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4670A - 단추달이 재봉기 - Google Patents

단추달이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4670A
KR20080084670A KR1020080023236A KR20080023236A KR20080084670A KR 20080084670 A KR20080084670 A KR 20080084670A KR 1020080023236 A KR1020080023236 A KR 1020080023236A KR 20080023236 A KR20080023236 A KR 20080023236A KR 20080084670 A KR20080084670 A KR 20080084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ewing machine
hook
extens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6815B1 (ko
Inventor
요우 오다
타카유키 시이나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4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6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sewing buttonho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1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 D05B3/14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perforated or press butt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02Mechanical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상 단추 유지부재를 소정의 위치에 지지할 수 있어, 작업자가 단추 핀칭부에 대한 단추의 세팅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단추달이 재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누르개 상승 후크(26) 및 걸림결합 후크(24c)에 각각 평면에서 보았을 때 누르개 상승 레버(25)의 길이방향과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연장되어 걸림결합되는 연장부(26b, 24c2)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누르개 상승 레버(25)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6b(24c2))의 선단을 경사 연장부(26b2(24c2)로서 형성하고, 단추 유지부재(24)가 상승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경사 연장부(26b2(24c2))가 다른 쪽의 연장부(24c2(26b)에 대하여 선단면을 맞닿게 걸림결합하도록 형성한다.

Description

단추달이 재봉기{BUTTON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단추 유지부재를 끌어올리는 기구를 갖는 단추달이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도 3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단추 유지부재를 끌어올리는 기구를 구비한 종래의 단추달이 재봉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단추달이 재봉기는, 재봉바늘(N) 등을 가지는 재봉기 아암(21a), 천 누름판(22)등을 가지는 재봉기 베드(21b), 도시하지 않은 캠과 상기 캠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도시하지 않은 슬라이딩 접촉부재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기구에 연결되어 재봉기 베드(21b) 위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송대(23), 지지점축(24d)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단추 유지부재(24)를 갖는다. 상기 단추 유지부재(24)는 항상 스프링(24e)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된 가압봉(24f)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상기 단추 유지부재(24)는 선단부에 단추의 외주를 끼워 유지하는 한 쌍의 단추 핀칭부(24a, 24b)가 천 누름판(22)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그 상면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립부(24c1)와 상기 기립부(24c1)의 선단으로부터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 되접어 반대로 꺾여 연장되는 경사 형상의 연장부(경사 연장부; 24c2)로 이루어진, 역 ‘J’자형상으로 굴곡된 걸림결합 후크(24c)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결합 후크(24c)는 후술하는 누르개 상승 후크(26)와 걸림결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24d)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상기 단추 핀칭부(24a, 24b)가 상기 천 누름판(22)에 근접하는 하강위치와, 상기 천 누름판(22)으로부터 떨어져 단추 핀칭부(24a, 24b)에 단추를 끼워 유지시키는 상승 위치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림결합 후크(24c)는, 후술하는 누르개 상승 레버(25)의 회동에 수반하는 상기 누르개 상승 후크(26)의 회동에 맞추어, 상기 누르개 상승 후크(26)를 가장 효율적이면서 확실하게 걸림결합시키고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해, 연장부(경사 연장부; 24c2)의 그 가상연장선을 누르개 상승 레버(25)의 회동중심방향을 향하게 하여 설계되어 있다.
또한, 길이방향 중간부가 축(27)에 의해 재봉기 아암(21a)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누르개 상승 레버(25)는, 그 베이스부가, 재봉기 아암(21a)에 축(28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회동 링크(28)에 형성된 홈부 내에서, 축체(25a)에 의해 작동아암(51)의 상단부 및 후술하는 링크(33)의 상단부와 동축 상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누르개 상승 레버(25)의 선단부에는 수하부(垂下部)(26a)와, 상기 수하부(26a)의 선단으로부터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누르개 상승 레버(25)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결합 후크(24c)의 연장부(24c2)와 직교하는 연장부(26b)로 이루어진, 대략 ‘L’자형상의 누르개 상승부재(2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작동아암(51)이 하강함으로써, 누르개 상승 레버(25)는 축(27)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그에 따라 누르개 상승 레버(25)의 누르개 상승부재(26)의 연장부(26b)가 단추 유지부재(24)에 설치된 상기 걸림결합 후크(24c)의 연장부(24c2)에 걸림결합되어, 단추 핀칭부(24a, 24b)를 천 누름판(22)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시키도록 상방으로 들어올리도록 되어 있다.
