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3273A -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리스코프 장치 - Google Patents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리스코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3273A
KR20080093273A KR1020070036987A KR20070036987A KR20080093273A KR 20080093273 A KR20080093273 A KR 20080093273A KR 1020070036987 A KR1020070036987 A KR 1020070036987A KR 20070036987 A KR20070036987 A KR 20070036987A KR 20080093273 A KR20080093273 A KR 20080093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
steering column
bracket
outer tube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3938B1 (ko
Inventor
오재문
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70036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938B1/ko
Publication of KR20080093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조향축이 구비되는 외측 튜브와, 상기 외측 튜브에 삽입되는 내측 튜브와, 상기 외측 튜브를 차체에 고정시키며 양측으로 장공이 형성된 틸트 브라켓이 구비되는 상부 브라켓 및 레버를 포함하는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틸트 브라켓의 외측 일면에 구비되되 일면에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양측으로 상향 돌출되는 단턱부가 형성된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에 밀착되게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공과 연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둘레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경사 부재; 및 상기 틸트 브라켓을 관통하되 일측이 상기 경사 부재의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며 상기 경사면과 접촉하는 경사부가 형성된 마찰력 제공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틸트 브라켓의 일측에 가이드 부재 및 경사 부재를 구비하고, 경사부가 형성된 틸트 볼트를 삽입하여 틸트 작동시 이 경사부에 의해 경사 부재를 가압함으로써, 경사 부재와 가이드 부재 간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소음을 최소화하고 지지력 및 작동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조향 컬럼, 틸트, 마찰, 경사, 가동기어, 구동기어

Description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리스코프 장치{Tilt And Telescope Device For Steering Colum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향 컬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장치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향 컬럼을 나타낸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장치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5a 및 도 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2: 조향축 304: 레버
310: 외측 튜브 320: 내측 튜브
330: 상부 브라켓 332: 틸트 브라켓
334: 캡슐 336: 장공
340: 하부 브라켓 342: 결합공
344: 틸트 힌지 350: 마찰력 제공 수단
352: 머리부 354: 경사부
360: 틸트 장치 370: 가이드 부재
380: 경사 부재 412: 평면부
414: 가이드공 416: 단턱부
420: 고정 부재 422: 연장편
424: 돌기 430: 지지 부재
432: 미끄럼홈 440: 경사면
442: 제 1 경사면 444: 제 2 경사면
446: 삽입공
본 발명은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틸트 브라켓의 일측에 가이드 부재 및 경사 부재를 구비하고, 경사부가 형성된 틸트 볼트를 삽입하여 틸트 작동시 이 경사부에 의해 경사 부재를 가압함으로써, 경사 부재와 가이드 부재 간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소음을 최소화하고 지지력 및 작동감을 향상시킨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자동차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수요자의 욕구가 다양화 됨에 따라 보다 운전자 중심의 지능형 자동차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런 추세의 하나로 운전자가 용이하게 조향휠을 잡고 편안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운전자에 대한 조향휠의 상대 위치를 조정하는 구동 모터를 이용한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 장치의 장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여기에서,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Tilt And Telescope Steering System)는 승용차에 사용되는 조향휠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런 조향 장치의 위치 조정에는 틸트 장치와 텔레스코프 장치가 포함이 되는데, 틸트 장치는 운전석에 착석하는 운전자의 자세에 맞추어 조향휠의 상하 고정각도를 조정하는 것이고, 텔레스코프 장치는 운전자의 체형에 맞게 조향 컬럼의 길이를 신축하여 조향휠과 운전자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향 