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9651A - 캠축 조정기 - Google Patents

캠축 조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9651A
KR20080079651A KR1020087014252A KR20087014252A KR20080079651A KR 20080079651 A KR20080079651 A KR 20080079651A KR 1020087014252 A KR1020087014252 A KR 1020087014252A KR 20087014252 A KR20087014252 A KR 20087014252A KR 20080079651 A KR20080079651 A KR 20080079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camshaft
camshaft adjuster
lubricating oil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4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9570B1 (ko
Inventor
마이크 코어스
옌스 쉐퍼
Original Assignee
쉐플러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쉐플러 카게 filed Critical 쉐플러 카게
Publication of KR20080079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9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01L1/352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using bevel or epicyclic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01L1/04Valve drive by means of cams, camshafts, cam discs, eccentrics or the like
    • F01L1/047Cam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01L1/3442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using hydraulic chambers with variable volume to transmit the rotating force
    • F01L2001/34423Details relating to the hydraulic feeding circuit
    • F01L2001/34436Features or method for avoiding malfunction due to foreign matters in 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01L1/3442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using hydraulic chambers with variable volume to transmit the rotating force
    • F01L2001/34423Details relating to the hydraulic feeding circuit
    • F01L2001/34436Features or method for avoiding malfunction due to foreign matters in oil
    • F01L2001/3444Oil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810/00Arrangements solving specific problems in relation with valve gears
    • F01L2810/02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820/00Details on specific features characterising valve gear arrangements
    • F01L2820/01Absolute va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Abstract

전통적인 캠축 조정기는 내연기관의 윤활유 회로에 연결된다. 과도한 윤활유 흐름은 캠축 조정기의 기어 구동 장치에 "오버플로"를 초래하고, 이는 다시 기어 구동 장치 내에 불필요한 교동 손실을 야기할 뿐 아니라, 내연기관의 또 다른 어셈블리에 공급되는 윤활유의 송출 용량의 불필요한 손실을 야기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흐름 부재(59)가 이용되며, 이 흐름 부재에 의해 흐름 채널(26) 내에서는 스로틀 부재 또는 스크린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 구현예에 따라 작동 중에 가변하는 스로틀 부재 또는 스크린이 제안된다.
내연기관, 캠축 조정기, 기어 구동 장치, 윤활유 회로, 윤활유 흐름

Description

캠축 조정기{CAMSHAFT ADJUSTER}
본 발명은 특히 청구항 제1항, 제12항, 제17항, 제18항 또는 제20항의 전제부에 따르는 내연기관용 캠축 조정기로서, 내부에서는 윤활유 흐름을 통해 윤활이 이루어지는 상기 캠축 조정기에 관한 것이다.
캠축 조정기는 하기와 같이 대략적으로 분류된다:
A. 예컨대 유압식, 전기식 또는 기계식으로 형성되고 캠축 조정기의 기어 구동 부재들과 함께 회전하는 제어 부재, 다시 말해 질량 흐름 또는 에너지 흐름에 간섭하는 기능 유닛을 포함하는 위상 조정기.
B. 독립된 컨트롤러, 다시 말해 거버너 출력 변수로부터 제어 부재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제어 변수가 구해지는 기능 유닛과, 독립된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위상 조정기. 이런 위상 조정기에는 하기와 같은 구조 형식이 있다:
a. 함께 회전하는 액추에이터 및 함께 회전하는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위상 조정기, 예컨대 높은 기어비를 갖는 기어 구동 장치. 이런 위상 조정기의 조정 축은 함께 회전하는 유압 모터 또는 원심 모터에 의해 사전 조정될 수 있으며, 스프링에 의해 복귀 조정될 수 있다.
b. 함께 회전하는 제어 부재와, 모터에 고정된 고정식 액추에이터, 예컨대 전동기 또는 전기식 또는 기계식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위상 조정기. 이와 관련하여 독일 공보 제DE 100 38 354 A1호, 제DE 102 05 034 A1호, 유럽 특허 명세서 제EP 1 043 482 B1호도 참조된다.
c. a. 및 b.에 따른 해결 방법의 방향에 따른 조합물을 포함하는 위상 조정기, 예컨대 모터에 고정되는 브레이크. 이런 위상 조정기의 경우, 브레이크의 작동 중지 후 복귀 조정을 가능케 하는 스프링을 인장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동력의 일부분이 예컨대 사전 조정을 위해 이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독일 공보 제DE 102 24 446 A1호, 국제 공개 공보 제WO 03-098010호, 미국 공보 제US 2003 0226534호, 독일 공보 제DE 103 17 607 A1호도 참조된다.
B.a. 및 B.c에 따른 시스템의 경우, 액추에이터 및 제어 부재는 조정 축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그에 따른 연결부는 전환되거나 전환되지 않을 수 있으며, 또한, 분리될 수 있거나 분리되지 않는 방식으로, 유격이 없거나 유격이 있는 상태로, 그리고 연질 또는 경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조 형식과는 무관하게, 조정 에너지는 구동력 및/또는 제동력에 의해 제공되는 형태로, 그리고 축 시스템의 손실 출력(예: 마찰) 및/또는 관성 및/또는 원심력이 이용되면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지각" 조정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제동은, 캠축의 마찰력이 완전하게 활용되거나, 공동으로 이용되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캠축 조정기는 조정 영역의 기계식 제한부를 구비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은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캠축 조정기 내에 제공되는 기어 구동 장치로서는, 일단 또는 다단의 3축 기어 장치 및/또는 멀티 조인트 및/또는 커플링 기어 장치가 이용되는데, 예를 들면 그 구조 형 식에서 경사판식 구동장치(swashplate drive), 편심 기어 장치, 유성 기어 장치, 하모닉 구동 장치, 디스크 캠 구동 장치, 멀티 조인트 기어장치, 또는 커플링 기어 장치로서 형성되거나, 다단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개별 구조 형식들이 조합된 구조로서 형성된다.
캠축 조정기의 작동을 위해, 윤활 위치로, 특히 베어링 위치로, 및/또는 구름 운동하는 톱니 기어부로 윤활유가 공급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윤활유는 캠축 조정기에서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구조 부재들을 윤활하고, 그리고/또는 냉각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캠축 조정기는 윤활유 회로를 포함하며, 이 윤활유 회로는 예컨대 내연기관의 윤활유 회로와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윤활유 회로를 구비한 캠축 조정기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대체되거나 누적되는 해결 방법은 청구항 제12항, 제17항, 제18항 및/또는 제20항의 특징부에 상응하게 지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법의 추가의 구현예들은 종속항 제2항 내지 제11항, 제13항 내지 제16항, 제19항, 제21항, 및 제22항에 상응하게 지시된다.
본 발명은, 공지된 캠축 조정기에 대해 이 캠축 조정기 내에서 흐르는 윤활유의 질량 유량이 라인 횡단면, 각각의 작동 상태에 따른 펌프 송출량, 주변 온도, 그리고 이용되는 윤활유 종류 및 오염도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고를 기반으로 한다. 특히 유입 및 유출 영역에서 선택되는 흐름 횡단면은 제조 기술상의 관점에서 결정된다. 본원의 출원인은 캠축 조정기의 작동 중에, 캠축 조정기의 기어 구동 장치가 상황에 따라, 특히 하기의 상황에서, 윤활유로 거의 "오버플로"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 윤활유가 내연기관의 윤활유 회로로부터 제공되는 점에 한해서 높은 윤활유 압력, 그리고
- 예컨대 고온에서 회전 속도가 높은 조건에서 윤활유의 낮은 점도.
그렇게 함으로써 실행될 교동(churning) 기능을 바탕으로 캠축 조정기 내부에서는 많은 에너지의 과도한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윤활유는 상황에 따라 강하게 기포를 발생시킨다. 또한, 캠축 조정기를 통과하는 윤활유의 높은 유량을 바탕으로 내연기관의 윤활유 압력이 강하될 수 있으며, 이런 점은 윤활유 회로에서 또 다른 경로의 윤활을 악화시킬 수 있다. 또한, 유압 용량의 높은 손실을 바탕으로 내연기관의 총 효율도 악화 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연료 소모량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 내부 문서 번호 4626-10-DE를 가지며, 2004년 12월 23일자로 출원되었으며, "내연기관의 제어시간을 변경하기 위한 장치"라는 발명의 명칭을 갖는 본 출원인의 비공개 출원 문서는, 캠축 조정기 내에 윤활유 흐름을 위한 스로틀 부재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상기 스로틀 부재에는 톱니 링의 톱니 갭이 형성될 수 있거나, 캠축 조정기의 개별 구조 부재들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캠축 조정기의 작동 중에, 엔진의 윤활유 내에 포함되는 연소 및 오염 잔류물이 조정 메커니즘에서 일시적이거나 또는 지속적인 기능 장애를 야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캠축 조정기 내 기어 구동 장치에 슬러지를 퇴적시키거나, 그 기어 구동 장치를 오염시킬 수 있었다. 오염으로 인해, 캠축 조정기의 조정 시에 기능 표면의 오염 입자에 의해 마모가 상승할 뿐 아니라, 손실 출력도 증가할 수 있다.