도 3으로 되돌아가, 단추달이 재봉기는 바늘판(21c)의 하면에 위치하는 실절단 메스(29)를 가지고, 상기 실절단 메스(29)는 상기 작동아암(51)에 연동하는 링크(30, 31, 32, 33)를 통해 상기 작동아암(51)에 연결되어 있으며, 작동아암(51)이 하강함으로써, 누르개 상승 레버(25)의 회동에 따라 실절단 메스(29)가 수평이동하고, 도면 밖의 고정 칼날과의 사이에서 천으로부터 루퍼로 연결되는 실을 절단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실절단 기구는 상기 실절단 메스(29) 및 링크(30 ~ 3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재봉기 베드(21b)에 지지된 재봉기 주축(34)에는 도 5에 나타낸 클러치기구(35)를 통해 재봉기 모터 등의 구동원(도시생략)으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클러치기구(35)는 재봉기 주축(34)에 고정된 원뿔대형상의 제동부(35a1)를 갖는 차단 풀리(35a)와, 재봉기 주축(34)에 대하여 회동 및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 풀리(35b)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풀리(35b)에는 상기 제동부(35a1)에 대하여 끼웠다 뺐다 할 수 있는 오목면부(35b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 풀리(35b)는 그 외주면에 걸쳐 장착된 벨트(35c)에 의해 도면 밖의 구동원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면부(35b1)를 통해 상기 제동부(35a1)와 구동 풀리(35b)를 끼워 결합시킴으로써, 모터의 회전력을 재봉기 주축(34)에 전달시킬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재봉기 주축(34)에 고정된 편심 캠(36)의 외주(外周)면에는, 분기된 형상을 이루는 요동링크(37)의 한 쌍의 슬라이딩 접촉부(37a, 37b)가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편심 캠(36)이 재봉기 주축(34)과 함께 1회전함에 따라 요동링크(37)는 축(38)을 중심으로 1 왕복요동하고, 그 일단부에 형성된 걸림고정부(37c)가 상하로 왕복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재봉기 주축(34)에 평행하게 설치된 구동제어축(39)은, 도면 밖의 연동기구에 의해 상기 재봉기 주축(34)에 연동시켜져 있으며, 재봉기 주축(34)이 1 봉제 사이클만큼 회전함에 따라 1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동제어축(39)에 고정된 제 1 제어 캠(40)은, 그 외주면에 제 1 오목부(제 1 작동부; 40a, 40b)가 180˚의 각도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40a, 40b)는 각각 제어 캠(39)의 1바늘 만큼의 회전각도범위(재봉기 주축(34)의 1회전에 대응하는 구동제어축(39)의 회전각도범위) 이상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1.5 바늘만큼의 각도 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구동제어축(39)에 고정된 제 2 제어 캠(41)의 외주부에는, 제 2 오목부(제 2 작동부; 41a, 41b)가 각각 180˚의 각도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재봉기 베드(21b)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시킨 중공형상을 이루는 제 2 회전요동축(43)은, 상기 구동제어축(39)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회전요동축(43)의 중공부 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통과시켜 이루어진 제 1 회전요동 축(42)은 상기 제 2 회전요동축(43)과 함께 이중 축 구조를 이루고 있다(도 4 참조).
또한, 제 1 회전요동축(42)에 고정된 제 1 작동레버(44), 제 2 회전요동축(43)에 고정된 제 2 작동레버(45)는 각각 도면 밖의 가세수단에 의해 항상 제 1, 제 2 제어 캠(40, 41)을 향해 가세되어 있으며, 제 1 작동레버(44)는 롤러(44a)를 통해 제 1 제어 캠(40)에, 제 2 작동레버(45)는 롤러(45a)를 통해 제 2 제어 캠(41)에 각각 가압 접촉되어 있다.
