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013B1 - 조향장치용 틸트 래칫 구조체 - Google Patents
조향장치용 틸트 래칫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6013B1 KR102076013B1 KR1020140195002A KR20140195002A KR102076013B1 KR 102076013 B1 KR102076013 B1 KR 102076013B1 KR 1020140195002 A KR1020140195002 A KR 1020140195002A KR 20140195002 A KR20140195002 A KR 20140195002A KR 102076013 B1 KR102076013 B1 KR 1020760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ar
- tilt
- hole
- fixed
- mova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돌시의 미끄러짐 발생시 기어의 이단 걸림을 허용하더라도 마찰력으로 팝업 현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자연스러운 기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조향장치용 틸트 래칫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컬럼 튜브와 일체로 고정되며 틸트홀이 형성된 틸트브라켓과, 상기 틸트브라켓의 틸트홀에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틸트볼트와, 상기 틸트볼트에 결합되고 틸트레버의 회전동작시 틸트볼트를 전,후진 시키기 위한 캠부재와, 상기 틸트홀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일면 일측에 제1기어부가 형성되며 좌,우측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고정기어와, 상기 고정기어와 서로 마주보는 면의 일측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는 제2기어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기어의 제1기어부와 치합 가능한 가동기어와, 절곡된 양측 단부가 상기 결합공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가동기어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중앙에 끼움공이 형성되는 기어커버와, 상기 가동기어와 고정기어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가동기어를 기어커버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기어커버의 끼움공에 결합되어 가동기어를 고정기어측으로 가압지지하기 위한 튜브부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향장치용 틸트 래칫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컬럼 틸트 구조의 이중 치 걸림을 허용하면서 충돌에 따른 미끄러짐 발생시 자연스러운 기어의 치합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마찰력을 이용하여 팝업현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조향장치용 틸트 래칫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장치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운전자의 의지대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자동차의 앞바퀴가 선회하는 회전 중심을 임의로 변경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동차를 진행시킬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운전자가 조향휠을 조작함으로써 발생한 조향력은 조향축을 통해 랙 피니언 기구에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양쪽 바퀴의 방향을 변화시키게 된다.
또한, 자동차 조향장치는 텔레스코프(Telescope) 또는 틸트(Tilt)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데 이러한 기능에 따라 텔레스코프식 또는 틸트식 조향장치로 나누어 지며, 경우에 따라서는 텔레스코프식 조향장치에 틸트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하여 운전자는 자신의 신장이나 체형에 맞게 조향휠의 돌출 정도 또는 기울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원활한 조향 조작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틸팅장치는, 스티어링 칼럼을 지지하는 브라켓과, 브라켓에 구비되는 캠과 틸트 레버가 구비되며, 틸트 레버를 작동하여 캠의 동작원리에 의해 스티어링 칼럼을 가압하여 브라켓에 고정된다.
하지만, 위와 같은 단순 마찰방식의 틸팅장치는 스티어링 칼럼을 고정하는 마찰력보다 더 큰 충격하중이 사고에 의해 작용한다면 그 충격력으로 인해 스티어링 칼럼이 위로 젖혀지는 현상(이하, '팝업(Pop-up)현상'이라 한다)이 발생하여 운전자에게 이중 상해를 입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틸팅장치의 구성에서 한 쌍의 기어를 적용하여 스티어링 칼럼의 기울기를 조절하고 고정할 수 있는 틸팅장치가 개발되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틸트식 또는 텔레스코프식 조향컬럼은 조향축을 수용하는 외측 튜브, 외측 튜브에 인입되는 내측 튜브, 내측 튜브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하부 브라켓, 외측 튜브의 상측에 설치되어 차체에 고정되는 마운팅 브라켓, 조향휠의 기울임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조향컬럼과 일체로 고정되며 틸트홀이 형성된 틸트브라켓, 상기 틸트브라켓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고정기어, 상기 고정기어에 치합 또는 분리되는 가동기어, 틸트홀을 관통하는 틸트볼트, 가동기어와 결합되는 캠, 상기 캠과 조정 레버를 고정시키는 부시와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기어와 가동기어는 서로 치합될 수 있게 동일한 피치와 산높이로 형성되어 조정 레버가 잠긴 상태에서는 고정기어와 가동기어가 치합되어 외측 튜브와 조향축 등은 고정되지만 조정레버가 풀리면 캠에 의해서 가동기어가 고정기어로부터 분리되어 상부 조향컬럼은 로워 틸트 중심을 기준으로 틸트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캠에는 