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1517A -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1517A
KR20080091517A KR1020087021832A KR20087021832A KR20080091517A KR 20080091517 A KR20080091517 A KR 20080091517A KR 1020087021832 A KR1020087021832 A KR 1020087021832A KR 20087021832 A KR20087021832 A KR 20087021832A KR 20080091517 A KR20080091517 A KR 20080091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al
lottery
game
inclined wall
gam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1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 오쿠아키
히토시 아리사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ublication of KR20080091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15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86Type of games
    • G07F17/3297Fairground games, e.g. Tivoli, coin pusher machines, cra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Game Rules And Presentations Of Slot Machine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복수 가지의 추첨 게임을 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볼B를 이용하여 제1 상(賞) 또는 제2 상을 추첨하는 빙고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장치(1)는, 볼B를 이용한 추첨을 각각 실행하기 위한 2개의 스테이지(1100, 1200)와, 볼B를 당선시키는 제3 상과, 다음 이후의 게임 상태를 통상 모드로 하는 제4 상과, 다음 이후의 게임 상태를 확률 변동 모드로 하는 제5 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 중 어느 한 쪽을 추첨하는 디지털 추첨 게임을 실행하고, 제4 상을 당선시킨 경우, 다음 게임 이후를 통상 모드로 하고, 제5 상을 당선시킨 경우, 다음 게임 이후를 확률 변동 모드 하로 하는 추첨 게임 실행 수단과, 볼B를 소정의 반송 경로로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현재의 게임 상태가 통상 모드인 경우, 볼B를 스테이지(1100)로 송급하고, 확률 변동 모드인 경우, 스테이지(1200)로 송급하는 제1 및 제2 송급 수단을 구비한다.
게임 장치, 제어 방법, 추첨 게임, 볼, 상

Description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GAMING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게임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메달 등의 대체로 원반(圓盤) 형상의 게임 매체 및 대체로 구형상(球形狀)의 게임 매체를 압진(押進, 밀어 앞으로 나아감)하는 푸셔 게임(pusher game)과, 디지털에 의한 추첨 게임과, 대체로 구형상의 게임 매체를 이용한 테이블 게임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게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 등의 대체로 구형상의 게임 매체나, 메달 등의 대체로 원반 형상의 게임 매체를 이용하는 게임 장치가 알려져 있다. 본 설명에서는, 이와 같은 게임 매체를 이용하는 게임 장치를, 메달 게임 장치라고 한다. 덧붙여, 본원에 있어서, 용어 「게임 매체」란, 게임을 행할 때에 사용하는 유체물(有體物)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메달 게임 장치의 전형예로서는, 푸셔 게임 장치가 널리 알려져 있다. 푸셔 게임 장치는, 일반적으로 게임 플레이어가 게임 매체를 투입하는 투입구와,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게임 매체가 일시 축적되는 플레이 필드와,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게임 매체를 플레이 필드로 배출하는 배출구와, 플레이 필드 상의 게임 매체를 소정의 주기로 압진시키는 푸셔부를 가지고 구성된다. 덧붙여, 푸셔부에 의하여 압진된 일부의 게임 매체는, 플레이 필드로부터 낙하하여, 게임 플레이어에게 떨쳐내지거나, 혹은 게임 장치 내부에 스톡(stock)된다.
이와 같은 푸셔 게임 장치로 대표되는 메달 게임 장치는, 게임 매체를 투입하는 것으로, 게임 플레이어가 게임을 유기(遊技)하는 것이고, 게임 매체를 투입하는 타이밍이나 투입하는 방향 혹은 투입하는 게임 매체의 양이, 게임의 결과에 영향을 준다.
그런데, 근년에는, 보다 복잡한 게임성을 소망하고 있다. 복잡한 게임성은, 예를 들면 빙고 게임 등의 추첨 게임을 복수 가지 중에서 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실현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본 발명자들은 찾아내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복수 가지의 추첨 게임을 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 발명은, 추첨 매체를 이용하여 제1 상(賞)과 제2 상 중 어느 한 쪽을 추첨하는 제1 추첨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장치이고, 제1 상과 제2 상 중 어느 한 쪽을 추첨 매체를 이용하여 추첨하기 위한 제1 추첨 필드와, 제1 상과 제2 상 중 어느 한 쪽을 추첨 매체를 이용하여 추첨하기 위한 제2 추첨 필드와, 추첨 매체를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제3 상과, 다음 이후의 게임 상태를 제3 상의 당선 확률이 제1 당선 확률인 제1 게임 상태로 하는 제4 상과, 다음 이후의 게임 상태를 제3 상의 당선 확률이 제1 당선 확률보다도 높은 제2 당선 확률인 제2 게임 상태로 하는 제5 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 중 어느 한 쪽을 전기적으로 추첨하는 제2 추첨 게임을 실행하는 것과 함께, 제1 게임 상태와 제2 게임 상태 중 어느 한 쪽을 현재의 게임 상태로서 관리하고, 제4 상을 당선시킨 경우, 다음 이후의 제2 추첨 게임을 제1 게임 상태 하에서 실행하고, 제5 상을 당선시킨 경우, 다음 이후의 제2 추첨 게임을 제2 게임 상태 하에서 실행하는 추첨 게임 실행 수단과, 추첨 매체를 소정의 반송 경로로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추첨 게임 실행 수단에서 관리되고 있는 현재의 게임 상태를 특정하는 게임 상태 특정 수단과, 현재의 게임 상태가 제1 게임 상태인 경우, 추첨 매체를 제1 추첨 필드로 송급하는 제1 송급 수단과, 현재의 게임 상태가 제2 게임 상태인 경우, 추첨 매체를 제2 추첨 필드로 송급하는 제2 송급 수단을 구비한다.
추첨을 행하는 장소를 제1 추첨 필드와 제2 추첨 필드의 2개 설치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각각의 추첨 필드에 있어서의 상의 당선 확률에 차이를 마련한 경우, 상에 당선할 기대도가 다른 2가지의 제1 추첨 게임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기적인 제2 추첨 게임의 결과, 제3 상에 당선한 경우에 제1 추첨 게임에서 사용하는 추첨 매체를 게임 플레이어에게 떨쳐내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제1 추첨 게임과 전기적인 제2 추첨 게임을 조합한 게임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추첨 게임 실행 수단이, 제3 상의 당선 확률이 다른 2개의 게임 상태(제1 게임 상태 및 제2 게임 상태)를 관리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기대도가 다른 게임 상태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져, 보다 복잡한 게임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또한, 제2 추첨 게임의 현재의 게임 상태에 따라 사용하는 추첨 필드를 다르게 하는 것으로, 어느 쪽의 추첨 필드를 사용할지, 즉 기대도가 다른 제1 추첨 게임 중 어느 쪽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할지를 현재의 게임 상태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가지의 추첨 게임을 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게임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2 발명은,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게임 장치이고, 제2 추첨 필드에 있어서의 제2 상의 당선 확률이, 제1 추첨 필드에 있어서의 제2 상의 당선 확률보다도 높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추첨 필드에 있어서의 상의 당선 확률에 차이를 마련하는 것으로, 상에 당선할 기대도가 다른 2가지의 제1 추첨 게임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3 발명은, 제1 또는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게임 장치이고, 제1 추첨 필드가, 추첨 매체가 전동(轉動)하면서 주회(周回) 가능한 제1 원판과, 제1 원판에 설치되고 추첨 매체가 전입(轉入) 가능한 복수의 제1 입상(入賞) 스폿을 가지고, 제2 추첨 필드가, 제1 원판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설(配設)되고 추첨 매체가 전동하면서 주회 가능한 링 형상의 제2 원판과, 제2 원판에 설치되고 추첨 매체가 전입 가능한 복수의 제2 입상 스폿을 가지고, 복수의 제1 및 제2 입상 스폿 각각에 제1 또는 제2 상을 대응짓는 상 대응짓기 수단과, 복수의 제1 입상 스폿 중 어느 한 쪽으로 추첨 매체가 진입한 경우, 제1 입상 스폿에 대응지어진 제1 또는 제2 상을 당선으로 하는 제1 당선 수단과, 복수의 제2 입상 스폿 중 어느 한 쪽으로 추첨 매체가 진입한 경우, 제2 입상 스폿에 대응지어진 제1 또는 제2 상을 당선으로 하는 제2 당선 수단을 더 구비한다.
제1 및 제2 추첨 필드에 각각 복수의 입상 스폿을 설치하는 것과 함께, 각 입상 스폿에 상을 대응지어 두는 것으로, 예를 들면 볼 등의 추첨 매체를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상을 추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원판에 있어서의 서로 인접하는 제1 입상 스폿의 간격과, 제1 원판을 둘러싸도록 배설된 링 형상의 제2 원판에 있어서의 서로 인접하는 제2 입상 스폿의 간격을 예를 들면 동일하게 하는 것으로, 외측에 배열되는 제2 입상 스폿의 수가 내측에 배열되는 제1 입상 스폿의 수보다도 저절로 커진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환불 등의 이익이 비교적 큰 상에 대응짓는 입상 스폿의 수를, 제1 입상 스폿과 제2 입상 스폿에서 같은 수로 한 경우, 내측인 제2 추첨 필드에서 추첨을 행할 때의 기대도를, 제1 추첨 필드에서의 그것보다도 높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원판의 주위에 제2 원판을 배설한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제1 추첨 필드에서 추첨을 행할 때와 제2 추첨 필드에서 추첨을 행할 때에 있어서, 추첨 매체의 거동을, 동심원을 중심으로 한 움직임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게임 플레이어가, 제1 추첨 필드에서의 추첨과 제2 추첨 필드에서의 추첨을 대략 동일한 시선으로 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4 발명은, 제3 발명에 관련되는 게임 장치이고, 제1 원판이 소정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2 원판이 소정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추첨 매체가 전동하면서 주회하는 제1 원판 및 제2 원판을 자전시키는 것으로, 게임 플레이어가, 추첨 매체가 어느 입상 스폿으로 전입하는지를 예측하기 어려워진다. 이 결과, 게임 플레이어에게 추첨 매체를 이용한 추첨에의 흥미를 보다 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5 발명은, 제3 또는 제4 발명에 관련되는 게임 장치이고, 상 대응짓기 수단이, 현재의 게임 상태가 제2 게임 상태인 경우, 현재의 게임 상태가 제1 게임 상태인 경우보다도 많은 제1 입상 스폿 및/또는 제2 입상 스폿에 제2 상을 대응짓는다.
제2 게임 상태 시에 제2 상에 대응지어진 제1 입상 스폿 및/또는 제2 입상 스폿의 수를, 제1 게임 상태 시의 그것보다도 많게 하는 것으로, 제2 추첨 게임뿐만 아니라, 제1 추첨 게임의 기대도도 게임 상태에 따라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보다 복잡한 게임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6 발명은, 제1 내지 제5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게임 장치이고, 플레이어에게 제공된 추첨 매체를 일시 저류(貯留)하는 저류부를 더 구비하고, 공급 수단이, 추첨 매체를 저류부로부터 소정의 반송 경로로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압진하는 것으로, 추첨 매체를 소정의 반송 경로로 공급한다.
공급 수단이 저류부에 저류된 추첨 매체를 압진하는 것으로 반송 경로로 송급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예를 들면 푸셔 게임과 제1 추첨 게임을 조합한 게임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7 발명은, 제6 발명에 관련되는 게임 장치이고, 제2 추첨 게임에 있어서의 추첨 결과에 기초하여 추첨 매체를 저류부로 떨쳐내는 떨쳐냄 수단을 더 구비한다.
제2 추첨 게임에 의하여 획득한 추첨 매체를 저류부로 떨쳐내는 것으로, 제1 추첨 게임과 제2 추첨 게임에, 한층 더 예를 들면 푸셔 게임을 조합한 게임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8 발명은, 제1 내지 제7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게임 장치이고, 공급 수단이, 제2 추첨 게임에 있어서의 추첨 결과에 기초하여 추첨 매체를 소정의 반송 경로로 공급한다.
전기적인 제2 추첨 게임의 결과, 제3 상에 당선한 경우에 제1 추첨 게임에서 사용하는 추첨 매체를 직접 소정의 반송 경로로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제1 추첨 게임과 전기적인 제2 추첨 게임을 다이렉트로 조합한 게임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9 발명은, 제1 내지 제8 발명에 관련되는 게임 장치이고, 복수 종류의 캐릭터가 배열된 빙고 테이블을 이용하는 빙고 게임을 실행하는 빙고 게임 실행 수단을 더 구비하고, 제1 상이, 빙고 게임에서 사용하는 복수 종류의 캐릭터 중 어느 한 쪽을 당선으로 하는 상이다.
제1 추첨 게임을 빙고 게임에 있어서의 추첨 게임으로 하는 것으로, 복수 가지의 빙고 게임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0 발명은, 제1 내지 제9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게임 장치이고, 추첨 매체가 볼이다.
추첨 매체에는, 예를 들면 볼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11 발명은, 제1 상 또는 제2 상이 각각 대응지어진 복수의 제1 입상 스폿을 가지는 제1 추첨 필드로 추첨 매체를 투입하는 것으로 제1 또는 제2 상 중 어느 한 쪽을 추첨하고, 제1 상 또는 제2 상이 각각 대응지어진 복수의 제2 입상 스폿을 가지는 제2 추첨 필드로 추첨 매체를 투입하는 것으로 제1 또는 제2 상을 추첨하는 제1 추첨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이고, 추첨 매체를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제3 상과, 다음 이후의 게임 상태를 제3 상의 당선 확률이 제1 당선 확률인 제1 게임 상태로 하는 제4 상과, 다음 이후의 게임 상태를 제3 상의 당선 확률이 제1 당선 확률보다도 높은 제2 당선 확률인 제2 게임 상태로 하는 제5 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 중 어느 한 쪽을 전기적으로 추첨하는 제2 추첨 게임을 실행하는 것과 함께, 제1 게임 상태와 제2 게임 상태 중 어느 한 쪽을 현재의 게임 상태로서 관리하고, 제4 상을 당선시킨 경우, 다음 이후의 제2 추첨 게임을 제1 게임 상태 하에서 실행하고, 제5 상을 당선시킨 경우, 다음 이후의 제2 추첨 게임을 제2 게임 상태 하에서 실행하는 제1 스텝과, 소정의 반송 경로로 추첨 매체를 공급하는 제2 스텝과, 소정의 반송 경로로 추첨 매체를 공급하였을 때에, 제1 스텝에 있어서 관리되고 있는 현재의 게임 상태를 특정하는 제3 스텝과, 제3 스텝에서 특정된 현재의 게임 상태가 제1 게임 상태인 경우, 추첨 매체를 제1 추첨 필드로 송급하는 제4 스텝과, 제1 추첨 필드에 있어서의 복수의 제1 입상 스폿 중 어느 쪽으로 추첨 매체가 진입하였는지를 검출하는 제5 스텝과, 제5 스텝에서 추첨 매체의 진입이 검출된 제1 입상 스폿에 대응지어진 상을 특정하는 제6 스텝과, 제3 스텝에서 특정된 현재의 게임 상태가 제2 게임 상태인 경우, 추첨 매체를 제2 추첨 필드로 송급하는 제7 스텝과, 제2 추첨 필드에 있어서의 복수의 제2 입상 스폿 중 어느 쪽으로 추첨 매체가 진입하였는지를 검출하는 제8 스텝과, 제8 스텝에서 제2 추첨 매체의 진입이 검출된 제2 입상 스폿에 대응지어진 상을 특정하는 제9 스텝을 구비한다.
제1 추첨 필드와 제2 추첨 필드의 2개의 추첨 필드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각각의 추첨 필드에 있어서의 상의 당선 확률에 차이를 마련한 경우, 상에 당선할 기대도가 다른 2가지의 제1 추첨 게임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게임 장치에 있어서, 전기적인 제2 추첨 게임의 결과, 제3 상에 당선한 경우에 제1 추첨 게임에서 사용하는 추첨 매체를 게임 플레이어에게 떨쳐내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제1 추첨 게임과 전기적인 제2 추첨 게임을 조합한 게임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제3 상의 당선 확률이 다른 2개의 게임 상태(제1 게임 상태 및 제2 게임 상태)를 관리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기대도가 다른 게임 상태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져, 보다 복잡한 게임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또한, 제2 추첨 게임의 현재의 게임 상태에 따라 사용하는 추첨 필드를 다르게 하는 것으로, 어느 쪽의 추첨 필드를 사용할지, 즉 기대도가 다른 제1 추첨 게임 중 어느 쪽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할지를 현재의 게임 상태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가지의 추첨 게임을 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12 발명은, 제11 발명에 관련되는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이고, 제1 상이 대응지어진 제2 입상 스폿의 수에 대한 제2 상이 대응지어진 제2 입상 스폿의 수의 비율이, 제1 상이 대응지어진 제1 입상 스폿의 수에 대한 제2 상이 대응지어진 제1 입상 스폿의 수의 비율보다도 크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추첨 필드에 있어서의 상의 당선 확률에 차이를 마련하는 것으로, 상에 당선할 기대도가 다른 2가지의 제1 추첨 게임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3 발명은, 제11 또는 제12 발명에 관련되는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이고, 게임 장치가, 플레이어에게 제공된 추첨 매체를 일시 저류하는 저류부와, 저류부에 저류된 추첨 매체를 소정의 반송 경로로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압진하는 것으로 추첨 매체를 소정의 반송 경로로 송급하는 압진부를 더 구비하고, 제2 스텝이, 압진부를 구동하는 것으로 추첨 매체를 소정의 반송 경로로 공급하고, 제1 스텝에 있어서의 제2 추첨 게임의 추첨 결과에 기초하여 추첨 매체를 저류부로 떨쳐내는 제10 스텝을 더 구비한다.
전기적인 제2 추첨 게임의 결과, 제3 상에 당선한 경우에 제1 추첨 게임에서 사용하는 추첨 매체를 게임 플레이어에게 떨쳐내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제1 추첨 게임과 전기적인 제2 추첨 게임을 조합한 게임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추첨 게임에 의하여 획득한 추첨 매체를 저류부로 떨쳐내는 것으로, 제1 추첨 게임과 제2 추첨 게임에, 한층 더 예를 들면 푸셔 게임을 조합한 게임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4 발명은, 제11 또는 제12 발명에 관련되는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이고, 제2 스텝이, 제1 스텝에 있어서의 제2 추첨 게임의 추첨 결과에 기초하여 추첨 매체를 소정의 반송 경로로 공급한다.
전기적인 제2 추첨 게임의 결과, 제3 상에 당선한 경우에 제1 추첨 게임에서 사용하는 추첨 매체를 직접 소정의 반송 경로로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제1 추첨 게임과 전기적인 제2 추첨 게임을 다이렉트로 조합한 게임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5 발명은, 제11 내지 제14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이고, 현재의 게임 상태가 제2 게임 상태인 경우, 현재의 게임 상태가 제1 게임 상태인 경우보다도 많은 제1 입상 스폿 및/또는 제2 입상 스폿에 제2 상을 대응짓는 제11 스텝을 더 구비한다.
제2 게임 상태 시에 제2 상에 대응지어진 제1 입상 스폿 및/또는 제2 입상 스폿의 수를, 제1 게임 상태 시의 그것보다도 많게 하는 것으로, 제2 추첨 게임뿐만 아니라, 제1 추첨 게임의 기대도도 게임 상태에 따라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보다 복잡한 게임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6 발명은, 제11 내지 제15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이고, 복수 종류의 캐릭터가 배열된 빙고 테이블을 이용하는 빙고 게임을 실행하는 제12 스텝을 더 구비하고, 제1 상이, 빙고 게임에서 사용하는 복수 종류의 캐릭터 중 어느 한 쪽을 당선으로 하는 상이다.
제1 추첨 게임을 빙고 게임에 있어서의 추첨 게임으로 하는 것으로, 복수 가지의 빙고 게임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7 발명은, 제11 내지 제16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이고, 추첨 매체가 볼이다.
추첨 매체에는, 예를 들면 볼을 적용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가지의 추첨 게임을 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게임 장치의 전체 구성에 있어서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스테이션부(ST)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새틀라이트부(SA)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레이 필드(500) 및 그 주변부의 구성을 추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플레이 필드(500)에 있어서의 푸셔부(510)의 왕복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레이 필드(500)를 전방(게임 플레이어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전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메달M 및 볼B1/B2의 메인 테이블(501) 상에서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부 이동 기구(54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부(530L) 및 가이드부(530R)의 돌몰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메달 투입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하는 메달 투입 기구의 상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하는 메달 투입 기구의 배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에 도시하는 메달 투입 기구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경예 1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경예 2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경예 3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경예 4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경예 5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다른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하는 메달 투입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에 도시하는 메달 투입 기구의 상면도이다.
도 23은 도 20에 도시하는 메달 투입 기구의 배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다른 메달 투입 기구의 변경예 1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다른 메달 투입 기구의 변경예 2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다른 메달 투입 기구의 변경예 3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다른 메달 투입 기구의 변경예 4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다른 메달 투입 기구의 변경예 5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메달의 두께와 당해 제1 단차 및 제2 단차의 스텝면의 폭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메달 이동 의사 연출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메달 이동 의사 연출부 및 그 주변부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에 있어서의 메달 투입 센서 및 그 주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스테이션부에 있어서의 메달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메달의 의사 이동을 연출할 때의 제어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메달 이동 모의 연출부와 그 주변부와 제어부의 사이에서 입출력되는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메달 이동 모의 연출부 및 그 주변부의 동작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메달 이동 모의 연출부와 그 주변부와 제어부의 사이에서 입출력되는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37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메달 이동 의사 연출부의 구성의 변형예 1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b)는 (a)에 있어서의 각 측면에 설치된 LED의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8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메달 이동 의사 연출부의 구성의 변형예 2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b)는 (a)에 있어서의 각 측면에 설치된 LED의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9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메달 이동 의사 연출부의 구성의 변형예 3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b)는 (a)에 있어서의 각 측면에 설치된 LED의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게임 매체 토출 기구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1은 도 40에 도시하는 게임 매체 토출 기구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장벽 높이가 가장 낮은 상태의 장벽 높이 조정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장벽 높이가 중간 레벨 상태의 장벽 높이 조정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장벽 높이가 가장 높은 상태의 장벽 높이 조정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게임 매체 반송 위치 추첨 기구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46은 도 45에 도시하는 게임 매체 반송 위치 추첨 기구의 요부 구성도이다.
도 47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추첨 게임 중에 게임 플레이어에게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추첨 게임에서 사용되는 도안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추첨 게임에 있어서의 각 상에 할당한 통지 범위를 도시하는 테이블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추첨 게임의 주된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빙고 게임에 있어서의 추첨을 행할 때에 사용하는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와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를 위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빙고 게임에서 사용하는 빙고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제어부가 빙고 테이블을 생성하여 배신할 때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련의 게임을 실행할 때의 제1 제어부(600)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1).
도 5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련의 게임을 실행할 때의 제1 제어부(600)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2).
도 5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련의 게임을 실행할 때의 제2 제어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1).
도 5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련의 게임을 실행할 때의 제1 제어부(600)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3).
도 5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련의 게임을 실행할 때의 제2 제어부 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2).
도 5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련의 게임을 실행할 때의 제1 제어부(600)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4).
도 5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련의 게임을 실행할 때의 제2 제어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3).
도 5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련의 게임을 실행할 때의 제2 제어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4).
도 6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련의 게임을 실행할 때의 제1 제어부(600)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5).
도 61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변형예 1에 의한 디지털 추첨 게임에서 사용되는 도안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b)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변형예 1에 의한 디지털 추첨 게임에 있어서의 각 상에 할당한 통지 범위를 도시하는 테이블이다.
도 62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변형예 1에 의한 일련의 게임을 실행할 때의 제1 제어부(600)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63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변형예 2에 의한 일련의 게임을 실행할 때의 제1 제어부(600)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1).
도 64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변형예 2에 의한 일련의 게임을 실행할 때의 제2 제어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1).
도 65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변형예 2에 의한 일련의 게임을 실행할 때의 제1 제어부(600)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2).
도 66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변형예 2에 의한 일련의 게임을 실행할 때의 제2 제어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2).
도 67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변형예 2에 의한 일련의 게임을 실행할 때의 제1 제어부(600)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3).
도 68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변형예 2에 의한 일련의 게임을 실행할 때의 제2 제어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3).
도 69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변형예 2에 의한 일련의 게임을 실행할 때의 제1 제어부(600)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4).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일 실시예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각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형상, 크기 및 위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고, 따라서, 본 발명은 각 도면에서 예시된 형상, 크기 및 위치 관계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서는, 구성의 명료화를 위하여, 단면에 있어서의 해칭의 일부가 생략되어 있다. 나아가, 후술에 있어서 예시하는 수치는, 본 발명의 호적한 예에 지나지 않고, 따라서, 본 발명은 예시된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후술하는 각 실시 예에 있어서 마찬가지이다.
(1-1) 전체 구성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대체로 원반 형상의 게임 매체로서 메달을 예로 취하고, 이 메달을 이용한 게임 장치를 예로 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게임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다만,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도 1에서는 게임 장치(1)의 기본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게임 장치(1)는, 새틀라이트부(SA)와 스테이션부(ST)를 가지고 구성된다. 덧붙여, 도면에서는 한 개의 새틀라이트부(SA)에 대하여 한 개의 스테이션부(ST)가 조합된 예를 도시하지만, 실제로는 한 개의 새틀라이트부(SA)에 대하여 복수의 스테이션부(ST)를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새틀라이트부(SA)를 둘러싸도록 스테이션부(ST)가 배치된다.
(1-1-1) 스테이션부의 구성
또한, 도 1에 있어서의 스테이션부(ST)의 구성을 도 2에 발췌하는 것과 함께, 그 개략 구성을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스테이션부(ST)는, 게임 플레이어에게 푸셔 게임이나 빙고 게임이나 디지털 추첨 게임 등, 여러 가지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이션부(ST)는, 메달 투입 기구(투입부, 100)와 메달 반송 경로(200)와 리프트 업 호퍼(300)와 메달 배출 경로(400)와 플레이 필드(500)와 제어부(이것을 제1 제어부라고 한다, 600)와 표시부(700)와 케이 스(800)를 가진다.
케이스(800)는 스테이션부(ST)의 골격으로 되는 구성이다. 케이스(800)에 있어서, 상부 가장 앞쪽에는 메달 투입 기구(100)가 배치되고, 상부 가장 안쪽에는 표시부(700)가 배치되며, 상부 중앙에는 플레이 필드(500)가 배치된다. 또한, 케이스(800) 내부에는, 메달 반송 경로(200)나 리프트 업 호퍼(300)나 제1 제어부(600) 등이 수납된다. 여기서, 용어 「가장 앞쪽」이란 게임 플레이어가 유기할 때에 위치하는 측을 의미하고, 용어 「가장 안쪽」이란 게임 플레이어가 유기할 때에 위치하는 측과 반대 측을 의미하며, 용어 「중앙」이란 상술한 「가장 앞쪽」과「가장 안쪽」 사이의 영역을 의미한다.
메달 투입 기구(100)는, 게임 플레이어가 유기할 때에 게임 매체인 메달M을 게임 장치(1)로 투입하기 위한 구성이다. 메달 투입 기구(100)로부터 투입된 메달M은, 메달 반송 경로(200)를 통하여 리프트 업 호퍼(300)까지 반송되고, 리프트 업 호퍼(300)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저류된다. 메달 반송 경로(200) 및 리프트 업 호퍼(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800) 내에 배치된다. 덧붙여, 메달 반송 경로(200)는, 메달 투입 기구(100)와 리프트 업 호퍼(300)를 기계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시켜, 메달 투입 기구(100)로부터 투입된 메달M을 리프트 업 호퍼(300)까지 반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리프트 업 호퍼(300)는, 메달M을 축적하기 위한 메달 저류부(310)와, 메달M을 소정의 높이까지 리프트 업하기 위한 리프트 업부(320)와, 리프트 업된 메달M을 소정의 타이밍으로 배출하기 위한 메달 배출부(배출부, 330)를 가진다. 또한, 메달 배출부(330)의 배출구에는, 배출된 메달M을 플레이 필드(500)까지 유도하기 위한 메달 배출 경로(400)가 좌우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리프트 업부(320)의 상단은, 플레이 필드(500)보다도 위에 배치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리프트 업부(320)의 상단에 설치된 메달 배출부(330)도 플레이 필드(500)보다도 위에 배치된다. 따라서, 플레이 필드(500) 아래에 설치된 메달 저류부(310)에 일시 축적된 메달M은, 리프트 업부(320)에 의하여 플레이 필드(500)보다도 위로 들어 올려진 후, 메달 배출부(330)로부터 메달 배출 경로(400)를 통하여 플레이 필드(500)로 사출된다.
플레이 필드(500)는, 주로, 유효한 상태에 있는 메달M을 저류하는 메인 테이블(501)과, 메인 테이블(501) 상에 재치(載置, 물건의 위에 다른 물건을 놓는 것)된 푸셔부(510)로 구성된다. 덧붙여, 유효한 상태란, 유기에 관여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플레이 필드(500)에 대해서는, 후술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푸셔부(510)는, 유효한 상태에 있는 메달M을 저류하는 상면(上面)(이것을 서브 테이블(511)이라고 한다)과, 서브 테이블(511)로부터 낙하한 메달M이 슬라이드하는 경사 테이블(512)과, 메인 테이블(501)에 저류된 메달M을 압진하는 압진벽(513)을 가진다.
또한, 푸셔부(510)는, 플레이 필드(500)에 있어서의 메인 테이블(501)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일정한 주기 또는 임의의 주기로 전후로 슬라이드 운동한다. 푸셔부(510)의 일부(가장 안쪽)는, 표시부(700) 하방(下方)에 설치된, 후술하는 수납부(720)에 수납된다. 푸셔부(510)는, 이 수납부(720)로부터 출입 하도록 슬라이드하는 것으로, 전후로 왕복 운동한다.
덧붙여, 서브 테이블(511)에는, 표시부(700)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701)의 틀 부재(710)가 접동(摺動, 접촉하여 미끄러져 움직임) 가능하게 당접(當接, 부딪는 상태로 접함)되어 있다. 따라서, 푸셔부(510)가 수납부(720)에 수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틀 부재(710)에 의하여 서브 테이블(511) 상의 메달M이 압진된다. 이 압진에 의하여, 서브 테이블(511) 상의 일부의 메달M이 경사 테이블(512)로 낙하한다.
서브 테이블(511)로부터 낙하한 메달M의 일부는, 경사 테이블(512)에 설치된 개구부(開口部)(이것을 체커(515-1, 515-2, 515-3)라고 한다)로 진입한다. 또한, 나머지의 메달M은, 그대로 메인 테이블(501)까지 낙하하고, 메인 테이블(501)에 저류된다.
메인 테이블(501) 상의 메달M은, 서브 테이블(511) 상의 메달M과 마찬가지로, 푸셔부(510)의 슬라이드 운동에 의하여 압진된다. 즉, 메인 테이블(501) 상에는 푸셔부(510)가 간극(間隙)없이 재치되어 있기 때문에, 푸셔부(510)가 수납부(720)로부터 반출(搬出)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푸셔부(510) 전면(前面)의 압진벽(513)에 의하여 메인 테이블(501) 상의 메달M이 압진된다. 이 압진에 의하여, 메인 테이블(501) 상의 일부의 메달M이 낙하한다. 낙하한 메달M 중, 게임 플레이어 측의 단(이것을 전단(前端)(501a, 도 1 참조)이라고 한다)으로부터 낙하한 메달M은 게임 플레이어에게 떨쳐내지고, 다른 메달M, 예를 들면 메인 테이블(501)의 사이드(이것을 사이드단(501b)이라고 한다)로부터 낙하한 메달M은 스테이션부(ST) 내의 소정의 저류부에 스톡된다.
또한, 상기한 구성 외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스테이션부(ST)는, 메달 이동 모의 연출부(900)를 가진다. 메달 이동 모의 연출부(9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달 투입 기구(100) 근방으로부터 메달 배출부(330) 근방까지 배열된 복수의 발광부(후술에 있어서의 LED(920))를 가지고, 이들 발광부를 메달 투입 기구(100) 측으로부터 메달 배출부(330)에 걸쳐 순차 점등시키는 것으로, 메달 투입 기구(100)로 투입된 메달M이 이동하는 상태를 모의적으로 연출한다. 이때, 메달M이 실제로 이동하는 경로와, 연출에 의하여 모의되는 경로는, 동일하지 않아도 근접하고 있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메달 투입 기구(100)로부터 투입된 메달M은, 잠시, 리프트 업 호퍼(300)에 있어서의 메달 저류부(310)에 스톡된다. 리프트 업 호퍼(300)의 메달 배출부(330)에는 메달 저류부(310)에 스톡되어 있던 메달M이 리프트 업부(320)에 의하여 리프트 업되어 미리 세트되어 있다. 메달 투입 기구(100)에 메달M이 투입되면, 리프트 업 호퍼(300)는, 제1 제어부(60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미리 메달 배출부(330)에 세트되어 있던 메달M을 플레이 필드(500)로 배출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게임 플레이어로부터 투입된 메달M과, 실제로 플레이 필드(500)로 투입되는 메달M은, 다른 메달이다.
또한, 메달 이동 의사(擬似) 연출부(900)는, 메달 투입 기구(100)에 메달M이 투입되면, 제1 제어부(60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배열된 LED(920)를, 메달 투입 기구(100) 측으로부터 메달 배출부(330)에 걸쳐 순차 점등시킨다. 이때, 메달 배출 부(330) 근방의 LED(920)를 점등시키는 타이밍과, 메달 배출부(330)로부터 메달M을 배출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으로, 메달 투입 기구(100)에 투입된 메달M이 이동하는 상태를 메달 이동 의사 연출부(900)에 의하여 모의적으로 연출할 수 있다.
이 외에, 스테이션부(ST)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일방(一方)의 사이드에 볼 투입 기구(1800)를 가진다. 볼 투입 기구(1800)는, 후술하는 볼B1 또는 B2를 플레이 필드(500)로 투입하기 위한 구성이고, 경사 레일부(1801)와 볼 투입 위치 추첨 기구(1810)를 가진다. 덧붙여, 볼B1 및 B2는, 후술하는 빙고 게임에서 사용되는 게임 매체이다.
경사 레일부(1801)는, 후술하는 볼 캐리어(1520)로부터 투입된 볼B1 또는 B2를 볼 투입 위치 추첨 기구(1810)까지 중력에 의하여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내리막의 슬로프이다. 또한, 볼 투입 위치 추첨 기구(1810)는, 볼B1 또는 B2가 투입되는 플레이 필드(500) 상의 위치를 추첨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후술하는 볼 캐리어(1520)로부터 스테이션부(ST)로 투입된 볼B1 또는 B2는, 경사 레일부(1801) 및 볼 투입 위치 추첨 기구(1810)를 통하여, 플레이 필드(500)에 투입된다.
또한, 스테이션부(ST)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일방의 사이드에 볼 운반 기구(1900)를 가진다. 볼 운반 기구(1900)는, 플레이 필드(500)에 있어서의 메인 테이블(501)로부터 낙하한 볼B1 또는 B2를 새틀라이트부(SA) 측으로 운반하기 위한 구성이며, 후술하는 볼 반송 경로(1040)와 볼 운반부(1910)와 볼 운반부 주행 슬로프(1901)를 가진다. 볼 반송 경로(104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 이 전단(501a) 하방에 설치되고, 전단(501a)으로부터 낙하한 볼B1 또는 B2를 볼 운반부(1910)까지 유도한다. 볼 운반부(1910)는, 볼 반송 경로(1040)를 통하여 받은 볼B1 또는 B2를 새틀라이트부(SA)로 운반하기 위한 구성이며, 제1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서 볼 운반부 주행 슬로프(1901)를 주행한다. 덧붙여, 새틀라이트부(SA) 측으로 운반된 볼B1 또는 B2는, 후술하는 볼 캐리어(1520, 도 3 참조)로 받아 넘겨진다.
나아가, 스테이션부(ST)에 있어서의 표시부(700)에서는, 빙고 게임이나 디지털 추첨 게임 등의 다른 게임이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된다.
빙고 게임은, 예를 들면, 후술하는 복수 종류(본 실시예에서는 2종류)의 볼B1 및 B2와 새틀라이트부(SA)를 이용한 추첨에 의하여 진행하는 추첨 게임이며, 후술하는 새틀라이트부(SA)에 있어서의 도시하지 않는 제어부(이것을 제2 제어부라고 한다)와 스테이션부(ST)에 있어서의 제1 제어부(600)에 의하여 진행한다. 덧붙여, 빙고 게임에 있어서, 후술하는 새틀라이트부(SA)에 있어서의 도시하지 않는 제2 제어부는 주로 빙고 게임 전체의 진행을 제어하고, 스테이션부(ST)에 있어서의 제1 제어부(600)는 주로 개개의 게임 플레이어 측의 제어를 담당한다. 또한, 빙고 게임에서 사용하는 매트릭스 형상의 빙고 테이블은, 예를 들면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에 있어서 생성되고, 표시부(700)에 표시된다. 덧붙여, 빙고 게임에서는, 당선의 상태에 따라, 볼B1 및/또는 B2이나 메달M 등이 해당하는 스테이션부(ST)의 플레이 필드(500)로 투입되거나, 나아가 다른 게임에 참가할 권리를 얻거나 한다. 또한, 이 외에, 메달M 등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직접 떨쳐내는 등, 여러 가지의 이익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주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디지털 추첨 게임은, 주로 스테이션부(ST)에 있어서의 제1 제어부(600)가 디지털적으로 추첨하는 추첨 게임이다. 이 디지털 추첨 게임은, 예를 들면 빙고 게임이 진행되고 있지 않은 기간, 표시부(700)에 있어서 표시되고, 실행된다. 디지털 추첨 게임은, 예를 들면 푸셔부(510)의 경사 테이블(512)에 설치된 체커(515-1, 515-2 및 515-3) 중 어느 한 쪽으로 메달M이 진입한 것을 계기로 하여 개시된다. 덧붙여, 디지털 추첨 게임에서는, 당선의 상태에 따라, 볼B1 및/또는 B2이나 메달M 등이 해당하는 스테이션부(ST)의 플레이 필드(500)로 투입되거나, 추첨 확률이 게임 플레이어에 있어서 유리해지는 상태가 되거나 한다. 또한, 이 외에, 메달M 등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직접 떨쳐내는 등, 여러 가지의 이익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주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게임 플레이어에 있어서 유리한 게임 상태를 확률 변동 모드 또는 확률 변동 중의 게임 상태라고 한다. 덧붙여, 이 상태 이외의 게임 상태를 통상 모드라고 한다.
또한, 스테이션부(ST)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프트 업 호퍼(1020)와 메달 떨쳐냄부(1030)를 포함하는 메달 떨쳐냄 기구를 가지고, 이 메달 떨쳐냄 기구를 구동하는 것으로, 전단(501a)으로부터 낙하한 메달M과 동수의 메달M이나 게임 플레이어에게 직접 떨쳐내는 메달M이, 메달 투입 기구(100)의 저류부(101)로 떨쳐내진다.
(1-1-2) 새틀라이트부의 구성
다음으로, 도 1에 있어서의 새틀라이트부(SA)의 구성을 도 3에 발췌하는 것 과 함께, 그 개략 구성을 도 1 및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새틀라이트부(SA)는, 빙고 게임에 있어서의 추첨을 실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새틀라이트부(SA)는,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와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와 볼 공급 기구(1300, 1400)와 볼 반송 경로(1500)와 볼 투입 기구(1600)와 지지대(1700)를 가진다.
지지대(1700)는, 새틀라이트부(SA)의 골격이 되는 구성이며, 다른 구성을 지지한다. 지지대(1700)에 있어서, 상부 중앙에는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가 배설되고, 이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를 환위(環圍)하도록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가 배설되어 있다. 나아가,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를 환위하도록 볼 반송 경로(1500)가 배설되어 있다. 볼 반송 경로(1500)의 옆에는, 볼 공급 기구(1300, 1400)가 설치되어 있다.
볼 공급 기구(1300)는, 어느 종류의 볼, 예를 들면 비금속제의 볼B1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볼 공급 기구(1400)는, 볼B1과는 다른 종류, 예를 들면 금속제의 볼B2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덧붙여, 볼B1과 볼B2의 차이는, 금속인지 비금속인지에 관계없이, 다른 요인, 예를 들면 볼의 색에 의하여 규정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 볼 공급 기구(1300)는, 볼 공급부(1301)와 리프트 업부(1302)와 볼 귀환 경로(1303)를 가진다. 볼 공급부(1301)는, 후술하는 볼 캐리어(1520)로 볼B1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리프트 업부(1302)는, 볼B1을 볼 공급부(1301)까지 리프트 업하기 위한 구성이다. 볼 귀환 경로(1303)는, 후술하는 아우터 빙고 스테이 지(1100)로 공급된 볼B1을 볼 공급 기구(1300)에 있어서의 리프트 업부(1302)로 귀환시키기 위한 경로로 되는 구성이다.
마찬가지로, 볼 공급 기구(1400)는, 볼 공급부(1401)와 리프트 업부(1402)와 볼 귀환 경로(도시하지 않음)를 가진다. 볼 공급부(1401)는, 후술하는 볼 캐리어(1520)로 볼B2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리프트 업부(1402)는, 볼B2를 볼 공급부(1401)까지 리프트 업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시하지 않는 볼 귀환 경로는, 후술하는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로 공급된 볼B2를 볼 공급 기구(1400)에 있어서의 리프트 업부(1402)로 귀환시키기 위한 경로로 되는 구성이다.
볼 캐리어(1520)는, 환상의 볼 반송 경로(1500) 외주(外周)를 따라 볼B1 또는 B2를 운반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 볼 캐리어(1520)는, V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2개의 봉상(棒狀) 부재로 이루어지는 받이부를 가지고, 이것에 볼B1 또는 B2를 보지(保持)한다. 또한, 볼 캐리어(1520)는, 볼 반송 경로(1500)를 따라 설치된 링 형상의 부재(1550)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링 형상의 부재가 볼 반송 경로(1500)를 따라 회전하는 것으로, 볼 캐리어(1520)는 볼 반송 경로(1500)를 따라 이동한다.
볼 반송 경로(1500)는, 외주면에 복수의 센서부(1510)를 가진다. 센서부(1510)는, 이것의 직근(直近, 가장 가까운)에 볼 캐리어(152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센서부(1510)에서 검출된 정보는, 적당히 또는 리얼타임으로,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는 제2 제어부에 입력된다. 이 제2 제어부는, 센서부(1510)로부터 보내져 온 정보에 기초하여 볼 캐리어(1520)의 위치를 특정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볼 캐리어(1520)의 주행 및 정지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스테이션부(ST)로 볼B1을 공급하는 경우, 이 제2 제어부는, 센서부(1510)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볼 캐리어(1520)를 센서부(1510-1)의 위치에 정지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볼 캐리어(1520)가 경사 레일부(1801)의 연장 상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는 제2 제어부에 의하여 볼 캐리어(1520)의 V자 형상의 받이부가 경사 레일부(1801) 측으로 쓰러지면, 볼 캐리어(1520)에 보지되어 있던 볼B1 또는 B2가 경사 레일부(1801, 도 1 참조)에 투입된다. 덧붙여, 센서부(1510)는, 예를 들면, 볼 반송 경로(1500)의 외주면 상에 있어서, 개개의 스테이션부(ST)에 있어서의 경사 레일부(1801)가 배치되는 위치 및 볼 운반부 주행 슬로프(1901)가 배치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경사 레일부(1801)에 투입된 볼B1 또는 B2는, 볼 투입 위치 추첨 기구(1810)를 통하여 플레이 필드(500)에 투입된다. 플레이 필드(500)에 투입된 볼B1 또는 B2는, 게임의 진행 과정에 있어서, 메달M과 마찬가지로, 메인 테이블(501)의 전단(501a)으로부터 낙하한다. 낙하한 볼B1 또는 B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하는 볼 반송 경로(1040)를 통하여 볼 운반부(1910)에 세트된다. 덧붙여, 이 볼 반송 경로(1040)는, 볼B1 또는 B2만을 받아들이고, 메달M을 하방으로 통과시키는 볼 받이부(1041)를 가진다. 또한, 볼 운반부(1910)는, 통상의 상태에서는, 볼 반송 경로(1040)의 볼 배출구(1043)에 대기하고 있다.
볼 운반부(19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볼B1 또는 B2를 새틀라이트부(SA)로 운반하기 위한 구성이다. 볼 운반부(1910)는, 볼B1 또는 B2가 세트되면, 도시하지 않는 제2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에 기초하여 볼 운반부 주행 슬로프(1901)를 뛰어 올라, 볼 운반부 주행 슬로프(1901)의 상단으로 이동한다. 볼 운반부 주행 슬로프(1901)의 상단 근방에는, 볼 캐리어(1520)가 대기하고 있다. 볼 운반부(1910)는, 볼 운반부 주행 슬로프(1901)의 상단으로 이동한 후, 운반한 볼B1 또는 B2를 볼 캐리어(1520)에 건네준다. 덧붙여, 볼B1 또는 B2가 받아 넘겨진 볼 캐리어(1520)는, 이것을 보지하는 자세로 된다.
또한, 볼 캐리어(1520)는, 볼B1 또는 B2를 받으면, 도시하지 않는 제2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에 기초하여, 볼 투입 기구(1600)와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볼 투입 기구(1600)는, 볼B1을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로 투입하기 위한 받이 접시(1610)와, 볼B2를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로 투입하기 위한 받이 접시(1620)를 가진다. 볼 캐리어(1520)는, 상술한 도시하지 않는 제2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에 기초하여, 보지하고 있는 볼의 종류(B1 또는 B2)에 따라서, 받이 접시(1610) 또는 받이 접시(1620)와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받이 접시(1610, 1620)는 볼 캐리어(1520)로부터 볼을 받을 때에는 볼 캐리어(1520)와 대향하는 위치까지 하강하고, 볼 캐리어(1520)로부터 볼을 받으면 볼 투입 경로(1110, 1210)와 대향하는 위치까지 상승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게임 플레이어에 의하여 지시받은 볼 투입 타이밍까지 볼을 보지한다.
예를 들면 볼 운반부(1910)로부터 볼B1을 받은 경우, 볼 캐리어(1520)는, 볼 반송 경로(1500)를 따라 주행 후, 이 볼B1을 볼 투입 기구(1600)에 있어서의 받이 접시(1610)로 받아 넘긴다. 볼B1을 받은 받이 접시(1610)는, 예를 들면 게임 플레 이어로부터의 지시에 따르는 타이밍으로, 보지하고 있는 볼B1을 볼 투입 경로(1110)로 투입한다. 투입된 볼B1은, 볼 투입 경로(1110)의 경사 및 길이에 따른 가속을 얻은 후,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로 투입된다. 또한, 예를 들면 볼 운반부(1910)로부터 볼B2를 받은 경우, 볼 캐리어(1520)는, 볼 반송 경로(1500)를 따라 주행 후, 이 볼B2를 볼 투입 기구(1600)에 있어서의 받이 접시(1620)로 받아 넘긴다. 볼B2를 받은 받이 접시(1620)는, 예를 들면 게임 플레이어로부터의 지시에 따르는 타이밍으로, 보지하고 있는 볼B2를 볼 투입 경로(1210)로 투입한다. 투입된 볼B2는, 볼 투입 경로(1210)의 경사 및 길이에 따른 가속을 얻은 후,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로 투입된다. 덧붙여, 볼 캐리어(1520)에 받아 넘겨진 볼의 종류가 B1인지 B2인지는, 예를 들면 볼B1을 비금속제로 하고, 볼B2를 금속제로 한 경우, 금속 센서 등 볼 캐리어(1520)에 설치하는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볼B1과 볼B2를 다른 색으로 한 경우, 컬러 센서 등을 볼 캐리어(1520)에 설치하는 것으로, 받아 넘겨진 볼의 종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검출된 볼의 종류는, 도시하지 않는 제2 제어부로 보내진다. 따라서, 볼 캐리어(1520)는, 이 제2 제어부에 통지한 볼의 종류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는, 볼B1이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한 개 이상의 입상 스폿(1101)(이것을 제1 입상 스폿이라고도 한다)을 가지고, 소정의 주기로 회전하고 있다. 이 입상 스폿(1101)은, 예를 들면 구멍이어도 무방하다. 다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추첨 매체인 볼B1이 제1 추첨 필드인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를 전동한 후, 전입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떻게 하더라도 변 형할 수 있다. 각 입상 스폿(1101)에는, 빙고 게임에 있어서의 번호 또는 도안이 할당되어 있다.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로 투입된 볼B1은, 볼 투입 경로(1110)에 있어서 얻은 가속 및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 자체의 회전에 의하여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를 주회한 후, 어느 한 쪽의 입상 스폿(1101)으로 들어간다. 어느 쪽의 입상 스폿(1101)으로 볼B1이 들어갔는지의 정보는, 적당히, 도시하지 않는 제2 제어부로 보내진다. 덧붙여, 제2 제어부에서는, 볼B1이 들어간 입상 스폿(1101)에 할당된 번호 또는 도안을 당선으로 하여, 빙고 게임을 진행한다.
마찬가지로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는, 볼B2를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한 개 이상의 입상 스폿(1201)(이것을 제2 입상 스폿이라고도 한다)을 가지고, 소정의 주기로 회전하고 있다. 이 입상 스폿(1201)은, 예를 들면 구멍이어도 무방하다. 다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추첨 매체인 볼B2가 제2 추첨 필드인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를 전동한 후, 전입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떻게 하더라도 변형할 수 있다. 각 입상 스폿(1201)에는, 빙고 게임에 있어서의 번호 또는 도안이 할당되어 있다.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로 투입된 볼B2는, 볼 투입 경로(1210)에 있어서 얻은 가속 및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 자체의 회전에 의하여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를 주회한 후, 어느 한 쪽의 입상 스폿(1201)으로 들어간다. 어느 쪽의 입상 스폿(1201)으로 볼B2가 들어갔는지의 정보는, 적당히, 도시하지 않는 제2 제어부로 보내진다. 덧붙여, 이 제2 제어부는, 볼B2가 들어간 입상 스폿(1201)에 할당된 번호 또는 도안을 당선으로 하여, 빙고 게임을 진행한다.
입상 스폿(1101)에 들어간 볼B1은, 게임 플레이어가 확인할 수 있도록, 잠 시, 입상 스폿(1101) 입구에 보지된 후,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 하방에 설치된 볼 귀환 경로(1303)에 투입된다. 마찬가지로 입상 스폿(1201)으로 들어간 볼B2는, 게임 플레이어가 확인할 수 있도록, 잠시, 입상 스폿(1201) 입구에 보지된 후,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 하방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볼 귀환 경로로 투입된다.
