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603B1 -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 - Google Patents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603B1
KR101341603B1 KR1020120038775A KR20120038775A KR101341603B1 KR 101341603 B1 KR101341603 B1 KR 101341603B1 KR 1020120038775 A KR1020120038775 A KR 1020120038775A KR 20120038775 A KR20120038775 A KR 20120038775A KR 101341603 B1 KR101341603 B1 KR 101341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dyeing
solution
dyeing solu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6122A (ko
Inventor
최병옥
조정근
신문웅
Original Assignee
전일염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일염공(주) filed Critical 전일염공(주)
Priority to KR1020120038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603B1/ko
Publication of KR20130116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28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propelled by, or with the aid of, jets of the treat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는: 원단을 염색하는 염색용액이 저장되는 메인본체부와, 메인본체부에 설치되며 원단을 메인본체부에 저장된 염색용액의 상측으로 견인하는 동력릴과, 동력릴과 염색용액의 사이에 설치되며 내측을 관통하여 이동하는 원단에 염색용액을 분사하는 분사가이드부와, 분사가이드부와 동력릴을 거치며 이동하는 원단을 메인본체부의 내측으로 안내하며 염색용액을 원단에 분사하는 분사노즐부 및 메인본체부에 저장된 염색용액을 분사가이드와 분사노즐부로 공급하는 염액공급유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WINCH TYPE LIQUID FLOW DYEING MACHINE}
본 발명은 염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염색용액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원단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염색용액을 분사하여, 원단의 운행성 및 균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색이란, 염료를 사용하여 직물이나 편직물 등에 색소를 침투하여 정착시키는 작업을 말한다.
천을 염색하는 장치는, 혼합탱크에서 안료와 용해제를 혼합한 후, 밸브를 개방한 상태에서 염색용액을 만들어 낸다.
이러한 염색용액은 염색조로 공급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염색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0-0004724호(2000.03.15 공개, 발명의 명칭: 초음파 염색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염색용액의 상측으로 원단이 인출되는 경우, 원단을 가이드하는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지 아니하므로, 원단의 운행성이 저하된다.
또한 염색용액의 상측으로 인출되는 원단의 함수율이 저하되며, 이로 인하여 원단의 자중에 의한 장력이 저하된다. 따라서, 일정한 장력에 의해 원단이 당겨지지 못하므로 원단의 단위면적당 중량이 증가하여 생산비가 상승한다.
또한 원단과 염색용액이 접하는 부분이 적으며, 이로 인하여 원단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염색되지 못하므로 균염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염색용액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원단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염색용액을 분사하여, 원단의 운행성 및 균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단의 함수율을 조절하여 원단에 의한 장력을 조절하므로, 원단의 단위면적당 중량이 조절되어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는: 원단을 염색하는 염색용액이 저장되는 메인본체부와, 메인본체부에 설치되며 원단을 메인본체부에 저장된 염색용액의 상측으로 견인하는 동력릴과, 동력릴과 염색용액의 사이에 설치되며 내측을 관통하여 이동하는 원단에 염색용액을 분사하는 분사가이드부와, 분사가이드부와 동력릴을 거치며 이동하는 원단을 메인본체부의 내측으로 안내하며 염색용액을 원단에 분사하는 분사노즐부 및 메인본체부에 저장된 염색용액을 분사가이드와 분사노즐부로 공급하는 염액공급유로부를 포함한다.
