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5201A - 휠밸런스웨이트 - Google Patents

휠밸런스웨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5201A
KR20080075201A KR1020087015374A KR20087015374A KR20080075201A KR 20080075201 A KR20080075201 A KR 20080075201A KR 1020087015374 A KR1020087015374 A KR 1020087015374A KR 20087015374 A KR20087015374 A KR 20087015374A KR 20080075201 A KR20080075201 A KR 20080075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heel
adhesive tape
release paper
wheel ba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야스 다구치
다츠히코 스가야우치
유타카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다이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도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도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5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5/00Wheels or wheel attachments designed for increasing traction
    • B60B15/28Wheel-ballasting weights; Their attach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32Correcting- or balancing-weights or equivalent means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e.g. vehicle wheels
    • F16F15/324Correcting- or balancing-weights or equivalent means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e.g. vehicle wheels the rotating body being a vehicle wheel
    • F16F15/328Multiple weights on adhesive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1/00Units comprising multiple wheels arranged side by side; Wheels having more than one rim or capable of carrying more than one tyre
    • B60B11/08Arrangements of balancing mechanisms enabling a uniform distribution of load to ty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32Correcting- or balancing-weights or equivalent means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e.g. vehicle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 Testing Of Balance (AREA)

Abstract

박리지를 휠과 함께 조립할 때 상기 박리지가 박리되기 쉬운 휠밸런스웨이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실질적으로 스트립 형상의 웨이트; 테잎의 표면이 웨이트의 이면에 고정되는 점착테잎부; 및 테잎의 이면을 피복하는 박리지로서, 점착테잎부와 박리지의 폭들을 조정하여 박리지가 핀칭되기 쉽게 만드는 박리지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박리지가 조립 작업 전에는 분리되기 쉽지 않고 조립 시에는 핀칭되기 쉽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며, 부가적으로는 휠밸런스웨이트를 휠과 함께 조립할 때의 작업성이 개선된다.

Description

휠밸런스웨이트{WHEEL BALANCE WEIGHT}
본 발명은 휠과 함께 조립 시 작업성이 높은 휠밸런스웨이트에 관한 것이고, 특히 휠과의 조립 시 박리지(release coated paper)가 박리되기 쉬운 휠밸런스웨이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타이어 등이 휠과 통합되는 이러한 휠-조립 상태에서는, 휠어셈블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주변방향뿐만 아니라 그 회전축의 방향으로 임피던스가 커짐에 따라, 주행 시 진동, 소음 등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진동과 소음은 휠의 임피던스에 기인하여 발생한다. 임피던스를 없애기 위하여, 휠밸런스웨이트가 휠과 함께 조립된다.
휠과 함께 조립되는 휠밸런스웨이트 중 하나가 일본실용신안등록공보 제3,066,945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휠밸런스웨이트는 실질적으로 스트립 형상의 평판(substantially-strip-shaped flat-plate) 구성으로 형성되는 웨이트를 점착테잎에 의하여 휠에 접착시켜 휠과 함께 조립된다.
또한, 그 웨이트가 복수의 웨이트 피스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휠밸런스웨이트가 있다. 이러한 휠밸런스웨이트는 예컨대 미국특허공보 제6,364,42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휠밸런스웨이트는 또한 다수의 웨이트 피스들이 점착테잎에 의해 휠 에 접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들 휠밸런스웨이트는 휠과의 조립에 앞서 휠에 접착될 점착테잎의 접착면을 박리지가 피복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박리지에 의하면, 점착테잎의 접착면이 보호된다. 그리고, 휠과의 조립 시, 박리지가 벗겨져 접착면을 노출시킨 다음, 휠에 점착된다.
종래의 휠밸런스웨이트는 박리지의 일 단부가 웨이트의 일 단부를 넘어 폭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박리지를 웨이트로부터 벗겨낼 때 상기 박리지가 쉽게 핀칭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종래의 휠밸런스웨이트들은 박리지만이 웨이트의 일 단부를 넘어 폭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상술된 구조를 갖는 휠밸런스웨이트에서는, 휠과의 조립 전 상태에서, 박리지가 구부러져 휘거나 상기 박리지가 박리된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조립 전 휠밸런스웨이트의 보유 시와 그 보관 시, 이웃하는 휠밸런스웨이트와 같은 물체에 가압될 때, 박리지가 구부러져 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박리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된 사정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휠과의 조립 시 박리지가 박리되기 쉬운 휠밸런스웨이트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상술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점착테잎부와 박리지의 형상을 계속해서 검토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실질적으로 스트립 형상의 웨이트; 테잎의 표면이 웨이트의 이면에 고정되는 점착테잎부; 및 상기 테잎의 이면을 피복하는 박리지로서, 점착테잎부와 박리지의 폭들을 조정하여 박리지가 핀칭되기 쉽게 만드는 박리지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웨이트의 표면과 웨이트의 이면이 배향(背向, back to back)하여 배치되는 실질적으로 스트립 형상의 웨이트; 테잎의 표면과 테잎의 이면이 배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테잎의 표면은 상기 웨이트의 이면에 고정되며, 상기 테잎의 이면은 휠에 접착되는 점착테잎부; 및 상기 테잎의 이면을 박리가능한 상태로 피복하는 박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점착테잎부는 그 폭이 웨이트의 폭보다 좁게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박리지는 그 폭이 상기 테잎부의 폭을 초과하는 길이이고, 상기 웨이트의 폭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웨이트의 표면과 웨이트의 이면이 배향하여 배치되는 실질적으로 스트립 형상의 웨이트; 테잎의 표면과 테잎의 이면이 배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테잎의 표면은 상기 웨이트의 이면에 고정되며, 상기 테잎의 이면은 휠에 접착되는 점착테잎부; 및 적어도 상기 테잎의 이면을 박리가능한 상태로 피복하는 박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점착테잎부는 일 단부와 타 단부 사이의 슬릿을 폭방향으로 포함하며, 상기 타 단부측 상의 돌출부가 적어도 상기 점착테잎부의 슬릿으로부터 절단(cut off)되는 상태로 상기 휠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의 단면도;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가 휠과 조립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실시예 2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의 단면도;
도 5는 실시예 3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실시예 4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실시예 4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의 단면도;
도 8은 실시예 5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의 단면도;
도 9는 실시예 6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의 단면도;
도 10은 실시예 7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의 단면도; 및
도 11은 실시예 8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제1발명)
본 발명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웨이트, 점착테잎부 및 박리지를 포함한다.
