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5856A -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5856A
KR20080075856A KR1020087013477A KR20087013477A KR20080075856A KR 20080075856 A KR20080075856 A KR 20080075856A KR 1020087013477 A KR1020087013477 A KR 1020087013477A KR 20087013477 A KR20087013477 A KR 20087013477A KR 20080075856 A KR20080075856 A KR 20080075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rea
imaging
live view
ima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3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시히토 키도
타케루 부츠사키
사토시 후쿠모토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5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03B17/14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interchangeab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03B13/10Viewfinders adjusting viewfinders field
    • G03B13/12Viewfinders adjusting viewfinders field to compensate for change of camera lens or size of pic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18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 G03B17/20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visible in viewfind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12Reflex cameras with single objective and a movable reflector or a partly-transmitting mirr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3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for controlling interchangeable camera parts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40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 H04N25/42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es of operation using different resolutions or aspect ratios, e.g. switching between interlaced and non-interlaced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40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 H04N25/44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by partially reading an SSIS array
    • H04N25/443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by partially reading an SSIS array by reading pixels from selected 2D regions of the array, e.g. for windowing or digital zooming

Abstract

본 촬상 장치는, 다른 사이즈의 대상 노광 영역용으로 설계된 복수의 교환 렌즈를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하다. 해당 촬상 장치는, 장착중의 교환 렌즈의 대상 노광 영역의 사이즈가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의 사이즈보다도 작은 상태인 불일치 상태가 생기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해당 불일치 상태가 생기고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촬상 영역의 일부 영역의 화상을 생성하고, 비교적 넓은 에어리어(불일치 상태가 생기지 않은 때의 라이브 뷰 표시에서 해당 일부 영역이 표시되는 에어리어보다도 넓은 에어리어)에, 해당 일부 영역의 화상을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표시시킴에 의해, 시인성이 좋은 라이브 뷰 표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IMAGING DEVICE AND IMAGING SYSTEM}
본 발명은, 교환 렌즈를 착탈 가능한 촬상 장치 및 그것에 관련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안 리플렉스 타입(single-lens reflex-type)의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 동작에서는, 일반적으로, 촬영 렌즈에의 입사광을 펜타프리즘 등을 통과시켜서 광학 파인더에 유도하여 피사체를 시인하는 구도 결정 동작이 행하여진다.
일안 리플렉스 타입의 카메라 중, 촬상 소자(CCD 또는 CM0S 등)를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인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광학 파인더에 의한 구도 결정 동작뿐만 아니라, 촬상 소자에 입사하는 피사체상을 피사체 확인용의 화상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LCD)에 표시하여 시인하는 프리뷰 동작(live view operation)를 행하는 것이 요구되는 일도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응하는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1-12517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이 있다. 이 기술에 의하면, 촬상 소자에 입사하는 피사체에 관한 전체 화상이, 프리뷰용의 화상(live view image)으로서, LCD 등에 표시 된다.
그런데, 교환 렌즈를 장착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의 보디(카메라 보디)로서는, APS 사이즈의 촬상 영역(노광 영역)이 마련된 촬상 소자를 탑재하는 것이 많은 반면, APS 사이즈보다 큰 사이즈, 예를 들면 35㎜ 풀 사이즈의 촬상 영역이 마련된 촬상 소자를 탑재하는 것도 존재한다.
그러나, 35㎜ 풀 사이즈의 노광 영역(촬상 영역)을 갖는 촬상 소자를 탑재한 카메라 보디에, APS 사이즈의 노광 영역용으로 설계된 교환 렌즈가 장착되면, 해당 촬상 영역의 주변부에 이미지 서클 부족에 의한 화면의 구석이 찍히지 않음(eclipse)이 생겨서 적정한 촬영이 곤란한 상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APS 사이즈의 노광 영역용으로 설계된 교환 렌즈를, 풀 사이즈의 노광 영역을 갖는 촬상 소자를 탑재한 디지털 카메라에 장착하여 촬영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풀 사이즈의 노광 영역중에서 트리밍에 의해, APS 사이즈의 노광 영역에 상당하는 영역의 화상을 잘라내는 것이 생각된다.
그런데, 잘라내는 대상의 부분(APS 사이즈의 노광 영역에 상당하는 영역)의 화상은 원래의 사이즈(풀 사이즈)보다도 작기 때문에, 이 경우에 상기 일본 특개2001-125173호 공보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라이브 뷰 표시를 행하면, 잘라내는 대상의 부분은 LCD 등에 작게 표시되게 되어, 시인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시인성이 좋은 라이브 뷰 표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제 1항의 발명은, 다른 사이즈의 대상 노광 영역용으로 설계된 복수의 교환 렌즈를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한 촬상 장치로서, 촬상 영역을 갖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을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수단과, 상기 촬상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교환 렌즈의 대상 노광 영역의 사이즈가 상기 촬상 영역의 사이즈보다도 작은 상태인 불일치 상태가 생기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불일치 상태가 생기고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촬상 영역의 일부 영역의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일부 영역의 화상을 상기 표시 수단에서, 상기 불일치 상태가 생기지 않은 때의 라이브 뷰 표시로 상기 일부 영역이 표시되는 에어리어보다도 넓은 에어리어에, 상기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2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의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촬상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교환 렌즈의 대상 노광 영역에 상당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 1항 또는 청구항 제 2항의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불일치 상태가 생기고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불일치 상태가 생기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의 판독시에 있어서의 걸러냄(decimation)의 정도를 작게 하여, 상기 일부 영역의 화상을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4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 1항 또는 청구항 제 2항의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불일치 상태가 생기고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 수단의 표시 영역의 사이즈에 적합하도록,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의 판독시에 있어서의 걸러내는 율을 변경하여, 상기 일부 영역의 화상을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5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 1항 또는 청구항 제 2항의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불일치 상태가 생기고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불일치 상태가 생기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는 경우와 같은 걸러내는 