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7387A - 고형물의 유압 또는 공압 이송용 파이프라인 - Google Patents

고형물의 유압 또는 공압 이송용 파이프라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7387A
KR20080077387A KR1020087015894A KR20087015894A KR20080077387A KR 20080077387 A KR20080077387 A KR 20080077387A KR 1020087015894 A KR1020087015894 A KR 1020087015894A KR 20087015894 A KR20087015894 A KR 20087015894A KR 20080077387 A KR20080077387 A KR 20080077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ll thickness
coupling flange
bend
wea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렉산더 에쎄르
Original Assignee
에쎄르-베르케 게엠베하 운트 코. 케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쎄르-베르케 게엠베하 운트 코. 케이지 filed Critical 에쎄르-베르케 게엠베하 운트 코. 케이지
Publication of KR20080077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73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52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52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 B65G53/523Wea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16L43/001Bends; Siphons made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16L57/06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against 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Earth Drill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Abstract

파이프라인(1)은 일직선의 파이프 피스(2) 및 만곡된 파이프 굽힘부(3)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내부 파이프(5, 22), 외부 파이프(6, 23) 및 말단의 2중층 커플링 플랜지(7, 16, 17)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 플랜지는 커플링 홈(10)을 가진 외부 링 컬러(9, 20, 21)와 내부 마모 링(8, 18, 19)로 구성된다. 섹션 내에서 차례대로 형성되는 상기 파이프 굽힘부(3) 및/또는 파이프 피스(2)는 회전식 조인트와 파이프 커넥터로서 작동되는 스플릿 커플링(4)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배출부 측면 상에서 파이프 굽힘부(3)의 커플링 플랜지(17) 내의 마모 링(19)은 원주에 대해 상이한 벽 두께를 가지는 반면, 파이프 피스(2)의 커플링 플랜지(7) 내의 및 유입부 측면에서 커플링 플랜지(16) 내의 마모 링(18)은 원주에 대해 균일한 벽 두께를 가진다. 배출부 단부(end)에서 파이프 굽힘부(3)의 커플링 플랜지(17) 내의 마모 링(19)의 벽 두께는 곡률 중심(28)에 근접한 원주 부분(circumferential section)에서보다 파이프 굽힘부(3)의 곡률 중심(28)에서 멀리 떨어진(distal) 원주 부분에서 더 큰 크기를 가진다.

Description

고형물의 유압 또는 공압 이송용 파이프라인{PIPELINE FOR THE HYDRAULIC OR PNEUMATIC TRANSPORT OF SOLIDS}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의 전제부의 특징들에 따라서 고형물들을 유압적으로 또는 공압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파이프라인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유형의 파이프라인은 특히 이동식 콘크리트 펌프와 협력하는 콘크리트-분배 장치로서 널리 쓰인다. 상기 파이프라인의 핵심 사항은 파이프라인의 최대 높이, 최대 폭, 접이부(folding)의 유형 및 특히 칸틸레버 암(cantilever arm)의 개수이다.
실제 경험에 의하면, 표준화된 내부 이송 횡단면과 그 결과 사전 결정된 외부 형상 및 커플링 플랜지의 수치(dimension)의 경우, 파이프 굽힘부에 부착된 일직선 파이프 피스가 유입부 측면 상에서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근접한 파이프 굽힘부의 커플링 플랜지 내의 마모 링의 마모 용적(wear volume)은 이동되는 또는 이송되어야 하는 고형물들을 위해 충분히 크게 유지될 수 없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DE 195 00 953 C3호는 더 큰 벽 두께 영역들 을 가진 마모 링을 제공하도록 제안하며, 상기 마모 링에서 파이프 굽힘부의 축들은, 곡률 중심에 근접한 영역들에 비해, 말단의(terminal) 커플링 플랜지들 사이에서 파이프 중간 부분들의 곡률 중심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열된다. 여기서 마모 링의 상대적으로 큰 벽 두께는 인접한 단부 부분들에서 파이프 중간 부분들의 벽 두께에 상응한다.
상기 공지된 제안은 예를 들어 DE 40 10 556 A1호의 파이프 굽힘부에 비해 파이프 굽힘부의 작동 수명이 현저하게 더 길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어 왔다.