덧붙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볼을 이용한 빙고 게임에 대해서는, 후술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1-2) 메달 투입 기구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메달 투입 기구(100)의 구성을, 도면을 이용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1-2-1) 메달 투입 기구(100)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메달 투입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하는 메달 투입 기구의 상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하는 메달 투입 기구의 배면도이다.
메달 투입 기구(100)는, 수평 영역(21)과, 당해 수평 영역(21)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경사 영역(22)과 제2 경사 영역(23)과, 당해 제1 경사 영역(22)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측부 구조체(117)와, 당해 제2 경사 영역(23)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측부 구조체(118)를 포함한다. 메달 투입 기구(100)는, 복수의 메달을 저류하는 저류부(101)를 포함한다. 당해 저류부(101)는, 메달 투입 기구(100)의 수평 영역(21)을 구성한다.
메달 투입 기구(100)는, 나아가, 저류부(101)의 제1 측부에 접하는 제1 경계 영역(102)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상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연재(延在)하는 제1 경사벽을 포함한다. 당해 제1 경사벽은 제1 경사 영역(22)을 형성한다. 당해 제1 경사벽은,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으로 구성된다. 제1 경계 영역(102)은 곡면으로 구성된다.
메달 투입 기구(100)는, 나아가, 전술의 제1 측부와 반대 측에 위치하는 저류부(101)의 제2 측부에 접하는 제2 경계 영역(103)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상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는 제2 경사벽을 포함한다. 당해 제2 경사벽은 제2 경사 영역(23)을 형성한다. 당해 제2 경사벽은,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으로 구성된다. 제2 경계 영역(103)은 곡면으로 구성된다.
메달 투입 기구(100)는, 나아가, 제1 경사벽에 근접하는 위치에 제1 메달 투입구(108-1)를 가지는 제1 메달 투입부(108)와, 제2 경사벽에 근접하는 위치에 제2 메달 투입구(109-1)를 가지는 제2 메달 투입부(109)를 가진다. 제1 경계 영역(102)과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과 제1 메달 투입부(108)는, 메달 투입 기구(100)의 제1 경사 영역(22)을 형성한다. 제2 경계 영역(103)과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과 제2 메달 투입부(109)는, 메달 투입 기구(100)의 제2 경사 영역(23)을 형성한다.
제1 메달 투입부(108)는, 나아가, 제1 취부 플랜지(110)를 가지고, 당해 제1 취부 플랜지(110)는, 제1 경계 영역(102)의 일부로부터 저류부(101)의 일부에 걸쳐 연재한다. 제2 메달 투입부(109)는, 나아가, 제2 취부 플랜지(111)를 가지고, 당해 제2 취부 플랜지(111)는, 제2 경계 영역(103)의 일부로부터 저류부(101)의 일부에 걸쳐 연재한다. 저류부(101) 상에 연재하는 제1 취부 플랜지(110)와 제2 취부 플랜지(111)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게 라운드된 각부(角部)를 가진다. 제1 취부 플랜지(110)와 제2 취부 플랜지(111)는, 메달M을 저류하는 메달 저류 영역을 저류부(101) 상에 획정(劃定)한다. 제1 취부 플랜지(110)와 제2 취부 플랜지(111)는, 서로 이간(離間)하고 있고, 당해 2개의 플랜지(110, 111) 사이의 메달 공급 측(119)으로부터 메달M이 공급된다. 공급된 메달M은, 당해 제1 취부 플랜지(110)와 제2 취부 플랜지(111)의 크게 라운드된 각부에 구속된다. 저류부(101)의 메달 공급 측(119)과 반대 측의 측부에는, 저류부(101)로부터 플레이어가 있는 가장 앞쪽으로 공급된 메달M이 넘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메달 구속 플레이트(112)가 설치된다.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의 경계에는, 제1 가이드부(113)가 형성된다. 당해 제1 가이드부(113)는,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메달을 계지(係止)하고, 당해 제1 가이드부를 따라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로 슬라이드 전입시키도록 구성한다. 당해 제1 가이드부(113)는,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의 경계에 형성된 제1 단차(113)로 구성한다. 제1 단차(113)는,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로 향하여 직선적으로 하강하면서 연재한다.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은, 당해 제1 가이드부(113)를 따라 슬라이드 전입하는 메달M과의 마찰을 저감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한 개의 돌기부를 가진다. 즉,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 역(106)은, 당해 제1 가이드부(113)로부터 메달M의 직경보다 작은 거리만큼 상방(上方)으로 이간하여, 당해 제1 가이드부(113)가 연재하는 방향과 대체로 평행하게 연재하는 적어도 한 개의 능선 형상 돌기부(115)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15)를 형성한다.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경계에는, 제2 가이드부(114)가 형성된다. 당해 제2 가이드부(114)는, 당해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메달을 계지하고, 당해 제2 가이드부를 따라 당해 제2 메달 투입구(109-1)로 슬라이드 전입시키도록 구성한다. 당해 제2 가이드부(114)는, 당해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경계에 형성된 제2 단차(114)로 구성한다. 제2 단차(114)는, 당해 제2 메달 투입구(109-1)로 향하여 직선적으로 하강하면서 연재한다. 당해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은, 당해 제2 가이드부(114)를 따라 슬라이드 전입하는 메달M과의 마찰을 저감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한 개의 돌기부를 가진다. 즉, 당해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은, 당해 제2 가이드부(114)로부터 메달M의 직경보다 작은 거리만큼 상방으로 이간하여, 당해 제2 가이드부(114)가 연재하는 방향과 대체로 평행하게 연재하는 적어도 한 개의 능선 형상 돌기부(116)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16)를 형성한다.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의 외측 상단부는, 제1 측부 구조체(117)와 결합하고 있다. 제1 측부 구조체(117)는, 변형 L자 단면 형상을 가지고, 수평 상부, 수직 벽부 및 수평 하부로 이루어진다. 수평 상부는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 역(106)의 외측 상단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외측으로 향하여 연재한다. 수직 벽부는, 수평 상부의 외측 단부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연재한다. 수평 하부는, 수직 벽부의 하단부로부터 내측으로 향하여 연재한다. 수평 상부에는, 메달 배출 경로(400)의 배출 단부의 위치 및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조작 핸들이 취부되고, 플레이어는, 당해 조작 핸들을 조작하여 메달 배출 경로(400)의 배출 단부의 위치 및 방향을 제어한다. 수평 하부는, 메달 투입 기구(100)를, 스테이션부(ST)의 케이스(800)에 취부하기 위한 취부 플랜지의 역할을 완수한다.
당해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외측 상단부는, 제2 측부 구조체(118)와 결합하고 있다. 제2 측부 구조체(118)는, 변형 L자 단면 형상을 가지고, 수평 상부, 수직 벽부 및 수평 하부로 이루어진다. 수평 상부는 당해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외측 상단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외측으로 향하여 연재한다. 수직 벽부는, 수평 상부의 외측 단부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연재한다. 수평 하부는, 수직 벽부의 하단부로부터 내측으로 향하여 연재한다. 수평 상부에는, 메달 배출 경로(400)의 배출 단부의 위치 및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조작 핸들이 취부되고, 플레이어는, 당해 조작 핸들을 조작하여 메달 배출 경로(400)의 배출 단부의 위치 및 방향을 제어한다. 수평 하부는, 메달 투입 기구(100)를, 스테이션부(ST)의 케이스(800)에 취부하기 위한 취부 플랜지의 역할을 완수한다.
당해 저류부(101), 제1 경계 영역(102), 제2 경계 영역(103),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은, 동일 부재로 구성하면, 메달M이 가동하는 영역에는 이음매 가 없어져 저항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당해 제1 메달 투입부(108)의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당해 제2 메달 투입부(109)의 당해 제2 메달 투입구(109-1)는, 당해 메달M이 동시에 한 개만 들어가는 것이 가능한 치수를 가진다. 복수의 당해 메달M이 동시에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혹은 제2 메달 투입구(109-1)에 들어간 경우, 당해 제1 메달 투입부(108) 혹은 당해 제2 메달 투입부(109)에 당해 메달M이 막혀 버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메달 투입 기구(100)는, 당해 제1 및 제2 측부의 중간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대체로 대칭적인 형상 및 구조를 가진다.
도 14는 도 10에 도시하는 메달 투입 기구의 부분 분해도이다. 제1 메달 투입부(108)와 제2 메달 투입부(109)는 동일 구조이기 때문에, 이하, 제2 메달 투입부(109)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메달 투입부(109)는, 제2 가이드부(114) 즉 제2 단차부(114)의 종단부에 근접하는 제2 메달 투입구(109-1)와, 당해 제2 단차부(114)의 종단부와 연통(連通)하는 메달 투입 경로(109-7)와, 당해 메달 투입 경로(109-7)와 연통하는 메달 낙하 구멍(109-8)과, 당해 메달 투입 경로(109-7)와 당해 메달 낙하 구멍(109-8)의 각각의 양 측부를 획정하는 제1 메달 가이드 플레이트(109-5) 및 제2 메달 가이드 플레이트(109-6)를 가진다. 당해 메달 투입 경로(109-7)는, 제2 메달 투입구(109-1)를 통하여 투입된 메달M을 메달 낙하 구멍(109-8)까지 유도하도록 형성된다.
나아가, 제2 메달 투입부(109)는, 제2 롤러(109-4)를 가지는 제2 중간 플레 이트(109-3)를 가진다. 당해 제2 중간 플레이트(109-3)는, 제1 메달 가이드 플레이트(109-5) 및 제2 메달 가이드 플레이트(109-6)에 취부된다. 당해 제2 롤러(109)는, 메달 낙하 구멍(109-8)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당해 메달 투입 경로(109-7)를 통과한 메달M이, 메달 낙하 구멍(109-8) 상에 다다랐을 때, 당해 제2 롤러(109)에 당접하고, 당해 메달M이 약간 밀려 내려가, 메달 낙하 구멍(109-8)으로부터 낙하한다. 낙하한 메달M은, 도 1에 도시하는 메달 반송 경로(200)를 통하여 리프트 업 호퍼(300)까지 반송된다. 그리고 메달M은, 리프트 업 호퍼(300)에 의하여 메달 배출 경로(400)의 공급단까지 리프트 업되고, 당해 메달 배출 경로(400)를 통하여 배출단으로부터 플레이 필드(500) 상으로 공급된다. 제2 메달 투입부(109)는, 나아가, 제2 메달 투입부 커버(109-2)를 가진다. 당해 제2 메달 투입부 커버(109-2)는, 제2 중간 플레이트(109-3)를 덮는다. 또한, 당해 제2 메달 투입부 커버(109-2)는, 제2 취부 플랜지(11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당해 제2 취부 플랜지(111)가 저류부(101)에 고정되는 것으로, 간접적으로, 제2 중간 플레이트(109-3)에 대하여 그 위치가 고정된다.
게임 플레이어는, 당해 저류부(101)에 저류하고 있는 메달M을, 당해 저류부(101)로부터 연속적으로 상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는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으로 미끄러져 올라오게 하여, 당해 메달M로부터 손을 떼면, 중력에 의하여 당해 메달M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져, 제1 가이드부(113)를 구성하는 제1 단차부(113)와 제2 가이드부(114)를 구성하는 제2 단차부(114)에 계지된다. 그리고 제1 단차부(113)와 제2 단차부(114)는, 상기 메달M을 중력에 의하여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로 슬라이드 전입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게임 플레이어는, 당해 저류부(101)로부터 연속적으로 상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는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으로 당해 메달M을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고, 다음은, 당해 메달M로부터 손을 떼면, 중력에 의하여 당해 메달M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져, 제1 단차부(113)와 제2 단차부(114)에 계지되고, 그 후, 당해 메달M은, 제1 단차부(113)와 제2 단차부(114)를 따라 제1 투입부의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까지 중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전입한다. 당해 메달M이 제1 단차부(113)와 제2 단차부(114)를 따라 구르면, 당해 메달M은,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에 대하여 슬라이드하게 된다. 즉, 게임 플레이어는, 당해 메달M을 당해 저류부(101)로부터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따라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여, 손을 떼면 되어, 종래와 같이 당해 메달M을 당해 저류부(101)로부터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까지 옮길 필요가 없다. 즉, 중력을 잘 이용하여 게임 플레이어의 손의 움직임을 편하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게임 플레이어가 연속하여 장시간 메달M을 계속 투입하여도, 게 임 플레이어가 느끼는 피로를 큰 폭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메달M의 투입에 거의 신경을 쓰지 않기 때문에, 게임 그 자체에 집중할 수 있어 게임을 충분히 즐길 수 있다.
또한,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따라 당해 메달M을 미끄러져 올라가게 한 다음은, 당해 메달M로부터 손을 떼면, 중력에 의하여 당해 메달M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져, 제1 단차부(113)와 제2 단차부(114)에 계지되고, 그 후, 상기 메달M은, 당해 제1 단차부(113)와 제2 단차부(114)를 따라 제1 투입부의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까지 중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전입한다. 즉, 메달M의 투입을 자동화하지 않고, 게임 플레이어가 연속하여 장시간 메달M을 계속 투입하여도, 게임 플레이어가 느끼는 피로를 큰 폭으로 저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게임 플레이어 자신이 게임을 하고 있는 실감을 가지면서, 게임 플레이어를 연속하여 장시간 충분히 매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당해 제1 단차부(113)와 제2 단차부(114)는,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중력에 의하여 미끄러져 떨어지는 메달M을 계지하는 기능과, 당해 제1 단차부(113)와 제2 단차부(114)를 따라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로 중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전입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면 된다. 그러나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가이드부(113) 즉 제1 단차부(113)와 제2 가이드부(114) 즉 제2 단차부(114)보다 위의 위치까지 미끄러져 올라가게 할 필요가 있고, 이 때문에, 당해 메달M을 미끄러져 올라가게 할 때, 당해 제1 가이드부(113) 즉 제1 단차부(113)와 제2 가이드부(114) 즉 제2 단차부(114)의 존재가 방해가 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고려하면, 당해 제1 가이드부(113)가 제1 단차부(113)로 구성되고, 제2 가이드부(114)가 제2 단차부(114)로 구성되는 것은 의의가 있다. 단, 당해 제1 및 제2 단차(113, 114)의 스텝면은, 위를 향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에 의하여,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단차(113) 및 당해 제2 단차(114)를 넘어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또한, 일단 미끄러져 올라간 당해 메달M이 게임 플레이어의 손을 떠나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져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에서 계지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이 아래를 향한 경우,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따라 미끄러져 올라가는 당해 메달M을 저지하고, 또한 메달M을 계지하면서,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로 중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전입시킬 수 없다.
당해 제1 단차(113)는,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을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보다 두껍게 구성하는 것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당해 제2 단차(114)는,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을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보다 두껍게 구성하는 것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은, 상하 쌍방의 영역에 이르는 제1 평판과, 당해 아래 영역으로만 연재하는 제2 평판을 조합한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은, 상하 쌍방의 영역에 이르는 제1 평판 중 당해 아래 영역만을 얇게 가공하여도 무방하다. 결국,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기존의 기술을 이용하여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로 연재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의하여 계지된 메달M을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로 중력에 의하여 굴려 유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로 향하여 하강하도록 연재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로 향하여 직선적으로 하강하는 구성으로 한다. 그러나 변경예로서,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로 향하여 곡선적으로 하강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나아가서는, 직선과 곡선의 조합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어느 위치에서 메달M을 계지하였다고 하여도,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로 향하여 중력에 의하여 굴려 유도하는데 최저한 필요한 경사 각도를 가진다.
나아가,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당해 메달M을 중력에 의하여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로 슬라이드 전입시키도록 종단시킬 필요가 있다.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종단부를 당 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에 근접시킨다. 변경예로서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종단부가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에 접하여 있지 않고, 간극을 가지고 있어도,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를 구른 당해 메달M이 최종적으로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로 굴러 들어가면 된다. 이를 위해서는, 당해 제1 메달 투입부(108)의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당해 제2 투입부(109)의 제2 메달 투입구(109-1)는,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에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 바꾸어 말하면,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크기는,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에서 계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결정된다.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최소한 필요한 크기는,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의 경사 각도와, 당해 메달M의 두께에 의존한다. 예를 들면,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의 경사 각도가 큰 경우,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의 경사 각도가 작은 경우에 비교하여,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은 보다 커질 것이다.
나아가, 당해 메달M의 두께와 비교하여,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이 너무 작으면,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당해 메달M을 계지하지 못하고, 당해 메 달M은,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를 넘어 당해 저류부(101)까지 미끄러져 떨어져 버려,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로 투입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당해 메달M의 두께와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의 경사 각도를 고려하여,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당해 메달M을 계지할 수 있는 최저한의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이 필요하게 된다.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을 당해 메달M의 두께보다 크게 하면,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당해 메달M을 계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을 당해 메달M의 두께의 2배보다 크게 하면,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2매가 겹친 당해 메달M을 동시에 계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을 너무 크게 하면,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를 넘어 미끄러져 올라가게 할 때에,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서 당해 메달M이 넘어져 버리거나 하여, 당해 메달M이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를 잘 구르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9는 메달M의 두께와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메달M의 주변부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이 아니라, 모서리가 둥그스름함(R)을 띠고 있는 경우, 이 둥그스름함을 띠고 있는 부분의 두께 R 이상의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 W2가 있으면, 당해 메달M을 계지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져 온 당해 메달M이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접촉하였을 때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계지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론상 최저한 필요한 폭 W2보다도 크게,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을 설계한다. 나아가,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져 온, 서로 겹친 상태의 2매의 메달M을 동시에 계지하려면, 이론상은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달M 단체(單體)의 두께와 둥그스름함을 띠고 있는 부분의 두께 R의 합 이상의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 W1이 있으면, 당해 2매가 겹친 메달M을 계지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져 온 당해 2매가 겹친 메달M이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접촉하였을 때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당해 2매가 겹친 메달M 중 위에 겹쳐진 쪽의 메달M은,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계지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당해 2매가 겹친 메달M의 쌍방 모두 계지하려면, 이론상 최저한 필요한 폭 W1보다도 크게,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을 설계한다.
이 관점으로부터, 메달M을 단체로 계지하려면,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폭을 당해 게임 매체 단체의 두께에 대체로 상당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대체로」란, 둥그스름함을 띠고 있는 부분의 두께 R에 상당하는 오차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나아가,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각도는, 당해 제1 경사벽에 대하여 직각 혹은 예각이 바람직하다.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각도가, 당해 제1 경사벽에 대하여 둔각인 경우, 당해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져 온 당해 게임 매체가 당해 제1 단차에 계지되지 않고 미끄러져 떨어져 버릴 가능성이 높다.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의 경사각이 큰 경우, 즉,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이 수직에 가까운 경우, 당해 메달M을 당해 저류부(101)로부터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반대로,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의 경사각이 작은 경우, 즉,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이 평평함에 가까운 경우, 당해 메달M을 당해 저류부(101)로부터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는 것은 용이하다. 그러나 게임 플레이어가 당해 메달M로부터 손을 뗀 후,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과의 마찰력이 커지기 때문에, 당해 메달M이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지기 어려워지는 것과 함께, 당해 메달M이 중력에 의하여 당해 제 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를 따라 구르면서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슬라이드할 때의 마찰력이 크기 때문에, 도중에 멈추어 버려, 상기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까지 도달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경사각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수직에 너무 가깝지 않고 또한 수평에도 너무 가깝지 않은 각도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경사각은, 20도 이상 70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30도 이상 60도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경사각은 전형적으로는 약 45도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당해 저류부(101)에 저류하는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으로 가능한 한 저항을 적게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려면, 제1 경계 영역(102) 및 제2 경계 영역(103)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곡면의 바람직한 곡률은, 당해 메달M의 직경 방향 치수에 의존하지만, 대체로 당해 곡면의 곡률 반경이 당해 메달M의 직경 방향 치수보다 충분히 크면 된다. 바람직한 곡률은 경험적으로 간단하게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과 당해 메달M과의 마찰 저항은 가능한 한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마찰 저항을 저감하기 위하여, 제1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15) 및 제2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16)가 유효하다. 당해 메달M은 대체로 원반 형상을 가진다. 나아가,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이 평평한 표면을 가지는 경우, 당해 메달M의 측면의 전 영역이,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평평한 표면과 접촉한다.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과의 마찰력을 저감하는 데에는,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과의 접촉 면적을 저감하는 것이 유효하다. 접촉 면적을 저감하기 위하여, 제1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15) 및 제2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16)가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당해 제1 가이드부(113) 즉 제1 단차부(113)와 제2 가이드부(114) 즉 제2 단차부(114)를 구르는 당해 메달M은, 제1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15) 및 제2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16)와 접촉하면서 슬라이드한다. 이 때문에,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과의 접촉 면적이 저감되어, 마찰 저항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마찰 저항 저감을 목적으로 하여 적어도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표면을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표면만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하여도 무방하고, 또한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전체를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 벽 상부 영역(107)에 더하여,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 제1 경계 영역(102), 제2 경계 영역(103) 및 저류부(101)의 표면 혹은 전체를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의 전형예로서 테플론(등록 상표)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나 함유 소결 금속(상품예:오일레스 메탈 플레이트)을 들 수 있지만, 반드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표면을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하고 그 대신에, 마찰 저항 저감 목적으로 설치한 제1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15) 및 제2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16)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100)는, 저류부(101)의 제1 측부에 접하는 제1 경계 영역(102)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상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는 제1 경사벽을 포함한다. 당해 제1 경사벽은 제1 경사 영역(22)을 형성한다. 당해 제1 경사벽은,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으로 구성된다. 메달 투입 기구(100)는, 나아가, 전술의 제1 측부와 반대 측에 위치하는 저류부(101)의 제2 측부에 접하는 제2 경계 영역(103)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상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는 제2 경사벽을 포함한다. 당해 제2 경사벽은 제2 경사 영역(23)을 형성한다. 당해 제2 경사벽은,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0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으로 구성된다. 당해 제1 경사벽 및 당해 제2 경사벽은, 게임 매체로서의 메달이 미끄러져 올라가는 것 및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이 가능하면 되기 때문에, 반드시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 평면으로 구성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당해 제1 경사벽 및 당해 제2 경사벽은 경사 각도가 변화하는 경사 곡면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게임 매체로서의 메달을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에 슬라이드 전입시키기 위한 가이드부는,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로 향하여 각각 직선적으로 하강 경사하도록 연재한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로 구성하였다. 그렇지만,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계지된 메달이 중력에 의하여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까지 슬라이드 전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려면,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반드시 직선적으로 하강 경사하도록 연재할 필요가 없다. 즉,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계지된 메달이 중력에 의하여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까지 슬라이드 전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려면,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로 향하여 총체적으로 하강하고 있으면 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에 위치하는 메달M의 포텐셜 에너지보다도,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계지되는 메달M의 포텐셜 에너지 쪽이 총체적으로 보아 높으면 된다. 예를 들면,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도중에 상승부가 있어도, 메달M의 운동 에너지 쪽이 당해 상승부의 포텐셜 에너지와 마찰 에너지의 합보다 큰 경우, 메달M은, 지금까지의 전동의 기세로 당해 상승부를 올라 제1 투입구로 전입한다. 또한,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도중에 상승부가 있고, 메달M의 운동 에너지 쪽이 당 해 상승부의 포텐셜 에너지와 마찰 에너지의 합보다 작은 경우라도, 메달M은, 나중에 전동하여 온 메달M에 밀려 당해 상승부를 올라 제1 투입구로 전입하는 것이 가능하면 문제없다. 또한,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로 향하여 계단상으로 하강하도록 연재 하여도 무방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메달 투입 기구(100)에 의하면, 게임 플레이어가 연속하여 장시간 게임 매체를 계속 투입하여도, 게임 플레이어가 느끼는 피로를 큰 폭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게임 매체의 투입에 거의 신경을 쓰지 않기 때문에, 게임 그 자체에 집중할 수 있어 게임을 충분히 즐길 수 있다.
(A) 메달 투입 기구(100)의 변형예 1
전술한 일 실시예에 대한 변경예 1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변경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전술한 메달 투입 기구(100)와의 차이점만 설명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의 제1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15) 및 제2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16)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에 형성하는 것에 대신하여,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에, 점재(點在)하는 복수의 돌기(120)를 형성하는 것은, 당해 메달M과의 접촉 면적을 저감하고, 나아가서는 당해 메달M과의 마찰 저항을 저감하는 데에는 유효하다. 여기서, 인접하는 돌기(120)의 간격은, 당해 메달M의 직경 방향 치수보다 충분히 좁 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돌기(120)는 일정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점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를 구르는 당해 메달M은, 당해 점재하는 복수의 돌기(120)와 접촉하면서 슬라이드한다. 이 때문에,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과의 접촉 면적이 저감되어, 마찰 저항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해 복수의 돌기(120)는, 마찰력 저감의 관점으로부터, 그 정부(頂部)가 라운드 가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B) 메달 투입 기구(100)의 변형예 2
전술한 일 실시예에 대한 변경예 2를,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변경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전술한 메달 투입 기구(100)와의 차이점만 설명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과의 마찰력을 저감하는데, 진동 모터(121)를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의 각각의 이측(裏側)에 설치하여,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에 미소 진동을 부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유효하다.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에 미소 진동을 부여하는 것으로,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이 밀착하는 것을 방지하고, 결과적으로,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과의 실효적인 접촉 면적을 저감하여, 마찰 저항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에 부여하는 진동이 너무 커서, 당해 메달M이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를 따라 구를 때에 불안정하게 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너무 큰 진동은 게임 플레이어에게도 불쾌감을 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C) 메달 투입 기구(100)의 변형예 3
전술한 일 실시예에 대한 변경예 3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변경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전술한 메달 투입 기구(100)와의 차이점만 설명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과의 마찰력을 저감하는데,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이, 점재하는 복수의 통풍 구멍(122)을 가지고, 또한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각각의 이측에 송풍 팬(123)을 설치한다.
당해 복수의 통풍 구멍(122)을 통하여 송풍하는 것으로,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으로부터 띄우는 방향의 부력을 당해 메달M에 부여하여,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접촉력을 저감하고, 결과적으로,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과의 마찰력을 저감한다. 여기서, 인접하는 통풍 구멍(122)의 간격은, 당해 메달M의 직경 방향 치수보다 충분히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통풍 구멍(122)은, 일정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점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송풍 팬(123)은,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이측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를 구르는 당해 메달M은, 당해 점재하는 복수의 통풍 구멍(122)을 통하 는 송풍에 의하여 부여되는 부력에 의하여,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과의 접촉력이 저감된 상태로, 당해 메달M이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를 따라 구르기 때문에, 마찰 저항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 메달 투입 기구(100)의 변형예 4
전술한 일 실시예에 대한 변경예 4에 대하여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변경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전술한 메달 투입 기구(100)와의 차이점만 설명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과의 마찰력을 저감하는데 유효한 또 다른 수법으로서,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망상(網狀)의 경사벽(124)으로 구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망의 격자 간격은, 당해 메달M의 직경 방향 치수보다 충분히 작다.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이 망상의 경사벽(124)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과의 접촉 면적이 저감되어, 마찰 저항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E) 메달 투입 기구(100)의 변형예 5
전술한 일 실시예에 대한 변경예 5를,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변경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전술한 메달 투입 기구(100)와의 차이점만 설명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의 실시예에서는, 각 경사벽은, 경사벽 상부 영역과 경사벽 하부 영역으로 구성되고, 경사벽 상부 영역과 경사벽 하부 영역의 경계를 따라,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단차부가 형성된다. 당해 단차부는, 메달 투입구와는 반대 측에 위치하는 경사벽 상부 영역의 측부로부터 당해 메달 투입구까지 연재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즉, 단차부는 경사벽의 전역에 걸쳐 연재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본 변경예 5에 의하면, 단차부는, 메달 투입구와는 반대 측에 위치하는 경사벽 상부 영역의 측부로부터 메달 단체의 직경 방향 치수 이상의 거리만큼 이간한 내측 위치로부터 당해 메달 투입구까지 연재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차부를, 경사벽 상부 영역의 측부로부터 메달 단체의 직경 방향 치수 이상의 거리만큼 이간한 내측 위치로부터 연재시키는 것으로, 단차부가 형성되지 않는 경사 평면부를 통하여 메달을 경사벽 상부 영역까지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9를 참조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 경사벽은,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과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과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으로 이루어진다. 제2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제2 단차부(114)는,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경계를 따라 형성된다.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은 한 개의 평면을 형성하고,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경계에는 단차는 형성되지 않는다.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은,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으로 구성되는 한 개의 평면 상에 설치된 대체로 쐐기 형상의 평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대체로 쐐기 형상의 평판의 두께가, 전술한 단차부(114) 의 스텝의 폭에 상당하기 때문에, 당해 두께는, 전술한 제2 단차부(114)의 스텝의 폭에 기초하여 정한다. 나아가,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의 수평 방향 치수는, 메달M의 직경 방향 치수보다 큰 것이, 메달M이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을 통하여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게임 플레이어는, 메달M을 손가락으로 밀면서 저류부(101)로부터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을 통하여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으로 이동시키고,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의 상방의 위치까지 더 이동시킨다. 이 위치에서, 게임 플레이어가 메달M을 손에서 떼는 것으로, 메달M은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지고, 대체로 쐐기 형상의 평판의 상변(上邊)으로 구성되는 제2 단차부(114)에서 계지된다. 그 다음은,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메달M은 제2 단차부(114)를 따라 제2 메달 투입구(109-1)로 슬라이드 전입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의 경계에는 단차는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메달M을 제2 단차부(114)를 넘는 일 없이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을, 대체로 쐐기 형상의 평판에 대신하여, 대체로 쐐기 형상의 두께가 변화하는 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대체로 쐐기 형상의 상변 측은, 전술한 제2 단차부(114)의 스텝의 폭에 상당하는 두께를 가지게 하고, 한편 대체로 쐐기 형상의 하변(下邊) 측에 가까워지는 것에 따라 점차 두께를 감소시켜, 대체로 쐐기 형상의 하변 측에서는 두께를 실질적으로 0으로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 의 하변 측에서 단차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게임 플레이어는, 메달M을 손가락으로 밀면서 저류부(101)로부터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을 통하여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으로 이동시켜도 무방하고,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의 하변 측에 단차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당해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을 통하여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으로 이동시켜도 무방하다. 메달M을 당해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의 상방의 위치까지 이동시켜, 이 위치에서, 게임 플레이어가 메달M을 손에서 떼는 것으로, 메달M은,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을 미끄러져 떨어지고, 대체로 쐐기 형상의 평판의 상변으로 구성되는 제2 단차부(114)에서 계지된다. 그 다음은,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메달M은 제2 단차부(114)를 따라 제2 메달 투입구(109-1)로 슬라이드 전입한다.
(1-2-2) 메달 투입 기구(100A)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다른 메달 투입 기구를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하는 메달 투입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에 도시하는 메달 투입 기구의 상면도이다. 도 23은 도 20에 도시하는 메달 투입 기구의 배면도이다.
메달 투입 기구(130)는, 상 수평 영역(24)과, 당해 상 수평 영역(24)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경사 영역(25)과 제2 경사 영역(26)과, 당해 제1 경사 영역(25)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하 수평 영역(27)과, 당해 제2 경사 영역(26)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하 수평 영역(28)을 포함한다. 메달 투입 기구(130)는, 복수의 메달을 저 류하는 상 저류부(131)를 포함한다. 당해 상 저류부(131)는, 메달 투입 기구(130)의 상 수평 영역(24)을 구성한다. 메달 투입 기구(130)는, 복수의 메달을 저류하는 제1 하 저류부(144)를 포함한다. 당해 제1 하 저류부(144)는 메달 투입 기구(130)의 제1 하 수평 영역(27)을 구성한다. 메달 투입 기구(130)는 복수의 메달을 저류하는 제2 하 저류부(145)를 포함한다. 당해 제2 하 저류부(145)는, 메달 투입 기구(130)의 제2 하 수평 영역(28)을 구성한다.
메달 투입 기구(130)는, 나아가, 상 저류부(131)의 제1 측부에 접하는 제1 경계 영역(132)으로부터 연속적으로 하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는 제1 경사벽을 포함한다. 당해 제1 경사벽은 제1 경사 영역(25)을 형성한다. 당해 제1 경사벽은,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으로 구성된다. 제1 경계 영역(132)은 곡면으로 구성된다.
메달 투입 기구(130)는, 나아가, 전술의 제1 측부와 반대 측에 위치하는 상 저류부(131)의 제2 측부에 접하는 제2 경계 영역(133)으로부터 연속적으로 하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는 제2 경사벽을 포함한다. 당해 제2 경사벽은 제2 경사 영역(26)을 형성한다. 당해 제2 경사벽은,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으로 구성된다. 제2 경계 영역(133)은 곡면으로 구성된다.
메달 투입 기구(130)는, 나아가,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의 외측부에 접하는 제3 경계 영역(142)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1 하 저류부(144)를 포함한다. 당해 제1 하 저류부(144)는 제1 하 수평 영역(27)을 형성한다.
메달 투입 기구(130)는, 나아가,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의 외측부에 접하는 제4 경계 영역(143)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2 하 저류부(145)를 포함한다. 당해 제2 하 저류부(145)는 제2 하 수평 영역(28)을 형성한다.
메달 투입 기구(130)는, 나아가, 제1 경사벽에 근접하는 위치에 제1 메달 투입구(138-1)를 가지는 제1 메달 투입부(138)와, 제2 경사벽에 근접하는 위치에 제2 메달 투입구(139-1)를 가지는 제2 메달 투입부(139)를 가진다. 제1 경계 영역(132)과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과 제1 메달 투입부(138)와 제3 경계 영역(142)은, 메달 투입 기구(130)의 제1 경사 영역(25)을 형성한다. 제2 경계 영역(133)과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과 제2 메달 투입부(139)와 제4 경계 영역(143)은, 메달 투입 기구(130)의 제2 경사 영역(26)을 형성한다.
제1 메달 투입부(138)는, 나아가, 제1 취부 플랜지(146)를 가지고, 당해 제1 취부 플랜지(146)는, 제3 경계 영역(142)의 일부로부터 제1 하 저류부(144)의 일부에 걸쳐 연재한다. 제2 메달 투입부(139)는, 나아가, 제2 취부 플랜지(147)를 가지고, 당해 제2 취부 플랜지(147)는, 제4 경계 영역(143)의 일부로부터 제2 하 저류부(145)의 일부에 걸쳐 연재한다. 제1 하 저류부(144) 상에 연재하는 제1 취부 플랜지(146)와 제2 하 저류부(145) 상에 연재하는 제2 취부 플랜지(147)는,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게 라운드된 각부를 가진다. 제1 취부 플랜지(146)와 제2 취부 플랜지(147)는, 메달M을 저류하는 메달 저류 영역을 제1 하 저류부(144) 상 및 제2 하 저류부(145) 상에 획정한다. 상 저류부(131)의 메달 공급 측(152)으로부터 메달M이 공급된다. 제1 하 저류부(144)에는, 메달M이 넘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메달 구속 플레이트(148)와, 인접하는 메달 투입 기구에 저류하는 메달M과 격리하기 위한 제1 하 저류부 칸막이부(150)가 설치된다. 제2 하 저류부(145)에는, 메달M이 넘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메달 구속 플레이트(149)와, 인접하는 메달 투입 기구에 저류하는 메달M과 격리하기 위한 제2 하 저류부 칸막이부(151)가 설치된다. 나아가, 도시하지 않지만, 상 저류부(131)의 가장 앞쪽에 메달M이 넘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메달 구속 플레이트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의 경계에는 제1 가이드부(113)가 형성된다. 당해 제1 가이드부(113)는,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메달을 계지하고, 당해 제1 가이드부를 따라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로 슬라이드 전입시키도록 구성한다. 당해 제1 가이드부(113)는,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의 경계에 형성된 제1 단차(113)로 구성한다. 제1 단차(113)는,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로 향하여 직선적으로 하강하면서 연재한다.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은, 당해 제1 가이드부(113)를 따라 슬라이드 전입하는 메달M과의 마찰을 저감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한 개의 돌기부를 가진다. 즉,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은, 당해 제1 가이드부(113)로부터 메달M의 직경보다 작은 거리만큼 상방으로 이간하여, 당해 제1 가이드부(113)가 연재하는 방향과 대체로 평행하게 연재하는 적어도 한 개의 능선 형상 돌기부(140)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40)를 형성한다.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의 경계에는 제2 가이드부(114)가 형성된다. 당해 제2 가이드부(114)는, 당해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메달을 계지하고, 당해 제2 가이드부를 따라 당해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슬라이드 전입시키도록 구성한다. 당해 제2 가이드부(114)는, 당해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의 경계에 형성된 제2 단차(114)로 구성한다. 제2 단차(114)는, 당해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향하여 직선적으로 하강하면서 연재한다. 당해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은, 당해 제2 가이드부(114)를 따라 슬라이드 전입하는 메달M과의 마찰을 저감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한 개의 돌기부를 가진다. 즉, 당해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은, 당해 제2 가이드부(114)로부터 메달M의 직경보다 작은 거리만큼 상방으로 이간하여, 당해 제2 가이드부(114)가 연재하는 방향과 대체로 평행하게 연재하는 적어도 한 개의 능선 형상 돌기부(141)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41)를 형성한다.
당해 상 저류부(131), 제1 경계 영역(132), 제2 경계 영역(133),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 제3 경계 영역(142), 제4 경계 영역(143), 제1 하 저류부(144) 및 제2 하 저류부(145)는, 동일 부재로 구성하면, 메달M이 가동하는 영역에는 이음매가 없어져 저항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당해 제1 메달 투입부(138)의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당해 제2 메달 투입부(139)의 당해 제2 메달 투입구(139-1)는, 당해 메달M이 동시에 한 개만 들어가는 것이 가능한 치수를 가진다. 복수의 당해 메달M이 동시에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혹은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들어간 경우, 당해 제1 메달 투입부(138) 혹은 당해 제2 메달 투입부(139)에 당해 메달M이 막혀 버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메달 투입 기구(130)는 당해 제1 및 제2 측부의 중간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대체로 대칭적인 형상 및 구조를 가진다.
제1 메달 투입부(138)와 제2 메달 투입부(139)는, 도 14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1 메달 투입부(108) 및 제2 메달 투입부(109)와 동일 구조이기 때문에, 그들의 내부 구조의 설명은 생략한다.
게임 플레이어는, 당해 상 저류부(131)에 저류하고 있는 메달M을, 당해 상 저류부(131)로부터 연속적으로 하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는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의 상부 영역까지 이동시켜, 당해 메달M로부터 손을 떼면, 중력에 의하여 당해 메달M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져, 제1 가이드부(113)를 구성하는 제1 단차부(113)와 제2 가이드부(114)를 구성하는 제2 단차부(114)에 계지된다. 그리고 제1 단차부(113)와 제2 단차부(114)는, 상기 메달M을 중력에 의하여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슬라이드 전입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게임 플레이어는, 당해 메달M을 당해 상 저류부(131)로부터 연속적으로 하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는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의 상부 영역까지 이동시키고, 다음은, 당해 메달M로부터 손을 떼면, 중력에 의하여 당해 메달M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져, 제1 단차부(113)와 제2 단차부(114)에 계지되고, 그 후, 당해 메달M은, 제1 단차부(113)와 제2 단차부(114)를 따라 제1 투입부의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까지 중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전입한다. 당해 메달M이 제1 단차부(113)와 제2 단차부(114)를 따라 구르면, 당해 메달M은,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에 대하여 슬라이드하게 된다. 즉, 게임 플레이어는, 당해 메달M을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의 상부 영역까지 이동시켜, 손을 떼면 되어, 종래와 같이 당해 메달M을 당해 상 저류부(131)로부터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까지 옮길 필요가 없다. 즉, 중력을 잘 이용하여 게임 플레이어의 손의 움직임을 편하게 하고 있다.
나아가, 당해 메달M이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에 계지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 경우, 당해 메달M은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를 넘어 당해 제1 및 제2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지고, 당해 제1 및 제2 하 저류부(144, 145)에 이르러, 여기에 저류된다. 당해 제1 및 제2 하 저류부(144, 145)에 저류된 당해 게임 매체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게임 플레이어는, 당해 제1 및 제2 하 저류부(144, 145)에 저류된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및 제2 경사벽을 따라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고, 그 후, 당해 메달M로부터 손을 떼면, 중력에 의 하여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져,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에 계지되고, 그 후, 당해 메달M은,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를 따라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중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전입한다. 이 메커니즘은, 전술의 제1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같다.
이 때문에, 게임 플레이어가 연속하여 장시간 메달M을 계속 투입하여도, 게임 플레이어가 느끼는 피로를 큰 폭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메달M의 투입에 거의 신경을 쓰지 않기 때문에, 게임 그 자체에 집중할 수 있어 게임을 충분히 즐길 수 있다.
또한, 게임 플레이어는, 당해 메달M을 당해 상 저류부(131)로부터 연속적으로 하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는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의 상부 영역까지 이동시키고, 다음은, 당해 메달M로부터 손을 떼면, 중력에 의하여 당해 메달M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져,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에 계지되고, 그 후, 당해 메달M은,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를 따라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중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전입한다. 나아가, 게임 플레이어는,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에 계지되지 않고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을 미끄러져 떨어져 당해 제1 하 저류부(144) 및 제2 하 저류부(145)에 류부된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및 제2 경사벽을 따라 미끄러져 올라가게 한 다음은, 당해 메달M로부 터 손을 떼면, 중력에 의하여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져,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에 계지되고, 그 후, 당해 메달M은,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를 따라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중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전입한다. 즉, 메달M의 투입을 자동화하지 않고, 게임 플레이어가 연속하여 장시간 메달M을 계속 투입하여도, 게임 플레이어가 느끼는 피로를 큰 폭으로 저감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게임 플레이어 자신이 게임을 하고 있는 실감을 가지면서, 게임 플레이어를 연속하여 장시간 충분히 매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당해 제1 단차부(113)와 제2 단차부(114)는,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중력에 의하여 미끄러져 떨어지는 메달M을 계지하는 기능과, 당해 제1 단차부(113)와 제2 단차부(114)를 따라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중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전입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면 된다. 그러나 당해 제1 및 제2 하 저류부(144, 145)에 저류된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가이드부(113) 즉 제1 단차부(113)와 제2 가이드부(114) 즉 제2 단차부(114)보다 위의 위치까지 미끄러져 올라가게 할 필요가 있어, 이 때문에, 당해 메달M을 미끄러져 올라가게 할 때, 당해 제1 가이드부(113) 즉 제1 단차부(113)와 제2 가이드부(114) 즉 제2 단차부(114)의 존재가 방해가 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고려하면, 당해 제1 가이드부(113)가 제1 단차부(113)로 구성되고, 제2 가이드부(114)가 제2 단차부(114)로 구성되는 것은 의의가 있다. 단, 당해 제1 및 제2 단차(113, 114)의 스텝면은 위를 향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 것에 의하여,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단차(113) 및 당해 제2 단차(114)를 넘어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또한, 일단 미끄러져 올라간 당해 메달M이 게임 플레이어의 손을 떠나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져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에서 계지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이 아래를 향한 경우,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따라 미끄러져 올라가는 당해 메달M을 저지하고, 또한, 메달M을 계지하면서,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중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전입시킬 수 없다.
당해 제1 단차(113)는,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을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보다 두껍게 구성하는 것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당해 제2 단차(114)는,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을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보다 두껍게 구성하는 것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은, 상하 쌍방의 영역에 이르는 제1 평판과, 당해 아래 영역으로만 연재하는 제2 평판을 조합한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은, 상하 쌍방의 영역에 이르는 제1 평판 중 당해 아래 영역만을 얇게 가공하여도 무방하다. 결국,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기존의 기술을 이용하여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연재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의하여 계지된 메달M을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중력에 의하여 굴려 유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향하여 하강하도록 연재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향하여 직선적으로 하강하는 구성으로 한다. 그러나 변경예로서,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향하여 곡선적으로 하강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나아가서는, 직선과 곡선의 조합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어느 위치에서 메달M을 계지하였다고 하여도,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향하여 중력에 의하여 굴려 유도하는데 최저한 필요한 경사 각도를 가진다.
나아가,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당해 메달M을 중력에 의하여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슬라이드 전입시키도록 종단시킬 필요가 있다.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종단부를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에 근접시킨다. 변경예로서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종단부가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에 접하지 않고, 간극을 가지고 있어도,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를 구른 당해 메달M이 최종적으로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에 굴러 들어가면 된다. 이를 위해서는, 당해 제1 메달 투입부(108)의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당해 제2 투입부(109)의 제2 메달 투입구(139-1)는,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에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 바꾸어 말하면,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크기는,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에서 계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결정된다.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최소한 필요한 크기는,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의 경사 각도와 당해 메달M의 두께에 의존한다. 예를 들면,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의 경사 각도가 큰 경우,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의 경사 각도가 작은 경우에 비교하여,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은 보다 커질 것이다.
나아가, 당해 메달M의 두께와 비교하여,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이 너무 작으면,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당해 메달M을 계지하지 못하고, 당해 메달M은,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를 넘어 당해 제1 하 저류부(144) 및 제2 하 저류부(145)까지 미끄러져 떨어져 버려,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투입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당해 메달M의 두께와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의 경사 각도를 고려하여,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당해 메달M을 계지할 수 있는 최저한의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 이 필요하다.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을 당해 메달M의 두께보다 크게 하면,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당해 메달M을 계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을 당해 메달M의 두께의 2배보다 크게 하면,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2매가 겹친 당해 메달M을 동시에 계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을 너무 크게 하면,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를 넘어 미끄러져 올라가게 할 때에,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서 당해 메달M이 넘어져 버리거나 하여, 당해 메달M이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를 잘 구르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달M의 주변부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이 아니라, 모서리가 둥그스름함(R)을 띠고 있는 경우, 이 둥그스름함을 띠고 있는 부분의 두께 R 이상인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 W2가 있으면, 당해 메달M을 계지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져 온 당해 메달M이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접촉하였을 때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계지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론상 최저한 필요한 폭 W2보다도 크게,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을 설계한다. 나아가,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져 온, 서로 겹친 상태의 2매의 메달M을 동시에 계지하려면, 이론상은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달M 단체의 두께와 둥그스름함을 띠고 있는 부분의 두께 R의 합 이상의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 W1이 있으면, 당해 2매가 겹친 메달M을 계지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져 온 당해 2매가 겹친 메달M이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접촉하였을 때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당해 2매가 겹친 메달M 중 위에 겹쳐진 쪽의 메달M은,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계지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당해 2매가 겹친 메달M의 쌍방 모두 계지하려면, 이론상 최저한 필요한 폭 W1보다도 크게,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스텝면의 폭을 설계한다.
이 관점으로부터, 메달M을 단체로 계지하려면,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폭을 당해 게임 매체 단체의 두께에 대체로 상당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대체로」란, 둥그스름함을 띠고 있는 부분의 두께 R에 상당하는 오차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나아가,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각도는, 당해 제1 경사벽에 대하여 직각 혹은 예각이 바람직하다. 당해 제1 단차의 스텝면의 각도가, 당해 제1 경사벽에 대하여 둔각인 경우, 당해 제1 경사벽을 미끄러져 떨어져 온 당해 게임 매체가 당해 제1 단차에 계지되지 않고 미끄러져 떨어져 버릴 가능성이 높다.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의 경사각이 큰 경우, 즉,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이 수직에 가까운 경우,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하 저류부(144)로부터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당해 제2 하 저류부(145)로부터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반대로,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의 경사각이 작은 경우, 즉,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이 평탄에 가까운 경우,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하 저류부(144)로부터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당해 제2 하 저류부(145)로부터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는 것은 용이하지만, 게임 플레이어가 당해 메달M로부터 손을 뗀 후,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과의 마찰력이 커지기 때문에, 당해 메달M이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미끄러져 떨어지기 어려워지는 것과 함께, 당해 메달M이 중력에 의하여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를 따라 구르면서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슬라이드할 때의 마찰력이 크기 때문에, 도중에 멈추어 버려, 상기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까지 도달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의 경사각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수직에 너무 가깝지 않고 또한 수평에도 너무 가깝지 않 은 각도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의 경사각은, 20도 이상 70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30도 이상 60도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과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의 경사각은 전형적으로는 약 45도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당해 제1 하 저류부(144) 및 제2 하 저류부(145)에 저류하는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 및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으로 가능한 한 저항을 적게 미끄러져 올라가게 하려면, 제3 경계 영역(142) 및 제4 경계 영역(143)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곡면의 바람직한 곡률은 당해 메달M의 직경 방향 치수에 의존하지만, 대체로 당해 곡면의 곡률 반경이 당해 메달M의 직경 방향 치수보다 충분히 크면 된다. 바람직한 곡률은, 경험적으로 간단하게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과 당해 메달M과의 마찰 저항은 가능한 한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마찰 저항을 저감하기 위하여, 제1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40) 및 제2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41)가 유효하다. 당해 메달M은 대체로 원반 형상을 가진다. 나아가,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이 평평한 표면을 가지는 경우, 당해 메달M의 측면의 전 영역이,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의 평평한 표면과 접촉한다.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 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과의 마찰력을 저감하려면,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과의 접촉 면적을 저감하는 것이 유효하다. 접촉 면적을 저감하기 위하여, 제1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40) 및 제2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41)가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당해 제1 가이드부(113) 즉 제1 단차부(113)와 제2 가이드부(114) 즉 제2 단차부(114)를 구르는 당해 메달M은, 제1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40) 및 제2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41)와 접촉하면서 슬라이드한다. 이 때문에,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과의 접촉 면적이 저감되어, 마찰 저항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마찰 저항 저감을 목적으로 하여 적어도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의 표면을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표면만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하여도 무방하고, 또한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의 전체를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에 더하여,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 제2 경사벽 하부 영역(137), 제1 경계 영역(132), 제2 경계 영역(133), 제3 경계 영역(142), 제4 경계 영역(143), 및 상 저류부(131), 제1 하 저류부(144) 및 제2 하 저류부(145)의 표면 혹은 전체를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의 전형예로서 테플론(등록 상표)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나 함유 소결 금속(상품예:오일레스 메탈 플레이트)을 들 수 있지만, 반드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의 표면을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하는 대신에, 마찰 저항 저감 목적으로 설치한 제1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40) 및 제2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41)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130)는, 복수의 메달을 저류하는 상 저류부(131)를 포함한다. 당해 상 저류부(131)는 메달 투입 기구(130)의 상 수평 영역(24)을 구성한다. 메달 투입 기구(130)는, 복수의 메달을 저류하는 제1 하 저류부(144)를 포함한다. 당해 제1 하 저류부(144)는 메달 투입 기구(130)의 제1 하 수평 영역(27)을 구성한다. 메달 투입 기구(130)는, 복수의 메달을 저류하는 제2 하 저류부(145)를 포함한다. 당해 제2 하 저류부(145)는 메달 투입 기구(130)의 제2 하 수평 영역(28)을 구성한다.
