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0207A - 키 배치 및 유지용 장치 - Google Patents

키 배치 및 유지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0207A
KR20080080207A KR1020087017693A KR20087017693A KR20080080207A KR 20080080207 A KR20080080207 A KR 20080080207A KR 1020087017693 A KR1020087017693 A KR 1020087017693A KR 20087017693 A KR20087017693 A KR 20087017693A KR 20080080207 A KR20080080207 A KR 20080080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tenance
key
cover
key placemen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7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0193B1 (ko
Inventor
파브리스 지아코밍
루이 카나르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시큐리티 하비태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시큐리티 하비태클 filed Critical 발레오 시큐리티 하비태클
Publication of KR20080080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0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2Bags or wallets for holding keys
    • A45C11/327Bags or wallets for holding keys with sliding key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2Bags or wallets for holding ke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37Push button op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80Parts, attachments, accessories and adjuncts
    • Y10T70/8432For key-operated mechanism
    • Y10T70/8676Key holde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부품(13, 14)을 포함하는 용기에 키(1)를 배치하고 유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적어도 회전 축(Y-Y')을 중심으로 하여 용기의 하우징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때에, 상기 2개의 부품이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개방/폐쇄 수단과, 상기 2개의 부품(13, 14)을 적어도 폐쇄 위치에 고정하거나 폐쇄 위치에서 해제하는 수단으로서, 병진 축을 따라 병진할 때에 이동 가능한 고정/해제 제어 부재를 구비하는 고정/해제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키 배치 및 유지용 장치{DEVICE FOR POSITIONING AND HOLDING AN EMERGENCY KEY}
본 발명은 비상키를 배치하고 유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을 걸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비상키를 배치하고 유지하는 것(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타입의 용례의 경우에, 용기는 용기 내부에 있어서 비상키를 용이하게 그리고 인체 공학적으로 비상키의 하우징에 넣고 비상키의 하우징으로부터 꺼내는 것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용기 폐쇄의 확실한 안정성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비상키를 차량 내부에 은닉하기 위한 많은 해결책이 이미 제안되었다. 따라서, 특히 커버를 구비하고, 예컨대 휠 아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자성을 띤 박스가 있다. 이러한 타입의 박스는 대개 미국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타입의 박스는 조작자의 일을 간소화하는 용이하고 인체 공학적인 조작을 허용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타입의 박스는 차량의 객실에 편입시키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단부에 마련된 공동 내에 비상키가 유지되는 것을 허용하는 일체형 지지체가 있다. 이러한 해결책에서는 비상키가 충분하게 보호받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현재, 비상키용 용기는 추가 기능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상키용 용기는 트랜스폰더를 구비한 비상키와, 용기를 수용할 수 있고 상기 트랜스폰더로부터의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는 판독기를 구비한 차량의 보안 시스템 사이에서 인터페이스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보장하고, 상기 비상키가 차량의 판독기에 삽입될 때 트랜스폰더의 판독이 수행될 수 있도록 비상키를 특정하게 배치할 수 있게 하는 용기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재의 용기는 인체 공학적이지 않으며, 예컨대 한 손으로 개방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 손으로는 용기를 개폐할 수 있고 다른 손으로는 키를 붙들고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용이하게 키를 그 용기에 넣고 그 용기로부터 꺼낼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늘날 필수적인 인자인 비상키의 보호 수준, 인체 공학성 및 사용의 용이성을 향상시키기에 매우 적합하여, 사용자에게 만족스러운 차량 장착이 이루어지는 장치를 제안함으로써, 전술한 주요 단점을 해소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장치는 키의 트랜스폰더가 차량의 보안 시스템의 판독기와 최적의 방식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키를 용기 내에 특정하게 배치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부품을 포함하는 용기를 사용하고,
- 적어도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용기의 하우징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때에, 상기 2개의 부품이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개방/폐쇄 수단과,
- 상기 2개의 부품을 폐쇄 위치에 고정하거나 폐쇄 위치에서 해제하는 고정/해제 수단으로서, 병진 축을 따라 병진할 때에 이동 가능한 고정/해제 제어 부재를 구비하는 고정/해제 수단을 포함하는 키 배치 및 유지용 장치를 제안한다.
