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7451A - 냉동장치, 및 냉동장치의 분석장치 - Google Patents

냉동장치, 및 냉동장치의 분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7451A
KR20080097451A KR1020087021977A KR20087021977A KR20080097451A KR 20080097451 A KR20080097451 A KR 20080097451A KR 1020087021977 A KR1020087021977 A KR 1020087021977A KR 20087021977 A KR20087021977 A KR 20087021977A KR 20080097451 A KR20080097451 A KR 20080097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ircuit
state
loss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1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쯔요시 요네모리
요시나리 사사끼
다까히로 야마구찌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7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74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09/00Gas cycle refrigeration machines
    • F25B2309/06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being carbon dioxide
    • F25B2309/06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being carbon dioxide with cycle highest pressure above the supercritical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05Outdoor unit 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25B2313/023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in paralle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4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one four-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3Economi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9Calculation of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1Refrigerant outlet evaporator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5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 F25B2700/21151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at the suction side of the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5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 F25B2700/21152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at the discharge side of the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25B9/0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 F25B9/008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the refrigerant being carbon diox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압축기(30), 감압수단(36, 39), 및 복수의 열교환기(34, 37)를 포함하는 회로구성 부품이 접속되어 구성된 냉매회로(20)를 구비하며, 냉매회로(20)에서 냉매를 순환시켜 냉동주기를 행하는 냉동장치(10)에 있어서, 압축기(30), 감압수단(36, 39), 및 열교환기(34, 37) 각각의 출구와 입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검출하는 냉매상태 검출수단(51)과, 냉매상태 검출수단(51)이 검출하는 냉매온도 및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를 개별로 산출하는 변화량 산출수단(52)을 구성시킨다.
냉매회로, 냉매상태 검출수단, 에너지변화, 변화량 산출수단, 진단수단

Description

냉동장치, 및 냉동장치의 분석장치{REFRIGERATION SYSTEM, AND ANALYZER OF REFRIGERATION SYSTEM}
본 발명은 냉동장치의 상태를 분석하는 기능을 갖는 냉동장치, 및 냉동장치의 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증기압축식 냉동주기를 실행하는 냉매회로를 구비하는 냉동장치에 대하여, 냉동장치의 상태를 분석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냉동장치는, 예를 들어 온도센서나 압력센서의 검출값 등으로부터 파악되는 운전상태를 정상운전상태와 비교함으로써 냉동장치의 상태를 분석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일본 특허공개 2001-133011호 공보)에는 압력과 엔탈피의 관계를 나타내는 몰리에르 선도를 이용하여, 냉동장치의 상태를 분석하고 구성기기의 정상, 이상을 진단하는 공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공조기는 구성기기로서 실외유닛이 압축기, 사방밸브, 및 실외열교환기를 구비하며, 실내유닛이 실내열교환기를 구비한다. 또 이 공조기의 진단장치(제어기)는 수치변환수단, 제 1 입력수단, 제 1 특성연산수단, 제 2 특성연산수단, 특성진단수단, 및 결과표시수단을 구비한다.
이 공조기에서는 진단장치로부터 진단개시명령이 내리면, 우선 수치변환수단 이 온도센서나 압력센서에서 검지된 온도, 압력의 전압값을 수치로 변환한다. 또 제 1 입력수단에는 실외유닛과 실내유닛의 냉매량이나 접속배관 길이 등이 입력된다. 다음으로, 제 1 특성연산수단은 제 1 입력수단과 수치변환수단으로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여 정상 시의 몰리에르 선도를 작성한다. 다음에, 제 2 특성연산수단은 운전 시의 몰리에르 선도를 작성한다. 다음, 특성진단수단은 제 1 특성연산수단의 정상 시 몰리에르 선도와 제 2 특성연산수단의 운전 시 몰리에르 선도를 비교하여, 고장부분 또는 고장요인을 특정한다. 그리고 결과표시수단은 특성진단수단에 의한 진단내용을 표시한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종래의 냉동장치에서는, 정상운전상태의 몰리에르 선도와 진단 시 몰리에르 선도의 비교로부터 냉동주기의 상태를 전체적으로 분석할 수는 있으나, 개개의 구성기기 상태를 상세하게 분석하기는 어려웠다.
구체적으로, 정상운전상태의 몰리에르 선도와 진단 시 몰리에르 선도의 비교로부터 검출되는 것은, 공조능력에 대한 정상운전상태와 분석 시의 차, 토출냉매 또는 흡입냉매에 대한 정상운전상태와 분석 시의 압력차나 온도차 등이다. 그리고 이들 정상운전상태와 분석 시의 차를 나타내는 수치는 개개의 구성기기 상태에만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또 이들 수치는 단위가 다른 것이 있으므로, 서로 관련시키기가 어렵다. 따라서 개개의 구성기기 상태를 개별로 분석하기가 어려웠다.
또 종래의 냉동장치에서는, 구성기기 이외의 냉동장치 구성부품(예를 들어 구성기기들을 연결하는 냉매배관)의 상태를 분석할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냉매회로에 접속되어 냉매회로를 구성하는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를 개별로 분석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냉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제 1 발명은, 압축기(30), 감압수단(36, 39), 및 복수의 열교환기(34, 37)를 포함하는 회로구성 부품이 접속되어 구성된 냉매회로(20)를 구비하며, 이 냉매회로(20)에서 냉매를 순환시켜 냉동주기를 행하는 냉동장치(10)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이 냉동장치(10)는, 상기 압축기(30), 감압수단(36, 39), 및 열교환기(34, 37) 각각의 입구와 출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검출하는 냉매상태 검출수단(51)과, 상기 냉매상태 검출수단(51)이 검출하는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상기 회로구성 부품 각각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를 개별로 산출하는 변화량 산출수단(52)을 구비한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34, 37)에서 냉매와 열 교환하는 유체가 유통하는 유체용 부품(12, 14, 28, 75, 76b)과, 상기 회로구성 부품 및 상기 유체용 부품(12, 14, 28, 75, 76b)의 적어도 하나를 진단대상 부품으로서, 상기 변화량 산출수단(52)이 산출하는 산출값에 기초하여 이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하는 진단수단(54)을 구비한다.
제 3 발명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34, 37)로 공기를 보내기 위한 팬(12, 14)이 상기 유체용 부품(12, 14, 28, 75, 76b)을 구성하며, 상기 진단수단(54)은 상기 팬(12, 14)을 상기 진단대상 부품으로서, 상기 변화량 산출수단(52)이 산출하는 산출값에 기초하여 이 팬(12, 14)의 상태를 진단한다.
제 4 발명은, 제 2 또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화량 산출수단(52)은, 상기 회로구성 부품 각각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를 이 회로구성 부품 각각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으로서 산출하며, 상기 진단수단(54)은 상기 변화량 산출수단(52)이 상기 손실값으로서 산출하는 산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한다.
제 5 발명은,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화량 산출수단(52)은, 각 열교환기(34, 37)에서 발생하는 복수 종류의 손실값을 개별로 산출하며, 상기 진단수단(54)은 상기 각 열교환기(34, 37)에서 발생하는 손실에 대해서는, 상기 변화량 산출수단(52)이 산출하는 복수 종류의 손실별 산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한다.
제 6 발명은, 제 4 또는 제 5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매회로(20)가, 냉매를 냉매주기의 고압압력까지 압축하는 압축기(30)가 설치된 주회로(66)와, 이 주회로(66)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는 복수의 분기회로(67)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각 분기회로(67)의 냉매유량을 산출하는 유량산출수단(56)을 구비하며, 상기 변화량 산출수단(52)은, 상기 유량산출수단(56)이 산출하는 각 분기회로(67)의 냉매유량을 이용하여 상기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을 산출한다.
제 7 발명은,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매회로(20)에는 상기 열교환기(34, 37)가 설치된 분기회로(67)가 복수 존재하며, 상기 변화량 산출수단(52)은, 상기 분기회로(67)의 열교환기(34, 37)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을 상기 유량산출수단(56)이 산출하는 이 분기회로(67)의 냉매유량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제 8 발명은, 제 4 내지 제 7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정상운전상태에 있어서 상기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의 크기를 손실기준값으로 기억하는 손실기억수단(53)을 구비하며, 상기 진단수단(54)은, 상기 변화량 산출수단(52)이 산출하는 산출값과 상기 손실기억수단(53)이 기억하는 손실기준값에 기초하여 상기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한다.
제 9 발명은, 제 8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진단수단(54)이, 상기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별로 상기 변화량 산출수단(52)이 산출하는 산출값과 상기 손실기억수단(53)이 기억하는 손실기준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한다.
제 10 발명은, 제 8 또는 제 9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실기억수단(53)이, 복수의 운전조건에 대하여 정상운전상태의 손실기준값을 기억하며, 상기 진단수단(54)은, 상기 진단대상 부품 상태의 진단에, 상기 손실기억수단(53)이 기억하는 손실기준값 중 진단시의 운전조건에 대응하는 운전조건의 손실기준값을 이용한다.
제 11 발명은, 제 2 내지 제 7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진단수단(54)이, 상기 변화량 산출수단(52)이 산출하는 산출값의 경시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한다.
제 12 발명은, 제 2 내지 제 11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진단수단(54)에 의한 상기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에 관한 진단결과를 표시하는 표시수단(55)을 구비한다.
제 13 발명은, 제 1 내지 제 12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냉매회로(20)에서는, 상기 압축기(30) 및 각 열교환기(34, 37) 각각의 입구와 출구의 냉매온도와 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 압축기(30) 및 각 열교환기(34, 37) 각각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온도센서(45)와 압력센서(46)가 1조씩 장착되는 한편, 상기 냉매상태 검출수단(51)은, 상기 감압수단(36, 39) 입구에서의 냉매의 온도와 엔트로피를 방열기가 되는 열교환기(34, 37) 출구에서의 값과 동일값으로 하며, 이 감압수단(36, 39) 출구에서의 냉매의 온도와 엔트로피를 증발기가 되는 열교환기(34, 37) 입구의 값과 동일값으로 하도록 구성된다.
제 14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냉동장치(10)를 진단하기 위한 정보로서, 상기 변화량 산출수단(52)이 산출하는 산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55)을 구비한다.
제 15 발명은, 압축기(30), 감압수단(36, 39), 및 복수의 열교환기(34, 37)를 포함하는 회로구성 부품이 접속되어 구성된 냉매회로(20)를 구비하며, 이 냉매회로(20)에서 냉매를 순환시켜 냉동주기를 행하는 냉동장치(10)에 접속되어 이 냉동장치(10)의 상태를 분석하는 냉동장치의 분석장치(60)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이 냉동장치의 분석장치(60)는, 상기 압축기(30), 감압수단(36, 39), 및 열교환기(34, 37) 각각의 입구와 출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검출하는 냉매상태 검출수단(51)과, 상기 냉매상태 검출수단(51)이 검출하는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상기 회로구성 부품 각각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를 개별로 산출하는 변화량 산출수단(52)과, 상기 변화량 산출수단(52)이 산출하는 산출값에 기초하는 냉동장치(10) 상태의 분석결과를 표시하는 표시수단(55)을 구비한다.
제 16 발명은, 제 15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동장치(10)에는, 상기 열교환기(34, 37)에서 냉매와 열 교환하는 유체가 유통하는 유체용 부품(12, 14, 28, 75, 76b)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회로구성 부품 및 상기 유체용 부품(12, 14, 28, 75, 76b)의 적어도 하나를 진단대상 부품으로서, 상기 변화량 산출수단(52)이 산출하는 산출값에 기초하여 이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하는 진단수단(54)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수단(55)은, 상기 냉동장치(10) 상태의 분석결과로서, 상기 진단수단(54)에 의한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에 관한 진단결과를 표시한다.
제 17 발명은, 제 15 또는 제 16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55)이, 상기 냉동장치(10) 상태의 분석결과로서, 상기 변화량 산출수단(52)이 산출하는 산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상태를 표시한다.
제 18 발명은, 제 15 내지 제 17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30), 감압수단(36, 39), 및 열교환기(34, 37) 각각의 입구와 출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검출하기 위하여 필요한 상기 냉매회로(20)의 냉매상태를 검출하는 냉매상태 검출센서(65)를 적어도 구비하여 냉동장치(10)에 설치되는 제 1 구성부(47)와, 상기 표시수단(55)을 적어도 구비하여 냉동장치(10)에서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구성부(48)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제 1 구성부(47)와 제 2 구성부(48)가 서로 통신회로(63)로 접속된다.
제 19 발명은, 제 15 내지 제 17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냉매회로(20)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30), 감압수단(36, 39) 및 열교환기(34, 37) 각각의 입구와 출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검출하기 위하여 필요한 상기 냉매회로(20)의 냉매상태를 검출하는 냉매상태 검출센서(65)를 구비하며, 상기 냉매상태 검출수단(51)은, 상기 압축기(30), 감압수단(36, 39) 및 열교환기(34, 37) 각각의 입구와 출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의 산출에, 상기 냉매상태 검출센서(65)의 계측값을 이용한다.
제 20 발명은, 제 19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매상태 검출센서(65)는 복수의 온도센서(65)에 의해 구성되며, 그 중 1개가 방열기가 되는 열교환기(34, 37)에 장착되고, 다른 1개가 증발기가 되는 열교환기(34, 37)에 장착되는 한편, 상기 냉매상태 검출수단(51)은, 방열기가 되는 열교환기(34, 37)에 장착된 온도센서(65)의 계측값에 기초하여 냉동주기의 고압압력을 산출하며, 증발기가 되는 열교환기(34, 37)에 장착된 온도센서(65)의 계측값에 기초하여 냉동주기의 저압압력을 산출함으로써, 상기 압축기(30), 감압수단(36, 39) 및 열교환기(34, 37) 각각의 입구와 출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산출한다.
-작용-
제 1 발명에서는, 변화량 산출수단(52)이, 냉매상태 검출수단(51)이 검출하는 냉매온도 및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압축기(30), 감압수단(36, 39), 및 복수의 열교환기(34, 37)(이하, 이들 구성기기를 주요 구성기기라 함)를 포함한 회로구성 부품 각각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를 개별로 산출한다. 여기서 각 주요 구성기기의 출구와 입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이용하면,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를 개별로 산출하기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각 주요 구성기기의 출구와 입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작성된 T-s선도에서는,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가 도 2에 나타내는 각 영역의 면적으로 나타난다. 즉, 각 영역의 면적으로부터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를 산출하기가 가능하다. 이 제 1 발명에서는, 이 T-s선도에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가 나타나는 것을 이용하여, 회로구성 부품 각각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를 개별로 산출한다.
제 2 발명에서는, 진단수단(54)이, 회로구성 부품 및 유체용 부품(12, 14, 28, 75, 76b)의 적어도 하나를 진단대상 부품으로서, 회로구성 부품 각각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에 기초하여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한다.
여기서,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는, 예를 들어 그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의 크기를 나타내며, 그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회로구성 부품으로서의 압축기(30)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는, 압축기(30)에서 발생하는 손실의 크기를 나타내므로, 주로 압축기(30)의 기계마찰 크기를 나타내며, 압축기(30)의 베어링 등 습동부재의 열화상태나, 냉동기유의 열화상태 등에 대응한다.
또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는,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만이 아닌, 열교환기(34, 37)를 유통하는 냉매와 열 교환하는 유체가 유통하는 유체용 부품(12, 14, 28, 75, 76b)의 상태에도 대응한다. 예를 들어 회로구성 부품으로서의 열교환기(34, 37)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는, 주로 열교환이나 냉매유통에 따른 손실의 크기를 나타내므로, 그 열교환기(34, 37) 자체의 배관 상태에 대응할 뿐만이 아니라, 그 열교환기(34, 37)에 대응하는 유체용 부품(12, 14, 28, 75, 76b)인 팬의 운전상태나 필터 상태 등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는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나 유체용 부품(12, 14, 28, 75, 76b)의 상태에 대응한다. 따라서 이 제 2 발명에서는,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에 기초하여,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나 유체용 부품(12, 14, 28, 75, 76b)의 상태가 개별로 진단된다.
제 3 발명에서는, 진단수단(54)이, 열교환기(34, 37)로 공기를 보내기 위한 팬(12, 14)을 진단대상 부품으로 한다. 팬(12, 14)의 상태는 회로구성 부품 각각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에 기초하여 진단된다.
제 4 발명에서는, 변화량 산출수단(52)이,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를,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으로서 산출한다. 진단수단(54)은 회로구성 부품 각각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에 기초하여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한다.
제 5 발명에서는, 회로구성 부품 중 열교환기(34, 37)에서 발생하는 손실에 대하여 복수 종류의 손실값이 산출된다. 그리고 복수 종류의 손실별 손실값이 진단대상 부품 상태의 진단에 이용된다. 여기서 각 주요 구성기기의 출구와 입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이용하면, 열교환기(34, 37)에 대해서는 복수 종류의 손실값을 산출하기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술한 T-s선도(도 2 참조)에서는, 증발기나 방열기의 손실이, 열교환에 따른 손실, 마찬발열에 따를 손실, 및 유로저항에 의한 압력손실로 세분화된다. 즉 제 5 발명에서는, 열교환기(34, 37)의 손실을 복수 종류의 손실별로 세분화하며, 그 세분화된 손실값이 진단대상 부품 상태의 진단에 이용된다.