상기 웨이트는 웨이트의 표면과 웨이트의 이면이 배향하여 배치되는 실질적으로 스트립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웨이트는 휠과의 조립 시에 휠어셈블리의 임피던스를 해소한다. 웨이트가 실질적으로 스트립 형상이라는 사실로부터, 웨이트 자신의 두께별 방향으로 응력을 가하여 종방향으로 아크 형상처럼 그것을 만곡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휠의 만곡 형상을 따라 가는 형상으로 웨이트를 변형(만곡)시킬 수 있게 된다. 웨이트가 휠의 형상을 따라 가는 형상으로 만곡되면, 휠에 대한 휠밸런스웨이트(웨이트)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밀착성이 향상되면, 웨이트와 휠 간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휠밸런스웨이트가 휠로부터 떨어져 나가기 매우 어렵게 된다. 상기 웨이트는 사전설정된 폭을 갖고 폭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장방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웨이트는 실질적으로 스트립 형상의 두께가 사실상 균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웨이트는 그 재질이 한정되지 않지만, 비연계(non-lead-system)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연계 금속은, 자연계에 폐기되어야 하는 경우라도, 환경 부하를 덜 가하도록 되어 있다. 웨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비연계 금속에 관해서는, 순철, 강 및 스테인리스와 같은 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철계 금속을 말할 수 있다.
상기 점착테잎부는 테잎의 표면과 테잎의 이면이 배향하여 배치되되, 테잎의 표면이 웨이트의 이면에 고정되고, 테잎의 이면이 휠에 접착되는 부재이다. 즉, 점착테잎부는 웨이트를 휠에 접착(점착)시킨다. 상기 점착테잎부는 웨이트를 휠에 접착시킬 수 있는 부재이기만 하면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양면이 접착면인 양면접착테잎을 말할 수 있다.
점착테잎부는 유연성을 갖는 발포 수지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양면에 접착성을 갖는 테잎의 표면과 테잎의 이면을 가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테잎부 자신은 그것이 기재를 가진다는 사실로부터 유연성을 가지기 때문에, 웨이트의 형상이 휠의 형상과 완전히 일치되지 않더라도, 상기 점착테잎부 자체가 형상 변화를 흡수하므로, 웨이트와 휠 간의 밀착성이 증대된다.
상기 박리지는 테잎의 이면을 박리가능한 상태로 피복하는 부재이다. 상기 박리지는 휠밸런스웨이트가 휠과 조립되기 전 테잎의 이면의 접착면을 보호한다. 상기 박리지는 휠밸런스웨이트를 휠과 조립할 때 박리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에 있어서, 점착테잎부는 그 폭이 웨이트의 폭보다 좁게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박리지는 그 폭이 테잎부의 폭을 초과하는 길이이고, 웨이트의 폭 이하가 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점착테잎부와 박리지의 폭이 각각 규정되어 있다는 사실로부터, 상기 박리지가 쉽게 벗겨지게 되어 있다. 여기서, 웨이트, 점착테잎부 및 박리지의 폭은 그 각각의 길이를 실질적으로 스트립 형상의 웨이트의 폭방향으로 특정한다.
점착테잎부의 폭이 웨이트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는 사실로부터, 상기 점착테잎부로 피복되지 않는 웨이트의 이면이 노출되는 일부가 상기 점착테잎부의 테잎의 표면이 웨이트의 이면에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웨이트의 폭방향으로의 일 단부에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박리지의 폭이 점착테잎부의 폭보다 넓게 된다는 사실로부터, 상기 박리지가 점착테잎부의 테잎의 이면을 피복한 상태에서 적어도 상기 점착테잎부의 일 단부를 넘어 상기 박리지의 폭방향으로의 단주부(an end periphery)가 돌출된다. 점착테잎부의 두께에 대응하는 클리어런스는 웨이트의 이면과 상기 박리지의 단주부의 돌출부 사이에 존재한다. 그리고, 이러한 클리어런스에 의하면, 휠밸런스웨이트의 조립 시 박리지가 용이하게 핀칭될 수 있으므로, 상 기 박리지의 박리가 쉽게 된다.
상기 점착테잎부의 폭은 웨이트의 폭보다 0.1 ~ 6mm 만큼 짧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테잎부의 폭이 6mm 넘게 더욱 짧아지면, 웨이트를 접착시키는 접착력이 작게 된다. 또한, 점착테잎부의 폭과 웨이트의 폭 간의 차이가 0.1mm 미만이면, 박리지의 돌출 길이가 짧게 되어, 상기 박리지가 핀칭되기 쉽지 않게 된다.
상기 점착테잎부와 상기 박리지 각각의 단부들 중 하나는 상기 웨이트의 단부들 중 하나와 일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테잎부의 단부들 중 하나가 웨이트의 단부들 중 하나와 일치한다는 사실로부터, 점착테잎부가 웨이트의 이면에 고정될 때 상기 웨이트의 이면의 타 단부 상의 면이 노출되게 된다. 그리고, 박리지 역시 상기 단부들 중 하나가 그와 일치한다는 사실로부터, 박리지의 박리 시에 핀칭될 부분(박리지의 돌출부)도 그 타 단부의 면 상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점착테잎부는 휠에 웨이트를 고정하기 위하여, 웨이트와 휠에 대한 접착면들이 더욱 넓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점착테잎부의 폭이 더욱 넓어질 수 있는 것(점착테잎부의 폭 별 길이가 더욱 길어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테잎부의 폭 별 길이를 더욱 길게 하면, 박리지의 돌출부의 돌출 길이(박리지의 박리 시 핀칭될 부분)가 상대적으로 더욱 짧게 된다. 그리고, 점착테잎의 단부들 중 하나를 웨이트의 단부들 중 하나와 정렬시킴으로써, 웨이트의 이면의 노출부의 폭 별 길이를 가장 길게 만든 결과, 박리지의 돌출부의 돌출 길이를 가장 길게 만들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박리지가 쉽게 벗겨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박리지는 웨이트의 폭과 동일하게 되도록 그 폭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지의 폭이 웨이트의 폭과 동일하게 된다는 사실로부터, 상기 박리지의 돌출부를 가장 길게 만들 수 있게 된다. 또한, 박리지의 폭이 웨이트의 폭보다 넓게 되면, 상기 박리지의 단주부가 웨이트의 폭 별 단부를 넘어 돌출하게 되고, 상기 웨이트를 넘어 돌출하는 상기 부분이 접혀 구부러지므로, 박리지가 핀칭되기 쉽지 않게 되고 궁극적으로는 상기 박리지가 고리로 연결되어 박리되기 쉽지 않게 된다는 단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실질적으로 스트립 형상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이트가 홈부를 포함한다는 사실로부터, 휠밸런스웨이트를 휠과 조립할 때 휠의 내부면의 만곡 형상과 용이하게 일치하는 형상으로 상기 웨이트를 변형시킬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웨이트의 종방향이 휠의 내주면의 원주방향과 일치한 상태로 휠과 조립된다. 즉, 상기 웨이트는 종방향이 아크 형상처럼 만곡된 상태로 조립된다. 그리고, 홈부가 웨이트 내에 형성되는 경우, 웨이트가 홈부에서 만곡되도록 상기 웨이트를 만곡시키기 위하여 힘을 가할 때 상기 홈부 상에 힘이 집중되므로, 훨씬 더 적은 힘으로 사전설정된 만곡 형상으로 바꿀 수 있게 된다.
