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0617A - 재료반송 및 배출기 장치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재료반송 및 배출기 장치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0617A
KR20080080617A KR1020087016494A KR20087016494A KR20080080617A KR 20080080617 A KR20080080617 A KR 20080080617A KR 1020087016494 A KR1020087016494 A KR 1020087016494A KR 20087016494 A KR20087016494 A KR 20087016494A KR 20080080617 A KR20080080617 A KR 20080080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jector
conveying
tube
flow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6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3425B1 (ko
Inventor
괴란 순트홀름
Original Assignee
마리캡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I20051262A external-priority patent/FI118043B/fi
Application filed by 마리캡 오이 filed Critical 마리캡 오이
Publication of KR20080080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0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0Venturi sc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24Gas su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60Devices for separating the materials from propellant gas
    • B65G53/62Devices for separating the materials from propellant gas us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02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liquid
    • F04F5/0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liq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4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F5/02 - F04F5/42
    • F04F5/48Control
    • F04F5/52Control of evacuating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Forging (AREA)

Abstract

압력차를 이용함으로써 반송도관(4)내에서 재료를 반송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된 것으로, 이 방법에서 재료는 반송도관(4)내로 공급되고 그 반송도관을 통하여 분리장치(5)내로 반송되고, 여기에서 반송된 재료는 반송 공기로부터 분리되고, 이 방법에서 부압은 배출기 장치(6)에 의하여 반송도관(4)내에 생성되고, 그의 흡인측은 분리장치(5)에 접속되고, 상기 배출기 장치는 작동매체를 사용하여 작동되며, 작동매체는 액체 분무, 특히 수용액 안개이며, 상기 매체는 분리요소(38)를 향하여 도출된 배출기 튜브(128)내로 적어도 한개의 분무 노즐(122)을 통하여 분무된다. 이 방법에서, 생성되는 부압의 발생은 기체의 흐름을 그의 작동매체의 분무방향에 반대인 방향, 즉 배출기 튜브의 출구 끝단(129)으로부터 배출기 튜브(128)내로의, 공기와 같은 기체의 흐름을 제한함으로써 필요에 따라서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장치 및 배출기 장치와도 관련된다.

Description

재료반송 및 배출기 장치용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MATERIAL AND EJECTOR APPARATUS}
본 발명은 반송도관내에 압력차이를 가함으로써 재료를 반송하기 위한 청구항 1의 서문에 규정된 바와 같은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에서, 재료는 반송도관내로 공급되고, 반송된 재료가 반송공기로부터 분리되는 분리장치내로 공급되며, 이 방법에서 배출기장치의 수단에 의하여 반송도관내에 부압이 형성되며, 그의 흡인측은 분리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배출기장치는 액체분무, 특히 수용성 액체분무로 구성되는 작동매체를 사용하여 작동되며, 상기 매체는 적어도 한개의 분무노즐을 통하여 분리요소내로 도출되는 배출기 튜브내로 분무된다.
본 발명은 또한, 반송도관내에 압력차를 인가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식료산업에 있어서의 벌크재료, 특히 도살된 고기 찌꺼기 및 음식물 쓰레기 또는 제조업에 있어서의 작업 잔여물등과 같은 재료를 반송하기 위한 청구항 10의 서문에서 규정된 바와 같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재료반송 도관과, 분리장치 및, 그의 흡인측이 분리장치에 접속된 배출기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반송도관내에 부압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출기 장치는 작동매체를 사용하여 작동되며, 액체 분무를 분무하고 배출기의 작동매체로서의 액체분무를 사용하기 위한 적어도 한개의 노즐과 액체를 그 노즐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 여 구성되며, 그 장치는 배출기 튜브에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된 적어도 한개의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출기 튜브는 분리요소를 향하여 도출되고 분리요소내로 연장된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21에 따른 배출기 장치와도 관련된 것이다.
이들은 예를 들면 특히 식육 제조와 같은 음식물 제품을 반송하기 위하여 설계된, 압력차를 이용함으로써 작동되는 공지의 재료반송 시스템들이다. 이러한 방식의 시스템은 WO 88/01597 A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여러개의 해당하는 해결방법들이 존재한다. 또한, 전형적으로는 여러군데의 장소로부터 하나 또는 이상의 콘테이너로 또는 그 이상의 처리를 위하여 해당방식으로 재료들이 반송되는 선박의 주방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장치들이다. 그러한 장치들은 또한 다양한 설비에서의 음식물 및 쓰레기를 반송하는데도 사용된다. 전형적으로, 이들은 배출기 장치와 같은 진공발생기의 수단에 의하여 반송도관내에 부압이 생성되는 진공시스템에 의하여 부압을 발생시킨다. 하나의 배출기 장치에서는, 압축공기를 노즐로 분무하기 위하여 공압장치가 사용되는 배출기에 의하여 반송도관내에 흡입이 생성되고, 다시 반송도관내에 부압을 생성하게 된다. 반송도관에는 전형적으로 적어도 한개의 밸브요소가 마련되며, 도관에 들어가는 교체공기의 양은 그 밸브요소를 개폐함으로써 조절된다. 종래의 해결방법에 있어서, 압축공기는 일정한 압력으로 배출기 장치에 공급되었다. 따라서, 이것은 항상 압축공기에 대한 실제적인 필요성과는 관계없이 동일한 에너지를 소모하게 된다. 반송도관 시스템내의 있을 수 있는 막히는 상황에 서는, 공지의 해결방법들은 막힌 부분을 해결하는데 있어서 제한된 적용성을 가지거나 또는 그 목적을 위하여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였다. 또한, 현재의 해결방법들은 상이한 필요성을 포함하는 재료들을 방송하는데 적용함에 있어서는 제한을 가진다. 더우기, 종래의 해결방법에 있어서는, 반송될 재료들이 배출기 장치와 같은 진공장치의 불어대는 바람내에서의 냄새 및/또는 입자의 문제점도 일으킬 수 있다. 종래의 인화성 재료의 환경과 관련된 진공펌프의 사용은 매우 제한되어 있거나 또는 심지어 위험하기 조차 하다. 