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7828A - 제전장치 및 방전모듈 - Google Patents

제전장치 및 방전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7828A
KR20080087828A KR1020087017399A KR20087017399A KR20080087828A KR 20080087828 A KR20080087828 A KR 20080087828A KR 1020087017399 A KR1020087017399 A KR 1020087017399A KR 20087017399 A KR20087017399 A KR 20087017399A KR 20080087828 A KR20080087828 A KR 20080087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ase body
blowing
air
discharg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7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0298B1 (ko
Inventor
카즈요시 오네자와
요시나리 후카다
요스케 에노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가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가네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가네이
Publication of KR20080087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7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3/00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e.g. into the atmosphe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9/00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 H01T19/04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having pointed electr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이 제전장치는, 대전된 피처리물에 불어주어지는 공기를 이온화하여 피처리물의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고, 이온화된 공기를 블로윙하는 블로윙덕트 (15)가 설치되는 케이스체 (12)와, 케이스체 (12)에 자유롭게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방전모듈 (27)을 구비하고 있다. 방전모듈 (27)은, 복수의 방전침 (38)이 직선 형상으로 배치된 방전침기판 (31)과, 이것에 취부되는 케이스체 (12)에 자유롭게 분리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표면패널 (32)를 구비하고 있고, 방전모듈 (27)은 표면패널 (32)의 부분에서 나사부재 (36)에 의해 케이스체 (12)에 취부된다. 방전모듈 (27)을 케이스체 (12)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방전침의 교환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제전장치 및 방전모듈 {CHARGE NEUTRALIZER AND DISCHARGE MODULE}
본 발명은 정전기가 대전된 전자부품 등을 피처리물로 하여 그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전장치 및 방전모듈에 관한 것이다.
전자부품의 제조와 조립을 하는 경우에, 전자부품의 제조와 조립을 하는 지그 (jig) 등에 정전기가 대전되어 있으면, 전자부품 등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어 불량품이 발생하거나, 반송과정의 전자부품이 서로 흡인접촉하여 원활히 반송할 수 없게 된다. 거기에서, 이오나이저 내지 이온발생기라고도 불리는 제전장치를 이용하여 정전기가 대전된 부위와 부품을 피처리물로 하여, 이것에 이온화된 공기를 불어주도록(blow) 하고 있다. 전기에너지에 의해 공기를 이온화하는데에는, 침 형상의 방전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방전전극의 주위에 불평등전계를 발생시킴으로써 불평등전계의 부분에서 코로나방전을 일으켜, 코로나방전에 의해 그 주위의 공기를 이온화한다. 방전전극에 플러스의 고전압을 인가하면 전극 근방의 공기의 전자를 흡수하여 공기는 플러스의 전하를 갖는 이온이 되고, 마이너스의 고전압을 인가하면 전자를 방출하여 공기는 마이너스 전하를 갖는 이온이 된다.
방전전극에 교류고전압을 인가하면 플러스 마이너스의 공기이온이 기본적으로 같은 량 발생하고, 이것을 대전된 피처리물에 불어주면, 피처리물은 같은 극성 의 이온과는 반발하여 반대극성의 이온을 흡수한다. 이에 의해, 반대극성의 이온이 피처리물에 접촉하면 서서히 대전전하가 감소하여 같은 량의 플러스 마이너스 이온이 접촉하게 되고, 피처리물은 낮은 전위에서 평형상태가 되어 중화된다.