또한, 홈부를 구비한다는 사실로부터, 웨이트의 중량 조절을 간단히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웨이트의 두께가 홈부에서 부분적으로 얇아지기 때문에, 상기 부분은 다른 부분(그 두께가 더 얇지 않은 부분)들에서보다 절단을 더욱 간단히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개폐를 위하여 상기 홈부에 이러한 방향으로 응력을 반복적으로 제공함으로써(전후로 반복해서 구부림으로써), 상기 홈부에서의 파단(fracture)을 야기하여 웨이트를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즉, 여하한의 특별한 공구를 전혀 이용하지 않고도, 웨이트의 중량의 조절을 수작업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홈부는 홈부들 사이에 유지되는 부분들의 중량이 사전설정된 중량이 되는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홈부들 사이에 유지되는 부분"은 스트립 형상의 웨이트의 종방향으로 늘어선 인접하는 홈부들 사이에 유지되는 부분이라는 점에 유의한다. 그리고, 홈부들 사이에 유지되는 부분의 중량이 사전설정된 중량이 된다는 사실로부터, 웨이트의 중량의 조절을 간단히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홈부는 웨이트의 표면과 웨이트의 이면 중 어느 하나에 그것을 형성하거나 또는 양면에 그것을 형성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홈부의 형상(단면 형상)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없다. 예를 들어, 단면이 실질적으로 "V"자 형상, 실질적으로 "U"자 형상 및 실질적으로 오목한 형상 가운데 어느 것도 허용가능하다.
상기 웨이트는 휠의 내주면을 따라 가는 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휠의 림(rim)의 내주면 상에 부착되기 때문에, 그것이 상기 림의 내주면을 따라 만곡될 때, 휠 상으로의 부착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이 경우, 웨이트의 홈부들 사이에 유지되는 부분들이 각각 실질적으로 아크 형상처럼 만곡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웨이트는 그 표면상에 식별표시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식별표시로는, 예컨대 웨이트의 중량 또는 웨이트의 중력 중심을 말할 수 있다. 웨이트의 중력중심위치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휠밸런스웨이트를 휠과 조립할 때 위치설정을 간단히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웨이트의 중량을 표시하는 경우, 웨이트를 간단히 식별한 다음 원하는 중량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웨이트의 홈부들 사이에 유지되는 웨이트의 각 부분에 대한 중량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웨이트를 절단하여 상기 웨이트를 원하는 중량으로 간단히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웨이트는 표면처리가 수행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이트 상에 표면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웨이트의 외관을 깔끔하게 만들고, 부가적으로는 웨이트 상에 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표면처리로는, 크롬산아연처리, 은분말페인팅, 크롬도금 및 베이킹식 아연화합물복합막과 같은 철계 금속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웨이트 상에서 수행되는 표면처리를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박리지가 조립 전에 접혀서 구부러지거나 변형되기 쉽지 않기 때문에, 상기 박리지를 용이하게 핀칭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박리지는 조립 작업 전에 박리되기 쉽지 않기 때문에, 떨어진 박리지에 기인하는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하기 용이하며, 부가적으로는 조립 시에도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휠의 림의 내주면과 조립되어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점착테잎부가 휠에 대한 조립을 수행하기 때문에, 휠의 형상에 관계없 이 조립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자동차의 휠 뿐만 아니라 2륜차의 휠과의 조립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제2발명)
본 발명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웨이트, 점착테잎부 및 박리지를 포함한다.
상기 웨이트는 웨이트의 표면과 웨이트의 이면이 배향하여 배치되는 실질적으로 스트립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웨이트는 휠과의 조립 시에 휠어셈블리의 임피던스를 해소한다. 웨이트가 실질적으로 스트립 형상이라는 사실로부터, 웨이트 자신의 두께별 방향으로 응력을 가하여 종방향으로 아크 형상처럼 그것을 만곡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휠의 만곡 형상을 따라 가는 형상으로 웨이트를 변형(만곡)시킬 수 있게 된다. 웨이트가 휠의 형상을 따라 가는 형상으로 만곡되면, 휠에 대한 휠밸런스웨이트(웨이트)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밀착성이 향상되면, 웨이트와 휠 간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휠밸런스웨이트가 휠로부터 떨어져 나가기 매우 어렵게 된다. 상기 웨이트는 사전설정된 폭을 갖고 폭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장방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웨이트는 실질적으로 스트립 형상의 두께가 사실상 균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웨이트는 그 재질이 한정되지 않지만, 비연계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연계 금속은, 자연계에 폐기되어야 하는 경우라도, 환경 부하를 덜 가하도록 되어 있다. 웨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비연계 금속으로는, 순철, 강 및 스테인리스와 같은 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철계 금속을 말할 수 있다.
상기 점착테잎부는 테잎의 표면과 테잎의 이면이 배향하여 배치되되, 테잎의 표면이 웨이트의 이면에 고정되고, 테잎의 이면이 휠에 접착되는 부재이다. 즉, 점착테잎부는 웨이트를 휠에 접착(점착)시킨다. 상기 점착테잎부는 웨이트를 휠에 접착시킬 수 있는 부재이기만 하면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양면이 접착면인 양면접착테잎을 말할 수 있다.
상기 점착테잎부는 유연성을 갖는 발포 수지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양면에 접착성을 갖는 테잎의 표면과 테잎의 이면을 가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테잎부 자신은 그것이 기재를 가진다는 사실로부터 유연성을 가지기 때문에, 웨이트의 형상이 휠의 형상과 완전히 일치되지 않더라도, 상기 점착테잎부 자체가 형상 변화를 흡수하므로, 웨이트와 휠 간의 밀착성이 증대된다.