율로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화상을 판독하고, 해당 판독 화상중 상기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화상에 대해, 화소 수를 증가하는 해상도 변환 처리를 시행한 확대 화상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6항의 발명은, 교환 렌즈와, 상기 교환 렌즈를 착탈 가능한 촬상 장치를 갖는 촬상 시스템으로서, 상기 촬상 장치는, 다른 사이즈의 대상 노광 영역용으로 설계된 복수의 교환 렌즈를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하고, 상기 촬상 장치는, 촬상 영역을 갖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을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수단과, 상기 촬상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교환 렌즈의 대상 노광 영역의 사이즈가 상기 촬상 영역의 사이즈보다도 작은 상태인 불일치 상태가 생기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불일치 상태가 생기고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촬상 영역의 일부 영역의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일부 영역의 화상을 상기 표시 수단에서, 상기 불일치 상태가 생기지 않은 때의 라이브 뷰 표시로 상기 일부 영역이 표시되는 에어리어보다도 넓은 에어리어에, 상기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항 내지 청구항 제 6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촬상 소자로부터 잘라내어진 화상이 표시 수단에 비교적 크게 표시되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시인성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청구항 제 3항 및 청구항 제 4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높은 해상감을 줄 수 있는 라이브 뷰 표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촬상 시스템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촬상 시스템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배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 위치에서 본 단면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4는 촬상 시스템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광학 파인더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시인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라이브 뷰 표시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시인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교환 렌즈의 대상 노광 영역(및 이미지 서클)과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화면의 구석이 찍히지 않음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9는 표준 라이브 뷰 표시에 의한 표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특별 라이브 뷰 표시에 의한 표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제 1 라이브 뷰 모드에 의한 판독 화상 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장착 렌즈의 대상 노광 영역과 촬상 영역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1/8 걸러냄에 의한 제 1 라이브 뷰 모드의 구동 동작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14는 1/5 걸러냄에 의한 제 2 라이브 뷰 모드의 구동 동작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15는 제 2 라이브 뷰 모드에 의한 판독 화상 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촬상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17은 변형예에 관한 판독 화상 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변형예에 관한 표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1. 촬상 시스템의 개요>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시스템(100)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은 촬상 시스템(100)의 정면 외관도이고, 도 2 는 촬상 시스템(100)의 배면 외관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Ⅲ-Ⅲ 위치에서 본 단면도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 시스템(100)은, 카메라 본체(카메라 보디)(101)와, 이 카메라 본체(101)의 정면 개략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교환 렌즈(102)를 구비한 일안 리플렉스형 디지털 카메라(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 카메라 본체(촬상 장치)(101)는, 정면 개략 중앙에 교환 렌즈(102)가 장착되는 마운트부(Mt)와, 교환 렌즈를 착탈하기 위한 착탈 버튼(149)과, 정면 좌단부에 촬영자가 파지하기 위한 그립부(113)와, AF를 위한 보조광을 조사하는 AF 보조광 발광부(163)를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 본체(101)는, 그 정면 우상부에 제어치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치 설정 다이얼(146)과, 정면 좌상부에 촬영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모드 설정 다이얼(142)과, 그립부(113)의 윗면에 노광의 시작을 지시하기 위한 릴리스 버튼(14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카메라 본체(101)는, 플래시 촬영일 때에 피사체를 조사하는 광을 발하는 플래시(162)를 내장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운트부(Mt)에는, 장착된 교환 렌즈(102) 내의 CPU(181)와의 전기적 접속을 행하기 위한 커넥터(EC)와 기계적 접속을 행하기 위한 커플러(MC)가 마련되어 있다.
커넥터(EC)는, CPU(181)를 통하여, 교환 렌즈(102)에 내장된 렌느 R0M(리드 온리 메모리)(182)로부터 해당 렌즈에 관한 형식이나 형번 등의 렌즈 정보를 카메 라 본체(101) 내의 전체 제어부(121)에 송신하거나, 렌즈 위치 검출부(123)에 의해 검출된 포커스 렌즈(103) 등의 렌즈 위치를 전체 제어부(121)에 송출하거나 하기 위한 것이다.
커플러(MC)는, 카메라 본체(101) 내에 마련된 포커스 렌즈 구동용의 모터(M1)의 구동력을 교환 렌즈(102) 내의 렌즈 구동 기구(104)에 전달하는 것으로, 렌즈 구동 기구(104)에 의해 포커스 렌즈(103)가 광축 방향(LX)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에서, 그립부(113)의 내부에는 전지 수납실과 카드 수납실이 마련되어 있다. 전지 수납실에는 카메라의 전원으로서, 예를 들면, 4개의 단3형 건전지가 수납되어 있고, 카드 수납실에는 촬영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176)가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모드 설정 다이얼(142)은, 카메라의 각종 모드(정지화를 촬영하는 정지화 촬영 모드, 동화를 촬영하는 동화 촬영 모드, 촬영한 화상을 재생하는 재생 모드, 및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교신을 행하는 통신 모드 등을 포함한다)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릴리스 버튼(147)은, 도중까지 밀어넣은 「반(half)누름 상태(S1)」의 조작과, 더욱 밀어넣은 「전(all)누름 상태(S2)」의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된 2단계의 스위치로 되어 있다. 정지화 촬영 모드에서, 릴리스 버튼(147)이 반누름 되면, 피사체를의 정지화을 촬영하기 위한 준비 동작(노출 제어치의 설정이나 초점 조절 등의 준비 동작)이 실행되고, 릴리스 버튼(147)이 전 누름되면, 촬영 동작(후술하는 촬상 소자(116)를 노광하고, 그 노광에 의해 얻어진 화상 신호에 소정의 화상 처리를 시행하는 일련의 동작)이 실행된다.
도 2에서, 카메라 본체(101)의 배면 개략 중앙 상부에는, 파인더 창(108)이 마련되어 있다. 파인더 창(108)에는, 교환 렌즈(102)로부터의 피사체상이 유도된다. 촬영자는, 파인더 창(108)을 엿봄에 의해, 피사체를 시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교환 렌즈(102)를 통과하여 온 피사체상을, 미러 기구(126)(도 5 참조)로 상방으로 반사하고, 펜타프리즘(117)(도 5 참조)를 통과한 상을 접안 렌즈(118)(도 5 참조)를 통하여 봄으로써, 피사체상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파인더 창(108) 내에는, 셔터 속도나 조리개 값이나 그 밖에 촬상 시스템(100)의 상태를 나타내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가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촬영자는, 파인더 창(108)을 엿봄으로써, 촬상 시스템(100)의 각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카메라 본체(101)의 배면의 개략 중앙에는, 배면 모니터(107)가 마련되어 있다. 배면 모니터(107)는, 예를 들면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로서 구성되어 있고, 촬영 조건 등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것, 및 재생 모드에서 메모리 카드(176)에 기록된 촬영 화상을 재생 표시하는 것 등이 가능하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면 모니터(107)에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함에 의해, 피사체를 시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촬상 시스템(100)에서는, 광학 파인더를 이용한 구도 결정 동작과 라이브 뷰 표시를 이용한 구도 결정 동작과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면 모니터(107)의 좌상부에는 메인 스위치(141)가 마련되어 있다. 메인 스위치(141)는 2점(点) 슬라이드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접점을 왼쪽의 「0FF」위치로 설정하면, 전원이 오프가 되고, 접점의 오른쪽의 「0N」위치로 설정하면, 전원이 온이 된다.