제 6 발명에서는, 냉매회로(20)가, 주회로(66)와, 복수의 분기회로(67)를 구비한다. 여기서 주회로(66)의 냉매가 복수의 분기회로(67)로 분배되는 냉매회로(20)의 냉동주기는 분기회로(67)별로 T-s선도로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각 분기회로(67)의 T-s선도에서는, 그 분기회로(67)에 설치된 회로구성 부품에 대응하는 영역의 면적이, 그 분기회로(67)의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의 크기를 냉매의 단위유량당 값으로서 나타낸다. 또 이 T-s선도에서는 주회로(66)에 설치된 회로구성 부품에 대응하는 영역의 면적이, 주회로(66)의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에 대하여, 주회로(66)의 냉매유량 중 분기회로(67)로 유입하는 냉매유량에 상당하는 만큼의 크기를 냉매 단위유량당 값으로서 나타낸다.
그리고 이 제 6 발명에서는, 주회로(66)나 분기회로(67)의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이, 유량산출수단(56)이 산출하는 분기회로(67)의 냉매유량을 이용하여 산출된다. 예를 들어 분기회로(67)의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은, 그 분기회로(67)의 T-s선도에서 그 손실에 대응하는 영역의 면적에, 유량산출수단(56)이 산출하는 그 분기회로(67)의 냉매유량을 곱함으로써 산출된다. 또 주회로(66)의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은, 각 분기회로(67)의 T-s선도에서 그 손실에 대응하는 영역의 면적에, 유량산출수단(56)이 산출하는 그 분기회로(67)의 냉매유량을 곱한 것의 총합으로서 산출된다.
제 7 발명에서는, 주회로(66)로부터 분배된 냉매가 각 분기회로(67)의 열교환기(37a, 37b)로 유통한다. 그리고 각 분기회로(67)의 열교환기(37a, 37b)를 유통한 후 합류한 냉매가 주회로(66)로 돌아온다. 각 분기회로(67) 열교환기(37a, 37b)의 손실값은, 유량산출수단(56)이 산출하는 이 분기회로(67)의 냉매유량을 이용하여 산출된다.
제 8 발명에서는, 진단수단(54)이,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에 대한 정상운전상태의 손실값과 진단시의 손실값에 기초하여,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한다. 즉,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가 정상운전상태의 손실값을 기준으로 하여 진단된다.
제 9 발명에서는, 이 진단대상 부품 상태의 진단이,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별로 변화량 산출수단(52)이 산출하는 산출값과 손실기억수단(53)이 기억하는 손실기준값을 비교함으로써 실행된다. 따라서 정상운전상태와 진단시의 차이가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별로 명확하게 파악된다.
제 10 발명에서는, 진단대상 부품 상태의 진단에, 손실기억수단(53)이 기억하는 손실기준값 중 진단시 운전조건에 대응하는 운전조건의 손실기준값이 이용된다. 즉, 진단 시의 운전상태와 마찬가지 운전조건의 손실기준값, 혹은 같은 것이 없으면 진단 시에 가장 가까운 운전조건의 손실기준값이 복수 운전조건의 손실기준값 중에서 선택되어, 정상운전상태의 손실기준값으로서 진단대상 부품 상태의 진단에 이용된다.
제 11 발명에서는, 진단대상 부품 상태의 진단에, 변화량 산출수단(52)이 산출하는 산출값의 경시변화가 이용된다. 여기서, 기억시킨 정상운전상태의 손실값을 진단 시의 손실값과 비교하는 냉동장치(10)의 경우는, 정상운전상태의 손실값을 산출할 때 상정한 냉동장치(10)의 설치환경(예를 들어 온도조절하는 공간의 용적)과, 냉동장치(10)가 실제로 설치되는 설치환경이 같지 않을 경우가 있다. 그리고 설치환경이 같지 않을 경우, 정상운전상태와 진단 시의 손실값 차에 설치환경 차가 포함되어버린다. 이에 반해, 이 제 11 발명에서는 진단대상 부품 상태의 진단에 변화량 산출수단(52)에 의한 산출값의 경시변화를 이용하므로, 같은 설치환경의 손실값만이 진단대상 부품 상태의 진단에 이용된다.
제 12 발명에서는, 냉동장치(10)에 표시수단(55)이 설치된다. 표시수단(55)에는 진단수단(54)이 진단한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에 관한 진단결과가 표시된다. 냉동장치(10)의 사용자는, 표시수단(55)의 표시를 확인함으로써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파악하기가 가능하다.
제 13 발명에서는, 감압수단(36, 39) 입구에서의 냉매의 온도와 엔트로피가, 방열기가 되는 열교환기(34, 37) 출구에서의 값과 동일한 값으로 검출된다. 또 감압수단(36, 39) 출구에서의 냉매의 온도와 엔트로피가, 증발기가 되는 열교환기(34, 37) 입구에서의 값과 동일한 값으로 검출된다. 즉, 감압수단(36, 39)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온도센서와 압력센서를 1조씩 장착하지 않아도, 감압수단(36, 39) 출구와 입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가 검출된다.
제 14 발명에서는, 표시수단(55)이 상기 산출값에 기초하여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상태를 표시한다.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상태는 냉동장치(10)를 진단하기 위한 정보로서 표시된다.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상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로구성 부품 등의 상태에 대응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냉동장치(10)에 관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갖는 사람이, 표시수단(55)에 표시된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상태를 관찰함으로써, 회로구성 부품 등의 상태를 진단하기가 가능하다.
제 15 발명에서는, 냉동장치의 분석장치(60)가, 상기 제 1 발명과 마찬가지의 냉매상태 검출수단(51)과 변화량 산출수단(52)을 구비한다. 변화량 산출수단(52)이, 냉매상태 검출수단(51)이 검출하는 냉매온도 및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상기 주요 구성기기를 포함한 회로구성 부품 각각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를 개별로 산출한다. 그리고 변화량 산출수단(52)이 산출하는 산출값에 기초한 냉동장치(10) 상태의 분석결과가 표시수단(55)에 표시된다. 이 제 15 발명에서는 상기 제 11 발명과 마찬가지로, 이 T-s선도에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가 나타나는 것을 이용하여, 회로구성 부품 각각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를 개별로 산출한다.
제 16 발명에서는, 진단수단(54)이, 회로구성 부품 및 유체용 부품(12, 14, 28, 75, 76b)의 적어도 하나를 진단대상 부품으로서, 회로구성 부품 각각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에 기초하여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한다. 표시수단(55)은 냉동장치(10) 상태의 분석결과로서, 진단수단(54)에 의한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에 관한 진단결과를 표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는, 그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나 유체용 부품(12, 14, 28, 75, 76b) 상태에 대응한다. 따라서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에 기초하여,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나 유체용 부품(12, 14, 28, 75, 76b) 상태가 개별로 진단된다.
제 17 발명에서는, 표시수단(55)이, 변화량 산출수단(52)이 산출하는 산출값에 기초하여,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상태를 냉동장치(10) 상태의 분석결과로서 표시한다. 따라서 상기 제 14 발명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냉동장치(10)에 관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갖는 사람이, 표시수단(55)에 표시된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상태를 관찰함으로써, 회로구성 부품 등의 상태를 진단하기가 가능하다.
제 18 발명에서는, 냉동장치의 분석장치(60)가, 서로 통신회선(63)으로 접속된 제 1 구성부(47)와 제 2 구성부(48)로 구성된다. 제 2 구성부(48)에는, 변화량 산출수단(52)이 산출하는 산출값에 기초한 냉동장치(10) 상태의 분석결과를 표시하는 표시수단(55)이 설치된다. 따라서 냉동장치(10)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를 확인하기가 가능하다.
제 19 발명에서는,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를 분석할 때, 냉매상태 검출센서(65)가 냉매회로(20)에 장착된다. 그리고 그 냉매상태 검출센서(65)의 계측값을 이용하여, 냉매상태 검출수단(51)이 각 주요 구성기기의 출구와 입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검출하며, 변화량 산출수단(52)이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을 개별로 산출한다. 이 제 19 발명에서는 냉동장치(10)에 관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갖는 사람이, 예를 들어 이 냉동장치(10)의 분석장치를 들고 다님으로써, 냉동장치(10)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 그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를 분석하기가 가능하다.
제 20 발명에서는, 냉매상태 검출센서(65)가 복수의 온도센서(65)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냉동주기의 고압압력이, 방열기가 되는 열교환기(34, 37)에 장착된 온도센서(65)의 계측값에 기초하여 산출되며, 냉동주기의 저압압력이, 증발기가 되는 열교환기(34, 37)에 장착된 온도센서(65)의 계측값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여기서 각 주요 구성기기의 출구와 입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냉동주기의 고압압력 값과 저압압력 값이 필요하다. 이 제 20 발명에서는, 냉매상태 검출센서(65)가 압력센서를 구비하지 않아도, 각 주요 구성기기의 출구와 입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가 산출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서는, 각 주요 구성기기의 출구와 입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작성되는 T-s선도에,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가 나타나는 것을 이용하여, 회로구성 부품 각각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를 개별로 산출한다.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는, 예를 들어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의 크기를 나타내며,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에 대응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를 개별로 분석할 수 있다.
또 제 2, 제 16 각 발명에서는,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나 유체용 부품(12, 14, 28, 75, 76b) 상태에 대응하는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를 이용함으로써,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나 유체용 부품(12, 14, 28, 75, 76b) 상태가 개별로 진단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이한 단위의 물리량을 사용하지 않고 같은 단위로 진단하므로,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나 유체용 부품(12, 14, 28, 75, 76b) 상태가 각각 정량적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나 유체용 부품(12, 14, 28, 75, 76b) 상태의 진단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5 발명에서는, 진단수단(54)이, 열교환기(34, 37)에서 발생하는 손실에 대하여, 세분화된 복수 종류의 손실별 손실값을 이용하여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한다. 따라서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더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진단대상 부품 상태의 진단을 더욱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 제 8 발명에 의하면, 진단대상 부품 상태가 정상운전상태의 손실값을 기준으로 진단된다. 이로써, 진단 시의 진단대상 부품 상태를 정상운전상태와의 차이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진단대상 부품 상태의 진단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9 발명에서는,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별로 변화량 산출수단(52)이 산출하는 산출값과 손실기억수단(53)이 기억하는 손실기준값을 비교함으로써, 정상운전상태와 진단 시의 차이가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별로 명확하게 파악되도록 한다. 또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별로 비교하므로, 냉동장치(10) 전체로는 작은 손실에 대해서도 정상운전상태와 진단 시의 차이가 명확하게 파악된다. 따라서 진단대상 부품 상태의 진단을 더욱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 제 10 발명에서는, 진단대상 부품 상태의 진단에, 진단 시 운전상태와 동일한 운전조건의 손실기준값, 혹은 동일한 것이 없으면 진단 시에 가장 가까운 운전조건의 손실기준값이 이용된다. 따라서 정상운전상태와 진단 시의 손실값 차 중, 손실기준값의 운전조건과 진단 시 운전조건의 차에 의한 차분이 작아진다. 그리고 정상운전상태와 진단 시와의 손실값 차가, 정상운전상태와 진단시의 진단대상 부품 상태의 차를 보다 정확하게 나타내므로, 진단대상 부품 상태의 진단을 더욱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1 발명에 의하면, 진단대상 부품 상태의 진단에 변화량 산출수단(52)에 의한 산출값의 경시변화를 이용하므로, 같은 설치환경의 손실값만이 진단대상 부품 상태의 진단에 이용된다. 따라서 진단대상 부품 상태의 진단에 이용하는 손실값에 설치환경의 차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 정상운전상태의 손실값을 미리 냉동장치(10)에 기억시키지 않아도 진단대상 부품 상태의 진단이 가능하다. 따라서 정상운전상태의 손실값을 냉동장치(10)에 기억시키는 번거로움이 필요 없으므로, 냉동장치(10)의 제작을 용이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8 발명에 의하면, 표시수단(55)을 구비하여 냉동장치(10) 쪽 제 1 구성부(47)에 통신회선(63)을 개재하고 접속된 제 2 구성부(48)를 설치함으로써, 냉동장치(10)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를 확인하기가 가능하다. 따라서 냉동장치(10)에 관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갖는 사람이, 냉동장치(10)의 사용자 대신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를 감시하기가 가능해지므로, 예를 들어 회로구성 부품 등 상태의 진단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 제 19 발명에 의하면, 냉동장치(10)에 관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갖는 사람이 냉동장치(10)의 분석장치(60)를 들고 다님으로써, 냉동장치(10)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 그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를 분석하기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냉동장치(10)에 관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갖는 사람이, 냉동장치(10)의 사용자 대신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를 그 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냉동장치(10)의 분석장치(60)는 냉매상태 검출센서(65)를 구비하므로, 각 주요 구성기기의 출구와 입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지 않는 냉동장치(10)에 대해서도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를 분석하기가 가능하다.
또한 제 20 발명에서는, 냉매상태 검출센서(65)가 압력센서를 구비하지 않아도, 각 주요 구성기기의 출구와 입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가 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장착이 용이한 온도센서(65)에 의해,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를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냉동장치의 개략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손실값을 산출하는 회로구성 부품에 대응하도록 각 영역으로 구획된 T-s선도이다.
도 3은, 증발기의 입구부터 출구까지의 냉매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4(A)는, 정상운전상태의 T-s선도이며, 도 4(B)는 진단 시 T-s선도의 일례이다.
도 5는,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손실과 압축기 능력 저하정도의 상관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6(A)는, 정상운전상태의 T-s선도이며, 도 4(B)는 진단 시 T-s선도의 일례이다.
도 7은, 증발기의 손실과 팬 풍량 저하정도의 상관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8(A)는, 정상운전상태의 T-s선도이며, 도 8(B)는 진단 시의 T-s선도 일례이다.
도 9는, 증발기의 손실과 증발기의 냉매 압력손실 증가정도의 상관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0은, 응축기의 손실과 팬 풍량 저하정도의 상관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1은,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의 분포상황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2는, T-s선도의 영역구획 일례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3은, 본 발명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 손실값을 산출하는 회로구성 부품에 대응하도록 각 영역으로 구획된 T-s선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냉동장치의 개략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 식(6)에서 식(9)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 손실값을 산출하는 회로구성 부품에 대응하도록 각 영역으로 구획된 T-s선도이며, (A)는 실내회로에 대응하는 T-s선도이고, (B)는 바이패스관에 대응하는 T-s선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냉동장치의 개략구성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냉동장치의 실외유닛 개략구성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냉동장치의 개략구성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서 손실값을 산출하는 회로구성 부품에 대응하도록 각 영역으로 구획된 T-s선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냉동장치 진단장치의 개략구성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냉동장치 진단장치의 개략구성도이다.
도 23은, 그 밖의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관한 냉동장치에서 회로구성 부 품 손실의 경시변화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24는, 그 밖의 실시형태의 제 6 변형예에 관한 표시부에서의 회로구성 부품 손실 표시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5는, 그 밖의 실시형태의 제 6 변형예에 관한 표시부에서의 회로구성 부품 손실 표시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6은, 그 밖의 실시형태의 제 6 변형예에 관한 표시부에서의 회로구성 부품 손실 표시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7은, 그 밖의 실시형태의 제 6 변형예에 관한 표시부에서의 회로구성 부품 손실 표시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8은, 그 밖의 실시형태의 제 6 변형예에 관한 표시부에서의 회로구성 부품 손실 표시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9는, 그 밖의 실시형태의 제 6 변형예에 관한 표시부에서의 회로구성 부품 손실 표시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 공기조화장치(냉동장치) 20 : 냉매회로
30: 압축기(회로구성 부품)
34 : 실외열교환기(열교환기, 회로구성 부품)
36 : 팽창밸브, 실외팽창밸브(감압수단, 회로구성 부품)
37 : 실내열교환기(열교환기, 회로구성 부품)
39 : 실내팽창밸브(감압수단, 회로구성 부품)
45 : 온도센서 46 : 압력센서
51 : 냉매상태 검출부(냉매상태 검출수단)
52 : 손실산출부(변화량 산출수단)
53 : 손실기억부(손실기억수단) 54 : 진단부(진단수단)
55 : 표시부(표시수단)
56 : 유량산출부(유량산출수단)
60 : 분석장치 65 : 냉매상태 검출센서
66 : 주회로 67 : 분기회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관한 냉동장치(10)이다. 이 냉동장치(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외유닛(11)과 실내유닛(13)을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로서, 냉방운전(냉각운전)과 난방운전(가열운전)을 전환하여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또, 본 발명은 냉동주기를 행하는 냉매회로(20)를 구비하는 냉동장치(10)에 대하여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 이외의 냉동장치에도, 식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동장치(냉장고나 냉동고), 공조기와 냉장고나 냉동고가 조합된 냉동장치, 열교환기를 유통하는 냉매의 열을 흡착제의 가열 또는 냉각에 이용하는 조습기능 부착 냉동장치, 이른바 에코큐토(등록상표)와 같은 급탕(給湯)기능을 갖는 냉동장치 등에 적용하기가 가능하다.