특히, 콘크리트-분배 장치와 같은 파이프라인의 실제적인 적용분야에 의하면, 2개의 연속적인 파이프 굽힘부 영역에서 특히 반대방향으로 90°각도를 이룰 때 및 부착된 파이프 피스들에서 마모 문제가 존재한다. 하지만 이러한 파이프 피스들과 파이프 굽힘부의 상기 연속적인 형상은 한 작업 현장으로부터 또 다른 작업 현장으로 재배치하기 위해 콘크리트-분배 장치를 해체할 때(collapsing) 필요하다. 고형물들이 2 x 90°로 편향되기 때문에, 마모 링의 최대 벽 두께를 가진 원주 영역(peripheral region)은 그 다음의 파이프 굽힘부의 최소 벽 두께의 원주 영역에 정확하게 접하게 되며(abut), 이는 2개의 파이프 굽힘부가 결합될 때(coupled) 상이한 벽 두께로 인한 마모 링들이 편심 배열(eccentricity)되기 때문이다.
작동 과정 동안, 2개의 파이프 굽힘부 및/또는 한 파이프 굽힘부와 파이프 피스의 결합 영역에서, 스플릿 커플링이 비교적 종종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플릿 커플링 영역에서 파트(part)들이 마모되기 때문에 간격(clearance)이 증가됨 에 따라, 상기 간격은 결합 영역들 내에서 점차 증가된다. 이 사실로 인해, 한 파이프 굽힘부로부터 그 다음 파이프 굽힘부로 또는 한 파이프 피스로부터 그 다음 파이프 피스로의 전이 영역(transition zone)에서 마모 링의 벽 두께의 오프셋 배열(offset)은 점진적으로 증가되며, 심지어 더 많이 마모된다.
종래 기술의 상태(state)로부터, 본 발명은, 근접한 파이프 피스들 뿐만 아니라 또 다른 파이프 굽힘부에 힌지연결되어 결합될 수 있는 연속적인 파이프 굽힘부 영역에서, 작동 수명을 현저하게 연장시키도록, 고형물들을 유압적으로 또는 공압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파이프라인을 제공하려는 목적에 기초한다.
상기 목적의 해결사항은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들에 따른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의 중요한 사실은 파이프라인 내에 일체 구성된 파이프 굽힘부를 위해 사전 결정된 이송 방향을 정확하게 수립하는 데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상기 파이프 굽힘부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없는, 화살표와 같은 각각의 식별기(identification)를 가진 파이프 굽힘부를 제공함으로써 구현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이송 방향에서 고형물들을 위한 유입부 측면 상에서 파이프 굽힘부의 커플링 플랜지 내의 마모 링들 및 파이프 피스의 커플링 플랜지 내의 마모 링들은 전체 원주에 대해 균일한 벽 두께를 가진다. 마모 링들의 길이축들은 파이프 굽힘부 축들과 파이프 피스들의 길이축들에 대해 동축으로 연장된다. 반대로, 이송 방향에서 배출부 측면 상에서 파이프 굽힘부들의 커플링 플랜지들의 마모 링들은 원주에 대해 가변적인 벽 두께를 가진다. 이들은 파이프 굽힘부 축들에 대해, 곡률 중심에 근접한 원주 영역에서보다 파이프 굽힘부들의 곡률 중심에서 더 멀리 떨어진 원주 영역에서 더 큰 벽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 결과, 배출부 측면 상에서 커플링 플랜지 내의 마모 링들의 내부 횡단면의 길이축들은 곡률 중심에 대한 방향에서 마모 링들의 외부 횡단면들의 길이축들에 대해 오프셋 배열된다. 달리 언급하면, 중심 영역에 배치된(centered) 마모 링들은 유입부 측면 상에서 파이프 피스들과 파이프 굽힘부들의 커플링 플랜지 내에 제공되며, 편심 배열된(eccentric) 마모 링들은 배출부 측면 상에서 커플링 플랜지 내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이프 굽힘부의 배출부 측면 상에서 원주에 대해 가변적인 벽 두께를 가진 마모 링은 원주에 대해 균일한 벽 두께를 가진 마모 링을 가진 파이프 굽힘부에 접하게 되는(abut) 이점을 가진다. 이런 방식으로, 파이프 굽힘부의 배출부 측면 상에서 높은 마모성에 노출된 영역들은 파이프 굽힘부 또는 파이프 피스들의 마모되는 영역들에 실질적으로 결합되는(adjoining) 각각의 상대적 위치에 일치될 수 있다(conformed).
