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5766A - 가닥 모양의 직물 제품을 습식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가닥 모양의 직물 제품을 습식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5766A
KR20080095766A KR1020080035879A KR20080035879A KR20080095766A KR 20080095766 A KR20080095766 A KR 20080095766A KR 1020080035879 A KR1020080035879 A KR 1020080035879A KR 20080035879 A KR20080035879 A KR 20080035879A KR 20080095766 A KR20080095766 A KR 20080095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product
strand
spray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빌헬름 크리스트
타크 밍 윌리암 츠이
Original Assignee
덴 마쉬넨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 마쉬넨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덴 마쉬넨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95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7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28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propelled by, or with the aid of, jets of the treating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06B3/2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with means to improve the circulation of the treating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가닥 모양의(strand-shaped) 직물 제품을 습식 처리하기 위한 장치는 폐쇄형 컨테이너, 운반 가스매체가 공급되는 이송 노즐 어레이, 그리고 이송 노즐 배열 영역으로 통과되는 제품 가닥에 분무화 형태로 액체 처리제를 분사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처리제의 분사를 위한 장치는, 링형 방식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품 가닥을 감싸는 형태로, 제품 가닥의 이송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구역(I, III)에서 제품 가닥에 처리제를 분사하도록 설계된다. 그래서, 상기 운반 가스매체는 두 개의 구역 사이에 배치된 중간 구역(Ⅱ)에 있는 제품 가닥에 분사된다.
Figure P1020080035879
처리제, 운반 가스매체, 이송 노즐 어레이, 직물 제품, 습식처리장치.

Description

가닥 모양의 직물 제품을 습식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WET-PROCESSING STRAND-SHAPED TEXTILE GOODS}
본 발명은 가닥 모양의(strand-shaped) 직물 제품을 습식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습식 처리 장치는 운반 가스매체가 공급되는 이송 노즐 어레이를 구비하는 폐쇄형 컨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운반 가스매체는 이송 노즐 어레이 및 컨테이너를 통해 이송되는 제품 가닥의 형태로 구비하는 직물 제품 상에서 작동하며, 그리고 이송 노즐 배열 영역에서 통과되는 제품 가닥에 액체 처리제를 분무화(atomized) 형태로 분사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가닥 모양의 직물 제품을 습식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습식 처리 방법은 운반 가스매체가 공급되는 이송 노즐 어레이를 통해 제품 가닥을 이송시키는데 이용되며, 상기 제품 가닥은 이송 노즐 어레이에서 이송 방향으로 전달된다.
처리된 피륙(piece goods)이 가닥(strand) 형태로 나타나는 분사 원리에 의하여 작용되는 공기역학식 후염기계(piece-dyeing machine)를 고찰하면, 가닥 모양의 피륙의 이송은 가스 유동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스 유동은 송풍기에 의 하여 발생되고, 소위 분사장치로 불리는, 환형 갭을 가지는 벤튜리 이송 노즐(Venturi transport nozzle)을 포함하는 이송 노즐 어레이에 공급된다. 이러한 공기역학식 후염기계는 공지된 유압식 후염기계와 대조되며, 처리용액(treatment bath)이 가닥 물질의 이송에 영향을 미치며, 동시에 처리용액은 염색제, 보조제, 및 화학물질과 같이 처리용액 첨가물의 운반체로서 이용된다.
공기 역학 원리에 의하여 작동하는 분사식 가공기계(jet-processing machine)의 예로는 EP 0078022 B2 공보, DE 4119152 C2 공보, DE 19728420 D2 공보, DE 19924743 A1 공보, EP 1526205 A2 공보, DE 10349374 A1 공보, 그리고 DE 19924180 A1 공보가 있다.
이러한 참조 문헌으로부터 공지된 분사식 가공기계의 다른 실시예를 고려하면, 제품 가닥의 이송에 영향을 미치는 가스 유동의 방출은 개별 이송 노즐의 하우징 내에서 발생한다. 거의 모든 이러한 기계에 존재하는 특징과는 별개로, 기계 시스템 내부에서 이송 노즐의 위치가 변경된다. 상기 이송 노즐은 피동 혹은 공전 편향 롤러(idling deflecting roller) 상류측에 존재하거나, 편향 롤러에는 프리 휠 시스템(free-wheel system) 뿐만 아니라 구동부가 장착될 수 있다.
제품 가닥에 처리제를 분사하는 것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EP 0078022호에 따른 분사식 염색 플랜트(jet-dyeing plant)를 참조하면, 처리제는 제품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분사 영역에서 분무화 형태로 동시에 부가된다. DE 4119152 C2호 공보에 개시된 직물 제품용 습식 처리 장치를 참조하면, 처리제(처리용액)는 단지 제품 저장 공간의 입구 영역, 즉 이동하는 제품 가닥의 상부 및 하부 측면 상에 전달된다. DE 19728420 C2 공보에 기술된 바와 같은 직물재의 가닥 이송용 노즐 장치를 참조하면, 노즐 본체 중 하나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이송면에서 회동하는 직물 가닥 슬라이딩 장치의 배출 영역에는 용액 전달 장치가 마련되고, 직물 가닥을 향하는 하나 이상의 배출 오리피스는 직물 가닥 슬라이딩 장치의 후방 단부 영역에서 용액의 분사형 전달을 성취하도록 배열된다. DE 19924180 A1 공보에 따른 유사한 원리에 의해 작용하는 습식 처리 장치를 참조하면, 호스(hose)형 물질의 연속 로프의 이송 방향에서 볼 때, 처리용액용 주입 장치는 가스 노즐로서 구성되는 이송 장치의 상류측에 및/또는 하류측에 직접 배열되며, 상기 주입 장치는 용액 순환 시스템에 연결된다. 가스 노즐의 하류측에 두 개의 주입 장치(이 주입 장치는 제품 가닥의 하부면 상에 처리용액을 분사한다)를 배열하는 것을 상세히 설명하고, 처리용액의 유입은 가닥 모양의 호스 물질이 슬라이딩되는 용액 분사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DE 19924743 A1 공보는 용액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노즐이 제품 가닥의 이송 방향으로 이송 구역의 하부에 배열되는 유사한 장치를 설명한다. EP 156205 공보로부터, 시간 함수로서 제어되는 단위 시간당 처리제의 양으로 처리제를 이동중인 제품 가닥에 분사되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제품 가닥에 단위 시간당 분사된 처리제 양의 제어는 관련된 펌프 수단 및/또는 밸브 수단의 제어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처리제는, 환형 갭 영역에서 및/또는 제품 가닥의 이송 방향에서 볼 때 이송 노즐의 상류측 및 하류측 영역에서 벤튜리 이송 노즐로 전달된다. 마지막으로, DE 10349374A1 공보에 공지된 가닥 모양의 직물 제품용 습식 처리 기계를 참조하면, 제품 가닥에 처리용액을 분사하기 위한 수단은 벤튜리 이송 노즐의 상류에 있는 윈치(winch)와 이송 노즐 시스템의 노즐의 환형 갭 사이에서 제품 가닥의 진행 경로의 구역에 마련된다. 이송 노즐의 상류에서 제품 가닥을 적시므로, 이송 노즐에 유입되는 용액의 비율이 감소하게 될 것이다. 이송 노즐의 노즐콘(nozzle cone)의 관통 채널 안으로 처리용액을 주입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수단은 관통 채널(passage channel)을 제한하는 채널 벽면의 모든 둘레에 있으며, 따라서 관통 채널 안으로 처리용액을 주입시키는 상기 수단은 제품의 진행방향으로 이동하는 성분을 구비한다.
위에서 간략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제품 가닥에 처리제를 분사하는 유형과 다른 변형은, 제품 가닥에 처리제를 분사하는 종류 및 방법에 관한 다른 아이디어가 당업계의 숙련자에게 존재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다시 말해서, 이것은 가닥 모양의 직물 제품용 분사식 처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귀결되며, 상기 장치는 최적의 처리 조건하에서 천연 및 합성 섬유물질로서 구성되며 상이한 가닥 무게 및 가닥 부피를 구비하는 제품의 큰 구역을 처리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선택적으로 처리제로서 작용하는 운반 가스매체의 유동 에너지의 최적 전달 및, 이송 노즐 어레이에서 제품 가닥에 대한 액체 처리제의 최적 전달이 직물 제품의 표면에 어떠한 불리한 영향을 발생시키지 않고 보장된다. 그러나, 동시에 제품 가닥 상에 처리제의 균일한 분포가 보장되는 것을 확보하는 것이 또한 필요하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하여 달성되며, 상기 장치는 청구항 제1항과 같은 특징을 나타낸다. 직물 제품을 습식 처리하기 위한 대응하는 방법은 청구항 제27항의 요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이송 노즐 어레이의 영역으로 통과되는 제품 가닥에 액체 처리제를 분무화 형태로 분사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처리제 분사용 장치는 제품 가닥의 이송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있는 두 구역에서 제품 가닥에 처리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링 형태로 제품 가닥을 에워싸는 형태로, 분사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운반 가스매체는 두 구역 사이에 배치된 중간 영역에 있는 제품 가닥에 분사된다.