배면 모니터(107)의 우측에는 방향 선택 키(144)가 마련되어 있다. 이 방향 선택 키(144)는 원형의 조작 버튼을 가지며, 이 조작 버튼에서의 상하 좌우의 4방향의 가압 조작과, 우상, 좌상, 우하 및 좌하의 4방향의 가압 조작이, 각각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방향 선택 키(144)는, 상기 8방향의 가압 조작과는 별도로, 중앙부의 푸시 버튼의 가압 조작도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배면 모니터(107)의 왼쪽 위치에는, 메뉴 화면의 설정, 화상의 삭제 등을 행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설정 버튼군(143)이 마련되어 있다.
도 4는, 촬상 시스템(1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촬상 시스템(100)에서, 제어부(121)는 조작부(140)로부터 입력되는 촬영자로부터의 지시나 렌즈 위치 검출부(123)에 의해 검출되는 포커스 렌즈(103)의 위치 등에 의거하여, 촬상 시스템(100)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메인·마이크로컴퓨터이다. 제어부(121)는, 예를 들면, 불일치 상태(STO)(후술)가 생기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121a), 배면 모니터(107)에서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121b), 및 화상의 해상도를 변환하는 해상도 변환부(121c) 등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조작부(140)는, 상기한 메인 스위치(141)나 모드 설정 다이얼(142), 설정 버 튼군(143), 릴리스 버튼(147)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121)는, 교환 렌즈(102) 내의 CPU(181)를 이용하여, 렌즈 위치 검출부(123)에 의해 검출된 포커스 렌즈(103) 등의 렌즈 위치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21)는, 포커스 제어부(124)를 이용하여 모터(M1)를 제어함에 의해, 교환 렌즈(102) 내의 포커스 렌즈(103)를 구동한다. 여기서는, 위상차 AF 모듈(114)에 의해 구하여진 디포커스량에 응하여 포커스 렌즈(103)를 이동시킴에 의해, 초점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어부(121)는, 미러 제어부(125)를 이용하여 모터(M2)를 제어함에 의해, 미러 기구(126) 내의 퀵 리턴 미러(MR)(도 5) 등을 구동한다.
제어부(121)는, 셔터 제어부(127)를 이용하여 모터(M3)를 제어함에 의해, 메커니컬 셔터(115)를 구동한다.
제어부(121)는, 타이밍 제어 회로(128)를 이용하여, 촬상 소자(116)(여기서는 CCD 촬상 소자), 신호 처리부(129), 및 A/D 변환부(130)를 제어한다.
촬상 소자(116)는, 예를 들면 35㎜ 풀 사이즈의 필름에 상당하는 사이즈(36㎜×24㎜)의 촬상 영역을 갖고 있다. 촬상 소자(116)로 촬상된 아날로그 신호의 화상은, 신호 처리부(129) 및 A/D 변환부(130)에서 디지털 신호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되고, 화상 처리부(150)에 입력된다. 이 화상 데이터는, 화상 처리부(150)에서, 흑(黑)레벨 보정 회로(151), WB 보정 회로(152) 및 γ 보정 회로(153)에서 각 화상 처리가 행하여져서, 화상 메모리(154)에 기억된다.
촬상 소자(116)는, 그 구동 모드(판독 모드(m0de))로서, 「본 촬영 모 드(MD0)」, 「(제 1) 라이브 뷰 모드(MD1)」, 및 「(제 2) 라이브 뷰 모드(MD2)」의 3개의 모드를 갖고 있다. 제어부(121)는, 이들의 판독 모드중에서 동작 상태 및 설정 내용에 응하여 특정한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한 모드를 타이밍 제어 회로(128)에 대해 지정한다. 그리고, 타이밍 제어 회로(128)는, 그 지정 내용에 따라 촬상 소자(116)를 구동한다.
「본 촬영 모드(MD0)」는, 프레임 화상 전체(여기서는 3000×2000의 전 화소)를 판독 대상으로 하여 화상 신호를 판독하는 모드이다. 이 모드(MD0)는, 기록용의 정지화상을 생성할 때에 이용된다.
「라이브 뷰 모드(MD1)」 및 「라이브 뷰 모드(MD2)」는 어느것이나 화상 신호를 걸러내 판독하는 모드이고, 본 촬영 모드(MD0)보다도 고속의 판독 처리가 가능하다. 양 라이브 뷰 모드(MD1, MD2)는, 기록용 화상의 촬영 직전의 프리뷰(라이브 뷰라고도 칭한다)용 화상을 생성할 때 등에 이용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라이브 뷰 모드(MD1)」와 「라이브 뷰 모드(MD2)」는 그 걸러내는 율 및 추출 범위 등이 서로 다르고, 양 모드(MD1, MD2)는 교환 렌즈의 이미지 서클 사이즈 등에 응하여 전환된다.
화상 처리부(150)에서 처리된 화상 데이터는, VRAM(171)을 이용하여 배면 모니터(107)에서 표시되거나, 카드 I/F(175)를 이용하여 메모리 카드(176)에 기록되거나, USB 등으로 규격화된 통신용 I/F(177)를 이용하여 외부에 송신되거나 한다.
제어부(121)는, 필요에 응하여, 플래시 회로(161)를 통하여 플래시(162)를 발광시키거나, AF 보조광 발광부(163)를 발광시키거나 한다.
<2. 구도 결정 동작>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촬상 시스템(100)에서는, 광학 파인더를 이용한 구도 결정 동작과 라이브 뷰 표시를 이용한 구도 결정 동작과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Ⅲ-Ⅲ 위치에서 본 촬상 시스템(100)의 단면도이다. 도 5는 광학 파인더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시인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라이브 뷰 표시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시인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광학 파인더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시인할 때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퀵 리턴 미러(MR)가 하강 상태가 된다. 상세하게는, 피봇부(119)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한 퀵 리턴 미러(MR)는, 광축에 대해 45도의 각도로 경사한 위치에 정지된다. 또한, 메커니컬 셔터(115)는 닫은 상태로 되어 있다.
도 5의 상태에서는, 교환 렌즈(102)를 통하여 입사한 광은, 퀵 리턴 미러(MR)에서 반사되고, 또한 펜타프리즘(117)의 내측면에서 반사되어, 접안 렌즈(118)를 통과하고 파인더 창(108)으로 진행한다. 조작자는, 이 파인더 창(108)을 엿봄에 의해, 실제의 촬영 상태에 가까운 피사체상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라이브 뷰 표시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시인할 때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퀵 리턴 미러(MR)가 상승 상태가 된다. 상세하게는, 퀵 리턴 미러(MR)는, 피봇부(119)를 중심으로 하여, 거의 수평 위치까지 상방으로 회동한다. 이로써, 교환 렌즈(102)로부터의 광은, 촬상 소자(116)에 도달한다. 또한, 셔터(115)는 열린 상태로 되어 있고, 촬상 소자(116)에 입사한 피사체상은, 촬상 소자(116)에서 의 광전 변환 작용 등에 의해 전기적인 화상 데이터로서 생성된다.