상기 제 1 회전요동축(42)에 고정된 클러치 제어 레버(46)의 일단부에는, 상기 구동 풀리(35b)에 대향하여, 고저, 높이가 다른 2종류의 캠부(46a, 46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캠부(46a, 46b)에는, 구동 풀리(35b)의 일측면에 설치한 구체(球體)(47)가 선택적으로 접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높은 캠부(46a)가 구체(47)에 접한 경우에는, 구체(47)를 통해 구동 풀리(35b)가 차단 풀리(35a)를 향해 이동하고, 상기 구동 풀리(35)와 재봉기 주축(34)이 접합하여 재봉기 주축(34)과 재봉기 구동원이 연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낮은 캠 부(46b)가 구체(47)에 접한 경우에는, 구동 풀리(35b)는 도면 밖의 가세수단에 의해 제동부(35a1)로부터 떨어져, 재봉기 주축(34)과 구동원과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 회전요동축(42)에 고정된 차단 레버(48)의 선단부에는 걸림고정편(48a)이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걸림고정편(48a)은 상기 차단 레버(48)의 회전에 의해, 상기 차단 풀리(35a)의 외주면에 설치한 걸림고정단면(35a2)에 대하여 걸림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단부를 상기 제 2 회전요동축(43)에 고정한 연결링크(49)는, 그 타단부에는 또한 연결링크(50)를 통해 작동아암(51)의 하단부가 축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회전요동축(43)과 함께 연결링크(49)가 회전요동함에 따라, 상기 작동아암(51)이 도 3의 c, d 방향으로 요동하며, 작동아암(51)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결합부(51a)를 상기 요동링크(37)의 걸림고정부(37c)에 대하여 걸었다 뺐다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단추달이 재봉기에서는, 제 1, 제 2 작동 레버(44, 45)의 롤러(44a, 45a)가 제어 캠(40, 41)의 외주면에 접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 1 회전요동축(42)과 함께 클러치 제어 레버(46)의 높은 캠부(46a)가 구동 풀리(35b)의 구체(47)에 접하여, 재봉기 주축(34)과 재봉기 구동원은 연결상태에 있으며, 또한 차단 레버(48)는 차단 풀리(35a)의 걸림고정단면(35a2)과 맞닿지 않는 위치에 있어 재봉기는 구동상태에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재봉기 구동상태에서 연결링크(49, 50)는 제 1 작동아암(51)을 c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가 되어, 작동아암(51)의 걸림결합부(51a)는 요동링크(37)의 걸림고정부(37c)로부터 이탈된 상태에 있다.
여기서, 재봉기 정지의 1.5 바늘 앞까지 봉제동작이 진행하면, 우선 제 1 작동레버(44)의 롤러(44a)가 제 1 제어 캠(40)의 오목부(40a)에 끼워 넣어지고, 제 1 회전요동축(42)을 도 3의 화살표 e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로써, 클러치 제어 레버(46)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구체(47)와 접촉하는 캠부가 높은 캠부(46a)로부터 낮은 캠부(46b)로 전환된다. 그 결과, 구동 풀리(35b)는 구동 풀리(35a1)로 부터 떨어져 재봉기 주축(34)과 재봉기 구동원과의 연결은 차단되고, 재봉기 주축(34)은 감속회전한다. 그리고, 제 1 작동 레버(44)가 오목부(40a)에 끼워 넣어지고 나서 1 바늘 후, 즉 재봉기 정지의 반(半) 바늘 앞이 되는 시점에서, 제 2 작동 레버(45)의 롤러(45a)가 제 2 제어 캠(41)의 오목부(41a)에 끼워 넣어지고, 제 2 회전요동축(43)이 도 3의 화살표 e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연결링크(49)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연결링크(50)를 통해 작동아암(51)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에 의해 작동아암(51)의 걸림결합부(51a)가 요동링크(37)의 걸림고정부(37c)에 걸림결합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차단 프레임(48)이 차단 풀리(35a)를 향해 회전하고, 그 선단에 설치된 걸림고정편(48a)이 차단 풀리(35a)의 걸림고정단면(35a2)과의 맞닿음 위치까지 회전한다.