제품 가닥에 처리제(처리용액) 및 운반 가스 유동의 분리 전달로 인하여, 한편으로 제품 가닥에 운반 가스 유동의 유동 에너지의 최적 전달, 및 다른 한편으로 가스 운반 유동의 작동 영역으로부터 분리되는 두 구역에서 처리제의 최적 분포가 이루어진다. 두 개의 구역에서 처리제의 분사가 링 형태로 제품 가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도록 발생하기 때문에, 이송 노즐 어레이의 축선 상에 제품 가닥의 추가적인 센터링(centering)은 가닥 부피와 상관없이 이러한 구역에서 이루어진다. 동시에, 처리제로 제품 가닥의 환형의 습식, 즉, 제품 가닥의 모든 면의 습식은 제품 가닥에 처리제의 매우 균일한 분사를 보장하며, 그러므로 최적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처리제의 최적 분포는 이송 노즐 어레이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에 간단한 조치를 사용하여 각각 필요한 작동 조건에서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
가닥 모양의 직물 제품을 습식 처리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을 참조하면, 이송 노즐 어레이를 통과하는 동안에, 분무화 액체 처리제는 이송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있는 분리된 두 구역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품 가닥을 에워싸는 형태로 이동중인 제품 가닥에 분사되며, 동시에 이송 매체는 두 구역 사이에 배치된 중간 구역에서 제품 가닥에 분사되며, 이송 매체는 제품 가닥의 진행에 영향을 미친다.
새로운 장치 및 방법에 대한 변형은 종속청구항의 요지이다.
제품 가닥에 처리제(처리용액) 및 운반 가스 유동의 분리 전달로 인하여, 한편으로 제품 가닥에 운반 가스 유동의 유동 에너지의 최적 전달, 및 다른 한편으로 가스 운반 유동의 작동 영역으로부터 분리되는 두 구역에서 처리제의 최적 분포가 이루어진다. 두 개의 구역에서 처리제의 분사가 링 형태로 제품 가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도록 발생하기 때문에, 이송 노즐 어레이의 축선 상에 제품 가닥의 추가적인 센터링(centering)은 가닥 부피와 상관없이 이러한 구역에서 이루어진다. 동시에, 처리제로 제품 가닥의 환형의 습식, 즉, 제품 가닥의 모든 면의 습식은 제품 가닥에 처리제의 매우 균일한 분사를 보장하며, 그러므로 최적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도 1은 DE 102005022 B3 공보에 있어서, 기본 구조로 볼 때, 설명된 바와 같이 고온 후염기계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필수 구성요소가 아닌 후염기계의 구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에 관해서는 상기 공보를 참조한다.
상기 후염기계는 실린더형 배트(vat)로 구성된 처리 컨테이너(1)를 포함하며, 상기 컨테이너는 용접된 원환체형 헤드(torispherical head))에 의하여 양단면에 내압(pressure-tight) 방식으로 폐쇄된다. 일반적으로, 처리 컨테이너(1)는 인용된 공보에 설명된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수 개의 인접한 제품 저장 공간을 포함하며, 단지 하나의 상기 저장 공간이 도 1에 도시된 후염기계의 구역에 횡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품 저장 공간(2)은 두 개의 평행한 측면벽(3) 및 바닥면(4)에 의하여 제한되며, 단지 하나의 측면벽(3)이 도 1에 도시되며, 상기 바닥면은 측면벽(3)에 연결된다. 상기 바닥면(4)은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평행한 FTFE 로드(rod)의 수단 또는 FRFE 타일(tile)로 라이닝(lining)됨으로써 슬라이딩 바닥으로서 설계되며, 양 실시예는 처리 컨테이너(1)에서 바닥면(4) 아래에 있는 공간(5) 내부로 과도한 처리용액의 유출을 허용한다. 벽면을 제한하는 제품 저장 공간으로서 언급된 측면벽(3)은 내부에 각각 PTFE 코팅을 구비하며, 또는 바닥면(4)의 경우와 같이 마찰 감소 구조를 이루는 방식으로 단단한 타일 성분으로 구성된다. 내측 커버링(6)은 측면벽(3)에 연결되므로, 상기 제품 저장 공간은 제품 가닥 유입구(7) 및 제품 가닥 배출구(8)를 가지는 거의 U형 구성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처리 컨테이너(1) 내부에 형성된 제품 저장 공간(2)은 각각 동축의 제품 저장 공간 폭을 구비하며, 상기 제품 저장 공간의 폭은 거의 의 처리 공간 직경이 대략 2250 mm 인 상태에서 잠재적으로 통상 800 mm 혹은 그 이상이다.
각 제품 저장 공간(2) 안으로 이어지는 로딩 개구(loading opening) 및 언로딩 개구(unloading opening)는 제거가능한 내압 폐쇄부(9)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개구는 처리 컨테이너(1)의 수평 직경 평면(10)과 대략 동일한 수준에 배치된다. 처리 컨테이너(1)의 하부면에는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에 연결된 용액 회수 컨테이너(11)가 있으며, 직물 제품에서 빠지는 처리제(처리용액)의 회수를 위해 설계되어 있다. 상기 용액 회수 컨테이너(11)의 부피는, 총 용액의 양에서 직물 제품이 유지한 용액의 비율을 뺀 용량을 회수할 수 있을 정도이며, 이때 제품 외부의 용액 레벨과 접촉하는 각각의 제품 저장 공간 내에서 이동되는 제품은 제외한다.
직경 평면(10) 아래에 배치된 각각의 제품 저장 공간의 제품 가닥 배출구(8)로부터 떨어진 일정한 거리에서, 각 제품 저장 공간(2)은, 저장 공간 내부로 이어지며, 처리 컨테이너(1)의 배럴에 결합된 실린더형 연결편(12)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편은 축선(13)과 수직으로 정렬되며 제품 저장 공간(2)의 대칭되는 중심면에 배치된다. 상기 연결편(12)은 일 단부 상에 환형의 플랜지(14)를 구비하며, 상기 환형의 플랜지에 부착된 송풍장치(15)를 구비한다. 상기 송풍장치(15)는 연결편(12)의 축선(13)과 동축상에 있는 회전축선에 대하여 선회하는 방사상의 송풍 임펠러(18)를 포함하는 임펠러 하우징(17)을 가진 상부 하우징부(16)를 구비하며, 상기 송풍 임펠러는 상부 하우징부(16)에 배치된 전기모터(19)와 연결된다. 상기 전기모터(19)는 각각 요구된 운반 가스 컨베이어 흐름을 제어하도록 설계된 작동용 속도조절가능한 3상 모터이다. 송풍 임펠러(18)에 의하여 운반되는 가스 매체는 축선(13)과 동축상에 있는 외부 유동 채널(20) 내부로 전달되며, 상기 채널은 임펠 러 하우징(17)에 압력측 연결부(pressure-side connection)를 마련한다.
송풍장치(15)의 하우징의 하부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실린더형 내부 재킷(21)은 작은 방사상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연결 파이프(12) 내측으로 회전되게 지지되며, 상기 내부 재킷은 축선(13)과 같은 축상에 배열된다. 상기 내부 재킷(21)은 예로서 래버런스 밀봉부(labyrinth seal) 또는 홈이 있는 슬리브(grooved sleeve)처럼 구성된 밀봉부를 통하여 환형의 플랜지(14)에 대하여 측방향에서 밀봉되며, 적절한 프로필(profile)을 통하여 환형의 플랜지(14) 상에서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및 축방향으로 매달리도록 설치된다. 축선(13)에 대하여 동축방향으로, 내부 재킷(21) 내측에 배열된 유동 채널(22)이 원추형 흡입구를 가지고 연장하고, 상기 유동 채널은 송풍 임펠러 입구까지 흡입 채널로서 이어지며, 흡입편을 형성하고, 반대편 단부에서 처리 컨테이너(1) 내부에서 끝난다. 외부에 있어서, 상기 내부 축방향 유동 채널(22)은 내부 재킷(21)과 함께 외부 유동 채널(20)의 실린더형 연장부(20a)를 제한한다. 따라서, 송풍장치(15)는 같은 중심으로 배열된 2개의 수직 유동 채널(20, 20a; 22)을 포함하며, 흡입 채널로서 작용하는 상기 유동 채널(22)은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을 향하여 원뿔형으로 넓어지며, 내부 재킷(21)에 대하여 지점(22a)의 바닥에서 폐쇄된다.
상기 송풍장치(15)는 대체로 환형 플랜지(14)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이한 출력 또는 상이한 이송 특성을 나타내는 송풍장치로 대체할 수 있다.