또한 메인본체부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염색용액이 하측에 저장되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원단이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챔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사가이드부는, 염액공급유로부와 연결되어 염색용액을 공급하는 연결관로와, 연결관로를 통해 염색용액을 공급받으며 분사가이드부를 통과하는 원단의 외측 둘레를 따라 염색용액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본체 및 가이드본체의 내측으로 염색용액을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본체는, 원주 형상을 따라 염색용액이 이동하는 내측공간을 구비하며, 내측공간의 상측은 개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사가이드부는, 가이드본체의 상측에 결합되어 내측공간의 상측을 차폐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사부는, 커버부재와 가이드본체의 사이에 위치하며, 가이드본체의 내측 둘레를 따라 염색용액이 분사되는 띠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사노즐부는, 동력릴을 거쳐서 이동하는 원단의 이동을 안내하며 염색용액을 분사하는 제1분사노즐과, 제1분사노즐을 통과하는 원단에 염색용액을 분사하는 제2분사노즐 및 제1분사노즐과 제2분사노즐을 연결하며 메인본체부의 내측으로 원단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귀관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염액공급유로부는, 메인본체부의 하측과 연결되어 염색용액이 이동되는 순환관로와, 순환관로에 설치되어 염색용액의 이동을 강제하는 순환펌프와, 순환펌프를 지나는 염색용액을 가열하는 열교환기 및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염색용액을 분사가이드부와 분사노즐부로 공급하는 공급관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순환관로에 연결되며, 염색용액으로 투입되는 추가물질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급부는, 염색용액과 추가물질의 혼합이 이루어지는 서비스탱크와, 순환관로를 지나는 염색용액을 서비스탱크로 안내하는 배출관로 및 서비스탱크에서 추가물질과 혼합된 염색용액을 순환관로로 공급하는 유입관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사가이드부의 하측에 링 형상으로 설치되어 원단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내부는, 일측은 메인본체부에 고정되며 타측은 분사가이드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재 및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부재에 연결되며 원단이 내측을 관통하여 이동하는 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는, 원단의 이동을 안내하는 분사가이드부에 의해, 염색용액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원단의 운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단과 염색용액이 접하는 횟수가 증가되어 원단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염색되므로, 원단의 균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사가이드부에서 분사되는 염색용액을 조절하여 염색용액의 상측으로 인출되는 원단의 함수율이 조절되며, 이로 인하여 원단의 자중에 의한 장력 및 원단의 단위면적당 중량이 조절되어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가이드부와 안내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가이드부와 안내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가이드부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천의 염색에 사용되는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가이드부와 안내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가이드부와 안내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가이드부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1)는, 원단(80)을 염색하는 염색용액(82)이 저장되는 메인본체부(10)와, 메인본체부(10)에 설치되며 원단(80)을 메인본체부(10)에 저장된 염색용액(82)의 상측으로 견인하는 동력릴(20)과, 동력릴(20)과 염색용액(82)의 사이에 설치되며 내측을 관통하여 이동하는 원단(80)에 염색용액(82)을 분사하는 분사가이드부(30)와, 분사가이드부(30)와 동력릴(20)을 거치며 이동하는 원단(80)을 메인본체부(10)의 내측으로 안내하며 염색용액(82)을 원단(80)에 분사하는 분사노즐부(50) 및 메인본체부(10)에 저장된 염색용액(82)을 분사가이드와 분사노즐부(50)로 공급하는 염액공급유로부(60)를 포함한다.
원단(80)을 염색하는 염색용액(82)이 저장되는 메인본체부(10)는, 염색용액(82)이 내측에 저장되며, 이러한 염색용액(82)을 통과하며 원단(80)의 염색이 이루어지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본체부(10)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염색용액(82)이 하측에 저장되는 하우징(12) 및 하우징(12)의 내측에 설치되어 원단(80)이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챔버(14)를 포함한다.
하우징(12)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12)의 하측에는 염색용액(82)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12)의 상부에는 원단(80)이 이동되는 통로가 형성되므로, 원단(80)은 하우징(12)의 내부를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한다.
하우징(12)의 내측에 설치되는 챔버(14)는, 염색용액(82)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통공이 복수로 형성된다.
메인본체부(10)의 챔버(14)도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챔버(14)의 내측을 이동하는 원단(80)은 챔버(14)의 하측에 있는 염색용액(82)에 접하여 염색된다.
챔버(14)의 상부 양측은 개구되며, 챔버(14)를 이동하는 원단(80)은 챔버(14)의 내측을 통과한 후, 일측(도 2 기준 좌측) 상부로 나가서 타측(도 2 기준 우측) 상부로 인입되어 챔버(14)의 내측으로 이동하며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한다.