상기 박리지는 테잎의 이면을 박리가능한 상태로 피복하는 부재이다. 상기 박리지는 휠밸런스웨이트가 휠과 조립되기 전에 상기 테잎의 이면의 접착면을 보호한다. 상기 박리지는 휠밸런스웨이트를 휠과 조립할 때 박리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에 있어서, 상기 점착테잎부는 일 단부와 타 단부 사이에 폭방향으로 슬릿을 포함하고, 타 단부측에 있는 돌출부가 적어도 점착테잎부의 슬릿으로부터 절단된 상태에서 휠에 접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휠과 조립되기 전 상태로 점착테잎부의 폭방향으로 일 단부 상에 돌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는 휠과의 조립 시에 그로부터 절단된다. 즉, 상기 돌출부(그리고 박리지)가 핀칭된다. 휠과의 조립 이전의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는 점착테잎부와 박리지로 형성된다. 즉, 돌출부가 고강도를 가진다. 이러한 강도에 의하면, 웨이트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은 그 내부에 폴딩과 벤딩 또는 변형이 발생하기 쉽지 않으므로, 휠과의 조립 시에 핀칭되기 쉽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웨이트를 넘어 돌출되는 돌출부가 제거된 상태에서 휠과 조립된다. 이에 따라, 휠밸런스웨이트가 휠과 조립될 때의 외관의 열화가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점착테잎부는 돌출부를 절단하기 위한 슬릿을 포함한다. 점착테잎부가 슬릿을 포함한다는 사실로부터, 상기 점착테잎부를 슬릿에서 절단할 수 있게 되므로, 돌출부를 간단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점착테잎부의 테잎 이면이 박리지로 피복되기 때문에, 상기 점착테잎부에 형성되는 슬릿은 테잎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릿은 적어도 돌출부를 절단할 수 있게 만들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는 것이 허용가능하고, 그 형상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단면이 실질적으로 "V"자 형상, 실질적으로 "U"자 형상 및 실질적으로 오목한 형상 등의 홈과 상기 점착테잎부에 형성되는 천공을 말할 수 있다.
상기 슬릿이 점착테잎부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위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돌출부가 제거될 때 웨이트를 휠 상에 접착/고정하기 위한 충분한 양의 점착테잎부를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점착테잎부는 그 폭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 폭은 웨이트의 폭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상기 웨이트 상 에 접착되는 점착테잎부의 부분의 폭이 웨이트의 폭과 일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게 되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점착테잎부의 타 단부측이 웨이트의 타 단부를 넘어 돌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게 되어 있다.
상기 슬릿은 웨이트의 일 단부를 따라 폭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릿이 폭방향으로 웨이트의 일 단부를 따라 배치된다는 사실로부터, 점착피복부는 돌출부를 절단할 때 웨이트 이면의 전체면 상에 고정된 상태로 남아 있다. 즉, 휠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점착테잎부의 테잎 표면이 밀착성을 가지면, 돌출부의 테잎 표면은 박리지로 피복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의 테잎 표면이 밀착성을 가질 때 상기 테잎 표면상에도 박리지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돌출부의 취급이 단순해진다. 즉, 돌출부의 테잎 표면부가 필요하지 않은 장소에 접착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돌출부의 테잎 표면을 피복하는 박리지는 테잎의 이면을 피복하는 박리지와 일체형이거나 그와 독립적일 수도 있다.
상기 슬릿은 웨이트의 이면을 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점착테잎부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슬릿으로의 테잎 표면은 박리지로 피복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릿이 웨이트의 이면을 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휠과의 조립 시에 절단되는 부분의 길이가 더욱 길어지기 때문에 상기 돌출부를 수동으로 핀칭하기 쉽게 된다. 이러한 결과로서, 조립 작업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슬릿이 웨이트의 이면을 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휠과의 조립 시에 점착테잎부의 폭이 웨이트의 폭보다 짧게 된다. 상기 점착테잎부의 폭이 더욱 짧아지게 되는 경우에는, 휠밸런스웨이트가 휠 상에 부착된 상태로 점착테잎부를 가시적으로 식별하기 쉽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결과로서, 휠밸런스웨이트의 외관이 휠과 조립된 상태에서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돌출부에 또 다른 웨이트를 구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2개의 웨이트가 하나의 점착테잎부를 공유한다는 사실로부터, 웨이트들 중 하나를 휠과 조립할 때 상기 웨이트들 중 나머지 다른 하나를 핀칭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실질적으로 스트립 형상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이트가 홈부를 포함한다는 사실로부터, 휠밸런스웨이트의 휠과의 조립 시에 휠의 내주면의 만곡 형상과 일치하는 형상으로 상기 웨이트의 변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상기 웨이트의 종방향이 휠의 내주면의 원주방향과 일치하는 상태로 휠과 조립된다. 즉, 상기 웨이트는 그 종방향으로 아크 형상처럼 만곡된 상태로 조립된다. 그리고, 홈부가 웨이트에 형성되면, 웨이트가 홈부에서 만곡되도록 상기 웨이트를 만곡시키기 위하여 힘을 가할 때 상기 홈부 상에 힘이 집중되므로, 훨씬 더 적은 힘으로 사전설정된 만곡 형상으로 바꿀 수 있게 된다.
또한, 홈부를 구비한다는 사실로부터, 웨이트의 중량 조절을 간단히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웨이트의 두께가 홈부에서 부분적으로 얇아지기 때문에, 상기 부분은 다른 부분(그 두께가 더 얇지 않은 부분)들에서보다 절단을 더욱 간단히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개폐를 위하여 상기 홈부에 이러한 방향으로 응력을 반복적으로 제공함으로써(전후로 반복해서 구부림으로써), 상기 홈부에서의 파단을 야기하여 상기 웨이트를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즉, 여하한의 특별한 공구를 전혀 이용하지 않고도, 상기 웨이트의 중량의 조절을 수작업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홈부는 홈부들 사이에 유지되는 부분들의 중량이 사전설정된 중량이 되는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홈부들 사이에 유지되는 부분"은 스트립 형상의 웨이트의 종방향으로 늘어선 인접하는 홈부들 사이에 유지되는 부분이라는 점에 유의한다. 그리고, 홈부들 사이에 유지되는 부분의 중량이 사전설정된 중량이 된다는 사실로부터, 웨이트의 중량의 조절을 간단히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홈부는 웨이트의 표면과 웨이트의 이면 중 어느 하나에 그것을 형성하거나 또는 양면에 그것을 형성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홈부의 형상(단면 형상)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없다. 예를 들어, 단면이 실질적으로 "V"자 형상, 실질적으로 "U"자 형상 및 실질적으로 오목한 형상 가운데 어느 것도 허용가능하다.