가동기어가 부착되고 캠의 일측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조정 레버의 회전에 따라 돌출부가 조정 레버의 홈에 인입되거나 홈으로부터 인출되어 고정기어가 결합 또는 분리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틸트식 또는 텔레스코프식 조향컬럼의 경우에는 조정 레버 작동시 오버런이 발생되거나, 가동기어가 원래의 틸트 작동 거리를 초과하는 오버런이 발생되는 경우, 가동기어가 고정기어와 서로 치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조향컬럼이 고정되지 않는 치걸림 현상이 발생되어 조향컬럼이 운전자 쪽으로 튀어 오르는 팝업현상이 발생되며, 운전자의 신체에 부딪혀서 운전자에게 큰 상해를 입히거나, 조향컬럼이 비틀림 방향으로 회전하여 조향 안전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조향 컬럼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3938호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리스코프 장치"(등록일자 : 2011.11.09)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조향축이 구비되는 외측 튜브와, 상기 외측 튜브에 삽입되는 내측 튜브와, 상기 외측 튜브를 차체에 고정시키며 양측으로 장공이 형성된 틸트브라켓이 구비되는 상부 브라켓 및 레버를 포함하는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틸트브라켓의 외측 일면에 구비되되 일면에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양측으로 상향 돌출되는 단턱부가 형성된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에 밀착되게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공과 연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둘레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경사부재; 및 상기 틸트브라켓을 관통하되 일측이 상기 경사부재의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며 상기 경사면과 접촉하는 경사부가 형성된 마찰력 제공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기존 조향컬럼과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6322호 "자동차의 틸트식 또는 텔레스코프식 조향컬럼" (등록일자 : 2013.07.09)에 개시된 바와 같이, 조정 레버의 작동시 서로 마주보는 고정기어와 가동기어의 치합으로 틸트 또는 텔레스코프 작동되는 자동차의 틸트식 또는 텔레스코프식 조향컬럼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어는 양측 끝단에 형성되는 최외곽치산의 높이가 인접된 치산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조정레버의 작동시 상기 가동기어의 최외곽치산이 상기 고정기어의 최외곽치골의 외측 경사면에 접촉되어 미끄러지면서 치합되는 것이다.
그런데, 기존 조향컬럼장치는 틸팅동작시 가동기어가 고정기어에 치합되는 과정에서 치합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가동기어와 고정기어의 산과 산이 서로 대면하여 고정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후, 산과 골의 치물림이 발생하면 소음이 발생하거나 충격에 의해 기어가 손상된다.
따라서, 치물림을 향상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틸팅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틸팅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기존 조향컬럼장치는 틸트브라켓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고정기어의 양측에 형성된 제1기어부에 치합 또는 분리되는 가동기어의 제2기어부가 동일한 산과 골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치합되어 있으므로, 충돌시 미끄러지는 현상을 막을 수 있으나, 기어의 치합시 이단 걸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틸트 기어 래칫 구조를 개선하여 충돌시의 미끄러짐 발생시 기어의 이단 걸림을 허용하더라도 마찰력으로 팝업 현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자연스러운 기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조향장치용 틸트 래칫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컬럼 튜브와 일체로 고정되며 틸트홀이 형성된 틸트브라켓과, 상기 틸트브라켓의 틸트홀에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틸트볼트와, 상기 틸트볼트에 결합되고 틸트레버의 회전동작시 틸트볼트를 전,후진 시키기 위한 캠부재와, 상기 틸트홀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일면 일측에 제1기어부가 형성되며 좌,우측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고정기어와, 상기 고정기어와 서로 마주보는 면의 일측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는 제2기어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기어의 제1기어부와 치합 가능한 가동기어와, 절곡된 양측 단부가 상기 결합공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가동기어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중앙에 끼움공이 형성되는 기어커버와, 상기 가동기어와 고정기어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가동기어를 기어커버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기어커버의 끼움공에 결합되어 가동기어를 고정기어측으로 가압지지하기 위한 튜브부재 및, 상기 틸트볼트의 단부와 튜브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틸트볼트에 체결되는 고정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기어는 고정기어와 서로 마주보는 면의 타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연장부가 형성된다.