또한, 어떠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그러한 재료 반송 시스템과 관련하여 액체의 안개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의 이러한 방식의 배경은 또한 WO 2005/085105 및 WO 2005/085104 호의 명세서에도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들 명세서내에 개시된 시스템을 더욱 발전시킴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해결방법에 있어서의 결점을 회피하기 위하여 완전히 새로운 방식의 해결방법을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배출기 장치에 의한, 특히 재료를 반송하는데 사용되는 도관 시스템의 막힘시에 보다 효율적인 흡인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해결방법을 만드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번째 특정한 목적은, 한편, 양호한 수율이 배출기 장치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또한 부압의 발생이 필요에 따라서 제고될 수 있는 해결방법을 만들어내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압을 사용하는 많은 방식의 적용에 있어서 진공발생 유니트로서 이용될 수 있는 배출기 장치를 만드는 것이다. 또한 다른 목적은 폭발성 또는 인화성 재료 또는 환경과 관련하여 사용하기에 적절한 진 공발생 유니트를 만드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종래의 해결방법에 있어서 냄새 및/또는 입자의 단점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다. 또한 다른 목적은 에너지의 필요성을 감소할 수 있는 배출기 해결책을 만드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주로 생성되는 부압의 발생이, 작동매체의 분무방향에 반대되는 방향, 즉 배출기 튜브의 출구끝단으로부터 배출기 튜브로의 공기와 같은 기체의 흐름을 제한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극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청구항 2 - 9에서 개시된 바를 부가적으로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배출기 장치가, 작동매체의 분무방향에 반대되는 방향, 즉 배출기 튜브의 출구끝단으로부터 배출기 튜브로, 공기와 같은 기체의 흐름을 제한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생성되는 부압을 증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부가적으로 청구항 11 - 20에서 개시된 바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출기 장치는, 작동매체의 분무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에서 먼쪽 끝단, 즉 배출기 튜브의 출구끝단으로부터 배출기 튜브로, 공기와 같은 기체의 흐름을 제한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생성되는 부압을 증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배출기 장치는 부가적으로 청구항 22 - 30에서 개시된 바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방법은 다양한 현저한 장점을 가진다. 기체를 "잘못된 끝단부"로부터 배출기 튜브 또는 그의 근방으로 들어가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필요에 따라서 또는 예를 들면 재료반송 도관내에서 발생되는 막힘 상황내에서 부압을 증가시키는 배출기 장치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배출기 튜브의 출구끝단을 액체면의 수준이하로 가져감으로서, 배출기에 의하여 생성되는 부압을 개선하는 매우 유효한 해결방법이 달성되고, 또한 배출기 노즐의 분무방향에 반대방향으로 배출기 튜브내에 막힘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작동매체를 액체의 안개로 사용함으로써, 매우 강한 흡인효과 및 매우 양호한 수율이 달성된다. 부가적으로,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배출기 장치와 비교할때, 심지어 50% 정도의 상당한 에너지 절약효과가 달성되었다. 부가적으로, 액체의 안개는 입자를 제거하고 배출기장치의 냄새에 관한 단점을 감소하는데 매우 유효한 매체이다. 배출기 튜브의 둘레에 개구, 바람직하게는 반송공기의 출구에 대한 폐쇄요소를 가지는 개구를 배치함으로써, 또한, 예를 들면 반송도관내에 발생하는 막힘상황을 폐쇄하기 위하여 개구들의 폐쇄요소를 배치함으로써, 배출기의 흡인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동시에, 막힘상황의 처리가 증진된다. 분무되는 작동매체의 순환을 형성함으로써, 물의 소비에 대한 매우 강력한 감소효과가 달성딘다. 부가적으로, 필요하다면, 작동매체에 화학물질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흡인파이프내에 동축노즐을 배치함으로써, 배출기의 효율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분리요소내에서 분리되는 액체에 회전동작을 부여함으로써, 액체로부터 불순물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액체 흡인 파이프로 이물질이 끼어들어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배출기 장치로 제 2 의 매체를 공급하는 선택사향을 장치에 부가적으로 마련함으로써, 배출기 장치에서의 냄새문제를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으며 동시에 흡인의 효율도 개선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작동매체와 함께 제 2 의 매체를 공급하고, 또한 제 2 의 매체를 반송 및/또는 공급하기 위한 압력을 배출기 공간내로 사용함으로써, 매우 장점을 가지며 효과적인 해결방법이 달성될 수 있다. 제 2 매체에 대한 노즐을 작동매체용의 노즐과 동일한 조립체로 만듦으로써, 제조기술의 관점에서 보다 효율적인 해결방법이 달성된다. 동시에, 흡인기 장치의 흡인성능를 개선하는 양호한 해결방법이 달성된다. 액체, 바람직하게는 물과 같은 보다 높은 밀도의 물질이 사용되면, 흡인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제 2 매체를 공급함으로써, 작동매체가 액체 또는 액체와 기체의 혼합물인 경우에도 흡인효과는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작동매체로서, 또한 적어도 제 2 매체로서 액체가 사용될 때에는, 기체의 흐름이 이 액체를 분무함으로써 세정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하여 입자 및 냄새에 대한 가능한 단점들을 제거할 수 있다. 제 2 의 매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별도의 펌프를 마련하면 그의 공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작동매체와 제 2 의 매체의 비율이 동시에 조절될 수 있다. 배출기로 가는 작동매체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배출기에 의하여 생성되는 흡인의 영향을 주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것은 재료반송 도관내의 부압 및/또는 압력차를 조절하는 용이한 방법이다. 제어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임펄스의 근거하에 개방 및 폐쇄되는 밸브와 스로틀 요소가 마련된 병행 유로를 사용하여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매우 사용적이며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조절 시스템이 달성된다. 원하는 경우에는, 재료의 반송은 배출기내에서 생성된 더 높은 압력으로 개시될 수 있으며, 이 압력은 반송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될 수 있다. 