이송 노즐 어레이(26)의 환형의 벤튜리 노즐과 같이 구성된 이송 노즐(25)의 튜브형 제품 가닥 유입부(23; 도 2)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내부 재킷(21) 및 상기 내부 재킷에 단단히 연결된 축방향 유동 채널(22)과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60°의 파이프 굴곡부로서 구성된 제품 가닥 유입부(23)는 제품 가닥 유입구(24)를 구비하며, 상기 제품 가닥 유입구는 제품 저장 공간(2)의 제품 가닥 배출구(8)에서 나오는 - 도 1의 참조부호 250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 연속적 제품 가닥의 적절한 제거 각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또한 제품 가닥 슬라이딩 장치를 위한 공간을 생성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직경 평면(10; 도 1)으로부터 가능한 최대한의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상기 제품 가닥 유입부(23)는, 분사 장치로서 언급할 수 있는 벤튜리 이송 노즐(25)의 유입 노즐부(27)로 이어진다. 튜브형 제품 가닥 유입부(23)는, 원뿔대 형태를 가지는 유입 분사 노즐 형성부(28)에 밀봉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입 분사 노즐 형성부는 배출측 이송 노즐 축선(29)과 동축을 이루며, 방사상 거리를 두고 유입 노즐부(27)를 에워싸게 된다. 유입 분사 노즐 형성부(28)는 외측에서 유동을 촉진하도록 구성되며, 제품 가닥 유입부(23)에 인접한 만곡형 밀폐부에 의하여 참조부호 30에서 용접되어 밀봉된다. 대안책으로, 유입 분사 노즐 형성부(28)는 유입 노즐부(27)에 또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입 분사 노즐 형성부(28) 및 유입 노즐부(27)는 이송 노즐 축선(29)에 대하여 동축방향에 있는 실린더형 노즐 하우징(31)에 의하여 둘러싸이며, 그리고 상기 노즐 하우징의 내벽은 노즐 형성부(28)로부터 방사상 거리를 두고 연장되며, 기밀방식으로 내부 재킷(21)과 연결된다. 그러므로, 제품 가닥 유입부(23) 및 유입 분사 노즐 형성부(28)는 도 2로부터 알려진 바와 같은 방식으로, 이송 노즐 하우징(31)과 함께, 송풍장치(15)의 압력채널(20a)에 연결된 이송 매체 유입 채널(32)을 제한한다.
측면에서 밀봉된 거의 깔때기 형태 또는 트럼펫 형태인 외부 노즐 형성부(33)가 실린더형 이송 노즐 하우징(31) 내측에 배열되며, 상기 외부 노즐 형성부는 유입 노즐 형성부(28)와 함께, 이송 노즐 축선(29)과 동축상에 있는 가이드 채널을 제한하며, 환형 갭(34)을 구비한다. 그러므로, 상기 가이드 채널 및 환형 갭(34)은 송풍장치(15)의 압력측에 압력 채널(20a, 32)을 경유하여 연결되며, 도 2에서 화살표 360으로 지시된 상기 운반 가스 유동은 상기 측면의 방향으로부터 적용된다. 상기 가이드 채널 및 환형 갭의 반경방향 폭은, 이송 노즐 하우징(31)에서 외부 노즐 형성부(34)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변경될 수 있으며, 그리고, 도 10을 참조하여 하기에 보다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폭은 가장 적절한 각각의 작동조건을 위하여 조정될 수 있다. 양 노즐 형성부(28, 33)는 예를 들어 철강 시트 또는 합성재료로 조립된 박판금속으로 형성되며, 측면으로 인접하는 외부 플랜지(35)를 구비하고, 노즐 형성부(33)는 상기 플랜지에 의하여 이송 노즐 하우징(31)의 내벽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는 방식으로 기밀된다. 양 노즐 형성부(28, 33)는, 도 2의 참조부호 36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이송 노즐 축선(29)에 대해 벤튜리 이송 노즐(25)의 각각 필요한 분사 각도가 달성되도록 구성된다. 대체로, 이러한 분사 각도는 10도 내지 30도 범위 이내이며, 가급적이면 15도 내지 25도 범위 이내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각도는 노즐 형성부(28, 33)를 적절하게 구성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이송 노즐 축선(29)에 대하여 동축방향으로 축방향 거리로서 연장되는 환형 갭(34)에 인접한 거의 깔때기형 유입부(37)는, 처리제 또는 용액 유동과 운반 가스 유동을 위한 인접한 실린더형 혼합영역(38)에 접하며, 상기 영역은 하류 확산기(39)에서 종단한다. 상기 확산기(39)는 보다 큰 직경(도 1)을 가지는 동축 이송 파이프(40)에 접하며, 상기 파이프는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배출 굴곡부(41)에서 종단하며, 상기 배출 굴곡부는 외부 이송 파이프(40)와 함께 이송영역을 형성하고, 배출중인 제품 가닥(250)을 저장 유입구(7) 내부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 굴곡부(41)는 최소의 거리로 유입구(7)의 가장자리 상에서 끝나며, 상기 굴곡부는 유입구 측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혼합영역(38)의 유입부(37)는 기밀방식으로 환형판(42; 도2)에 설치되며, 상기 환형판은 기밀되며, 플랜지 수단에 의하여 이송 노즐 하우징(31)의 정면 단부(face end)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된다.
실린더형 이송 노즐 하우징(31)에는 두 개의 주입 분사 노즐 시스템(43, 44)이 제공되며, 상기 2개의 주입 분사 노즐 시스템은 동축 방식으로, 이송 노즐 축선(29)을 따라 축방향 거리를 두고 배열되며 상호 분리된다. 제1주입 분사 노즐 시스템(43)은 실린더형 처리제 또는 처리용액 분배링(45)을 포함하며, 상기 분배링(distributor ring)은 유입 노즐부(27)에 외측으로 부착되고, 유입 노즐 형성부(28)와 유입 노즐부(27)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열된다. 상기 용액 분배링(45)은 외측을 향하여 이송 노즐 하우징(31)을 통해 연장되는 기밀 연결편(46)을 구비하며, 도 3a에 도시된 방식으로, 다수의 팬(fan) 분사 노즐(47)을 지지하며, 즉 본 실시예에서 여섯 개의 노즐을 지지하며(노즐의 개수를 제한하지는 않음), 각각의 팬 분사 노즐은 용액 분배링(45)에 볼 조인트(48)을 경유하여 각각 연결된다. 상기 유입 노즐 형성부(28)는 도 2에 화살표 360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운반 가스 유동에 대하여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분사 노즐(46)을 감싸고 있다. 상기 분사 노즐은, 연결편(46) 및 용액 분배링(45)을 경유하여 전달된 처리제(처리용액)를, 예정된 분사 각도와 분무화 형태로서, 유입 노즐부(27)로부터 배출되는 제품 가닥(250) 상에 분사시키며, 이러한 분사는 제품 가닥(250)이 유입 노즐 형성부(28)에서 배출되기 이전에, 그리고 환형 갭(34)으로부터 운반 가스 유동이 분사되기 이전에 실행된다.
분사 노즐(47) 및 이송 노즐 축선(29)에 의해 결정되는 분사 각도는 볼 조인트(48)를 통하여 조정할 수 있다. 대체로, 상기 각도는 모든 분사 노즐(47)에 대해 동일하며, 그리고 90도보다 적다. 오히려, 상기 각도는 10도 내지 30도, 특히 15도와 25도 사이의 범위 이내이다. 상기 분사 노즐(47)의 분사 각도의 최고점이 도 1에 화살표 480으로 지시된 제품 가닥(250)의 이송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통과되는 제품 가닥(250)에 분사되는 용액은 오른쪽 방향으로 도 1에 있어서 제품 가닥의 이송을 촉진하는 제품 가닥 이송 방향(480)에 힘의 성분을 생성시킨다. 제품 가닥(250) 둘레에 링 형태로 배열되는 분사 노즐(47)의 제2성분은 반경 방향으로 향하게 되며, 이송 노즐 축선(29)에 대하여 통과중인 제품 가닥을 센터링하도록 시도한다.
전술된 제1주입 분사 노즐 시스템(43)은 이송 노즐 어레이(26)의 제1구역 (Ⅰ)에 배치되며, 상기 구역은 제품 가닥(250)의 이송 방향(480)으로 용액 분배링(45)으로부터 유입 노즐 형성부(28)의 개구까지 적절히 연장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역(Ⅰ)은 이송 방향(480)으로, 이송 노즐 어레이(26)로 제2구역(II) 또는 중간 구역과 접하며, 상기 구역(II)에서, 환형 갭(34)으로부터 배출되는 운반 가스 유동은 통과중인 제품 가닥(250)에 분사된다.