메달 투입 기구(130)는, 나아가, 상 저류부(131)의 제1 측부에 접하는 제1 경계 영역(132)으로부터 연속적으로 하방향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는 제1 경사벽을 포함한다. 당해 제1 경사벽은 제1 경사 영역(25)을 형성한다. 당해 제1 경사벽은,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3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으로 구성된다. 당해 제1 경사벽 및 당해 제2 경사벽은, 게임 매체로서의 메달이 미끄러져 올라가는 것 및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이 가능하면 되기 때문에, 반드시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 평면으로 구성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당해 제1 경사벽 및 당해 제2 경사벽은, 경사 각도가 변화하는 경사 곡면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게임 매체로서의 메달M을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슬라이드 전입시키기 위한 가이드부는,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향하여 각각 직선적으로 하강 경사하도록 연재한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로 구성하였다. 그렇지만,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계지된 메달이 중력에 의하여 제1 메달 투입구(108-1) 및 제2 메달 투입구(109-1)까지 슬라이드 전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려면,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반드시 직선적으로 하강 경사하도록 연재할 필요가 없다. 즉,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계지된 메달이 중력에 의하여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까지 슬라이드 전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려면,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향하여 총체적으로 하강하고 있으면 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에 위치하는 메달M의 포텐셜 에너지보다도,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에 계지되는 메달M의 포텐셜 에너지 쪽이 총체적으로 보아 높으면 된다. 예를 들면,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도중에 상승부가 있어도, 메달M의 운동 에너지 쪽이 당해 상승부의 포텐셜 에너지와 마찰 에너지의 합보다 큰 경우, 메달M은 지금까지의 전동의 기세로 당해 상승부를 올라 제1 투입구로 전입한다. 또한,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의 도중에 상승부가 있고, 메달M의 운동 에너지 쪽이 당해 상승부의 포텐셜 에너지와 마찰 에너지의 합보다 작은 경우라도, 메달M은 나중에 전동하여 온 메달M에 밀려 당해 상승부를 올라 제1 투입구로 전입하는 것이 가 능하면 문제없다. 또한, 당해 제1 단차(113) 및 제2 단차(114)는, 제1 메달 투입구(138-1) 및 제2 메달 투입구(139-1)로 향하여 계단상으로 하강하도록 연재하여도 무방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메달 투입 기구(130)에 의하면, 게임 플레이어가 연속하여 장시간 게임 매체를 계속 투입하여도, 게임 플레이어가 느끼는 피로를 큰 폭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게임 매체의 투입에 거의 신경을 쓰지 않기 때문에, 게임 그 자체에 집중할 수 있어 게임을 충분히 즐길 수 있다.
(A) 메달 투입 기구(100A)의 변형예 1
전술한 메달 투입 기구(100A)에 대한 변경예 1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본 변경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전술한 메달 투입 기구(100A)와의 차이점만 설명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의 제1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15) 및 제2 복수의 능선 형상 돌기부(116)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에 형성하는 것에 대신하여,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에, 점재하는 복수의 돌기(153)를 형성하는 것은, 당해 메달M과의 접촉 면적을 저감하고, 나아가서는 당해 메달M과의 마찰 저항을 저감하는 데에는 유효하다. 여기서, 인접하는 돌기(153)의 간격은, 당해 메달M의 직경 방향 치수보다 충분히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복수의 돌기(153)는, 일정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점재하는 것 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를 구르는 당해 메달M은, 당해 점재하는 복수의 돌기(153)와 접촉하면서 슬라이드한다. 이 때문에,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과의 접촉 면적이 저감되어, 마찰 저항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해 복수의 돌기(153)는, 마찰력 저감의 관점으로부터, 그 정부가 라운드 가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B) 메달 투입 기구(100A)의 변형예 2
전술한 메달 투입 기구(100A)에 대한 변경예 2를,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본 변경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전술한 메달 투입 기구(100A)와의 차이점만 설명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과의 마찰력을 저감하는데, 진동 모터(154)를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의 각각의 이측에 설치하고,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에 미소 진동을 부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유효하다.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에 미소 진동을 부여하는 것으로,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이 밀착하는 것을 방지하고, 결과적으로,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과의 실효적인 접촉 면적을 저감하여, 마찰 저항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에 부여하는 진동이 너무 커서, 당해 메달M이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를 따라 구를 때에 불안정하게 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너무 큰 진동은, 게임 플레이어에게도 불쾌감을 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C) 메달 투입 기구(100A)의 변형예 3
전술한 메달 투입 기구(100A)에 대한 변경예 3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본 변경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전술한 메달 투입 기구(100A)와의 차이점만 설명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과의 마찰력을 저감하는데,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이, 점재하는 복수의 통풍 구멍(155)을 가지고, 또한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의 각각의 이측에 송풍 팬(156)을 설치한다.
당해 복수의 통풍 구멍(155)을 통하여 송풍하는 것으로, 당해 메달M을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으로부터 띄우는 방향의 부력을 당해 메달M에 부여하여,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과의 접촉력을 저감하고, 결과적으로,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과의 마찰력을 저감한다. 여기서, 인접하는 통풍 구멍(155)의 간격은, 당해 메달M의 직경 방향 치수보다 충분히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통풍 구멍(155)은, 일정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점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송풍 팬(156)은,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의 이측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실 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를 구르는 당해 메달M은, 당해 점재하는 복수의 통풍 구멍(155)을 통하는 송풍에 의하여 부여되는 부력에 의하여,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과의 접촉력이 저감된 상태로, 당해 메달M이 당해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114)를 따라 구르기 때문에, 마찰 저항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 메달 투입 기구(100A)의 변형예 4
전술한 메달 투입 기구(100A)에 대한 변경예 4를,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7은 본 변경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전술한 메달 투입 기구(100A)와의 차이점만 설명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및 제2 경사벽과의 마찰력을 저감하는데 유효한 또 다른 수법으로서,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을 망상의 경사벽(157)으로 구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망의 격자 간격은, 당해 메달M의 직경 방향 치수보다 충분히 작다.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이 망상의 경사벽(157)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당해 메달M과 당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 및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35)과의 접촉 면적이 저감되어, 마찰 저항을 유효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E) 메달 투입 기구(100A)의 변형예 5
전술한 메달 투입 기구(100A)에 대한 변경예 5를,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8은 본 변경예에 관련되는 메달 투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전술한 메달 투입 기구(100A)와의 차이점만 설명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의 실시예에서는, 각 경사벽은 경사벽 상부 영역과 경사벽 하부 영역으로 구성되고, 경사벽 상부 영역과 경사벽 하부 영역의 경계를 따라,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단차부가 형성된다. 당해 단차부는, 메달 투입구와는 반대 측에 위치하는 경사벽 상부 영역의 측부로부터 당해 메달 투입구까지 연재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즉, 단차부는 경사벽의 전역에 걸쳐 연재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본 변경예 5에 의하면, 단차부는, 메달 투입구와는 반대 측에 위치하는 경사벽 상부 영역의 측부로부터 메달 단체의 직경 방향 치수 이상의 거리만큼 이간한 내측 위치로부터 당해 메달 투입구까지 연재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차부를, 경사벽 상부 영역의 측부로부터 메달 단체의 직경 방향 치수 이상의 거리만큼 이간한 내측 위치로부터 연재시키는 것으로, 단차부가 형성되지 않는 경사 평면부를 통하여 메달을 경사벽 상부 영역까지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8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경사벽은,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과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과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으로 이루어진다. 제2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제1 단차부(113)는,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의 경계를 따라 형성된다.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은 한 개의 평면을 형성하고, 제4 경사벽 하부 영 역(12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의 경계에는 단차는 형성되지 않는다.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은,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으로 구성되는 한 개의 평면 상에 설치된 대체로 쐐기 형상의 평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대체로 쐐기 형상의 평판의 두께가, 전술한 단차부(113)의 스텝의 폭에 상당하기 때문에, 당해 두께는, 전술한 제1 단차부(113)의 스텝의 폭에 기초하여 정한다. 나아가,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의 수평 방향 치수는, 메달M의 직경 방향 치수보다 큰 것이, 메달M이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을 통하여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게임 플레이어는, 메달M을 손가락으로 밀면서 제1 하 저류부(144)로부터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을 통하여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으로 이동시키고,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의 상방의 위치까지 한층 더 이동시킨다. 이 위치에서, 게임 플레이어가 메달M을 손에서 떼는 것으로, 메달M은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을 미끄러져 떨어지고, 대체로 쐐기 형상의 평판의 상변으로 구성되는 제1 단차부(113)에서 계지된다. 그 다음은,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메달M은 제1 단차부(113)를 따라 제1 메달 투입구(138-1)로 슬라이드 전입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과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의 경계에는 단차는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메달M을 제1 단차부(113)를 넘는 일 없이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을, 대체로 쐐기 형상의 평판에 대신하여, 대체로 쐐기 형상의, 두께가 변화하는 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대 체로 쐐기 형상의 상변 측은, 전술한 제1 단차부(113)의 스텝의 폭에 상당하는 두께를 가지게 하고, 한편 대체로 쐐기 형상의 하변 측에 가까워지는 것에 따라 점차 두께를 감소시켜, 대체로 쐐기 형상의 하변 측에서는 두께를 실질적으로 0으로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의 하변 측에서 단차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게임 플레이어는, 메달M을 손가락으로 밀면서 제1 하 저류부(144)로부터 제4 경사벽 하부 영역(126)을 통하여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으로 이동시켜도 무방하고,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의 하변 측에 단차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당해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을 통하여 제2 경사벽 상부 영역(107)으로 이동시켜도 무방하다. 메달M을 당해 제3 경사벽 하부 영역(125)의 상방의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이 위치에서, 게임 플레이어가 메달M을 손에서 떼는 것으로, 메달M은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34)을 미끄러져 떨어져, 대체로 쐐기 형상의 평판의 상변으로 구성되는 제1 단차부(113)에서 계지된다. 그 다음은,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메달M은 제1 단차부(113)를 따라 제1 메달 투입구(138-1)로 슬라이드 전입한다.
(1-3) 메달 이동 모의 연출부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메달 이동 의사 연출부(900)의 구성을 설명한다.
(1-3-1) 메달 이동 모의 연출부의 구성
도 30은 본 실시예에 의한 메달 이동 모의 연출부(90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1은 메달 이동 모의 연출부(900)와, 이것의 주변부와의 전기적인 접속 관계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우선,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달 이동 모의 연출부(900)는, 가늘고 긴 봉상의 지지 부재(910)와, 이 지지 부재(910)의 긴쪽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간하여 배열된 복수의 LED(발광부, 920a ~ 920n)(이하, 임의의 LED의 부호를 920으로 한다)와, LED를 구동하기 위한 LED 구동 회로(930)를 가진다. 덧붙여, LED(920)에 대신하여 다른 발광 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 부재(910)는, 예를 들면 안에 공동(空洞)을 가지는 스틸제의 봉상 부재이다. 봉상 부재를 이용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메달 투입 기구(100) 근방으로부터 메달 배출부(330) 근방까지 LED를 배열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예에서는, 지지 부재(910)를 직선 형상의 봉상 부재로 한다. 덧붙여, 지지 부재(910)의 단면은, 정방형이어도 장방형이어도, 그 외의 다각형이어도, 원형 또는 타원형과 같은 둥그스름함을 띤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본 예에서는, 지지 부재(910)의 단면을 장방형으로 하고, 지지 부재(910)의 각 측면이 대략 비틀림이 없는 평면이라고 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지지 부재(910)의 어느 한 쪽의 측면에, 상술한 복수의 LED(920)가 소정 간격을 두고 직선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덧붙여, 복수의 LED(920)가 설치되는 측면은, 유기 시에 게임 플레이어에게 보이도록 배치되는 면이다.
이와 같이, LED(920)를 직선 형상의 봉상 부재인 지지 부재(910)에 배열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연속하여 점등하는 LED(920)의 빛에 의하여 직선 형상의 궤적이 그려지기 때문에, 스피드감이 있는 메달의 의사 이동을 연출할 수 있다. 덧붙여, 배열되는 LED(920)는, 모두 동일한 발광색(예를 들면 적색이나 청색이나 녹색 등)으로 하여도 무방하지만, 여러 가지의 발광색의 LED를 규칙적 또는 랜덤으로 조합하여 배열시켜도 무방하다.
지지 부재(910)는, 배열된 LED(920) 및 LED 구동 회로(930)가 설치된 상태로, 메달 투입 기구(100)(특히 제1 메달 투입구(108-1)) 근방과 메달 배출부(330) 근방의 사이에 교가(橋架)된다. 이때, 지지 부재(910)의 일방의 단이 메달 투입 기구(100)의 특히 후술하는 메달 투입구(108-1, 도 33 참조)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지지 부재(910)의 타방의 단이 메달 배출부(330)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메달 투입 기구(100) 근방으로부터 메달 배출부(330) 근방까지를 잇도록 LED(920)를 배열시킬 수 있다. 또한, 배열된 LED(920)를 순차 점등시키는 것으로, 메달이 메달 투입 기구(100)로부터 메달 배출부(330)까지 이동하는 의사적인 상태를 시각적으로 연출할 수 있다. 덧붙여, 지지 부재(910)의 공동에는, LED 구동 회로(930)와 LED(92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배선이 수납된다.
또한,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 구동 회로(930)는, 제1 제어부(6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 제어부(600)에는, 메달 투입 기구(100)에 설치된 메달 투입 센서(센서, 108-9)와, 리프트 업 호퍼(300)와, 메달 배출부(330)에 설치된 메달 배출 센서(332)의 각각과도,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덧붙여, 개개의 접속에는, 예를 들면 하네스 케이블 등의 배선을 이용할 수 있다.
메달 투입 센서(108-9)는, 메달 투입 기구(100)에 있어서의 메달 투입 구(108-1)로부터 투입된 메달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이 메달 투입 센서(108-9)는, 자기나 빛 등을 이용한 비접촉형이어도, 온/오프 스위치를 이용한 접촉형이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메달 투입 센서(108-9) 및 그 주변의 구성을, 도 3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게임 플레이어에 의하여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까지 들어 올려진 메달M은, 중력에 의하여, 제1 경사벽 하부 영역(104)을 구성하는 판 부재와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을 구성하는 판 부재의 단차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113)를 슬라이드 회전하면서, 메달 투입구(108-1)로 투입된다. 그 후, 메달M은, 제1 메달 가이드 플레이트(108-5)와 제2 메달 가이드 플레이트(108-6)와 제1 경사벽 상부 영역(106)을 구성하는 판 부재가 형성하는 메달 투입 경로(108-7)를 통과하여 메달 반송 경로(200, 도 2 참조)로 반송된다. 메달 투입 센서(108-9)는, 메달 투입구(108-1)로부터 메달 반송 경로(200)까지를 잇는 메달 투입 경로(108-7)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고, 이 부분을 메달M이 통과하는 것을 접촉 또는 비접촉에 의하여 검지한다. 또한, 메달 투입 센서(108-9)는, 메달M의 투입을 검지하면, 메달 투입 검지 신호(S1)를 생성하고, 이것을 제1 제어부(600, 도 2 참조)에 입력한다.
제1 제어부(600)는, 메달 투입 검지 신호(S1)가 입력된 타이밍에 기초하여, LED 구동 회로(930)를 구동하기 위한 LED 구동 회로 제어 신호(S2)를 생성하고, 이것을 LED 구동 회로(930)에 입력한다. 또한, LED 구동 회로(930)는, LED 구동 회로 제어 신호(S2)가 입력된 타이밍에 기초하여, LED(920a ~ 920n)를 순차 점등시킨다.
리프트 업 호퍼(300)는, 제1 제어부(600, 도 2 참조)로부터의 제어에 기초하여, 메달 배출부(330)에 세트되어 있는 메달M을 메달 배출 경로(400)로 배출한다. 덧붙여, 리프트 업 호퍼(300)의 제어에는, 제1 제어부(600)로부터 출력된 리프트 업 호퍼 구동 신호(S3)가 이용된다. 또한, 메달 배출 후, 메달 배출부(330)에는 신속하게 다음의 메달이 세트된다.
메달 배출 센서(332, 도 33 참조)는, 메달 배출부(330)로부터 메달M이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이며, 메달 투입 센서(108-9)와 마찬가지로, 자기나 빛 등을 이용한 비접촉형이어도, 온/오프 스위치를 이용한 접촉형이어도 무방하다. 이 메달 배출 센서(332)는, 메달 배출부(330)의 배출구(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되어 있고,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메달M을 접촉 또는 비접촉에 의하여 검지한다. 또한, 메달 배출 센서(332)는, 메달M의 배출을 검지하면, 메달 배출 검지 신호(S4)를 생성하고, 이것을 제1 제어부(600, 도 2 참조)에 입력한다.
(1-3-2) 메달 이동 모의 연출부 및 그 주변부의 동작
다음으로, 도 31 내지 도 35를 이용하여, 메달 이동 모의 연출부(900) 및 그 주변부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3은 메달 투입으로부터 메달 배출까지의 메달의 흐름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는 메달 투입으로부터 메달 배출까지의 제1 제어부(600)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35는 메달 투입으로부터 메달 배출까지 메달 이동 모의 연출부(900)와 그 주변부와 제1 제어부(600)의 사이에서 입출력되는 신호의 파형도이다. 덧붙여, 주변부에는, 제1 제어부(600)와 메달 투입 센서(108-9)와 리프트 업 호퍼(300)와 메달 배출 센서(332)가 포함된다.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메달 투입구(108-1)에 투입된 메달M1은, 도 32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메달 투입 경로(108-7)를 경유하여 메달 반송 경로(200)로 진입한다. 덧붙여, 이 시점에서, 메달 배출부(330)에는 리프트 업 호퍼(300)의 메달 저류부(310)에 저류되어 있던 메달M2가 세트되어 있다. 메달 배출부(330)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메달을 저류하여 두기 위한 메달 저류부(310)를 설치하여 두는 것으로, 메달 투입 기구(100)로부터 투입된 메달M1과는 다른 메달M2를 메달 배출부(330)로부터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메달 투입 기구(100)와 메달 배출부(330)와의 위치 관계를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게임 장치(특히 스테이션부(ST))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한다. 또한, 메달 투입 기구(100)로부터 투입된 메달M1이, 배출되는 메달M2를 저류하는 메달 저류부(310)에 저류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메달 저류부(310)에 있어서의 메달의 들어가는 수와 나가는 수에 균형을 가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게임 도중에 메달을 메달 저류부(310)에 보충한다고 하는 노력을 절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메달 투입 경로(108-7)를 메달M1이 통과하면, 메달 투입 센서(108-9)는 이것을 검지한다. 또한, 메달 투입 센서(108-9)는,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달M1을 검지한 타이밍으로 메달 투입 검지 신호(S1)를 생성하고, 이것을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제어부(600)에 출력한다. 덧붙여, 메달 투입 기구(100)에 투입된 메달M1은,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달 반송 경로(200)를 통하여 리프트 업 호퍼(300)의 메달 저류부(310)로 반송되어, 이것에 저류된다.
또한,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제어부(600)는, 메달 투입 센 서(108-9)로부터 메달 투입 검지 신호(S1)가 입력되는 것을 대기하고 있다(스텝 S101). 메달 투입 센서(108-9)로부터 메달 투입 검지 신호(S1)가 입력되면(스텝 S101의 Yes), 제1 제어부(600)는,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소정 시간(도 35에 있어서의 제1 점등 오프셋 시간(t1))이 경과하는 것을 대기한 후(스텝 S102의 Yes), LED 구동 회로(930)를 구동하기 위한 LED 구동 회로 제어 신호(S2)를 생성하여(스텝 S103), 이것을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 구동 회로(930)에 출력한다(스텝 S104). 덧붙여, 제1 점등 오프셋 시간(t1)은, 메달M1이 메달 투입구(108-1)로부터 LED(920a)까지 가상적으로 이동할 때에 요하는 시간이다.
또한, 제1 제어부(600)는,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 구동 회로 제어 신호(S2)를 출력하기 시작하고 나서 제2 소정 시간(도 35에 있어서의 대기 시간(t5))이 경과하는 것을 대기한다(스텝 S105). 이 대기 시간(t5)은, 각 LED(920)를 점등시키는 시간을 LED 점등 시간(t2)으로 하고, 앞의 LED(920)를 소등 후, 다음의 LED(920)를 점등시킬 때까지의 시간을 LED 간 오프셋 시간(t3)으로 하며, 마지막의 LED(920n)를 점등 후, 메달M2를 배출시킬 때까지의 시간을 메달 배출 오프셋 시간(t4)으로 한 경우, 이하의 수학식 1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t5=t1+n×t2+(n-1)×t3+t4
덧붙여, 실제로는, LED 구동 회로 제어 신호(S2)가 출력되고 나서 최초의 LED 구동 신호(S920a)가 출력될 때까지의 사이에 다소의 타임랙(timelag)이 존재하지만, 제1 제어부(600)의 처리 속도나 LED 구동 회로(930)의 동작 속도와 비교하여 제1 점등 오프셋 시간(t1)이나 LED 점등 시간(t2) 등은 충분히 크기 때문에, 이 타임랙은 무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LED 구동 회로(930)는, LED 구동 회로 제어 신호(S2)가 입력되면,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메달 투입 기구(100)에 가장 가까운 LED(920a)를 구동하기 위한 LED 구동 신호(S920a)를 생성하고, 이것을 LED(920a)에 접속된 배선에 인가한다. 이것에 의하여, 우선 최초로 LED(920a)가 점등한다. 덧붙여, LED 구동 신호(S920a) 및 후술하는 LED 구동 신호(S920b ~ S920n)는 소정 시간(LED 점등 시간(t2)) 폭을 가지는 직사각형 신호이다. 따라서, 이들이 각각 인가되는 LED(920a ~ 920n)는, 이 소정 시간(LED 점등 시간(t2)) 폭의 기간, 각각 점등한다.
다음으로, LED 구동 회로(930)는,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달 투입 기구(100)에 다음으로 가까운 LED(920b)를 구동하기 위한 LED 구동 신호(S920b)를 생성하고, 이것을 LED(920b)에 접속된 배선에 인가한다. 이것에 의하여, 다음으로 LED(920b)가 점등한다. 덧붙여, LED 구동 신호(S920b)가 생성되는 타이밍은,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LED 구동 신호(S920a)의 하강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LED 간 오프셋 시간(t3))이 경과한 후로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후의 LED 구동 신호(S920c ~ S920n)를 각각 생성하는 타이밍은, 앞의 LED 구동 신호(S920b ~ S920n-1)의 하강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LED 간 오프셋 시간(t3))이 각각 경과한 후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점등 시간이 중복하지 않도록, 각 LED(920a ~ 920n)가 점등한다. 각 LED(920)의 점등 시간이 중복하지 않도록 동작하는 것으로, 메달의 의사적인 이동을 보다 클리어하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후, LED 구동 회로(930)는,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순차로, LED 구동 신호(S920c ~ S920n)를 생성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LED(920c ~ 920n)를 점등한다. 이것에 의하여, 메달 투입 기구(100) 측으로부터 메달 배출부(330) 측까지 순차로, 각 LED(920a ~ 920n)를 점등시킬 수 있다. 덧붙여, 제1 제어부(600) 및 LED 구동 회로(930)는, LED를 구동하기 위한 발광부 구동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한편, 제1 제어부(600)는,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소정 시간(대기 시간(t5)) 대기한 후(스텝 S105의 Yes),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프트 업 호퍼 구동 신호(S3)를 생성하고(스텝 S106), 이것을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프트 업 호퍼(300)에 출력한다(스텝 S107). 덧붙여, LED 구동 회로 제어 신호(S2)를 출력한 후, 리프트 업 호퍼 구동 신호(S3)를 출력하는 타이밍은, 마지막의 LED(920n)가 소등 후, 소정 시간 경과한 후로 된다. 즉, 제2 소정 시간(대기 시간(t5))의 기간의 종료는, 마지막의 LED(920n)가 소등한 후로 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제1 제어부(600)는,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프트 업 호퍼 구동 신호(S3)를 출력한 후(스텝 S107), 제3 소정 시간 중에 메달 배출 센서(332)로부터 메달 배출 검지 신호(S4)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8 ~ S109). 제1 제어부(600)는, 메달 배출 검지 신호(S4)가 입력되지 않고 제3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스텝 S108의 No 및 S109의 Yes), 메달M2가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않았을 때의 에러 처리를 실행하고(스텝 S110),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메달 배출 검지 신호(S4)가 제3 소정 시간 내에 입력된 경우(스텝 S108의 Yes), 스텝 S101로 귀환한다. 덧붙여, 에러 처리란, 예를 들면 다른 구성에 메달 막힘에 의한 에러가 발생한 것을 통지하는 처리나, 표시부(700)에 에러의 발생을 표시하는 처리 등이다.
이것에 대하여, 리프트 업 호퍼(300)는, 리프트 업 호퍼 구동 신호(S3)가 입력되면,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달 배출부(330)에 미리 세트하여 둔 메달M2를 메달 배출 경로(400)에 출력한다. 따라서, 이때에 배출되는 메달M2는, 게임 플레이어에 의하여 투입된 메달M1과 다른 메달로 된다. 덧붙여, 제1 제어부(600)는, 리프트 업 호퍼(300)에 있어서의 메달 배출부(330)를 구동하는 것으로 메달M2를 플레이 필드(500)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 구동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다만, 이 배출부 구동 수단에 리프트 업 호퍼(300)를 포함시켜도 무방하다.
리프트 업 호퍼(300)의 메달 배출부(330)로부터 배출된 메달M2는, 메달 배출 경로(400)를 통하여 플레이 필드(500)에 있어서의 푸셔부(510) 상의 서브 테이블(511)로 배출된다. 서브 테이블(511)로 배출된 메달M2는, 표시부(700)나 이것의 케이스 하부(710)에 충돌하고, 서브 테이블(511) 상에 저류되거나, 혹은 서브 테이블(511)로부터 낙하한다. 덧붙여, 상술한 바와 같이, 메달 배출부(330)에 있어서의 배출구에는, 메달 배출 센서(332)가 설치되어 있고, 이 메달 배출 센서(332)에 의하여 정상적으로 메달M2가 배출되었는지 여부가 검지된다. 메달 배출 센서(332)는, 메달M2의 배출을 검지하면, 메달 배출 검지 신호(S4)를 생성하고, 이것을 제1 제어부(600)에 입력한다.
이상과 같이, 게임 플레이어로부터 메달M1이 투입되었을 때, 메달 투입 기구(100) 측으로부터 메달 배출부(330) 측까지 LED(920a ~ 920n) 각각을 순차 점등 시킨 후, 메달 배출부(330)로부터 다른 메달M2를 배출하는 것으로, 마치 투입한 메달M1이 메달 배출 경로(400)로부터 배출되는 듯한 연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먼저 메달M1이 투입으로부터 메달M2가 배출될 때까지의 사이에, 다음의 메달M1이 투입된 경우, 이 다음의 메달M1을 검출하는 것으로 생성된 메달 투입 검지 신호(S1)가 무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메달 투입 검지 신호(S1)의 생성과 메달 배출 검지 신호(S4)의 생성을 상시 감시하는 카운터(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카운터는, 메달 투입 검지 신호(S1)가 생성된 경우에 카운트업하고, 메달 배출 검지 신호(S4)가 생성된 경우에 카운트다운하도록 동작한다. 그리고 카운터가 0이 될 때까지 제1 제어부(600)는 리프트 업 호퍼 구동 신호(S3)를 계속 보내도록 동작한다. 이것에 의하여, 메달M2가 배출될 때까지 다음의 메달M1이 연속하여 투입된 경우라도, 확실히 투입된 매수의 메달을 소정 시간 늦추어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33에 도시하는 메달 이동 모의 연출부(900)는, 메달 투입 검지 신호(S1)가 생성될 때마다 동작을 개시하여, 일련의 동작을 종료하기 전에 새로운 메달 투입 검지 신호(S1)가 생성되면 지금까지의 동작을 계속하면서 새로운 동작을 개시하도록 동작한다.
(1-3-3)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게임 장치(스테이션부(ST))는, 게임 매체인 메달M이 투입되는 메달 투입 기구(100)와, 메달 투입 기구(100)로 투입된 메달M을 검지하는 메달 투입 센서(108-9)와, 메달을 플레이 필드(500)로 배출하는 메 달 배출부(330)와, 메달 투입 기구(100) 근방으로부터 메달 배출부(330) 근방에 걸쳐 배열된 복수의 LED(920)와, 메달 투입 기구(100)로의 메달M의 투입이 메달 투입 센서(108-9)에 의하여 검지되었을 때, 배열된 복수의 LED(920)를 메달 투입 기구(100) 측으로부터 메달 배출부(330) 측에 걸쳐 순차 점등시키는 제1 제어부(600) 및 LED 구동 회로(930)를 가진다. 또한, 제1 제어부(600)는, 메달 투입 기구(100)로의 메달M의 투입이 메달 투입 센서(108-9)에 의하여 검지된 후, 소정 시간(제1 점등 오프셋 시간(t1)+대기 시간(t5)) 경과 후, 메달 배출부(330)를 구동하여 메달을 배출시킨다.
메달이 투입되었을 때, 메달 투입 기구(100) 근방으로부터 메달 배출부(330) 근방에까지 배열된 복수의 LED(920)를 순차로, 메달 투입 기구(100) 측으로부터 메달 배출부(330) 측으로 점등시키는 것으로, 투입된 메달이 메달 투입 기구(100)로부터 메달 배출부(330)로 이동하는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예를 들면 메달 투입 기구(100)로부터 투입된 메달과 메달 배출부(330)로부터 배출되는 메달이 다른 경우에서는, 메달 투입 기구(100)로부터 메달 배출부(330)로의 메달체의 의사적인 이동을 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메달을 플레이 필드(500)로 투입할 때에, 투입된 메달과 배출되는 메달이 동일한지 여부에 관계없이, 게임 플레이어에게 위화감을 주는 일이 없다. 또한, 메달 투입 기구(100)로부터 투입된 메달과 메달 배출부(330)로부터 배출된 메달이 같은 경우에서는, 메달의 실제의 이동과는 별도로 이것을 빛에 의하여 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3-4) 메달 이동 모의 연출부 및 그 주변부의 동작 변형예
다음으로, 메달 이동 의사 연출부(900) 및 그 주변부의 동작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36은 메달 투입으로부터 메달 배출까지 메달 이동 모의 연출부(900)와 그 주변부와 제1 제어부(600)의 사이에서 입출력되는 신호의 파형도이다. 덧붙여, 상술한 바와 같이, 주변부에는, 제1 제어부(600)와 메달 투입 센서(108-9)와 리프트 업 호퍼(300)와 메달 배출 센서(332)가 포함된다.
도 36과 도 35를 비교하면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LED 구동 신호(S920b)가 생성되는 타이밍이, 예를 들면 LED 구동 신호(S920a)의 하강 타이밍보다 소정 시간(중복 점등 시간(t6)) 전으로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후의 LED 구동 신호(S920c ~ S920n)를 각각 생성하는 타이밍은, 앞의 LED 구동 신호(S920b ~ S920n-1)의 하강 타이밍보다 각각 소정 시간(중복 점등 시간(t6)) 전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각 LED(920a ~ 920n)가 중복하여 점등하도록 동작한다. 바꾸어 말하면, 직전에 점등한 LED(920)가 소등하기 전에 다음의 LED(920)가 점등하도록 동작한다. 각 LED(920)의 점등 시간을 중복시키는 것으로, 메달의 의사적인 이동을, 보다 매끄럽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대기 시간(t5)은, 각 LED(920)를 점등시키는 시간을 LED 점등 시간(t2)으로 하고, 각 LED(920)를 중복하여 점등시키는 시간을 중복 점등 시간(t6)으로 하며, 마지막의 LED(920n)를 점등 후, 메달M2를 배출시킬 때까지의 시간을 메달 배출 오프셋 시간(t4)으로 한 경우, 이하의 수학식 2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t5=t1+n×t2-(n-1)×t6+t4
덧붙여,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상술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1-3-5) 메달 이동 의사 연출부의 구성 변형예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메달 이동 의사 연출부(900)의 구성의 변형예를 몇 가지 예로 들어 설명한다.
(1-3-5-1) 메달 이동 의사 연출부의 구성 변형예 1
우선, 메달 이동 의사 연출부(900)의 구성의 변형예 1을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7은 본 변형예에 의한 메달 이동 의사 연출부(901)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달 이동 의사 연출부(901)는, 도 30에 도시하는 메달 이동 의사 연출부(900)와 비교하여, 지지 부재(910)가 지지 부재(911)로 치환된 구조를 가진다.
도 30에 도시하는 지지 부재(910)가 직선 형상의 가늘고 긴 봉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데 대하여, 본 변형예에 의한 지지 부재(911)는, 구부러진 가늘고 긴 봉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911)는, 지지 부재(910)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안에 공동을 가지는 스틸제의 봉상 부재이다. 덧붙여, 지지 부재(911)의 단면은, 정방형이어도 장방형이어도, 그 외의 다각형이어도, 원형 또는 타원형과 같은 둥그스름함을 띤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본 예에서는, 지지 부재(911)의 단면을 장방형으로 한다. 또 한, 본 예에서는, 지지 부재(911)의 어느 한 쪽의 측면에, 상술한 복수의 LED(920)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덧붙여, 복수의 LED(920)가 설치되는 측면은, 유기 시에 게임 플레이어에게 보이도록 배치되는 면이다.
이와 같이, LED(920)를 구부러진 봉상 부재인 지지 부재(911)에 배열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연속하여 점등하는 LED(920)의 빛에 의하여 왜곡한 궤적이 그려지기 때문에, 다이나믹한 메달의 의사 이동을 연출할 수 있다.
덧붙여,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상술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1-3-5-2) 메달 이동 의사 연출부의 구성 변형예 2
다음으로, 메달 이동 의사 연출부(900)의 구성의 변형예 2를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8(a)는 본 변형예에 의한 메달 이동 의사 연출부(902)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8(b)는 도 38(a)에 있어서의 각 측면(912-1 ~ 912-4)에 설치된 LED(921a ~ 921n, 922a ~ 922n, 923a ~ 923n, 924a ~ 924n)의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덧붙여, 상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LED의 부호를 920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3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달 이동 의사 연출부(902)는, 도 30에 도시하는 메달 이동 의사 연출부(900)와 비교하여, 지지 부재(910)가 지지 부재(912)로 치환되는 것과 함께, 지지 부재(912)의 측면 모두에 LED(920)가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즉, 도 3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912-1)에는 LED(921a ~ 921n)가 배열되어 설치되고, 측면(912-2)에는 LED(922a ~ 922n)가 배열되어 설치되 고, 측면(912-3)에는 LED(923a ~ 923n)가 배열되어 설치되고, 측면(912-4)에는 LED(924a ~ 924n)가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각 측면(912-1 ~ 912-4)에는, 각각 같은 수의 LED(920)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912)는, 지지 부재(910)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안에 공동을 가지는 스틸제의 봉상 부재이다. 덧붙여, 지지 부재(912)의 단면은, 정방형이어도 장방형이어도, 그 외의 다각형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지지 부재(912)의 단면은, 원형 또는 타원형과 같은 둥그스름함을 띤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배열된 LED(920)를 측면을 따라 복수 설치하는 것으로, 본 변형예와 동등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912)의 각 측면(912-1 ~ 912-4)에 배열된 LED(920)는, 각각의 면에 있어서, 상술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연속하여 점등하고 소등한다. 즉, 메달 투입 기구(100)에 메달이 투입되면, 측면(912-1)에 있어서의 메달 투입 기구(100) 측의 LED(921a)와, 측면(912-2)에 있어서의 메달 투입 기구(100) 측의 LED(922a)와, 측면(912-3)에 있어서의 메달 투입 기구(100) 측의 LED(923a)와, 측면(912-4)에 있어서의 메달 투입 기구(100) 측의 LED(924a)가 동시에 점등하고 소등하여, 이후, 메달 배출부(330)로 향하여 연속적으로 점등하고 소등한다.
이와 같은 동작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LED 구동 신호(S920a ~ S920n)를, 대응하는 4개의 LED(예를 들면 LED(921a, 922a, 923a, 924a)) 모두에 분배하여 공급하는 것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지지 부재(912)의 측면에 배열된 LED(920)를 복수 개 설치하는 것으로, 연속하여 점등하는 LED(920)의 빛에 의하여 그려지는 궤적의 수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임펙트가 있는 메달의 의사 이동을 연출할 수 있다.
덧붙여,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상술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1-3-5-3) 메달 이동 의사 연출부의 구성 변형예 3
다음으로, 메달 이동 의사 연출부(900)의 구성의 변형예 3을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9(a)는 본 변형예에 의한 메달 이동 의사 연출부(903)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9(b)는 도 39(a)에 있어서의 각 측면(913-1 ~ 913-4)에 설치된 LED(921a ~ 921n, 922a ~ 922n, 923a ~ 923n 및 924a ~ 924n)의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덧붙여, 상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LED의 부호를 920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3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달 이동 의사 연출부(903)는, 도 2에 도시하는 메달 이동 의사 연출부(900)와 비교하여, 지지 부재(910)가 지지 부재(913)로 치환되는 것과 함께, 지지 부재(913)의 측면 모두에 LED(920)가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즉, 본 변형예에 의한 지지 부재(913)는, 변형예 2에 의한 지지 부재(912)가 비틀어진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비틀어진 지지 부재(913)의 각 측면(913-1 ~ 913-4)에 설치된 LED(920)의 배열도, 각각의 측면을 따라 비틀어져 있다.
지지 부재(913)는, 지지 부재(910)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안에 공동을 가지는 스틸제의 봉상 부재이다. 덧붙여, 지지 부재(913)의 단면은, 정방형이어도 장 방형이어도, 그 외의 다각형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지지 부재(913)의 단면은, 원형이나 타원형 등의 둥그스름함을 띤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배열된 LED(920)를 측면을 따라 복수 설치하는 것과 함께, 각 배열을 나선상(螺旋狀)으로 하는 것으로, 본 변형예와 동등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913)의 각 측면(913-1 ~ 913-4)에 배열된 LED(920)는, 각각의 면에 있어서, 상술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연속하여 점등하고 소등한다. 즉, 메달 투입 기구(100)에 메달이 투입되면, 측면(913-1)에 있어서의 메달 투입 기구(100) 측의 LED(921a)와, 측면(913-2)에 있어서의 메달 투입 기구(100) 측의 LED(922a)와, 측면(913-3)에 있어서의 메달 투입 기구(100) 측의 LED(923a)와, 측면(913-4)에 있어서의 메달 투입 기구(100) 측의 LED(924a)가 동시에 점등하고 소등하고, 이후, 메달 배출부(330)로 향하여, 연속적으로 점등하고 소등한다.
이와 같은 동작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LED 구동 신호(S920a ~ S920n)를, 대응하는 4개의 LED(예를 들면 LED(921a, 922a, 923a, 924a)) 모두에 분배하여 공급하는 것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지지 부재(913)의 측면에 배열된 LED(920)를 복수 개 설치하는 것으로, 연속하여 점등하는 LED(920)의 빛에 의하여 그려지는 궤적의 수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임펙트가 있는 메달의 의사 이동을 연출할 수 있다. 나아가, LED(920)의 배열을 예를 들면 나선상으로 교착시키는 것으로, 보다 다이나믹한 메달의 의사 이동을 연출할 수 있다.
덧붙여,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상술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 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1-3-6) 메달 이동 의사 연출의 변형예
또한, 이상에서는, 빛을 이용하여 메달의 이동을 의사적으로 연출하도록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메달 투입으로부터 메달 배출까지의 사이에,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연 시간(타임랙)을 마련하는 것만으로도, 메달의 의사적인 이동을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제어부(600)는, 메달 투입 기구(100)에 메달M1이 투입되어 메달 투입 검지 신호(S1)가 생성된 후, 리프트 업 호퍼(300)에 있어서의 메달 배출부(330)를 구동하여 메달M2를 플레이 필드(500)로 배출시킬 때까지의 사이를, 소정 시간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 수단으로서도 기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메달이 투입되었을 때,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예를 들면 메달 투입구(108-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메달 배출부(330)로부터 메달을 배출하는 것으로, 메달이 메달 투입구(108-1)로부터 메달 배출부(330)로 이동하였다고 하는 감각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하여, 예를 들면 메달 투입구(108-1)로부터 투입된 메달M1과 메달 배출부(330)로부터 배출되는 메달M2가 다른 경우에서는, 메달 투입구(108-1)로부터 메달 배출부(330)로의 메달의 의사적인 이동을 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메달을 플레이 필드(500)로 투입할 때에, 투입된 메달M1과 배출되는 메달M2가 동일한지 여부에 관계없이, 게임 플레이어에게 위화감을 주는 일이 없다. 이때, 메달의 투입으로부터 메달 배출부(330)에 의한 메달의 배출까지의 시간 경과 중에 예를 들면 변화하는 음을 발생 하는 것으로, 메달의 이동의 의사적인 연출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발생시키는 음은 연속적이어도 단속적이어도 상관없지만, 서서히 음정이나 음질이 변화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하여, 게임 플레이어에게 상태가 바뀌어 간다고 하는 인상을 주어, 메달의 이동을 이미지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지연 수단인 제1 제어부(600)가 지연 시간을 변경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메달M1이 투입되고 나서 메달M2를 배출할 때까지의 소정 시간(지연 시간)을 변경 제어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상황이나 게임 상태 등에 따라, 메달 이동의 연출을 변경하거나, 단위 시간당 한 명의 게임 플레이어가 소비할 수 있는 최대의 메달수를 제어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지연 시간에 더하여, 예를 들면 변화하는 음을 발생하는 것으로 메달의 이동의 의사적인 연출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행하는 경우, 음의 재생 속도(변화 속도)나 발생하는 간격을 제어하는 것으로, 연출되는 메달의 이동 속도를 바꿀 수 있고, 이 결과, 게임 플레이어에게 지연되는 시간을 예측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지연 시간을 길게 하는 경우, 음의 재생 속도를 느리게 하거나, 울리는 간격을 길게 하는 것으로, 게임 플레이어는 지연 시간이 긴 것을 예측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면 지연 시간을 짧게 하는 경우, 음의 재생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울리는 간격을 짧게 하는 것으로, 게임 플레이어는 지연 시간이 짧은 것을 예측할 수 있다.
(1-4) 게임 매체 토출 기구
본 게임 장치에 있어서, 대체로 원반 형상의 게임 매체를 플레이 필드(500)로 투입하는데 즈음하여, 투입하는 위치에 의하여, 게임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있다. 따라서, 게임 플레이어가 대체로 원반 형상의 게임 매체의 투입 위치를 자유롭게 전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보다 매력적인 게임성을 창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게임 매체 토출 기구는, 제1 축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과 함께, 게임 매체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 가이드부를 가지는 토출부와, 당해 토출부를 당해 제1 축의 둘레에 회전시키는 회전 제어부를 적어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게임 플레이어가, 대체로 원반 형상의 게임 매체의 투입 위치를 자유롭게 바꾸는 것으로 게임 상태에 영향을 주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당해 회전 제어부는, 나아가, 당해 제1 축으로부터 이간한 제2 축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조작부와, 당해 토출부와 당해 조작부를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것과 함께, 당해 조작부의 회전을 당해 토출부의 회전으로 기계적으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적어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임 플레이어에 의한 조작부의 조작을, 토출부까지 전달부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조작부의 회전의 움직임이 기계적으로 토출부의 회전의 움직임으로 전해진다. 이 때문에, 게임 플레이어가, 토출부의 회전의 움직임을 자신이 조정하고 있다고 하는 실감을 가질 수 있어, 게임 플레이어에 있어서 보다 매력적인 게임성을 창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해 전달부는, 당해 제2 축의 둘레의 제1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당해 조작부의 회전을, 당해 제1 축의 둘레의 제1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당해 토출부의 회전으로 전달하도록, 당해 토출부와 당해 조작부를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제1 와이어를 적어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당해 전달부는, 나아가, 당해 제2 축의 둘레의 제2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당해 조작부의 회전을, 당해 제1 축의 둘레의 제2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당해 토출부의 회전으로 전달하도록, 당해 토출부와 당해 조작부를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제2 와이어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와이어는, 유연하기 때문에, 반드시 직선 상태로 당해 토출부와 당해 조작부를 기계적으로 결합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비직선 형상의 강성을 가지는 관을 설치하고, 당해 관의 내부에 와이어를 통하게 하는 것으로, 비직선적으로 당해 토출부와 당해 조작부를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해 회전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 외력이 인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의 방향이 고정되도록, 상기 토출부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토출부(410)를 지지하는 지지부(412)는, 조작부(450)에 의하여 발생하여, 제1 와이어 구조체(418) 및 제2 와이어 구조체(420)를 통하여 전달된 힘 이외의 힘을 받지 않고, 지지부(412)는 특정의 회전각으로 유지하도록 압박되는 힘을 받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당해 토출부에는, 게임 플레이어가 당해 조작부를 조작하는 것, 즉 당해 조작부가 게임 플레이어로부터 외력을 받는 것에 의하여 발생하여, 당해 전달부를 통하여 전달된 당해 외력 이외의 힘이 가하여지지 않 도록 구성한다. 또한, 조작부(450)의 조작부 본체(422)도 특정의 회전각으로 유지하도록 압박되는 힘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게임 플레이어가 조작부(450)를 조작하여 토출부의 방향을 결정하여 조작부로부터 손을 뗀 경우라도, 토출부(410)는 그의 방향을 유지한다.
바꾸어 말하면, 토출부 및 조작부는, 특정의 회전각으로 유지하도록 압박하는 힘을 받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조작부를 제2 축 둘레에 회전시키는 외력을 게임 플레이어로부터 받으면, 당해 외력이 전달부를 통하여 토출부로 전달되고, 토출부가 제1 축 둘레에 회전하여 방향이 변경되지만, 조작부를 제2 축 둘레에 회전시키는 외력을 게임 플레이어로부터 받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토출부는 제2 축 둘레에 회전하는 힘을 받지 않고, 토출부의 방향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렇게 하는 것으로, 게임 플레이어는, 당해 토출부의 방향을 변경 혹은 조정하고 싶은 경우만, 당해 조작부를 조작하고, 한편, 그 이외의 때는, 전술한 게임 매체 투입 기구를 통하여 게임 매체의 투입이나 그 외의 게임 조작에 집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상기한 게임 장치(1)에 있어서의 메달 배출 경로(400)의 구성을,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0은 메달 배출 경로(400)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1은 도 40에 도시하는 메달 배출 경로(4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메달 배출 경로(400)는, 메달M이 전동하는 가이드부를 가지는 토출부(410)와, 당해 토출부(410)를 지지하는 것과 함께 제1 수직 축(Y1)의 둘레에 회전 가능 하게 구성된 지지체(412)와, 당해 지지체(412)에 고착된 취부판(416)을 가진다. 지지체(412)는 수직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제1 수직 축(Y1)의 둘레의 회전 방향의 힘이 취부판(416)에 가하여지면, 취부판(416)이 고착한 지지체(412)로 그 힘이 전달되고, 지지체(412)와 당해 지지체(412)에 지지된 토출부(410)가 제1 수직 축(Y1)의 둘레에 회전한다.
메달 배출 경로(400)는, 나아가, 당해 제1 수직 축(Y1)으로부터 이간한 제2 수직 축(Y2)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조작부(450)를 포함한다. 당해 조작부(450)는, 제2 수직 축(Y2)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조작부 본체(422)와, 당해 조작부 본체(422)에 고착되는 것과 함께 게임 플레이어가 잡기 위한 핸들(424)을 적어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임 플레이어가 당해 핸들(424)을 잡아 제2 수직 축(Y2)의 둘레에 당해 조작부 본체(422)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메달 배출 경로(400)는, 나아가, 조작부(450)의 회전의 움직임을 토출부(410)의 회전의 움직임으로 기계적으로 전달하는 전달부(460)를 가진다. 당해 전달부(460)는, 제1 및 제2 와이어 구조체(418, 420)를 이용하여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와이어 구조체(418)는, 유연한 제1 와이어와, 당해 제1 와이어를 수용하는 제1 관으로 이루어진다. 제2 와이어 구조체(420)는, 유연한 제2 와이어와, 당해 제2 와이어를 수용하는 제2 관으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관은, 휨 방향으로 유연하면서 그들 자신의 형상을 보지하는 것이 가능한 적당한 강성을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조작부(450)와 토출부(410)의 사이에 개재하는 별도의 구조 체가 있는 경우라도, 당해 구조체를 우회하여 게임 장치의 케이스 프레임 등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조작부(450)와 토출부(410)를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와이어의 제1 단부(418-1)는, 취부판(416)의 제1 단부(416-1)에 고착된다. 제1 와이어의 제2 단부(418-2)는, 조작부 본체(422)의 제1 측부(422-1)에 고착된다. 제2 와이어의 제1 단부(420-1)는, 취부판(416)의 제2 단부(416-2)에 고착된다. 제2 와이어의 제2 단부(420-2)는, 조작부 본체(422)의 제2 측부(422-2)에 고착된다.