시스템의 상이한 공급스테이션이 상이한 재료를 취급할 수 있으며, 상이한 압력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재료의 방송에 영향을 미치는 설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이한 공급스테이션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반송되는 재료에 따라, 재료를 반송하는데 사용되는 압력치를 작업자가 규정할 수 있는 스위치를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로틀 요소를 조절가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시스템의 다양성이 보다 개선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재료를 반송하도록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시스템은 재료반송도관내의 압력차/(부압)를 가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며, 이러한 특성은 본 발명에 따라 재료반송도관에 공압용의 개폐가능한 접속을 마련함으로써 확장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분리장치와 배출기 장치 사이의 흡인 파이프내의 흐름을 관찰하는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장치의 운전이 이러한 흐름에 있어서의 변화에 따라서 제어될 수 있다. 제어시스템에 의하여 주어지는 명령의 근거하에 분리장치의 재료 제거수단이 기능하도록 함으로써, 또한 부가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작동매체로서 공압을 사용함으로써, 시스템의 기능성이 보다 개선된다. 본 발명의 해결방법은 예를 들면 칩(chip)과 같이, 제조업에서 발생되는 쓰레기와 같은 다른 타입의 재료를 공급하는 데에도 마찬가지로 훌륭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출기 장치는 많은 방식의 반송시스템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배출기 장치는, 예를 들어 목재건조장치, 연기 제거시스템, 먼지 제거시스템과 같은 부압을 필요로 하는 적용분야와 관련하여 진공발생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배출기 장치는 폭발성 재료와 관련하여도 잘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서 보다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도면을 나타내며,
도 2는 다른 상황에서의 본 발명의 장치의 실시에의 도면을 나타내며,
도 3은 통상적인 상황에서의 본 발명의 장치의 일 실시예의 도면을 나타내며,
도 4는 다른 상황에서의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며,
도 5는 본 발명의 장치의 다른 실시에를 나타내며,
도 6은 본 발명에 다른 배출기 장치를 나타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배출기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반송도관 시스템은, 전형적으로는 다수개의 공급스테이션들이 공급파이프를 통하여 접속될 수 있는 주 반송도관(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는 주 반송도관(4)의 부분만을 나타내었다. 공급된 재료는 반송도관 시스템을 따라서 반송도관 시스템의 종단에 놓인 분리장치(5)내로 반송된다. 분리장치내에서, 반송된 재료는 예를 들면 반송 공기로부터 원심력에 의하여 분리된다. 분리된 재료는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서 분리장치(5)로부터 재료 콘테이너(8) 또는 후속 처리단계로 제거된 다.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분리장치(5)에는 재료제거 요소(25),(26)가 마련된다. 분리장치(5)로부터, 도관(7)은 진공유니트(6)로 인도된다. 진공유니트는 반송도관 시스템(4)내에서 재료를 반송하는데 필요한 부압을 생성한다. 도면에 나타낸 해결방법에 있어서, 진공유니트(6)는 배출기 유니트이다. 배출기 유니트(6)는 작동 매체의 소스에 접속된다. 부압은 반송도관 시스템내에서 재료를 반송하는데 필요한 힘을 제공한다. 배출기 유니트(6)는 반송스테이션에서 분리장치(5)에 접속되며, 주 반송도관(4)은 분리장치에 접속된다.
바람직하게는 분리장치(5)에 대하여 반송도관의 반대끝단에, 반송도관(4)내에는 적어도 한개의 밸브수단이 배치되며, 필요에 따라서 개폐된다. 부압이 반송도관(4)내에 팽배할 때에는, 교체 공기가 반송도관(4)내로 공급된다. 이는 반송되는 재료가 분리장치(5)를 향하여 반송도관(4)내를 이동하도록 한다.
도 1 및 2는 배출기 장치(6)내에서 사용되는 작동매체가 액체 분무, 특히 액체 안개인,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장치는 적어도 한개의 작동매체 노즐(12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배출기 튜브(128)을 향하여 도출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3개의 배출기 노즐(122)들이 나란히 배치되며, 3개의 평행한 배출기 튜브(128)들이 각각의 배출기 노즐에 대하여 있게 된다. 배출기 튜브(128)들은 도면에서 나타낸 실시예에서 콘테이너형상의 구성부분인 분리요소(38)를 향하여 도출된다.
배출기 튜브(128)의 출구 끝단은 분리요소내로 연장된다. 분리요소(38)는 기체의 흐름으로부터 액체 및/또는 단단한 재료를 분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배출기장치에 의하여 야기된 흐름은, 전형적으로는 편향되며, 따라서 액체방울 및/또는 재료의 입자 또는 적어도 이들의 일부가 수집요소내에 잔류하게 된다. 도면에서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분리요소내에 모인 액체는 펌프수단(126),(127)에 의하여 덕트(131),(125)를 통하여 뒤로 순환하며, 따라서 적어도 한개의 배출기 노즐(122)를 통하여 다시 분무될 수 있다. 덕트내에는 필터요소(140)가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흡인 파이프(130),(13)들에는 입구개구 또는 그 근방에 놓은 거친 필터가 마련된다.
배출기 튜브(128)는 분리요소(38)내에 회전운동을 생성하도록 도출된다. 도면에 따른 해결방법에 있어서는, 배출기 튜브(128)의 끝단(129)가 액체의 회전운동을 생성하도록 접선방향의 흐름 성분을 생성하도록 도출된다. 회전운동은, 예를 들면 분리요소의 벽에 가깝게 무거운 입자 및 단단한 조각들이 오도록 허용하며, 따라서 액체의 순환을 위한 흡인파이프(130),(131)들은 바람직하게는 콘테이너 형상의 분리요소(38)의 모서리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액체의 순환을 통하여, 액체내에 혼합된 청정제 또는 등가의 물질, 화학물질들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분리요소에는 폐쇄요소(133)가 마련되어, 분리요소내에 축적된 적어도 일부의 재료 및 액체가 별개의 콘테이너(40), 하수구(40') 또는 후속의 처리단계로 배출된다. 폐쇄요소는 실린더-피스톤 조합 또는 다른 장치와 같은 액츄에이터(141)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분리요소(38)는 전형적으로는 예를 들어 리미트 스위치(137),(138)를사용하여 표면의 수준을 감시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밸브요소가 마련된 덕트(134)를 통하여 보다 많은 액체가 분리요소로 공급될 수 있고, 밸브는 필요에 따라서 리미트스위치(137),(138)에 의하여 부여되는 신호에 따라서 제어될 수 있다. 이 장치는 매체의 흐름을 감시하기 위한 수단(139)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수단은 배출기 장치 및/또는 분리요소의 채움/비움이 제어되도록 하는 정보를 전달하는 분리요소내에 배치된 유량 트랜스듀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분리요소는 또한, 분리요소(38)내에 축적된 액체의 초과량이 예를 들면 하수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과충전 보호파이프(1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분리요소에는 기체 배기밸브(132)가 마련되어 있어서, 그를 통하여 분리요소에 도달한 어떠한 기체들도 세척된 상태에서 분리요소로부터 나오게 된다.
