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6147A - 쑥을 주재료로 하는 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쑥을 주재료로 하는 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6147A
KR20080086147A KR1020070027911A KR20070027911A KR20080086147A KR 20080086147 A KR20080086147 A KR 20080086147A KR 1020070027911 A KR1020070027911 A KR 1020070027911A KR 20070027911 A KR20070027911 A KR 20070027911A KR 20080086147 A KR20080086147 A KR 20080086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cohol
mugwort
weight ratio
liquor
d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9207B1 (ko
Inventor
김진섭
Original Assignee
김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섭 filed Critical 김진섭
Priority to KR1020070027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9207B1/ko
Publication of KR20080086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6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2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0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 C12H1/06Precipitation by physical means, e.g. by irradiation, vibrations
    • C12H1/063Separation by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22Ageing or ripening by storing, e.g. lagering of be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쑥을 주재료로 하는 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강화 약쑥의 성분과 특별한 향미를 최대한 활용하는 쑥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쑥술의 제조방법은 원료인 쑥, 대추, 건강, 계피 및 감초를 각각 소정의 조건 하에 처리하고 여과하여 각 원료의 추출액을 얻고 이들 각 추출액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얻은 혼합액과, 숯, 활성탄 또는 맥반석으로 여과하여 순화시킨 주정을 소정의 비율로 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얻은 배합액을 소정의 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법에 의한 쑥술은, 원료 생약재의 유효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어 얻어지므로 원료 생약재의 약리 효능을 최대한 이끌어내어 음용자의 건강에 유익할 뿐만 아니라 맛과 향에 있어서 우수하여 제품의 품질이 높다.
쑥, 쑥술, 강화쑥, 강화약쑥

Description

쑥을 주재료로 하는 술의 제조방법 {A method for preparation of liquor using Artemisia capillaris}
본 발명은 쑥을 주재료로 하는 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강화 약쑥의 성분과 특별한 향미를 최대한 활용하는 쑥술에 관한 것이다.
술은 과음시 위장, 간장에 직접 해로운 영향을 주고 심한 경우 알코올 중독에 이르는 등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나 일상생활에서 적지 않은 긍정적인 역할 때문에 애용되고 있다. 이러한 알코올의 폐해를 줄이고 생활에 활력소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맛과 향이 우수하면서도 건강에 도움이 되는 기능을 갖춘 술이 요구된다.
쑥은 초롱꽃목 국화과 쑥속의 총칭이며 강화쑥, 황해쑥, 사철쑥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쑥에는 인체에 유익한 식이섬유, 비타민, 미네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위장병, 변비, 신경통, 관절염, 냉병, 천식, 간염, 습진, 피부가려움증 등에 효능이 있어 약용으로도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쑥이 급만성 간염을 비롯하여 지방간, 간경화, 간암에 현저한 효능을 나타낸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쑥 중에서 특히 강화쑥(강화약쑥)은 위염, 위궤양에 효과가 우수한 성분인 유파틸린과 야세오시딘, 암과 고지혈증 등 성인병에 유효한 성분인 사세민을 다른 종류의 쑥보다 많이 함유하고 있다는 사실이 최근 방송통신대학 류수노 농대학장 및 서울대, 동국대 등의 교수들의 연구로 밝혀진 바 있다. 강화약쑥은 ‘동국여지승람’에 사재밭 쑥으로 기록될 정도로 옛부터 약성을 인정받아 왔으며, 최근 그 특유한 성분이 학자들의 분석으로 밝혀져서 동아제약에서는 서해안과 서해도서지방의 쑥에서 유파틸린을 추출하여 신약으로 생산하고 있는 우수한 우리의 특산자원이다.