대개 캠축 조정기 내의 흐름 채널들의 횡단면을 목표한 바대로 구성함으로써 스크린 또는 스로틀 부재를 제공하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는 스로틀 부재 또는 스크린의 영역에서 횡단면의 제조를 복잡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극미한 개구부 단면을 갖는 스크린이 제공된다면, 그로 인해 스크린의 영역에서 극미한 지름으로 직경 점프(diameter jump)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런 직경 점프는 극미한 지름을 갖는 드릴로 제조할 수 있지만, 이는 제조 요건이 증가한 조건에서만 가능하고, 심지어 거친 사용 조건에서 드릴이 파손되는 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
이처럼 스크린 또는 스로틀 부재에 대한 복잡한 제조 방법은, 본 발명에 따라, 우선 캠축 조정기의 흐름 채널이 스크린 또는 스로틀 밸브 없이, 예컨대 크고, 그리고/또는 일정한 직경 또는 환상 채널을 구비하여 제조될 수 있게 됨으로써 회피된다. 따라서 흐름 채널은 간단한 제조 방법으로, 그리고 공정에 더욱 안전하게 제공될 수 있다. 흐름 채널의 제조 후에, 그 흐름 채널 내에 흐름 부재(flow element)가 삽입된다. 이 흐름 부재는 흐름 채널을 범위 한정하는 구조 부재들과 별도로 제조된다. 흐름 부재는, 스크린 또는 스로틀 부재가 제공되는 윤곽을 갖는다. 따라서 스크린 또는 스로틀 부재의 윤곽은 나머지 구조 부재들과 별도로 제조될 수 있고, 공간적으로 제한되는 흐름 부재에 대해 특별한 제조 방법 및/또는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흐름 부재의 제조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그 흐름 부재가 내부에 스크린 또는 스로틀 부재를 위한 관통구를 구비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내부 윤곽 또는 외부 윤곽의 영역에 스크린 또는 스로틀 부재를 일측에서 범위 한정할 수 있으며, 그에 반해 스크린 또는 스로틀 부재의 타측의 범위 한정은 흐름 채널을 범위 한정하는 구조 부재에 의해 보장된다.
흐름 부재를 사용함에 따라, 상황에 따라 스크린 또는 스로틀 부재를 교환할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그 흐름 부재가 흐름 채널에 삽입되고, 다시 그 흐름 채널로부터 제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 흐름 조건의 가변성이 확대된다. 왜냐하면, 상황에 따라 동일한 캠축 조정기의 다양한 용도를 위해, 흐름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구멍 패턴이 기본적으로 일치하는 경우, 다양한 흐름 부재들이 윤활유 회로 또는 엔진 오일 회로의 다양한 구조 부재들에 부합하게 적응되어 이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큰 흐름 횡단면을 갖는 흐름 채널들의 경우 윤활유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윤활유 흐름도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한다는 지식을 기반으로 한다. 이와 반대로 스크린 또는 스로틀 형태의 흐름 부재를 사용하면 윤활유 흐름에 대한 온도의 영향은 그외 흐름 조건들에 변화가 없는 경우 감소하거나, 거의 제거된다.
본 발명의 추가 구현예에 상응하게, 흐름 부재는 기어 구동 장치에 윤활유가 유입되는 입구 영역에 배치되고, 그리고/또는 그 기어 구동 장치로부터 윤활유가 유출되는 출구 영역에 배치되며, 그럼으로써 스로틀링은 해당하는 영역에서 목표한 바대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스로틀링이 이미 윤활유의 입구 영역에서 이루어진다면, 상승한 압력은 스로틀링의 결과로 기어 구동 장치로부터 멀리 이격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그 기어 구동 장치 내부의 밀봉 요건도 불필요하게 증가하지 않게 된다.
흐름 부재는 특히,
- 형태 결합식으로 흐름 채널과 결합되며, 이 경우 흐름 부재는 흐름 채널을 범위 한정하는 구조 부재들의 적합한 리세스부 또는 그루브에 맞물려 고정될 수 있거나,
- 마찰 고정식으로 흐름 채널과 연결되며, 이 경우 흐름 부재는 예컨대 흐름 채널 내에 탄성의 예압 하에 삽입되거나,
- 견고한 접착 방식으로, 예컨대 접착제를 통해 흐름 채널과 연결되며,
그리고 형태 고정, 마찰 고정 또는 견고한 접착 방식의 연결이 조합될 수도 있다.
표면 영역의 흐름 조건, 탄성 특성, 윤활유와의 화학적 교환 작용, 및/또는 흐름 채널에 대한 형태 고정, 마찰 고정 또는 견고한 접착 방식의 연결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흐름 부재로서, 이런 흐름 부재는 플라스틱 또는 탄성중합체로 제조되었다.
개선 실시예에 따라, 흐름 채널은 흐름 부재가 삽입되는 영역에 환형(circular-ring) 횡단면을 갖는다. 구멍 형태로 원형(circular) 횡단면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스로틀 부재 또는 스크린과 반대로, 환형 횡단면은 원주 방향으로 확대된 연장부를 바탕으로 그리 간단하게 막히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경우에 따라 부분 원주 영역만이 막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추가 구현예에 따라, 흐름 채널을 위한 환형 횡단면은, 선단에서 캠축에 조여 고정되는 중심 나사의 외부면과, 예컨대 중공축 또는 기어 구동 부재의 표면 중 캠축에 고정된 내부면 사이에 형성되며, 그럼으로써 흐름 채널을 위해 여하히 존재하는 구조 부재들이 이용되고, 흐름 채널을 범위 한정하는 표면은 비교적 큰 직경을 갖는 구조 부재들의 외부 및 내부 윤곽에 의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캠축 조정기 내부에서 흐름 부재는 반경 방향으로 탄성적이고, 반경 방향의 압착 조건에서 흐름 채널의 경계부 쪽에 밀착되며, 이때 상기 압착은 반경 방향의 안쪽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그리고/또는 반경 방향의 바깥쪽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스로틀 부재 또는 스크린은 흐름 횡단면이 감소함에 따라 오염 입자 또는 슬러지로 우선적으로 막히는 위험을 수반하는 영역을 형성한다. 이런 점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라, 흐름 방향에서 흐름 부재의 전방에 필터 부재가 배치됨으로써 고려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필터 부재는 캠축 조정기 외부에, 또는 그 캠축 조정기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부재가 캠축 조정기의 흐름 채널 내에 배치되는 경우에, 필터 부재는 스로틀 부재와 별도로 형성될 수 있거나, 흐름 부재의 통합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 부재가 마찬가지로 스로틀링 작용을 생성함으로써, 스로틀 부재 및/또는 스크린이 필터 부재의 스로틀링 작용을 고려하여 치수화 되는 점도 고려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크린 또는 스로틀 부재는 윤활유 흐름 방향에 대한 횡방향의 횡단면 변경에 의해서 제공된다. 예컨대 스크린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라면, 스크린의 영역에서는 원 지름이 나머지 흐름 횡단면과 비교하여 감소된다. 흐름 횡단면이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라면, 원형 고리의 반경 방향 연장부가 스크린 또는 스로틀 부재의 영역에서 감소된다.
대체되거나 누적되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스크린 또는 스로틀 부재가 윤활유 흐름 방향에 대한 원주 방향의 횡단면 변경에 의해 제공된다. 예컨대 흐름 부재를 절개한 횡단면이 원형 고리 형태라면, 흐름 횡단면은 개별 원형 세그먼트들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 원형 세그먼트들의 총 면적은 흐름 횡단면의 원래 원 면적보다 더욱 작다. 흐름 횡단면이 원형 고리 형태라면, 예컨대 흐름 부재는 환형 흐름 채널의 개별 원주 영역들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흐름 부재가 연이어서 직렬로 배치되거나, 서로 병렬로 배치된다. 연이은 직렬 배치에 의해, 윤활유 경로의 경우 흐름에 영향을 주는 영역이 확대될 수 있다. 다양한 윤활 위치들로 향하는 다양한 흐름 경로들에 복수의 흐름 부재가 병렬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흐름 부재들에 의해 목표한 바대로 윤활 위치들로 향하는 윤활유 흐름은 윤활 위치에 대한 각각의 요건에 상응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윤활유 소모량이 상승하는 윤활 위치들은 더욱 많은 윤활유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추가의 해결 방법에 상응하게, 윤활유 흐름은 흐름 부재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그 윤활유의 흐름 특성은 내연기관의 작동 중에 변경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흐름 부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흐름 채널의 통합 부품으로서 형성할 수 있거나, 독립된 흐름 부재로서 형성할 수 있다. 흐름 특성 변경에 의해, 예컨대 윤활유 가열에 따른 윤활유 흐름의 변경은 억제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작동 조건이 변함에 따라 윤활유 및/또는 냉각 소요가 상승하거나 또는 감소함으로써 개별 작동 조건들이 개선되는 방식으로 고려될 수 있다면, 흐름 부재들의 흐름 특성 변경을 통해, 윤활 위치의 영역 또는 그 윤활 위치로 향하는 공급 영역에서 압력, 속도 및 윤활유 흐름을 변경할 수 있다.