본 발명은 압력차를 이용함으로써 반송도관(4)내에서 재료를 반송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된 것으로, 이 방법에서 재료는 반송도관(4)내로 공급되고 그 반송도관을 통하여 분리장치(5)내로 반송되고, 여기에서 반송된 재료는 반송 공기로부터 분리되고, 이 방법에서 부압은 배출기 장치(6)에 의하여 반송도관(4)내에 생성되고, 그의 흡인측은 분리장치(5)에 접속되고, 상기 배출기 장치는 작동매체를 사용하여 작동되며, 작동매체는 액체 분무, 특히 수용액 안개이며, 상기 매체는 분리요소(38)를 향하여 도출된 배출기 튜브(128)내로 적어도 한개의 분무 노즐(122)을 통하여 분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성되는 부압의 발생은 기체의 흐름을 그의 작동매체의 분무방향에 반대인 방향, 즉 배출기 튜브의 출구 끝단(129)으로부터 배출기 튜브(128)내로의, 공기와 같은 기체의 흐름을 제한함으로써 필요에 따라서 증가될 수 있다. 부압의 생성이 증진되는 전형적인 상황은 반송도관 시스템(4),(7)내에 막힘이 발생했을 때이다.
본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끝단(129)으로부터 배출기 튜브(128)로의 기체의 도입은 상술한 배출기 튜브(128)의 끝단을 액면의 수준인 L, L'의 아래쪽으로 오도록 함으로써 제한될 수 있다. 이는, 배출기 장치가 상승되도록 하고 또한 액체의 수준이 상승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반송도관(4)내의 압력차를 인가함으로써, 특히 도살된 고기 찌꺼기 및 음식물 찌꺼기 또는 제조업에서의 작업 잔여물과 같은, 식품산업에 있어서의 벌크재료와 같은 재료를 반송하기 위한 장치와도 관련되며, 상기 장치는 재료 반송도관(4)과, 분리장치(5) 및, 그의 흡인측이 분리장치(5)에 접속된 배출기 장치(6)를 사용함으로써 부압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분리기 장치는 작동매체를 사용하여 작동되며, 그 분리기 장치(6)는 액체 안개를 분무하고 그 액체 안개를 배출기의 작동매체로서 사용하기 위한 적어도 한개의 노즐(121),(122)과, 액체를 노즐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125),(126),(127),(13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장치는 배출기 튜브(128)내에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된 적어도 한개의 배출기 노즐(12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출기 튜브는 분리요소(38)를 향하여 도출되며 분리요소(38)내로 연장된다. 이 장치는 필요에 따라서, 작동매체의 분무방향에 대하여 먼 끝단(129), 즉 배출기 튜브의 출구끝단으로부터 배출기 튜브(128)로의 공기와 같은 기체의 흐름을 제한함으로써 부압의 발생을 증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배출기 튜브의 출구끝단(129)은 도 1 의 상황으로부터 분리요소내의 액체면의 수준을 조정함으로써 액체면의 수준 L, L'의 아래쪽의 수준으로 오게 되며, 여기에서 액체의 표면은 L'의 수준으로 된다. 이 상황에서, 액면의 수준은 배출기 튜브(128)의 출구끝단에 도달하게 된다. 표면의 수준은, 예를 들면 리미트 스위치(137')로부터 얻어진 제어명령에 의하여 이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며, 여기에서는 작동매체가 분출기 튜브(128)로 분무되고, 분출기 튜브는 셀부(142)내의 분리요소(38)내로 연장된다. 여기에서 반송기체는 셀부(142)내에 마련된 출구 개구(144)를 통하여 지나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셀부(142)내의 공간으로 들어가는 기체의 흐름이, 적어도 반송도관(4),(7)내에 막힘이 있는 경우에는 제한된다. 따라서, 배출기 튜브로의 기체들의 통로가 제한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체의 흐름은 폐쇄요소(145)의 수단에 의하여 제한된다. 기체의 흐름은, 적어도 셀부(142)내부의 액체의 표면 수준 L, L'를 상승시킴으로써 더욱 제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반송되는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도살된 고기 찌꺼기 및 음식물 찌꺼기 또는 제조업에서의 작업 잔여물과 같은, 식품산업에 있어서의 벌크재료와 같은 재료이다.
기체를 작동매체로 사용함으로서, 또는 제 2 작동매체 또는 제 2 매체로서 액체 안개를 공급함으로써, 본 발명의 해결방법은 배출기 튜브내의 "밀폐 효과"를 달성하는 목표를 가지게 되며, 그에 의하여 흡인효과를 증진한다. 액체안개를 작 동매체로 사용함으로써, 배출기 분무의 적정한 체적이 달성되며, 흡인 효과 및 배출기의 효율, 또한 "밀폐효과"또한 매우 양호한 것으로 발견되었다. 특히, 반송도관(4)내에 막힘이 발생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진공유니트의 효율도 현저하게 개선되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공기와 같은 기체의 배출기 스프레이(122)에 대하여 반대쪽 방향, 즉 도면내의 튜브의 출구끝단(129)으로부터 배출기 튜브(128)내로의 도입이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구성은 여러가지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결방법에 있어서 액체안개를 사용함으로써, 냄새 및/또는 입자의 단점들이 없어지고, 또한 배출기 장치의 흡인효과도 증진된다. 사용된 매체는 전형적으로는 액체, 특히 물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제 2 매체의 대부분 및/또는 작동매체는 기체의 흐름으로부터 분리된다. 이것은, 흡인파이프(7)를 통하여 오는 재료의 흐름이 작동매체의 흐름 및/또는 제 2 매체의 흐름내에서 혼합된 후에 이루어진다. 작동매체의 흐름 및/또는 제 2 매체의 흐름은 전형적으로는 흡인파이프를 통하여 오는 흐름상에 세정효과를 가진다. 배출기를 통하여 오는 기체의 흐름은 액체방울 및/또는 재료입자를 포함하며, 그것에 실려진 재료의 입자들이 수집요소(38)내에 잔류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편향되며, 여기로부터 반송된다. 정화된 기체의 흐름이 반송된다. 상술한 특징의 몇몇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며, 여기에서 파이프(7)에는 바람직하게는 물안개인 작동매체를 분무하기 위한 노즐(121)이 마련 된다. 노즐은 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흡인효과를 증진하고, 부가적으로 기체흐름의 정화를 제고한다. 노즐(121)은, 바람직하게는 파이프(7)내에 동축적으로 배치된다. 노즐(121)에 부가하여, 흐름의 방향으로 노즐(121)의 뒤쪽에 적어도 한개의 노즐(122) 및 배출기 튜브(128)이 마련되며, 배출기 튜브는 분리요소(38)쪽으로 도출된다.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노즐(121) 및 배출기 노즐(122)은 상호간에 대하여 각도를 두고 배치된다. 노즐은 그들의 근방에서 흡인을 형성하고, 기체의 흐름이 바람직하게는 액체 안개분무인 분무와 혼합되고, 따라서 기체의 흐름의 정화가 달성된다.