-냉동장치의 구성-
실외유닛(11) 내에는 실외회로(21)가 형성된다. 실내유닛(13) 내에는 실내회로(22)가 형성된다. 이 냉동장치(10)에서는 실외회로(21)와 실내회로(22)를 액측 연결배관(23) 및 가스측 연결배관(24)으로 접속함으로써 증기압축 냉동주기를 행하는 냉매회로(20)가 구성된다. 냉매회로(20)에는 냉매로서 예를 들어 프레온계 냉매가 충전된다.
<<실외유닛>>
실외유닛(11)의 실외회로(21)에는 압축기(30), 열원측 열교환기인 실외열교환기(34), 및 감압수단인 팽창밸브(36)가 주요구성기기로서 설치되며, 또 사방밸브(33)가 배치된다. 이들 주요구성기기 및 사방밸브(33)는 회로구성 부품을 구성하며, 마찬가지로 회로구성 부품을 구성하는 냉매배관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회로구성 부품은 냉매회로(20)를 구성하며 냉매를 유통시키는 부품이다. 실외회로(21) 일단에는, 액측 연결배관(23)이 접속되는 액측 폐쇄밸브(25)가 설치된다. 실외회로(21) 타단에는, 가스측 연결배관(24)이 접속되는 가스측 폐쇄밸브(26)가 설치된다.
압축기(30)는 밀폐형이며 고압 돔형의 압축기로 구성된다. 압축기(30)의 토출측은, 토출관(40)을 개재하고 사방밸브(33)의 제 1 포트(P1)에 접속된다. 압축기(30)의 흡입측은, 흡입관(41)을 개재하고 사방밸브(33)의 제 3 포트(P3)에 접속된다.
실외열교환기(34)는 크로스핀식의 핀튜브형 열교환기로 구성된다. 이 실외열교환기(34) 근방에는, 내부를 유통하는 실외공기를 실외열교환기(34)로 보내는 실외 팬(12)이 설치된다. 이 실외열교환기(34)에서는, 실외 팬(12)에 의해 보내지는 실외공기와 유통하는 냉매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실외 팬(12)은 실외열교환기(34)에서 냉매와 열교환 하는 공기가 유통하는 유체용 부품을 구성한다. 실외열교환기(34) 일단은 사방밸브(33)의 제 4 포트(P4)에 접속된다. 실외열교환기(34) 타단은 액배관(42)을 개재하고 액측 폐쇄밸브(25)에 접속된다. 이 액배관(42)에는 개방도 가변의 팽창밸브(36)가 설치된다. 또 사방밸브(33)의 제 2 포트(P2)에는 가스측 폐쇄밸브(26)가 접속된다.
사방밸브(33)는, 제 1 포트(P1)와 제 2 포트(P2)가 서로 연통하며 제 3 포트(P3)와 제 4 포트(P4)가 서로 연통하는 제 1 상태(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와, 제 1 포트(P1)와 제 4 포트(P4)가 서로 연통하며 제 2 포트(P2)와 제 3 포트(P3)가 서로 연통하는 제 2 상태(도 1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상태)가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실외회로(21)에는 압축기(30)의 일단측, 압축기(30)의 타단측, 실외열교환기(34)의 일단측, 및 실외열교환기(34)의 타단측에 온도센서(45) 및 압력센서(46)가 1조씩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흡입관(41)에는 한 쌍의 흡입온도센서(45a) 및 흡입압력센서(46a)가 장착된다. 토출관(40)에는, 한 쌍의 토출온도센서(45b) 및 토출압력센서(46b)가 장착된다. 실외열교환기(34)와 사방밸브(33) 사이에는 한 쌍의 실외 가스온도센서(45c) 및 실외 가스압력센서(46c)가 장착된다. 실외열교환 기(34)와 팽창밸브(36) 사이에는 한 쌍의 실외 액온도센서(45d) 및 실외 액압력센서(46d)가 장착된다. 실외 팬(12) 근방에는 실외공기 온도센서(18)가 장착된다.
<<실내유닛>>
실내유닛(13)의 실내회로(22)에는 이용측 열교환기인 실내열교환기(37)가 주요구성기기로서 설치된다. 실내열교환기(37)는 회로구성 부품을 구성하며, 마찬가지로 회로구성 부품을 구성하는 냉매배관을 개재하고 실외회로(21)에 접속된다.
실내열교환기(37)는 크로스핀식 핀튜브형 열교환기로서 구성된다. 이 실내열교환기(37) 근방에는, 내부를 유통하는 실내공기를 실내열교환기(37)로 보내는 실내 팬(14)이 설치된다. 또 실내 팬(14)과 실내열교환기(37) 사이에는 필터(28)가 설치된다. 이 실내열교환기(37)에서는 실내 팬(14)에 의해 보내지는 실내공기와 유통하는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실내 팬(14) 및 필터(28)는, 실내열교환기(37)에서 냉매와 열교환하는 공기가 유통하는 유체용 부품을 구성한다.
실내회로(22)에는, 실내열교환기(37)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온도센서(45) 및 압력센서(46)가 1조씩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실내회로(22)의 액측단과 실내열교환기(37) 사이에는, 한 쌍의 실내 액온도센서(45e) 및 실내 액압력센서(46e)가 장착된다. 실내열교환기(37)와 실내회로(22) 가스측단 사이에는 한 쌍의 실내 가스온도센서(45f) 및 실내 액압력센서(46f)가 장착된다. 실내 팬(14) 근방에는 실내온도센서(19)가 장착된다.
<<제어기>>
이 냉동장치(10)는 공조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압축기(30)의 운전용량이나 팽창밸브(36)의 개방도를 제어함과 더불어, 당해 냉동장치(10)의 구성부품을 진단하는 제어기(50)를 구비한다. 제어기(50)가 진단하는 진단대상 부품은 주요구성기기를 포함한 회로구성 부품이나 상기 유체용 부품(12, 14, 28)이다. 이 제어기(50)는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분석하는 열역학적분석(엑서지(Exergy) 분석)에 기초하여 진당대상부품의 상태를 진단하는 것이다. 제어기(50)는 냉매상태 검출수단인 냉매상태 검출부(51)와, 변화량 산출수단인 손실산출부(52)와, 손실 기억수단인 손실기억부(53)와, 진단수단인 진단부(54)와, 표시수단인 표시부(55)를 구비한다.
여기서, 열역학적분석을 이용함으로써 제어기(50)가 진단 가능한 부품은, 냉매의 에너지변화가 발생하는 회로구성 부품이나, 유체용 부품(12, 14, 28)과 같이 냉매회로(20)의 바깥쪽으로부터 간접적으로 냉매의 에너지변화에 영향을 주는 부품이다. 예를 들어, 실외 팬(12)이나 실내 팬(14)은 열교환기(34, 37)로 공기를 보냄으로써 냉매의 에너지변화를 발생시킨다. 또 필터(28)는, 필터 자체가 막히면, 열교환기(34, 37)로 보내지는 공기의 풍량이 변화하여 냉매의 에너지변화에 영향을 준다.
냉매상태 검출부(51)는 각 온도센서(45)에서 얻어진 측정값으로부터, 압축기(30) 입구와, 압축기(30) 출구, 실외열교환기(34) 입구, 실외열교환기(34) 출구, 팽창밸브(36) 입구, 팽창밸브(36) 출구, 실내열교환기(37) 입구, 및 실내열교환기(37) 출구의 8개 위치의 냉매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또 냉매상태 검출부(51)는, 한 쌍으로 된 온도센서(45) 및 압력센서(46)에서 얻어진 측정값으로부 터, 압축기(30) 입구와, 압축기(30) 출구, 실외열교환기(34) 입구, 실외열교환기(34) 출구, 팽창밸브(36) 입구, 팽창밸브(36) 출구, 실내열교환기(37) 입구, 및 실내열교환기(37) 출구의 8개 위치의 냉매 엔트로피를 각각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냉방운전 시에, 팽창밸브(36) 입구에서의 냉매온도와 엔트로피가 실외열교환기(34) 출구에서의 값과 같은 값으로 검출되며, 팽창밸브(36) 출구에서의 냉매의 온도와 엔트로피가 실내열교환기(37) 입구에서의 값과 같은 값으로 검출된다. 또 난방운전 시에는, 팽창밸브(36) 입구에서의 냉매온도와 엔트로피가 실내열교환기(37) 출구에서의 값과 같은 값으로 검출되며, 팽창밸브(36) 출구에서의 냉매의 온도와 엔트로피가 실외열교환기(34) 입구에서의 값과 같은 값으로 검출된다.
손실산출부(52)는 회로구성 부품(압축기(30), 팽창밸브(36), 실외열교환기(34), 실내열교환기(37), 실내열교환기(37)와 압축기(30) 사이 배관, 및 실외열교환기(34)와 압축기(30) 사이 배관)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을 개별로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손실값은, 냉매상태 검출부(51)가 검출하는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산출된다.
손실기억부(53)는, 정상운전상태에서 각 회로구성 부품(손실산출 대상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을,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별로 손실 기준값으로 기억한다. 각 회로구성 부품의 손실별 손실기준값으로는, 모의실험 계산에 의해 산출된 것이 기억된다. 손실기억부(53)에는, 실내온도 및 실외온도를 조합한 운전조건이 다른 복수의 운전조건에 대한 손실기준값이 기억된다. 또 운전조건 조 합으로서 냉매의 순환량을 적용해도 된다.
진단부(54)는 상기 회로구성 부품과 실외 팬(12)이나 실내 팬(14)을 진단대상 부품으로서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한다. 진단대상 부품 상태의 진단은,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별로 손실산출부(52)가 산출하는 산출값을, 손실기억부(53)가 기억하는 손실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행한다. 표시부(55)는 진단부(54)의 진단결과가 표시 가능하게 구성된다.
-냉동장치의 운전동작-
다음으로, 냉동장치(10)의 운전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냉동장치(10)는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이 실행 가능하며, 사방밸브(33)에 의해 운전 전환이 행해진다.
<냉방운전>
냉방운전에서는 사방밸브(33)가 제 2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압축기(30)를 운전시키면, 냉매회로(20)에서는 실외열교환기(34)가 응축기(방열기)가 되며 실내열교환기(37)가 증발기가 되는 증기압축 냉동주기가 실행된다. 또 냉방운전에서는 팽창밸브(36)의 개방도가 적절하게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압축기(3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34)에서 실외공기와 열교환하여 응축한다. 실외열교환기(34)에서 응축한 냉매는 팽창밸브(36)를 통과할 때 감압되고, 그 후 실내열교환기(37)에서 실내공기와 열 교환하여 증발한다. 실내열교환기(37)에서 증발한 냉매는 압축기(3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난방운전>
난방운전에서는 사방밸브(33)가 제 1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압축기(30)를 운전시키면, 냉매회로(20)에서는 실외열교환기(34)가 증발기가 되며 실내열교환기(37)가 응축기(방열기)가 되는 증기압축 냉동주기가 실행된다. 또 난방운전에서도 팽창밸브(36)의 개방도가 적절하게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압축기(3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37)에서 실외공기와 열교환하여 응축한다. 실내열교환기(37)에서 응축한 냉매는 팽창밸브(36)를 통과할 때 감압되고, 그 후 실외열교환기(34)에서 실외공기와 열 교환하여 증발한다. 실외열교환기(34)에서 증발한 냉매는 압축기(3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제어기의 동작-
제어기(50)가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할 때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진단대상 부품 상태의 진단은 냉방운전 중이나 난방운전 중에 실행된다. 이하에서는 냉방운전 중에 진단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진단대상 부품 상태의 진단에서는, 우선 냉매상태 검출부(51)가, 한 쌍이 된 온도센서(45) 및 압력센서(46)에서 얻어진 측정값으로부터 압축기(30) 입구, 압축기(30) 출구, 실외열교환기(34) 입구, 실외열교환기(34) 출구, 팽창밸브(36) 입구, 팽창밸브(36) 출구, 실내열교환기(37) 입구, 및 실내열교환기(37) 출구의 8개 위치의 냉매의 온도와 엔트로피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압축기(30) 입구에서의 냉매의 온도와 엔트로피는 흡입온도센서(45a) 및 흡입압력센서(46a)에서 얻어진 측정값으로부터 검출된다. 압축기(30) 출구에서의 냉매의 온도와 엔트로피는 토출온도센서(45b) 및 토출압력센서(46b)에 서 얻어진 측정값으로부터 검출된다. 실외열교환기(34) 입구의 냉매의 온도와 엔트로피는, 실외 가스온도센서(45c) 및 실외 가스압력센서(46c)에서 얻어진 측정값으로부터 검출된다. 실외열교환기(34) 출구 및 팽창밸브(36) 입구에서의 냉매의 온도와 엔트로피는 실외 액온도센서(45d) 및 실외 액압력센서(46d)에서 얻어진 측정값으로부터 검출된다. 실내열교환기(37) 출구의 냉매의 온도와 엔트로피는 실내 가스온도센서(45f) 및 실내 액압력센서(46f)에서 얻어진 측정값으로부터 검출된다.
여기서, 팽창밸브(36) 출구 및 실내열교환기(37) 입구의 냉매는 기액 2상상태이므로, 그 냉매온도는 실내 액온도센서(45e)의 측정값으로부터 검출되는데, 그 냉매의 엔트로피는 실내 액온도센서(45e) 및 실내 액압력센서(46e)의 측정값만으로는 검출할 수가 없다. 따라서 팽창밸브(36) 출구 및 실내열교환기(37) 입구에서의 냉매의 엔트로피는, 그 냉매의 엔타르피가 실외열교환기(34)의 출구에 동등한 것으로서 검출한다.
다음으로, 손실산출부(52)는 냉매상태 검출부(51)가 검출하는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압축기(30), 팽창밸브(36), 실외열교환기(34), 및 실내열교환기(37) 등의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을 개별로 산출한다.
여기서 각 주요구성기기의 출구와 입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작성된 T-s선도를 도 2에 나타낸다.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이들 손실값은, 이 T-s선도에 기초하여 구획된 각 영역(c, d, e, f, g1, g2, h1, h2, i, j, k)의 면적에 대응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점(A(1))은, 압축기(30) 입구의 냉매의 온도와 엔트로피로 정해지는 점이다. 점(B(1))은, 압축기(30) 출구의 냉매의 온도와 엔트로피로 정해지는 점이다. 점(C(1))은, 실외열교환기(34) 입구의 냉매의 온도와 엔트로피로 정해지는 점이다. 점(D(1))은, 실외열교환기(34) 출구(팽창밸브(36) 입구)의 냉매의 온도와 엔트로피로 정해지는 점이다. 점(E(1))은, 실내열교환기(37) 입구(팽창밸브(36) 출구)의 냉매의 온도와 엔트로피로 정해지는 점이다. 점(F(1))은, 실내열교환기(37) 출구의 냉매의 온도와 엔트로피로 정해지는 점이다.
또, 점(C(2))은, 점(C(1))과 엔트로피가 동등하며 점(D(1))을 지나는 등압선 상에 위치하는 점이다. 점(D(2))은, 점(D(1))을 지나는 등엔탈피선과 점(C(1))을 지나는 등압선이 교차하는 점이다. 점(D(3))은, 점(D(1))을 지나는 등엔탈피선과 점(B(1))을 지나는 등압선이 교차하는 점이다. 점(E(2))은, 점(E(1))을 지나는 등엔탈피선과 점(F(1))을 지나는 등압선이 교차하는 점이다. 점(F(2))은, 점(F(1))과 엔트로피가 동등하며 점(E(1))을 지나는 등압선 상에 위치하는 점이다.
또 점(G(1))은, 점(C(1))을 지나는 등압선과 포화증기선이 교차하는 점이다. 점(G(2))은, 점(C(2))을 지나는 등압선과 포화증기선이 교차하는 점이다. 점(G(3))은, 점(B(1))을 지나는 등압선과 포화증기선이 교차하는 점이다. 점(H(1))은, 점(D(1))을 지나는 등압선과 포화액선이 교차하는 점이다. 점(H(2))은, 점(D(2))을 지나는 등압선과 포화액선이 교차하는 점이다. 점(H(3))은, 점(D(3))을 지나는 등압선과 포화액선이 교차하는 점이다. 점(I(1))은, 점(D(1))을 지나는 등엔탈피선과 포화액선이 교차하는 점이다. 점(J(1))은, 점(F(1))을 지나는 등압선과 포화증기선이 교차하는 점이다. 점(J(2))은, 점(F(2))을 지나는 등 압선과 포화증기선이 교차하는 점이다.