메인본체부(10)의 내측에 설치되는 동력릴(20)은, 메인본체부(10)의 하측에 있는 원단(80)을 견인하여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동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릴(20)은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동력릴(20)에 원단(80)이 걸쳐지므로, 동력릴(20)의 회전에 의해 원단(80)이 이동되어 메인본체부(10)를 무한궤동 방식으로 이동한다.
동력릴(20)의 회전으로, 메인본체부(10)에 저장된 염색용액(82)의 상측으로 원단(80)이 견인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릴(20)과 메인본체부(10)에 저장된 염색용액(82)의 사이에 설치되는 분사가이드부(30)는, 원단(80)의 이동을 안내하는 내측홀을 구비하며, 필요에 따라 원단(80)의 외측에 염색용액(82)을 분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가이드부(30)는, 염액공급유로부(60)와 연결되어 염색용액(82)을 공급하는 연결관로(38)와, 연결관로(38)를 통해 염색용액(82)을 공급받으며 분사가이드부(30)를 통과하는 원단(8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염색용액(82)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본체(32) 및 가이드본체(32)의 내측으로 염색용액(82)을 분사하는 분사부(34)를 포함한다.
염액공급유로부(60)의 공급관로(68)에 연결되는 연결관로(38)에는 염색용액(82)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밸브(도시생략)가 설치된다.
연결관로(38)와 연결되어 염색용액(82)을 공급받는 가이드본체(32)는, 원주 형상을 따라 염색용액(82)이 이동하는 내측공간(33)을 구비한다.
가이드본체(32)의 내측에는 원단(80)이 이동되는 내측홀이 구비되며, 이러한 가이드본체(32)의 단면은 상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내측공간(33)의 상측은 개구된다.
이러한 가이드본체(32)의 상측에 커버부재(36)가 결합되어 내측공간(33)의 상측을 차폐한다.
커버부재(36)와 가이드본체(32)의 사이에 분사부(34)가 위치하며, 이러한 분사부(34)에서 분사된 염색용액(82)은 가이드분사부(34)를 통과하는 원단(80)의 외측으로 분사된다.
분사부(34)는, 원단(80)의 외측으로 염색용액(82)을 분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34)는, 원단(80)의 걸림 방지 및 염색용액(82)을 균일하게 배출하기 위하여, 가이드본체(32)의 내측 둘레를 따라 염색용액(82)이 분사되는 띠 형상의 공간인 슬릿홀을 형성한다.
메인본체부(10)에 저장된 염색용액(82)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원단(80)이, 분사가이드부(30)의 가운데를 통과하여 이동하므로, 원단(80)의 운행성이 개선된다.
또한, 분사가이드부(30)에 의해 원단(80)의 이동이 안내되는 동시에, 원단(80)의 외측으로 염색용액(82)이 분사되므로, 원단(80)과 염색용액(82)이 만나는 시간이 증가하여 원단(80)의 균염성이 향상된다.
또한, 원단(80)에 염색용액(82)이 분사되면, 원단(80)의 함수율이 높아져서 원단(80)이 자중이 증가한다.
원단(80)의 자중이 증가하면, 동력릴(20)을 따라 이동하는 원단(80)의 텐션이 증가하므로 원단(80)의 밀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원단(80)의 단위면적당 무게가 감소하므로, 원단(80) 염색에 소요되는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가이드부(30)는, 원단(80)의 종류 및 상태 등을 고려하여 염색용액(82)의 분사여부 및 분사시간 등이 결정된다.
니트 원단(80)이 분사가이드부(30)를 통과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분사가이드부(30)를 통과하는 니트 원단(80)에 염색용액(82)이 설정치 이하로 분사되는 경우에는 니트의 함수율이 설정치 이하로 낮아지므로, 니트 원단(80)의 장력도 설정치 이하로 낮아진다.
따라서, 단위면적당 니트 원단(80)의 밀도가 높아져서 니트 원단(80)의 무게가 증가하며, 생산원가도 상승한다. 또한 니트 원단(80)이 고르게 염색되지 못하여 균염성이 저하된다.
분사가이드부(30)를 통과하는 니트 원단(80)에 염색용액(82)이 설정치 이상으로 분사되는 경우에는 니트의 함수율이 설정치 이상으로 높아지므로, 니트 원단(80)의 장력도 설정치 이상으로 높아진다.