병진 축과 회전 축은 서로 직각을 이루거나 평행할 수 있다.
병진 축과 회전 축이 서로 직각을 이루는 경우, 상기 2개의 부품 중 한 부품은 2개의 평행한 타원형 리세스를 구비하는 조인트 링크를 포함하여 병진 시에 고정/해제 경로를 제공하는 반면에, 다른 한 부품은 상기 리세스에 결합되는 저널 등과 같은 관절식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2개의 부품은 병진 축에 평행한 축을 갖는 연동 수단을 포함하는데, 이들 연동 수단은 고정 위치에서 상기 2개의 부품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도록 고정 경로의 단부에서 서로 협력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상기 2개의 부품은 해제 경로의 단부에서 서로에 대해 피벗 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고정/해제 제어 수단은 상기 부품들 자체에 의해 형성된다.
상보적인 방식으로, 고정/해제 수단은 또한 상기 2개의 부품에 마련되어 상기 2개의 부품의 축 방향 병진 시에 상대적인 이동을 허용하는 미끄럼 레일을 구비한 가이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병진 축과 회전 축이 평행한 경우에, 상기 2개의 부품은 이들 부품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고정 수단은 회전 축에 평행하고 심지어 회전 축과 동축 관계인 축을 따라 병진 이동 가능한 제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특징은 전술한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 회전 축과 병진 축은 통합될 수 있다.
- 고정/해제 수단은 조작자에 의해 축(Y-Y')을 따라 병진 이동될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버튼은 2개의 주요 위치, 즉 회전 운동를 해제시킬 수 있는 눌려진 제 1 위치와, 2개의 부품을 폐쇄 및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눌려지지 않은 제 2 위치를 갖는다.
- 고정/해제 수단은 누름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커버의 공동에 장착된 버튼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상기 상승 위치에서는 커버의 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누름 위치에서는 커버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커버를 본체에 대한 회전 장착부에 작용하며 상기 버튼에 의해 작동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 고정/해제 수단은 또한 상기 버튼을 고정 위치로 되돌려 보내는 경향이 있는 탄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 탄성 요소는 압축 시에 작용하는 스프링일 수 있다.
- 상기 부품들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만 버튼의 복귀를 허용하는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 개방/폐쇄 수단은 상기 부품들을 폐쇄 위치로 되돌려 보내는 경향이 있는 복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 개방/폐쇄 수단은 해제 수단이 작동되자마자 커버를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제 2 탄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 해제 수단이 작동되자마자 커버를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제 2 탄성 요소는, 비틀림 시에 작동하고 폐쇄 상태에서 예응력을 받는 스프링일 수 있다.
- 슬롯은 각각 노치를 포함할 수 있고, 버튼이 상기 상승 위치에 있을 때 각 탄성 탭에 마련된 돌출부가 상기 노치에 결합된다.
- 상기 탄성 요소와 제 2 탄성 요소는 압축 및 비틀림 시에 작동하는 단일 스프링으로 통합될 수 있다.
- 커버는 키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키의 두부(頭部)의 통과를 허용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 용기는 키의 두부의 통과를 허용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 용기는 조작자에게 보여질 수 있는 한 부분 상에 로고 등과 같은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 정보 전달부는 병진 이동 가능한 고정/해제 제어 부재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의 결과, 키 삽입 공정은 기본적으로,
a) (이동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소정 부품을 (고정된 것으로 알려진) 다른 부품에 대해 해제하는 단계;
b) 가동 부품을 개방하는 단계;
c) 키를 고정 부품에 삽입하는 단계;
d) 가동 부품을 폐쇄하는 단계;
e) 가동 부품을 고정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단계들을 포함한다.