또한, 어느 구도 결정 동작이 행하여지는 경우도, 그 구도 결정 동작이 종료하여 릴리스 버튼(147)이 전누름되면, 도 6과 같은 상태가 되어 기록용 화상이 촬영된다. 또한, 기록용 화상 촬영시에는, 메커니컬 셔터(115)를 이용한 노광 제어가 행하여진다.
<3. 장착 가능한 교환 렌즈>
촬상 시스템(100)의 카메라 본체(101)는, 다른 이미지 서클 사이즈를 갖는 복수의 교환 렌즈(102)를 각각 착탈 자유롭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환언하면, 동 카메라 본체(101)는, 다른 사이즈의 노광 영역용으로 설계된 복수의 교환 렌즈(102)를 선택적으로(교환적으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은 교환 렌즈(102)로서는, 촬상 소자가 탑재된 카메라 보디용으로 설계된 교환 렌즈뿐만 아니라, 은염(銀鹽) 필름이 세트되는 카메라 보디용으로 설계된 교환 렌즈도 채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촬상 시스템(100)에서는, 그 마운트부(Mt)의 규격이 카메라 본체(101)의 마운트부(Mt)의 규격에 합치하는 교환 렌즈라면, 그 이미지 서클의 사이즈가 촬상 소자의 사이즈에 합치하지 않는 교환 렌즈라도, 카메라 본체(101)에의 장착이 가능해지고 있다. 그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면의 구석이 찍히지 않음의 발생을 수반하는 교환 렌즈(102)가 장착되는 일이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는, 각 교환 렌즈(102)에 관해 그 설계시에 대상이 되는 노광 영역을 「대상 노광 영역」이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은염 카메 라용의 많은 교환 렌즈(102a)는 35㎜ 사이즈의 필름의 노광 영역(Ea)(도 7)용으로 설계되어 있고, 해당 노광 영역(Ea)을 해당 교환 렌즈(102a)의 대상 노광 영역이라고 칭한다. 또한, APS 사이즈의 디지털 카메라용의 많은 교환 렌즈(102b)는 APS 사이즈의 촬상 영역(Eb)(도 7)용으로 설계되어 있고, 해당 노광 영역(Eb)을 해당 교환 렌즈(102b)의 대상 노광 영역이라고 칭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로는, 카메라 본체(101)에 마련된 촬상 소자(116)는, 35㎜ 풀 사이즈의 필름에 상당하는 사이즈(약 36㎜ × 약 24㎜)의 촬상 영역(116f)(도 7 참조)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7은, 각 교환 렌즈의 대상 노광 영역(Ea, Eb)(및 각각의 이미지 서클(ICa), ICb)과 촬상 소자(116)의 촬상 영역(116f)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런데, 카메라 본체(101)는, 촬상 소자(116)의 촬상 영역(116f)의 사이즈와 동일 사이즈의 노광 영역(대상 노광 영역)(Ea)용으로 설계된 교환 렌즈(102)(102a)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교환 렌즈(102a)의 대상 노광 영역(Ea)의 사이즈와 촬상 소자(116)의 촬상 영역(116f)의 사이즈는 동일하기 때문에,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 소자(116)의 촬상 영역(116f)은 교환 렌즈(102a)의 이미지 서클(ICa)에 내포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교환 렌즈(102a)가 카메라 본체(101)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적정한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카메라 본체(101)는, 촬상 소자(116)의 촬상 영역(116f)의 사이즈보다 큰 사이즈의 노광 영역(대상 노광 영역)(Ec)(도시 생략)용으로 설계된 교환 렌즈(102)(102c)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교환 렌즈(102c)의 이미지 서클(ICc) 은, 교환 렌즈(102a)의 이미지 서클(ICa)보다 크다. 이 경우도, 교환 렌즈(102c)의 이미지 서클(ICc)의 내측에 촬상 소자(116)의 촬상 영역(116f)이 포함되기 때문에, 적정한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카메라 본체(101)는, 촬상 소자(116)의 촬상 영역(116f)의 사이즈보다 작은 사이즈의 노광 영역(대상 노광 영역)(Eb)용으로 설계된 교환 렌즈(102)(102b)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 본체(101)는, APS 사이즈의 촬상 영역(약 24㎜ × 약 16㎜)용으로 설계된 교환 렌즈(102)(102b)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교환 렌즈(102b)의 이미지 서클(ICb)은, 교환 렌즈(102a)의 이미지 서클(ICa)보다도 작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교환 렌즈(102b)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 소자(116)의 촬상 영역(116f)이 교환 렌즈(102b)의 이미지 서클(ICb)의 내측에 포함되지 않다 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 소자(116)에 의해 취득된 화상(Go)에서는, 그 네모퉁이 부분의 휘도가 저하되어 화상 주변부에 화면의 구석이 찍히지 않음(Kr)이 생기게 된다.
그래서, 이 촬상 시스템(100)에서는, 카메라 본체(101)에 현재 장착되어 있는 교환 렌즈(장착중의 교환 렌즈)(102)의 대상 노광 영역의 사이즈(Se)가 촬상 소자(116)의 촬상 영역(116f)의 사이즈(Cs)보다도 작은(Se<Cs) 상태(이하, 불일치 상태, 이미지 서클 과소 상태, 또는 과소 렌즈 장착 상태 등이라고도 칭한다)(STO)가 생기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해당 상태(STO)가 생기고 있는 경우에는, 촬상 소자(116)의 촬상 영역(116f)의 일부를 트리밍에 의해 잘라낸 화상을 기 록용 화상으로서 이용하고, 해당 기록용 화상과 같은 영역의 화상(걸러냄 화상)을 이용하여 라이브 뷰 표시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 본체(101)에 현재 장착되어 있는 교환 렌즈(이하, 단지 「장착 렌즈」라고 칭한다)의 대상 노광 영역(예를 들면 Eb)에 상당하는 부분 영역의 화상을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표시함과 함께, 조작자로부터의 촬영 지시에 응답하여, 해당 부분 영역의 화상을 촬상 영역(116f)으로부터 추출하고 기록용 화상(촬영 화상)으로서 기록하는 것으로 한다.
<4. 라이브 뷰 표시 상세>
이 실시 형태에서는, 교환 렌즈의 대상 노광 영역의 사이즈(Se)와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의 사이즈(Cs)와의 대소 관계에 응하여, (a) 표준 라이브 뷰 표시 및 (b) 특별 라이브 뷰 표시의 2종류의 라이브 뷰 표시를 전환하여 행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불일치 상태(STO)가 생기고 있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Se<Cs인 경우)에는, (b) 특별 라이브 뷰 표시가 행하여지고, 그 밖의 상태라고 판정되는 경우(Se=Cs 또는 Se>Cs인 경우)에는, (a) 표준 라이브 뷰 표시가 행하여진다. (a) 표준 라이브 뷰 표시에서는, 촬상 영역(116f)의 화상(GA)이 배면 모니터(107)에 표시되고(도 9 참조), (b) 특별 라이브 뷰 표시에서는, 촬상 영역(116f) 중의 일부 영역(구체적으로는, 장착 렌즈(102)의 대상 노광 영역에 상당하는 부분 영역)의 화상(GB)이 배면 모니터(107)에 확대 표시된다(도 10 참조). 또한, 도 9는 표준 라이브 뷰 표시에 의한 배면 모니터(107)에서의 표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특별 라이브 뷰 표시에 의한 배면 모니터(107)에서의 표시 상태를 도 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표준 라이브 뷰 표시에 관해 설명한다.