필요에 따라, 도 4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취부판(416) 및 지지체(412)를 덮는 제1 커버 부재(414)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조작부 본체(422)를 덮는 제2 커버 부재(426)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당해 커버 부재(426)에는, 후술하는 누름 버튼(1830)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누름 버튼(1830)은, 본 메달 배출 경로(400)에 포함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게임 플레이어가 핸들(424)을 조작부 본체(422)를 제2 수직 축(Y2)의 둘레에 회전시킨다. 회전 방향이, 조작부 본체(422)의 위로부터 보아 시계 방향인 경우, 제1 와이어 구조체(418)의 제1 와이어는, 제1 관의 안을 조작부 본체(422)로 향하여 변위한다. 한편, 제2 와이어 구조체(420)의 제2 와이어는, 제2 관의 안을 취부판(416)으로 향하여 변위한다. 결과, 취부판(416) 및 지지체(412) 및 토출부(410)는, 제1 수직 축(Y1)의 둘레를 위로부터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회전 방향이, 조작부 본체(422)의 위로부터 보아 시계 방향과 역방향인 경우, 제2 와이어 구조체(420)의 제2 와이어는, 제2 관의 안을 조작부 본 체(422)로 향하여 변위한다. 한편, 제1 와이어 구조체(418)의 제1 와이어는, 제1 관의 안을 취부판(416)으로 향하여 변위한다. 결과, 취부판(416) 및 지지체(412) 및 토출부(410)는, 제1 수직 축(Y1)의 둘레를 위로부터 보아 시계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전술한 메달 배출 경로(400)는, 게임 플레이어가 대체로 원반 형상의 게임 매체의 투입 위치를 자유롭게 전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메달 배출 경로(400)에 의하면, 게임 장치(1)의 가장 안쪽에 배치된 토출부(410)와, 게임 장치(1)의 가장 앞쪽에 배치된 조작부(450)를, 토출부(410)를 제1 수직 축(Y1)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고, 조작부(450)를 제2 수직 축(Y2)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한다. 또한, 토출부(410)와 조작부(450)를 제1 와이어 구조체(418) 및 제2 와이어 구조체(420)를 통하여 접속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조작부(450)에 의한 제2 수직 축(Y2)의 둘레의 회전을, 제1 와이어 구조체(418) 및 제2 와이어 구조체(420)를 통하여, 토출부(410)의 제1 수직 축(Y1)의 둘레의 회전에 기계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결과, 게임 플레이어가 대체로 원반 형상의 게임 매체의 투입 위치를 자유롭게 바꾸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매력적인 게임성을 창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게임 플레이어가 조작부(450)를 조작하여 토출부(410)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토출부(410)의 회전의 움직임을 자신이 조정하고 있다고 하는 실감을 가질 수 있어, 게임 플레이어에 있어서 보다 매력적인 게임성을 창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토출부(410)와 조작부(450)를 제1 와이어 구조체(418) 및 제2 와이어 구조체(420)에 의하여 결합한다. 여기서, 제1 와이어 구조체(418) 및 제2 와이어 구조체(420)의 와이어는 유연하기 때문에, 반드시 직선 상태로 토출부(410)와 조작부(450)를 기계적으로 결합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비직선 형상으로 관을 고정하여 설치하고, 당해 관의 내부에 와이어를 통하게 하는 것으로, 비직선적으로 토출부(410)와 조작부(450)를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토출부(410)를 지지하는 지지부(412)는, 조작부(450)에 의하여 발생하여, 제1 와이어 구조체(418) 및 제2 와이어 구조체(420)를 통하여 전달된 힘 이외의 힘을 받지 않고, 지지부(412)는 특정의 회전각으로 유지하도록 압박되는 힘을 받지 않는다. 또한, 조작부(450)의 조작부 본체(422)도 특정의 회전각으로 유지하도록 압박되는 힘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게임 플레이어가 조작부(450)를 조작하여 토출부(410)의 방향을 결정하여 조작부(450)로부터 손을 뗀 경우라도, 토출부(410)는 그때의 방향을 유지한다. 이것에 의하면, 게임 플레이어는, 토출부(410)의 방향을 변경 혹은 조정하고 싶은 경우만, 조작부(450)를 조작하고, 한편, 그 이외의 때는, 전술한 게임 매체 투입 기구를 통하여 게임 매체의 투입이나 그 외의 게임 조작에 집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5) 플레이 필드
다음으로, 상기한 게임 장치(1)에 있어서의 플레이 필드(500)의 구성을,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플레이 필드(500) 및 그 주변부의 구성을 추출한 부분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플레이 필드(500)에 있어서의 푸셔 부(510)의 왕복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 필드(500)는, 메인 테이블(소정 테이블, 501)과, 메인 테이블(501) 상에 접동 가능하게 재치된 푸셔부(푸셔 수단, 510)로 구성된다.
푸셔부(5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700)의 디스플레이(701) 하방에 설치된 수납부(720)를 출입하도록, 메인 테이블(501) 상을 전후로 슬라이드 운동한다. 덧붙여, 도 5(a)는 푸셔부(510)가 수납부(720) 내에 가장 퇴피하였을 때의 위로부터 본 도면이며, 도 5(b)는 푸셔부(510)가 수납부(720)로부터 가장 돌출하였을 때의 위로부터 본 도면이다.
여기서, 푸셔부(510)의 상면인 서브 테이블(51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700)의 틀 부재(710)가 당접되어 있다. 따라서, 푸셔부(510)의 상면인 서브 테이블(511) 상에 저류된 메달M은, 푸셔부(510)가 수납부(720)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도 5에 있어서 (b) → (a) 참조)에, 틀 부재(710)에 의하여 서브 테이블(511) 상을 경사 테이블(512) 방향으로 압진되고, 서브 테이블(511) 상의 메달M이 전체적으로 경사 테이블(512)로 향하는 방향으로 흐른다. 이 결과, 경사 테이블(512) 근방에 존재한 서브 테이블(511) 상의 일부의 메달M이 경사 테이블(512)로 낙하한다. 덧붙여, 낙하한 메달M 중, 일부의 메달M은 경사 테이블(512)에 설치된 체커(515-1 ~ 515-3) 중 어느 한 쪽으로 진입하고, 나머지는 메인 테이블(501)까지 낙하한다. 또한, 푸셔부(510)가 슬라이드하는 범위의 양 사이드에는, 낙하 방지벽(521)이 설치되어 있고, 서브 테이블(511)의 사이드로부터 메달M이 낙하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푸셔부(510)는, 메인 테이블(501) 상에 간극 없이 재치되어 있다. 덧붙여, 여기서 말하는 「간극 없이」란, 메달M의 폭 이상의 간극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메인 테이블(501) 상에 저류된 메달M은, 푸셔부(510)가 수납부(720)로부터 나오는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도 5에 있어서 (a) → (b) 참조)에, 푸셔부(510) 전면의 압진벽(513)에 의하여 메인 테이블(501) 상을 전단(501a) 방향으로 압진되고, 메인 테이블(501) 상의 메달M이 전체적으로 전단(501a)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흐른다. 이 결과, 전단(501a) 근방에 존재한 메인 테이블(501) 상의 일부의 메달M이 전단(501a)으로부터 낙하한다. 또한, 이때의 메달M의 흐름에 의하여, 메인 테이블(501)의 양 옆의 단(사이드단(501b)) 근방에 존재한 메인 테이블(501) 상의 일부의 메달M이, 사이드단(501b)으로부터 낙하한다. 덧붙여, 사이드단(501b)으로부터 낙하한 메달M은, 스테이션부(ST) 내부의 소정의 저류부(호퍼여도 무방하다)에 저류된다.
또한, 전단(501a)으로부터 낙하한 메달M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단(501a) 하방에 설치된 메달 받이(1001)에 받아들여진다. 메달 받이(1001)는, 메달 떨쳐냄 기구에 있어서의 리프트 업 호퍼(1020)까지 메달M을 반송하기 위한 메달 반송 경로(100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메달 받이(1001)는 메달 반송 경로(1002)와의 연결 부분으로 향하여 경사하고 있다. 이 때문에, 메달 받이(1001)에 받아들여진 메달M은 메달 반송 경로(1002)로 흘러 들어간다. 또한, 메달 반송 경로(1002)는 메달 떨쳐냄 기구의 리프트 업 호퍼(1020)에 있어서의 저류부(1021)로 향하여 경사하고 있다. 이 때문에, 메달 반송 경로(1002)에 흘러 들어간 메달M은, 연속하 여 메달 떨쳐냄 기구로 유도된다. 덧붙여, 메달 받이(1001)와 메달 반송 경로(1002)의 연결 부분에는, 후술하는 볼B1 또는 B2를 막기 위한 분별봉(1010)이 설치되어 있고, 볼B1 또는 B2가 메달 떨쳐냄 기구로 진입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메달 떨쳐냄 기구에는, 상술한 리프트 업 호퍼(1020)와 메달 떨쳐냄부(1030)의 외에, 메달M의 매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메달 카운터(도시하지 않음)도 설치되어 있다. 이 메달 카운터는, 예를 들면 리프트 업 호퍼(1020)에 있어서의 저류부(1021)의 입구에 설치되어 있고, 메달 반송 경로(1002)로부터 저류부(1021)로 투입되는 메달M의 매수를 카운트한다. 메달 카운터에 의하여 카운트된 메달M의 매수는, 도 2에 있어서의 제1 제어부(600)에 통지된다. 제1 제어부(600)는, 통지된 메달의 매수에 기초하여 리프트 업 호퍼(1020)를 구동하는 것으로, 이 매수분의 메달M을 메달 떨쳐냄부(1030)로부터 메달 투입 기구(100)에 있어서의 저류부(101)로 떨쳐낸다. 덧붙여, 리프트 업 호퍼(1020)는, 호퍼 구동부(1022)와 리프트 업부(1023)를 가지고, 제1 제어부(600)로부터의 제어에 기초하여, 호퍼 구동부(1022)가 동작하는 것으로, 떨쳐내는 메달M이 리프트 업부(1023)의 단부에 설치된 메달 떨쳐냄부(1030)로부터 떨쳐내진다. 덧붙여, 메달 받이(1001), 메달 반송 경로(1002) 및, 리프트 업 호퍼(1020)와 메달 떨쳐냄부(1030)와 메달 카운터를 포함하는 메달 떨쳐냄 기구는, 메인 테이블(501)에 있어서의 전단(501a)으로부터 낙하한 메달M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떨쳐내는 떨쳐냄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메인 테이블(501) 상에는, 새틀라이트부(SA)로부터 공급된 볼B1 및/또는 B2도 존재한다. 이 볼B1 또는 B2는, 푸셔부(510)의 왕복 운동에 의한 메달M의 흐름에 수반하여, 메인 테이블(501) 상을 이동한 후, 전단(501a)으로부터 낙하한다. 전단(501a)의 하방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볼 반송 경로(10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볼 반송 경로(1040)는, 낙하한 볼B1 또는 B2만을 받아들이고, 메달M을 통과시키는 볼 받이부(1041)와, 볼 받이부(1041)에서 받아들인 볼을 소정 조건이 만족할 때까지 멈추게 하여 두는 볼 정지부(1042)와, 볼 배출구(1043)를 가진다. 따라서, 볼 받이부(1041)에서 받아들여진 볼B1 또는 B2는, 볼 정지부(1042)에 의하여 소정의 타이밍까지 멈추어진 후, 볼 배출구(1043)로부터 배출된다. 이것에 의하여, 볼B1 또는 B2가 볼 배출구(1043)에 대기하고 있던 볼 운반부(1910, 도 1 참조)에 세트된다. 덧붙여, 도 1에 있어서의 스테이션부(ST)와 도 4 또는 도 5에 있어서의 스테이션부(ST)는, 설명의 편의상, 좌우가 반전되어 있지만, 구성은 마찬가지이다.
(1-6) 가이드부 및 가이드부 이동 기구
다만, 메인 테이블(501)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달M 및 볼B1 및 B2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가이드부(제1 및 제2 흐름 제어 수단)(530R, 530L)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메인 테이블(501) 아래에는, 이 가이드부(530R, 530L)를 메인 테이블(501)에 대하여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부 이동 기구(이동 수단, 540)(도 8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이들 가이드부(530R, 530L)와 가이드부 이동 기구(540)의 구성을,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1-6-1) 가이드부
우선, 본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부(530R, 530L)의 구성을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플레이 필드(500)를 전방(前方)(게임 플레이어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전면도이다. 덧붙여, 도 6에 있어서, (a)는 가이드부(530R, 530L)가 하한의 소정 위치까지 퇴피하였을 때의 도면이고, (b)는 가이드부(530R, 530L)가 상한의 소정 위치까지 돌출하였을 때의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메달M 및 볼B1/B2의 메인 테이블(501) 상에서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덧붙여, 도 7에 있어서, (a)는 가이드부(530R, 530L)가 하한의 소정 위치까지 퇴피하였을 때(도 6(a) 참조)의 메달M 및 볼B1/B2의 흐름을 도시하는, 위로부터 본 도면이며, (b)는 가이드부(530R, 530L)가 상한의 소정 위치까지 돌출하였을 때(도 6(b) 참조)의 메달M 및 볼B1/B2의 흐름을 도시하는, 위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530R, 530L)는 각각, 볼B1 및 B2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볼 가이드판(제2 가이드판, 531)과, 메달M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메달 가이드판(제1 가이드판, 533)과, 볼 가이드판(531)과 메달 가이드판(533)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534)를 가진다. 또한, 볼 가이드판(531)과 메달 가이드판(533)은, 사이에 소정 형상의 통과구(532)가 형성되도록, 지지부(534)에 의하여 상하로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가이드부(530R, 530L)는, 예를 들면 ハ자 형상으로 어레인지되어 설치된다. 다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이드부(530R)의 게임 플레이어 측의 단과 가이드부(530L)의 게임 플레이어 측의 단이 형성하는 간극의 폭이, 적어도 메달M, 볼B1 및 B2의 직경보다도 넓어지도록 어레인지되어 있으면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가이드부(530R)와 가이드부(530L)가 평행하게 어레인지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가이드부(530R)의 가장 안쪽의 단(게임 플레이어 측과 반대 측의 단)은, 볼B1의 반경 및 볼B2의 반경보다도 메인 테이블(501)의 도면 중 우측의 사이드단(501b)에 접근하여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가이드부(530L)의 가장 안쪽의 단은, 볼B1의 반경 및 볼B2의 반경보다도 메인 테이블(501)의 도면 중 좌측의 사이드단(501b)에 접근하여 배치된다. 이것에 의하여, 메인 테이블(501)의 가장 안쪽으로부터 흘러 온 볼B1 또는 B2가 가이드부(530R, 530L)에 의하여 사이에 낀 에리어 이외의 에리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볼B1 또는 B2가 메인 테이블(501)의 사이드단(501b)으로부터 낙하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볼B1 및 B2의 낙하 측을 전단(501a)만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530R, 530L)는, 메인 테이블(501) 상면에 대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덧붙여, 가이드부(530R, 530L)를 메인 테이블(501) 상면에 대하여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인 가이드부 이동 기구(540)에 대해서는, 후술에 있어서 설명한다.
가이드부(530R, 530L)에 있어서의 메달 가이드판(533)의 상단은,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530R, 530L)를 하한의 위치까지 이동시킨 경우, 메인 테이블(501) 상면과 같거나 혹은 그 이하에 위치한다. 즉, 가이드부(530R, 530L)를 하한 위치까지 이동시킨 경우, 메달 가이드판(533)은 메인 테이블(501) 아래에 수납된다. 다만, 이 경우라도, 메달 가이드판(533)과 볼 가이드판(531)의 사이의 통과구(532) 전체가 메인 테이블(501)에 의하여 막히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메달 가이드판(533)이 메인 테이블(501) 아래로 퇴피한 상태에서 는, 메달 가이드판(533)에 의하여 메인 테이블(501) 상의 메달M의 흐름이 방해되지 않기 때문에,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달M이 통과구(532)를 통과하여 자유로운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즉, 메달M은 메인 테이블(501)의 사이드단(501b) 측으로 흐를 수 있다. 이 결과, 사이드단(501b)으로부터 낙하하는 메달M이, 예를 들면 가이드부(530R, 530L)를 상한의 위치까지 이동시킨 경우와 비교하여 많이 존재하게 된다. 다만, 지지부(534)에 의한 메달M의 흐름의 방해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무시한다.
또한, 가이드부(530R, 530L)를 하한 위치까지 이동시킨 경우라도, 볼 가이드판(531)은 메인 테이블(501) 상으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B1 또는 B2는 볼 가이드판(531)에 의하여 흐름이 제한된다. 즉, 볼B1 및 B2는, 메인 테이블(501)의 사이드단(501b)으로부터 낙하하지 않도록, 전단(501a)의 방향으로 유도된다.
한편, 가이드부(530R, 530L)에 있어서의 메달 가이드판(533)의 상단은,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530R, 530L)를 상한의 위치까지 이동시킨 경우, 메인 테이블(501) 상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메달 가이드판(533)에 의하여 메인 테이블(501) 상의 메달M의 흐름이 방해되지 때문에,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달M이 흐르는 방향이 전단(501a)의 방향으로 제한된다. 이 결과, 사이드단(501b)으로부터 낙하하는 메달M을, 예를 들면 가이드부(530R, 530L)를 하한의 위치까지 이동시킨 경우와 비교하여 줄일 수 있다. 다만, 지지부(534)에 의한 메달M의 흐름의 방해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무시한다.
또한, 가이드부(530R, 530L)를 상한 위치까지 이동시킨 경우라도, 볼 가이드판(531)은 메인 테이블(501) 상으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B1 또는 B2는 볼 가이드판(531)에 의하여 흐름이 제한된다. 즉, 볼B1 및 볼B2는, 메인 테이블(501)의 사이드단(501b)으로부터 낙하하지 않도록, 전단(501a)의 방향으로 유도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530R, 530L)를 하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것으로, 바꾸어 말하면, 가이드부(530R, 530L)의 메달 가이드판(533)을 메인 테이블(501) 아래에 수납하는 것으로, 볼B1의 흐름을 전단(501a)의 방향으로 제한하면서, 메달M이 흐르는 방향을 비교적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메인 테이블(501)로부터 낙하하는 메달M 중, 사이드단(501b)으로부터 낙하하는 메달M의 비율을 많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가이드부(530R, 530L)를 상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것으로, 바꾸어 말하면, 가이드부(530R, 530L)의 메달 가이드판(533)을 메인 테이블(501) 상으로 돌출시키는 것으로, 볼B1의 흐름과 함께, 메달M의 흐름을 전단(501a)의 방향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이 결과, 메달M의 흐름을 전단(501a)의 방향으로 집중시킬 수 있어, 많은 메달M을 전단(501a)으로부터 낙하시킬 수 있는 것과 함께, 사이드단(501b)으로부터 낙하하는 메달M의 비율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530R, 530L)의 메인 테이블(501)에 대한 위치를 제어하는 것으로, 게임 플레이어에게 떨쳐내는 메달M과, 스 테이션부(ST)가 회수하는(이것을 선 놓침이라고 한다) 메달M의 비율(이것을 페이아웃율이라고 부른다)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게임을 진행할 때에 사용하는 다른 게임 매체(여기에서는 볼B1 및 B2)의 낙하단이, 가이드부(530R, 530L)의 메인 테이블(501)에 대한 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전단(501a)에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것을 회수하는 구성의 대형화 및 복잡화를 방지할 수도 있다.
(1-6-2) 가이드부 이동 기구
다음으로, 상술한 가이드부(530R, 530L)를 메인 테이블(501)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인 가이드부 이동 기구(540)의 구성을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가이드부 이동 기구(54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덧붙여, 도 8에서는 가이드부(530R, 530L)의 구성도 도시한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a)는 전면도이고, (b)는 (a)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다.
도 8(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 이동 기구(540)는, 용기(541)와 모터(542)와 연결부(545)와 회전 축부(546)와 편심 캠(548)과 슬라이드대(549)를 가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용기(541)는, 가이드부 이동 기구(540)의 주 구성을 수납하기 위한 상자 형상의 용기이다. 이 용기(541)는, 예를 들면 메인 테이블(501) 바로 아래에 매입된다. 또한, 용기(541)의 내부 측면에는, 후술하는 모터(542)를 고정하기 위한 모터 고정부(541a)와, 후술하는 슬라이드대(549)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541b)이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수직 방 향이란, 메인 테이블(501)을 수평으로 한 경우의 수직 방향이다.
슬라이드대(549)는, 가이드부(530R, 530L)에 있어서의 지지부(534)가 고정되는 대(臺)이다. 따라서, 슬라이드대(549)가 가이드 레일(541b)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상하로 슬라이드하는 것으로, 가이드부(530R, 530L)의 메인 테이블(501)로부터의 돌출량이 증감된다.
모터(542)와 연결부(545)와 회전 축부(546)와 편심 캠(548)은, 슬라이드대(549)를 가이드 레일(541b)을 따라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이다.
이 구동 수단에 있어서, 모터(542)는, 예를 들면 제1 제어부(600, 도 2 참조)의 제어에 기초하여 회전을 발생시킨다. 모터(542)의 회전 축(542a)에는, 연결부(545)를 통하여 회전 축부(546)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542)에서 발생한 회전은, 연결부(545)를 통하여 회전 축부(546)로 전달된다. 덧붙여, 연결부(545)는, 모터(542)에서 발생한 회전을 회전 축부(546)에 직접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부재인 것과 함께, 모터(542)의 회전 축(542a)과 회전 축부(546)의 사이에 있어서의 기계적인 응력을 흡수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 연결부(545)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체로 형성할 수 있다.
모터(542)의 회전이 전달되는 회전 축부(546)에는 편심 캠(548)이 고정된다. 편심 캠(548)은, 예를 들면 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상/저면(上/底面)에 있어서의 중심이 아닌 위치에 회전 축부(546)가 감삽(嵌揷)되어 고정된다. 덧붙여, 편심 캠(548)의 상/저면은, 예를 들면 원통 형상을 가지는 경우, 원형의 면을 각각 가리킨다.
또한, 편심 캠(548)의 측면은, 슬라이드대(549)의 일부에 접동 가능하게 당접된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슬라이드대(549)의 측벽에 개구부(549a)가 설치되고, 이 개구부(549a)의 가장자리가 편심 캠(548)의 측면에 당접하고 있다. 따라서, 편심 캠(548)이 회전 축부(546)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으로, 도 8(a) 및 (b)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편심 캠(548)의 측면에 당접된 슬라이드대(549)가 가이드 레일(541b)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하고, 이것에 의하여, 가이드부(530R, 530L)의 메인 테이블(501)로부터의 돌출량이 증감된다.
예를 들면 편심 캠(548)에 있어서의, 회전 축부(546)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짧은 부분의 측면이 개구부(549a)의 상연(上緣)에 당접하고 있는 경우,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530R, 530L)는 하한 위치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가이드부(530R, 530L)에 있어서의 메달 가이드판(533)의 상단이 메인 테이블(501) 상면과 같거나 혹은 그 이하로 된다. 이 결과, 통과구(532)를 메달M이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편심 캠(548)에 있어서의, 회전 축부(546)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긴 부분의 측면이 개구부(549a)의 상연에 당접하고 있는 경우,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530R, 530L)는 상한 위치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가이드부(530R, 530L)에 있어서의 메달 가이드판(533)의 상단이 메인 테이블(501) 상면보다도 충분히 돌출하고 있다. 이 결과, 통과구(532)를 메달M의 흐름이 메달 가이드판(533)에 의하여 충분히 제한되어, 메인 테이블(501)의 사이드단(501b)으로부터 낙하하는 메달M이 저감된다.
또한, 예를 들면 편심 캠(548)에 있어서의, 회전 축부(546)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짧은 부분과 가장 긴 부분의 사이의 측면이 개구부(549a)의 상연에 당접하고 있는 경우, 도 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530R, 530L)는 상한과 하한의 중간 위치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가이드부(530R, 530L)에 있어서의 메달 가이드판(533)의 상단이 메인 테이블(501) 상면으로부터 조금 돌출하고 있다. 이 결과, 통과구(532)를 메달M의 흐름이 메달 가이드판(533)에 의하여 다소 제한되어, 메인 테이블(501)의 사이드단(501b)으로부터 낙하하는 메달M이 저감된다.
또한, 슬라이드대(549)에는, 예를 들면 위치 검출용 센서(5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위치 검출용 센서(550)는, 예를 들면 가변 저항을 이용한 저항값 검지식의 센서이다. 위치 검출용 센서(550)에서 검출된 값은, 예를 들면 제1 제어부(600, 도 2 참조)에 입력된다. 따라서, 제1 제어부(600)는, 예를 들면 입력된 저항값에 기초하여 위치 검출용 센서(550)의 용기(541) 저면으로부터의 거리를 특정하여 가이드부(530R, 530L)의 돌출량을 특정하거나, 또는 직접적으로 가이드부(530R, 530L)의 돌출량을 특정한다. 덧붙여, 제1 제어부(600)는, 특정한 가이드부(530R, 530L)의 돌출량에 기초하여 모터(542)를 구동하는 것으로, 가이드부(530R, 530L)의 돌출량을 제어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위치 검출용 센서(550)를 저항값 검지식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광학식이어도 무방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이상과 같이 위치 검출용 센서를 설치하지 않고, 모터(542)를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페이아웃율을 주기적으로 변동시키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모터(542)를 스테핑 모터로 구성하여, 소 정 떨쳐냄 매수마다, 혹은 소정 선 놓침 매수마다, 혹은 양자의 합계가 소정수가 될 때마다 스텝을 진행시켜 모터(542)를 서서히 회전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게임 진행에 따라 페이아웃율이 주기적으로 변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1-6-3)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 테이블(501) 상에 저류된 유체의 게임 매체인 메달M을 압진시키는 게임 장치(1)에, 메달M의 흐름을 전환하는 가이드부(530R, 530L)(특히 메달 가이드판(533))를 설치하는 것으로, 가이드부(530R, 530L)를 이용하여 메달M의 흐름을 예를 들면 게임 플레이어에 있어서 유리해지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가이드부(530R, 530L)를 이용하여 메달M의 흐름을 예를 들면 게임 플레이어에 있어서 불리해지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가이드부(530R, 530L)를 메인 테이블(501) 상으로 돌출시키거나 소정 테이블 아래로 퇴피시키거나 하는 가이드부 이동 기구(540)를 더 설치하는 것으로, 메달M의 흐름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게임 플레이어에 있어서 유리한 게임 상태나 불리한 게임 상태나 통상의 게임 상태 등을 기계적인 구성을 이용하여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메달M의 흐름을 제어하는 가이드부(530R, 530L)의 메달 가이드판(533)은, 예를 들면 판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판 부재를 이용한 경우, 메달M의 흐름은, 판 부재를 메인 테이블(501) 상으로 돌출시키거나, 메인 테이블(501) 아래로 퇴피시키거나 하는 간이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 결과, 게 임 상태를 기계적인 구성을 이용하여 전환하는 게임 장치(1)를 염가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메달 가이드판(533)을 평행 또는 ハ자 형상으로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으로, 메달M을 확실히 유도하고 싶은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평행 또는 ハ자 형상으로 조합된 메달 가이드판(533)의 사이에 메달M이 흐르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메달M의 흐름을 적확하고 또한 확실하게 전단(501a)의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이드부(530R, 530L)에 의하여 메달M이 유도되는 방향의 전단(501a)에 메달 받이(1001), 메달 반송 경로(1002) 및, 리프트 업 호퍼(1020)와 메달 떨쳐냄부(1030)와 메달 카운터를 포함하는 메달 떨쳐냄 기구를 설치하는 것으로, 가이드부(530R, 530L)에 의하여 흐름을 제어한 경우에 게임 플레이어에 있어서 유리한 게임 상태로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메달M과 형상이 다르고, 유체의 게임 매체인 볼B1 및 B2의 흐름을 제어하는 볼 가이드판(531)을 가이드부(530R, 530L)에 설치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메달M을 이용하는 푸셔 게임 등의 게임에, 예를 들면 빙고 게임 등의 다른 종류의 게임을 조합할 수 있다. 즉, 복수 종류의 게임을 조합하는 것이 가능해져, 보다 복잡한 게임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볼B1 및 B2의 흐름을 제어하는 볼 가이드판(531)은, 예를 들면 판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볼 가이드판을 메달 가이드판(533) 상에 설치하는 것으로, 메달M 및 볼B1/B2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메달 가이드 판(533) 및 볼 가이드판(531))이 차지하는 메인 테이블(501) 상의 면적을 저감할 수 있다. 이때, 메달 가이드판(533)과 볼 가이드판(531)의 사이에 메달M의 두께 이상의 간극을 가지는 통과구(532)를 형성하는 것으로, 볼 가이드판(531)에 의하여 메달M의 흐름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볼 가이드판(531)을 평행 또는 ハ자 형상으로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으로, 볼B1 및 B2를 확실히 유도하고 싶은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평행 또는 ハ자 형상으로 조합된 볼 가이드판(531)의 사이에 볼B1 및 B2가 흐르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볼B1 및 B2의 흐름을 적확하고 또한 확실히 제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덧붙여,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530L, 530R)를, 도면 중, ハ자 형상으로 조합하는 것으로, 이들이 메인 테이블(501)로부터 돌출하고 있을 때에, 볼B1/B2 또는 메달M을 메인 테이블(501)의 전단(501a)으로 유도하도록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이드부(530L, 530R)를, 도면 중, 역ハ자 형상으로 조합하는 것으로, 이들이 메인 테이블(501)로부터 돌출하고 있을 때에, 볼B1/B2 또는 메달M을 메인 테이블(501)의 사이드단(501b)으로 유도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도, 스테이션부(ST)에 있어서의 페이아웃율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메달 가이드판(533)과 볼 가이드판(531)이 모두 가이드부(530L, 530R)에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이 독립하여 설치된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고, 나아가 볼 가이드판이 존재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적어도 메달 가 이드판(533)이 메인 테이블(501)로부터 돌몰(突沒, 튀어나오고 들어감)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페이아웃율을 변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1-7) 장벽 조정 기구(2000)
전술한 바와 같이, 게임 플레이어에게 떨쳐내는 메달M과, 스테이션부(ST)가 회수(선 놓침)하는 메달M의 비율(페이아웃율)을 제어하는 것이, 보다 매력적인 게임 장치를 실현하기 위하여 유효하다. 이 때문에, 전술한 가이드부(530R, 530L) 및 가이드부 이동 기구(540)에 더하여, 메달M의 선 놓침을 조정하는 기구를 메인 테이블(501)의 양 측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달M의 선 놓침을 조정하는 기구는, 이하 설명하는 장벽 조정 기구(2000)를 이용하여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장벽 조정 기구(2000)를 설치하는 위치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당해 장벽 조정 기구(2000)는, 당해 원반 형상의 게임 매체가 선 놓침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벽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으로, 메인 테이블(501)의 양 측부에 장벽이 연재하는 범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당해 원반 형상의 게임 매체가 선 놓침하는 장벽이 연재하는 범위를 확대하는 것으로, 페이아웃율이 증가한다. 한편, 메인 테이블(501)의 양 측부에 장벽이 연재하는 범위를 감소하는 것으로, 페이아웃율이 저하한다. 이 페이아웃율의 조정은 게임성에 크게 영향을 준다. 따라서, 장벽이 연재하는 범위를 매우 정교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당해 장벽 조정 기구(2000)를 실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당해 장벽 조정 기구(2000)는, 지지 부재와, 당해 지지 부재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상대 변위 가능하게 취부되는 것과 함께, 서로 이간하는 제1 및 제2 단부와 당해 제1 단부로부터 당해 제2 단부에 가까워지는 것에 따라 높이 레벨이 단조롭게 증가하는 상변을 가지고 또한 게임 매체의 수평 방향의 이동에 대한 장벽을 제공하는 제1 장벽을 적어도 포함하는 제1 장벽 부재와, 당해 지지 부재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상대 변위 가능하게 취부되는 것과 함께, 당해 지지 부재에 대한 수평 방향의 상대 변위를 당해 제1 장벽 부재의 수직 방향의 상대 변위로 변환하도록, 당해 제1 장벽 부재에 대하여 이차원 공간적으로 상대 변위 가능하게 취부된 조작 부재를, 적어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당해 지지 부재는, 메인 테이블(501)에 대하여 변위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1 장벽 부재는, 당해 지지 부재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상대 변위 가능하게 취부된다. 한편, 당해 조작 부재는, 당해 지지 부재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상대 변위 가능하게 취부된다. 나아가, 당해 조작 부재는, 당해 지지 부재에 대한 수평 방향의 상대 변위를 당해 제1 장벽 부재의 수직 방향의 상대 변위로 변환하도록, 당해 제1 장벽 부재에 대하여 이차원 공간적으로 상대 변위 가능하게 취부된다. 따라서, 당해 조작 부재를 당해 지지 부재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상대 변위하도록 조작하는 것으로, 당해 지지 부재에 대한 당해 제1 장벽 부재의 수직 방향의 상대 변위가 생긴다. 당해 제1 장벽 부재는, 그 제1 단부로부터 그 제2 단부에 가까워지는 것에 따라 높이 레벨이 증가하는 상변을 가진다. 당해 제1 장벽 부재가, 그 상변의 일부는 메인 테이블(501)의 레벨보다 위에 존재하고, 나머지의 부분은 메인 테이블(501)의 레벨보다 아래에 존재하도록 설치된다. 메인 테이블(501)에 대하여 변위하지 않는 당해 지지 부재에 대하여, 당해 제1 장벽 부재가 수직 방향 으로 변위하는 것으로, 메인 테이블(501)의 레벨보다 위에 존재하는 상변 부분과, 아래에 존재하는 상변 부분이 변화한다. 예를 들면, 당해 제1 장벽 부재의 레벨이 상승하면, 메인 테이블(501)의 레벨보다 위에 존재하는 상변 부분이 확대하고, 한편, 레벨보다 아래에 존재하는 상변 부분이 축소한다. 당해 제1 장벽 부재의 레벨이 하강하면, 메인 테이블(501)의 레벨보다 위에 존재하는 상변 부분이 축소하고, 한편, 레벨보다 아래에 존재하는 상변 부분이 확대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게임 장치의 관리자가, 조작 부재를 조작하여 메인 테이블(501)에 대한 제1 장벽 부재의 높이를 매우 정교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결과, 메인 테이블(501)의 양 측부에 제1 장벽 부재가 연재하는 범위를 매우 정교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해 상변은, 당해 제1 단부로부터 당해 제2 단부에 가까워지는 것에 따라 높이 레벨이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지지 부재에 대한 조작 부재의 수평 방향에서의 변위량의 변화에 대하여, 지지 부재에 대한 제1 장벽 부재의 수직 방향에서의 변위량이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결과, 지지 부재에 대한 조작 부재의 수평 방향에서의 변위량의 변화에 대하여, 메인 테이블(501)의 레벨보다 위에 존재하는 상변 부분의 범위가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이것은, 메인 테이블(501)의 측부 상에 제1 장벽 부재가 연재하는 범위를 연속적으로 미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결과, 메인 테이블(501)의 측부 상에 제1 장벽 부재가 연재하는 범위를 매우 정교하게 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당해 상변은, 당해 제1 단부로부터 당해 제2 단부에 가까워지는 것에 따라 높이 레벨이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지지 부재에 대한 조작 부재의 수평 방향에서의 변위량의 변화에 대하여, 일정한 비율로 지지 부재에 대한 제1 장벽 부재의 수직 방향에서의 변위량의 변화가 생긴다. 결과, 지지 부재에 대한 조작 부재의 수평 방향에서의 변위량의 변화에 대하여, 일정한 비율로 메인 테이블(501)의 레벨보다 위에 존재하는 상변 부분의 범위가 변화한다. 이것은, 메인 테이블(501)의 측부 상에 제1 장벽 부재가 연재하는 범위를 일정한 비율로 미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결과, 메인 테이블(501)의 측부 상에 제1 장벽 부재가 연재하는 범위를 매우 정교하게 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당해 제1 장벽 부재는, 경사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1 가이드부와, 당해 제1 가이드부에 따라서 변위하는 제1 피가이드부를 적어도 포함하는 제1 계합(係合) 기구를 통하여, 당해 조작 부재와 이차원 공간적으로 상대 변위 가능하게 취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당해 제1 계합 기구의 당해 경사 방향은, 당해 상변의 경사와 비교하여 보다 수직에 가깝다. 그렇게 하는 것으로, 당해 조작 부재의 수평 방향의 변위량에 비교하여, 메인 테이블(501)의 측부 상에 제1 장벽 부재가 연재하는 범위의 변화량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당해 제1 계합 기구의 당해 제1 가이드부는 슬릿으로 구성하고, 당해 제1 피가이드부를 돌기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당해 슬릿에 계합하는 돌기부가 당해 슬릿을 따라 변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심플한 구조로, 당해 지지 부재에 대한 당해 조작 부재의 수평 방향의 상대 변위를, 당해 지지 부재에 대한 당해 제1 장벽 부재의 수직 방향의 상대 변위로 변환하여, 결과, 메인 테이블(501)의 측부 상에 제1 장벽 부재가 연재하는 범위의 변화량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제1 계합 기구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당해 제1 장벽 부재는, 수직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2 가이드부와, 당해 제2 가이드부에 따라서 변위하는 제2 피가이드부를 적어도 포함하는 제2 계합 기구를 통하여, 당해 지지 부재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상대 변위 가능하게 취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당해 제2 가이드부를 슬릿으로 구성하고, 제2 피가이드부를 돌기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당해 슬릿에 계합하는 제2 돌기부가 당해 슬릿을 따라 변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심플한 구조로, 당해 지지 부재에 대한 당해 제1 장벽 부재의 수직 방향의 상대 변위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2 계합 기구의 제2 가이드부의 경사 방향보다도 제1 장벽의 상변의 경사 방향이 완만하다고 하는 것은, 제2 계합 기구에 의한 수직 방향의 이동량에 대하여, 제1 장벽이 연재하는 범위의 변화량을 완만하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조작 부재의 수평 방향의 입력 및 제2 계합 기구의 수직 방향에서의 이동에 대하여, 제1 장벽의 연재 범위를 정도(精度) 좋게 조정할 수 있다.
당해 조작 부재는, 수평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3 가이드부와, 당해 제3 가이드부에 따라서 변위하는 제3 돌기부를 적어도 포함하는 제3 계합 기구를 통하여, 당해 지지 부재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상대 변위 가능하게 취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당해 제3 가이드부를 슬릿으로 구성하고, 제2 피가이드부를 돌기부 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당해 슬릿에 계합하는 제3 돌기부가 당해 슬릿을 따라 변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심플한 구조로, 당해 지지 부재에 대한 당해 조작 부재의 수평 방향의 상대 변위가 가능해진다.
이하, 장벽 조정 기구(2000)에 대하여, 도 42 내지 도 4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2는 장벽 높이가 가장 낮은 상태의 장벽 조정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3은 장벽 높이가 중간 레벨 상태의 장벽 조정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4는 장벽 높이가 가장 높은 상태의 장벽 조정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2 내지 도 4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벽 조정 기구(2000)는, 지지 부재(2100)와 장벽 부재(2200)와 조작 부재(2300)를 포함한다. 장벽 조정 기구(200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 테이블(501)의 양 측부에 설치된다.
(1-7-1) 지지 부재(2100)
지지 부재(2100)는, 메인 테이블(501)에 대하여 변위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지지 부재(2100)는 틀 형상의 부재이며, 내부에 개구부(2110)를 가진다. 개구부(2110)는, 지지 부재(2100)의 하방에 있어서 개구부(2109)와 연통하고 있다. 개구부(2110)는, 메인 테이블(501)의 측방으로부터 낙하하는 게임 매체(메달M)를, 후술하는 장벽 부재(2200)의 개구부(2210)를 통하여 회수한다. 개구부(2110)에 들어간 메달M은, 한층 더 하방의 개구부(2109)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여, 도시하지 않는 회수 기구에 회수된다. 덧붙여, 개구부(2109)로부터 낙하한 메달M은, 전술한 리프트 업 호퍼(1020)와 메달 떨쳐냄부(1030)를 포함하는 메달 떨쳐냄 기구에 회수되 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지지 부재(2100)는, 메인 테이블(501)을 기준으로 하여 외측에 배치되는 측벽(2101)과, 메인 테이블(501)을 기준으로 하여 내측에 배치되는 측벽(2102)과, 메인 테이블(501)의 가장 앞쪽에서 측벽(2101)과 측벽(2102)을 연결하는 측벽(2103)과, 메인 테이블(501)의 가장 안쪽에서 측벽(2101)과 측벽(2102)을 연결하는 측벽(2104)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측벽(2101 ~ 2104)으로 둘러싸인 영역이 개구부(2110)를 형성한다.
측벽(2101)은, 그 상변으로부터 연속하여 수평 방향 외측으로 연재하는 절곡부(折曲部, 2101a)를 가지고 있다. 절곡부(2101a)의 상면에는, 대략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2111)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2101)의 저변(底邊)은, 상변보다도 짧은 수평 부분과, 수평 부분의 양측에 연속하는 경사 부분을 포함하고,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변의 수평 부분은, 양측의 경사 부분의 하단보다도 약간 상방에 형성되어 있다. 측벽(2101)의 저변의 형상은, 측벽(2102)의 저변의 형상과 동일하기 때문에, 도 42 ~ 도 44의 측벽(2102)의 저변의 형상을 참조하면 된다.
측벽(2102)의 측변(側邊) 즉 수직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은, 측벽(2101)의 측변 즉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측벽(2102)의 상변은, 측벽(2101)의 상변보다도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측벽(2102)의 저변도 측벽(2101)의 저변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측벽(2102)의 저변은, 상변보다도 짧은 수평 부분과, 수평 부분의 양측에 연속하는 경사 부분을 포함 하고,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변의 수평 부분은, 양측의 경사 부분의 하단보다도 약간 상방에 형성되어 있다. 측방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측벽(2101)의 저변과 측벽(2102)의 저변은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즉, 측방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측벽(2101)의 저변의 수평 부분과 측벽(2102)의 저변의 수평 부분이 같은 높이로 일치한다. 또한, 측방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측벽(2101)의 저변의 양측의 경사 부분도, 측벽(2102)의 저변의 경사 부분과 같은 높이로 일치한다. 측벽(2101)의 측변은 측벽(2102)의 측변보다도 길기 때문에, 측벽(2102)의 상변은 측벽(2101)의 상변보다도 하방에 배치된다.
지지 부재(2100)는, 측벽(2102)의 상변이 메인 테이블(501)의 높이와 대략 일치하도록 메인 테이블(501)의 양측 측부에 배치된다. 덧붙여, 지지 부재(2100)의 측벽(2102)의 상변의 높이는, 메인 테이블(501)의 높이보다도 약간 낮아도 무방하다.
측벽(2103)은, 메인 테이블(501)의 가장 앞쪽에 있어서, 측벽(2101)과 측벽(2102)을 연결한다. 측벽(2103)의 상변의 높이는, 측벽(2101)의 상변의 높이와 일치하고 있다. 측벽(2103)의 저변은, 측벽(2101) 및 측벽(2102)의 저변의 경사부의 상단의 높이에서, 측벽(2101)과 측벽(2102)을 연결하고 있다. 측벽(2103)의 상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재하는 슬릿(2105)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2105)은, 메인 테이블(501)의 가장 앞쪽으로부터 가장 안쪽으로 향하여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장벽 부재(2200)의 돌기부(2205)는, 슬릿(2105) 내에서 수직 방향(Y 방 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계합된다.
측벽(2104)은 측벽(2103)과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즉, 측벽(2104)은, 메인 테이블(501)의 가장 안쪽에 있어서, 측벽(2101)과 측벽(2102)을 연결한다. 측벽(2104)의 상변의 높이는, 측벽(2101)의 상변의 높이와 일치하고 있다. 측벽(2104)의 저변은, 측벽(2101) 및 측벽(2102)의 저변의 경사부의 상단의 높이에서, 측벽(2101)과 측벽(2102)을 연결하고 있다. 측벽(2104)의 상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재하는 슬릿(2106)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2106)은, 메인 테이블(501)의 가장 앞쪽으로부터 가장 안쪽으로 향하여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장벽 부재(2200)의 돌기부(2206)는, 슬릿(2106) 내에서 수직 방향(Y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계합된다.
측벽(2103)의 상부에 있어서 슬릿(2105)의 측방에는, 메인 테이블(501) 측으로 연재하는 제1 연재부(2103a)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2104)의 상부에 있어서 슬릿(2106)의 측방에는, 메인 테이블(501) 측으로 연재하는 제2 연재부(2104a)가 형성되어 있다.
연재부(2103a)와 연재부(2104a)의 사이에는, 연재부(2103a) 및 연재부(2104a)의 높이에서 메인 테이블(501)과 동일한 높이로 측벽(2102)의 상변에 당접하도록 연재하는 플랜지부(5010, 도 2 참조)가 배치된다. 플랜지부(5010)는, 메인 테이블(501)과 측벽(2102)의 상변 및 개구부(2110)를 연락하는 경로면으로서 기능한다. 연재부(2103a, 2104a)는, 플랜지부(5010)의 가장 앞쪽과 가장 안쪽에 배치되고, 메인 테이블(501)로부터 플랜지부(5010) 상을 통하여 개구부(2110)로 향하는 메달M의 경로를 규제하여, 플랜지부(5010)로부터 메달M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플랜지부(5010)는 메인 테이블(501)의 측면에 고정된다. 지지 부재(2100)는, 플랜지부(5010)에 고정되는 것으로, 메인 테이블(501)에 대하여 변위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저면(2107)은, 측벽(2101)의 저변의 가장 앞쪽의 경사부, 측벽(2103)의 저변, 측벽(2102)의 저변의 가장 앞쪽의 경사부에 연결되어 있다. 저면(2107)은, 가장 앞쪽으로부터 가장 안쪽으로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하고 있다. 저면(2108)은, 측벽(2101)의 저면의 가장 안쪽의 경사부, 측벽(2103)의 저면, 측벽(2102)의 저면의 가장 안쪽의 경사부에 연결되어 있다. 저면(2108)은, 가장 안쪽으로부터 가장 앞쪽으로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하고 있다. 저면(2107)과 저면(2108)의 사이에는, 개구부(2110)에 연통하는 개구부(2109)가 형성되어 있다.
저면(2107)과 저면(2108)은, 각각, 가장 앞쪽과 가장 안쪽으로부터 개구부(2109)로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개구부(2110)로 낙하한 메달M은, 개구부(2109)로부터 직접 하방으로 낙하하는 것과 함께, 저면(2107) 및 저면(2108)으로 낙하한 후, 부드럽게 개구부(2109)를 통하여 하방으로 낙하할 수 있다. 개구부(2110)로 낙하한 메달M이 저면(2107) 상으로 낙하한 경우, 저면(2107)이 가장 앞쪽으로부터 개구부(2109)로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하고 있기 때문에, 메달M은 저면(2107) 상을 가장 앞쪽으로부터 개구부(2109)로 향하여 부드럽게 미끄러져 떨어진다. 개구부(2110)로 낙하한 메달M이 저면(2108) 상으로 낙하한 경우, 저면(2108)이 가장 안쪽으로부터 개구부(2109)로 향하여 하방으로 경 사하고 있기 때문에, 메달M은 저면(2108) 상을 가장 안쪽으로부터 개구부(2109)로 향하여 부드럽게 미끄러져 떨어진다. 이와 같이, 저면(2107) 및 저면(2108)을 개구부(2109)로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시키는 것에 의하여, 개구부(2110)로 낙하한 메달M을 부드럽게 개구부(2109)로 이동시켜 하방으로 낙하시킬 수 있어, 이 결과, 선 놓침한 메달M의 회수를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덧붙여, 지지 부재(2100)는, 예를 들면 도 42 ~ 도 4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벽(2101), 측벽(2103), 측벽(2104), 저면(2107), 저면(2108)을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의 판을 절곡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일체로 형성된 측벽(2101), 측벽(2103), 측벽(2104), 저면(2107), 저면(2108)에 측벽(2102)을 용접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지지 부재(2100)는, 측벽(2101), 측벽(2102), 측벽(2103), 측벽(2104), 저면(2107), 저면(2108)을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의 판으로 따로따로 형성하여, 서로 용접하여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1-7-2) 장벽 부재(2200)
장벽 부재(2200)는, 지지 부재(210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상대 변위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장벽 부재(2200)는, 메인 테이블(501)을 기준으로 하여 내측에 배치되는 측벽으로 이루어지는 측벽(2201)과, 메인 테이블(501)을 기준으로 하여 외측에 배치되는 측벽(2203)과, 측벽(2201)과 측벽(2203)을 메인 테이블(501)의 가장 앞쪽에서 서로 연결하는 측벽(2204)과, 측벽(2201)과 측벽(2203)을 메인 테이블(501)의 가장 안쪽에서 서로 연결하는 측벽(2202)을 구비하고 있다.
장벽 부재(2200)는, 측벽(2201), 측벽(2202), 측벽(2203), 측벽(2204)에 둘러싸여 틀 형상의 부재를 구성하고, 측벽(2201), 측벽(2202), 측벽(2203), 측벽(2204)에 둘러싸인 영역에는 개구부(2210)가 형성된다. 개구부(2210)는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장벽 부재(2200)는, 지지 부재(2100)의 개구부(2110) 내에 있어서 지지 부재(2100)의 각 측벽(2101 ~ 2104)에 내측으로부터 당접하도록 수납되어 있다. 장벽 부재(2200)의 개구부(2210)는, 지지 부재(2100)의 개구부(2109)와 연통하고 있고, 메인 테이블(501) 상의 메달M은, 장벽 부재(2200)의 개구부(2210)를 통하여, 지지 부재(2100)의 개구부(2109)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한다.
측벽(2201)은, 지지 부재(2100)의 개구부(2110) 내에 있어서, 측벽(2101)의 내측에 접동 가능하게 당접하고 있다. 측벽(2201)의 상변은, 가장 앞쪽 단부인 제1 단부와 가장 안쪽 단부인 제2 단부를 가지고 있다. 제1 단부와 제2 단부는 서로 이간하고 있다. 측벽(2201)의 상변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에 가까워지는 것에 따라, 즉 가장 앞쪽 단부로부터 가장 안쪽 단부에 가까워지는 것에 따라, 높이 레벨이 연속적으로 단조롭게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당해 상변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에 가까워지는 것에 따라, 높이 레벨이 소정의 비율로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변의 높이 레벨이 소정의 비율로 증가하도록 형성하면, 조작 부재(2300)의 수평 방향의 이동량과 측벽(2201)의 이동량이 선형적 즉 리니어(linear)로 대응한다. 따라서, 측벽(2201)이 메인 테이블(50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양(돌출량)을 나타내는 눈금을 조작 부재(2300)의 절곡부(2302)에 설치하 는 경우에, 눈금이 등간격이 되어, 돌출량의 조정이 용이해진다. 절곡부(2302)에 눈금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메인 테이블(501)에 대하여 변위하지 않도록 기준 마커를 설치하여, 소망하는 돌출량에 따라, 절곡부(2302)의 눈금을 마커에 맞추도록 한다. 덧붙여, 메인 테이블(501)에 대하여 변위하지 않도록 눈금을 설치하고, 절곡부(2302)에 마커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에서는, 당해 상변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에 가까워지는 것에 따라, 높이 레벨이 직선 형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하였지만, 높이 레벨이 소정의 비율로 증가하는 곡선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당해 상변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에 가까워지는 것에 따라, 높이 레벨이 꺾은 선 형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당해 상변은, 높이 레벨이,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 향하여 증가한 후에, 감소하여, 중앙부에서 가장 높아지도록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당해 상변은, 복수의 개소에서 높이 레벨이 극대로 되도록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당해 상변의 형상은, 상술한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메달M의 메인 테이블(501)로부터 개구부(2210)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장벽으로 되는 형상이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서는, 제1 단부를 가장 앞쪽, 제2 단부를 가장 안쪽으로 하였지만, 이들의 위치 관계를 반대로 하여, 제1 단부를 가장 안쪽, 제2 단부를 가장 앞쪽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측벽(2201)은, 그 상변이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에 가까워지는 것에 따라 단조롭게 증가하는 형상이기 때문에, 그 상변의 일부가 메인 테이블(501)의 레벨(측벽(2101)의 상변)보다 위에 존재하고, 나머지의 부분은 메인 테이블(501)의 레 벨보다 아래에 존재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메인 테이블(501)에 대하여 변위하지 않는 지지 부재(2100)에 대하여, 측벽(2201)이 수직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으로, 메인 테이블(501)의 레벨보다 위에 존재하는 상변 부분과, 아래에 존재하는 상변 부분이 변화한다.
도 43의 상태로부터 도 44의 상태로 이행하도록, 측벽(2201)의 레벨이 상승하면, 메인 테이블(501)의 레벨보다 위에 존재하는 상변 부분이 확대하고, 한편, 레벨보다 아래에 존재하는 상변 부분이 축소한다. 이 결과, 선 놓침량이 감소하고, 페이아웃율이 높아진다.