이에 따른 효과는 종래의 파이프라인에 비해 대략 30% 정도 더 높게 평가될 수 있는 긴 작동 수명을 가진 파이프라인이 구현된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분배 장치는 비용 측면에서 상당히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청구항 제 2 항에 기술된 특징들은 유입부 측면 상에서 커플링 플랜지 내의 마모 링들은 주 마모 영역(primary wearing zone)으로 실질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포지티브 효과(positive effect)를 가진다. 이와 같은 마모는 배출부 측면 상에서 커플링 플랜지 내의 마모 링들에만 실질적으로 제한된다. 파이프 굽힘부들의 곡률 중심에 근접하게 배치된 마모 링들의 부분들이 곡률 중심에 멀리 떨어진 부분들에서보다 상대적으로 덜 마모되기 때문에, 유입부 측면 상에서 커플링 플랜지의 마모 링들 상의 최소 내부 마모 변부(minimal inner wear edge)에는 아무런 장애(obstacle)가 없다.
청구항 제 3 항의 특징들에 의하면, 파이프 굽힘부의 내부 파이프의 길이축들 및 파이프 굽힘부의 배출부 측면 상에서 커플링 플랜지 내의 마모 링들의 내부 횡단면들의 길이축들이 동축으로 나란하게 정렬됨으로써, 고형물들이 안정적으로 유동된다.
청구항 제 4 항의 특징에 따라, 배출부 측면 상에서 파이프 굽힘부들의 커플링 플랜지 내의 마모 링들의 마모 행태(wear behavior)가 심지어 추가적으로 증가된다(enhance).
청구항 제 5 항에 따라서, 유입부 측면 상에서 파이프 굽힘부의 커플링 플랜지 내의 마모 링들의 벽 두께는 상기 마모 링에 제공된 커플링 홈(coupling groove)을 가진 외부 링 컬러의 벽 두께가 충분히 크도록 보장한다.
청구항 제 6 항의 특징들에 따라, 파이프 굽힘부의 외부 파이프가 인접한 커플링 플랜지의 링 컬러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청구항 제 7 항의 특징들에 따라 파이프 굽힘부의 외부 파이프는 커플링 플랜지의 말단의(terminal) 링 컬러에 용접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외부 파이프를 위하여 적절하게 중간 영역에 배치된 환형의 시트(annular centering seat)를 가진 링 컬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이점에 따라서, 청구항 제 8 항에 기술된 바와 같이, 캐스트 스틸로 제조된 내부 파이프와 스틸 시트로 제조된 파이프 굽힘부의 외부 파이프가 제조될 수 있으며, 내부 파이프의 벽 두께는 외부 파이프의 벽 두께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진다.
파이프 굽힘부의 내부 파이프는 외부 파이프 내에 안정적으로 임베디드(embedded) 될 수 있으며, 청구항 제 9 항의 특징들에 따라서 상기 내부 파이프가 외부 파이프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때 내부 파이프와 외부 파이프 사이의 간극은 콘크리트로 채워진다.
청구항 제 10 항의 특징들에 따라서, 파이프 피스들의 커플링 플랜지의 링 컬러는 파이프 피스의 외부 파이프 상부에 배열된다(span over). 그 뒤, 링 컬러는 필릿 용접부(fillet weld)에 의해 외부 파이프의 외측 표면에 용접된다.
청구항 제 11 항에 따른 추가적인 이점으로, 파이프 피스들의 커플링 플랜지 내의 마모 링들의 벽 두께는 파이프 피스들의 스틸 시트로 제조된 내부 파이프들의 벽 두께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진다.