표준 라이브 뷰 표시가 행하여질 때에는, 촬상 소자(116)의 구동 모드로서, 「라이브 뷰 모드(MD1)」가 채용된다.
도 11(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라이브 뷰 모드(MD1)」에서는, 수평 방향 3000화소, 수직 방향 2000화소를 갖는 촬상 소자(116)로부터 수평 라인마다의 화소 신호를 판독할 때, 8라인중 1라인을 판독하도록 촬상 소자(116)가 구동된다. 즉, 「라이브 뷰 모드(MD1)」시에는, 2000개의 수평 라인이 1/8 걸러내어진 상태(1/8로 걸러내어진 상태)로 판독된다. 이 결과, 「라이브 뷰 모드(MD1)」시에 촬상 소자(116)로부터 출력되는 화상(GA1)은,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000×250의 화소로 구성되게 된다.
그 후, 해상도 변환부(121c)는, 이 화상(GA1)에 대해, 수평 방향의 화소 수를 1/8로 하는 소정의 해상도 변환을 시행하여, 도 1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75×250의 화소로 구성되는 화상(GA2)를 얻는다. 또한, 해상도 변환부(121c)는, 종횡의 화소 수의 미조정을 행하기 위한 보간 처리(해상도 변환)를 행함에 의해, 도 11(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20×240화소로 구성되는 화상(GA3)을 얻는다.
이 화상(GA3)은, 배면 모니터(107)의 표시 화소 수와 동일한 화상 사이즈를 갖임과 함께, 촬상 소자(116)의 촬상 영역의 전체 에어리어(전(all) 노선상 영역1)(16f)에 대응하는 영역을 그 시야로 하는 화상(도 9 참조)이다.
이와 같이 하여 취득된 화상(GA3)은,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배면 모니 터(107)에 표시된다. 또한, 이와 같은 화상(GA3)은, 미소 시간 간격(△t)(예를 들면 1/30초)으로 순차적으로에 취득되고, 동 간격(△t)으로 배면 모니터(107)에 표시된다. 이로써, 배면 모니터(107)에서 동화적 양태의 라이브 뷰 표시가 실현된다.
다음에, 특별 라이브 뷰 표시에 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별 라이브 뷰 표시는, 불일치 상태(STO)가 생기고 있는 경우(즉 Se<Cs인 경우)에 행하여진다. 이 특별 라이브 뷰 표시는, 장착 렌즈의 대상 노광 영역에 상당하는 영역(Eb)(도 12 참조)을 대상으로 행하여진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영역(Eb)에 존재하는 수평 라인으로서는, 촬상 영역(116f)에서의 전 2000개의 수평 라인중, 약 2/3(약 16㎜/24㎜ = Eb/Ea)에 해당하는 1336개가 해당한다.
여기서, 불일치 상태(STO)가 생기고 있는 경우에도 상술한 표준 라이브 뷰 표시를 행하는 것도 생각된다. 그러나, 이 경우, 장착 렌즈의 대상 노광 영역은 촬상 영역(116f)보다도 작은 사이즈를 갖고 있기 때문에, 표준 라이브 뷰 표시와 같은 표시를 행하는 때에는, 영역(Ep)(화상 트리밍 후의 기록용 화상의 시야 범위에 상당한다)이 배면 모니터(107)에서 비교적 작게 표시되어 버리게 된다.
그래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 영역(116f)의 전체 영역에 대해 트리밍을 행하여, 촬상 영역(116f)의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화상(상세하게는, 장착 렌즈(102)의 대상 노광 영역(Eb)(도 12)에 상당하는 화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이 일부 영역(Eb)에 대응한 화상을 비교적 크게 배면 모니터(107)에 표시함에 의해, 라이브 뷰 표시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도 10). 이 때, 일부 영역(Eb)의 화상은, 배 면 모니터(107)에서, 비교적 넓은 에어리어, 구체적으로는 영역(Ep)(도 8)보다도 넓은 에어리어(예를 들면 배면 모니터(107)의 전 표시 영역)에 표시된다. 영역(Ep)은, 불일치 상태(STO)가 생기지 않은 때의 라이브 뷰 표시(예를 들면 표준 라이브 뷰 표시)에서 일부 영역(Eb)이 표시되는 에어리어인 것으로 표현된다. 이와 같이, 일부 영역(Eb)의 화상이 배면 모니터(107)에 비교적 크게 표시되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시인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특별 라이브 뷰 표시에서는, 촬상 소자(116)로부터의 판독시에 있어서의 걸러내는 율을 변경하여(상세하게는, 걸러냄의 정도를 작게 하여), 일부 영역(Eb)의 화상을 판독하는 것으로 한다. 환언하면, 불일치 상태(STO)가 생기고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불일치 상태(STO)가 생기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는 경우에 비하여 걸러냄의 정도를 작게 하여, 라이브 뷰용의 화상이 취득된다. 여기서는, 촬상 소자(116)의 구동 모드로서 「라이브 뷰 모드(MD2)」를 이용하여, 1/5 걸러냄에 의한 라이브 뷰용의 화상을 취득한 경우(도 14)를 예시한다. 가령, 영역(Eb)를 1/8 걸러냄에 의한 구동 동작에 의해 판독하는 경우에는, 영역(Eb)에 대응하는 1336개의 수평 라인(도 12)중, 166개의 수평 라인이 판독된다(도 13). 이에 대해, 영역(Eb)을 1/5 걸러냄에 의한 구동 동작에 의해 판독하는 경우에는, 영역(Eb)에 대응하는 1336개의 수평 라인(도 12)중, 보다 다수의 수평 라인(266개의 수평 라인)을 판독할 수 있다(도 14). 따라서 비교적 높은 해상감을 줄 수 있는 라이브 뷰 표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촬상 소자(116)로부터의 판독시에서는, 일부 영역(Eb) 이외의 부분(상 세하게는, 일부 영역(Eb) 이외의 부분의 수평 라인)를 판독하지 않는다. 이에 의하면, 판독 시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동화적 양태의 라이브 뷰 표시에 있어서, 프레임 레이트의 저하를 방지하고, 움직임이 매끈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서, 특별 라이브 뷰 표시 동작의 상세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촬상 소자(116)의 구동 동작이 「라이브 뷰 모드(MD2)」로 설정된다. 그리고, 도 15(a)(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 영역(116f)중 영역(Eb)에 대응하는 1336개의 수평 라인에 관해, 5라인중 1라인을 판독하도록 구동된다. 즉, 라이브 뷰 모드(MD2)에서는, 1336개의 수평 라인이 1/5 걸러내어진 상태(1/5로 걸러내어진 상태)로 판독된다. 이 결과, 라이브 뷰 모드(MD2)에서 촬상 소자(116)로부터 출력되는 화상(GB1)은,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000×266의 화소로 구성되게 된다.