따라서, 니트 원단(80)의 밀도가 낮아져서 염색용액(82)이 원단(80) 사이에 머물지 못하므로 균염성이 저하된다.
또한 니트 원단(80)의 밀도가 낮아지면 세탁시 수축률에 큰 영향을 주므로, 세탁시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따라서, 분사가이드부(30)를 통하여 분사되는 염색용액(82)은 원단(80)의 종류 및 상태 등을 고려하여 분사 여부 및 시간 등이 설정된다.
즉, 함수율이 높은 원단(80)이 분사가이드부(30)를 통과하는 경우, 원단(80)에 염색용액(82)을 분사하지 않고 원단(80)의 이동만을 안내한다.
또한, 함수율이 낮은 원단(80)이 분사가이드부(30)를 통과하는 경우, 원단(80)의 이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원단(80)의 외측에 염색용액(82)을 분사한다.
분사노즐부(50)의 하측에는, 링 형상으로 설치되어 원단(8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40)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40)는, 일측은 메인본체부(10)에 고정되며 타측은 분사가이드부(3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재(42) 및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부재(42)에 연결되며 원단(80)이 내측을 관통하여 이동하는 링부재(44)를 포함한다.
가이드본체(32)의 하측에 설치되는 링부재(44)는 표면이 매끄러운 재질로 성형되므로, 원단(80)과의 마찰력을 최소로 하는 동시에 원단(80)이 분사노즐부(50)의 내측을 통과하여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메인본체부(10)의 저장된 염색용액(82)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원단(80)은 안내부(40)의 링부재(44)와 분사가이드부(30)를 차례로 통과하여 동력릴(20)로 이동하며, 동력릴(20)을 거친 원단(80)은 분사노즐부(50)를 통해 다시 메인본체부(10)로 이동한다.
분사노즐부(50)는, 분사가이드부(30)와 동력릴(20)을 거치며 이동하는 원단(80)을 메인본체부(10)의 내측으로 안내하며 염색용액(82)을 원단(80)에 분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부(50)는, 동력릴(20)을 거쳐서 이동하는 원단(80)의 이동을 안내하며 염색용액(82)을 분사하는 제1분사노즐(52)과, 제1분사노즐(52)을 통과하는 원단(80)에 염색용액(82)을 분사하는 제2분사노즐(54) 및 제1분사노즐(52)과 제2분사노즐(54)을 연결하며 메인본체부(10)의 내측으로 원단(80)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귀관로(56)를 포함한다.
동력릴(20)을 통과한 원단(80)이 내측을 통과하는 제1분사노즐(52)은, 염액공급유로부(60)의 공급관로(68)와 연결되어 염색용액(82)을 공급받는다. 제1분사노즐(52)은 원단(80)의 이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원단(80)의 외측으로 염색용액(82)을 분사한다.
이러한 제1분사노즐(52)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제2분사노즐(54)에도, 원단(80)이 통과하는 통공이 내측에 구비된다.
제2분사노즐(54)도 염액공급유로부(60)의 공급관로(68)와 연결되어 염색용액(82)을 공급받으며, 원단(80)의 이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원단(80)의 외측으로 염색용액(82)을 분사한다.
제1분사노즐(52)과 제2분사노즐(54)은 복귀관로(56)로 연결되어 원단(80)의 이동이 안내되며, 제2분사노즐(54)을 통과한 원단(80)은 복귀관로(56)를 통해 메인본체부(10)의 내측으로 이동이 안내된다.
한편, 메인본체부(10)에 저장된 염색용액(82)을 분사가이드부(30)와 분사노즐부(50)로 공급하는 염액공급유로부(60)가 설치된다.
메인본체부(10)에 저장된 염색용액(82)은, 염액공급유로부(60)를 통해 외측으로 배출되어 가열 및 염색에 필요한 성분이 재조정되어 다시 분사가이드부(30)와 분사노즐부(50)로 공급되어 원단(80)을 염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염액공급유로부(60)는, 메인본체부(10)의 하측과 연결되어 염색용액(82)이 이동되는 순환관로(62)와, 순환관로(62)에 설치되어 염색용액(82)의 이동을 강제하는 순환펌프(64)와, 순환펌프(64)를 지나는 염색용액(82)을 가열하는 열교환기(66) 및 열교환기(66)를 통과하는 염색용액(82)을 분사가이드부(30)와 분사노즐부(50)로 공급하는 공급관로(68)를 포함한다.