이와 동시에, 키를 용기로부터 꺼내기 위한 분리 공정은,
a) 가동 부품을 해제하는 단계;
b) 가동 부품을 개방하는 단계;
c) 키를 고정 부품으로부터 꺼내는 단계;
d) 가동 부품을 폐쇄하는 단계;
e) 가동 부품을 고정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단계들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비제한적인 예로서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른 용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용기의 커버의 부분 종단면도.
도 2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바람직한 해결책에 따른 용기에 키를 넣고 용기로부터 키를 꺼내는 순서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바람직한 해결책의 분해 사시도.
도 9b는 커버(13)의 원통형 슬리브(13D)의 베이스(13F)에 대한 부분도로서, 리세스(13FD 및 13FG)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 내지 도 15는 도 9에 도시된 바람직한 해결책에 따른 용기에 키를 넣고 용기로부터 키를 꺼내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도 9에 따른 조립된 장치인 폐쇄 및 고정된 상태의 용기의 조립 단면도로서, 회전 축(Y-Y')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예에서, 용기는 일측은 베이스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타측에는 키(1)를 넣을 수 있고 커버(3)(제2 부품)에 의해 밀폐 가능한 개구를 구비하는 관형 본체(제1 부품)로 이루어지는 거의 케이스 형상인 하우징(2)을 포함한다.
개구의 영역에서, 관형 본체의 측방면은 관형 본체의 한 면의 연장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2개의 평행한 측방 미끄럼 레일(4D, 4G)에 의해 연장된다. 상기 미끄럼 레일은 가이드의 역할을 하는 하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미끄럼 레일(4D, 4G)과 측방면의 연결 영역에서, 관형 본체의 측방면은 축 방향으로 요입된 2개의 공동(CD, CG)을 포함하고, 이 공동에는 관형 본체의 종축을 따라 배향된 2개의 평행한 타원형 개구(LD, LG)가 각각 개구되어 있다.
커버(3)는 U자형 횡단면을 갖고, 커버의 측방 세그먼트(3D 및 3G)는 커버의 관형 본체에 대한 축 방향 안내를 보장하기 위해 미끄럼 레일의 측방면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커버의 전방 단부 영역에는 폐쇄 상태 시에 커버의 상면으로 관형 본체를 밀폐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되어 있는 직각의 곡벽이 더 마련되고, 커버의 후방부 영 역에는 축(X-X')을 갖고 각각 동축 관계이며 관형 본체의 개구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2개의 동축 저널(5D, 5G)을 구비한 조인트 링크를 형성하기 위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방 아암(3D1, 3G1)이 더 마련된다.
또한, 커버의 전방 단부 영역에는 용기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키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개구가 더 마련된다.
상기 2개의 측방 아암은 관형 본체 및 커버의 회전시 고정 경로의 단부에서 관형 본체의 2개의 요입 공동에 결합되어 고정을 보장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용기의 사용은 비교적 간단하다. 비어 있는 폐쇄 및 고정된 용기로부터 살펴보면, 키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커버(3)를 종방향으로 변위시켜 커버를 하우징(2)으로부터 축(X-X')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리시키기만 하면 충분하다. 이에 따라, 저널(5G 및 5D)은 개구(LD 및 LG)에서 변위되어 개구의 전방부에 맞닿게 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는 적어도 키의 통과를 허용하기에 충분하게 축(X-X')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이 상태에서만 하측 미끄럼 레일이 커버(3)의 측방 아암(3D1, 3G1)과 접촉한다. 이러한 측방 아암의 단부 형상은 커버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둥글게 되어 있다. 따라서, 조립체의 폐쇄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키를 삽입한 후에 커버를 폐쇄하고 상기 커버를 하우징 방향으로 밀기만 하면 충분하다.
이와 같은 장치의 배치 및 정렬뿐만 아니라 장착을 통해, 상기 트랜스폰더를 포함하는 용기가 차량의 보안 시스템의 판독기에 배치되어 있을 때 키의 트랜스폰더가 판독기에서 최적으로 배치되도록, 용기에 있어서 키의 배치를 보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러한 판독기는 트랜스폰더의 데이터를 확인하여, 예컨대 차량의 시동을 승인하거나 승인하지 않는다.
