 상술한 가로목 등의 화장재와 같이 부드러운 피타입재에 타입할 때에는 흠집이나 움푹 패이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또한, 스트로크 불필요 방식은 트리거에 배치된 콘택트 레버의 일단부의 피봇부와 타단부 사이의 중간부의 상부에 기동용 트리거 밸브의 트리거 밸브 스템의 하단부가 결합하는 구조이므로, 트리거의 움직임이 작아도, 콘택트 부재 자체의 스트로크를 크게 취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그런데, 이 점은 이 방식에 있어서 반대로 마이너스의 점이기도 하다. 즉, 콘택트 부재는 상하로 긴 일체 구성이므로, 못 타입에 있어서 트리거를 당기기 조작하면, 트리거의 움직임은 다이렉트로 콘택트 부재에 전달되지만, 콘택트 부재는 그 선단부가 피타입재에 닿아 있어 움직이지 않는다. 이로 인해, 트리거를 조금 당기는 것만으로 트리거 밸브 스템이 압입되어 정타기가 기동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정타기의 노즈부를 충분히 강하게 피타입재로 밀지 않는 동안에 정타기가 기동하게 되므로, 그 반력으로 정타기가 솟아올라, 못이 충분히 타입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정타기가 그립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모멘트가 작용하므로, 타입 불량이 생기거나 비틀림이 생겨 타입이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또는 일 이상의 실시예는 작업의 종류나 작업 장소에 따라서 작동 방식을 자유롭게 절환할 수 있는 타입 공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또는 일 이상의 실시예는 스트로크 불필요 방식을 채용하였을 때에 트리거의 당기기 조작에 여유를 갖게 하여 타입을 안정시켜, 조작성이나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는 타입 공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또는 일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타입 공구는 공구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파스너를 타입하는 노즈부와, 상기 노즈부의 사출로를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콘택트 부재와, 상기 노즈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콘택트 부재를 유지하는 상부 및 하부 스프링과, 상기 상부 스프링에 대항하여 상기 콘택트 부재의 하단부를 상기 노즈부의 선단부와 대략 동일한 상방 위치에 유지하는 제1 위치와, 상기 하부 스프링에 대항하여 상기 콘택트 부재의 하단부를 상기 노즈부의 선단부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는 하방 위치에 유지하는 제2 위치와, 상기 콘택트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지 않는 제3 위치로 상기 콘택트 부재의 위치를 절환하는 절환 장치를 구비한다.
제1 위치에서는, 콘택트 부재는 상방 위치에 유지되므로, 타입에 있어서는, 콘택트 부재의 선단부를 피타입재에 접촉시켜 트리거를 당기면 된다. 이와 같이, 콘택트 부재의 밀기 조작이 불필요한 스트로크 불필요 방식으로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피타입재의 표면을 따라서 노즈부의 선단부를 닿게 한 상태에서 당기면서 타입하는 끌기 타격을 하고 싶을 때나, 높은 곳에서 밀기 어려운 자세일 때 등의 경우에는 밀기에 스프링 하중이 불필요하므로, 작업 효율이 좋다.
제2 위치에서는, 콘택트 부재는 하방 위치에 유지되므로, 타입에 있어서는, 콘택트 부재를 피타입재로 밀어낸 후에 트리거를 당기기 조작하였을 때에만, 실제의 타입이 가능해진다. 트리거 밸브의 밸브 스템에 의해 상기 콘택트 부재를 하부 스프링에 대항하여 더 하방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트리거를 당겨도 기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콘택트 방식으로 작업할 수 있어,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한, 플로어재에 구석 타격을 하는 경우 등과 같이, 필요 이상으로 상부로부터 하중이 가해지는 자세로 못 타입 작업을 할 때에는, 콘택트 방식에 따르면, 쿠션성을 높이고, 밀기 하중을 올림으로써 정타기에 필요 이상으로 하중을 부여하게 되므로, 반동에 의해 겨냥 개소로부터 어긋남이 생기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하여 정확한 겨냥 타격이 가능해진다.
제3 위치에서는, 콘택트 부재는 상하의 2개의 스프링 사이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그 자체가 쿠션성이 있고, 실제로 타입하는 경우의 콘택트 부재의 스트로크는 짧아도 되므로 밀 때의 힘의 컨트롤도 용이하다. 따라서, 부드러운 소재의 피타입재에 파스너를 타입할 때에도 흠집이나 함몰 등이 생기기 어렵고, 게다가 조작성도 좋다.
이와 같이, 콘택트 부재에 의한 작동 방식을 자유롭게 절환 선택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종류나 장소에 따라서, 마무리, 작업의 신속, 확실한 타입 등, 그때, 그 장소에서의 작업의 중요성에 따라서 최적인 타입이 가능해지므로, 편리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의 일 또는 일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스프링과 하부 스프링을 상기 콘택트 부재와 일체적으로 상하 이동하는 공통의 축체 상에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절환 장치를 상기 축체의 외측에 배치한 커버에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와 제3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절환 홈과, 상기 축체와 함께 상하 이동하고 또한 상기 절환 홈에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절환 레버로 구성해도 좋다.