또한 Th는 실외열교환기(34)로 보내지는 공기의 온도(실외온도센서(18)의 계측값), Tc는 실내열교환기(37)로 보내지는 공기의 온도(실내온도센서(19)의 계측값)를 각각 나타낸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a)영역은 역 카르노사이클의 일(Work) 양을 나타낸다. (b)영역은 실내열교환기(37)의 흡열량을 나타낸다. (c)영역은 실내열교환기(37)에서의 열교환에 따른 손실을 나타낸다. (d)영역은 실외열교환기(34)에서의 열교환에 따른 손실을 나타낸다. (e)영역은 냉매가 팽창밸브(36)를 통과할 때의 마찬손실을 나타낸다. (f)영역은 압축기(30)에서의 기계마찰에 의한 손실을 나타낸다. (g1)영역은 실내열교환기(37)에서의 마찰발열에 의한 손실을 나타낸다. (g2)영역은 실내열교환기(37)에서의 압력손실을 나타낸다. (h1)영역은 실외열교환기(34)의 마찰발열에 의한 손실을 나타낸다. (h2)영역은 실외열교환기(34)에서의 압력손실을 나타낸다. (i)영역은 실내열교환기(37)에서 압축기(30)에 이르기까지의 열침입에 의한 손실이나 압력손실을 나타낸다. (j)영역은 압축기(30)에서 실외열교환기(34)에 이르기까지의 방열에 의한 손실을 나타낸다. (k)영역은 압축기(30)에서 실외열교환기(34)에 이르기까지의 압력손실을 나타낸다.
실외열교환기(34)나 실내열교환기(37)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으로는, 열교환에 따른 손실, 마찰발열에 의한 손실, 및 압력손실의 3종류 손실값이 각각 산출된다. 여기서 각 주요구성기기의 출구와 입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이용하면, 증발기가 되는 열교환기(34, 37)나, 응축기가 되는 열교환기(34, 37)에 대해서 는 복수 종류의 손실값을 산출할 수 있음을 본원 발명자는 찾아내었다. 이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증발기가 되는 열교환기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증발기의 입구에서 출구에 이르기까지의 냉매 상태를 T-s선도로 나타내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이 도 3에서, 점(E(1))은 증발기 입구의 냉매의 온도(T1)와 엔트로피(s1)로 정해지는 점이며, 점(F(1))은 증발기 출구의 냉매의 온도(T2)와 엔트로피(s2)로 정해지는 점이고, 점(E(2))은 점(E(1))을 지나는 등엘탈피선과 점(F(1))을 지나는 등압선이 교차하는 점이다.
여기서, 냉동주기에 있어서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이상(理想)상태에서는 냉매가 외부로부터 흡열할 때 압력이 변화하지 않는다. 때문에 등압선 상에 위치하는 점(E(2))과 점(F(1))을 잇는 선이, 이상상태에서의 증발기 입구에서 출구에 이르기까지의 냉매상태 변화, 즉 흡열만에 의한 냉매상태의 변화를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에서의 흡열량은, 점(E(2))과 점(F(1))을 잇는 선보다 아래 영역인 (b)영역으로 나타난다.
또 증발기의 입구에서 출구에 이르기까지의 냉매상태 변화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이하에 나타내는 식(1)이 된다.
식(1):ds=(dq+dq(fr))÷T
상기 식(1)에서 ds는 비엔트로피의 증가량, dq는 냉매가 외부로부터 흡열하는 열량, dq(fr)는 압력손실에 의한 마찰발열량, T는 증발온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식(1)을 구간(s1, s2)에 대하여 적분하면, 이하에 나타내는 식(2)이 된다.
식(2):∫Tds=∫dq+∫dq(fr)=Q+Q(fr)
상기 식(2)에서 Q는 증발기의 냉매 흡열량, Q(fr)는 증발기의 압력손실에 의한 마찰발열량을 나타낸다.
그리고 식(2)의 ∫Tds 값은, 도 3의 점(E(1))과 점(F(1))을 잇는 곡선의 아래 영역 면적에 대응한다. 따라서 이 영역으로부터, 증발기의 냉매 흡열량(Q)에 대응하는 (b)영역의 제외한 (g1)영역이, 증발기의 마찰발열량(Q(fr))에 대응하는 영역이 된다. 그리고 (g1)영역의 면적을 산출함으로써, 증발기의 하나의 손실로서 증발기의 마찰발열 값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증발기의 마찰발열량(Q(fr))은, 압력손실에 의한 마찰발열에 의해 증발기의 흡열량이 감소한 만큼에 상당한다.
또, 마찬가지 방식으로, 도 2의 (g2)영역이 증발기의 압력손실에 대응하는 것을 이끌어낼 수 있다. 그리고 (g2)영역의 면적을 산출함으로써, 증발기의 하나의 손실로서 증발기의 압력손실값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손실산출부(52)는, 영역(c)으로부터 영역(k)에 대응하는 손실값을, 각 영역(c, d, e, f, g1, g2, h1, h2, I, j, k)의 면적을 산출함으로써 산출한다. 여기서 손실값은, 각 영역(c, d, e, f, g1, g2, h1, h2, I, j, k)의 면적이 나타내는 엔탈피로서 산출해도 되며, 엔탈피에 냉매순환량을 곱한 에너지(일)로서 산출해도 된다. 모든 회로구성 부품의 냉매유량이 같으므로, 손실값을 엔탈피로서 나타내는 경우라도,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나타내기가 가능하다.
진단부(54)는 손실기억부(53)가 기억하는 복수 운전조건의 손실기준값 중, 진단 시의 운전조건에 대응하는 운전조건의 손실기준값을 선택한다. 대응하는 운전조건으로는, 실내온도 및 실외온도가 진단시와 동일한 것, 혹은 동일한 것이 없으면 진단 시에 가장 가까운 것이 선택된다. 그리고 진단부(54)는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별로, 손실산출부(52)가 산출하는 산출값을, 선택한 운전조건의 손실기억부(53) 손실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한다.
예를 들어, 진단 시 압축기(30)에서의 기계마찰에 의한 손실값((f) 영역에 대응하는 값)이 정상운전상태에 비해 커졌을 경우(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태)는, 압축기(30)에서의 기계적인 손실(마찰발열)이나 모터의 줄 발열이 증가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진단부(54)가, 압축기(30)의 냉동기유 열화나 베어링 등 습동부재의 열화가 진행하고 있는 상태, 또는 전기장치부품의 회로저항이 증대하고 있는 상태로 진단한다. 그리고 진단부(54)는, 정상운전상태에 비해 진단 시의 손실값이 예를 들어 10% 이상 커지면, 압축기(30)가 고장상태인 것으로 판정한다.
여기서 본원 발명자는, 압축기(30)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의 크기가 압축기(30) 상태를 반영함을 모의실험 계산에 의해 확인하였다. 그 모의실험계산의 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5에는, 압축기(30) 능력의 저하정도를 소정값을 기준으로 변화시킨 3 가지 경우(2% 저하, 4% 저하, 6% 저하)의 모의실험계산 결과를 나타낸다. 이 도 5에서는 압축기(30) 능력의 저하정도가 클수록 압축기(30)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이 커진다. 그리고 압축기(30)의 손상이나 결함이 진행할수록 압축기(30) 능력의 저하정도는 커지므로, 압축기(30)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이 클수록 압축기(30)의 손상이나 결함이 진행함이 도 5로부터 확인된다.
또, 진단 시 실내열교환기(37)의 열교환에 따른 손실값((c)영역에 대응하는 값)이 정상운전상태에 비해 커졌을 경우(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태), 실내열교환기(37)의 냉매증발온도가 정상운전상태에 비해 저하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진단부(54)는 실내열교환기(37)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량이 저하된 것으로 진단한다. 그리고 진단부(54)는 실내열교환기(37)를 통과하는 공기 풍량의 저하원인으로서, 실내 팬(14)이 노후화된 상태, 실내 팬(14)의 필터(28)가 막힌 상태, 실내열교환기(37)의 핀이 더러워진 상태, 또는 실내열교환기(37)의 핀이 망가진 상태인 것으로 진단한다.
여기서, 본원 발명자는, 증발기의 손실값 크기가, 증발기로 공기를 보내는 팬의 상태를 반영함을 모의실험계산에 의해 확인하였다. 그 모의실험계산의 결과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에는, 팬 풍량의 저하정도를 소정값을 기준으로 변화시킨 3 가지 경우(10% 저하, 20% 저하, 30% 저하)의 모의실험계산 결과를 나타낸다. 이 도 7에서는 팬 풍량의 저하정도가 클수록 증발기의 손실값이 커진다. 그리고 팬의 손상이나 결함이 진행할수록 팬의 풍량은 저하되므로, 증발기에서의 손실값이 클수록 팬의 손상이나 결함이 진행함이 도 7로부터 확인된다.
또한, 진단 시 실내열교환기(37)에서의 압력손실값((g2)영역에 대응하는 값)이 정상운전상태에 비해 커졌을 경우(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태), 실내열교환기(37)에서의 압력강하가 커져 마찰발열에 의한 손실이 증대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진단부(54)는 실내열교환기(37) 내부가 더러워진 상태, 실내열교환기(37) 배관이 망가진 상태, 또는 실내열교환기(37) 내부의 이물질이 많아진 상태로 진단 한다. 진단부(54)는, 실내열교환기(37)의 마찰발열 값((g1)영역에 대응하는 값)이 정상운전상태에 비해 커졌을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진단을 한다.
여기서, 본원 발명자는, 증발기의 손실값 크기가 증발기에서의 냉매의 압력손실 정도를 반영함을 모의실험계산에 의해 확인하였다. 그 모의실험계산의 결과를 도 9에 나타낸다. 도 9에는, 증발기에서의 냉매압력 저하정도를 소정값을 기준으로 변화시킨 3 가지 경우(0.01㎫ 저하, 0.02㎫ 저하, 0.03㎫ 저하)의 모의실험계산 결과를 나타낸다. 이 도 9에서는 증발기의에서 냉매압력 강하정도가 클수록 증발기에서의 손실값이 커진다. 그리고 증발기의에서 냉매압력 강하는 증발기에서의 냉매압력 손실 증가를 나타내므로, 증발기에서의 손실이 클수록 증발기에서의 냉매압력 손실이 커짐이 도 9로부터 확인된다.
또, 진단 시 실외열교환기(34)에서의 열교환에 따른 손실값((d)영역에 대응하는 값)이 정상운전상태에 비해 커졌을 경우는, 실외열교환기(34)에서의 냉매응축온도가 정상운전상태에 비해 상승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진단부(54)는 실외열교환기(34)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량이 저하된 것으로 진단한다. 그리고 진단부(54)는 실외열교환기(34)를 통과하는 공기 풍량의 저하 원인으로서, 실외 팬(12)이 노후화된 상태, 실외열교환기(34)의 핀이 더러워진 상태, 또는 실외열교환기(34)의 핀이 녹 등 때문에 막힌 상태인 것으로 진단한다.
여기서, 본원 발명자는, 응축기의 손실값 크기가, 응축기로 공기를 보내는 팬의 상태를 반영함을, 모의실험계산에 의해 확인하였다. 그 모의실험계산의 결과를 도 10에 나타낸다. 도 10에는, 팬 풍량의 저하정도를 소정값을 기준으로 변화 시킨 3 가지 경우(10% 저하, 20% 저하, 30% 저하)의 모의실험계산 결과를 나타낸다. 이 도 10에서는 팬 풍량의 저하정도가 클수록 응축기에서의 손실값이 커진다. 그리고 팬의 손상이나 결함이 진행할수록 팬의 풍량은 저하되므로, 응축기의 손실값이 클수록 팬의 손상이나 결함이 진행함이 도 10으로부터 확인된다.
또한, 진단 시의 실내열교환기(37)에서 압축기(30)에 이르기까지의 손실값((i)영역에 대응하는 값)이 정상운전상태에 비해 커졌을 경우, 실내열교환기(37)와 압축기(30) 사이 배관에서의 열 침입량이 커졌거나 또는 그 배관에서의 냉매압력 손실이 커졌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진단부(54)는 그 배관의 단열재가 열화된 상태, 그 배관이 결로된 상태, 그 배관이 망가진 상태, 또는 그 배관 내부에 부착하는 이물질이 많아진 상태로 진단한다.
또, 진단 시의 압축기(30)에서 실외열교환기(34)에 이르기까지의 방열에 의한 손실값((j)영역에 대응하는 값)이 정상운전상태에 비해 커졌을 경우, 압축기(30)와 실외열교환기(34) 사이 배관에서의 방열량이 커졌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진단부(54)는 그 배관의 단열재가 열화된 상태로 진단한다.
또한, 진단 시의 압축기(30)에서 실외열교환기(34)에 이르기까지의 압력손실값((k)영역에 대응하는 값)이 정상운전상태에 비해 커졌을 경우, 압축기(30)와 실외열교환기(34) 사이 배관에서의 냉매의 압력손실이 커졌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진단부(54)는 그 배관의 망가진 상태, 또는 그 배관 내부에 부착하는 이물질이 많아진 상태로 진단한다.
그리고 여기서 나타내는 진단결과 내용은 진단부(54)에서 진단 가능한 내용 의 일부이다.
표시부(55)는 진단부(54)가 진단하는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표시한다. 또, 표시부(55)가,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을 함께 표시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55)는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의 분포상황을 표시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각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를 추측할 수 있으므로, 부품의 열화나 경시 열화를 조기에 발견하기가 가능해진다.
여기서 도 2에 나타낸 T-s선도의 영역구분은 단순한 일례이다. 예를 들어,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역을 구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A)에서 (a)영역은 역 카르노사이클의 일량을 나타낸다. (b)영역은 실내열교환기(37)에서의 흡열량을 나타낸다. (c)영역은 실내열교환기(37)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나타낸다. (d)영역은 실외열교환기(34)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나타낸다. (e)영역은 냉매가 팽창밸브(36)를 통과할 때의 마찰손실을 나타낸다. (f)영역은 압축기(30)에서의 기계마찰에 의한 손실을 나타낸다. 이 경우는, 4개 위치의 냉매온도 및 엔트로피로부터 T-s선도가 작성되므로, 실외 가스온도센서(45c) 및 실외 가스압력센서(46c)와, 실내 가스온도센서(45f) 및 실내 액압력센서(46f)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 냉방운전에서, 실내열교환기(37)로 보내지는 공기의 온도(Tc)가, 실외열교환기(34)로 보내지는 공기의 온도(Th)보다 높아질 경우, T-s선도가 도 12(B)와 같이 나타난다. 이 경우, (a)영역으로 나타나는 역 카르노사이클의 일량이 음의 값이 되며, (c)영역과 (d)영역이 중복된다. 손실산출부(52)는, (c)영역의 면적으로부터 실내열교환기(37)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을 산출하며, (d)영역의 면적으로부터 실외열교환기(34)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을 산출한다. 또 난방운전에서 실내온도(Tc)가 실외온도(Th)보다 낮아질 경우도 마찬가지로, 역 카르노사이클의 일량을 음의 값으로 취급하여, 실외열교환기(34)나 실내열교환기(37)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을 산출한다.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본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주요구성기기의 출구와 입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작성되는 T-s선도에,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가 나타나는 것을 이용하여, 회로구성 부품 각각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를 개별로 산출한다.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는, 예를 들어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의 크기를 나타내며,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에 대응한다. 즉, 본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를 개별로 분석할 수 있다.
또 본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나 유체용 부품(12, 14, 28)의 상태에 대응하는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를 이용함으로써,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나 유체용 부품(12, 14, 28) 상태가 개별로 진단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이한 단위의 물리량을 사용하지 않고 같은 단위로 진단하므로,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나 유체용 부품(12, 14, 28) 상태가 각각 정량적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나 유체용 부품(12, 14, 28) 상태의 진단 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제 1 실시형태에서는, T-s선도로 나타나는 모든 영역에 대응하는 회로구성 부품의 손실값을 표시함으로써, 냉동주기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손실 종류별로 세분화한 모든 손실에 대하여, 그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이로써, 정확한 손실분석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냉동장치(10)의 성능을 보다 확실하게 보증할 수 있으므로, ESCO(Energy service company)비즈니스로서 전개하는데 있어서 유리하다. 또 정확한 손실분석을 함으로써, 냉동장치(10)의 이상(異常)을 빠짐없이 검지하기 쉬워지므로, 냉동장치(10)의 보수점검 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가, 정상운전상태의 손실값을 기준으로 진단된다. 이로써, 진단 시의 진단대상 부품 상태를 정상운전상태와의 차이로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진단대상 부품 상태의 진단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별로 손실산출부(52)가 산출하는 산출값과 손실기억부(53)가 기억하는 손실기준값을 비교함으로써, 정상운전상태와 진단시의 차이가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별로 명확하게 파악되도록 한다. 또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별로 비교하므로, 냉동장치(10) 전체로는 작은 손실에 대해서도 정상운전상태와 진단 시의 차이가 명확하게 파악된다. 따라서 진단대상 부품 상태의 진단을 더욱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진단수단(54)이, 실외열교환기(34) 및 실내 열교환기(37)에서 발생하는 손실에 대해서는, 세분화된 복수 종류의 손실값을 이용하여, 실외열교환기(34) 및 실내열교환기(37)나, 유체용 부품(12, 14, 28)인 팬(12, 14) 및 필터(28)의 상태를 진단한다. 따라서 실외열교환기(34) 및 실내열교환기(37)의 상태나, 핀(12, 14) 및 필터(28)의 상태를 더욱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이들 구성부품 상태의 진단을 더욱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진단대상 부품 상태의 진단에, 손실산출부(52)가 산출값을 산출하는 진단 시의 운전상태와 마찬가지 운전조건의 손실기준값, 혹은 같은 것이 없으면 진단 시에 가장 가까운 운전조건의 손실기준값이 이용된다. 따라서 정상운전상태와 진단 시의 손실값 차이 중, 손실기준값의 운전조건과 진단 시 운전조건과의 차이에 의한 차분이 작아진다. 그리고 정상운전상태와 진단시의 손실값 차가, 정상운전상태와 진단 시와의 진단대상 부품 상태의 차이를 보다 정확하게 나타내므로, 진단대상 부품 상태의 진단을 더욱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변형예의 냉동장치(10)에서는 냉매회로(20)에서, 이른바 초임계주기가 이루어진다. 초임계주기란, 그 고압압력이 냉매의 임계압력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된 냉동주기이다. 냉매회로(20)에는 냉매로서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가 충전된다. 이 냉동장치(10)에서는 압축기(30)가 이산화탄소를 그 임계압력보다 고압이 되도록 압축한다.