상기 웨이트는 휠의 내주면을 따라 가는 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휠의 림의 내주면 상에 부착되기 때문에, 그것이 상기 림의 내주면을 따라 만곡될 때, 휠 상으로의 부착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이 경우, 웨이트의 홈부들 사이에 유지되는 부분들이 각각 실질적 으로 아크 형상처럼 만곡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웨이트는 그 표면상에 식별표시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식별표시로는, 예컨대 웨이트의 중량 또는 웨이트의 중력 중심을 말할 수 있다. 웨이트의 중력중심위치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휠밸런스웨이트를 휠과 조립할 때 위치설정을 간단히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웨이트의 중량을 표시하는 경우, 웨이트를 간단히 식별한 다음 원하는 중량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웨이트의 홈부들 사이에 유지되는 웨이트의 각 부분에 대한 중량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웨이트를 절단하여 상기 웨이트를 원하는 중량으로 간단히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웨이트는 표면처리가 수행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이트 상에 표면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웨이트의 외관을 깔끔하게 만들고, 부가적으로는 웨이트 상에 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표면처리로는, 크롬산아연처리, 은분말페인팅, 크롬도금 및 베이킹식 아연화합물복합막과 같은 철계 금속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웨이트 상에서 수행되는 표면처리를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박리지가 조립 전에 접혀서 구부러지거나 변형되기 쉽지 않기 때문에, 상기 박리지를 용이하게 핀칭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박리지는 조립 작업 전에 박리되기 쉽지 않기 때문에, 떨어진 박리지에 기인하는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하기 용이하며, 부가적으로는 조립 시에도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휠의 림의 내주면과 조립되어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점착테잎부가 휠에 대한 조립을 수행하기 때문에, 휠의 형상에 관계없 이 조립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자동차의 휠 뿐만 아니라 2륜차의 휠과의 조립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실시예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휠밸런스웨이트가 제조되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도 1-2에 예시된 휠밸런스웨이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의 사시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1의 I-I 단면에서의 그 단면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웨이트(1), 양면접착테잎(2) 및 박리지(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웨이트(1)는 그 폭이 15-25mm, 두께가 2-6mm 및 길이가 5-200mm 인 스트립 형상의 강판을 몰딩하여 기재(10)를 형성하고, 상기 기재(10)의 표면상에 베이킹식 아연화합물복합막(12)을 형성하여 완성된다. 이러한 웨이트(1)는 홈부(11)가 그 표면(1a)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들 홈부(11)는 그 개구부의 폭이 0.5-5mm이고, 깊이가 1.9-5.9mm인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웨이트(1)는 스트립의 종방향으로 아크 형상처럼 되도록 만곡된다. 이때, 웨이트(1)의 홈부(11)에 의해 구획되는 각각의 부분들도 아크 형상처럼 만곡된다.
상기 양면접착테잎(2)은 탄성과 유연성을 갖는 발포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트립 형상의 기재(20)의 배향하여 배치되는 양면 상에 점착면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 다. 상기 양면접착테잎(2)은 그 폭이 9-25mm, 두께가 0.5-1.6mm 및 길이가 5-200mm인 스트립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양면접착테잎(2)은 종래의 휠밸런스웨이트에도 사용된 통상의 양면접착테잎이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양면접착테잎(2)은 테잎의 표면(2a)이 웨이트(1)의 이면(1b) 상에 접착/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양면접착테잎(2)은 폭방향으로의 일 단부(2c)가 폭방향으로의 웨이트(1)의 일 단부(1c)와 일치한 상태로 접착/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양면접착테잎(2)의 테잎 이면(2b)은 박리지(3)로 피복된다. 상기 박리지(3)는 그 크기가 웨이트(1)와 동일한 스트립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박리지(3)는 그 폭이 15-35mm, 두께가 0.01-0.1mm 및 길이가 5-200mm인 스트립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박리지(3)는 폭방향으로의 일 단부(3c)가 폭방향으로의 웨이트(1)의 일 단부(1c) 및 폭방향으로의 양면접착테잎(2)의 일 단부(2c)와 일치한 상태로 테잎 이면(2b)을 피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으로의 웨이트(1)의 타 단부(1d)의 면이 웨이트의 이면(1b)이 0.1-0.6mm 만큼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폭방향으로의 박리지(3)의 타 단부(3d)도 노출된다.
(휠밸런스웨이트의 조립)
실시예 1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실제로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휠과 조립된다. 여기서는, 실시예 1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가 휠의 내주면과 조립된 상태가 도 3에 예시되어 있다.
우선, 양면접착테잎(2)의 테잎 이면(2b)이 실시예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로부터 박리지(3)를 박리시켜 노출되었다. 이어서, 상기 노출된 테잎의 이면(2b)이 휠(4)의 림의 내주면의 사전설정된 위치에 접착되었다. 이때, 웨이트(1)를 휠(4)의 림의 내주면(4a) 상에 가압하여 홈부(11)에서의 변형을 야기함으로써, 상기 휠(4)의 림의 내주면(4a) 상으로의 웨이트(1)의 파손이 가능하게 되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양면접착테잎(2)이 유연성과 탄성을 가진다는 사실로부터, 웨이트(1)의 웨이트 이면(1b)에서의 상기 웨이트(1)의 변형(만곡)에 의해 야기된 외관상 불규칙성 때문에 고접착성으로 접착되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를 휠과 조립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휠(4)과의 조립을 위한 박리지(3)의 박리 시, 상기 박리지(3)의 단부(30)를 간단히 핀치하여, 상기 박리지(3)를 간단히 박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폭방향으로의 웨이트(1)의 타 단부(1d)의 면 상에는, 웨이트의 이면(1)과 박리지(3) 사이에 상기 양면접착테잎(2)의 두께에 대응하는 클리어런스가 형성되어, 이 클리어런스에 손가락 끝을 삽입하여 상기 박리지(3)의 타 단부(3d)를 간단히 핀칭시킬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박리지(3)가 웨이트(1)의 일 단부를 넘어 폭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박리지가 접히거나 구부러지지도 않고, 변형되지도 않으므로, 용이하게 핀칭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결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휠밸런스웨이트의 조립 시에 작업성이 개선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박리지(3)가 휠(4)과의 조립을 위한 작업 전에 박리되기 쉽지 않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떨어진 박리지에 기인하는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조립 작업에 앞선 취급이 용이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양면접착테잎(2)의 폭을 더 좁게 만들어, 상기 양면접착테잎(2)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그 단면 형상이 도 4에 예시된 휠밸런스웨이트이다.
본 실시예는 박리지(3)의 폭이 상이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휠밸런스웨이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박리지(3)는 폭이 14-24mm이고, 상기 웨이트(1)의 폭보다 0.1-1.0mm 만큼 더 짧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박리지(1)는 일 단부(3c)가 웨이트(1)의 일 단부(1c) 및 양면접착테잎(2)의 일 단부(2c)와 일치하도록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실시예 1의 경우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박리지(3)를 간단히 박리시킬 수 있었다. 즉, 본 실시예에서도, 조립 시의 작업성이 향상된 효과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설명되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에서도, 조립 작업에 앞선 취급이 실시예 1의 경우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용이해지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도 5에 예시된 휠밸런스웨이트이다.