따라서, 절환 레버에 의해 상기 축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결합 홈에 결합함으로써 콘택트 부재를 제1 위치, 제2 위치 또는 제3 위치로 용이하고 확실하게 절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또는 일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택트 부재를 상부 콘택트 부재와 하부 콘택트 부재로 분할하고, 이들 상하부 콘택트 부재를 각각 상방으로 압박하고, 상기 트리거에 일단부가 피봇된 콘택트 레버의 타단부를 상기 상부 콘택트 부재의 상단부에 결합하고, 중앙부를 상기 트리거 밸브의 밸브 스템에 결합시키는 동시에, 상기 콘택트 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노즈부의 선단부와 대략 동일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상부 콘택트 부재의 하단부와 하부 콘택트 부재의 상단부와의 사이에는 간극을 형성하고, 상기 트리거를 인상할 때에, 상기 콘택트 레버는 상기 밸브 스템의 선단부에 결합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상기 상부 콘택트 부재를 상기 간극만큼 하방으로 이동하여 하부 콘택트 부재의 상단부에 결합시키는 동시에, 상기 콘택트 부재가 하방으로 이동 가능할 때에는, 상기 콘택트 레버는 상기 밸브 스템의 선단부에 결합한 부분을 지지점으로 회전하고, 상기 하부 콘택트 부재가 하방으로 이동 불가능할 때에는, 상기 콘택트 레버는 상기 상부 콘택트 부재의 선단부에 결합한 부분을 지지점으로 회전하여 상기 밸브 스템을 상방으로 압입하도록 해도 좋다.
본 구성에 따르면, 상부 콘택트 부재의 스프링 하중을 하부 콘택트 부재의 스프링 하중에 비해 작게 할 수 있으므로, 트리거를 당기기 조작하였을 때의 상부 콘택트 부재의 밀기 하중은 가볍고, 또한 하부 콘택트 부재와 일체로 되었을 때의 밀기 하중은 높아진다. 이로 인해, 트리거를 당겨 갈 때에, 처음에는 가볍고, 계속해서 무거워지고, 무거워졌을 때에 못이 타출되므로, 감각적으로 못의 타입 타이밍을 잘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콘택트 부재와 하부 콘택트 부재 사이에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트리거의 당기기 조작에 여유가 생기므로, 타입이 안정되어, 조작성이나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더 서술하면, 상부 콘택트 부재의 스프링은 저하중의 것이라도 좋기 때문에, 콤팩트한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스프링의 배치가 용이해진다.
그 밖의 특징 및 효과는 실시예의 기재 및 첨부한 클레임으로부터 명백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전형적 실시예에 관한 정타기의 일 예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상기 정타기의 측면도이다.
도3은 축체를 도2의 X-X선을 따르는 단면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4는 제1 위치에 유지한 경우의 주요부의 설명도이다.
도5는 제1 위치에 있어서의 못의 타입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6은 제1 위치에서 밀지 않고 트리거를 당긴 경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7은 제2 위치에 유지한 경우의 주요부의 설명도이다.
도8은 제2 위치에 있어서의 못의 타입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9는 제1 위치에 있어서 상하부의 콘택트 부재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 상태의 주요부의 설명도이다.
도10은 피타입재가 없을 때에 트리거를 당긴 경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1은 피타입재가 있을 때에 트리거를 당긴 경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정타기
4 : 노즈부
12 : 트리거 밸브
10 : 밸브 스템
11 : 콘택트 부재
23 : 상부 스프링
24 : 하부 스프링
30 : 절환 홈
31 : 절환 레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 있어서, 부호 1은 정타기(타입 공구)를 나타낸다. 이 정타기(1)는 타격 기구를 구비한 공구 본체(2)와, 공구 본체(2)로부터 후방으로 배치된 그립(3)과 공구 본체(2)의 하단부에 설치된 노즈부(4)와, 노즈부(4)에 연결 못(핀 네일)을 공급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매거진(5)을 구비하고, 매거진(5)으로부터 노즈부(4)의 사출로에 공급된 선두의 못을 상기 타격 기구를 구성하는 타격 피스톤(6)과 일체로 결합한 드라이버(7)에 의해 타출하는 것이다. 또한, 사출로는 노즈부(4)의 전방벽을 구성하는 드라이버 가이드(8)와 후방벽을 구성하는 웨어 플레이트(9)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못을 타출하는 데 있어서는, 트리거(10)를 당겨서 기동용 트리거 밸브(12)를 작동시킴으로써, 에어 콤플레서로부터 공급된 압축 공기를 타격 기구로 이송하여 그 공기압에 의해 상기 선두 못을 타출하는 것이지만, 상기 트리거(10)의 당기기 조작은 콘택트 기구로서 다음에 도시하는 콘택트 아암 기구(A)를 통해 트리거 밸브(12)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트리거 밸브(12)는 종래 공지의 것과 동일하고, 에어 콤플레서로부터 압축 공기가 공급되었을 때에는 밸브 스템(13)을 하방으로 압출하고, 이 밸브 스템(13)을 트리거(10)에 의해 상방으로 압입함으로써 기동하도록 작동하는 것이다.
