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2317B1 - 틸트 혹은 텔레스 작동을 위한 조절 레버를 구비한조향장치 - Google Patents

틸트 혹은 텔레스 작동을 위한 조절 레버를 구비한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2317B1
KR100842317B1 KR1020060003956A KR20060003956A KR100842317B1 KR 100842317 B1 KR100842317 B1 KR 100842317B1 KR 1020060003956 A KR1020060003956 A KR 1020060003956A KR 20060003956 A KR20060003956 A KR 20060003956A KR 100842317 B1 KR100842317 B1 KR 100842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tilt
adjustment lever
adjustm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3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5559A (ko
Inventor
전원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60003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2317B1/ko
Publication of KR20070075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5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틸트 혹은 텔레스 작동을 위한 조절 레버를 구비한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틸트 혹은 텔레스 작동을 위해 조절 볼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조절 레버의 일측면에 멈춤 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 레버의 상기 멈춤 홈에 결합하는 멈춤 돌기가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가 고정되는 플레이트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가 틸트 혹은 텔레스 작동을 위해 조절 레버를 작동할 때 레버 가이드부는 조절 레버를 작동하는 운전자에게 부드러운 작동감을 주고 조절 레버가 운전자의 의도한 위치에 안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레버, 틸트, 텔레스, 조향

