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3788A - 고유동 흐름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유동 흐름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3788A
KR20080093788A KR1020070037996A KR20070037996A KR20080093788A KR 20080093788 A KR20080093788 A KR 20080093788A KR 1020070037996 A KR1020070037996 A KR 1020070037996A KR 20070037996 A KR20070037996 A KR 20070037996A KR 20080093788 A KR20080093788 A KR 20080093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resin
resin composition
ethylene
weight
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5729B1 (ko
Inventor
김성호
김현돈
남민
원정희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7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729B1/ko
Publication of KR20080093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7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78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r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86Antista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폴리프로필렌 수지 5~35중량%, (B) 열가소성 탄성체 5~50중량%, (C) 프로세싱 오일 20~40중량%, 및 (D) 무기필러 1~30중량%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유동, 흐름성, 자동차, 내장부품, 표피제, 폴리프로필렌 수지, 열가소성 수지,

Description

고유동 흐름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Thermoplastic elastomer resin with high flow property}
본 발명은 높은 유동특성을 가짐으로써 자동차의 도어 트림 판넬(Door Trim Panel), 인스트루먼트 판넬(Instrument Panel)등과 같은 대형 내장부품의 표피제로 적합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내장소재의 고급스러운 느낌을 표현하기 위하여 PPF 또는 PC/ABS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을 사출한 후, 여러공정을 거쳐서 만들어진 표피제를 접착하거나 덧씌움으로써, 감성품질을 높인 도어 트림 판넬이나 인스트루먼트 판넬 등이 사용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정은 공정이 복잡하며 제품의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어 일부의 고급 차종에만 적용 가능하다. 하지만 현재의 소비자들은 감성품질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고급차종뿐만 아니라 일반 차량에서도 이러한 고급스러움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공정을 단순화시켜 제품 단가를 낮추어 일반차량에도 적용 가능하며, 고급소재의 느낌을 표현할 수 있는 소재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기존에 개발된 부분 가교된 열가소성 탄성체 및 완전 가교된 열가소성 탄성체를 적용할 경우 유동 흐름성이 매우 낮아 대형사출물 위에 이중사출을 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들을 이용하여 이중사출을 시도할 경우 사출이 되었다 하더라도, 미성형(short Shot)이나 유동흐름자국(Flow mark)이 발생하여 도어트림 판넬이나 인스트루먼트 판넬에 적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 개발된 고유동 특성을 갖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적용하여 이중 사출할 경우 제품의 경도가 높아 고급스럽고, 부드러운 느낌을 표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미합중국의 특허 6,207,754는 자동차의 내장 표피제에 적용가능한 열가소성 올레핀 조성물에 관한것으로서, (A)충격개질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40~60중량% (B)에틸렌 함량이 87~97.5몰%를 가지며, 밀도가 0.865~0.920g/cc이며, 70,000 이상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플라스토머 10~70중량% (C)별도의 올레핀 공중합체 엘라스토머 5~20중량% (D)커플링제 및 활성화제 화합물을 포함하며, 그와 같이 제조된 열가소성 올레핀 조성물의 용융지수가 0.5~5g/10min을 갖는 수지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열가소성 올레핀 조성물은 칼렌더 가공을 위한 수지 조성물로서, 낮은 용융 흐름성을 갖기 때문에 표피제를 위한 높은 유동 흐름성을 요구하는 대형물의 이중사출에 적용할 경우 미성형이나 플로우 마크등이 발생하여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10-2002-0042507의 경우 대형사출물의 적용을 위한 고유동 특성을 갖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 (A)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로서, 용융지수가 20~80g/10min(230℃)이고, 아이소텍틱 인덱스가 97~100인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60~80중량%, (B)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 10~30중량%, 및 (C)탈크, 탄산칼슘, 황산칼슘, 산화마그네슘, 칼슘스테아레이트, 마이카, 실리카, 규산칼슘, 점토 및 카본블랙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무기충진제 7~25%가 포함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조성물은 연질특성을 나타내는 고무의 함량이 부족하여 