이 경우, 청구항 제 12 항에 따라서, 파이프 피스들의 외부 파이프와 내부 파이프의 벽 두께의 합(sum)은 파이프 피스들의 커플링 플랜지 내의 마모 링들의 벽 두께에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파이프라인의 길이 부분을 도시한 종방향 수직 단면
도 2는 도 1의 부분(II)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부분(III)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면부호 *
1: 파이프라인 2: 파이프 피스
3: 파이프 굽힘부 4: 스플릿 커플링
5: 파이프 피스(2)들 중 내부 파이프
6: 파이프 피스(2)들 중 외부 파이프
7: 파이프 피스(2)들 중 커플링 플랜지
8: 커플링 플랜지(7) 내의 마모 링 9: 커플링 플랜지(7)의 링 컬러
10: 링 컬러 내의 커플링 플랜지 11: 필릿 용접부
12: 외부 파이프(6)의 외측 표면 13: 링 컬러(9) 상의 돌출부
14: 마모 링(8)의 길이축 15: 파이프 피스(2)의 길이축
16: 유입부 측면 상에서 파이프 굽힘부(3)의 커플링 플랜지
17: 배출부 측면 상에서 파이프 굽힘부(3)의 커플링 플랜지
18: 커플링 플랜지(16) 내의 마모 링 19: 마모 링(18) 내의 마모 링
20: 커플링 플랜지(16) 상의 링 컬러
21: 커플링 플랜지(17) 상의 링 컬러
22: 파이프 굽힘부(3)의 내부 파이프
23: 파이프 굽힘부(3)의 외부 파이프
24: 내부 파이프(22)와 외부 파이프(23) 사이의 간극
25: 내부 파이프(22) 내의 개구부
26: 링 컬러(20, 21) 상의 센터링 요소(centering element)
27: 파이프 굽힘부 축
28: 파이프 굽힘부(3)의 곡률 중심
29: 마모 링(19)의 내부 횡단면의 길이축
30: 마모 링(19)의 외부 횡단면의 길이축
31: 마모 링(18)의 길이축
A: 내부 파이프(22)와 외부 파이프(23)의 길이
AD: 링 컬러(20, 21)의 외측 직경 AD1: 링 컬러(9)의 외측 직경
D: 내부 파이프(5)의 벽 두께 D1: 외부 파이프(6)의 벽 두께
D2: 마모 링(8)의 벽 두께 D3: 내부 파이프(22)의 벽 두께
D4: 외부 파이프(23)의 벽 두께 D5: 마모 링(18)의 벽 두께
D6: 마모 링(19)의 최대 벽 두께 D7: 마모 링(19)의 최소 벽 두께
L: 링 컬러(9)의 길이 L1: 마모 링(8)의 길이
L2: 링 컬러(20, 21)의 길이 L3: 마모 링(18, 19)의 길이
TR: 이송 방향(화살표로 표시됨)
도 1에서 도면부호(1)는 예컨대 콘크리트와 같은 고형물(solid)을 유압적으로 또는 공압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파이프라인(pipeline)의 길이 부분(length portion)을 나타낸다. 상기 파이프라인(1)은 예를 들어 결합가능하게 접을 수 있는 콘크리트-분배 장치(jointly foldable concrete-distribution rig)와 같은 이동식 콘크리트 펌프(mobile concrete pump)와 조합되어 사용된다. 상기 파이프라인(1)은 사전 결정된 이송 방향을 가지며 이는 화살표(TR)로 표시된다.
60m 이상의 길이를 가질 수 있는 파이프라인(1)은 90°의 곡률을 가진 파이프 굽힘부(3)와 일직선의 파이프 피스(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파이프 굽힘부(3)의 형상으로 인해, 단지 도식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플릿 커플링(split coupling)의 도움으로 파이프 피스(2)와 파이프 굽힘부(3)가 연결되거나 또는 2개의 연속적인 파이프 굽힘부(3)가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스플릿 커플링 내에서 파이프 굽힘부(3)와 파이프 피스(2)가 상대적으로 회전(relative rotation)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기다란 파이프라인(1)은 함께 접힐 수 있어서 한 작업 현장으로부터 또 다른 작업 현장으로 이동식 베이스(movable base) 상에서 이송될 수 있다.
파이프 피스(2)는 스틸 시트(steel sheet)로 제조된 내부 파이프(5), 스틸 시트로 제조된 외부 파이프(6) 및 말단의 커플링 플랜지(7)로 구성될 수 있다(도 1 및 도 3 참조). 상기 내부 파이프(5)의 벽 두께(D)는 상기 외부 파이프(6)의 벽 두께(D1)보다 더 크다.
커플링 플랜지(7)는 커플링 홈(coupling groove, 10)을 가진 외부 링 컬러(9)와 내부 마모 링(8)으로 제조된다. 상기 링 컬러(9)의 축방향 길이(L)는 상기 마모 링(8)의 축방향 길이(L1)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진다. 이런 방식으로, 내부 파이프(5)와 외부 파이프(6)는 링 컬러(9) 내에서 결합된다(engage). 상기 링 컬러(9)는 필릿 용접부(fillet weld)에 의해 외부 파이프(6)의 외측 표면(12)에 용접된다.
커플링 플랜지(7) 내의 마모 링(8)의 위치는 돌출부(13)에 의해 링 컬러(9)의 단부면(end face) 상에 고정된다.
