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518Y1 - 콘크리트 펌프카용 이중 수송관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펌프카용 이중 수송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518Y1
KR200332518Y1 KR20-2003-0023632U KR20030023632U KR200332518Y1 KR 200332518 Y1 KR200332518 Y1 KR 200332518Y1 KR 20030023632 U KR20030023632 U KR 20030023632U KR 200332518 Y1 KR200332518 Y1 KR 2003325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crete
flange
tube
elb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6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완규
Original Assignee
박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완규 filed Critical 박완규
Priority to KR20-2003-00236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5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5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5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52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 B65G53/523Wea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펌프카용 이중 수송관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펌프카에 설치되어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해 다수의 직선관(1)과 엘보우(2)의 연결로 이루어진 수송관(3)이 구비되고, 상기 직선관(1) 및 엘보우(2)가 연질의 외관(4)과 이 외관(4)에 삽입되는 경질의 내마모성 내관(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관(4)속에 내관(5)이 끼워진 상태에서 외관(4)과 내관(5)을 동시에 열처리하여 서로 접합시키는 한편, 상기 직선관(1)과 엘보우(2)의 양쪽 선단에 각각 플랜지(6)가 용접에 의해 조립되되, 상기 플랜지(6)의 내측에 내마모성이 높은 링(7)이 삽입되어 플랜지(6) 외측의 저온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서, 콘크리트를 수송하는 수송관을 이중 구조로 하여 내측에 내마모성이 높은 내관을 삽입함으로써 콘크리트 수송시 수송관의 마모를 최소화하고, 수송관의 수명이 연장됨으로써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잦은 수송관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필요없기 때문에 콘크리트 이송시의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펌프카용 이중 수송관{A duplication conveyance-pipe for a concrete pump-car}
본 고안은 콘크리트 펌프카에 설치된 수송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를 수송하는 수송관을 이중 구조로 하여 내측에 내마모성이 높은 파이프를 삽입함으로써 콘크리트 수송시 관의 마모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수송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펌프카용 이중 수송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신축 공사시 레미콘 트럭으로부터 공급되는 콘크리트를 콘크리트 타설 장소로 이송하기 위해서 콘크리트 펌프카가 사용되고 있는 바, 이 경우 콘크리트는 일정 길이만큼 다수 연결되어 절첩되는 수송관에 의해 실질적인 이송이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높이의 건물에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일반적인 콘크리트 펌프카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01) 후방에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수송관(102)이 접철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되, 상기 수송관(102)은 다수의 직선관(103)과 꺽임부의 엘보우(104)가 플랜지(105)를 통해 연결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수송관(102)을 이루는 직선관(103)과 엘보우(104)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선관(103)의 경우 단일 철관구조로 되어 그 양쪽에 관 연결용 플랜지(105)가 용접되며, 상기 엘보우(104) 역시 단일 철관구조로 되어 그 양쪽에 관 연결용 플린지(105)가 용접에 의해 부착 고정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레미콘 트럭으로부터 콘크리트를 타설 현장으로 이송하기 위한 수단인 상기 수송관(102)은 단순히 철재로 이루어진 일정 직경의 단일관을 다수개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수송관(102)이 연강재질로 제작된 단일 철관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콘크리트 수송시 쉽게 마모되어 수명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고, 이에 따라 잦은 수송관(102)의 교체 및 유지보수로 인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며, 상기 수송관(102)의 마모로 인하여 콘크리트의 이송이 원활하기 못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품질 저하를 초래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구조물의 강도 