콘택트 아암 기구(A)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즈부(4)의 축심과 평행하게 이동하는 축체(14)와 일체적으로 설치된 하부 콘택트 부재(11)와, 그 상부의 상부 콘택트 부재(1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축체(14)는, 도3과 같이 상부 축체(14a)와 하부 축체(14b)를 일체적으로 나사 결합한 것으로, 하부 축체(14b)는 상부 축체(14a)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축체(14a)의 상부에는 어저스트 다이얼(16)이 나사 결합하고, 어저스트 다이얼(16)을 회전함으로써 연결 아암(17)의 상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부 콘택트 부재(11)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체(14)와 축체(14)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설치된 연결 아암(17)을 통해 하향에 배치된 콘택트부(18)와, 상기 축체(14)의 하부로부터 직각으로 굴곡된 작동 아암(19)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웨어 플레이트(9)의 선단부는 얇게 형성되고, 콘택트부(18)는 그 후방면을 따라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매거진(5)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체(14)의 상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프링 받침(21, 22)이 형성되고, 상하 각 스프링 받침(21, 22)과 상기 작동 아암(19) 사이에 각각 상부 스프링(23)과 하부 스프링(24)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부 콘택트 부재(11)는 상부 스프링(23)과 하부 스프링(24) 사이에 유지되고, 상부 스프링(23)에 대항하여 상방으로 이동하고, 하부 스프링(24)에 대항하여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부 콘택트 부재(11)의 상기 정지 위치로부터 하부의 이동 단부까지의 스트로크는 종래의 스트로크의 절반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콘택트 부재(15)는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스프링(25)에 의해 상방에 위치하도록 압박되어 있다. 상부 콘택트 부 재(15)는, 통상은 작동 아암(19)의 상부에 결합하고 있다.
상부 콘택트 부재(15)의 상부에는 트리거(10)가 배치되어 있다. 트리거(10)의 내부에는 콘택트 레버(26)가 지지축(2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콘택트 레버(26)의 선단부(26a)는 상기 상부 콘택트 부재(15)의 상단부(15a)에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콘택트 레버(26)의 중간은 기동용 트리거 밸브(12)의 밸브 스템(13)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부 콘택트 부재(15)가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콘택트 레버(26)의 선단부측을 밀어 올림으로써 트리거(10)를 인상 조작하였을 때에, 하부 콘택트 부재(11)가 상기 밸브 스템(13)을 압입하여 트리거 밸브(12)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콘택트 아암 기구(A)에는 상기 상부 스프링(23)에 대항하여 상기 하부 콘택트 부재(11)를 상방 위치에 유지하는 제1 위치와, 상기 하부 스프링(24)에 대항하여 상기 하부 콘택트 부재(11)를 하방 위치에 유지하는 제2 위치와, 상기 하부 콘택트 부재(11)를 중간 위치에 유지하는 제3 위치로 절환 가능한 절환 장치(28)가 설치되어 있다.
절환 장치(28)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체(14)의 외측에 배치한 커버(29)에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와 제3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절환 홈(30)과, 상기 축체(14)와 함께 상하 이동하고 또한 상기 절환 홈(30)에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절환 레버(31)로 구성되어 있다.
즉, 커버(29)는 상기 하부 콘택트 부재(11)와 일체적으로 상하 이동하는 축 체(14)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 커버(29)에는 상기 위치와 제2 위치와 제3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절환 홈(30)이 연속 형성되어 있다. 이 절환 홈(30)은 상단부 홈(30a)과 세로 홈(30b)과 하단부 홈(30c)으로 Z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단부 홈(30a)은 상기 상부 스프링(23)에 대항하여 상기 하부 콘택트 부재(11)를 상방 위치에 유지하는 위치에 대응하고, 하단부 홈(30c)은 상기 하부 스프링(24)에 대항하여 상기 하부 콘택트 부재(11)를 하방 위치에 유지하는 제2 위치에 대응하고, 또한 세로 홈(30b)은 상기 하부 콘택트 부재(11)를 중간 위치에 유지하는 제3 위치에 대응하도록 개방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환 레버(31)는 상기 축체(14)의 상부 축체(14a)의 스프링 받침(21, 22) 사이에 상하 이동 또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부 축체(14a)는 회전 가능한 동시에, 하부 콘택트 부재(11)와 일체적으로 상하 이동한다. 절환 레버(31)는 상기 절환 홈(30)을 관통하여 외부로부터 조작할 수 있고, 연속적으로 움직여 상단부 홈(30a)과 세로 홈(30b)과 하단부 홈(30c)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절환 레버(31)를 손으로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절환 홈(30)에 결합함으로써 하부 콘택트 부재(11)를 제1 위치, 제2 위치 또는 제3 위치 중 어느 한쪽의 선택 위치로 용이하고 확실하게 절환할 수 있다.
