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9493A - 저욕비 염색기 - Google Patents

저욕비 염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9493A
KR20060009493A KR1020040057911A KR20040057911A KR20060009493A KR 20060009493 A KR20060009493 A KR 20060009493A KR 1020040057911 A KR1020040057911 A KR 1020040057911A KR 20040057911 A KR20040057911 A KR 20040057911A KR 20060009493 A KR20060009493 A KR 20060009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ing
washing water
tank
water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7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2542B1 (ko
Inventor
박천종
Original Assignee
양형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형학 filed Critical 양형학
Priority to KR1020040057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2542B1/ko
Publication of KR20060009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5/00Forcing liquids, gases or vapours through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5/12Forcing liquids, gases or vapours through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through materials of definite length
    • D06B5/22Forcing liquids, gases or vapours through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through materials of definite length through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9/00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17/00
    • D06B19/0088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17/00 using a short bath ratio liqu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욕비 염색기에 관한 것으로서, 직물이 수용되는 염색조와, 상기 염색조내에 수용되어 직물이 통과되는 내부챔버와, 상기 내부챔버의 유입측에 마련되어 상기 직물의 진행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수용부와, 상기 세척수수용부로부터 세척수를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염색조 펌프와, 소정의 염색공정에 따라 상기 염색조내에서 처리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염색조의 하방으로부터 연장된 배출관을 갖고, 상기 배출관의 일측으로 분기되는 관상의 수세배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염색조의 하방으로 수직 연장되는 수직관부를 갖고, 상기 수세배출부는 상기 수직관부의 내측 면부의 일측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수직관부의 외부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세공정시에 필요한 물의 양을 절감하면서 수세시간을 줄일 수 있고, 처리된 세척수를 배출하면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어 전체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저욕비 염색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욕비 염색기{dyeing machine having a low bathing ratio}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욕비 염색기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염색기 일 요부의 확대도,
도 3은, 도 2의 타측에서의 확대도,
도 4는, 통상의 염색기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염색조 11 : 내부챔버
13 : 분사노즐 20 : 메인탱크
30 : 세척수수용부 40 : 염색조펌프
50 : 배출관 51 : 수직관부
55 : 수세배출부
본 발명은 저욕비 염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색하고자 하는 직물의 수세시에 필요한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저욕비 염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색기는 염색조 내부에서 염색을 하고자 하는 직물을 순환시키 면서 소정의 공정 순서에 따라 염료펌프 및 염색조 펌프를 통해 염색조 내부로 염액, 정련제, 표백제 및 세척수 등을 직물에 분사하여 원하는 정도의 염색을 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염색기는, 원통형상의 염색조(100)내의 상부영역에 염색하고자 하는 직물(101)이 순환되도록 회전시키는 윈치롤러(103)가 마련되어 있으며, 윈치롤러(103) 하부에는 직물(101)이 순환하며 통과되는 부분 원호통형상의 내부챔버(105)가 마련되어 있다.
윈치롤러(103)와 내부챔버(105)의 사이에는 윈치롤러(103)에 의해 순환되는 직물(101)을 내부챔버(105)의 유입구를 향해 안내하는 가이드부(107)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107)의 상부에는 분사노즐(109)이 마련되어 직물(101)에 염액, 정련제, 표백제 또는 세척수를 직물(101)의 진행방향에 따라 분사한다.
한편 염색조(100) 하부에는 염색조(100) 내부의 염액이나 세척수 등을 배출시키는 배출관(110)과 배수밸브(111)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윈치롤러(103)가 회전하여 염색하고자 하는 직물(101)이 염색조(100)내에서 내부챔버(105)를 통과하면서 순환하게 되며, 가이드부(107)의 상부에 마련된 분사노즐(109)을 통하여 염액, 정련제, 표백제 또는 세척수 등이 직물(101)로 분사된다.
