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8918A - 실리콘 수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실리콘 수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8918A
KR20080078918A KR1020087018131A KR20087018131A KR20080078918A KR 20080078918 A KR20080078918 A KR 20080078918A KR 1020087018131 A KR1020087018131 A KR 1020087018131A KR 20087018131 A KR20087018131 A KR 20087018131A KR 20080078918 A KR20080078918 A KR 20080078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e resin
acid
resin
continuous
sodium silic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8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8872B1 (ko
Inventor
까멜 랑다니
엘렌 보시
세바스티앙 로멜
니꼴라 뒤랑
Original Assignee
블루스타 실리콘즈 프랑스
상뜨르 나쇼날 드 라 러쉐르쉬 샹띠피끄 (쎄엔알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스타 실리콘즈 프랑스, 상뜨르 나쇼날 드 라 러쉐르쉬 샹띠피끄 (쎄엔알에스) filed Critical 블루스타 실리콘즈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080078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87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06Preparatory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01B33/14Colloidal silica, e.g. dispersions, gels, sols
    • C01B33/141Preparation of hydrosols or aqueous dispersions
    • C01B33/142Preparation of hydrosols or aqueous dispersions by acidic treatment of silicates
    • C01B33/143Preparation of hydrosols or aqueous dispersions by acidic treatment of silicates of aqueous solutions of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06Preparatory processes
    • C08G77/08Preparatory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2Poly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4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08G77/1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to hydroxyl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ilic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일반적인 분야는 실리콘 수지의 합성, 보다 특히 MQ 유형의 실리콘 수지의 합성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MQ 실리콘 수지의 제조에 관한 것이고 산 (C)의 존재 하에 수성 매질 중에 규산나트륨 (B)의 중합 단계에서 작동 조건을 더욱 잘 조절하도록 하여 실리카 하이드로솔 (폴리규산)을 형성한다. 중축합 단계 중에서, 상기 반응물, 규산나트륨 및 산은 10 kW/m3 초과의 단위 부피 당 전력 ε 를 제조하는 하나 이상의 집중 혼합 도구 (M)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연속 방식으로, 동적으로 혼합되어 혼합물 (3)을 형성한다.
실리콘 수지

Description

실리콘 수지의 제조 방법 {PROCESS FOR PREPARING A SILICONE RESIN}
본 발명의 일반적인 분야는 실리콘 수지의 합성, 특히 MQ 유형 실리콘 수지의 합성 분야이다.
수지는 3-차원 구조를 갖는 비교적 저분자량의 중합체이다. 이들은 다수의 용도를 가지고 소포제, 이형 첨가제, 페인트 첨가제로서 자착식 접착제 (self-adhesive) (필 접착력 (peel strength)을 개질하기 위함)의 분야 및 다수의 기타 분야에서, 다수의 산업에 영향을 주면서 적용된다. 실록산 수지는 시판되는 제품으로서, 접착제 및 소포성 제품과 같은 실리콘-기재 제품의 제조에 이용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수지는 1가 실록실 단위 (M) 및 4가 단위 (Q)의 존재로 인해 용어 "MQ 수지"로 때때로 표시된다.
이들은 제조 동안 중합체로 도입되는 3작용성 T 또는 4작용성 Q 단위의 양에 따라 좌우되는 매우 다양한 구조를 갖는다. 실리콘 화학 용어법에서, 실록산 단위 M, D, T 및 Q 는 하기와 같이 정의되는 것이 상기된다:
Figure 112008052952544-PCT00001
MQ 수지의 골격은 Q 단위의 공급원인 액체 실리케이트를 중축합시키고, 이어서 여기에 M 단위의 공급원인 1작용성 클로로실란을, 중축합되지 않은 실라놀 작용기의 가수분해에 의해 그래프트 (graft)시킴으로써 생성된다.
MQ 실리콘 수지의 합성은 폴리규산의 형성에 의해 제 1 단계에서 일어난다. 규산나트륨 및 염산 사이의 가수분해 반응은 실리콘 수지의 합성 방법의 제 1 단계이다. 이러한 단계는 반응성 또는 비-반응성 단위가 이어서 그래프트된 폴리규산의 거대분자의 형성에 의해 상기 수지의 골격을, 이에 특정 성질을 제공하면서, 짓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거대분자에 그래프트될 수 있는 기는 다양하고 수지의 사용 성질과 관련된다.
비-반응성기의 유형 중에서, 하기가 언급될 수 있다:
- 비점착성, 소수성 및 표면 경도의 근원인 메틸기; 및
- 온도 저항성, 고온 유연성 및 유기 제품과의 양립성을 제공하는 페닐기.
반응성 기 (적용시 가교 결합가능하게 함)의 유형 중에서, 하기가 언급될 수 있다:
- 촉매의 존재 하 또는 알칼리 매질 중에 주변 온도에서 축합에 의해 가교 결합할 수 있게 하는 히드록실기;
- 수분의 존재 하 및 주변온도에서 히드록실기로 가수분해하는 알콕시기; 및
- 백금의 존재 하에 첨가 반응에 의해 적당한 온도 (moderate temperature)에서 반응하는 비닐기.
이러한 수지는, 용매의 부재 하에서 고체이고 백색 외관이고 자일렌, 톨루엔 또는 백유 중, 또는 실리콘유 중의 용매상에서 취급된다. 용액 또는 분말 형태에서, 이러한 화합물은 대신 윤활제 역할을 하는 실리콘유와 같지 않게 점착성리다.
공지된 실리콘 수지 합성 방법은 배치 (batch) 방법으로서, 즉, 우선 규산나트륨을 묽은 염산의 "바닥 (bottoms)"을 넘어 적절한 반응기 안으로 흘려주어 폴리규산 (PSA)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단계는 일반적으로 반-봉합 모드 (semi-sealed mode)에서 작동하는 교반 반응기에서 수행된다.
다음으로, 알코올의 첨가에 의해 중합 반응을 느리게 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켄칭 (quenching) 단계). 다음으로, 상기 기능화 수지를 추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유기 용매가 이어서 작동된다. 상기 기능화는 가변수의 염소 및 알킬기를 포함하고, 폴리규산의 잔여 실라놀 작용기와 반응하는, 클로로실란을 삽입함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기능화는, 사용되는 클로로실란의 선택을 통하여, 상기 수지의 적용 성질을 목표로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시, 새로운 용매를 삽입하여 유기상에서 상기 수지의 추출을 종결시켰다. 이러한 용매의 보충적인 첨가는 수상으로부터 유기상 (수지를 포함함)을 경사분리하기 좋게 하려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가수분해 단계가 수행된 후 잔여 실라놀 작용기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촉진 단계가 임의로 수행될 수 있다. 잔여 실라놀 작용기의 소비를 야기하는 수산화칼륨 용액을 넣는다. 과량의 수산화칼륨은 일반적으로 산, 예를 들어 인산을 매질에 첨가함으로써 중성화되고, 전체 혼합물은 여과된다.