흐름 특성에 영향을 주면서 이루어지는 흐름 부재의 변경은 자동으로, 예컨대 열전대의 형태로, 또는 기계적으로 자동 조정하는 해결 방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적합한 제어 또는 조절 장치에 의해 압력을 공급받는 흐름 부재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장치의 이용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캠축 조정기의 추가의 구현예에 따라, 흐름 부재는 일시적으로 완전하게 밀폐될 수 있다. 이런 흐름 부재는 예컨대 엔진이 정지한 동안 완전하게 밀폐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작동 중에 흐름 부재를 반복적으로 밀폐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윤활유의 맥동이 생성되며, 이런 맥동은 상황에 따라 목표하는 윤활 및 냉각 작용을 강화할 수 있으며, 윤활유가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흐름 부재의 흐름 특성은 이동 제어 방식으로 캠축, 캠축 조정기 또는 기어 구동 장치의 회전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흐름 부재의 흐름 특성의 원심력 조절은 캠축의 회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체되는 구현예에 따라,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되면서 윤활유 전달을 보장하는 구조 부재들, 예컨대 실린더 헤드 및 캠축의 두 보어부 사이의 공급 영역에서, 전달 횡단면은 단지 선택된 상대 위치에서만 보장될 수 있으며, 그에 반해 또 다른 상대 위치의 경우 전달 횡단면은 부분적으로, 및/또는 완전하게 밀폐되며, 그럼으로써 윤활유는 간헐적으로만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추가 해결 방법은 중심 나사와 캠축의 리세스부 사이에 여하히 존재하는 중공 원통형 중간 공간부를 이용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중간 공간부의 제1 부분 영역은 제1 흐름 채널을 형성하며, 중심 나사의 외경과 리세스부의 내경에 대한 제조 치수는 원형 흐름 채널의 갭 높이를 결정한다. 중간 공간부의 영역 중 바깥쪽에 위치하는 부분 영역 내에는 중공축이 배치된다. 이 중공축은 반경 방향의 바깥쪽에, 및/또는 반경 방향의 안쪽에 제2 흐름 채널을 형성한다. 중공축의 치수에 의해, 제2 흐름 채널은 제1 흐름 채널보다 더욱 작은 흐름 횡단면을 갖는다. 추가의 스로틀 부재 또는 스크린은, 제1 흐름 채널과 제2 흐름 채널 사이의 전달 횡단면에서 예컨대 중심 나사, 중공축 또는 캠축 또는 추가 구조 부재의 돌출부가 존재함으로써 제공되며, 이와 관련하여 이 돌출부는 대응하는 영역에서 제2 흐름 채널을 재차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스로틀 부재 또는 스크린을 제공하게 된다. 이는 특히 간단한 실현 방법으로, 스크린 또는 스로틀 부재에 대해 여하히 존재하는 구조 부재를 이용하고, 관계하는 구조 부재의 치수가 비록 크지만 그런 치수로 작은 개구부 횡단면을 갖는 스크린 또는 스로틀 부재의 제조를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추가 해결 방법의 경우, 전술한 중간 공간부에서 캠축 내에 반경 방향 홈이 제공된다. 이런 경우 스크린은, 제1 부분 영역에서부터 반경 방향 홈까지 전달 횡단면은 마찬가지로 중간 공간부 내에 배치되는 중공축의 선단면에 의해 부분적으로 밀폐됨으로써 제공된다. 또한, 이런 경우 스크린은 극미한 개구부 횡단면을 제조할 필요 없이 중심 나사 및 캠축 리세스부뿐 아니라, 홈 그리고 중공축의 성형을 통해 극미한 지름을 갖는 보어부 등에 의해 가능해질 수도 있다.
홈의 다기능적인 이용은, 그 홈이 반경 방향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간극 공간부를 포함할 때 제공된다. 이와 관련하여 이 간극 공간부에는 윤활유에 가해지는 원심 작용의 결과로 입자가 퇴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추가 해결 방법은 실린더 헤드에 고정되는 구조 부재, 예컨대 캠축 베어링으로부터 캠축으로 윤활유를 전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런 전달을 위해, 실린더 헤드에 고정되는 구조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를 포함하며, 이 유출구로부터 윤활유는 캠축의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로 유입된다. 이런 경우 간단한 방식으로, 즉 극미한 구멍 지름, 극미한 그루브 폭 등을 갖는 스로틀 부재 또는 스크린을 제조할 필요 없이, 캠축의 유입구와 실린더 헤드에 고정되는 구조 부재의 유출구를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하게끔 하여 유입구 및 유출구의 더욱 큰 횡단면을 통해 전달 횡단면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유입구 및 유출구를 서로 오프셋 되게 배치하고, 그에 따라 스크린의 개구부 횡단면을 유입구 및 유출구의 부분적인 중첩 부분만으로 제공함으로써 스로틀 부재 또는 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런 오프셋은 예컨대 유입구 및 유출구의 원주 방향 오프셋이고, 그리고/또는 캠축의 종축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축방향 오프셋이다.
위의 구현예는 또한, 유입구 또는 유출구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루브로서 형성하고, 그에 반해 다른 쪽 개구부를 보어부로서 형성할 때에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경사판식 구동 장치 구조로 형성되는 캠축 조정기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 실시예는 특허 청구항, 실시예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지시된다. 특징부 및 복수 특징의 조합과 관련하여 실시예 설명에서 언급한 장점은 예시일 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반드시 달성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다. 추가의 특징들은 도면으로부터, 특히 복수 부품의 도시한 기하 구조 및 상호 간 상대적 치수뿐 아니라, 그 부품들의 상대적 배치 및 상호 작용 관계로부터 지시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특징의 조합 또는 여러 청구항의 특징의 조합은 마찬가지로 청구항들의 지정된 재귀 관계와 다르게 실현될 수 있고 그와 더불어 지시될 수 있다. 또한, 이는 별도의 도면에 도시되거나, 도면에 대한 설명에 언급한 특징들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이런 특징은 또한 여러 청구항의 특징과 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청구항에 명시한 특징들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들을 위해 삭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은 다음의 실시예 설명과, 본 발명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해당하는 도면으로부터 지시된다.
도1은 캠축 조정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2는 경사판식 구동 장치를 구비한 캠축 조정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3은 윤활유 회로와 함께 캠축 조정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4는 필터 부재가 통합되어 있는 윤활유 회로와 함께 캠축 조정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5는 오염 입자를 퇴적시키기 위한 간극 공간부와 함께 캠축 조정기를 반만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6은 입구 측뿐 아니라, 출구 측에 스로틀 부재 및 스크린을 구비한 윤활유 회로와 함께 캠축 조정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7은 흐름 채널 내의 윤활유 가이드와 함께 캠축 조정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8은 흐름 채널 내에 2개의 스크린이 연이어 직렬 배치되어 있는 캠축 조정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9는 캠축의 안쪽 외부면으로 스크린을 형성하면서 중심 나사 상에 안착되는 흐름 부재와 함께 캠축 조정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10은 중공축과 중심 나사 사이에 형성되는 스크린과 함께 캠축 조정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11은 전달 횡단면을 통해 실린더 헤드의 유출구로부터 캠축의 유입구로 윤활유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함께 캠축 조정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12는 캠축 및 캠축 조정기로 향하는 윤활유 공급부의 추가 구현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13은 캠축 및 캠축 조정기로 향하는 윤활유 공급부의 추가 구현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14는 캠축 및 캠축 조정기로 향하는 윤활유 공급부의 추가 구현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15는 캠축 및 캠축 조정기로 향하는 윤활유 공급부의 추가 구현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16은 윤활유 흐름에 영향을 주기 위한 스크린 또는 스로틀 부재의 배치에 대한 다양한 예시와 함께 캠축 조정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17은 방울 형태, 윤활유 미스트 또는 분무된 윤활유 형태의 윤활유를 통과시키기 위해 기어 구동 장치의 하우징에 제공되는 개구부들과 함께 캠축 조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8은 개구부에 대한 추가 실시예를 구비한 도17에 따른 캠축 조정기를 도시한 추가 사시도이다.
도19는 방울, 윤활유 미스트 및/또는 분무된 윤활유를 통한 윤활을 위한 가능성을 갖는 캠축 조정기를 조립 상태에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20은 오일 미스트 방울이 일시적으로 유지되면서 캠축 조정기의 내부 방향으로 떨어지게 하는 흘림판을 캠축 조정기에 조립한 상태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구성 및/또는 기능에 상응하는 구조 부재들은 부분적으로 동일한 부재 번호로 표시된다.
도1은 캠축 조정기(1)를 개략도로 도시하고 있다. 이 캠축 조정기 내의 기어 구동 장치(2) 내에서는 2개의 입력 부재의 운동, 본 실시예에 따라서는 구동 기어(3) 및 조정축(4)(워블 샤프트(wobble shaft)라고도 함)의 운동이, 출력 부재의 출력 운동, 본 실시예에서는 캠축과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 출력축(5), 또는 직접적으로 캠축(6)의 출력 운동에 중첩된다. 구동 기어(3)는 예컨대 체인 또는 벨트 또는 적합한 톱니 기어부와 같은 인장 수단을 통해 내연기관의 크랭크축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조정축(4)은 전동기(7)에 의해 구동되거나 브레이크와 상호 작용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전동기(7)는 주변 구조물, 예컨대 실린더 헤드(8) 또는 그 외 엔진에 고정된 부품에 대향하여 지지된다.