이어서, 상기 제품 가닥(250)은 이송 노즐 어레이(26)의 제3구역(III)에 진입하며, 상기 구역은 외부 노즐 형성부(33) 사이에, 즉, 이송 방향(48)으로 상기 구역에 의하여 형성된 환형 갭(34)의 범위로부터 혼합영역 유입부(37)의 단부까지 적절히 연장된다. 상기 제3구역에는 이송 노즐 축선(29)에 대하여 동축방향에 있는 처리제 또는 처리용액 분배링(49)을 포함하는 제2주입 분사 노즐 시스템(44)이 배열되며, 상기 링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부 노즐 형성부(33), 이송 노즐 하우징(31), 그리고 환형판(42)에 의하여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 수용되며, 제1분사 노즐 시스템(43)의 용액 분배링(45)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상기 제2용액 분배링(49)은 용액 전달을 위해 축방향으로 정렬된 연결편(50)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편은 외측으로 연장되며, 환형판(42)에 의하여 기밀되며, 도 2에 분명하게 도시되지 않은 다른 장치와 함께 용액 분배링(49)을 위한 지지부로서 작동한다. 연결 지지대(500)를 통하여, 상기 용액 분배링(49)은 이송 노즐 하우징(31) 내부로 기밀되는 외부 노즐 형성부(33)에 연결되며, 용액 분배링(49)의 축방향 조절로 인하여 노즐 형성부(33)가 축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는 방식으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이는 도 10을 참조하여 나중에 자세히 설명하게 될 것이다.
원주 둘레로 배치된 상기 용액 분배링(49)은 다수의 주입 분사 노즐(51)을 구비하며, 상기 노즐의 수량은 제한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여섯 개이며, 각 볼 조인트(52)를 통하여 용액 분배링(49)에 각각 연결된다. 분사 노즐(51) 및 이송 노즐 축선(29)에 의하여 결정되는 분사 각도는 볼 조인트(52)를 통하여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분사 각도는 90도보다 작고, 분사 각도의 최고점은,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분사 노즐(51)로부터 배출되는 용액 분사가 통과중인 제품 가닥에 제품 가닥(250)의 이송방향(480)으로 향하는 힘 성분을 전달시키는 방식으로 정렬되며, 상기 힘 성분은 이송 방향(480)에서 제품 가닥의 이송에 기여한다. 동시에, 제품 가닥 둘레에 균일하게 배치된 분사 노즐(51)은 제품 가닥 상에 방사상으로 작동하는 힘 성분을 생성시키며, 상기 힘 성분은 이송 노즐 축선(29)에 대하여 제3구역(III)에서 제품 가닥의 센터링을 실행하거나, 적어도 센터링에 영향을 준다. 제2주입 노즐 시스템(44)의 분사 노즐(51)은 처리제(처리용액)를 실어가며 또한 분무화 상태로, 제품 가닥의 표면 상에 분사하며, 그러므로, 제품 가닥은 링 모양으로 분사 지역에 의하여 둘러싸인다.
이송 노즐 어레이(26)를 통과하는 연속적인 제품 가닥(250)의 이송 및 처리제 분사는 지금까지 전술된 이송 노즐 어레이에서 다음과 같이 발생한다;
상기 송풍장치(15)는 유동 채널(22)을 통하여, 필터 부재(도1)를 경유하여, 컨테이너(1)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운반 가스매체(대체로, 공기/수증기 혼합물)를 이송시키며, 도 2에 화살표 36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노즐의 환형 갭(34) 상에서, 유동채널(20a, 32)을 경유하여, 작용하는 이송 매체 유동에 압력을 가한다. 이러한 결과로서, 상기 연속적인 제품 가닥(250)은 도 1에서 시계방향으로 순환하고, 이에 의해 제품 가닥은 제품 가닥 배출구(8)를 통하여 제품 저장 공간(2)에서 연속적으로 배출되고, 제품 가닥 유입부(23) 내부로 편향 롤러(55)(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루프 각도를 제어하는 관련된 가이드 롤러(56)를 구비한다)를 경유하여 이동되고, 이송 노즐 어레이(26)에서 이송 방향(480)으로 구동되며, 다음에, 이송 노즐 어레이(26) 및 이송 구역(40)을 통과하여 배출 굴곡부(41)로부터 배출된 후에, 제품 저장 공간(2)의 제품 가닥 유입구(7) 내부로 이동되며, 그동안에 공지된 방식으로 동시에 커틀(cuttle)된다.
제품 가닥이 이송 노즐 어레이(26)를 통해 이동하는 동안, 제품 가닥 둘레에 균일하게 분배하는 분사 노즐(47)은 환형 방식으로, 제품 가닥을 에워싸는 작동영역에서 모든 측면으로부터 이동중인 제품 가닥에 처리용액을 도포하며, 따라서, 통과중인 제품 가닥의 주변 표면이 분사된 처리용액에 의하여 모든 둘레에 균일하게 젖는다. 즉, 제1구역의 개략도인 도 3 및 도 3a는 링 형태의 작동 영역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 영역은, 이송 방향(48))으로, 혼합영역(38)의 유입부(37)의 거의 단부까지 연장된다. 작동영역(60)의 축방향 길이는, 분사 노즐(47) 및 이송 노즐 축선(29)에 의하여 결정되는 분사 각도에 의존하고, 상기 분사 각도는 운영 조건에 의존하는 필요한 목적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개별 분사 노즐로부터 연장되어서 이송 노즐 축선(29)을 향하여 팬(fan)과 같이 확장되는 분사 범위는, 제품 가닥(250)의 표면 영역에서 가장자리를 따라 오버랩되며, 그러므로, 연속적으로 점착력이 있는 작동영역이 모든 둘레에 생성된다. 따라서, 분사 노즐(47)의 수량은, 예를 들면, 제품 가닥의 직경, 제품 가닥의 이동 속도 등의 함수로서, 각각의 목적을 위해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분사 노즐은 원뿔형 분사 노즐, 팬형 분사 노즐, 그리고 원호 형태로 만곡된 분사 노즐이 될 수 있으며, 또는 분사 노즐은 제품 가닥을 둘러싸는 동안 제품 가닥의 표면 상에 균일한 도포 또는 작동영역을 만들기 위하여 각 목적에 적합하도록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4a에 도시된, 이송 방향(48)으로 제1구역에 접하는 중간 구역(II)에서, 제품 가닥(250)은, 환형 갭(34)으로부터 배출되는 운반 가스 유동의 영향을 받는 영역을 통과한다. 상기 영역에서, 제품 가닥(250)에 운반 가스 유동의 유동 에너지가 최적으로 전달되며, 즉 도 4a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과중인 제품 가닥의 전체 표면 둘레에 최적으로 전달된다. 운반 가스 유동의 영향 하에서, 제1구역으로 분사된 처리용액의 분포는, 도 4에 축방향으로 확장된 환형의 작동영역(61)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더욱더 증진된다. 상기 운반 가스 유동은 축방향으로 이러한 작동영역을 증가시키고 또한 제품 가닥 전체로 분사된 처리제의 균일한 분포를 촉진하게 된다.
중간 구역(II)에 인접하여서, 상기 제품 가닥(250)은 구역(III)을 통과하며, 이 구역에서 새로운 처리제 또는 처리용액이, 도 5 및 도 5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가닥(250)에 분사된다. 다시, 작동영역(62)에서 제품 가닥 둘레에 모두 배치되며 그리고 환형 방식으로 제품 가닥을 에워싸는 분사 노즐(51)을 통하여 용액이 분사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 노즐(51)의 이송 노즐 축선(29)에 대하여 분사 방향은 볼 조인트(52)를 통하여 조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통과중인 제품 가닥(250) 둘레로 연장되는 작동영역(62)의 조정이 또한 가능하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작동영역(62)은, 이송 방향(480)으로, 혼합영역(38)까지 연장하며, 상기 작동영역은 혼합영역(38)의 축선 중심 또는 더욱더 멀리 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분사 노즐(51)의 구성 및 수량에 관해서, 상술한 제1구역(I)의 분사 노즐(47)과 동일하게 적용한다. 또한 이 경우에 개별 분사 노즐(51)로부터 배출되며 팬 같은 방식으로 넓어지는 상기 분사는 통과중인 제품 가닥(250)의 표면영역에서 그들의 가장자리를 따라 오버랩된다.
그러나, 상기 제1구역(I)의 분사 노즐과 같이, 상기 분사 노즐(51)은 특별한 상황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불규칙적으로 분포될 수 있으며, 상이한 형태의 분사 노즐 및 상이한 분사구성이 함께 작동될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기 바란다. 또한 분사 노즐이 단일 용액 분배링(45 또는 49)에 연결되지 않고, 여러 개의 용액 분배링이 구역(I) 및/또는 구역(III)에서 방사 방향으로 또는 축방향으로 오프셋 방식으로 마련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구역(I, 및 III)에서 제품 가닥에 대한 처리용액의 전술한 분할 전달과 조합한 작용의 결과로서, 중간 구역(II)에서 제품 가닥에 대한 운반 가스 유동의 유동 에너지의 최적의 전달 및 처리용액의 매우 적절한 배분이 달성되며, 따라서 가닥의 부피와 관계없이 두 구역에서의 분사작용은 가닥 모양의 제품이 이송 노즐 축선(29) 상에 집중되도록 만든다.
혼합영역(38)에서 배출되는 도중에, 처리용액 유동 및 운반 가스 유동은 다 시 제품 가닥들의 내부에서 혼합되며, 처리된 제품 가닥들은 확산기(39)에 진입된다. 상기 확산기(29)에서, 유동의 횡단면이 증가하기 때문에, 또한 상기 운반 가스 유동의 유동 속도 및 운반 가스 유동의 범위 내에서 분무화된 처리용액의 유동 속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가닥 모양의 제품들이 벌어지며, 상기 처리용액은 직물 제품의 표면상에 유착함으로써 농후하게 된다.