이러한 방법의 예는 예를 들어 특허 US 2676182 (Daudt 등) 및 US 2814601 (Currie 등)에 기재된다.
그러나, 중축합 단계 동안에, 규산나트륨을 산 바닥에 넣는 것은 산업 스케일에서 수행하기에는 까다로운 단계이다. 늦지 않게 일어나는 약간의 변화, 온도 및 반응물의 농도는 형성되는 폴리규산의 품질, 최종 수지의 골격에 대한 심각한 결과를 갖는다. 이는 상기 합성을 수행하기 위한 조건에 따라, 국지화된 겔, 또는 심지어 매질의 설정이 반응기 내에서 관찰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단계는 최종 수득된 수지의 품질에 있어서 결정적인 요인이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은 제조된 MQ 수지의 배치 당 사소한 가변성을 갖지 않고 단지 반응물을 넣는 것에 대한 흐름 속도 및 반응물의 양과 같은 작동 매개 변수에 약간의 유연성을 제공한다. 게다가, 이들은 저분자량의 MQ 수지를 제조하는 가능성에 관하여 유연성을 부여하지 않는다.
더욱 최근에, 특허 출원 EP 1113036는 하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실리콘 수지의 연속적 제조를 위한 방법을 기재한다:
a) 산의 존재 하에, 수성 매질 내에 실리카졸을 빠르게 형성하기 위한 규산 나트륨의 연속 중합 후에, 알코올의 첨가에 의한 연속적 켄칭 단계; 및
b) 물/유기 용매 반응 혼합물에서 오르가노실란의 첨가에 의한 연속적인 캡핑 (capping) 단계.
또한 이러한 참고는 중축합 반응이 규산나트륨의 인라인 (in-line) 주입된 관형 반응기 또는 루프 (loop) 반응기에서 연속적으로 수행된 후, 다운스트림 (downstream) 단계가 밀봉된 반응기에서 수행되는, "반-연속" 배열을 기재한다. 실리카졸의 분자량은 반응 온도 및 반응물: 규산나트륨/산의 체류 시간에 따라 좌우된다는 것이 제시된다. 따라서, 저점성도 수지의 합성은 규산나트륨/산 반응물의 짧은 체류 시간 (1분 미만)을 확실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렇지 않다면, 보다 고분자량 수지의 합성에 있어서, 폴리규산의 제조를 위해 추천된 체류 시간은 1 내지 5분이다. 폴리규산의 합성에 필요한 반응물의 체류 시간과 관련되는 이러한 제한을 달성할 수 있게 하는 기재된 반응기의 예는 하기이다:
- 여러 단계를 갖는 교반 컬럼 (Scheibel 유형 컬럼, 바람직한 배열, 각각의 단계는 방법 중 하나의 단계에 대응됨);
- 스태틱 믹서 (static mixer)를 포함하는 관형 반응기 (플러그-흐름 (plug-flow) 스태틱 믹서 반응기), 및
- 규산나트륨의 주입과 함께 염산이 순환하는 루프 (채워진 플러그-흐름 반응기).
저점성도 수지를 원하는 경우, 기재된 방법이 중합 반응을 위해 켄칭제 (알코올)의 빠른 첨가를 요구하는 것이 주지되어야만 하고, 이는 폴리규산의 너무 높 은 중축합 및 따라서 점성도의 빠른 증가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수득한 MQ 수지의 점성도를 조절하기 위한 다른 레버 (lever)는 기능화 단계 동안에 작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 2 및 4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간단히 기재한 방법이 상기 설명된 어려움에 대한 만족스러운 기술적 해결을 제공하지만, 그러나, 특히 폴리규산의 형성을 야기하는 중축합 단계의 작동 조건의 조절에 관하여 개선을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기재된 방법 및 선행 기술의 방법이 산업 수준에 대한 큰 유연성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인데, 그 이유는 폴리규산의 형성을 야기하는 중축합 단계 동안에, 흐름 속도 및 농도를 조심스럽게 조절하여 반응 매질이 겔로서 설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한된 수치 범위 내에 몰비 [규산나트륨의 SiO2/산]를 유지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또한 pH에서의 임의의 변화, 심지어 더욱 작은 변화는 중축합 반응의 평형 조건을 개질할 수 있음이 공지된다. 게다가, 규산나트륨은 농도 현상에 극도로 민감하여, 결과적으로, 반응물의 흐름 속도의 임의 변화, 심지어 더욱 작은 변화는 매질 중 실리케이트의 희석을 개질할 수 있다.
발명의 목적
이러한 상황 하에, 본 발명의 주요 목적 중 하나는 실리콘 수지를 제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 특히 MQ 유형 실리콘 수지를 합성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수성 매질 내 및 산 (C)의 존재 하에 규산나트륨 (B)의 중합 단계의 작동 조건을 더욱 잘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실리카 하이드로솔 (폴리규산)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 방법은 반응 매질 내 반응물의 농도 및 pH 에 대한 민감성과 관련된 결점을 겪어야만 하지 않고, 규산나트륨 (B)의 중합 단계 동안에 반응물의 농도 및 흐름 속도에 관하여 보다 큰 유연성을 제공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반응을 조절하면서 규산나트륨 (B)의 중합 단계 동안에 반응물 농도의 넓은 범위 내에서 저점성도, 중점성도 및 고점성도를 갖는 수지를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방법의 유연성은 산업적 수행 동안에 중요한 이점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 명세서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의 간단한 설명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발명자들은 반응 시스템은 빠른 방법, 표준 혼합 조건에 의해 생성된 pH 경도 및 농도에 의해 크게 방해되는 그 방법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장점을 가졌다.
상당히 놀랍게 그리고 예상외로, 수성 매질 내 및 산 (C)의 존재 하에 실리카 하이드로솔 (폴리규산)을 형성하기 위한 규산나트륨 (B)의 중합, 특히 연속 중합 동안에, 이 중축합 단계의 반응물 혼합의 품질 및 속도를 적당하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기재된 한계 (constraint)가 없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 논의된 것은 발명자에게 명예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인해, 중축합 단계 동안에 반응물 (규산나트륨 (B) 및 산 (C))을 더욱 큰 농도 범위로 작용하는 것이 이제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축합 단계는 반응 혼합물의 pH 에 대하여 덜 민감하고, 상기 방법에 더욱 큰 유연성을 제공하는 반면에, 비-집중 혼합 도구를 이용하는 선행 기술에 따른 방법에 대하여, 이 기준은 제한적이다.