이와 같은 제전장치로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있는 것과 같이, 팬(fan)에 의해 피처리물을 향하여 불어지는 공기를 방전전극에 의해 이온화하도록 한 팬타입이라고도 불리는 것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특허공개 2004-253192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코로나방전에 의해 공기를 이온화시키면, 방전전극의 선단에는 공기중으로 부터 석출된 이물질 등의 절연물질이 부착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이것을 제거할 필요가 있고, 게다가 방전전극의 선단이 마모되거나 열화된 경우에는 방전전극을 교환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문헌에 기재된 제전장치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방전전극이 서로 대향하도록 취부되는 원형공이 형성되어 고압전원부가 취부된 틀 형상의 탈착유니트와, 팬이 설치된 탈착유니트가 장착되는 본체케이스에 의해 제전장치를 구성하고, 방전전극이 마모된 경우에는 탈착유니트를 교환하도록 하고 있다. 탈착유니트에는, 공기가 흐르는 원형공의 내주면에 원형공 중심부를 향하여 서로 대향시켜 방전전극이 취부되어 있고, 이온화된 공기의 유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원형공의 내경을 크게 하여야 하기 때문에, 탈착유니트를 대형화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마모된 방전전극을 새로운 방전전극으로 하기 위해서는, 대형의 탈착유니트를 교환할 필요가 있고, 고압전원부를 포함하여 탈착유니트는 폐기되어야 하고, 사용 가능한 고압전원부도 폐기해야하기 때문에, 정상적인 이온발생을 확보하기 위한 제전장치의 유지비용이 높아진다. 게다가 탈착유니트의 본체케이스에 대한 탈착방향은 공기의 흐름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탈착유니트가 분리되는 부분에는 탈착유니트 인출용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어, 제전장치의 설치장소가 제한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전장치에 있어서 방전 침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고, 장치의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제전장치는, 대전된 피처리물에 이온화한 공기를 불어주어 피처리물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전장치로서, 공기 블로윙면을 가져서, 이온화된 공기를 불어주는 블로윙덕트 (blowing duct)가 상기 공기블로윙면 측에 개구되어 설치되는 케이스체와, 상기 블로윙덕트의 블로윙 방향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뻗어있는 방전침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체에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방전모듈과, 상기 방전침기판에 간격을 두고 각각 취부되어, 각각 상기 블로윙덕트 내에 돌출되는 복수의 방전침을 가져서, 상기 방전모듈을 상기 공기블로윙면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체에 자유롭게 착탈하도록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전장치는, 상기 방전모듈의 상기 케이스체에 대한 착탈시에 각각의 상기 방전침을 안내하는 장공(slit)을 상기 블로윙덕트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전장치는, 상기 복수의 방전침을 상기 방전침기판에 대략 직선 형상으로 취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전장치는, 상기 방전모듈이 상기 방전침기판과 상기 공기블로윙면에 자유롭게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표면 패널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체의 공기블로윙 면에 형성된 기판삽입구를 상기 표면 패널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전모듈은, 서로 평행한 2개의 장변부(長邊部) 및 양쪽의 상기 장변부의 양단을 접속하는 단변부를 구비하고 장방형의 공기블로윙구를 형성하는 블로윙덕트가 설치되는 케이스체에 자유롭게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블로윙덕트 내를 흐르는 공기를 이온화하는 방전모듈로서, 상기 블로윙덕트에 설치된 대향전극에 각각 대향함과 동시에 상기 블로윙덕트에 형성된 장공에 삽입되는 복수의 방전침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체에 형성된 기판삽입구에 삽입되는 방전침 기판과, 상기 방전침기판에 취부되어, 상기 기판삽입구를 덮는 표면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이온화된 공기를 블로윙하는 블로윙덕트를 구비하는 케이스체에 대하여, 복수의 방전침이 설치된 방전침 기판을 구비하는 방전모듈이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기 때문에, 방전모듈을 분리하는 것으로, 쉽게 방전침의 청정작업과 방전침의 교환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전장치의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블로윙덕트에는 방전침이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방전모듈을 블로윙덕트에 장착할 때에는 블로윙덕트에 대한 방전모듈의 위치결정을 할 수 있다.
[도 1] 방전모듈을 분리한 상태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인 제전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도 1에 나타낸 제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 방전모듈을 장착한 상태의 제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 케이스체를 180도 회전한 상태의 제전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5]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 도 1에 나타낸 방전모듈을 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 (A)는 도 2의 7A-7A선 확대단면도이고, (B)는 도 3의 7B-7B선 확대단면도이고, (C)는 도 3의 7C-7C선 확대단면도이다.
[도 8] 제전장치의 통전회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 블로윙덕트에 설치되는 접속단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이 제전장치 (10)는 홀더 (11)와 케이스체 (12)를 구비하고 있다. 홀 더 (11)는 베이스부 (11a)와 이 베이스부 (11a)의 양단부에 일체로 되어 베이스부 (11a)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된 지지부 (11b)를 구비하고, 금속판을 구부려 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 케이스체 (12)는 수지재료 또는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상자형으로 되어있다. 케이스체 (12)의 양쪽의 단벽 (13a)이 지지부 (11b)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며, 단벽 (13a)에 대하여 대략 직각방향인 측벽 (13b)의 외면이 공기블로윙면 (14)으로 되어있다. 측벽 (13b)에는 이온화된 공기를 불어주는 블로윙덕트 (15)가 공기블로윙면 (14)에 개구하여 설치되어 있고, 블로윙덕트 (15)의 일부는 공기블로윙면 (14) 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해 있다.