상기 확산기(39)에서 가닥 모양의 제품들이 벌어지는 과정은 전달된 용액 유동의 구역(I, 및 III)의 부분적인 유동 결과로서 생기는 처리용액 작용의 균일한 분포와 함께 도 6 및 도 6a에 도시된다.
이러한 과정은 이동중인 제품 가닥(250)에 처리용액 분사의 균일성에 대해 중요한 작동 단계를 나타낸다. 공지된 시스템을 참조하면, 제품 가닥에 의하여 흡수되지 않으며, 제품 가닥에 의하여 운반되지 않은 처리용액은 운반 영역의 하부로 모이고, 여기서 처리용액이 제품 저장 공간 내부에 용액 분사로서 방출되며, 그래서 가닥은 직물의 전체 로트에 걸쳐 분포하기 위하여 수차례 순환되어야 한다. 그러나, 노즐 어레이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상기 노즐 어레이에 관련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방법을 참조하면, 이러한 보충횟수가 요구되지 않으며, 왜냐하면, 노즐 어레이(26)에 의하여, 유입되는 운반 가스 유동뿐만 아니라 유입되는 처리용액이 개별로 처리된 직물 제품의 사용 목적 및 개별로 수행된 마감 단계에 따라 일관성 있게 제어되어서 처리용액의 최적 분배가 달성되기 때문이다.
도 7은 분사 노즐(47 및/또는 51)을 위해 팬 분사 노즐을 사용한 분사 패턴의 개략적 사시도를 도시한다. 플랫(flat) 분사 노즐, 이 경우에 분사 노즐(47)은 제품 가닥(250) 모든 둘레에 배열된다. 이러한 개별 분사 패턴은 제품 가닥을 에워싸며, 이에 의해 분사 패턴들은 말하자면, 제품 가닥 모든 둘레에 용액 필름을 형성하며, 따라서 상기 분사 패턴은 제품 가닥(250)의 표면의 충돌영역에서 가장자리를 따라 조금 오버랩되거나, 또는 적어도 함께 폐쇄한다. 도면에서 분사 노즐(47)의 분사 각도로 알 수 있는 벡터 도형을 볼 때, 개별 분사는 제품 가닥(250)에 대해 이송 방향(48)으로 작용하는 힘 성분(47a) 및 내측으로 작용하는 힘 성분(47b)을 적용한다.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한 힘 성분(47b)은 제품 가닥의 센터링을 이루거나, 또는 적어도 촉진시키며, 반면에 이송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성분(47a)은 제품 가닥의 진행 운동에 기여한다.
기본적으로, 도 8에서의 상황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도 8은 분사 노즐(47)의 수정된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다시 실례로서 분사 노즐(47)을 예시한다. 도 7에 따른 상기 팬 분사 노즐 대신에, 상기 분사는 원호 형태로 퍼지는 분사로서 나타나게 된다. 개별 분사 노즐(47)이 원호 형태로 되어있는 이러한 분사 패턴 배열로 인하여, 제품 가닥(250)을 둘러싸는 분사영역은 원주 방향으로 넓어지게 되며, 따라서 분사 노즐(47 및 51)의 수량은 감소하게 될 것이다. 도 7에 따른 팬 분사 노즐과, 도 8에 따른 원호 형태를 구비하는 분사 노즐에서, 상기 처리용액의 포물선형 분포는, 제품 가닥의 표면에 균일한 처리용액 분사를 이루기 위하여 인접한 분사 패턴들의 분사 노즐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개별 오버랩을 요구하며, 이러한 것은 이미 지적되어왔다. 이미 전술된 바와 같이 최적의 분사 작용의 조정은 볼 조인트(48 또는 52)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따라서 상기 노즐 어레이(26)를 작동하 기 위한 조정 불변량(adjustment-constant)이 되는 이러한 조정은 다시 변화될 필요가 없다.
도 9는 기본적인 작용 순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혼동을 피하도록 도 1에서 생략된 메인 제어 및 조정 장치를 구비하는 도 1에 따른 고온 후염기계를 도시한다. 가닥 형태로 존재하는 천연 및 합성 섬유 물질의 피륙은 이러한 기계에서 처리된다. 처리되는 동안, 직물 제품을 마감 처리하기 위해 요구된 생성물, 화학물 및 염료는 개별적으로 최소의 배취(batch)로서 분사되며, 따라서 이동중인 제품 가닥에의 분사는 흡수력 및 이송 용량의 함수로서 또는 각각의 예정된 처리 단계를 기초로 하여 발생한다. 상기 분사 방법은 마감 결과가 재생산 가능한 방법으로 달성되도록, 즉, 신속 수준 및 피륙의 기술적 가치의 관점으로 요구된 제품 품질을 유지하는 동안에 제품을 매우 조심스럽게 다루는 방법으로 제어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부분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도 9에 있어서 기능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도 1의 참조부호만이 사용된다.
본 장치는 송풍장치(15)의 전기 모터와, 상기 장치의 작동을 위해 요구되는 다양한 펌프 및 밸브를 작동시키는 전기 제어장치(65)를 포함한다. 참조부호 64에 있어서, 예를 들면 처리되는 제품, 제형(formulation) 및 처리 단계와 같은 이용자 정보는 제어장치(65)에 입력될 것이며, 한편으로는, 쌍방향 인터페이스(interactive interface)를 이용자가 또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처리용액 순환부(67)는 용액 순환 펌프(68) 및 열 교환기(69)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용액 순환부(67)는 용액 회수 컨테이너(11)에서 처리제 공급 도관(70)까지 이르고, 상기 공 급 도관으로부터 개별 제품 저장 공간의 이송 노즐 어레이(26)에 처리제가 공급된다. 상기 처리용액 순환부(67)는 체크 밸브(71) 및 용액 배수 밸브(72)를 포함한다. 상기 처리용액 순환부는 계량 펌프(74)를 갖춘 사전제형(pre-formulation)/사후제형(post-formulation) 컨테이너(73)에 연결된다. 체크 밸브(75)를 포함하는 우회 도관(76)은, 규정한 처리 단계를 위해 요구하는 대로, 처리용액 컨테이너와는 별도로 처리용액 순환을 가능하게 한다. 비복귀 체결구/제어 밸브(non-return fitting/control valve; 77 및 78)를 경유하여, 공급라인은 용액 분배링(45 및 49)까지 이어지며, 상기 분배링은 각각의 연결파이프(46 및 50)에 의하여 연결된다. 제품 가닥의 이동 경로에서 편향 롤러(55)의 상류에는, 컨테이너(1)에 보조 분사 노즐(79)이 있으며, 상기 노즐은 제품 저장 공간(2)으로부터 배출되는 제품 가닥(250)에 처리용액을 분사시킨다. 이러한 부가의 용액 분사는, 처리제 공급라인(70)으로부터 멀리 이어지는 도관(81)에 배치된 제어밸브(8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더욱이, 보조 분사 노즐(83)을 위한 공급라인은 체크 및 제어밸브를 통하여 도관(81)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공급라인은 제품 가닥이 제품 저장 공간(2)에 진입할 때 제품 가닥(250)에 부가적인 분사를 허용된다.
제1구역(I)의 용액 분배링(45)으로 처리용액을 공급하는 일은 분사 노즐의 압력/부피 도표에서 특성 라인과 일치하는 압력을 사전에 규정함으로써 제어밸브(77)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와 동일한 제어가 제2용액 분배링(49)에 처리용액의 공급에 적용되며, 상기 공급은 제어밸브(78)에 의하여 적절하게 제어된다.
상기 보조 분사 노즐(79)을 통해 처리용액 전달에 영향을 미치는 제어밸 브(80)는, 예를 들어, 편향롤러(55)에 접촉하도록 회동하는 공전 압력 롤러(56)와 상호 작용함으로써 반응성 염색 오점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 작용에 이용된다. 이와 같이, 제품 가닥에 부착하는 유체 및 부분적으로 모세 유체(capillary fluid)의 기계적인 제거를 달성하기 때문에, 이송 노즐 어레이에 의해 공급된 중간 처리 유체와 처리용액과의 교환이 개선되고, 따라서, 직물 제품에서 세정되는 물질의 농도 저하가 가속되고, 이러한 방식의 결과로서, 세정 시간이 단축되고, 필요한 세정수가 감소된다.