우선, 절환 레버(31)를 상단부 홈(30a)에 결합시켜 제1 위치에 유지함으로써,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받침(21)이 상방으로 이동하므로, 상부 스프링(23)은 변형된 상태에서 로크되고, 하부 콘택트 부재(11)는 하부 스프링(24)에 의해, 콘택트부(18)의 하단부는 노즈부(4)의 선단부와 대략 동일한 상방 위치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못을 타입할 때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하부 콘택트 부재(11)의 콘택트부(18)를 피타입재(a)에 닿게 한다. 그리고, 트리거(10)를 당기기 조작하면, 콘택트 레버(26)는 트리거 밸브(12)의 밸브 스템(13)과의 결합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고, 그 선단부(26a)는 상부 콘택트 부재(15)를 스프링(25)에 대항하여 밀어 내리고자 한다. 그런데, 상부 콘택트 부재(15)의 하단부(15b)는 상기 작동 아암(19)에 결합하여 그 이상 내려갈 수는 없다. 이로 인해, 콘택트 레버(26)는 상부 콘택트 부재(15)의 상단부와의 결합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므로, 그 중간부는 상기 밸브 스템(13)을 상방으로 압입하고, 트리거 밸브(12)가 작동하고 정타기(1)가 기동하여 못이 타입된다.
또한, 콘택트부(18)를 피타입재(a)에 닿게 하지 않고 트리거(10)를 인상 조작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 밸브(12)의 밸브 스템(13)은 압축 공기에 의해 하방으로 압출되어 있으므로, 콘택트 레버(26)는 밸브 스템(13)과의 결합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고, 그 선단부(26a)는 상부 콘택트 부재(15)를 스프링(25)에 대항하여 밀어 내린다. 상부 콘택트 부재(15)의 하단부는 작동 아암(19)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작동 아암(19)과 함께 축체(14)와 콘택트부(18)도 하부 스프링(24)에 대항하여 더 하방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이때 정타기(1)는 기동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절환 레버(31)를 상단부 홈(30a)에 결합시켜 위치에 유지한 상태 에서 타입할 때에는, 하부 콘택트 부재(11)의 선단부를 피타입재(a)에 접촉시켜 트리거를 당기면 되므로, 하부 콘택트 부재(11)의 밀기 조작이 불필요한 스트로크 불필요 방식으로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피타입재(a)의 표면을 따라서 노즈부의 선단부를 닿게 한 상태에서 당기면서 타입하는 끌기 타격을 하고 싶을 때나, 높은 곳에서 압박하기 어려운 자세일 때에는, 밀기에 필요한 스프링 하중은 작업성을 방해하므로, 상기 스트로크 불필요 방식으로 작업을 하는 것이 좋다.
다음에, 절환 레버(31)를 하단부 홈(30c)에 결합시켜 제2 위치에 유지함으로써,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받침(22)이 하방으로 이동하므로, 하부 스프링(24)은 변형된 상태에서 로크되고, 하부 콘택트 부재(11)는 상부 스프링(23)에 의해 콘택트부(18)의 하단부를 상기 노즈부(4)의 선단부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는 위치에 유지한다. 이때, 작동 아암(19)과 상부 콘택트 부재(15)는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 타입할 때에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콘택트 부재(11)의 선단부를 피타입재(a)로 밀어낸다. 이에 의해, 작동 아암(19)은 상부 콘택트 부재(15)의 하단부에 결합한다. 그 후에 트리거를 당기기 조작하면, 콘택트 레버(26)는 트리거 밸브(12)의 밸브 스템(13)과의 결합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고 상부 콘택트 부재(15)를 스프링(25)에 대항하여 밀어 내리고자 한다. 그런데, 상부 콘택트 부재(15)의 하단부(15c)는 상기 작동 아암(19)에 결합하여, 그 이상 내려갈 수는 없다. 이로 인해, 콘택트 레버(26)는 상부 콘택트 부재(15)의 상단부와의 결합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므로, 그 중간부는 상기 밸브 스템(13)을 상방 으로 압입하고, 트리거 밸브(12)가 작동하고 정타기가 기동하여 못이 타입된다.