이 변형예의 냉매회로(20) 냉동주기의 T-s선도에서는, 응축기의 입구에서 출 구에 이르기까지의 냉매의 온도와 엔트로피의 관계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곡선상으로 변화한다. 그리고 도 13에서 (a)영역은 역 카르노사이클의 일량을 나타낸다. (b)영역은 실내열교환기(37)에서의 흡열량을 나타낸다. (c)영역은 실내열교환기(37)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나타낸다. (d)영역은 실외열교환기(34)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나타낸다. (e)영역은 냉매가 팽창밸브(36)를 통과할 때의 마찰손실을 나타낸다. (f)영역은 압축기(30)에서의 기계마찰에 의한 손실을 나타낸다.
이 변형예의 제어기(50)가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할 때 동작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관한 냉동장치(10)이다.
-냉동장치의 구성-
본 제 2 실시형태의 냉동장치(10)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내유닛(13a) 및 제 2 실내유닛(13b)의 2대 실내유닛을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이다. 여기서 실내유닛(13)의 수는 단순한 예시이다. 이하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외유닛>>
실외유닛(11)의 실외회로(21)에는, 압축기(30), 열원측 열교환기인 실외열교환기(34), 및 감압수단인 제 1 실외팽창밸브(36a) 및 제 2 실외팽창밸브(36)가 주요 구성기기로서 설치되며, 그 이외에도 사방밸브(33) 및 내부열교환기(15)가 설치 된다. 이들 주요 구성기기, 사방밸브(33) 및 내부 열교환기(15)는 회로구성 부품을 구성하며, 마찬가지로 회로구성 부품을 구성하는 냉매배관으로 서로 접속된다.
또 실외회로(21)에서는 실외열교환기(34)로부터 이어지는 액배관(42)이 실내접속배관(17)과 바이패스관(16)의 2개로 분기된다. 실내접속배관(17)은 액측 패쇄밸브(25)에 접속된다. 바이패스관(16)은 흡입관(41)에 접속된다. 제 1 실외팽창밸브(36a)는 액배관(42)에 설치되며, 제 2 실외팽창밸브(36b)는 바이패스관(16)에 설치된다.
내부열교환기(15)는, 실내접속배관(17) 도중에 형성되는 제 1 유로(15a)와, 바이패스관(16) 도중에 형성되는 제 2 유로(15b)를 구비한다. 제 2 유로(15b)는 제 2 실외팽창밸브(36b)보다 흡입관(41) 쪽에 위치한다. 내부열교환기(15)에서는 제 1 유로(15a)와 제 2 유로(15b)가 서로 인접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제 1 유로(15a) 냉매와 제 2 유로(15b) 냉매가 열교환을 하도록 구성된다.
실외회로(21)에는, 압축기(30) 입구측에 온도센서(45a) 및 압력센서(46a)가 장착되며, 압축기(30) 출구측에 온도센서(45b) 및 압력센서(46b)가 장착된다. 액배관(42)에는 제 1 실외 액온도센서(45c)가 장착되며, 실내 접속배관(17)에는 제 2 실외 액온도센서(45d)가 장착된다. 바이패스관(16)에는, 제 2 유로(15b) 상류측에 제 3 실외 액온도센서(45i)가 장착되며, 제 2 유로(15b) 하류측에 제 1 실외 가스온도센서(45j)가 장착된다. 사방밸브(33)의 제 2 포트(P2)와 가스측 폐쇄밸브(26) 사이에는 제 2 실외 가스온도센서(45k)가 장착된다.
<<실내유닛>>
제 1 실내유닛(13a)에는 제 1 실내회로(22a)가 설치되며, 제 2 실내유닛(13b)에는 제 2 실내회로(22b)가 설치된다. 제 1 실내회로(22a)와 제 2 실내회로(22b)는 동일구성이다.
각 실내회로(22a, 22b)에는 감압수단인 실내팽창밸브(39a, 39b), 및 이용측 열교환기인 실내열교환기(37a, 37b)가 주요 구성기기로서 설치된다. 실내팽창밸브(39a, 39b) 및 실내열교환기(37a, 37b)는 회로구성 부품을 구성한다.
각 실내열교환기(37a, 37b) 근방에는 실내 팬(14a, 14b)이 설치된다. 또, 실내 팬(14a, 14b)과 실내열교환기(37a, 37b) 사이에는 각각 필터(28)가 설치된다. 실내 팬(14) 및 필터(28)는 실내열교환기(37)에서 냉매와 열 교환하는 공기가 유통하는 유체용 부품(12, 14, 28)을 구성한다.
제 1 실내유닛(13a)에는 실내열교환기(37a) 액측에 실내 액온도센서(45e)가 장착되며, 실내열교환기(37a) 가스측에 실내 가스온도센서(45f)가 장착된다. 또 제 2 실내유닛(13b)에는 실내열교환기(37b) 액측에 실내 액온도센서(45g)가 장착되며, 실내열교환기(37b) 가스측에 실내 가스온도센서(45h)가 장착된다.
<<제어기>>
제어기(50)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분석하는 열역학적 분석에 기초하여 당해 냉동장치(10) 구성부품의 상태를 진단하는 것이다. 제어기(50)가 진단하는 진단대상 부품은, 주요 구성기기를 포함한 회로구성 부품이나 유체용 부품(12, 14, 28, 75, 76b)이다. 이 제어기(50)는 후술하는 분기회로(67) 각각에 대하여 열역학적 분석을 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50)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냉매상태 검출부(51)와, 손실산출부(52), 손실기억부(53), 진단부(54), 및 표시부(55)에 더불어 유량산출부(56)를 구비한다. 유량산출부(56)는 유량산출수단을 구성한다. 유량산출부(56)는, 각 실내회로(22) 냉매유량과 바이패스관(16) 냉매유량을, 후술하는 분기회로(67)의 냉매유량으로서 각각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유량산출부(56)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유량산출부(56)는, 제 1 실내회로(22a)의 냉매유량(G1)이 냉매회로(20)의 냉매순환량(G)에 차지하는 비율(G1/G), 제 2 실내회로(22b)의 냉매유량(G2)이 냉매회로(20)의 냉매순환량(G)에 차지하는 비율(G2/G), 및 바이패스관(16)의 냉매유량(G3)이 냉매회로(20)의 냉매순환량(G)에 차지하는 비율(G3/G)을 산출함과 더불어, 냉매회로(20)의 냉매순환량(G)(압축기(30)가 토출하는 냉매유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각 실내회로(22) 또는 바이패스관(16)이 냉매회로(20) 냉매순환량(G)에 차지하는 비율(G1/G, G2/G, G3/G)에 냉매회로(20) 냉매순환량(G)을 곱함으로써, 제 1 실내회로(22a)의 냉매유량(G1)과, 제 2 실내회로(22b) 냉매유량(G2), 및 바이패스관(16) 냉매유량(G3)을 각각 산출한다.
제 1 실내회로(22a)의 냉매유량(G1)이 냉매회로(20) 냉매순환량(G)에 차지하는 비율(G1/G)은, 이하에 나타내는 식(3)을 이용하여 산출된다. 또 제 2 실내회 로(22b)의 냉매유량(G2)이 냉매회로(20) 냉매순환량(G)에 차지하는 비율(G2/G)은, 이하에 나타내는 식(4)을 이용하여 산출된다. 바이패스관(16)의 냉매유량(G3)이 냉매회로(20) 냉매순환량(G)에 차지하는 비율(G3/G)은, 이하에 나타내는 식(5)을 이용하여 산출된다.
식(3):G1/G=(h4-h3)×(h5-h2)/(h5-h3)×(h1-h2)
식(4):G2/G=(h4-h3)×(h5-h1)/(h5-h3)×(h2-h1)
식(5):G3/G=(h4-h5)×(h3-h5)
상기 식(3)∼식(5)에서, h1은 제 1 실내회로(22a) 실내열교환기(37a) 하류의 냉매 엔탈피, h2는 제 2 실내회로(22b) 실내열교환기(37b) 하류의 냉매 엔탈피, h3은 바이패스관(16) 내부열교환기(15) 하류의 냉매 엔탈피, h4는 제 1 실내회로(22a) 냉매와 제 2 실내회로(22b) 냉매가 합류하며 바이패스관(16) 냉매가 합류하기 전의 냉매 엔탈피, h5는 제 1 실내회로(22a) 냉매와 제 2 실내회로(22b) 냉매에 바이패스관(16) 냉매가 합류한 후의 냉매 엔탈피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식(3)∼식(5)은, 도 15에 나타내는 회로에서, 합류하는 2개 회로(91, 92)의 냉매유량이, 이하에 나타내는 식(6), 식(7)으로부터 이끌어낸 식(8), 식(9)으로 나타나는 것을 이용하여 작성된다.
식(6): GA×hA+GB×hB=ht×Gt
식(7): GA+GB=Gt
식(8):GA/(GA+GB)=(ht-hB)(hA-hB)
식(9):GB/(GA+GB)=(ht-hA)(h2-hA)
상기 식(6)에서 식(9)에 있어서, GA는 합류하는 2개의 회로(91, 92) 중 한쪽인 제 1 회로(91)의 냉매유량, GB는 다른 쪽인 제 2 회로(92)의 냉매유량, Gt는 제 1 회로(91)와 제 2 회로(92) 합류 후의 합류회로(93) 냉매유량, hA는 제 1 회로(91)의 냉매 엔탈피, hB는 제 2 회로(92)의 냉매 엔탈피, ht는 합류회로(93)의 냉매 엔탈피를 각각 나타낸다.
또 냉매회로(20)의 냉매순환량(G)은, 이하에 나타내는 식(10)을 이용하여 산출된다.
식(10):G=W/(hH-hL)
상기 식(10)에서 W는 압축기(30)의 입력전력, hH는 압축기(30)의 토출냉매 엔탈피, hL은 압축기(30)의 흡입냉매 엔탈피를 각각 나타낸다.
-냉동장치의 운전동작-
다음에 냉동장치(10)의 운전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냉방운전>
냉방운전에서는 사방밸브(33)가 제 2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압축기(30)를 운전시키면, 냉매회로(20)에서는 실외열교환기(34)가 응축기(방열기)가 되며 실내열교환기(37)가 증발기가 되는 증기압축 냉동주기가 실행된다. 그리고 냉방운전에서는 제 1 실외팽창밸브(36a)가 전개로 설정되며, 제 2 실외팽창밸브(36b) 및 각 실내팽창밸브(39a, 39b)의 개방도가 적절하게 조절된다.
여기서, 냉방운전에서는 흡입관(41)의 바이패스관(16) 합류점부터 액배관(42)의 바이패스관(16) 분기점까지가 주회로(66)를 구성한다. 주회로(66)는, 압축기(30)로 돌아오는 냉매가 모두 합류한 곳부터, 압축기(30)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최초로 분기하는 곳까지의 범위이다. 또 바이패스관(16) 및 각 실내회로(22a, 22b)가 각각 분기회로(67)를 구성한다. 분기회로(67)는 주회로(66)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압축기(3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34)에서 실외공기와 열 교환하여 응축한다. 실외열교환기(34)에서 응축한 냉매는 실내접속배관(17)과 바이패스관(16)으로 분기된다. 실내접속배관(17)으로 유입한 냉매는 내부열교환기(15)의 제 1 유로(15a)를 유통한다. 한편 바이패스관(16)으로 유입한 냉매는 제 2 실외팽창밸브(36b)에서 감압된 후 내부열교환기(15)의 제 2 유로(15b)로 유입한다. 내부열교환기(15)에서는 제 1 유로(15a) 냉매와 제 2 유로(15b)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이 열교환에 의해 제 1 유로(15a)의 냉매는 냉각되며, 제 2 유로(15b)의 냉매는 가열된다.
제 1 유로(15a)를 유통한 냉매는 각 실내회로(22a, 22b)로 분배된다. 각 실내회로(22)에서는 냉매가 실내팽창밸브(39)를 통과할 때 감압되고, 그 후 실내열교 환기(37)에서 실내공기와 열 교환하여 증발한다. 실내열교환기(37)에서 증발한 냉매는 바이패스관(16)을 유통한 냉매와 합류하고, 압축기(3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난방운전>
난방운전에서는 사방밸브(33)가 제 1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압축기(30)를 운전시키면, 냉매회로(20)에서는 실외열교환기(34)가 증발기가 되며 실내열교환기(37)가 응축기(방열기)가 되는 증기압축 냉동주기가 실행된다. 그리고 난방운전에서는 제 2 실외팽창밸브(36b)가 전폐로 설정되며, 제 1 실외팽창밸브(36a) 및 각 실내팽창밸브(39a, 39b)의 개방도가 적절하게 조절된다.
여기서, 난방운전에서는 실내회로(22), 액측 연결배관(23) 및 가스측 연결배관(24)이 주회로(66)를 구성한다. 각 실내회로(22a, 22b)가 각각 분기회로(67)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압축기(3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각 실내회로(22a, 22b)로 분배된다. 각 실내회로(22)에서는 냉매가 실내열교환기(37)에서 실내공기와 열 교환하여 응축한다. 실내열교환기(37)에서 응축한 냉매는 실내팽창밸브(39) 및 제 1 실외팽창밸브(36a)를 통과할 때 감압되고, 그 후 실외열교환기(34)에서 실외공기와 열 교환하여 증발한다. 실외열교환기(34)에서 증발한 냉매는 압축기(3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제어기의 동작-
제어기(50)가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할 때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진단대상 부품 상태의 진단은 냉방운전 중이나 난방운전 중에 실행된다. 이하에서 는 냉방운전 중에 진단을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냉방운전에서는, 제어기(50)가 각 실내회로(22a, 22b) 및 바이패스관(16) 각각에 대하여 열역학적 분석을 한다. 우선 각 실내회로(22a, 22b)에 대한 열역학적 분석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제 1 실내회로(22a)의 열역학적 분석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실내회로(22b)의 열역학적 분석은 제 1 실내회로(22a)의 열역학적 분석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내회로(22a)의 열역학적 분석에서는 냉매상태 검출부(51)가 압축기(30)의 입구 및 출구, 실외열교환기(23)의 입구 및 출구, 내부열교환기(15)의 입구 및 출구, 실내팽창밸브(39)의 입구 및 출구, 실내열교환기(37) 입구 및 출구의 10개 위치의 냉매의 온도와 엔트로피를 검출한다.
또 본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가, 압축기(30) 출구와 실외열교환기(34) 입구에서 동등한 것으로 하며, 실외열교환기(34) 출구와 내부열교환기(15) 입구에서 동등한 것으로 하고, 내부열교환기(15) 출구와 실내팽창밸브(39) 입구에서 동등한 것으로 하며, 실내팽창밸브(39) 출구와 실내열교환기(37) 입구에서 동등한 것으로 한다. 또한 실외열교환기(34) 출구 및 내부열교환기(15) 출구에서는, 냉매압력이 압축기(30) 출구와 동등한 것으로서 엔트로피를 산출하며, 실내열교환기(37) 입구 및 출구에서는, 냉매압력이 압축기(30) 입구와 동등한 것으로서 엔트로피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손실산출부(52)는 냉매상태 검출부(51)가 검출하는 냉매온도 및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압축기(30), 실외열교환기(34), 내부열교환기(15), 실내팽창 밸브(39), 및 실내열교환기(37)의 각 회로구성 부품(주요 구성기기)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을 개별로 산출한다.