상기 제어밸브(82)는, 젖은 상태 동안, 즉 섬유 물질 및 직조 구조 때문에 처음에 딱딱해지는 경향이 있는 그런 제품의 경우로, 제품 저장 유입구로 커틀(cuttle)되는 직물 제품 가닥에 처리용액을 분무 형태로 추가적인 분사를 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상기 이송 노즐 어레이(26)에서 이동하는 제품 가닥(250)에 분사되는 처리용액의 양에 대하여, 상기 용액 순환 펌프(68)는 각각의 제1 및 제3구역(I 및 III)에서 용액 양의 총량으로서 조절되며, 상기 압력/부피 유동 도표는 제품 가닥의 표면영역 및 충돌하는 분사 물방울의 속도 범위의 영역에서 분사 분해능(jet resolution)의 분포를 산출하도록 이용된다. 도 7 및 도 8에 따라 설명된 제품 가닥 상에 미치는 분사 작용의 제1 및 제3구역(I, 및 III)에 대한 각각의 벡터 도표에 대응하여, 참조부호 47a(도 7)에 따른 축방향에 평행한 속도 성분은 가닥 이동 속도에 대한 속도이며, 직물 제품의 표면 구조 및 민감도의 함수로서 최대 차이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사용되는 유도치(guide value)는, 기계의 정지 상태 압력 을 뺀 분사압력이며, 2 내지 4 바(bar)가 될 것이다. 매우 민감한 직물 제품이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이송 노즐 어레이(26)에서 허용되는 평균 처리 압력(상기 용액 분배링(45 및 49)에서의 압력)은 기계에서 부가적 처리용액 연결 지역에서의 압력보다 낮으며, 이송 노즐 어레이(26)로 향하는 유입 라인(70)에서 부가적인 제어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
제품( product ):
1. 싱글-저지(Single-Jersey), 28E/30 Inch, 100% BW 니트제품, Nm 50/1, 소면되었음(combed).
2. 스트링 라이닝(string lining), 20E/26 Inch, 100% BW 니트제품, Nm 50/1, 소면되었음. 라이닝 실(lining thread)로서 Nm 10/1.
3. 100% PES 모직제품, 80g/m2, 폭=155cm.
제품 1 2 3
섬유 백분율 % 100% CO 100% CO 100% PES
호스 폭 인치 30 26
섬유 폭 cm 155
단위 면적 당 무게 g/m2 155 295 80
미터 당 무게 g/m 260 455 125
물질 두께 mm 0.55 1.15 0.20
100㎏ 당 기판 부피vS Ltr 66.7 66.7 72.5
100kg 당 직물 부피VT Ltr 359 390 248
간극 요소 E=1- vS/VT 0.814 0.829 0.708
제품(1)에 대한 실시예
100% BW 니트제품, Nm 50/1
이용가능한 싱글 저지는 싱글 표면의 평탄한 제품이다.
재료 특성에 대하여, 상기 전술한 표를 참조.
100kg 당 직물 제품 VT = 356 Ltr
100kg 당 물질 부피 Vs = 66.7 Ltr
100kg 당 간격 크기 Vz = 289 Ltr
특정 가닥 길이 = 3.85 m/kg
100%에서 용액 양 VZ = 2.89 1/kg
배취(batch) 사용/저장 = 250 kg
가닥 길이/저장 = 962 m
제품 속도 = 500 m/분
순환 시간 = 115 초
순환 시간 동안 배수량의 합계
(VZ 100% - VZ 80%) × 1.1 = 0.64 Ltr/kg
직물 제품의 무게/분 = 130 kg/분
용액 분사 = 113 Ltr/분
접촉 롤러(56)에 의한 용액 교환
VZ 100% - VZ 70 % = 0.867 Ltr/kg
용액 분사 = 113 Ltr/분
이송 노즐 어레이(26)로 향하는 용액 전달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구역에 대한 유동 부피는 83.2 Ltr/분이다. 5m3/h의 운반 유동을 고려하여, 용액 펌프(62)는 그것을 위해 요구되는 회전율을 조정하며, 상기 회전율은 컨버터 모드를 위한 2상 회전 전류 모터를 위한 기초로서 사용된 50 Hz에서 3000 rpm의 회전 동기율보다 작다.
송풍 모터(19)를 고려하면, 임펠러의 회전속도가 예정된 제품 속도까지 상향 조정되는 방식으로 송풍 모터가 제어되며, 따라서, 작동 지점은 m3/s의 유량 및 밀리바(mbar)의 총 압력의 증가에 대한 좌표로 흡입 상태를 위한 특징상의 교차 지점으로 나타난다. 특성과 연관된 출력파는 부피 유량에 대한 유도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품(2)에 대한 실시예
스트링 라이너 제품에 대한 라이너 실(liner thread)로서, 100% BW 니트제품, Nm 50/1 및 Nm 10/1
재료 특성에 대하여, 상기 전술한 표를 참조.
100kg 당 직물 제품 부피 VT = 390 Ltr
100kg 당 기판 부피 Vs = 66.7 Ltr
100kg 당 간격 부피 Vz = 323 Ltr
특정 가닥 길이 = 2.20 m/kg
100%에서 용액 양 VZ = 3.23 1/kg
배치(batch) 사용/저장 = 250 kg
가닥 길이/저장 = 550 m
제품 속도 = 300 m/분
순환 시간 = 110 초
순환 시간 동안 배수량의 합계
(VZ 100% - VZ 80%) * 1.1 = 0.715 Ltr/kg
직물 제품의 무게/분 = 136 kg/분
용액 분사 = 97.24 Ltr/분
접촉 롤러(56)와 변화되는 용액
VZ 100% - VZ 70 % = 0.96 Ltr/kg
용액 분사 = 130.56 Ltr/분
이송 노즐 배열부(26)에서 용액 전달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구역에 대한 유동 부피는 97.24 Ltr/분이며; 또는 5.83 m3/h의 운반 유동을 위하여, 용액 펌프(68)의 제어는 제품(1)에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이는 300 m/분의 제품 속도에 대하여 송풍장치(15)의 제어에 또한 적용된다.
제품(3)에 대한 실시예
100 % PES 직물제품, 80 g/m2 및 155 cm의 물질 폭.
재료 특성에 대하여, 상기 전술한 표를 참조.
100kg 당 직물 제품 VT = 248 Ltr
100kg 당 물질 부피 Vs = 72.5 Ltr
100kg 당 간격 크기 Vz = 175.5 Ltr
특정 가닥 길이 = 8.0 m/kg
100%에서 용액 양 VZ = 1.75 1/kg
배취(batch) 사용/저장 = 180 kg
가닥 길이/저장 = 1440 m
제품 속도 = 700 m/분
순환 시간 = 123 초
순환 간격 동안 배수량의 합계
(VZ 100% - VZ 80%) * 1.1 = 0.484 Ltr/kg
직물 제품의 무게/분 = 87.5 kg/분
용액 분사 = 42.35 Ltr/분
접촉 롤러(56)에 따른 배취(batch) 변화
VZ 100% - VZ 70 % = 0.61 Ltr/kg
용액 분사 = 53.8 Ltr/분
상기 이송 노즐 어레이(26)에서 용액 전달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구역에 대한 부피 유량은 42.35 Ltr/분이다. 3.27 m3/h의 운반 유동을 위하여, 용액 펌프(68)의 제어는 제품(1 및 2)에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이는 700 m/분의 제품 속도로 송풍장치(15)의 조정에 또한 적용된다.
도 10 및 도 11은 도 2에 따른 상기 이송 노즐 어레이(26)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외부 노즐 형성부(33)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동일한 부분은 다시 설명되지 않으며 도 2와 같이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이미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 노즐(51)은 볼 조인트(52)를 통하여 제3 구역(III)의 용액 분배링(49)에 연결된다. 상기 용액 분배링(49)은 지지대(500)를 경유하여 외부 노즐 형성부(22)에 연결되며, 따라서, 상기 용액 분배링(49)의 축선 이동의 결과로서, 상기 외부 노즐 형성부가 도 10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 내부에서 도시된 위치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환형 갭(34)으로부터 배출되는 운반 가스 유동의 분사 폭은, 송풍장치 배출 및 직물 제품/제품 스펙트럼에 의존하여, 일반적으로, 한 번의 조정처럼, 외부 노즐 형성부(33)를 축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제품 가닥의 속도가 제품 가닥에 도달하는 운반 가스 유동의 작용 역할이므로, 컨테이너(1)에 가스의 각각의 상태의 기능인 작용 조건의 변화 추이는 송풍장치(15)의 특징에 참조하여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노즐 형성부(33)의 축방향 조정은 도면에 특별히 도시되지 않은 작동기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50) 상에 형성된 작동기는 용액 분배링(49)의 축방향으로 작동수에 작용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작동기는 제어장치(65; 도9)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분사 노즐(51) 및 이송 노즐 축선(29)에 의하여 결정되는 분사 각도를 변화하기 위하여, 작동 메커니즘은 원추형 및 환형의 트레이(85)를 포함하게 마련되며, 상기 원추형 및 환형의 트레이는 서로 180도의 비율로 오프셋되는 두 개의 조정 핀을 통하여 이송 노즐 축선(29)에 트레이가 평행하게 이동되도록 지지되며, 그리고 환형판(24)에 의하여 기밀된다. 참조부호 87에서 회동되게 지지되는 이중 아암 레버(88)를 통하여, 상기 조정핀(86)은 환형판(24) 상에 지지되는 조정 스핀들(89)과 연결되며, 상기 스핀들은 원추형 및 환형의 트레이(85)의 축 조정을 허용한다. 상기 분사 노즐(51)은 커넥터(90)의 수단에 의하여 원추형 및 환형의 트레이에 설치되며, 즉, 상기 환형의 트레이가 축방향으로 조정될 때 각각의 분사 노즐(51)의 나선형의 연결편 상에 형성된 상기 커넥터(90)가 이동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선택된 기본적인 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분사 노즐(51)에 이용가능한 분사 각도 범위는 45도의 편차 각도가 없는 분사 각도를 구비하며, 각각 최고 30도의 각도 범위 이내에서 조정될 수 있으며, 이는 75도 내지 15도의 이송 노즐 축선(29)에 관한 분사 각도에 일치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2는, 다시 개략도로서, 제품 가닥(250) 둘레에 균일하게 모두 분포되는 개별 분사 노즐(51)의 분사 범위를 도시한다. 이러한 도면은 분사 범위가 가장자리 영역에 오버랩되며 그리고 모든 측면상에 제품 가닥(250)을 전체로 그리고 완전하게 에워싸는 것을 도시한다.