또한, 콘택트부(18)를 피타입재(a)에 닿게 하지 않고 트리거(10)를 인상 조작하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 밸브(12)의 밸브 스템(13)은 압축 공기에 의해 하방으로 압출되어 있으므로, 콘택트 레버(26)는 밸브 스템(13)과의 결합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고, 그 선단부(26a)는 상부 콘택트 부재(15)의 상단부(15a)에 닿고, 스프링(25)에 대항하여 밀어 내리지만, 상부 콘택트 부재(15)의 하단부(15b)는 작동 아암(19)에 결합할 뿐이고, 상부 콘택트 부재(15)는 헛도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밸브 스템(13)을 압입할 수는 없으므로, 정타기(1)는 기동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콘택트 부재(11)의 선단부를 피타입재(a)로 밀어내는 것을 시작으로 실제의 타입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하부 스프링(24)은 변형된 상태에서 고정되고, 그만큼 상부 스프링(23)의 작동 범위가 커지기 때문에, 하부 콘택트 부재(11)의 스트로크는 커진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완전한 콘택트 방식으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플로어재에 구석 타격을 할 때에는, 허리를 구부린 자세로 선단부를 피타입재(a)에 닿게 하지만, 이와 같은 자세에서는 필요 이상으로 상부로부터 하중이 가해지므로, 스트로크 불필요 방식이나 후술하는 저하중 콘택트 방식에서는 피타입재(a)에 압흔이 생기거나 타입 시의 반동으로 겨냥한 곳으로부터 벗어나 피타입재(a)의 표면에 손상을 입힐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의 콘택트 방식의 못 타입에 따르면, 쿠션성을 높이고, 밀기 하중을 올림으로써 정타기에 필 요 이상으로 하중을 부여하게 되므로, 반동에 의해 겨냥 개소로부터 어긋남이 생기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하여 정확한 겨냥 타격이 가능해진다.
또한, 절환 레버(31)를 세로 홈(30b)에 결합시켜 제3 위치에 유지함으로써, 하부 콘택트 부재(11)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진다. 이 상태에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콘택트 부재(11)에는 상부 스프링(23)과 하부 스프링(24)의 양쪽의 스프링 작용이 미치기 때문에, 하부 콘택트 부재(11)의 선단부 콘택트부(18)가 노즈부(4)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량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위치에 유지한 경우(도7의 경우)보다도 작다. 또한, 하부 콘택트 부재(11)의 밀기 하중도 제2 위치에 유지한 경우보다도 작다.
못을 타입할 때에는 절환 레버(31)를 제2 위치에 유지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5의 예와 마찬가지로, 우선 하부 콘택트 부재(11)의 콘택트부(18)를 피타입재(a)로 밀어낸 후에 트리거(10)를 당기기 조작하면 좋다. 또한, 하부 콘택트 부재(11)의 밀기의 이동량과 밀기 하중은 제2 위치에 유지한 경우보다도 작다.
또한, 콘택트부(18)를 피타입재(a)에 닿게 하지 않고 트리거(10)를 인상 조작한 경우에는 정타기가 기동하지 않는 것도, 제2 위치에 유지한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위치에 있어서의 작동 방식에서는 노즈부 선단부로부터의 하부 콘택트 부재(11)의 돌출 정도는 위치에 있어서의 경우보다도 작기 때문에, 스트로크 불필요 방식과 콘택트 방식을 합한 쇼트 스트로크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콘택트 부재(11)는 상하의 2개의 스프링(23, 24) 사이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그 자체가 쿠션성이 있고, 실제로 타입하는 경우의 하부 콘택트 부재(11)의 스트로크는 짧아, 강한 힘으로 압박할 필요가 없으므로, 컨트롤도 용이하다. 따라서, 부드러운 소재의 피타입재(a)에 못을 타입할 때에도 흠집이나 함몰 등이 생기기 어렵고, 게다가 조작성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절환 레버(31)의 조작에 의해 스트로크 불필요 방식과 콘택트 방식과 쇼트 스트로크 방식의 3개의 작동 방식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종류나 장소에 따라서, 마무리, 작업의 신속, 확실한 타입 등 그때, 그 장소에서의 작업의 중요성에 따라서 최적인 타입이 가능해지므로, 편리성이 높다.
다음에, 스트로크 불필요 방식을 선택한 경우, 상부 콘택트 부재(15)와 하부 콘택트 부재(11)는 일체로 움직이는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9와 같이, 상부 콘택트 부재(15)의 하단부와 하부 콘택트 부재(11)의 상단부와의 사이에는 간극(d)을 형성해도 좋다. 이에 의해, 트리거(10)를 인상 회전할 때에, 콘택트 레버(26)는 밸브 스템(13)의 선단부에 결합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상부 콘택트 부재(15)를 상기 간극(d)만큼 하방으로 이동하여 하부 콘택트 부재(11)의 상단부에 결합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부 콘택트 부재(15)는 하부 콘택트 부재(11)에 비해 충격이 작기 때문에, 경량인 부재로 충분하므로, 상부 콘택트 부재(15)를 상방으로 압박하는 스프링(25)의 스프링 하중은 하부 콘택트 부재(11)를 상방으로 압박하는 스프링(24)보 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콘택트 부재(11)가 하방으로 이동 가능할 때에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택트 레버(26)는 밸브 스템(13)과의 결합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고, 그 선단부(26a)는 상부 콘택트 부재(15)를 스프링(25)에 대항하여 밀어 내린다. 상부 콘택트 부재(15)의 하단부는 작동 아암(19)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작동 아암(19)과 함께 축체(14)와 콘택트부(18)도 하부 스프링(24)에 대항하여 더 하방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이때 정타기(1)는 기동하지 않는다.