저하가 우려되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콘크리트를 수송하는 수송관을 이중 구조로 하여 내측에 내마모성이 높은 파이프를 삽입함으로써 콘크리트 수송시 관의 마모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수송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펌프카용 이중 수송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콘크리트 펌프카에 설치되어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해 다수의 직선관과 엘보우의 연결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펌프카용 수송관에 있어서, 상기 직선관 및 엘보우가 연질의 외관과 이 외관에 삽입되는 경질의 내마모성 내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관속에 내관이 끼워진 상태에서 외관과 내관을 동시에 열처리하여 서로 접합시키도록 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직선관과 엘보우의 양쪽 선단에 각각 플랜지가 용접에 의해 조립되되, 상기 플랜지의 내측에 내마모성이 높은 링이 삽입되어 플랜지 외측의 저온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즉, 콘크리트 펌프카의 수송관을 이루는 다수의 직선관과 엘보우가 연질의외관과 경질의 내관으로 이루어져 수송관 전체가 이중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그 내구성이 증대되고, 상기 직선관과 엘보우의 양쪽 선단에 설치되는 플랜지의 내측에 내마모성 링이 설치됨으로써 플랜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수송하는 수송관을 이중 구조로 하여 내측에 내마모성이 높은 내관을 삽입함으로써 콘크리트 수송시 수송관의 마모를 최소화하고, 수송관의 수명이 연장됨으로써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잦은 수송관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필요없기 때문에 콘크리트 이송시의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펌프카의 수송관을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펌프카용 이중 수송관의 구조를 나타낸 일부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수송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엘보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직선관 2 : 엘보우
3 : 수송관 4 : 외관
5 : 내관 6 : 플랜지
7 : 링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펌프카용 이중 수송관의 구조를 도시한 일부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수송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엘보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의해 본 고안의 구조를 설명하면, 콘크리트 펌프카에 설치되어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해 다수의 직선관(1)과 엘보우(2)의 연결로 이루어진 수송관(3)이 구비되고, 상기 직선관(1) 및 엘보우(2)가 연질의 외관(4)과 이 외관(4)에 삽입되는 경질의 내마모성 내관(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관(4)속에 내관(5)이 끼워진 상태에서 외관(4)과 내관(5)을 동시에 열처리하여 서로 접합시키는 한편, 상기 직선관(1)과 엘보우(2)의 양쪽 선단에 각각 플랜지(6)가 용접에 의해 조립되되, 상기 플랜지(6)의 내측에 내마모성이 높은 링(7)이 삽입되어 플랜지(6) 외측의 저온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수송관(3)은 연질의 외관(4)과 경질의 내관(5)으로 이루어진 이중관으로 된 것에 그 특징이 있고, 또한 상기 직선관(1)과 엘보우(2)의 양쪽 선단에 조립되는 플랜지(6) 내측에 내마모성이 높은 링(7)이 삽입되어 플랜지(6)의 내마모성을 증대시키도록 된 것이다.
다시말하자면, 콘크리트 펌프카의 수송관(3)을 이루는 다수의 직선관(1)과 엘보우(2)가 연질의 외관(4)과 경질의 내관(5)으로 이루어져 수송관(3) 전체가 이중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그 내구성이 증대되고, 상기 직선관(1)과 엘보우(2)의 양쪽 선단에 설치되는 플랜지(6)의 내측에 내마모성 링(7)이 설치됨으로써 플랜지(6)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수송관(3)의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의 외관(4)과 내마모성이 높은 내관(5)의 결합에 의해 이중 구조를 갖는 수송관(3)이 구비되고, 상기 수송관(3)의 일측에 관의 연결을 위한 플랜지(6)가 용접에 의해 부착설치되며, 상기 플랜지(6)의 내측에 내마모성이 높은 링(7)이 삽입된 구조이다.
그러므로, 상기 수송관(3)을 이루는 직선관(1)의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관(4)에 내마모성이 높은 내관(5)을 삽입시켜 이중 직선관(1)을 제작하되, 외관(4)과 내관(5)의 결합시 취성이 약하기 때문에 이를 보호하기 위해 외관(4)은 연질의 파이프를 사용하고, 이렇게 결합된 상기 외관(4)과 내관(5)을 동시에 열처리하여 서로 접합하며, 상기 직선관(1)의 양쪽 선단에 플랜지(6)가 결합되고, 상기 플랜지(6)의 내측에 내마모성이 높은 링(7)이 삽입됨과 더불어 플랜지(6)의 외측을 저온용접함으로써 상기 내관(5)에 열영향이 없이 높은 경도를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수송관(3)을 이루는 엘보우(2)의 구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선관(1)과 마찬가지로 외관(4)에 내마모성이 높은 주조품으로 이루어진 내관(5)을 삽입시켜 이중 엘보우(2)를 제작하고, 상기 엘보우(2)의 양쪽 선단에 결합되는 플랜지(6) 역시 그 내측에 내마모성이 높은 링(7)이 삽입되며, 상기 