본 실시예는 웨이트(1)의 홈부(11)가 상이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휠밸런스웨이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1)에 배치되는 각각의 홈부(11)는 그 개구부의 폭이 0.1-6mm, 깊이가 1.9-5.9mm인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1)의 홈부(11)는 웨이트(1)의 양면, 웨이트의 표면(1a) 및 웨이트의 이면(1b)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실시예 1의 경우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박리지(3)를 간단히 박리시킬 수 있었다. 즉, 본 실시예에서도, 조립 시의 작업성이 향상된 효과가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고접착성으로 접착되었는데, 그 이유는 이면(1b)에서 개방된 홈부(11)의 개구부의 폭이 웨이트(1)를 만곡시켜 변화되는 경우에도, 개구부의 폭의 변화가 양면접착테잎(2)의 유연성과 탄성에 의해 흡수되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에서도, 조립 작업에 앞선 취급이 실시예 1의 경우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용이해지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도 6-7에 예시된 휠밸런스웨이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의 사시도가 도 6에 도시되어 있고, 도 6의 II-II 단면에서의 그 단면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웨이트(1), 양면접착테잎(2) 및 박리지(3)로 구성된다.
상기 웨이트(1)는 그 폭이 5-25mm, 두께가 2-6mm 및 길이가 5-200mm 인 스트 립 형상의 강판을 몰딩하여 제조되는 기재(10)를 형성하고, 상기 기재(10)의 표면상에 베이킹식 아연화합물복합막(12)을 형성하여 완성된다. 이러한 웨이트(1)는 홈부(11)가 그 표면(1a)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들 홈부(11)는 그 개구부의 폭이 0.1-6mm이고, 깊이가 1.9-5.9mm인 "V"자 형상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웨이트(1)는 스트립의 종방향으로 아크 형상처럼 되도록 만곡된다. 이때, 홈부(11)에 의해 구획되는 웨이트(1)의 부분(12)들도 아크 형상처럼 만곡된다.
상기 양면접착테잎(2)은 탄성과 유연성을 갖는 발포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트립 형상의 기재(20)의 배향하여 배치되는 양면 상에 점착면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양면접착테잎(2)은 그 폭이 15-31mm, 두께가 0.5-1.6mm 및 길이가 5-200mm인 스트립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양면접착테잎(2)은 종래의 휠밸런스웨이트에도 사용된 통상의 양면접착테잎이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양면접착테잎(2)은 테잎의 표면(2a)이 웨이트(1)의 이면(1b) 상에 접착/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양면접착테잎(2)은 폭방향으로의 일 단부(2c)가 폭방향으로의 웨이트(1)의 일 단부(1c)와 일치한 상태로 접착/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양면접착테잎(2)은 폭이 웨이트(1)의 폭보다는 넓게 형성되고, 타 단부(2d)의 면은 웨이트(1)의 이면(1b) 상에 고정된 상태로 돌출부(21)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돌출부(21) 및 양면접착테잎(2)의 테잎 이면(2b)의 표면들은 박리지(3)로 피복된다. 상기 박리지(3)는 양면접착테잎(2)의 테잎 이면(2b)에 대응하는 스트립 형상의 박리지(30) 및 그 돌출부(21)에 대응하는 스트립 형상의 박리지(31)를 포함한 다.
상기 박리지(30)는 일 단부(30c)가 웨이트(1)의 일 단부(1c) 및 양면접착테잎(2)의 일 단부(2c)와 일치하도록 조립된다. 상기 박리지(31)는 타 단부(31d)가 양면접착테잎(2)의 타 단부(2d) 및 박리지(30)의 타 단부(30d)와 일치하도록 조립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에서는, 슬릿(22)이 양면접착테잎(2)의 테잎 표면(2a)에 형성된다. 양면접착테잎(2)이 웨이트(1) 상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슬릿(22)은 폭방향으로 웨이트(1)의 타 단부(1d)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슬릿(22)은 그 개구부의 폭이 0.1-6mm이고, 깊이가 0.5-1.6mm인 "V"자 형상으로 구획된다.
(휠밸런스웨이트의 조립)
실시예 4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실제로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휠과 조립된다.
우선, 돌출부(21)가 본 실시예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로부터 절단되고, 부가적으로는 박리지(30)가 그로부터 떨어져, 양면접착테잎(2)을 웨이트(1)의 이면(1b)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바꾸고, 추가적으로 상기 부분의 테잎 이면(2b)을 노출시키게 된다. 이어서, 상기 노출된 테잎의 이면(2b)이 휠(4)의 림의 내주면의 사전설정된 위치에 접착되었다. 이때, 웨이트(1)를 휠(4)의 림의 내주면(4a) 상에 가압하여 홈부(11)에서의 변형을 야기함으로써, 상기 휠(4)의 림의 내주면(4a) 상으로의 웨이트(1)의 파손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 를 휠과 조립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에서는, 휠(4)과의 조립을 위한 박리지(3)의 박리 시, 웨이트(1)를 넘어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양면접착테잎(2)의 돌출부(21)에 대응하는 부분이 핀칭된 다음, 상기 돌출부(21)가 절단되었다. 이때, 핀칭될 돌출부(21)에 대응하는 부분은 박리지(3)와 돌출부(21)의 합산된 두께를 가졌다. 이에 따라, 웨이트(1)를 넘어 돌출된 부분이 강도를 가지게 되어, 벤딩이나 변형이 일어나지 않게 되었다. 즉, 조립 시 상기 돌출부를 간단히 핀칭하여, 조립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박리지(3)가 휠(4)과의 조립을 위한 작업 전에 박리되기 쉽지 않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떨어진 박리지에 기인하는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조립 작업에 앞선 취급이 용이해지도록 되어 있다.
(실시예 5)
본 실시예는 그 단면 형상이 도 8에 예시된 휠밸런스웨이트이다.
본 실시예는 양면접착테잎(2)의 슬릿(22)의 형상이 상이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의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휠밸런스웨이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슬릿(22)은 단면이 "V"자 형상을 포함하고, "V"자 형상을 구획하는 쌍을 이루는 측벽면 중, 일 단부(2c)측의 측벽면이 두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폭방향으로 웨이트(1)의 타 단부(1d)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실시예 4의 경우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돌출부(21)에 대 응하는 부분을 간단히 핀칭할 수 있게 되었다. 즉, 본 실시예에서도, 조립 시의 작업성이 향상된 효과가 실시예 4와 동일한 방식으로 설명되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에서도, 조립 작업에 앞선 취급이 실시예 4의 경우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용이해지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양면접착테잎(2)의 돌출부(21)의 절단 후의 단면이 실질적으로 평탄면이 되어, 그것을 휠에 부착할 때의 외관이 향상되도록 되어 있다.
(실시예 6)
본 실시예는 그 단면 형상이 도 9에 예시된 휠밸런스웨이트이다.