부드럽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표현하기 힘들어 자동차의 도어트림 판넬이나 인스트루먼트 판넬 등의 표피제를 위한 이중사출용 소재로서 부적합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여, 대형물위에 이중 사출이 가능하도록 높은 용융 흐름 특성을 가지면서도 부드러운 질감 및 유연성을 나타내며, 또한, 이중사출의 단일공정에 의하여 제품을 완성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A) 폴리프로필렌 수지 5~35중량%, (B) 열가소성 탄성체 5~50중량%, (C) 프로세싱 오일 20~40중량%, 및 (D) 무기필러 1~30중량%를 포함하는 열가 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A) 폴리프로필렌 수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 및 에틸렌의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 에틸렌 및 α-올레핀의 삼원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가능한 용융지수 (230℃, 2.16Kg)의 범위가 0.1~100g/10min이며, 바람직하게는 0.1~60g/10min 범위인 수지이다. 0.1g/10min 보다 유동성이 낮으면 제품의 유동 특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100g/10min보다 유동성이 높으면 반바리 니더 (Banbary Kneader) 가공이 어렵다. 상기 α-올레핀 단량체로는 에틸렌(Ethylene), 1-부텐(1-Butene), 1-펜텐(1-Pentene), 1-헥센(1-Hexene) 중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5~35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28중량%이다. 함량이 5중량% 미만이면 최종제품의 인장강도와 같은 기계적 성질이 저하되고, 35중량% 이상이면 경도가 높아져 원하는 부드러운 느낌이 없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B) 열가소성 탄성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열가소성 탄성체는 α-올레핀계 공중합체,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 또는 스틸렌계 공중합체이다.
이중 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 또는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는 부분적으로 결정성을 갖거나, 또는 무정형으로서 2 종 이상의 모노 올레핀을 공중합시킨 랜덤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여 공중합 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Ethylene-propylene-diene) 3원 공중합체 고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thylene-propylene-rubb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대표적인 예로는 디시클로펜타디엔(Dicyclo pentadiene),1,4-헥사디엔(1,4-Hexadiene) 메틸렌노보넨(methylene norbonene), 에틸리덴노보넨(ethylidene norbonene) 및 그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 선택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교반응 속도가 빠른 에틸렌-프로필렌-에틸리덴노보넨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는 에틸렌-프로필렌-디시클로펜타디엔, 에틸렌-프로필렌-1,4-헥사디엔, 에틸렌-프로필렌-메틸렌노보넨, 에틸렌-프로필렌-에틸리덴노보넨, 에틸렌-프로필렌-사이클로헥사디엔,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틸렌계 공중합체는 스틸렌 및 탄소수 2 내지 10의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의 공중합체 엘라스토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틸렌계 엘라스토머가 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SBS), 스틸렌-이소프렌-스틸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SIS), 스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틸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SEPS), 스틸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SEBS)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는 무늬점도 ML1+4 125℃ 2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5~5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40중량%이다. 만약 5중량% 미만이면, 가교반응이 일어날수 있는 비공역디엔의 함량이 감소하여, 가교도가 떨어져 우수한 물리적, 화학적 물성을 얻을 수 없으며, 50중량%를 초과하면, 유동 흐름특성이 감소하여 높은 유동 흐름 특성을 요구하는 제품에 적용하는 것이 어렵다.
(C) 프로세싱 오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로세싱 오일은 가공성의 개량 및 물리적 특성을 개량하기 위하여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파라핀(Paraffin)계, 나프텐(Naphthene)계, 또는 방향족(Aromatic)계가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발화온도가 250~580℃ 범위의 파라핀 계통의 미네랄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방향족 계통의 오일을 사용하게 되면, 냄새문제나, 칼라구현의 한계를 나타내기 때문에 바람직 하지 않다.
상기 프로세싱 오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20~4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2~40중량%이다. 만약 20중량% 미만이면, 소재의 유동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하며, 40중량%를 초과하면 생산성이 떨어지는 가공상의 문제나, 완성되어 진 사출품의 오일이 기어나오는 문제가 발생한다.