그 후, 남은 절반의 바늘에서, 요동 링크(37)의 걸림고정부(37c)는 바늘의 하강에 따라 하강하고, 이것에 걸림결합되어 있는 작동아암(51)을 눌러 내린다. 작동아암(51)이 하강함으로써, 누르개 상승 레버(25)는 화살표 P방향으로 회동하고, 회동링크(28)는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작동아암(51)이 하강함에 따라, 실절단 메스(29)가 링크(33, 32, 31, 30)를 통해 작동하여, 천과 재봉기 북집과의 사이의 실을 절단하는 한편, 누르개 상승 레버(25)의 끌어올림부재(26)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단추 유지부재(24)의 걸림결합 후크(24c)를 상방으로 끌어올려 단추 핀칭부(24a, 24b)를 상방으로 떨어뜨리고, 단추와 함께 천을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재봉기 주축(34)이 남은 절반의 바늘만큼 회전하면, 차단 풀리(35a)의 걸림고정 단면(端面)(35a)이 차단 레버(48)의 걸림고정편(48a)과 맞닿고 그 회전은 정지한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고공보 H8(1996)-4667호
그러나, 이렇게 구성되어 작용하는 단추달이 재봉기에서는, 단추 유지부재(24)를 상기 상승 위치에 위치시킬 때, 상기 누르개 상승 레버(25)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누르개 상승 레버(25)의 누르개 상승 후크(26)의 둘레면을 단추 유지부재(24)의 걸림결합 후크(24c)에 기울어져 형성된 연장부(24c2)의 둘레면에 슬라이딩 접촉시키면서 지지한다. 이로써, 단추 유지부재(24)의 끌어올림이 종료하였을 때의 상승위치는, 항상 연장부(24c2)와 누르개 상승 후크(26)의 둘레면과의 걸림결합위치에 의존한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재봉기 주축(34)과 구동원과의 연결이 차단될 때에 생기는 쇼크(진동)에 의해 바운드되어, 일단 누르개 상승 후크(26)와 걸림결합 후크(24c)와의 걸림결합이 해제되면, 쇼크가 수습되었을 때에, 이들의 걸림결합위치가 바운드 전으로 변화되어, 단추 유지부재(24)를 소정의 상하위치에 지지할 수 없으므로, 작업자가 단추를 단추 핀칭부(24a, 24b)에 세팅하기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이 생겼다.
또한, 누르개 상승 후크(26)의 둘레면과 걸림결합되는 연장부(24c2)가 화살표 f방향을 향해 기울어져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추 유지부재(24)가 상승위치에 위치할 때에 연장부(24c2)에 걸리는 단추 유지부재(24)의 중량에 의해, 단추 유지 부재(24)에 이송방향(화살표 f 방향)의 가세력이 발생하고, 상기 가세력이 이송대(23)에 연결되는 베이스부(24d)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이송기구로 전달되어, 이송기구의 이송 캠과 상기 이송 캠과 걸림결합되는 걸림결합부재의 재봉 개시에서의 끼움결합을 부정확하게 하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요인도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재봉기 주축과 구동원과의 연결이 차단될 때에 생기는 쇼크(진동)의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단추 유지부재를 소정의 위치에 지지할 수 있어, 작업자가 단추 핀칭부에 대한 단추의 세팅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단추달이 재봉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추 유지부재(24)가 상승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단추 유지부재(24)에 대한 이송방향으로의 가세력의 발생을 방지하여, 이송기구에 문제를 발생시키는 요인을 제거할 수 있는 단추달이 재봉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단추달이 재봉기는,
중간부가 회동 가능하게 재봉기 아암에 지지된 누르개 상승 레버(25)와,
선단부에 단추를 유지하는 한 쌍의 단추 핀칭부(24a, 24b)를 가지며, 상기 단추 핀칭부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회동이 가능하게 재봉기 베드에 베이스부가 지지된 단추 유지부재(24)와