실리콘 수지, 특히 MQ 유형 실리콘 수지의 제조 동안에 규산나트륨의 연속 중축합 단계 동안에 10 kW/m3 초과의 전력 밀도 ε를 소비하는 집중 혼합 도구의 이용에 관한 선행 기술이 없기 때문에, 이는 모든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현재, 2개 이상의 액체를 혼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장 통상적인 기술 중 하나는 임펠러 (impeller), 터빈 또는 다른 유형의 기계적 교반기로 장착된 반응기를 이용하는 것 및 상기 반응기에 반응물을 주입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기계적 교반에 의해 소비된 에너지로 인해, 점성도가 시간에 따라 빠르게 증가하는 규산나트륨 (B)의 중합, 특히 연속 중합의 경우에 적절하지 않고, 빠르고 복잡한 반응을 수행하기에 충분히 짧은 미세혼합 시간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ㄹ.
규산나트륨의 연속 중합 단계에 필수적인 반응물을 혼합하기 위한 특허 출원 EP 1113036에 사용되는 믹서에 의해서는, 1초 미만의 혼합 시간을 얻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나머지 중에서도 특히 이러한 목적은 우선 하기 단계 a)를 포함하는 실리콘 수지 (A)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 수성 매질 내 및 산 (C)의 존재 하에 실리카 하이드로솔 (폴리규산)을 형성하기 위한 규산나트륨 (B)의 중합, 바람직하게는 연속 중합으로 이루어진 단계 a),
상기 방법은 하기를 특징으로 한다:
- 수상에서 규산나트륨 (B)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유체 (1) 및 산 (C)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유체 (2)는 연속 동적 혼합에 의해 혼합되고, 상기 스트림은 단일 지점에서 서로 만나서 10 kW/m3 초과, 바람직하게는 20 kW/m3 초과,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0 kW/m3 < ε < 106 kW/m3 의 전력 밀도 (power density) ε 를 소비하는 하나 이상의 집중 혼합 도구 (M)을 이용하는 혼합물 (3)을 형성함;
- 혼합물 (3)은 집중 혼합 도구의 출구에서 회수됨; 및
- 중합 반응은 반응기 ( R1 ) 내에서 혼합물 (3)과 함께 연속되어 실리카 하이드로솔 (폴리규산)을 형성함.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이 하나의 과학적 이론에 제한되기를 바라지 않고, 폴리규산의 형성은 하기 2개의 반응 (1) 및 (2)에 의해 설명될 수 있고, 단순화된 형태의 이 반응은 따라서 하기에 요약될 수 있다:
Figure 112008052952544-PCT00002
상기 반응 (1) (옥소늄 이온의 형성)은 빠른 반응 (더욱 1초 미만)이지만, 상기 반응 (2) (중축합 반응)는 보다 느리다. 그러나, pH, 반응 매질의 반응물의 농도 및 탈중축합 (depolycondensation) 현상에 대한 민감성과 관련된 다른 복잡한 평행-동시발생 반응 및/또는 연속-동시발생 반응은 반응의 전체적인 균형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폴리규산의 제조에 참여하는 특정 반응의 특징적인 시간보다 짧은 시간 내에 반응물을 혼합함으로써 상기 기재된 한계가 없도록 할 수 있음이 놀랍게도 발견되었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출원인은 규산나트륨의 연속 중합 동안에 폴리규산의 제조에 참여하는 특정 반응의 특징적인 시간보다 짧은 시간 내에 집중 혼합 도구를 이용하여 2개의 반응물 유체 (규산나트륨 및 산을 개별적으로 포함함)의 혼합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바람직하게, 상기 집중 혼합 도구 (M)은 선택되어 집중 혼합 도구 (M)에서 유체 (1)(2)의 혼합 체류 시간 t1을 0.1초 이하, 바람직하게 0.0001초 ≤ t1 ≤ 0.1초로 수득할 것이다.
집중 혼합 도구 (M)은 주로 이러한 크기 (주입 채널 (channel), 혼합 챔버 (chamber))의 축소화 및 그 내부 구조화에 의해 통상적인 혼합 도구 (교반 탱크, Kenics 또는 Sulzer 유형의 스태틱 믹서, 루프 반응기 등)와 구별된다. 이러한 2개의 특징으로 인해 2개의 유체의 혼합이 수행되는 경우 높은 전력 밀도가 소비되게 된다. 집중 혼합 도구 (M)의 예로서, 자유로운 젯트의 충돌에 의해 작동되는 믹서 (즉, 믹서의 벽과 젯트의 접촉 없이)인 접선흐름-젯트 (tangential-jet) 믹서 및 로터-스테이터 (rotor-stator) 유형 믹서를 언급할 수 있다. 이러한 리스트는 제한적이지 않고, 결과적으로 10 kW/m3 초과의 전력 밀도 ε를 소비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반응성 유체를 혼합하도록 적합화된 임의 유형의 집중 혼합 도구는 본 발명의 의미 내에 적절할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집중 혼합 도구 (M)은 접선흐름-젯트 믹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모드에 따라, 각 반응물의 흐름 속도는 완전히 반대이지만, 약간 오프셋 (offset) 방식으로 믹서로 도입되는 2개의 스트림으로 나뉘어진다. 반응물의 주입 채널은 주입구의 몇 밀리미터 길이에 걸쳐서 작은 직경 (0.5 내지 5 mm)을 갖고, 출구 채널은 직경을 3 내지 10 mm으로 갖는다.
비교에 의해, 특허 출원 EP 1113036에 기재된 것과 같은 Schiebel-유형 컬럼과 조합된 스태틱 믹서에서, 소비된 전력은 5 kW/m3 을 초과할 수 없고 결과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믹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집중 혼합 도구로서 적합하지 않다.
상기 규산나트륨 (B)는 일반적으로 수용액의 형태로 집중 혼합 도구 (M)으로 도입되고, 이 수용액에서 SiO2 중량 함량은 5% 내지 70%, 바람직하게 5% 내지 20%로 변화한다.
상기 규산나트륨 (B)는 일반적으로 SiO2/Na2O 몰 비를 2 이상, 바람직하게 2.5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 3.0 이상으로 갖는다.