키가 폐쇄 및 고정된 용기 내에 배치되어 있는 동안에 키를 용기로부터 꺼내기 위해서는, 키 삽입 단계를 키 분리 단계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작업을 실시하기만 하면 충분하다.
키를 용기에 넣고 키를 용기로부터 꺼내는 공정의 단계들이 도 2 내지 도 8로 이루어진 일련의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비어 있는 용기와 가동 부품을 폐쇄 및 고정된 상태로 보여준다. 도 3은 비어 있는 용기와 가동 부품을 폐쇄 및 해제된 상태로 보여준다. 도 4는 비어 있는 용기와 가동 부품을 개방 상태로 보여준다. 도 5는 키를 삽입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6은 용기에 있어서 제 위치에 있는 키와, 개방 상태에 있는 가동 부품을 보여준다. 도 7은 키를 수용한 용기와 가동 부품을 폐쇄 및 해제된 상태로 보여준다. 도 8은 키를 수용한 용기와 가동 부품을 폐쇄 및 고정된 상태로 보여준다.
도 9a, 도 9b 및 도 16에 예시된 예에서, 용기는 상측 부분이 개방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 형상인 케이스(14)에 의해 형성된다. 케이스(14)는 2개의 측방면, 전방면 및 후방면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베이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용기는 키(1)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4)는 그 후방면 측에 원통관 섹션(14C)을 포함하는데, 이 원통관 섹션은 축(Y-Y')을 갖고 이 축에 수직한 방향에 있어서 대향 배치된 2개의 노치(케이스의 종방향 대칭 평면에 대해 대칭임)를 구비한다. 이러한 노치는 키(1) 의 한 부분의 수용을 허용한다.
케이스(14)는 원통관 섹션(14C)의 축(Y-Y')에 대해 동축 관계로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커버(13)에 의해 폐쇄된다. 베이스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인 상기 커버는 그 후방 부분에 원형 오리피스(13C)를 구비하고, 이 원형 오리피스는 원통형 슬리브(13D)에 의해 케이스(14)의 내측으로 연장되는데, 이 원통형 슬리브는 외경이 원통관 섹션(14C)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높이가 상기 원통관 섹션보다 작다.
이러한 원통형 슬리브(13D)는 대향 배치된 2개의 슬롯(13FD 및 13FG)이 마련된 베이스(13F)를 포함한다. 이들 슬롯(13FD 및 13FG)은 원형의 외측 부분(13FD1 및 13FG1)과, 2개의 원형의 내측 부분(13FD2, 13FD5 및 13FG2, 13FG5), 그리고 축(Y-Y')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노치를 형성하는 평평한 부분(13FD3 및 13FG3)을 각각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는 탄성 요소(15)의 중심 조정 및 배치를 허용하는 중심 조정용 스터드(TC)를 포함한다.
외경이 커버의 원통형 슬리브(13D)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통형 헤드를 구비하고 커버에 결합되는 버튼(16)으로 인하여, 커버가 케이스(14)에 전술한 조립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 보장된다. 이 버튼의 스커트는 커버(13)의 베이스(13F)의 슬롯(13FD 및 13FG)을 통과하도록 배치된 대향하는 2개의 축 방향 탄성 탭(16D 및 16G)에 의해 연장된다.
이들 탭(16D, 16G)의 하단부에는 리세스(16DE) 및 모따기부(16CH)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내측 돌출부(16FD3, 16FG3)가 마련되어 있다.
버튼(16)의 케이스(14)에서의 유지와 간접적으로는 커버(13)의 케이스(14)에서의 유지를 모두 보장하도록, 상기 내측 돌출부(16FD3, 16FG3)는 원통관 섹션(14C)의 내면에 마련된 원형 에지 아래에 (특히, 모따기부로 인해)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14)의 하우징(14A)은 버튼(16)의 밀어넣기는 허용하지만 버튼(16)의 회전을 방지한다. 버튼이 밀려나온 상태일 때, 상기 내측 돌출부는 커버(13)의 회전을 방지한다. 이와는 반대로, 버튼을 눌렀을 때, 상기 내측 돌출부는 해제되어 원통형 슬리브(13D)의 베이스 아래로 나아가고, 그 결과 커버(13)의 해제가 허용되며, 이로 인해 커버가 자유롭게 회전된다. 이 경우에는 50°정도의 회전 각도가 가능하다.