그 후, 해상도 변환부(121c)는, 이 화상(GB1)에 대해, 각 수평 라인의 중앙부(장착 렌즈의 대상 노광 영역에 상당하는 부분)의 2000화소에 관해, 그 수평 방향의 화소 수를 1/5로 하는 소정의 해상도 변환을 시행하고, 도 1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00×266의 화소로 구성되는 화상(GB2)을 얻는다. 또한, 해상도 변환부(121c)는, 종횡의 화소 수의 미조정을 행하기 위한 보간 처리(해상도 변환)를 행함에 의해, 도 15(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20×240화소로 구성되는 화상(GB3)을 얻는다. 이 보간 처리에서는, 화상(GB2)에 대해 그 화소 수를 감소하는 해상도 변환 처리(축소 처리)가 시행된다.
이 화상(GB3)은, 촬상 소자(116)의 촬상 영역(116f) 중, 장착 렌즈의 대상 노광 영역에 상당하는 영역(도 12 참조)(Eb)을 그 시야로 하는 화상이고, 또한, 배면 모니터(107)의 표시 화소 수와 동일한 화상 사이즈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취득된 화상(GB3)은,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배면 모니터(107)에 표시된다. 또한, 이와 같은 화상(GB3)은, 미소 시간 간격(△t)(예를 들면 1/30초)으로 순차적으로 취득되어, 동화적 상태로 배면 모니터(107)에 표시된다.
이상과 같이, 특별 라이브 뷰 표시에서의 「라이브 뷰 모드(MD2)」에 의한 화상 판독시의 걸러내는 율(4/5)은, 표준 라이브 뷰 표시에서의 「라이브 뷰 모드(MD1)」에 의한 화상 판독시의 걸러내는 율(7/8)보다도 작다. 그 때문에,「라이브 뷰 모드(MD2)」에 의해 판독된 화상(GB2)은, 화상(GA2)에 비하여 고정밀인 화상으로서 얻어진다. 또한, 축소 처리 후의 화상(GB3)도, 화상(GA3)에 비하여 높은 해상감을 얻을 수 있다.
<5. 촬상 시스템(100)의 동작>
도 16은, 촬상 시스템(100)의 기본적인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 동작은, 제어부(121)에 의해 실행된다. 도 16을 참조하면서, 촬상 시스템(100)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유저에 의해 교환 렌즈(102)가 장착되면, 그 장착이 검출된다(스텝 SP1). 여기서는, 예를 들면 커넥터(EC)를 통하여 CPU(181)와의 통신이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단함으로써 교환 렌즈(102)가 마운트부(Mt)에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검 출한다.
또한, 스텝 SP2에서는, R0M(182)에 격납되어 있는 교환 렌즈(102)의 정보가 커넥터(EC)를 통하여 카메라 본체(101)를 향하여 송신되고, 해당 정보가 제어부(121)에서 수신된다.
다음의 스텝 SP3에서는, 라이브 뷰 표시에 관한 설정 내용이 확인된다. 이 촬상 시스템(100)에서는, 배면 모니터(107)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 등을 이용하여, 라이브 뷰 표시를 행하는지 아닌지를 조작자가 미리 설정하여 둘 수가 있다. 설정 내용(설정치)은, 제어부(121) 내에 격납된다. 라이브 뷰 표시를 행하는 취지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라이브 뷰 표시를 이용한 구도 결정 동작이 가능해지고, 해당 라이브 뷰 표시를 행하지 않는 취지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광학 파인더를 이용한 구도 결정 동작이 가능해진다. 이 스텝 SP3에서 이 설정 내용(설정치)을 확인하고, 라이브 뷰 표시를 행하는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그리고, 라이브 뷰 표시를 행하지 않는 취지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퀵 리턴 미러(MR)를 하강 상태로 하며 또한 메커니컬 셔터(115)를 닫은 상태로 하고 나서 스텝 SP7로 진행한다. 한편, 라이브 뷰 표시를 행하는 취지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퀵 리턴 미러(MR)를 상승 상태로 하며 또한 메커니컬 셔터(115)를 열은 상태로 하고 나서 스텝 SP4로 진행한다.
스텝 SP4에서는, 스텝 SP2에서 수신한 교환 렌즈(102)의 정보에 의거하여, 카메라 본체(101)에 장착중의 교환 렌즈의 대상 노광 영역의 사이즈와, 카메라 본체(101) 내의 촬상 소자(116)의 촬상 영역(노광 영역)의 사이즈와의 대소 관계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 본체(101)에 현재 장착되어 있는 교환 렌즈(102)의 대상 노광 영역의 사이즈(Se)가, 카메라 본체(101) 내의 촬상 소자(116)의 촬상 영역(노광 영역)의 사이즈(Cs)보다도 작은 상태(STO)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스텝 SP2에서 예를 들면 교환 렌즈(102)의 형번(型番)을 렌즈의 고유정보로서 수신한 경우에는, 그 형번의 교환 렌즈(102)의 대상 노광 영역의 사이즈를 파악하여, 촬상 소자(116)의 촬상 영역의 사이즈와 비교한다. 예를 들면, 교환 렌즈의 형번과 그것에 적합한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 사이즈와의 관계를 기술한 데이터 테이블을 제어부(121)의 메모리에 격납하여 두고, 이 데이터 테이블을 참조함에 의해 교환 렌즈의 형번으로부터 해당 형번의 교환 렌즈에 관한 대상 노광 영역의 사이즈(Se)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소자(116)의 촬상 영역 사이즈(Cs)에 관한 정보는, 제어부(121) 내의 R0M(도시 생략)로부터 판독함에 의해 취득된다. 그리고, 양 정보를 비교함에 의해, 상기한 상태(STO)가 생기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그리고, 불일치 상태(STO)가 생기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P5로 진행하고, 불일치 상태(STO)가 생기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P6으로 진행한다.
스텝 SP5에서는, 상술한 표준 라이브 뷰 표시(모드(MD1)에 의한 라이브 뷰 표시)가 행하여진다.