도2는 경사판 구조로 기어 구동 장치(2)를 구비한 캠축 조정기(1)에 대한 예시에 따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하우징(9)은 회전 불가능하게 구동 기어(3)와 결합되며, 축방향 단부 영역에서 조정축(4)에 대향하여 실링 부재(10)를 통해 밀폐된다. 맞은편 단부 영역에서 하우징(9)은 실린더 헤드(8)에 대향하여 실링 부재(11)로 밀폐된다. 하우징(9)과 실린더 헤드(8)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부(36) 내로는 캠축(6)의 단부 영역이 돌출된다. 또한, 그 내부 공간부 내에는, 커플링(12)을 통해 조정축(4)과 결합되는 편심축(13), 베어링 부재(14), 예컨대 롤러 베어링을 통해 장착되는 경사판(15), 그리고 중공축(16)이 배치된다. 이 중공축은 베어링 부재(17), 예컨대 롤러 베어링을 통해 안쪽에서 편심축(13)의 중앙 리세스부 내에서 지지되면서, 피동 베벨 피니언(18)을 지지한다. 피동 베벨 피니언(18)은 하우징(9)에 대향하여 베어링(19)을 통해 지지된다. 내부에서 하우징(9)은 구동 베벨 기어(20)를 형성한다. 경사판(15)은 맞은편 선단면에 적합한 톱니 기어부를 포함한다. 베어링 부재(14) 및 경사판을 구비한 편심축(13)은 종축(21-21)에 대향하여 경사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그럼으로써 경사판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오프셋 된 부분 영역들 상에서 한편으로 구동 베벨 기어(20)와 맞물리고, 다른 한편으로 피동 베벨 피니언(18)과 맞물리며, 구동 베벨 기어와 피동 베벨 피니언 사이에서 기어비의 증감이 이루어진다. 피동 베벨 피니언(18)은 캠축(6)과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다.
도2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중공축(16)은 중심 나사(22)를 통해 선단면에서 피동 베벨 피니언(18)과 나사 체결된다. 중심 나사(22)는 중공축(16)을 관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윤활유, 특히 오일을 이용한 윤활은 윤활 위치(23, 24)의 영역에서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윤활 위치는 예컨대,
- 구동 베벨 기어(20)와 경사판(15) 사이의 접촉면,
- 경사판(15)과 피동 베벨 피니언(18) 사이의 접촉면,
- 베어링(19),
- 베어링 부재(14) 및/또는
- 베어링 부재(17)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윤활유 채널들을 통해 연속적으로, 주기적으로, 맥동하거나, 간헐적으로 윤활유가 공급되고, 그리고/또는 전달된다. 실린더 헤드(8)의 공급 리세스부(25)를 통해, 윤활유는 캠축(6)의 흐름 채널(26)로 공급되며, 이 흐름 채널은, 중공축(16)의 안쪽 외부면(28)과 중심 나사(22)의 바깥쪽 외부면(29) 사이에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흐름 채널(27)과 연통된다. 중공축(16)의 반경 방향 보어부(30)를 통해, 윤활유는 흐름 채널(27)로부터 반경 방향에서 외부 방향을 향해 유출되어 윤활 위치로 공급될 수 있다.
도3은 개략적인 윤활유 회로를 도시하고 있다. 윤활유는 저장부(31), 예컨대 오일 팬 또는 오일 탱크로부터, 펌프(32), 예컨대 엔진 오일 펌프를 통해, 필터(33), 특히 엔진 오일 필터를 통과하여, 공급 리세스부(25) 및 캠축(6)의 흐름 채널(26)로 송출된다. 윤활유는 유출구(34)를 통해 캠축 조정기(1)와 이 캠축 조정기의 하우징(9) 각각으로부터 유출되어 다시 저장부(31)로 회수된다.
도3에 따른 실시예와 반대로, 도4에 따른 개략적인 윤활유 회로는 추가의 필터 부재(35)를 포함한다. 필터 부재(35)는 바람직하게는 캠축 조정기(1)에 할당되고, 예컨대 추가로 윤활될 구조 부재들로 향하는 윤활유 회로의 분기 후방에 배치되며, 종국에는 캠축 조정기를 윤활하는 윤활유 회로의 분기에 할당된다. 이와 관련하여 필터(35)는 캠축 조정기(1)의 장착 위치에 가능한 가까이 배치되거나, 캠축 조정기 자체 내부에 배치된다. 필터 부재(35)는 흐름 방향에서 그 필터 부재(35) 전방에 배치되는 흐름 채널들에서 처리된 잔류물을 실린더 헤드 및 캠축의 흐름 채 널들로부터 제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윤활유에 내포된 제조 잔류물 및 오염 입자가 캠축 조정기(1)의 기어 구동 장치(2)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 또한, 흐름 조건, 특히 윤활유의 압력, 체적 유량 및 유속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터 부재(35)의 스크린 특성 또는 스로틀링 작용이 목표한 바대로 이용될 수 있다. 필터 부재(35)는 바람직하게는, 최대한 오염물을 수용한다고 할 때 흐름 조건을 바탕으로 캠축 조정기의 유효 수명 동안 입자 및 오염물질로 막히지 않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이를 위해 예컨대 상승관 내에 배치하고, 그리고/또는 바이패스 윤활유 필터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 부재(35)는 예컨대
- 체로서,
- 링 필터로서,
- 삽입 필터로서,
- 캡 필터로서,
- 필터판으로서,
- 필터망으로서, 또는
- 소결 필터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5에 따라 윤활유는, 예컨대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9)의 내부 공간부(36) 내로 이송된다. 그리고 그 내부 공간부(36)에서 윤활유는 윤활 위치와 접촉한다. 내부 공간부(36)는 간극 공간부(37)와 윤활유로 연결되어 있고, 간극 공간부는 내부 공간부(36)로부터 반경 방향에서 최대한 멀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내부 공간(36)에 대한 간극 공간부(37)의 연통부는 광범위하게 전달 횡단면을 통해 형성될 수 있거나, 간극 공간부(37)에 대향하는 윤활유의 공급 및 배출을 가능케 하는 별도의 채널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간극 공간부(37)는 순환하는 환상 채널로서 형성된다. 간극 공간부(37)는 특히, 윤활유가 극미한 유속으로 이동하거나, 거의 정체되는 그런 공간부이며, 그에 따라 그 간극 공간부(37)는 윤활유가 직접적으로 흐르는 최대 관류 구역에 배치되지 않는다. 간극 공간부(37) 내에서는 하우징(9)의 회전에 따라 윤활유가 원심력에 노출되며, 그럼으로써 윤활유의 무거운 성분 및 부유 입자가 외부 방향으로 밀착되고, 반경 방향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벽부(38)에 퇴적될 수 있으며, 다시 윤활 위치로 공급되지 않게 된다. 또한, 원형의 간극 공간부(37)는 원주 방향에서 중간 벽부에 의해 분리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개별 챔버가 형성된다. 그리고 그 챔버들을 통해, 간극 공간부(37) 내에 윤활유가 하우징(9)에 상대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는 점이 억제된다. 따라서 오염물질의 분리는 회전하는 원심 분리기와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간극 공간부(37)와 같은 간극 공간부들은 기어 구동 장치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캠축의 영역에도 배치될 수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예컨대 간극 공간부에 직접적으로 인접하는 중요한 기능면들은 기어 구동 장치 내부의 오염물질이 원심 분리됨으로써 "슬러지" 등으로 더 이상 오염되지 않는 점이 달성된다. 원심 작용은 종축(21-21)으로부터 간극 공간부의 이격 간격이 확 대됨으로써 강화된다.
제1 구현예에 따라, 간극 공간부는 추가의 배출구를 포함하지 않으며, 그럼으로써 원심 분리된 오염 물질은 영구히 그 간극 공간부(37)에 퇴적된다. 도5에 도시한 바람직한 구현예에 상응하게, 간극 공간부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유출구(39, 40)를 포함하며, 유출구(39)는 축방향으로 배향되고, 유출구(40)는 반경 방향으로 배향된다. 캠축 조정기(1)의 주변과 비교하여 간극 공간부(37) 내에 발생하는 반경 방향 원심력 및/또는 압력비에 따라서, 윤활유는 퇴적된 오염 입자와 함께 유출구(40)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유출되며, 오염 입자의 이송은 원심 작용에 의해 보조된다. 이와 다르게 유출구(39)를 통한 이송은 일측의 간극 공간부(37)와 타측의 캠축 조정기(1) 주변의 압력 차이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
대체되는 구현예에 따라, 오염물질 분리는, 윤활 채널 내에서 윤활유가 미로와 같이, 또는 지그재그 형태로 안내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처럼 미로와 같은 오염물질 분리부에 의한 오염물질 분리는 윤활유 내 윤활유 및 간섭 입자의 서로 다른 관성을 기반으로 한다. 특히 유속이 높은 경우, 윤활유 흐름의 강한 편향으로, 입자는 편향되는 것이 아니라, 미로의 경계 구역에 퇴적될 수 있다. 미로의 개별 채널들이 반경 방향으로 배향되는 경우에, 이와 같은 채널들과 축방향 채널들에서는 미로 내 퇴적은 앞서 설명한 원심 작용에 따라 반경 방향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표면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대체되거나 누적되는 분리 작용은, 윤활유 유속이 감속 및 가속될 때 발생한다. 이런 경우 더욱 가벼운 윤활유는 더욱 쉽게 가속되며, 그에 반해 오염물질 입자는 잔류하게 된다.