작동매체의 분무 및, 따라서 파이프(7)내의 흡인은 필요에 따라서, 예를 들면 펌프에 의하여 생성된 분무압력을 조정함으로서 조정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하나 이상의 배출기 튜브(128)들은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셀(142)에 의하여 둘러싸이고,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그의 하부 끝단(143)은, 분리요소(38)내의 액체의 표면수준 L 의 하부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셀(142)의 내에는 적어도 한개의 개구(144)가 있으며, 이를 통하여 통상의 상황에서는 흡인파이프(7)를 통하여 배출기에 의하여 뽑아내어진 공기와 같은 기체의 적어도 일부가 분리요소(38)내의 액체면 L위의 공간으로 들어가고, 그곳으로부터 분리요소(38)내에 마련된 기체 배기밸브(132)를 통하여 분리요소로부터 나오게 된다. 작동매체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액체 작동매체, 특히 액체안개의 경우에는, 기체들이 바람직하게는 "세정된 상태"로 분리요소에서 나오게 된다. 도면에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배출기튜브(128) 방향 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한개의 개구(144)가 배출기 튜브(128)의 끝단(129)과 배출기(122)의 분무점의 사이의 영역에서 셀(142)에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142)내의 적어도 한개의 개구(144)에는 폐쇄요소(145)가 마련된다. 폐쇄요소(145)는, 개구(144)를 통하여 매체가 통과하도록 개방되는 제 1 위치와, 개구(144)를 통한 매체의 통로가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제 2 위치의 적어도 2위치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폐쇄요소(145)는 클레페(clappet)요소로서, 개구(144)를 통하여 셀의 내부로부터 매체가 셀(142)의 외부로 통하여 흐르도록 한다. 만약 셀(142)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이가 개구(144)의 영역에서 변화하여 셀(142)의 외부의 압력이 더 높아지면, 클레페(145)가 폐쇄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폐쇄요소(145)는, 따라서 체크밸브와 같이 작동하여, 매체가 셀의 내부로부터 외부로는 흐르지만, 외부로부터 내부로는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개구(144)들과 관련해서는 어떠한 폐쇄요소도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폐쇄요소는 배기밸브(132)와 관련해서 놓여질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셀(142)의 둘레상에 분포된 방식으로 다수개의 개구(144)가 마련된다. 셀(142)의 하부끝단이 개구되어, 배출기에 의하여 분무된 액체가 분리요소(38)에서 액체를 담고 있는 부분으로 들어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셀의 하부끝단은 액체에 대하여 회전운동을 부여하도록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통상의 상황(도 3)에서는, 액체가 분리요소내에 잔류하는 동안, 배출기에 의하여 뽑아내어진 기체의 적어도 일부가 편향되고 개구(144)를 통하여 셀의 밖으로 흘러나오게 된다. 예를 들어 반송되는 재료때문에 흡인파이프(4),(7)내에 막힘이 발생하면, 흡인파이프를 통하여 나오는 기체의 양이 감소되고, 배출기 셀(142)의 개구(144)상의 폐쇄요소(145)가 폐쇄되고 배출기는 자동적으로 진공, 즉 흡인파이프(4),(7)내의 흡인을 증가하게 된다.
도 4는 이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폐쇄요소(145)는 개구(144)를 폐쇄하고 있다. 압력차이때문에, 셀(142)내부의 액체 수준 L'이 셀(142) 외부의 분리요소내의 액체의 수준 L의 표면위쪽 어딘가의 높이까지 상승한다. 이는, 흡인효과를 증진할 수 있도록 하고, 따라서 도관시스템(4)내의 막힘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액체의 표면수준 L'은 바람직하게는 배출기튜브(128)의 출구끝단(129)의 위로 상승한다. 이는, 기체가 분무방향에 대하여 배출기 튜브(128)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해결방법의 다른 실시예로서, 셀(142)은 개구(144)와 관련하여 아무런 폐쇄요소가 없다. 이 경우에, 필요할때는, 도 1 및 2와 관련하여 개시된 바와 같이 분리요소(38)내의 액면의 수준을 상승함으로써 부압이 증가될수 있으며, 반면에 배출기 튜브의 출구끝단은 액면 수준 L' 의 아래쪽에 남아 있게 된다. 이제, 분무방향에 대하여 기체가 배출기 튜브(128)로 들어가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도 6에 나타낸 배출기는, 가압라인(125)을 통하여 작동매체가 반송되는 배출기 제트(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면 도 3 및 4에서 나타낸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분무실에는 흡인파이프(7)가 접속되어 있으며, 여기로부 터 공기와 같은 기체가 배출기 제트내로 들어가고, 배출기 튜브(128)로 들어가게 된다. 배출기 튜브(128)들은 셀(142)에 의하여 둘러싸인다. 셀의 상부끝단에는 칸막이(150)가 있으며, 각 배출기 튜브(128)와 함께 정렬된 위치에 형성된 개구(151)가 마련되어 있어서, 이들 통하여 배출기 제트(122)로부터의 분무가 그를 통하여 들어온 공기와 함께 배출기 튜브로 들어가게 된다. 셀의 벽에는 적어도 한개의 개구(144)가 형성된다. 개구(144)는 배출기 튜브(128)의 하부끝단과 셀(142)의 상부의 사이의 영역에서 셀에 형성된다.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셀은 다수개의 개구를 가진다. 개구(144)는 셀(142)의 둘레를 따라서 분포된 방식으로 형성된다. 개구(144)와 관련해서는 폐쇄요소(145)가 마련된다. 도면에 있는 실시예에서는, 폐쇄요소(145)가 개구(144)의 외부에서 셀의 외부표면상에 탑재된 클레페요소이다. 클레페요소는 개구(144)를 통하여 매체가 통과하도록 개방되는 제 1 위치와, 개구(144)를 통한 매체의 통로가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제 2 위치의 적어도 2위치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폐쇄요소(145)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재료로 형성된다.
셀의 하부(143)에는 출구 포트(152)가 있어서, 이를 통하여 분무된 매체의 적어도 일부가 분리요소(38)내로 나가게 된다. 이 포트는, 흘러나오는 매체가 분리요소내에서 액체에 회전운동을 부여하도록 방향이 설정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요소(153)가 출구포트(152)와 관련되어 형성되어 매체가 흘러나가는 것을 안내한다.