케이스체 (12)에는 2개의 블로윙덕트 (15)가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블로윙덕트 (15)는 케이스체 (12)의 긴 방향으로 뻗어있는 장변부 (16, 17)와, 장변부 (16, 17)의 양단부에 일체가 되는 단변부 (18)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공기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블로윙덕트 (15)의 횡단면은 장방형으로 되어 있고, 그 선단의 블로윙구 (19)는 도시된 것과 같이 장방형으로 되어 있다. 블로윙구 (19)는 장변부 (16, 17)에 평행한 칸막이부 (21)와 이 칸막이부 (21)에 직각방향인 복수의 칸막이부 (22)에 의해 복수의 부분으로 구분되고, 블로윙구 (19) 내를 흐르는 공기가 정류되어 외부에 유출된다. 각각의 블로윙덕트 (15)는, 각각의 칸막이부 (21, 22)에 의해 4개의 부분이 2열로 되어 8개의 부분으로 구분되어 있어서, 블로윙덕트 (15)는 합계 16개의 부분으로 구분되어 있다. 측벽 (13b)에 대하여 대략 직각이고, 테이퍼부 (13c)를 사이에 두고 측벽 (13b)에 연달아있는 측벽 (13d)에는, 복수의 공 기도입구를 구비하는 공기도입그릴 (23)이 나사부재 (24)에 의해 취부되어 있다.
케이스체 (12)는 상술한 것과 같이 홀더 (11)에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있다. 도 1은 블로윙덕트 (15)가 정면측이 된 상태를 나타내고, 케이스체 (12)를 도 1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면, 블로윙덕트 (15)는 도 1에 있어서 상측이 되고, 또 한번 90도 회전시키면 블로윙덕트 (15)는 배면측이 된다. 도 4는 케이스체 (12)를 도 1의 상태에서 180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에는 공기도입그릴 (23)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측을 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케이스체 (12)를 회전시킴으로써, 블로윙덕트 (15)로부터 불어오는 공기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케이스체 (12)를 홀더 (11)에 대하여 체결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케이스체 (12)의 양쪽의 단벽 (13a)에 취부되어서 홀더 (11)의 지지부 (11b)를 관통하는 나사축 (25)에는 노브 (26)가 나사결합되어 있고, 블로윙덕트 (15)의 방향을 조정한 후에 노브 (26)를 회전시켜서 케이스체 (12)가 홀더 (11)에 체결된다. 더욱이, 홀더 (11)는 수평면뿐만 아니라 수직면 등과 같은 여러가지 각도의 취부면에도 취부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케이스체 (12)에는 방전모듈 (27)이 자유롭게 착탈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방전모듈 (27)은 케이스체 (12)의 공기블로윙면 (14)에 블로윙덕트 (15)에 이웃하여 형성된 기판삽입구 (28) 내에 삽입되는 방전침기판 (31)과, 공기블로윙면 (14)에 나사 고정되는 표면 패널 (32)를 구비하고, 표면패널 (32)은,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나사부재 (33)에 의해 방전침기판 (31)에 고정된다. 방전모듈 (27)을 케이스체 (12)에 자유롭게 착탈가능하도록 장착하기 위하 여, 공기 블로윙면 (14)에 형성된 나사공 (34)에는, 표면패널 (32)에 형성된 관통공 (35)을 관통하는 나사부재 (36)가 나사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방전침기판 (31)은 수지제의 띠형상의 판재로 형성되어 있고, 그 긴 쪽 방향에는 대략 일직선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8개의 구리 등으로 만들어지는 금속제의 고정구 (37)가 취부되며, 각각의 고정구 (37)에는 금속제의 방전침 (38)이 고정되어 있다. 방전침기판 (31)의 표면에는 일직선 형상으로 배치된 방전침 (3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프린트배선 (41)이 설치되고, 프린트배선 (41)은 도통단부 (42)에 접속되어, 이 도통단부 (42)에는 구리 등으로 만들어지는 금속제의 접속단자 (45)가 취부되어 있다. 더욱이, 방전침기판 (31)에 설치되는 방전침 (38)의 수는 8개에 한정되지 않고, 블로윙구 (19)의 긴 쪽 방향의 길이에 따라서, 예를 들면 12개 등과 같이 임의의 개수로 할 수 있다.