하우징(12)의 하측에는 순환관로(62)가 연결되어, 하우징(12)의 하측에 저장된 염색용액(82)을 순환펌프(64)로 안내한다.
순환펌프(64)는 순환관로(62)와 공급관로(68)를 따라 이동하는 염색용액(82)의 이동을 강제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펌프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순환펌프(64)와 열교환기(66)는 순환관로(62)로 연결되며, 열교환기(66)는 염색에 알맞은 온도로 염색용액(82)을 가열한다.
열교환기(66)와 분사가이드부(30) 및 분사노즐부(50)는 공급관로(68)로 연결되므로, 열교환기(66)에서 배출되는 염색용액(82)은 분사가이드부(30)와 분사노즐부(50)로 공급된다.
염색용액(82)으로 투입되는 추가물질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공급부(70)는 순환관로(62)에 연결된다.
원단(80)의 염색 중에 약품 또는 염료 등의 추가물질의 공급이 필요한 경우, 이러한 추가물질이 직접 메인본체부(10)에 투입되면, 염색용액(82)에 고르게 혼합되지 않으므로, 공급부(70)를 통해 추가물질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70)는, 염색용액(82)과 추가물질의 혼합이 이루어지는 서비스탱크(72)와, 순환관로(62)를 지나는 염색용액(82)을 서비스탱크(72)로 안내하는 배출관로(74) 및 서비스탱크(72)에서 추가물질과 혼합된 염색용액(82)을 순환관로(62)로 공급하는 유입관로(76)를 포함한다.
서비스탱크(72)에는 염색용액(82)이 저장되는 내부공간이 구비되며, 이러한 서비스탱크(72)에 염료나 약품과 같은 추가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밸브(78)가 설치된다.
서비스탱크(72)와 순환관로(62)는 유입관로(76) 및 배출관로(74)로 연결된다. 순환관로(62)를 따라 이동되는 염색용액(82)은 유입관로(76)를 통해 서비스탱크(72)로 이동되며, 서비스탱크(72)에서 추가물질이 희석된 염색용액(82)은 배출관로(74)를 통해 순환관로(62)로 이동된다.
염색용액(82)을 서비스탱크(72)로 빼내는 작업 없이 추가물질이 희석된 염색용액(82)을 염액공급유로부(60)로 공급하는 경우, 메인본체부(10)의 내측에 있는 염색용액(82)이 증가하여 염색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유입관로(76)를 통해 서비스탱크(72)로 염색용액(82)을 빼내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원단(80)의 이동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동력릴(20)의 회전으로 동력릴(20)에 걸쳐있는 원단(80)이 시계방향(도 2기준)으로 이동한다.
메인본체부(10)에 저장된 염색용액(82)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원단(80)은 안내부(40)의 링부재(44)를 지나면서 원단(80)의 이동이 분사가이드부(30)의 내측으로 보정된다.
분사가이드부(30)의 내측을 지나는 원단(80)은 분사가이드부(30)에 의해 다시 원단(80)의 이동이 보정되므로, 원단(80)의 운행성이 향상된다
분사가이드부(30)를 통과한 원단(80)은 동력릴(20)을 거쳐 제1분사노즐(52)과 제2분사노즐(54)을 통과한 후, 복귀관로(56)를 통해 메인본체부(10)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한편, 염색용액(82)의 이동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메인본체부(10)에 저장된 염색용액(82)은 순환관로(62)를 통해 순환펌프(64)로 이동한다.
공급부(70)의 서비스탱크(72)에서 염색이나 약품 등의 추가물질이 희석된 후, 순환펌프(64)로 이동하는 염색용액(82)으로 배출되어 혼합이 이루어진다.