도 7은, 예를 들면 도 5에 따른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배출기 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셀 요소(142)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그의 출구끝단은 원하는 바에 따라 도출된다.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셀(142)의 구부러진 형상때문에, 출구포트(152)는 배출기 튜브(128)에 대하여 거의 90도의 각도로 배향된다. 도면에서는, 막혀있는 상황을 액면 수준의 변화 L-L'를 점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배출기 장치는 적어도 한개의 배출기 노즐(122) 및 적어도 한개의 배출기 튜브(12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튜브로 향하여 배출기 노즐이 분무를 행하고, 제 2 매체를 배출기 제트(122)로 가도록 하는 통로가 된다. 이 장치는, 작동매체의 분무방향에 대하여 먼 끝단(129), 즉 배출기 튜브의 출구끝단(129)으로부터 배출기 튜브(128)로의 공기와 같은 기체의 흐름을 제한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생성되는 부압을 증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셀부(142)는 배출기 튜브의 둘레에 배치되고, 셀에 형성된 적어도 한개의 개구(144)를 가진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셀(142)은 부가적으로 개구(144)를 통한 흐름을 차단 혹은 제한하기 위한 수단(145)이 마련된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개구(144)는 셀의 상부와 배출기 튜브(128)의 하부의 사이의 영역에서 셀(142)에 배치된다.
셀(142)의 하부에는 반송되는 매체의 제거 및/또는 배출기의 작동매체의 배출을 위한 개구(152)가 형성된다.
개구(144)와 관련하여서는, 개구(144)를 통한 흐름을 차단 및/또는 제한하기 위한 클레페 요소(145)가 마련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수단이 셀(142)의 하부의 개구(152)와 관련하여 마련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필요에 따라 배출기 튜브(128)의 출구끝단(129)을 배출기 장치 근처의 액면 수준 L, L'의 아래쪽으로 오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형적으로는 적어도 액체의 표면 및/또는 배출기 튜브의 2개중의 한개가 상호간에 대하여 이동한다. 도 6 및 7에 따른 배출기 장치는 부압을 필요로 하는 많은 방식의 적용분야에서 진공발생기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는, 그 장치에 의하여 생성된 진공에 현저한 개선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해결방법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진공은 전형적으로는 약 0.3 - 0.4bar 이고, 심지어는 약 0.9 bar 의 진공이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되기도 하였다. 상술한 진공값은 단지 예일 뿐으로서, 시스템의 조정범위에 따라 진공값은 가변적일 수 있다.
작동매체로서 수용성 용액을 사용하고 그 액체안개를 분무함으로써, 배출기 장치에 대한 매우 효과적인 해결방법이 달성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액체의 안개라는 것은 Dv50 < 1000 마이크로미터로, 즉 평균 입자의 크기가 1mm 이하인 것을 말한다. 어떤 경우에는, 액체 안개의 방울크기(Dv 90)는 상당히 더 작아질수 있어서, 200㎛이하로 된다. 필요하다면, 작동매체는 고압, 바람직하게는 10-300 bar 로 분무될 수 있지만, 어떤 경우에는 낮은 압력도 인가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예를 들면 10-50bar, 바람직하게는 15-30 bar의 낮은 범위의 압력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배출기와 비교하면, 약 50%의 에너지 절약이 달성된다. 부가적으로, 이 시스템은 부압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진공펌프보다 서비스 기간과 관련하여 상당히 내구성이 높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의 배경은 WO 2005/085105 및 WO 2005/085104 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재료의 반송에 적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 적용되는 분야는 제조업에서 생성되는 쓰레기, 예를 들면 칩과 같은 작업 잔여물들이다.
본 발명의 배출기 장치는 매우 광범위한 반송시스템에 사용가능하다. 부가적으로 배출기 장치도 예를 들어 목재건조장치, 흡입 그래스퍼(grasper), 연기 제거시스템, 먼지 제거시스템과 같은 부압을 필요로 하는 적용분야와 관련하여 진공발생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배출기장치는 폭발성 물질과 관련해서도 잘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상술한 기술내용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항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명세서내에서 다른 특징들과 함께 나타낸 특징들은 필요하다면 상호간에 분리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Claims (30)

  1. 반송도관(4)내에 압력의 차이를 인가함으로써 재료를 반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재료는 반송도관(4)내로 공급되고 그 반송도관을 통하여 분리장치(5)내로 더 반송되며, 분리장치로 반송된 재료는 반송 공기로부터 분리되며, 부압(負壓)이 배출기 장치(6)에 의하여 반송도관(4)내에 생성되고, 배출기 장치의 흡인측은 분리장치(5)에 접속되고, 상기 배출기 장치는 액체 안개, 특히 수성액 안개를 작동매체로서 사용하여 작동되며, 상기 매체는 분리요소(38)를 향하여 도출된 배출기 튜브(128)내로 적어도 한개의 분무 노즐(122)을 통하여 분무되는 재료반송방법에 있어서,
    생성되는 부압의 발생은, 작동매체의 분무방향에 반대인 방향, 즉 배출기 튜브의 출구 끝단(129)으로부터 배출기 튜브(128)내로 공기와 같은 기체의 흐름을 제한함으로써 필요에 따라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출구끝단(129)로부터 배출기 튜브(128)로의 기체의 유입은, 배출기 튜브(128)의 상기 끝단을 액면의 수준(L,L') 이하로 오도록 함으로써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반송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분리요소내의 액면의 수준을 조정함으로써 액면의 수준(L,L')이하로 배출기 튜브의 출구끝단(129)이 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재료반송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셀부(142)의 내부에 있는 분리요소(38)로 연장되는 배출기 튜브(128)내로 작동매체가 분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반송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반송기체는 셀부(142)의 출구개구(144)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반송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적어도 반송도관(4,7)내에 막힘이 발생하는 경우에, 셀부(142)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기체의 흐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반송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기체의 흐름은 폐쇄요소(145)의 수단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반송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기체의 흐름은 적어도 셀부(142)내의 액면(25)의 수준(L,L')을 상승시킴으로써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반송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의 한 항에 있어서, 반송되는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도살된 고기 찌꺼기 또는 음식물 쓰레기이거나 또는 제조업에 있어서의 작업 잔여물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반송방법.