상기 산 (C)는 규산나트륨 (B)의 중합을 유도하여 폴리규산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정한 구현예에 따르면, 산 (C)는 혼합물 (3)의 pH가 바람직하게는 2가 되도록 첨가된다.
(C)의 예로서, 하기가 언급될 수 있다:
- 하기와 같은 무기산: 염산, 질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 황산, 인산, 설폰산, 카르본산 및 그의 혼합물; 및
- 하기와 같은 유기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포름산, 벤조산, 살리실산, 세바크산, 아디프산, 디카르복실산, 올레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그의 혼합물.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산 (C)는 하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염산, 질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 황산, 인산, 설폰산 및 그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산 (C)는 염산 (HCl)이다.
상기 산 (C)는 일반적으로 수용액 형태로 집중 혼합 도구 (M)으로 도입되고, 이 수용액에서 산의 중량 농도는 5 내지 99%, 바람직하게 5 내지 35%,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로 변화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몰 비: 규산나트륨 (B)로부터 SiO2/HCl은 0.2 내지 2.0, 바람직하게 0.6 내지 1.4이다.
다른 특정한 구현예에 따르면, 수상에서 규산나트륨 (B) 및 산 (C)를 각각 포함하는 유체 (1)(2)를 혼합하기 위한 조건이 선택되어, 하기를 포함하는 혼합물 (3)이 수득된다:
- 50 내지 95중량%, 바람직하게 75 내지 95중량%의 물;
- 1 내지 25중량%, 바람직하게 1 내지 15중량%의 규산나트륨 (B); 및
- 0.5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 2 내지 10중량%의 산 (C).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중합 반응이 반응기 ( R1 ) 내에 혼합물 (3)과 함께 연속되어 실리카 하이드로솔 (폴리규산)을 형성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켄칭 단계를 시작하기 위한 보다 큰 래티튜드 (latitude)를 제공하여 알코올 (D)의 첨가에 의해 중합 반응을 늦추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모드에 따르면, 혼합물 (3)의 중합 반응의 체류 시간 t2는 120분 이하, 바람직하게 t2 ≤ 60분, 더욱 바람직하게 1초 ≤ t2 ≤ 10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단계 a) 후에 혼합물 (3)에 첨가되는 것, 바람직하게 연속 첨가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보충 단계 b')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수지 (A)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서 변화를 제공하는 것이다.
- 추출 용매로서 하나 이상의 알코올 (D), 및
- 하나 이상의 오르가노실리카 화합물 (E) 및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액체 (F): 유기 용매, 실록산 유체 및 그의 혼합물.
따라서, 상기 알코올 (D)는, 알코올 (D), 오르가노실리카 화합물 (E) 및 액체 (F)가 혼합물 (3)에 실질적으로 동시에 또는 동시에 첨가되기 때문에, 추출 용매로서 작용한다.
실리콘 수지 (A)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이러한 변화는 이제 중축합 단계가 본 발명에 따른 집중 혼합 도구 (M)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경우 가능하다. 이는 특히 산업 수행에 관한, 실리콘 수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수득된 수지의 명세서에서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단계 a) 후에 알코올 (D)의 첨가, 바람직하게 연속 첨가에 의해 중합 반응을 늦추는 것 (켄칭 단계)으로 이루어진 보충 단계 b)가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알코올 (D)의 예는 예를 들어, 수용성 및 극성 유기 화합물 예컨대 유기 알코올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이소부탄올, 이소프로판올 (IPA), n-부탄올, n-프로판올, 글리콜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 및 그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알코올 (D)는 C1-C12 알코올이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 상기 알코올은 이소프로판올, 메탄올, 에탄올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알코올 (D)는 순수한 반응 매질 또는 수용액 중의 반응 매질에 첨가되는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9중량%의 알코올의 함량으로 첨가된다.
특정한 구현예에 따르면, 중합 단계 [단계 a)] 및 켄칭 단계 [단계 b)]는 0℃ 내지 75℃, 바람직하게 15℃ 내지 40℃, 더욱 더 바람직하게 15℃ 내지 25℃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단계 b) 후에 오르가노실리카 화합물 (E) 및, 유기 용매, 실록산 유체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액체 (F)의 첨가, 바람직하게는 연속 첨가로 이루어진 보충 기능화 (캐핑 (capping)) 단계 c)가 수행된다.
오르가노실리카 화합물 (E)의 예는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의 실리카 화합물이다:
R(4-n)SiZn
식 중:
- n은 1, 2 또는 3이고;
- Z기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각각 할로겐, 바람직하게 염소, 히드록실, 알콕시, 바람직하게 C1-C8 알콕시, 또는 -OSiR1 3 기를 나타내고, 및
- R 및 R1 라디칼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각각 수소 원자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계 1가 라디칼, 지방족, 시클릭 또는 방향족을 나타낸다.
오르가노실리카 화합물 (E)의 예로, 하기 화합물이 언급될 수 있다: 트리메틸클로로실란, 페닐디메틸클로로실란, 트리메틸에톡시실란, 트리메틸이소프로폭시실란, 톨릴메틸디클로로실란, 헥사메틸디실록산, 디메틸클로로실란, 페닐트리클로로실란, 헥사메틸디실록산, 테아릴트리클로로실란, 모노톨릴실록산, 트리에틸클로로실란, 에틸디메틸클로로실란, 테트라메틸디실록산, 트리플루오로톨릴메틸디클로로실란, 클로로페닐디메틸클로로실란, 메틸디비닐클로로실란 및 그의 혼합물.
오르가노실리카 화합물 (E)의 양은 선택된 화합물의 성질에 따라 변화한다.
일반적으로, 실리카 하이드로솔 (폴리규산)에 함유된 SiO2 단위 1 mole 당 오르가노실리카 화합물 (E)를 0.1 mol 내지 3.0 mol, 바람직하게 0.5 mol 내지 1.5 mol의 양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MQ 수지가 수용성이고 알코올 (D)가 비교적 불용성인 액체 (F)의 예로서, 예를 들어 헥사메틸디실록산, 톨루엔, 자일렌, 헵탄, 옥탄 및 이소데칸과 같은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및 그의 혼합물이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액체 (F)의 양은, 예를 들어 5 내지 75중량%, 바람직하게 20 내지 40중량%이다.