도 43의 상태로부터 도 42의 상태로 이행하도록, 측벽(2102)의 레벨이 하강하면, 메인 테이블(501)의 레벨보다 위에 존재하는 상변 부분이 축소하고, 한편, 레벨보다 아래에 존재하는 상변 부분이 확대한다. 이 결과, 선 놓침량이 증가하고, 페이아웃율이 낮아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게임 장치의 관리자가, 조작 부재(2300)를 조작하여 메인 테이블(501)에 대한 측벽(2102)의 높이를 매우 정교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결과, 메인 테이블(501)의 양 측부에 측벽(2102)이 연재하는 범위를 매우 정교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덧붙여, 전후 방향에 있어서, 측벽(2201)이 메인 테이블(501)보다도 상방으로 연재하는 부분에 있어서도, 측벽(2201)의 높이가 메달M의 두께에 가까운 높이의 범위에서는, 메달M은 측벽(2201)을 넘어 개구부(2210)로 낙하할 수 있지만, 어느 쪽으로 하여도, 측벽(2201)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측벽(2201)이 메인 테이 블(501)보다 상방에 나타나는 영역을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메달M이 개구부(2210)로 낙하하는 양(선 놓침하는 양)을 정도 좋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일, 측벽(2201)의 상변을 수평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측벽(2201)을 상하 이동시켰다고 하여도, 측벽(2201)이 전후 방향을 따라 메인 테이블(501)의 레벨보다 위에 한결같게 존재하는지, 전혀 존재하지 않는지의 어느 한 쪽으로 된다. 장벽(2201)이 메인 테이블(501)보다 상방에 존재하는 높이가 메달M의 두께와 가까운 높이의 범위에서는, 장벽(2201)이 메인 테이블(501)보다 상방에 존재하는 높이를 조정하는 것으로, 선 놓침량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할지도 모르지만, 선 놓침량의 조정의 범위는 매우 좁은 것으로 되지 않을 수 없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측벽(2201)의 상변을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 향하여 단조롭게 높이가 증가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메인 테이블(501)과 개구부(2210)의 사이에서 장벽으로 되는 범위를 리니어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측벽(2202)은, 측벽(2201)의 가장 안쪽의 변에 연속하여 측벽(2201)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2202)은, 지지 부재(2100)의 개구부(2110) 내에 있어서, 측벽(2104)의 내측에 접동 가능하게 당접하고 있다. 측벽(2202)의 외측의 면에는, 메인 테이블(501) 측의 가장 안쪽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제2 피가이드부로서의 돌기부(220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2206)는, 지지 부재(2100)의 측벽(2104)에 형성된 제2 가이드부로서의 슬릿(2106)에 계합하여 배치된다. 돌기부(2206)는, 슬릿(2106) 내를 수직 방향(도 43의 Y 방향)으로 상대 변위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제2 가이드부로서의 슬릿(2106)과 제2 피가이드부로서의 돌기부(2206)는, 제2 계합 기구(2500)를 구성한다. 장벽 부재(2200)는, 제2 계합 기구(2500)를 통하여, 지지 부재(210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상대 변위 가능하게 취부된다.
측벽(2204)은, 측벽(2201)의 가장 앞쪽의 변에 연속하여 측벽(2201)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2204)은, 지지 부재(2100)의 개구부(2110) 내에 있어서, 측벽(2103)의 내측에 접동 가능하게 당접하고 있다. 측벽(2204)의 외측의 면에는, 메인 테이블(501) 측의 가장 앞쪽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제2 피가이드부로서의 돌기부(220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2205)는, 지지 부재(2100)의 측벽(2103)에 형성된 제2 가이드부로서의 슬릿(2105)에 계합하여 배치된다. 돌기부(2205)는, 슬릿(2105) 내를 수직 방향으로 상대 변위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제2 가이드부로서의 슬릿(2105)과 제2 피가이드부로서의 돌기부(2205)는, 제2 계합 기구(2500)를 구성한다. 장벽 부재(2200)는, 제2 계합 기구(2500)를 통하여, 지지 부재(2100)에 대하여 상대 변위 가능하게 취부된다. 구체적으로는, 돌기부(2205)가 슬릿(2105)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장벽 부재(2200)는, 지지 부재(2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한다.
제2 계합 기구(2500)는, 가장 앞쪽의 돌기부(2205) 및 슬릿(2105)과, 가장 안쪽의 돌기부(2206) 및 슬릿(2106)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계합 기구(2500)를, 가장 앞쪽의 돌기부(2205) 및 슬릿(2105)과, 가장 안쪽의 돌기부(2206) 및 슬릿(2106)으로 구성한 경우, 지지 부재(2100)에 대한 장벽 부재(2200)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계합 기구(2500) 는, 돌기부(2205) 및 슬릿(2105), 또는, 돌기부(2206) 및 슬릿(2106) 중 어느 일방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돌기부(2205) 및 슬릿(2105), 또는, 돌기부(2206) 및 슬릿(2106) 중 어느 일방으로 구성한 경우에도, 장벽 부재(2200)의 강성이 강하여, 지지 부재(2100)와 장벽 부재(2200)의 사이의 마찰이 적으면, 장벽 부재(2200)를 지지 부재(2100)에 대하여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측벽(2203)은, 측벽(2202)의 외측의 변과 측벽(2204)의 외측의 변을 연결하고 있고, 측벽(2201)에 대향하고 있다. 측벽(2203)은, 지지 부재(2100)의 개구부(2110) 내에 있어서 측벽(2101)의 내측면에 접동 가능하게 당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측벽(2203)은, 지지 부재(2100)의 측벽(2101)과 조작 부재(2300)의 측벽(2301)으로 협지(挾持)되고, 지지 부재(2100)의 측벽(2101)과 조작 부재(2300)의 측벽(2301)에 대하여, 접동 가능하게 당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측벽(2301)의 내측면에는, 메인 테이블(501) 측으로 돌출하는 제1 피가이드 부재로서의 돌기부(2207) 및 돌기부(2208)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2207) 및 돌기부(2208)는, 대략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2207)는, 조작 부재(2300)의 측벽(2301)에 경사하여 설치된 제1 가이드부로서의 슬릿(2306)에 계합하여 배치되어 있다. 돌기부(2208)는, 조작 부재(2300)의 측벽(2301)에 경사하여 설치된 제1 가이드부로서의 슬릿(2307)에 계합하여 배치되어 있다. 가장 앞쪽의 돌기부(2207) 및 슬릿(2306)과, 가장 안쪽의 돌기부(2208) 및 슬릿(2307)은 제1 계합 기구(2400)를 구성한다. 장벽 부재(2200)는, 제1 계합 기구(2400)를 통하여, 조작 부재(2300)에 대하여 이차원 공간적으로 상대 변위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장벽 부재(2200)의 돌기부(2207, 2208)는, 조작 부재(2300)의 슬릿(2306, 2307)이 수평 방향(X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슬릿(2306, 2307)의 경사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조작 부재(2300) 및 지지 부재(2100)에 대하여 Y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조작 부재(2300)의 슬릿(2306, 2307)이 X 방향을 따라 가장 안쪽으로 이동할 때(도 43으로부터 도 42로 이동할 때), 장벽 부재(2200)의 돌기부(2207, 2208)는, 조작 부재(2300) 및 지지 부재(2100)에 대하여 Y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다. 즉, 조작 부재(2300)가 X 방향을 따라 가장 안쪽으로 이동하면, 장벽 부재(2200)가 Y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다.
조작 부재(2300)의 슬릿(2306, 2307)이 X 방향을 따라 가장 앞쪽으로 이동할 때(도 43으로부터 도 44로 이동할 때), 장벽 부재(2200)의 돌기부(2207, 2208)는, 조작 부재(2300) 및 지지 부재(2100)에 대하여 Y 방향 상방으로 향하여 이동한다. 즉, 조작 부재(2300)가 X 방향을 따라 가장 앞쪽으로 이동하면, 장벽 부재(2200)가 Y 방향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상과 같이, 조작 부재(2300)의 수평 방향(X 방향)의 이동이 장벽 부재(2200)의 수직 방향(Y 방향)의 이동으로 변환된다.
(1-7-3) 조작 부재(2300)
조작 부재(2300)는, 지지 부재(210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취부된다. 조작 부재(2300)는, 그 슬릿(2305, 제3 가이드부)이 지지 부재(2100)의 돌기부(2111, 제3 피가이드부)에 계합하는 것으로, 지지 부재(2100)에 대하여 수평 방향(X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취부된다.
조작 부재(2300)는, 장벽 부재(2200)의 측벽(2203)의 내측면에 접동 가능하게 당접하는 측벽(2301)과, 측벽(2301)의 상변으로부터 연속하여 외측으로 향하여 수평으로 연재하는 절곡부(2302)를 구비하고 있다.
측벽(2301)은, 지지 부재(2100)의 개구부(2110) 내에 있어서, 측벽(2101)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장벽 부재(2200)의 측벽(2203)의 내측면에 당접하고 있다. 측벽(2301)에는, 경사 방향으로 연재하는 슬릿(2306) 및 슬릿(2307)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2306) 및 슬릿(2307)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슬릿(2306)에는 돌기부(2207)가 계합되고, 슬릿(2307)에는 돌기부(2208)가 계합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장 앞쪽의 돌기부(2207) 및 슬릿(2306)과, 가장 안쪽의 돌기부(2208) 및 슬릿(2307)은, 제1 계합 기구(2400)를 구성한다.
절곡부(2302)는, 측벽(2301)의 상변으로부터 연속하여 외측으로 향하여 연재하고 있다. 절곡부(2302)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의 판으로 측벽(2301)과 일체로 형성한 후, 절곡 가공에 의하여 형성된다. 절곡부(2302)의 가장 안쪽 단부에는, 가장 앞쪽 단부로부터 연속하여 대략 수직 상방으로 연재하는 손잡이부(2304)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2302)의 가장 앞쪽 단부에는, 가장 안쪽 단부로부터 연속하여 대략 수직 상방으로 연재하는 손잡이부(2303)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2303, 2304)는, 게임 장치(1)의 관리자 등이 조작 부재(23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손잡이부(2303) 또는 손잡이부(2304), 혹은, 손잡이부(2303) 및 손잡이부(2304)의 양방을 파지(把持)하여, 조작 부재(2300) 를 X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조작 부재(2300)의 이동을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절곡부(2302)에는, 손잡이부(2303)와 손잡이부(2304)의 사이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재하는 슬릿(2305, 제3 가이드부)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2305)에는, 지지 부재(2100)의 돌기부(2111, 제3 피가이드부)가 계합되어 있다. 돌기부(2111)는, 슬릿(2305) 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3 피가이드부로서의 돌기부(2111) 및 제3 가이드부로서의 슬릿(2305)은, 제3 계합 기구(2600)를 구성한다. 조작 부재(2300)는, 제3 계합 기구(2600)(돌기부(2111) 및 슬릿(2305))를 통하여, 지지 부재(210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상대 변위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조작 부재(2300)가 슬릿(2305)을 따라 지지 부재(2100)의 돌기부(2111)에 대하여 X 방향으로 이동하면, 슬릿(2306, 2307)이 지지 부재(2100)에 대하여 X 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릿(2306, 2307)이 지지 부재(2100)에 대하여 X 방향으로 이동하면, 돌기부(2207, 2208)가, 슬릿(2306, 2307)의 경사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조작 부재(2300) 및 지지 부재(2100)에 대하여 Y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장벽 부재(2200)의 돌기부(2205, 2206)가 각각 지지 부재(2100)의 슬릿(2105, 2106)을 따라 Y 방향으로 이동한다.
조작 부재(2300)의 슬릿(2305)을 따라 지지 부재(2100)의 돌기부(2111)에 대하여 X 방향을 따라 가장 안쪽으로 이동하면, 슬릿(2306, 2307)이 지지 부재(2100)에 대하여 X 방향을 따라 가장 안쪽으로 이동한다(도 43으로부터 도 42). 슬릿(2306, 2307)이 지지 부재(2100)에 대하여 X 방향을 따라 가장 안쪽으로 이동하면, 돌기부(2207, 2208)가, 슬릿(2306, 2307)의 경사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 는 것에 의하여, 조작 부재(2300) 및 지지 부재(2100)에 대하여 Y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장벽 부재(2200)의 돌기부(2205, 2206)가 각각 지지 부재(2100)의 슬릿(2105, 2106)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다.
조작 부재(2300)의 슬릿(2305)을 따라 지지 부재(2100)의 돌기부(2111)에 대하여 X 방향을 따라 가장 앞쪽으로 이동하면, 슬릿(2306, 2307)이 지지 부재(2100)에 대하여 X 방향을 따라 가장 앞쪽으로 이동한다(도 43으로부터 도 44). 슬릿(2306, 2307)이 지지 부재(2100)에 대하여 X 방향을 따라 가장 앞쪽으로 이동하면, 돌기부(2207, 2208)가, 슬릿(2306, 2307)의 경사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조작 부재(2300) 및 지지 부재(2100)에 대하여 Y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장벽 부재(2200)의 돌기부(2205, 2206)가 각각 지지 부재(2100)의 슬릿(2105, 2106)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상과 같이, 조작 부재(2300)의 수평 방향(X 방향)의 이동이 장벽 부재(2200)의 수직 방향(Y 방향)의 이동으로 변환된다.
슬릿(2306, 2307)은, 측벽(2102)의 상변의 경사와 비교하여 보다 수직에 가깝다. 그렇게 하는 것으로, 조작 부재(2300)의 수평 방향의 변위량에 비교하여, 메인 테이블(501)의 측부 상에 측벽(2102)이 연재하는 범위의 변화량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1-7-4) 장벽 조정 기구의 동작
도 44의 상태에 있어서, 조작 부재(2300)를 지지 부재(2100)에 대하여 X 방향 가장 안쪽으로 이동시키면, 조작 부재(2300)가 슬릿(2305)을 따라 지지 부 재(2100)의 돌기부(2111)에 대하여 X 방향 가장 안쪽으로 이동하고, 슬릿(2306, 2307)이 지지 부재(2100)에 대하여 X 방향을 따라 가장 안쪽으로 이동한다. 슬릿(2306, 2307)이 지지 부재(2100)에 대하여 X 방향 가장 안쪽으로 이동하면, 돌기부(2207, 2208)가, 슬릿(2306, 2307)의 경사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장벽 부재(2200)는, 가장 앞쪽에서는 돌기부(2205)가 슬릿(2105)에 계합하고 있고, 가장 안쪽에서는 돌기부(2206)가 슬릿(2106)에 계합하여, Y 방향을 따른 이동으로만 규제되어 있다. 따라서, 돌기부(2207, 2208)가, 슬릿(2306, 2307)의 경사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 장벽 부재(2200)는 Y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다. 돌기부(2205, 2206)는, 각각, 슬릿(2105, 2106)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측벽(2201)의 상변이 메인 테이블(501)의 측부 상에 연재하는 범위가 가장 앞쪽으로부터 감소한다.
도 42는, 조작 부재(2300)를 지지 부재(2100)에 대하여, X 방향 가장 안쪽으로 최대로 이동시킨 경우이다. X 방향 가장 안쪽으로 최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는, 측벽(2101)의 상변이 메인 테이블(501)의 측부 상에 연재하는 범위가 최소로 된다. 이때, 메인 테이블(501)로부터 개구부(2210)로 낙하하여 스테이션부(ST)가 회수하는 메달M의 양(선 놓침량)이 최대로 되고, 게임 플레이어에게 떨쳐내는 메달M이 최소로 되어, 페이아웃율이 최소로 된다.
도 43 상태에 있어서, 조작 부재(2300)를 지지 부재(2100)에 대하여 X 방향 가장 앞쪽으로 이동시키면, 조작 부재(2300)가 슬릿(2305)을 따라 지지 부재(2100)의 돌기부(2111)에 대하여 X 방향 가장 앞쪽으로 이동하고, 슬릿(2306, 2307)이 지 지 부재(2100)에 대하여 X 방향을 따라 가장 앞쪽으로 이동한다. 슬릿(2306, 2307)이 지지 부재(2100)에 대하여 X 방향 가장 앞쪽으로 이동하면, 돌기부(2207, 2208)가, 슬릿(2306, 2307)의 경사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장벽 부재(2200)는, Y 방향을 따른 이동으로만 규제되어 있다. 따라서, 돌기부(2207, 2208)가, 슬릿(2306, 2307)의 경사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면, 장벽 부재(2200)는 Y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한다. 돌기부(2205, 2206)는, 각각, 슬릿(2105, 2106)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측벽(2201)의 상변이 메인 테이블(501)의 측부 상에 연재하는 범위가 가장 안쪽으로부터 증가한다.
도 44는, 조작 부재(2300)를 지지 부재(2100)에 대하여, X 방향 가장 앞쪽으로 최대로 이동시킨 경우이다. X 방향 가장 앞쪽으로 최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는, 측벽(2101)의 상변이 메인 테이블(501)의 측부 상에 연재하는 범위가 최대로 된다. 이때, 메인 테이블(501)로부터 개구부(2210)로 낙하하여 스테이션부(ST)가 회수하는 메달M의 양(선 놓침량)이 최소로 되고, 게임 플레이어에게 떨쳐내는 메달M이 최소로 되어, 페이아웃율이 최대로 된다.
이상과 같이, 조작 부재(2300)의 지지 부재(2100)에 대한 수평 방향(X 방향)의 이동이, 장벽 부재(2200)의 지지 부재(2100)에 대한 수직 방향(Y 방향)의 이동으로 변환된다. 이 결과, 측벽(2201)의 상변이 메인 테이블(501)의 측부 상에 연재하는 범위가 변동한다.
따라서, 조작 부재(230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지시 부 재(2100)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측벽(2201)의 상변이 메인 테이블(501)의 측부 상에 연재하는 범위를 매우 정교하고 또한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그 때문에, 게임 플레이어에게 떨쳐내는 메달M과 스테이션부(ST)가 회수(선 놓침)하는 메달M의 비율(페이아웃율)을 매우 정교하고 또한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8) 볼 투입 기구(1800)
본 발명에 관련되는 게임 장치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대체로 원반 형상의 게임 매체 및 대체로 구형상의 게임 매체를 이용한다. 대체로 원반 형상의 게임 매체로서 메달M을 이용하고, 대체로 구형상의 게임 매체로서 볼B1/B2를 이용할 수 있다. 대체로 구형상의 게임 매체를 사용하여, 복수 종류의 추첨을 행한다. 이 중 한 개의 추첨은, 이하 설명하는 게임 매체 반송 경로 선택 기구에 의하여 실현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플레이 필드(500)의 영역이며 전술한 메달 투입 기구(100)에 가까운 영역을, 「가장 앞쪽 영역」이라고 부르고, 메달 투입 기구(100)로부터 먼 영역을, 「가장 안쪽 영역」이라고 칭한다.
대체로 구형상의 게임 매체를 플레이 필드(500)로 공급할 때, 푸셔부(510)의 압출 방향 측, 즉 플레이 필드(500)의 가장 앞쪽 영역으로 공급한 쪽이, 게임 플레이어에 있어서 유리하게 작용하고, 한편, 플레이 필드(500)의 압출 방향과 역방향의 측, 플레이 필드(500)의 가장 안쪽 영역으로 공급한 쪽이, 게임 플레이어에 있어서 불리하게 작용하도록 게임성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대체로 구형상의 게임 매체를 플레이 필드(500)의 가장 안쪽 영역과 가장 앞쪽 영역으로 반송하는 경로를 선택하는 기구를 이용하는 것으로, 대체로 구형상의 게임 매체를 이용한 복수의 추첨의 하나를 실현한다.
<1> 즉, 게임 매체 반송 경로 선택 기구는, 대체로 구형의 게임 매체의 재치면 및 푸셔부를 가지는 플레이 필드를 구비한 게임 장치에 적용되는 게임 매체 경로 선택 기구이며, 제1 시점(始點)과 제1 종점(終點)을 가지고, 상기 게임 매체를,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1 종점까지 반송하도록 구성한 제1 가이드부와, 제2 시점과 제2 종점을 가지고, 상기 게임 매체를, 상기 제2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2 종점까지 반송하여, 상기 플레이 필드 상에 있어서 상기 푸셔부의 압출 방향의 단부로부터 제1 거리에 있는 제1 위치로 유도하는 제2 가이드부와, 제3 시점과 제3 종점을 가지고, 상기 게임 매체를, 상기 제3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3 종점까지 반송하여, 상기 플레이 필드 상에 있어서 상기 단부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도 큰 제2 거리인 제2 위치로 유도하는 제3 가이드부와, 상기 제1 종점으로부터 상기 제2 시점까지의 제1 접속 경로와 상기 제1 종점으로부터 상기 제3 시점까지의 제2 접속 경로 중 어느 일방을 추첨에 의하여 전환하는 경로 전환 추첨 기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종점은, 예를 들면, 플레이 필드(500)의 가장 앞쪽 영역에 있고, 상기 제3 종점은, 예를 들면, 플레이 필드(500)의 가장 안쪽 영역에 있어도 무방하다. 그렇게 하는 것으로, 경로 전환 추첨 기구에 의하여 제1 가이드부의 제1 종점과 제2 가이드부의 제2 시점 사이의 반송 경로가 선택된 경우, 게임 매체는,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를 따라 반송되어, 플레이 필드(500)의 가장 앞쪽 영 역으로 공급된다. 이 상태는, 게임 플레이어에 있어서 유리한 게임 상태이다. 한편, 경로 전환 추첨 기구에 의하여 제1 가이드부의 제1 종점과 제3 가이드부의 제3 시점 사이의 반송 경로가 선택된 경우, 게임 매체는, 제1 가이드부 및 제3 가이드부를 따라 반송되어, 플레이 필드(500)의 가장 안쪽 영역으로 공급된다. 이 상태는, 게임 플레이어에 있어서 불리한 게임 상태이다.
제1 위치는, 예를 들면, 상기 플레이 필드(500) 상에 있어서 상기 푸셔부(510)의 압출 방향 측의 단부(전단(501a))로부터 제1 거리에 있고, 당해 단부에 가까운 가장 앞쪽의 영역에 있다. 제2 위치는, 예를 들면, 상기 플레이 필드(500) 상에 있어서 상기 단부(전단(501a))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도 큰 제2 거리이며, 당해 단부로부터 먼 가장 안쪽의 영역에 있다. 제1 위치는, 예를 들면, 전단(501a)으로부터 제1 거리에 있는 메인 테이블(501) 상의 위치로 할 수 있다. 제2 위치는, 예를 들면, 전단(501a)으로부터 제2 거리(>제1 거리)에 있는 메인 테이블(501) 상의 위치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를 메인 테이블(501)의 전단(501a)의 근방의 위치, 즉 가장 앞쪽의 위치로 하고, 제2 위치를 메인 테이블(501)의 전단(501a)과 반대 측의 위치, 즉 가장 안쪽의 위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경로의 전환은, 경로 전환 추첨 기구가, 제1 가이드부의 제1 종점으로부터 제2 가이드부의 제2 시점으로의 반송 경로로 게임 매체를 유도할지, 제1 가이드부의 제1 종점으로부터 제2 가이드부의 제2 시점으로의 반송 경로로 게임 매체를 유도할지를 추첨에 의하여 결정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게임 플레이어에 있어서 유리한 게임 상태를 실현하는 플레이 필드 상의 제1 위치로 대체로 구형상의 게임 매체를 반송하는 경로(제1 및 제2 가이드부로 이루어지는 경로)와, 게임 플레이어에 있어서 불리한 게임 상태를 실현하는 플레이 필드 상의 위치로 대체로 구형상의 게임 매체를 반송하는 경로(제1 및 제3 가이드부로 이루어지는 경로)를, 경로 전환 추첨 기구에 의한 추첨에 의하여 전환하는 것으로, 대체로 구형상의 게임 매체를 플레이 필드 상의 게임 플레이어에게 유리 또는 불리한 위치로 반송하는 추첨, 즉 게임 매체의 플레이 필드 상으로의 반송 위치를 선택하는 추첨을 행할 수 있다. 대체로 구형상의 게임 매체를 사용한 복수 종류의 추첨 중 한 개의 추첨을, 경로 전환 추첨 기구를 이용하여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게임 매체 반송 경로 선택 기구는, 상기 제1 시점에 존재하는 상기 게임 매체의 계지 및 해방을 행하는 계지 해방 기구와, 상기 계지 및 해방의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경로의 전환은 경로 전환 추첨 기구(1810)가 행하지만, 이 경로 전환 추첨 기구(1810)에 의하여 제2 가이드부(1825) 및 제3 가이드부(1826) 중 어느 쪽으로 게임 매체가 옮겨질지의 문제는, 계지 해방 기구(1809)에 의한 게임 매체의 해방의 타이밍에 의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경로 전환 추첨 기구(1810)는, 게임 매체가 상기 제1 종점(1804)에 도달하였을 때의 타이밍에 의존하여, 경로 전환 추첨 기구(1810)가 반송 경로를 자동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한다. 이 구성은, 예를 들면, 경로 전환 추첨 기구(1810)를 일정한 주기로 반송 경로를 자동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계지 해방 기구(1809)에 의한 게임 매체의 해방의 타이밍은, 조작부(1830)의 계지 및 해방의 조작에 의존한다. 이 조작은, 게임 플레이어가 행하기 때문에, 결국, 반송 경로의 전환은, 게임 플레이어의 조작에 의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계지/해방 기구(1809)에 의한 해방에 의하여 게임 매체가 경사 레일부(1801)를 전동하여, 그 후, 원호상(圓弧狀) 저부(1804)로부터 게임 매체가 제1 전동부(1820) 또는 제2 전동부로 낙하한다. 계지 해방 기구(1809)에 의한 게임 매체의 해방의 타이밍에 의하여, 게임 매체의 반송 위치의 추첨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게임 매체의 반송 위치의 추첨 결과를, 계지/해방 기구(1809)에 의한 게임 매체의 해방의 타이밍에 의존시킬 수 있다. 또한, 계지/해방 기구(1809)의 계지 및 해방을 행하는 조작부(1830)가 설치되어 있고, 당해 조작부(1830)를 게임 플레이어가 조작한다. 따라서, 게임 플레이어의 조작에 의한 게임 매체의 해방의 타이밍이, 게임 매체의 반송 위치의 추첨 결과에 영향을 주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게임 매체의 반송 위치의 추첨 결과를, 게임 플레이어의 조작에 의한 게임 매체의 해방의 타이밍에 의존시킬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게임 매체 반송 경로 선택 기구는, 이하와 같은 개략 구성을 가져도 무방하다. 즉, 게임 매체 반송 경로 선택 기구는, 경사 레일부(1801)와 왕복 운동 받이부(1820)와 제2 가이드부(1825)와 제3 가이드부(1826)를 적어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당해 경사 레일부(1801)는, 전술의 제1 가이드부에 상당하고, 당해 왕복 운동 받이부(1820)는, 전술의 경로 전환 추첨 기구에 상당 한다.
제1 가이드부로서의 경사 레일부(1801)는, 시단부(1802)와, 상기 시단부(1802)보다 낮은 레벨을 가지는 종단부(1803)와, 상기 종단부(1803)의 근방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종단부(1803)보다 낮은 레벨을 가지는 원호상 저부(1804)를 가지는 것과 함께, 대체로 구형상의 게임 매체를, 중력을 이용하여 상기 시단부(1802)로부터 상기 종단부(1803)로 향하여 전동시켜, 최종적으로 상기 원호상 저부(1804)로 유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경로 전환 추첨 기구로서의 왕복 운동 받이부(1820)는, 상기 원호상 저부(1804)의 제1 측부(1804a)의 근방 영역(1804b)을, 상기 경사 레일부(1801)가 연재하는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것과 함께, 상기 근방 영역(1804b) 내이며 상기 제1 측부(1804a)에 인접하는 제1 영역에서, 상기 원호상 저부(1804)의 상기 제1 측부(1804a)로부터 굴러 떨어진 상기 게임 매체를 받아들이는 확률을 높이고, 상기 근방 영역(1804b) 내이며 또한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영역에서는, 상기 제1 측부(1804a)로부터 굴러 떨어지는 상기 게임 매체를 받아들이지 않고 떨어뜨리는 확률을 높이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왕복 운동 받이부(1820)의 왕복 운동은, 일정 주기로 자동적으로 요동하는 운동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대체로 구형상의 게임 매체를 사용한 추첨에 있어서, 게임 플레이어가 경사 레일부(1801)에 게임 매체를 투입하는 타이밍에 추첨 결과가 의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왕복 운동은, 부정 주기 혹은 랜덤으로 요동하는 운동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대체로 구형상의 게임 매체를 사용한 추첨의 추첨 결과가, 게임 플레이어가 경사 레일부(1801)에 게임 매체를 투입하는 타이밍에 의존하는 정도를 저하시켜, 보다 갬블성을 높인 추첨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왕복 운동 받이부(1820)가 상기 근방 영역(1804b) 내이며 또한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영역에 있을 때, 상기 원호상 저부(1804)의 상기 제1 측부(1804a)로부터 옆으로 굴러 떨어질 확률이 높아지고, 상기 왕복 운동 받이부(1804)에 의하여 받아들여지지 않고 떨어진 상기 게임 매체는, 상기 제3 가이드부(1826)를 통하여 상기 제2 위치까지 반송될 확률이 높아진다.
상기 원호상 저부(1804)는, 상기 제1 측부(1804a)로 향하여 경사하는 제1 경사부(1804-1)를 더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최종적으로 원호상 저부(1804)로 유도된 게임 매체(B1/B2)를 제1 경사부(1804-1)로부터 제1 측부로 향하여 굴러 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경사 레일부(1801)는, 상기 원호상 저부(1804)를 중심으로 하여 대체로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만곡부(彎曲部)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 레일부(1801)가, 원호상 저부(1804)를 중심으로 하여 대체로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만곡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게임 매체(B1/B2)는 원호상 저부(1804)를 중심으로 하여 감쇠 요동 운동하여, 최종적으로는, 레벨이 가장 낮은 원호상 저부(1804)에서 운동 에너지가 거의 없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경사 레일부(1801)의 시단부(1802)로부터 투입된 게임 매체(B1/B2)가 최종적으로 원호상 저부(1804)로 유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3> 본 발명에 관련되는 게임 매체 반송 위치 추첨 기구는, 대체로 구형의 게임 매체(B1/B2)의 재치면(501, 511) 및 푸셔부(510)를 가지는 플레이 필드(500)를 구비한 게임 장치(1)에 적용되는 게임 매체 반송 위치 추첨 기구이며, 시단부(1802)와, 상기 시단부(1802)보다 낮은 레벨을 가지는 종단부(1803)와, 상기 종단부(1803)의 근방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종단부(1803)보다 낮은 레벨을 가지는 원호상 저부(1804)를 가지는 것과 함께, 상기 게임 매체를, 중력을 이용하여 상기 시단부(1802)로부터 상기 종단부(1803)로 향하여 전동시켜, 최종적으로 상기 원호상 저부(1804)로 유도하도록 구성한 제1 가이드부로서의 경사 레일부(1801)와, 상기 원호상 저부(1804)의 제1 측부(1804a)의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원호상 저부(1804)의 상기 제1 측부(1804a)로부터 굴러 떨어진 상기 게임 매체를 전출하는 제1 전출부 및 제2 전출부와, 상기 제1 전출부에 연통하고, 상기 게임 매체를, 상기 플레이 필드(500) 상에 있어서 상기 푸셔부(510)의 압출 방향 측의 단부(전단(501a))로부터 제1 거리에 있는 제1 위치로 유도하는 제2 가이드부(1825)와, 상기 제2 전출부에 연통하고, 상기 게임 매체를, 상기 플레이 필드(500) 상에 있어서 상기 단부(전단(501a))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도 큰 제2 거리인 제2 위치로 유도하는 제3 가이드부(1826)를 포함한다.
제1 위치는, 예를 들면, 상기 플레이 필드(500) 상에 있어서 상기 푸셔부(510)의 압출 방향 측의 단부(전단(501a))로부터 제1 거리에 있고, 당해 단부에 가까운 가장 앞쪽의 영역에 있다. 제2 위치는, 예를 들면, 상기 플레이 필드(500) 상에 있어서 상기 단부(전단(501a))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도 큰 제2 거리이고, 당해 단부로부터 먼 가장 안쪽의 영역에 있다. 제1 위치는, 예를 들면, 전단(501a)으로부터 제1 거리에 있는 메인 테이블(501) 상의 위치로 할 수 있다. 제2 위치는, 예를 들면, 전단(501a)으로부터 제2 거리(>제1 거리)에 있는 메인 테이블(501) 상의 위치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를 메인 테이블(501)의 전단(501a)의 근방의 위치, 즉 가장 앞쪽의 위치로 하고, 제2 위치를 메인 테이블(501)의 전단(501a)과 반대 측의 위치, 즉 가장 안쪽의 위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경사 레일부(1801)는, 시단부(1802) 및 종단부(1803)보다도 낮은 레벨의 원호상 저부(1804)를 가지고, 게임 매체는 최종적으로 원호상 저부(1804)로 유도된다. 즉, 시단부(1802)로부터 종단부(1803)로 향하여 중력에 의하여 전동을 개시한 게임 매체는, 원호상 저부(1804) 부근에서 시단부 측과 종단부 측을 왕복하는 감쇠 운동을 하여 최종적으로 원호상 저부(1804)로 유도된 후, 제1 전출부인 왕복 운동 받이부(1820) 또는 제2 전출부인 왕복 운동 받이부(1820) 외 중 어느 한 쪽으로 굴러 떨어진다. 제1 전출부는, 게임 매체를 제2 가이드부(1825)로 전출하여, 플레이 필드(500) 상의 제1 위치로 유도하고, 제2 전출부는, 게임 매체를 제3 가이드부(1826)로 전출하여, 플레이 필드(500) 상의 제2 위치로 유도한다. 게임 매체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 중 어느 쪽으로 공급될지는, 원호상 저부(1804)의 제1 측부로부터 게임 매체가 제1 전출부(1820) 또는 제2 전출부 중 어느 쪽으로 굴러 떨어질지에 의존한다. 따라서, 게임 매체가 왕복 운동 받이부(1820)로 굴러 떨어질지 여부 즉 제1 전출부(1820) 또는 제2 전출부 중 어느 쪽으로 굴러 떨어질지에 의하 여, 게임 플레이어에 있어서 유리한 게임 상태를 실현하는 플레이 필드(500) 상의 제1 위치로 대체로 구형상의 게임 매체를 반송할지, 게임 플레이어에 있어서 불리한 게임 상태를 실현하는 플레이 필드(500) 상의 제2 위치로 대체로 구형상의 게임 매체를 반송할지를, 추첨할 수 있다.
<4> 게임 매체 반송 위치 추첨 기구는, 왕복 운동 받이부(1820)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왕복 운동 받이부(1820)는, 상기 원호상 저부(1804)의 제1 측부(1804a)의 근방 영역(1804b)을, 상기 경사 레일부(1801)가 연재하는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것과 함께, 상기 근방 영역(1804b) 내이며 상기 제1 측부(1804a)에 인접하는 제1 영역에서, 상기 원호상 저부(1804)의 상기 제1 측부(1804a)로부터 굴러 떨어진 상기 게임 매체를 받아들이고, 상기 근방 영역(1804b) 내이며 또한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영역에서는, 상기 제1 측부(1804a)로부터 굴러 떨어지는 상기 게임 매체를 받아들이지 않고 떨어뜨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가이드부(1825)는, 상기 왕복 운동 받이부(1820)가, 상기 근방 영역(1804b) 내이며 또한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에 있을 때에, 상기 왕복 운동 받이부(1820) 내의 게임 매체를, 상기 제1 위치까지 반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가이드부(1826)는, 상기 왕복 운동 받이부(1820)가 상기 근방 영역(1804b) 내이며 또한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영역에 있을 때, 상기 원호상 저부(1804)의 상기 제1 측부(1804a)로부터 옆으로 굴러 떨어져, 상기 왕복 운동 받이부(1820)에 의하여 받아들여지지 않고 떨어진 상기 게임 매체를, 상기 제2 위치까지 반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는, 왕복 운동 받이부(1820)는, 제1 영역에 있을 때에 원호상 저부(1804)의 제1 측부(1804a)로부터 게임 매체의 반입을 받아, 게임 매체를 제2 가이드부(1825)로 전출하는 것으로, 제1 전출부를 구성한다. 또한, 게임 매체가 상기 왕복 운동 받이부(1820)에 받아들여지지 않고 낙하하여, 제3 가이드부(1826)로 전출되는 경로, 즉, 왕복 운동 받이부(1820)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의 상기 근방 영역(1804b)이, 제2 전출부를 구성한다.
<5> 상기 원호상 저부(1804)는, 상기 제1 측부(1804a)로 향하여 경사하는 제1 경사부(1804-1)를 더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최종적으로 원호상 저부(1804)로 유도된 게임 매체(B1/B2)를 제1 경사부(1804-1)로부터 제1 측부(1804a)로 향하여 굴러 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6> 상기 경사 레일부는, 상기 원호상 저부를 중심으로 하여 대체로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 레일부(1801)는, 상기 원호상 저부(1804)를 중심으로 하여 대체로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 레일부(1801)가, 원호상 저부(1804)를 중심으로 하여 대체로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만곡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게임 매체(B1/B2)는 원호상 저부(1804)를 중심으로 감쇠 요동 운동하여, 최종적으로는, 레벨이 가장 낮은 원호상 저부(1804)에서 운동 에너지가 거의 없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경사 레일부(1801)의 시단부(1802)로부터 투입된 게임 매체(B1/B2)가 최종적으로 원호상 저부(1804)로 유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7> 상기 게임 매체 반송 위치 추첨 기구는, 상기 시단부에 설치되고, 상 기 게임 매체가 상기 경사 레일부를 상기 종단부로 향하여 전동하도록, 상기 게임 매체의 계지 및 해방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제어 기구에 의한 해방에 의하여 게임 매체가 경사 레일부(1801)를 전동하여, 그 후 원호상 저부(1804)로부터 게임 매체가 제1 전동부 또는 제2 전동부로 낙하한다. 제1 제어 기구에 의한 게임 매체의 해방의 타이밍에 의하여, 게임 매체의 반송 위치의 추첨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게임 매체의 반송 위치의 추첨 결과를, 제1 제어 기구에 의한 게임 매체의 해방의 타이밍에 의존시킬 수 있다.
상기 게임 매체 반송 위치 추첨 기구는, 상기 제1 제어 기구를 조작하는 제1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임 플레이어가 제1 조작부를 조작하는 것으로, 제1 제어 기구에 의한 게임 매체의 해방의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게임 플레이어의 조작에 의한 게임 매체의 해방의 타이밍이, 게임 매체의 반송 위치의 추첨 결과에 영향을 주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게임 매체의 반송 위치의 추첨 결과를, 게임 플레이어의 조작에 의한 게임 매체의 해방의 타이밍에 의존시킬 수 있다.
제1 조작부는, 상기 제1 제어 기구로부터 이간하고 또한 상기 제1 제어 기구에 전기적 혹은 기계적으로 작용 결합하는 것과 함께, 상기 계지 및 릴리스 동작을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제어 기구는, 제1 조작부에 의하여 원격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1 제어 기구와 제1 조작부는 이간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경사 레일부(1801)로의 게임 매체 투입 위치와, 게임 플레이어의 플레이 위치를 반드시 접근하여 배치할 필요는 없고, 경사 레일부(1801) 및 제1 조작부의 배치를 자유롭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8> 상기 왕복 운동은, 일정 주기로 자동적으로 요동하는 운동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대체로 구형상의 게임 매체를 사용한 추첨을, 게임 플레이어가 경사 레일부에 게임 매체를 투입하는 타이밍에 추첨 결과가 의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왕복 운동은, 부정 주기 혹은 랜덤으로 요동하는 운동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대체로 구형상의 게임 매체를 사용한 추첨을, 게임 플레이어가 경사 레일부에 게임 매체를 투입하는 타이밍에 의존하는 정도를 저하시켜, 보다 갬블성을 높인 추첨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볼 투입 기구(1800)에 대하여, 도 45 및 도 46을 참조하여,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5는 볼 투입 기구(1800)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46은 볼 투입 기구(1800)의 요부 구성도이다.
대체로 구형상의 게임 매체는 볼B1/B2로 실현할 수 있다. 볼 투입 기구(1800)는, 제1 가이드부로서의 경사 레일부(1801)와, 경로 전환 추첨 기구로서의 볼 투입 위치 추첨 기구(1810)를 포함한다. 즉, 전술의 경사 레일부는 경사 레일부(1801)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경사 레일부(1801)는, 시단부(1802)와, 당해 시단부(1802)보다 낮은 레벨을 가지는 종단부(1803)와, 종단부(1803)의 근방에 위치하고 또한 종단부(1803)보다 낮은 레벨을 가지는 원호상 저부(1804)와, 시단부(1802)와 원호상 저부(1804)의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부(1805)와, 시단부(1802)로부터 종단부(1803)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재하는 제1 측벽(1806)과, 원호상 저 부(1804)의 근방을 제외하고 시단부(1802)로부터 종단부(1803)에 걸쳐 연재하는 제2 측벽(1807)과, 종단부(1803)에 위치하는 종단벽(1808)을 가진다. 제1 측벽(1806)과 제2 측벽(1807)은, 경사 레일부(1801)가 연재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각의 방향 즉 경사 레일부(1801)의 측부 방향에 있어서 볼B1/B2를 구속하면서, 시단부(1802)로부터 원호상 저부(1804)까지 확실히 반송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또한, 원호상 저부(1804)는, 플레이 필드(500) 측(메인 테이블(501) 측)으로 노출하는 제1 측부(1804a)를 가지고, 제1 측부(1804a)로 향하여 경사하는 제1 경사부(1804-1)를 가진다.
시단부(1802)에는, 볼B1/B2의 계지 및 해방 동작을 제어하는 계지 해방 기구로서의 계지/릴리스 동작 제어 기구(1809)를 설치한다. 계지/릴리스 동작 제어 기구(1809)는, 구체적으로는, 시단부(1802)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상방으로 향하여 돌출한 볼 멈춤 핀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볼 멈춤 핀은, 구명 내로부터 돌출 및 당해 구멍 내로 끌어들이는 것이 가능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계지/릴리스 동작 제어 기구(1809)로부터 이간하고 또한 계지/릴리스 동작 제어 기구(1809)에 전기적 혹은 기계적으로 작용 결합하는 것과 함께, 계지 및 릴리스 동작을 원격 제어하는 계지/릴리스 조작부(1830)를 설치한다. 이 계지/릴리스 조작부(1830)는, 예를 들면, 도 4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달 배출 경로(400)의 조작부(450)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계지/릴리스 조작부(1830)는, 누름 버튼(1830)에 의하여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임 플레이어가 누름 버튼(1830)을 누를 때까지는, 볼B1/B2는, 볼 멈춤 핀 에 의하여 계지되어, 시단부(1802)에 머무른다. 게임 플레이어가 누름 버튼(1830)을 누르면, 볼 멈춤 핀이 구멍 내로 끌어들여지고, 볼B1/B2가 릴리스되어, 시단부(1802)로부터 경사부(1805)를 중력에 의하여 굴러 떨어진다. 볼B1/B2는, 경사부(1805)를 구르는 것으로 운동 에너지를 가지기 때문에, 원호상 저부(1804)를 통과하여, 종단부(1803)의 종단벽(1808)에 충돌하고, 역방향으로 굴러, 원호상 저부(1804)를 역방향으로 통과한다. 그 후, 경사부(1805)의 하부 영역에서 운동 에너지가 0으로 되어, 그 다음은, 순방향 즉 종단부(1803)로 향하여 구르기 시작한다. 경사 레일부(1801)는, 원호상 저부(1804)를 중심으로 하여 대체로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만곡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볼B1/B2는 원호상 저부(1804)를 중심으로 하여 감쇠 요동 운동을 한다. 최종적으로는, 레벨이 가장 낮은 원호상 저부(1804)에서 운동 에너지가 거의 없어지게 된다. 원호상 저부(1804)는, 전술한 경사 레일부(1801)의 제1 측부(1804a)(플레이 필드(500) 측의 측부)로 향하여 경사하는 제1 경사부(1804-1)를 가지기 때문에, 운동 에너지가 거의 없어진 볼B1/B2는, 제1 경사부(1804-1)로부터 제1 측부(1804a)로 향하여 굴러 떨어진다.
도 45 및 도 4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왕복 운동 받이부(1820)는, 원호상 저부(1804)의 근방 영역(1804b)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근방 영역(1804b)은, 경사 레일부(1801)의 메인 테이블(501) 측을 따라 인접하는 영역이며, 전후 방향이 측벽(1823)과 측벽(1824)에 의하여 구획된다. 근방 영역(1804b)은, 원호상 저부(1804)의 제1 측부(1804a)에 인접하는 제1 영역과, 제1 영역의 가장 앞쪽에 측벽(1823)까지 연재하는 영역과, 제1 영역의 가장 안쪽에 측벽(1824)까지 연재하는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왕복 운동 받이부(1820)는, 원호상 저부(1804)의 제1 측부(1804a)에 인접하는 제1 영역과, 제1 영역의 가장 앞쪽에 측벽(1823)까지 연재하는 영역과, 제1 영역의 가장 안쪽에 측벽(1824)까지 연재하는 영역을, 경사 레일부(1801)의 연재 방향을 따라, 일정 주기로 자동적으로 요동하는 왕복 운동 받이부(1820)는, 상기 근방 영역(1804b) 내이며 또한 제1 측부(1804a)에 인접하는 제1 영역에서, 원호상 저부(1804)의 제1 측부(1804a)로부터 굴러 떨어진 볼B1/B2를 고확률로 받아들인다. 즉, 왕복 운동 받이부(1820)가 원호상 저부(1804)에 인접하는 제1 영역에 있는 경우에, 왕복 운동 받이부(1820)는, 원호상 저부(1804)로부터 굴러 떨어진 볼B1/B2를 받아들이기 쉽다.
왕복 운동 받이부(1820)는, 상기 근방 영역(1804b) 내이며 또한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영역에서는, 즉, 제1 영역의 가장 앞쪽에 측벽(1823)까지 연재하는 영역, 또는, 제1 영역의 가장 안쪽에 측벽(1824)까지 연재하는 영역에 있는 경우에, 고확률로 원호상 저부(1804)의 제1 측부(1804a)로부터 굴러 떨어지는 볼B1/B2를 받아들이지 않고 떨어뜨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왕복 운동 받이부(1820)에 받아들여지지 않은 볼B1/B2는, 제2 반송로(1826, 제3 가이드부)의 전동면(1826-1) 상으로 낙하하여, 제4 반송로(1828)를 통하여 메인 테이블(501)의 가장 안쪽으로 공급된다. 왕복 운동 받이부(1820)는, 그 내부 공간을 제1 반송로(1825, 제2 가이드부)와 연통시키고 있다. 제2 영역은 제1 영역과는 다른 영역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영역은, 왕복 운동 받이부(1820)가 측벽(1823)에 가장 가까워진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왕복 운동 받이부(1820)는, 제1 영역에서 원호상 저부(1804)로부터 볼 B1/B2를 고확률로 받아, 제2 영역에서 제1 반송로(1825, 제2 가이드부)로 볼B1/B2를 전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왕복 운동 받이부(1820)는, 원호상 저부(1804)로부터 볼B1/B2를 전출하는 제1 전출부로서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왕복 운동 받이부(1820)가 없는 경우의 제1 영역은, 볼B1/B2를 받아들이지 않고 제2 반송로(1826)의 전동면(1826-1)으로 전출하는 제2 전출부로서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왕복 운동 받이부(1820)는, 소정의 일점(一點)에서, 원호상 저부(1804)로부터 볼B1/B2를 받는 것이 아니라, 제1 영역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복수의 위치에서 원호상 저부(1804)로부터 볼B1/B2를 받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왕복 운동 받이부(1820)는, 소정의 일점에서, 제1 반송로(1825)로 볼B1/B2를 전출하는 것이 아니라, 제2 영역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복수의 위치에서 제1 반송로(1825)로 볼B1/B2를 전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덧붙여, 왕복 운동 받이부(1820)는,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일점에서, 원호상 저부(1804)로부터 볼B1/B2를 받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왕복 운동 받이부(1820)는,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일점에서, 제1 반송로(1825)로 볼B1/B2를 전출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왕복 운동 받이부(1820)는, 볼 받아들임 구멍부(1821)와 볼받이 용기(1822)로 구성된다. 볼 받아들임 구멍부(1821)는, 볼B1/B2가 통과 가능한 구멍이 형성된 틀 형상의 부재이며, 일 측면에 레일 계합부(1821-1)를 가지고 있다. 볼받이 용기(1822)는, 측벽(1823, 1824)에 면한 2개의 측벽과 저부로 획정된 공간에, 볼 받 아들임 구멍부(1821)를 통하여 볼B1/B2를 받아들인다. 저부는, 제1 반송로(1825)의 방향으로 약간 경사하고 있다. 즉, 저부는, 메인 테이블(501) 측으로 향하여 약간 경사하고 있다. 저부의 경사에 의하여, 볼받이 용기(1822)로 들어간 볼B1/B2는, 메인 테이블(501) 측으로 굴러 떨어지려고 하는 힘이 작용한다. 볼받이 용기(1822)의 내부 공간은 제1 반송로(1825)와 연통하고 있고, 볼받이 용기(1822)의 저부가 제1 반송로(1825)로 향하여 기울어 있기 때문에, 볼 받아들임 구멍부(1821)로 전입한 볼은 볼받이 용기(1822)를 경유하여 제1 반송로(1825)로 향하여 전출된다. 가장 앞쪽의 측벽(1823)과 가장 안쪽의 벽(1824)의 사이에는, 레일(1820-1)이 설치되어 있다. 볼 받아들임 구멍부(1821)는, 레일 계합부(1821-1)에서 레일(1820-1)에 계합하고 있고, 왕복 운동 받이부(1820)는 레일(1820-1)을 따라 왕복 운동한다.
제1 반송로(1825)는 제3 반송로(1827)와 연통하고 있다. 제3 반송로(1827)는, 메인 테이블(501)의 가장 앞쪽의 위치까지 연재하고, 볼B1/B2를 메인 테이블(501)의 가장 앞쪽으로 공급한다. 이것은, 게임 플레이어에 있어서 유리한 게임 상태를 형성한다.