탄성 요소(15)는 하우징/커버/누름 버튼 조립체의 탄성 클램핑을 보장하도록 누름 버튼의 상면과 베이스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조립체에서, 커버(13)를 완벽하게 폐쇄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커버(13)가 스프링의 탄성 작용의 영향을 받아 케이스(14)에 맞물릴 때 보장된다. 이 경우에, 이러한 맞물림은 용기가 폐쇄되었을 때 커버의 케이스 상에서의 상대적 배치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맞물림은 이 예에서 케이스와 커버 사이의 접촉 범위 전역(全域)에 위치하는 모따기부(CH)에 의해 확보된다.
조립체의 장착과 그 사용은 비교적 간단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전술한 구조는 비교적 적은 수의 부품으로 많은 기능을 실시할 수 있게 하고 그에 따라 실시 및 장착 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한다.
용기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케이스(14) 상에 커버(13)를 배치하고, 스프링(15) 및 버튼(16)을 넣으며 이 버튼을 눌러 버튼을 케이스에 끼우기만 하면 충분하다.
처음에는 비어 있고 폐쇄 및 고정된 상태인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충분하다. 버튼을 축(Y-Y')을 따라 병진 이동시키면 스프링(15)이 압축되고, 버튼의 돌출부가 커버(13)의 베이스 아래로 밀려나게 되어, 커버(13)의 회전이 허용된다. 커버(13)를 축(Y-Y')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용기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키를 용기에 넣을 수 있고, 그 후에 상기 커버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커버(13)를 폐쇄할 수 있다. 커버(13)가 폐쇄 상태가 되면, 버튼의 돌출부가 노치(13FD3 및 13FG3)에 대향 배치되고, 그에 따라 버튼은 스프링의 작용을 받아 위로 들어 상승될 수 있게 되어, 조립체를 고정한다. 키를 꺼내기 위해서는, 용기에 키를 넣는 단계를 키를 꺼내는 단계로 대체하여 상기 작업을 반복하기만 하면 충분하다.
도 9 및 도 16에 도시된 예에서, 키를 용기에 넣고 키를 용기로부터 꺼내는 공정의 단계들이 도 10 내지 도 15로 이루어진 일련의 도면에 나타내어져 있다. 도 10은 비어 있는 용기와 가동 부품을 폐쇄 및 고정된 상태로 보여준다. 도 11은 비어 있는 용기와 가동 부품을 폐쇄 및 해제된 상태로 보여주는데, 이 경우에 누름 버튼은 눌려져 있다. 도 12는 비어 있는 용기와 가동 부품을 개방 상태로 보여준다. 도 13은 용기에 있어서 제 위치에 있는 키와, 개방 상태에 있는 가동 부품을 보여준다. 도 14는 키를 수용한 용기와 가동 부품을 폐쇄 및 해제된 상태로 보여 준다. 도 15는 키를 수용한 용기와 가동 부품을 폐쇄 및 고정된 상태로 보여준다.
다른 기술적 해결책과 변형례가 전술한 구성으로부터 쉽게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예컨대 커버(13)를 케이스(14)에 직접 끼우고, 커버(13)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데에만 사용되는 버튼을 설계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고정 탭이 커버(13)에 대해 고정될 수 있는 조립 구조를 설계할 수도 있다.