상기 기어커버는 양측 단부가 상기 틸트브라켓의 일측면과 면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기어를 향하도록 동일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중앙에 상기 가동기어의 양측 부위가 수용 가능한 수용홈부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결합공은 고정기어의 통공 좌,우측에 타원형의 슬롯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가동기어와 고정기어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의 일측에 제1기어부와 제2기어부가 상호 치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가동기어의 연장부가 일측의 결합공 내에 수용되도록 결합되고 기어커버의 절곡부 양측 단부가 양측의 결합공 내에 수용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2기어부의 기어 걸림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절곡부의 단부가 결합공을 통과하여 틸트브라켓의 외측면에 면접촉되는 마찰력 및 제1,2기어부의 기어 걸림현상에 대한 반력으로 가동기어의 연장부 단부가 일측의 결합공의 내주면에 접촉됨에 따라 발생되는 마찰력이 더해짐으로 인해 팝업현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이후 자연스러운 제1,2기어부의 기어 결합으로 팝업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용 틸트 래칫 구조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틸트 래칫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고정기어와 기어커버와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1,2기어부의 기어 걸림 발생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틸트 래칫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고정기어와 기어커버와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1,2기어부의 기어 걸림 발생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이하에서 설명되는 스티어링 컬럼은 공지된 기술의 스티어링 컬럼이 작용되며, 이에 대한 스티어링 컬럼의 자세한 구조 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용 틸트 래칫 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조향축(110)을 수용하는 컬럼 튜브(120)와, 상기 컬럼 튜브(120)와 고정되며 중앙 부위에 틸트홀이 형성된 틸트브라켓(140)과, 틸트브라켓(140)의 틸트홀에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틸트볼트(150)와, 틸트볼트(150)에 결합되고 틸트레버(180)의 회전동작시 틸트볼트(150)를 전,후진 이동시키기 위한 캠부재(185)와, 상기 틸트홀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중앙에 통공(221)이 형성되고 일면 일측에 제1기어부(222)가 형성되는 고정기어(220)와, 상기 고정기어(220)와 서로 마주보는 면의 일측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는 제2기어부(232)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기어(220)의 제1기어부(222)와 치합 가능한 가동기어(230)와, 절곡된 양측 단부가 상기 결합공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가동기어(230)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중앙에 끼움공(251)이 형성되는 기어커버(250)와, 상기 가동기어(230)와 고정기어(220)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가동기어(230)를 기어커버(250)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40)와, 상기 기어커버(250)의 끼움공(251)에 결합되어 가동기어(230)를 고정기어(220)측으로 가압지지하기 위한 튜브부재(260)와, 상기 틸트볼트(150)의 단부와 튜브부재(260) 사이에 배치되고 틸트볼트(150)에 체결되는 고정부재(270)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틸트레버(180)와 틸트볼트(150) 사이에 캠부재(185)가 마련되어 있으며, 캠부재(185)는 틸트레버(180)의 회전동작에 따라 틸트볼트(150)를 축방향으로 전,후진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로 인해, 틸트볼트(150)는 틸트레버(180)와 캠부재(185)의 작동원리에 따라 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되며, 전진동작시 고정기어(220)와 가동기어(230)의 치합상태를 해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고정기어(220)는 타측면이 틸트홀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일측면 일측(예를 들어, 도면상의 우측)에 제1기어부(222)가 형성되며 중앙에 틸트볼트(150)가 관통되도록 통공(221)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고정기어(220)는 통공(221)의 좌,우측에 타원형 슬롯 형태의 결합공(223,224)이 각각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가동기어(230)는 고정기어(220)와 서로 마주보는 면의 일측(예를 들어, 도면상의 우측)에 제1기어부(222)와 대응되는 형태의 제2기어부(2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기어(230)는 상기 고정기어(220)와 서로 마주보는 면의 타측에 틸트브라켓(140)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223,224) 중 일측의 결합공(223)에 삽입되는 연장부(234)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가동기어(230)의 연장부(234) 길이는 기어커버(250)의 절곡부(252)보다 짧게 형성되고, 고정기어(220)의 결합공(223)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가동기어(230)의 연장부(234)는 고정기어(220)의 제1기어부(222)에 가동기어(230)의 제2기어부(232)가 이중 걸림 상태가 될 경우, 이에 대한 반력으로 고정기어(220)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221)을 기준으로 회전동작되어 연장부(234)의 단부가 일측의 결합공(223)의 내주면에 접촉된다.