제1 반송로(1825, 제2 가이드부)는, 왕복 운동 받이부(1820)가 왕복 운동하고 있는 영역 중 측벽(1823) 측의 영역,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영역에 메인 테이블 측에서 인접한 영역을 시점으로 하고, 당해 시점으로부터 가장 앞쪽으로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하면서 연재하는 전동면(1825-1)과, 전동면(1825-1)의 가장 안쪽 단부에 설치된 벽(1825-2)과, 전동면(1825-1)의 메인 필드 측에 설치된 측벽(1825-3)과, 전동면(1825-1)의 가장 앞쪽을 덮는 커버(1825-4)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반송 로(1825)는, 나아가, 도 4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면(1825-1)의 선단 측에 있어서, 전동면(1825-1)보다도 아래의 레벨에 설치된 전동면(1825-5)을 가진다. 제1 반송로(1825)는, 전동면(1825-1)의 가장 안쪽 단부를 시점으로 하고, 전동면(1825-5)을 종점으로 하여, 왕복 운동 받이부(1820)로부터 받아들인 볼B1/B2를 가장 안쪽으로부터 가장 앞쪽으로 향하여 반송한다. 제1 반송로(1825)에 의하여 반송된 볼B1/B2는, 제3 반송로(1827)에 받아 넘겨진다.
제3 반송로(1827)는, 메인 테이블(501)의 가장 앞쪽에 있어서, 전동면(1825-5)의 종점을 시점으로 하여, 메인 테이블(501)의 중앙부까지 연재하는 레일 부분과, 레일 부분의 선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종점으로서의 볼 받아들임 고리로 구성되어 있다. 레일 부분으로부터 볼 받아들임 고리로 향하여 메인 테이블(501) 측 즉 하방으로 향하여 경사하고 있다. 레일 부분의 간격은, 볼B1/B2가 메인 테이블(501)로 낙하하지 않고, 그 위를 이동하여 볼 받아들임 고리까지 반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볼 받아들임 고리에 도달한 볼B1/B2는, 볼 받아들임 고리를 통과하여 메인 테이블(501)로 낙하한다.
제2 반송로(1826, 제3 가이드부)는, 왕복 운동 받이부(1820)가 왕복 운동하고 있는 영역의 하방 및 제1 반송로(1825)의 하방으로 연재하는 전동면(1826-1)과, 메인 테이블(501)의 가장 안쪽에 있어서, 메인 테이블(501)보다도 위의 레벨에서, 메인 테이블(501)로 향하여 개구하는 토출구(1826-2)를 가진다. 전동면(1826-1)은, 전체적으로 토출구(1826-2)로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하고 있다. 전동면(1826-1)의 가장 앞쪽에는, 가장 앞쪽으로부터 가장 안쪽으로 향하여 경사 레일부(1801) 측으 로부터 메인 테이블(501) 측으로 경사하여 연재하는 측벽(1826-3)이 설치되어 있다. 전동면(1826-1)의 가장 안쪽에는, 벽(1824)의 하부에서 인접하는 것과 함께, 메인 테이블(501) 측으로 돌출하는 측벽(1826-4)이 설치되어 있다. 전동면(1826-1), 측벽(1826-3, 1826-4)에 의하여, 볼B1/B2를 토출구(1826-2)로 향하여 반송한다. 제2 반송로(1826)는, 왕복 운동 받이부(1820)가 왕복 운동하고 있는 영역의 하방, 즉 경사 레일부(1801)의 측부의 하방을 시점으로 하고, 토출구(1826-2)를 종점으로 하여 볼B1/B2를 반송한다.
제4 반송로(1828)는, 메인 테이블(501) 가장 안쪽에 있어서, 제2 반송로(1826)의 토출구(1826-2)의 하방으로부터 메인 테이블(501) 가장 안쪽의 중앙 부분까지 연재하는 레일 부분에 의하여 구성된다. 제4 반송로(1828)는, 제2 반송로(1826)의 토출구(1826-2)의 하방을 시점으로 하고, 메인 테이블(501)의 가장 안쪽 중앙 부분을 종점으로 하여 볼B1/B2를 반송한다.
왕복 운동 받이부(1820)는, 구체적으로는, 측벽(1823, 1824)의 사이, 상기 근방 영역(1804b)를 거의 일정한 주기로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왕복 운동하는 영역인 근방 영역(1804b)은, 원호상 저부(1804)의 제1 측부(1804a)에 인접하는 제1 영역과, 제1 영역의 가장 앞쪽에 측벽(1823)까지 연재하는 영역과, 제1 영역의 가장 안쪽에 측벽(1824)까지 연재하는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볼B1/B2가 제1 경사부(1804-1)로부터 굴러 떨어졌을 때에, 왕복 운동을 하고 있는 왕복 운동 받이부(1820)가 제1 경사부(1804-1)에 인접하는 제1 영역에 있으면, 볼B1/B2가 당해 왕복 운동 받이부(1820)에 의하여 고확률로 받 아들여진다. 왕복 운동 받이부(1820)는 도 4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반송로(1825)와 연통하고, 도 4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B1/B2가 제1 반송로(1825) 및 제3 반송로(1827)를 통하여, 메인 테이블(501)의 가장 앞쪽으로 공급된다. 이것은, 게임 플레이어에 있어서 유리한 게임 상태를 형성한다.
한편, 볼B1/B2가 제1 경사부(1804-1)로부터 굴러 떨어졌을 때에, 왕복 운동을 하고 있는 왕복 운동 받이부(1820)가 볼B1/B2를 받아들 일 수 없으면, 볼B1/B2는 왕복 운동 받이부(1820)가 왕복 운동하고 있는 레벨보다 아래의 레벨로 연재하는 제2 반송로(1826)의 전동면(1826-1)으로 떨어진다. 그리고 볼B1/B2는, 제2 반송로(1826) 및 제4 반송로(1828)를 통하여 메인 테이블(501)의 가장 안쪽으로 공급된다. 이것은, 게임 플레이어에 있어서 불리한 게임 상태를 형성한다.
게임 플레이어에 있어서 유리한 게임 상태를 실현하는 플레이 필드(500) 상의 가장 앞쪽의 위치로 볼B1/B2를 반송하는 경로(경사 레일부(1801), 왕복 운동 받이부(1820) 및 제1 반송로(1825)로 이루어지는 경로)와, 게임 플레이어에 있어서 불리한 게임 상태를 실현하는 플레이 필드(500) 상의 가장 안쪽으로 볼B1/B2를 반송하는 경로(경사 레일부(1801) 및 제2 반송로(1826)로 이루어지는 경로)를, 볼 투입 추첨 기구(1810)에 의한 추첨에 의하여 전환한다. 이것에 의하여, 볼B1/B2를 플레이 필드(500) 상의 게임 플레이어에게 유리 또는 불리한 위치로 반송하는 추첨, 즉, 볼B1/B2의 플레이 필드(500) 상으로의 반송 위치를 선택하는 추첨을 행할 수 있다. 대체로 구형상의 게임 매체를 사용한 복수 종류의 추첨 중 한 개의 추첨을, 볼 투입 추첨 기구(1810)를 이용하여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경사 레일부(1801)는, 시단부(1802) 및 종단부(1803)보다도 낮은 레벨의 원호상 저부(1804)를 가지고, 게임 매체는 최종적으로 원호상 저부(1804)로 유도된다. 즉, 시단부(1802)로부터 종단부(1803)로 향하여 중력에 의하여 전동을 개시한 게임 매체는, 원호상 저부(1804) 부근에서 시단부 측과 종단부 측을 왕복하는 감쇠 운동을 하여 최종적으로 원호상 저부(1804)로부터 왕복 운동 받이부(1820)로 받아지거나, 받아지지 않고 낙하한다. 왕복 운동 받이부(1820)에 받아진 볼B1/B2는, 제1 반송로(1825)를 통하여 플레이 필드(500)의 가장 앞쪽으로 유도된다. 한편, 왕복 운동 받이부(1820)에 받아지지 않고 낙하한 볼B1/B2는, 제2 반송로(1826)에 받아져, 플레이 필드(500)의 가장 안쪽으로 유도된다. 볼B1/B2가 플레이 필드의 가장 앞쪽 또는 가장 안쪽 중 어느 쪽으로 공급될지는, 원호상 저부(1804)의 제1 측부(1804a)로부터 볼B1/B2가 왕복 운동 받이부(1820)에 받아졌는지 여부에 의존한다. 따라서, 시단부(1802) 및 종단부(1803)보다도 낮은 레벨에 배치된 원호상 저부(1804)를 구비한 경사 레일부(1801)와, 원호상 저부(1804)의 제1 측부의 근방에 배치된 왕복 운동 받이부(1820)와, 왕복 운동 받이부(1820)에 연통하는 제1 반송로(1825) 및 왕복 운동 받이부(1820)에 받아지지 않고 낙하하는 볼B1/B2를 받는 제2 반송로(1826)를 이용하여, 원호상 저부(1804)의 제1 측부(1804a)로부터 볼B1/B2가 어느 쪽의 전출부로 굴러 떨어질지에 의하여, 게임 플레이어에 있어서 유리한 게임 상태를 실현하는 플레이 필드(500)의 가장 앞쪽으로 볼B1/B2를 반송할지, 게임 플레이어에 있어서 불리한 게임 상태를 실현하는 플레이 필드(500)의 가장 안쪽으로 볼B1/B2를 반송할지를, 추첨할 수 있다. 즉, 원호상 저부(1804)의 제1 측 부(1804a)로부터 볼B1/B2가 왕복 운동 받이부(1820)에 받아지는지 여부에 의하여, 볼B1/B2의 플레이 필드(500) 상으로의 반송 위치를 선택하는 추첨을 행할 수 있다. 대체로 구형상의 게임 매체를 사용한 복수 종류의 추첨 중 한 개의 추첨을, 경사 레일부(1801), 왕복 운동 받이부(1820)를 이용하여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경로의 전환은 볼 투입 추첨 기구(1810)가 행하지만, 이 볼 투입 추첨 기구(1810)에 의하여 제1 반송로(1825) 또는 제2 반송로(1826) 중 어느 쪽으로 볼B1/B2가 옮겨질지의 문제는, 계지/릴리스 동작 제어 기구(1809)에 의한 볼B1/B2의 해방의 타이밍에 의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볼 투입 추첨 기구(1810)는, 볼B1/B2가 종단벽(1808)에 도달하였을 때의 타이밍에 의존하여 반송 경로를 자동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한다. 계지/릴리스 동작 제어 기구(1809)에 의한 볼B1/B2의 해방의 타이밍이, 볼B1/B2의 반송 위치의 추첨 결과에 영향을 주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게임 매체의 반송 위치의 추첨 결과를, 계지/릴리스 동작 제어 기구(1809)에 의한 볼B1/B2의 해방의 타이밍에 의존시킬 수 있다.
이 경우, 1809에 의한 볼B1/B2의 해방의 타이밍은, 계지/릴리스 조작부(1830)의 계지 및 해방의 조작에 의존하는 게임 플레이어에 의한 계지/릴리스 조작부(1830)의 조작이, 볼B1/B2의 반송 위치의 추첨 결과에 영향을 주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볼B1/B2의 반송 위치의 추첨 결과를, 게임 플레이어의 조작에 의존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볼B1/B2의 반송 경로의 전환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직접 조작시키는 것이 아니라, 계지/릴리스 제어 기구(1809)에 의한 볼B1/B2의 릴리스의 타이밍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조작시키도록 구성하여, 반송 경로의 전환(반송 위치의 선택)을 게임 플레이어의 조작에 의존시키는 것과 함께, 릴리스 후의 볼B1/B2의 반송 경로를 볼 투입 추첨 기구(1810)에 의하여 추첨되도록 구성하여, 반송 경로의 전환(반송 위치의 선택)이 우연성을 수반하도록 하였다. 이것에 의하여, 볼B1/B2의 반송 경로의 전환(반송 위치의 선택)을 게임 플레이어의 조작에 의존시키면서, 우연성을 수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대체로 구형상의 게임 매체를 사용한 복수 종류의 추첨 중 한 개의 추첨을, 경로 전환 추첨 기구를 이용하여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볼B1/B2의 전동 방향의 우연성에 의한 추첨 기구에 의하여, 볼B1/B2를 플레이 필드(500) 상에 있어서의 푸셔부(510)의 압출 방향 측의 단부(전단(501a))로부터 가까운 제1 위치로 반송할지, 먼 제2 위치으로 반송할지 전환할 수 있어, 게임 플레이어에 있어서 유리한 게임 상태를 형성할지 불리한 게임 상태를 형성할지 추첨에 의하여 전환할 수 있다.
(1-9) 게임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되는 게임의 구체예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종류의 유기 매체(메달M 및 볼B1 및 볼B2)를 이용하는 것으로, 푸셔 게임 외에, 디지털 추첨 게임과 2가지의 빙고 게임을 제공한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는, 볼B1을 제1 추첨 매체라고도 말하며, 볼B2를 제2 추첨 매체라고도 말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볼B1 또는 B2를 이용한 빙고 게임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볼B1이나 B2 등의 추첨 매체를 이용한 추첨 게임(이것을 제1 추첨 게임이라고도 말한다)이면 어떤 것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9-1) 디지털 추첨 게임
우선,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되는 디지털 추첨 게임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상 및 빗나감 중에서 어느 한 쪽을 전기적으로 추첨하는 것으로 당선시키는 디지털 추첨 게임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상에는, 예를 들면, 빅 보너스A 상, 빅 보너스B 상, 볼B1 상A, 볼B1 상B, 볼B2 상A, 볼B2 상B, 소역A 상 및 소역B 상 등을 포함하게 할 수 있다. 덧붙여, 「전기적으로 추첨한다」란, 소프트적으로 난수를 발생하여, 발생한 난수에 따라 미리 대응지어 둔 상을 특정하는 일련의 동작을 가리킨다.
도 47(a)는 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추첨 게임 중에 게임 플레이어에게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7(b)는 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추첨 게임에서 사용되는 도안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47(c)은 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추첨 게임에 있어서의 각 상에 할당한 통지 범위를 도시하는 테이블이다.
우선, 도 4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추첨 게임에서는, 예를 들면 7개의 매스(w1 ~ w7)로 이루어지는 가변 표시부를 디스플레이(701)에 표시한다. 각 매스(w1 ~ w7)는, 도 4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도안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표시한다.
각 매스(w1 ~ w7)에 표시되는 도안에는, 예를 들면 도 4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빅 보너스A 상에 대응지어진 빅 보너스A 도안과, 빅 보너스B 상에 대응지 어진 빅 보너스B 도안과, 볼B1 상A에 대응지어진 볼B1 상A 도안과, 볼B1 상B에 대응지어진 볼B1 상B 도안과, 볼B2 상A에 대응지어진 볼B2 상A 도안과, 볼B2 상B에 대응지어진 볼B2 상B 도안과, 소역A 상에 대응지어진 소역A 도안과, 소역B 상에 대응지어진 소역B 도안이 존재한다.
여기서, 빅 보너스A 상은, 예를 들면, 스테이션부(ST)의 플레이 필드(500)로 소정 매수(예를 들면 30매)의 메달M을 떨쳐내고, 또한, 게임 상태를 통상 게임 상태로 하는 상(이것을 제5 상이라고도 말한다)으로 할 수 있다. 빅 보너스B 상은, 예를 들면, 스테이션부(ST)의 플레이 필드(500)로 소정 매수(예를 들면 30매)의 메달M을 떨쳐내고, 또한, 게임 상태를 확률 변동 게임 상태로 하는 상(이것을 제6 상이라고도 말한다)으로 할 수 있다.
볼B1 상A는, 예를 들면, 비금속인 볼B1을 스테이션부(ST)의 볼 투입 기구(1800)(구체적으로는 경사 레일부(1801))로, 볼 캐리어(1520)를 이용하여 떨쳐내는 상(이것을 제3 상이라고도 말한다)으로 할 수 있다. 볼B1 상B는, 예를 들면, 비금속인 볼B1을 새틀라이트부(SA)의 볼 투입 기구(1600)(구체적으로는 받이 접시(1610))로, 볼 캐리어(1520)를 이용하여 떨쳐내는 상으로 할 수 있다.
볼B2 상A는, 예를 들면, 금속인 볼B2를 스테이션부(ST)의 볼 투입 기구(1800)(구체적으로는 경사 레일부(1801))로, 볼 캐리어(1520)를 이용하여 떨쳐내는 상(이것을 제4 상이라고도 말한다)으로 할 수 있다. 볼B2 상B는, 예를 들면, 금속인 볼B2를 새틀라이트부(SA)의 볼 투입 기구(1600)(구체적으로는 받이 접시(1610))로, 볼 캐리어(1520)를 이용하여 떨쳐내는 상으로 할 수 있다.
소역A 상은, 예를 들면, 스테이션부(ST)의 플레이 필드(500)로 소정 매수(예를 들면 8매)의 메달M을 떨쳐내는 상으로 할 수 있다. 소역B 상은, 예를 들면, 스테이션부(ST)의 플레이 필드(500)로 소정 매수(예를 들면 3매)의 메달M을 떨쳐내는 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가변 표시부에서는, 매스(w1 ~ w7) 중 예를 들면 3개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라인(L1 ~ L3)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적인 추첨의 결과, 상술의 상 중 어느 한 쪽에 당선한 경우, 당선한 상에 대응지어진 도안을, 라인(L1 ~ L3) 중 어느 한 쪽 상(上)의 모든 매스에 표시한다. 따라서, 게임 플레이어는, 어느 한 쪽의 라인(L1 ~ L3) 상에 동일한 도안이 갖추어지는 것으로, 이 도안과 대응하는 상에 당선하였다고 알 수 있다.
또한, 각 상 또는 빗나감의 추첨은, 예를 들면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에 있어서 실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제어부(600)는, 소정의 수치 범위 내(예를 들면 0에서 4095의 범위)에서 난수를 발생하여, 이 수치를 포함하는 당선 범위에 대응지어진 상 또는 빗나감을 특정하도록 동작한다. 여기서, 도 47(c)에, 통상 모드(이것을 제1 게임 상태라고도 말한다) 및 확률 변동 모드(이것을 제2 게임 상태라고도 말한다) 각각에 있어서의 당선 범위와 상 또는 빗나감과의 대응의 일례를 나타낸다. 다만, 이 추첨은 새틀라이트부(SA)의 도시하지 않는 제2 제어부에 있어서 실행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701)의 오른쪽 아래에, 현재의 게임 상태가 표시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701)의 왼쪽 아래에, 디지털 추첨 게임의 권리가, 앞으로 몇 회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것을 스톡이라고 한다)가 표시된다.
다음으로, 디지털 추첨 게임의 주된 흐름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8은 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추첨 게임의 주된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덧붙여, 본 설명에서는,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에 있어서 디지털 추첨 게임을 실행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
도 4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는, 디지털 추첨 게임을 개시하면, 매스(w1 ~ w7)에 표시 중인 도안을 랜덤 또는 규칙적으로 도 47(b)에 도시하는 도안 중 어느 한 쪽으로 변경하는 처리(이것을 릴 회전 처리라고 한다)를 개시한다(스텝 S101).
다음으로, 제1 제어부(600)는, 소정의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난수를 발생시킨다(스텝 S102). 다음으로, 제1 제어부(600)는, 예를 들면 도 47(c)에 도시하는 대응 관계를 이용하는 것으로, 발생한 난수가 어느 쪽의 상 또는 빗나감에 대응지어져 있는지를 특정한다(스텝 S103). 즉, 추첨에 의하여 당선한 상 또는 빗나감을 특정한다.
다음으로, 제1 제어부(600)는, 당선한 상 또는 빗나감 혹은 발생한 난수에 기초하여, 가변 표시부의 각 매스(w1 ~ w7)에 표시하는 도안의 조합을 특정한다(스텝 S104).
다음으로, 제1 제어부(600)는, 특정한 도안의 조합이 각 매스(w1 ~ w7)에 표시되도록, 각 매스(w1 ~ w7)에 있어서의 도안의 가변 표시를 정지하는 처리(이것을 릴 정지 처리라고 한다)를 실행한다(스텝 S105).
(1-9-2) 빙고 게임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되는 빙고 게임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금속제의 볼B1을 이용하는 빙고 게임과, 금속제의 볼B2를 이용하는 빙고 게임의 2가지의 빙고 게임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한다.
도 49는 본 실시예에 의한 빙고 게임에 있어서의 추첨을 행할 때에 사용하는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와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를 위로부터 본 도면이다. 상술에도 있는 바와 같이, 볼 투입 기구(1600)에 있어서의 받이 접시(1610) 또는 받이 접시(1620)는, 게임 플레이어로부터 지시받은 타이밍으로, 자신에게 세트된 볼B1 또는 B2를 볼 투입 경로(1110) 또는 볼 투입 경로(1210)로 각각 투입한다. 투입된 볼B1 또는 B2는, 볼 투입 경로(1110) 또는 볼 투입 경로(1210)를 내려갈 때에 가속도를 얻은 후,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 또는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로 투입된다.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의 외주에는, 투입된 볼B1이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가드 레일(1120)이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에 예를 들면 OS1 ~ OS10의 합계 10개의 입상 스폿(1101)을 설치하고 있다. 나아가, 각 입상 스폿(1101)의 주위에는, 볼B1을 부드럽게 어느 한 쪽의 입상 스폿(1101)으로 진입시키기 위하여, 파임부(1102)가 설치된다. 따라서, 투입된 볼B1은, 관성에 의하여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를 주회 후, 파임부(1102)에 의하 여 빨아들여지도록, OS1 ~ OS10 중 어느 한 쪽의 입상 스폿(1101)으로 진입한다. 각 입상 스폿(1101)에는 도시하지 않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볼B1이 진입하면, 이 센서로부터 제2 제어부로, 어느 쪽의 입상 스폿(1101)으로 볼B1이 진입하였는지가 통지된다.
마찬가지로,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의 외주에는, 투입된 볼B2가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가드 레일(1220)이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에 예를 들면 IS1 ~ IS5의 합계 5개의 입상 스폿(1201)을 설치하고 있다. 나아가, 각 입상 스폿(1201)의 주위에는, 볼B2를 부드럽게 어느 한 쪽의 입상 스폿(1201)으로 진입시키기 위하여, 파임부(1202)가 설치된다. 따라서, 투입된 볼B2는, 관성에 의하여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를 주회 후, 파임부(1202)에 의하여 빨아 들어지도록, IS1 ~ IS5 중 어느 한 쪽의 입상 스폿(1201)으로 진입한다. 각 입상 스폿(1201)에는 도시하지 않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볼B2가 진입하면, 이 센서로부터 제2 제어부로, 어느 쪽의 입상 스폿(1201)으로 볼B2가 진입하였는지가 통지된다.
덧붙여, OS1 ~ OS10의 합계 10개의 입상 스폿(1101)에는, 1부터 9의 번호 중 어느 한 쪽을 당선으로 하는 상 또는 후술하는 특별상(이것을 잭포트상이라고 한다)에 도전하는 게임(이것을 잭포트 게임이라고 한다)을 행할 권리를 주는 상(이것을 잭포트 도전상이라고 한다)이 각각 할당되어 있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는, 1부터 9의 번호가 당선하는 상을 제1 상이라고도 말하고, 잭포트 도전상이나 잭포트상 등과 같은 다른 상이 당선하는 상을 제2 상이라고도 말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추첨 매체인 볼B1을 이용하여 제1 상과 제2 상 중 어느 한 쪽을 추첨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소정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회전판(이것을 제1 회전판이라고도 말한다)과, 이 제1 회전판에 설치되고, 볼B1이 진입 가능한 복수의 입상 스폿(1101)(이것을 제1 입상 스폿이라고도 말한다)을 가지는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이것을 제1 추첨 필드라고 말한다)를 예로 들고, 제2 추첨 매체인 볼B2를 이용하여 제1 상과 제2 상 중 어느 한 쪽을 추첨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1 회전판과 같은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회전판(이것을 제2 회전판이라고도 말한다)과, 이 제2 회전판에 설치되고, 볼B2가 진입 가능한 복수의 입상 스폿(1201)(이것을 제2 입상 스폿이라고도 말한다)을 가지는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이것을 제2 추첨 필드라고도 말한다)를 예로 들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상 중에서 제1 또는 제2 추첨 매체를 이용하여 어느 한 쪽의 상을 추첨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면, 어떤 것도 적용할 수 있다.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는, 각 입상 스폿(1101)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볼B1의 진입이 통지되면, 해당하는 입상 스폿(1101)에 1 ~ 9 중 어느 하나의 번호 또는 잭포트 도전상 중 어느 쪽이 할당되어 있는지를 특정하고, 특정한 번호 또는 잭포트 도전상을 당선으로 한다. 여기서, 번호가 할당되어 있었던 경우, 제2 제어부는, 당선한 번호를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에 통지한다. 또한, 잭포트가 할당되어 있었던 경우, 제2 제어부는, 당선한 게임 플레이어에게 잭포트 게임을 제공한다. 덧붙여, 잭포트상이란, 이것에 당선한 게임 플레이어의 플레이 필드(500)에, 비교적 대량, 예를 들면 수100매의 메달M을 떨쳐내는 상이다. 이 잭포 트상을 추첨하는 잭포트 게임은, 예를 들면 기계적인 추첨 게임이나 전기적인 추첨 게임으로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잭포트 도전상을 어느 한 쪽의 입상 스폿(1101)에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잭포트상을 어느 한 쪽의 입상 스폿(1101)에 할당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IS1 ~ IS5의 합계 5개의 입상 스폿(1201)에는, 1부터 9의 번호 중 예를 들면 어느 2개 또는 잭포트 도전상이 각각 할당되어 있다.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는, 각 입상 스폿(1201)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볼B2의 진입이 통지되면, 해당하는 입상 스폿(1201)에 1 ~ 9 중 어느 하나의 번호 또는 잭포트 도전상 중 어느 쪽이 할당되어 있는지를 특정하고, 특정한 번호 또는 잭포트 도전상을 당선으로 한다. 여기서, 번호가 할당되어 있었던 경우, 제2 제어부는, 당선한 모든 번호를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에 통지한다. 또한, 잭포트가 할당되어 있었던 경우, 제2 제어부는, 당선한 게임 플레이어에게 잭포트 게임을 제공한다.
이러한 상(제1 상 및 제2 상)과 입상 스폿(1101) 및 입상 스폿(1201)과의 대응 관계는,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에 있어서 관리되고 있다. 즉, 제2 제어부는, 제1 입상 스폿(1101) 및 제2 입상 스폿(1201) 각각에 제1 상 또는 제2 상을 대응짓는 상 대응짓기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 50은 본 실시예에 의한 빙고 게임에서 사용하는 빙고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빙고 테이블은, 예를 들면 합계 9개의 매스가 3×3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구성을 가지고 있고, 각 매스에 캐릭터로서 1부터 9 중 어느 하나의 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다만, 이 구성에 한정하지 않 고, 예를 들면 합계 16개의 매스가 4×4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구성이나, 합계 25개의 매스가 5×5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구성 등, 여러 가지의 구성을 가지는 빙고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빙고 테이블에서는, 세로, 가로 및 경사 방향으로 배열된 매스를 조합하는 것으로, L11 ~ L18의 합계 8개의 라인이 형성된다. 각 라인(L11 ~ L18)에는, 메달M의 떨쳐냄이나 볼B1 또는 B2의 떨쳐냄 등, 여러 가지의 상이 할당되어 있다. 제2 제어부로부터 당선한 번호가 통지되면, 제1 제어부(600)는, 이 번호가 할당되어 있는 매스를 특정하고, 이 매스를 강조 표시한다. 또한, 라인(L11 ~ L18)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있어서, 라인 상의 모든 매스가 당선 번호로 된 경우, 해당하는 라인에 할당되어 있는 상을 특정하고, 이것을 당선으로 한다. 그 후, 당선한 상에 따라서 메달M의 떨쳐냄이나 볼B1 또는 B2의 떨쳐냄 등, 여러 가지의 배당을 행한다. 덧붙여, 본 예에서는, 빙고 게임에 있어서 1 ~ 9의 번호를 추첨의 대상으로서 사용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동물이나 인물 등의 도안이나 알파벳 등, 여러 가지의 캐릭터를 추첨의 대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은 빙고 테이블은, 예를 들면 새틀라이트부(SA)에 있어서의 제2 제어부에 있어서 각 스테이션부(ST)마다 생성되어 배신된다. 이 흐름을 도 5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는, 후술하는 잭포트상에 게임 플레이어 중 어느 한 쪽이 당선하였는지 여부를 상시 감시한다(스텝 S201). 어느 한 쪽의 게임 플레이어가 잭포트상에 당선하면(스텝 S201의 Yes), 제2 제어부는, 각 스테이션부(ST)마다 빙고 테이블을 생성하고(스텝 S202), 이것을 스테이션부(ST) 각각으로 배신한다(스텝 S203). 덧붙여, 빙고 테이블을 수신한 각 스테이션부(SA)의 제1 제어부(600)는, 수신한 빙고 테이블을 이미지화하고, 이것을 표시부(700)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701)의 소정의 영역에 표시한다.
(1-9-3) 게임 전체
다음으로, 상술한 디지털 추첨 게임 및 빙고 게임을 포함하는 일련의 게임 전체의 흐름을,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2 내지 도 60은, 이때의 제1 제어부(600)의 및 제2 제어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본 동작에서는, 우선, 푸셔부(510)가 표시부(700)에 설치된 수납부(720)를 출입하도록 슬라이드 운동하면, 푸셔부(510) 상부의 서브 테이블(511) 상에 저류된 메달M이, 이 서브 테이블(511)로부터 푸셔부(510)의 경사 테이블(512)로 낙하한다. 이때, 낙하한 메달M이 경사 테이블(512)에 설치된 체커(515-1, 515-2, 515-3) 중 어느 한 쪽으로 진입하면, 이것이 체커(515-1, 515-2, 515-3)에 각각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다. 센서는, 메달M의 진입을 검출하면, 이것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이 신호를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에 통지한다. 덧붙여, 체커(515-1, 515-2, 515-3)로의 메달M의 진입을 검출하는 센서는, 온/오프 스위치 등을 이용한 접촉형의 센서여도, 적외선 등을 이용한 비접촉형의 센서여도 무방하다. 또한, 이 센서는 체커(515-1, 515-2, 515-3)의 가장 가까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는, 도 5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느 한 쪽의 체커(515-1, 515-2, 515-3)에 있어서 메달M의 진입이 검출되면(스텝 S131), 도시하지 않는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한 개 인크리멘트(increment)한다(스텝 S132). 덧붙여, 이 카운터는, 제1 제어부(600)에 있어서 소프트적으로 형성된 카운터여도, 하드적으로 짜넣어진 카운터여도 무방하다. 이하, 이 카운터를 체커 카운터라고 한다.
또한, 제1 제어부(600)는, 도 5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시, 체커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감시한다(스텝 S111). 그래서 카운트값이 0 이상인 경우(스텝 S111의 No), 제1 제어부(600)는, 카운트값을 한 개 디크리멘트(decrement)한 후(스텝 S112), 상술한 디지털 추첨 게임을 1회 실행한다(스텝 S113). 이와 같이, 스텝 S113을 실행하는 제1 제어부(600) 및 스텝 S113에 있어서 제어 및 구동하는 각 부는, 제2 추첨 게임인 디지털 추첨 게임을 실행하는 제2 추첨 게임 실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 스텝을 제8, 제10, 제12 또는 제15 스텝이라고도 말한다.
다음으로, 제1 제어부(600)는, 디지털 추첨 게임의 추첨 결과가 빗나감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14의 Yes). 이 결과, 추첨 결과가 빗나감이었을 경우(스텝 S114의 Yes), 제1 제어부(600)는 스텝 S111로 귀환한다.
한편, 스텝 S114의 판정의 결과, 추첨 결과가 빗나감이 아닌 경우(스텝 S114의 No), 제1 제어부(600)는, 다음으로, 추첨 결과가 빅 보너스A의 당선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15). 이 결과, 추첨 결과가 빅 보너스A의 당선인 경우(스텝 S115의 Yes), 제1 제어부(600)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리프트 업 호퍼(300)와 메달 배출부(330)를 구동하는 것으로, 당선한 매수(예를 들면 30매)의 메달M을 플 레이 필드(500)로 떨쳐내 것(스텝 S116)과 함께, 다음 게임 이후의 디지털 추첨 게임이 통상 모드에서 실행되도록 설정하고(스텝 S117), 그 후, 스텝 S111로 귀환한다. 다만, 당선한 메달M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리프트 업 호퍼(1020)와 메달 떨쳐냄부(1030)를 구동하는 것으로 직접 게임 플레이어에게 떨쳐내져도 무방하다. 또한, 통상 모드에서는, 상술에도 있는 바와 같이, 각 상의 당선 확률이 확률 변동 모드 중의 당선 확률보다도 낮다(도 47(c) 참조). 또한, 통상 모드에서는, 예를 들면, 플레이 필드(500)의 메인 테이블(501)에 설치된 가이드부(530R, 530L)의 메달 가이드판(533)이, 메인 테이블(501)의 상면 아래에 수납된 상태로 된다. 나아가, 통상 모드에서는, 예를 들면, 푸셔부(510)의 경사 테이블(512)에 출입 가능하게 설치된 메달 가이드판(516, 도 4 참조)이 경사 테이블(512)의 상면 아래에 수납된 상태로 된다. 여기서, 메달 가이드판(516)은, 경사 테이블(512)에 설치된 어느 한 쪽의 체커(예를 들면 체커(515-2))로 진입하기 쉬워지도록, 서브 테이블(511)로부터 경사 테이블(512)로 낙하한 메달M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 상세한 구성은, 예를 들면 메인 테이블(501)에 설치된 가이드부(530R, 530L)를 적용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스텝 S115의 판정의 결과, 추첨 결과가 빅 보너스A의 당선이 아닌 경우(스텝 S115의 No), 제1 제어부(600)는, 다음으로, 추첨 결과가 빅 보너스B의 당선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18). 이 결과, 추첨 결과가 빅 보너스B의 당선인 경우(스텝 S118의 Yes), 제1 제어부(600)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리프트 업 호퍼(300)와 메달 배출부(330)를 구동하는 것으로, 당선한 매수(예를 들면 30매)의 메달M을 플레이 필드(500)로 떨쳐내는 것(스텝 S119)과 함께, 다음 게임 이후의 디지털 추첨 게임이 확률 변동 모드에서 실행되도록 설정하고(스텝 S120), 그 후, 스텝 S111로 귀환한다. 다만, 당선한 메달M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리프트 업 호퍼(1020)와 메달 떨쳐냄부(1030)를 구동하는 것으로 직접 게임 플레이어에게 떨쳐내져도 무방하다. 또한, 확률 변동 모드에서는, 상술에도 있는 바와 같이, 각 상의 당선 확률이 통상 모드 중의 당선 확률보다도 높다(도 47(c) 참조). 또한, 확률 변동 모드에서는, 예를 들면, 플레이 필드(500)의 메인 테이블(501)에 설치된 가이드부(530R, 530L)의 메달 가이드판(533)이, 메인 테이블(50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된다. 나아가, 확률 변동 모드에서는, 예를 들면, 푸셔부(510)의 경사 테이블(512)에 출입 가능하게 설치된 메달 가이드판(516, 도 4 참조)이 경사 테이블(51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된다.
한편, 스텝 S118의 판정의 결과, 추첨 결과가 빅 보너스B의 당선이 아닌 경우(스텝 S118의 No), 제1 제어부(600)는, 다음으로, 추첨 결과가 볼B1 상A 또는 볼B2 상A의 당선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21). 이 결과, 추첨 결과가 볼B1 상A 또는 볼B2 상A의 당선인 경우(스텝 S121의 Yes), 제1 제어부(600)는, 자신을 구비한 스테이션부(ST)로 당선한 볼B1 또는 B2를 떨쳐낼 것을 새틀라이트부(SA)에 요구하고(스텝 S122), 그 후, 스텝 S111로 귀환한다.
한편, 스텝 S121의 판정의 결과, 추첨 결과가 볼B1 상A 또는 볼B2 상A의 당선이 아닌 경우(스텝 S121의 No), 제1 제어부(600)는, 추첨 결과가 볼B1 상B 또는 볼B2 상B의 당선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23). 이 결과, 추첨 결과가 볼B1 상B 또는 볼B2 상B의 당선인 경우(스텝 S123의 Yes), 제1 제어부(600)는, 당선한 볼B1 또는 B2를 새틀라이트부(SA)의 볼 투입 기구(1600)로 직접 떨쳐낼 것을 요구하고(스텝 S124), 그 후, 스텝 S111로 귀환한다.
한편, 스텝 S123의 판정의 결과, 추첨 결과가 볼B1 상B 또는 볼B2 상B의 당선이 아닌 경우(스텝 S123의 No), 제1 제어부(600)는, 추첨 결과가 소역A 상의 당선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25). 이 결과, 추첨 결과가 소역A 상의 당선인 경우(스텝 S125의 Yes), 제1 제어부(600)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리프트 업 호퍼(300)와 메달 배출부(330)를 구동하는 것으로, 당선한 매수(예를 들면 8매)의 메달M을 플레이 필드(500)로 떨쳐내고(스텝 S126), 그 후, 스텝 S111로 귀환한다. 다만, 당선한 메달M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리프트 업 호퍼(1020)와 메달 떨쳐냄부(1030)를 구동하는 것으로 직접 게임 플레이어에게 떨쳐내져도 무방하다.
한편, 스텝 S125의 판정의 결과, 추첨 결과가 소역A 상의 당선이 아닌 경우(스텝 S125의 No), 제1 제어부(600)는, 추첨 결과가 소역B 상의 당선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27). 이 결과, 추첨 결과가 소역B 상의 당선인 경우(스텝 S127의 Yes), 제1 제어부(600)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리프트 업 호퍼(300)와 메달 배출부(330)를 구동하는 것으로, 당선한 매수(예를 들면 2매)의 메달M을 플레이 필드(500)로 떨쳐내고(스텝 S128), 그 후, 스텝 S111로 귀환한다. 다만, 당선한 메달M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리프트 업 호퍼(1020)와 메달 떨쳐냄부(1030)를 구동하는 것으로 직접 게임 플레이어에게 떨쳐내져도 무방하다.
또한, 스텝 S127의 판정의 결과, 추첨 결과가 소역B 상의 당선도 아닌 경우 (스텝 S127의 No), 제1 제어부(600)는 에러로 판정하고(스텝 S129), 그 후, 스텝 S111로 귀환한다. 이때, 제1 제어부(600)가, 에러 통지 등을 소정의 관리 서버로 송신하거나, 디스플레이(701)에 에러 표시를 행하거나 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것에 대하여,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는, 도 5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53의 스텝 S122에 있어서 제1 제어부(600)로부터 자신을 구비한 스테이션부(ST)로 당선한 볼B1 또는 B2를 떨쳐낼 것이 요구되었는지 여부를 상시 감시한다(스텝 S211). 제1 제어부(600)로부터 자신을 구비한 스테이션부(ST)로 당선한 볼B1 또는 B2를 떨쳐낼 것이 요구되면(스텝 S211의 Yes), 제2 제어부는, 요구된 볼이 볼B1인지 볼B2인지를 판정한다(스텝 S212).
스텝 S212의 판정의 결과, 요구된 볼이 볼B1인 경우(스텝 S212의 Yes), 제2 제어부는, 볼을 반송하기 위한 소정의 반송 경로로서 기능하는 볼 반송 경로(1500)에 있어서의 볼 캐리어(1520, 도 3 참조)를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볼 공급 기구(1300, 도 3 참조)로 이동시킨 후(스텝 S213), 볼 공급 기구(1300)로부터 볼B1을 배출시키는 것으로, 볼 공급 기구(1300)로부터 볼 캐리어(1520)로 볼B1을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14).
다음으로, 제2 제어부는, 볼 캐리어(1520)를 해당하는 스테이션부(ST)의 볼 투입 기구(1800)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15), 볼 캐리어(1520)를 볼 투입 기구(1800) 측으로 기울이는 것으로, 볼 캐리어(1520)로부터 볼 투입 기구(1800)의 경사 레일부(1801)(도 2 또는 도 46 참조)로 볼B1을 받아 넘 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16). 그 후, 제2 제어부는 스텝 S211로 귀환한다. 덧붙여, 경사 레일부(1801)로 받아 넘겨진 볼B1은, 경사 레일부(1801)에 설치된 계지/릴리스 동작 제어 기구(1809, 도 46 참조)에 의하여 계지되는 것으로, 이것의 상단인 시단부(1802, 도 46 참조)에 일시 정지된다.
한편, 스텝 S212의 판정의 결과, 요구된 볼이 볼B2인 경우(스텝 S212의 No), 제2 제어부는, 볼 캐리어(1520)를 볼 공급 기구(1400, 도 3 참조)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17), 볼 공급 기구(1400)로부터 볼B2를 배출시키는 것으로, 볼 공급 기구(1400)로부터 볼 캐리어(1520)로 볼B2를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18).
다음으로 제2 제어부는, 볼 캐리어(1520)를 해당하는 스테이션부(ST)의 볼 투입 기구(1800)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19), 볼 캐리어(1520)를 볼 투입 기구(1800) 측으로 기울이는 것으로, 볼 캐리어(1520)로부터 볼 투입 기구(1800)의 경사 레일부(1801)로 볼B2를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20). 그 후, 제2 제어부는 스텝 S211로 귀환한다. 덧붙여, 경사 레일부(1801)로 받아 넘겨진 볼B2는, 경사 레일부(1801)에 설치된 계지/릴리스 동작 제어 기구(1809)에 의하여 계지되는 것으로, 이것의 상단인 시단부(1802)에 일시 정지된다. 이와 같이, 스텝 S114로부터 S129를 실행하는 제1 제어부(600) 및 스텝 S211로부터 S220을 실행하는 제2 제어부 및 스텝 S114로부터 S129 및 스텝 S211로부터 S220에 있어서 제어 및 구동하는 각 부는, 제2 추첨 게임인 디지털 추첨 게임의 추첨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추첨 매체인 볼B1 또는 제2 추첨 매체인 볼B2를 저류 부인 플레이 필드(500)로 떨쳐내는 떨쳐냄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 스텝을 제9 또는 제13 스텝이라고도 말한다.
또한,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는, 도 5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450)(도 40 또는 도 41 참조)의 누름 버튼(1830)이 게임 플레이어에 의하여 압하(押下)되었는지 여부를 상시 감시한다(스텝 S131). 조작부(450)의 누름 버튼(1830)이 압하된 경우(스텝 S131의 Yes), 제1 제어부(600)는, 볼 투입 기구(1800)의 경사 레일부(1801)로부터 돌출하는 계지/릴리스 동작 제어 기구(1809)를 경사 레일부(1801) 내에 수납하도록 제어한다(스텝 S132). 이것에 의하여, 볼 투입 기구(1800)의 시단부(1802)에 대기하고 있던 볼B1 또는 B2가, 중력에 의하여 경사 레일부(1801)를 내려와 볼 투입 위치 추첨 기구(1810, 도 46 참조)로 진입하고, 이것을 통하여 플레이 필드(500)에 있어서의 메인 테이블(501)로 공급된다.
또한,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는, 도 5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53의 스텝 S124에 있어서 제1 제어부(600)로부터 새틀라이트부(SA)의 볼 투입 기구(1600)로 당선한 볼B1 또는 B2를 직접 떨쳐낼 것이 요구되었는지 여부를 상시 감시한다(스텝 S221). 제1 제어부(600)로부터 새틀라이트부(SA)의 볼 투입 기구(1600)로 당선한 볼B1 또는 B2를 직접 떨쳐낼 것이 요구되면(스텝 S221의 Yes), 제2 제어부는, 요구된 볼이 볼B1인지 볼B2인지를 판정한다(스텝 S222). 이와 같이, 스텝 S222를 실행하는 제2 제어부 및 스텝 S222에 있어서 제어 및 구동하는 각 부는, 추첨 매체가 제1 추첨 매체인 볼B1인지 제2 추첨 매체인 볼B2인지를 특정하는 추첨 매체 특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 스텝을 제1 스텝이라고도 말한다.
스텝 S222의 판정의 결과, 요구된 볼이 볼B1인 경우(스텝 S222의 Yes), 제2 제어부는, 볼 캐리어(1520)를 볼 공급 기구(1300)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23), 볼 공급 기구(1300)로부터 볼B1을 배출시키는 것으로, 볼 공급 기구(1300)로부터 볼 캐리어(1520)로 볼B1을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24). 이와 같이, 스텝 S223 및 S224를 실행하는 제2 제어부 및 스텝 S223 및 S224에 있어서 제어 및 구동하는 각 부는, 제1 추첨 매체인 볼B1을 소정의 반송 경로인 볼 반송 경로(1500)에 있어서의 볼 캐리어(1520)로 공급하는 공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와 같은 스텝을 제11 또는 제16 스텝이라고도 말한다.
다음으로, 제2 제어부는, 볼 캐리어(1520)를 볼 투입 기구(1600)의 받이 접시(1610, 도 3 참조)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25), 볼 캐리어(1520)를 받이 접시(1610) 측으로 기울이는 것으로, 볼 캐리어(1520)로부터 받이 접시(1610)로 볼B1을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26).
다음으로, 제2 제어부는, 해당하는 스테이션부(ST)에 있어서의 조작부(450)(도 40 또는 도 41 참조)의 누름 버튼(1830)이 게임 플레이어에 의하여 압하되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스텝 S227). 덧붙여, 누름 버튼(1830)이 압하된 것은,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로부터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에 통지된다.
스텝 S227에 있어서 조작부(450)의 누름 버튼(1830)이 압하된 경우(스텝 S227의 Yes), 제2 제어부는, 볼 투입 기구(1600)의 받이 접시(1610)를 볼 투입 경로(1110, 도 3 참조) 측으로 기울이는 것으로, 받이 접시(1610)로부터 볼 투입 경 로(1110)로 볼B1을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28). 그 후, 제2 제어부는 스텝 S221로 귀환한다. 덧붙여, 볼 투입 경로(1110)로 받아 넘겨진 볼B1은, 중력에 의하여 볼 투입 경로(1110)를 내려와 새틀라이트부(SA)에 있어서의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 도 3 참조)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스텝 S225로부터 스텝 S228을 실행하는 제2 제어부 및 스텝 S225로부터 S228에 있어서 제어 및 구동하는 각 부는, 제1 추첨 매체인 볼B1을 제1 추첨 필드인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로 송급하는 제1 송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 스텝을 제2 스텝이라고도 말한다.
한편, 스텝 S222의 판정의 결과, 요구된 볼이 볼B2인 경우(스텝 S222의 No), 제2 제어부는, 볼 캐리어(1520)를 볼 공급 기구(1400)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29), 볼 공급 기구(1400)로부터 볼B2를 배출시키는 것으로, 볼 공급 기구(1400)로부터 볼 캐리어(1520)로 볼B2를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30). 이와 같이, 스텝 S229 및 S230을 실행하는 제2 제어부 및 스텝 S229 및 S230에 있어서 제어 및 구동하는 각 부는, 제2 추첨 매체인 볼B2를 소정의 반송 경로인 볼 반송 경로(1500)에 있어서의 볼 캐리어(1520)로 공급하는 공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러한 스텝을 제11 또는 제16 스텝이라고도 말한다.
다음으로, 제2 제어부는, 볼 캐리어(1520)를 볼 투입 기구(1600)의 받이 접시(1620, 도 3 참조)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31), 볼 캐리어(1520)를 받이 접시(1620) 측으로 기울이는 것으로, 볼 캐리어(1520)로부터 받이 접시(1620)로 볼B2를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32).
다음으로, 제2 제어부는, 해당하는 스테이션부(ST)에 있어서의 조작부(450) 의 누름 버튼(1830)이 게임 플레이어에 의하여 압하되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스텝 S233). 덧붙여, 누름 버튼(1830)이 압하된 것은,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로부터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에 통지된다.
스텝 S233에 있어서 조작부(450)의 누름 버튼(1830)이 압하된 경우(스텝 S233의 Yes), 제2 제어부는, 볼 투입 기구(1600)의 받이 접시(1620)를 볼 투입 경로(1210, 도 3 참조) 측으로 기울이는 것으로, 받이 접시(1620)로부터 볼 투입 경로(1210)로 볼B2를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34). 그 후, 제2 제어부는 스텝 S221로 귀환한다. 덧붙여, 볼 투입 경로(1210)로 받아 넘겨진 볼B2는, 중력에 의하여 볼 투입 경로(1210)를 내려와 새틀라이트부(SA)에 있어서의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 도 3 참조)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스텝 S231로부터 스텝 S234를 실행하는 제2 제어부 및 스텝 S231로부터 S234에 있어서 제어 및 구동하는 각 부는, 제2 추첨 매체인 볼B2를 제2 추첨 필드인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로 송급하는 제2 송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 스텝을 제5 스텝이라고도 말한다.
또한, 게임 진행 중, 푸셔부(510)의 운동에 의하여 메인 테이블(501)(저류부라고도 말한다)로부터 낙하한 볼B1 또는 B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볼 반송 경로(1040, 도 4 참조)에 있어서의 볼 받이부(1041, 도 4 참조)에 받아들여진다. 그 후, 볼 정지부(1042, 도 4 참조)를 통과하고, 볼 배출구(1043, 도 4 참조)에 대기하고 있던 볼 운반부(1910, 도 1 참조)에 세트된다. 이때, 볼 받이부(1041)와 볼 배출구(1043)의 사이(바람직하게는 볼 배출구(1043) 근방)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센서에 의하여, 볼이 낙하한 것과, 낙하한 볼의 종별, 즉 낙하한 볼이 볼B1인지 볼B2인지가 검출된다. 이 검출 결과는 제1 제어부(600)에 입력된다. 덧붙여, 메인 테이블(501)로부터 볼B1 및/또는 B2를 낙하시키는 푸셔부(510) 및 그 제어 기구(구체적으로는 도시하지 않는 동력부 및 이것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600)), 및 메인 테이블(501)로부터 낙하한 볼B1 및/또는 B2를 볼 반송 경로(1500)로 유도하는 볼 반송 경로(1040) 및 볼 운반 기구(1900)는, 제1 추첨 매체 및/또는 제2 추첨 매체를 소정의 반송 경로로 공급하는 공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나아가, 낙하한 볼이 볼B1인지 볼B2인지를 검출하는 센서 및 제1 제어부(600)는, 추첨 매체가 제1 추첨 매체인지 제2 추첨 매체인지를 특정하는 매체 종별 특정 수단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이것에 대하여,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는, 도 5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B1 또는 B2가 플레이 필드(500)의 메인 테이블(501)로부터 낙하하였는지 여부를 상시 감시한다(스텝 S141). 메인 테이블(501)로부터 볼B1 또는 B2가 낙하한 것이 통지된 경우(스텝 S141의 Yes), 제1 제어부(600)는, 센서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낙하한 볼이 볼B1인지 볼B2인지를 특정한다(스텝 S142).
다음으로, 제1 제어부(600)는, 볼이 낙하한 것 및 낙하한 볼의 종별을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에 통지하고(스텝 S143), 또한, 볼 운반 기구(1900)에 있어서의 볼 운반부(1910)가 볼 운반부 주행 슬로프(1901)를 뛰어 오르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볼 운반부(1910)에 세트된 볼B1 또는 B2를 볼 운반부 주행 슬로프(1901)의 상단까지 운반한다(스텝 S144).