특정한 구현예에 따라, 기능화 단계 c)는 25℃ 내지 100℃, 바람직하게 40℃ 내지 85℃, 더욱 더 바람직하게 75℃ 내지 85℃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기능화 단계를 위한 체류 시간은 5분 이상이다. 이 단계 동안에, pH 는 바람직하게 7 미만, 바람직하게 1 내지 6, 더욱 더 바람직하게 0 내지 4이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구현예에 따르면, 단계 b' 또는 c) 후에 상기 반응 매질을 2개의 상: 실리콘 수지 (A) 및 상기 액체 (F)를 포함하는 수상 및 유기상으로 분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보충 단계 d)가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단계 d) 후에, 상기 유기상을 단리하고 상기 액체 (F)를 제거하여 (스트리핑 (stripping) 단계) 상기 수지 (A)를 단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보충 단계 e)가 수행된다. 상기 스트리핑 기술은 당업자에게 잘 공지되어서 따라서 상세한 설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 유기상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 방법, 예를 들어 배치 모드로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경사법 기술에 의해 단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지 (A)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 방법에 의해 여과될 수 있다.
특히 유리한 변화에 따르면, 단계 d) 후에 실리콘 수지 (A)의 잔여 실라놀기의 양이, 상기 액체 (F)를 제거하여 상기 수지 (A)를 단리하는 동안 감소되는 보충 단계 e')는 수행된다.
바람직하게, 실리콘 수지 (A)의 잔여 실라놀기의 양은 알칼리 금속 촉매의 존재 하에 잔여 실라놀기의 축합 또는, 실라잔(들) 또는 할로겐화 실란 유도체(들)의 존재 하에 잔여 실라놀기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감소된다.
알칼리 금속 촉매의 예로서 예를 들어, NaOH, LiOH 및 KOH는 언급될 수 있다. 바람직한 알칼리 금속 촉매는 KOH이다.
실라잔의 예로서, 예를 들어 헥사메틸디실라잔 또는 트리메틸클로로실란과 같은 할로겐화 실란 유도체가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특정 표현법이 사용되었다. 그럼에도,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특정 표현법의 이용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개질, 개선 및 완성은 특히 당업자에 의해 그 자신의 일반적 지식을 기준으로 계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세부 사항 또는 이점은 하기 제공된 실시예의 관점에서 단지 제시의 방법으로 보다 명백하게 나타날 것이다.
실험 섹션
실시예  1: 본 발명 - 접선흐름 - 젯트 집중 혼합 도구를 이용하여 수행된 중축합 단계에서의 MQ OH 실리콘 수지의 제조:
1-1)  M/Q 비가 0.8인 MQOH 수지를 하기 설명에 따른 연속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20℃에서, 물 중 50중량%의 규산나트륨 (용액 A) (실리케이트의 SiO2 함량은 30중량%이고, SiO2/Na2O 몰 비는 3.3임), 및 18중량%의 HCl을 포함하는 염산 수용액 (용액 B) 의 반응을 0.85의 SiO2/HCl 몰 비로 수행하였다. 상기 반응을 40 kg/h 및 20 kg/h의 용액 A 및 용액 B의 각각의 흐름 속도를 가지고, 소비된 전력이 100 kW/m3이고 혼합 시간 t1이 5 ms (0.005초)인 접선흐름-젯트 집중 혼합 도구 (M)에서 수행하였다. 각각의 반응물의 흐름을 완전히 반대이지만, 약간 오프셋 방식으로 믹서에 도입된 2개의 스트림으로 나누었다. 반응물의 주입 채널은 주입구의 몇 밀리미터의 길이에 걸쳐서 약 1 mm의 직경을 가졌고, 출구 채널은 약 4 mm의 직경을 가졌다. 상기 반응물의 온도는 20℃였다. 상기 반응의 생성물, 폴리규산은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에 의해 중량 평균분포로 특징지어졌다.
1-2) 폴리규산의 부분적인 스트림을 20℃로 유지된 피스톤 반응기 ( R1 )에 직접 보냈다. 본 발명의 폴리규산의 흐름 속도는 4.5 kg/h였다. 반응기 ( R1 ) 내 중축합 단계의 체류 시간 t2는 3분이었다. 샘플을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위해 치웠다.
1-3)  상기 폴리규산을, 이소프로판올 및 클로로실란의 혼합물 [(CH3)3SiCl] 이 도입되고, 각각의 흐름 속도가 1 kg/h 및 0.6 kg/h인 연속 완전 교반 반응기로 보냈다. 또한 자일렌을 0.9 kg/h의 흐름 속도로 이 반응기에 도입시켰다. 상기 반응기를 75℃에서 유지하였다. 상기 반응기 내 체류 시간은 20분이었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연속 경사기로 보냈다. 경사기 내의 온도를 75℃로 유지하였고, 체류 시간은 20분이었다. 이어서 상기 유기상을 연속 모드로 액화시켜 자일렌에서 60%의 고체를 포함하는 최종 수지를 수득하였고, 잔여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였다. 상기 최종 수지는 60% 고체에서 12 센티푸아즈의 점성도 및 2.4중량%의 실라놀 함량을 가졌다.
단계 1-1)에서, 실리케이트 및 산 사이의 반응은 20℃에서 수행되었음이 관찰되었는데, 즉,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10℃ 미만의 온도로 반응기를 유지할 필요가 없고, 이것은 산업 수행에 있어서 유리하다.
단계 1-3)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클로로실란으로서 이소프로판올을 동시에 첨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변화를 허용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지금까지 당업계에 공지되지 않은 상기 변화는, 산업 수행에 대하여 보다 큰 유연성을 가능 하게 한다.
실시예  2: 본 발명 - 접선흐름 - 젯트 집중 혼합 도구로 수행된 중축합 단계에서의 MQ OH 실리콘 수지의 제조:
2-1) 실시예 1의 단락 1-1)에 기재된 작동 절차를 반복한 후,
2-2) 상기 반응 매질을 20℃에서 유지된 완전 교반 배치-유형 반응기 ( R'1 )로 보냈다. 반응기 ( R'1 ) 내의 중축합 단계에서의 체류 시간 t2는 3분이었다.
2-3) 다음으로, 이소프로판올 (흐름 속도 1 kg/h) 이어서 클로로실란 [(CH3)3SiCl]을, 흐름 속도 0.6 kg/h로 도입하였다. 이어서 자일렌을 흐름 속도 0.9 kg/h로 이 반응기에 도입하였다. 상기 반응기의 온도를 1시간에 걸쳐서 75℃로 올린 후, 1시간 동안 이 온도에서 유지하였다. 상기 교반을 중단하고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유기상을 경사 분리하였다.
상기 유기상을 이어서 액화시켜 자일렌 중 60% 고체를 포함하는 최종 수지를 수득하였다. 상기 최종 MQOH 수지는 60% 고체에서 10센티푸아즈의 점성도 및 2.7중량%의 실라놀 함량을 가졌다.