그런데, 통상적인 염색기에서는 소정의 염색공정에 따라 염색대상인 직물(101)을 수세하는 과정에서 염색조(100)내로 분사노즐(109)을 통하여 세척수수용부(30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하여 직물(101)을 세척한다. 통상 고욕비를 요하는 염색 기의 경우, 오버플로 방식으로 세척이 이루어지므로 세척에 필요한 세척수는 염색조(100)내에 가득차게 되어, 세척을 위해 소요되는 물의 양 뿐 아니라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 또한 직물을 세척한 뒤 처리된 세척수를 배출하는데에도 상당한 시간을 요하게 된다. 한편 통상의 염색기에서는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출관(110)이 세척수수용부(300)부터 분사노즐(109)로 이어지는 급수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직물의 수세공정에 따라 처리된 세척수를 배출할 경우 급수관의 염색조펌프(403) 연결측에는 음압이 걸리므로 염색조펌프(403)가 작동될 수 없어 새로운 새척수의 염색조(100)로의 공급은 곤란하다. 즉 수세공정시 염색조(100)내로 염색조펌프(403)를 이용하여 세척수를 공급하는 것은 염색조(100)로부터 처리된 세척수의 배출과는 별도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세공정시에 필요한 물의 양을 절감하면서 수세시간을 줄일 수 있고, 처리된 세척수를 배출하면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저욕비 염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직물이 수용되는 염색조와, 상기 염색조내에 수용되어 직물이 통과되는 내부챔버와, 상기 내부챔버의 유입측에 마련되어 상기 직물의 진행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수용부와, 상기 세척수수용부로부터 세척수를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염색조 펌프와, 소정의 염색공정에 따라 상기 염색조내에서 처리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염색조의 하방으로부터 연장된 배출관을 갖고, 상기 배출관의 일측으로 분기되는 관상의 수세배출부를 포함하는 저욕비 염색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염색조의 하방으로 수직 연장되는 수직관부를 갖고, 상기 수세배출부는 상기 수직관부의 내측 면부의 일측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수직관부의 외부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세배출부는 상기 염색조펌프의 가동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염색조내의 세척수를 소정량 배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염색조 펌프는 상기 수세배출부로부터 배출된 상기 소정량에 상응하는 양의 세척수를 상기 세척수수용부로부터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욕비 염색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욕비 염색기는, 염색하고자 하는 직물이 수용되는 염색조(10)와, 염료가 수용되는 메인탱크(20)와, 염색조(10) 내에 수용되어 순환되는 직물(12)이 통과하는 내부챔버(11)와, 내부챔버(11)의 유입측에 마련되어 직물의 진행방향으로 염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13)과, 염색조(10)로부터 염액을 분사노즐(13)로 공급하는 염색조펌프(40)를 갖는다. 여기에서 염색조펌프(40)와 분사노즐(13)은 공급관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 메인탱크(20)의 염료를 염색조(10)로 공급하는 염료투입펌프(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염색조(10)내의 상부영역에서 직물(11)이 순환되도록 회전시키는 윈치롤러(15)와, 윈치롤러(15)와 내부챔버(11)의 사이에서 윈치롤러(15)에 의해 순환되는 직물(12)을 내부챔버(11)의 유입구를 향해 안내하는 가이드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윈치롤러(15)는 도시않은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을 한다.
여기에서 분사노즐(13)은 가이드부(17)의 상부에 마련되어 직물(12)에 염액, 정련제, 표백제 또는 세척수를 직물(12)의 진행방향에 따라 분사한다. 그리고 염색조(10)의 하부에는 염색조(1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염액이나 세척수 등을 배출시키는 배출관(50)과 배수밸브(53)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배출관(50)은 염색조(10)의 하방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본 저욕비 염색기의 일측에는 직물을 세척하는 세척수를 수용하는 세척수수용부(30)가 더 마련되어 있다. 세척수수용부(30)로부터의 세척수는 염색조펌프(40)에 의해 소정의 염색공정에 따라 인출되어 염색조(10)내로 공급된다. 또한 염색기의 다른 일측에는 염색조펌프(40)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나 염액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열교환기(50)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윈치롤러(15)가 회전하여 염색하고자 하는 직물(12)이 염색조(10)내에서 내부챔버(11)를 통과하면서 순환하는 동안, 세척수수용부(30)와 메인탱크(20)로부터 염색조펌프(40)를 통하여 세척수와 염료등이 염색조(10)내로 공급되며, 염색조(10)내의 염액도 염색조펌프(40)를 통하여 염색조(10)내로 재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17)의 상부에 마련된 분사노즐(13)을 통하여 소정의 염색공정에 따라 염액, 정련제, 표백제 또는 세척수 등이 직물(12)로 분사된다.