여기서 제 1 실내회로(22a)의 열역학적 분석으로 작성되는 T-s선도를 도 16(A)에 나타낸다. 도 16(A)에서, 점(A(1))은 압축기(30) 입구의 냉매상태에 대응하며, 점(B(1))은 압축기(30) 출구(실외열교환기(34) 입구)의 냉매상태에 대응하고, 점(K(1))은 실외열교환기(34) 출구(내부열교환기(15) 입구)의 냉매상태에 대응하며, 점(D(1))은 내부열교환기(15) 출구(실내팽창밸브(39) 입구)의 냉매상태에 대응하고, 점(E(1))은 실내열교환기(37) 입구(실내팽창밸브(39) 출구)의 냉매상태에 대응하며, 점(F(1))은 실내열교환기(37) 출구의 냉매상태에 대응한다.
또 점(G(1))은, 점(B(1))을 지나는 등압선과 포화증기선이 교차하는 점이다. 점(H(1))은, 점(D(1))을 지나는 등압선과 포화액선이 교차하는 점이다. 점(I(1))은, 점(D(1))을 지나는 등엔탈피선과 포화액선이 교차하는 점이다. 점(J(1))은, 점(F(1))을 지나는 등압선과 포화증기선이 교차하는 점이다.
또한 도 16(A)에서, (a)영역은 역 카르노사이클의 일량을 나타내며, (b)영역은 실내열교환기(37)에서의 흡열량을 나타내고, (c)영역은 실내열교환기(37)의 손실을 나타내며, (d)영역은 실외열교환기(34)의 손실을 나타내고, (e)영역은 냉매가 실내팽창밸브(39)를 통과할 때의 마찰손실을 나타내며, (f)영역은 압축기(30)에서의 기계마찰에 의한 손실을 나타내고, (l)영역은 내부열교환기(15)에서의 손실, (m)영역은 실내열교환기(37)와 압축기(30) 사이 배관에서의 침입열량을 나타내며, (r)영역은 실내열교환기(37)와 압축기(30) 사이 배관에서의 열교환 손실을 나타낸 다.
여기서 주회로(66)의 회로구성 부품 손실을 나타내는 (a)영역, (d)영역, (f)영역, (l)영역, (m)영역, 및 (r)영역의 각 면적은, 주회로(66)의 냉매유량 중 실내회로(22)로 유입하는 냉매유량에 상당하는 만큼의 손실 크기를 냉매의 단위유량당 값으로서 나타낸다.
이어서, 바이패스관(16)에 대한 열역학적 분석에 대하여 설명한다.
바이패스관(16)의 열역학적 분석에서는, 냉매상태 검출부(51)가, 압축기(30)의 입구 및 출구, 실외열교환기(34)의 입구 및 출구, 제 2 실외팽창밸브(36b)의 입구 및 출구, 내부열교환기(15) 입구 및 출구의 8개 위치의 냉매의 온도와 엔트로피를 검출한다.
그리고 본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가, 압축기(30) 출구와 실외열교환기(34) 입구에서 동등한 것으로 하며, 실외열교환기(34) 출구와 제 2 실외팽창밸브(36b) 입구에서 동등한 것으로 하고, 제 2 실외팽창밸브(36b) 출구와 내부열교환기(15) 입구에서 동등한 것으로 한다. 또 실외열교환기(34) 출구에서는, 냉매압력이 압축기(30) 출구와 동등한 것으로서 엔트로피를 산출하며, 내부열교환기(15)의 입구 및 출구에서는, 냉매압력이 압축기(30) 입구와 동등한 것으로서 엔트로피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손실산출부(52)는 냉매상태 검출부(51)가 검출하는 냉매온도 및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압축기(30), 실외열교환기(34), 제 2 실외팽창밸브(36b), 및 내부열교환기(15)의 각 회로구성 부품(주요 구성기기)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을 개별 로 산출한다.
여기서 바이패스관(16)의 열역학적 분석으로 작성되는 T-s선도를 도 16(B)에 나타낸다. 도 16(B)에서, 점(A(1))은 압축기(30) 입구의 냉매상태에 대응하며, 점(B(1))은 압축기(30) 출구(실외열교환기(34) 입구)의 냉매상태에 대응하고, 점(D(1))은 실외열교환기(34) 출구(제 2 실외팽창밸브(36b) 입구)의 냉매상태에 대응하며, 점(E(1))은 내부열교환기(15) 입구(제 2 실외팽창밸브(36b) 출구)의 냉매상태에 대응하고, 점(F(1))은 내부열교환기(15) 출구의 냉매상태에 대응한다. 여기서 점(G(1)), 점(H(1)), 점(I(1)), 점(J(1))에 대해서는 실내회로(22)의 열역학적 분석과 마찬가지이다.
또 도 16(B)에서, (b)영역은 내부열교환기(15)에서의 흡열량을 나타내고, (c)영역은 내부열교환기(15)에서의 손실을 나타내며, (d)영역은 실외열교환기(34)에서의 손실을 나타내고, (e)영역은 냉매가 제 2 실외팽창밸브(36b)를 통과할 때의 마찰손실을 나타내며, (f)영역은 압축기(30)에서의 기계마찰에 의한 손실을 나타내고, (m)영역은 내부열교환기(15)와 압축기(30) 사이 배관의 침입열량을 나타내며, (r)영역은 내부열교환기(15)와 압축기(30) 사이 배관에서의 열교환 손실을 나타낸다. 여기서 주회로(66)의 회로구성 부품 손실을 나타내는 (d)영역, (f)영역, (m)영역, 및 (r)영역의 각 면적은, 주회로(66)의 냉매유량 중 바이패스관(16)의 냉매유량에 상당하는 만큼의 손실 크기를 냉매의 단위유량당 값으로서 나타낸다.
손실산출부(52)는 각 실내회로(22a, 22b)에 대한 열역학적 분석과, 바이패스관(16)에 대한 열역학적 분석에 기초하여,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값 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분기회로(67)인 각 실내회로(22a, 22b) 및 바이패스관(16)의 회로구성 부품에 대해서는, 손실산출부(52)가, 손실값을 산출하는 회로구성 부품이 설치된 분기회로(67)의 T-s선도에서, 그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에 대응하는 영역의 면적을 산출한다. 이 영역의 면적은, 그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의 크기를 냉매의 단위유량당 값으로서 나타낸다. 손실산출부(52)는 그 회로구성 부품에 대응하는 영역의 면적에 유량산출부(56)가 산출하는 분기회로(67)의 냉매유량을 곱함으로써, 그 분기회로(67) 회로구성 부품의 손실값을 일량으로서 산출한다.
또 주회로(66)의 회로구성 부품에 대해서는, 손실산출부(52)가, 각 분기회로(67)의 T-s선도에서, 손실값을 산출하는 회로구성 부품에서의 손실에 대응하는 영역의 면적을 각각 산출한다. 각 분기회로(67)의 T-s선도에서 회로구성 부품에 대응하는 영역의 면적은, 주회로(66)의 냉매유량 중 분기회로(67) 냉매유량에 상당하는 만큼의 회로구성 부품 손실 크기를 냉매의 단위유량당 값으로서 나타낸다. 손실산출부(52)는, 산출한 각 분기회로(67)의 T-s선도 영역의 면적에, 유량산출부(56)가 산출하는 각 분기회로(67)의 냉매유량을 곱한 것을 합계함으로써, 그 주회로(66) 회로구성 부품의 손실값을 일량으로서 산출한다(식(11) 참조).
식(11):R=ΣA×GX
상기 식(11)에서, R는 주회로(66) 회로구성 부품의 손실값을 나타내며, A는 분기회로(67)의 T-s선도에서 주회로(66)의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에 대 응하는 영역의 면적을 나타내고, GX는 A의 값을 산출한 분기회로(67)의 냉매유량을 나타낸다.
진단부(54)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손실기억부(53)가 기억하는 복수 운전조건의 손실기준값 중, 진단 시의 운전조건에 대응하는 운전조건의 손실기준값을 선택한다. 그리고 진단부(54)는,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별로, 손실산출부(52)가 산출하는 산출값을 선택한 운전조건의 손실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나 유체용 부품(12, 14, 28, 75, 76b)의 상태를 진단한다.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변형예의 냉동장치(10)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외유닛(11a)과 제 2 실외유닛(11b)의 2대 실외유닛을 구비한다. 제 1 실외유닛(11a)과 제 2 실외유닛(11b)은 서로 병렬로 접속된다. 여기서 실외유닛(11)의 수는 단순한 예시이다.
제 1 실외유닛(11a)에는 제 1 실외회로(21a)가 수용되며, 제 2 실외유닛(11b)에는 제 2 실외회로(21b)가 수용된다. 제 1 실외회로(21a)와 제 2 실외회로(21b)는 동일구성이다. 각 실외회로(21)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대의 압축기(30a, 30b)가 설치되는 것 이외는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실외회로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2대의 압축기(30a, 30b)는 서로 병렬로 접속된다. 2대 중 한쪽 제 1 압축기(30a)는 용량 가변의 압축기이며, 다른 쪽 제 2 압축기(30b)는 용량이 일정한 압축기이다.
또 이 변형예의 냉동장치(10)는, 제 1 실내유닛(13a)과 제 2 실내유닛(13b)과 제 3 실내유닛(13c)의 3대 실내유닛을 구비한다. 제 1 실내유닛(13a)에는 제 1 실내회로(22a)가 수용되며, 제 2 실내유닛(13b)에는 제 2 실내회로(22b)가 수용되고, 제 3 실내유닛(13c)에는 제 3 실내회로(22c)가 수용된다. 또한 액측 연결배관(23) 및 가스측 연결배관(24) 각각에서, 제 1 실내회로(22a)와 제 2 실내회로(22b) 사이와, 제 1 실내회로(22a)의 실외회로(21)측에는 각각 온도센서(45m, 45n, 45p, 45q)가 장착된다.
이 변형예에서는, 제 2 실외팽창밸브(36a)가 개방상태가 되는 냉방운전 시, 각 실외회로(21)에 있어서 흡입관(41)에서의 바이패스관(16) 합류점부터 액배관(42)에서의 바이패스관(16) 분기점까지가 주회로(66)를 구성한다. 또 바이패스관(16) 및 각 실내회로(22a, 22b, 22c)가 각각 분기회로(67)를 구성한다. 각 실내회로(22a, 22b, 22c)는, 제 1 실외회로(21a)의 주회로(66)에 대해서도 제 2 실외회로(21b)의 주회로(66)에 대해서도 병렬로 접속된다.
한편, 제 2 실외팽창밸브(36a)가 폐쇄상태가 되는 난방운전 시에는 각 실외회로(21)가 주회로(66)를 구성하며, 각 실내회로(22a, 22b, 22c)가 각각 분기회로(67)를 구성한다. 각 실내회로(22a, 22b, 22c)는 제 1 실외회로(21a)에 대해서도 제 2 실외회로(21b)에 대해서도 병렬로 접속된다.
제어기(50)는,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냉매상태 검출부(51)와, 손실산출부(52), 손실기억부(53), 진단부(54), 표시부(55) 및 유량산출부(56)를 구비 한다. 이 변형예의 유량산출부(56)는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식(8)과 식(9)을 이용하여 작성한 수식에 의해, 각 실내회로(22)의 냉매유량(G1, G2, G3)과, 각 실외회로(21) 바이패스관(16)의 냉매유량(Gb1, Gb2)을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또 이 변형예에서는, 유량산출부(56)가 각 실내회로(22)의 냉매유량(G1, G2, G3)에 대하여, 제 1 실외회로(21a)로부터 유입한 냉매유량(G1-1, G2-1, G3-1)과 제 2 실외회로(21b)로부터 유입한 냉매유량(G1-2, G2-2, G3-2)을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 1 실내회로(22a)의 냉매유량(G1) 중 제 1 실외회로(21a)로부터 유입한 냉매유량(G1-1)은 이하에 나타내는 식(12)에 의해 산출된다.
식(12):(G1-1)=G1×GmA/(GmA+GmB)
상기 식(12)에서, GmA는 제 1 실외회로(21a)로부터 유출하는 냉매유량, GmB는 제 2 실외회로(21b)로부터 유출하는 냉매유량을 각각 나타낸다. 이들 냉매유량(GmA, GmB)은 유량산출부(56)가 이하에 나타내는 식(13, 14)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식(13):GmA=(GInv-A+GStd-A)-Gb1
식(14):GmB=(GInv-B+GStd-B)-Gb2
상기 식(13), 식(14)에서, GInv는 제 1 압축기(30a)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유량, GStd는 제 2 압축기(30b)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유량을 각각 나타낸다. 이들 냉 매유량(GInv, GStd)은 유량산출부(56)가 상기 식(10)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제어기(50)는, 각 실내회로(22a, 22b, 22c)와 각 실외회로(21a, 21b) 바이패스관(16) 각각에 대하여 열역학적 분석을 한다. 각 실내회로(22)에 대한 열역학적 분석에서의 제어기(50) 동작, 및 각 실외회로(21) 바이패스관(16)에 대한 열역학적 분석에서의 제어기(50) 동작은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각 실내회로(22)의 열역학적 분석으로 작성되는 T-s선도는 도 16(A)에 의해 나타나며, 실외회로(21)의 열역학적 분석으로 작성되는 T-s선도는 도 16(B)에 의해 나타난다.
이 변형예에서는 손실산출부(52)에 있어서 주회로(66)의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을 산출하는 동작이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다르다. 분기회로(67)의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을 산출하는 동작은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주회로(66)의 회로구성 부품 중 제 1 실외회로(21a)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을 산출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손실산출부(52)는, 주회로(66)의 회로구성 부품, 구체적으로는 압축기(30)나 실외열교환기(34)나 제 1 실외팽창밸브(36a)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을 이하에 나타내는 식(15)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식(15):R=ΣB×GY+C×Gb1
상기 식(15)에서, R는 주회로(66)의 회로구성 부품 손실값을 나타내며, B는 실내회로(22)의 T-s선도에서 주회로(66)의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에 대 응하는 영역의 면적을 나타내고, GY는 B의 값을 산출한 실내회로(22)에 대하여 제 1 실외회로(21a)로부터 유입하는 냉매유량(G1-1, G2-1, G3-1)을 나타내며, C는 제 1 실외회로(21a) 바이패스관(16)의 T-s선도에서 주회로(66)의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에 대응하는 영역의 면적을 나타낸다.
상기 식(15)에서는, 압축기(30)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이, 제 1 압축기(30a)에서 발생하는 손실과, 제 2 압축기(30b)에서 발생하는 손실의 합계로서 산출된다. 손실산출부(52)는, 압축기(30)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을, 제 1 압축기(30a)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유량(GInv-A)과, 제 2 압축기(30b)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유량(GStd-A)과의 비율을 이용하여 안분(按分)함으로써, 각 압축기(30a, 30b)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을 산출한다.
<<제 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관한 냉동장치(10)이다. 이 냉동장치(10)는 급탕기능을 갖는 냉동장치로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이 냉동장치(10)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이 유통하는 물유통회로(75)와, 물유통회로(75)의 물을 냉매회로(20) 냉매와 열 교환시켜 가열하기 위한 급탕용 열교환기(76)를 구비한다. 물유통회로(75)는 유체용 부품(12, 14, 28, 75, 76b)을 구성한다. 물유통회로(75)에는 수돗물이 유통한다. 또, 냉매회로(20)에는 냉매로서 이산화탄소가 충전된다. 이 냉동장치(10)는 상기 제 1 실 시형태의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냉매회로(20)에서 초임계주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급탕용 열교환기(76)는 냉매회로(20)에 형성되는 제 1 유로(76a)와, 물유통회로(75)에 형성되는 제 2 유로(76b)를 구비한다. 제 2 유로(76b)는 유체용 부품(12, 14, 28, 75, 76b)을 구성한다. 급탕용 열교환기(76)에서는 제 1 유로(76a)와 제 2 유로(76b)가 서로 인접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또 급탕용 열교환기(76)는, 제 1 유로(76a) 입구와 제 2 유로(76b) 출구가 같은 쪽이 되며, 제 1 유로(76a) 출구와 제 2 유로(76b) 입구가 같은 쪽이 되는 대향류식으로 구성된다.
급탕용 열교환기(76)에서는 제 1 유로(76a) 냉매와 제 2 유로(76b) 물의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이 열교환에 의해, 제 1 유로(76a)의 고압고온 냉매는 냉각되며 제 2 유로(76b)의 물은 가열된다.
이 제 3 실시형태 냉매회로(20)에 있어서 냉동주기의 T-s선도에서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영역에 대한 (a)영역, (e)영역, 및 (f)영역과의 경계선이, 제 2 유로(76b) 입구의 물 온도(Tin)와 제 2 유로(76b) 출구 물온도(Tout)의 온도차만큼 기울어진다. 급탕용 열교환기(76)가 대향류식으로 구성되므로, 상기 제 1 실시형태나 상기 제 2 실시형태와는 달리 제 1 유로(76a)의 냉매가 열 교환하는 유체(물)의 온도가 출구에 가까워짐에 따라 저하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 20에서, (a)영역은 역 카르노사이클의 일량을 나타낸다. (b)영역은 실내열교환기(37)에서의 흡열량을 나타낸다. (c)영역은 실내열교환기(37)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나타낸다. (d)영역은 제 1 유로(76a)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나타 낸다. (e)영역은 냉매가 팽창밸브(36)를 통과할 때의 마찰손실을 나타낸다. (f)영역은 압축기(30)에서의 기계마찰에 의한 손실을 나타낸다.