블로윙덕트 (15)는 장변부 (16, 17)와 그 양단에 일체로 되는 단변부 (18)에 의해 장방형으로 되어있고, 블로윙구 (19)가 장방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블로윙덕트 (15)의 길이를 임의의 길이로 하거나, 임의의 수의 블로윙덕트 (15)를 케이스체 (12)에 취부함으로써, 블로윙풍량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방전침 (38)의 간격도, 이온의 밀도에 따라서, 블로윙덕트 (15)의 폭 길이정도 등에 따라서 임의의 피치로 설정할 수 있다.
도 7 (A)은 도 2의 7A-7A선 확대단면도이고, 도 7 (B)은 도 3의 7B-7B선 확대단면도이고, 도 7 (C)은 도 3의 7C-7C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블로윙덕트 (15)의 장변부 (17)에는 방전침 (38) 에 대응시켜 장공 (48)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장공 (48)은 블로윙덕트 (15)의 개구단측으로부터 반대단을 향하여 뻗어있고, 방전모듈 (27)을 케이스체 (12)에 착탈할 때, 즉 방전 모듈 (27)을 케이스체 (12)에 장착할 때 및 케이스체 (12)로부터 분리할때 각각의 방전침 (38)이 장공 (48)에 안내된다. 방전모듈 (27)을 케이스체 (12)에 장착하면, 각각의 방전침 (38)은 도 7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블로윙덕트 (15)내에 돌출하게 된다. 모든 방전침 (38)에 대향하도록, 블로윙덕트 (15)의 장변부 (16)에 평행으로 뻗어 설치되는 지지부 (49)에는 대향전극 (51)이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취부되어 있다.
블로윙덕트 (15)의 장변부 (17)의 외면에는, 도 7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지지구 (52)가 고정되고, 이 지지구 (52)에는 접속단자 (45)에 형성된 접속공 (53)에 끼우는 핀 (54)이 접속단자로서 취부되어 있다. 따라서, 방전모듈 (27)을 케이스체 (12)에 장착하면, 방전침기판 (31)에 설치된 접속단자 (45)의 접속공 (53)에 핀 (54)이 삽입되어, 각각의 방전침 (38)이 핀 (5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블로윙덕트 (15)에 접속공을 구비하는 접속단자를 설치하고, 방전모듈 (27)에 핀형상의 접속단자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도 8은 제전장치 (10)의 통전회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케이스체 (12)에 설치된 커넥터 (55)에는, 예를 들어 24V의 직류전원 (56)이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체 (12) 내에는 직류를 고주파로 변환하는 인버터 (57)가 설치되고, 인버터 (57)가 커넥터 (55)에 접속되는 전기공급 케이블 (58)에 의해 직류전원 (56)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인버터 (57)에 의해 예를 들어 68kHz 정도의 고주파로 변환된 전력은, 승압트랜스 (59)에 의해 예를 들어 2kV로 상승된다. 승압트랜스 (59)의 출력선 (61a)은 직접 대향전극 (51)에 접속되고, 출력선 (61b)은 접속단자 (45)를 사이에 두고 각각의 방전침 (38)에 접속되어 있다.
케이스체 (12) 내에는 공기도입그릴 (23)로부터 외부공기를 도입하고, 도입한 공기를 블로윙덕트 (15)로 향하여 불어주기 위해 팬 (62)이 설치되어 있고, 팬 (62)을 구동하는 직류모터 (63)에는 전기공급케이블 (58)에 의해 직류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전기공급케이블 (58)에는 모터회전수를 조정하기 위한 가변저항기 (64)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가변저항기 (64)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케이스체 (12)의 공기블로윙면 (14)에 설치된 조정다이얼 (65)에 의해 조작된다. 또한, 전기공급케이블 (58)은 메인스위치 (66)에 의해 온 오프되도록 되어 있고, 이 메인스위치 (66)는 케이스체 (12)의 공기블로윙면 (14)에 설치되어있다.