순환펌프(64)에서 열교환기(66)로 이동되는 염색용액(82)의 일부는 유입관로(76)를 통해 서비스탱크(72)로 이동되며, 나머지 염색용액(82)은 열교환기(66)에서 가열된 후, 분사가이드부(30)와 분사노즐부(50)로 이동한다.
분사가이드부(30)의 연결관로(38)를 통해 가이드본체(32)의 내측공간(33)으로 이동된 염색용액(82)은, 내측공간(33)을 따라 링 형상으로 이동되며 상측으로 차오른후, 가이드본체(32)의 내측을 통과하는 원단(80)의 외측에 분사된다.
또한 분사노즐부(50)로 공급된 염색용액(82)도 제1분사노즐(52)과 제2분사노즐(54)에서 원단(80)의 외측으로 분사되어 원단(80)을 염색한다.
이러한 염색용액(82)의 분사로 인하여 염색용액(82)과 원단(80)이 접하는 횟수가 증가하며, 원단(80) 중량 대비 적은 염색용액(82)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염색용액(82)을 가열하는 열교환기(66)의 가동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1)는, 원단(80)의 이동을 안내하는 분사가이드부(30)에 의해, 염색용액(82)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원단(80)의 운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원단(80)과 염색용액(82)이 접하는 횟수가 증가되어 원단(80)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염색되므로, 원단(80)의 균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분사가이드부(30)에서 분사되는 염색용액(82)을 조절하여 염색용액(82)의 상측으로 인출되는 원단(80)의 함수율이 조절되며, 이로 인하여 원단(80)의 자중에 의한 장력 및 원단(80)의 단위면적당 중량이 조절되어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천의 염색에 사용되는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천이 아닌 다른 종류의 원단을 염색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의한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
10: 메인본체부 12: 하우징
14: 챔버 20: 동력릴
30: 분사가이드부 32: 가이드본체
33: 내측공간 34: 분사부
36: 커버부재 38: 연결관로
40: 안내부 42: 지지부재
44: 링부재 50: 분사노즐부
52: 제1분사노즐 54: 제2분사노즐
56: 복귀관로 60: 염액공급유로부
62: 순환관로 64: 순환펌프
66: 열교환기 68: 공급관로
70: 공급부 72: 서비스탱크
74: 배출관로 76: 유입관로
78: 공급밸브 80: 원단
82: 염색용액

Claims (12)

  1. 원단을 염색하는 염색용액이 저장되는 메인본체부;
    상기 메인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원단을 상기 메인본체부에 저장된 상기 염색용액의 상측으로 견인하는 동력릴;
    상기 동력릴과 상기 염색용액의 사이에 설치되며, 내측을 관통하여 이동하는 상기 원단에 상기 염색용액을 분사하는 분사가이드부;
    상기 분사가이드부와 상기 동력릴을 거치며 이동하는 상기 원단을 상기 메인본체부의 내측으로 안내하며, 상기 염색용액을 상기 원단에 분사하는 분사노즐부; 및
    상기 메인본체부에 저장된 상기 염색용액을 상기 분사가이드와 상기 분사노즐부로 공급하는 염액공급유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가이드부는, 상기 염액공급유로부와 연결되어 상기 염색용액을 공급하는 연결관로;
    상기 연결관로를 통해 상기 염색용액을 공급받으며, 상기 분사가이드부를 통과하는 상기 원단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염색용액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본체; 및
    상기 가이드본체의 내측으로 상기 염색용액을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본체부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염색용액이 하측에 저장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원단이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본체는, 원주 형상을 따라 상기 염색용액이 이동하는 내측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내측공간의 상측은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본체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공간의 상측을 차폐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가이드본체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본체의 내측 둘레를 따라 상기 염색용액이 분사되는 띠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부는, 상기 동력릴을 거쳐서 이동하는 상기 원단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염색용액을 분사하는 제1분사노즐;
    상기 제1분사노즐을 통과하는 상기 원단에 상기 염색용액을 분사하는 제2분사노즐; 및
    상기 제1분사노즐과 상기 제2분사노즐을 연결하며, 상기 메인본체부의 내측으로 상기 원단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귀관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염액공급유로부는, 상기 메인본체부의 하측과 연결되어 상기 염색용액이 이동되는 순환관로;
    상기 순환관로에 설치되어 상기 염색용액의 이동을 강제하는 순환펌프;