플랜지(6)의 외측만 아크 용접과 같은 저온용접으로 열처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송관(3)을 이루는 다수의 직선관(1)과 엘보우(2)를 상기와 같이 이중관으로 제작함으로써 그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상기 직선관(1)과 엘보우(2)에 조립되는 플랜지(6)의 내측에 링(7)을 삽입함으로써 플랜지(6)의 강성을 높여주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펌프카용 이중 수송관에 의하면, 콘크리트를 수송하는 수송관을 이중 구조로 하여 내측에 내마모성이 높은 내관을 삽입함으로써 콘크리트 수송시 수송관의 마모를 최소화하고, 수송관의 수명이 연장됨으로써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잦은 수송관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필요없기 때문에 콘크리트 이송시의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콘크리트 펌프카에 설치되어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해 다수의 직선관(1)과 엘보우(2)의 연결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펌프카용 수송관에 있어서,
    상기 직선관(1) 및 엘보우(2)가 연질의 외관(4)과 이 외관(4)에 삽입되는 경질의 내마모성 내관(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관(4)속에 내관(5)이 끼워진 상태에서 외관(4)과 내관(5)을 동시에 열처리하여 서로 접합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카용 이중 수송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관(1)과 엘보우(2)의 양쪽 선단에 각각 플랜지(6)가 용접에 의해 조립되되, 상기 플랜지(6)의 내측에 내마모성이 높은 링(7)이 삽입되어 플랜지(6) 외측의 저온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카용 이중 수송관.
KR20-2003-0023632U 2003-07-22 2003-07-22 콘크리트 펌프카용 이중 수송관 KR2003325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632U KR200332518Y1 (ko) 2003-07-22 2003-07-22 콘크리트 펌프카용 이중 수송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632U KR200332518Y1 (ko) 2003-07-22 2003-07-22 콘크리트 펌프카용 이중 수송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518Y1 true KR200332518Y1 (ko) 2003-11-05

Family

ID=49418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632U KR200332518Y1 (ko) 2003-07-22 2003-07-22 콘크리트 펌프카용 이중 수송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51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502B1 (ko) 2008-07-31 2008-12-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절곡형 이중관 파이프
KR100955761B1 (ko) 2010-01-29 2010-04-30 최태범 콘크리트 이송용 이중관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91392A (ko) 2018-01-24 2019-08-06 에이치디에이치주식회사 이중원심주조에 의한 수송용 내마모성 배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502B1 (ko) 2008-07-31 2008-12-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절곡형 이중관 파이프
KR100955761B1 (ko) 2010-01-29 2010-04-30 최태범 콘크리트 이송용 이중관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91392A (ko) 2018-01-24 2019-08-06 에이치디에이치주식회사 이중원심주조에 의한 수송용 내마모성 배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7031B2 (en) Delivery pipe for the transport of solids
US5275440A (en) Double-layer pipe bend with intermediate support layer
ITTO960031A1 (it) Flangia per tubo o manicotto compensatore
JP2009522518A (ja) 固形物を液圧式または空気圧式に搬送するための管路
US20080169642A1 (en) Abrasion-resistant ceramic elbow
WO2016141879A1 (zh) 一种两分或多分双层式耐磨抗冲击管及其制备方法
CN103119348B (zh) 用来运送混凝土之类的研磨材质的曲型管件的制造方法以及所制得的曲型管件
KR200332518Y1 (ko) 콘크리트 펌프카용 이중 수송관
CN206988624U (zh) 一种用于耐磨管道的耐磨连接法兰
CN103277587A (zh) 耐磨锥管、混凝土输送管路和混凝土泵送设备
US20090110950A1 (en) Sheet metal part, in particular of an exhaust gas system
US6086109A (en) Conveying pipe
CN207796369U (zh) 一种双层耐磨弯直管结构
JP2006046121A (ja) 排気構造
CN103042071A (zh) 一种双金属复合弯头及其生产方法
KR100858340B1 (ko) 엘보우
CN205298854U (zh) 一种套接式高耐磨输送直管
CN201884855U (zh) 耐磨聚乙烯管道弯头
KR200276989Y1 (ko) 엘보우관의 보강구조
US20150053387A1 (en) Line with arched structure
JPH07310870A (ja) 流体用配管における管接続構造
CN216279989U (zh) 一种四通管
KR200370564Y1 (ko) 이중관 엘보우
CN106015802A (zh) 一种耐磨弯管
JP2007298091A (ja) 管推進案内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