하우징(9)의 회전, 또는 캠축 조정기(1)의 또 다른 부품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 작용의 생성 이외에도, 원심 작용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윤활유를 안내하는 흐름 채널이 원형 또는 나선형으로 배향됨으로써 생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만곡된 흐름 채널들을 윤활유가 관류하는 것만으로도, 흐름 채널들의 경계부 중 바깥쪽에 위치하는 경계부에 퇴적물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윤활유 회로에 대해 도3 및 도4에 도시한 실시예와 다르게, 도6에 도시한 개략적 윤활유 회로는 입구측 스크린(41) 및 입구측 스로틀 부재(42)와 출구측 스크린(43) 및 출구측 스로틀 부재(44)를 포함한다. 이 스크린(41, 43) 및 스로틀 부재(42, 44)는 윤활유 회로 내 흐름 조건에 영향을 주기 위한 흐름 부재를 형성한다. 전술한 흐름 부재들은, 캠축 조정기(1)에만 압력을 인가하는 평행한 윤활유 경로에 할당된다.
바람직하게는 흐름 부재들은 캠축 조정기(1) 가까이에 배치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캠축용 베어링 위치 영역에서 캠축 또는 실린더 헤드가 그 흐름 부재들 내부에 통합된다.
스크린(41, 43) 및 스로틀 부재(42, 44)를 통해, 캠축 조정기로 향하는 체적 유량의 스로틀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 스로틀링은 필터 부재(35)의 삽입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필터 부재는 흐름 방향에서 흐름 부재들의 전방에 배치되며, 그에 따라 흐름 부재들은 입자에 의해 막히거나, 시간이 흐르더라도 폐쇄되지 않게 된다.
일정한 흐름 특성을 갖는 흐름 부재들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도, 연속해서, 또는 단계적으로 가변하는 흐름 부재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흐름 특성이 하기와 같이, 즉
- 엔진 속도에 따라,
- 펌프(32)의 송출량과 결부되는 방식으로, 및/또는
- 캠축 조정기(1) 또는 윤활유의 온도에 따라
가변하는 그런 흐름 부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전술한 변화는 기계적인 방식으로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거나, 흐름 부재에 작용하는 적합한 제어 또는 조절 장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흐름 부재의 가변성은 예컨대 윤활유의 체적 흐름이 윤활유의 온도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체적 흐름은, 흐름 부재에 대한 영향에 의해, 윤활유 또는 냉각 소요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작동 영역에 따라 확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흐름 부재가 스로틀 부재(42, 44) 및 스크린(41, 43)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황에 따라 예컨대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보어부 대신에 환상 간극 또는 원형 횡단면이 이용되는 실시예가 적용된다. 왜냐하면, 보어부는 상황에 따라 환상 간극보다 더욱 쉽게 막힐 수 있기 때문이다.
도7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윤활유 공급은 캠축(6)의 복수의 보어부(45)를 통해 이루어지며, 그 보어부들(45)은 종축(21-21) 및 반경 방향 배향에 대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 캠축(6)은 선단 측 블라인드 홀(46)을 포함한다. 이 블라인드 홀은 원추형 챔퍼부(47)를 통해 중심 나사(22)를 수납하기 위한 나사산으로 이 어진다. 보어부들(45)은 챔퍼부(47) 내부로 개방된다. 챔퍼부(47)의 맞은편 단부 영역에서 보어부들(45)은 실린더 헤드(8)의 공급 그루브로부터 윤활유를 공급받는다. 보어부(45)의 거의 중심에는, 도시한 종단면도 상에서 정방형인 기하 구조를 가지면서 반경 방향에서 원형으로 순환하는 홈부(48)가 제공된다.
보어부(45) 및 보어부(46)를 통해 홈부(48)로 공급되는 윤활유 중 일측 부분은 캠축(6)의 보어부로서 홈부(48) 내로 개방되는 축방향 보어부(49)와, 하우징(9)의 보어부로서 일정하게 중첩되지만 반경 방향으로 오프셋 된 축방향 보어부(50)를 통해 기어 구동 장치(2)의 내부 공간부에 도달하고, 윤활 위치, 예컨대 베어링 부재(17), 베어링 부재(14), 경사판(15)의 구름 운동하는 톱니 결합부 및/또는 베어링(19)으로 공급된다.
홈부(48)에 공급되는 윤활유 중 타측 부분은 중공축(16)의 안쪽 외부면과 중심 나사(22)의 바깥쪽 외부면 사이에 형성되고 환형 횡단면을 갖는 흐름 채널(51)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반경 방향 보어부(52)에 도달하고, 윤활 위치, 예컨대 베어링 위치(17) 또는 기어 구동 장치(2)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된다. 홈부(48)는 반경 방향 연장부를 구비하여 형성되고, 이 연장부는 보어부(49)보다 더욱 돌출되며, 그럼으로써 반경 방향의 바깥쪽에서 순환하는 원형의 간극 공간부(37)가 형성된다. 보어부들(49, 50) 사이에는, 반경 방향에서 서로 오프셋 되어 있는 보어부들(49, 50) 사이의 전달을 가능케 하기 위해, 리세스부, 반경 방향 그루브 등의 형태로 전환 영역(53)이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는 보어부들(49, 50)의 형태로, 보어부들이 부분적으로 중첩됨에 따라, 비록 보어부들(49, 50)이 비교 적 큰 직경을 가지며, 그에 따라 대략적 형태의 몰드로 제조될 수 있지만, 적은 전환 횡단면 또는 스크린 횡단면을 갖는 일종의 스크린이 제공될 수 있다.
도7에 상응하는 구성과 상이하게, 도8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중공축(16)의 연장부는, 그 중공축이 홈부(48) 내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보어부(46)의 안쪽 내부면과 홈부를 범위 한정하는 횡방향 평면(55)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 에지부(54)와, 중공축(16)의 바깥쪽 외부면(57)과 중공축(16)의 선단면(58)에 의해 형성되는 에지부(56) 사이에는 보어부(46)에서 홈부(48)로 윤활유를 전달하기 위한 스크린이 형성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상응하는 구성과 상이하게, 도9에 따라 캠축(6)은 홈부(48)를 포함하지 않는다. 보어부들(49, 50) 및 전환 영역(53)은 도9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제공되지 않으며, 그럼으로써 윤활유는 보어부(46)로부터 완전하게 흐름 채널(51)로 공급된다. 정방형의 반쪽 횡단면을 가지면서 반경 방향의 안쪽에서 중심 나사(22)의 외부면과 중공축(16)의 선단면(58)에 의해 범위 한정되는 보어부(46) 내에 형성된 환형 흐름 채널 내에는, 흐름 부재(59)가 배치된다. 이런 흐름 부재는 중심 나사(22) 위쪽에 띠 모양으로 형성되는 예컨대 플라스틱 또는 탄성 중합체 소재의 링일 수 있다. 도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흐름 부재(59)는 거의 T 자 모양의 반쪽 종단면을 갖는다. 그리고 T 자 모양에서 횡방향 다리부는 탄성 압축 하에 반경 방향의 안쪽에서 중심 나사(22)의 외부면에 인접하며, 그에 반해 T 자 모양에서 수직 다리부는 반경 방향에서 외부 방향을 향해 연장되며, 그 다리부의 선단면은 보어부(46)와 함께 환상 간극(60)을 형성하며, 그에 따라 스크린이 제 공된다.
또 다른 구성에 따라, 흐름 부재(59)는 예컨대 반경 방향에서 외부 방향을 향해 보어부(46) 쪽에 예압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환상 간극(60)은 흐름 부재의 내부면과 중심 나사 사이에 형성된다. 그에 따라 예컨대 캠축 또는 중심 나사의 적합한 그루브 내에서 이루어지는 흐름 부재(59)의 형태 결합식의 수납도 생각해 볼 수 있다. 흐름 조건에 영향을 주기 위해 환상 간극(60)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흐름 부재(59)의 윤곽에 대한 임의의 구성은 예컨대 계단식 전환부 또는 연속적인 전환부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10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중공축(16)은 흐름 채널(51)의 영역에 반경 방향에서 원형으로 순환하는 홈부(61)를 갖는다. 이 홈부는 챔퍼부(47)의 방향으로 향해 있는 측면에서 반경 방향에서 내부 방향으로 향하면서 원형으로 순환하는 반경 방향의 돌출부(62)에 의해 범위 한정된다. 돌출부(62)와 중간 나사(22)의 외부면 사이에는 스크린을 나타내는 환상 간극(63)이 형성된다. 홈부(61)는 반경 방향의 바깥쪽에서 간극 공간부(37)를 형성한다. 왜냐하면, 환상 간극(63)뿐 아니라 흐름 채널(51)은 반경 방향의 안쪽에서 간극 공간부(37)로부터 홈부(61) 내로 개방되기 때문이다.