컬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장치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장치는 내부에 조향축(102)이 구비되는 중공 형상의 외측 튜브(110), 외측 튜브(110)에 삽입되는 내측 튜브(120), 내측 튜브(120)와 함께 차체에 고정되며 틸트 힌지(132)가 구비되는 하부 브라켓(130), 외측 튜브(110)의 양측에 구비되어 외측 튜브(110)와 함께 캡슐(142)을 통해서 차체에 고정되는 상부 브라켓(140), 상부 브라켓(140)에 연결되고 틸트 장홀(152)이 형성된 틸트 브라켓(150), 외측 튜브(110)의 하부에 고정되며 틸트 브라켓(150)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측 튜브(110) 및 틸트 브라 켓(150)을 지지하는 디스턴스 브라켓(160), 틸트 장홀(152)을 관통하며 캠(170) 및 레버(175)와 체결하는 조절 볼트(180), 틸트 브라켓(150)의 일측에 구비되는 고정기어(190) 및 고정기어(190)와 치합 또는 분리되는 가동기어(19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틸트 앤 텔레스코프 장치는 레버(175)의 작동에 의한 캠(170)의 회전에 의해 고정기어(190)와 가동기어(195)가 서로 치합되면서 틸트 브라켓(150)을 가압하고 이때 가압되는 틸트 브라켓(150)과 디스턴스 브라켓(160)이 서로 밀착 고정되면서 조향 컬럼 즉, 외측 튜브(110)는 틸트 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틸트 작동을 위해서 레버(175)를 작동하면 레버(175)와 함게 회전하는 캠(170)에 의해서 서로 치합하고 있던 가동기어(195)가 고정기어(190)와 분리되고, 이에 따라 틸트 브라켓(150)을 가압하고 있던 압력 또한 사라짐으로써, 틸트 브라켓(150)과 디스턴스 브라켓(160) 사이의 밀착력이 해소되어 조향 컬럼 즉, 외측 튜브(110)는 하부 브라켓(130)의 틸트 힌지(132)를 중심으로 틸트 작동이 가능해 지는 것이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틸트 작동이 고정기어(190) 및 가동기어(195)에 의해서 작동이 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 작동시 조향휠의 변위에 대해서 각 기어치들에 의해 틸트 작동에 의한 조향휠의 설정이 가능한 설정 가능 구간(210)과 틸트 작동에 의한 조향휠의 설정이 불가능한 설정 불가능 구간(220)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말해, 설정 가능 구간(210)은 고정기어(190) 및 가동기어(195)의 각 기어치들이 치합 또는 분리가 완료된 상태의 구간으로서 이때에는 외측 튜브(110)가 틸트 작동을 하거나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고, 설정 불가능 구간(220)은 고정기어(190)와 가동기어(195)의 각 기어치들에 의하여 일정한 단수를 가지게 되는데, 이 단수들 사이의 구간, 혹은 단수에 해당하는 구간을 일컫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조향휠의 변휘가 60mm이고, 고정기어(190) 및 가동기어(195)의 단수가 6단이라고 하면, 각 기어치들의 단과 단 사이의 10mm 구간은 조향휠을 설정할 수 없는 설정 불가능 구간(220)에 해당하는 것이다.
또한, 고정기어(190)의 기어의 산과 가동기어(195)의 기어의 산이 만나 자리를 찾지 못하는 치걸림 현상으로 인해서 틸트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틸트 브라켓의 일측에 가이드 부재 및 경사 부재를 구비하고, 경사부가 형성된 틸트 볼트를 삽입하여 틸트 작동시 이 경사부에 의해 경사 부재를 가압함으로써, 경사 부재와 가이드 부재 간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소음을 최소화하고 지지력 및 작동감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조향축이 구비되는 외측 튜브와, 상기 외측 튜브에 삽입되는 내측 튜브와, 상기 외측 튜브를 차체에 고정시 키며 양측으로 장공이 형성된 틸트 브라켓이 구비되는 상부 브라켓 및 레버를 포함하는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틸트 브라켓의 외측 일면에 구비되되 일면에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양측으로 상향 돌출되는 단턱부가 형성된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에 밀착되게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공과 연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둘레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경사 부재; 및 상기 틸트 브라켓을 관통하되 일측이 상기 경사 부재의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며 상기 경사면과 접촉하는 경사부가 형성된 마찰력 제공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향 컬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향 컬럼은 내부에 조향축(302)이 구비되는 외측 튜브(310), 외측 튜브(310)에 삽입되는 내측 튜브(320), 외측 튜브(310)를 차체에 고정시키며 양측으로 틸트 브라켓(332)이 구비되는 상부 브라켓(330), 내측 튜브(320)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하부 브라켓(340), 틸트 브라켓(332)을 관통하며 경사부(354)가 형성되어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력 제공 수단(350) 및 틸트 브라켓(332)의 일면에 구비되되 마찰력에 의해 틸트 작동을 지지하거나 고정하는 틸트 장치(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측 튜브(310)는 내부가 중공인 파이프의 형상을 취하며 내부로 조향휠(미도시)과 연결되는 초향축(302)이 설치되며, 내주면을 따라 내측 튜브(320)가 삽입된다. 이와 같은 외측 튜브(310)의 하부에는 디스턴스 브라켓이 구비되되, 외측 튜브(310)와 용접 등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된다.