한편, 스텝 SP6에서는, 상술한 특별 라이브 뷰 표시(모드(MD2)에 의한 라이브 뷰 표시)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스텝 SP7에서, 릴리스 버튼(147)이 유저에 의해 전부 눌려지면, 노광 동작이 행하여진다. 이로써, 촬상 소자(116)에서 피사체의 화상이 취득되다. 또한, 이 노광 동작에서는, 불일치 상태(STO)가 생기고 있을 때에는, 촬상 소자(116)로부터 판독한 전체 화상중, 영역(Eb)(도 7 참조)을 잘라낸 고해상도의 화상(예를 들면, 2000×1336화소의 화상)이 기록 화상으로서 기록된다. 또한, 불일치 상태(STO)가 생기지 않은 때에는, 촬상 영역 전체에 관한 고해상도의 화상(예를 들면, 3000×2000화소의 화상)이 촬상 소자(116)로부터 판독되고 기록 화상으로서 기록된다.
<6.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불일치 상태(STO)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라이브 뷰 표시용의 화상으로서, 「라이브 뷰 모드(MD2)」를 이용하여 대상 노광 영역의 화상을 판독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불일치 상태(STO)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도, 「라이브 뷰 모드(MD1)」에 의해 대상 노광 영역의 화상을 판독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세하게는, 우선, 도 17(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라이브 뷰 모드(MD1)」에 의해, 대상 노광 영역에 대응하는 1336개의 수평 라인이 1/8 걸러내어진 상태로 판독되고, 촬상 소자(116)로부터, 3000×166의 화소로 구성된 화상(GC1)이 출력된다(도 17(b)). 그 후, 화상(GC1)에 대해, 각 수평 라인의 중앙부(장착 렌즈의 대상 노광 영역에 상당하는 부분)의 2000화소에 관해, 수평 방향의 화소 수를 1/8로 하는 소정의 해상도 변환을 시행하여, 도 1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50 ×166의 화소로 구성되는 화상(GC2)을 얻는다. 또한, 종횡의 화소 수의 미조정을 행하기 위한 보간 처리(해상도 변환)를 화상(GC2)에 시행함에 의해, 도 17(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320×240화소로 구성되는 화상(GC3)을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얻을 수 있다. 이 보간 처리에서는, 화상(GC2)에 관해,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양방향의 화소 수를 증가시키는(즉 화소 수를 확대한다) 해상도 변환 처리가 시행되어, 화상(GC3)이 얻어진다.
단, 이 경우, 즉, 「라이브 뷰 모드(MD1)」에 의해 대상 노광 영역의 화상을 판독하는 경우에는, 해당 대상 노광 영역에 대응하는 1336개의 수평 라인 중의 7/8이 걸러내어지고, 나머지 약 1/8에 해당하는 166개가 판독된다. 이에 의하면, 배면 모니터(107)의 수평 라인 수인 240개보다도 적은 수의 수평 라인의 화상(GC2)밖에 얻어지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화상(GC2)에 확대 보간 처리를 시행함에 의해 수직 방향의 화소 수를 증가시켜서 크게 표시한다고 하여도, 상기 실시 형태 정도로는 고해상감을 얻을 수가 없다.
이에 대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배면 모니터(107)의 표시 영역의 사이즈(상세하게는, 종횡의 화소 수(화소 수 사이즈))(여기서는 320×240화소), 특히 수평 라인 수(240개)에 적합하도록, 촬상 소자(116)로부터의 판독시에 있어서의 걸러내는 율을 변경하여, 일부 영역(Eb)의 화상을 판독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라이브 뷰 모드(MD2)」에 의해 대상 노광 영역의 화상을 판독하는 경우에 있어서, 해당 대상 노광 영역에 대응하는 1336개의 수평 라인중의 4/5가 걸러내어지는 것이고, 나머지 약 1/5에 해당하는 266개가 판독된다. 즉, 비교적 다수의 수평 라인을 갖는 화상, 상세하게는 배면 모니터(107)의 수평 라인 수인 240개보다도 많은 수의 수평 라인을 갖는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배면 모니터(107)에의 표시용 화상으로서, 충분히 세밀하며 또한 적당한 해상도를 갖는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촬상 소자(116)로부터의 판독 직후의 수평 라인 수는, 배면 모니터(107)의 수평 라인 수(화소 수)에 적합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 소자(116)로부터의 판독 직후의 수평 라인 수(266개)가 배면 모니터(107)의 수평 라인 수(240개) 이상이 되도록, 촬상 소자(116)로부터의 판독시에 있어서의 걸러내는 율이 설정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촬상 소자(116)로부터의 판독 후의 수평 라인 수는 배면 모니터(107)의 수평 라인 수의 1할 정도의 오차 범위 내의 값(예를 들면, 216개 내지 266개)이 되도록 정하여지면 좋다. 상세하게는, 판독 직후의 수평 라인 수는, 배면 모니터(107)의 수평 라인 수를 약간 하회하는 값(예를 들면, 216개)이라도 좋다. 촬상 소자(116)로부터의 판독 직후의 수평 라인 수(수직 방향의 화소 수)는, 이와 같은 오차 범위 내의 수평 라인 수라면, 배면 모니터(107)의 수평 라인 수(화소 수)에 적합한 것이라고 간주된다. 또한, 수평 방향의 화소 수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특수 라이브 뷰 표시에 있어서, 화상(GB3)을 배면 모니터(107)의 전체에 표시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불일치 상태(STO)가 생기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라이브 뷰 화상에 붙이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라이브 뷰 화상에 바깥테두리(해칭 테두리 등)를 붙인 상태로 라이브 뷰 표시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는, 라이브 뷰 화상을 배면 모니터(107)의 전체 중 일부의 지정 영역(부분 영역)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지정 영역은, 영역(Ep)(도 8)보다도 넓은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 소자(116)로서, CCD 타입의 촬상 소자를 이용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CM0S 타입의 촬상 소자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CM0S 타입의 촬상 소자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촬상 소자로부터 화상 신호를 판독할 때에 소망하는 위치의 화소 신호를 직접적으로 취득하여 라이브 뷰 화상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촬상 소자(116)로부터의 화상 판독시에 있어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양방향에 있어서의 걸러내는 동작을 수반하여 화상을 판독하면 좋다. 이에 의하면, 예를 들면, 도 15에서의 화상(GB1)를 통하는 일 없이, 화상(GB2)에 상당하는 화상을 촬상 소자(116)로부터 직접 잘라낼 수가 있다. 마찬가지로, 도 17에서의 화상(GC1)을 통하는 일 없이, 화상(GC2)에 상당하는 화상을 촬상 소자(116)로부터 직접 잘라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교환 렌즈(102)의 정보로서 렌즈의 형식이나 형번 등을 R0M(182)에 격납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교환 렌즈(102)에 대응하는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 사이즈를 직접 R0M(182)에 격납하도록 하여도 좋다.