상기 단추 유지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4c2)를 갖는 걸림결합 후크(24c)와,
상기 누르개 상승 레버의 선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결합 후크의 연장부 하방으로 걸림결합 가능하게 대향하는 연장부(26b)를 갖는 누르개 상승 후크(26)를 구비하고,
상기 누르개 상승 레버가 한쪽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누르개 상승 후크의 연장부가 상기 걸림결합 후크의 연장부와 걸림결합되어 상기 단추 유지부재를 상방으로 끌어올리는 단추달이 재봉기로서, 상기 누르개 상승 후크 및 상기 걸림결합 후크의 한쪽의 선단면이 다른 쪽의 연장부의 연장방향을 따르는 면과 걸림결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쪽의 선단면은, 상기 다른 쪽의 연장부의 면과 접촉하도록 평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추달이 재봉기에 따르면, 상기 단추 유지부재가 상기 상승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걸림결합되는 상기 누르개 상승 후크 및 걸림결합 후크는, 한쪽의 연장부의 둘레면과 다른 쪽의 연장부의 선단면이 맞닿아, 상기 단추 유지부를 지지하게 된다.
이로써, 단추 유지부재의 끌어올림이 종료하였을 때에 걸림결합 후크의 개방 선단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던 부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재봉기 주축과 구동원과의 연결이 차단될 때에 진동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누르개 상승 후크와 걸림결합 후크와의 걸림결합 위치가 바운드의 전후에서 변화되지 않고, 항상 단추 유지부재를 소정의 위치에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단추를 단추 핀칭부에 세팅하는 작업도 간편해진다.
특히, 상기 선단면을, 상기 단추 유지부재가 상기 상승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누르개 상승 후크 및 걸림결합 후크의 걸림결합(슬라이딩 접촉)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단추 유지부재의 지지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단추 유지부재가 상승위치에 위치할 경우에, 단추 유지부재에 대한 이송방향으로의 가세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이송기구에 문제를 발생시키는 요인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단추달이 재봉기에 대하여, 전술한 종래의 단추달이 재봉기와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또한, 종래의 단추달이 재봉기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종래 예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단추달이 재봉기(이하, 단순히 ‘재봉기’라 함)의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상기 재봉기에서는 중간부가 회동 가능하게 재봉기 아암(21a)에 지지된 누르개 상승 레버(25)와, 선단부에 단추를 유지하는 한 쌍의 단추 핀칭부(24a, 24b)를 가지며, 상기 단추 핀칭부(24a, 24b)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회동 가능하게 재봉기 베드(21b)에 베이스부가 지지된 단추 유지부재(24)와, 상기 단추 유지부재(24)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4c2)를 갖는 걸림결 합 후크(24c)와, 상기 누르개 상승 레버(25)의 선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결합 후크(24c)의 연장부(24c2) 하방으로 걸림결합 가능하게 대향하는 연장부(26b)를 갖는 누르개 상승 후크(26)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누르개 상승 후크(26) 및 상기 걸림결합 후크(24c)의 한쪽의 선단면이 상기 누르개 상승 후크(26) 및 상기 걸림결합 후크(24c)의 다른 쪽의 연장부의 연장방향을 따르는 면과 걸림결합하도록 배치한다.