본 실시예는 양면접착테잎(2)의 슬릿(22)이 형성되는 위치가 상이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의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휠밸런스웨이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슬릿(22)은 웨이트(1)의 타 단부(1d)로부터 폭방향으로 그 일 단부(1c)측으로 1-10mm의 위치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21)를 피복하는 박리지(31)가 웨이트(1)의 이면(1b)을 향하는 위치에도 존재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즉, 웨이트(1)의 타 단부(1d)측은 박리지(31)가 웨이트(1)와 양면접착테잎(2) 사이에 존재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실시예 4의 경우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돌출부(21)에 대응하는 부분을 간단히 핀칭할 수 있었다. 즉, 본 실시예에서도, 조립 시의 작업성이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향상되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에서도, 조립 작업에 앞선 취급이 실시예 4의 경우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용이해지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7)
본 실시예는 그 단면 형상이 도 10에 예시된 휠밸런스웨이트이다.
본 실시예는 양면접착테잎(2)의 폭이 상이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의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휠밸런스웨이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양면접착테잎(2)은 웨이트(1)의 폭과 동일한 폭이 되도록 형성된다. 즉, 양면접착테잎(2)의 일 단부(2c), 웨이트(1c)의 일 단부(1c) 및 박리지(31)의 일 단부(30c)가 서로 일치하고, 상기 양면접착테잎(2)의 타 단부(2d), 웨이트(1c)의 타 단부(1d) 및 박리지(30, 31)의 타 단부(30d, 31d)가 서로 일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실시예 6의 경우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돌출부(21)에 대응하는 부분을 간단히 핀칭할 수 있게 되었다. 즉, 본 실시예에서도, 조립 시의 작업성이 실시예 6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향상되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에서도, 조립 작업에 앞선 취급이 실시예 6의 경우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용이해지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8)
본 실시예는 그 단면 형상이 도 11에 예시된 휠밸런스웨이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2개의 웨이트(1, 1'), 양면접착테잎(2) 및 박리지(3)로 구성된다.
상기 웨이트(1, 1')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두 웨이트(1, 1') 각각은 실시예 4의 웨이트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웨이트이다.
상기 양면접착테잎(2)은 탄성과 유연성을 갖는 발포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트립 형상의 기재(20)의 배향하여 배치되는 양면 상에 점착면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양면접착테잎(2)은 그 폭이 30-60mm, 두께가 0.5-1.6mm 및 길이가 5-200mm인 스트립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양면접착테잎(2)은 실시예 4의 양면접착테잎과 동일한 양면접착테잎이다.
상기 양면접착테잎(2)의 테잎 표면(2a)에는 두 웨이트(1, 1')의 각각의 이면(1b, 1'b)이 접착/고정되어 있다. 상기 양면접착테잎(2)은 폭방향으로의 일 단부(2c)가 폭방향으로의 웨이트(1)의 일 단부(1c)와 일치한 상태 및 타 단부(2d)가 폭방향으로의 웨이트(1')의 타 단부(1'd)와 일치한 상태로 접착/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양면접착테잎(2)의 테잎 이면(2b)은 박리지(3)로 피복된다. 상기 박리지(3)는 상기 박리지(3)는 양면접착테잎(2)의 테잎 이면(2b)에 대응하는 스트립 형상을 포함한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슬릿(22)이 두 웨이트(1, 1') 사이에 유지되고, 상기 양면접착테잎(2)의 테잎의 이면(2a)에 있는 부분에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는 2개의 웨이트(1, 1')들 간의 간격이 상기 슬릿(22)의 개구부의 폭이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슬릿(22)은 그 개구부의 폭이 0.1-6mm이고, 깊이가 0.5-1.6mm인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 4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의 돌출부(21)에 웨이트(1')가 접착/고정된 이러한 구성을 포함한다. 즉, 돌출부(21)에 대응하는 부분이 더욱 쉽게 핀칭되었다. 이러한 사실로 인하여, 조립 시의 작업성이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향상된 효과를 나타내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휠밸런스웨이트에서도, 조립 작업에 앞선 취급이 실시예 4의 경우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용이해지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시예 4에 따라 돌출부(21)에 웨이트(1')가 접착/고정되어, 불필요한 부분(폐기될 부분)이 덜 발생하기 쉽게 하는 이러한 구성을 포함한다. 즉, 양면접착테잎(2)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되었다.

Claims (8)

  1. 휠밸런스웨이트에 있어서,
    웨이트의 표면과 웨이트의 이면이 배향(背向, back to back)하여 배치되는 실질적으로 스트립 형상의 웨이트;
    테잎의 표면과 테잎의 이면이 배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테잎의 표면은 상기 웨이트의 이면에 고정되며, 상기 테잎의 이면은 휠에 접착되는 점착테잎부; 및
    상기 테잎의 이면을 박리가능한 상태로 피복하는 박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테잎부는 그 폭이 상기 웨이트의 폭보다 좁게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박리지는 그 폭이 상기 테잎부의 폭을 초과하는 길이이고, 상기 웨이트의 폭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밸런스웨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테잎부와 상기 박리지 각각의 단부들 중 하나는 상기 웨이트의 단부들 중 하나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밸런스웨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지는 그 폭이 상기 웨이트의 폭과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밸런스웨이트.
  4. 휠밸런스웨이트에 있어서,
    웨이트의 표면과 웨이트의 이면이 배향하여 배치되는 실질적으로 스트립 형상의 웨이트;
    테잎의 표면과 테잎의 이면이 배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테잎의 표면은 상기 웨이트의 이면에 고정되며, 상기 테잎의 이면은 휠에 접착되는 점착테잎부; 및
    적어도 상기 테잎의 이면을 박리가능한 상태로 피복하는 박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테잎부는 일 단부와 타 단부 사이의 슬릿을 폭방향으로 포함하며,
    상기 타 단부측 상의 돌출부가 적어도 상기 점착테잎부의 슬릿으로부터 절단된 상태로 상기 휠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밸런스웨이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웨이트의 단부들 중 하나를 따라 상기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밸런스웨이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표면은, 상기 점착테잎부의 상기 테잎의 표면이 접착성을 가질 때, 상기 박리지로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밸런스웨이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웨이트의 이면을 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점착테잎 부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슬릿까지의 상기 테잎 표면은 상기 박리지로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밸런스웨이트.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 또다른 웨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밸런스웨이트.