Claims (6)

  1. 다른 사이즈의 대상 노광 영역용으로 설계된 복수의 교환 렌즈를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촬상 영역을 갖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을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수단과,
    상기 촬상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교환 렌즈의 대상 노광 영역의 사이즈가 상기 촬상 영역의 사이즈보다도 작은 상태인 불일치 상태가 생기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불일치 상태가 생기고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촬상 영역의 일부 영역의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일부 영역의 화상을 상기 표시 수단에서, 상기 불일치 상태가 생기지 않은 때의 라이브 뷰 표시로 상기 일부 영역이 표시되는 에어리어보다도 넓은 에어리어에, 상기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촬상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교환 렌즈의 대상 노광 영역에 상당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불일치 상태가 생기고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불일치 상태가 생기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의 판독시에 있어서의 걸러냄의 정도를 작게 하여, 상기 일부 영역의 화상을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불일치 상태가 생기고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 수단의 표시 영역의 사이즈에 적합하도록,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의 판독시에 있어서의 걸러내는 율을 변경하여, 상기 일부 영역의 화상을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불일치 상태가 생기고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불일치 상태가 생기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는 경우와 같은 걸러내는 율로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화상을 판독하고, 해당 판독 화상중 상기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화상에 대해, 화소 수를 증가하는 해상도 변환 처리를 시행한 확대 화상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교환 렌즈와, 상기 교환 렌즈를 착탈 가능한 촬상 장치를 갖는 촬상 시스템 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다른 사이즈의 대상 노광 영역용으로 설계된 복수의 교환 렌즈를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하고,
    상기 촬상 장치는,
    촬상 영역을 갖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을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수단과,
    상기 촬상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교환 렌즈의 대상 노광 영역의 사이즈가 상기 촬상 영역의 사이즈보다도 작은 상태인 불일치 상태가 생기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불일치 상태가 생기고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촬상 영역의 일부 영역의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일부 영역의 화상을 상기 표시 수단에서, 상기 불일치 상태가 생기지 않은 때의 라이브 뷰 표시로 상기 일부 영역이 표시되는 에어리어보다도 넓은 에어리어에, 상기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시스템.
KR1020087013477A 2005-12-07 2006-12-12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 KR200800758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53609A JP2007158935A (ja) 2005-12-07 2005-12-07 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JP-P-2005-00353609 2005-12-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856A true KR20080075856A (ko) 2008-08-19

Family

ID=38162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3477A KR20080075856A (ko) 2005-12-07 2006-12-12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81251B2 (ko)
EP (1) EP1962494A4 (ko)
JP (1) JP2007158935A (ko)
KR (1) KR20080075856A (ko)
CN (1) CN101849406B (ko)
TW (1) TW200826657A (ko)
WO (1) WO20070695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609714S1 (en) * 2007-03-22 2010-02-09 Fujifilm Corporation Electronic camera
JP2010226186A (ja) * 2009-03-19 2010-10-07 Olympus Imaging Corp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11175246A (ja) * 2010-01-28 2011-09-08 Hoya Corp 撮像装置
KR101837688B1 (ko) * 2011-03-30 2018-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CN108387995B (zh) 2011-11-11 2021-05-14 株式会社尼康 镜头镜筒、相机主体以及可换镜头
KR20130052372A (ko) * 2011-11-11 2013-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6218385B2 (ja) * 2013-02-01 2017-10-2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交換レンズ及び撮像装置
WO2014181881A1 (ja) 2013-05-10 2014-11-13 株式会社ニコン レンズ鏡筒、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撮像装置
JP2015032917A (ja) * 2013-07-31 2015-02-16 株式会社東芝 固体撮像装置
CN104519241B (zh) * 2013-09-29 2018-10-1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数据获取方法及电子设备
JP6724288B2 (ja) 2014-11-07 2020-07-15 株式会社ニコン 交換レンズ、カメラ本体およびカメラ
JP6704743B2 (ja) * 2016-02-05 2020-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レンズ装置
JP6779258B2 (ja) * 2018-06-25 2020-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GB2576241B (en) * 2018-06-25 2020-11-04 Canon Kk Image cap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WO2020179832A1 (ja) * 2019-03-05 2020-09-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9235B2 (ja) 1998-06-05 2007-12-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デバイスの駆動方法及び電子カメラ
JP2000050138A (ja) * 1998-07-29 2000-02-18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3298545B2 (ja) * 1999-03-29 2002-07-02 ミノルタ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及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2001125173A (ja) 1999-10-26 2001-05-11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4408001B2 (ja) * 2000-12-21 2010-02-0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4503878B2 (ja) 2001-04-27 2010-07-1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4988994B2 (ja) * 2001-06-28 2012-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カメラ装置
JP2003061048A (ja) * 2001-08-20 2003-02-28 Canon Inc 電子カメラ、撮像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04282686A (ja) * 2003-01-20 2004-10-07 Minolta Co Ltd 撮像装置
JP4105967B2 (ja) 2003-03-18 2008-06-25 株式会社リコー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4383841B2 (ja) * 2003-12-12 2009-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交換レンズ
JP2005173501A (ja) * 2003-12-15 2005-06-30 Canon Inc 電子カメラ
JP4624065B2 (ja) * 2004-10-13 2011-02-0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49406A (zh) 2010-09-29
US20090251554A1 (en) 2009-10-08
WO2007069594A1 (ja) 2007-06-21
EP1962494A1 (en) 2008-08-27
TW200826657A (en) 2008-06-16
CN101849406B (zh) 2012-10-03
TWI333373B (ko) 2010-11-11
EP1962494A4 (en) 2010-11-24
JP2007158935A (ja) 2007-06-21
US8081251B2 (en) 201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5856A (ko)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
US8345147B2 (en) Image pickup apparatus
JP2009267566A (ja) 撮像装置
JP5923759B2 (ja) 撮像装置
US20090021633A1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system
US7805068B2 (en) Imaging apparatus
US8013896B2 (en) Imaging apparatus including shaking correction for a second imaging sensor
JP4183000B2 (ja) 撮像装置
JP2008242230A (ja) 撮影装置、撮影システム、および撮影方法
JP2009017517A (ja) 撮像装置
JP4988994B2 (ja) 電子カメラ装置
JP2008146024A (ja)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JP4963741B2 (ja) 撮像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2006217354A (ja) デジタルカメラ、アクセサリ装置、及び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JP2007036951A (ja) 電子ビューファインダを有するカメラ
JP2007057933A (ja) 電子ビューファインダを有するカメラ
JP2000165709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9290787A (ja) カメラ
JP2009267592A (ja) 撮像装置、表示位置補正方法および表示位置補正プログラム
JP2001128060A (ja) 電子カメラ
JP2007202024A (ja) 撮像装置
JP2009282378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本体
JP2005217877A (ja) 撮像装置およびリモコン装置
JP2009049833A (ja) 撮像装置
JP2008304933A (ja) 撮像装置およびファインダ光学系での光路切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