도 1 및 도 3에서 추가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플랜지(7) 내의 마모 링(8)의 길이축(14)은 파이프 피스(2)의 길이축(15)과 동축으로 연장된다(extend coaxial).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파이프 피스(2)의 커플링 플랜지(7) 내의 마모 링(8)은 내부 파이프(5)의 벽 두께(D)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고 전체 원주에 대해 균일한 벽 두께(D2)를 가지며, 상기 내부 파이프(5)와 외부 파이프(6)의 벽 두께(D, D1)의 합(sum)은 마모 링(8)의 벽 두께(D2)에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유입부 측면 상의 파이프 굽힘부(3)의 커플링 플랜지(16)와 배출부 측면 상의 커플링 플랜지(17)는 커플링 홈(10)을 가진 외부 링 컬러(20, 21) 및 내부 마모 링(18, 19)을 가진다. 상기 마모 링(18, 19)의 축방향 길이(L3)는 링 컬러(20, 21)의 축방향 길이(L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파이프 굽힘부(3)의 커플링 플랜지(16, 17) 상에서 링 컬러(20, 21)의 외측 직경(AD)은 파이프 피스(2)의 링 컬러(9)의 외측 직경(AD1)에 상응한다.
캐스트 스틸(cast steel)로 제조된 내부 파이프(22)와 스틸 시트(steel sheet)로 제조된 외부 파이프(23)는 파이프 굽힘부(3)의 커플링 플랜지(16, 17) 사이에서 연장된다. 상기 내부 파이프(22)의 벽 두께(D3)는 외부 파이프(23)의 벽 두께(D4)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진다. 상기 외부 파이프(23)가 내부 파이프(22)에 대해 거리(A)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내부 파이프(22)와 외부 파이프(23) 사이에 간극(gap, 24)이 형성되며 파이프라인(1)이 작동되는 동안 예컨대 콘크리트와 유사한 고형 재료(solid material)로 채워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형 재료를 상기 간극(24) 내로 유입(introduction)시키도록, 반경방향으로 안내되는 개구부(radially directed opening, 25)가 내부 파이프(22) 내에 제공된다.
외부 파이프(23)는 환형의 센터링 요소(centering element, 26)를 가진 커플링 플랜지(16, 17)의 링 컬러(20, 21)가 제공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외부 파이프(23)는 상기 영역들에서 링 컬러(20, 21)에 용접된다.
파이프 피스(2)의 커플링 플랜지(7) 내의 마모 링(8) 및 고형물들의 이송 방향(TR)에서 유입부 측면 상에서 파이프 굽힘부(3)의 커플링 플랜지(16) 내의 마모 링(18)은 각각 전체 원주(circumference)에 대해 균일한 벽 두께(D2, D5)를 가진다. 마모 링(18)의 길이축(length axis, 31)은 파이프 굽힘부 축(27)에 대해 동축으로 연장된다(extend coaxial)(도 2 참조).
이송 방향(TR)에서 배출부 측면 상에서 파이프 굽힘부(3)의 커플링 플랜지(17) 내의 마모 링(19)은 원주에 대해 가변적인 벽 두께를 가지며, 상기 가변적 인 벽 두께는 파이프 굽힘부 축(27)에 대해서 곡률 중심(28)에 근접한 원주 부분(peripheral section)에서보다 파이프 굽힘부(3)의 곡률 중심(28)에서 멀리 떨어진(distal) 원주 부분에서 더 큰 크기를 가진다. 배출부 측면 상에서 파이프 굽힘부(3)의 커플링 플랜지(17) 내의 마모 링(19)의 내부 횡단면 길이축(29)은 곡률 중심(28)에 대한 방향에서 마모 링(19)의 외부 횡단면의 길이축(30)에 편심적으로 오프셋 배열된다(eccentric offset).
배출부 측면 상에서 파이프 굽힘부(3)의 커플링 플랜지(17) 내의 마모 링(19)의 최대 벽 두께(D6)는 파이프 굽힘부(3)의 유입부 측면 상에서 커플링 플랜지(16) 내의 마모 링(18)의 벽 두께(D5)와 파이프 피스(2)의 커플링 플랜지(7) 내의 마모 링(8)의 벽 두께(D2)보다 더 크며, 배출부 측면 상에서 파이프 굽힘부(3)의 커플링 플랜지(17) 내의 마모 링(19)의 최소 벽 두께(D7)는 상기 벽 두께(D5)와 벽 두께(D2)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진다. 배출부 측면 상에서 커플링 플랜지(17) 내의 마모 링(19)의 내부 횡단면의 길이축(29)은 파이프 굽힘부(3)의 내부 파이프(21)의 길이축(27)에 대해 동축으로 나란하게 정렬된다(coaxial alignment).