KR1020087015374A 2005-12-28 2006-12-26 휠밸런스웨이트 KR200800752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79496A JP4994663B2 (ja) 2005-12-28 2005-12-28 ホイールバランスウェイト
JPJP-P-2005-00379496 2005-1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201A true KR20080075201A (ko) 2008-08-14

Family

ID=38228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374A KR20080075201A (ko) 2005-12-28 2006-12-26 휠밸런스웨이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090160239A1 (ko)
EP (1) EP1967757B1 (ko)
JP (1) JP4994663B2 (ko)
KR (1) KR20080075201A (ko)
CN (2) CN101881317B (ko)
WO (1) WO20070779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43370A1 (en) * 2008-03-31 2009-10-01 Hennessy Industries, Inc. Wheel weight
JP2011021066A (ja) * 2009-07-13 2011-02-03 Toho Kogyo Kk バランスウエイト用ロールテープの製造方法
EP2541095B1 (de) * 2011-06-27 2014-11-19 WEGMANN automotive GmbH & Co. KG Auswuchtgewicht mit aktivierbarem Klebemittel
US9480930B2 (en) * 2011-12-17 2016-11-01 David Bergmann Modular ballast for balancing neutrally buoyant amusement balloons
EP2662592B1 (de) * 2012-05-10 2017-04-19 WEGMANN automotive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ziehen einer Schutzfolie von einer selbstklebenden Klebefläche
ES2547000T3 (es) * 2013-04-24 2015-09-30 Wegmann Automotive Gmbh & Co. Kg Aparato y procedimiento para distribuir pesos de equilibrado de vehículo
EP3114369A1 (en) * 2014-03-03 2017-01-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heel balancing weights, and methods and devices for using same
CA159882S (en) * 2014-06-06 2015-10-05 Wegmann Automotive Gmbh & Co Kg Dispenser for balancing weights
CA2866513A1 (en) * 2014-10-02 2016-04-02 Fluid Energy Group Ltd. Synthetic acid compositions alternatives to conventional acids in the oil and gas industry
WO2017200158A1 (ko) * 2016-05-20 2017-11-23 주식회사 에스지에스이엔지 휠 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
RU2687002C1 (ru) * 2017-11-22 2019-05-0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Крыл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научный центр" Локальный вибропоглотитель
RU2713264C1 (ru) * 2019-04-18 2020-02-0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Крыл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научный центр" Вибропоглотитель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40727A (en) * 1950-02-01 1953-06-02 Raymond A Kennedy Balancing weight
US3273941A (en) * 1964-10-28 1966-09-20 Donald Gottwald Resiliently mounted wheel balancing weights
US3960409A (en) * 1974-11-25 1976-06-01 Perfect Equipment Corporation Wheel balancing weight
US4300803A (en) * 1979-09-14 1981-11-17 Plumbium Manufacturing Corporation Adhesive vehicle wheel weight and method
JPH0366945A (ja) 1989-08-04 1991-03-22 Nissan Motor Co Ltd 制御型エンジンマウント
CN2288896Y (zh) * 1996-11-22 1998-08-26 王富 用于电动平衡重式叉车的四轮同步转向机构
WO1999031407A1 (en) * 1997-12-12 1999-06-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Wheel weight/tape article and a method of using
JP3847974B2 (ja) * 1998-10-12 2006-11-22 大豊工業株式会社 ホイールバランスウェイト
US6364421B1 (en) * 1998-12-09 2002-04-02 Perfect Equipment Company Llc Wheel balancing weights
US6641910B1 (en) * 1999-08-24 2003-11-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retch releasing adhesive tape with segmented release liner
JP3066945U (ja) * 1999-08-27 2000-03-07 大豊工業株式会社 ホイールバランスウェイト
US6413626B1 (en) * 2000-06-08 2002-07-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heel weight/tape article and a method of using
US6547338B2 (en) * 2001-03-26 2003-04-15 Illinois Tool Works Inc. Individual segment adhesive correction weight
CN2513279Y (zh) * 2001-09-27 2002-09-25 侯爱松 游梁抽油机的直线电机自动平衡装置
JP3890983B2 (ja) * 2002-01-10 2007-03-07 東豊工業株式会社 ホイールバランスウェイ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30933B2 (ja) * 2002-04-17 2006-01-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ホイールバランスウェイ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055914B1 (en) * 2002-07-15 2006-06-06 Hennessy Industries, Inc. Vehicle wheel balance weights
US7093907B2 (en) * 2002-07-15 2006-08-22 Hennessy Industries, Inc. Vehicle wheel balance weights
JP2004084714A (ja) * 2002-08-23 2004-03-18 Toho Kogyo Kk 二輪車用ホイールバランスウェイトの製造方法および二輪車用ホイールバランスウェイト
JP4190300B2 (ja) * 2003-02-12 2008-12-03 トピー工業株式会社 ホイールバランスウエイト
JP2004251324A (ja) * 2003-02-18 2004-09-09 Topy Ind Ltd ホイールバランスウエイト
US7044561B2 (en) * 2003-11-18 2006-05-16 Halko Manufacturing Co. Adhesive wheel balancing weights having a serrated backing strip
JP4624839B2 (ja) * 2005-04-07 2011-02-02 ヤマテ工業株式会社 貼付けバランスウエイトにおける剥離紙除去機構
US20060273652A1 (en) * 2005-05-11 2006-12-07 Conceptual Plastic Creations, Llc Balance we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60239A1 (en) 2009-06-25
CN101351658A (zh) 2009-01-21
CN101881317B (zh) 2012-01-04
US20110012419A1 (en) 2011-01-20
EP1967757A1 (en) 2008-09-10
JP2007177960A (ja) 2007-07-12
WO2007077955A1 (ja) 2007-07-12
CN101881317A (zh) 2010-11-10
EP1967757A4 (en) 2011-12-07
EP1967757B1 (en) 2013-02-20
JP4994663B2 (ja) 2012-08-08
CN101351658B (zh)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5201A (ko) 휠밸런스웨이트
JP3996173B2 (ja) 塗装用マスキング材
EP1983216B1 (en) Wheel balance weight
US20030127906A1 (en) Wheel balance weight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3314618A (ja) ホイールバランスウェイ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31211B2 (ja) 貼着式ホイールバランスウエイ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400856B2 (en) Self-adhesive balancing weight for a vehicle wheel
JP3904387B2 (ja) バランス・ウエイト
JP4149900B2 (ja) ホイールバランスウェイト
WO2004081135A8 (en) Adhesive tape and method of attaching the same
JP2001065639A (ja) ホイールバランスウェイト
JP3066945U (ja) ホイールバランスウェイト
JP5046785B2 (ja) 貼り付けテープ
CA2308096A1 (en) Adhesive suture strip
JP2002257198A (ja) バランスウエイト
JP7301716B2 (ja) 車両用外装品の取付構造
US20040024378A1 (en) Adhesive tape
JP2009126276A (ja) エンブレム取付構造
JP3615570B2 (ja) 自動車内装部品の着脱自在取着用ファスナー
JP2016079988A (ja) バランスウェイト
JPS6040368Y2 (ja) 自動車の接着窓ガラス周縁構造
JP2001317593A (ja) バランス・ウエイト
JP2014185763A (ja) バランスウェイ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428506B2 (ja) 自動車用ウインドモール
JP2004217061A (ja) 車両用ホイ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