실시예  3:  중축합 단계에서 반응물의 농도의 함수로서 중량-평균 분자량의 변화
3-1)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하에, 그러나 단계 1-1)로부터의 반응물의 농도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연속적인 시험을 수행하였다 (집중 도구로 혼합함). 피스톤 반응기 ( R1 ) 및 집중 혼합 도구 (M)의 출구에서 수득된 폴리규산은 크기- 배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기술에 의해 특징지어졌다 (결과는 표 1 참조). 중합체의 평균 중량은 변화하지 않았고 (또는 아주 조금), 폴리스티렌 동등물에서 약 9000 g/l이었다. 피스톤 반응기 R2의 출구에서, 평균 분자량은 1100 g/mol이었다. 상기 기능화 단계에서, [(CH3)3SiCl]/[실리케이트로부터의 SiO2]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였고 1.8과 동등하였다. 수득된 최종 수지는 점성도 및 실라놀 %가 동일하였다. 자일렌의 양을 조정하여 60중량%의 수지를 포함하는 최종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3-2)  비교 시험 1로서, 상기 실리케이트를 4 kW/m3의 전력을 소비하고, 20℃에서 유지되는, 배치 유형 ( R'1 )의 완전 교반 반응기에서 HCl의 바닥에 넣었다. 샘플을 삽입 (running-in) 방법의 마지막에 분석을 위해 치웠다 (3분).
3-3)  비교 시험 2로서, 실시예 3-1)과 동일한 조건 하이지만, 비집중 혼합 도구 (특허 출원 EP 1 113 036 에 기재된 루프 반응기)를 이용하여 수행된 연속 시험을 반복하였다.
[표 1]
Figure 112008052952544-PCT00003
폴리규산 (PSA)의 중량-평균 분자량 (Mw)을 폴리스티렌에 관한 중량으로 표현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집중 혼합 도구의 출구에서, HCl 농도가 크게 변화하는 경우에도 일정한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규산을 수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음을 관찰하였다. 이것은 약 116%의 변화가 고찰된 극한의 한계 범위에서 관찰되었던 비교 시험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게다가, 동일한 체류 시간 (3분)에도, 상기 집중 혼합 도구는 비교예에서 보다 더 낮은 중량-평균 분자량의 폴리규산을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73% 차이).
[표 2]
Figure 112008052952544-PCT00004
규산나트륨의 SiO2 농도가 변화하는 경우에 동일한 관찰이 적용된다.
실시예  4
물 중 50중량%의 규산나트륨 (용액 A) (SiO2/Na2O 몰 비가 3.4이고 실리케이트의 SiO2 함량이 26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케이트), 및 16.5중량%의 HCl을 포함하는 염산 수용액 (용액 B)을 1의 SiO2/HCl 몰 비로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을 접선흐름-젯트 집중 혼합 도구 (M) (본 발명, 혼합시간 t1이 5 ms 이고 소비된 전력이 100 kW/m3임) 또는 비-집중 혼합 도구 (특허 출원 EP 1 113 036의 실시예 4에서 기재된 반응기와 유사한 기술이고, 소비된 전력 < 5 kW/m3이고, 소비된 전력은 약 2 kW/m3인 루프 반응기, 비교 시험)에서 변화되는 각각의 용액 A 및 용액 B의 흐름 속도로 수행하였다. 반응물의 온도는 20℃였다.
[표 3]
Figure 112008052952544-PCT00005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집중 혼합 도구의 출구에서, HCl 흐름 속도가 변화하는 경우에서도 일정한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규산을 수득하는 것이 가능함이 관찰된다. 이는 고찰된 극한 한계의 범위에서 약 30%의 변화가 관찰된 비교 시험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집중 혼합 도구의 출구에서, 작동 조건에 따라, 수득된 중량-평균 분자량은 더욱 낮았고 (65% 및 32%), 이는 비-집중 혼합 도구에 따른 점성도보다 더 낮은 점성도를 갖는 수지의 합성을 가능하게 했다.
실시예  5:  접선흐름 - 젯트 집중 혼합 도구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중축합 단계에서의 낮은 점성도의 MQ OH 실리콘 수지의 제조
5-1)  M/Q 비율이 0.8인 MQOH 수지를 하기 명세서에 따른 연속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물 중 50중량%의 규산나트륨 (용액 A) (실리케이트의 SiO2 함량은 30중량%이었고 SiO2/Na2O 몰 비는 3.3이었음), 및 18중량%의 HCl을 포함하는 염산 수용액 (용 액 B)의 반응을 0.85의 SiO2/HCl 몰 비로 20℃에서 수행하였다. 상기 반응을 소비된 전력이 100 kW/m3이고 혼합 시간 t1이 5 ms (0.005 s)인 접선흐름-젯트 집중 혼합 도구 (M)에서 각각의 용액 A 및 용액 B의 흐름 속도 40 kg/h 및 20 kg/h로 수행하였다. 각각의 반응물의 흐름을 완전히 반대이지만, 약간 오프셋 방식으로 믹서로 도입된 2개의 스트림으로 나누었다. 상기 반응물의 주입 채널은 주입구의 몇 밀리미터의 길이에 걸쳐서 약 1 mm의 직경을 가졌고, 출구 채널은 약 4 mm의 직경을 가졌다. 상기 반응물의 온도는 20℃였다. 상기 반응의 생성물, 폴리규산을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에 의해 평균 중량 분포로 특징화하였다.
5-2) 폴리규산의 부분적인 스트림을 연속적 완전 교반 반응기에 보냈고, 이소프로판올 및 클로로실란의 혼합물 [(CH3)3SiCl]을 도입하였고, 각각의 흐름 속도는 1 kg/h 및 0.6 kg/h이었다. 또한 자일렌을 이 반응기에 흐름 속도 0.9 kg/h로 도입하였다. 상기 반응기를 75℃로 유지하였다. 상기 반응기 내의 체류 시간은 30분이었다. 이어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연속 모드로 작동하는 경사기로 보냈다. 경사기 내의 온도를 75℃로 유지하였고, 체류 시간은 20분이었다. 이어서 상기 유기상을 연속 모드에서 액화하여 자일렌에서 60% 고체를 포함하는 최종 수지를 수득하였고, 잔여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였다. 상기 최종 수지는 60% 고체에서 5.8 센티푸아즈의 점성도 및 2.4중량%의 실라놀 함량을 가졌다.