두 개의 구역(I, 및 III)과 관련된 상기 분사 노즐(47, 51)은 각각 유입 노즐 형성부(22) 및 외부 노즐 형성부(33)에 의하여 운반 가스 유동에 대하여 차단된다. 이러한 차단은, 두 개의 구역(I, 및 III) 중 적어도 하나에서, 운반 가스매체가 각각 분사 노즐(47 및 51)을 세정하기 위하여 흐르는 바이패스 오리피스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바이패스 오리피스는 각각 참조부호 92 및 93으로 지시된다.
마지막으로, 각각 제1 및 제2구역(I, 및 III)에서 분사 노즐(47 및 51)을 포함하는 분사 각도는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언급한다. 특히, 제1구역(I)에서, 분사 노즐(47)은 환형 갭(34)으로부터 배출되는 이송 공기 유동이 제품 가닥(250)에 흐르는 전달 유동 각도와 같이 본질적으로 동일한 분사 각도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온 후염기계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장치의 이송 노즐 어레이의 상이한 축척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이송 노즐 어레이의 대응하는 종단면도로서, 제품 가닥의 제1구역의 분사 영역으로부터 처리용액의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는 도 3에 따른 어레이로서, 도 3의 선 3A-3A를 따른 단면도로서, 제품 가닥이 동시에 센터링되는 동안, 처리용액이 분사되는 제1구역에서 제품 가닥 상에 작용하는 분사 노즐의 환형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따른 어레이의 종단면도로서, 제1구역의 분사 영역으로부터 처리용액의 분포가 운반 가스 유동의 작용을 받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4a는 도 4의 선 4A-4A를 따른 종단면도로서, 두 구역 사이의 중간 구역에 있는 제품 가닥에 처리용액의 분사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2에 따른 어레이의 종단면도로서, 제품 가닥이 동시에 센터링되는 동안에 처리용액이 분사되는 제2구역에서 제품 가닥 상에 작용하는 분사 노즐의 환형의 작용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
도 5a는 도 2에 따른 어레이의 단면도로서, 도 5의 선 5A-5A를 따른 제2구역의 분사 노즐을 감싸는 작동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2에 따른 어레이의 종단면도로서, 제품 가닥 내에 처리용액 분포를 나타내는 개략도와 함께 호스형 제품 가닥의 개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 6a는 도 6의 선 6A-6A를 따른 측면에서의 종단면도로서, 제품 가닥 범위 내에서 처리용액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여섯 개의 평면 분사 노즐을 사용하여 처리용액을 분사하는 제1구역에서 제품 가닥에 처리용액의 전달 및 처리용액의 분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략도.
도 8은 도 7과 유사한 개략도로서, 원호형으로서 구성된 네 개의 분사 노즐을 사용하여 처리용액을 분사하는 제1구역에서 제품 가닥에 처리용액의 공급 및 처리용액의 분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1에 대응하는 도 1에 따른 장치의 단면도로서, 메인 제어 및 조절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2와 같은 이송 노즐 어레이에 대한 도 2에 따른 단면도로서, 제품 가닥에 처리용액을 분사하는 제2구역에서 운반 가스 유동을 위한 조정가능한 환형 노즐 갭과 분사 노즐의 분사 각도에 대한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변형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서와 같은 어레이의 도 10의 선 XI-XI을 따른 측단면도.
도 12는 제품 가닥에 처리용액을 분사하는 제2구역에서 제품 가닥 상에 분사 노즐의 작동영역에 대한 도 5a에 따른 단면도.

Claims (28)

  1. 가닥 모양의(strand-shaped) 직물 제품을 습식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습식 처리장치는,
    운반 가스매체가 공급되는 이송 노즐 어레이(26)를 구비하는 폐쇄형 컨테이너(1)와,
    이송 노즐 장치의 영역에서 이동중인 제품 가닥에 액체 처리제를 분무화 형태로 분사하는 처리제 분사장치(43, 44)를 포함하며,
    상기 운반 가스매체는 이송 노즐 어레이 및 컨테이너를 통해 이송 방향으로 이송되는 제품 가닥(250)의 형태를 갖는 직물 제품상에 작동하며,
    상기 처리제 분사장치는 제품 가닥의 이송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있는 두 구역(I; III)에서 제품 가닥에 처리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링형 방식으로 제품 가닥을 에워싸는 형태로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두 구역 사이에 배치된 중간 구역(II)에서, 운반 가스매체는 제품 가닥에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노즐 어레이(26)는 노즐 축선(29)을 갖는 벤튜 리 이송 노즐(25)과, 이송 매체가 전달되는 환형 노즐 갭(34)을 구비하며, 상기 두 구역(I, II)에서, 제품 가닥의 이송 방향에서 각각 볼 때, 제1구역(I)은 환형 노즐 갭(34)의 전방에 마련되며, 제2구역(II)은 환형 노즐 갭(34)의 후방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처리제용 분사 노즐(47, 51)은 각각 두 구역(I; II)과 관련되며, 노즐 각각은 예정된 부피 유량을 제품 가닥(250)에 대해 예정된 분사 각도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47, 51)의 분사 축선은 적어도 이송 노즐 축선(29)에 대하여 각도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두 구역(I; II)과 관련된 분사 노즐(47, 51)은 처리제용 공급 장치(45, 51)를 구비하며, 상기 공급 장치는 상호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 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구역(I; II)과 관련된 분사 노즐(47, 51)은 이송 노즐 축선(29)에 대하여 동일한 분사 각도를 갖도록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 장치.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구역(I; II)과 관련된 분사 노즐(47, 51)은 이송 노즐 축선(29)에 대하여 상이한 분사 각도를 갖도록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 장치.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사 노즐(47, 51) 및 이송 노즐 축선(47, 51)에 의하여 결정되는 분사 각도(36)는 제1구역(I) 내에서 23° 내지 15°의 범위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두 구역(I; II)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분사 노즐(47, 51)은 이송 노즐 축선(29) 둘레에 모두 분포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47, 51) 각각은 처리제를 공급하기 위한 공통 폐쇄 원형 라인(45, 49)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47, 51)은 이송 노즐 축선(29) 둘레에 모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47, 51)은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송 노즐 축선(29)으로부터 소정의 반경방향 거리에서, 그리고 개별 노즐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제 분사의 오버랩에 의하여 제품 가닥의 표면에서 충돌 영역을 생 성하는 분사 각도로서, 이송 노즐 축선(29) 둘레에 모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 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47, 51)은 완전한 원추형 노즐 또는 송풍기 달린 분사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 장치.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47, 51)은 원호형 형태로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 장치.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47, 51) 각각에 의하여 발생된 처리제 분사는 제품 가닥 상에서 이송 방향을 향하여 제품 가닥에 작용하는 반경방향 힘 성분(47a, 47b)을 발생시키며, 상기 분사는 이송 노즐 방향에 대하여 적절히 정렬되어서 제품 가닥에 충돌할 때 적절한 처리제 유동 부피로서 전달되며, 상기 제품 가닥은 이송 노즐 축선(29)에 대하여 반경방향 힘 성분(47b)에 의하여 센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 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노즐(25)은 두 구역(I; II) 사이의 중간 영역(II)에 배치된 이송 매체용 가이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수단은 적어도 한 측면에서 환형 노즐 갭(34)을 한정하고, 통과하는 제품 가닥 상의 이송 매체의 충돌 각도 및 분사 폭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 장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이송제 유동을 제품 가닥으로 이송하기 위한 중심에 형성된 가이드 채널을 구비하며, 가이드 채널(28, 33)의 벽은 이송 노즐(25)에서 제품 가닥의 유입측 상에서 제1구역(I)을 제한하며 제품 가닥의 배출측에서 제2구역(II)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 장치.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역(II)을 제한하는 적어도 가이드 채널 벽(33)은 가이드 채널 폭을 변경하기 위하여 축방향으로 조정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 장치.
  20. 제3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가이드 채널에 의하여 한정된 이송 매체의 충돌 각도는 이송 노즐 축선에 대한 각도이며, 최소한 제2구역의 분사 노즐의 분사 각도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 장치.