한편,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는, 도 5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이 낙하한 것 및 낙하한 볼의 종별이 제1 제어부(600)로부터 통지되었는지 여부를 상시 감시한다(스텝 S241). 볼이 낙하한 것 및 낙하한 볼의 종별이 제1 제어부(600)로부터 통지되면, 제2 제어부는, 낙하한 볼이 볼B1인지 볼B2인지를 판정한다(스텝 S242). 이와 같이, 스텝 S242를 실행하는 제2 제어부 및 스텝 S242에 있어서 제어 및 구동하는 각 부는, 추첨 매체가 제1 추첨 매체인 볼B1인지 제2 추첨 매체인 볼B2인지를 특정하는 추첨 매체 특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 스텝을 제1 스텝이라고도 말한다.
스텝 S242의 판정의 결과, 낙하한 볼이 볼B1인 경우(스텝 S242의 Yes), 제2 제어부는, 볼 캐리어(1520, 도 3 참조)를 스테이션부(ST)의 볼 운반 기구(1900)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43), 볼 운반부(1910)로부터 볼B1을 배출시키는 것으로, 볼 운반 기구(1900)로부터 볼 캐리어(1520)로 볼B1을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44). 이와 같이, 스텝 S243 및 S244를 실행하는 제2 제어부 및 스텝 S243 및 S244에 있어서 제어 및 구동하는 각 부는, 제1 추첨 매체인 볼B1을 소정의 반송 경로인 볼 반송 경로(1500)에 있어서의 볼 캐리어(1520)로 공급하는 공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덧붙여, 볼 운반부(1910)로부터의 볼B1의 배출 제어는, 제1 제어부(600)가 행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제2 제어부는, 볼 캐리어(1520)를 볼 투입 기구(1600)의 받이 접시(1610, 도 3 참조)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45), 볼 캐리어(1520)를 받이 접시(1610) 측으로 기울이는 것으로, 볼 캐리어(1520)로부터 받이 접시(1610)로 볼B1을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46).
다음으로, 제2 제어부는, 해당하는 스테이션부(ST)에 있어서의 조작부(450)(도 40 또는 도 41 참조)의 누름 버튼(1830)이 게임 플레이어에 의하여 압하되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스텝 S247). 덧붙여, 누름 버튼(1830)이 압하된 것은,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로부터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에 통지된다.
스텝 S247에 있어서 조작부(450)의 누름 버튼(1830)이 압하된 경우(스텝 S247의 Yes), 제2 제어부는, 볼 투입 기구(1600)의 받이 접시(1610)를 볼 투입 경로(1110, 도 3 참조) 측으로 기울이는 것으로, 받이 접시(1610)로부터 볼 투입 경로(1110)로 볼B1을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48). 그 후, 제2 제어부는 스텝 S241로 귀환한다. 덧붙여, 볼 투입 경로(1110)로 받아 넘겨진 볼B1은, 중력에 의하여 볼 투입 경로(1110)를 내려와 새틀라이트부(SA)에 있어서의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 도 3 참조)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스텝 S245로부터 스텝 S248을 실행하는 제2 제어부 및 스텝 S245로부터 S248에 있어서 제어 및 구동하는 각 부는, 제1 추첨 매체인 볼B1을 제1 추첨 필드인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로 송급하는 제1 송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 스텝을 제2 스텝이라고도 말한다.
한편, 스텝 S242의 판정의 결과, 낙하한 볼이 볼B2인 경우(스텝 S242의 Yes), 제2 제어부는, 볼 캐리어(1520)를 스테이션부(ST)의 볼 운반 기구(1900)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49), 볼 운반부(1910)로부터 볼B2를 배출시키는 것으로, 볼 운반 기구(1900)로부터 볼 캐리어(1520)로 볼B1을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50). 이와 같이, 스텝 S249 및 S250을 실행하는 제2 제어부 및 스텝 S249 및 S250에 있어서 제어 및 구동하는 각 부는, 제2 추첨 매체인 볼B2를 소정의 반송 경로인 볼 반송 경로(1500)에 있어서의 볼 캐리어(1520)로 공급하는 공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덧붙여, 볼 운반부(1910)로부터의 볼B2의 배출 제어는, 제1 제어부(600)가 행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제2 제어부는, 볼 캐리어(1520)를 볼 투입 기구(1600)의 받이 접시(1620, 도 3 참조)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51), 볼 캐리어(1520)를 받이 접시(1620) 측으로 기울이는 것으로, 볼 캐리어(1520)로부터 받이 접시(1620)로 볼B2를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52).
다음으로, 제2 제어부는, 해당하는 스테이션부(ST)에 있어서의 조작부(450)의 누름 버튼(1830)이 게임 플레이어에 의하여 압하되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스텝 S253). 덧붙여, 누름 버튼(1830)이 압하된 것은,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로부터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에 통지된다.
스텝 S253에 있어서 조작부(450)의 누름 버튼(1830)이 압하된 경우(스텝 S253의 Yes), 제2 제어부는, 볼 투입 기구(1600)의 받이 접시(1620)를 볼 투입 기구(1210, 도 3 참조) 측으로 기울이는 것으로, 받이 접시(1620)로부터 볼 투입 경로(1210)로 볼B2를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54). 그 후, 제2 제어부는 스텝 S241로 귀환한다. 덧붙여, 볼 투입 경로(1210)로 받아 넘겨진 볼B2는, 중력에 의하여 볼 투입 경로(1210)를 내려와 새틀라이트부(SA)에 있어서의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 도 3 참조)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스텝 S251로부터 스텝 S254를 실행 하는 제2 제어부 및 스텝 S251로부터 S254에 있어서 제어 및 구동하는 각 부는, 제2 추첨 매체인 볼B2를 제1 추첨 필드인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로 송급하는 제2 송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 스텝을 제5 스텝이라고도 말한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의 스텝 S228 또는 S248에 있어서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로 투입된 볼B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를 주회한 후, 어느 한 쪽의 입상 스폿(1101)으로 진입한다. 입상 스폿(1101)으로의 볼B1의 진입은, 각 입상 스폿(1101)에 설치된 센서에 의하여 검출되고, 제2 제어부에 통지된다. 마찬가지로, 이상에 있어서의 스텝 S234 또는 S254에 있어서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로 투입된 볼B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를 주회한 후, 어느 한 쪽의 입상 스폿(1201)으로 진입한다. 입상 스폿(1201)으로의 볼B2의 진입은, 각 입상 스폿(1201)에 설치된 센서에 의하여 검출되고, 제2 제어부에 통지된다. 덧붙여, 볼B1의 진입을 검출하는 센서 및 제2 제어부는, 제1 추첨 매체인 볼B1이 진입한 제1 입상 스폿에 대응지어진 제1 상 또는 제2 상을 당선으로 하는 제1 당선 결정 수단의 일부로서 기능하고, 볼B2의 진입을 검출하는 센서 및 제1 제어부(600)는, 제2 추첨 매체인 볼B2가 진입한 제2 입상 스폿에 대응지어진 제1 상 또는 제2 상을 당선으로 하는 제2 당선 결정 수단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이것에 대하여,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는, 도 5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느 한 쪽의 입상 스폿(1101) 또는 입상 스폿(1201)으로 볼B1 또는 B2가 진입하였는지 여부, 즉, 어느 한 쪽의 입상 스폿(1101) 또는 입상 스폿(1201)으로 입상하였는지 여부를 상시 감시한다(스텝 S261). 어느 한 쪽의 입상 스폿으로의 입상 이 통지된 경우(스텝 S261의 Yes), 제2 제어부는, 볼B1 또는 B2가 입상한 입상 스폿(1101) 또는 입상 스폿(1201)에 할당된 것이 잭포트 도전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62). 이 판정의 결과, 할당이 잭포트 도전상인 경우(스텝 S262의 Yes), 제2 제어부는 잭포트 게임을 실행하고(스텝 S263), 그 후, 스텝 S261로 귀환한다. 덧붙여, 스텝 S261에서는, 볼B1 또는 B2가 진입한 입상 스폿(1101) 또는 입상 스폿(1201)도 특정된다. 또한, 이 스텝을 제3 또는 제6 스텝이라고도 말한다.
한편, 스텝 S262의 판정의 결과, 입상한 입상 스폿(1101) 또는 입상 스폿(1201)에 할당된 것이 1 ~ 9에 있어서의 어느 하나의 번호인 경우(스텝 S252의 No), 제2 제어부는, 입상한 입상 스폿(1101) 또는 입상 스폿(1201)에 할당된 번호를 특정하고(스텝 S264), 이것 또는 이것들을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에 통지한 후(스텝 S265), 스텝 S261로 귀환한다. 이와 같이, 스텝 S261로부터 스텝 S265를 실행하는 제2 제어부 및 스텝 S261로부터 스텝 S265에 있어서 제어 및 구동하는 각 부는, 복수의 입상 스폿(1101) 중 어느 한 쪽으로 볼B1이 진입한 경우에 이 입상 스폿(1101)에 대응지어진 제1 상 또는 제2 상을 당선으로 하는 제1 당선 결정 수단 및 복수의 입상 스폿(1201) 중 어느 한 쪽으로 볼B2가 진입한 경우에 이 입상 스폿(1201)에 대응지어진 제1 상 또는 제2 상을 당선으로 하는 제2 당선 결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와 같은 스텝을 제4 또는 제7 스텝이라고도 말한다.
이것에 대하여,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는, 도 6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59의 스텝 S265에 있어서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로부터 당선 번호가 통지되었는지 여부를 상시 감시한다(스텝 S151). 당선 번호가 통지되면(스 텝 S151의 Yes), 제1 제어부(600)는, 통지된 당선 번호를 특정하고(스텝 S152), 이 당선 번호가 이미 당선이 끝났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53). 이 판정의 결과, 이미 당선이 끝난 경우(스텝 S153의 Yes), 제1 제어부(600)는 스텝 S151로 귀환한다.
한편, 통지된 당선 번호가 당선이 끝나지 않은 경우(스텝 S153의 No), 제1 제어부(600)는, 디스플레이(701)에 표시 중인 빙고 테이블에 있어서의 당선한 번호와 대응지어진 매스를 협조 표시한다(스텝 S154).
다음으로, 제1 제어부(600)는, 빙고 테이블의 라인(L11 ~ L18)에 있어서, 모든 매스가 당선한 라인(이것을 당선 라인이라고 한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55). 이 결과, 당선 라인이 존재하는 경우(스텝 S155의 Yes), 제1 제어부(600)는, 당선 라인에 할당된 상의 당선 내용을 특정한다(스텝 S156).
다음으로, 제1 제어부(600)는, 특정한 당선 내용에 예를 들면 소정 매수(예를 들면 30매)의 메달M을 떨쳐내는 내용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57). 이 결과, 소정 매수의 메달M을 떨쳐내는 내용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스텝 S157의 No), 제1 제어부(600)는 스텝 S159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 S157의 판정의 결과, 30매의 메달M을 떨쳐내는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스텝 S157의 Yes), 제1 제어부(600)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리프트 업 호퍼(300)와 메달 배출부(330)를 구동하는 것으로, 30매의 메달M을 플레이 필드(500)로 떨쳐내고(스텝 S158), 그 후, 스텝 S159로 이행한다. 다만, 당선한 메달M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리프트 업 호퍼(1020)와 메달 떨쳐냄부(1030)를 구동하는 것으로 직접 게임 플레이어 에게 떨쳐내져도 무방하다.
스텝 S159에서는, 제1 제어부(600)는, 특정한 당선 내용에 예를 들면 한 개 또는 복수의 볼B1 또는 B2를 떨쳐내는 내용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59). 이 결과, 한 개 또는 복수의 볼B1 또는 B2를 떨쳐내는 내용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스텝 S159의 No), 제1 제어부(600)는 스텝 S161로 이행한다. 한편, 한 개 또는 복수의 볼B1 또는 B2를 떨쳐내는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스텝 S159의 Yes), 제1 제어부(600)는, 한 개 또는 복수의 볼B1 또는 B2의 떨쳐냄을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에 요구하고(스텝 S160), 그 후, 스텝 S161로 이행한다. 덧붙여, 한 개 또는 복수의 볼B1 또는 B2가 요구된 제2 제어부는, 도 54 또는 도 56에 도시하는 동작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1회 이상 실행하는 것으로, 해당하는 스테이션부(ST) 또는 볼 투입 기구(1600)로 볼B1 또는 B2를 공급한다.
스텝 S161에서는, 제1 제어부(600)는, 빙고 테이블의 라인(L11 ~ L18)에 있어서, 한 개를 남기고 다른 모든 매스가 당선한 라인(이것을 리치 라인이라고 한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61). 이 결과, 리치 라인이 존재하는 경우(스텝 S161의 Yes), 제1 제어부(600)는, 해당하는 라인 상의 나머지의 매스, 즉 아직도 당선하여 있지 않은 매스를 강조 표시하고(스텝 S162), 그 후, 스텝 S151로 귀환한다. 이와 같이, 스텝 S151로부터 스텝 S162를 실행하는 제1 제어부(600) 및 빙고 테이블을 생성하여 각 스테이션부(ST)로 배신하는 제2 제어부 및 이들의 제어 하에서 구동하는 각 부는, 빙고 게임을 실행하는 빙고 게임 실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러한 스텝을 제18 스텝이라고도 말한다.
이상과 같이 동작하는 것으로, 디지털 추첨 게임 및 빙고 게임을 포함하는 일련의 게임이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된다.
덧붙여, 이상에서는, 입상 스폿(1101) 및 입상 스폿(1201) 각각에 미리 1 ~ 9에 있어서의 번호 또는 잭포트 도전상이 할당된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잭포트 도전상(또는 잭포트상)이 할당된 입상 스폿(1101) 및 입상 스폿(1201)의 위치(OS1 ~ OS10 및 IS1 ~ IS5 중 어느 한 쪽) 및 그 수를, 상황에 따라 소프트적으로 변화시켜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빙고 게임에 도전하는 게임 플레이어가 앉는 스테이션부(ST)에 있어서의 디지털 추첨 게임의 게임 상태가 통상 모드인 경우, 잭포트 도전상이 할당된 입상 스폿(1101) 및 입상 스폿(1201)을 OS1 및 IS1로 하는데 대하여, 디지털 추첨 게임의 게임 상태가 확률 변동 모드인 경우, 잭포트 도전상이 할당된 입상 스폿(1101) 및 입상 스폿(1201)을 OS2 및 OS6 및 IS1 및 IS3으로 하도록 제어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잭포트 도전상 또는 번호와 입상 스폿(1101) 또는 입상 스폿(1201)과의 대응 관계는, 새틀라이트부(SA)에 있어서의 제2 제어부에 있어서 생성되고, 관리된다. 또한, 이때, 제1 제어부(600)로부터는, 현재의 게임 상태가 통상 모드인지 확률 변동 모드인지가 통지된다. 덧붙여, 이와 같은 동작을 제14 또는 제17 스텝이라고도 말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비금속제의 볼B1 및 금속제의 볼B2의 흐름을 순차 관리하기 위하여, 볼B1 및/또는 볼B2의 반송 경로 상에, 볼의 유무 또는 통과 및 그 종별을 검출하는 센서를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마찬가지의 이유로, 볼 캐리어(1520) 및 볼 운반부(1910)에, 볼의 유무 또는 통과 및 그 종 별을 검출하는 센서를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비금속제의 볼B1 및 금속제의 볼B2를 이용하여 2가지의 빙고 게임을 제공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색이 다른 복수의 볼을 이용하는 것으로, 2가지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 가지의 빙고 게임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볼의 종별을 판별하는 센서가, 예를 들면 컬러 센서 등으로 구성된다.
(1-10) 게임의 변형예 1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되는 게임의 변형예 1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변형예 1에서는, 디지털 추첨 게임에 있어서 추첨되는 볼B1 상A, 볼B1 상B, 볼B2 상A 및 볼B2 상B를, 볼 상A와 볼 상B로 치환하고, 게임 상태에 의하여 떨쳐내는 볼의 종별을 전환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 즉, 본 변형예 1에 있어서의 디지털 추첨 게임에서는, 볼의 종별에 관계없이, 볼 상A 및 볼 상B가 추첨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게임 상태가 통상 모드인 경우, 비금속인 볼B1이 볼 상A 또는 볼 상B에 당선한 게임 플레이어에게 떨쳐내진다. 한편, 예를 들면 게임 상태가 확률 변동 모드인 경우, 금속인 볼B2가 볼 상A 또는 볼 상B에 당선한 게임 플레이어에게 떨쳐내진다.
(1-10-1) 디지털 추첨 게임
우선, 본 변형예 1에 있어서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되는 디지털 추첨 게임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본 변형예 1에서는, 추첨 의 대상으로 하는 상에, 예를 들면, 빅 보너스A 상, 빅 보너스B 상, 볼 상A, 볼 상B, 소역A 상 및 소역B 상 등이 포함된다.
도 61(a)는 본 변형예 1에 의한 디지털 추첨 게임에서 사용되는 도안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1(b)는 본 변형예 1에 의한 디지털 추첨 게임에 있어서의 각 상에 할당한 통지 범위를 도시하는 테이블이다. 덧붙여, 본 변형예 1에 의한 디지털 추첨 게임 중에 게임 플레이어에게 표시되는 화면은, 상술에 있어서 도 47(a)를 이용하여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이것을 인용한다.
본 변형예 1에 있어서 가변 표시부의 각 매스(w1 ~ w7)에 표시되는 도안에는, 예를 들면 도 6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빅 보너스A 상에 대응지어진 빅 보너스A 도안과, 빅 보너스B 상에 대응지어진 빅 보너스B 도안과, 볼 상A에 대응지어진 볼 상A 도안과, 볼 상B에 대응지어진 볼 상B 도안과, 소역A 상에 대응지어진 소역A 도안과, 소역B 상에 대응지어진 소역B 도안이 존재한다.
여기서, 빅 보너스A 상과 빅 보너스B 상과 소역A 상과 소역B 상은, 상술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볼 상A는, 예를 들면, 게임 상태에 따라 볼B1 또는 볼B2를 스테이션부(ST)의 볼 투입 기구(1800)(구체적으로는 경사 레일부(1801))로, 볼 캐리어(1520)를 이용하여 떨쳐내는 상으로 할 수 있다. 볼 상B는, 예를 들면, 게임 상태에 따라 볼B1 또는 볼B2를 새틀라이트부(SA)의 볼 투입 기구(1600)(구체적으로는 받이 접시(1610) 또는 받이 접시(1620))로, 볼 캐리어(1520)를 이용하여 떨쳐내는 상으로 할 수 있다.
이 외의 구성 및 디지털 추첨 게임 실행 시의 동작은, 상술에 있어서 도 47 및 도 48을 이용하여 설명한 내용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1-10-2) 빙고 게임
또한, 본 변형예 1에 있어서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되는 빙고 게임은, 상술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1-10-3) 게임 전체
다음으로, 상술한 디지털 추첨 게임 및 빙고 게임을 포함하는 일련의 게임 전체의 흐름을,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2는 이때의 제1 제어부(600) 및 제2 제어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다만, 상술에 있어서의 도 52, 도 55 내지 도 60에서 도시한 동작은, 본 변형예 1에서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이것들을 인용하여 설명한다.
본 동작에서는, 상술과 마찬가지로, 푸셔부(510)가 표시부(700)에 설치된 수납부(720)를 출입하도록 슬라이드 운동하면, 푸셔부(510) 상부의 서브 테이블(511) 상에 저류된 메달M이, 이 서브 테이블(511)로부터 푸셔부(510)의 경사 테이블(512)로 낙하한다. 이때, 낙하한 메달M이 경사 테이블(512)에 설치된 체커(515-1, 515-2, 515-3) 중 어느 한 쪽으로 진입하면, 이것이 체커(515-1, 515-2, 515-3)에 각각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다. 센서는, 메달M의 진입을 검출하면, 이것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이 신호를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에 통지한다. 덧붙여, 체커(515-1, 515-2, 515-3)로의 메달M의 진입을 검출 하는 센서는, 온/오프 스위치 등을 이용한 접촉형의 센서여도, 적외선 등을 이용한 비접촉형의 센서여도 무방하다. 또한, 이 센서는, 체커(515-1, 515-2, 515-3)의 가장 가까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는, 도 52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어느 한 쪽의 체커(515-1, 515-2, 515-3)에 있어서 메달M의 진입이 검출되면(스텝 S131), 도시하지 않는 체커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한 개 인크리멘트한다(스텝 S132).
또한, 제1 제어부(600)는, 도 6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시, 체커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감시한다(스텝 S111). 그래서, 카운트값이 0 이상인 경우(스텝 S111의 No), 제1 제어부(600)는, 카운트값을 한 개 디크리멘트한 후(스텝 S112), 상술한 디지털 추첨 게임을 1회 실행한다(스텝 S113). 이와 같이, 스텝 S113을 실행하는 제1 제어부(600) 및 스텝 S113에 있어서 제어 및 구동하는 각 부는, 제2 추첨 게임인 디지털 추첨 게임을 실행하는 제2 추첨 게임 실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다음으로, 제1 제어부(600)는, 디지털 추첨 게임의 추첨 결과가 빗나감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14의 Yes). 이 결과, 추첨 결과가 빗나감이었을 경우(스텝 S114의 Yes), 제1 제어부(600)는 스텝 S111로 귀환한다.
한편, 스텝 S114의 판정의 결과, 추첨 결과가 빗나감이 아닌 경우(스텝 S114의 No), 제1 제어부(600)는, 다음으로, 추첨 결과가 빅 보너스A의 당선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15). 이 결과, 추첨 결과가 빅 보너스A의 당선인 경우(스텝 S115의 Yes), 제1 제어부(600)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리프트 업 호퍼(300)와 메달 배출부(330)를 구동하는 것으로, 당선한 매수(예를 들면 30매)의 메달M을 플레이 필드(500)로 떨쳐내는 것(스텝 S116)과 함께, 다음 게임 이후의 디지털 추첨 게임이 통상 모드에서 실행되도록 설정하고(스텝 S117), 그 후, 스텝 S111로 귀환한다. 다만, 당선한 메달M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리프트 업 호퍼(1020)와 메달 떨쳐냄부(1030)를 구동하는 것으로 직접 게임 플레이어에게 떨쳐내져도 무방하다. 또한, 통상 모드에서는, 상술에도 있는 바와 같이, 각 상의 당선 확률이 확률 변동 모드 중의 당선 확률보다도 낮다(도 61(b) 참조). 또한, 통상 모드에서는, 예를 들면, 플레이 필드(500)의 메인 테이블(501)에 설치된 가이드부(530R, 530L)의 메달 가이드판(533)이, 메인 테이블(501)의 상면 아래에 수납된 상태로 된다. 나아가, 통상 모드에서는, 예를 들면, 푸셔부(510)의 경사 테이블(512)에 출입 가능하게 설치된 메달 가이드판(516, 도 4 참조)이 경사 테이블(512)의 상면 아래에 수납된 상태로 된다. 여기서, 메달 가이드판(516)은, 경사 테이블(512)에 설치된 어느 한 쪽의 체커(예를 들면 체커(515-2))로 진입하기 쉬워지도록, 서브 테이블(511)로부터 경사 테이블(512)로 낙하한 메달M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 상세한 구성은, 예를 들면 메인 테이블(501)에 설치된 가이드부(530R, 530L)를 적용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스텝 S115의 판정의 결과, 추첨 결과가 빅 보너스A의 당선이 아닌 경우(스텝 S115의 No), 제1 제어부(600)는, 다음으로, 추첨 결과가 빅 보너스B의 당선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18). 이 결과, 추첨 결과가 빅 보너스B의 당선인 경우(스텝 S118의 Yes), 제1 제어부(600)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리프트 업 호퍼(300)와 메달 배출부(330)를 구동하는 것으로, 당선한 매수(예를 들면 30매)의 메달M을 플레이 필드(500)로 떨쳐내는 것(스텝 S119)과 함께, 다음 게임 이후의 디지털 추첨 게임이 확률 변동 모드에서 실행되도록 설정하고(스텝 S120), 그 후, 스텝 S111로 귀환한다. 다만, 당선한 메달M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리프트 업 호퍼(1020)와 메달 떨쳐냄부(1030)를 구동하는 것으로 직접 게임 플레이어에게 떨쳐내져도 무방하다. 또한, 확률 변동 모드에서는, 상술에도 있는 바와 같이, 각 상의 당선 확률이 통상 모드 중의 당선 확률보다도 높다(도 61(b) 참조). 또한, 확률 변동 모드에서는, 예를 들면, 플레이 필드(500)의 메인 테이블(501)에 설치된 가이드부(530R, 530L)의 메달 가이드판(533)이, 메인 테이블(50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된다. 나아가, 확률 변동 모드에서는, 예를 들면, 푸셔부(510)의 경사 테이블(512)에 출입 가능하게 설치된 메달 가이드판(516, 도 4 참조)이 경사 테이블(51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된다.
한편, 스텝 S118의 판정의 결과, 추첨 결과가 빅 보너스B의 당선이 아닌 경우(스텝 S118의 No), 제1 제어부(600)는, 다음으로, 추첨 결과가 볼 상A의 당선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21a). 이 결과, 추첨 결과가 볼 상A의 당선인 경우(스텝 S121a의 Yes), 제1 제어부(600)는, 현재의 게임 상태가 확률 변동 모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22a). 이 결과, 현재의 게임 상태가 확률 변동 모드인 경우(스텝 S122a의 Yes), 제1 제어부(600)는, 자신을 구비한 스테이션부(ST)로 볼B2를 떨쳐낼 것을 새틀라이트부(SA)에 요구하고(스텝 S122b), 그 후, 스텝 S111로 귀환 한다. 또한, 스텝 S122a의 판정의 결과, 현재의 게임 상태가 확률 변동 모드가 아닌 경우(스텝 S122a의 No), 제1 제어부(600)는, 자신을 구비한 스테이션부(ST)로 볼B1을 떨쳐낼 것을 새틀라이트부(SA)에 요구하고(스텝 S122c), 그 후, 스텝 S111로 귀환한다.
한편, 스텝 S121a의 판정의 결과, 추첨 결과가 볼 상A의 당선이 아닌 경우(스텝 S121a의 No), 제1 제어부(600)는, 추첨 결과가 볼 상B의 당선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23a). 이 결과, 추첨 결과가 볼 상B의 당선인 경우(스텝 S123a의 Yes), 제1 제어부(600)는, 현재의 게임 상태가 확률 변동 모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24a). 이 결과, 현재의 게임 상태가 확률 변동 게임인 경우(스텝 S124a의 Yes), 제1 제어부(600)는, 볼B2를 새틀라이트부(SA)의 볼 투입 기구(1600)로 직접 떨쳐낼 것을 요구하고(스텝 S124b), 그 후, 스텝 S111로 귀환한다. 또한, 스텝 S124a의 판정의 결과, 현재의 게임 상태가 확률 변동 모드가 아닌 경우(스텝 S124a의 No), 제1 제어부(600)는, 볼B1을 새틀라이트부(SA)의 볼 투입 기구(1600)로 직접 떨쳐낼 것을 요구하고(스텝 S124c), 그 후, 스텝 S111로 귀환한다.
한편, 스텝 S123a의 판정의 결과, 추첨 결과가 볼 상B의 당선이 아닌 경우(스텝 S123a의 No), 제1 제어부(600)는, 추첨 결과가 소역A 상의 당선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25). 이 결과, 추첨 결과가 소역A 상의 당선인 경우(스텝 S125의 Yes), 제1 제어부(600)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리프트 업 호퍼(300)와 메달 배출부(330)를 구동하는 것으로, 당선한 매수(예를 들면 8매)의 메달M을 플레이 필드(500)로 떨쳐내고(스텝 S126), 그 후, 스텝 S111로 귀환한다. 다만, 당선한 메달 M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리프트 업 호퍼(1020)와 메달 떨쳐냄부(1030)를 구동하는 것으로 직접 게임 플레이어에게 떨쳐내져도 무방하다.
한편, 스텝 S125의 판정의 결과, 추첨 결과가 소역A 상의 당선이 아닌 경우(스텝 S125의 No), 제1 제어부(600)는, 추첨 결과가 소역B 상의 당선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27). 이 결과, 추첨 결과가 소역B 상의 당선인 경우(스텝 S127의 Yes), 제1 제어부(600)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리프트 업 호퍼(300)와 메달 배출부(330)를 구동하는 것으로, 당선한 매수(예를 들면 2매)의 메달M을 플레이 필드(500)로 떨쳐내고(스텝 S128), 그 후, 스텝 S111로 귀환한다. 다만, 당선한 메달M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리프트 업 호퍼(1020)와 메달 떨쳐냄부(1030)를 구동하는 것으로 직접 게임 플레이어에게 떨쳐내져도 무방하다.
또한, 스텝 S127의 판정의 결과, 추첨 결과가 소역B 상의 당선도 아닌 경우(스텝 S127의 No), 제1 제어부(600)는, 에러라고 판정하고(스텝 S129), 그 후, 스텝 S111로 귀환한다. 이때, 제1 제어부(600)가, 에러 통지 등을 소정의 관리 서버로 송신하거나, 디스플레이(701)에 에러 표시를 행하거나 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것에 대하여,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는, 도 54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도 62의 스텝 S122b 또는 S122c에 있어서 제1 제어부(600)로부터 자신을 구비한 스테이션부(ST)로 당선한 볼B1 또는 B2를 떨쳐낼 것이 요구되었는지 여부를 상시 감시한다(스텝 S211). 제1 제어부(600)로부터 자신을 구비한 스테이션부(ST)로 당선한 볼B1 또는 B2를 떨쳐낼 것이 요구되면(스텝 S211의 Yes), 제2 제 어부는, 요구된 볼이 볼B1인지 볼B2인지를 판정한다(스텝 S212).
스텝 S212의 판정의 결과, 요구된 볼이 볼B1인 경우(스텝 S212의 Yes), 제2 제어부는, 볼을 반송하기 위한 소정의 반송 경로로서 기능하는 볼 반송 경로(1500)에 있어서의 볼 캐리어(1520, 도 3 참조)를 볼 공급 기구(1300, 도 3 참조)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13), 볼 공급 기구(1300)로부터 볼B1을 배출시키는 것으로, 볼 공급 기구(1300)로부터 볼 캐리어(1520)로 볼B1을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14).
다음으로, 제2 제어부는, 볼 캐리어(1520)를 해당하는 스테이션부(ST)의 볼 투입 기구(1800)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15), 볼 캐리어(1520)를 볼 투입 기구(1800) 측으로 기울이는 것으로, 볼 캐리어(1520)로부터 볼 투입 기구(1800)의 경사 레일부(1801)(도 2 또는 도 46 참조)로 볼B1을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16). 그 후, 제2 제어부는 스텝 S211로 귀환한다. 덧붙여, 경사 레일부(1801)로 받아 넘겨진 볼B1은, 경사 레일부(1801)에 설치된 계지/릴리스 동작 제어 기구(1809, 도 46 참조)에 의하여 계지되는 것으로, 이것의 상단인 시단부(1802, 도 46 참조)에 일시 정지된다.
한편, 스텝 S212의 판정의 결과, 요구된 볼이 볼B2인 경우(스텝 S212의 No), 제2 제어부는, 볼 캐리어(1520)를 볼 공급 기구(1400, 도 3 참조)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17), 볼 공급 기구(1400)로부터 볼B2를 배출시키는 것으로, 볼 공급 기구(1400)로부터 볼 캐리어(1520)로 볼B2를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18).
다음으로, 제2 제어부는, 볼 캐리어(1520)를 해당하는 스테이션부(ST)의 볼 투입 기구(1800)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19), 볼 캐리어(1520)를 볼 투입 기구(1800) 측으로 기울이는 것으로, 볼 캐리어(1520)로부터 볼 투입 기구(1800)의 경사 레일부(1801)로 볼B2를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20). 그 후, 제2 제어부는 스텝 S211로 귀환한다. 덧붙여, 경사 레일부(1801)로 받아 넘겨진 볼B2는, 경사 레일부(1801)에 설치된 계지/릴리스 동작 제어 기구(1809)에 의하여 계지되는 것으로, 이것의 상단인 시단부(1802)에 일시 정지된다. 이와 같이, 스텝 S114로부터 S129를 실행하는 제1 제어부(600) 및 스텝 S211로부터 S220을 실행하는 제2 제어부 및 스텝 S114로부터 S129 및 스텝 S211로부터 S220에 있어서 제어 및 구동하는 각 부는, 제2 추첨 게임인 디지털 추첨 게임의 추첨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추첨 매체인 볼B1 또는 제2 추첨 매체인 볼B2를 저류부인 플레이 필드(500)로 떨쳐내는 떨쳐냄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는, 도 55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조작부(450)(도 40 또는 도 41 참조)의 누름 버튼(1830)이 게임 플레이어에 의하여 압하되었는지 여부를 상시 감시한다(스텝 S131). 조작부(450)의 누름 버튼(1830)이 압하된 경우(스텝 S131의 Yes), 제1 제어부(600)는, 볼 투입 기구(1800)의 경사 레일부(1801)로부터 돌출하는 계지/릴리스 동작 제어 기구(1809)를 경사 레일부(1801) 내에 수납하도록 제어한다(스텝 S132). 이것에 의하여, 볼 투입 기구(1800)의 시단부(1802)에 대기하고 있던 볼B1 또는 B2가, 중력에 의하여 경사 레일부(1801)를 내려와 볼 투입 위치 추첨 기구(1810, 도 46 참조)로 진입하 고, 이것을 통하여 플레이 필드(500)에 있어서의 메인 테이블(501)로 공급된다.
또한,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는, 도 56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도 62의 스텝 S124b 또는 S124c에 있어서 제1 제어부(600)로부터 새틀라이트부(SA)의 볼 투입 기구(1600)로 당선한 볼B1 또는 B2를 직접 떨쳐낼 것이 요구되었는지 여부를 상시 감시한다(스텝 S221). 제1 제어부(600)로부터 새틀라이트부(SA)의 볼 투입 기구(1600)로 당선한 볼B1 또는 B2를 직접 떨쳐낼 것이 요구되면(스텝 S221의 Yes), 제2 제어부는, 요구된 볼이 볼B1인지 볼B2인지를 판정한다(스텝 S222). 이와 같이, 스텝 S222를 실행하는 제2 제어부 및 스텝 S222에 있어서 제어 및 구동하는 각 부는, 추첨 매체가 제1 추첨 매체인 볼B1인지 제2 추첨 매체인 볼B2인지를 특정하는 추첨 매체 특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스텝 S222의 판정의 결과, 요구된 볼이 볼B1인 경우(스텝 S222의 Yes), 제2 제어부는, 볼 캐리어(1520)를 볼 공급 기구(1300)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23), 볼 공급 기구(1300)로부터 볼B1을 배출시키는 것으로, 볼 공급 기구(1300)로부터 볼 캐리어(1520)로 볼B1을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24). 이와 같이, 스텝 S223 및 S224를 실행하는 제2 제어부 및 스텝 S223 및 S224에 있어서 제어 및 구동하는 각 부는, 제1 추첨 매체인 볼B1을 소정의 반송 경로인 볼 반송 경로(1500)에 있어서의 볼 캐리어(1520)로 공급하는 공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다음으로, 제2 제어부는, 볼 캐리어(1520)를 볼 투입 기구(1600)의 받이 접시(1610, 도 3 참조)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25), 볼 캐리어(1520)를 받이 접시(1610) 측으로 기울이는 것으로, 볼 캐리어(1520)로부터 받이 접시(1610)로 볼B1을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26).
다음으로, 제2 제어부는, 해당하는 스테이션부(ST)에 있어서의 조작부(450, 도 40 또는 도 41 참조)의 누름 버튼(1830)이 게임 플레이어에 의하여 압하되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스텝 S227). 덧붙여, 누름 버튼(1830)이 압하된 것은,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로부터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에 통지된다.
스텝 S227에 있어서 조작부(450)의 누름 버튼(1830)이 압하된 경우(스텝 S227의 Yes), 제2 제어부는, 볼 투입 기구(1600)의 받이 접시(1610)를 볼 투입 경로(1110, 도 3 참조) 측으로 기울이는 것으로, 받이 접시(1610)로부터 볼 투입 경로(1110)로 볼B1을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28). 그 후, 제2 제어부는 스텝 S221로 귀환한다. 덧붙여, 볼 투입 경로(1110)로 받아 넘겨진 볼B1은, 중력에 의하여 볼 투입 경로(1110)를 내려와 새틀라이트부(SA)에 있어서의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 도 3 참조)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스텝 S225로부터 스텝 S228을 실행하는 제2 제어부 및 스텝 S225로부터 S228에 있어서 제어 및 구동하는 각 부는, 제1 추첨 매체인 볼B1을 제1 추첨 필드인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로 송급하는 제1 송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한편, 스텝 S222의 판정의 결과, 요구된 볼이 볼B2인 경우(스텝 S222의 No), 제2 제어부는, 볼 캐리어(1520)를 볼 공급 기구(1400)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29), 볼 공급 기구(1400)로부터 볼B2를 배출시키는 것으 로, 볼 공급 기구(1400)로부터 볼 캐리어(1520)로 볼B2를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30). 이와 같이, 스텝 S229 및 S230을 실행하는 제2 제어부 및 스텝 S229 및 S230에 있어서 제어 및 구동하는 각 부는, 제2 추첨 매체인 볼B2를 소정의 반송 경로인 볼 반송 경로(1500)에 있어서의 볼 캐리어(1520)로 공급하는 공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다음으로, 제2 제어부는, 볼 캐리어(1520)를 볼 투입 기구(1600)의 받이 접시(1620, 도 3 참조)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31), 볼 캐리어(1520)를 받이 접시(1620) 측으로 기울이는 것으로, 볼 캐리어(1520)로부터 받이 접시(1620)로 볼B2를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32).
다음으로, 제2 제어부는, 해당하는 스테이션부(ST)에 있어서의 조작부(450)의 누름 버튼(1830)이 게임 플레이어에 의하여 압하되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스텝 S233). 덧붙여, 누름 버튼(1830)이 압하된 것은,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로부터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에 통지된다.
스텝 S233에 있어서 조작부(450)의 누름 버튼(1830)이 압하된 경우(스텝 S233의 Yes), 제2 제어부는, 볼 투입 기구(1600)의 받이 접시(1620)를 볼 투입 경로(1210, 도 3 참조) 측으로 기울이는 것으로, 받이 접시(1620)로부터 볼 투입 경로(1210)로 볼B2를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34). 그 후, 제2 제어부는 스텝 S221로 귀환한다. 덧붙여, 볼 투입 경로(1210)로 받아 넘겨진 볼B2는, 중력에 의하여 볼 투입 경로(1210)를 내려와 새틀라이트부(SA)에 있어서의 이너 빙고 스테 이지(1200, 도 3 참조)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스텝 S231로부터 스텝 S234를 실행하는 제2 제어부 및 스텝 S231로부터 S234에 있어서 제어 및 구동하는 각 부는, 제2 추첨 매체인 볼B2를 제2 추첨 필드인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로 송급하는 제2 송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게임 진행 중, 푸셔부(510)의 운동에 의하여 메인 테이블(501)(저류부라고도 말한다)로부터 낙하한 볼B1 또는 B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볼 반송 경로(1040, 도 4 참조)에 있어서의 볼 받이부(1041, 도 4 참조)에 받아들여진다. 그 후, 볼 정지부(1042, 도 4 참조)를 통과하고, 볼 배출구(1043, 도 4 참조)에 대기하고 있던 볼 운반부(1910, 도 1 참조)에 세트된다. 이때, 볼 받이부(1041)와 볼 배출구(1043)의 사이(바람직하게는 볼 배출구(1043) 근방)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센서에 의하여, 볼이 낙하한 것과, 낙하한 볼의 종별, 즉 낙하한 볼이 볼B1인지 볼B2인지가 검출된다. 이 검출 결과는 제1 제어부(600)에 입력된다. 덧붙여, 메인 테이블(501)로부터 볼B1 및/또는 B2를 낙하시키는 푸셔부(510) 및 그 제어 기구(구체적으로는 도시하지 않는 동력부 및 이것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600)), 및 메인 테이블(501)로부터 낙하한 볼B1 및/또는 B2를 볼 반송 경로(1500)로 유도하는 볼 반송 경로(1040) 및 볼 운반 기구(1900)는, 제1 추첨 매체 및/또는 제2 추첨 매체를 소정의 반송 경로로 공급하는 공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나아가, 낙하한 볼이 볼B1인지 볼B2인지를 검출하는 센서 및 제1 제어부(600)는, 추첨 매체가 제1 추첨 매체인지 제2 추첨 매체인지를 특정하는 매체 종별 특정 수단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이것에 대하여,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는, 도 57을 이용하여 설 명한 바와 같이, 볼B1 또는 B2가 플레이 필드(500)의 메인 테이블(501)로부터 낙하하였는지 여부를 상시 감시한다(스텝 S141). 메인 테이블(501)로부터 볼B1 또는 B2가 낙하한 것이 통지된 경우(스텝 S141의 Yes), 제1 제어부(600)는, 센서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낙하한 볼이 볼B1인지 볼B2인지를 특정한다(스텝 S142).
다음으로, 제1 제어부(600)는, 볼이 낙하한 것 및 낙하한 볼의 종별을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에 통지하고(스텝 S143), 또한, 볼 운반 기구(1900)에 있어서의 볼 운반부(1910)가 볼 운반부 주행 슬로프(1901)를 뛰어 오르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볼 운반부(1910)에 세트된 볼B1 또는 B2를 볼 운반부 주행 슬로프(1901)의 상단까지 운반한다(스텝 S144).
한편,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는, 도 58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볼이 낙하한 것 및 낙하한 볼의 종별이 제1 제어부(600)로부터 통지되었는지 여부를 상시 감시한다(스텝 S241). 볼이 낙하한 것 및 낙하한 볼의 종별이 제1 제어부(600)로부터 통지되면, 제2 제어부는, 낙하한 볼이 볼B1인지 볼B2인지를 판정한다(스텝 S242). 이와 같이, 스텝 S242를 실행하는 제2 제어부 및 스텝 S242에 있어서 제어 및 구동하는 각 부는, 추첨 매체가 제1 추첨 매체인 볼B1인지 제2 추첨 매체인 볼B2인지를 특정하는 추첨 매체 특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스텝 S242의 판정의 결과, 낙하한 볼이 볼B1인 경우(스텝 S242의 Yes), 제2 제어부는, 볼 캐리어(1520, 도 3 참조)를 스테이션부(ST)의 볼 운반 기구(1900)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43), 볼 운반부(1910)로부터 볼B1을 배출시키는 것으로, 볼 운반 기구(1900)로부터 볼 캐리어(1520)로 볼B1을 받 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44). 이와 같이, 스텝 S243 및 S244를 실행하는 제2 제어부 및 스텝 S243 및 S244에 있어서 제어 및 구동하는 각 부는, 제1 추첨 매체인 볼B1을 소정의 반송 경로인 볼 반송 경로(1500)에 있어서의 볼 캐리어(1520)로 공급하는 공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덧붙여, 볼 운반부(1910)로부터의 볼B1의 배출 제어는, 제1 제어부(600)가 행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제2 제어부는, 볼 캐리어(1520)를 볼 투입 기구(1600)의 받이 접시(1610, 도 3 참조)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45), 볼 캐리어(1520)를 받이 접시(1610) 측으로 기울이는 것으로, 볼 캐리어(1520)로부터 받이 접시(1610)로 볼B1을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46).
다음으로, 제2 제어부는, 해당하는 스테이션부(ST)에 있어서의 조작부(450)(도 40 또는 도 41 참조)의 누름 버튼(1830)이 게임 플레이어에 의하여 압하되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스텝 S247). 덧붙여, 누름 버튼(1830)이 압하된 것은,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로부터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에 통지된다.
스텝 S247에 있어서 조작부(450)의 누름 버튼(1830)이 압하된 경우(스텝 S247의 Yes), 제2 제어부는, 볼 투입 기구(1600)의 받이 접시(1610)를 볼 투입 경로(1110, 도 3 참조) 측으로 기울이는 것으로, 받이 접시(1610)로부터 볼 투입 경로(1110)로 볼B1을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48). 그 후, 제2 제어부는 스텝 S241로 귀환한다. 덧붙여, 볼 투입 경로(1110)로 받아 넘겨진 볼B1은, 중력에 의하여 볼 투입 경로(1110)를 내려와 새틀라이트부(SA)에 있어서의 아우터 빙고 스 테이지(1100, 도 3 참조)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스텝 S245로부터 스텝 S248을 실행하는 제2 제어부 및 스텝 S245로부터 S248에 있어서 제어 및 구동하는 각 부는, 제1 추첨 매체인 볼B1을 제1 추첨 필드인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로 송급하는 제1 송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한편, 스텝 S242의 판정의 결과, 낙하한 볼이 볼B2인 경우(스텝 S242의 Yes), 제2 제어부는, 볼 캐리어(1520)를 스테이션부(ST)의 볼 운반 기구(1900)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49), 볼 운반부(1910)로부터 볼B2를 배출시키는 것으로, 볼 운반 기구(1900)로부터 볼 캐리어(1520)로 볼B2를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50). 이와 같이, 스텝 S249 및 S250을 실행하는 제2 제어부 및 스텝 S249 및 S250에 있어서 제어 및 구동하는 각 부는, 제2 추첨 매체인 볼B2를 소정의 반송 경로인 볼 반송 경로(1500)에 있어서의 볼 캐리어(1520)로 공급하는 공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덧붙여, 볼 운반부(1910)로부터의 볼B2의 배출 제어는, 제1 제어부(600)가 행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제2 제어부는, 볼 캐리어(1520)를 볼 투입 기구(1600)의 받이 접시(1620, 도 3 참조)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51), 볼 캐리어(1520)를 받이 접시(1620) 측으로 기울이는 것으로, 볼 캐리어(1520)로부터 받이 접시(1620)로 볼B2를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52).
다음으로, 제2 제어부는, 해당하는 스테이션부(ST)에 있어서의 조작부(450)의 누름 버튼(1830)이 게임 플레이어에 의하여 압하되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스텝 S253). 덧붙여, 누름 버튼(1830)이 압하된 것은,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 부(600)로부터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에 통지된다.
스텝 S253에 있어서 조작부(450)의 누름 버튼(1830)이 압하된 경우(스텝 S253의 Yes), 제2 제어부는, 볼 투입 기구(1600)의 받이 접시(1620)를 볼 투입 기구(1210, 도 3 참조) 측으로 기울이는 것으로, 받이 접시(1620)로부터 볼 투입 경로(1210)로 볼B2를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54). 그 후, 제2 제어부는 스텝 S241로 귀환한다. 덧붙여, 볼 투입 경로(1210)로 받아 넘겨진 볼B2는, 중력에 의하여 볼 투입 경로(1210)를 내려와 새틀라이트부(SA)에 있어서의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 도 3 참조)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스텝 S251로부터 스텝 S254를 실행하는 제2 제어부 및 스텝 S251로부터 S254에 있어서 제어 및 구동하는 각 부는, 제2 추첨 매체인 볼B2를 제1 추첨 필드인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로 송급하는 제2 송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의 스텝 S228 또는 S248에 있어서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로 투입된 볼B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를 주회한 후, 어느 한 쪽의 입상 스폿(1101)으로 진입한다. 입상 스폿(1101)으로의 볼B1의 진입은, 각 입상 스폿(1101)에 설치된 센서에 의하여 검출되고, 제2 제어부에 통지된다. 마찬가지로, 이상에 있어서의 스텝 S234 또는 S254에 있어서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로 투입된 볼B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를 주회한 후, 어느 한 쪽의 입상 스폿(1201)으로 진입한다. 입상 스폿(1201)으로의 볼B2의 진입은, 각 입상 스폿(1201)에 설치된 센서에 의하여 검출되고, 제2 제어부 에 통지된다. 덧붙여, 볼B1의 진입을 검출하는 센서 및 제2 제어부는, 제1 추첨 매체인 볼B1이 진입한 제1 입상 스폿에 대응지어진 제1 상 또는 제2 상을 당선으로 하는 제1 당선 결정 수단의 일부로서 기능하고, 볼B2의 진입을 검출하는 센서 및 제1 제어부(600)는, 제2 추첨 매체인 볼B2가 진입한 제2 입상 스폿에 대응지어진 제1 상 또는 제2 상을 당선으로 하는 제2 당선 결정 수단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이것에 대하여,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는, 도 59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어느 한 쪽의 입상 스폿(1101) 또는 입상 스폿(1201)으로 볼B1 또는 B2가 진입하였는지 여부, 즉, 어느 한 쪽의 입상 스폿(1101) 또는 입상 스폿(1201)으로 입상하였는지 여부를 상시 감시한다(스텝 S261). 어느 한 쪽의 입상 스폿으로의 입상이 통지된 경우(스텝 S261의 Yes), 제2 제어부는, 볼B1 또는 B2가 입상한 입상 스폿(1101) 또는 입상 스폿(1201)에 할당된 것이 잭포트 도전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62). 이 판정의 결과, 할당이 잭포트 도전상인 경우(스텝 S262의 Yes), 제2 제어부는 잭포트 게임을 실행하고(스텝 S263), 그 후, 스텝 S261로 귀환한다. 덧붙여, 스텝 S261에서는, 볼B1 또는 B2가 진입한 입상 스폿(1101) 또는 입상 스폿(1201)도 특정된다.
한편, 스텝 S262의 판정의 결과, 입상한 입상 스폿(1101) 또는 입상 스폿(1201)에 할당된 것이 1 ~ 9에 있어서의 어느 하나의 번호인 경우(스텝 S252의 No), 제2 제어부는, 입상한 입상 스폿(1101) 또는 입상 스폿(1201)에 할당된 번호를 특정하고(스텝 S264), 이것 또는 이것들을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에 통지한 후(스텝 S265), 스텝 S261로 귀환한다. 이와 같이, 스텝 S261로부터 스텝 S265를 실행하는 제2 제어부 및 스텝 S261로부터 스텝 S265에 있어서 제어 및 구동하는 각 부는, 복수의 입상 스폿(1101) 중 어느 한 쪽으로 볼B1이 진입한 경우에 이 입상 스폿(1101)에 대응지어진 제1 상 또는 제2 상을 당선으로 하는 제1 당선 결정 수단 및 복수의 입상 스폿(1201) 중 어느 한 쪽으로 볼B2가 진입한 경우에 이 입상 스폿(1201)에 대응지어진 제1 상 또는 제2 상을 당선으로 하는 제2 당선 결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것에 대하여,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는, 도 60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도 59의 스텝 S265에 있어서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로부터 당선 번호가 통지되었는지 여부를 상시 감시한다(스텝 S151). 당선 번호가 통지되면(스텝 S151의 Yes), 제1 제어부(600)는, 통지된 당선 번호를 특정하고(스텝 S152), 이 당선 번호가 이미 당선이 끝났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53). 이 판정의 결과, 이미 당선이 끝난 경우(스텝 S153의 Yes), 제1 제어부(600)는 스텝 S151로 귀환한다.