상술한 제전장치를 이용하여 전자부품 등을 피처리물로 하여 이것을 향하여 이온화공기를 불어주어 피처리물에 대전된 정전기를 제거하는데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케이스체 (12)에 방전모듈 (27)을 장착한 상태에서, 블로윙덕트 (15)의 개구부를 피처리물로 향한다. 메인스위치 (66)를 조작하면, 팬 (62)이 모터 (63)에 의해 구동되어 공기도입그릴 (23)의 공기도입구로부터 외부의 공기가 케이스체 (12) 내에 도입되어, 블로윙덕트 (15) 내에 공급된다.
각각의 방전침 (38)과 대향전극 (51)에는 승압트랜스 (59)로부터 소정주파수의 고전압이 인가되어, 방전침 (38)의 주위에 코로나 방전이 일어난다. 이에 의해, 블로윙덕트 (15) 내에 유입된 공기는, 플러스이온과 마이너스이온을 포함하는 이온 화된 공기가 되어 피처리물에 불어주어져서, 대전하고 있던 피처리물이 이온화공기에 의해 중화된다. 이온화된 공기는, 블로윙덕트 (15)에 설치된 칸막이부 (21, 22)에 의해 정류되어, 블로윙덕트 (15)의 블로윙구 (19)로부터는 전체적으로 이온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피처리물에 불어 넣어진다.
방전침 (38)에 이물질 등이 석출되거나 부착된 경우에는, 나사부재 (36)를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풀어 방전모듈 (27)을 케이스체 (12)로부터 분리하고, 방전침 (38)을 청소한다. 이와 같이, 방전 모듈 (27)을 케이스체 (12)의 공기블로윙면 (14) 측으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방전침 (38)의 청소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방전침 (38)이 열화된 경우에도, 이와 같이 방전모듈 (27)을 케이스체 (12)로부터 분리하고, 새제품인 방전모듈로 교환하면 되어, 그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도 9는 케이스체 (12)의 블로윙덕트 (15)에 설치되는 접속단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경우에는 접속공 (53)이 형성된 접속단자 (45)를 방전침기판 (31)에 설치하지 않고, 방전침기판 (31)에 프린트된 도통단부 (42)를 기판측의 접속단자로 하고 있다. 이 접속단자에 대응시켜 블로윙덕트 (15)에는, 방전침기판 (31)의 뒷면에 접촉하는 단자편 (71)과, 이것에 고정되어 방전침기판 (31)의 표면측의 도통단부 (42)에 접촉하는 단자편 (72)에 의해 형성되는 접속단자가 스페이서 (73)를 사이에 두고 취부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방전 모듈 (27)의 방전침 (38)과 케이스체 (12) 측의 전원과의 전기적인 접속은 도시하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여러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방전침기판 (31)에 승압트랜스 (59)를 취부하도록 해도 좋고, 그 경우에는, 승압트랜스 (59)와 방전침 (38)의 거리를 짧게 하여 그 사이의 인피던스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방전손실을 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경가능하다. 예를 들어, 대향전극 (51)과 각각의 방전침 (38)에 직류전류를 공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코로나방전에 의해 공기에 오존을 가하기 위한 오조나이저로서도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케이스체 (12)의 내부에 팬 (62)과 모터 (63)를 장착하지 않고, 케이스체 (12)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도록 해도 좋다. 방전침기판 (31)은 도시된 경우에는 복수의 방전침 (38)이 일렬로 되어 배치되어 있지만, 복수열로 배치하도록 해도 좋고, 직선 모양으로 배치해도 좋고, 지그재그배치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은 전자부품의 제조와 조립을 하는 지그에 대전한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해 적용된다.