실시예  6:  접선흐름 - 젯트 집중 혼합 도구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중축합 단계 에서의 M Vi Q 실리콘 수지 ( Vi  = 비닐)의 제조:
6-1)  M Vi Q 수지를 하기 설명에 따른 연속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물 중 50중량%의 규산나트륨 (용액 A) (실리케이트의 SiO2 함량은 30중량%이었고 SiO2/Na2O 몰 비는 3.3이었음), 및 18중량%의 HCl을 포함하는 염산 수용액 (용액 B)의 반응을 0.85의 SiO2/HCl 몰 비로 수행하였다. 상기 반응을 소비 전력이 100 kW/m3이고 혼합 시간 t1이 5 ms (0.005 s)인 접선흐름-젯트 집중 혼합 도구 (M)에서, 용액 A 및 용액 B의 각각의 흐름 속도 40 kg/h 및 20 kg/h로 수행하였다. 각각의 반응물의 흐름을 완전히 반대이지만, 약간 오프셋 방식으로 믹서로 도입된 2개의 스트림으로 나누었다. 상기 반응물의 주입 채널은 주입구의 몇 밀리미터의 길이에 걸쳐서 약 1 mm의 직경을 가졌고, 출구 채널은 약 4 mm의 직경을 가졌다. 반응물의 온도는 20℃이었다. 상기 반응의 생성물, 폴리규산을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에 의해 평균 중량 분포로 특징화하였다.
6-2) 폴리규산의 부분적인 스트림을 연속적 완전 교반 반응기에 보냈고, 이소프로판올 및 클로로실란의 혼합물 [(CH3)3SiCl 및 (CH2)(Vi)SiCl2, 식 중, Vi = 비닐]을 도입하였고, 각각의 흐름 속도는 1 kg/h 및 1.2 kg/h이었다. 또한 자일렌을 이 반응기에 흐름 속도 0.9 kg/h로 도입하였다. 상기 반응기를 75℃로 유지하였다. 상기 반응기 내의 체류 시간은 30분이었다. 이어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연속 모드로 작동하는 경사기로 보냈다. 경사기 내의 온도를 75℃로 유지하였고, 체류 시간은 20분이었다. 이어서 상기 유기상을 연속 모드에서 액화한 후, 수산화칼륨을 공급하여 실라놀 함량을 감소시켰다. 상기 최종 수지는 60% 고체에서 9.5 센티푸아즈의 점성도 및 0.2중량%의 실라놀 함량 및 3중량%의 비닐 함량을 가졌다.

Claims (12)

  1. 하기 단계 a)를 포함하는 실리콘 수지 (A)의 제조 방법:
    - 수성 매질 내, 산 (C)의 존재 하에 규산나트륨 (B)를 중합, 바람직하게는 연속 중합시켜, 실리카 하이드로솔 (폴리규산)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단계 a),
    상기 방법은 하기를 특징으로 함:
    - 수상에서 규산나트륨 (B)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유체 (1) 및 산 (C)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유체 (2)를 연속 동적 혼합에 의해 혼합하고, 상기 스트림은 단일 지점에서 서로 만나서 10 kW/m3 초과, 바람직하게는 20 kW/m3 초과 및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0 kW/m3 < ε < 106 kW/m3 의 전력 밀도 (power density) ε 를 소비하는 하나 이상의 집중 혼합 도구 (M)을 이용하여 혼합물 (3)을 형성함,
    - 혼합물 (3)을 집중 혼합 도구의 출구에서 회수함; 및
    - 중합 반응은 반응기 ( R1 ) 내에서 혼합물 (3)과 함께 연속되어 실리카 하이드로솔 (폴리규산)을 형성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집중 혼합 도구 (M)에서의 유체 (1)(2)의 혼합 체류 시간 t1을 0.1초 이하, 바람직하게는 0.0001초 ≤ t1 ≤ 0.1초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수지 (A)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혼합물 (3)의 중합 반응의 체류 시간 t2가 120 분 이하, 바람직하게는 t2 ≤ 60분,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초 ≤ t2 ≤ 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수지 (A)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a) 후에, 하기를 혼합물 (3)에 첨가, 바람직하게는 연속 첨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보충 단계 b')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수지 (A)의 제조 방법:
    - 추출 용매로서 하나 이상의 알코올 (D), 및
    - 하나 이상의 오르가노실리카 화합물 (E), 및 유기 용매, 실록산 유체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액체 (F).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 후에, 알코올 (D)의 첨가, 바람직하게는 연속 첨가에 의해 중합 반응을 늦추는 것 (켄칭 (quenching) 단계)으로 이루어진 보충 단계 b) 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수지 (A)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단계 b) 후에, 오르가노실리카 화합물 (E), 및 유기 용매, 실록산 유체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액체 (F)의 첨가, 바람직하게는 연속 첨가로 이루어진 보충 기능화 (캐핑 (capping)) 단계 c) 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수지 (A)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F)가 헥사메틸디실록산, 톨루엔, 자일렌, 선형 탄화수소계 화합물 및 분지형 탄화수소계 화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수지 (A)의 제조 방법.
  8. 제 4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b') 또는 c) 후에, 반응 매질을 실리콘 수지 (A) 및 상기 액체 (F)를 포함하는 유기상 및 수상인 2개의 상으로 분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보충 단계 d)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수지 (A)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단계 d) 후에, 상기 유기상을 단리하고 상기 액체 (F) 를 제거하여 (스트리핑 (stripping) 단계) 상기 수지 (A)를 단리하는 보충 단계 e)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수지 (A)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A)를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수지 (A)의 제조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단계 d) 후에, 상기 액체 (F)를 제거하는 동안 실리콘 수지 (A)의 잔여 실라놀기의 양이 감소되어 상기 수지 (A)를 단리하는 보충 단계 e') 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수지 (A)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실리콘 수지 (A)의 잔여 실라놀기의 양이, 알칼리 금속 촉매의 존재 하에 잔여 실라놀기를 축합하거나, 또는 실라잔(들) 또는 할로겐화 실란 유도체(들)의 존재 하에 잔여 실라놀기를 반응시킴으로써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수지 (A)의 제조 방법.