기어커버(250)는 양측 단부가 틸트브라켓(140)측을 향해 동일방향으로 절곡되고 결합공(223,224)에 각각 수용되도록 결합되는 절곡부(252)가 형성되고, 절곡부(252)의 중앙에 상기 가동기어(230)의 양측 테두리부위가 수용 가능한 수용홈부(252a)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양측의 절곡부(252)는 각각의 결합공(223,224)에 수용되도록 결합되고, 각각의 단부가 틸트라브켓(140)의 외측면에 접촉된다.
이때 기어커버(250)는 절곡부(252) 내에 가동기어(230)가 수용됨에 따라 기어커버(250)가 가동기어(230)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튜브부재(260)는 틸트볼트(150)의 단부가 관통되어 끼워지도록 중공이 형성된 튜브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튜브부재(260)는 기어커버(250)의 끼움공(251)에 끼워지도록 결합되고 단부가 가동기어(230)의 외측면에 상기 튜브부재(260)의 단부가 수용되도록 단턱진 단턱부(236)에 결합되어 가동기어(230)를 눌러서 고정기어측으로 가압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단턱부(236)는 틸트볼트(150)가 관통되는 삽입공의 테두리 부위에 단턱진 형태로 형성되어 튜브부재(260)의 단부가 안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고정부재(270)는 와셔(272) 및 틸트볼트(150)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274)로 구성되며, 체결동작시 고정부재(270)인 와셔(272)와 너트(274)가 기어커버(250) 및 튜브부재(260)를 축방향으로 가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틸트레버(180)의 잠금 해제동작을 위한 틸트레버(180)를 회전시키면, 틸트레버(180)와 연결된 캠부재(185)에 변위가 발생하게 됨에 따라 틸트볼트(150)가 기어커버(250)측으로 전진동작된다.
틸트볼트(150)의 전진동작시 가동기어(230)를 기어커버(250)측으로 전진시켜 가동기어(230)와 고정기어(220)의 치물림상태를 해제시키게 되고, 이때 틸트홀의 길이방향 범위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업 또는 틸트다운동작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틸트레버(180)의 잠금동작시에는 틸트볼트(150)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후진동작됨에 따라, 튜브부재(260)에 지지된 가동기어(230)를 고정기어(220)측으로 후진동작되도록 밀어서 치물림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동기어(230)의 제2기어부(232)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2기어부(222,232)간의 기어 걸림 현상이 발생할 경우, 이에 따른 반력으로 가동기어(230)의 타측에 연장 형성된 연장부(234)가 일측의 결합공(223)의 내주면에 접촉되면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갖게 됨과 아울러, 상기한 연장부(234)와 결합공(223)의 내주면의 마찰력에 더하여 기어커버(250)의 절곡부(252) 단부가 일측의 결합공(223)을 통과하여 틸트브라켓(140)의 외측면에 접촉된 마찰력으로 잠금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한 잠김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가동기어(230)의 제2기어부(232)가 경사진 고정기어(220)의 제1기어부(222)를 타고 자연스럽게 결합됨에 따라 제1,2기어부(222,232)가 치합되면서 팝업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고정기어(220)와 가동기어(230)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의 일측에 제1기어부(222)와 제2기어부(232)가 상호 치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가동기어(230)의 연장부(234)가 일측의 결합공(223) 내에 수용되도록 결합되고 기어커버(250)의 절곡부(252) 양측 단부가 양측의 결합공(223,224) 내에 수용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2기어부(222,232)의 기어 걸림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양측의 절곡부(252) 단부가 각각의 결합공(223,224)을 통과하여 틸트브라켓(140)의 외측면에 면접촉되는 마찰력 및 제1,2기어부(222,232)의 기어 걸림현상에 대한 반력으로 가동기어(230)의 연장부(234) 단부가 일측의 결합공(223)의 내주면에 접촉됨에 따라 발생되는 마찰력이 더해짐으로 인해 팝업현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이후 자연스러운 제1,2기어부(222,232)의 기어 결합으로 팝업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기어(220)와 가동기어(230)는 서로 마주보는 면의 일측에 제1기어부(222)와 대응되는 형태의 제2기어부(232)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가동기어(230)와 고정기어(220)간에 형성된 서로 대응되는 형태의 제1,2기어부라면 가동기어와 고정기어의 결합을 위해 어떠한 위치에라도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10 : 조향축 120 : 컬럼 튜브