이에 대해, 하부 콘택트 부재(11)의 선단부가 피타입재(a)에 결합하여 하방으로 이동 불가능할 때에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10)를 당기기 조작하면, 콘택트 레버(26)는 상부 콘택트 부재(15)의 상단부와의 결합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므로, 그 중간부는 밸브 스템(13)을 상방으로 압입하고, 트리거 밸브(12)가 작동하고, 정타기(1)가 기동하여 못이 타입된다.
이와 같이, 상부 콘택트 부재(15)의 스프링 하중을 하부 콘택트 부재(11)의 스프링 하중에 비해 작게 할 수 있으므로, 트리거(10)를 당기기 조작하였을 때의 상부 콘택트 부재(15)의 압입 하중은 가볍고, 또한 하부 콘택트 부재(11)와 일체로 되어 이동할 때의 압입 하중은 높아진다. 이로 인해, 못의 타입 시에, 트리거(10)를 당겨 갈 때에 처음에는 가볍고, 계속해서 무거워지고, 무거워졌을 때에 밸브 스템(13)이 압입되고 기동하여 못이 타출되므로, 감각적으로 못의 타입 타이밍을 잘 알 수 있다. 즉, 상부 콘택트 부재(15)와 하부 콘택트 부재(11) 사이에 간극(d)을 형성함으로써, 트리거(10)의 당기기 조작에 간극(d)만큼의 여유가 생겨, 종래와 같 이 트리거를 조금 당기는 것만으로 기동하는 경우는 없다. 게다가, 트리거(10)의 당기기 하중도 최초로 저하중, 다음에 고하중이 되므로 조작성이 좋아, 타입이 안정된다. 이로 인해, 작업성도 개선할 수 있다.
그런데, 상부 콘택트 부재와 하부 콘택트 부재(11) 사이의 간극(d)은 1 내지 2 ㎜가 바람직하다. 2 ㎜ 이상이면 트리거(10)의 당김량이 지나치게 커져, 조작감이 좋지 않고, 단시간에 피로해지기 쉬워, 작업 능률이 나빠지는 동시에, 정타기 본체가 커지기 때문이다. 1 ㎜ 이하에서는, 종래와 동일하게 트리거(10)의 당김량이 조금이라도 정타기가 기동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부 콘택트 부재(15)의 스프링(25)은 저하중의 것이라도 좋기 때문에, 콤팩트한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스프링의 배치가 용이해진다.
또한, 종래의 일체 구성의 콘택트 아암은 도중이 굴곡된 일체 구성 부재이기 때문에, 일점을 눌렀을 때에는 각 부의 미끄럼 이동 저항이 다른 것에 의해 모멘트가 작용하여 원활하게 미끄럼 이동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전체를 균일하게 동일한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복잡한 미끄럼 이동 대책이 필요해진다. 이에 대해, 상기 콘택트 부재는 상하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미끄럼 이동 저항이 작다. 따라서, 미끄럼 이동 대책이 용이하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작동 아암(19)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고, 그 선단부에 매거진의 못 공급로 내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마련하고, 매거진 내에 못이 있을 때에는 상부 콘택트 부재(15)에 결합 가능한 위치에 있고, 매거진 내에 못이 없어졌을 때에는 돌출부가 못 공급로 내로 날아들면 동시에 작동 아 암(19)이 회전하여 상부 콘택트 부재(15)와 결합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고, 트리거(10)의 조작을 무효로 하는 공타격 방지 기구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간극(d)에 의해 작동 아암(19)의 회전은 상부 콘택트 부재(15)와의 간섭을 받지 않으므로, 확실하게 작동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콘택트 부재(11)의 선단부의 콘택트부(18)는 노즈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라도, 혹은 노즈부와는 별개의 부재라도 좋다.
또한, 하부 콘택트 부재(11)는 노즈부(4)의 축심과 평행하게, 즉 사출로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따라서, 하부 축체(14b)와 연결 아암(17)과 작동 아암(19)은 상하 방향으로 연동하는 구성이면 좋고, 그 형상이나 연결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절환 장치는 반드시 Z자형 절환 홈과 절환 레버로 구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절환 홈을 I자형으로 해도 좋다. 절환 레버는 버튼형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도9 내지 도11의 스트로크 불필요 방식은 콘택트 방식으로 절환하는 것은 아니고, 단독의 스트로크 불필요 방식으로서 구성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못의 타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타입 나사나 스테이플 등의 파스너의 타입 공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공기압 공구뿐만 아니라,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타입 공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하고 또한 특정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추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명백하다.