  10. 반송도관(4)내에 압력차를 인가함으로써, 특히 도살된 고기 찌꺼기 및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식품산업에 있어서의 벌크재료 또는 제조업에서의 작업 잔여물등의 재료를 반송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재료 반송도관(4)과, 분리장치(5) 및, 그의 흡인측이 분리장치(5)에 접속된 배출기 장치(6)를 사용함으로써 반송도관(4)내에 부압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분리기 장치는 작동매체를 사용하여 작동되며, 그 분리기 장치(6)는 액체 안개를 분무하고 그 액체 안개를 배출기의 작동매체로서 사용하기 위한 적어도 한개의 노즐(121),(122) 및, 액체를 노즐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125),(126),(127),(13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장치는 배출기 튜브(128)내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된 적어도 한개의 배출기 노즐(12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출기 튜브는 분리요소(38)를 향하여 도출되고 분리요소(38)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에 있어서,
    작동매체의 분무방향에 대하여 먼 끝단(129), 즉 배출기 튜브의 출구끝단으로부터 배출기 튜브(128)로의 공기와 같은 기체의 흐름을 제한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부압의 발생을 증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반송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필요할 때에, 배출기 튜브(128)의 출구끝단(129)을 액면의 수준(L,L')이하의 수준으로 오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반송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분리요소(38)에는 셀부(142)가 마련되고, 배출기 튜브(128)가 상기 셀부의 내로 연장되며, 상기 셀부에는 기체용의 출구개구(144)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반송장치.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출구개구(144)와 관련하여 배치된 폐쇄요소(14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반송장치.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출구개구와 관련하여 배치된 폐쇄요소(145), 특히 클레페(clappet)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반송장치.
  1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요소(38)내의 액체의 회전운동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반송장치.
  16. 제 10 항 내지 제 15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체의 흐름으로부터 액 체 및/또는 고체를 분리하기 위한 수단(3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반송장치.
  17. 제 10 항 내지 제 16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요소내의 액면의 수준(L,L')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반송장치.
  18. 제 10 항 내지 제 1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예를 들어 반송도관(4,7)내에 막힘이 발생한 경우에, 배출기 튜브(128)의 출구끝단(129)을 액면 수준(L, L')의 아래로 오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반송장치.
  19. 제 10 항 내지 제 18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면의 수준(L,L')을 조절하고 그것을 분리요소(38)내에서 원하는 높이로 유지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반송장치.
  20. 제 10 항 내지 제 19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요소(38)내의 액면 수준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배출기튜브의 출구 끝단(129)을 액면 수준(L,L')의 아래로 오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반송장치.
  21. 적어도 한개의 배출기 노즐(122) 및 그를 향하여 배출기 노즐이 분무를 행하는 적어도 한개의 배출기 튜브(128)와, 제 2 매체를 배출기 제트(122)로 오도록 하는 통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출기 장치에 있어서,
    작동매체의 분무방향에 대하여 먼 끝단(129), 즉 배출기 튜브의 출구끝단(129)으로부터 배출기 튜브(128)로의 공기와 같은 기체의 흐름을 제한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생성되는 부압을 증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기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배출기 튜브의 둘레에 배치된 셀부(142)와 셀내에 형성된 적어도 한개의 개구를 특징으로 하는 배출기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셀(142)은, 개구(144)를 통하는 흐름을 차단 및/또는 제한하는 수단(145)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기 장치.
  24. 제 21 항 내지 제 23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셀의 상부와 배출기 튜브(128)의 하부 사이의 영역에 개구(14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기 장치.
  25. 제 21 항 내지 제 23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기의 작동매체의 배출 및/또는 반송되는 재료의 제거를 위하여 셀(142)의 하부에 형성되는 개구(15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기 장치.
  26. 제 21 항 내지 제 24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구(144)와 관련하여, 개구(144)를 통한 흐름을 차단 및/또는 제한하기 위한 클레페 요소(145)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기 장치.
  27. 제 21 항 내지 제 25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수단이 셀(142)의 하부의 개구(152)와 관련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기 장치.
  28. 제 21 항 내지 제 27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배출기 튜브(128)의 출구끝단(129)을 배출기 장치 근처의 액면 수준 L, L'의 아래쪽으로 오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기 장치.
  29. 제 21 항 내지 제 28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기 장치가 반송시스템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기 장치.
  30. 제 21 항 내지 제 29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예를 들어 목재건조장치, 흡입 그래스퍼(grasper), 연기 제거시스템, 먼지 제거시스템과 같은 부압을 필요로 하는 적용분야와 관련하여 진공발생기로서 배출기 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기 장치.
KR1020087016494A 2005-12-07 2006-04-13 재료반송방법과 재료반송장치 및 배출기 장치 KR1013034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51262A FI118043B (fi) 2005-03-02 2005-12-07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siirtämiseksi sekä ejektorilaite
FI20051262 2005-12-07
PCT/FI2006/000115 WO2007065966A1 (en) 2005-12-07 2006-04-13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material and ejector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0617A true KR20080080617A (ko) 2008-09-04
KR101303425B1 KR101303425B1 (ko) 2013-09-05

Family

ID=38122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6494A KR101303425B1 (ko) 2005-12-07 2006-04-13 재료반송방법과 재료반송장치 및 배출기 장치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3) US7785044B2 (ko)
EP (2) EP2184241B1 (ko)
JP (1) JP5323490B2 (ko)
KR (1) KR101303425B1 (ko)
CN (2) CN101351395B (ko)
AT (1) ATE486032T1 (ko)
AU (1) AU2006323883B2 (ko)
CA (1) CA2629606C (ko)
DE (1) DE602006017875D1 (ko)
DK (2) DK1957386T3 (ko)
ES (2) ES2354170T3 (ko)
HK (1) HK1117120A1 (ko)
NO (2) NO339627B1 (ko)
PL (2) PL1957386T3 (ko)
PT (2) PT2184241E (ko)
RU (1) RU2395442C2 (ko)
WO (1) WO20070659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523338D0 (en) * 2005-11-16 2005-12-28 Inbulk Technologies Ltd Vacuum conveying velocity control device
EP2184241B1 (en) * 2005-12-07 2012-09-05 Maricap O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material and ejector apparatus
FI122682B (fi) * 2007-09-18 2012-05-31 Maricap Oy Jätteiden siirtojärjestelmä
FI20075749L (fi) * 2007-10-24 2009-04-25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alipainesiirtojärjestelmässä
FI124436B (fi) * 2008-03-18 2014-08-29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FI124873B (fi) * 2009-10-06 2015-02-27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FI122103B (fi) * 2010-03-12 2011-08-31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ja jätteensiirtojärjestelmä
FI122673B (fi) 2010-11-01 2012-05-15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FI123342B (fi) * 2011-06-08 2013-02-28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FI123719B (fi) 2012-03-21 2013-10-15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n jätteensiirtojärjestelmän ulospuhallusilman käsittelemiseksi
RU2535821C1 (ru) * 2013-10-31 2014-12-2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Твин Трейдинг Компани" Вакуумно-пневма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с высокой массовой концентрацией
WO2015072935A1 (en) * 2013-11-15 2015-05-21 Yi̇ği̇tler Teksti̇l İnşaat Ve Turi̇zm A.Ş. Cotton feeding unit
US10138075B2 (en) * 2016-10-06 2018-11-27 Stephen B. Maguire Tower configuration gravimetric blender
US9725254B2 (en) * 2014-08-21 2017-08-08 Cnh Industrial Canada, Ltd. Configurations of inlet and outlets of air filled auxiliary tank of air seeders
US9950876B2 (en) * 2014-09-26 2018-04-24 Cnh Industrial Canada, Ltd. Downward elbow with cyclonic effect and product overflow capability
EP3100968A1 (en) * 2015-06-01 2016-12-07 Xerex Ab Device and system for pneumatic transport of material
EP3530599A1 (en) * 2018-02-27 2019-08-28 Piab Ab Vacuum conveyor system
FI129115B (fi) * 2020-01-14 2021-07-15 Maricap Oy Menetelmä materiaalin siirtämiseksi pneumaattisessa materiaalin siirtojärjestelmässä ja pneumaattinen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PL3882185T3 (pl) * 2020-03-19 2024-04-29 Calderys France Sas Urządzenie do pompowania
KR102610699B1 (ko) * 2022-02-18 2023-12-06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진공식 분체 이송 시스템 및 이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0981A (en) * 1906-01-15 1907-11-12 Frank J Matchette Vacuum cleaning system.