또한 염색기를 이용하여 소정의 직물 염색공정, 즉 정련, 염색, 수세 등의 공정을 수행할 때 각 개소에는 관을 개방 및 폐쇄하는 공급밸브(21, 41)가 다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이들 공급밸브를 이용하여 메인탱크(20)나, 세척수수용부(30), 염색조(10)로부터 염료, 세척수, 염액 등의 유출입을 조절하여 염색조(10)로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열교환기(50)의 일측에는 열교환기(50)를 따라 유동하는 세척수 및 염액과 상호 열교환하는 용액이 열교환기(50)에 공급될 수 있도록 관을 개방 및 폐쇄하는 공급밸브(51)가 설치된다.
본 저욕비 염색기에서는 많은 양의 염액을 필요로 하지 않고 염색조(10)내의 염액이 내부챔버(11)에서 순환되는 직물에 충분히 염색을 고르게 할 수 있어서 염액의 불필요한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염액의 투입 및 희석시간을 줄이고 염액의 순환성을 향상하기 위한 별도의 희석장치(6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욕비 염색기에서 수세공정에 따른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소정의 염색공정에 따라 수세공정이 수행되면, 내부챔버(11)의 유입측에 마련되어 있는 분사노즐(13)로부터 직물(12)의 진행방향으로 세척수가 분사된다. 이때 세척수는 세척수수용부(30)로부터 염색조펌프(40)의 작동에 의해 분사노즐(13)로 공급되어, 직물(12)로 분사되면서 수세가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욕비 염색기에서는 염색조(10) 내에 수용되는 물의 양도 내부챔버(11)의 저부 일부가 잠겨질 정도로서 많은 양의 물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분사노즐(13)을 통해 세척수가 분사되어 수세가 이루어진 뒤에는 처리된 세척수를 배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욕비 염색기에서는 수세공정에 따른 처리된 세척수를 배출할 때 배출관(50)으로부터 분기되어 일측에 별도로 마련된 수세배출부(55)를 사용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50)은 염색조(10)의 하방으로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관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수세배출부(55)는 수직관부(51)의 내측 면부의 일측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수직관부(51)의 외부로 절곡된 관상체로 형성될 수 있다. 수세배출부(55)의 일측에도 수세배출량 조절을 위한 조절밸브가 마련될 수 있다.
직물에 대한 수세공정이 이루어지면, 염색조펌프(40)가 가동하여 세척수수용부(30)로부터의('A'방향으로부터) 세척수가 흡입되어 분사노즐(13)로('B'방향으로) 급수된다(도 3 참조). 이때 세척수수용부(30)와 염색조펌프(40)를 연결하는 급수관의 경로상에는 조절밸브(31)가 마련되어 수세공정에 따라 비례제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욕비 염색기에서는 수세시간 및 물의 양을 절감하기 위하여 세척수를 공급하면서, 염색조(10)내에 수용된 세척수를 재공급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즉 수세공정에 기초하여 염색조펌프(40)의 가동에 따른 흡입력에 의하여 세척수수용부(30)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노즐(13)로 공급되며, 그 유속에 의해 염색조(10)내의 세척수도 동시에 흡입되어 분사노즐(13)로 함께 공급된다. 이때 염색조(10)내에서 유출되는 세척수의 일부가 염색조펌프(40)의 작동에 따른 유속에 의해 수세배출부(5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세척수수용부(30)측으로 연결되어 있는 급수관상에 마련된 조절밸브를 비례제어함으로써 수세배출부(55)를 통하여 배출되는 양에 상응하는 만큼의 세척수를 분사노즐(13)을 통하여 염색조(10)내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세공정에 따른 처리된 세척수의 외부로의 배출과 새로운 세척수의 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처리된 세척수중 일부만 외부로 배출되고 나머지는 염색조내로 재공급되어 직물의 수세공정에 이용하도록 마련된다. 즉 수세공정에 필요한 세척수의 양을 절감할 수 있어 세척수수용부의 용량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수의 신속한 공급으로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욕비 염색기에서는 수세배출부를 통하여 염색조펌프의 가동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염색조내의 세척수를 소정량 배출시킬 수 있어, 처리된 세척수의 배출로 인하여 세척수의 공급이 중단되지 않는다. 나아가, 염색조 펌프에서 수세배출부로부터 배출된 양에 상응하여 세척수를 세척수수용부로부터 분사노즐로 공급함으로써 염색조내에서 수세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다른 대체 가능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채택되는 이와 같은 변경, 수정 및 대체되는 실시예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과 범위내에 속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욕비 염색기에 따르면, 수세공정시에 필요한 물의 양을 절감하면서 수세시간을 줄일 수 있고, 처리된 세척수를 배출하면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어 전체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Claims (4)

  1. 직물이 수용되는 염색조와, 상기 염색조내에 수용되어 직물이 통과되는 내부챔버의 유입측에 마련되어 상기 직물의 진행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수용부와, 상기 세척수수용부로부터 세척수를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염색조 펌프와, 소정의 염색공정에 따라 상기 염색조내에서 처리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염색조의 하방으로부터 연장된 배출관을 갖는 저욕비 염색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일측으로 분기되는 관상의 수세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욕비 염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염색조의 하방으로 수직 연장되는 수직관부를 갖고,
    상기 수세배출부는 상기 수직관부의 내측 면부의 일측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수직관부의 외부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욕비 염색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배출부는 상기 염색조펌프의 가동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염색조내의 세척수를 소정량 배출시키는 저욕비 염색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염색조 펌프는 상기 수세배출부로부터 배출된 상기 소정량에 상응하는 양의 세척수를 상기 세척수수용부로부터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저욕비 염색기.