  21. 제3항 및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채널에 의하여 한정된 충돌 각도는 이송 노즐 축선(29)에 대한 각도이여, 최소한 제3구역(III)의 분사 노즐(51)의 분 사 각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 장치.
  22. 제2항에 있어서, 예정된 길이를 갖는 원통형 혼합 영역(38)이 이송 방향(480)에서 볼 때 이송 노즐(25)의 제3구역(III)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혼합 영역(38)의 하류측에 확산기가 배치되며, 제품 가닥 및 이송 매체에 대한 통로면은 확산기 배출구에서 상기 확산기 배출구에 인접하는 이송 영역(40)의 대응하는 통로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 장치.
  2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두 구역(I; III)과 관련된 분사 노즐(47, 51)은 이송 매체에 대항하여 차단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차단은 적어도 하나의 구역에서 바이패스 오리피스를 구비하며, 운반 가스매체가 분사 노즐을 세정하기 위하여 상기 바이패스 오리피스를 통해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 장치.
  25. 가닥형 직물 제품을 습식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습식 처리 방법은 운반 가스매체가 공급되는 이송 노즐 어레이를 통해 제품 가닥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고, 상기 제품 가닥은 이송 노즐 어레이 내부에서 이송 방향으로 이송되고, 또한
    상기 습식 처리 방법은,
    이송 노즐 어레이를 통해 이동하는 동안, 이송 방향으로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분리된 구역에서 이동하는 제품 가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형태로 분무화 액체 처리제를 분사하는 단계와;
    이와 동시에, 두 구역 사이에 배치된 중간 영역에서 제품 가닥에 이송 매체를 분사하며, 상기 이송 매체가 제품 가닥의 전진에 영향을 끼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습식 처리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노즐 어레이는 환형 갭을 갖는 벤튜리 이송 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이송 매체는 환형 갭을 통해 유동하고, 이송 방향에서 각각 볼 때 두 구역 중에서, 제1구역이 환형 갭의 전방에 마련되고 제2구역이 환형 갭의 후방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제는 링형 방식으로 구역 중의 적어도 하나에서 제품 가닥을 에워싸도록 배열된 분사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분사 노즐 축선과 이송 축선에 의하여 결정되는 분사 각도는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 방법.
KR1020080035879A 2007-04-24 2008-04-18 가닥 모양의 직물 제품을 습식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800957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19217.9 2007-04-24
DE102007019217A DE102007019217A1 (de) 2007-04-24 2007-04-24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Nassbehandlung strangförmigen Textilgu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766A true KR20080095766A (ko) 2008-10-29

Family

ID=39643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879A KR20080095766A (ko) 2007-04-24 2008-04-18 가닥 모양의 직물 제품을 습식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886390B2 (ko)
EP (1) EP1985738B1 (ko)
JP (1) JP2008266875A (ko)
KR (1) KR20080095766A (ko)
CN (1) CN101294337B (ko)
AT (1) ATE483842T1 (ko)
DE (2) DE102007019217A1 (ko)
ES (1) ES2354189T3 (ko)
PL (1) PL1985738T3 (ko)
PT (1) PT1985738E (ko)
TW (1) TW2009208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49377B4 (de) * 2003-10-21 2008-04-10 Then Maschinen (B.V.I.) Ltd., Road Tow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gleichmäßigen Aufbringen von Behandlungsmitteln auf einen Warenstrang
CN101760914B (zh) * 2009-12-02 2012-02-01 苏州大学 超临界流体染色机
ES2612334T3 (es) * 2010-07-13 2017-05-16 Zhao-Cheng Jiang Máquina de tintura rápida por onda de choque de tipo impulso
CN103103709B (zh) * 2013-02-01 2014-10-22 杭州智能染整设备有限公司 高温高压绳状染色机自动祛气囊装置
DE102013110492B4 (de) 2013-09-23 2015-06-11 Fong's Europe Gmbh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strangförmiger Textilware in Form eines endlosen Warenstrangs
DE102013110491B4 (de) * 2013-09-23 2016-03-24 Fong's Europe Gmbh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strangförmiger Textilware
CN103741525B (zh) * 2013-12-14 2015-12-02 盐城工学院 一种无水棉织物染色工艺及一种无水染色装置
TWI646234B (zh) 2015-08-28 2019-01-01 立信歐洲有限責任公司 處理裝置的繩狀紡織品
TWM557753U (zh) * 2017-07-25 2018-04-01 Zhang qi long 具有輸送帶帶動的布匹染色機的回收容器與節省染化料結構
KR102033307B1 (ko) * 2019-07-03 2019-10-17 김원용 농약 분무 노즐용 손상 방지구조
US20220307182A1 (en) * 2021-03-29 2022-09-29 Chi-Lung Chang Saturated extreme low liquor ratio conveyor-driving atmospheric fabric dye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42200A1 (de) 1981-10-24 1983-05-05 Hoechst Ag, 6230 Frankfurt Verfahren zum behandeln von textilgut in jet-faerbeanlagen
DE4119152C2 (de) 1991-06-11 1993-11-25 Krantz H Gmbh & Co Vorrichtung zum Naßbehandeln von Textilgut
ES2125153B1 (es) * 1995-10-16 1999-10-16 Turbang Prototips Sl Maquina para tratamiento en humedo de tejidos.
DE19728420C2 (de) 1997-07-03 2000-11-02 Krantz Textiltechnik Gmbh Düseneinheit zum Transport eines textilen Stranges
DE19924180A1 (de) 1999-05-27 2000-11-30 Thies Gmbh & Co Kg Vorrichtung zur Behandlung eines endlosen Warenbahnstranges
DE19924743A1 (de) 1999-05-31 2000-12-07 Thies Gmbh & Co Kg Vorrichtung zur Behandlung eines endlosen Warenbahnstranges
IT1314601B1 (it) * 2000-03-31 2002-12-20 Laip S N C Di Becheri Cecchi & Procedimento discontinuo di lavaggio di pezze di tessuto unite incorda ed una macchina per attuare il procedimento
DE10349377B4 (de) * 2003-10-21 2008-04-10 Then Maschinen (B.V.I.) Ltd., Road Tow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gleichmäßigen Aufbringen von Behandlungsmitteln auf einen Warenstrang
DE10349374B4 (de) 2003-10-21 2009-04-09 Then Maschinen (B.V.I.) Ltd., Road Town Nassbehandlungsmaschine für strangförmiges Textilgut
DE102004061186B4 (de) 2004-12-20 2007-06-21 Then Maschinen (B.V.I.) Ltd., Road Tow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strangförmiger Textilware
JP2006207042A (ja) * 2005-01-25 2006-08-10 Then Maschinen (Bvi) Ltd 紐製品に処理剤を均等に塗布する方法および装置
DE102005022453B3 (de) 2005-05-14 2006-11-30 Then Maschine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strangförmiger Textilwa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85738A1 (de) 2008-10-29
PT1985738E (pt) 2011-01-11
ATE483842T1 (de) 2010-10-15
JP2008266875A (ja) 2008-11-06
DE102007019217A1 (de) 2008-10-30
CN101294337B (zh) 2012-09-19
US20080263782A1 (en) 2008-10-30
TW200920888A (en) 2009-05-16
DE502008001465D1 (de) 2010-11-18
US7886390B2 (en) 2011-02-15
PL1985738T3 (pl) 2011-04-29
EP1985738B1 (de) 2010-10-06
CN101294337A (zh) 2008-10-29
ES2354189T3 (es) 201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5766A (ko) 가닥 모양의 직물 제품을 습식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TWI464312B (zh) 用於處理繩狀紡織品之方法與裝置
US7578152B2 (en) Wet processing or finishing machine for rope-formed textile products
US200602539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textile goods in rope form
EP0961849B1 (en) Jet dyeing apparatus and method
US73985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ropelike textile goods
US4005500A (en) Finishing of textiles
KR100813778B1 (ko) 로프형 직물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472872B1 (ko) 섬유사(실)의 이송 및 액체공급노즐과 적어도 한가닥의연속섬유사 형태인 섬유재의 액체처리장치
KR100740942B1 (ko) 원단의 염착방법 및 그 장치
KR200459929Y1 (ko) 피그먼트 코팅장치
US5440771A (en) Jet dye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458531B1 (ko)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
CN208201354U (zh) 一种带有节能系统的卷染机
EP0482166B2 (en) Jet dyeing apparatus and method
CN115461160B (zh) 喷涂器和喷涂单元
WO2001032937A1 (en) Dry milling drum
KR101341603B1 (ko)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
TWI323302B (en) Wet processing or finishing machine for rope-formed textile products
KR900001914B1 (ko) 표백의 연속증열처리장치
TWI311598B (en) Device or equipment for the treatment of textile fabric in the shape of rope
JP2023515530A (ja) 噴霧塗布器及び噴霧ユニット
KR20220148382A (ko) 안료 코팅 염색장비
WO2024110815A1 (en) Fabric treatment plant and related method
JPH0247353A (ja) 液噴射による布帛の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