또한, 비틀림 시에 압축 스프링에 예응력을 인가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스프링이 압축 및 비틀림 시에 작동하여, 버튼이 눌려질 때 상기 스프링이 커버를 개방하는 경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압축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탄성 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용기 또는 해제 제어 버튼(16)은 그 가시적인 면에, 예컨대 로고 등과 같은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비상키를 용기 내에 미리 정해놓은 위치에 넣는 것을 보장하여 비상키의 보호를 개선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장치는 전술한 예에 국한되지 않고, 그 변형례가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청구범위의 범위를 변경하지 않고서도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8)

  1. 적어도 2개의 부품(2, 3 또는 13, 14)을 포함하는 용기에 키(1)를 배치하고 유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하우징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적어도 회전 축(X-X' 또는 Y-Y')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2개의 부품(2, 3 또는 13, 14)이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개방/폐쇄 수단과,
    상기 2개의 부품(2, 3 또는 13, 14)을 적어도 폐쇄 위치에 대해 고정/해제하는 수단으로서, 병진 축을 따라 병진 운동으로 이동 가능한 고정/해제 제어 부재를 구비하는, 상기 고정/해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배치 및 유지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과 병진 축은 서로 수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배치 및 유지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과 병진 축은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배치 및 유지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과 병진 축은 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배치 및 유지용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중 한 부품은 2개의 평행한 타원형 리세스(LD, LG)를 구비하는 조인트 링크를 포함하여 병진 이동에 있어서의 고정/해제 경로를 제공하는 반면에, 다른 한 부품은 상기 리세스에 결합되는 관절형 수단(5G, 5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배치 및 유지용 장치.
  6.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부품은 병진 축에 평행한 축을 갖는 연동 수단을 더 포함하고, 이들 연동 수단은 고정 위치에서 상기 2개의 부품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도록 고정 경로의 단부에서 서로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배치 및 유지용 장치.
  7.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부품은 이들 두 부품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축(Y-Y')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배치 및 유지용 장치.
  8.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해제 수단은, 누름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커버의 공동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버튼(16)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상기 상승 위치에서는 커버의 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누름 위치에서는 커버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커버를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버튼에 의해 작동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배치 및 유지용 장치.
  9.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제 7 항, 또는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해제 수단은 상기 버튼을 고정 위치로 복귀시키는 경향이 있는 탄성 요소(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배치 및 유지용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요소(15)는 압축 작용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배치 및 유지용 장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4)는 그 후방면 측에 원통관 섹션(14C)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13)는 원통형 슬리브(13D)에 의해 케이스(14)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원형 오리피스(13C)를 구비하며, 이 원형 오리피스는 대향하는 2개의 원형 슬롯(13FD, 13FG)를 갖는 베이스(13F)를 구비하며, 상기 원통형 슬리브(13D)는 원통관 섹션(14C)에 결합되며,
    상기 버튼(16)은 원통형 슬리브(13D)에 결합되고, 또한 상기 버튼은 상기 원형 슬롯(13FD, 13FG)을 통과하는 2개의 축 방향 탄성 탭(16D 및 16G)을 포함하며, 이들 탭은 원통관 섹션(14C)의 내면에 마련된 에지(14) 아래에 클립(clip) 결합되도록 의도된 내측 돌출부(16CH)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배치 및 유지용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13FD, 13FG)은 각각 노치(13FG3)를 포함하고, 상기 노치에는 버튼(16)이 상기 상승 위치에 있을 때 각 탄성 탭(16D, 16G)에 마련된 돌출부(16FG3)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배치 및 유지용 장치.
  13.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또는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탄성 수단은 버튼(16)을 누르자마자 커버를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경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배치 및 유지용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를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경향이 있는 제 2 탄성 수단은 비틀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배치 및 유지용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압축 스프링(15)과 결합되어 단일의 압축 및 비틀림 스프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배치 및 유지용 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키(1)의 두부(頭部; bow)의 통과를 허용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배치 및 유지용 장치.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로고 등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표면을 가시적인 부분 상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배치 및 유지용 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보 전달부는 병진 운동으로 이동 가능한 고정/해제 제어 부재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배치 및 유지용 장치.