내측 튜브(320)는 외측 튜브(310)의 내부로 삽입되되 내부가 중공이며 외측 튜브(310)와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은 내측 튜브(320)의 일단에는 하부 브라켓(340)이 구비되어 내측 튜브(320)를 지지함과 동시에 내측 튜브(320)를 차체에 고정시킨다.
상부 브라켓(330)은 외측 튜브(310)의 외부에 구비되어 외측 튜브(310)를 지지함과 동시에 외측 튜브(310)를 차체에 고정시킨다. 아울러 양측부가 절곡된 틸트 브라켓(332)이 구비되며, 상부 양측면에는 캡슐(334)이 구비되어 이 캡슐(334)을 매개로 차체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또한, 틸트 브라켓(332)의 일면에는 틸트 작동을 위한 장공(336)이 형성된다.
하부 브라켓(340)은 내측 튜브(32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부에 차체와 고정할 수 있도록 결합공(34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브라켓(340)의 양측면에는 틸트 조절이 가능하도록 틸트 힌지(344)가 구비되어 조향 컬럼(300)이 틸트 힌지(344)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마찰력 제공 수단(350)은 틸트 브라켓(332)에 형성된 장공(336)을 관통하되, 일측에는 틸트 장치(360)와 결합되며 타측에는 레버(304) 등과 체결되는 일종의 고정 볼트로서 타측 단부 즉, 틸트 장치(360)와 결합되어 틸트 장치(360)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력 제공 수단(350)의 단부인 머리부(352)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부(354)가 형성된다. 이러한 마찰력 제공 수단(350)은 레버(304)의 작동시 틸트 장치(360)에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인장력이 발생하고 이 인장력에 의해 틸트 장치(360)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경사부(354)는 머리부(352)의 끝단에서 마찰력 제공 수단(350)의 축 방향 중심측으로 하향 돌출되면서 경사지도록 형성되되 머리부(352)의 양측 즉, 마찰력 제공 수단(350)의 축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후술하게 될 틸트 장치(360)의 경사면(440)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틸트 장치(360)는 레버의 작동으로 틸트의 작동을 지지하거나 고정하는 것으로서, 틸트 브라켓(332)의 외측 일면에 고정 또는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370)와 가이드 부재(370)에 안착되어 마찰력 제공 수단(350)으로부터 제공되는 마찰력에 의해 틸트의 작동을 고정하는 경사 부재(3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장치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370)는 그 단면의 형상이 'ㄷ'자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틸트 브라켓(332)의 외측 일면에 고정 또는 결합되되 가이드 부 재(370)의 평면부(412)에는 가이드공(414)이 형성되는데, 이 가이드공(414)은 장공(336)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가이드 부재(410)의 양측으로 상향 돌출되는 단턱부(41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 부재(370)는 틸트 브라켓(332)과 고정 볼트, 나사 등 다양한 체결 수단 등을 통해서 고정되거나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서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틸트 브라켓(332)에 가이드 부재(370)가 안정적이고 완전히 밀착되게 고정 또는 결합됨으로써, 진동 및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면 어떠한 방법을 통해서 고정 또는 결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경사 부재(380)는 가이드 부재(370)에 형성된 가이드공(414)과 연통하는 삽입공(446)이 형성되며 이 삽입공(446)의 외측 둘레면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440)이 형성되어 있어서, 마찰력 제공 수단(350)에 형성되는 경사부(354)와 경사 부재(380)에 형성된 경사면(440)이 서로 접촉하도록 마찰력 제공 수단(350)이 경사 부재(380)의 삽입공(446)에 삽입되어 레버(304)의 작동시 이 경사부(354)와 경사면(440)이 서로 슬라이딩하면서 경사 부재(380)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사 부재(380)는 가이드 부재(370)의 평면부(412)에 밀착되는 고정 부재(420)와 고정 부재(420)와 결합되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부재(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경사면(440)은 고정 부재(420) 및 지지 부재(430)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고정 부재(420)에 형성되는 제 1 경사면(442) 및 지지 부재(430)에 형성되는 제 2 경사면(444)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마찰력 제공 수단(350)의 경사부(354)와 동 일한 각도로 형성된다.