또한, 상기 한 쪽의 선단면은, 상기 다른 쪽의 연장부의 면과 면 접촉 혹은 선 접촉하도록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단추달이 재봉기의 상기 누르개 상승 후크(26) 및 걸림결합 후크(24c)는 각각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누르개 상승 레버(25)의 길이방향과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연장되며, 상기 작동아암(51)의 하강에 의한 누르개 상승 레버(25)의 회동에 따라 걸림결합되는 연장부(26b, 24c2)를 갖는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걸림결합 후크(24c)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누르개 상승 레버(25)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환봉(丸棒)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가, 기립부(24c1)와, 상기 기립부(24c1)의 선단으로부터 그 가상 연장선이 누르개 상승 레버(25)의 회동중심이 되는 회동축(27)의 방향을 향하도록 비스듬히 하방으로 되접어 반대로 꺾여 연장되는 경사형상의 연장부(24c2; 경사연장부)로 이루어지는 대략 ‘V’자형상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부(24c2)의 선단은 단추 핀칭부(24a, 24b)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걸림결합 후크(24c)의 연장부(24c2)에서의 선단면은, 상기 단추 유지부재(24)가 상기 상승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상기 누르개 상승 후크(26)는, 환봉 형상 부재가, 수하부(26a)와, 상기 수하부(26a)의 선단으로부터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걸림결합 후크(24c)의 연장부(24c2)와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26b)로 이루어져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부(26b)를 상기 걸림결합 후크(24c)의 연장부(24c2)와 직교시키도록 하여, 즉, 평면에서 보았을 때 누르개 상승 레버(25)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시켜, 상기 누르개 상승 레버(25)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누르개 상승 후크(26) 및 걸림결합 후크(24c)는 상기 단추 유지부재(24)가 하강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누르개 상승 후크(26)의 연장부(26b)가 걸림결합 후크(24c)의 연장부(24c2)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며, 단추 유지부(24)는 도시하지 않은 이송기구에 의해 연장부(24c2)가 연장부(26b)에 맞닿지 않는 범위에서 누르개 상승 레버(25)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누르개 상승 후크(26)는 일련의 단추달이 재봉의 종료시에서의 상기 누르개 상승 레버(25)의 회동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걸림결합 후크(24c)의 연장방향(24c2)에 맞닿아 걸림결합되어, 단추 유지부재(24)를 상승시키는 동시에, 상기 걸림결합 후크(24c)의 연장부(24c2)에 대한 연장부(26b)의 걸림결합 위치를 선단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단추 유지부재(24)가 상기 상승위치 로 이동하였을 때에, 걸림결합 후크(24c)의 선단면이 수평상태가 되어, 상기 누르개 상승 후크(26)의 연장부(26b)를 그 선단면 위에 맞닿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단추달이 재봉기의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주요부 구성을 설명하는 간략한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단추달이 재봉기에서는, 상기 누르개 상승 후크(26) 및 걸림결합 후크(24c)는 각각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누르개 상승 레버(25)의 길이방향과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작동아암(51)의 하강에 의한 누르개 상승 레버(25)의 회동에 따라 걸림결합되는 연장부(24a2, 26b)를 갖는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의 걸림결합 후크(24c)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누르개 상승 레버(25)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봉 형상 부재가, 기립부(24c1)와 상기 기립부(24c1)의 선단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만곡 형성되어 연장되는 연장부(24c2)로 이루어진 역‘L’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부(24c2)의 선단을 단추 핀칭부(24a, 24b)가 형성된 선단부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게 하여 단추 유지부재(24)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상기 누르개 상승 후크(26)는 환봉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며, 수하부(26a)와 상기 수하부(26a)의 선단으로부터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걸림결합 후크(24c)의 연장부(24c2)와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 1 연장부(26b1)와, 상기 제 1 연장부(26b1)로부터 상방으로 만곡되어 형성된 제 2 연장부(경사연장부; 26b2)로 이루어진 대략 ‘L’자 형상의 갈고리가 형성되는 동시에, 그 가상연장선을 누르개 상승 레버(25)의 회동중심이 되는 회동축(27)의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형성된 연장부(26b)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26b)를 상기 걸림결합 후크(24c)의 연장부(24c2)와 직교시켜, 즉 평면에서 보았을 때 누르개 상승 레버(25)의 길이방향으로 연장시키며, 상기 단추 핀칭부(24a, 24b)가 형성된 