(D) 무기필러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무기 충전제는 탈크(Talc), 탄산칼슘(CaCO3), 황산바륨(BaSO4), 수산화알루미늄(A12O3), 이산화티탄(TiO2), 산화아연(ZnO), 산화마그네슘(MgO), 마이카(Mica), 월라스토나이트(Wallastonite), 실리카, 클레이(Clay), 유리섬유, 및 카본블랙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탈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기 충전제는 입도 크기가 0.1~15μ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입도 크기가 0.1~10μm 이하인 것이다.
상기 무기 충전제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1~3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20중량%이다.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무기필러의 사용효과가 미미하여 최종성형품에서 광택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함량이 30중량%를 초과하면, 비중이 증가되고, 유동특성이 감소하며, 무기충전제의 뭉침현상으로 인하여 기계적 물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E) 유기 퍼옥사이드계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퍼옥사이드계 가교제로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라우릴 퍼옥사이드, 디큐밀 퍼옥사이드, 1,3-비스(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디-t-부틸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실)헥산,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실) 헥산-3, p-클로로벤조일 퍼옥사이드, n-부틸-4,4-비스(t-부틸퍼옥시)발리레이트, 및 2,4-디클로로벤조일 퍼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수 있다. 냄새 및 스코치(Scorch) 안정성 측면에서 1,3-비스(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또한 최종 제품의 가교 정도 및 유동성에 따라 함량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상기의 (A), (B), (C), 및 (D) 성분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02~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0.02중량% 미만이면, 가교효과가 매우 미미하여 가교고무로써의 특성을 나타낼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며, 5중량%를 초과하면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분해가 가속화되어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G) 가교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가교조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과도한 분해방지 및 가교제에 의하여 생성된 라디칼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것으로, 사용가능한 가교조제는 디비닐벤젠, 트리아릴시아누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알릴메타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가 효과적이다.
상기 가교조제는 상기의 (A), (B), (C), 및 (D) 성분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02~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만약 0.1중량% 미만이면 가교반응에 첨가되는 가교조제로서 작용을 할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며, 5중량%를 초과하면 다른 안정제와 반응하여 최종수지의 열안정성이나, 내후안정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성분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 자외선 안정제, 안료, 열안정제, 활제, 발포제, 대전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적정 함량 범위 내에서 소량 사용할 수 있다.
기존의 사출형 제품은 표피재 제작(1), 사출품 성형(2), 접합(3)의 3단계 공정을 통하여 제조되었으나,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면 이중사출의 단일공정에 의하여 제품을 완성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 단축으로 인하여 기존품 대비 약 40%의 원가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조성을 제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용융흐름지수가 1g/10min인 랜덤폴리프로필렌(copolypropylene) 25중량% 및 무니점도 ML1+4 125℃ 50인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20중량%와 무니점도 ML1+4 125℃ 80인 EPDM 10중량% 및 프로세싱 오일 35중량%, 용융지수가 5g/10min 인 SEBS(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5중량%, 무기충전제 탈크 5중량%를 미리 가열된 반바리 니더기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 후 예비 블렌딩된 제품에 가교제 3중량% 및 가교조제 1.5중량% 및 기타 산화 방지제 2.0중량% 와 내후 안정제 3.0중량%를 첨가한 후 190℃ 내지 230℃인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하고, 이를 냉각하여 펠렛상의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용융흐름지수가 1g/10min인 랜덤폴리프로필렌(copolypropylene) 30중량% 및 무니점도 ML1+4 125℃ 50인 EPDM 20중량%와 무니점도 ML1+4 125℃ 80인 EPDM 10중량% 및 프로세싱 오일 3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 하였다.
실시예 3.
용융흐름지수가 1g/10min인 랜덤폴리프로필렌(copolypropylene) 30중량% 및 무니점도 ML1+4 125℃ 50인 EPDM 10중량%와 무니점도 ML1+4 125℃ 80인 EPDM 20중량%, 프로세싱 오일 30중량%, 및 무기충전제 탈크 10중량%를 포함하고, SEBS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 하였다.
비교예 1.
랜덤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을 40중량%로 프로세싱오일의 함량을 20%로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 하였다.