추가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따르면, 마모 링(19)의 최대 벽 두께(D6)는 배출부 측면 상의 커플링 플랜지(17) 내에서 파이프 굽힘부(3)의 내부 파이프(22)의 벽 두께(D3)에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이와 반대로, 유입부 측면 상에서 파이프 굽힘부(3)의 커플링 플랜지(16) 내의 마모 링(18)의 벽 두께(D5)는 파이프 굽힘부(3)의 내부 파이프(22)의 벽 두께(D3)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진다.

Claims (12)

  1. 일직선의 파이프 피스(2) 및 만곡된 파이프 굽힘부(3)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내부 파이프(5, 22), 외부 파이프(6, 23) 및 말단의(terminal) 2중층 커플링 플랜지(7, 16, 17)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 플랜지는 커플링 홈(10)을 가진 외부 링 컬러(9, 20, 21)와 내부 마모 링(8, 18, 19)로 구성되며, 섹션 내에서(in sections) 차례대로 형성되는 상기 파이프 굽힘부(3) 및/또는 파이프 피스(2)는 회전식 조인트(rotating joint)와 파이프 커넥터(pipe connector)로서 작동되는 스플릿 커플링(4)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고형물(solid)을 유압적으로 또는 공압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파이프라인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라인은
    -파이프 피스(2)의 커플링 플랜지(7) 내의 마모 링(8) 및 고형물들의 이송 방향(TR)에서 유입부 측면 상의 파이프 굽힘부(3)의 커플링 플랜지(16) 내의 마모 링(18)은 전체 원주에 대해 균일한 벽 두께(D2, D5)를 가지며,
    -상기 마모 링(8, 18)의 길이축(14, 31)은 파이프 굽힘부(3)와 파이프 피스(2)의 길이축(15, 27)에 동축으로 연장되고(extend coaxial),
    -고형물들의 이송 방향(TR)에서 배출부 측면 상의 파이프 굽힘부(3)의 커플링 플랜지(17) 내의 마모 링(19)은 원주에 대해 가변적인 벽 두께(D6, D7)를 가지며,
    -파이프 굽힘부 축(27)에 대해, 배출부 측면 상에서 파이프 굽힘부(3)의 커플링 플랜지(17)의 마모 링(19)의 벽 두께는 곡률 중심(28)에 근접한 원주 부 분(peripheral section)에서보다 파이프 굽힘부(3)의 곡률 중심(28)에서 멀리 떨어진(distal) 원주 부분에서 더 큰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2. 제 1 항에 있어서,
    -배출부 측면 상에서 파이프 굽힘부(3)의 커플링 플랜지(17) 내의 마모 링(19)의 최대 벽 두께(D6)는 유입부 측면 상에서 파이프 굽힘부(3)의 커플링 플랜지(16) 내의 마모 링(18)의 벽 두께(D5)와 파이프 피스(2)의 커플링 플랜지(7) 내의 마모 링(8)의 벽 두께(D2)보다 더 크며,
    -배출부 측면 상에서 파이프 굽힘부(3)의 커플링 플랜지(17) 내의 마모 링(19)의 최소 벽 두께(D7)는 상기 벽 두께(D2, D5)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배출부 측면 상에서 파이프 굽힘부(3)의 커플링 플랜지(17) 내의 마모 링(19)의 내부 횡단면의 길이축(29)은 파이프 굽힘부(3)의 내부 파이프(22)의 길이축(27)에 대해 동축으로 나란하게 정렬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부 측면 상에서 파이프 굽힘부(3)의 커플링 플랜지(17) 내의 마모 링(19)의 최대 벽 두께(D6)는 파이프 굽힘부(3)의 내부 파이프(22)의 벽 두께(D3)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 프라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입부 측면 상에서 파이프 굽힘부(3)의 커플링 플랜지(16) 내의 마모 링(18)의 최대 벽 두께(D5)는 파이프 굽힘부(3)의 내부 파이프(22)의 벽 두께(D3)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이프 굽힘부(3)의 커플링 플랜지(16)의 링 컬러(20, 21)의 축방향 길이(L2)는 상기 링 컬러(20, 21) 내에 임베디드(embedded) 된 마모 링(18, 19)의 축방향 길이(L3)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말단 링 컬러(20, 21)를 가진 파이프 굽힘부(3)의 외부 파이프(23)는 