한편, 통지된 당선 번호가 당선이 끝나지 않은 경우(스텝 S153의 No), 제1 제어부(600)는, 디스플레이(701)에 표시 중인 빙고 테이블에 있어서의 당선한 번호와 대응지어진 매스를 협조 표시한다(스텝 S154).
다음으로, 제1 제어부(600)는, 빙고 테이블의 라인(L11 ~ L18)에 있어서, 모든 매스가 당선한 라인(이것을 당선 라인이라고 한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55). 이 결과, 당선 라인이 존재하는 경우(스텝 S155의 Yes), 제1 제어부(600)는, 당선 라인에 할당된 상의 당선 내용을 특정한다(스텝 S156).
다음으로, 제1 제어부(600)는, 특정한 당선 내용에 예를 들면 소정 매수(예를 들면 30매)의 메달M을 떨쳐내는 내용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57). 이 결과, 소정 매수의 메달M을 떨쳐내는 내용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스텝 S157의 No), 제1 제어부(600)는 스텝 S159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 S157의 판정의 결과, 30매의 메달M을 떨쳐내는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스텝 S157의 Yes), 제1 제어부(600)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리프트 업 호퍼(300)와 메달 배출부(330)를 구동하는 것으로, 30매의 메달M을 플레이 필드(500)로 떨쳐내고(스텝 S158), 그 후, 스텝 S159로 이행한다. 다만, 당선한 메달M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리프트 업 호퍼(1020)와 메달 떨쳐냄부(1030)를 구동하는 것으로 직접 게임 플레이어에게 떨쳐내져도 무방하다.
스텝 S159에서는, 제1 제어부(600)는, 특정한 당선 내용에 예를 들면 한 개 또는 복수의 볼B1 또는 B2를 떨쳐내는 내용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59). 이 결과, 한 개 또는 복수의 볼B1 또는 B2를 떨쳐내는 내용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스텝 S159의 No), 제1 제어부(600)는 스텝 S161로 이행한다. 한편, 한 개 또는 복수의 볼B1 또는 B2를 떨쳐내는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스텝 S159의 Yes), 제1 제어부(600)는, 한 개 또는 복수의 볼B1 또는 B2의 떨쳐냄을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에 요구하고(스텝 S160), 그 후, 스텝 S161로 이행한다. 덧붙여, 한 개 또는 복수의 볼B1 또는 B2가 요구된 제2 제어부는, 도 54 또는 도 56에 도시하는 동작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1회 이상 실행하는 것으로, 해당하는 스테이션부(ST) 또는 볼 투입 기구(1600)로 볼B1 또는 B2를 공급한다.
스텝 S161에서는, 제1 제어부(600)는, 빙고 테이블의 라인(L11 ~ L18)에 있어서, 한 개를 남기고 다른 모든 매스가 당선한 라인(이것을 리치 라인이라고 한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61). 이 결과, 리치 라인이 존재하는 경우(스텝 S161의 Yes), 제1 제어부(600)는, 해당하는 라인 상의 나머지의 매스, 즉 아직도 당선하여 있지 않은 매스를 강조 표시하고(스텝 S162), 그 후, 스텝 S151로 귀환한다. 이와 같이, 스텝 S151로부터 스텝 S162를 실행하는 제1 제어부(600) 및 빙고 테이블을 생성하여 각 스테이션부(ST)로 배신하는 제2 제어부 및 이와 같은 제어 하에서 구동하는 각 부는, 빙고 게임을 실행하는 빙고 게임 실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상과 같이 동작하는 것으로, 디지털 추첨 게임 및 빙고 게임을 포함하는 일련의 게임이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된다.
덧붙여, 이상에서는, 입상 스폿(1101) 및 입상 스폿(1201) 각각에 미리 1 ~ 9에 있어서의 번호 또는 잭포트 도전상이 할당된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잭포트 도전상(또는 잭포트상)이 할당된 입상 스폿(1101) 및 입상 스폿(1201)의 위치(OS1 ~ OS10 및 IS1 ~ IS5 중 어느 한 쪽) 및 그 수를, 상황에 따라 소프트적으로 변화시켜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빙고 게임에 도전하는 게임 플레이어가 앉는 스테이션부(ST)에 있어서의 디지털 추첨 게임의 게임 상태가 통상 모드인 경우, 잭포트 도전상이 할당된 입상 스폿(1101) 및 입상 스폿(1201)을 OS1 및 IS1로 하는데 대하여, 디지털 추첨 게임의 게임 상태가 확률 변동 모드 즉 당선 확률이나 배당 확률이 높은 모드인 경우, 잭포트 도전상이 할당된 입상 스폿(1101) 및 입상 스폿(1201)을 OS2 및 OS6 및 IS1 및 IS3으로 하도록, 즉 그 수를 증가시키도록 제어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잭포트 도전상 또는 번호와 입상 스폿(1101) 또는 입상 스폿(1201)과의 대응 관계는, 새틀라이트부(SA)에 있어서의 제2 제어부에 있어서 생성되고, 관리된다. 또한, 이때, 제1 제어부(600)로부터는, 현재의 게임 상태가 통상 모드인지 확률 변동 모드인지가 통지된다.
또한, 본 변형예 1에서는, 비금속제의 볼B1 및 금속제의 볼B2의 흐름을 순차 관리하기 위하여, 볼B1 및/또는 볼B2의 반송 경로 상에, 볼의 유무 또는 통과 및 그 종별을 검출하는 센서를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마찬가지의 이유로, 볼 캐리어(1520) 및 볼 운반부(1910)에, 볼의 유무 또는 통과 및 그 종별을 검출하는 센서를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또한, 본 변형예 1에서는, 비금속제의 볼B1 및 금속제의 볼B2를 이용하여 2가지의 빙고 게임을 제공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색이 다른 복수의 볼을 이용하는 것으로, 2가지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 가지의 빙고 게임을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볼의 종별을 판별하는 센서가, 예를 들면 컬러 센서 등으로 구성된다.
(1-11) 게임의 변형예 2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되는 게임의 변형예 2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변형예 2에서는, 비금속의 볼B1과 금속의 볼B2의 2종류의 볼을 이용하지 않고, 1종류의 볼B만을 이용하여 2가지의 빙고 게임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변형예 2에서는, 볼 공급 기구(1300) 및 볼 공급 기구(1400) 중 어느 일방만을 사용한다. 바꾸어 말하면, 볼 공급 기구(1300) 및 볼 공급 기구(1400) 중 어느 일방을 삭제할 수 있다. 본 변형예 2에서는, 볼 공급 기구(1300)만을 이용한 경우를 예로 든다. 또한, 본 변형예 2에서는, 볼B가 금속인지 비금속인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1-11-1) 디지털 추첨 게임
우선, 본 변형예 2에 있어서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되는 디지털 추첨 게임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본 변형예 2에서는, 추첨의 대상으로 하는 상에, 예를 들면, 빅 보너스A 상, 빅 보너스B 상, 볼 상A, 볼 상B, 소역A 상 및 소역B 상 등이 포함된다.
본 변형예 2에 있어서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되는 디지털 추첨 게임에서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되는 화면은, 상술에 있어서 도 47(a)를 이용하여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변형예 2에 있어서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되는 디지털 추첨 게임에서 사용되는 각 상의 도안과 당선 확률(당선 범위)은 상술에 있어서 도 80(a) 및 도 80(b)를 이용하여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본 변형예 2에서는, 이것들을 인용하는 것으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1-11-2) 빙고 게임
나아가, 본 변형예 2에 있어서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되는 빙고 게임은, 상술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1-11-3) 게임 전체
다음으로, 상술한 디지털 추첨 게임 및 빙고 게임을 포함하는 일련의 게임 전체의 흐름을,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3 내지 도 69는, 이때의 제1 제어부(600) 및 제2 제어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다만, 상술에 있어서의 도 52 및 도 59에 도시한 동작은, 본 변형예 2에서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이것들을 인용하여 설명한다.
본 동작에서는, 상술과 마찬가지로, 푸셔부(510)가 표시부(700)에 설치된 수납부(720)를 출입하도록 슬라이드 운동하면, 푸셔부(510) 상부의 서브 테이블(511) 상에 저류된 메달M이, 이 서브 테이블(511)로부터 푸셔부(510)의 경사 테이블(512)로 낙하한다. 이때, 낙하한 메달M이 경사 테이블(512)에 설치된 체커(515-1, 515-2, 515-3) 중 어느 한 쪽으로 진입하면, 이것이 체커(515-1, 515-2, 515-3)에 각각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다. 센서는, 메달M의 진입을 검출하면, 이것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이 신호를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에 통지한다. 덧붙여, 체커(515-1, 515-2, 515-3)로의 메달M의 진입을 검출하는 센서는, 온/오프 스위치 등을 이용한 접촉형의 센서여도, 적외선 등을 이용한 비접촉형의 센서여도 무방하다. 또한, 이 센서는, 체커(515-1, 515-2, 515-3)의 가장 가까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는, 도 52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어느 한 쪽의 체커(515-1, 515-2, 515-3)에 있어서 메달M의 진입이 검출되면(스텝 S131), 도시하지 않는 체커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한 개 인크리멘트한다(스텝 S132).
또한, 제1 제어부(600)는, 도 6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시, 체커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감시한다(스텝 S111). 그래서 카운트값이 0 이상인 경우(스텝 S111의 No), 제1 제어부(600)는, 카운트값을 한 개 디크리멘트한 후(스텝 S112), 상술한 디지털 추첨 게임을 1회 실행한다(스텝 S113).
다음으로, 제1 제어부(600)는, 디지털 추첨 게임의 추첨 결과가 빗나감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14의 Yes). 이 결과, 추첨 결과가 빗나감이었을 경우(스텝 S114의 Yes), 제1 제어부(600)는 스텝 S111로 귀환한다.
한편, 스텝 S114의 판정의 결과, 추첨 결과가 빗나감이 아닌 경우(스텝 S114의 No), 제1 제어부(600)는, 다음으로, 추첨 결과가 빅 보너스A의 당선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15). 이 결과, 추첨 결과가 빅 보너스A의 당선인 경우(스텝 S115의 Yes), 제1 제어부(600)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리프트 업 호퍼(300)와 메달 배출부(330)를 구동하는 것으로, 당선한 매수(예를 들면 30매)의 메달M을 플레이 필드(500)로 떨쳐내는 것(스텝 S116)과 함께, 다음 게임 이후의 디지털 추첨 게임이 통상 모드에서 실행되도록 설정하고(스텝 S117), 그 후, 스텝 S111로 귀환한다. 다만, 당선한 메달M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리프트 업 호퍼(1020)와 메달 떨쳐냄부(1030)를 구동하는 것으로 직접 게임 플레이어에게 떨쳐내져도 무방하다. 또한, 통상 모드에서는, 상술에도 있는 바와 같이, 각 상의 당선 확률이 확률 변동 모드 중의 당선 확률보다도 낮다(도 61(b) 참조). 또한, 통상 모드에서는, 예를 들면, 플레이 필드(500)의 메인 테이블(501)에 설치된 가이드부(530R, 530L)의 메달 가이드판(533)이, 메인 테이블(501)의 상면 아래에 수납된 상태로 된다. 나아가, 통상 모드에서는, 예를 들면, 푸셔부(510)의 경사 테이블(512)에 출입 가능하게 설치된 메달 가이드판(516, 도 4 참조)이 경사 테이블(512)의 상면 아래에 수납된 상태로 된다. 여기서, 메달 가이드판(516)은, 경사 테이블(512)에 설치된 어느 한 쪽의 체커(예를 들면 체커(515-2))로 진입하기 쉬워지도록, 서브 테이블(511)로부터 경사 테이블(512)로 낙하한 메달M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 상세한 구성은, 예를 들면 메인 테이블(501)에 설치된 가이드부(530R, 530L)를 적용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스텝 S115의 판정의 결과, 추첨 결과가 빅 보너스A의 당선이 아닌 경우(스텝 S115의 No), 제1 제어부(600)는, 다음으로, 추첨 결과가 빅 보너스B의 당선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18). 이 결과, 추첨 결과가 빅 보너스B의 당선인 경우(스텝 S118의 Yes), 제1 제어부(600)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리프트 업 호퍼(300)와 메달 배출부(330)를 구동하는 것으로, 당선한 매수(예를 들면 30매)의 메달M을 플레이 필드(500)로 떨쳐내는 것(스텝 S119)과 함께, 다음 게임 이후의 디지털 추첨 게임이 확률 변동 모드에서 실행되도록 설정하고(스텝 S120), 그 후, 스텝 S111로 귀환한다. 다만, 당선한 메달M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리프트 업 호퍼(1020)와 메달 떨쳐냄부(1030)를 구동하는 것으로 직접 게임 플레이어에게 떨쳐내져도 무방하다. 또한, 확률 변동 모드에서는, 상술에도 있는 바와 같이, 각 상의 당선 확률이 통상 모드 중의 당선 확률보다도 높다(도 61(b) 참조). 또한, 확률 변동 모드에서는, 예를 들면, 플레이 필드(500)의 메인 테이블(501)에 설치된 가이 드부(530R, 530L)의 메달 가이드판(533)이, 메인 테이블(50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된다. 나아가, 확률 변동 모드에서는, 예를 들면, 푸셔부(510)의 경사 테이블(512)에 출입 가능하게 설치된 메달 가이드판(516, 도 4 참조)이 경사 테이블(51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된다.
한편, 스텝 S118의 판정의 결과, 추첨 결과가 빅 보너스B의 당선이 아닌 경우(스텝 S118의 No), 제1 제어부(600)는, 다음으로, 추첨 결과가 볼 상A의 당선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21b). 이 결과, 추첨 결과가 볼 상A의 당선인 경우(스텝 S121b의 Yes), 제1 제어부(600)는, 자신을 구비한 스테이션부(ST)로 당선한 볼B를 떨쳐낼 것을 새틀라이트부(SA)에 요구하고(스텝 S122d), 그 후, 스텝 S111로 귀환한다.
한편, 스텝 S121b의 판정의 결과, 추첨 결과가 볼B1 상A 또는 볼B2 상A의 당선이 아닌 경우(스텝 S121b의 No), 제1 제어부(600)는, 추첨 결과가 볼 상B의 당선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23b). 이 결과, 추첨 결과가 볼 상B의 당선인 경우(스텝 S123b의 Yes), 제1 제어부(600)는, 당선한 볼B를 새틀라이트부(SA)의 볼 투입 기구(1600)로 직접 떨쳐낼 것을 요구하는 것(스텝 S124d)과 함께, 디지털 추첨 게임에 있어서의 현재의 게임 상태를 통지하고(스텝 S124e), 그 후, 스텝 S111로 귀환한다.
한편, 스텝 S123b의 판정의 결과, 추첨 결과가 볼 상B의 당선이 아닌 경우(스텝 S123b의 No), 제1 제어부(600)는, 추첨 결과가 소역A 상의 당선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25). 이 결과, 추첨 결과가 소역A 상의 당선인 경우(스텝 S125의 Yes), 제1 제어부(600)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리프트 업 호퍼(300)와 메달 배출부(330)를 구동하는 것으로, 당선한 매수(예를 들면 8매)의 메달M을 플레이 필드(500)로 떨쳐내고(스텝 S126) 그 후, 스텝 S111로 귀환한다. 다만, 당선한 메달M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리프트 업 호퍼(1020)와 메달 떨쳐냄부(1030)를 구동하는 것으로 직접 게임 플레이어에게 떨쳐내져도 무방하다.
한편, 스텝 S125의 판정의 결과, 추첨 결과가 소역A 상의 당선이 아닌 경우(스텝 S125의 No), 제1 제어부(600)는, 추첨 결과가 소역B 상의 당선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27). 이 결과, 추첨 결과가 소역B 상의 당선인 경우(스텝 S127의 Yes), 제1 제어부(600)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리프트 업 호퍼(300)와 메달 배출부(330)를 구동하는 것으로, 당선한 매수(예를 들면 2매)의 메달M을 플레이 필드(500)로 떨쳐내고(스텝 S128), 그 후, 스텝 S111로 귀환한다. 다만, 당선한 메달M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리프트 업 호퍼(1020)와 메달 떨쳐냄부(1030)를 구동하는 것으로 직접 게임 플레이어에게 떨쳐내져도 무방하다.
또한, 스텝 S127의 판정의 결과, 추첨 결과가 소역B 상의 당선도 아닌 경우(스텝 S127의 No), 제1 제어부(600)는 에러로 판정하고(스텝 S129), 그 후, 스텝 S111로 귀환한다. 이때, 제1 제어부(600)가, 에러 통지 등을 소정의 관리 서버로 송신하거나, 디스플레이(701)에 에러 표시를 행하거나 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것에 대하여,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는, 도 6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63의 스텝 S122d에 있어서 제1 제어부(600)로부터 자신을 구비한 스테이 션부(ST)로 당선한 볼B를 떨쳐낼 것이 요구되었는지 여부를 상시 감시한다(스텝 S211a). 제1 제어부(600)로부터 자신을 구비한 스테이션부(ST)로 당선한 볼B를 떨쳐낼 것이 요구되면(스텝 S211a의 Yes), 제2 제어부는, 볼을 반송하기 위한 소정의 반송 경로로서 기능하는 볼 반송 경로(1500)에 있어서의 볼 캐리어(1520, 도 3 참조)를 볼 공급 기구(1300, 도 3 참조)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13a), 볼 공급 기구(1300)로부터 볼B를 배출시키는 것으로, 볼 공급 기구(1300)로부터 볼 캐리어(1520)로 볼B를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14a).
다음으로, 제2 제어부는, 볼 캐리어(1520)를 해당하는 스테이션부(ST)의 볼 투입 기구(1800)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15), 볼 캐리어(1520)를 볼 투입 기구(1800) 측으로 기울이는 것으로, 볼 캐리어(1520)로부터 볼 투입 기구(1800)의 경사 레일부(1801)(도 2 또는 도 46 참조)로 볼B를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16a). 그 후, 제2 제어부는 스텝 S211a로 귀환한다. 덧붙여, 경사 레일부(1801)로 받아 넘겨진 볼B1은, 경사 레일부(1801)에 설치된 계지/릴리스 동작 제어 기구(1809, 도 46 참조)에 의하여 계지되는 것으로, 이것의 상단인 시단부(1802, 도 46 참조)에 일시 정지된다.
또한,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는, 도 6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450)(도 40 또는 도 41 참조)의 누름 버튼(1830)이 게임 플레이어에 의하여 압하되었는지 여부를 상시 감시한다(스텝 S131). 조작부(450)의 누름 버튼(1830)이 압하된 경우(스텝 S131의 Yes), 제1 제어부(600)는, 볼 투입 기구(1800)의 경사 레 일부(1801)로부터 돌출하는 계지/릴리스 동작 제어 기구(1809)를 경사 레일부(1801) 내에 수납하도록 제어한다(스텝 S132a). 이것에 의하여, 볼 투입 기구(1800)의 시단부(1802)에 대기하고 있던 볼B가, 중력에 의하여 경사 레일부(1801)를 내려와 볼 투입 위치 추첨 기구(1810, 도 46 참조)로 진입하고, 이것을 통하여 플레이 필드(500)에 있어서의 메인 테이블(501)로 공급된다.
또한,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는, 도 6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63의 스텝 S124d에 있어서 제1 제어부(600)로부터 새틀라이트부(SA)의 볼 투입 기구(1600)로 당선한 볼B를 직접 떨쳐낼 것이 요구되었는지 여부를 상시 감시한다(스텝 S221a). 제1 제어부(600)로부터 새틀라이트부(SA)의 볼 투입 기구(1600)로 당선한 볼B를 직접 떨쳐낼 것이 요구되면(스텝 S221a의 Yes), 제2 제어부는, 대상의 제1 제어부(600)로부터 통지된 게임 상태가 확률 변동 모드(확률 변동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22a).
스텝 S222a의 판정의 결과, 현재의 게임 상태가 확률 변동 모드인 경우(스텝 S222a의 Yes), 제2 제어부는, 볼 캐리어(1520)를 볼 공급 기구(1300)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23a), 볼 공급 기구(1300)로부터 볼B를 배출시키는 것으로, 볼 공급 기구(1300)로부터 볼 캐리어(1520)로 볼B를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24a).
다음으로, 제2 제어부는, 볼 캐리어(1520)를 볼 투입 기구(1600)의 받이 접시(1610, 도 3 참조)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25), 볼 캐리어(1520)를 받이 접시(1610) 측으로 기울이는 것으로, 볼 캐리어(1520)로부터 받이 접시(1610)로 볼B를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26a).
다음으로, 제2 제어부는, 해당하는 스테이션부(ST)에 있어서의 조작부(450)(도 40 또는 도 41 참조)의 누름 버튼(1830)이 게임 플레이어에 의하여 압하되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스텝 S227). 덧붙여, 누름 버튼(1830)이 압하된 것은,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로부터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에 통지된다.
스텝 S227에 있어서 조작부(450)의 누름 버튼(1830)이 압하된 경우(스텝 S227의 Yes), 제2 제어부는, 볼 투입 기구(1600)의 받이 접시(1610)를 볼 투입 경로(1110, 도 3 참조) 측으로 기울이는 것으로, 받이 접시(1610)로부터 볼 투입 경로(1110)로 볼B를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28a). 그 후, 제2 제어부는 스텝 S221로 귀환한다. 덧붙여, 볼 투입 경로(1110)로 받아 넘겨진 볼B는, 중력에 의하여 볼 투입 경로(1110)를 내려와 새틀라이트부(SA)에 있어서의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 도 3 참조)로 공급된다.
한편, 스텝 S222a의 판정의 결과, 현재의 게임 상태가 확률 변동 모드가 아닌 경우(스텝 S222a의 No), 제2 제어부는, 볼 캐리어(1520)를 볼 공급 기구(1300)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29a), 볼 공급 기구(1300)로부터 볼B를 배출시키는 것으로, 볼 공급 기구(1300)로부터 볼 캐리어(1520)로 볼B를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30a).
다음으로, 제2 제어부는, 볼 캐리어(1520)를 볼 투입 기구(1600)의 받이 접시(1620, 도 3 참조)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31), 볼 캐리어(1520)를 받이 접시(1620) 측으로 기울이는 것으로, 볼 캐리어(1520)로부터 받이 접시(1620)로 볼B를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32a).
다음으로, 제2 제어부는, 해당하는 스테이션부(ST)에 있어서의 조작부(450)의 누름 버튼(1830)이 게임 플레이어에 의하여 압하되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스텝 S233). 덧붙여, 누름 버튼(1830)이 압하된 것은,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로부터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에 통지된다.
스텝 S233에 있어서 조작부(450)의 누름 버튼(1830)이 압하된 경우(스텝 S233의 Yes), 제2 제어부는, 볼 투입 기구(1600)의 받이 접시(1620)를 볼 투입 경로(1210, 도 3 참조) 측으로 기울이는 것으로, 받이 접시(1620)로부터 볼 투입 경로(1210)로 볼B를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34a). 그 후, 제2 제어부는 스텝 S221로 귀환한다. 덧붙여, 볼 투입 경로(1210)로 받아 넘겨진 볼B는, 중력에 의하여 볼 투입 경로(1210)를 내려와 새틀라이트부(SA)에 있어서의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 도 3 참조)로 공급된다.
또한, 게임 진행 중, 푸셔부(510)의 운동에 의하여 메인 테이블(501)로부터 낙하한 볼B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볼 반송 경로(1040, 도 4 참조)에 있어서의 볼 받이부(1041, 도 4 참조)에 받아들여진다. 그 후, 볼 정지부(1042, 도 4 참조)를 통과하고, 볼 배출구(1043, 도 4 참조)에 대기하고 있던 볼 운반부(1910, 도 1 참조)에 세트된다. 이때, 볼 받이부(1041)와 볼 배출구(1043)의 사이(바람직하게는 볼 배출구(1043) 근방)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센서에 의하여, 볼이 낙하한 것이 검출된다. 이 검출 결과는 제1 제어부(600)에 입력된다.
이것에 대하여,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는, 도 6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B가 플레이 필드(500)의 메인 테이블(501)로부터 낙하하였는지 여부를 상시 감시한다(스텝 S141a). 메인 테이블(501)로부터 볼B가 낙하한 것이 통지된 경우(스텝 S141a의 Yes), 제1 제어부(600)는, 볼이 낙하한 것을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에 통지하는 것(스텝 S143a)과 함께, 디지털 추첨 게임에 있어서의 현재의 게임 상태를 제2 제어부에 통지하고(스텝 S143b), 또한, 볼 운반 기구(1900)에 있어서의 볼 운반부(1910)가 볼 운반부 주행 슬로프(1901)를 뛰어 오르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볼 운반부(1910)에 세트된 볼B를 볼 운반부 주행 슬로프(1901)의 상단까지 운반한다(스텝 S144a).
한편,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는, 도 6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이 낙하한 것 및 현재의 게임 상태가 제1 제어부(600)로부터 통지되었는지 여부를 상시 감시한다(스텝 S241a). 볼이 낙하한 것 및 현재의 게임 상태가 제1 제어부(600)로부터 통지되면, 제2 제어부는, 현재의 게임 상태가 확률 변동 모드(확률 변동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42a).
스텝 S242a의 판정의 결과, 현재의 게임 상태가 확률 변동 모드인 경우(스텝 S242a의 Yes), 제2 제어부는, 볼 캐리어(1520, 도 3 참조)를 스테이션부(ST)의 볼 운반 기구(1900)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43), 볼 운반부(1910)로부터 볼B를 배출시키는 것으로, 볼 운반 기구(1900)로부터 볼 캐리어(1520)로 볼B를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44a). 덧붙여, 볼 운반 부(1910)로부터의 볼B의 배출 제어는, 제1 제어부(600)가 행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제2 제어부는, 볼 캐리어(1520)를 볼 투입 기구(1600)의 받이 접시(1610, 도 3 참조)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45), 볼 캐리어(1520)를 받이 접시(1610) 측으로 기울이는 것으로, 볼 캐리어(1520)로부터 받이 접시(1610)로 볼B를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46a).
다음으로, 제2 제어부는, 해당하는 스테이션부(ST)에 있어서의 조작부(450)(도 40 또는 도 41 참조)의 누름 버튼(1830)이 게임 플레이어에 의하여 압하되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스텝 S247). 덧붙여, 누름 버튼(1830)이 압하된 것은,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로부터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에 통지된다.
스텝 S247에 있어서 조작부(450)의 누름 버튼(1830)이 압하된 경우(스텝 S247의 Yes), 제2 제어부는, 볼 투입 기구(1600)의 받이 접시(1610)를 볼 투입 경로(1110, 도 3 참조) 측으로 기울이는 것으로, 받이 접시(1610)로부터 볼 투입 경로(1110)로 볼B를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48a). 그 후, 제2 제어부는 스텝 S241로 귀환한다. 덧붙여, 볼 투입 경로(1110)로 받아 넘겨진 볼B는, 중력에 의하여 볼 투입 경로(1110)를 내려와 새틀라이트부(SA)에 있어서의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 도 3 참조)로 공급된다.
한편, 스텝 S242a의 판정의 결과, 현재의 게임 상태가 확률 변동 모드인 경우(스텝 S242a의 Yes), 제2 제어부는, 볼 캐리어(1520)를 스테이션부(ST)의 볼 운 반 기구(1900)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49), 볼 운반부(1910)로부터 볼B를 배출시키는 것으로, 볼 운반 기구(1900)로부터 볼 캐리어(1520)로 볼B를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50a). 덧붙여, 볼 운반부(1910)로부터의 볼B의 배출 제어는, 제1 제어부(600)가 행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제2 제어부는, 볼 캐리어(1520)를 볼 투입 기구(1600)의 받이 접시(1620, 도 3 참조)로 링 형상의 부재(1550)를 따라 이동시킨 후(스텝 S251), 볼 캐리어(1520)를 받이 접시(1620) 측으로 기울이는 것으로, 볼 캐리어(1520)로부터 받이 접시(1620)로 볼B를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52a).
다음으로, 제2 제어부는, 해당하는 스테이션부(ST)에 있어서의 조작부(450)의 누름 버튼(1830)이 게임 플레이어에 의하여 압하되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스텝 S253). 덧붙여, 누름 버튼(1830)이 압하된 것은,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로부터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에 통지된다.
스텝 S253에 있어서 조작부(450)의 누름 버튼(1830)이 압하된 경우(스텝 S253의 Yes), 제2 제어부는, 볼 투입 기구(1600)의 받이 접시(1620)를 볼 투입 기구(1210, 도 3 참조) 측으로 기울이는 것으로, 받이 접시(1620)로부터 볼 투입 경로(1210)로 볼B를 받아 넘기는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54a). 그 후, 제2 제어부는 스텝 S241로 귀환한다. 덧붙여, 볼 투입 경로(1210)로 받아 넘겨진 볼B는, 중력에 의하여 볼 투입 경로(1210)를 내려와 새틀라이트부(SA)에 있어서의 이너 빙고 스테 이지(1200, 도 3 참조)로 공급된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의 스텝 S228a 또는 S248a에 있어서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로 투입된 볼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아우터 빙고 스테이지(1100)를 주회한 후, 어느 한 쪽의 입상 스폿(1101)으로 진입한다. 입상 스폿(1101)으로의 볼B의 진입은, 각 입상 스폿(1101)에 설치된 센서에 의하여 검출되고, 제2 제어부에 통지된다. 마찬가지로, 이상에 있어서의 스텝 S234a 또는 S254a에 있어서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로 투입된 볼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너 빙고 스테이지(1200)를 주회한 후, 어느 한 쪽의 입상 스폿(1201)으로 진입한다. 입상 스폿(1201)으로의 볼B의 진입은, 각 입상 스폿(1201)에 설치된 센서에 의하여 검출되고, 제2 제어부에 통지된다.
이것에 대하여,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는, 도 59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어느 한 쪽의 입상 스폿(1101) 또는 입상 스폿(1201)으로 볼B가 진입하였는지 여부, 즉, 어느 한 쪽의 입상 스폿(1101) 또는 입상 스폿(1201)으로 입상하였는지 여부를 상시 감시한다(스텝 S261). 어느 한 쪽의 입상 스폿으로의 입상이 통지된 경우(스텝 S261의 Yes), 제2 제어부는, 볼B가 입상한 입상 스폿(1101) 또는 입상 스폿(1201)에 할당된 것이 잭포트 도전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62). 이 판정의 결과, 할당이 잭포트 도전상인 경우(스텝 S262의 Yes), 제2 제어부는 잭포트 게임을 실행하고(스텝 S263), 그 후, 스텝 S261로 귀환한다.
한편, 스텝 S262의 판정의 결과, 입상한 입상 스폿(1101) 또는 입상 스폿(1201)에 할당된 것이 1 ~ 9에 있어서의 어느 하나의 번호인 경우(스텝 S252의 No), 제2 제어부는, 입상한 입상 스폿(1101) 또는 입상 스폿(1201)에 할당된 번호를 특정하고(스텝 S264), 이것 또는 이것들을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에 통지한 후(스텝 S265), 스텝 S261로 귀환한다.
이것에 대하여, 스테이션부(ST)의 제1 제어부(600)는, 도 6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59의 스텝 S265에 있어서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로부터 당선 번호가 통지되었는지 여부를 상시 감시한다(스텝 S151). 당선 번호가 통지되면(스텝 S151의 Yes), 제1 제어부(600)는, 통지된 당선 번호를 특정하고(스텝 S152), 이 당선 번호가 이미 당선이 끝났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53). 이 판정의 결과, 이미 당선이 끝난 경우(스텝 S153의 Yes), 제1 제어부(600)는 스텝 S151로 귀환한다.
한편, 통지된 당선 번호가 당선이 끝나지 않은 경우(스텝 S153의 No), 제1 제어부(600)는, 디스플레이(701)에 표시 중인 빙고 테이블에 있어서의 당선한 번호와 대응지어진 매스를 협조 표시한다(스텝 S154).
다음으로, 제1 제어부(600)는, 빙고 테이블의 라인(L11 ~ L18)에 있어서, 모든 매스가 당선한 라인(이것을 당선 라인이라고 한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55). 이 결과, 당선 라인이 존재하는 경우(스텝 S155의 Yes), 제1 제어부(600)는, 당선 라인에 할당된 상의 당선 내용을 특정한다(스텝 S156).
다음으로, 제1 제어부(600)는, 특정한 당선 내용에 예를 들면 소정 매수(예를 들면 30매)의 메달M을 떨쳐내는 내용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57). 이 결과, 소정 매수의 메달M을 떨쳐내는 내용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스텝 S157의 No), 제1 제어부(600)는 스텝 S159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 S157의 판정의 결과, 30매의 메달M을 떨쳐내는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스텝 S157의 Yes), 제1 제어부(600)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리프트 업 호퍼(300)와 메달 배출부(330)를 구동하는 것으로, 30매의 메달M을 플레이 필드(500)로 떨쳐내고(스텝 S158), 그 후, 스텝 S159로 이행한다. 다만, 당선한 메달M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리프트 업 호퍼(1020)와 메달 떨쳐냄부(1030)를 구동하는 것으로 직접 게임 플레이어에게 떨쳐내져도 무방하다.
스텝 S159에서는, 제1 제어부(600)는, 특정한 당선 내용에 예를 들면 한 개 또는 복수의 볼B를 떨쳐내는 내용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59). 이 결과, 한 개 또는 복수의 볼B를 떨쳐내는 내용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스텝 S159의 No), 제1 제어부(600)는 스텝 S161로 이행한다. 한편, 한 개 또는 복수의 볼B를 떨쳐내는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스텝 S159의 Yes), 제1 제어부(600)는, 한 개 또는 복수의 볼B의 떨쳐냄을 새틀라이트부(SA)의 제2 제어부에 요구하고(스텝 S160), 그 후, 스텝 S161로 이행한다. 덧붙여, 한 개 또는 복수의 볼B가 요구된 제2 제어부는, 도 64 또는 도 66에 도시하는 동작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1회 이상 실행하는 것으로, 해당하는 스테이션부(ST) 또는 볼 투입 기구(1600)로 볼B를 공급한다.
스텝 S161에서는, 제1 제어부(600)는, 빙고 테이블의 라인(L11 ~ L18)에 있어서, 한 개를 남기고 다른 모든 매스가 당선한 라인(이것을 리치 라인이라고 한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61). 이 결과, 리치 라인이 존재하는 경우(스텝 S161의 Yes), 제1 제어부(600)는, 해당하는 라인 상의 나머지의 매스, 즉 아직도 당선하여 있지 않은 매스를 강조 표시하고(스텝 S162), 그 후, 스텝 S151로 귀환한다.
이상과 같이 동작하는 것으로, 디지털 추첨 게임 및 빙고 게임을 포함하는 일련의 게임이 게임 플레이어에게 제공된다.
덧붙여, 이상에서는, 입상 스폿(1101) 및 입상 스폿(1201) 각각에 미리 1 ~ 9에 있어서의 번호 또는 잭포트 도전상이 할당된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잭포트 도전상(또는 잭포트상)이 할당된 입상 스폿(1101) 및 입상 스폿(1201)의 위치(OS1 ~ OS10 및 IS1 ~ IS5 중 어느 한 쪽) 및 그 수를, 상황에 따라 소프트적으로 변화시켜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빙고 게임에 도전하는 게임 플레이어가 앉는 스테이션부(ST)에 있어서의 디지털 추첨 게임의 게임 상태가 통상 모드인 경우, 잭포트 도전상이 할당된 입상 스폿(1101) 및 입상 스폿(1201)을 OS1 및 IS1로 하는데 대하여, 디지털 추첨 게임의 게임 상태가 확률 변동 모드인 경우, 잭포트 도전상이 할당된 입상 스폿(1101) 및 입상 스폿(1201)을 OS2 및 OS6 및 IS1 및 IS3로 하도록 제어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잭포트 도전상 또는 번호와 입상 스폿(1101) 또는 입상 스폿(1201)과의 대응 관계는, 새틀라이트부(SA)에 있어서의 제2 제어부에 있어서 생성되고, 관리된다. 또한, 이때, 제1 제어부(600)로부터는, 현재의 게임 상태가 통상 모드인지 확률 변동 모드인지가 통지된다.
또한, 본 변형예 2에서는, 볼B의 흐름을 순차 관리하기 위하여, 볼B의 반송 경로 상에, 볼의 유무 또는 통과를 검출하는 센서를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여도 무 방하다. 나아가, 마찬가지의 이유로, 볼 캐리어(1520) 및 볼 운반부(1910)에, 볼의 유무 또는 통과 및 그 종별을 검출하는 센서를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17)

  1. 추첨 매체를 이용하여 제1 상(賞)과 제2 상 중 어느 한 쪽을 추첨하는 제1 추첨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장치이고,
    상기 제1 상과 상기 제2 상 중 어느 한 쪽을 상기 추첨 매체를 이용하여 추첨하기 위한 제1 추첨 필드와,
    상기 제1 상과 상기 제2 상 중 어느 한 쪽을 상기 추첨 매체를 이용하여 추첨하기 위한 제2 추첨 필드와,
    상기 추첨 매체를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제3 상과, 다음 이후의 게임 상태를 상기 제3 상의 당선 확률이 제1 당선 확률인 제1 게임 상태로 하는 제4 상과, 다음 이후의 게임 상태를 상기 제3 상의 당선 확률이 상기 제1 당선 확률보다도 높은 제2 당선 확률인 제2 게임 상태로 하는 제5 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 중 어느 한 쪽을 전기적으로 추첨하는 제2 추첨 게임을 실행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게임 상태와 상기 제2 게임 상태 중 어느 한 쪽을 현재의 게임 상태로서 관리하고, 상기 제4 상을 당선시킨 경우, 다음 이후의 제2 추첨 게임을 상기 제1 게임 상태 하에서 실행하고, 상기 제5 상을 당선시킨 경우, 다음 이후의 제2 추첨 게임을 상기 제2 게임 상태 하에서 실행하는 추첨 게임 실행 수단과,
    상기 추첨 매체를 소정의 반송 경로로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상기 추첨 게임 실행 수단에서 관리되고 있는 상기 현재의 게임 상태를 특정하는 게임 상태 특정 수단과,
    상기 현재의 게임 상태가 상기 제1 게임 상태인 경우, 상기 추첨 매체를 상기 제1 추첨 필드로 송급하는 제1 송급 수단과,
    상기 현재의 게임 상태가 상기 제2 게임 상태인 경우, 상기 추첨 매체를 상기 제2 추첨 필드로 송급하는 제2 송급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추첨 필드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상의 당선 확률은, 상기 제1 추첨 필드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상의 당선 확률보다도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첨 필드는, 상기 추첨 매체가 전동(轉動)하면서 주회(周回) 가능한 제1 원판과, 상기 제1 원판에 설치되고 상기 추첨 매체가 전입(轉入) 가능한 복수의 제1 입상(入賞) 스폿을 가지고,
    상기 제2 추첨 필드는, 상기 제1 원판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설(配設)되고 상기 추첨 매체가 전동하면서 주회 가능한 링 형상의 제2 원판과, 상기 제2 원판에 설치되고 상기 추첨 매체가 전입 가능한 복수의 제2 입상 스폿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입상 스폿 각각에 상기 제1 또는 제2 상을 대응짓는 상 대응짓기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제1 입상 스폿 중 어느 한 쪽으로 상기 추첨 매체가 진입한 경우, 당해 제1 입상 스폿에 대응지어진 상기 제1 또는 제2 상을 당선으로 하는 제1 당선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제2 입상 스폿 중 어느 한 쪽으로 상기 추첨 매체가 진입한 경우, 당해 제2 입상 스폿에 대응지어진 상기 제1 또는 제2 상을 당선으로 하는 제2 당선 수단
    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판은 소정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원판은 상기 소정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 대응짓기 수단은, 상기 현재의 게임 상태가 상기 제2 게임 상태인 경우, 상기 현재의 게임 상태가 상기 제1 게임 상태인 경우보다도 많은 제1 입상 스폿 및/또는 제2 입상 스폿에 상기 제2 상을 대응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레이어에게 제공된 상기 추첨 매체를 일시 저류하는 저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공급 수단은, 상기 추첨 매체를 상기 저류부로부터 상기 소정의 반송 경로로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압진(押進)하는 것으로, 상기 추첨 매체를 상기 소정의 반송 경로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추첨 게임에 있어서의 추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추첨 매체를 상기 저류부로 떨쳐내는 떨쳐냄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수단은, 상기 제2 추첨 게임에 있어서의 추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추첨 매체를 상기 소정의 반송 경로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 종류의 캐릭터가 배열된 빙고 테이블을 이용하는 빙고 게임을 실행하는 빙고 게임 실행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상은, 상기 빙고 게임에서 사용하는 상기 복수 종류의 캐릭터 중 어느 한 쪽을 당선으로 하는 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첨 매체는 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11. 제1 상 또는 제2 상이 각각 대응지어진 복수의 제1 입상 스폿을 가지는 제1 추첨 필드로 추첨 매체를 투입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또는 제2 상 중 어느 한 쪽을 추첨하고, 상기 제1 상 또는 상기 제2 상이 각각 대응지어진 복수의 제2 입상 스폿을 가지는 제2 추첨 필드로 추첨 매체를 투입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또는 제2 상을 추첨하는 제1 추첨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이고,
    상기 추첨 매체를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제3 상과, 다음 이후의 게임 상태를 상기 제3 상의 당선 확률이 제1 당선 확률인 제1 게임 상태로 하는 제4 상과, 다음 이후의 게임 상태를 상기 제3 상의 당선 확률이 상기 제1 당선 확률보다도 높은 제2 당선 확률인 상기 제2 게임 상태로 하는 제5 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 중 어느 한 쪽을 전기적으로 추첨하는 제2 추첨 게임을 실행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게임 상태와 상기 제2 게임 상태 중 어느 한 쪽을 현재의 게임 상태로서 관리하고, 상기 제4 상을 당선시킨 경우, 다음 이후의 제2 추첨 게임을 상기 제1 게임 상태 하에서 실행하고, 상기 제5 상을 당선시킨 경우, 다음 이후의 제2 추첨 게임을 상기 제2 게임 상태 하에서 실행하는 제1 스텝과,
    소정의 반송 경로로 상기 추첨 매체를 공급하는 제2 스텝과,
    상기 소정의 반송 경로로 상기 추첨 매체를 공급하였을 때에, 상기 제1 스텝에 있어서 관리되고 있는 상기 현재의 게임 상태를 특정하는 제3 스텝과,
    상기 제3 스텝에서 특정된 상기 현재의 게임 상태가 상기 제1 게임 상태인 경우, 상기 추첨 매체를 상기 제1 추첨 필드로 송급하는 제4 스텝과,
    상기 제1 추첨 필드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제1 입상 스폿 중 어느 쪽으로 상기 추첨 매체가 진입하였는지를 검출하는 제5 스텝과,
    상기 제5 스텝에서 상기 추첨 매체의 진입이 검출된 제1 입상 스폿에 대응지어진 상을 특정하는 제6 스텝과,
    상기 제3 스텝에서 특정된 상기 현재의 게임 상태가 상기 제2 게임 상태인 경우, 상기 추첨 매체를 상기 제2 추첨 필드로 송급하는 제7 스텝과,
    상기 제2 추첨 필드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제2 입상 스폿 중 어느 쪽으로 상기 추첨 매체가 진입하였는지를 검출하는 제8 스텝과,
    상기 제8 스텝에서 상기 제2 추첨 매체의 진입이 검출된 제2 입상 스폿에 대응지어진 상을 특정하는 제9 스텝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이 대응지어진 제2 입상 스폿의 수에 대한 상기 제2 상이 대응지어진 제2 입상 스폿의 수의 비율은, 상기 제1 상이 대응지어진 제1 입상 스폿의 수에 대한 상기 제2 상이 대응지어진 제1 입상 스폿의 수의 비율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장치는, 플레이어에게 제공된 상기 추첨 매체를 일시 저류하는 저류부와, 상기 저류부에 저류된 상기 추첨 매체를 상기 소정의 반송 경로로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압진하는 것으로 상기 추첨 매체를 상기 소정의 반송 경로로 송급하는 압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스텝은, 상기 압진부를 구동하는 것으로 상기 추첨 매체를 상기 소정의 반송 경로로 공급하고,
    상기 제1 스텝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추첨 게임의 추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추첨 매체를 상기 저류부로 떨쳐내는 제10 스텝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텝은, 상기 제1 스텝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추첨 게임의 추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추첨 매체를 상기 소정의 반송 경로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게임 상태가 상기 제2 게임 상태인 경우, 상기 현재의 게임 상태가 상기 제1 게임 상태인 경우보다도 많은 제1 입상 스폿 및/또는 제2 입상 스폿에 상기 제2 상을 대응짓는 제11 스텝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의 제어 방법.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 종류의 캐릭터가 배열된 빙고 테이블을 이용하는 빙고 게임을 실행하는 제12 스텝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상은, 상기 빙고 게임에서 사용하는 상기 복수 종류의 캐릭터 중 어느 한 쪽을 당선으로 하는 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첨 매체는 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87021832A 2006-02-13 2007-02-09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800915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34934 2006-02-13
JP2006034934A JP3980620B2 (ja) 2006-02-13 2006-02-13 ゲーム装置その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517A true KR20080091517A (ko) 2008-10-13

Family

ID=38371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1832A KR20080091517A (ko) 2006-02-13 2007-02-09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262452B2 (ko)
EP (1) EP1990075A4 (ko)
JP (1) JP3980620B2 (ko)
KR (1) KR20080091517A (ko)
CN (1) CN101384311B (ko)
AU (1) AU2007215978B2 (ko)
TW (1) TW200806373A (ko)
WO (1) WO20070942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5468A1 (en) * 2005-02-28 2006-09-14 Igt, A Nevada Corporation Multi-player bingo game with secondary wager for instant win game
JP4652354B2 (ja) * 2007-02-14 2011-03-16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メダルゲーム装置
US7857316B2 (en) * 2007-05-10 2010-12-28 Shoemaker Jr Stephen P Projectile roulette arcade game
JP2009066161A (ja) * 2007-09-12 2009-04-02 Namco Bandai Games Inc メダルゲーム装置
US8500538B2 (en) 2009-07-30 2013-08-06 Igt Bingo gam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ple outcomes from single bingo pattern
KR101250974B1 (ko) * 2010-06-16 2013-04-04 주식회사 네오리스 룰렛 게임기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US9443376B2 (en) * 2010-09-03 2016-09-13 Vsr Industries, Inc. Gaming device base with slidable mounting brackets
JP4663820B2 (ja) * 2010-10-29 2011-04-06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メダルゲーム装置
US8579288B2 (en) * 2011-09-19 2013-11-12 Sylvia Marie SAMPLETON Game pieces for math game and method thereof
WO2014200503A1 (en) * 2013-06-14 2014-12-18 Konami Gaming, Incorporated Game machine with provision for shortened checking, and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ed therein
US10431046B2 (en) 2015-10-23 2019-10-01 Video Gaming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a bingo game with an element of choice
BR102016005513A2 (pt) * 2016-03-11 2017-09-19 Alvarenga Ylamas Ruy Equipment for drawing
CN106548685A (zh) * 2017-01-18 2017-03-29 成都多元智能文化传播有限公司 便于训练儿童反应速度的益智教具
JP6592816B1 (ja) * 2018-09-25 2019-10-23 株式会社コナミアミューズメント ゲーム装置
JP6696079B2 (ja) * 2018-09-25 2020-05-20 株式会社コナミアミューズメント ゲーム装置
CN110368666B (zh) * 2019-07-25 2024-05-24 苏州快诺优物联网技术有限公司 抽签机
JP7461146B2 (ja) 2020-01-14 2024-04-03 株式会社タイトー メダルゲーム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5443B2 (ja) * 1990-07-02 1999-09-06 株式会社三共 弾球遊技機
JP2758360B2 (ja) * 1994-03-31 1998-05-28 株式会社ナムコ ボールゲーム装置
JP2953414B2 (ja) * 1996-09-03 1999-09-27 コナミ株式会社 遊戯機
JP3201740B2 (ja) * 1997-11-10 2001-08-27 コナミ株式会社 ボールゲーム機
US7413511B2 (en) * 1999-08-23 2008-08-19 Atlantic City Coin & Slot Service Company, Inc. Gaming machine with action unit container
JP3518862B2 (ja) * 2001-01-22 2004-04-12 コナミ株式会社 遊技機
JP3481211B2 (ja) * 2001-02-27 2003-12-22 コナミ株式会社 メダル遊技機
JPWO2004026419A1 (ja) * 2002-09-17 2006-01-12 アルゼ株式会社 ゲーム機及びプログラム
JP3748549B2 (ja) * 2002-12-12 2006-02-22 コナミ株式会社 プッシャー型遊技機
JP2005192605A (ja) * 2003-12-26 2005-07-21 Aruze Corp ゲーム機
US7699316B2 (en) * 2004-06-30 2010-04-20 Atlantic City Coin & Slot Service Company, Inc. Gaming system with multiple gam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CO5730005A1 (es) * 2004-08-16 2007-02-28 Aruze Corp Aparato de ruleta y juego de ruleta
US7547018B2 (en) * 2004-09-28 2009-06-16 Jumbo Technology Co., Ltd. Drawing machine for multiple games
US7168702B1 (en) * 2005-07-19 2007-01-30 Shoemaker Stephen P Amusement device of skill and lo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84311A (zh) 2009-03-11
EP1990075A4 (en) 2010-03-03
AU2007215978B2 (en) 2010-04-22
TW200806373A (en) 2008-02-01
US20090005147A1 (en) 2009-01-01
WO2007094261A1 (ja) 2007-08-23
JP3980620B2 (ja) 2007-09-26
CN101384311B (zh) 2010-06-02
US8262452B2 (en) 2012-09-11
JP2007209654A (ja) 2007-08-23
EP1990075A1 (en) 2008-11-12
TWI323181B (ko) 2010-04-11
AU2007215978A1 (en) 200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1517A (ko)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80091508A (ko)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3939332B2 (ja) ゲーム装置
JP4302699B2 (ja) 抽選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遊技機
JP4319194B2 (ja) 遊技システム
JP2009285353A (ja) ゲームシステム並びにこれを構成する業務用ゲーム装置及び管理装置
JP3944517B1 (ja) メダル遊技機
JP2007185202A (ja) ゲーム装置
JP2007185205A (ja) ゲーム装置
JP4370306B2 (ja) ジャックポット抽選装置並びにこれを用いた遊技機及び遊技システム
JP4607916B2 (ja) 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システム
JP4253000B2 (ja) ゲーム装置
JP2008206649A (ja) ゲームシステム
JP2007105500A (ja) ゲーム装置
JP2008206644A (ja) プッシャーゲーム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