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제어기(50)가, 상기 제 1 실시형태나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진단대상 부품에 더불어, 물유통회로(75)나 급탕용 열교환기(76)를 진단대상 부품으로 한다. 제 1 유로(76a)에서 발생하는 손실은 급탕용 열교환기(76)에서의 열교환 상태를 반영하며, 제 1 유로(76a)의 상태만이 아니라 제 2 유로(76b) 상태나 물유통회로(75) 상태에 대응한다. 진단부(54)는 제 1 유로(76a)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에 기초하여, 제 2 유로(76b)의 상태나 물유통회로(75) 상태를 진단한다.
<<제 4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제 4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관한 냉동장치(10)의 분석장치(60)이다. 이 분석장치(60)는 상기 제 1 실시형태나 제 2 실시형태 그리고 제 3 실시형태와 같은 냉동장치(10)의 상태를 분석하여 그 구성부품의 상태를 진단하도록 구성된다.
-분석장치의 구성-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분석장치(60)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통신회선(63)으로 접속된 제 1 구성부(47)와 제 2 구성부(48)로 구성된다.
제 1 구성부(47)는 냉매상태 검출센서(65)를 구비한다. 냉매상태 검출센서(65)는, 각 주요 구성기기의 출구와 입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검출하기 위해 필요한 냉매회로(20)의 냉매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이다. 구체적으 로 냉매상태 검출센서(65)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냉매회로(20)와 같은 위치인 6개의 온도센서(45), 및 6개의 압력센서(46)로 구성된다.
제 2 구성부(48)는, 냉매상태 검출부(51)와, 손실산출부(52), 손실기억부(53), 진단부(54) 및 표시부(55)를 구비한다. 이 제 2 구성부(48)는 전자계산기로서 구성되며, 냉동장치(10)와는 다른 건물에 설치된다. 또 냉매상태 검출부(51)와, 손실산출부(52), 손실기억부(53), 진단부(54) 및 표시부(55)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것이므로, 이들 구성이나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 4 실시형태의 분석장치(60)는, 접속된 냉동장치(10) 각각에 대하여 진단대상 부품(회로구성 부품이나 유체용 부품(12, 14, 28, 75, 76b))의 상태를 진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냉매상태 검출센서(65)의 계측값이 제 1 구성부(47)로부터 제 2 구성부(48)로 송신된다. 냉매상태 검출부(51)는 제 1 구성부(47)로부터 송신된 온도센서(45) 계측값이나 압력센서(46) 계측값을 이용하여, 이 냉동장치(10) 각 주요 구성기기의 출구와 입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검출한다.
이 제 4 실시형태에서는, 표시부(55)에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에 관한 진단결과가 표시된다. 표시부(55)에 표시된 진단결과는, 예를 들어 냉동장치(10)에 관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갖는 사람이 냉동장치(10)의 사용자 대신 확인한다. 이로써,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냉동장치(10)의 이상을 확실하게 발견할 수 있다. 또 냉동장치(10)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그리고 표시부(55)가,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을 함께 표시해도 된다. 이로써,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의 변화를 개별로 파악하기가 가능해진다.
여기서, 통신회선을 이용하여 냉동장치를 진단하는 종래의 냉동장치 진단장치에서는, 냉동장치(10)로부터 송신되는 오류 코드를 계수함으로써 냉동장치(10)의 상태를 진단했다. 그러나 종래의 진단장치에서는, 미리 오류 코드가 설정된 항목밖에 진단할 수가 없다. 또, 1개의 원인이 복수 항목에 대하여 계수되는 경우가 있다. 즉, 이상이 없는 항목도 이상이 있는 것으로 계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을 하기가 어려웠다.
이에 반해, T-s선도로 나타내는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을 이용함으로써, 표시부(55)를 본 사람이 종래와 같이 미리 설정한 항목에 제한되는 일없이, 다양한 항목에 대하여 진단할 수 있다. 또,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이, 그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나 유체용 부품(12, 14, 28, 75, 76b) 상태에 대응한다. 따라서 손실값에 대응하는 부품의 상태가 정확하게 파악되므로, 이상이 없는 회로구성 부품이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일은 없으며, 종래에 비해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의 변형예-
이 변형예에서는, 냉매상태 검출부(51)와, 손실산출부(52), 손실기억부(53), 진단부(54) 및 표시부(55) 중 냉매상태 검출부(51)가 제 1 구성부(47)에 설치된다. 또, 냉매상태 검출부(51)와 손실산출부(52)를 제 1 구성부(47)에 설치 해도 되며, 냉매상태 검출부(51)와, 손실산출부(52), 손실기억부(53) 및 진단부(54)를 제 1 구성부(47)에 설치해도 된다.
<<제 5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제 5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관한 냉동장치(10)의 분석장치(60)이다. 이 분석장치(60)는 상기 제 1 실시형태나 제 2 실시형태, 제 3 실시형태와 같은 냉동장치(10)의 상태를 분석하여 그 구성부품의 상태를 진단하도록 구성된다.
-분석장치의 구성-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분석장치(60)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산부(70)와 냉매상태 검출센서(65)를 구비한다. 계산부(70)는, 냉매상태 검출부(51)와, 손실산출부(52), 손실기억부(53), 진단부(54) 및 표시부(55)를 구비한다. 계산부(70)는 전자계산기로서 구성된다.
냉매상태 검출센서(65)는 5개의 온도센서로 구성된다. 냉동장치(10)의 상태를 진단할 때 냉방운전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온도센서(65a)가 압축기(30) 흡입측에 장착되며, 제 2 온도센서(65b)가 압축기(30) 토출측에 장착되고, 제 3 온도센서(65c)가 실외열교환기(34) 액측에 장착되며, 제 4 온도센서(65d)가 실외열교환기(34)에 장착되고, 제 5 온도센서(65e)가 실내열교환기(37)에 장착된다. 각 온도센서(65)는 리드선(64)을 개재하고 계산부(70)에 접속된다.
냉매상태 검출부(51)는 각 온도센서(65)에 의해 계측되는 5개의 온도 측정값 으로부터, 압축기(30)의 입구 및 출구, 팽창밸브(36)의 입구 및 출구, 실외열교환기(34)의 입구 및 출구, 실내열교환기(37)의 입구 및 출구의 8개 위치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또, 실외열교환기(34) 입구의 냉매의온도 및 엔트로피는 압축기(30) 출구에서의 값과 같은 값으로서 검출된다. 팽창밸브(36) 입구에서의 냉매온도 및 엔트로피는 실외열교환기(34) 출구에서의 값과 같은 값으로서 검출된다. 팽창밸브(36) 출구에서의 냉매의온도 및 엔트로피는 실내열교환기(37) 입구에서의 값과 같은 값으로서 검출된다. 실내열교환기(37) 출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는 압축기(30) 입구에서의 값과 같은 값으로서 검출된다.
손실산출부(52)와 손실기억부(53), 진단부(54), 및 표시부(55)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같으므로, 이들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진단장치의 동작-
분석장치(60)가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할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진단대상 부품 상태의 진단은 냉방운전 중이라도 난방운전 중이라도 가능하다. 이하에는 냉방운전 중에 진단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손실기억부(53), 진단부(54) 및 표시부(55)의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동작과 대략 같으므로, 냉매상태 검출부(51)의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우선 냉매상태 검출부(51)는, 제 4 온도센서(65d)의 계측값을 실외열교환기(34)에서의 냉매의 응축온도로서 검출하며, 이 응축온도에서의 냉매의 포화압력을 산출하여, 이 포화압력을 냉동주기의 고압압력으로서 검출한다. 또 냉매상태 검출부(51)는, 제 5 온도센서(65e)의 계측값을 실내열교환기(37)에서의 냉매의 증발온도로서 검출하며, 이 증발온도에서의 냉매 포화압력을 산출하여, 이 포화압력을 냉동주기의 저압압력으로서 검출한다.
다음에, 냉매상태 검출부(51)는, 제 1 온도센서(65a) 계측값과 냉동주기의 저압압력을 이용하여 압축기(30) 입구의 냉매 엔트로피를 산출한다. 이로써 압축기(30) 입구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가 파악된다.
다음으로 냉매상태 검출부(51)는, 제 2 온도센서(65b) 계측값과 냉동주기의 고압압력을 이용하여 압축기(30) 출구의 냉매 엔트로피를 산출한다. 이로써 압축기(30) 출구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가 파악된다.
이어서 냉매상태 검출부(51)는, 제 3 온도센서(65c) 계측값과 냉동주기의 고압압력을 이용하여, 응축기가 되는 실외열교환기(34) 출구의 냉매의 엔트로피 및 엔탈피를 산출한다. 이로써 실외열교환기(34) 출구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가 파악된다.
마지막으로 냉매상태 검출부(51)는, 제 5 온도센서(65e)의 계측값을 증발기가 되는 실내열교환기(37) 입구의 냉매온도로 한다. 그리고 냉매상태 검출부(51)는, 실외열교환기(34) 출구의 냉매 엔탈피를 이용하여, 실내열교환기(37) 입구의 냉매 엔트로피를 산출한다. 이로써 실내열교환기(37) 입구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가 파악된다.
이 제 5 실시형태에서는, 냉동장치(10)에 관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갖는 사람이 이 냉동장치(10)의 분석장치(60)를 들고 다님으로써, 냉동장치(10)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하기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냉동장치(10)에 관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갖는 사람이, 냉동장치(10)의 사용자 대신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그 자리에서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또 냉동장치(10)의 분석장치(60)는 냉매상태 검출센서(65)를 구비하므로, 각 주요 구성기기의 출구와 입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지 않는 냉동장치(10)에 대해서도 진단대상 부품 상태를 진단하기가 가능하다.
또 이 제 5 실시형태에서는, 냉매상태 검출센서(65)가 압력센서를 구비하지 않아도, 각 주요 구성기기의 출구와 입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가 산출된다. 따라서 장착이 용이한 온도센서(65)에 의해, 진단대상 부품 상태를 용이하게 진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제 5 실시형태의 냉매상태 검출부(51)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제 3 실시형태의 냉동장치(10)의 제어기(50)나, 상기 제 4 실시형태의 분석장치(60)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본 제 5 실시형태에서 온도센서(65)를 장착한 위치에 5개의 온도센서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각 주요 구성기기의 출구와 입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검출하기가 가능하다.
-제 5 실시형태의 변형예-
이 변형예에서는 분석장치(60)가 냉매상태 검출센서(65)를 구비하지 않는다. 분석장치(60)는 리드선을 개재하고 냉동장치(10)에 접속된다. 냉동장치(10)에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온도센서(45) 및 압력센서(46)가 장착된다.
이 변형예의 분석장치(60)에서는, 접속된 냉동장치(10)에 대하여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가 진단된다. 이때, 온도센서(45) 및 압력센서(46)의 계측값이 냉동장치(10)로부터 계산부(70)로 송신된다. 냉매상태 검출부(51)는, 냉동장치(10)로부터 송신된 온도센서(45)의 계측값이나 압력센서(46) 계측값을 이용하여, 이 냉동장치(10) 각 주요 구성기기의 출구와 입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검출한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의 변형예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제 1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 대하여 진단부(54)가,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의 분포상황에 기초하여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진단부(54)는, 전체적인 손실에 대한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의 비율에 기초하여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한다. 이 경우 손실기억부(53)에는 정상운전상태의 평균적이 손실분포를 기억시켜 둔다. 예를 들어 진단부(54)는, 진단 시의 압축기(30)에서의 기계마찰에 의한 손실 비율이 정상운전상태에 비해 10% 이상 커지면, 압축기(30)가 고장상태인 것으로 판정한다. 이로써, 진단 시의 전체적 손실의 합계값이 정상운전상태의 합계값과 크게 다르므로, 각 주요 구성기기에서 발생하는 손실별 비교가 어려울 경우라도,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 대하여 진단부(54)가, 정상운전상태로부터의 손실분포 변화 패턴을 종합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하도록 해도 된다.
-제 3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 대하여 진단부(54)가,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의 경시변화에 기초하여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하도록 해도 된다. 진단부(54)는, 예를 들어 공조부하가 증가했을 때의 회로구성 부품 손실 경시변화패턴과, 진단대상 부품이 열화경향에 있을 때의 회로구성 부품 손실 경시변화패턴를 식별함으로써,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한다.
예를 들어, 진단부(54)는 도 2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 카르노사이클의 일량이 비교적 크게 증가했을 경우, 공조부하의 증가에 의해 냉매순환량이 증가함에 의한 손실값이 증가하므로, 회로구성 부품의 손실이 증가해도 진단대상 부품이 열화경향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한편, 진단부(54)는 도 2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 카르노사이클의 일량에 거의 변화가 없을 경우, 공조부하의 증가가 없는, 즉 냉매순환량이 증가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손실이 증가했으므로, 손실값이 증가한 회로구성 부품에 대응하는 부분이 열화경향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진단부(54)는, 공조부하의 변화에 기초하여 실내공간의 창이 개방상태임을 검지하여, 창을 닫도록 표시부(55)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냉동장치(10) 기동 시의 회로구성 부품 손실 경시변화패턴이나, 증발기에 부착한 얼음을 융해시키는 제상(Defrost)운전 시의 회로구성 부품 손실 경시변화패턴 등도, 진단대상 부품 상태의 진단에 이용하기가 가능하다.
-제 4 변형예-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팽창밸브(36)의 입구 및 출구의 냉매의 온도와 엔트로피를 직접 검출하기 위한 온도센서(45)와 압력센서(46)를 장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실외열교환기(34)와 팽창밸브(36) 사이와, 팽창밸브(36)와 실외회로(21) 가스측단 사이에 온도센서(45) 및 압력센서(46)를 장착한다. 이로써 실외열교환기(34)와 팽창밸브(36)를 접속하는 냉매배관이나, 팽창밸브(36)와 실내열교환기(37)를 접속하는 냉매배관의 상태도, 진단대상 부품으로서 진단하기가 가능해진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온도센서(45)와 압력센서(46)를 4조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는 달리 실외열교환기(34)와 사방밸브(33) 사이, 실내회로(22) 가스측단과 실내열교환기(37) 사이에는 온도센서(45) 및 압력센서(46)를 장착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 상기 제 2 실시형태, 상기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압력센서(46)를 고압냉매 압력을 계측하는 것과 저압냉매 압력을 계측하는 것의 2개만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흡입압력센서(46a)와 토출압력센서(46b)만을 냉매회로(20)에 장착한다. 이 경우, 토출압력센서(46b)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방열기가 되는 열교환기(34, 37)의 입구와 출구의 엔트로피를 산출하며, 흡입압력센서(46a) 측정값을 이용하여, 증발기가 되는 열교환기(34, 37)의 입구와 출구의 엔트로피를 산출한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 상기 제 2 실시형태, 상기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토출압력센서(46b)를 장착하지 않고, 방열기가 되는 열교환기(34, 37)에 온도센서를 장착하고, 그 온도센서의 계측값을 이용하여 냉동주기 고압압력을 산출해도 된다. 또한 흡입압력센서(46a)를 장착하지 않고, 증발기가 되는 열교환기(34, 37)에 온도센서를 장착하고, 그 온도센서의 계측값을 이용하여 냉동주기 저압압력을 산출해도 된다.
-제 5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 대하여, 손실기억부(53)가 기억하는 손실기준값을 산출하기 위한 손실기억운전을 하도록 해도 된다. 손실기억운전은, 냉동장치(10)가 정상운전상태로 될 때(예를 들어 냉동장치(10)의 설치 직후나 제품출하 전)에 실행된다. 손실기억운전에서는, 손실산출부(52)가 산출하는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을 손실기억부(53)에 기억시킨다. 또 손실기억운전을 제품출하 전에 행함으로써, 손실산출부(52)가 산출하는 손실값에 기초하여 불량품을 검출하기가 가능해진다.
-제 6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 대하여, 표시부(55)가, 회로구성 부품별 손실값이나, 회로구성 부품별 손실값을 도표화한 것을 표시해도 된다. 예를 들어 표시부(55)가,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 손실을 100%로서 회로구성 부품(주요 구성기기)별 손실값(순시값)의 비율을 나타낸 파이도를 표시해도 된다.
또 표시부(55)가,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구성 부품(주요 구성기기)별로 정상운전상태를 50%로서 손실값(순시값) 증감의 비율을 나타낸 레이더차 트를 표시해도 된다.