비교예 2.
랜덤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을 45중량% 프로세싱오일의 함량을 15중량%로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 하였다.
시험예
성능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온도가 200℃인 사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이중 사출성형하고 하기의 평가 항목에 대하여 기재된 방법에 따라 성능을 측정하였다.
<유동지수>
ASTM D1238 규격에 의거하여 평가 하였다.
<인장강도 및 신율>
ASTM D412 규격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경도>
ASTM D2240 규격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성형성>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이중사출 성형후 흐름 자욱, 웰드라인(Weld line), 부분광택, 외관 등을 관찰하였다.
상기의 시험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29496911-PAT00001
◎ : 매우 우수, ○:우수, △: 보통, x: 나쁨
프로필렌 : 유동지수 1g/10min (230℃)
EPDM - 1 : 무니점도 ML1+4 125℃ 50
EPDM - 1 : 무니점도 ML1+4 125℃ 80
SEBS : 용융지수 5g/10min(230℃)
프로세싱 오일 : 발화점 300℃
무기충전제 : 입자 크기 5㎛인 탈크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의 가교도 및 유동특성을 제어함으로써 높은 유동 흐름특성을 갖도록하여 우수한 사출 성형성과 부드러운 질감의 유연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를 제공한다.
또한, 기존의 사출형 제품은 표피재 제작(1), 사출품 성형(2), 접합(3)의 3단계 공정을 통하여 제조되었으나,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면 이중사출의 단일공정에 의하여 제품을 완성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 단축으로 인하여 기존품 대비 약 40%의 원가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6)

  1. (A) 폴리프로필렌 수지 5~35중량%, (B) 열가소성 탄성체 5~50중량%, (C) 프로세싱 오일 20~40중량%, 및 (D) 무기필러 1~30중량%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 및 에틸렌의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 에틸렌 및 α-올레핀의 삼원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용융지수(230℃, 2.16Kg)가 0.1~100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는 α-올레핀계 공중합체,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 또는 스틸렌계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는 에틸렌-프로필렌-디시클로펜타디엔, 에틸렌-프로필렌-1,4-헥사디엔, 에틸렌-프로필렌-메틸렌노보넨, 에틸 렌-프로필렌-에틸리덴노보넨, 에틸렌-프로필렌-사이클로헥사디엔,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틸렌계 공중합체 고무가 스틸렌 및 탄소수 2 내지 10의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의 공중합체 엘라스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틸렌 및 탄소수 2 내지 10의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의 공중합체 엘라스토머가 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SBS), 스틸렌-이소프렌-스틸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SIS), 스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틸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SEPS), 스틸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SEBS),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는 무늬점도가 ML1+4 125℃ 2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오일은 발화온도가 250~580℃인 파라핀 계통의 미네랄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기충진제가 탈크(Talc), 탄산칼슘(CaCO3), 황산바륨(BaSO4), 수산화알루미늄(A12O3), 이산화티탄(TiO2), 산화아연(ZnO), 산화마그네슘(MgO), 마이카(Mica), 월라스토나이트(Wallastonite), 실리카, 클레이(Clay), 유리섬유, 및 카본블랙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기 충전제는 입도가 0.1~15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2. 청구항 1에 있어서, (A), (B), (C), 및 (D) 성분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02~5중량%의 (E) 유기 퍼옥사이드계 가교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E) 유기 퍼옥사이드계 가교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라우릴 퍼옥사이드, 디큐밀 퍼옥사이드, 1,3-비스(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디-t-부틸 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실)헥산,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실)헥산-3, P-클로로벤졸 퍼옥사이드, n-부틸-4.4-비스(t-부틸퍼옥시)발리레이트, 및 2.4-디클로로벤조일 퍼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 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4. 청구항 1에 있어서, (A), (B), (C), 및 (D) 성분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02~5중량%의 (G) 가교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G) 가교조제는 디비닐벤젠, 트리아릴시아누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알릴메타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6. 청구항 1, 청구항12, 및 청구항 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화방지제, 자외선 안정제, 안료, 열안정제, 활제, 발포제, 대전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0070037996A 2007-04-18 2007-04-18 고유동 흐름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215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996A KR101215729B1 (ko) 2007-04-18 2007-04-18 고유동 흐름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996A KR101215729B1 (ko) 2007-04-18 2007-04-18 고유동 흐름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788A true KR20080093788A (ko) 2008-10-22
KR101215729B1 KR101215729B1 (ko) 2012-12-26

Family