KR1020087017693A 2005-12-20 2006-12-20 키 배치 및 유지용 장치 KR1013201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12995A FR2894789B1 (fr) 2005-12-20 2005-12-20 Dispositf de positionnement et de maintien d'une clef de secours
FR0512995 2005-12-20
PCT/FR2006/002808 WO2007077332A1 (fr) 2005-12-20 2006-12-20 Dispositif de positionnement et de maintien d'une clef de secou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0207A true KR20080080207A (ko) 2008-09-02
KR101320193B1 KR101320193B1 (ko) 2013-10-23

Family

ID=36794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7693A KR101320193B1 (ko) 2005-12-20 2006-12-20 키 배치 및 유지용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225634B2 (ko)
EP (1) EP1965676B1 (ko)
JP (1) JP5072859B2 (ko)
KR (1) KR101320193B1 (ko)
CN (1) CN101365359B (ko)
AT (1) ATE509541T1 (ko)
BR (1) BRPI0620224A2 (ko)
FR (1) FR2894789B1 (ko)
WO (1) WO20070773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07000107A5 (de) * 2006-09-29 2008-10-02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Elektrische Bedieneinheit
US7634932B2 (en) * 2006-12-01 2009-12-22 Chrysler Group Llc Fob integrated key
JP5727750B2 (ja) * 2010-10-22 2015-06-03 加藤電機株式会社 名刺入れ
CN102543526A (zh) * 2010-12-13 2012-07-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用于电子装置内的按键偏位矫正结构
WO2013129601A1 (ja) * 2012-02-28 2013-09-06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キーユニット
JP5881105B2 (ja) * 2012-02-28 2016-03-09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キーユニット
JP6020924B2 (ja) * 2012-10-26 2016-11-02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キーユニット
US8915356B1 (en) * 2014-01-20 2014-12-23 Sungwhan Cha Key management system and organizer
KR200479051Y1 (ko) * 2014-05-19 2015-12-16 이희만 리모컨키 케이스홀더용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모컨키 케이스홀더
JP6569395B2 (ja) * 2015-08-31 2019-09-04 株式会社イトーキ 施錠機能を備えた家具のキー保管装置
DE102015117632A1 (de) * 2015-10-16 2017-04-2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üssel
CN107366476B (zh) * 2016-05-13 2019-05-07 上海海拉电子有限公司 汽车备用钥匙的开合组件及其安装方法
US11149470B2 (en) * 2018-02-21 2021-10-19 Mark Thomas Markiewicz Key rotor for use with manual key switches
USD916456S1 (en) 2019-10-22 2021-04-20 International Key Supply, LLC Key fob
CN114071908B (zh) * 2020-08-05 2023-06-23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具有显示界面的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6165A (en) * 1910-02-24 1910-11-22 Norman D Gray Puzzle-lock.
US1009238A (en) * 1911-03-22 1911-11-21 Abraham D Goffin Cigar-case.
US1386738A (en) * 1920-06-23 1921-08-09 Charles A Sonnenberg Cabinet-door
US1901551A (en) * 1929-07-18 1933-03-14 Eaton Mfg Co Closure
US1997043A (en) * 1934-05-23 1935-04-09 Harry Jaffe Combined cigarette holder and ash tray
US2025410A (en) * 1934-10-12 1935-12-24 Robert A Bonn Box
US2337894A (en) * 1942-07-27 1943-12-28 Briggs & Stratton Corp Compartment door latch
US2420125A (en) * 1945-07-06 1947-05-06 James J Crist Key guard
US2449722A (en) * 1946-11-15 1948-09-21 Clinton W Saathoff Bank or jewelry box
US4070074A (en) * 1977-04-25 1978-01-24 Superior Steel Door & Trim Co., Inc. Tamper-proof cabinet