방향과 반대방향이 되는 기단측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누르개 상승 레버(25)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누르개 상승 후크(26)의 제 2 연장부(26b2)에서의 선단면은, 상기 단추 유지부재(24)가 상기 상승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누르개 상승 후크(26) 및 걸림결합 후크(24c)는, 상기 단추 유지부재(24)가 하강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누르개 상승 후크(26)의 연장부(26b)가 걸림결합 후크(24c)의 연장부(24c2)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단추 유지부재(24)는 도시하지 않은 이송기구에 의해 연장부(24c2)가 연장부(26b)에 맞닿지 않는 범위에서 누르개 상승 레버(25)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누르개 상승 후크(26)는 일련의 단추달이 재봉의 종료시에서의 상기 누르개 상승 레버(25)의 회동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걸림결합 후크(24c)의 연장부(24c2)에 맞닿아 걸림결합되고, 단추 유지부재(24)를 상승시키는 동시에, 상기 연장부(24c2)에 대한 연장부(26b)의 걸림결합 위치를 선단방향, 즉 제 2 연장부(26b2)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단추 유지부재(24)가 상기 상승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누르개 상승 후크(26)의 제 2 연장부(26b2)의 선단면이 수평상태가 되어, 상기 걸림결합 후크(24c)의 연장부(24c2)를 그 선단면 위 에 맞닿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의 재봉기에 따르면, 상기 단추 유지부재(24)가 상기 상승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걸림결합되는 상기 누르개 상승 후크(26) 및 걸림결합 후크(24c)는, 한쪽의 연장부((26b)(24c2))의 둘레면과, 다른 쪽의 연장부(경사 연장부; 24c2(26b))의 선단면이 맞닿아 상기 단추 유지부재(24)를 지지하게 된다.
이로써, 단추 유지부재(24)의 끌어올림이 종료하였을 때에 걸림결합 후크(24c)의 개방선단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던 부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재봉기 주축(24)과 구동원과의 연결이 차단될 때에 진동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누르개 상승 후크(26)와 걸림결합 후크(24c)와의 걸림결합 위치가 바운드의 전후에서 변화되지 않고, 항상 단추 유지부재(24)를 소정의 위치에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단추를 단추 핀칭부에 세팅하는 작업도 간편해진다.
특히, 상기 선단면을, 상기 단추 유지부재가 상기 상승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상승위치에서의 단추 유지부재(24)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단추 유지부재(24)에 대한 이송방향으로의 가세력의 발생을 방지하여, 이송기구에 문제를 발생시키는 요인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추달이 재봉기의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누르개 상승 후크 및 걸림결합 후크가 걸림결합되어 단추 유지부재가 상승위치에 있는 재봉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단추달이 재봉기의 제 2 실시형태에서의, 단추 유지부재가 상승위치에 있는 재봉기를 나타낸 설명도이며, 도 2B는 도 2A에서의 누르개 상승 후크 및 걸림결합 후크의 걸림결합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은 종래 예에 따른 단추달이 재봉기의 구동제어기구의 주요부 구조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종래 예에 따른 단추달이 재봉기의 구동제어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 예에 따른 단추달이 재봉기의 구동제어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종래 예에 따른 단추달이 재봉기의 구동제어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단추달이 재봉기의 단추 유지부재의 상승위치에서의 누르개 상승 후크 및 걸림결합 후크의 걸림결합상태를 나타낸 종래 예의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c : 바늘판 24 : 단추 유지부재
24a, 24b : 단추 핀칭부 24c : 걸림결합 후크
24c1 : 기립부 24c2 : 연장부
24e : 스프링 24f : 가압봉
25 : 누르개 상승 레버 26 : 누르개 상승 후크
26a : 수하부 26b : 연장부
27 : 축

Claims (2)

  1. 중간부가 회동 가능하게 재봉기 아암에 지지된 누르개 상승 레버(25)와,
    선단부에 단추를 유지하는 한 쌍의 단추 핀칭부(24a, 24b)를 가지고, 상기 단추 핀칭부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회동이 가능하게 재봉기 베드에 베이스부가 지지된 단추 유지부재(24)와,
    상기 단추 유지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6b)를 갖는 걸림결합 후크(24c)와,
    상기 누르개 상승 레버의 선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결합 후크의 연장부 하방으로 걸림결합 가능하게 대향하는 연장부(24c2)를 갖는 누르개 상승 후크(26)를 구비하고,
    상기 누르개 상승 레버가 한쪽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누르개 상승 후크의 연장부가 상기 걸림결합 후크의 연장부와 걸림결합되어 상기 단추 유지부재를 상방으로 끌어올리는 단추달이 재봉기로서, 상기 누르개 상승 후크 및 상기 걸림결합 후크의 한쪽의 선단면이 다른 쪽의 연장부의 연장방향을 따르는 면과 걸림결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달이 재봉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선단면은, 상기 다른 쪽의 연장부의 면과 접촉하도록 평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달이 재봉기.