KR1020087018131A 2005-12-23 2006-12-19 실리콘 수지의 제조 방법 Active KR101008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13236A FR2895410B1 (fr) 2005-12-23 2005-12-23 Procede de preparation d'une resine silicone
FR0513236 2005-1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918A true KR20080078918A (ko) 2008-08-28
KR101008872B1 KR101008872B1 (ko) 2011-01-20

Family

ID=36836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8131A Active KR101008872B1 (ko) 2005-12-23 2006-12-19 실리콘 수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951895B2 (ko)
EP (1) EP1976909B1 (ko)
JP (1) JP4972103B2 (ko)
KR (1) KR101008872B1 (ko)
CN (1) CN101460543B (ko)
FR (1) FR2895410B1 (ko)
PL (1) PL1976909T3 (ko)
WO (1) WO20070716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3063A1 (ko) * 2016-11-18 2018-05-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가수분해된 알킬 폴리실리케이트의 합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04953B (zh) * 2009-11-23 2011-10-26 株洲时代电气绝缘有限责任公司 一种含碳oh基的有机硅树脂合成方法
CN102161765B (zh) * 2011-01-11 2012-09-19 广东达美新材料有限公司 一种有机硅树脂及其制备方法
DE102011078544A1 (de) 2011-07-01 2013-01-03 Wacker Chemi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rganopolysiloxanen
US20150105529A1 (en) * 2012-05-23 2015-04-16 Dow Corning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Silicone Resins
US9732191B2 (en) 2014-01-08 2017-08-15 Dow Corning Corporation Method for capping MQ-type silicone resins
CN105906810B (zh) 2016-04-26 2019-08-06 广东标美硅氟新材料有限公司 一种有机聚硅氧烷树脂的制备方法
UA115857C2 (uk) * 2017-08-30 2017-12-26 Олександр Михайлович Мартиненко Спосіб одержання гідрогелю метилкремнієвої кислоти з властивостями супрамолекулярних структур і гідрогель, одержаний цим способом
CN108865053B (zh) * 2018-08-01 2021-01-29 深圳日高胶带新材料有限公司 一种耐高低温导电有机硅压敏胶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9553773B (zh) * 2018-10-31 2021-08-13 济南雅达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甲基mq树脂及其制备方法
CN110982073A (zh) * 2019-12-25 2020-04-10 四川晨光博达新材料有限公司 一种制备单一分子量mq硅树脂的方法
CN112430329B (zh) * 2020-11-27 2022-11-22 成都博达爱福科技有限公司 一种合成丙烯酰氧基mq硅树脂的方法
CN112898572B (zh) * 2021-02-01 2022-02-22 江西蓝星星火有机硅有限公司 一种分子量及羟基含量可控的mq树脂的制备方法
DE102021106369A1 (de) 2021-03-16 2022-09-22 Universität Rostock Pulverbett-3D-Druckverfahren zur Herstellung elastischer Formkörper aus Siliconen und für das Verfahren geeignetes Siliconharz-haltiges Pulver
CN113150281B (zh) * 2021-04-14 2022-02-01 深圳市康利邦科技有限公司 一种mq硅树脂及其制备方法、一种硅胶底涂剂
CN113321809B (zh) * 2021-06-28 2022-08-05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窄分子量分布的mq树脂制备方法
CN114230795B (zh) * 2022-01-14 2023-05-26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低功率连续制备可控高分子量mq树脂的方法
CN116769165A (zh) * 2023-05-18 2023-09-19 广州盛祺宇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连续生产mq硅树脂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76182A (en) 1950-09-13 1954-04-20 Dow Corning Copolymeric siloxanes and methods of preparing them
US2814601A (en) 1954-04-29 1957-11-26 Dow Corning Organopolysiloxane adhesive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containing same
DE2103243C3 (de) * 1971-01-25 1979-01-11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weitgehend kugelförmigen, Kieselsäure enthaltenden Hydrogelen
FR2770151B1 (fr) * 1997-10-28 2001-06-22 Atochem Elf Sa Procede et dispositif pour le micromelange de fluides en continu et leur utilisation, notamment pour des reactions de polymerisation
US6072012A (en) * 1998-12-31 2000-06-06 Dow Corning Corporation Ultra-high molecular weight, soluble siloxane resins
EP1113036B1 (en) * 1999-12-28 2005-12-21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inuous process for producing a silicon resin
FR2840546B1 (fr) * 2002-06-07 2005-02-25 Atofina Procede pour melanger en contenu dynamiquement au moins deux fluides et micromelangeu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3063A1 (ko) * 2016-11-18 2018-05-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가수분해된 알킬 폴리실리케이트의 합성방법
US10647820B2 (en) 2016-11-18 2020-05-12 Lg Chem, Ltd. Method for synthesizing pre-hydrolyzed alkyl polysilic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60543A (zh) 2009-06-17
EP1976909A1 (fr) 2008-10-08
US7951895B2 (en) 2011-05-31
FR2895410A1 (fr) 2007-06-29
CN101460543B (zh) 2011-10-05
PL1976909T3 (pl) 2019-10-31
EP1976909B1 (fr) 2019-05-15
JP2009531469A (ja) 2009-09-03
FR2895410B1 (fr) 2008-03-21
KR101008872B1 (ko) 2011-01-20
JP4972103B2 (ja) 2012-07-11
US20090093605A1 (en) 2009-04-09
WO2007071690A1 (fr) 200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8872B1 (ko) 실리콘 수지의 제조 방법
US5169920A (en) Method for preparing diphenylsiloxane/dimethylsiloxane copolymers
JP5356604B2 (ja)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の製造法
US5391673A (en) Silicon resin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US6069220A (en) Continuous method for producing polyorganosiloxanes
JP4834101B2 (ja) 有機ポリシロキサンの製造方法
KR20080026188A (ko) 폴리실록산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850548A (zh) 制备有机聚硅氧烷的方法
WO2020175159A1 (ja) 無機酸化物粒子、無機酸化物粒子分散液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面修飾剤の製造方法
EP1113036B1 (en) Continuous process for producing a silicon resin
US5527873A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silicone resins
US4876373A (en)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opolysiloxane having terminal alkenyl groups
US5013808A (en) Method of preparing alkoxy silane and a silicone containing resin
EP2358790A1 (en) Preparation of siloxanes
CN100528936C (zh) 水解/缩合卤代硅烷以合成羟基化聚有机硅氧烷的方法,以及用于实施该方法的装置
US8765986B2 (en) Method for continuous hydrosilylation
US9175138B2 (en) Method for producing organopolysiloxanes
Huang et al. Synthesis of MQ silicone resins through hydrolytic condensation of ethyl polysilicate and hexamethyldisiloxane
JPS60172991A (ja) クロロシランの加水分解方法
CN115212824B (zh) 一种用于生产高粘度107胶的系统
US10246559B2 (en) Method for preparing silicone resins containing hydroxy groups and alkoxy groups
EP1069129A2 (en) Organofunctional cocyclic siloxanes
JPH08151445A (ja) シラノール基を有するオルガノシラン又はシロキサン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7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