이러한 쑥을 주재료로 하는 소위 쑥술은 일본의 장수촌인 오키나와의 장수인들이 유일하게 음용하는 술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 스위스의 쑥술 ‘압상트’(absinthe)는 쑥의 잎, 줄기를 알코올에 부어 담근 뒤 방향(芳香)성분이 녹아 있는 것을 다시 증류해 만든 것으로,‘녹색요정’이란 표현처럼 강력한 환각작용 때문에 100년간 판금되었다가 해제된 바 있는데, 이는 그 제조공정에서 발생한 튜존(thujone)이란 성분이 뇌세포의 파괴 및 환각상태를 유발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의 쑥술의 제법으로는 약리학적 효능을 그대로 살리면서도 맛과 향을 겸비한 제품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쑥을 이용하여 향미와 기능을 동시에 갖춘 우수한 쑥술을 제조한 예는 알려진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는 쑥을 주재료로 하는 술의 제조방법을 개발함에 있어서, 맛 과 향이 우수하면서도 원료의 유효성분을 최대한 함유함으로써 약리학적 효능을 높일 수 있는 제조방법을 개발하고자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쑥을 주재료로 하는 술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원료의 유효성분을 최대한 함유하면서 맛과 향이 우수한 쑥술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쑥을 주재료로 하는 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강화 약쑥의 성분과 특별한 향미를 최대한 활용하는 쑥술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쑥에 35~45% 주정을 1: 40~50의 중량비로 첨가하고 2~5일 경과 후 여과한 액, 대추에 35~45% 주정을 1: 6~8의 중량비로 첨가하고 2~3주 경과 후 여과한 액, 건강에 35~45% 주정을 1: 8~12의 중량비로 첨가하고 12~16일 경과 후 여과한 액, 계피에 35~45% 주정을 1: 8~12의 중량비로 첨가하고 8~12일 경과 후 여과한 액 및 감초에 35~45% 주정을 1: 8~12의 중량비로 첨가하고 8~12일 경과 후 여과한 액을 50~60: 20~30: 3~5 :13~17 :3~7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얻은 혼합액과, 숯, 활성탄 또는 맥반석으로 여과하여 순화시킨 25~40% 주정을 1: 2~3의 중량비로 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얻은 배합액을 암냉소에서 1~3주간 숙성시키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을 주재료로 하는 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술은 쑥을 주재료로 하며 추가적으로 천연 생약재인 대추, 건강, 계피 및 감초가 배합된다.
본 발명의 주재료인 쑥은 국화과 쑥속의 총칭이며 강화쑥, 황해쑥, 사철쑥 등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다. 쑥에는 인체에 유익한 식이섬유, 비타민, 미네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식용 및 약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강화쑥에는 비타민 A,B,C,D와 정유, 카데킨, 유파틸린, 야세오시딘 및 사세민 등의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주재료가 되는 쑥은 강화쑥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쑥 중 유효성분이 가장 많은 부위인 쑥순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대추는 갈매나무과 대추속 식물로서 점액질, 담질, 대추산, 단백질, 칼슘, 비타민 A, B1, B2, C, T, B6, K, 탄닌 등이 함유된 영양 식품이며 강장 작용, 간 보호 작용, 중화 작용, 진해 작용 등의 효능이 있어 한약재로도 이용되고 있다.
건강(생강)은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조미료, 향신료, 해독제로 많이 사용되는 식품이며 위액 분비 촉진과 장관(腸管)의 연동 작용 활성화에 의해 소화를 돕고 구토를 가라앉히는 작용, 혈액 순환 촉진 작용, 항염증 작용 등이 있어 한방 생약재로도 이용되고 있다.
계피는 녹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수인 육계나무 및 계수나무의 껍질로서 휘발성 정유가 다량 함유되어 향신료로 사용되며 방향성 건위 작용, 혈액 순환 작용, 뇌신경의 손상 회복 작용 등이 알려져 있어 한방 생약제로도 이용되고 있다.
감초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특수한 단맛이 있어 식용 감미료로 사용되며 한약에서는 약재 간에 서로 조화를 이루게 하고 독성을 없애는 작용을 하며 해독 작용, 간보호 작용, 항염증 작용 등이 있어 한방 생약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료가 되는 쑥, 대추, 건강, 계피 및 감초는 각 생약재의 상호 조화를 고려하여 선택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고자 하는 간장과 위장을 보하는 기능성과 향미를 겸비한 우수한 쑥술은 이들 생약재를 배합함으로써 최적의 효과를 나타낸다.