KR1020040057911A 2004-07-24 2004-07-24 저욕비 염색기 KR100592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911A KR100592542B1 (ko) 2004-07-24 2004-07-24 저욕비 염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911A KR100592542B1 (ko) 2004-07-24 2004-07-24 저욕비 염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493A true KR20060009493A (ko) 2006-02-01
KR100592542B1 KR100592542B1 (ko) 2006-06-26

Family

ID=37120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7911A KR100592542B1 (ko) 2004-07-24 2004-07-24 저욕비 염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254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721B1 (ko) * 2006-06-21 2007-03-21 대림스타릿 주식회사 고/저온 염색기의 작동방법 및 그 장치
KR101354618B1 (ko) * 2013-01-28 2014-01-22 영덕물산(주) 폴리에스테르/레이온 혼방 편직물의 저욕비 염색방법
CN107641917A (zh) * 2017-09-06 2018-01-30 湖州博润实业有限公司 一种纺织品染色后清洗装置
CN115652571A (zh) * 2022-11-04 2023-01-31 杭州欣元印染有限公司 一种提高高温高压染色机匀染性的加料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158B1 (ko) 2008-01-17 2009-11-05 양형학 염색조 및 이를 갖는 염색기
KR101639605B1 (ko) * 2015-12-22 2016-08-03 (주)경훈기계 저욕비 액류 염색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721B1 (ko) * 2006-06-21 2007-03-21 대림스타릿 주식회사 고/저온 염색기의 작동방법 및 그 장치
KR101354618B1 (ko) * 2013-01-28 2014-01-22 영덕물산(주) 폴리에스테르/레이온 혼방 편직물의 저욕비 염색방법
CN107641917A (zh) * 2017-09-06 2018-01-30 湖州博润实业有限公司 一种纺织品染色后清洗装置
CN115652571A (zh) * 2022-11-04 2023-01-31 杭州欣元印染有限公司 一种提高高温高压染色机匀染性的加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2542B1 (ko) 2006-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9199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833857B1 (ko) 세탁 장치
KR101820662B1 (ko) 드럼세탁기 및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1315425B1 (ko) 세탁기
KR20090006659A (ko) 세탁기
KR20100027031A (ko) 드럼세탁기의 세탁수 순환 장치 및 방법
KR20100106037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592542B1 (ko) 저욕비 염색기
KR20000045029A (ko) 세탁기의 세제 용해 장치
KR100550925B1 (ko) 염색기
KR100525820B1 (ko) 드럼 세탁기의 순환수/증기 공급장치
KR100925158B1 (ko) 염색조 및 이를 갖는 염색기
KR20050062846A (ko) 탑 로드 방식 세탁기 및 그 세탁방법
KR102013187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KR100802466B1 (ko) 세탁기
KR100289377B1 (ko) 염색기
KR100492319B1 (ko) 세탁기의 급수 제어 방법
KR200489826Y1 (ko) 월풀욕조 자동세척장치
KR100317049B1 (ko) 염색기
KR20070071095A (ko) 드럼세탁기
KR100986144B1 (ko) 염색기
KR200143269Y1 (ko) 세탁기의 세탁수 분사장치
KR101095552B1 (ko) 세탁기
KR20180129615A (ko) 세정기
KR20020060335A (ko) 세탁기의 헹굼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