    상기 순환펌프를 지나는 상기 염색용액을 가열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상기 염색용액을 상기 분사가이드부와 상기 분사노즐부로 공급하는 공급관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로에 연결되며, 상기 염색용액으로 투입되는 추가물질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염색용액과 상기 추가물질의 혼합이 이루어지는 서비스탱크;
    상기 순환관로를 지나는 상기 염색용액을 상기 서비스탱크로 안내하는 배출관로; 및
    상기 서비스탱크에서 상기 추가물질과 혼합된 상기 염색용액을 상기 순환관로로 공급하는 유입관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가이드부의 하측에 링 형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원단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일측은 상기 메인본체부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분사가이드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재; 및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원단이 내측을 관통하여 이동하는 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
KR1020120038775A 2012-04-13 2012-04-13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 KR101341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775A KR101341603B1 (ko) 2012-04-13 2012-04-13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775A KR101341603B1 (ko) 2012-04-13 2012-04-13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122A KR20130116122A (ko) 2013-10-23
KR101341603B1 true KR101341603B1 (ko) 2013-12-13

Family

ID=49635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775A KR101341603B1 (ko) 2012-04-13 2012-04-13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6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1716A2 (en) * 2018-11-02 2020-05-07 Canlar Mekatronik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Innovation in water separation system in fabric dyeing machin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014B1 (ko) 2001-05-17 2003-11-17 김송락 액류 염색기
KR20050017522A (ko) * 2003-08-14 2005-02-22 양형학 횡편직물 염색기
KR100696427B1 (ko) 2005-12-08 2007-03-19 (주)경훈기계 원액의 반복 혼합구조에 의한 고속 염색이 가능한 윈치형액류염색장치
KR20070113102A (ko) * 2007-03-26 2007-11-28 강다현 액류염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014B1 (ko) 2001-05-17 2003-11-17 김송락 액류 염색기
KR20050017522A (ko) * 2003-08-14 2005-02-22 양형학 횡편직물 염색기
KR100696427B1 (ko) 2005-12-08 2007-03-19 (주)경훈기계 원액의 반복 혼합구조에 의한 고속 염색이 가능한 윈치형액류염색장치
KR20070113102A (ko) * 2007-03-26 2007-11-28 강다현 액류염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122A (ko) 201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337B1 (ko) 세탁기
KR101959308B1 (ko) 세탁물 처리방법
EP1884583B1 (en) Machine for the discontinuous dyeing of fabric products
US7578152B2 (en) Wet processing or finishing machine for rope-formed textile products
TWI568904B (zh) 用於染色紗線捲筒及/或捲繞於包裝體上之紡織纖維的機器及方法
KR20080095766A (ko) 가닥 모양의 직물 제품을 습식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58531B1 (ko)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
KR101341603B1 (ko)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
KR101909583B1 (ko) 섬유 원단용 정련장치
JP2722261B2 (ja) 織物糸の連続染色用装置
CN104711832A (zh) 衣物处理设备
KR100740942B1 (ko) 원단의 염착방법 및 그 장치
KR100964977B1 (ko) 니트 원단용 수분공급 장치
CN109312515A (zh) 用于洗涤织物网的洗涤设备
KR20060131269A (ko) 수압을 이용한 과일 이동 세척장치 및 그 구성방법
KR100550925B1 (ko) 염색기
EP2550388B1 (en) Machine for the discontinuous treatment of fabric ropes
KR100986144B1 (ko) 염색기
JP2004060107A (ja) ドラム回転式繊維製品処理装置
KR20060009493A (ko) 저욕비 염색기
KR101887865B1 (ko) 분사효율이 개선된 스팀다리미
KR20110011315A (ko) 세탁장치
GB1587069A (en) Wet processing machines
KR101254443B1 (ko) 원단 폭 넓이를 갖는 다각형 원단 이송관이 형성되는 염색기
KR100291306B1 (ko) 고온고압 염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