Claims (5)

  1. 대전된 피처리물에 이온화된 공기를 불어주어 피처리물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전장치에 있어서,
    공기블로윙면을 구비하고, 이온화된 공기를 불어주는 블로윙덕트가 상기 공기블로윙면 측에 개구하여 설치된 케이스체와,
    상기 블로윙덕트의 블로윙방향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뻗어있는 방전침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체에 자유롭게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방전 모듈과,
    상기 방전침기판에 간격을 두고 각각 취부되어, 각각 상기 블로윙덕트 내에 돌출되는 복수의 방전침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방전모듈을 상기 공기 블로윙면 측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체에 자유롭게 착탈가능하도록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모듈의 상기 케이스체에 대한 착탈시에 각각의 상기 방전침을 안내하는 장공을 상기 블로윙덕트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전침을 상기 방전침기판에 대략 직선 형상으로 취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모듈이 상기 방전침기판과 상기 공기블로윙면에 자유롭게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표면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체의 공기블로윙면에 형성된 기판삽입구를 상기 표면패널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장치.
  5. 서로 평행한 2개의 장변부 및 양쪽의 상기 장변부의 양단을 접속하는 단변부를 구비하고, 장방형의 공기블로윙구를 형성하는 블로윙덕트가 설치되는 케이스체에 자유롭게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블로윙덕트 내를 흐르는 공기를 이온화하는 방전 모듈에 있어서,
    상기 블로윙덕트에 설치된 대향전극에 각각 대향함과 동시에 상기 블로윙덕트에 형성된 장공에 삽입되는 복수의 방전침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체에 형성된 기판삽입구에 삽입되는 방전침기판과,
    상기 방전침기판에 취부되어, 상기 기판삽입구를 덮는 표면패널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모듈.
KR1020087017399A 2006-04-13 2007-04-11 제전장치 및 방전모듈 KR1010402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10518 2006-04-13
JP2006110518A JP4759430B2 (ja) 2006-04-13 2006-04-13 除電装置および放電モジュ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828A true KR20080087828A (ko) 2008-10-01
KR101040298B1 KR101040298B1 (ko) 2011-06-10

Family

ID=38609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7399A KR101040298B1 (ko) 2006-04-13 2007-04-11 제전장치 및 방전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35948B2 (ko)
JP (1) JP4759430B2 (ko)
KR (1) KR101040298B1 (ko)
CN (1) CN101361408B (ko)
TW (1) TWI395516B (ko)
WO (1) WO200711975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036B1 (ko) * 2010-12-13 2013-03-04 박광옥 코로나방전용 방전침 설치구조
KR101470936B1 (ko) * 2014-08-08 2014-12-09 김석재 도전성 고무 커넥터를 이용한 이오나이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1799B2 (ja) * 2006-05-09 2008-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発生素子、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電気機器
JP4924520B2 (ja) * 2008-04-14 2012-04-25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雰囲気清浄化装置
JP4382860B1 (ja) * 2008-07-02 2009-12-16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551953B2 (ja) 2008-08-28 2010-09-29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拡散装置
JP5322666B2 (ja) * 2008-11-27 2013-10-23 株式会社Trinc オゾンレス除電器
JP5364472B2 (ja) * 2009-06-30 2013-12-11 パナソニック デバイスSunx株式会社 除電装置
JP5364473B2 (ja) * 2009-06-30 2013-12-11 パナソニック デバイスSunx株式会社 除電装置
JP5364471B2 (ja) * 2009-06-30 2013-12-11 パナソニック デバイスSunx株式会社 除電装置
JP5914015B2 (ja) 2011-02-18 2016-05-11 株式会社コガネイ 除電装置および方法
JP5810813B2 (ja) * 2011-10-07 2015-11-11 オムロン株式会社 除電装置
JP5794897B2 (ja) * 2011-11-11 2015-10-14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発生ユニット及び電気機器
JP2013149561A (ja) * 2012-01-23 2013-08-01 Sharp Corp 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機器
CN102869179B (zh) * 2012-09-20 2016-10-0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堆垛机和用于堆垛机的静电消除装置
US8730642B2 (en) * 2012-09-20 2014-05-20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Stacker and static elimination device for the same