쑥, 대추, 건강, 계피 및 감초의 고유의 효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각 생약재 내의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각 원료마다 성분의 용출에 필요한 조건이 상이하므로, 본 발명은 각 원료의 추출 처리 방법을 다르게 하며, 이러한 방법에 의해 각 원료의 유효성분을 70% 이상(건물 기준)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 상이한 조건에 의해 추출하여 얻은 각 원료의 추출액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완성된 제품의 맛과 향에 있어서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원료 및 그 혼합 비율, 그리고 각 원료의 추출 처리 방법은, 맛과 향이 뛰어나면서도 생약재 고유의 약리 효능이 탁월하여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쑥술을 제공하기 위한 필수적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자에 의해 특별히 고안된 것이며, 본 발명의 제법에 의하였을 때 향미 및 건강 기능 성에 있어서 최대의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쑥술의 제조방법은, 원료인 쑥, 대추, 건강, 계피 및 감초에 각각 주정을 첨가한 다음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여과하여 각 원료의 추출액을 얻고 이들 각 추출액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얻은 혼합액과, 숯, 활성탄 또는 맥반석으로 여과하여 순화시킨 주정을 소정의 비율로 배합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에서 얻은 배합액을 소정의 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원료인 쑥, 대추, 건강, 계피, 감초에 각각 35~45%의 주정을 소정의 중량비로 첨가한 다음 15℃~20℃ 범위의 온도에서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여과하여 각 원료의 추출액을 얻고, 이들 각 추출액을 50~60: 20~30: 3~5: 13~17: 3~7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얻은 혼합액과, 숯, 활성탄 또는 맥반석으로 여과하여 순화시킨 25~40% 주정을 1: 2~3의 중량비로 배합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얻은 배합액을 암냉소에서 1~3주간 숙성시키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단계는 본 발명의 원료인 쑥, 대추, 건강, 계피 및 감초 각각의 추출액을 얻고 이들 각 추출액을 혼합하는 단계로서, 각 원료마다 성분의 용출에 필요한 조건이 다르므로 최적의 추출시간이 상이하다.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각 원료를 처리하여 각각의 추출액을 얻으며, 이러한 방법에 의해 각 원료의 유효성분은 70% 이상(건물 기준) 추출된다.
쑥의 경우 35~45% 주정을 1: 40~50의 중량비로 첨가하고 15℃~20℃ 범위의 온도에서 2~5일간 방치한 다음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고,
대추는 35~45% 주정을 1: 6~8의 중량비로 첨가하고 15℃~20℃ 범위의 온도에서 2~3주간 방치한 다음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고,
건강은 35~45% 주정을 1: 8~12의 중량비로 첨가하고 15℃~20℃ 범위의 온도에서 12~16일간 방치한 다음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고,
계피는 35~45% 주정을 1: 8~12의 중량비로 첨가하고 15℃~20℃ 범위의 온도에서 8~12일간 방치한 다음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고,
감초는 35~45% 주정을 1: 8~12의 중량비로 첨가하고 15℃~20℃ 범위의 온도에서 8~12일간 방치한 다음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는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쑥, 대추, 건강, 계피, 감초의 추출액은 각각 50~60: 20~30: 3~5: 13~17: 3~7의 중량비로 혼합한다. 혼합 비율은 상기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으나, 쑥액, 대추액, 건강액, 계피액, 감초액을 51: 25: 3: 15: 6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1 단계에서 얻은 혼합액과, 순화시킨 주정을 배합하는 단계이다. 혼합액과 배합하는 주정은 숯, 활성탄 또는 맥반석으로 층을 만든 여과조에 여과함으로써 그 강한 맛을 순화시킬 수 있다. 주정을 순화시킨 후 주정의 농도는 25~40%로 하여, 상기 제1 단계에서 얻은 혼합액과 25~40% 주정을 1: 2~3의 중량비로 배합한다. 배합 비율은 상기 범위 내에서 색, 맛과 향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나 1: 2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2 단계에서 얻은 배합액을 암냉소에서 1~3주간 숙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은 제조 공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술은, 원료 생약재의 유효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어 얻어지므로 원료 생약재의 약리 효능을 최대한 이끌어내어 음용자의 건강에 유익하며, 또한 맛과 향에 있어서 우수하여 제품의 품질이 높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서술하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예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제1 공정 (원료 생약재 추출액의 제조)
쑥순을 세척하여 건조하고 95%의 주정을 40%로 희석하여 준비하였다. 준비된 쑥과 주정을 1:40의 중량비로 하여 추출조에서 18℃, 2일간 담궜다가 여과 정제하였다.
마른 대추를 세척하고 상기와 같은 40% 주정을 준비하여, 대추와 주정을 1:7의 중량비로 하여 18℃, 2주간 담궜다가 여과 정제하였다.
건강(생강을 썰어 말린 것)을 세척하고 상기와 같은 40% 주정을 준비하여, 건강과 주정을 1:9의 중량비로 하여 18℃, 2주간 담궜다가 여과 정제하였다.
계피를 세척하고 상기와 같은 40% 주정을 준비하여, 계피와 주정을 1:9의 중량비로 하여 18℃, 10일간 담궜다가 여과 정제하였다.