140 : 틸트브라켓 150 : 틸트볼트
180 : 틸트레버 185 : 캠부재
220 : 고정기어 221 : 통공
222 : 제1기어부 223,224 : 결합공
230 : 가동기어 232 : 제2기어부
234 : 연장부 236 : 단턱부
240 : 탄성부재 250 : 기어커버
251 : 끼움공 252 : 절곡부
252a : 수용홈부 260 : 튜브부재
270 : 고정부재 272 : 와셔
274 : 너트
140 : 틸트브라켓 150 : 틸트볼트
180 : 틸트레버 185 : 캠부재
220 : 고정기어 221 : 통공
222 : 제1기어부 223,224 : 결합공
230 : 가동기어 232 : 제2기어부
234 : 연장부 236 : 단턱부
240 : 탄성부재 250 : 기어커버
251 : 끼움공 252 : 절곡부
252a : 수용홈부 260 : 튜브부재
270 : 고정부재 272 : 와셔
274 : 너트
Claims (5)
- 컬럼 튜브(120)와 일체로 고정되며 틸트홀이 형성된 틸트브라켓(140)과,
상기 틸트브라켓(140)의 틸트홀에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틸트볼트(150)와,
상기 틸트볼트(150)에 결합되고 틸트레버(180)의 회전동작시 틸트볼트(150)를 전,후진 시키기 위한 캠부재(185)와,
상기 틸트홀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중앙에 통공(221)이 형성되고 일면 일측에 제1기어부(222)가 형성되며 좌,우측에 결합공(223,224)이 형성되는 고정기어(220)와,
상기 고정기어(220)와 서로 마주보는 면의 일측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는 제2기어부(232)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기어(220)의 제1기어부(222)와 치합 가능한 가동기어(230)와,
절곡된 양측 단부가 상기 결합공(223,224)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가동기어(230)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중앙에 끼움공(251)이 형성되는 기어커버(250)와,
상기 가동기어(230)와 고정기어(220)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가동기어(230)를 기어커버(250)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40)와,
상기 기어커버(250)의 끼움공(251)에 결합되어 가동기어(230)를 고정기어(220)측으로 가압지지하기 위한 튜브부재(260) 및, 상기 틸트볼트(150)의 단부와 튜브부재(260) 사이에 배치되고 틸트볼트(150)에 체결되는 고정부재(270)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기어(230)는 상기 고정기어(220)와 서로 마주보는 면의 타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연장부(2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용 틸트 래칫 구조체.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커버(250)는 양측 단부가 상기 틸트브라켓(140)의 일측면과 면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기어(220)를 향하도록 동일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절곡부(252)와,
상기 절곡부(252)의 중앙에 상기 가동기어(230)의 양측 부위가 수용 가능한 수용홈부(25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용 틸트 래칫 구조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223,224)은 상기 고정기어(220)의 통공(221) 좌,우측에 타원형의 슬롯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용 틸트 래칫 구조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기어(230)는 외측면에 상기 튜브부재(260)의 단부가 수용되도록 단턱진 단턱부(23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용 틸트 래칫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5002A KR102076013B1 (ko) | 2014-12-31 | 2014-12-31 | 조향장치용 틸트 래칫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5002A KR102076013B1 (ko) | 2014-12-31 | 2014-12-31 | 조향장치용 틸트 래칫 구조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1336A KR20160081336A (ko) | 2016-07-08 |
KR102076013B1 true KR102076013B1 (ko) | 2020-02-13 |
Family
ID=56503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95002A KR102076013B1 (ko) | 2014-12-31 | 2014-12-31 | 조향장치용 틸트 래칫 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601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676122B2 (en) | 2017-01-26 | 2020-06-09 | Mando Corporation | Tilt fixing device for vehicular steering colum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80503A (ja) * | 1999-12-24 | 2001-07-03 | Nsk Ltd |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