US1965866A (en) * 1933-04-19 1934-07-10 Jr Edgar B Tolman Fluid actuated control device for pneumatic conveyers
US2992858A (en) * 1958-12-02 1961-07-18 Vac U Max System for conveying fluent material
US3874860A (en) * 1972-04-10 1975-04-01 Svenska Flaektfabriken Ab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 matter from a flowing medium
US4595344A (en) * 1982-09-30 1986-06-17 Briley Patrick B Ejec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JPS6093034A (ja) 1984-07-11 1985-05-24 共栄造機株式会社 固形物移送装置
US4685840A (en) * 1985-08-02 1987-08-11 Wolff Robert C Method of transporting large diameter particulate matter
FI76242B (fi) 1986-08-27 1988-06-30 Tuottajain Lihakeskuskunta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transport av koettsortiment i en kanal medelst tryckdifferens.
US6017195A (en) * 1993-02-12 2000-01-25 Skaggs; Bill D. Fluid jet ejector and ejection method
CN1079542A (zh) * 1993-03-06 1993-12-15 胜利石油管理局东辛采油厂 油气密闭混输方法和接转站
US5765728A (en) * 1995-03-27 1998-06-16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chopped polyester scrap
JP4030589B2 (ja) * 1996-10-22 2008-01-09 ディートリッヒ・エンジニアリング・コンサルタンツ・エス・アー 粉状物質を空気力で搬送する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その使用方法
US6361201B1 (en) * 1999-06-04 2002-03-26 Dialysis Systems, Inc. Centralized bicarbonate mixing system
JP3908447B2 (ja) * 2000-08-11 2007-04-25 株式会社荏原製作所 エジェクタ
JP2003056500A (ja) 2001-08-20 2003-02-26 Keiji Takuwa エジェクター
US6537036B1 (en) * 2001-09-13 2003-03-25 Illinois Tool Works Flow amplifying pump apparatus
US6634833B2 (en) * 2001-11-30 2003-10-21 Pneumatic Conveying, Inc. Pneumatic conveying apparatus
US6817837B2 (en) * 2002-07-19 2004-11-16 Walker-Dawson Interest, Inc. Jet pump with recirculating motive fluid
ATE356065T1 (de) * 2003-06-23 2007-03-15 Mann & Hummel Protec Gmbh Unterdruckbehälter mit aktiver schnellentleerungsventilsteuerung
US7789633B2 (en) * 2003-06-23 2010-09-07 George Tash and Debra B. Tash Automatically deformable nozzle regulator for use in a venturi pump
US6976854B2 (en) * 2003-10-17 2005-12-20 Andreas Stockhaus Arrangement for connecting the terminal contacts of an electronic component to a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ductor support for such an arrangement
FI118528B (fi) 2004-03-03 2007-12-14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siirtämiseksi
JP4196870B2 (ja) * 2004-03-31 2008-12-17 三菱ふそうトラック・バス株式会社 燃料噴射装置
EP2184241B1 (en) * 2005-12-07 2012-09-05 Maricap O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material and ejecto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51395A (zh) 2009-01-21
CN101351395B (zh) 2012-11-07
US7896584B2 (en) 2011-03-01
CN102774657A (zh) 2012-11-14
EP1957386A1 (en) 2008-08-20
PT2184241E (pt) 2012-11-15
DK2184241T3 (da) 2012-12-10
EP1957386B1 (en) 2010-10-27
WO2007065966A1 (en) 2007-06-14
ES2390825T3 (es) 2012-11-16
AU2006323883A1 (en) 2007-06-14
EP2184241A1 (en) 2010-05-12
CA2629606C (en) 2013-08-13
KR101303425B1 (ko) 2013-09-05
US20100301140A1 (en) 2010-12-02
JP5323490B2 (ja) 2013-10-23
EP2184241B1 (en) 2012-09-05
ATE486032T1 (de) 2010-11-15
DE602006017875D1 (de) 2010-12-09
PL2184241T3 (pl) 2013-02-28
US7785044B2 (en) 2010-08-31
PL1957386T3 (pl) 2011-04-29
US7891954B2 (en) 2011-02-22
CA2629606A1 (en) 2007-06-14
RU2395442C2 (ru) 2010-07-27
US20100303557A1 (en) 2010-12-02
HK1117120A1 (en) 2009-01-09
RU2008127352A (ru) 2010-01-20
PT1957386E (pt) 2010-12-22
JP2009518256A (ja) 2009-05-07
NO339627B1 (no) 2017-01-16
NO20082952L (no) 2008-08-15
NO20161506A1 (no) 2008-08-15
AU2006323883B2 (en) 2012-04-19
ES2354170T3 (es) 2011-03-10
DK1957386T3 (da) 2011-02-14
US20090220310A1 (en) 2009-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425B1 (ko) 재료반송방법과 재료반송장치 및 배출기 장치
JP2009518256A5 (ko)
EP17207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material
FI118043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siirtämiseksi sekä ejektorilaite
KR20140039272A (ko) 공압식 재료 이송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장치
FI118893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siirtämiseks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