본 출원은 2005년 6월 8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일본 특허 출원 제2005-168523호), 2006년 4월 17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일본 특허 출원 제2006-113793호)에 근거하는 것이고,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정타기나 비틀림 타격기 등의 타입 공구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3)
- 공구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파스너를 타입하는 노즈부와,상기 노즈부의 사출로를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콘택트 부재와,상기 노즈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콘택트 부재를 유지하는 상부 및 하부 스프링과,상기 상부 스프링에 대항하여 상기 콘택트 부재의 하단부를 상기 노즈부의 선단부와 대략 동일한 상방 위치에 유지하는 제1 위치와, 상기 하부 스프링에 대항하여 상기 콘택트 부재의 하단부를 상기 노즈부의 선단부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는 하방 위치에 유지하는 제2 위치와, 상기 콘택트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지 않는 제3 위치로 상기 콘택트 부재의 위치를 절환하는 절환 장치를 구비하는 타입 공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프링과 하부 스프링은 상기 콘택트 부재와 일체적으로 상하 이동하는 공통의 축체 상에 배치되고,상기 절환 장치는,상기 축체의 외측에 배치한 커버에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와 제3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절환 홈과,상기 축체와 함께 상하 이동하고 또한 상기 절환 홈에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절환 레버를 구비하는 타입 공구.
- 제1항에 있어서, 또한, 트리거 밸브와,상기 트리거 밸브를 작동하는 트리거와,콘택트 레버를 구비하고,상기 콘택트 부재는 상부 콘택트 부재와 하부 콘택트 부재를 구비하고,상부 및 하부 콘택트 부재는 각각 상방으로 압박되고,상기 콘택트 레버는 상기 트리거에 피봇된 일단부와, 상기 상부 콘택트 부재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타단부와, 상기 트리거 밸브의 밸브 스템에 결합하는 중앙부를 구비하고,상기 콘택트 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노즈부의 선단부와 대략 동일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상부 콘택트 부재의 하단부와 하부 콘택트 부재의 상단부와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상기 트리거를 인상할 때에, 상기 콘택트 레버는 상기 밸브 스템의 선단부에 결합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상기 상부 콘택트 부재를 상기 간극만큼 하방으로 이동하여 하부 콘택트 부재의 상단부에 결합시키고,상기 콘택트 부재가 하방으로 이동 가능할 때에는, 상기 콘택트 레버는 상기 밸브 스템의 선단부에 결합한 부분을 지지점으로 회전하고,상기 하부 콘택트 부재가 하방으로 이동 불가능할 때에는, 상기 콘택트 레버는 상기 상부 콘택트 부재의 선단부에 결합한 부분을 지지점으로 회전하여 상기 밸브 스템을 상방으로 압입하는 타입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5168523 | 2005-06-08 | ||
JPJP-P-2005-00168523 | 2005-06-08 | ||
JP2006113793A JP5055817B2 (ja) | 2005-06-08 | 2006-04-17 | 打込み工具におけるコンタクト機構 |
JPJP-P-2006-00113793 | 2006-04-1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14148A true KR20080014148A (ko) | 2008-02-13 |
Family
ID=37498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7000340A KR20080014148A (ko) | 2005-06-08 | 2006-06-07 | 타입 공구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20090206119A1 (ko) |
EP (1) | EP1889690A1 (ko) |
JP (1) | JP5055817B2 (ko) |
KR (1) | KR20080014148A (ko) |
CN (1) | CN101193729B (ko) |
AU (1) | AU2006256052A1 (ko) |
CA (1) | CA2610865A1 (ko) |
WO (1) | WO2006132278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200126A1 (ko) * | 2015-06-08 | 2016-12-15 | 엘지이노텍(주) | 카메라 모듈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073380B2 (ja) * | 2007-06-28 | 2012-11-14 | 株式会社マキタ | 電動打ち込み工具 |
JP2011088269A (ja) * | 2009-09-25 | 2011-05-06 | Makita Corp | 打ち込み工具 |
TWI401143B (zh) * | 2010-11-03 | 2013-07-11 | Basso Ind Corp | Electric nail gun double switch device |
US20180093370A1 (en) * | 2016-10-04 | 2018-04-05 | Stanley Black & Decker, Inc. | Fastening Tool with Contact Arm and Multi-Fastener Guide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56965A (en) * | 1960-10-24 | 1962-10-09 | Spotnails | Safety mechanism for pneumatic fastener driving machines |
US3352471A (en) * | 1965-10-05 | 1967-11-14 | Bostitch Inc | Fastener driving apparatus |
US3572572A (en) * | 1969-07-22 | 1971-03-30 | Textron Inc | Fluid pressure operated fastener driving device |
US4197974A (en) * | 1978-06-12 | 1980-04-15 | Speedfast Corporation | Nailer |