캠축(6)은 실린더 헤드(8)의 윤활유 갤러리로부터 윤활유를 공급받는다. 엔진에 고정된 실린더 헤드(8)로부터 회전하는 캠축(6)으로 이루어지는 윤활유 전달은 대개 공지된 회전형 전달부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런 전달부는 통상적으로 캠축(6)의 바깥쪽 외부면에 제공되는 환상 그루브(64)이다. 환상 그루브(64)는 실린 더 헤드(8)의 대응하는 원통형 외부면(65)에 의해 둘러싸이며, 축방향에서 환상 그루브(64)를 향해 정렬된 관통 보어부(66)가 윤활유 갤러리로부터 상기 원통형 외부면으로 이어진다. 관통 보어부(66)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면(65)을 반경 방향으로 통과하거나, 예컨대 그 외부면에 접하면서 통과할 수 있다.
회전형 전달부는 캠축(6)용 레이디얼 베어링 내에 배치되거나, 별도의 계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별도의 계단부에 배치되는 경우, 반경 방향 간극이 더욱 커짐에 따라 가끔은 실링 링(67, 68), 예컨대 강 실링 링, 주철 실링 링, 플라스틱 실링 링이 요구된다. 그에 반해 캠축(6)의 레이디얼 베어링 내에 회전형 전달부를 배치하는 경우, 베어링 폭이 환상 그루브의 폭만큼 감소하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추가의 실시예에 따라, 환상 그루브들은 실린더 헤드 쪽에, 예컨대 베어링 내에, 베어링 브리지 내에, 또는 삽입된 베어링 부싱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캠축에는 환상 그루브(64)가 필요 없게 된다.
앞서 설명한 회전형 전달부를 이용함에 따라, 원형으로 순환하는 환상 그루브와, 환상 그루브(64)를 보어부(46)와 연통시키는 반경 방향의 보어부들(69)에 의해 실린더 헤드(8)로부터 캠축(6)으로 윤활유 흐름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특별한 구성에 따라, 관통 보어부(66) 및 환상 그루브(64)는 축방향에서 서로에 대해 오프셋 되어 배치되며, 그렇게 함으로써 관통 보어부(66)로부터 환상 그루브(64)로 윤활유가 전달될 때 이미 스로틀 부재가 제공된다. 이런 스로틀 부재의 개구부 횡단면은, 관통 보어부(66) 및 환상 그루브(64) 사이의 축방향 오프셋이 커질수록 더욱 작아진다. 이와 관련하여 관통 보어부(66)의 지름이 비교적 크고, 환상 그루브(64)의 폭이 크더라도 스로틀링 작용이 달성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오염물질 및 제조에 민감한 작은 보어부 또는 그루브는 제조할 필요가 없게 된다.
특별한 추가 구성에 따라, 윤활유 공급은 주기적 윤활유 공급부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런 경우 환상 그루브(64)는 생략되며, 그럼으로써 관통 보어부(66)와 보어부들(69) 사이의 윤활유 연결은 캠축(6)의 위치 중 보어부들(66, 69)이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하거나 중첩부를 포함하는 그런 회전 위치에 대해서만 제공된다. 그리고 증가된 전달 시간이 바람직한 경우라면, 관통 보어부(66)와 보어부(69) 사이의 전환 영역에서, 실린더 헤드(8) 또는 캠축(6)의 외부면은 부분 원주에 걸쳐 연장되는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관통 보어부(66)로부터 보어부(69)로 이루어지는 전달은 그 보어부들(66, 69)이 그루브에 의해 서로 연통되는 길이만큼 오래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그루브의 폭 연장부를 구성함에 따라, 윤활유의 송출은 가변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윤활유의 체적 흐름 및 질량 흐름은 연속적으로 그리고 주기적으로 사전 지정될 수 있다. 또한, 맥동식 윤활유 흐름이 야기될 수 있다. 이런 맥동식 윤활유 흐름은 예컨대 윤활유와 윤활 위치들의 혼합과 그에 따른 윤활 위치들의 습윤화를 개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압력 변동을 가져온다. 또한, 맥동하는 윤활유 흐름으로 인해, 예컨대 스크린 또는 스로틀 부재가 막히는 위험은 감소될 수 있다. 이런 윤활유 맥동이 윤활유 회로 내 맥동 진동을 야기한다면, 윤활유 회로 내에는, 특히 실린더 헤드(8)의 영역, 캠축의 영역, 및/또는 기어 구동 장치의 영역에는 체크 밸브가 배치될 수 있다.
도12는 윤활유가 반경 방향 블라인드 홀(70), 축방향에서 블라인드 홀(70) 내로 개방되는 캠축의 선단측 블라인드 홀(71), 그리고 하우징(9)의 관통 보어부(72)를 통해 기어 구동 장치(2)로 공급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캠축의 보어부(71)와 하우징(9)의 보어부(72) 사이에 원형으로 순환하는 환상 그루브(73)가 제공됨으로써, 조립 시에 보어부들(71, 72)이 서로에 대해 동축으로 배향될 필요가 없게 된다면, 조립은 더욱 간소화될 수 있다.
도13은 본질적으로 도9에 따른 실시예에 상응하지만, 흐름 부재(59)가 제공되지 않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14는 환상 그루브(64)가 종축(21-21) 및 횡축에 대향하여 경사진 보어부(74)를 통해 환상 채널(73)과 직접적으로 연통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15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환상 채널(73) 및 환상 그루브(64)의 직접적인 연통은, 선단면에서 캠축에 제공되고, 환상 그루브(64)로 개방되며, 환상 채널(73)을 통과하는 보어부(75)를 통해 이루어진다.
실린더 헤드 및 캠축 내 흐름 횡단면을 구성하기 위한 구조적인 실시예 이외에도, 기어 구동 장치의 윤활유 회로 내 흐름 조건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런 경우 유입구의 스로틀링은 스로틀 부재 또는 스크린의 이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대체되거나 누적되는 실시예에 따라, 기어 구동 장치의 뒤쪽 밀폐부를 통과하는 유출구의 스로틀링은 예컨대 덮개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덮개판은 조정축과 함께, 특히 0.1 내지 2mm의 간극 높이를 갖는 원형 간극을 형성한다.
그 외에도 기어 구동 장치에 실링 부재들을 구비한 베어링들을 삽입할 수 있 다. 도16에 따라, 중공축(16)과 중심 나사(22) 사이의 환상 채널은 0.2 내지 1mm의 링 폭을 갖는다. 그에 따른 흐름 채널과 기어 구동 장치의 내부 공간부 사이의 반경 방향 연통 보어부는 바람직하게는 0.5와 3mm 사이의 지름을 갖는다. 추가의 영향 또는 스로틀 부재 또는 스크린은 축방향 및/또는 반경 방향 간극(76)의 사전 설정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간극은 구조적으로 사전 설정될 수 있고, 윤활유를 위한 흐름 횡단면 또는 스크린 또는 스로틀 부재를 형성한다.
캠축 조정기(1)의 추가 구성에 따라, 하우징(9)의 바깥쪽 외부면은 균일하게 또는 불균일하게 원주 방향으로 분포될 수 있는 리세스부들 또는 윈도우들(77)을 구비한다. 도17 참조.
도18은 캠축 조정기(1)의 선단면 영역에 리세스부 또는 개구부(78)를 배치하는 것에 대한 추가 가능성을 도시하고 있다. 윤활유가 개구부들(78, 77)을 통해 기어 구동 장치(2)로 공급된다면, 캠축을 통한 윤활유 전달은 생략될 수 있다. 예컨대 윤활유는 윤활유 인젝터를 통해 개구부들(77, 78)로 송출될 수 있다. 이런 윤활유 인젝터는 실린더 헤드에 고정될 수 있거나, 체인 케이스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윤활유 인젝터는 단지 윤활유 보어부일 수 있으며, 그런 윤활유 보어부로부터 미세한 윤활유 빔이 유출된다. 이런 윤활유 빔은 기어 구동 장치의 외부 또는 기어 구동 장치의 내부의 한 지점에서 예컨대 개구부들(77, 78)에 의해 발생한다. 특히 상기 지점은 기어 구동 장치 내부에서 회전축에 가능한 가까이에 위치한다. 회전하는 시스템에서 윤활유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윤활유는 외부 방향을 향해 윤활 위치로, 예컨대 베어링 및/또는 톱니 기어부로 분배된다
추가로 기어 구동 장치 하우징의 개구부들(77, 78)의 배치에 의해, 윤활유는 톱니 기어부 또는 그 외 윤활 위치에 직접 분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윤활유 분사는 또 다른 엔진 부품, 예컨대 체인 또는 텐셔너의 윤활유 공급과 조합되는 점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기어 구동 장치 외부의 한 지점 또는 한 표면에 윤활유를 분사하는 점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런 경우 윤활은 되튀거나 반사되는 윤활유 또는 그로 인해 생성되는 윤활유 미스트에 의해 보장된다.