고정 부재(420)는 가이드 부재(370)의 평면부(412)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양측 단부에 연장되게 연장편(422)이 형성되며 이 연장편(422)의 내측 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기(424)가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 부재(420)는 양측에 형성된 각각의 연장편(422) 사이에 제 1 경사면(442)이 형성되는데, 이 제 1 경사면(442)은 마찰력 제공 수단(350)의 경사부(354)와 동일한 각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지지 부재(430)는 고정 부재(420)와 슬라이딩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고정 부재(420)의 돌기(424)가 삽입되어 서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지지 부재(430)의 양측 일면에는 미끄럼홈(432)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 부재(430)의 일측 단부에도 제 2 경사면(444)이 형성되는데, 여기서, 지지 부재(430)에 형성되는 제 2 경사면(444)은 고정 부재(420)에 형성된 제 1 경사면(442)과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며, 그 각도 역시 고정 부재(420)에 형성된 제 1 경사면(442)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 부재(420)와 지지 부재(430)가 서로 슬라이딩 되게 결합을 완료하면 제 1 경사면(442) 및 제 2 경사면(444) 사이에는 마찰력 제공 수단(350)이 삽입되는 삽입공(446)이 형성되고 이 제 1 경사면(442) 및 제 2 경사면(444)의 대략적인 형상 즉, 삽입공(446)의 외측 둘레면의 대략적인 형상은 제 1 경사면(442)과 제 2 경사면(444)의 상측 및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의 형상을 취하거나 육각형의 형상을 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장치는 틸트 브라켓(332)에 고정 또는 결합된 가이드 부재(370)의 평면부(412)에 경사 부재(380)가 밀착되도록 구비하고, 경사 부재(380)에 형성된 삽입공(446)에 마찰력 제공 부재(350)를 가이드 부재(370)의 가이드공(414) 및 틸트 브라켓(332)의 장공(336)을 관통하도록 삽입한 다음, 마찰력 제공 부재(350)의 일측 단부와 레버(304)가 체결되는 것이다.
도 5a 및 도 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장치는 틸트 작동 후 조향 컬럼의 고정을 위해서 레버(304)를 작동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력 제공 수단(350)이 레버(304)측으로 이동하고, 경사부(354)가 경사 부재(380)에 형성된 경사면(440)과 접촉하여 이 경사면(440)을 가이드 부재(370)의 단턱부(416)측으로 밀면서 이동한다. 이때, 경사 부재(380)는 가이드 부재(370)와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마찰력 제공 수단(350)의 경사부(354)에 의해 가이드 부재(370)의 단턱부(416)측으로 가이드 부재(370)와 마찰하면서 이동하여 가이드 부재(370)와 경사 부재(380)는 마찰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 마찰력으로 인해서 틸트 작동을 마친 조향 컬럼이 고정되는 것이다.
즉, 조향 컬럼을 고정하기 위해서 레버(304)를 작동하면 레버(304)와 체결되어 있는 마찰력 제공 수단(350)은 레버(304) 측으로 이동하려하고 경사 부재(380)는 마찰력 제공 수단(350)의 경사부(354)와 경사 부재(380)의 경사면(440)이 서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가이드 부재(370)의 단턱부(416) 측으로 이동하려고 하면서 마찰력 제공 수단(350)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력 제공 수단(350)이 이동하려는 반대 방향의 인장력(P)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 부재(370)와 경사 부재(380)는 이 인장력(P)을 통해서 더욱 큰 마찰력이 발생하게 되어 이 마찰력만으로도 조향 컬럼을 고정할 수 있어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종래의 각 기어치들 사이에 발생하는 문제점들로 인해서 작동감이 저하되는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력(P)이 발생한 마찰력 제공 수단(350)에 외력을 부여하면 마찰력 제공 수단(350)은 경사 부재(380)의 삽입공(446)의 상측(P1) 또는 하측(P2)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고정 부재(420)와 지지 부재(430)는 가이드 부재(370)의 단턱부(416)와 평면부(412)에 밀착되어 있으며, 삽입공(446)의 형상이 상측(P1) 또는 하측(P2)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찰력 제공 수단(350)이 외력에 의해 삽입공(446)의 상측(P1) 또는 하측(P2)으로 이동하면 할수록 경사 부재(380)의 고정 부재(420) 및 지지 부재(430)는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력(P')가 발생하여 더욱 큰 지지력을 얻을 수가 있다.