JPS6048312B2 (ja) * | 1979-10-04 | 1985-10-26 | マックス株式会社 | 自動釘打機の釘空打ち防止装置 |
US5083694A (en) * | 1991-06-11 | 1992-01-28 | Stanley-Bostitch, Inc. | Fastener driving device with sequential actuation trigger assembly |
US5263842A (en) * | 1992-03-30 | 1993-11-23 | Stanley-Bostitch, Inc. | Nail driver with improved nosepiece assembly |
US5263626A (en) * | 1992-12-29 | 1993-11-23 | Illinois Tool Works Inc. | Fastener-driving tool with actuating structure biased by dual biasing means |
US6012622A (en) * | 1998-04-20 | 2000-01-11 | Illinois Tool Works Inc. | Fastener driving tool for trim applications |
JP3634173B2 (ja) * | 1998-12-25 | 2005-03-30 | 株式会社マキタ | 釘打ち機における釘の打ち込み深さ調整装置 |
WO2000059687A1 (en) * | 1999-04-05 | 2000-10-12 | Stanley Fastening Systems, L.P. | Safety trip assembly and trip lock mechanism for a fastener driving tool |
JP3780822B2 (ja) * | 2000-05-23 | 2006-05-31 | 日立工機株式会社 | 釘打機 |
US6705501B2 (en) * | 2001-01-31 | 2004-03-16 | Black & Decker Inc. | Contact trip assembly for fastening tool |
TW567966U (en) * | 2002-12-26 | 2003-12-21 | Wen-Jou Jang | Nailing gun structure |
US6866177B1 (en) * | 2003-08-29 | 2005-03-15 | Panrex Industrial Co., Ltd. | Depth control device for a fastener driving tool |
-
2006
- 2006-04-17 JP JP2006113793A patent/JP5055817B2/ja active Active
- 2006-06-07 AU AU2006256052A patent/AU200625605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6-06-07 KR KR1020087000340A patent/KR2008001414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6-06-07 US US11/921,740 patent/US2009020611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6-06-07 WO PCT/JP2006/311435 patent/WO200613227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6-06-07 CN CN2006800207674A patent/CN101193729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6-07 CA CA002610865A patent/CA261086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6-06-07 EP EP06757142A patent/EP1889690A1/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200126A1 (ko) * | 2015-06-08 | 2016-12-15 | 엘지이노텍(주) | 카메라 모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6132278A1 (ja) | 2006-12-14 |
AU2006256052A1 (en) | 2006-12-14 |
CN101193729A (zh) | 2008-06-04 |
EP1889690A1 (en) | 2008-02-20 |
JP5055817B2 (ja) | 2012-10-24 |
CA2610865A1 (en) | 2006-12-14 |
US20090206119A1 (en) | 2009-08-20 |
CN101193729B (zh) | 2011-04-13 |
JP2007015098A (ja) | 2007-0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52835A (en) | Positioning mechanism for powered fastener-driving tool | |
US5238167A (en) | Positioning mechanism for powered fastener-driving tool | |
JP5034177B2 (ja) | 打込み工具の安全装置 | |
US5816468A (en) | No-idle-striking structure for nailing machines | |
US7513403B2 (en) | Idle driving operation preventing devices for fastener driving tools, and fastener driving tools having such devices | |
US20010006183A1 (en) | Fastener driving tools having improved drive mode change devices | |
KR20070092947A (ko) | 동력 구동 정타기 | |
KR20080014148A (ko) | 타입 공구 | |
EP1995023A1 (en) | Nailing device contact top attaching/detaching method | |
US8485407B2 (en) | Fastener feeding device for a driving tool | |
CN112218740A (zh) | 钉打机 | |
JP4992199B2 (ja) | 打込み工具のコンタクト機構 | |
JP4877464B2 (ja) | 打込み工具のコンタクトにおけるオフセット構造 | |
JP3794276B2 (ja) | 釘打機 | |
JP2010023174A (ja) | ステープル打ち用釘打機 | |
JP5233538B2 (ja) | 釘打機 | |
JP3825866B2 (ja) | 固着具打込機のトリガ装置 | |
JP4461638B2 (ja) | タッカーにおける空打ち防止機構 | |
JPH0616658Y2 (ja) | 釘打機の起動装置 | |
JP5299755B2 (ja) | 打込機 | |
US20050150927A1 (en) | Driver guides for use with fastener-driving tools and fastener-driving tools having such driver guides | |
JP5259498B2 (ja) | 打ち込み工具 | |
JPH0947978A (ja) | 固着具打込機の空打ち防止装置 | |
JP2011194543A (ja) | 打込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