DE3769923D1 (de) * 1986-10-20 1991-06-13 Siemens Ag Geraet zum fernsteuern einer mit einem empfaenger ausgeruesteten schliessanlage,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US4891961A (en) * 1988-09-09 1990-01-09 Anton Tsamas Key ring
US4951489A (en) * 1989-06-26 1990-08-28 Proch Nathan C Key holder
US4939917A (en) * 1989-12-14 1990-07-10 Cartwright Edward V Key control of important security keys
US5209089A (en) * 1990-01-26 1993-05-11 Nelson Linden D Key holder
US5038932A (en) * 1990-01-30 1991-08-13 Shwan Sheu Cassette and video tape holder
JPH0756916B2 (ja) * 1990-06-11 1995-06-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携帯用電子機器
US5732820A (en) * 1996-11-25 1998-03-31 Tsai; Hung Chic Stick object storage box
US6099047A (en) * 1999-03-12 2000-08-08 Reiff; Douglas L. Lock mechanism
CN2398891Y (zh) * 1999-08-17 2000-10-04 刘青林 伸缩式钥匙包
JP2001233368A (ja) * 1999-12-17 2001-08-28 Sony Corp 収納ケース
DE19962975A1 (de) * 1999-12-24 2001-07-05 Huf Huelsbeck & Fuerst Gmbh Kombinierter mechanischer und elektronischer Schlüssel, insbesondere für an Fahrzeugen befindliche Schlösser
US6382410B1 (en) * 2000-08-21 2002-05-07 Kenneth M. Magid Pill container
JP2002142841A (ja) * 2000-11-15 2002-05-21 Ykk Corp 小物入れ
JP2005510431A (ja) * 2001-11-30 2005-04-21 ウエスト・ファーマスーティカル・サービシ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対小児安全容器
AU2003258063A1 (en) * 2002-03-25 2003-10-13 David Jeffrey Chodosh Key holder with automatic ejection
US20030226772A1 (en) * 2002-06-06 2003-12-11 Smith Edwin E. Container for securing and uniquely identifying objects
WO2004033835A1 (en) * 2002-10-09 2004-04-22 Lokaway Pty. Ltd. Security door and frame construction
KR200372618Y1 (ko) * 2004-10-08 2005-01-14 장을순 휴대용 열쇠케이스
US7377145B2 (en) * 2006-10-12 2008-05-27 Han Ching Chen Key c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520137A (ja) 2009-05-21
CN101365359A (zh) 2009-02-11
BRPI0620224A2 (pt) 2011-11-01
US20090000343A1 (en) 2009-01-01
US8225634B2 (en) 2012-07-24
FR2894789A1 (fr) 2007-06-22
CN101365359B (zh) 2011-04-06
EP1965676B1 (fr) 2011-05-18
ATE509541T1 (de) 2011-06-15
WO2007077332A1 (fr) 2007-07-12
KR101320193B1 (ko) 2013-10-23
EP1965676A1 (fr) 2008-09-10
JP5072859B2 (ja) 2012-11-14
FR2894789B1 (fr) 2008-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0193B1 (ko) 키 배치 및 유지용 장치
KR0139123Y1 (ko) 누름버튼식 평면핸들장치
KR20030094092A (ko) 사이드 록크 장치
US7832240B2 (en) Lid lock device
JP2002509213A (ja) 配電盤キャビネットロック装置
JP2006022482A (ja) プッシュボタン式ボックス開放構造
JP3229296B2 (ja) 南京錠
KR101405569B1 (ko) 봉형상물용 유지장치
JP4543453B2 (ja) 蓋開閉装置
US6742818B2 (en) Box lock with safety device
KR100423108B1 (ko) 자물쇠부착식 캡
KR101349045B1 (ko) 푸시 방식 글로브 박스 록킹 장치
JP2649893B2 (ja) 内筒交換式のシリンダ錠
CN108622683B (zh) 罩体、介质收容盒
JP2978767B2 (ja) 電池蓋のロック構造
MX2008008268A (en) Device for positioning and holding an emergency key
KR100201059B1 (ko) 래치로크장치
CN111247300B (zh) 机动车辆的门把手
CN210013599U (zh) 锁具及具有其的周转箱
JP3683465B2 (ja) ロック装置
JP6796112B2 (ja) 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および安全スイッチ
JP2022186413A (ja) プッシュボタン錠
KR101986281B1 (ko)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
KR900003048Y1 (ko) 자동차 글로브 박스 (Glove Box) 의 잠금장치
KR950007267Y1 (ko) 가방개폐용 다이얼식 자물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