대체되는 구성에 따라, 윤활유 공급은 체인 케이스 내에 여하히 존재하는 윤활유 미스트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그 윤활유 미스트는 개구부들(77, 78)을 통해 캠축 조정기 내부로 침투할 수 있다.
도20에 따른 윤활유 공급에 대한 추가 구성의 경우, 기어 구동 장치 외부에 흘림판(80)이 제공된다. 그에 따라 흘림판 표면에 윤활유 미스트가 응축되어 방울을 형성하게 된다. 대체되거나 추가되는 실시예에 따라, 특수한 윤활유 방울 노즐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런 윤활유 방울 노즐은 목표한 바대로 개구부들(77, 78)의 방향으로 정렬된다.
윤활유 미스트, 윤활유 방울 또는 윤활유 빔을 이용한 윤활 시에, 윤활유의 온도가 저온이거나, 냉간 시동 조건일 때, 신뢰할 수 있는 수준으로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윤활 위치, 예컨대 미끄럼 베어링 및/또는 기어 톱니부에는 비상 운전 특성이 제공된다. 이런 비상 운전 특성은 예컨대,
- 상대 기능 부품의 코팅에 의해, 또는
- 윤활유 저장부의 장착에 의해
보장될 수 있다. 특히 윤활유 저장부는 윤활 위치에 미시적 또는 거시적 측면에서 소형으로 제공되는 포켓부에 의해 달성된다. 이런 포켓부 내에는 냉간 시동 또는 저온의 윤활유 온도 조건을 위해 윤활유가 저장될 수 있다. 비상 운전 특성의 개선은 바람직하게는 베어링 위치에 가능한 롤러 베어링이 제공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윤활을 위해 오일로 윤활되는 인장 수단(제어 체인)으로부터 떨어지는 오일 방울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런 오일 방울은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과한다. 인장 수단은 상황에 따라 침지 윤활부 또는 분사 윤활부를 통해 윤활되거나, 오일 윤활된 체인 텐셔너 또는 편향 레일로부터 이탈된 오일에 의해 윤활된다. 따라서 체인으로부터 송출된 오일의 일부분은 기어 구동 장치의 구동 기어(스프로킷) 상부에 방울로 떨어지며, 그로 인해 기어 구동 장치의 개구부 중 그 구동 기어 아래 위치하는 개구부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세관 작용을 통해 기어 구동 장치 또는 이 기어 구동 장치 위에 위치하는 흘림 위치로 오일을 송출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예컨대 제어 구동 장치 부품 또는 조정기 부품의 구동 운동으로부터 발생하는 공기 흐름을 통해 오일을 거의 윤활 위치에까지 "송풍"시킬 수도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캠축 조정기
2: 기어 구동 장치
3: 구동 기어
4: 조정 축
5: 출력축
6: 캠축
7: 전동기
8: 실린더 헤드
9: 하우징
10: 실링 부재
11: 실링 부재
12: 커플링
13: 편심 축
14: 베어링 부재
15: 경사판
16: 중공축
17: 베어링 부재
18: 피동 베벨 피니언
19: 베어링
20: 구동 베벨 기어
21: 종축
22: 중심 나사
23: 윤활 위치
24: 윤활 위치
25: 공급 리세스부
26: 흐름 채널
27: 흐름 채널
28: 외부면
29: 외부면
30: 보어부
31: 저장부
32: 펌프
33: 필터
34: 유출구
35: 필터 부재
36: 내부 공간부
37: 간극 공간부
38: 벽부
39: 유출구
40: 유출구
41: 스크린
42: 스로틀 부재
43: 스크린
44: 스로틀 부재
45: 보어부
46: 블라인드 홀
47: 챔퍼부
48: 홈부
49: 보어부
50: 보어부
51: 흐름 채널
52: 보어부
53: 전환 영역
54: 에지부
55: 횡방향 평면
56: 에지부
57: 외부면
58: 선단면
59: 흐름 부재
60: 환상 간극
61: 홈부
62: 돌출부
63: 환상 간극
64: 환상 그루브
65: 외부면
66: 관통 보어부
67: 실링 링
68: 실링 링
69: 보어부
70: 블라인드 홀
71: 블라인드 홀
72: 관통 보어부
73: 환상 간극
74: 보어부
75: 보어부
76: 간극
77: 개구부
78: 개구부
79: 선단면
80: 흘림판
81: 중간 공간부
82: 부분 영역
83: 부분 영역
84: 흐름 채널

Claims (22)

  1. 구동 부재(구동 기어(3))와 피동 부재(캠축(6)) 사이의 상대적인 각도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내연기관용 캠축 조정기(1)이며, 상기 구동 부재(구동 기어(3))와 상기 피동 부재(캠축(6))는 기어 구동 장치(2)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흐름 채널(26, 27)을 관류하는 윤활유 흐름을 통해 윤활이 이루어지는 캠축 조정기(1)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흐름은, 상기 캠축 조정기(1)의 흐름 채널(26) 내부에 삽입되는 스크린 또는 스로틀 부재를 형성하는 흐름 부재(59)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흐름 부재는 기어 구동 장치(2)로 유입되는 윤활유의 입구 영역에 배치되고, 그리고/또는 기어 구동 장치(2)로부터 유출되는 윤활유의 출구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흐름 부재(59)는 상기 흐름 채널(26)과 형태 결합식, 마찰 결합식 또는 재료 결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정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흐름 부재(59)는 플라스틱 또는 탄성중합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정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흐름 채널(26)은 상기 흐름 부재(59)가 삽입되는 영역에서 환형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흐름 채널(26)은 선단면에서 캠축(6)에 나사 체결되는 중심 나사(22)의 외부면과 캠축에 고정되는 내부면(블라인드 홀(46))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정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흐름 부재(59)는 반경 방향으로 탄성적이어서 반경 방향의 압축 조건에서 흐름 채널(26)의 경계부 쪽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정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흐름 방향에서 흐름 부재(59) 상류에 필터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정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흐름 부재는 윤활유의 흐름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횡단면 변경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정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흐름 부재는 윤활유의 흐름 방향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횡단면 변경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정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흐름 부재가 연이어 직렬로 배치되거나, 병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정기.
  12. 구동 부재(구동 기어(3))와 피동 부재(캠축(6)) 사이의 상대적인 각도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내연기관용 캠축 조정기(1)이며, 상기 구동 부재(구동 기어(3))와 상기 피동 부재(캠축(6))는 기어 구동 장치(2)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흐름 채널(26, 27)을 관류하는 윤활유 흐름에 의해 윤활이 이루어지는, 특히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캠축 조정기(1)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흐름은 흐름 부재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상기 흐름 부재의 흐름 특성은 내연기관의 작동 중에도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흐름 부재의 흐름 특성은 온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정기.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흐름 부재의 흐름 특성은 회전 속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정기.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흐름 부재는 완전하게 밀폐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정기.
  16. 제14항 및/또는 제15항에 있어서, 흐름 부재의 흐름 특성은 캠축(6), 캠축 조정기(1) 또는 기어 구동 장치(2)의 회전에 의해 운동 제어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정기.
  17. 구동 부재(구동 기어(3))와 피동 부재(캠축(6)) 사이의 상대적인 각도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내연기관용 캠축 조정기(1)이며, 상기 구동 부재(구동 기어(3))와 상기 피동 부재(캠축(6))는 기어 구동 장치(2)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흐름 채널(26, 27)을 관류하는 윤활유 흐름을 통해 윤활이 이루어지는, 특히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캠축 조정기(1)에 있어서,
    중심 나사(22)와 캠축(6)의 선단측 중앙 리세스부(블라인드 홀(46)) 사이에 중공 원통형 중간 공간부(81)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 공간부의 제1 부분 영역(82)은 제1 흐름 채널(84)을 형성하고,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2 부분 영역(83) 내에는 제2 흐름 채널(51)을 형성하면서 중공축(16)이 배치되고,
    제2 흐름 채널(51)은 상기 제1 흐름 채널(84)보다 더욱 작은 흐름 횡단면을 가지며,
    중공축(16)과 중심 나사(22) 사이, 또는 중공축(16)과 캠축(6) 사이의 제1 흐름 채널(84) 내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62)에 의해 스크린 또는 스로틀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정기.