KR1020080023236A 2007-03-15 2008-03-13 단추달이 재봉기 KR1014268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66580A JP5142561B2 (ja) 2007-03-15 2007-03-15 ボタン付けミシン
JPJP-P-2007-00066580 2007-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670A true KR20080084670A (ko) 2008-09-19
KR101426815B1 KR101426815B1 (ko) 2014-08-05

Family

ID=39840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236A KR101426815B1 (ko) 2007-03-15 2008-03-13 단추달이 재봉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142561B2 (ko)
KR (1) KR101426815B1 (ko)
CN (1) CN101265639B (ko)
TW (1) TWI4069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54052A (zh) * 2010-10-29 2012-05-16 苏州优曼时装有限公司 纽扣缝合机
CN112430920A (zh) * 2020-11-20 2021-03-02 拓卡奔马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钉扣机及其抬压剪线机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8168A (en) * 1978-09-11 1980-03-17 Brother Ind Ltd Single yarn ringed sewing cycle sewing machine
JPH02102178U (ko) * 1989-01-31 1990-08-14
JPH084667B2 (ja) * 1990-07-20 1996-01-24 ジューキ株式会社 サイクルミシン
JPH084667A (ja) * 1994-06-15 1996-01-0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2001017756A (ja) * 1999-05-06 2001-01-23 Juki Corp 環縫いボタン付け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815B1 (ko) 2014-08-05
CN101265639B (zh) 2013-03-06
TWI406989B (zh) 2013-09-01
JP2008220821A (ja) 2008-09-25
TW200902786A (en) 2009-01-16
JP5142561B2 (ja) 2013-02-13
CN101265639A (zh) 2008-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1396B1 (ko) 재봉기
KR101240382B1 (ko)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
CN103485087B (zh) 包缝缝纫机
CN106283422B (zh) 缝纫机
JP5885289B2 (ja) 上送りを備えたミシン及び押さえユニット
KR100831059B1 (ko) 미싱
KR20080084670A (ko) 단추달이 재봉기
JP3744892B2 (ja) ミシン用ジャンプ縫い機構部
JP3688076B2 (ja) ミシン
JPH08243282A (ja) 多頭式ミシンの駆動装置
JP4022707B2 (ja) ミシンのルーパ引出し装置
JP4401530B2 (ja) 鳩目穴かがりミシン
CN220643468U (zh) 剪线抬压脚机构及缝纫机
CN201180208Y (zh) 一种缝纫机的跳针装置
CN205420736U (zh) 一种齿架操作组件
CN101565882A (zh) 一种缝纫机的跳针装置
CN205420739U (zh) 翻转半齿架保持组件
JP3969685B2 (ja) ミシンの上糸切断装置
CN218263031U (zh) 一种缝纫机集抬压脚、剪线和松线于一体的驱动机构
CN111936687A (zh) 缝纫机
JP2005334329A (ja) ミシン
CN221218110U (zh) 剪线驱动机构、剪线装置以及包缝机
CN214422863U (zh) 一种缝纫机的剪线机构
KR20090023274A (ko) 재봉기의 가마맞춤장치
CN214694624U (zh) 一种拼缝机抬压脚和松线同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