ID=40154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996A KR101215729B1 (ko) 2007-04-18 2007-04-18 고유동 흐름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72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184B1 (ko) * 2010-07-21 2012-05-04 (주)지티 향상된 인장률을 갖는 전선 외피 보호용 2차 피복 조성물을 이용한 난방발열장치
KR20190063818A (ko) * 2017-11-30 2019-06-10 (주)엘지하우시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투명층 제조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형성한 투명층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CN110128745A (zh) * 2019-04-24 2019-08-16 杭州余杭振华日化玻璃有限公司 一种香水瓶盖的配方及其制备方法
WO2019160295A1 (ko) * 2018-02-13 2019-08-22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저비중 성형 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 폼의 제조방법
CN110240754A (zh) * 2019-07-17 2019-09-17 福建鑫邦新材料科技有限公司 改性聚丙烯及其制备方法
WO2019190068A1 (ko) * 2018-03-30 2019-10-03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110628135A (zh) * 2018-06-25 2019-12-31 苏州市朗腾工贸有限公司 一种超高流动性tpv材料
CN114181452A (zh) * 2021-10-29 2022-03-15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1661505B2 (en) 2018-12-21 2023-05-30 Lotte Chemical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produced therefro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913B1 (ko) * 2001-10-22 2004-03-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강인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184B1 (ko) * 2010-07-21 2012-05-04 (주)지티 향상된 인장률을 갖는 전선 외피 보호용 2차 피복 조성물을 이용한 난방발열장치
KR20190063818A (ko) * 2017-11-30 2019-06-10 (주)엘지하우시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투명층 제조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형성한 투명층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WO2019160295A1 (ko) * 2018-02-13 2019-08-22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저비중 성형 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 폼의 제조방법
WO2019190068A1 (ko) * 2018-03-30 2019-10-03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90114389A (ko) * 2018-03-30 2019-10-10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US11718739B2 (en) 2018-03-30 2023-08-08 Lotte Chemical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produced therefrom
CN110628135A (zh) * 2018-06-25 2019-12-31 苏州市朗腾工贸有限公司 一种超高流动性tpv材料
US11661505B2 (en) 2018-12-21 2023-05-30 Lotte Chemical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produced therefrom
CN110128745A (zh) * 2019-04-24 2019-08-16 杭州余杭振华日化玻璃有限公司 一种香水瓶盖的配方及其制备方法
CN110240754A (zh) * 2019-07-17 2019-09-17 福建鑫邦新材料科技有限公司 改性聚丙烯及其制备方法
CN114181452A (zh) * 2021-10-29 2022-03-15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181452B (zh) * 2021-10-29 2023-10-31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5729B1 (ko) 201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5729B1 (ko) 고유동 흐름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891836B1 (ko)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고유동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657359B1 (ko) 내스크래치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2005068430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5716602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エアバッグ収納カバー
JP2015193821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成形体及びエアバッグ収納カバー
JP2017025315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成形体及び自動車用部品
JP2013035889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エアバッグ収納カバー
JP2024056973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H1087919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2792344B2 (ja) 表皮材用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からなる工業部品用表皮材
JP2925982B2 (ja) 複合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6512054B2 (ja) 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H1087902A (ja) 架橋樹脂組成物
KR100551787B1 (ko) 자동차 내장재 표피재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JPH05222214A (ja) 防水シート
JP2001123027A (ja) 押出し成形用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98046B1 (ko) 내스크래치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3996456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2018141092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US11746221B2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JP4599646B2 (ja) 接着用架橋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積層体
JP2002327098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2018044085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2019044112A (ja) 複合成形体用動的架橋型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複合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