감초를 세척하고 상기와 같은 40% 주정을 준비하여, 감초와 주정을 1:9의 중 량비로 하여 18℃, 10일간 담궜다가 여과 정제하였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쑥액, 대추액, 건강액, 계피액, 감초액을 51: 25: 3: 15: 6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제2 공정 (혼합액의 제조)
95%의 주정을 40%로 희석하고, 활성탄과 맥반석으로 층을 만든 여과조에 여과하여 주정의 강한 맛을 순화시켰다. 그런 다음 주정의 농도는 30%로 다시 희석하였다.
상기 제1 공정에서 얻은 혼합액과 30%의 주정을 1:2의 중량비로 배합하였다.
제3 공정 (숙성 및 제품 완성)
상기 제2 공정에서 얻은 배합액을 암냉소로 이동하여 1주일간 숙성한 다음 포장하여 쑥술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2
제1 공정 (원료 생약재 추출액의 제조)
쑥순을 세척하여 건조하고 95%의 주정을 45%로 희석하여 준비하였다. 준비된 쑥과 주정을 1:50의 중량비로 하여 추출조에서 20℃, 5일간 담궜다가 여과 정제하였다.
마른 대추를 세척하고 상기와 같은 45% 주정을 준비하여, 대추와 주정을 1:8의 중량비로 하여 20℃, 2주간 담궜다가 여과 정제하였다.
건강(생강을 썰어 말린 것)을 세척하고 상기와 같은 45% 주정을 준비하여, 계피와 주정을 1:12의 중량비로 하여 20℃, 12일간 담궜다가 여과 정제하였다.
계피를 세척하고 상기와 같은 45% 주정을 준비하여, 계피와 주정을 1:12의 중량비로 하여 20℃, 8일간 담궜다가 여과 정제하였다.
감초를 세척하고 상기와 같은 45% 주정을 준비하여, 계피와 주정을 1:12의 중량비로 하여 20℃, 8일간 담궜다가 여과 정제하였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쑥액, 대추액, 건강액, 계피액, 감초액을 58: 22: 5: 13: 3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제2 공정 (혼합액의 제조)
95%의 주정을 40%로 희석하고, 숯과 맥반석으로 층을 만든 여과조에 여과하여 주정의 강한 맛을 순화시켰다.
상기 제1 공정에서 얻은 혼합액과 40%의 주정을 1:3의 중량비로 배합하였다.
제3 공정 (숙성 및 제품 완성)
상기 제2 공정에서 얻은 배합액을 암냉소로 이동하여 3주일간 숙성한 다음 포장하여 쑥술을 완성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및 2의 방법으로 제조된 술을 대상으로 관능평가요원 10명을 선발하여 시음하게 하고 맛, 향, 술마신 다음날의 숙취 정도, 종합적 기호도를 5점 척도법으로 평가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일반 소주를 사용하였다. 결과는 평균치로서 표 1에 나타내었다. 척도법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 맛)
1: 매우 쓰다, 2: 쓰다, 3: 보통이다, 4: 쓰지않은 편이다(단 편이다), 5: 쓰지 않다(달다)
(뒷 맛)
1: 매우 나쁘다, 2: 좋지 않다, 3: 보통이다, 4: 좋은 편이다, 5: 아주 좋다
(향)
1: 매우 나쁘다, 2: 좋지 않다, 3: 보통이다, 4: 좋은 편이다, 5: 아주 좋다
(숙취)
1: 아주 심하다, 2: 심하다, 3: 보통이다, 4: 약하다, 5: 아주 약하다
(종합적 기호도)
1: 싫다, 2: 좋지 않다, 3: 보통이다, 4: 좋다, 5: 아주 좋다
일반 소주와 본 발명에 따른 쑥술의 관능 평가
종류 첫 맛 뒷 맛 숙취 종합적 기호도
실시예 1 3 4 4 5 4
실시예 2 3 4 3 4 4
대조군 2 3 3 2 3
본 발명의 제법에 따른 쑥술은 기호도 및 품질에 있어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며, 특히 술 마신 다음날의 숙취 완화와 종합적 기호도에서 매우 우수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법에 의한 쑥술은, 원료 생약재의 유효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어 얻어지므로 원료 생약재의 약리 효능을 최대한 이끌어내어 음용자 의 건강에 매우 유익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제법에 의한 쑥술은, 원료 생약재의 성분이 주정에 침출되어 맛의 조화를 이루므로 맛과 향에 있어서 우수하며 제품의 품질이 높다.