Description

틸트 혹은 텔레스 작동을 위한 조절 레버를 구비한 조향장치{Steering System Having Control Lever for Tilt or Telescope Operation}
도 1은 종래의 조향장치 중 틸트 및 텔레스 기능 관련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틸트 및 텔레스 기능 관련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틸트 및 텔레스 기능 관련 부분의 일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틸트 및 텔레스 기능 관련 부분의 일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틸트 및 텔레스 기능 관련 부분의 일부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틸트 및 텔레스 기능 관련 부분의 일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상부 브라켓 105: 지지 부재
110: 디스턴스 부재 120: 관통공
125: 조절 볼트 130: 캠
135: 경사부 삽입홈 140: 부시
145: 고정 너트 150: 조절 레버
155: 경사부 200: 레버 가이드부
300: 날개 305: 멈춤 홈
310: 가이드 플레이트 315: 플레이트 고정부
320: 플레이트 지지부 400: 멈춤 돌기
500: 레버 멈춤 돌기 505: 플레이트 홈
600: 경사면
본 발명은 틸트 혹은 텔레스 작동을 위한 조절 레버를 구비한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조절 레버를 작동할 때 부드러운 작동감을 주고 조절 레버가 운전자가 의도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레버 가이드부를 구비한 틸트 혹은 텔레스 작동을 위한 조절 레버를 구비한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요자의 욕구가 다양화됨에 따라 보다 운전자 중심의 지능형 자동차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런 추세의 하나로 운전자가 편안하게 조향휠을 조작할 수 있도록 운전자에 대한 조향휠의 상대 위치를 조정하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의 장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여기에서,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Tilt And Telescope Steering System)는 승용차에 사용되는 조향휠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런 조향장치의 위치 조정에는 틸트 동작과 텔레스코프 동작이 포함된다.
먼저, 틸트 동작은 조향휠의 상하 고정각도를 조정하는 것이고, 텔레스코프 동작은 조향 컬럼의 길이를 늘이거나 짧게 하여 조향휠과 운전자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조향장치 중 틸트 및 텔레스 기능 관련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조향축을 감싸는 상부튜브(미도시)에는 디스턴스 부재(110)가 고정되고, 단면이 'U' 자 형인 지지 부재(105)를 갖는 상부 브라켓(100)이 차체(미도시)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지지 부재(105) 사이에 끼워진 디스턴스 부재(110)의 양쪽 면에는 관통공(120)이 형성되어 조절 볼트(125)가 끼워진다.
조절 볼트(125)는 지지 부재(105)에 형성된 관통공(120)을 따라 디스턴스 부재(110)를 관통하여 소정 길이 연장되고, 연장된 조절 볼트(125)에는 지지 부재(105)와 디스턴스 부재(110) 사이를 가압하여 조임력을 증대시키거나 해제시키는 캠(130)이 설치된다.
또한, 조절 레버(150)에는 캠(130)의 일면에 형성된 경사부(155)가 체결되는 경사부 삽입홈(135)이 형성되고, 조절 볼트(125)의 단부에는 회전을 지지하는 부시(140) 및 조절 볼트(125)와 체결되는 고정 너트(145)가 구비된다.
조절 레버(150)의 경사부 삽입홈(135)과 캠(130)의 경사부(155)는 상호 대응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조절 레버(150)를 작동시켜 조절 레버(150)가 회전되면 이 에 따라 캠(130)도 회전된다. 따라서 지지 부재(105)가 디스턴스 부재(110)를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여 틸트 혹은 텔레스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조절 레버(150)를 조절방향으로 움직이는 구조에 있어서, 조절 레버(150)를 상방향으로 올리더라도 조절 레버(150)의 자체 하중에 의해서 하방향으로 내려와 운전자가 의도한 위치에 조절 레버(150)가 위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조절 레버(150)가 부드럽게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절 레버를 작동할 때 부드러운 작동감을 주고 조절 레버가 운전자가 의도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레버 가이드부를 구비한 틸트 혹은 텔레스 작동을 위한 조절 레버를 구비한 조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틸트 혹은 텔레스 작동을 위해 조절 볼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조절 레버의 일측면에 멈춤 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 레버의 상기 멈춤 홈에 결합하는 멈춤 돌기가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가 고정되는 플레이트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틸트 혹은 텔레스 작동을 위해 상기 자동차의 운전자가 조작하면 조절 볼트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날개의 일면에 레버 멈춤 돌기가 형성된 조절 레버; 상기 조절 레버의 상기 날개의 일면과 밀착되되, 상기 레버 멈춤 돌기가 일부 안착되는 플레이트 홈이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가 고정되는 플레이트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혹은 텔레스 작동을 위한 조절 레버를 구비한 조향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틸트 및 텔레스 기능 관련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도 2의 전체적인 구조는 도 1의 그것과 유사하지만, 레버 가이드부(200)가 조절 레버(15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먼저, 레버 가이드부(200)는 조절 레버(150)에 소정의 마찰력을 부가한다. 따라서, 레버 가이드부(200)는 운전자가 조절 레버(150)를 작동시킬 경우 운전자로 하여금 부드러운 작동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레버 가이드부(200)와 조절 레버(150) 사이에 마찰력을 작용하므로 조절 레버(150)가 자체 하중에 의해서 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함으로 써 운전자가 의도한 위치에 조절 레버(150)가 안착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틸트 및 텔레스 기능 관련 부분의 일부 측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도 3은 조절 볼트(125)가 중심 부분을 관통하는 날개(300)에 멈춤 홈(305)이 형성된 조절 레버(150), 날개(300)에 밀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310), 가이드 플레이트(310)를 고정설치하기 위한 플레이트 지지부(320), 가이드 플레이트(310)를 플레이트 지지부(320)에 고정하는 플레이트 고정부(315) 등을 포함하여 도시한다.
조절 레버(150)를 작동시키면 날개(300)에 형성된 멈춤 홈(305)은 고정 너트(145)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 플레이트(310)가 날개(300)에 밀착되어 가이드 플레이트(310)와 날개(300)는 마찰된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310)는 플레이트 고정부(315)에 의해서 플레이트 지지부(320)에 고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틸트 및 텔레스 기능 관련 부분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310)는 'ㄷ' 자 형태이고, 내측 양면에는 멈춤 돌기(400)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310)는 양 내면이 날개(300)의 양 외면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가진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310)와 날개(300) 사이의 밀착력으로 인하여 멈춤 돌기(400)와 날개(300)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조절 레버(150)를 작동할 경우 마찰력에 의한 작동감을 느끼게 되며, 이 마찰력은 조절 레버(150)가 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조절 레버(150)의 작동 위치에 따라서 멈춤 돌기(400)는 멈춤 홈(305)에 안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멈춤 돌기(400)가 멈춤 홈(305)에 안착되면 조절 레버(150)는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기 전에는 움직이지 않아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멈춤 돌기(400)와 멈춤 홈(305)의 안착 여부에 따라 조절 레버(150)의 작동감이 변하게 되고 운전자는 이러한 작동감의 변화로 인하여 조절 레버(150)의 위치를 알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멈춤 돌기(400)와 멈춤 홈(305)의 위치는 조절 레버(150)의 작동 범위와 작동 위치에 따라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틸트 및 텔레스 기능 관련 부분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4에서는 멈춤 홈(305)이 날개(300)에 형성되어 있고, 멈춤 돌기(400)가 가이드 플레이트(310)에 형성되어 있으나, 도 5에서는 가이드 플레이트(310)에 플레이트 홈(505)이 형성되어 있고, 날개(300)에 레버 멈춤 돌기(50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가이드 플레이트(310)의 밀착력으로 인하여 레버 멈춤 돌기(500)와 가이드 플레이트(310)의 양 내면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운전자가 조절 레버(150)를 작동할 경우 운전자는 마찰력에 의한 작동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조절 레버(150)의 작동 위치에 따라서 레버 멈춤 돌기(500)는 플레이트 홈(505)에 안착된다. 즉, 레버 멈춤 돌기(500)가 플레이트 홈(505)에 안착되면 조절 레버(150)는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기 전에는 움직이지 않아 그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레버 멈춤 돌기(500)와 플레이트 홈(505)의 안착 여부에 따라 조절 레버(150)의 작동감이 변하게 되고 운전자는 이러한 작동감의 변화로 인하여 조절 레버(150)의 위치를 알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레버 멈춤 돌기(500)와 플레이트 홈(505)의 위치는 조절 레버(150)의 작동범위와 작동 위치에 따라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틸트 및 텔레스 기능 관련 부분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멈춤 돌기(400)는 가이드 플레이트(310)의 내면으로 반구형상으로 돌출된 구조이다. 따라서, 멈춤 돌기(400)가 멈춤 홈(305)에서 부드럽게 빠져나올 수 있으며, 운전자는 부드러운 작동감을 느낄 수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멈춤 돌기(400)에는 경사면(600)이 형성된다. 따라서, 멈춤 돌기(400)가 멈춤 홈(305)에서 부드럽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며, 운전자는 부드러운 작동감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레버 멈춤 돌기(500)도 구형상 혹은 경사부(155)가 형성되도록 제작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 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가 틸트 혹은 텔레스 작동을 위해 조절 레버를 작동할 때 레버 가이드부는 조절 레버를 작동하는 운전자에게 부드러운 작동감을 주고 조절 레버가 운전자의 의도한 위치에 안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삭제
  2.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틸트 혹은 텔레스 작동을 위해 조절 볼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조절 레버의 일측면에 멈춤 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 레버의 상기 멈춤 홈에 결합하는 멈춤 돌기가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고정설치하기 위한 플레이트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조절 레버를 양측면에서 감싸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멈춤 돌기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양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기 멈춤 돌기는 반구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020060003956A 2006-01-13 2006-01-13 틸트 혹은 텔레스 작동을 위한 조절 레버를 구비한조향장치 KR100842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956A KR100842317B1 (ko) 2006-01-13 2006-01-13 틸트 혹은 텔레스 작동을 위한 조절 레버를 구비한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956A KR100842317B1 (ko) 2006-01-13 2006-01-13 틸트 혹은 텔레스 작동을 위한 조절 레버를 구비한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559A KR20070075559A (ko) 2007-07-24
KR100842317B1 true KR100842317B1 (ko) 2008-07-01