US9107278B2 (en) * 2012-10-29 2015-08-11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Stacker and static elimination device for the same
JP6289162B2 (ja) * 2013-08-05 2018-03-07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電気機器
US9167676B2 (en) * 2014-02-28 2015-10-20 Illinois Toolworks Inc. Linear ionizing bar with configurable nozzles
JP6723682B2 (ja) * 2014-11-07 2020-07-15 レルテック医療器株式会社 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
JP6658459B2 (ja) * 2016-11-02 2020-03-04 株式会社ダイフク イオナイザーユニット
CN108684126A (zh) * 2018-06-27 2018-10-19 芜湖汉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元器件加工用防静电装置
JP7161327B2 (ja) * 2018-07-11 2022-10-26 株式会社キーエンス 除電装置
DE102019105231B4 (de) * 2019-03-01 2022-02-24 Gema Switzerland Gmbh Kaskadeneinsatz für einen ionisationsstab und ionisationsstab mit einem kaskadeneinsatz
KR20210050859A (ko) 2019-10-29 2021-05-10 (주)선재하이테크 대향 전극이 구비된 방전 전극 소켓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319B2 (ja) * 1990-07-18 1995-04-26 春日電機株式会社 除帯電電極
JP3182525B2 (ja) * 1991-07-03 2001-07-0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放電対策型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用シールド装置
JPH0547490A (ja) 1991-08-19 1993-02-26 Shishido Seidenki Kk 除電装置
US5153811A (en) * 1991-08-28 1992-10-06 Itw, Inc. Self-balancing ionizing circuit for static eliminators
JP3080116B2 (ja) * 1992-08-25 2000-08-21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帯電物品の中和装置
JP2698804B2 (ja) * 1995-10-24 1998-01-19 株式会社オーデン 電気的制御による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気微粒子捕集装置
JP4075297B2 (ja) * 2000-08-31 2008-04-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射型表示装置
JP3589214B2 (ja) * 2001-10-09 2004-11-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イオン発生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JP4290437B2 (ja) * 2003-02-18 2009-07-08 株式会社キーエンス 除電装置
JP4317699B2 (ja) 2003-02-18 2009-08-19 株式会社キーエンス 除電装置および除電装置用脱着ユニット
CN2660192Y (zh) * 2003-05-08 2004-12-01 黎绍均 负氧离子电扇
JP4664021B2 (ja) * 2004-08-19 2011-04-06 株式会社Trinc 除電器の放電針の支持構造体および放電針の交換冶具
JP4811731B2 (ja) * 2007-02-14 2011-11-09 Smc株式会社 イオナイ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036B1 (ko) * 2010-12-13 2013-03-04 박광옥 코로나방전용 방전침 설치구조
KR101470936B1 (ko) * 2014-08-08 2014-12-09 김석재 도전성 고무 커넥터를 이용한 이오나이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35948B2 (en) 2011-10-11
TW200808133A (en) 2008-02-01
JP4759430B2 (ja) 2011-08-31
KR101040298B1 (ko) 2011-06-10
TWI395516B (zh) 2013-05-01
WO2007119751A1 (ja) 2007-10-25
CN101361408A (zh) 2009-02-04
US20090116162A1 (en) 2009-05-07
CN101361408B (zh) 2012-06-20
JP2007287368A (ja) 200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298B1 (ko) 제전장치 및 방전모듈
US8576535B2 (en) Ion-generating device and electrical apparatus
KR101111377B1 (ko) 제전 장치 및 방전 모듈
US8624476B2 (en) Ion-generating device and electrical apparatus
WO2011090295A2 (en) Portable ion generator
KR20090009309A (ko) 유도 전극, 이온 발생 소자, 이온 발생 장치 및 전기 기기
KR101023896B1 (ko) 이온 발생장치
KR20100035604A (ko) 이온 발생 전극, 자기 밸런스 이온 발생기 및 이온 발생 모듈
US20060056130A1 (en) Surface discharge type air cleaning device
JP5134109B2 (ja) 除電装置
WO2013121669A1 (ja) イオン発生素子及びそれを備えたイオン発生装置
JP5273733B2 (ja) 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機器
JP2009026492A (ja) イオン発生素子、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電気機器
JP6153768B2 (ja) イオン発生素子およびイオン発生装置
JP2011018477A (ja) 放電電極、イオン発生素子および電気機器
JP4810780B2 (ja) 空気清浄機
KR20050120744A (ko) 송풍형 이온발생장치의 일체형 챔버와 챔버의 탈부착방식구조
JP2016091714A (ja) イオン発生装置
JP2011096583A (ja) 除電装置
JP2009163987A (ja) イオン発生装置
JP2011040267A (ja) 除電装置の放電部及び除電装置
JP2013058388A (ja) イオン発生装置及び電気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