  18. 구동 부재(구동 기어(3))와 피동 부재(캠축(6)) 사이의 상대적인 각도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내연기관용 캠축 조정기(1)이며, 상기 구동 부재(구동 기어(3))와 상기 피동 부재(캠축(6))는 기어 구동 장치(2)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흐름 채널(26, 27)을 관류하는 윤활유 흐름에 의해 윤활이 이루어지는, 특히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캠축 조정기에 있어서,
    중심 나사(22)와 캠축(6)의 선단측 중앙 리세스부(블라인드 홀(46)) 사이에는 중공 원통형 중간 공간부(81)가 형성되며,
    상기 캠축(6)은 반경 방향 홈부(48)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공간부(81)는 제1 부분 영역(82)에서 제1 흐름 채널(84)을 형성하고,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2 부분 영역(83)에, 그리고 상기 홈부(48)로부터 반경 방향의 안쪽에 상기 중심 나사(22)를 둘러싸는 중공축(16)이 배치되며,
    상기 홈부(48)와 상기 제1 흐름 채널(84)은, 상기 중공축(16)의 선단면(58)과 캠축(6)의 안쪽 외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스크린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정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48)는 반경 방향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간극 공간부(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정기.
  20. 구동 부재(구동 기어(3))와 피동 부재(캠축(6)) 사이의 상대적인 각도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내연기관용 캠축 조정기(1)이며, 상기 구동 부재(구동 기어(3))와 상기 피동 부재(캠축(6))는 기어 구동 장치(2)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회전하는 캠축(6)의 구조 부재 중 실린더 헤드에 고정되는 구조 부재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유 흐름에 의해 윤활이 이루어지는, 특히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캠축 조정기에 있어서,
    실린더 헤드에 고정되는 상기 구조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관통 보어부(66))를 포함하고, 상기 캠축(6)은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보어부(69))를 포함하며, 상기 유출구(관통 보어부(66))에서 상기 유입구(보어부(69))로 형성되는 전달 영역 내에는, 상기 유입구(보어부(69)) 및 상기 유출구(관통 보어부(66))가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배치됨으로써 스로틀 부재 또는 스크린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정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 및 상기 유출구 중 일측 개구부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루브로서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 및 상기 유출구 중 타측 개구부는 보어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정기.
  22.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어 구동 장치(2)는 경사판식 구동 장치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정기.
KR1020087014252A 2005-12-15 2006-11-28 캠축 조정기 KR1013695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59860.9 2005-12-15
DE102005059860A DE102005059860A1 (de) 2005-12-15 2005-12-15 Nockenwellenversteller
PCT/EP2006/068964 WO2007068576A1 (de) 2005-12-15 2006-11-28 Nockenwellenverste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651A true KR20080079651A (ko) 2008-09-01
KR101369570B1 KR101369570B1 (ko) 2014-03-04

Family

ID=37734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4252A KR101369570B1 (ko) 2005-12-15 2006-11-28 캠축 조정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04439B2 (ko)
EP (1) EP1963628B1 (ko)
JP (1) JP2009519402A (ko)
KR (1) KR101369570B1 (ko)
CN (1) CN201215030Y (ko)
DE (1) DE102005059860A1 (ko)
WO (1) WO20070685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749B1 (ko) * 2014-02-04 2015-07-31 삼보모터스주식회사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장치용 감속기의 오일통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10644A1 (de) 2008-02-22 2009-08-27 Schaeffler Kg Nockenwellenversteller und Nockenwelle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DE102008010645A1 (de) 2008-02-22 2009-08-27 Schaeffler Kg Nockenwellenversteller und Nockenwelle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DE102009051310A1 (de) * 2009-10-29 2011-05-05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Befestigungsanordnung eines Nockenwellenverstellers
WO2012150077A1 (de) * 2011-05-02 2012-11-08 Magna Powertrain Ag & Co Kg Vorrichtung zur schmierung
DE102013220220B4 (de) 2013-10-08 2020-06-1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ockenwellenverstellvorrichtung
DE102013220221B4 (de) 2013-10-08 2020-12-0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ockenwellenverstellvorrichtung
DE102014210360B4 (de) 2014-06-02 2017-11-2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ockenwellenverstellvorrichtung
CN107208505B (zh) * 2015-02-20 2019-11-12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凸轮轴调相器
JP2017120049A (ja) * 2015-12-28 2017-07-06 株式会社クボタ シリンダヘッド冷却構造
JP6769253B2 (ja) * 2016-11-14 2020-10-1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弁開閉時期制御装置
WO2019224787A2 (en) * 2018-05-23 2019-11-28 Cummins Inc. System and method for a captive sprocket in an engine
IT201800009788A1 (it) * 2018-10-25 2020-04-25 Edi Bondioli Giunto omocinetico grandangolare con serbatoio di lubrificante
CN109373037B (zh) * 2018-11-14 2024-03-26 宁波太平洋电控系统有限公司 一种带有凸轮轴润滑结构的中央阀阀套
DE102019101257A1 (de) 2019-01-18 2020-07-2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ntiltrieb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mit einer variablen Nockenwellensteuerung
CN111940197B (zh) * 2020-06-28 2022-09-06 惠州市富美真空镀膜有限公司 喷涂加工生产线
DE102020121608A1 (de) 2020-08-18 2022-02-2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ockenwellenverstelleinheit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 Nockenwellenverstelleinhei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203921D0 (en) * 1992-02-24 1992-04-08 Perkins Ltd Variable timing gear device
DE19848706A1 (de) * 1998-10-22 2000-04-27 Schaeffler Waelzlager Ohg Vorrichtung zur Relativverdrehung einer Nockenwelle gegenüber einer diese Nockenwelle antreibenden Kurbelwelle einer Brennkraftmaschine
US6328006B1 (en) 1999-03-23 2001-12-11 Tcg Unitech Aktiengesellschaft Device for adjusting the phase angle of a camshaft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1107709A (ja) 1999-10-06 2001-04-17 Unisia Jecs Corp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DE10038354C2 (de) 2000-08-05 2003-03-20 Atlas Fahrzeugtechnik Gmbh Steuereinrichtung zum Verstellen des Drehwinkels einer Nockenwelle
DE10205034A1 (de) 2002-02-07 2003-08-21 Daimler Chrysler Ag Vorrichtung zum geregelten Verstellen der relativen Drehlage zwischen einer Kurbelwelle und einer Nockenwelle
JP3937164B2 (ja) 2002-04-19 2007-06-27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DE10222475A1 (de) 2002-05-22 2003-12-04 Atlas Fahrzeugtechnik Gmbh Getriebe mit zwei ineinander angeordneten Drehscheiben, die durch eine Taumelscheibe miteinander verbunden sind
DE10224446A1 (de) 2002-06-01 2003-12-11 Daimler Chrysler Ag Vorrichtung zur relativen Winkelverstellung zwischen zwei rotierenden Elementen
JP3986371B2 (ja) * 2002-06-07 2007-10-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US7089897B2 (en) * 2002-07-11 2006-08-15 Ina-Schaeffler Kg Electrically driven camshaft adjuster
DE10248355A1 (de) * 2002-10-17 2004-04-29 Ina-Schaeffler Kg Nockenwellenversteller mit elektrischem Antrieb
DE102004062067B4 (de) 2004-12-23 2017-06-0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orrichtung zur Veränderung der Steuerzeiten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04062035A1 (de) 2004-12-23 2006-07-27 Schaeffler Kg Vorrichtung zur Veränderung der Steuerzeiten einer Brennkraftmas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749B1 (ko) * 2014-02-04 2015-07-31 삼보모터스주식회사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장치용 감속기의 오일통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04439B2 (en) 2012-01-31
DE102005059860A1 (de) 2007-07-05
US20080264365A1 (en) 2008-10-30
EP1963628A1 (de) 2008-09-03
WO2007068576A1 (de) 2007-06-21
JP2009519402A (ja) 2009-05-14
EP1963628B1 (de) 2015-01-07
CN201215030Y (zh) 2009-04-01
KR101369570B1 (ko) 201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9570B1 (ko) 캠축 조정기
US8141526B2 (en) Camshaft adjuster
JP4982503B2 (ja) カムシャフト調整器
KR100235587B1 (ko) 회전축의 윤활구조
WO2007068611A1 (en) Camshaft adjuster
US20090133650A1 (en) Valve timing control apparatus
US7832369B2 (en) Device for modifying the control time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585416A (ja) ラツシユアジヤスタ給油装置
JPH11303615A (ja) 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装置付きエンジン
RU2469795C1 (ru) Центробежный сепаратор со смазоч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EP1865159A2 (en) A shaft mounting device for an engine
GB2276667A (en) I.c.engine rocker valve gear
JP3748007B2 (ja) エンジンのオイルリリーフ構造
CN111691945A (zh) 润滑油供给构造
KR102516048B1 (ko) 캠샤프트에 윤활제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
KR100580723B1 (ko) 오일 릴리프 밸브
KR19990018324U (ko) 캠 샤프트의 오일 공급 구조
KR19990020867U (ko) 윤활성을 개선한 캠샤프트
KR19980065924U (ko) 기포 형성 저감형 오일팬 구조
JPH08200022A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KR19980058564U (ko) 자동차의 오일펌프 스트레이너
KR19990030455U (ko) 오일의 기포제거를 위한 실린더 블록과 오일팬의 내부구조
JPH08159385A (ja) シリンダ注油装置
JPS5985412A (ja) 内燃エンジンのオイルレギユレ−タ
KR19980085753A (ko) 엔진의 오일 공급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