Family

ID=38500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956A KR100842317B1 (ko) 2006-01-13 2006-01-13 틸트 혹은 텔레스 작동을 위한 조절 레버를 구비한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23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832B1 (ko) * 2011-11-21 2013-11-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틸트 장치
KR101414443B1 (ko) * 2012-12-07 2014-07-04 주식회사 인팩 차량용 서스펜션 액추에이터 시험장치
KR102032922B1 (ko) * 2013-04-29 2019-11-08 대동공업주식회사 2 방향 움직임이 가능한 레버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2446A (ja) * 1996-04-08 1997-10-21 Nippon Seiko Kk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190990Y1 (ko) * 1996-12-21 2000-08-16 정몽규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 레버 록킹용 쐐기 구조
KR20020047950A (ko) * 2000-12-14 2002-06-22 배길훈 차량용 조향장치의 틸트 레버 구조
KR100375995B1 (ko) * 1998-11-26 2003-06-18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용 조향축의 틸팅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2446A (ja) * 1996-04-08 1997-10-21 Nippon Seiko Kk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190990Y1 (ko) * 1996-12-21 2000-08-16 정몽규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 레버 록킹용 쐐기 구조
KR100375995B1 (ko) * 1998-11-26 2003-06-18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용 조향축의 틸팅 잠금장치
KR20020047950A (ko) * 2000-12-14 2002-06-22 배길훈 차량용 조향장치의 틸트 레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559A (ko) 200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8483B2 (en) Adjustable steering column for a motor vehicle
US5605351A (en) Tilt type steering apparatus
EP1468895B1 (en) Steering device
US9540034B2 (en) Steering apparatus
US11110953B2 (en) Locking device for an adjustable steering column assembly
JP2009120187A (ja) 車両用操向コラムのテレスコピック及びチルト装置
KR100842317B1 (ko) 틸트 혹은 텔레스 작동을 위한 조절 레버를 구비한조향장치
US20150277480A1 (en) Actuating assembly for an operating element, steering column switch, and steering column assembly
KR101083938B1 (ko)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리스코프 장치
JPH1016796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
KR101618993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100972142B1 (ko) 플레인 와셔를 구비한 틸트 앤 텔레스코픽 조향장치
US20050097983A1 (en) Pedal mechanism
JP2006206050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4426337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位置調整装置の支持構造
KR101389600B1 (ko)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KR101101615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01379533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캠 어셈블리
JP2005047319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764192B1 (ko) 조향장치의 틸트칼럼 샤프트의 잠금장치
JP3982703B2 (ja) キャブオーバートラックのキャブチルト装置
KR102651738B1 (ko) 차량 조향장치용 텔레레치구조
JPS6344295Y2 (ko)
JP4395006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位置調整装置
KR102032922B1 (ko) 2 방향 움직임이 가능한 레버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