커플링 플랜지(16, 17)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이프 굽힘부(3)의 외부 파이프(23)는 스틸 시트(steel sheet)로 제조되고 내부 파이프(22)는 캐스트 스틸(cast steel)로 제조되며, 상기 내부 파이프(22)의 벽 두께(D3)는 상기 외부 파이프(23)의 벽 두께(D4)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이프 굽힘부(3)의 내부 파이프(22)는 외부 파이프(23)에 대해 반경방향 거리(A)에 배열되며, 내부 파이프(22)와 외부 파이프(23) 사이의 간극(24)은 예를 들어 콘크리트와 유사한 고형 재료로 채워지는(fill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이프 피스(2)의 커플링 플랜지(7) 내의 마모 링(8)은 해당 링 컬러(9) 길이의 대략 절반 크기를 가지며, 상기 링 컬러(9)는 파이프 피스(2)의 스틸 시트로 제조된 외부 파이프(6)의 외측 표면(12)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이프 피스(2)의 커플링 플랜지(7) 내의 마모 링(8)의 벽 두께(D2)는 상기 파이프 피스(2)의 스틸 시트로 제조된 내부 파이프(5)의 벽 두께(D)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이프 피스(2)의 내부 파이프(5)와 외부 파이프(6)의 벽 두께(D, D1)의 합(sum)은 상기 파이프 피스(2)의 커플링 플랜지(7) 내의 마모 링(8)의 벽 두께(D2)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KR1020087015894A 2006-01-09 2006-10-13 고형물의 유압 또는 공압 이송용 파이프라인 KR200800773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01315.8 2006-01-09
DE102006001315A DE102006001315B3 (de) 2006-01-09 2006-01-09 Rohrstrang zum hydraulischen oder pneumatischen Transport von Feststoff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387A true KR20080077387A (ko) 2008-08-22

Family

ID=37671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894A KR20080077387A (ko) 2006-01-09 2006-10-13 고형물의 유압 또는 공압 이송용 파이프라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80298908A1 (ko)
EP (1) EP1971542B1 (ko)
JP (1) JP2009522518A (ko)
KR (1) KR20080077387A (ko)
CN (1) CN101331075A (ko)
AT (1) ATE450462T1 (ko)
DE (2) DE102006001315B3 (ko)
ES (1) ES2335923T3 (ko)
WO (1) WO20070797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20695A1 (de) * 2009-05-11 2010-11-18 Esser-Werke Gmbh & Co. Kg Rohrbogen
CN102032397B (zh) * 2010-12-24 2012-02-08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混凝土输送管及其制备方法
ITMI20120973A1 (it) * 2012-06-05 2013-12-06 Cifa Spa Tubazione per materiali abrasivi, quale calcestruzzo o materiali simili, e suo procedimento di realizzazione
USD739509S1 (en) * 2013-05-14 2015-09-22 Jay Bazemore L-type pipe fitting
CN103407789A (zh) * 2013-08-19 2013-11-27 济钢集团有限公司 一种生石灰输送弯管
CN103453279B (zh) * 2013-09-10 2016-02-03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S管
CN103672274A (zh) * 2013-12-10 2014-03-26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输送管道与混凝土输送设备
TR201902637T4 (tr) * 2015-03-20 2019-03-21 Valme S R L Unico Socio Beton gibi aşındırıcı malzemeleri taşımak için bir boru üretmeye yönelik aparat ve yöntem.