이에 따라 경사 부재(380)는 마찰력 제공 수단(350)이 이동하려는 방향에 대해 평면상의 수직된 방향(마찰력 제공 수단(350)의 축방향에 대한 수직된 방향)으로 또 다른 인장력(P')가 발생하여 조향 컬럼에 더욱 큰 지지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종래의 기어 타입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기어치들 간의 단에 의해서 설정이 불가 능한 설정 불가능 구간(220)이 없이 레버(304)의 작동만으로도 조향 컬럼을 고정할 수 있어 조향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틸트 브라켓의 일측에 가이드 부재 및 경사 부재를 구비하고, 경사부가 형성된 마찰력 제공 수단을 삽입하여 틸트 작동시 이 경사부에 의해 경사 부재를 가압함으로써, 경사 부재와 가이드 부재 간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소음을 최소화하고 지지력 및 작동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내부에 조향축이 구비되는 외측 튜브와, 상기 외측 튜브에 삽입되는 내측 튜브와, 상기 외측 튜브를 차체에 고정시키며 양측으로 장공이 형성된 틸트 브라켓이 구비되는 상부 브라켓 및 레버를 포함하는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틸트 브라켓의 외측 일면에 구비되되 일면에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양측으로 상향 돌출되는 단턱부가 형성된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에 밀착되게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공과 연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둘레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경사 부재; 및
    상기 틸트 브라켓을 관통하되 일측이 상기 경사 부재의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며 상기 경사면과 접촉하는 경사부가 형성된 마찰력 제공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은 상측 및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의 형상이나 육각형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와 상기 경사면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부재는
    양측 단부에 연장되게 연장편이 형성되되 상기 연장편의 단부에 돌출되게 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연장편 사이에는 제 1 경사면이 형성된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와 슬라이딩되게 결합되도록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미끄럼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부재에 형성된 제 1 경사면과 대응하는 제 2 경사면이 형성된 지지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장치.
KR1020070036987A 2007-04-16 2007-04-16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리스코프 장치 KR101083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987A KR101083938B1 (ko) 2007-04-16 2007-04-16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리스코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987A KR101083938B1 (ko) 2007-04-16 2007-04-16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리스코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273A true KR20080093273A (ko) 2008-10-21
KR101083938B1 KR101083938B1 (ko) 2011-11-15

Family

ID=40153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987A KR101083938B1 (ko) 2007-04-16 2007-04-16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리스코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39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5534A (zh) * 2013-12-06 2014-03-12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客车转向柱固定支架及其制作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256B1 (ko) 2014-08-30 2020-06-17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조향장치용 래칫 구조체
KR102076013B1 (ko) 2014-12-31 2020-02-13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조향장치용 틸트 래칫 구조체
KR102123258B1 (ko) 2015-07-15 2020-06-17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조향장치용 틸트 래칫 구조체
KR102445517B1 (ko) 2016-04-25 2022-09-23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차량 조향장치용 틸트 래칫장치
KR102146754B1 (ko) 2017-11-15 2020-08-21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자동차의 조향 컬럼장치
KR102080602B1 (ko) 2018-09-03 2020-02-24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 컬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1660B2 (ja) 2005-02-25 2008-09-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JP2006312338A (ja) 2005-05-06 2006-11-16 Nsk Ltd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2007045357A (ja) 2005-08-11 2007-02-22 Nsk Ltd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5534A (zh) * 2013-12-06 2014-03-12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客车转向柱固定支架及其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3938B1 (ko) 201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3938B1 (ko)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리스코프 장치
US7891268B2 (en) Telescoping-tilting device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US20220324505A1 (en) Steering column for vehicle
JP2003276614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5999767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WO2007046436A1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2012201287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618993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100854767B1 (ko) 조정 스프링을 구비한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앤텔레스코프 조향장치
KR20080090912A (ko) 플레인 와셔를 구비한 틸트 앤 텔레스코픽 조향장치
JP2009137314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位置調節装置
KR20180020608A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KR101172101B1 (ko)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JP4457751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20180088253A (ko) 차량의 조향컬럼
JP6697321B2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KR100842317B1 (ko) 틸트 혹은 텔레스 작동을 위한 조절 레버를 구비한조향장치
JP2006206050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034211B1 (ko) 스티어링 컬럼
KR101172099B1 (ko)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KR20150087972A (ko)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
JP2006117120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764172B1 (ko) 조임부를 구비한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US20240043059A1 (en) Steering column for vehicle
KR101101615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