또한 표시부(55)가,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회로구성 부품(주요 구성기기)에 대응하는 점등부를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각 회로구성 부품의 손실값(순시값)이 복수값으로 양자화되어, 점등부의 상태로 각 회로구성 부품 상태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각 회로구성 부품의 손실값을 2값으로 양자화할 경우, 정상 시에 소등시키며 이상 시에 점등시키도록 점등부를 구성한다. 또 각 회로구성 부품의 손실값을 3값으로 양자화할 경우, 정상 시에 녹색을 점등시키며 경고 시에 황색을 점등시키고 이상 시에 적색을 점등시키도록 점등부를 구성한다. 또한 회로구성 부품의 손실이 고장으로 판단되는 상태에 가까운 소정 상태로 되는 경우에 경고 시로 판단한다.
또 표시부(55)가,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구성 부품(주요 구성기기)별 손실값의 경시변화를 각각 다른 도표에 표시해도 된다. 또한 표시부(55)가,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구성 부품(주요 구성기기)별 손실값의 경시변화를 같은 도표에 표시해도 된다. 이 경우, 실외온도, 실내온도, 냉방능력 등을 함께 표시해도 된다.
-제 7 변형예-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제어기(50)가 진단부(54)를 갖지 않아도 된다. 또 상기 제 4 실시형태 및 제 5 실시형태에 대하여, 분석장치가 진단부(54)를 갖지 않아도 된다. 이들의 경우, 표시부(55)에는 변화량 산출수단(52)이 산출하는 산출값에 기초한 회로구성 부품의 손실상태가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회로구성 부품별 손실값이나, 회로구성 부품별 손실값을 도표화한 것이 표시된다. 회로구성 부품의 손실상태는 냉동장치(10)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정보로서 표시된다. 회로구성 부품의 손실상태는 그 회로구성 부품의 상태나, 상기 유체용 부품(12, 14, 28, 75, 76b)의 상태에 대응하므로, 예를 들어 냉동장치(10)에 관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갖는 사람이, 표시부(55)에 표시된 회로구성 부품의 손실상태로부터, 회로구성 부품 상태나 유체용 부품(12, 14, 28, 75, 76b) 상태를 진단하기가 가능하다.
-제 8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열역학적 분석으로 산출되는 회로구성 부품 각각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를 회로구성 부품 각각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으로 산출하나, 이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를 각 회로구성 부품에 대응하는 동력의 용도, 소요동력, 동력배분으로서 산출해도 된다. 이 경우, 손실산출부(52) 대신 변화량 산출수단으로, 회로구성 부품 각각의 동력 용도, 소요동력, 또는 동력배분을 산출하는 동력산출부(52)를 설치한다.
여기서, 이상의 실시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범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이상의 실시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범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20)

  1. 압축기(30), 감압수단(36, 39), 및 복수의 열교환기(34, 37)를 포함하는 회로구성 부품이 접속되어 구성된 냉매회로(20)를 구비하며, 이 냉매회로(20)에서 냉매를 순환시켜 냉동주기를 행하는 냉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30), 감압수단(36, 39), 및 열교환기(34, 37) 각각의 입구와 출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검출하는 냉매상태 검출수단(51)과,
    상기 냉매상태 검출수단(51)이 검출하는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상기 회로구성 부품 각각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를 개별로 산출하는 변화량 산출수단(5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34, 37)에서 냉매와 열 교환하는 유체가 유통하는 유체용 부품(12, 14, 28, 75, 76b)과,
    상기 회로구성 부품 및 상기 유체용 부품(12, 14, 28, 75, 76b)의 적어도 하나를 진단대상 부품으로서, 상기 변화량 산출수단(52)이 산출하는 산출값에 기초하여 이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하는 진단수단(5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34, 37)로 공기를 보내기 위한 팬(12, 14)이 상기 유체용 부품(12, 14, 28, 75, 76b)을 구성하며,
    상기 진단수단(54)은, 상기 팬(12, 14)을 상기 진단대상 부품으로서, 상기 변화량 산출수단(52)이 산출하는 산출값에 기초하여 이 팬(12, 14)의 상태를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변화량 산출수단(52)은, 상기 회로구성 부품 각각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를 이 회로구성 부품 각각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으로서 산출하며,
    상기 진단수단(54)은 상기 변화량 산출수단(52)이 상기 손실값으로서 산출하는 산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변화량 산출수단(52)은, 각 열교환기(34, 37)에서 발생하는 복수 종류의 손실값을 개별로 산출하며,
    상기 진단수단(54)은 상기 각 열교환기(34, 37)에서 발생하는 손실에 대해서는, 상기 변화량 산출수단(52)이 산출하는 복수 종류의 손실별 산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냉매회로(20)는, 냉매를 냉매주기의 고압압력까지 압축하는 압축기(30)가 설치된 주회로(66)와, 이 주회로(66)에 병렬로 접속되는 복수의 분기회로(67)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각 분기회로(67)의 냉매유량을 산출하는 유량산출수단(56)을 구비하며,
    상기 변화량 산출수단(52)은, 상기 유량산출수단(56)이 산출하는 각 분기회로(67)의 냉매유량을 이용하여 상기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냉매회로(20)에는 상기 열교환기(34, 37)가 설치된 분기회로(67)가 복수 존재하며,
    상기 변화량 산출수단(52)은, 상기 분기회로(67)의 열교환기(34, 37)에서 발생하는 손실값을 상기 유량산출수단(56)이 산출하는 이 분기회로(67)의 냉매유량을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정상운전상태에서 상기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의 크기를 손실기준값으로 기억하는 손실기억수단(53)을 구비하며,
    상기 진단수단(54)은, 상기 변화량 산출수단(52)이 산출하는 산출값과 상기 손실기억수단(53)이 기억하는 손실기준값에 기초하여 상기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진단수단(54)은, 상기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손실별로 상기 변화량 산출수단(52)이 산출하는 산출값과 상기 손실기억수단(53)이 기억하는 손실기준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손실기억수단(53)은, 복수의 운전조건에 대하여 정상운전상태의 손실기준값을 기억하며,
    상기 진단수단(54)은, 상기 진단대상 부품 상태의 진단에, 상기 손실기억수단(53)이 기억하는 손실기준값 중 진단시의 운전조건에 대응하는 운전조건의 손실기준값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진단수단(54)은, 상기 변화량 산출수단(52)이 산출하는 산출값의 경시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진단수단(54)에 의한 상기 진단대상 부품 상태에 관한 진단결과를 표시하는 표시수단(5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1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냉매회로(20)에는, 상기 압축기(30) 및 각 열교환기(34, 37) 각각의 입구와 출구에서의 냉매의 온도와 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 압축기(30) 및 각 열교환기(34, 37) 각각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온도센서(45)와 압력센서(46)가 1조씩 장착되는 한편,
    상기 냉매상태 검출수단(51)은, 상기 감압수단(36, 39) 입구의 냉매온도와 엔트로피를 방열기가 되는 열교환기(34, 37) 출구의 값과 동일값으로 하며, 이 감압수단(36, 39) 출구에서의 냉매의 온도와 엔트로피를 증발기가 되는 열교환기(34, 37) 입구의 값과 동일값으로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냉동장치(10)를 진단하기 위한 정보로서, 상기 변화량 산출수단(52)이 산출하는 산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5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15. 압축기(30), 감압수단(36, 39), 및 복수의 열교환기(34, 37)를 포함하는 회로구성 부품이 접속되어 구성된 냉매회로(20)를 구비하며, 이 냉매회로(20)에서 냉매를 순환시켜 냉동주기를 행하는 냉동장치(10)에 접속되어 이 냉동장치(10)의 상태를 분석하는 냉동장치의 분석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30), 감압수단(36, 39), 및 열교환기(34, 37) 각각의 입구와 출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검출하는 냉매상태 검출수단(51)과,
    상기 냉매상태 검출수단(51)이 검출하는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상기 회로구성 부품 각각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크기를 개별로 산출하는 변화량 산출수단(52)과,
    상기 변화량 산출수단(52)이 산출하는 산출값에 기초한 냉동장치(10) 상태의 분석결과를 표시하는 표시수단(5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의 분석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냉동장치(10)에는, 상기 열교환기(34, 37)에서 냉매와 열 교환하는 유체가 유통하는 유체용 부품(12, 14, 28, 75, 76b)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회로구성 부품 및 상기 유체용 부품(12, 14, 28, 75, 76b)의 적어도 하나를 진단대상 부품으로서, 상기 변화량 산출수단(52)이 산출하는 산출값에 기초하여 이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를 진단하는 진단수단(54)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수단(55)은, 상기 냉동장치(10) 상태의 분석결과로서, 상기 진단수 단(54)에 의한 진단대상 부품의 상태에 관한 진단결과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의 분석장치.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55)은, 상기 냉동장치(10) 상태의 분석결과로서, 상기 변화량 산출수단(52)이 산출하는 산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각 회로구성 부품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에너지변화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의 분석장치.
  18. 청구항 15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30), 감압수단(36, 39), 및 열교환기(34, 37) 각각의 입구와 출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검출하기 위하여 필요한 상기 냉매회로(20)의 냉매상태를 검출하는 냉매상태 검출센서(65)를 적어도 구비하여 냉동장치(10)에 설치되는 제 1 구성부(47)와,
    상기 표시수단(55)을 적어도 구비하여 냉동장치(10)에서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구성부(48)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제 1 구성부(47)와 제 2 구성부(48)가 서로 통신회로(63)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의 분석장치.
  19. 청구항 15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회로(20)에 장착되어, 상기 압축기(30), 감압수단(36, 39) 및 열교 환기(34, 37) 각각의 입구와 출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검출하기 위하여 필요한 상기 냉매회로(20)의 냉매상태를 검출하는 냉매상태 검출센서(65)를 구비하며,
    상기 냉매상태 검출수단(51)은, 상기 압축기(30), 감압수단(36, 39) 및 열교환기(34, 37) 각각의 입구와 출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의 산출에, 상기 냉매상태 검출센서(65)의 계측값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의 분석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냉매상태 검출센서(65)는 복수의 온도센서(65)에 의해 구성되며, 그 중 1개가 방열기가 되는 열교환기(34, 37)에 장착되고, 다른 1개가 증발기가 되는 열교환기(34, 37)에 장착되는 한편,
    상기 냉매상태 검출수단(51)은, 방열기가 되는 열교환기(34, 37)에 장착된 온도센서(65)의 계측값에 기초하여 냉동주기의 고압압력을 산출하며, 증발기가 되는 열교환기(34, 37)에 장착된 온도센서(65)의 계측값에 기초하여 냉동주기의 저압압력을 산출함으로써, 상기 압축기(30), 감압수단(36, 39) 및 열교환기(34, 37) 각각의 입구와 출구에서의 냉매의 온도 및 엔트로피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의 분석장치.
KR1020087021977A 2006-03-23 2007-03-23 냉동장치, 및 냉동장치의 분석장치 KR200800974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80687 2006-03-23
JP2006080687 2006-03-23
JPJP-P-2007-00040803 2007-02-21
JP2007040803 2007-0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451A true KR20080097451A (ko) 2008-11-05

Family

ID=38522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1977A KR20080097451A (ko) 2006-03-23 2007-03-23 냉동장치, 및 냉동장치의 분석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32419B2 (ko)
EP (1) EP2003410A4 (ko)
JP (2) JP2008232604A (ko)
KR (1) KR20080097451A (ko)
CN (1) CN101400955B (ko)
AU (1) AU2007228009B2 (ko)
WO (1) WO20071085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7995A (ja) * 2008-06-27 2010-01-14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の冷媒量判定方法および空気調和装置
JP5040975B2 (ja) * 2008-09-30 2012-10-0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漏洩診断装置
JP5353166B2 (ja) * 2008-09-30 2013-11-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分析装置、及び冷凍装置
DE102010028315A1 (de) * 2010-04-28 2011-11-03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thermodynamischen Online-Diagnose einer großtechnischen Anlage
JP5595508B2 (ja) * 2010-09-30 2014-09-2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5058324B2 (ja) * 2010-10-14 2012-10-24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WO2012085970A1 (ja) * 2010-12-22 2012-06-28 三菱電機株式会社 給湯空調複合装置
US9168315B1 (en) 2011-09-07 2015-10-27 Mainstream Engineering Corporation Cost-effective remote monitoring, diagnostic and system health prediction system and method for vapor compression and heat pump units based on compressor discharge line temperature sampling
CN103363749A (zh) * 2013-08-05 2013-10-23 上海理工大学 饱和等熵压缩排气温差控制制冷剂流量的方法
US10788246B2 (en) * 2015-02-25 2020-09-29 Fbd Partnership, Lp Frozen beverage machin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10712063B2 (en) 2016-10-17 2020-07-14 Fbd Partnership, Lp Frozen product dispensing systems and methods
US11412757B2 (en) 2017-06-30 2022-08-16 Fbd Partnership, Lp Multi-flavor frozen beverage dispenser
CN107328026B (zh) * 2017-07-31 2019-06-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风机控制方法和装置、空调室外机
SG11202006851WA (en) * 2018-01-25 2020-08-28 Mitsubishi Electric Corp State analyzer system and state analysis device
JP6911883B2 (ja) 2019-03-29 2021-07-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の性能劣化診断システム
US11280529B2 (en) * 2019-06-10 2022-03-22 Trane International Inc. Refrigerant volume control
JPWO2021245792A1 (ko) * 2020-06-02 2021-12-09
US11796201B2 (en) * 2021-04-20 2023-10-24 Lennox Industries Inc. HVAC sensor validation while HVAC system is off
JPWO2023281735A1 (ko) * 2021-07-09 2023-01-12
CN114623570B (zh) * 2022-02-11 2023-07-21 武汉中电节能有限公司 空调制冷主机瞬时制冷功率的计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2403A (ja) * 1981-10-07 1983-04-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ラントの異常診断装置
US4510576A (en) * 1982-07-26 1985-04-09 Honeywell Inc. Specific coefficient of performance measuring device
US5073862A (en) * 1987-08-26 1991-12-17 Carlson Peter J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problems with the thermodynamic performance of a heat engine
JPH06331781A (ja) 1993-05-26 1994-12-02 Toshiba Corp プラント状態表示装置
JP3475915B2 (ja) 1993-09-01 2003-12-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状態監視装置
JP3119046B2 (ja) 1993-09-01 2000-12-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状態監視装置
JPH09152237A (ja) * 1995-11-30 1997-06-10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US5758506A (en) * 1996-07-03 1998-06-02 White Industr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ing automotive refrigeration systems
JP3569652B2 (ja) * 1999-07-12 2004-09-22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1133011A (ja) * 1999-11-10 2001-05-18 Matsushita Refrig Co Ltd 空調機の診断装置
US6973794B2 (en) * 2000-03-14 2005-12-13 Hussmann Corporation Refriger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01263756A (ja) * 2000-03-17 2001-09-26 Corona Corp 空気調和機
JP2005121248A (ja) * 2003-10-14 2005-05-12 Ckd Corp 冷却装置、故障診断システム及び故障診断方法
US7010925B2 (en) * 2004-06-07 2006-03-14 Carrier Corporation Method of controlling a carbon dioxide heat pump water heating system
US8109104B2 (en) * 2004-08-25 2012-02-07 York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decreased performance in a refrigeration system
US7353660B2 (en) * 2004-09-13 2008-04-08 Carrier Corporation Multi-temperature cooling system with unloa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00955A (zh) 2009-04-01
EP2003410A9 (en) 2009-04-22
AU2007228009A1 (en) 2007-09-27
JP2010175247A (ja) 2010-08-12
US20090151377A1 (en) 2009-06-18
WO2007108537A1 (ja) 2007-09-27
AU2007228009B2 (en) 2010-09-30
CN101400955B (zh) 2012-06-27
EP2003410A4 (en) 2017-05-17
EP2003410A2 (en) 2008-12-17
US8132419B2 (en) 2012-03-13
JP2008232604A (ja) 200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7451A (ko) 냉동장치, 및 냉동장치의 분석장치
US8555703B2 (en) Leakage diagnosis apparatus, leakage diagnosis method, and refrigeration apparatus
JP4762797B2 (ja) マルチ式空気調和システム
EP2354724B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US20110209487A1 (en) Monitoring system for air conditioner
EP2204621A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detecting malfunction thereof
JP5381572B2 (ja) 冷凍装置の診断方法、冷凍装置の診断装置、及び冷凍装置
US20120180506A1 (en) Refrigeration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EP2930450B1 (en) Air conditioning device
JP4039462B1 (ja) 冷凍装置
JP5164527B2 (ja) 空気調和機
EP2314954B1 (en) Refrigeration device
JP5487831B2 (ja) 漏洩診断方法、及び漏洩診断装置
Wichman et al. Fault detection and diagnostics for commercial coolers and freezers
JP4049610B2 (ja) ヒートポンプ熱交換器の異常検出装置
JP3584274B2 (ja) 冷媒量調整方法及び冷媒量判定装置
JP2008232569A (ja) 冷凍装置
EP2256423B1 (en) Multi-type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for checking operation of indoor electronic expansion valves of indoor units
JP7348547B2 (ja) 熱源ユニット及び冷凍装置
TH2101001827A (th) ระบบดำเนินการกับโหลดจากความร้อ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