이러한 우수한 품질의 쑥술은 고부가가치 상품으로서 경제성이 있고, 우리의 특산주로서 생산하면 농가의 소득증대는 물론 활발한 해외 수출이 예상되므로 국가 경제에도 일익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2)

  1. 쑥에 35~45% 주정을 1: 40~50의 중량비로 첨가하고 2~5일 경과 후 여과한 액, 대추에 35~45% 주정을 1: 6~8의 중량비로 첨가하고 2~3주 경과 후 여과한 액, 건강에 35~45% 주정을 1: 8~12의 중량비로 첨가하고 12~16일 경과 후 여과한 액, 계피에 35~45% 주정을 1: 8~12의 중량비로 첨가하고 8~12일 경과 후 여과한 액 및 감초에 35~45% 주정을 1: 8~12의 중량비로 첨가하고 8~12일 경과 후 여과한 액을 50~60: 20~30: 3~5 :13~17 :3~7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얻은 혼합액과, 숯, 활성탄 또는 맥반석으로 여과하여 순화시킨 25~40% 주정을 1: 2~3의 중량비로 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얻은 배합액을 암냉소에서 1~3주일간 숙성시키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을 주재료로 하는 술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쑥액, 대추액, 건강액, 계피액 및 감초액을 51: 25: 3: 15: 6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070027911A 2007-03-22 2007-03-22 쑥을 주재료로 하는 술의 제조방법 KR100869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911A KR100869207B1 (ko) 2007-03-22 2007-03-22 쑥을 주재료로 하는 술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911A KR100869207B1 (ko) 2007-03-22 2007-03-22 쑥을 주재료로 하는 술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147A true KR20080086147A (ko) 2008-09-25
KR100869207B1 KR100869207B1 (ko) 2008-11-18

Family

ID=40025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911A KR100869207B1 (ko) 2007-03-22 2007-03-22 쑥을 주재료로 하는 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92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66072A1 (es) * 2010-03-30 2011-10-17 Rosa Maria Frases Domenech Licor de forna.
CN109234123A (zh) * 2018-07-12 2019-01-18 付宇昌 保健酒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171B1 (ko) * 2012-10-05 2013-05-14 최재호 맥반석을 이용한 미네랄소주 제조방법
KR101803370B1 (ko) 2016-07-28 2017-12-29 남해섬애약쑥 영농조합법인 쑥식초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1591A (ko) * 1995-02-13 1996-09-17 원인호 자연초 엑기스를 첨가시켜서 된 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020351A (ko) * 2003-08-22 2005-03-04 이용승 쑥술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66072A1 (es) * 2010-03-30 2011-10-17 Rosa Maria Frases Domenech Licor de forna.
CN109234123A (zh) * 2018-07-12 2019-01-18 付宇昌 保健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9207B1 (ko) 2008-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591B1 (ko) 천연식물추출액이 함유된 발효커피 및 그 제조방법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CN101632760A (zh) 一种安神茶的制作方法
KR20170060307A (ko)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60309B1 (ko) 대추 경옥고
KR101075067B1 (ko) 산삼고로쇠 고형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100869207B1 (ko) 쑥을 주재료로 하는 술의 제조방법
CN105795056A (zh) 一种蒲公英祛火凉茶及制备方法
KR101080573B1 (ko) 고장초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한 건강 약차 및 그 제조 방법
KR100894636B1 (ko) 둥근마추출액을 함유한 음료의 제조방법
KR102011673B1 (ko)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KR102127411B1 (ko)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0912122B1 (ko) 홍삼 장어 엑기스 조성물
KR20170015618A (ko) 동충하초를 이용한 기능성 주류 및 그 제조방법
CN106937718A (zh) 一种双海藻花粉植物复合饮料及其制备方法
CN106618128A (zh) 一种绿色环保线香及其制备方法
KR20160123552A (ko) 건강음료 및 그 제조방법
CN102787048A (zh) 一种龙葵果保健型酒的酿制方法
CN106212824A (zh) 一种无花果凉茶及其制作工艺
CN106492178A (zh) 一种解酒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296710A (zh) 一种松花粉酸枣仁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936600B1 (ko) 쓴맛이 차폐된 홍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61285A (ko) 가랑갈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및 혈관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KR101321769B1 (ko) 한방 약식혜 제조방법
CN110951569A (zh) 一种香榧红曲酒及其香榧红曲酒的酿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