CN105202299B (zh) * 2015-08-08 2017-04-12 周朝辉 混凝土泵车的自动填充两层两半耐磨弯管及其制造方法
USD880679S1 (en) * 2017-12-06 2020-04-07 Amerifab, Inc. Cooling pipe return elbow in a steel making furnace
CN108506625A (zh) * 2018-03-15 2018-09-07 长沙市添芸机械有限公司 一种拆分式输送铰链弯管
CN108916524A (zh) * 2018-09-25 2018-11-30 滨州学院 一种用于市政建设的给排水防腐抗冲击式滑坡带埋地管
CN109914809A (zh) * 2019-04-11 2019-06-21 长沙赛搏机器智能有限公司 一种混凝土臂架末端机构及混凝土泵送设备
CN114952111A (zh) * 2022-05-20 2022-08-30 国家石油天然气管网集团有限公司 用于长输管道的焊接方法及焊接装置、处理器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7875A (ja) * 1985-02-23 1986-09-02 アイエヌジ商事株式会社 粉体並びにスラリ−の乾式湿式輸送用関節状曲り管
DE3839582C1 (ko) * 1988-11-24 1989-12-28 Esser-Brieden Gmbh & Co Kg, 4788 Warstein, De
DE4010556A1 (de) * 1990-04-02 1991-10-10 Esser Brieden Gmbh & Co Kg Doppellagiger rohrbogen
US5188396A (en) * 1992-02-26 1993-02-23 Vaughn Calvin Rebuildable slurry conduit elbow
CA2150491C (en) * 1994-06-23 2001-10-02 Robert E. Klemm Pipe having replaceable wear resistant lined coupler
DE19500953C1 (de) * 1995-01-14 1996-07-25 Esser Werke Gmbh & Co Kg Rohrbogen
DE19500952C1 (de) * 1995-01-14 1996-07-25 Esser Werke Gmbh & Co Kg Rohrbogen
DE19735335C2 (de) * 1997-08-14 2003-05-22 Esser Werke Gmbh & Co Kg Förderrohr
US6375228B1 (en) * 1999-03-25 2002-04-23 Construction Forms, Inc. Coupling units connecting tubular members having a hardened inner wall for carrying mechanically abrasive fluid concrete
US6325106B1 (en) * 1999-11-22 2001-12-04 Esser-Werke Gmbh & Co. Kg Transport pipe for solid materials
US6520211B1 (en) * 1999-11-22 2003-02-18 Esser-Werke Gmbh & Co. Kg Transport pipe for solid materials
DE10032074C1 (de) * 2000-07-01 2001-05-03 Esser Werke Gmbh & Co Kg Rohrbogen als Bestandteil eines Rohrstrangs zum Transport von abrasiven Materialien
EP1167858B1 (de) * 2000-07-01 2004-10-06 Esser -Werke GmbH & Co. KG Rohrbogen zum Transport von abrasiven Materialien
DE10143290B4 (de) * 2001-09-04 2006-02-09 Esser-Werke Kg Bogenförmiges Doppellagenrohr
US6575197B2 (en) * 2001-09-04 2003-06-10 Esser-Werke Kg Double-layer pipe for fluidic transport of abrasive soli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71542A1 (de) 2008-09-24
DE102006001315B3 (de) 2007-05-24
US20080298908A1 (en) 2008-12-04
ATE450462T1 (de) 2009-12-15
CN101331075A (zh) 2008-12-24
DE502006005556D1 (de) 2010-01-14
ES2335923T3 (es) 2010-04-06
EP1971542B1 (de) 2009-12-02
WO2007079704A1 (de) 2007-07-19
JP2009522518A (ja)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7387A (ko) 고형물의 유압 또는 공압 이송용 파이프라인
CN101317032B (zh) 具有密封圈的管道接头以及用于输送浓稠物质的管道系统
CA2167116C (en) Pipe bend
US7967031B2 (en) Delivery pipe for the transport of solids
CA2171698C (en) Pipe for conveying solids
TWI796775B (zh) 管元件與聯結器之組合
US6494234B2 (en) Pipe bend for a pipeline for transport of abrasive materials
US20180066777A1 (en) Pipe flange
AU2018202127A1 (en) Pressing means for pressing a fitting
US11092270B2 (en) Elbow-equipped expansion joint
US5893588A (en) Connection of a coupling collar to and end of a hardened pipe
US102674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rengthening welded-lap joints for steel pipeline
CN208951456U (zh) 一种高效污水排污管道
NL2009136C2 (en) A wear resistant and flexible hose.
JPH06341576A (ja) 特に流体用の金属パイプのための差し込み継手
RU138519U1 (ru) Элемент сталь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варианты)
KR200332518Y1 (ko) 콘크리트 펌프카용 이중 수송관
JP2018044562A (ja) フランジ付き管継手
KR20190027239A (ko) 연결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용접식 파이프 이음매 구조
CN214404970U (zh) 具有内过渡段的不等壁厚管道
RU2683099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KR200276989Y1 (ko) 엘보우관의 보강구조
KR100725219B1 (ko) 연결용슬리브를 가지는 바잘트관
KR200392117Y1 (ko) 콘크리트 펌프카용 이송파이프 유닛
KR100523857B1 (ko) 공압이송 시스템용 엘보 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