US20040261565A1 (en) * | 2002-07-30 | 2004-12-30 | Nacam Deutschland Gmbh | Positioning device for motor vehicle steering columns |
KR100614196B1 (ko) * | 2005-06-21 | 2006-08-22 | 남양공업주식회사 | 틸트 스티어링 칼럼의 위치조정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768205B1 (fr) * | 1997-09-05 | 1999-10-29 | Lemforder Nacam Sa | Securite d'engagement a etrier d'un dispositif de maintien en position d'un systeme de serrage de deux elements |
KR101086914B1 (ko) * | 2005-01-07 | 2011-11-29 | 주식회사 만도 |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장치 |
KR101083938B1 (ko) | 2007-04-16 | 2011-11-15 | 주식회사 만도 |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리스코프 장치 |
GB0719971D0 (en) * | 2007-10-12 | 2007-11-21 | Trw Ltd | Clamp assembly for a steering column assembly |
KR101286322B1 (ko) | 2009-07-30 | 2013-07-15 | 주식회사 만도 | 자동차의 틸트식 또는 텔레스코프식 조향컬럼 |
-
2014
- 2014-12-31 KR KR1020140195002A patent/KR10207601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80503A (ja) * | 1999-12-24 | 2001-07-03 | Nsk Ltd |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
US20040261565A1 (en) * | 2002-07-30 | 2004-12-30 | Nacam Deutschland Gmbh | Positioning device for motor vehicle steering columns |
KR100614196B1 (ko) * | 2005-06-21 | 2006-08-22 | 남양공업주식회사 | 틸트 스티어링 칼럼의 위치조정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1336A (ko) | 2016-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519276B1 (en) | Steering assembly with positive lock and energy absorption and pyrotechnic actuator | |
US10683029B2 (en) | Steering column | |
JP5230527B2 (ja) |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 |
KR20090008562A (ko) | 차량용 조향 장치의 푸쉬-풀 타입 틸트 레버장치 | |
JP6593020B2 (ja) |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 |
JP2016175486A (ja) | ステアリング装置 | |
JP5158475B2 (ja) |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 |
CN109795542B (zh) | 转向装置 | |
CN109795543B (zh) | 转向装置 | |
KR100599483B1 (ko) | 스티어링 컬럼의 팝업 방지 구조 | |
JP2019156334A (ja) |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 |
CN109923023B (zh) | 转向柱组件 | |
DE102017107034A1 (de) | Lenksäule mit Energieabsorptionsvorrichtung | |
CA2150976A1 (en) | Energy absorber for a steering column | |
KR102076013B1 (ko) | 조향장치용 틸트 래칫 구조체 | |
KR102123256B1 (ko) | 조향장치용 래칫 구조체 | |
KR101618993B1 (ko) | 자동차의 조향 컬럼 | |
KR102445517B1 (ko) | 차량 조향장치용 틸트 래칫장치 | |
WO2018160788A1 (en) | Steering column telescope travel stop | |
KR100854767B1 (ko) | 조정 스프링을 구비한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앤텔레스코프 조향장치 | |
KR102123258B1 (ko) | 조향장치용 틸트 래칫 구조체 | |
KR102076012B1 (ko) | 차량용 조향 래칫 구조체 | |
KR20170117765A (ko) |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틸팅장치 | |
US20230249737A1 (en) | Steering column for a motor vehicle | |
KR101026119B1 (ko) |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